KR100306452B1 - 다이캐스팅 주형의 통기용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 주형의 통기용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06452B1 KR100306452B1 KR1019940001805A KR19940001805A KR100306452B1 KR 100306452 B1 KR100306452 B1 KR 100306452B1 KR 1019940001805 A KR1019940001805 A KR 1019940001805A KR 19940001805 A KR19940001805 A KR 19940001805A KR 100306452 B1 KR100306452 B1 KR 100306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actuating
- axially displaceable
- piston
- v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4—Stay means with an articulated or bridge constr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14—Machines with evacuated die cavity
- B22D17/145—Ve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Forging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 주형 통기용 밸브 조립체는, 통기 통로 수단과, 이 통기 통로 수단과 연통하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밸브와, 상기 통기 밸브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수단은 주조 작업중에 다이캐스팅 주형 안에 마련된 주조 격실로부터 상기 통기 통로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며 액체 주조 재료가 동력 증진 부재에 타격을 가할 때 액체 주조 재료로부터 동력 증진 부재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의 영향하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동력 증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증진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개방 위치로부터 그 폐쇄 위치로까지 구동될 때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의하여 실행되는 행정 길이의 일부분만으로 제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동 행정을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는 상기 동력 증진 부재의 상기 작동 행정 이외에도 경로를 따라서 자유롭게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 부재는 또한 액체 주조 재료에 의하여 동력 증진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상기 통기 밸브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개방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2짝 주형 중 한 주형 부분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의 실시예 1의 종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하우징 블럭의 제1 부분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하우징 블럭의 제1 부분의 상부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정면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블럭의 제2 부분의 정면도.
제5도는 주형이 폐쇄 위치에 있고 밸브 조립체가 개방되어 있는 제1도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밸브 조립체가 개방된 밸브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실시예 2의 종방향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도.
제9도는 밸브 조립체의 실시예 3에 따라 수정된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1 : 밸브 조립체 2, 3, 72, 73 : 하우징 블럭 부분
4 : 분할 평면 6, 7 : 주형 부분
10, 11, 77 : 통기 통로 12 : 통기 밸브
13, 78 : 밸브 실린더 14 : 밸브 피스톤
20 : 플로팅 피스톤 21, 39, 83, 89 : 작동 실린더
30 : 스프링 조립체 36, 37 : 푸시 로드
38 : 작동 부재 40, 91 : 작동 피스톤
42 : 스프링 부재 80 : 플런저
95 : 선회 레버 102 : 다이어프램 부재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주형의 통기용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통기 통로와, 상기 통기 통로와 연통하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밀폐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밸브와, 상기 통기 밸브를 개방 위치에서 밀폐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부재는 동력 픽업 부재(power pick up member)를 포함하는데, 이 동력 픽업 부재는, 주조 작업 중에 다이캐스팅 주형 내에 마련된 주조 격실로부터 통기 통로를 통과하여 빠져나오는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며,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동력 픽업 부재에 타격을 가할 때 상기 액체 주조 재료로부터 상기 동력 픽업부재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의 영향하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상기 동력 픽업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밸브 조립체들은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 주형의 두 부분에 장착되는데, 상기 두 부분은 상기 주형이 그 개시 위치에서 주조 작업을 준비할 때에 분할 평면을 따라서 서로 접촉한다. 통상적으로 그 구성은, 어느 한 주형 부분이 그 가장자리 근처에 홈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밸브 조립체가 상기 홈 안에 장착되어 그 전방 표면이 상기 분할 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2개의 주형 부분이 조립될 때에 즉, 다이캐스팅 주형이 폐쇄될 때에 상기 밸브 조립체의 통기 통로가 상기 전방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역시 이 개방 표면으로 개방되는 다이캐스팅 주형의통기 통로와 연속부를 형성한다. 외기에 연결된 밸브 조립체의 통기 통로의 단부는 진공 펌프 수단으로 개방되거나 연결되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 펌프 수단은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고압 및 고속으로 상기 주형 안에 충전될 때에 주형의 주조 격실 안에 수용된 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통기 공정이 완료자마다 폐쇄되는 통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상기 주형 밖으로 유동하거나 또는 상기 통로 통로에 연결된 진공 펌프 안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밸브 조립체의 폐쇄는 상기 밸브조립체의 통기 통로 안으로 유동하는 액체 주조 재료에 의하여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기 주형 안으로 유동하는 액체 주조 재료의 영향하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의 내부에서 증강된 충격 또는 동압이 상기 통로 밸브를 폐쇄하는 데 이용된다.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아주 높은 압력으로 상기 주형 안으로 유동하고, 상기 주형의 주조 격실을 충전한 후에는 동일한 고압 및 고속으로 상기 통기 밸브를 향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의 통기 통로 안으로 유동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상기 통로 밸브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통기 밸브의 폐쇄 작동이 완료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기 밸브의 작동은 아주 작은 시간 간격으로 개시되어야 한다. 통기 밸브가 막히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상기 통기 밸브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상기 밸브 조립체로 경험한 바로는, 상기 동압 또는 충격 압력을 상기 통기 밸브의 작동력으로 전달하는 수단이 적절히 구성된 경우에는 아주 짧은 정체 시간 간격(즉, 1msec 미만)으로 통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통기 밸브의 신뢰성 있는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스위스연방 특허 제633,208호는 고압 다이캐스팅 작동과 관련하여 사용되도록 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아주 양호하게 작동되도록 한 상기한 종류의 통기 밸브 조립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사실상 이 밸브 조립체는, 중심축이 밸브 조립체의 전방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며 통기 통로와 연통하는 밸브 실린더 및 이 밸브 실린더 안에서 변위 가능한 밸브 피스톤을 포함하는 플런저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피스톤에는, 밸브 조립체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의 전방 측면에서 통기 통로 안으로 돌출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가 폐쇄된 경우에는 상기 밸브 실린더의 내부로 변위되는 피스톤 헤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액체 주조 재료의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밸브 실린더의 전방에 놓여 있는 통기 통로의 일부분과 연통하는 작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 배열형의 동력 픽업 부재를 포함하는 작동 조립체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 실린더는 상기 통기 통로 안으로 유동하는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조립체의 작동 실린더와 상기 플런저 밸브 부재의 밸브 실린더는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는 일단 한번 상기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된 후 후진 운동으로 가속된 상기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가 통기 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밸브 피스톤의 변위를 실행시키도록 상기 밸브 피스톤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스연방 특허 제633,208호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는 밸브 피스톤에 직접 또는 구동 부재를 거쳐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운동 경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서 변위된다. 상기 구성의 변경 예에 따르면 작동 부재의 피스톤 부재가 상기 구동 부재에 비강제적으로 연결되어 마련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라도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가 따라서 변위되는 경로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경로와 동일하고, 실제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약 5 내지 10㎜이다. 이러한 상황은 여러 가지 점에서 불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에 타격을 가하는 액체 주조 재료의 충돌 또는 충격 하에서 운동하도록 설정된 질량체(즉,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 구동 부재 및 밸브 피스톤)는 운동하는 질량체를 감속함으로써 운동 경로의 끝에서 흡수되어야 하는 운동 경로의 끝에서의 아주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포함한다. 강성 정지 부재는 전체 밸브 조립체의 열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당한 충격 흡수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데, 결과적으로 특히 질량체가 감속되는 동안의 시간 또는 경로가 비교적 짧은 경우 많는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통기밸브의 플런저 피스톤은 예정된 폐쇄 위치에 있을 때까지 연장되는 경로를 양호하게 한정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변위 경로가 감속 과정 중에 아주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증가하면 액체 주조 재료는 상기 밸브 실린더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상기 통기 밸브의 작동은 심하게 교란되거나 또는 심지어는 불가능해진다.
한편, 작동 조립체의 피스톤 부재의 작동 중에, 상기 작동 실린더의 실린더 벽 부분은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에 자유로운 실린더 벽 부분은 피스톤 부재의 작동 행정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작동 실린더를 통과한 액체 주조 재료는 고화된 후에 상기 작동 실린더에 걸릴 수 있는 플러그를 형성한다. 플러그의 길이 때문에 실린더 구멍 밖으로 상기 플러그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며 큰 힘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2짝 주형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으며 작동 조립체의 실린더의 표면은 손상된다. 어떤 경우에라도 특히 액체 주조 재료가 침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 구멍 표면의 급속한 마멸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갖지 않는 다이캐스팅 주형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 픽업 부재에 의하여 흡수된 운동 에너지가 통기 밸브의 폐쇄 작동을 개시시키기에 적절하게 충분한 양까지로 감소시키는 다이캐스팅 주형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통기 통로와, 상기 통기 통로와 연통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주형 통기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통기 밸브 수단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이 마련되는데, 상기 작동 수단은 주조 작업 중에 다이캐스팅 주형 안에 마련된 주조 격실로부터 상기 통기 통로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동력 픽업 부재를 포함한다. 액체 주조 재료가 동력 픽업 부재에 타격을 가할 때 액체 주조 재료로부터 동력 픽업 부재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의 영향하에서 상기 작동 수단은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상기 동력 픽업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개방 위치로부터 그 폐쇄 위치까지 구동될 때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의하여 실행되는 행정 길이의 일부분만으로 제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동 행정을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는 상기 동력 픽업 부재의 상기 작동 행정 이외에도 경로를 따라서 자유롭게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끝으로 상기 작동 부재는 또한 액체 주조 재료에 의하여 동력 픽업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통기 밸브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동력 픽업 부재의 운동 에너지는, 그 작동 행정이 짧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한계 내에 유지될 수 있고, 강성 정지 부재에 의한다 해도 위험이 없어 그리고 고가의 충격 흡수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흡수된다. 동력 픽업 부재에 가해진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하여 운동하도록 설정된 통기 밸브의 폐쇄 부재는 그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자유롭게 변위된다. 이러한 자유 운동 때문에 즉, 동력 픽업 부재와 폐쇄 부재 사이의 비강제적 결합이 액체 주조 재료가 상기 동력 픽업 부재의 자유 전방 표면에 타격을 가한 후에 해제되기 대문에 동력 픽업 부재에 의하여 연장되는 경로의 주 부분은 감속 및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요구되는 감속 수단은 밸브 폐쇄 부재의 작동 행정의 끝에서만 감속될 수 있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체 조립체용의 충격 흡수 수단보다 더 간단할 수 있다. 상기 통기 밸브를 폐쇄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은 증가하지 않으며 1msec의 범위 내에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제안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동력 픽업 부재가 밸브 조립체의 통기 통로와 연통하는 실린더 내에서 변위 가능한 플로팅 피스톤 형태인 경우, 상기 플로팅 피스톤의 작동 행정이 짧기 때문에 상기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상기 실린더 벽 부분의 길이는 아주 짧다. 따라서 상기 플로팅 피스톤의 전방에서 고화된 플러그는 아주 짧으며 2짝 주형을 개방시킬 때에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동력 픽업 부재가 아주 짧은 작동 행정만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동력 픽업 부재로서 다이어프램을 마련할 수 있고, 양호하게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밸브 조립체의 통기 통로의 개구부를 덮는다. 이에 따라서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피스톤 부재와 관련한 모든 있을 수 있는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의 이유로 해서 작동 조립체의 동력 픽업 부재와 통기 밸브를 밸브 조립체의 통기 통로 내의 다른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동력 픽업 부재와 통기 밸브의 가동부 사이의 직접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동력 픽업 부재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 구동기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 판 부재의 주연부는 통기 밸브의 플런저 부재와 확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 판 부재는 밸브 조립체가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에 스프링 부재의 영향하에서 상기 동력 픽업 부재에 대해 놓인다.
상기 작동 수단은 통기 밸브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밸브 폐쇄 부재를 액체 주조 재료에 의해 동력 픽업 부재에 가해져서 전달되는 충격력의 영향하에서 도달하게 되는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는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 밸브 작동에 포함된 부재의 기계적 마멸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부재에는 비강제적으로 결합되고 통기 밸브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통기 밸브는 플런저 부재를 포함하는 피스톤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데, 동력 픽업 부재는 상기 플런저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동력 전달 수단을 실용화하게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해결책이 있을 수 있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동력 픽업 부재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 구동기 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구동기 판 부재의 주연부는 통기 밸브의 플런저 부재와 견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 판 부재는 밸브 조립체가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에 스프링 부재의 영향하에서 동력 픽업 부재에 대해 놓인다. 또 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동력 전달 수단이 통기 밸브의 플런저 부재와 견고하게 맞물리는 선회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회 레버 부재는 밸브 조립체가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에 스프링 부재의 영향하에서 상기 동력 픽업 부재에 대해 놓이는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재는 공압 또는 유압 구동식 작동 피스톤을 갖춘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데, 상기 작동 피스톤은 강성 상호 연결 부재에 의하여 통기 밸브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폐쇄 부재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폐쇄 부재의 작동 실린더에는 노즐 구멍을 구비하며 작동 실린더의 내부로 전방 돌출하는 입구 노즐 부재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노즐 구멍은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 피스톤의 대면하는 전방 표면에 의하여 밀봉되고, 스프링 부재가 작동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어 작동 피스톤을 노즐 구멍에 대해 가압한다.
통기 밸브를 폐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 조립체의 신뢰성 있는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동 부재 작동용의 유압 또는 공압 매체의 압력과, 노즐 구멍의 단면과 이 노즐 구멍을 밀봉하는 작동 실린더의 전방면의 단면 사이의 비와, 상기 노즐 구멍에 대하여 작동 피소톤을 편의시키는 스프링 부재의 사양은, 제어 밸브 부재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입구 노즐 부재 안에 존재하며 작동 피스톤의 전방 표면 부분에 작용하는 유압 또는 공압 매체의 압력이 제어 밸브 부재를 개방하기에는 충분치 않도록 하고 상기 제어 밸브 부재가 기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는 작동 피스톤의 전방 표면의 전 영역에 작용하는 유압 또는 공압 매체의 압력은 작동 피스톤이 통기 밸브 수단을 폐쇄시켜서 그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선택한다.
푸시 부재의 작동 행정은 푸시 부재가 그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구동될 때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의하여 수행된 행정 길이의 약 10분의 1이고, 양호하게는 1㎜ 미만, 보다 양호하게는 0.1㎜의 영역 내에 있는 것이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1)는 후방 하우징 블럭 부분(2)과 전방 평면(5)을 구비한 전방 하우징 블럭 부분(3)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평행 사변형 2짝 하우징 블럭 안에 수용된다. 다시 말해서 밸브 조립체(1)의 하우징 블럭은 분할 평면(4)을 따라서 2개의 부분(2, 3)으로 분할된다. 하우징 블럭(2, 3)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가압하도록 구성된 2개의 주형 부분(6, 7)으로 이루어진 2짝 주형의 주형 부분(6) 안에 마련된 홈에 수용된다. 밸브 조립체(1)의 위치는 상기 주형(6)의 접촉면(8)의 외부 테두리에 있다. 주형 부분(6, 7)은 도면에서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었다. 하우징 블럭(2, 3)의 전방 표면(5)은 주형(6, 7)이 일단 폐쇄되면 이 전방 표면(5)과 접촉 표면(8)이 주형 부분(7)의 접촉면(9)과 밀봉 결합되도록 주형 부분(6)의 접촉면(9)과 같은 평면을 이룬다.
하우징 블럭(2, 3)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 수단에 의해 주형 부분(6)에 고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하우징 블럭 부분(2, 3)은 역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 수단에 의해 서로가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제4도와 관련하여 밸브 조립체(1)의 통기 통로(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형의 주조 격실과 연통하는 통기 통로(10)는 주형 부분(6) 안에 마련되고 또한 접촉면(8)을 향해 개방되는 통기 통로(11)의 연속부를 구성한다.
밸브 조립체(1)의 통기 밸브(12)는 일례로 스위스연방 특허 명세서 제633,208호에 기재된 플런저 밸브로 구성된다. 그 종축은 하우징 블럭(2, 3)의 전방 표면(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통기 밸브(12)는 통기 통로(10)와 연통하는 밸브 실린더(13)와 이 밸브 실린더(13)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밸브 피스톤(14)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피스톤(14)에는 통기 밸브(12)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면 밸브 조립체(1)의 전방 측면에 있는 통기 통로(10) 안으로 뚫고 들어가는 피스톤 헤드(15)가 마련된다. 통기 밸브(12)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피스톤 헤드(15)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실린더(13)의 내부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하우징 블럭 부분(3)의 상부에는 통기 밸브(12)용 출구 통로(16)가 마련되는데, 이 출구 통로(16)에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 펌프의 흡입관이 연결된다. 밸브 피스톤(14)의 후방 원통형 연장 부재(17) 뒤에 위치한 격실(18)은 하우징 블럭 부분(2) 내에서 외기에 연결된 통로(19)와 연통하고 이에 따라 밸브 조립체(1)의 정확한 작동을 감시하기 위한 일례로 감지 수단을 상기 통기 통로(19)에 연결시킬 수 있다.
통기 밸브(12)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른 부재로 이루어진 작동 조립체가 마련된다. 이 작동 조립체의 주 부분은 주형 내의 주조 격실로부터 통기 통로(11)를 통하여 통기 통로(10)로 유동하는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변위 가능한 동력 픽업 수단이다.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은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은 짧은 행정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부재의 형태로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통기 통로(10)와 연통하는 작동 실린더(2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 플로팅 피스톤(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 실린더(21)의 종축은 통기 밸브(12)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에는 하우징 블럭 부분(2)의 후방 벽(23)에 밀접하게 연장된 후방 원통형 연장 부재(22)가 마련된다. 액체 주조 재료가 여전히 통기 통로(11)를 관통하고 플로팅 피스톤(20)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 상기 플로팅 피스톤은 상기 연장 부재(22)가 상기 후방 벽(23)에 대해 맞닿을 때까지 변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행정은 밸브 피스톤(14)의 밀폐 행정의 일부분 만큼의 양, 일례로, 10분의 1로 제한된다.
충돌 충격을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으로부터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기 판(24) 형태의 전동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구동기 판(24)은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에 동축으로 장착되며 허브 부재(25)에 의하여 그것의 연장 부재(22) 상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구동기 판(24)의 축방향 행정은 하우징 블럭 부분(3)에 의해서는 상기 분할 평면(4)에 있는 한측면으로 제한되고 원통형 요홈의 쇼울더(제2도, 26)에 의해서는 상기 하우징 블럭부분(2)의 다른 측면으로 제한된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에는 상기 구동기 판(24)의 중앙에 놓여서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작동 행정 중에 상기 구동기 판과 강하지 않게 맞물리는 칼라(28)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기 판(24)은 그 외주연의 위치(29)에서 상기 밸브 피스톤(14)의 연장 부재(17)내의 요홈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서 상기 밸브 피스톤(14)과 확실하게 결합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1)를 제1도에 도시된 초기 위치 즉, 주조 작업이 종료된 후에 재장착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컵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뱅크(31)를 결합시킨 스프링 조립체(30)가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 뱅크(31)는 상기 하우징 블럭 부분(2)의 구멍 내부에서 고정 압력 판(32)과 가동 압력 판(3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가동 압력판(33)에는 상기 구동기 판(24)의 허브 부재(25)를 헐겁게 둘러싸며 상기 스프링 뱅크(31)의 스프링을 내부에 지지하는 슬리브형 연장 부재(35)가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 뱅크(31)를 편의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블럭 부분(3) 및 상기 구동기 판(24) 내의 대응 구멍 안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 조립체(30)의 가동 압력판(33)에 대해 맞닿는 2개의 푸시 로드(36, 37)가 마련된다. 상기 푸시 로드(36, 37)는 상기 하우징 블럭 부분(3) 밖의 전방면(5) 위로 돌출하며, 2개의 주형 부분(6, 7)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주형이 폐쇄될 때에 상기 접촉 표면(9)에 의하여 밸브 조립체(1)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 조립체(30)가 편의된다.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푸시 로드(36, 37)는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따른 도면에서는 공동 수직 평면에 있도록 도시되었지만, 사실상 상기 로드들은 통기 통로(10)의 성형 및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동 수평 평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작동 조립체는 또한, 상기 밸브 피스톤(14)이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에 의하여 전달된 충돌 충격의 영향하에서 일단 폐쇄 위치에 있게 되면 그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과 작동 결합하는 작동 부재(38)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작동 부재(38)는 상기 밸브 조립체(1)의 임의의 적용례에서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상기 작동부재(38)가 있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여러 가지 적용례에서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38)는 서로가 상기 통기 밸브(12)에 대해 평행 축방향으로 배열된 작동 실린더(39)와 공압 또는 유압 구동식 작동 피스톤(40)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피스톤(40)은 상기 밸브 피스톤(14)과 동일한 방식으로 즉, 상기 구동기 판(24)의 외주연이 상기 위치(29)와 대향하는 위치(41)에서 작동 피스톤(40) 내에 마련된 요홈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구동기 판(24)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40)과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은 강성 상호 결합 링크를 형성하는 구동기 판(24)에 의하여 확실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40)은 스프링 부재(42)의 영향하에 있게 되어 스프링 조립체(30)가 편의된 상태에서 구동기 판(24)을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칼라(28)에 대하여 가압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을 그 개방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작동 피스톤(40) 상에서의 공압 또는 유압 충돌은 일반적으로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밸브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과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40) 사이에는 강성 연결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어 밸브 부재로서 작용하는 포핏 밸브를 마련하여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40)이 밸브 헤드로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실린더(39)에는 실린더 격실 안으로 전방 돌출하는 입구 노즐(43)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 실린더(39)는 스프링 부재(42)의 영향하에 있는 대면하는 전방 표면과 함께 노즐 구멍(44)을 밀봉시킨다. 유압 및 공압 압력 매체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따르면 입구 개구부(제2도 및 제3도, 45)를 거치고 상기 하우징 블럭 부분(2)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46, 47, 48)를 거치고 상기 하우징 블럭 부분(3)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49, 50, 51)를 거쳐서 입구 노즐로 공급된다.
상기 작동 부재(38)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압력 매체의 압력과, 상기 입구 노즐(43)의 자유 횡단면적과 상기 작동 실린더(39)의 횡단면적 사이의 관계와, 상기 작동 실린더(39)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42)의 사양은, 제어밸브(40, 43)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입구 노즐(43) 안에 존재하며 상기 작동 피스톤(40)의 전방 표면 상에 충돌하는 유압 또는 공압 압력 매체의 압력이 상기 제어 밸브(40, 43)를 개방하기에 충분하지는 않도록 선택되지만, 이와 동시에 상기 압력이 제어 밸브가 기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 피스톤(40)이 상기 작동 밸브(40)의 전체 전방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해 통기 밸브(12)를 밀폐시켜서 그 밀폐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게 하기에는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1)의 통기 통로(10)는, 복수의 통로 분기부(52 내지 59)와, 본질적으로는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주조 재료의 유동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는 덩어리들을 수집하고 상기 플로팅 피스톤(20) 상에 작용하는 충격 압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액체 주조 재료가 상기 통기 밸브(12)로 유동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작용하는 격실(60 내지 62)을 포함한다. 상기 통기 통로(10)의 입구에 위치한 수집 격실(60)로부터 2개의 통로 분기부(52, 53)가 상기 영역 및 상기 푸시 부재의 작동 실린더(21)의 전방에 위치한 확장 부분(63)에 연결된다. 이 확장 부분(63)으로부터 그 다음의 통로 분기부(54, 55)가 각각 지연 격실(61, 62)로 연결된다. 상기 지연 격실로부터 또 다른 통로 분기부(56, 58 및 57, 59)가 각각 상기 영역 및 상기 통기 밸브(12)의 전방에 위치한 또 다른 확장부(64)에 연결된다.
제5도는 개시 위치에 있는 밸브 조립체(1)를 도시하고 있다. 다이캐스팅 주형은 폐쇄되어 있다. 즉, 주형 부분(7)의 접촉 표면(9)은, 상기 주형 부분(6)의 접촉 표면(8)과, 상기 밸브 조립체(1)의 전방 표면(5)과 각각 밀봉 접촉한다. 상기 다이캐스팅 주형의 폐쇄로 인해 상기 스프링 조립체(30)는 푸시 로드(36, 37)의 영향하에서 편의된다. 상기 통기 밸브(12)는 작동 부재(38)의 스프링 부재(42)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전히 그것의 개방 위치에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주형의 주조 격실 밖으로 빠져나온 공기는 상기 다이캐스팅 주형의 통기 통로(11)를 거치고 상기 밸브 조립체(1)의 통기 통로(10)를 거치고 개방된 통기 밸브(12)를 거쳐서 출구 통로(16)를 통하여 화살표(65, 66)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38)의 제어 밸브(40, 43)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주조 작업의 종료 시에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조격실 밖으로 그 통기 통로(11)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액체 주조 재료는 상기 밸브 조립체(1)의 통기 통로(10)를 통과하고 상기 통로 분기부(제4도, 52, 53)를 통하여 작동 조립체의 플로팅 피스톤(20)으로 유동한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전방 표면에 타격을 가하는 액체 주조 재료의 높은 충격 하에서는,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은 하우징 블럭 부분(2)의 후방벽(23)에 있는 연장 부재(22)의 정지 부재를 향하여 갑작스럽게 변위된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에 마련된 칼라(28)는 상기 충격을 상기 구동기 판(24)에 전달하는데, 상기 구동기 판은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에 의하여 중계된 운동 에너지의 영향하에서 플로팅 피스톤(20)이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칼라(28)로부터 해제된다. 그 다음 상기 구동기 판(24)은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 및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38)과 함께 상기 작동 부재(38)의 스프링 부재(42)의 힘에 대항하여 더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서 통기 밸브(12)는 그것의 밸브 피스톤(14)이 상기 밸브 실린더(13)의 내부로 변위되기 때문에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통기 밸브(12)의 폐쇄 운동은, 상기 작동 피스톤(40)의 전방 표면이 일단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충격의 영향하에서 변위되기만 하면 상기 노즐(43)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 격실(39) 안으로 들어가는 압력 매체에 완전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4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폐쇄 방향(제1도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힘은 상기 구동기판(24)에 의해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으로 전달된다.
제6도는 상기 주형의 주조 격실로부터 통기 통로(10)를 통하는 나오는 액체 주조 재료(67)가 상기 플로팅 피스톤 영역의 확장 부분(63)에 도달하고 그 바로 직후(일례로, 1msec 미만이 지난 후)에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 영역의 확장 부분(64)에도 도달할 때의 밸브 조립체(1)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짧은 시간 동안에 즉, 액체 주조 재료가 또한 상기 밸브 피스톤(14) 영역에 있는 확장 부분(64)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통기 밸브(12)는 이미 폐쇄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밸브 피스톤(14)은 바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그것의 최종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상기 통로(56 내지 59)를 통하여 상기 확장 부분(64)으로 유동하는 액체 주조 재료는 상기 통기 밸브(12)의 내부 및 출구 통로(16)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작동 조립체의 변위 경로의 단부는 상기 구동기 판(24)이 상기 편의된 스프링 조립체(30)의 가동 압력 판(33)에 대해 타격을 가하자마자 도달한다. 여전히 가압 하에 있는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실린더(40)에 의하여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은 상기 구동기 판(24)의 도움에 의해 그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주조 재료(67)는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실린더(21) 및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은 짧은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통기 밸브(12)의 실린더(13)를 아주 제한된 양 만큼만 통과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통로(10)의 밖에 있는 고화 주조 재료의 제거가 곤란하지 않다.
다이캐스팅 주형을 개방할 때 즉, 2개의 주형 부분(6, 7)을 서로 분할할 때에 상기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푸시 로드(36, 37)가 상기 주형 부분(7)의 접촉 표면(9)에 의하여 그것의 이전의 위치에 더 이상 고정되지 않게 되므로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편의된 스프링 뱅크(31)의 영향하에서 상기 스프링 조립체(30)는 상기 구동기 판(24) 및 이와 함께 상기 통기 밸브(12)의 밸브 피스톤(14)과 또한 상기 작동 부재(38)의 작동 피스톤(40) 및 최종적으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후퇴한 플로팅 피스톤(20)을 밀어낸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밸브 피스톤(14)의 헤드(15)와 상기 플로팅 피스톤(20)의 전방 표면은 상기 고화 주조 재료의 부분을 상기 확장 부분(63, 64) 밖으로 밀어내고 이 결과 상기 통기 통로(10) 내의 주조 재료의 전체 고화 부분이 상기 통기 통로로부터 제거된다. 더욱이 상기 작동부재(38)의 작동용의 제어 밸브(40, 43)도 또한 다시 폐쇄된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약간 다른 형상이 약간 작은 크기로 도시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따른 상기 밸브 조립체(71)도 역시 직사각형의 평행사변형 하우징 블럭(72, 73) 내에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 블럭은 분할 평면(74)을 따라서 후방 하우징 블럭 부분(72)과 평면 전방 표면(75)을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 블럭 부분(73)으로 분할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밸브 조립체(71)는 (도시되지 않은) 다부품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형 부분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출구 통로(79)와 연통하며 통기 통로(77)에 연결되는 밸브 실린더(78)와 플런저 헤드(81)를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플런저(80)를 포함하는 피스톤 밸브를 통기 밸브(72)로서 동일한 방식으로 포함한다. 푸시 부재로서, 전방 표면이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플로팅 피스톤(82)이 마련된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은 작동 실린더(83)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그 행정은 상기 작동 실린더(83) 내에 마련된 쇼울더(84)에 의하여 제한되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82)의 후방 단부에는 푸시 로드 헤드(86)와 결합된 푸시 로드 확장부(85)가 마련되는데, 상기 푸시 로드 헤드(86)는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 부분(72)의 홈 안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 부분(73)의 분할 평면(74)에 대해서는 비작동 위치에 놓인다. 작동 부재(88)는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작동 부재(38)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90)에 의하여 편의되는 작동 피스톤(91)과 함께 작동 실린더(89)를 포함한다. 휴지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90)는 상기 작동 피스톤(91)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우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작동 피스톤(91)은 통로(92)를 거쳐서 입구 노즐(93)을 통하여 상기 작동 실린더(89) 안으로 가압되는 유압 또는 공압 압력 매체에 노출된다. 상기 조립체가 그 휴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작동 피스톤(91) 상의 전방측 연장 부재(94)는 휴지 위치에 놓이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노즐(93)과 함께 상기 작동 피스톤(91)의 공압 또는 유압 작동용의 제어 밸브를 형성한다.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고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구성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로팅 피스톤(82) 상에 적용된 충격력이 상기 통기 밸브(76)의 밸브 피스톤(80) 및 상기 작동 부재(88)의 작동 피스톤(82)으로 직선 변위 가능한 전동 부재(구동기 판(24))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하우징 블럭 부분(72)의 홈(87) 내에 위치하며 관절 헤드 부재(96)에 의해 선회 축(97)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선회 레버(95)에 의해서 전달된다. 선회 레버(95)는 통기 밸브(76)의 밸브 피스톤(80)의 후방 연장 부재(98) 및 상기 작동 부재(88)의 작동 피스톤(91)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선회 레버(95)는 상기 연장 부재(98) 및 상기 작동 피스톤(91) 상에 각각 마련된 주연부 홈(100, 101)과 각각 측방으로 맞물린 한 단부의 포크형 형상과 그 자유 단부의 2개의 아암(99)을 구비한다(제8도 참조). 상기 선회 레버(95)의 선회 운동의 관점에서 상기 맞물림은 상기 아암(99)과 각각의 홈(100, 101) 사이에 간극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제7도 및 제8도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작동 모드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작동 모드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플로팅 피스톤(82)이 상기 통기 통로(77)를 빠져나와 도달하는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경우 아주 제한된 행정만을 수행하는 플로팅 피스톤은 상기 선회 레버(95)를 밖으로 움직이게 하고, 그 결과 통기 밸브(72)가 폐쇄되고 상기 작동 부재(88)에 의해 그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제9도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따른 실시예의 변경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8도에 따른 플로팅 피스톤(82) 대신에 푸시 부재로서 다이어프램 부재(102)가 마련되는데, 상기 다이어프램 부재(102)는 상기 밸브 조립체(71)의 전방 표면(75)에 있는 통기 통로의 입구(100)를 덮고 환형 너트(104)에 의해 하우징 블럭 부분(73)에 연결된다. 상기 선회 레버(95)와 협동하는 푸시 로드 헤드(86)가 마련된 푸시 로드 부재(85)는 일례로 상기 다이어프램 부재(102)까지 연장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부재(102) 바로 뒤의 하우징 블럭 부분(73)에는 약간 원추형인 정지부 표면(105)이 마련되는데, 상기 정지 표면은 상기 다이어프램 부재(102)의 행정을 상기 밸브 피스톤(제7도, 80)에 의해 통과하는 행정의 아주 작은 부분 만큼의 정도로 제한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따른 실시예의 플로팅 피스톤(20) 대신에도 역시 상기 다이어프램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8)
- 통기 통로 수단과, 이 통기 통로 수단과 연통하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밸브 수단과,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수단은, 주조 작업중에 다이캐스팅 주형 안에 마련된 주조 격실로부터 상기 통기 통로 수단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액체 주조 재료에 노출되는 동력 픽업 수단을 포함하며, 액체 주조 재료가 동력 픽업 수단에 타격을 가할 때 액체 주조 재료로부터 동력 픽업 수단으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의 영향하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은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다이캐스팅 주형 통기용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은 개방 위치로부터 그 폐쇄 위치로까지 구동될 때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의하여 실행되는 행정 길이의 일부분만으로 제한되는 길이를 가지는 작동 행정을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는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의 상기 작동 행정 이외에도 경로를 따라서 자유롭게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 부재는 또한 액체 주조 재료에 의하여 동력 픽업 수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밸브 폐쇄 부재를 액체주조 재료에 의해 동력 픽업 수단에 가해져서 전달되는 전달되는 충격력의 영향하에서 도달하게 되는 폐쇄 위치에 유치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이 상기 통기 통로 수단과 연통하는 작동 실린더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플로팅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이 상기 통기 통로 수단의 입구를 덮는 다이어프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이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부재에는 비강제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의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는 견고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은, 플런저 부재를 포함하는 피스톤 밸브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동력 픽업 수단이 플런저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동력 픽업 수단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 구동기 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 판 부재의 주연부는 통기 밸브 수단의 상기 플런저 부재와 견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 판 부재는 밸브 조립체가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에 스프링 부재의 영향하에서 동력 픽업 수단에 대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이 통기 밸브 수단의 상기 플런저 부재와 견고하게 맞물리는 선회 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 레버 부재는 상기 밸브 조립체가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에 스프링 부재의 영향하에서 상기 동력 픽업 수단에 대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공압 또는 유압 구동식 작동 피스톤을 갖춘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피스톤은 강성 상호 연결 부재에 의하여 통기 밸브 수단의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폐쇄 부재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상기 작동 실린더가 상기 동력 픽업 수단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이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폐쇄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상기 작동 피스톤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밸브 수단의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폐쇄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 피스톤이 직경 방향의 대향 측면에서 상기 구동기 판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상기 작동 피스톤이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의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밀폐 부재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 밸브 부재를 거쳐서 유압 또는 공압식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부재가 포핏 밸브이고,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 피스톤이 상기 포핏 밸브의 밸브 헤드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폐쇄 부재의 작동 실린더에는 노즐 구멍을 구비하며 작동 실린더의 내부로 전방 돌출하는 입구 노즐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 구멍은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 피스톤의 대면하는 전방 표면에 의하여 밀봉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을 상기 노즐 구멍에 대해 가압하기 위하여 스프링 부재가 작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용의 유압 또는 공압 매체의 압력과, 상기 노즐 구멍의 단면과 이 노즐 구멍을 밀봉하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전방면의 단면 사이의 비와, 상기 노즐 구멍에 대하여 상기 작동 피스톤을 편의시키는 스프링 부재의 사양은, 제어 밸브 부재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입구 노즐 부재 안에 존재하며 상기 작동 피스톤의 전방 표면 부분에 작용하는 유압 또는 공압 매체의 압력이 상기 제어 밸브 부재를 개방하기에는 충분치 않도록 하고 상기 제어 밸브 부재가 기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는 작동 피스톤의 전방 표면의 전 영역에 작용하는 유압 또는 공압 매체의 압력은 작동 피스톤이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을 폐쇄시켜서 그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의 작동 행정은 푸시 부재가 그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구동될 때에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폐쇄 부재에 의하여 수행된 행정 길이의 10분의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의 상기 작동 행정은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의 상기 작동 행정은 0.1㎜ 영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P4302798.9 | 1993-02-02 | ||
DE4302798A DE4302798C1 (de) | 1993-02-02 | 1993-02-02 | Ventileinrichtung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
US8/189,940 | 1994-02-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4712A KR950024712A (ko) | 1995-09-15 |
KR100306452B1 true KR100306452B1 (ko) | 2001-11-30 |
Family
ID=647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1805A KR100306452B1 (ko) | 1993-02-02 | 1994-02-01 | 다이캐스팅 주형의 통기용 밸브 조립체 |
Country Status (20)
Country | Link |
---|---|
US (1) | US5488985A (ko) |
EP (1) | EP0612573B1 (ko) |
JP (1) | JP3284727B2 (ko) |
KR (1) | KR100306452B1 (ko) |
CN (1) | CN1054792C (ko) |
AT (1) | ATE163584T1 (ko) |
AU (1) | AU674903B2 (ko) |
CA (1) | CA2114581C (ko) |
CZ (1) | CZ284138B6 (ko) |
DE (2) | DE4302798C1 (ko) |
DK (1) | DK0612573T3 (ko) |
ES (1) | ES2114671T3 (ko) |
FI (1) | FI100951B (ko) |
HK (1) | HK1003593A1 (ko) |
HU (1) | HU216702B (ko) |
IL (1) | IL108454A (ko) |
LV (1) | LV12087B (ko) |
PL (1) | PL178221B1 (ko) |
RU (1) | RU2082546C1 (ko) |
TW (1) | TW235256B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756B1 (ko) * | 2006-12-21 | 2007-12-05 | 주식회사 포스코 | 유량 조절기가 설치된 냉간압연용 형상제어장치 |
KR101551967B1 (ko) | 2013-12-26 | 2015-09-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고효율 고진공 다이캐스팅 장치 |
KR20200031462A (ko) | 2018-09-14 | 2020-03-24 | 주식회사 상익기공 | 다이캐스팅금형의 가스배출장치용 벤트밸브 |
KR20220102815A (ko) * | 2021-01-14 | 2022-07-21 | (주)세아메카닉스 |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진공블럭 검사장치 |
KR20230152984A (ko) | 2022-04-28 | 2023-11-06 | 캐스트테크(주) | 다이캐스팅용 진공밸브블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430268C (en) * | 1991-06-27 | 2007-05-22 | Unicast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die casting fluid in a die casting machine |
ATE240808T1 (de) * | 1998-02-11 | 2003-06-15 | V D S Vacuum Diecasting Servic | Ventilvorrichtung, insbesondere entlüftungsventil-vorrichtung für den druckguss |
EP0937524A1 (de) * | 1998-02-19 | 1999-08-25 | Fondarex S.A. | Verfahren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sowie Ventil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EP1018384B1 (de) * | 1999-01-06 | 2003-08-13 | Fondarex S.A. | Ventileinrichtung |
IT1309221B1 (it) * | 1999-07-02 | 2002-01-16 | Edoardo Bresciani | Valvola di aspirazione per scaricare aria e gas dagli stampi per lapressofusione |
IT250560Y1 (it) * | 2000-08-24 | 2003-09-24 | Bresciani Edoardo | Compensatore per la chiusura forzata di valvole di aspirazione instampi per la pressofusione |
TW579311B (en) * | 2000-09-22 | 2004-03-11 | V D S Vacuum Diecasting Servic | Diecasting valve |
EP1266707A1 (de) * | 2001-06-13 | 2002-12-18 |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 Vakuumventil für eine Druckgiessmaschine |
DE50208528D1 (de) * | 2001-09-21 | 2006-12-07 | Fondarex Sa | Entlüftungsventileinrichtung für Giessformen |
DE10327108B4 (de) * | 2003-06-13 | 2007-10-18 | Bernd Radke | Ventil mit Tellerfeder |
BRPI0406493A (pt) * | 2004-12-30 | 2006-09-05 | Unilever Nv | dispositivo, equipamento e processo de fabricação de artigo de limpeza com uma massa fluìda e possuindo formas complexas e uso do artigo de limpeza |
TWI296564B (en) * | 2005-07-29 | 2008-05-11 | Delta Electronics Inc | Gas exhausting and entering structure |
DE102005039431B3 (de) * | 2005-08-18 | 2007-01-25 | InterGuss Gießereiprodukte GmbH |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der Strömungsgeschwindigkeit im Bereich eines Entlüftungskanals einer Gussform |
CH700743A1 (de) | 2009-04-06 | 2010-10-15 | Fondarex Sa |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Giessvorrichtungen. |
JP2012152779A (ja) * | 2011-01-25 | 2012-08-16 | Ryobi Ltd | ダイカスト用金型及びダイカスト法 |
EP2388088A1 (de) * | 2010-05-18 | 2011-11-23 | Georg Fischer Verwaltungs-GmbH | Druckgussformteil einer Druckgussform sowie entsprechende Druckgusseinrichtung |
CH705077B1 (fr) | 2011-06-09 | 2016-01-29 | V D S Vacuum Diecasting Service S A | Dispositif de vanne pour l'évacuation d'air d'un moule. |
TWI473678B (zh) * | 2012-03-07 | 2015-02-21 | Univ Nat Taiwan Ocean | 閥門結構 |
CH710347B1 (de) * | 2014-11-07 | 2018-05-31 | Fondarex Sa | Ventileinrichtung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
KR101527788B1 (ko) * | 2015-04-08 | 2015-06-12 | 캐스트테크(주) | 다이캐스팅 금형 통기를 위한 일원화된 구조의 밸브 조립체 |
CN107321956B (zh) * | 2016-04-29 | 2019-06-11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压铸模具真空阀 |
CN106704619A (zh) * | 2017-02-23 | 2017-05-24 | 广州市型腔模具制造有限公司 | 气动真空阀 |
CH713574A1 (de) * | 2017-03-16 | 2018-09-28 | Fondarex Sa | Ventileinrichtung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
CN107345574B (zh) * | 2017-07-31 | 2023-07-25 | 上海皮尔博格有色零部件有限公司 | 一种压铸模具的型腔排气系统 |
CN108253181A (zh) * | 2018-01-12 | 2018-07-06 | 江苏远洋阀门智控股份有限公司 | 一种真空截止阀 |
CN108311658A (zh) * | 2018-02-08 | 2018-07-24 | 山东弗泽瑞金属科技有限公司 | 真空低速压铸方法 |
JP7068880B2 (ja) * | 2018-03-26 | 2022-05-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減圧遮断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CN108480596B (zh) * | 2018-05-22 | 2020-03-31 | 宁波北仑益鸣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 一种用于压铸模具的真空阀抽气装置 |
CN112959622B (zh) * | 2021-02-07 | 2022-11-18 | 杭州乐创塑业有限公司 | 一种塑料用品注塑模具 |
CN113103516B (zh) * | 2021-04-13 | 2022-06-28 | 台州市黄岩云天模塑有限公司 | 一种便于排气的注塑模具 |
DE102022114043A1 (de) | 2022-06-02 | 2023-12-07 | Fondarex Sa |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s Vakuumventils an einer Kavität eines Gießwerkzeug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325226B (de) * | 1972-10-05 | 1975-10-10 | Hodler Fritz Ing | Giessvorrichtung für metall oder kunststoff |
CH547138A (de) * | 1972-10-05 | 1974-03-29 | Hodler Fritz | Entlueftungsventil zum schliessen des entlueftungskanals von giessformen. |
DE2429920B2 (de) * | 1974-06-21 | 1976-12-02 | Hodler, Fritz, Territet, Vaud (Schweiz) | Vorrichtung zur daempfung von in einer druckgiessform aufgrund von druckstoessen des giessmetalls auftretenden druckkraeften |
DE2433139C3 (de) * | 1974-07-10 | 1978-03-30 | Karl Schmidt Gmbh, 7107 Neckarsulm | Vorrichtung zum Entlüften von Gießformen an Druckgießmaschinen |
DE2751431C2 (de) * | 1977-11-17 | 1986-03-06 | Fritz Territet Vaud Hodler | Entlüftungsventil für Druckgießformen |
CA1154931A (en) * | 1979-10-18 | 1983-10-11 | William E. Thompson | Gas vent accessory for die casting machine |
DE3505554A1 (de) * | 1983-08-17 | 1986-08-21 | Ortwin Prof. Dr.-Ing. Hahn |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druckgiessmaschine |
JPS61266168A (ja) * | 1985-05-20 | 1986-11-25 | Toshiba Mach Co Ltd | 金型の排気弁 |
JPS6393462A (ja) * | 1986-05-14 | 1988-04-23 | Ryobi Ltd | 射出成形機におけるガス抜き装置 |
US4722385A (en) * | 1986-03-14 | 1988-02-02 | Ryobi Ltd. | Deflator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
JPS63256252A (ja) * | 1987-04-10 | 1988-10-24 | Aisan Ind Co Ltd | 金型のガス抜き装置 |
US4787436A (en) * | 1987-06-05 | 1988-11-29 |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 Gas venting device for molding operations |
-
1993
- 1993-02-02 DE DE4302798A patent/DE4302798C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01-11 AT AT94810013T patent/ATE163584T1/de active
- 1994-01-11 ES ES94810013T patent/ES2114671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1-11 DE DE59405330T patent/DE59405330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1-11 EP EP94810013A patent/EP0612573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1-11 DK DK94810013T patent/DK0612573T3/da active
- 1994-01-17 HU HU9400127A patent/HU216702B/h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1-24 CZ CZ94147A patent/CZ284138B6/cs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1-27 IL IL10845494A patent/IL10845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1-28 RU RU9494002333A patent/RU2082546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1-31 PL PL94302100A patent/PL178221B1/pl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1-31 FI FI940460A patent/FI100951B/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1-31 CA CA002114581A patent/CA211458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2-01 KR KR1019940001805A patent/KR1003064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2-02 AU AU54842/94A patent/AU674903B2/en not_active Ceased
- 1994-02-02 US US08/190,275 patent/US548898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2-02 JP JP01099894A patent/JP3284727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2-02 CN CN94102617A patent/CN1054792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2-03 TW TW083100989A patent/TW23525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03-28 HK HK98102665A patent/HK1003593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4-06 LV LVP-98-65A patent/LV12087B/lv unkno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756B1 (ko) * | 2006-12-21 | 2007-12-05 | 주식회사 포스코 | 유량 조절기가 설치된 냉간압연용 형상제어장치 |
KR101551967B1 (ko) | 2013-12-26 | 2015-09-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고효율 고진공 다이캐스팅 장치 |
KR20200031462A (ko) | 2018-09-14 | 2020-03-24 | 주식회사 상익기공 | 다이캐스팅금형의 가스배출장치용 벤트밸브 |
KR20220102815A (ko) * | 2021-01-14 | 2022-07-21 | (주)세아메카닉스 |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진공블럭 검사장치 |
KR102453483B1 (ko) * | 2021-01-14 | 2022-10-12 | (주)세아메카닉스 |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진공블럭 검사장치 |
KR20230152984A (ko) | 2022-04-28 | 2023-11-06 | 캐스트테크(주) | 다이캐스팅용 진공밸브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U216702B (hu) | 1999-08-30 |
ATE163584T1 (de) | 1998-03-15 |
IL108454A (en) | 1996-12-05 |
TW235256B (ko) | 1994-12-01 |
FI940460A0 (fi) | 1994-01-31 |
LV12087A (lv) | 1998-07-20 |
PL178221B1 (pl) | 2000-03-31 |
AU5484294A (en) | 1994-08-04 |
CZ14794A3 (en) | 1994-08-17 |
HU9400127D0 (en) | 1994-05-30 |
CA2114581C (en) | 2001-07-03 |
DE59405330D1 (de) | 1998-04-09 |
CN1095000A (zh) | 1994-11-16 |
EP0612573A3 (de) | 1995-02-22 |
FI940460A (fi) | 1994-08-03 |
AU674903B2 (en) | 1997-01-16 |
CA2114581A1 (en) | 1994-08-03 |
ES2114671T3 (es) | 1998-06-01 |
EP0612573B1 (de) | 1998-03-04 |
KR950024712A (ko) | 1995-09-15 |
CZ284138B6 (cs) | 1998-08-12 |
DK0612573T3 (da) | 1998-09-28 |
JP3284727B2 (ja) | 2002-05-20 |
HK1003593A1 (en) | 1998-10-30 |
EP0612573A2 (de) | 1994-08-31 |
CN1054792C (zh) | 2000-07-26 |
HUT66978A (en) | 1995-01-30 |
PL302100A1 (en) | 1994-08-08 |
US5488985A (en) | 1996-02-06 |
IL108454A0 (en) | 1994-04-12 |
FI100951B (fi) | 1998-03-31 |
RU2082546C1 (ru) | 1997-06-27 |
JPH06277818A (ja) | 1994-10-04 |
DE4302798C1 (de) | 1994-06-16 |
LV12087B (lv) | 1998-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06452B1 (ko) | 다이캐스팅 주형의 통기용 밸브 조립체 | |
US629890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a diecasting mould of a diecasing machine | |
JPH0380576B2 (ko) | ||
JPS603977B2 (ja) | プラスチツク射出成形機用型締め装置 | |
KR20030025799A (ko) | 주형용 통기 밸브 조립체 | |
GB2049850A (en) | Hydraulic brake pressure boosters | |
US4691755A (en) | Degassing apparatus for a metal mold | |
US6158495A (en) | Venting valve device for die casting | |
JPH05177643A (ja) | 成形機の型締装置 | |
KR20180106901A (ko) | 다이캐스팅 몰드 배기용 밸브 장치 | |
JP2877977B2 (ja) | 液圧式打撃機構 | |
EP0428406B1 (en) | Reciprocating actuator | |
JPS6082262A (ja) | 金型用ガス抜き装置 | |
JP2000202609A (ja) | ダイキャスト金型のガス抜き用弁装置 | |
LT4520B (lt) | Vožtuvo mazgas liejimo spaudimu formų vėdinimui | |
KR920002404B1 (ko) | 성형 작업용 가스 배출 장치 | |
SI9700244A (sl) | Ventilski sklop za odzračevanje kalupov tlačnega liva | |
JP3196144B2 (ja) | 射出成形機等の型締装置 | |
US4313334A (en) | Striker starting mechanism of hydrodynamic unit | |
JP2004514584A (ja) | 自動車用の作動を改良した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 | |
GB2069390A (en) | Striker starting mechanism for hydrodynamic units | |
SU1574356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акуумировани пресс-форм ли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 |
JPH0316219B2 (ko) | ||
JPH0238062B2 (ja) | Kanagatayogasunukisochi | |
JPH0351113A (ja) | 射出圧縮成形金型のゲートシー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