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220B1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06220B1 KR100306220B1 KR1019940032700A KR19940032700A KR100306220B1 KR 100306220 B1 KR100306220 B1 KR 100306220B1 KR 1019940032700 A KR1019940032700 A KR 1019940032700A KR 19940032700 A KR19940032700 A KR 19940032700A KR 100306220 B1 KR100306220 B1 KR 1003062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ice body
- rotary arm
- attached
- arm
- front pan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카오디오기와 같은 전자장치는 기기본체에 부착되고 그 전면에 구성된 여러개의 작동보턴을 가지는 컨솔운닛과 상기 컨솔유닛을 상기 기기본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장치를 가지고 있다. 부착장치는 암과 홀더와 제 1및 제 2스프링을 가진다. 암은 컨솔유닛이 기기본체로 부착되고 이탈되는 방향으호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암은 그 일부에 제공된 이탈조작부를 가진다. 홀더는 암의 선단에 암과 마주보며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홀더는 컨솔유닛을 유지하기위해 컨솔유닛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1체결부와 기기본체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2체결부를 포함한다. 제 1스프링은 컨솔유닛에 컨솔유닛이 앞으로 밀려지는 방향으로 편기력을 가한다. 제 2스프링은 제 1스프링보다 스프링 힘이 작고, 홀더에 컨솔유닛이 앞으로 밀려지는 방향으로 편기력을 가한다. 제 1스프링힘과 제 2스프링힘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컨솔유닛이 기기본체에 부착되어 있을때는 컨솔유닛을 유지하기 위해서 홀더의 제 2체결부가 기기본체의 체결부와 체결되고 암의 이탈조작부재가 눌려겼을 때는 홀더의 제 2체결부가 기기본체의 체결부으로 부터 이탈되어 컨솔유닛을 기기본체로 부터 이탈시키도록 부착장치는 구성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가 장착된 카오디오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프론트패널이 제거된 카오디오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4도는 프론트패널이 부착된 착탈장치를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제5도는 착탈장치로부터 프론트패널을 이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6도는 착탈장치로 부터 프론트패널을 이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7도는 착탈장치에 프론트패널을 장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8도는 착탈장치에 프론트패널을 장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9도는 착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0(a)도 와 제10(b)도는 프론트패널의 이탈보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오디오기기 2 : 기기본체
3 : 조작부(프론트패널) 15 : 부착지지판
17 : 암 19 : 이탈조작부
22 : 제 1스프링부재 27 : 홀더
30 : 결합오목부 32 : 체결돌출부
33 : 제2체결부 34 : 제 2스프링부재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계된 것이고 특히, 전자장치의 컨솔유닛이 기기본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카세트 플레이어나 CD(콤팩트디스크), 튜너등의 카오디오기기가 일반화되어 있다.
최근의 이러한 카오디오기기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나있는 동안 카오디오기기를 도난당한다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오디오기기는 기기본체와 컨솔유닛(조작부)으로 구성되고, 전자장치를 작동시키는 여러개의 작동보턴을 가지는 컨솔유닛은 이탈가능하게 기기본체에 부착된다.
운전자가 차를 떠날때 운전자는 조작부(이하 프론트패널(3)로 설명함)를 떼어서 가져간다. 기기본체는 컨솔유닛 없이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기본체가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가능한 컨솔유닛을 가지는 카오디오기기는 컨솔유닛을 기기본체에 착탈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제공되었다(잎본특허 공개번호 5-149308(JP-A-O5 149309)).
그러나 일본특허 공개번호 5-149308에서 공개된 카오디오기기의 착탈장치는 기기본체로 부터 컨솔유닛을 이탈시키는 이탈장치부분과 컨솔유닛이 이탈 되었을 때 컨솔유닛을 돌출시키는 팝업(pop-up)장치부분이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탈장치부분과 팝업장치부분이 분리되어 구성되어서 착탈장치가 구성에 있어서 복잡해지고 부속품의 수가 늘어나 장치가 비싸지게 만든다. 부속품의 수가 증가할수록 대체로 크기가 커진다. 장치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이 착탈장치에서는 컨솔유닛이 기기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컨솔유닛이 항상 스프링부재에 의해 부하가 걸리게 되어 차안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컨솔 유닛이 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기기본체와 컨솔유닛과 부착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컨솔유닛은 기기본체에 제공되고 그 표면에 여러개의 작동보턴을 가지고 그 뒷면에는 체결부를 가진다. 컨솔유닛은 전기적으로 기기본체와 체결된다. 부착장치는 기기본체에 제공되고 컨솔유닛을 기기본체에 이탈가능하도록 부착시킨다. 부착장치는 기기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컨솔유닛이 열려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제 1회전암(arm)과 제 1회전암의 자유말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컨솔유닛이 열려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제 2회전암을 가지고 있다. 제1회전암은 컨솔유닛이 기기본처로 부터 이탈되었을 때 작동되는 이탈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제 2회전암은 컨솔유넛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1체결부와 컨솔유닛이 기기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기기본체에서 컨솔유닛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에 컨솔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기기본체와 체결되는 제 2체결부를 포함한다. 컨솔유닛이 이탈되었을 때 부착장치의 제 1회전암은 제 1회전암의 이탈조작부재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제 1회전암이 회전하면 그로인해 부착장치의 제 2회전암이 제 2회전암의 제 2체결부가 기기본체로 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회전암은 컨솔유닛이 기기본체로 부터 이탈되도록 컨솔유닛을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장치가 더 적은 부속품의 수로 만들어 질 수 있어서 부착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솔유닛이 기기본체에 부착될 때 컨솔유닛에 부하가 걸리지 않아 컨솔유닛이 기기본체에 만족스럽게 착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하겠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카오디오기기가 보기삼아 전자장치로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서 부호(1)은 카세트플레이어와 같은 자동차의 내부에 부착된 카오디오 기기(1)를 나타낸다. 카오디오기기(1)는 기기본체(2)와 프론트패널(3)로 구성된다.
프론트패널(3)은 그전면에 기기본체(2)를 작동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작동보턴(4)과 동작상태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유닛(5)을 가지고 있다. 프론트패널(3)은 또한 기기본체(2)의 카세트삽입구(6)에 상응하는 개구부(7)를 가지고 있다.
프론트패널(3)은 전면에 제공된 이탈보턴(8)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이탈보턴(8)을 누르면 사용자는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기기본체(2)로 부터 프론트패널(3)을 분리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3)은 그 뒷면에 제공된 복수의 접속단자(9)를 가지고 있다. 기기본체(2)는 프론트패널(3)의 접속단자(9)에 상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10)을 가지고 있다.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될 때 프론트패널(3)의 접속단자(9)와 기기본체(2)의 접속단자(10)가 접속되어 프론트패널(3)과 기기본체(2)를 전기적으로 체결시킨다.
기기본체(2)는 프론트패널(3)을 체결하기 위하여 그 전면에 제공된 프레임바디(2a)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바디(2a)는 오른쪽 내면에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재(11, 11)를 가지고 있다. 프론트패널(3)은 그 오른쪽 표면에 돌출부재(11, 11)에 상응하는 체결부(12, 12)를 가지고 있다.
체결부(12, 12)가 돌출부재(11, 11)와 체결된 상태에서는 프론트패널(3)이 체결부(12, 12) 주위를 회전하게 되고,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되어서 기기본체(2)의 프레임바디(2a)에 체결된다.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의 프레임바디(2a)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에 제공된 착탈장치(14)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사용자가 프론트패널(3)의 이탈보턴(8)을 누르면 후술하는 바와같이 착탈장치(14)는 프론트패널(3)을 이탈시키며, 따라서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로 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패널(3)을 기기본체(2)로 부터 착탈시키는 착탈장치(14)를 제3도에서 부터 제8도까지를 참조하며 설명하겠다.
제3도에서 부호(15)는 착탈장치(14)의 베이스판 기능을 하는 부착지지판을 나타낸다. 부착지지판(15)은 기기본체(2)의 하우징에 나사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암(17)은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착탈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지지판(15)에 부착되어 있다.
제3도는 암(17)을 부착지지판(15)에 부착시키는 부착구조를 나타낸다.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부착지지판(15)은 상부와 하부수평판(15a, 15b)과 각 상부와 하부수평판(15a, 15b)위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한 원통형 샤프트(16, 16)를 포함하고 있다. 암(17)은 그 기단부에 형성된 일부 개방된 베어링부(18, 18)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부(18, 18)는 그 개방부로 원통형 샤프트(16, 16)와 체결되어 있고 이에의해 암(17)은 부착지지판(15)에 의해 추축으로 지지되고 있다.
암(17)은 그 선단의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이탈조작부(19)를 가진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프론트패널(3)의 이탈보턴(8)에 의해 이탈조작부(19)가 눌려지면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로 부터 이탈된다.
암(17)은 부착지지판(15)위에 돌출한 스프링거는부(20)와 암(17)의 일부에 형성된 스프링거는부(21) 사이에서 장력을 가하는 제 1스프링부재(22)에 의해 앞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항상 스프링 바이어스 되어 있다.
베어링부(18)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토퍼벽(Stopper wall)(23)이 부착지지판(15)상에 돌출된 스토퍼돌출부(24)와 체결되어 접속될 경우 소정의 각도로 앞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암(17)은 더이상 앞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받는다.
암(17)은 그 마주보는 선단부에 프론트패널(3)을 유지하기 위한 홀더(27)를 가지고 있다.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홀더(27)를 암(17)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구조에서 암(17)은 그 선단부에 형성된 샤프트구멍(25)과 같은 축에 형성된 원통형샤프트(26)을 가진다. 홀더(27)는 그 기단부에 형성된 원통형샤프트(28)와 같은 축에 형성된 샤프트구멍(29)을 가지고 이들은 암(17)의 샤프트구멍(25)과 원통형샤프트(26)와 쌍을 이룬다. 동시에 암(17)의 샤프트(26)가 홀더(27)의 샤프트구멍(29)에 끼워지고, 홀더(27)의 샤프트(28)가 암(17)의 샤프트구멍(25)에 맞게 끼워지면 홀더(27)는 암(17)에 체결되게 된다.
홀더(27)는 프론트패널(3)의 뒷면에 형성된 체결오목부(30)와 체결될 제 1돌출체결부(31)와 부착지지판(15)의 상부와 하부판(15a, 15b)에 대하여 마주보는 관계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는 한 쌍의 훅형태의 제 2체결부(33,33)를 가지고 있다. 제 1돌출체결부(31)가 프론트패널(3)의 체결오목부(30)와 체결되면. 제 2체결부(33, 33)는 부착지지판(15)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어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시킨다.
홀더(27)는 프론트패널(3)과 암(17) 사이에 설치된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으로 프론트패널(3)이 눌려지는 방향인 앞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이어스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2스프링부재(34)는 한 쌍의 상부와 하부의 대칭코일 스프링이 한쪽 끝에서 체결된 구조를 하고 있다. 제 2스프링부재(34)의 코일부분은 홀더(27)의 샤프트(28)와 암(17)의 샤프트(26)에 끼워진다. 제 2스프링부재(34)의 한쪽 끝은 홀더(27)와 체결되고 다른쪽 끝은 암(17)과 체결된다. 그러므로 홀더(27)는 암(17)에 대하여 홀더(27)가 열리는 방향으로 즉, 홀더(27)가 암(17)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 하에서 프론트패널(3)이 눌려지는 방향인 앞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이어스된다.
홀더(27)를 회전시키고 바이어스시키는 제 2스프링부재(34)는 그 스프링 힘에 있어서 암(17)을 회전시키고 바이어스시키는 제 1스프링부재(22)와 차이가 난다. 즉,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은 제 1스프링부재(22)의 힘보다 약하다.
홀더(27)는 그 한쪽 끝에 형성된 스토퍼돌출부(35)가 암(17)쪽에 형성된 스토퍼벽(36)에 맞닿음으로써 홀더(27)는 암(17)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로 열려지는데 그 이상은 회전하지는 못하도록 제한된다.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이렇게 구성된 착탈장치에서 스토퍼나사(37)(블락킹 장치에 포함된다.)는 암(17)의 이탈조작부(19)의 후방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기본체(2)의 구멍에 들어간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토퍼나사(37)는 암(17)이 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0(a)도와 제10(b)도는 착탈장치(14)를 조작하기 위하여 프론트패널(3)에 제공된 이탈보턴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탈보턴(8)은 그 내부에 형성된 누름핀(8a)을 가지고 있다. 누름핀(8a)은 프론트패널(3)의 후면과 접하고 있다. 제10(a)도에서와 같이 누름핀(8a)는 보통의 상태에서는 프론트패널(3)안에 있는 스프링부재(38)의 스프링힘에 의해 프론트패널(3) 안으로 들어가 있다. 제10(b)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이탈보턴(B)이 스프링부재(38)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눌려졌을 때 누름핀(8a)은 프론트패널(3)의 후면에 돌출된다. 착탈장치(14)의 암(17)의 이탈조작부(19)는 누름핀(8a)에 의해 눌려진다.
이렇게 구성된 착탈장치(14)의 작동을 이하 상술하겠다.
제4도는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난 상태에서는 홀더(27)의 제 1체결부(31)가 프론트패널(3)의 체결오목부(30)와 체결되어 있고, 홀더(27)의 제 2체결부(33, 33)는 부착지지판(15)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난 상태에서는 제 1스프링부재(22)와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의 차이 즉, 제 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이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 보다 크기 때문에 홀더(27)의 제 2체결부(33, 33)가 제 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으로 부착지지판(15)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착탈장치(14)는 체결된 상태에 있게되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되어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3도에 나타낸 홀더(27)의 상하부에 제공된 한 쌍의 제 2체결부(33, 33)는 각각 부착지지판(15)의 상부와 하부의 수평판(15a, 15b)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에 체결되어 프론트패널(3)은 안정한 상태가 유지된다.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나사(37)는 기기본체(2)의 구멍에 삽입되고 이로인해 스토퍼나사(37)의 선단부가 암(17)의 이탈조작부(19)의 후방과 마주보게 된다. 결과적으로 프론트패널(3)의 이탈보턴(8)이 눌려져도 암(17)은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탈장치(14)의 체결된 상태를 푸는 것이 불가능하고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나있을 때 카오디오기기(1)의 프론트패널(3)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로부터 분리될때에 스토퍼나사(37)는 풀려진다. 그다음 사용자가 프론트패널(3)의 이탈보턴(8)을 눌렀을 때 이탈보턴(8)의 내부에 형성된 누름핀(8a)은 프론트패널(3)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이탈조작부(19)를 누르는 것에 의해 암(17)은 제 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회전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17)이 후방으로 회전할 때 홀더(27)는 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으로 그 제 2체결부(33, 33)가 부착지지판(15)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떨어지도록 회전한다. 동시에, 프론트패널(3)의 이탈보턴용의 스프링부재(38)의 스프링힘은 프론트패널(3)을 후방으로 바이어스하는 방향으로 프론트패널(3)에 적용되지만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은 스프링부재(38)의 힘보다 더 크다. 따라서, 프론트패널(3)의 홀더(27)는 약간 앞으로 밀려진다.
바로그때 사용자가 이탈보턴(8)을 누르는 것을 약간 완화하면, 암(17)은 제 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에 의해 앞으로 회전하고 홀더(27)는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에 의해 앞으로 회전한다. 상술하면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프론트패널(3)은 제 1및 제 2스프링부재(22, 34)의 총 스프링힘에 의해 앞방향으로 회전하고 튀어나온다.
제6도에서 나타낸 상태에서 홀더(27)는 스토퍼벽(36)에 의해 그 스토퍼돌출부(35)에서 멈춘다. 결과적으로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은 상쇄되고 홀더(27)의 제 1체결부(31)는 제 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으로 프론트패널(3)의 체결오목부(70)와 체결되고 이에의해 프론트패널(3)은 유지된다.
제6도에서 각타낸 바와같이 프론트패널(3)이 튀어나오는 상황하에서는 사용자가 프론트패널(3)을 손으로 프론트패널(3)의 체결오목부(30)에서 홀더(27)의 제 1체결부(31)가 벗어나도록 강하게 앞으로 잡아당기면 프론트패널(3)은 완전히 기기본체(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로 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홀더(27)가 강제적으로 앞으로 당겨지면 암(17)의 베어링부(18)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있기 때문에 암(17)은 부착지지판(15)의 샤프트부분(16) 주위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암(17)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되었을 때 홀더(27)가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하여 프론트패널(3)에 의해 눌려지면, 제 2스프링부재(34)의 스프링힘이 제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보다 약하기 때문에 홀더(27)는 후방으로 회전하고 암(17)과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만일 프론트패널(3)이 더 눌려지게 되면 암(17)은 제 1스프링부재(22)의 스프링힘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홀더(27)의 훅 형태의 제 2체결부(33, 33)는 부착지지판(15)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고, 홀더(27)의 제 1체결부(31)는 프론트패널(3)의 체결오목부(30)와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에 부착고정된다.
제8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홀더(27)의 제 2체결부(33, 33)가 먼저 부착지지판(15)의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프론트패널(3)을 힘을 가하여 누름으로써 프론트패널(3)을 기기본체(2)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와 같이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과도한 힘으로 프론트패널(3)을 기기본체(2)로 부터 분리시킨다면, 과도한 힘에 의해 제 2체결부(33, 33)는 미끄러져 훤통형 체결부(32, 32)로 부터 분리될 것이다. 왜냐하면 홀더(27)의 훅형태의 제 2체결부(33, 33)는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로 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17)과 홀더(27)와 프론트패널(3)이 고장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체결부(33, 33)는 어느정도의 힘으로는 원통형 체결부(32, 3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로 부터 떨어질 수는 없다.
만일 홀더(27)가 앞으로 회전하고 제 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17)에 대하여 큰 각을 이루며 체결되어 있다면,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에 체결되어 있을 때 홀더(27)의 제 1체결부(31)는 프론트패널(3)의 체결오목부(30)와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론트패널(3)은 기기본체(2)에 부드럽게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14)에서는 암(17)이 동시에 프론트 패널(3)을 이탈시키는 이탈부분과 프론트패널(3)이 기기본체(2)로 부터 이탈되었을 때 프론트패널(3)을 누르는 팝업부분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착탈장치(14)의 부속품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술하면, 착탈장치(14)는 부착지지판(15), 암(17), 홀더(27)와 제 1및 제 2스프링부재(22, 34)의 단지 다섯가지 부속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는 선행기술에 비해 상당히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
착탈장치(14)의 부속품중에서 세개의 부속품은 금속주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세 개의 주형만 준비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착탈장치(14)를 해외에서 만들때 손쉽게 지역생산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착탈장치(14)는 홀더(27)가 제 2체결부(33, 33)에서 원통형 체결돌출부(32, 32)와 체결되어 있고, 이에의해 프론트패널(3)을 지지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프론트패널(3)은 실질적으로 스프링부재의 스프링힘을 받고 있지 않아서 차량 실내의 온도가 상승할 때에도 프론트패널(3)이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된다.
착탈장치(14)는 제 1및 제 2스프링부재(22, 34)의 스프링힘의 조화에 기초하여 프론트패널(3)이 착탈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같은 종류의 다른 것과 비교해 볼때 기기본체(2)에 프론트패널(3)을 착탈할 때 만족할 만한 촉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카오디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여러가지 변화와 개조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7)
-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에 제공되고 그 전면에는 여러개의 작동보턴을 가지고 그 후면에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상기 기기본체에 이탈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기기 본체에 제공된 부착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개방되어 있는 방향내에서 스프링 바이어스되어 있는 제1회전암(arm)과, 상기 제 1회전암의 자유말단부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열림방향으로 스프링 바이어스되는 제 2회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회전암은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이탈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제 2회전암은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1체결부와,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조건하에서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그 부착위치에서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기본체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이탈되었을 때는 상기 제 1회전암이 상기 제 1회전암을 구성하는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회전되며, 상기 제 2회전암은 상기 제 1회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체결부가 상기 기기본체로 부터 이탈되는 방향에서 회전하며, 상기 제 2회전암은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내에서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를 이동시키는 전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로부터 이탈되었을때 상기 제 1회전암을 구성하는 상기 조작부를 누르기 위해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에 제공된 이탈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조작부는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의 한 쪽 끝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에 형성된 체결돌출부와 체결되기위해 다른 쪽 끝에 형성된 체결부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 1회전암이 상기 이탈조작부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블락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개방되어 있는 방향에서 상기 제 1회전암을 바이어스하기 위한 제 1 스프링 부재와 제 2회전암을 상기 개방된 방향에서 바이어스하기 위한 제 2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힘이 상기 제 2스프링 부재의 힘 보다 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회전암은 그 기단에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스프링 부재는 그 한 쪽 끝이 상기 제 1회전암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기기본체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 1회전암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블락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0563493A JP3225718B2 (ja) | 1993-12-06 | 1993-12-06 | 電子機器及び着脱装置 |
JP93-305634 | 1993-12-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7486A KR950017486A (ko) | 1995-07-20 |
KR100306220B1 true KR100306220B1 (ko) | 2001-12-01 |
Family
ID=1794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2700A KR100306220B1 (ko) | 1993-12-06 | 1994-12-03 | 전자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493479A (ko) |
EP (1) | EP0658011B1 (ko) |
JP (1) | JP3225718B2 (ko) |
KR (1) | KR100306220B1 (ko) |
CN (1) | CN1053316C (ko) |
DE (1) | DE69431234T2 (ko) |
MY (1) | MY121920A (ko) |
TW (1) | TW27574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21449A (ja) * | 1996-05-27 | 1997-12-12 | Clarion Co Ltd | 記録媒体再生装置 |
JP3691162B2 (ja) * | 1996-07-04 | 2005-08-31 | サンヨー・オートメディア・センディリアン・バハド | 着脱自在な操作パネルを装備したオーディオ装置 |
DE69625905T2 (de) * | 1996-09-19 | 2003-12-24 | Hewlett-Packard Co. (N.D.Ges.D.Staates Delaware), Palo Alto | Anordnung zum Sichern einer benutzerinstallierten Einheit in einem Computergehäuse |
JP3751706B2 (ja) | 1997-03-31 | 2006-03-01 | クラリオン株式会社 | ディスク再生装置 |
JP3600429B2 (ja) * | 1998-03-19 | 2004-12-15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電子機器の操作装置 |
JPH11312143A (ja) | 1998-04-28 | 1999-11-09 | Clarion Co Ltd |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カーオーディオ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DE19825790C5 (de) * | 1998-06-10 | 2004-11-25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Becker Division) Gmbh | Autoradio mit einem Hauptteil das eine Ausnehmung für die Aufnahme eines abklappbaren Bedienteils aufweist |
DE19916744A1 (de) * | 1999-04-14 | 2000-10-19 | Mannesmann Vdo Ag | Einbaugerät |
JP3698595B2 (ja) * | 1999-08-06 | 2005-09-21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操作部材の着脱装置 |
JP3647325B2 (ja) * | 1999-08-06 | 2005-05-11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操作部材の着脱装置 |
DE10011098A1 (de) * | 2000-03-10 | 2001-09-13 | Mannesmann Vdo Ag | Gehäuse mit einem daran durch eine Rastverbindung befestigten Bauteil |
US6678166B1 (en) * | 2000-10-13 | 2004-01-13 | Delphi Technologies, Inc. | Detachable face plate for automotive electronic components |
DE10051020B4 (de) * | 2000-10-14 | 2005-08-18 | Robert Bosch Gmbh | Elektrisches Gerät |
JP3930242B2 (ja) * | 2000-11-02 | 2007-06-13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電子機器 |
NL1019894C2 (nl) * | 2002-02-04 | 2003-08-05 | Git Dev B V | Communicatie-inrichting voor een voertuig. |
JP3986869B2 (ja) * | 2002-04-11 | 2007-10-03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20080157999A1 (en) * | 2006-12-28 | 2008-07-03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output |
JP2008137559A (ja) | 2006-12-04 | 2008-06-19 | Fujitsu Ten Ltd | 車載用電子システム、車載電子装置及び携帯電子装置の電源制御方法 |
JP4842785B2 (ja) | 2006-12-04 | 2011-12-21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電子装置 |
US20080159557A1 (en) * | 2006-12-27 | 2008-07-03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output |
US20080161950A1 (en) * | 2006-12-28 | 2008-07-03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udio unit |
US7860643B2 (en) | 2006-12-28 | 2010-12-28 | Fujitsu Ten Limited | In-vehicle detachably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
US7904236B2 (en) | 2006-12-28 | 2011-03-08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
EP1931050B1 (en) | 2006-12-04 | 2015-06-24 | Fujitsu Ten Limited | In-vehicle electronic system and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
JP2008141076A (ja) * | 2006-12-04 | 2008-06-19 | Fujitsu Ten Ltd | 携帯電子機器の着脱装置 |
US20080162044A1 (en) * | 2006-12-28 | 2008-07-03 | Fujitsu Ten Limited |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
US7765046B2 (en) | 2006-12-28 | 2010-07-27 | Fujitsu Ten Limited |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
US8706396B2 (en) | 2006-12-28 | 2014-04-22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
US7684200B2 (en) | 2006-12-28 | 2010-03-23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
US7774104B2 (en) | 2006-12-27 | 2010-08-10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
US7869196B2 (en) | 2006-12-28 | 2011-01-11 | Fujitsu Ten Limited | Electronic apparatus |
JP5115228B2 (ja) * | 2008-02-07 | 2013-01-09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パネル着脱機構およびそれを有する車載装置 |
JP2009277744A (ja) * | 2008-05-13 | 2009-11-26 | Nec Corp | 電子機器及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CN102161329B (zh) | 2010-02-21 | 2013-05-08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盒与车载多媒体系统的连接机构 |
CN103781298B (zh) * | 2012-10-24 | 2016-09-07 | 英业达科技有限公司 | 机壳结构与应用其的电子装置 |
TWI482556B (zh) * | 2012-10-29 | 2015-04-21 | Inventec Corp | 機殼結構與應用其之電子裝置 |
JP6061717B2 (ja) * | 2013-02-14 | 2017-01-18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車載用電子装置 |
JP6061716B2 (ja) * | 2013-02-14 | 2017-01-18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車載用電子装置 |
JP6116288B2 (ja) * | 2013-02-25 | 2017-04-19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車載用電子装置 |
GB2541877B (en) * | 2015-08-27 | 2021-07-14 | Bentley Motors Ltd | A mechanical clock |
DE202016104198U1 (de) | 2016-07-29 | 2016-08-11 | E-Lead Electronic Co., Ltd. | Autoradio mit herausnehmbarem Schaltfeld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89201A (en) * | 1979-03-02 | 1980-02-19 | Burroughs Corporation | Latch assembly for clamping electronic components |
JPH0438899A (ja) * | 1990-06-05 | 1992-02-10 | Pioneer Electron Corp | 車載用音響機器のパネル着脱装置 |
JP2547786Y2 (ja) * | 1991-04-12 | 1997-09-17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グリル着脱装置 |
JP3277495B2 (ja) * | 1991-11-30 | 2002-04-22 | ソニー株式会社 | 着脱レバー装置 |
US5219191A (en) * | 1992-04-10 | 1993-06-15 | Ampex Systems Corporation | Externally actuated enclosure latch assembly |
-
1993
- 1993-12-06 JP JP30563493A patent/JP322571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11-29 US US08/350,044 patent/US549347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2-03 KR KR1019940032700A patent/KR1003062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2-05 MY MYPI94003237A patent/MY121920A/en unknown
- 1994-12-06 EP EP94402794A patent/EP065801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2-06 CN CN94113083A patent/CN105331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2-06 DE DE69431234T patent/DE69431234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2-06 TW TW083111318A patent/TW27574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658011A1 (en) | 1995-06-14 |
JP3225718B2 (ja) | 2001-11-05 |
KR950017486A (ko) | 1995-07-20 |
US5493479A (en) | 1996-02-20 |
DE69431234D1 (de) | 2002-10-02 |
CN1053316C (zh) | 2000-06-07 |
MY121920A (en) | 2006-03-31 |
TW275745B (ko) | 1996-05-11 |
JPH07156719A (ja) | 1995-06-20 |
DE69431234T2 (de) | 2009-09-10 |
EP0658011B1 (en) | 2002-08-28 |
CN1110047A (zh) | 1995-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06220B1 (ko) | 전자장치 | |
US5862468A (en) | Device for moving and detaching a panel | |
US7124417B2 (en) | Attaching and detaching mechanism | |
US5953302A (en) | Recorded medium playback device with removable panel and having a lever contacting panel and detection switch | |
US5967570A (en) | Panel detaching apparatus for car-mounted audio system | |
US7586054B2 (en) | Switch assembly | |
JP3930242B2 (ja) | 電子機器 | |
KR20050003914A (ko) | 하드디스크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컴퓨터 | |
JPH07132779A (ja) | パネル着脱機構 | |
JPH08282391A (ja) | 電子機器のパネル回動装置 | |
JPH11137310A (ja) | バックル装置 | |
JPH1051154A (ja) |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 |
JPH10322038A (ja) | 電気機器 | |
JPH07309178A (ja) | 電子機器の操作装置 | |
JPH09251766A (ja) | 車載用電子機器 | |
JP4071216B2 (ja) | 電子機器 | |
JP3256978B2 (ja) | 電池の係止装置 | |
JPH08175279A (ja) | 車載用テレビの角度調整機構 | |
JP2589262Y2 (ja) | 操作部着脱装置 | |
JP2881763B2 (ja) | 車載用機器の着脱装置 | |
JP3630548B2 (ja) | 電子機器の操作装置 | |
JPH1021678A (ja) | 着脱自在な操作パネルを装備したオーディオ装置 | |
JP2003080799A (ja) | 蓋部材の取付構造 | |
JPH08175278A (ja) | 車載用テレビの画面調整機構 | |
KR200167009Y1 (ko) | 자동차오디오의 전면판넬 체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