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686B1 - 분립체의건조방법및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의건조방법및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686B1
KR100303686B1 KR1019980705062A KR19980705062A KR100303686B1 KR 100303686 B1 KR100303686 B1 KR 100303686B1 KR 1019980705062 A KR1019980705062 A KR 1019980705062A KR 19980705062 A KR19980705062 A KR 19980705062A KR 100303686 B1 KR100303686 B1 KR 10030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ing gas
drying
turn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934A (ko
Inventor
유키마사 오무라
타케시 카토
켄지 오노
아쯔시 오마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나라키카이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나라키카이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나라키카이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1999007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pneumatically inducing within the drying enclosure a curved flow path, e.g. circular, spiral, helical; Cyclone or Vortex dr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기류건조기가 가지고 있는 이점을 구비하면서 건조기내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분산작용을 가지고 있고, 또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 구성은 임의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내에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그 선회 상승기류 중에 분립체를 분산 부유시켜서 건조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임의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와 그 통상 용기의 하부에 접속된 분립체 및 가열기체의 도입관과 전기 도입관에 의하여 도입된 가열기체를 상기 통상 용기내에 있어서 선회 상승기류로 하는 선회기구와 전기 통상 용기의 상부에 접속된 분립체 및 가열기체의 배출관을 구비한 분립체의 건조장치로 하였다.

Description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종래 가열기체에 의하여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장치로서는 주로 기류건조기 및 유동층 건조기가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우선 기류건조기는 원통형상의 직관내에 가열기체에 의한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그 상승기류 중에 분립체를 분산 부유시켜서 함께 이송시키면서 건조처리하는 구조의 장치이다.
이러한 기류건조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더우기 처리능력이 높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기류건조기는 분립체의 건조와 공기수송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그렇지만 한편, 이러한 기류건조기는 직관내에 단순히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공급할 피처리물인 분립체의 분산작용은 적고, 습하여 덩어리로 되어 있는 분립체 등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피처리물의 공급구 부근에 분산기 또는 고해기 등을 부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부대시킨 분산기 또는 고해기 등의 기계적인 분산기구에 분립체가 부착되어 버리는 과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공급된 분립체는 직관내에 형성된 상기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그 직관내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고, 건조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관을 길게 하는 방법 밖에는 없어서 (상승기류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것은 처리량 등의 관점에서 한계가 있다)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였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에서는 분립체는 직관내에 있어서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이동하므로 그 분립체가 그 이동 도중에 있어서 접촉하는 가열기체는 항상 같은 경우일 때가 많다. 그 때문에 분립체와 가열기체와의 사이의 열교환작용 및 그 열교환작용에 의한 분립체 수분의 증발작용은 분립체와 가열기체와의 접촉직후 곧바로 한계상태에 도달하고, 그 후의 열교환작용 및 증발박용이 현저하게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직관상의 건조관의 도중에 굴곡부를 설치하여 그 굴곡부에 있어서 흐름방향을 급격히 변화시켜서 분립체와 동반하여 있는 가열기체와의 사이에 순간적인 속도차를 붙여서 건조효율을 높인다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목표함수율까지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전기 분산기 또는 고해기 등을 부대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 건조관 도중에 설치한 굴곡부에 있어서 젖은 분립체가 부착되어 버리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여기에서 분립체의 상기한 바와 같은 기내부착은 장치의 안정운전성을 저해한다. 또한 기내부착물은 종종 열변성, 열열화를 수반하여 그것이 때때로 박리하여 제품 중에 이물로써 혼입한다. 그 때문에 이 제품중으로의 이물혼입이 큰 과제로도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기류건조기에 있어서의 열에너지의 보충은 가열기체가 가지고 있는 열량만에 의하기 때문에 열에너지의 보충을 위해서는 열풍량을 많게 하거나 열풍온도를 높이는 등 부대설비의 대형화, 런닝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한다는 과제도 존재하였다.
한편, 상기 기류건조기와 마찬가지로 가열기체에 의하여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장치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유동층 건조기는 용기를 다공판, 예를 들면 금망에 의하여 상하 2실로 구획하여 상부실에 분립체를 충전하고 하부실로부터 가열기체를 상기 다공판을 통하여 상부실로 불어 넣어 분립체를 유동화하여 건조처리하는 구조의 장치이다.
이러한 유동층 건조기는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점 및 분립체는 항상 신선한 가열기체와 접촉할 수 있는 점에서 극히 낮은 함수율까지 분립체를 건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유동층 건조기는 균일한 분립체의 건조가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도 존재하였다.
그러한 한편, 유동층 건조기는 높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는 분립체의 경우에는 그 분립체층의 유동화가 곤란하거나 또 분립체의 분산이 충분히 행하여지지 않거나 한다. 그러므로 제품 중에 덩어리를 생기게 하거나 기벽으로의 부착 등의 과제가 있었다.
또한 분립체층을 단순히 유동화시키는 것만의 열풍량으로는 건조에 필요한 열에너지의 보충은 불가능하고 자연히 체류시간을 길게 필요로 하여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는 과제도 존재하였다.
그 점에서 고함수율의 분립체의 건조에서는 일반적으로 전기한 기류건조기에 의하여 부착이나 덩어리가 생기지 않는 정도의 함수율로 우선 분립체를 건조하고 그 후 마무리 건조로 하여 이 유동층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많이 행하여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부터 존재하는 가열기체에 의하여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기류건조기 또는 유동층 건조기가 가지고 있는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기류건조기가 가지고 있는 이점을 구비하면서 건조기내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분산작용을 가지고 있고, 또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내에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그 선회 상승기류 중에 분립체를 분산 부유시켜서 건조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와 그 통상 용기의 하부에 접속된 분립체 및 가열기체의 도입관과 전기 도입관으로부터 도입된 가열기체를 상기 통상 용기내에 있어서 선회 상승기류로 하는 선회기구와 전기 통상 용기의 상부에 접속된 분립체 및 가열기체의 배출관을 구비한 분립체의 건조장치로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의하면 분립체는 통상 용기내에 형성된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분립체는 그 이동 도중에 있어서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상승력 뿐만 아니라 원심력을 받아서, 젖어서 덩어리로 된 분립체도 해체되어 양호한 분산상태에서 건조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립체는 통상 용기내를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그 이동거리는 단순히 상승기류에 동반되어 이동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길게 된다. 또한 분립체는 그 이동 도중에 있어서 접촉하는 가열기체와는 용기 내벽면과의 마찰저항작용으로 속도차가 있고, 열교환량이 증가하므로써 분립체의 건조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립체가 상기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은 젖어서 밀도가 높은 분립체일수록 강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입직후의 분립체 또는 다른 것과 비교하여 수분량이 많은 분립체는 통상 용기의 내주벽면 부근을 장시간에 걸쳐서 선회하게 되고 그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건조상태가 양호하게 됨과 함께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 용기내에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일방향에 가열기체를 도입한다. 또는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함과 함께 통상 용기의 하벽 전주면으로부터도 통상 용기와 동심원상의 대략 주위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실현하는 선회기구로서는 통상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을 개구가 통상 용기의 접선방향의 일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한다. 혹은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을 개구가 통상 용기의 접선방향의 일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함과 함께 상기 통상 용기의 하벽 전주면을 개구가 통상 용기와 동심원상의 대략 주위방향의 일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하방을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도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선회 상승기류는 가장 젖은 상태에 있는 도입직후의 분립체의 통상 용기 내벽면으로의 부착퇴적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젖은 분립체를 상승시키지 않고서 용기 하부에 선회시키면서 체류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즉, 선회 상승기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립체에 원심력을 주기 위하여 분립체는 통상 용기 내주벽면에 압접되고, 그 곳에 부착퇴적할 우려가 있다. 이 현상은 피처리물인 분립체가 도입되는 통상 용기 하부가 가장 심하다. 이 분립체의 부착퇴적이 가장 우려되는 통상 용기 하부에 있어서 그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하거나 또는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과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함과 함께 통상 용기의 하벽 전주면으로부터도 통상 용기와 동심원상의 대략 주위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하면 그 통상 용기내에는 선회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분립체를 선회운동시킴과 함께 그 통상 용기 하부 측벽 부근 또는 하부 측벽 부근 및 하벽 부근에는 가열기체에 의한 소위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이 에어커튼이 분립체의 통상 용기 내벽면으로의 직접접촉을 저지하여 그 부착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측벽 전부면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일방향으로 분출되는 가열기체는 측벽으로부터 중심방향에 있는 폭을 가지고 있는 고속 선회기류 소위 에어링을 그 부분에 형성하여 이 에어링이 젖은 분립체를 상승시키지 아니하고서 용기 하부에 선회시키면서 체류시키는 작용을 수행하여 분립체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 용기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외주면으로부터 통상 용기를 가열하는 구조로서는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을 재킷에 의하여 덮어서 그 재킷과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가열매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립체는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상기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원심력을 받아서 통상 용기 내주벽면에 압접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통상 용기가 가열되어 있으면 분립체는 그 통상 용기로부터의 전도전열에 의하여서도 효과적으로 건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 용기는 축방향으로 분할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구성을 실현하는 구조로서는 상기 통상 용기를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분할하여 그 분할한 각각의 부재의 개구단면에 플렌지를 설치하고, 그 플렌지를 맞대어서 클램프 등으로 착탈 자재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통상 용기를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가능하게 구성하면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되어 용기내부의 세정이 쉽게됨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용기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역으로 길게 할 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 용기내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상기한 선회 상승기류와 동일방향으로 고속 선회하는 기류 즉, 에어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에어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는 상기 통상 용기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있어서의 측벽 전주면의 개구가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를 가지고 있는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로서 덮어서 그 용기에도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와 같은 에어링을 통상 용기의 도중에 설치하면 그 에어링이 선회상승기류에 동반되어 선회하면서 통상 용기의 내벽에 연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온 분립체를 그 장소에 체류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체류한 상태에 있는 분립체는 그 장소에서 확실히 새로운 가열기체와 접촉하면서 체류시간을 가질 수가 있어서 건조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는 그 상승 도중에 있어서 선회직경이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선회직경을 확대하는 구조로서는 임의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를 그 축방향 도중에 있어서 수평단면이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확대한 동심원상으로 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와 같은 확대부를 도중에 설치하면 선회 상승기류의 상승속도는 그 확대부에 있어서 급격히 저하하여 분립체의 상승속도가 늦어져서 용기내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추가하여 이 확대부에 있어서 원심력이 다른 것에 의한 가열기체와 분립체와의 강제적인 분리가 행해져 분립체는 확실히 새로운 가열기체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확대부를 도중에 설치하면 상기한 에어링을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립체의 건조상태를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직경을 그 상승 도중에 있어서 확대한 경우 이 선회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통상 용기를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에서 외주면으로부터 가열하거나 또는 이 선회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다시 가열기체를 도입하는 것은 이 확대부를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립체가 체류하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분립체는 통상 용기로부터의 전도전열을 받기 쉽고, 또 도입된 습도가 낮은 가열기체와 접촉할 수 있으므로 더욱 건조상태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통상 용기내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에어링을 형성한 경우 그 에어링이 형성된 하방에 위치하는 통상 용기의 외주면을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에서 가열하는 것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더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건조처리하는 분립체가 부착성이 적은 분립체인 경우에는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에 접선방향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상기 선회 상승기류를 통상 용기내에 형성하여서도 좋고, 또 분립체와 가열기체와를 동시에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에 접선방향으로부터 도입하므로써 상기 선회 상승기류를 통상 용기내에 형성하여도 좋다. 다만, 이 경우 통상 용기내에 형성된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직경을 그 상승 도중에 있어서 확대하거나 또는 통상 용기내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에어링을 형성하는 등의 상기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류건조기의 건조관의 출구측 단부를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에 접선방향으로 접속하므로써 상기 선회 상승기류를 통상 용기내에 형성하여 기류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분립체를 재차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처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기류건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열기체의 온도 및 풍량으로 다시 분립체의 도달수분을 낮게 하거나 같은 도달수분의 경우에는 처리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등 효율적인 건조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회하는 가열기체에 의하여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연하는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그 전후의 필요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다공판의 확대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다공판의 확대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다공판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다공판의 평면도이다.
도8은 도1의 A-A선에 연하는 부분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그 전후의 필요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B-B선에 연하는 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그 전후의 필요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그 전후의 필요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이다.
도17은 도16의 C-C선에 연하는 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그 전후의 필요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그 전후의 필요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1∼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1∼도3 중 1은 임의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2)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이다. 이 통상 용기(1)는 직경방향에 비하여 축방향이 길게 축방향으로 설치한 용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양단면이 막힌 원통형상의 용기이다. 다만, 이 통상 용기(1)는 도시한 원통형상의 것에 국한되지 않고 하방부분의 직경이 확대되거나 또는 역으로 축소된 절두 원추체 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그 중앙부가 맥주통과 같이 확대된 용기라도 좋다.
상기 통상 용기(1)의 하부에는 다공판(3)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다공판(3)에 의하여 상기 통상 용기(1)의 내부공간(2)이 하방의 열풍실(2a)과 상방의 건조실(2b)로 구획되어 있다. 다만, 이 다공판(3)은 도시한 바와 같은 평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동심원상으로 위로 만곡되거나 또는 아래로 만곡된 원추체 형상이라도 좋다. 특히 아래에 철자형 원추체 형상의 다공판으로 한 경우의 최하부에는 기류에 동반되지 않고 퇴적한 분립체를 여러번에 걸쳐서 또는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도관(도시생략)을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통상 용기(1)의 하부에 구획된 열풍실(2a)의 측면(또는 저면)에는 가열기체의 도입관(4)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입관(4)을 통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5)에서 정화되어 에어히터(6)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 블로우어(7)의 송풍작용에 의하여 열풍실(2a)내에 공급된다.
또한 도3 중 8은 가열매체(수증기 등)의 공급관으로서 상기 에어히터(6)에 가열매체를 공급한다. 9는 상기 공급관(8)에 설치한 온도제어장치로서 가열기체의 공급관(10)의 도중에 설치한 온도검출기(11)에 의하여 검출한 가열기체의 온도에 대응하여 공급관(8)에 설치한 밸브(12)의 개폐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풍실(2a)의 저면(13)은 수평일 필요는 없고, 그 중앙부가 하방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상방으로 만곡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13)이 한쪽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용기(1)를 세정하였을 때의 세정수가 저면(13)에 잔류함이 없이 그 최하부에 설치한 배수관(14)을 통하여 완전히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실(2a)의 측면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홀(15)을 설치하여 두면 열풍실(2a)의 점검 및 청소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통상 용기(1)의 하부를 구획하는 다공판(3)에는 이 다공판(3)을 통하여 열풍실(2a)로부터 건조실(2b)로 도입되는 가열기체가 선회 상승기류를 만들어 주도록 복수의 분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출구(16)의 각각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에 구멍(17)을 뚫을 때 그 구멍(17)의 개구(18)가 평판의 평면에 거의 평행한 일측방을 향하도록 구멍(17)의 상부를 지붕상 융기부(19)에 의하여 덮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형상의 분출구(16)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분의 1 원형의 범위에 있어서 각각 2개구(18)가 90°어긋난 동일방향(도면 중의 화살표방향)으로 향하도록 복수개 배치되어 통상 용기(1)와 동심원상의 거의 둘레방향의 일방에 개구(18)가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상기 다공판(3)에 형성되는 분출구(16)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상 융기부(19)를 하방으로 향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장척의 소위 슬릿 형상의 분출구로 하여도 좋다. 또 분출구(16)의 배치방법은 도2에 도시한 것 이상으로 작게 분할한 각도의 범위내에 있어서 개구(18)가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6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각각의 분출구(16)의 개구(18)가 반경방향과 거의 직각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4 및 도5에 있어서, 다공판(3)의 상측이 건조실(2b)이고, 하측이 열풍실(2a)이다. 그리고 같은 도에 있어서 가열기체는 열풍실(2a)로부터 구멍(17)을 우측 하방으로부터 좌측 상방으로 향하여 통과하여 다공판(3)의 상면에 연하여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흘러서 건조실(2b)내로 도입된다.
상기 다공판(3)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용기(1)의 내주벽면은 일정한 폭으로서 그 전체 외주에 걸쳐서 도4(또는 도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모양의 분출구(16)(이 분출구(16)는 상기한 다공판(3)의 분출구(16)와 같은 모양으로 소위 장척의 슬릿 형상의 분출구라도 좋다)가 형성된 다공판(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다공판(20)의 분출구(16)는 그 분출구(16)의 개구(18)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의 접선방향의 일방에 규칙적으로 향하도록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다공판(20)을 통하여 건조실(2b)내로 공급되는 가열기체도 상기 다공판(3)에 의하여 건조실(2b)에 형성되는 선회기류와 동일방향으로 거의 수평방향의 선회기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판(20)의 하부 원주면은 가능한한 상기 다공판(3)에 접근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판(20)과 다공판(3)의 접합부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일 필요는 없고, 그 모서리부에 적당한 곡율이나 각도를 가지게 하거나, 또는 이 모서리부에도 가열기체의 분출구(16)를 배치하여 가열기체를 불어내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와 같은 모서리부로 하여 두면 분립체가 그 모서리부에 부착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다공판(20)의 축방향의 폭은 후술하는 분립체의 도입관(23) 접속부의 상부에 충분히 도달하는 폭으로 한다.
상기 통상 용기(1)의 하부 내주벽면을 구성하는 상기 다공판(20)의 주위는 그 전주면의 전폭이 용기(21)에 의하여 완전히 덮혀 있다. 그리고 이 용기(21)와 다공판(20)의 사이에 열풍실(2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열풍실(21a)의 측면에는 가열기체의 도입관(22)이 접속되어 이 도입관(22)을 통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풍실(2a)과 마찬가지로 에어필터(5)로 세정화되고, 에어히터(6)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블로우어(7)의 송풍작용에 의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도2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22)을 용기(21)의 벽면에 직각으로 접속시키고 있지만,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판(20)의 분출구의 개구(18)가 향한 방향, 즉, 통상 용기(1)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의 거의 접선방향으로부터 그 도입관(22)을 용기(21)의 벽면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1)의 벽면에 직각방향으로 도입관(22)을 접속하면 그 도입관(22)을 통하여 도입된 가열기체는 다공판(20)에 충돌하므로써 좌우 두 갈래로 갈라져 열풍실(21a)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도중 도입관(22)측에서 보아 좌측)으로부터 열풍실(21a)내에 유입된 기체는 다공판(20)의 분출구(16)를 통하여 건조실(2b)내로 세차게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 상승기류와는 반대의 회전방향(도중 도입관(22)측에서 보아 우측)으로부터 유입된 가열기체는 개구(18)의 방향과는 반대이며, 또 그 가열기체의 속도는 빠르기 때문에 분출구(16)를 통하여 건조실(2b)내에는 분출되기 어렵다. 이와 같으므로 각 분출구(16)로부터 건조실(2b)내에 공급되는 가열기체의 양은 균일하지는 않게 되며,건조실(2b)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도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것에 덧붙여 선회 상승기류와는 반대의 회전방향(도중 도입관(22)측에서 보아 우측)으로부터 유입된 가열기체는 도입관(22)의 접속부 근방의 다공판(20)의 부분에서 부압이 생겨서 그 에젝터 효과에 의하여 분출구(16)를 통하여 역으로 건조실(2b)내의 기체가 열풍실(21a)측으로 흡인되는 현상이 생긴다. 그리고 이 흡인기체에 수반하여 건조실(2b)내의 분립체가 조금씩이지만 열풍실(21a)측으로 분출하는 소위 분립누설현상이 생긴다. 그리고 열풍실(21a)측으로 분출된 분립체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열기체에 동반되어 열풍실(21a)내를 이동하고, 이 가열기체가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으로부터 유입되어 온 가열기체와 충돌하는 장소(우측으로부터 유입된 가열기체는 건조실(2b)로 분출되기 어려우므로 도2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분립체의 도입관(23)의 접속부 부근)에서 잔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바람에 날려 쌓인 분립체는 갈곳이 없게 되고, 그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다공판(20)의 분립체가 분출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분립체가 체류하는 부분의사이에 있어서도 분립체가 분출할 정도는 아니라고 하여도 곳곳에 있어서 건조실(2b)내의 분립체가 열풍실(21a)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다공판(20)의 외주벽변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다공판(20)의 외주벽면부분에 부착, 퇴적한 분립체는 다공판(20)에 형성된 분출구(16)에 눈막힘이 생기게 한다.
이것에 대하여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용기(1)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의 대략 접선방향에서 도입관(22)을 용기(21)의 벽면에 접속한 경우에는 그 도입관(22)으로부터 도입된 가열기체는 열풍실(21a)내를 일정방향(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으로 흘러서 각 분출구(16)의 개구(18)로부터 균일하게 더구나 원활하게 건조실(2b)내로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분립누설 현상도 생기지 않는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열풍실(2a)로 가열기체를 도입하는 상기 도입관(4)도 상기한 도입관(22)과 마찬가지로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의 대략 접선방향으로부터 열풍실(2a)의 측면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판(20)을 덮는 용기(21)의 측면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용기(21) 및 그 내측에 존재하는 상기 다공판(20)을 관통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인 젖은 분립체를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도입관(23)이 접속되어 있다. 이 도입관(23)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루 컨베이어와 같은 분립체의 정량공급기(24)가 접속되어 있다. 이 분립체의 정량공급기(24)는 도입관(23)을 통하여 건조실(2b)내의 가열기체가 그 공급기(24)로부터 불어내어지거나 역으로 공급기(24)로부터 외부공기가 흡인되어 건조실(2b)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한 공급블로우러(7)와 후술하는 배기블로우어(28)로써 기내 압력 밸런스가 잡혀져 있지만, 밀폐성을 가지고 있는 공급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상 용기(1)의 정상부의 측벽에는 그 통상 용기(1)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의 접선방향으로 배출관(25)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출관(25)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클론 등의 분립체 분리기(26) 및 배관(27)을 통하여 배기블로우어(2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관(25)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 용기(1)에 반드시 접선방향으로부터 접속할 필요는 없고, 용기(1)의 정상부(상부단면)에 그 용기(1)의 중심축 방향 상측으로부터 접속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통상 용기(1)에 있어서 그 직경을 D로 하고 다공판(3)으로부터 상부단면까지의 건조실(2b)의 길이를 L로 하면, L는 2D∼10D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D∼6D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실(2b)의 외주벽면을 도1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재킷(29)으로 덮어서 그 재킷(29)과 외주벽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0)에 관(31)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온수 또는 가열증기 등의 가열매체를 공급하고 관(32)을 통하여 배출하는 (이상은 온수의 경우로써 가열증기의 경우는 공급과 배출의 관의 상하가 반대로된다) 구성으로 하면 건조실(2b)의 벽면에 있어서, 가열매체의 전도전열에 의한 분립체의 건조처리가 가능하고, 적어도 건조실(2b)의 벽면을 보온할 수 있다.
게다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상 용기(1)를 그 다공판(3)의 직하방에서 건조실(2b)과 열풍실(2a)로 분할하고, 또한 건조실(2b)도 다공판(20)의 직상방 및 배출관(25)의 접속부 직하방에서 분할하며, 또 필요에 따라서 그 사이의 건조실(2b)도 축방향으로 거의 같은 길이로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한 각각의 부재를 재킷(29)으로 덮은 유닛을 구성하여 각각의 유닛의 개구 단면에 플렌지를 설치하며, 이 플렌지를 맞대어서 예를 들면 내주면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요입부를 가지고 있는 반원형상의 한 쌍의 반원바퀴로 되는 클램프 등으로 착탈자재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면 장치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용기내부의 세정을 완전히 행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건조실(2b)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역으로 길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사용한 분립체의 건조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공급블로우어(7)를 작동하여 에어 필터(5)에서 정화되어 에어 히터(6)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도입관(4) 및 (22)를 통하여 열풍실(2a) 및 (21a)로 각각 공급한다. 그리고 배기블로우러(28)를 작동하여 배출관(25), 분립체 분리기(26) 및 배관(27)을 통하여 건조실(2b)로부터 상기 열풍실(2a) 및 (21a)에 공급된 것과 같은 양의 가열기체를 흡인, 배기한다.
또한 건조실(2b)의 외주벽면과 재킷(29)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30)에 관(31)을 통하여 일정온도로 가열한 온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건조실(2b)의 벽면을 가열한다.
열풍실(2a)에 공급된 상기 가열기체는 다공판(3)의 분출구(16)에 의하여 건조실(2b)내로 분출하여 다공판(3) 위에 고속의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한다. 한편 열풍실(21a)로 공급된 상기 가열기체는 다공판(20)의 분출구(16)에 의하여 역시 건조실(2b)내로 분출되고, 다공판(20)에 연하여 원주방향으로 고속 선회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 가열기체는 건조실(2b)의 벽면에 연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배출관(25)으로부터 분립체 분리기(26) 및 배관(27)을 거쳐서 배기블로우어(28)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다공판(3) 및 다공판(20)으로부터 건조실(2b)내로 분사되는 상기 가열기체의 양 및 그 비율은 각각 가열기체의 도입관(4) 및 (22)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33)(34) 및 배관(27)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35)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건조실(2b)내의 온도가 소정의 수준에 달하고, 또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가 안정된 후 정량공급기(24)를 작동시켜서 분립체의 도입관(23)에 의하여 건조실(2b)내에 분립체를 정량적으로 공급한다.
건조실(2b)내로 공급된 분립체는 순시간에 다공판(20)에 연하여 원주방향으로 고속 선회하고 있는 가열기체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분산되어 건조실(2b)내에 형성된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에 올라탄다.
이 때 공급된 분립체는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원심력을 받아서 다공판(20)에 연하여 격렬히 선회운동을 행한다. 그러나 다공판(20)으로부터는 연속적으로 가열기체가 분사되고 있기 때문에 다공판(20)에 분립체는 압접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건조실(2b)에 공급직후의 함수율이 높아 가장 용기(1)의 내주벽면(다공판(20))에 부착하기 쉬운 상태에 있는 분립체라도 그 내주벽면에 부착 퇴적하는 일은 없다. 또한 분립체가 벽면에 접촉하여 만일 부착되었다고 하여도 다공판(20)의 분출구(16)로부터는 이 다공판(20)의 표면에 평행하게 가열기체가 연속적으로 분출되고 있으므로 부착직후에 재빠르게 불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건조실(2b)의 하벽으로 되는 다공판(3)으로부터도 마찬가지로 가열기체가 연속적으로 분출되고 있기 때문에 그 건조실(2b)의 하벽에 분립체가 부착 퇴적하는 일도 없다.
선회 상승기류에 올라탄 상기 분립체는 젖어서 밀도가 높은 동안에는 중력의 작용 및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강하므로 대략 동일 수평면내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하여 가열기체가 지니고 온 열에너지에 의하여 건조작용을 받는다.
이 때 상기 다공판(20)의 분출구(16)의 개구(18) 각각의 면적, 형상 및 개구비가 어느 장소에 있어서도 일정하고 더구나 어느 분출구(16)로부터 분출되는 가열기체의 유량도 균일하다고 하여도 다공판(30)의 근방의 선회 상승기류의 유량은 상방으로 감에 따라 순차 누적되어서 축방향 상측일수록 많게 된다. 또한 젖어서 밀도가 높은 분립체가 선회하면서 체류하고 있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공판(20)(분립체의 도입관(23)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동일 원주면)의 분출구(16)로부터는 이 체류하고 있는 분립체에 의한 저항을 받아서 가열기체가 분출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에는 이것보다 상부의 분출구(16)로부터 분출되는 가열기체의 쪽이 그 유량은 많고, 분출속도가 빠르게 된다. 그리고 이 부분에 있어서 소위 에어링이 형성되어 이 에어링이 건조실(2b)내에 공급된 분립체에 대하여 흡사 이 부분에 중심에 원형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구획링을 건조실(2b)의 측벽으로부터 장착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와서 분립체가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먼저 공급되어서 건조되어 가볍게 된 분립체는 중력의 작용 및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작게 되며, 또 분립체의 도입관(23)으로부터는 연속적으로 분립체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선회 상승기류에 의한 에어링의 개구부를 통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에 동반하여 건조실(2b)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배출관(25)을 통하여 배출되어 분립체 분리기(26)에서 기류와 분리되어 건조분립체로서 회수된다.
그리고 다공판(20)을 상기한 분립체가 통상 용기(1)의 내주벽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저지하는 부분(부착방지구역)과 분립체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부분(이동억제구역)으로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편의적으로 양 구역으로 구분한다고 하면 반드시 이동억제구역으로 되는 다공판을 부착방지구역으로 되는 다공판의 직상방에 연접시켜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즉, 통상 용기(1)의 양 구역의 사이에 축방향 일정폭으로 다공판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상관없다.
이상 기재한 건조방법에 의하여 처리되는 분립체가 각종의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또는 분립체의 물성 등에 의하여 발화나 폭발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공기 대신에 질소가스 등의 각종 불활성가스를 가열기체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배기블로우어(28)의 출구의 배관을 용제회수장치(도시생략)를 통하여 상기 에어 히터(6)에 연결하고 폐회로를 구성하여 이 폐회로내를 불활성가스로 치환하여 상기 분립체의 건조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도9 및 도10에 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관(25)의 하방에 위치하는 건조실(2b)의 내주벽면의 일부에 일정한 폭으로 그 전체주면에 걸쳐서 전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다공판(40)(도4 또는 도5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분출구(16) 또는 장척의 슬릿이 형성되고, 분출구(16)의 개구(18)도 다공판(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기(1)의 접선방향의 일방에 규칙적으로 향하도록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다공판)을 설치한 장치이다. 그리고 이 다공판(40)의 전주면 전폭을 전기와 마찬가지로 용기(41)에 의하여 완전히 덮어서 이 용기(41)와 다공판(40) 사이에 열풍실(41a)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열풍실(41a)의 측면에 가열기체의 도입관(42)을 접속한 구조로 된 장치이다. 다른 부분은 전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가열기체의 도입관(42)도 전기한 가열기체의 도입관(4) 및 (22)와 마찬가지로 통상 용기(1)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의 거의 접선방향으로부터 상기 용기(41)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도입관(23)을 통하여 건조실(2b)내에 공급된 분립체는 전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마찬가지로 다공판(20)에 연하여 원주방향으로 고속회전하고 있는 가열기체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분산, 건조된다. 그리고 젖어서 밀도가 높은 사이에는 중력의 작용 및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강하기 때문에 대략 동일 수평면내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하여 가열기체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건조작용을 받는다. 그리고 그 후 건조되어 가볍게 된 분립체는 중력의 작용 및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작게 되고, 또 분립체의 도입관(23)으로부터는 연속적으로 분립체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회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립체는 상기한 다공판(40)이 설치된 위치에 도달한다.
다공판(40)이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는 도입관(42)을 통하여 가열기체가 열풍실(41a)내로 도입되어 다공판(40)로부터 건조실(2b)내로 가열기체가 분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부분에 다공판(40)에 연하여 원주방향으로 계속 선회하는 기류, 즉, 상기한 에어링이 형성된다. 이 에어링은 선회하면서 통상 용기(1)의 내벽에 연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온 상기 분립체를 저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분립체는 이 에어링의 하부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하여 가열기체가 지닌 열에너지 및 외주벽면의 공간(30)에 가열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열매체로부터 받은 전도전열에 의하여 효과적인 건조작용을 받는다. 그리고 건조되어 가벼워진 분립체는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작게 되어 재차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링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에 동반하여 배출관(25)으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관(25)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는 분립체 분리기(26)에서 기류와 분리되어 양호하게 건조된 분립체로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다공판(40)으로부터 분출하는 가열기체를 제어(도10에 도시한 도입관(42)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43)의 개폐 및 풍량의 조절)하므로써 분립체를 그 장소에 체류시키거나 체류를 해제(상승기류에 동반시킨다)시키는 등 분립체의 거동(체류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링을 형성하는 구성을 중심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2개 이상 설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작,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도11∼도13에 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동일부재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상기한 배출관(25)의 하방에 위치하는 건조실(2b)의 일부를 수평단면이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확대한 동심원상으로 된 건조실(이하 확대한 건조실(50))에 형성한 장치이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전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확대한 건조실(50)은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용기(1)의 일부에 내경이 큰 통상부재(51)를 절두 원추상 부재(52)(53)를 통하여 연접한 구조물이다.
이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확대한 건조실(50)의 외주벽면을 재킷(54)으로 덮어서 그 재킷(54)과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55)에 관(56)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온수 또는 가열증기 등의 가열매체를 공급하여 관(57)으로부터 배출하는 (이상은 온수의 경우로서, 가열증기의 경우는 공급과 배출관의 상하가 반대로 된다) 구성으로 하는 것이 분립체의 건조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용기(1)를 상기 확대한 건조실(50)의 상하부에서 분할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서 다른 건조실(2b)의 부분도 축방향으로 거의 같은 길이로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한 각각의 부재의 개구단면에 플렌지를 설치한 유닛을 구성하면 전기한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더구나 상기 확대한 건조실(50)을 형성하는 통상부재(51)의 내경을 여러 종류로 변경한 복수개의 유닛을 준비하여 두면 분립체의 물성, 혹은 목표함수율 등에 의하여 확대한 건조실(50)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확대한 건조실(50)을 가지고 있는 유닛을 복수개 연접하여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더욱 길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확대한 건조실(50)은 단면적비에서 다른 건조실(2b)의 1.1∼3.0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1∼2.0배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것보다 작은 단면적비의 건조실(50)에서는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또 역으로 상기한 것보다 큰 건조실(50)에서는 공급되는 가열기체의 풍량(유속)에 의하여서도 다르지만, 이 확대한 건조실(50)에 있어서의 선회 상승기류의 유속이 급격히 느려져 분립체에 선회운동을 생기게 하기에 충분한 원심력 및 분립체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력을 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이 확대한 건조실(50)에 있어서 선회 상승기류의 상승속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상기한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에어링을 형성한 경우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분립체는 재차 대략 동일 수평면내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한다. 그리고 이 체류한 분립체는 가열기체가 지니고 있는 열에너지 및 이 확대한 건조실(50)의 외주벽면의 공간(55)에 가열매체가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가열매체로부터 받는 전도전열에 의하여 효과적인 건조작용을 받는다. 그리고 건조되어 가벼워진 분립체는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작아지게 되어 재차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에 동반하여 배출관(25)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관(25)으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는 분립체 분리기(26)에서 기류와 분리되어 양호하게 건조된 분립체로서 회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도14에 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확대한 건조실(50)의 하부에 가열기체(습도가 낮은 2차 에어)를 분출하는 기구(60)를 형성한 장치이다. 다른 부분은 전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한 건조실(50)의 하부와, 그 하부와 그 하방에 위치하는 건조실(2b)과의 연결부분(절두 원추상 부재(52))에 이들의 측면 일부 또는 전주면에 걸쳐서 일정한 폭으로 전기와 마찬가지의 다공판(61)(도4 또는 도5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분출구(16) 또는 장척의 슬릿이 형성되어 분출구(16)의 개구(18)도 다공판(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기(1)의 접선방향의 일방에 규칙적으로 향하도록 북수개 배치되어 있는 다공판)을 설치한 구조의 장치이다. 그리고 이 다공판(61)의 전주면 전폭을 전기와 마찬가지로 용기(62)에 의하여 완전히 덮어서 이 용기(62)와 다공판(61)의 사이에 열풍실(기류집결부)(62a)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열풍실(62a)의 측면에 가열기체의 도입관(63)을 접속한 구조의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63)도 상기한 도입관(4)(22) 및 (42)와 마찬가지로 통상 용기(1)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와 같은 회전방향의 대략 접선방향으로부터 용기(62)에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도입관(63)을 통하여 가열기체를 열풍실(62a)내에 도입하여 다공판(61)로부터 확대한 건조실(50)에 습도가 낮은 가열기체(2차 에어)를 분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선회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확대한 건조실(50)에 도달한 분립체는 이 장소에서 선회 상승기류의 상승온도가 급격히 저하하기 때문에 확대한 건조실(50)의 하부 및 그 하방의 연결부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한다. 그리고, 상승기류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 및 상기 다공판(61)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열기체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더욱 효과적인 건조작용(마무리 건조)을 받는다. 그리고 건조되어 가벼워진 분립체는 선히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작아지게 되고, 재차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에 동반하여 배출관(25)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관(25)으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는 분립체 분리기(26)에서 기류와 분리되어 양호하게 건조된 분립체로서 회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장치에 대하여 도15에 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5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피처리물인 분립체가 비교적 부착성이 적은 것인 경우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 장치는 앞서에 기재한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다공판(20)을 상하에 존재하는 다공판(3)으로부터 분리시킨 구조이다. 그 밖의 부분은 전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구(16)가 형성된 다공판(20)을 분립체의 공급관(23)이 접속되어 있는 건조실(2b)의 측벽보다 위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이 다공판(20)의 하부 원주면과 다공판(3)과의 사이의 건조실(2b)의 외주벽면을 도시한 바와 같이 재킷(70)으로 덮어서 그 재킷(70)과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71)에 관(72)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온수 또는 가열증기 등의 가열매체를 공급하여 관(73)을 통하여 배출하는 (이상은 온수의 경우이고, 가열증기의 경우는 공급과 배출관의 상하가 반대로 되는 것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구조로 하였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분립체의 도입관(23)을 통하여 건조실(2b)내로 공급된 분립체는 다공판(3)의 분출구(16)로부터 건조실(2b)내로 분출되어 그 다공판(3) 위에 고속의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가열기체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분산됨과 함께 그 선회 상승기류에 올라타고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다공판(20)이 설치된 위치에 도달한다.
다공판(20)이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는 도입관(22)을 통하여 가열기체가 열풍실(21a)내로 도입되어 다공판(20)으로부터 건조실(2b)내로 가열기체가 분출되므로써 다공판(20)에 연하여 원주방향으로 고속 선회하는 기류 즉, 상기한 에어링이 형성된다. 이 에어링은 선회하면서 통상 용기(1)의 내벽에 연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온 젖은 분립체를 저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분립체는 이 에어링의 하부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하여 가열기체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 및 외주벽면의 공간(71)으로 공급된 가열매체로부터 받는 전도전열에 의하여 효과적인 건조작용을 받는다. 그리고 건조되어 가벼워진 분립체는 선회 상승기류로부터 받는 원심력이 작아지게 되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링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에 동반하여 상승한다. 그 후는 상기한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장치에 대하여 도16 및 도17에 의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 장치에 있어서도 전기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6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전기한 제5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마찬가지로 피처리물인 분립체가 비교적 부착성이 적은 것인 경우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가열기체를 공급하는 도입관(80)을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용기(1)의 하부(81)에 접선방향으로 접속하여 통상 용기(1)내에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기구를 구성한 장치이다. 그 밖의 부분은 전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도입관(80)을 통하여 통상 용기(1)의 하부(81)에 접선방향으로부터 도입된 가열기체는 통상 용기(1)내를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도입관(23)을 통하여 통상 용기(1)내로 도입된 분립체는 상기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에 의하여 분산, 건조되면서 이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통상 용기(1)의 내주벽면에 연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확대한 건조실(50)에 도달한다.
이 확대한 건조실(50)에 있어서는 전기한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회 상승기류의 상승속도가 급격히 저하하기 때문에 분립체는 거의 동일 수평면내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체류한다. 그리고 분립체는 가열기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하여 효과적인 건조작용을 받아 그 후 건조되어 가벼워진 분립체는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기류에 동반하여 배출관(25)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관(25)으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는 분립체 분리기(26)에서 기류와 분리되어 양호하게 건조된 분립체로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한 장치와 같이 가열기체를 공급하는 도입관(80)을 통상용기(1)의 하부(81)에 접선방향으로 접속하여 통상 용기(1)내에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기구를 구성한 경우에는 도18에 도시한 제7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이 가열기체를 공급하는 상기 도입관을 분립체의 도입관과 겸용한 도입관(90)으로 하여 그 도입관(90)을 통하여 가열기체와 함께 분립체를 통상 용기(1)내에 공급하는 구조의 장치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1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같이 종래의 기류 건조기(100)의 건조관(101)의 출구측 단부를 상기 가열기체와 분립체 겸용의 도입관(90)에 접속하는 구조의 장치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종래의 기류건조기(100)를 통과하여 온 가열기체(배기)는 통상 용기(1)내에서 선회 상승기류로 변경되어 상기 기류의 흐름에 동반하여 건조처리되어 온 분립체는 그 통상 용기(1)내에서 전기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받아서 건조능력을 높일 수 있다. 즉, 기류건조기(100)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열기체의 온도 및 풍량으로 더욱 분립체의 도달수분을 낮게하거나 같은 도달수분의 경우에는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건조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19 중에서 부호 102는 고해기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각종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의 효과를 확인하는 시험예를 기재한다.
- 시험예 A -
함수율 24%WB의 MBS계 수지(평균입자경: 165㎛, 숭비중: 0.5)의 건조
〔시험예 A1〕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에 접선방향으로 가열기체 및 상기 분립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8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확대한 건조실(50)을 제거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이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1에 기재한다.
〔시험예 A2〕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에 하부 측벽의 다공판으로부터만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열풍실(2a)에 가열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관(4) 도중에 설치한 밸브(33)를 닫고 다공판(3)위에 평판을 올려놓은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1에 기재한다.
〔시험예 A3〕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의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4:6으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조건결과를 표1에 기재한다.
〔시험예 A4〕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7:3으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1에 기재한다.
〔시험예 A5〕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750㎜의 위치)에 내경이 350㎜, 길이가 2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7:3으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1에 기재한다.
표1
분립체의 공급량(㎏/Hr) 가열기체 고기비(-) 제품함수율(%WB) 부착상황
공탑속도(m/sec) 풍량(㎥/min) 중량(㎏/Hr) 입구온도(℃) 출구온도(℃)
시험예A1 50 6.0 16.6 890 110 83 0.056 - × 주1)
시험예A2 50 6.0 16.6 890 110 83 0.056 6.5 △ 주2)
시험예A3 50 6.0 16.6 890 110 83 0.056 6.5 ○ 주3)
시험예A4 50 6.0 16.6 890 110 83 0.056 6.2 ◎ 주4)
시험예A5 50 6.0 16.6 890 110 83 0.056 6.0
주1) 운전개시직후에 용기측면의 일부에 부착이 생겨서 그것이 운전과 함께 측면 전체에 확산되고, 또 저면에서 움직이지 않는 분립체도 많았다.
주2) 저면의 중심부에 원추상의 퇴적이 보였다.
주3) 측면의 일부에 얇은 부착이 보였지만 성장하지는 않았다.
주4) 부착은 전혀 생기지 않았다.
상기한 시험예 A로부터 젖은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경우에는 하부 측벽 및 하벽의 양자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통상 용기내에 도입하여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분립체의 부착퇴적이 적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통상 용기내에 도입하는 가열기체의 양은 하부 측벽으로부터 도입하는 양을 하벽으로부터 도입하는 양보다도 많게 한 쪽이 분립체의 부착퇴적이 적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기류건조기(간단히 직관내에 가열기체에 의한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물의 분산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서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더니 젖은 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기류에 올라타지 아니하고 건조기 하부로 낙하하는 것이 많았다. 또한 기류에 올라탄 분립체도 상방의 벤트부에 있어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많았다. 또 제품 함수율은 15%WB이었다.
- 시험예 B -
함수율 6%WB의 MBS계 수지(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험예 A5에서 얻어진 건조분립체)의 건조
〔시험예 B1〕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에 접선방향으로 가열기체 및 상기 분립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8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확대한 건조실(50)을 제거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2에 기재한다.
〔시험예 B2〕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5:5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2에 기재한다.
〔시험예 B3〕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750㎜의 위치)에 내경이 300㎜, 길이가 2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5:5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2에 기재한다.
〔시험예 B4〕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750㎜의 위치)에 내경이 350㎜, 길이가 2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내에 접선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8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2에 기재한다.
〔시험예 B5〕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750㎜의 위치)에 내경이 350㎜, 길이가 2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5:5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2에 기재한다.
〔시험예 B6〕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750㎜의 위치)에 내경이 350㎜, 길이가 2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의 외주벽면을 95℃의 온수에 의하여 가열하고, 그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고, 재킷내에 95℃의 온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5:5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2에 기재한다.
표2
분립체의 공급량(㎏/Hr) 가열기체 고기비(-) 제품함수율(%WB)
공탑속도(m/sec) 풍량(㎥/min) 중량(㎏/Hr) 입구온도(℃) 출구온도(℃)
시험예B1 50 6.0 16.6 890 110 80 0.056 2.2
시험예B2 50 6.0 16.6 890 110 79 0.056 1.9
시험예B3 50 6.0 16.6 890 110 75 0.056 0.67
시험예B4 50 6.0 16.6 890 110 75 0.056 0.48
시험예B5 50 6.0 16.6 890 110 75 0.056 0.46
시험예B6 50 6.0 16.6 890 110 75 0.056 0.40
주) 어떤 시험예에서도 장치내에서의 분립체의 부착퇴적을 보이지 않았다.
상기한 시험예B로부터 어느 정도 건조한 상태에 있는 분립체를 건조처리하는 경우에는 접선방향으로 가열기체를 통상 용기내에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여서도 분립체의 부착퇴적은 생기지 않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또한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반경을 도중에서 확대하거나 또는 통상 용기를 그 외주면으로부터 가열하면 분립체의 건조상태를 향상시킴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기류건조기에 있어서 피처리물의 분산기를 사용함이 없이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더니 제품함수율은 4.0%WB이었다. 다만, 초기함수율이 낮으므로 장치내에서의 분립체의 부착퇴적은 보이지 않았다.
- 시험예 C -
함수율 23%WB의 PVC(폴리염화비닐) 수지 파우더 (평균입자경: 130㎛)의 건조
〔시험예 C1〕
내경 3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7:3으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시험예 C2〕
내경 3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1050㎜의 위치)에 내경이 430㎜, 길이가 3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7:3으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시험예 C3〕
내경 3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1050㎜의 위치)에 내경이 430㎜, 길이가 350㎜의 확대부를 설치함과 함께 그 확대부의 측면에도 다공판을 설치한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시킴과 함께 그 확대부의 측벽의 다공판으로부터도 가열기체(2차 에어)를 도입하므로써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4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7:3으로 행하였고, 또한 2차 에어량은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공급한 가열기체량의 15%에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시험예 C4〕
내경 3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1050㎜의 위치)에 높이방향 40㎜의 폭에서 측벽 전주면에 다공판을 설치한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상기 분립체를 동반시킴과 함께 그 직관도중의 측변 전주면에서 설치한 다공판으로부터도 가열기체(에어링용)를 도입하므로써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0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7:3으로 행하였고, 또 에어링용으로 공급한 가열기체량은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공급한 가열기체량의 15%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시험예 C5〕
내경 3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에서 하부 측벽부의 다공판을 하벽으로부터 175㎜의 위치에 설치한 용기의 하부 측벽의 다공판과 하벽의 사이의 외주벽면을 1㎏/㎠-G의 가열수증기에 의하여 가열하여 그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5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확대한 건조실(50)을 제거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8:2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시험예 C6〕
내경 3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직관도중(하벽으로부터 1050㎜의 위치)에 내경이 430㎜, 길이가 350㎜의 확대부를 설치함과 함께 하부 측벽부의 다공판을 하벽으로부터 175㎜의 위치에 설치한 용기의 하부 측벽의 다공판과 하벽과의 사이의 외주벽면을 1㎏/㎠-G의 가열수증기에 의하여 가열하고, 그 용기내에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그 선회 상승기류에 동반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5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리고 하부 측벽 및 하벽의 다공판으로부터 각각 건조실(2b)내에 공급하는 가열기체량의 비는 8:2로 행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표3
분립체의 공급량(㎏/Hr) 가열기체 고기비(-) 제품함수율(%WB)
공탑속도(m/sec) 풍량(㎥/min) 중량(㎏/Hr) 입구온도(℃) 출구온도(℃)
시험예C1 150 7.0 40.4 2063 120 73 0.073 3.0
시험예C2 220 7.0 40.4 2063 120 62 0.107 0.8
시험예C3 220 7.0 40.4 2063 120 62 0.093 0.5
시험예C4 220 7.0 40.4 2063 120 59 0.093 1.1
시험예C5 210 6.1 35.0 1829 120 71 0.115 0.3
시험예C6 210 6.1 35.0 1829 120 70 0.115 0.2
주) 시험예 C1 및 C2에 있어서 309(㎏/Hr)의 가열기체를 추가 공급하고 있다(고기비의 계산에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시험예 C로부터 통상 용기내의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직경을 도중에서 확대하여 그 선회 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가열기체를 도입하거나 또는 통상 용기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고속 선회하는 기류 즉, 에어링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기한 에어링이 형성된 위치의 하방에 위치하는 통상 용기의 외주면을 가열하면 분립체의 건조상태를 향상시킴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 시험예 D -
함수율 23%WB의 PVC(폴리염화비닐) 수지 파우더(평균입자경: 130㎛)의 건조
〔시험예 D1〕
내경 145㎜, 길이가 14.5m로서 굴곡부를 3개소 가지고 있는 종래의 기류건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9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통상 용기(1)를 제거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4에 기재한다.
〔시험예 D2〕
내경 145㎜, 길이가 14.5m로서 굴곡부를 3개소 가지고 있는 종래의 기류건조기의 건조관의 출구측 단부를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통상 용기의 하부에 접선방향으로부터 접속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9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확대한 건조실(50)을 제거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4에 기재한다.
〔시험예 D3〕
내경 145㎜, 길이가 14.5m로서 굴곡부를 3개소 가지고 있는 종래의 기류건조기의 건조관의 출구측 단부를 내경 250㎜, 길이가 내경의 5배의 통상 용기의 도중(하벽으로부터 750㎜의 위치)에 내경이 350㎜, 길이가 250㎜의 확대부를 설치한 용기의 하부에 접선방향으로부터 접속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구체적으로는 도19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분립체를 건조처리하였다).
그 밖의 분립체의 건조조건 및 건조결과를 표4에 기재한다.
표4
분립체의 공급량(㎏/Hr) 가열기체 고기비(-) 제품함수율(%WB)
공탑속도(m/sec) 풍량(㎥/min) 중량(㎏/Hr) 입구온도(℃) 출구온도(℃)
시험예D1 72 19.0 18.8 987 120 66 0.073 2.9
시험예D2 72 19.0 18.8 987 120 64 0.073 0.7
시험예D3 72 19.0 18.8 987 120 63 0.073 0.3
주) 공탑속도라 함은 기류건조관 중의 가열기체의 속도이다. 또 시험예 D1에 있어서, 출구온도라 함은 분립체 분리기의 입구온도를 말한다.
상기한 시험예 D로부터 종래의 기류건조기의 건조관의 출구측 단부를 통상 용기의 하부에 접선방향으로부터 접속하고, 통상 용기내에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기류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분립체를 재차 본 발명에 의한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처리하면 기류건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열기체의 온도 및 풍량으로 더욱 분립체의 건조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는 종래의 기류건조기가 가지고 있는 이점을 구비하면서 건조기내에서의 분립체의 분산작용을 가지고 있고, 또한 분립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이다. 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립체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분립체는 각종 무기물, 유기물, 금속, 폴리머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처리하는 분립체가 각종의 유기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나 분립체의 물성 등에 의하여 발화나 폭발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가열기체로서 공기 대신에 질소가스 등의 각종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면 된다.

Claims (21)

  1. 임의의 높이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내에 가열기체에 의한 선회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그 선회 상승기류 중에 분립체를 분산 부유시켜서 건조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상기 선회 상승기류를 통상 용기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를 도입함과 함께 통상 용기내의 하벽 전주면으로부터도 통상 용기와 동심원상의 대략 주위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열기체르 도입하므로써 상기 선회 상승기류를 통상 용기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으로부터 도입되는 가열 기체의 양이 통상 용기의 하벽 전주면으로부터 도입되는 가열기체의 양과 같은 양 또는 그 양을 넘는 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체의 건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를 외주면으로부터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를 축방향으로 분할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내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상기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다시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그 위치에 에어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 직경을 그 상승도중에 있어서 확대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8.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 직경을 그 상승도중에 있어서 확대함과 함께 선회 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통상 용기를 외주면으로부터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 직경을 그 상승도중에 있어서 확대함과 함께 선회 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상기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다시 가열기체를 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내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상기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다시 가열기체를 도입하므로써 그 위치에 에어링을 형성함과 함께 그 에어링이 형성된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통상 용기를 외주면으로부터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방법.
  11. 임의의 높이의 수평단면이 동심원상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와, 그 통상 용기의 하부에 접속된 분립체 및 가열기체의 도입관과, 전기 도입관에 의하여 도입된 가열기쳬를 상기 통상 용기내에 있어서 선회 상승기류로 하는 선회기구와 전기 통상 용기의 상부에 접속된 분립체 및 가열기체의 배출관을 구비한 분립체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을 개구가 통상 용기의 접선방향의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므로써 상기 가열기체의 선회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2. (정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하부 측벽 전주면을 개구가 통상 용기의 접선방향의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고, 그 용기에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함과 함께 상기 통상 용기의 하벽 전주면을 개구가 통상 용기와 동심원상의 거의 주위방향의 일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다공판을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하방을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도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므로써 상기 가열기체의 선회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3.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이 다공판을 덮는 상기 용기에 다공판에 형성된 분출구의 상기 개구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접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4.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을 재킷에 의하여 덮어서 그 재킷과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가열매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5.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를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분할하여 그 분할한 각각의 부재의 개구단면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그 플랜지를 맞대어서 클램프 등으로 착탈자재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6.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임의의 높이의 위지에서의 측벽 전주면을 개구가 상기 선회기구에 의하여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를 가지고 있는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도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므로써 그 위치에 에어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7.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를 그 축방향 도중에 있어서 수평단면이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확대한 동심원상으로 되는 내부공간을 가시고 있는 통상 용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8.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를 그 축방향 도중에 있어서 수평단면이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확대한 동심원상으로 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로 함과 함께 이 확대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부분의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을 재킷으로 덮어서 그 재킷과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가열매쳬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19. (정정) 제11항에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를 그 축방향 도중에 있어서 수평단면이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확대한 동심원상으르 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통상 용기로 함과 함께 이 확대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 부분의 통상 용기의 측벽을 개구가 상기 선회기구에 의하여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를 가지고 있는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도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20.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한 부분의 내부공간의 수평단면적이 다른 부분의 내부공간의 수평단면적의 1.1∼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21. (정정)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용기의 임의의 높이의 위치에 있어서의 측면 전주면을 개구가 상기 선회기구에 의하여 통상 용기내에 형성되는 선회 상승기류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분출구를 가지고 있는 다공판으로 구성하여 그 다공판의 주위를 용기에 의하여 덮어서 그 용기에도 상기 가열기체의 도입관을 접속하므로써 그 위치에 에어링을 형성함과 함께 이 에어링이 형성된 하방에 위치하는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을 재킷에 의하여 덮어 그 재킷과 통상 용기의 외주벽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가열매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의 건조장치.
KR1019980705062A 1995-12-30 1996-12-24 분립체의건조방법및건조장치 KR100303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53110 1995-12-30
JP35311095 1995-12-30
PCT/JP1996/003751 WO1997024570A1 (fr) 1995-12-30 1996-12-24 Procede et appareil de sechage de corps pulver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934A KR19990076934A (ko) 1999-10-25
KR100303686B1 true KR100303686B1 (ko) 2001-11-22

Family

ID=1842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062A KR100303686B1 (ko) 1995-12-30 1996-12-24 분립체의건조방법및건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48540A (ko)
EP (1) EP0871003B1 (ko)
JP (1) JP3145412B2 (ko)
KR (1) KR100303686B1 (ko)
CN (1) CN1096601C (ko)
DE (1) DE69633192T2 (ko)
TW (1) TW397915B (ko)
WO (1) WO1997024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8280B2 (ja) * 1998-07-24 2002-11-20 株式会社奈良機械製作所 液状物質の乾燥方法及び液状物質の乾燥装置
MXPA01012838A (es) * 1999-06-16 2004-04-21 Marine Biotech Inc Reactor de fluidificacion y metodo para eltratamiento de fluidos.
PL378286A1 (pl) * 2005-12-06 2007-06-11 International Tobacco Machinery Poland Ltd Urządzenie do kondycjonowania materiału pochodzenia roślinnego
WO2007069764A1 (ja) * 2005-12-14 2007-06-21 Nara Machinery Co., Ltd. 粉粒体の解砕整粒装置および粉粒体の解砕整粒方法
KR100924890B1 (ko) * 2006-09-15 2009-11-02 어쓰 링크 가부시키가이샤 분쇄물 제조 장치
US7908765B2 (en) * 2006-12-22 2011-03-22 Collette Nv Continuous granulating and drying apparatus
DE102011014131A1 (de) 2011-03-15 2012-09-20 Thyssenkrupp Uhde Gmbh Verfahren zur Trocknung von feuchtem Polymerpulver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DE102012011269A1 (de) * 2012-02-22 2013-08-22 Harmanus Tapken Trocknungsvorrichtung für eine Biogasanlage und ein Verfahren zum Trocknen eines Flüssigproduktes mit einer solchen Trocknungsvorrichtung
JP2014119192A (ja) * 2012-12-17 2014-06-30 Kureha Corp 脱水乾燥装置および重合体の製造方法
JP2015021642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Ihi 乾燥装置
WO2016008484A1 (en) * 2014-07-16 2016-01-21 Gea Process Engineering A/S A vertical flash tube dryer, and method for cooling product deposits in such a flash dryer
CN104568527B (zh) * 2014-12-30 2018-04-03 青岛恒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气溶胶收集装置
GB2534159B (en) * 2015-01-14 2017-08-30 Clyde Process Ltd Apparatus for drying conveyed material
CN110608584A (zh) * 2018-06-14 2019-12-24 江苏搏斯威化工设备工程有限公司 气流干燥机
EP3663687B1 (en) * 2018-12-05 2024-01-24 ED-IPR ApS An apparatus, a bottom plate component and a method for drying bulk particulate material
CN111486671A (zh) * 2020-04-21 2020-08-04 方彐云 一种烘干效果好的环保型茶叶烘干机
CN112622123B (zh) * 2020-10-23 2022-06-10 浙江中科玖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透明聚酰亚胺流延薄膜干燥设备
CN115597313A (zh) * 2021-07-07 2023-01-13 天华化工机械及自动化研究设计院有限公司(Cn) 一种立式旋转搅拌流化式干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2897A (en) * 1940-02-13 1942-08-11 Smidth & Co As F L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US2731393A (en) * 1953-03-02 1956-01-1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Desulfurization and sweetening process
JPS4410394B1 (ko) * 1965-05-24 1969-05-14
JPS4528231Y1 (ko) * 1967-12-25 1970-10-30
JPS5014385B1 (ko) * 1970-01-29 1975-05-27
JPS5014385A (ko) * 1973-06-06 1975-02-14
US3915657A (en) * 1974-05-21 1975-10-28 Hercules Inc Stepped distributor plate fluidized bed reactor
DE2432627C3 (de) * 1974-07-06 1979-03-22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emperaturbehandlung eines Gemisches von !einteiligen festen Stoffen und Gasen
GB1548264A (en) * 1975-12-04 1979-07-11 Kureha Chemical Ind Co Ltd Method of exothermically heat-treating a suspended material in a furnace and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such a material
DE2926597C2 (de) * 1979-07-02 1983-03-03 Hoechst Ag,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m Vermindern der Feuchtigkeit von nassen Substanzen mit zwei rohrförmigen hintereinandergeschalteten Behandlungsbehältern
US4299563A (en) * 1980-06-02 1981-11-10 National Gypsum Company Cyclone processor and separator
DE3108875A1 (de) * 1981-03-09 1982-09-16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Drehstroemungswirbler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feinkoernigem oder granulatfoermigem gut
JPS608301Y2 (ja) * 1981-10-05 1985-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熱風乾燥装置
JPS58187778A (ja) * 1982-04-26 1983-11-02 株式会社大川原製作所 流動床
US4532155A (en) * 1983-08-08 1985-07-30 G. D. Searle & Co.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granulating and/or drying particles
US5068979A (en) * 1990-01-11 1991-12-03 Blaw Knox Food & Chemical Equipment Company Apparatus for conditioning particulate material
US5230281A (en) * 1991-07-10 1993-07-27 Blaw Knox Food & Chemical Equipment Co.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or the like
ATE147658T1 (de) * 1992-11-19 1997-02-15 Niro Holding 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pulverförmigen oder körnigen materials oder produkts mit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601C (zh) 2002-12-18
TW397915B (en) 2000-07-11
EP0871003B1 (en) 2004-08-18
WO1997024570A1 (fr) 1997-07-10
EP0871003A4 (en) 1999-12-29
US6148540A (en) 2000-11-21
DE69633192D1 (de) 2004-09-23
JP3145412B2 (ja) 2001-03-12
EP0871003A1 (en) 1998-10-14
KR19990076934A (ko) 1999-10-25
CN1207168A (zh) 1999-02-03
DE69633192T2 (de)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686B1 (ko) 분립체의건조방법및건조장치
AU2006343009B2 (en) Agglom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gglomerated particles
US5647142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a moist material dispersed or dispersible in a stream of drying gas
AU760478B2 (en) A process and a plant for spray drying
RU267304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даления текучих сред и твердых веществ из смеси имеющих форму частиц материалов
JPH076737B2 (ja) 固形粒状物から液体を除去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348280B2 (ja) 液状物質の乾燥方法及び液状物質の乾燥装置
RU22284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з дисперсного вещества
US20050050761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powder from biomaterials
CA1244650A (en) Heat exchanger
US11913721B2 (en) Apparatus, a bottom plate component and a method for drying bulk particulate material
KR100696053B1 (ko)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및 유동층 조립 코팅 방법
JP4535556B2 (ja) 造粒乾燥方法並びに流動層造粒乾燥機
JP3986152B2 (ja) 粉粒体の乾燥装置
US5616303A (en) Centrifugal bed reactor
PL204355B1 (pl) Urządzenie do suszenia rozpyłowego
US11766652B2 (en) Gas-solid contacting device
JPH01176438A (ja) 粒子の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粒子のコーティング装置
SU1763827A1 (ru) Способ сушк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US4241516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pulverized granular material with a fluid stream
OA20385A (en) Gas-solid contacting device.
SU1124171A1 (ru) Сушилка термолабильны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продуктов
WO1991019146A1 (en) Polymer drier and gas dischar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