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010B1 -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010B1
KR100303010B1 KR1019980053403A KR19980053403A KR100303010B1 KR 100303010 B1 KR100303010 B1 KR 100303010B1 KR 1019980053403 A KR1019980053403 A KR 1019980053403A KR 19980053403 A KR19980053403 A KR 19980053403A KR 100303010 B1 KR100303010 B1 KR 10030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clutch
clos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410A (ko
Inventor
이광남
한학기
임우영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8005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010B1/ko
Priority to TW088120770A priority patent/TW458939B/zh
Priority to JP34576599A priority patent/JP3343229B2/ja
Priority to US09/455,788 priority patent/US6340073B1/en
Priority to CNB991254228A priority patent/CN1205107C/zh
Publication of KR2000003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도어를 승장도어와 연결하여 함께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동시에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는 승강기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에 의해 승강기도어(7,7')를 직접 개폐이동시키지 않고, 한쌍의 클러치바아(32,32')가 승장도어의 래치작동레버(21)를 작동시켜 그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움직이는 래크(36)와 피니언(34)을 구비한다. 래크(36)와 피니언(34)에 의해 승장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그 래크(36)가 승강기도어를 이끌도록 구속된다. 따라서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의 동시개폐를 통해 도어개방초기와 도어닫힘단에서의 충격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도어의 개폐시간을 빠르게 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ELEVATOR CLUTCH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승강기도어를 각층 승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장도어와 연결하여 함께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개선된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승강기에 설치된 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통하는 승장에 설치된 승장도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층에서의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그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모두 개폐하여야 한다.
동력을 사용하여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의 개폐함에 있어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른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구동원을 승강기측에 설치하여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함께 개폐하는 수단이 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승강기에 설치된 하나의 구동원으로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함께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승강기가 각층에 정차하였을 때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연결해주는 이른바 클러치장치(clutch device)가 사용된다.
한편, 승강기가 지정된 정차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승장도어가 수동으로 열리게 되면 승장 아래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그 승장도어를 임의로 열 수 없게 로킹하고 승강기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한 상태에서 승강기도어의 열림동작이 개시될 때만 상기 클러치장치에 의해 해제되는 랜딩도어록수단(landing door lock device)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과 관련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승강기에 설치되는 클러치장치와 함께 벨트방식 도어개폐수단을 승강도어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2는 승장에 설치되는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승강기도어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잠금해제하기 전의 그 연결상태 및 잠금해제한 후의 그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어개폐수단은 승강기프레임(1)에 설치된 구동모터(2)와, 승강기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력을 벨트(3)를 통해 전달받는 구동풀리(4)와, 상기 승강기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4)와 타이밍벨트(timing belt)(6)로 연결된 종동풀리(5)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벨트(6)는 구동모터(2)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기프레임(1)에 설치된 레일(9)에는 좌우 한쌍의 헹거플레이트(hanger plate)(8,8')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헹거플레이트(8,8')에는 승강기도어(7,7')가 일체로 매달려 있다. 한쌍의 헹거플레이트(8,8')중 한쪽 헹거플레이트(8)에는 타이밍벨트(6)가 연결되어 이에 매달린 승강기도어(7)가 타이밍벨트(6)의 좌우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 헹거플레이트(8')는 로프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헹거플레이트(8)에 연동 연결되어 일측헹거플레이트(8)와 승강기도어(7)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타측 헹거플레이트(8')와 승강기도어(7')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랜딩도어록수단(20)은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 및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한 후 도어개페가 이루어지기 직전까지는 승장도어(17,17')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대응하는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에 고정 설치된 로커(23)와, 상기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대응하는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커(23)에 걸리는 래치(22) 및, 상기 래치(22)와 일체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래치작동레버(21)로 구성된다.
상기 래치작동레버(21)는 상기 래치(22)에 대하여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래치(22)와 래치작동레버(21)는 그 연결부위에서 상기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에 힌지연결되는 것으로, 래치(22)와 래치작동레버(21) 사이의 각도는 래치(22)가 로커(23)에 걸린 상태에서 래치작동레버(21)가 래치(22)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각도로 되어 있다.
상기 래치작동레버(21)의 상하단에는 실질적으로 고정클러치바아(12)와 가동클러치바아(12)에 접촉되는 롤러(21a,21b)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수단(10)은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여 승강기도어(7,7')가 도어개폐수단에 의하여 개방되기 전까지는 상기 랜딩도어록수단(20)을 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여 승강기도어(7,7')가 도어개폐수단에 의하여 개방될 때 랜딩도어록수단(20)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해제수단과,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연동하여 록해제수단을 작동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해제수단은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고정된 베이스(11)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클러치바아(12)와, 상기 베이스(11)에 한쌍의 클러치아암(14,14')에 의해 링크연결되어 상기 고정클러치바아(1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동클러치바아(13)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승강기프레임(1)에 고정되어 가동클러치바아(1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캠플레이트(15)와, 상기 가동클러치바아(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캠플레이트(15)의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연동롤러(1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승강기측에서 볼 때, 상기 승강기도어(7,7')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롤러(16)가 캠플레이트(15) 위로 올라가고 연동롤러(1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가동클러치바아(13)가 상승하여 클러치아암(14,14')이 수평보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되어 고정클러치바아(12)와 가동클러치바아(13)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승장측에서 볼 때, 승장도어(17,17')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2)가 로커(23)에 걸려서 승장도어(17,17')가 임의로 열리지 않는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래치(22)에 결합된 래치작동레버(21)는 래치(22)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가 승장에 접근하기 시작하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18')측에 설치된 래치작동레버(21)와 롤러(21a,21b)가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8')측에 설치된 고정클러치바아(12)와 가동클러치바아(13)의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고정클러치바아(12)와 가동클러치바아(13)의 사이가 벌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래치작동레버(21)의 상측 롤러(21a)는 고정클러치바아(12)에 근접하고 하측 롤러(21b)는 가동클러치바아(13)에 근접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승강기도어(7,7')의 개방동작이 시작되면,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는 타이밍벨트(6)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가동클러치바아(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연동롤러(16)가 승강기프레임(1)에 고정된 캠플레이트(15)에서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게 되며,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클러치바아(13)가 하강하고 클러치아암(14,1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클러치바아(13)가 고정클러치바아(12)측으로 접근하면서 상측 롤러(21a)가 고정클러치바아(12)에 근접하고 있는 래치작동레버(21)의 하측 롤러(21b)를 고정클러치바아(13)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작동레버(21)와 이에 일체로 결합된 래치(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래치(22)가 로커(23)로부터 이탈되어 승장도어(17,17')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후, 도어개폐수단의 계속되는 개방동작에 따라 승강기도어(7,7')가 개방됨과 아울러 승강기도어(7,7')에 로프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승장도어(17,17')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들의 닫힘동작은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승장도어(17,17')의 랜딩도어록과 해제는 가동클러치바아(13)만의 이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가동클러치바(13)의 스트로크가 길어지고 승강기도어(7,7')가 개폐되기 시작한 후 승장도어(17,17')가 개폐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고, 초기의 열림속도를 빠르게 할 경우 기계적인 충격이 야기되며, 또한 승강기도어의 닫힘동작시 그 닫힘단 근방에서 승장도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승강기도어의 닫힘속도에 의하여 그 닫힘단 근방에서 승장도어가 서로 강하게 부닥치는 현상이 나타난다. 도어개폐시의 기계적인 충격은 도의 심한 진동 및 소음을 야기하여 불안감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
또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시의 기계적 충격과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기도어의 개폐속도를 느리게 설정하여 왔는데, 이로 인해 도어개폐시간이 길어져 승객의 승하차에 불편이 따랐으며, 시스템 전체의 승객수송효율도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목적은, 종래의 클러치장치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데에 상기한 문제점의 원인이 있음을 감안, 도어개폐시의 충격과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고 도어개폐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승강기도어의 열림동작이 개시되기 전에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미리 해제시켜서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를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게 개선된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를 승강기도어의 도어개폐수단과 함께 승장도어측에서 본 정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와 연결되는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승강기도어측에서 본 배면도.
도 3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잠금해제하기 전의 그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잠금해제한 후의 그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를 승강기도어의 개폐구동수단과 함께 승장도어측에서 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잠금해제하기 전의 그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잠금해제한 후의 그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구동모터4 : 구동풀리
6 : 타이밍벨트7,7' : 승강기도어
17,17' : 승장도어20 : 랜딩도어록수단
21 : 래치작동레버30 : 클러치수단
32,32' : 클러치바아33,33' : 클러치아암
34 : 피니언35,35' : 연동링크
36 : 래크37 : 안내장공
38 : 안내롤러39 : 구속유지레버
39a : 걸림단40 : 연동롤러
41 : 캠플레이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로 주행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여 승강기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수단과; 일측 승장도어의 헹거플레이트에 고정된 로커와, 타측 승장도어의 헹거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시 상기 로커에 걸리는 래치와, 이 래치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작동레버를 가지는 랜딩도어록수단과; 상기 일측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승강기프레임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에 고정된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래치가 로커에서 록해제되도록 하여 도어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가 동시에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하나의 4절링크를 이루는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와 상하 한쌍의 클러치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기도어가 열릴 때 상기 클러치바아가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래치가 로커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록해제수단과; 상기 록해제수단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기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와, 상기 한쌍의 클러치바아와 한쌍의 클러치아암의 힌지연결부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피니언에 힌지연결되는 한쌍의 평행한 연동링크를 포함하는 연동수단과;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에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래크에는 상기 안내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장공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캠플레이트와, 상기 래크의 일단에 중간부가 힌지연결되어 일단에는 상기 캠플레이트에 연동되는 연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에는 래크가 도어개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안내롤러에 걸려서 안내롤러를 구속하는 구속유지레버와, 이 구속유지레버를 구속위치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구속유지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클러치장치가 적용되어 있는 승강기도어를 그 도어개폐수단과 함께 승강도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가 승장도어의 랜딩도어록수단을 잠금해제하기 전의 그 연결상태 및 잠금해제한 후의 그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승강기프레임(1)과, 구동모터(2), 벨트(3), 구동풀리(4), 종동풀리(5), 타이밍벨트(6)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어개폐수단과, 승강기도어(7,7'),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8'), 승장도어(17,17'),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18'), 레일(9) 등의 구성과, 승강기도어(7,7')와 승장도어(17,17')를 연동시키는 구성 및, 래치작동레버(21)와 래치(22)와 로커(23)로 구성되는 랜딩도어록수단(20)의 구성은 상술한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수단(3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랜딩도어록수단(20)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해제수단과,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상기 록해제수단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해제수단은 하나의 4절링크를 이루는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32,32')와 상하 한쌍의 클러치아암(33,33')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 한쌍의 클러치아암(33,33')은 그 중간부가 상기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고정된 베이스(31)에 힌지연결된다.
상기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32,32')와 상하 한쌍의 클러치아암(33,33')은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32,32')의 사이가 벌어졌을 때 그 사이로 상기 래치작동레버(21)와 롤러(21a,21b)가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클러치아암(33,33')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34)과, 상기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32,32')와 상측 클러치아암(33)의 힌지연결 위치에 하단이 힌지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피니언(34)에 힌지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연동링크(35,35')와, 상기 도어개폐수단을 구성하는 타이밍벨트(6)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34)에 맞물리는 기어부(36')를 가지는 래크(36)로 구성된다.
상기 래크(36)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안내장공(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31)에는 연결부재(31a)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장공(37)에 끼워지는 안내롤러(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장공(37)의 길이는 도 5a와 같이 래치(22)가 로커(23)에 걸린 상태에서는 안내롤러(38)가 안내장공(37)의 좌측단에 위치하고, 도 5b와 같이 래치(22)가 로커(23)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안내롤러(38)가 안내장공(37)의 우측단에 위치하게 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수단을 구성하는 록해제수단과 연동수단의 작용을 개폐수단과 랜딩도어록수단과 함께 설명한다.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와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한 후 도어개페수단에 의한 승강기도어(7,7')의 개방동작이 시작되기 전에는 일측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에 설치된 래치(22)는 타측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에 설치된 로커(23)에 걸려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양측 헹거플레이트(18,18')에 매달려 있는 승장도어(17,17')는 임의로 열리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승강기도어(7,7')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록해제수단 및 연동수단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수단의 피니언(34)이 래크(36)의 기어부(36a)의 좌측단부에 맞물리고, 안내롤러(38)가 안내장공(37)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며, 피니언(34)에 연결된 연동링크(35,35')의 상단은 피니언(34)의 회전중심 양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어 이 연동링크(35,35')의 하단에 연결된 클러치아암(33,33')이 수평상태로 되고 이에 연결된 클러치바아(32,32')가 가장 넓게 벌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게 되면,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18')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22)의 래치작동레버(21)와 롤러(21a,21b)가 가장 넓게 벌어져 있는 양측클러치바아(32,32')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개폐수단의 도어 개방 작동이 시작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6)에 결합된 래크(36)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크(36)의 기어부(36a)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3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의 연동링크(35')는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좌측의 연동링크(35)는 하방으로 밀어내리게 되며, 이 연동링크(35,35')에 연결된 클러치아암(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클러치아암(33,33')에 연결된 우측 클러치바아(32')는 상승하고 좌측 클러치바아(32)는 하강함과 동시에 클러치바아(32,32')들은 서로 접근하게 된다.
클러치바아(32,32')들이 서로 접근함에 따라 그 사이에 진입해 있는 록해제레버(21)의 상측 롤러(21a)는 우측 클러치바아(32)에 의하여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하측 롤러(21b)는 좌측 클러치바아(32')에 의하여 우측으로 밀리게 되고, 록해제레버(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세워지게 되고, 이에 일체로 회동되는 래치(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래크(36)가 계속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내롤러(38)가 래크(36)에 형성된 안내장공(37)의 우측단에 도달하게 시점에 되면, 록해제레버(21)는 완전히 세워진 상태로 되고 이 시점에서 래치(22)는 로커(23)로부터 이탈되어 승장도어(17,17')의 랜딩도어록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래크(36)는 타이밍벨트(6)에 의하여 계속 좌측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베이스(31)에 연결된 안내롤러(38)가 래크(36)의 안내장공(37)의 우측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타이밍벨트(6)의 힘이 래크(36), 안내롤러(38), 연결부재(31a), 베이스(31),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열리는 방향으로 전달됨과 아울러 이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로프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는 타측 승강기도어 행거플레이트(8')에도 열리는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때,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18')들도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8')에 로프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타이밍벨트(6)의 힘이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18')에 전달된다.
결국,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8')와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18,18')에 매달려 있는 승강기도어(7,7')와 승장도어(17,17')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승강기도어(7,7')와 승장도어(17,17')들의 닫힘 작동은 열림 작동과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 개방 과정에서 랜딩도어록이 해제된 후 도어 개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도어가 완전히 열리는 시점까지 타이밍벨트(6)의 힘이 래크(36), 안내롤러(38), 연결부재(31a), 베이스(31),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8)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안내장공(37)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안내롤러(38)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속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구속수단은 승강기프레임(1)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캠플레이트(41)와, 상기 래크(36)의 일단에 중간부가 힌지연결되어 일단에는 상기 캠플레이트(41)에 연동되는 연동롤러(4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에는 상기 안내롤러(38)가 래크(36)의 안내장공(37)의 우측단에 위치하였을 때안내롤러(38)에 걸리는 걸림부(39a)를 가지는 구속유지레버(39) 및, 상기 구속유지레버(39)를 상기 구속위치로 유지시키는 탄성부재(42)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도시례와 같이 압축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비틀림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구속수단의 작용을 설명한다.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나 승장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되기 전까지의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유지레버(39)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연동롤러(40)가 캠플레이트(41)의 상측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되므로 구속유지레버(39)의 걸림부(39a)는 안내롤러(38)에 걸릴 수 없는 위치로 유지된다.
상술한 랜딩도어록 해제 작동이 진행되기 시작하면, 래크(36)의 이동에 따라 구속유지레버(39)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동롤러(40)가 캠플레이트(41)의 상측 상면으로부터 경사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랜딩도어록 해제 작동이 완료되는 시점, 즉 안내롤러(38)가 안내장공(37)의 우측단에 위치하게 되는 시점이 되면 연동롤러(40)는 캠플레이트(41)의 경사부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구속유지레버(39)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걸림부(39a)가 상기 안내롤러(38)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롤러(38)는 안내장공(37)의 우측단과 구속유지레버(39)의 걸림부(39a)에 의하여 갇혀진 상태로 구속된다.
이후, 도어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안내롤러(38)가 안내장공(37)의 우측단과 구속유지레버(39)의 걸림부(39a)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에서 래크(36)가 타이밍벨트(6)에 의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래크(36)가 좌우로 유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클러치바아(32,32')의 간격이 다시 넓어지거나 넓어졌다 좁아졌다 하는 일이 없게 되어 도어 열림 작동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어닫힘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열림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승강기도어 및 승장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승장도어가 다시 잠기게 되고, 승강기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기도어를 각층 승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장도어를 함께 개폐하기 위해 연결하여 주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장치를 그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록해제레버를 작동시키는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가 동시에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된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랜딩도어록 상태를 해제하거나 랜딩도어록이 이루어지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략 절반 정도로 단축되어 전체적인 도어의 개폐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랜딩도어록이 해제된 후 도어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개방초기와 도어닫힘단에서의 충격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고 또 도어의 개폐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도어개폐시에 충격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불안감을 덜어주고 고장발생률을 낮추는데 효과이며, 또한 도어개폐시간 단축을 통해 이용승객의 불편을 덜어주고 승하차의 신속성을 기함으로써 승객수송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Claims (2)

  1.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로 주행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여 승강기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수단과;
    일측 승장도어의 헹거플레이트에 고정된 로커와, 타측 승장도어의 헹거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시 상기 로커에 걸리는 래치와, 이 래치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작동레버를 가지는 랜딩도어록수단과;
    상기 일측 승장도어 헹거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승강기프레임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측 승강기도어 헹거플레이트에 고정된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가 승장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래치가 로커에서 록해제되도록 하여 도어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기도어와 승장도어가 동시에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하나의 4절링크를 이루는 좌우 한쌍의 클러치바아와 상하 한쌍의 클러치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기도어가 열릴 때 상기 클러치바아가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래치가 로커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록해제수단과;
    상기 록해제수단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도어개폐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기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와, 상기 한쌍의 클러치바아와 한쌍의 클러치아암의 힌지연결부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피니언에 힌지연결되는 한쌍의 평행한 연동링크를 포함하는 연동수단과;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래크에는 상기 안내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장공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캠플레이트와, 상기 래크의 일단에 중간부가 힌지연결되어 일단에는 상기 캠플레이트에 연동되는 연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에는 래크가 도어개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안내롤러에 걸려서 안내롤러를 구속하는 구속유지레버와, 이 구속유지레버를 구속위치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구속유지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러치장치.
KR1019980053403A 1998-12-07 1998-12-07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KR10030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403A KR100303010B1 (ko) 1998-12-07 1998-12-07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TW088120770A TW458939B (en) 1998-12-07 1999-11-29 Elevator door system
JP34576599A JP3343229B2 (ja) 1998-12-07 1999-12-06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US09/455,788 US6340073B1 (en) 1998-12-07 1999-12-07 Elevator door system
CNB991254228A CN1205107C (zh) 1998-12-07 1999-12-07 电梯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403A KR100303010B1 (ko) 1998-12-07 1998-12-07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410A KR20000038410A (ko) 2000-07-05
KR100303010B1 true KR100303010B1 (ko) 2002-05-09

Family

ID=1956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03A KR100303010B1 (ko) 1998-12-07 1998-12-07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40073B1 (ko)
JP (1) JP3343229B2 (ko)
KR (1) KR100303010B1 (ko)
CN (1) CN1205107C (ko)
TW (1) TW458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8332B2 (en) * 2000-11-15 2003-01-21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US6659514B2 (en) * 2001-05-04 2003-12-09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Swinging elevator hatchway door interlock
US6446759B1 (en) * 2001-06-08 2002-09-10 Otis Elevator Company Door coupler and latch system for elevator car and landing doors
KR100420041B1 (ko) * 2001-07-10 2004-02-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US7137484B2 (en) * 2003-05-27 2006-11-21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CN100515906C (zh) * 2003-11-04 2009-07-22 奥蒂斯电梯公司 电梯门操作器以及联锁装置的布置
JP4544887B2 (ja) * 2004-03-26 2010-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ITMI20042249A1 (it) * 2004-11-19 2005-02-19 Sematic Italia Spa Scivolo attivo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FI117283B (fi) * 2005-02-04 2006-08-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2008063015A (ja) * 2006-09-04 2008-03-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開き防止装置
US20100236871A1 (en) * 2007-11-01 2010-09-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vibration and noise isolator
DE112009001168T5 (de) 2008-05-15 2011-04-28 ULVAC, Inc., Chigasaki-shi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ünnfilmsolarbatteriemoduls sowie Dünnfilmsolarbatteriemodul
WO2009153845A1 (ja) * 2008-06-16 2009-12-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WO2010035322A1 (ja) * 2008-09-25 2010-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102883986B (zh) * 2010-05-17 2014-12-2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门联接器组件
JP5804695B2 (ja) * 2010-11-30 2015-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振動抑制装置
CN102070065B (zh) * 2011-01-29 2013-08-0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轿厢门锁机构
CN102556811A (zh) * 2012-02-08 2012-07-11 黄海 一种升降机或者杂物电梯手动门自动保护装置
BR112014030335B1 (pt) * 2012-06-18 2021-04-06 Sematic S.P.A. Porta da cabina elevadora dotada de um dispositivo de travamento/liberação dos mecanismos
CN103159119B (zh) * 2013-03-22 2014-11-19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电梯层门锁辅助开门装置
CN103350943B (zh) * 2013-05-22 2015-08-12 杨贵庭 简易升降机门刀装置
DE202014102533U1 (de) * 2014-05-13 2015-08-20 Wittur Holding Gmbh Türkuppler mit einer ihre flexible Positionierung ermöglichenden Betätigung
CN106482524B (zh) * 2015-09-01 2020-05-19 边仁杰 炉门柔性密封环装置
CN106698161A (zh) * 2017-03-17 2017-05-24 宁波永良电梯技术发展有限公司 电梯厅门驱动装置
WO2019049222A1 (ja) * 2017-09-06 2019-03-14 株式会社Tok 手動式シャッター装置の開閉方向規制機構及び吊引戸装置の開閉方向規制機構
EP3546412A1 (en) 2018-03-27 2019-10-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eiling acces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390A (en) * 1973-03-16 1975-02-04 United States Steel Corp Door operating mechanism
US4926974A (en) 1989-02-13 1990-05-22 Inventio Ag Elevator car with improved car door clutch
US4926975A (en) 1989-02-13 1990-05-22 Inventio Ag Elevator car with improved door lock
DK0513509T3 (da) * 1991-05-14 1996-03-18 Inventio Ag Elevator
US5377785A (en) 1993-07-12 1995-01-03 Inventio Ag Door closing system
US5636714A (en) 1994-12-19 1997-06-10 Viola; Barry J. Bi-parting elevator door actua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8939B (en) 2001-10-11
JP2000219468A (ja) 2000-08-08
KR20000038410A (ko) 2000-07-05
CN1256240A (zh) 2000-06-14
US6340073B1 (en) 2002-01-22
CN1205107C (zh) 2005-06-08
JP3343229B2 (ja) 200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010B1 (ko)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KR101412790B1 (ko) 카 도어 록
US3783977A (en) Door actuation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s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KR101665338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CN102216195A (zh) 用于防止电梯在其门开启的情况下行驶的装置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JP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20049684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10033634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10033634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JPH05132272A (ja) エレベータ
KR10033634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JP7455225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KR200472877Y1 (ko) 엘리베이터의 하부구동형 도어개폐장치
JPH05201666A (ja) エレベータ
CN109850731B (zh) 电梯
JP2622001B2 (ja) エレベータ
KR200445905Y1 (ko) 엘리베어터 도어용 개폐장치
KR10035128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JPH08127484A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構造
JPH05330770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JP2507651Y2 (ja) 斜行エレベ―タのドア係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