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570B1 - 차량용접는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접는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570B1
KR100302570B1 KR1019980044622A KR19980044622A KR100302570B1 KR 100302570 B1 KR100302570 B1 KR 100302570B1 KR 1019980044622 A KR1019980044622 A KR 1019980044622A KR 19980044622 A KR19980044622 A KR 19980044622A KR 100302570 B1 KR100302570 B1 KR 10030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inverted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352A (ko
Inventor
도시히로 스기야마
노부유키 나라키
가즈오 사토
히데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이이지마 아키라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지마 아키라,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이지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1999003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과제) 플로어상에서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차실내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접는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차량플로어(F)에 고정된 하부 레일(11)상에 상부 레일(12)이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부 레일(12)의 전단에 시트쿠션(S11)의 전단이 결합되어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 가능하다. 시트백(S12)은 하단이 리클라이닝 기구(16)에 의하여 상부 레일(12)의 후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반전회전운동하게 된 시트쿠션(S11)의 지나간 자리에 시트백(S12)이 전도(前倒)되어, 반전상태의 시트쿠션 저판(32)과 전도상태의 시트백 배판(42)으로 화물 적재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접는 시트{FOLDING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접는 시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밴형차 등에 있어서,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다량의 화물이나, 장척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접는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접는 시트중, 예를들면 일본 실개소 60-148134호 공보에는, 시트 쿠션을 전방으로 반전시킴과 동시에 반전된 시트 쿠션의 자리에 시트 백을 전도(前倒)하여, 시트 쿠션의 저면으로부터 시트백의 배면으로 계속되는 넓은 화물 적재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접는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한 접는 시트는 시트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리어 시트로서 사용한 경우에, 프런트 시트가 전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에 응하여 이동시킬 수가 없고, 차실내의 유효이용에는 한도가 있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플로어상에서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하여 차실내 스페이스를 더욱더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접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시트의 전체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시트의 시트쿠션부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시트의 시트백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시트의 전체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설치부의 확대 측면도로, 도 4의 A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절반부 횡단면도로,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에 설치된 브래킷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전시킨 시트쿠션의 측 가장자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시트의 전체 개략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 상태에서의 시트백 뒤가장자리부의 단면도로 도 9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시트의 전체 개략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쿠션 반전 상태에서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2의 XIII-XIII 선에 따른 화물 수납 트레이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2의 XIV-XIV에 따른 화물 수납 트레이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쿠션 반전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시트의 전체 개략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설치부의 확대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설치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상단부의 확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상단부의 확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상태에서 시트 쿠션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전상태에서 시트 쿠션의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상태의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납상태에서의 지지부재의 평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납상태에서의 지지부재의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상태의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시트의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전측 리어 시트와 사용상태의 후측 리어 시트의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형태에 있어서, 후측 리어 시트의 측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3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전 편평상태의 전측 리어 시트와 틸트다운 상태의 후측 리어 시트의 측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제1발명에서는 차량 플로어(F)상에 평행하게 배열설치되고 또한 서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동부재(12)와, 가동부재(12)상에 배열설치되고, 전단양측이 각 가동부재(12)의 일단에 축부재(21)에 의하여 결합되어, 축부재(2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상하가 역으로 되도록 반전회전 운동가능함과 동시에 가동부재와 일체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시트 쿠션(S11)과, 하단이 가동부재(12)의 타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전회전 운동된 시트 쿠션(S11)의 지나간 자리에 전도되는 시트백(S12)과를 구비하고, 반전상태의 시트쿠션 저면(32)과 전도상태의 시트백 배면(42)으로 대략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제1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반전회전운동과 시트백의 전도에 의하여 넓은 화물 적재면이 확보되고, 이곳을 화물 적재 스페이스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그리고, 이들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은 어느 것이나 차량 플로어상에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할 수가 있고, 차실내 스페이스를 더욱더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가동부재(12)를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2개 설치하는 경우, 가동부재(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1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양가동부재(12)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어긋나서 시트 쿠션(S11) 및 시트백(S12)에 비틀림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본 제2발명에서는 상기 축부재(121)는 상기 가동부재(112)상에 설치한 브래킷(102)에 지지되어 있고, 브래킷(102)에 스토퍼(127)를 설치하여 시트쿠션(S11)의 일부(143)가 스토퍼(127)에 맞닿음함으로서 반전회전운동하였을 경우의 시트 쿠션(S11)의 저면(132)이 상기 화물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위치 결정되게 된다.
본 제2발명에 있어서는 스토퍼를 시트 쿠션의 전단을 회전 자유롭게 결합하는 브래킷에 설치하여 있으므로, 착좌한 승무원의 다리 등이 스토퍼에 간섭하여 방해로 되는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스토퍼를 설치한 브래킷이 가동부재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가 어느 위치에 이동하더라도 스토퍼 작용이 발휘된다.
본 제3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127)는 상기 브래킷(102)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통상체이고, 이 통상체의 상단면을 스토퍼면(128)으로서, 이 스토퍼면(128)에 시트쿠션(S11)의 일부(143)가 맞닿음한다.
본 제3발명에 있어서는 브래킷에 형성한 통상체를 스토퍼로 하고, 그 상단면을 스토퍼면으로 하였으므로,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변형등이 생기는 일없이 확실히 시트 쿠션을 위치결정 지지할 수가 있다.
본 제4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524)를 상기 브래킷(502)에 상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제4발명에 있어서는 스토퍼를 적당히 상하로 이동시키므로서, 부착 오차나 변형등에 무관계하게 반전한 시트 쿠션 선단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본 제5발명에서는, 반전상태의 시트 쿠션(632,732,832)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33,733,833)을 설치한다.
본 제5발명에 있어서는 지지부재에 의하여, 반전상태에서의 시트 쿠션의 선단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비교적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시트 쿠션이 하방으로 변위하는 일없이 확실히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본 제6발명에서는 상기 축부재(921)를 상기 가동부재(912)를 따라 일정 범위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축부재와 일체적인 시트쿠션을 일정범위에서 전후이동가능하게 한다.
본 제6발명에 있어서, 축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시트 쿠션을 반전시킨 지나간 자리에는 길이가 확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내로, 길이가 충분히 긴 시트백을 전도시킬 수가 있다.
본 제7발명에서는 상기 시트백(S12)의 배면에 하단이 상기 배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1172)을 설치하고, 시트백(S12)을 전도시켰을 때에 발판(1172)을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화물 적재면과 거의 동일 높이 까지 단붙임에 높아진 차량 플로어 후반부(B)의 앞 가장자리 위에 건너지도록 한다.
본 제7발명에 있어서는 발판을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그 선단을 차량 플로어 후반부의 앞 가장자리 위에 건너지르므로서, 차량 플로어 후반부의 상면에서 발판을 경유하여 시트백의 배면 및 시트쿠션의 저면에 이르는 충분히 긴 연속면이 형성되어,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본 제8발명에서는 상기 시트백(S12)의 아래 가장자리에 시트백 배면(261)의 일부를 그 연장방향으로 연장하여 소정길이의 연장부(262)를 형성하고, 시트백(S12)을 전도시켰을 때에 연장부(262)가, 상기 화물 적재면과 거의 동일 높이 까지 단붙임으로 높아진 차량 플로어 후반부(B)의 앞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하여 그 앞 가장자리에 맞닿음하고, 앞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간격(d)을 막도록 한다. 더욱이, 시트백 배면의 일부란, 예를 들면 시트 백의 배판의 표면에 접합된 카핏천등이다.
본 제8발명에 있어서는 시트백 배면에서 연출하는 연장부에 의하여 차량 플로어 후반부와의 사이의 간격을 막고 있으므로 볼품의 좋음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시트 백 배면의 일부를 그 연장방향으로 연장시켜서 연장부로 하였으므로, 별부품을 부착할 것 없이, 간이하고 또한 염가로 간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제9발명에서는 반전전의 시트 쿠션(S11)의 하방공간에, 가동부재(312)를 덮고 화물 수납 트레이(304)를 배열 설치한 것이다.
본 제9발명에 있어서, 반전회전운동에 의하여 시트 쿠션이 가동부재상에서 이동하더라도 화물 수납 트레이가 가동부재를 덮고 있으므로, 가동부재가 노출되는일이 없다. 그리고, 시트 쿠션 반전상태에서, 화물 수납 트레이내에 여러 가지 소화물을 수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쓸데 없는 부품의 증가나 코스트업을 피할 수가 있다.
본 제10발명에서는 시트 쿠션(S11)의 전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브래킷(402)을 최종 위치 결정에 앞서서 적어도 그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다. 더욱이,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간이한 구조의 일례로서는, 브래킷의 부착 개구의 내경을 부착 볼트의 볼트부 외경 보다도 충분히 크게 한다.
본 제10발명에 의하면 시트 쿠션 전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브래킷을 적어도 그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 반전상태에서의 시트 쿠션 저면 뒤 가장자리의 높이를 상기 브래킷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전도상태의 시트백 배면 앞 가장자리의 높이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고 화물 적재면에 계단차가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제11발명의 차량용 시트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1발명에서 제10발명에 기재의 차량용 접는 시트(S3)에 인접시켜서, 시트백(S42)을 전도시키는데 연동하여 시트 전체가 플로어(F) 상으로 하강하는 틸트 다운 시트(S4)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용 접는 시트(S3)의 반전상태의 시트 쿠션(S31)의 저면 및 전도상태의 시트 백(S32)의 배면과 틸트 다운 시트(S4)의 전도상태의 시트백(S42)의 배면으로 거의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을 형성한다.
본 제11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용 접는 시트의 저면 및 배면으로부터 틸트 다운 시트의 시트 백 배면에 이르는 장대한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이 형성되어 더욱더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괄호내의 부호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기재의 구체적 수단과의 대응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1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밴형차의 리어 시트에 사용한 경우의 전체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리어 시트(S1)는 프론트 시트(S2)의 후방에 있고, 플로어(F)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1A)(한쪽만 도시)상에 재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레일(1A,1B)(도 2)은 플로어(F)상을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플로어(F)에 고정된 하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1) 위를 미끄럼 운동하는 상부 레일(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좌우의 상부 레일(12)의 전단에는 각각 부착자리(13)가 형성되고, 각 부착자리(13)에는 상부 레일(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의 단부와 함께, 각각 브래킷(2A,2B)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브래킷(2A,2B)은 동일형상으로 L자형으로 굴곡하고, 그 입벽의 상단에는 축부재(21)를 삽입하는 통공(通孔)(22)(도 2)이 설치되어 있다.
리어 시트(S1)의 시트 쿠션(S11) 하부에는 프레임판(31)에 내설되고, 이 프레임판(31)에는 경질재로 이루어지는 저판(32)이 부착되어 있다. 또, 프레임판(31)에는 그 전단 좌우 위치(도 2에 한쪽만 도시)에 스테이(33)가 설치되어,스테이(33)에 설치한 통공(35)이 브래킷(2A,2B)의 상기 통공(22)에 일치되게 하여 이들에 관통 설치된 축부재(21)에 의하여 양자가 회전 자유로이 결합되어 있다. 이로서, 시트 쿠션(S11)은 좌우의 축부재(21)을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후단이 끌어 올려져서, 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A,1B)상에서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 가능하다. 반전된 상태(도 1의 쇄선)에서 시트 쿠션(S11)은 도면 생략의 스토퍼에 의하여, 저판(32)이 수평으로 되도록 유지된다. 더욱이, 프레임판(31)(도 2)의 뒤 가장자리에는 시트 쿠션(S11)을 일으키기 위한 끌음 밴드(34)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상부 레일(12)의 후단에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브래킷판(15)이 결합되고, 이들 브래킷판(15)에는 공지구조의 리클라이닝기구(16)를 통하여 시트백(S12)(도 3)의 프레임 파이프(41)에 나사고정된 스테이(17)의 하단이 결합되어 있다. 시트백(S12)의 배면에는 경질재로 이루어지는 배판(42)이 부착되고, 또, 시트백(S12)의 꼭대기 정면에는 헤드 레스트(S13)가 2개의 지지다리(45)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시트백(S12)의 옆 가장자리 오목한 곳에는 아암 레스트(44)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 레일(1A,1B)(도 2)의 각 상부 레일(12)은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재(18)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레일(1A)의 상부 레일(12)에는 전단의 브래킷(2A)으로부터 후단의 리클라이닝기구(16) 까지를 덮는 보호커버(51)가 바깥쪽으로부터 부착되고, 한편, 슬라이드 레일(1B)의 상부 레일(12)에는 전단의 브래킷(2B)과 후단의 리클라이닝기구(16)를 각각 덮는 보호커버(52,53)가 바깥쪽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화물실을 넓히기 위하여 리어 시트(S1)을 접어 완전편평화하는 경우에는, 시트 쿠션(S11) 뒤 가장자리의 끌음 밴드(34)를 잡고 이것을 끌어올리면, 시트 쿠션(S11)의 뒤 가장자리가 탄성 변형되어 시트 백(S12) 하단과의 충합상태가 해소되어 좌우의 축부재(21)를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시트 쿠션(S11)이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되게 된다(도 1의 쇄선). 계속하여, 시트백(S12) 상단의 헤드 레스트(S13)을 제거하고, 리클라이닝기구(16)의 조작레버(161)을 조작하여 시트백(S12)을 전도시키면(도 1의 화살표시 및 쇄선), 반전된 시트 쿠션(S11)의 저판(32)과 전도된 시트백(S12)의 배판(42)이 수평의 연속면으로 된다. 이로서, 차실내후부에 설치된 러게지 박스(luggage box)(B)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이 넓이 형성되고, 다량의 화물이나 장척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어 시트(S1)를 슬라이드레일(1A,1B)상에서 완전편평화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편평화된 리어 시트(S1)을 프론트시트(S2)의 전후 이동위치에 맞추어서 적당히 전후로 이동시키므로서, 적재 화물을 최적하게 수납할 수가 있다.
또, 좌우의 상부 레일(12)은 그 전단과 중간 위치가 서로 연결부재(14,18)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 상부 레일(12)이 슬라이드 방향에서 어긋나서 시트쿠션(S11) 및 시트 백(S12)에 비틀림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리어 시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프론트 시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프론트 및 리어의 각 시트를 완전편평 상태로 전후로 적당히 이동조정하는 것으로, 더욱더 차실내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 레일은 반드시 차량의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될 필요는 없다.
(제2실시형태)
도 4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밴형차의 리어 시트에 사용한 경우의 전체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리어 시트(S1)는 프론트 시트(S2)의 후방에 있고, 플로어(F)상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101)(한쪽만 도시)상에 재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레일(101)은 플로어(F)상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플로어(F)에 고정된 하부 레일(111)과, 하부 레일(111)상을 미끄럼 운동하는 상부 레일(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레일(112)의 전단에는 상세를 후술하는 브래킷(102)이 고정되고,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시트(S1)의 시트 쿠션(S11)의 프레임 파이프(131)에는 그 전단위치에 스테이(10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104)와 브래킷(102)은 상단부에 관통설치한 축부재(121)에 의하여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로서, 시트쿠션(S11)은 축부재(121)를 중심으로 후단이 끌어올려져서, 도 4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01)상에서 전방으로 반전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반전된 상태(도 4의 쇄선)에서 시트쿠션(S11)은 브래킷(102)과 스테이(104)의 일부에 각각 형성된 상세를 후술하는 스토퍼에 의하여, 그 저판(132)이 수평으로 되도록 유지된다.
상부 레일(112)에 설치된 브래킷(102)은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체로서 L자형으로 성형되고, 2매의 판체(122,123)를 충합하여 편평한 폐단면 구조로 하고 있다. 이 브래킷(102)은 수평부(124)의 하면이 상부 레일(112)의고정자리(113)에 고정되고, 수직부(125)에는 외방으로부터 수지제의 보호커버(105)가 부착되어 있다. 수납부(125)는 앞 가장자리(도 7의 왼쪽 가장자리)를 제외한 상반의 대부분으로 외측판체(122)가 내측판체(123) 쪽으로 요함(凹陷)하고, 이 요함부의 상단에 축부재(121)(도 5)를 삽통하는 개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직부(125)의 앞 가장자리에는 산형(山型) 단면으로 굴곡되게 한 외측판체(122)가 내측판체(123)에 충합하여 상방으로 기립하는 폐단면부가 형성되어 스토퍼(127)로 되고 그 상단면이 스토퍼면(128)으로 되어 있다.
도 5, 도 6에 있어서, 시트 쿠션(S11)에 설치한 스테이(104)는 하단부(141)가 프레임 파이프(131)의 외주에 따라 만곡하여 이에 접합되고, 한편, 상기 브래킷(102)에 접하는 스테이(104)의 상단에는 상기 축부재(121)를 삽통하는 개구(142)가 형성되어 브래킷(102)의 개구(126)와 일치하고 있다. 스테이(104)의 상단부 뒤 가장자리(도 5의 우 가장자리)는 보호커버(105)가 위치하는 바깥쪽으로 굴곡 돌출하여 스토퍼(143)로 되어 있고, 그 상단면이 스토퍼면(144)으로 되어 있다.
시트쿠션(S11)을 축부재(121)를 중심으로 반전시키면(도 5의 화살표), 이것과 일체로 스테이(104)는 축부재(121) 둘레로 상방으로 반전한다(도 6의 쇄선).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104)의 스토퍼(143)와 브래킷(102)의 스토퍼(127)의 각 스토퍼면(144,128)이 서로 맞닿음한다. 이로서 시트쿠션(S11)의 이들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고, 반전상태에서 시트쿠션(S11)의 저판(132)은 상방을 향하여 위치하고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화물실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구조의 리어 시트(S1)를 접어 완전편평화하는 경우에는 시트쿠션(S11)을 축부재(12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반전시킨다(도 4의 쇄선). 계속하여, 시트 백(S12) 상단의 헤드 레스트(S13)를 제거하고, 리클라이닝기구(113)를 조작하여 시트 백(S12)을 시트 쿠션(S11)의 지나간 자리로 전도하면(도 4의 쇄선), 반전하게 된 시트쿠션(S11)의 저판(132)과 전도된 시트 백(S12)의 배판(161)이 수평의 연속면으로 된다. 이로서, 차실내 후부에 설치된 러게지 박스(B)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의 화물실 수평면이 넓게 확보되고, 다량의 화물이나 장척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브래킷(102)의 스토퍼(127)는 상방으로 기립하는 통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시트쿠션(S11)을 통하여 큰 화물화중이 인가되더라도, 변형등이 생기는 일없이 확실히, 시트쿠션(S11)을 지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전되게된 시트쿠션(S11)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27,143)가 축부재(121) 주위의 브래킷(102)과 스테이(10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가 통상 사용될 때에 착좌한 승객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 브래킷(102)을 상부 레일(112)상에 설치하여 있으므로, 리어 시트(S1)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경우에도, 이동위치에 무관계로, 반전된 시트 쿠션(S11)을 확실히 수평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쿠션(S11)의 프레임 파이프(131)에 고정된 스테이(104)에, 브래킷(102)의 스토퍼(127)와 맞닿음하는 스토퍼(143)를 형성하였지만 시트쿠션(S11)의 일부에 브래킷(102)의 스토퍼(127)와 맞닿음하는 부분을 설치할 수 있으면 상기 구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3실시형태)
도 9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밴형차의 리어 시트에 사용한 경우의 전체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 있어서, 리어 시트(S1)는 플로어(F)상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201)(한쪽 만 도시)상에 재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201)은 플로어(F)상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플로어(F)에 고정된 하부 레일(211)과 하부 레일(211)상을 미끄럼 운동하는 상부 레일(21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레일(212)의 전단에는 브래킷(202)이 고정되고, 시트쿠션(S11)은 그 전단이, 브래킷(202)의 상단부에 관통설치된 축부재(22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서, 시트쿠션(S11)은 축부재(221)를 중심으로 후단이 끌어올려져서, 도 9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상에서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반전된 상태(도 9의 쇄선)에서 시트쿠션(S11)은 도면 생략의 스토퍼에 의하여 그 저판(232)이 수평으로 되도록 유지된다. 또 상부 레일(212)의 후단에는 브래킷(214)이 고정되고, 시트 백(S12)은 그 하단이 브래킷(214)에 리클라이닝기구(213)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화물실를 넓히기 위하여 리어 시트(S1)를 접고, 완전편평화하는 경우에는, 더욱더 시트 백(S12) 상단의 헤드 레스트(S13)를 제거하고, 리클라이닝기구(213)를 조작하여 시트백(S12)을 시트쿠션(S11)의 지나간 자리에 전도시키(도 9의 쇄선)면, 반전된 시트쿠션(S11)의 저판(232)과 전도된 시트 백(S12)의 배판(261)이 수평의 연속면으로 된다. 이때, 시트 백(S12)의 배판(261) 뒤 가장자리는 차실내 후부에 설치된 러게지 박스(B)의 상면 앞 가장자리에 접근하고, 러게지 박스(B)의 존재에의하여 실질적으로 높게 된 플로어 후방부와 거의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이 넓게 확보되어 다량의 화물이나 장척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시트 백(S12)의 배판(261) 뒤 가장자리와 러게지 박스(B)의 상면 앞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양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의 간극(d)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고, 이로서 평탄면의 연속성이 손상되어 볼품이 저하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립 자세에 있어서 시트 백(S12)의 배판(261)의 아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연장하는 일정 길이의 연장부(262)를 설치하고 있다. 그 연장부(262)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판(261)의 표면에 접합된 카핏천(263)을 그대로 일정 길이 연출시킨 것으로, 시트 백(S12)을 전도시킨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연장부(262)는 그 상면이 러게지 박스(B)의 덮개(B1)의 앞 가장자리에 맞닿음하여 경사후방(도면의 우방)으로 굴곡하고, 간극(d)를 막고 있다. 이와같은 연장부(262)에 의하여 시트백(S12) 배면과 러게지 박스(B) 상면의 사이의 간극(d)이 해소되어 연속성이 확보되어, 볼품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시트 백(S12)의 배판(261)과 러게지 박스(B)의 덮개(B1)의 높이가 약간 상이하더라도 연장부(262)의 존재에 의하여 그 상이가 완화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핏천을 연장시켜서 연장부로 하였지만, 배판이 수지제 등인 경우에는 그 일부를 얇게하여 연출시키므로서 연장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연장부는 가요성을 갖는 편이, 변형에 의하여 간극의 대소에 용이하게 적응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4실시형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밴형차의 리어 시트에 사용한 경우의 전체 개략 측면을 도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리어 시트(S1)는 플로어(F)상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301)(한쪽만 도시)상에 재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301)은 플로어(F)상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플로어(F)에 고정된 하부 레일(311)과 하부 레일(311)상을 미끄럼 운동하는 상부 레일(3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레일(312)의 전단에는 브래킷(302)이 고정되고, 시트쿠션(S11)은 그 전단이, 브래킷(302)의 상단부에 관통 설치한 축부재(32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서, 시트 쿠션(S11)은 축부재(321)를 중심으로 후단이 끌어올려져서,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상에서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 가능하다. 반전된 상태(도 11의 쇄선)에서 시트쿠션(S11)은 도면 생략의 스토퍼에 의하여 그 저판(332)이 수평으로 되도록 유지된다. 또, 상부 레일(312)의 후단에는 브래킷(314)이 고정되고, 시트 백(S12)은 그 하단이 브래킷(314)에 리클라이닝기구(313)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화물실를 넓히기 위하여 리어 시트(S1)를 접고, 완전편평화하는 경우에는, 더욱더 시트 백(S12) 상단의 헤드 레스트(S13)를 제거하고, 리클라이닝기구(313)를 조작하여 시트 백(S12)을 시트 쿠션(S11)의 지나간 자리에 전도시키(도 11의 쇄선)면, 반전된 시트 쿠션(S11)의 저판(332)과 전도된 시트 백(S12)의 배판(361)이 수평의 연속면으로 된다. 이로서 차실내 후부에 설치된 러게지 박스(B)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이 넓게 확보되어 다량의 화물이나 장척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시트 쿠션(S11)을 반전한 후, 아직 시트백(S12)을 전도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슬라이드레일(301)이 노출되고 볼품 및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301)의 상방에서 덮도록 화물 수납 트레이(304)를 씌으고 있다. 이 화물 수납 트레이(304)은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외형은 시트 쿠션(S11)의 저판(332) 보다 약간 큰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심부는 외형과 거의 닮음꼴의 직사각형상으로 요함하여, 화물 수납부(341)로 되어 있다.
화물 수납 트레이(304)는 저면의 네모퉁이(도 13에 그 좌우 1쌍을 도시)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편(342)을 좌우의 상부 레일(312)를 전후위치에 각각 연결하는 린 호스먼트(351,352)(도 12)의 부착구멍(353,354)내에 삽입 걸림하여, 이들 린 호스먼트(351,352)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화물 수납 트레이(304)의 중간부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의 좌우 가장자리에 리브(343)가 돌출형성되어 이들 리브(343)가 상부 레일(312)상에 재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물 수납 트레이(304)를 설치함으로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트쿠션(S11)을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 좌우의 슬라이드레일(301)은 그 상방에 위치하는 화물 수납 트레이(304)에 의하여 노출하는 일없이 차폐된다. 그리고, 시트 백(S12)을 전도하지 않는 도시의 상태에서, 화물 수납 트레이의 화물 수납부(341)에 여러 가지 소화물이나 차량의 발진 정지시에 넓은 러게지 룸에서는 굴르기 쉬운 둥근 화물 등을 수납할 수가 있다. 또, 시트 쿠션(S11)을 사용 위치로 귀환시켜 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물 수납 트레이(304)의 좌우 가장자리 위에 시트 쿠션(S11)이 위치하여 화물 수납부(341)는 완전히 시트 쿠션(S11)의 하방으로 숨으므로 귀중품의 수납에도 적합하다.
(제5실시형태)
도 16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밴형차의 리어 시트에 사용한 경우의 전체 개략 측면을 도시한다. 도 16에 있어서, 리어 시트(S1)는 플로어(F)상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401)(한쪽만 도시)상에 재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401)은 플로어(F)상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플로어(F)에 고정된 하부 레일(411)과 하부 레일(411)상을 미끄럼 운동하는 상부 레일(4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레일(412)의 전단에는 상세한 것을 후술하는 브래킷(402)이 고정되고,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시트(S1)의 시트쿠션(S11)의 프레임 파이프(431)에는 그 전단 위치에 스테이(40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404)와 브래킷(402)은 상단부에 관통 설치한 축부재(421)에 의하여 서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로서, 시트쿠션(S11)은 축부재(421)를 중심으로 후단이 끌어올려져, 도 16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401)상에서 전방으로 반전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반전된 상태(도 16의 쇄선)에서 시트 쿠션(S11)은 브래킷(402)과 스테이(404)의 일부에 각각 형성된 상세를 후술하는 스토퍼에 의하여, 그 저판(432)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된다. 또 상부 레일(412)의 후단에는 브래킷(414)이 고정되고, 시트백(S12)은 그 하단이 브래킷(414)에 리클라이닝기구(413)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도 18에는 상기 브래킷(402)의 부착 구조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레일(412)의 전단부에 거의 T자형의 받음좌(413)가 형성되고, 이의 상면의 4군데에 설치한 부착구멍(415)에 좌우의 상부 레일(412)(한쪽만 도시)를 연결하는 린 호스먼트(406)의 일단부(461)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 일단부(461)는 린호스먼트(406)의 일반부(462) 보다도 폭이 넓고, 그 단면에는 (도의 좌우) 전후 위치에 부착용의 나사구멍(463)이 설치되어 있다. 일방, 브래킷(402)은 일매의 금속판체를 굴곡 성형한 것으로, 그 하단부에는 전후 위치에 부착용의 원형 개구(4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원형개구(422)에 각각 볼트(481)를 통하여, 그 선단을 나사구멍(463)에 죄임함으로서, 브래킷(402)은 린호스먼트(406)의 일단면에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원형개구(422)는 볼트(481)의 볼트부 외경 보다도 충분히 크게되어 있고, 이로서, 볼트(481)로 최종적으로 위치결정하기에 앞서서, 브래킷(402)을 상하 전후방향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위치조정할 수가 있다. 또, 브래킷(402)의 상단부에는 상기 축부재(421)(도 17)를 관통시키는 개구(42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 앞 가장자리(도면의 좌 가장자리)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체의 일부가 대략 원통상으로 컬링되어 스토퍼(424)로 되고, 그 상단면이 스토퍼면(425)으로 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시트쿠션(S11)에 설치된 스테이(404)는 하단부(441)가 프레임 파이프(431)의 외주에 따라 만곡하여 이에 접합되고, 한편, 상기 브래킷(402)에 접하는 스테이(404)의 상단에는 상기 축부재(421)를 삽통하는 개구(도시생략)가 형성되어 브래킷(402)의 통공(423)(도 18)에 일치하고 있다. 스테이(404)의 상단부 뒤 가장자리(도 17의 우연)는 보호커버(405)가 위치하는 바깥쪽(도 17의 지면 바로 앞)으로 굴곡 돌출하여 스토퍼(443)로 되어 있고, 그 상단면이 스토퍼면(444)으로 되어 있다.
시트쿠션(S11)을 축부재(421)를 중심으로 반전시키(도 17의 화살표)면, 이것과 일체로 스테이(404)(도 17)는, 축부재(421) 둘레로 상방으로 반전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404)의 스토퍼(443)와 브래킷(402)의 스토퍼(424)의 각 스토퍼면(444,425)이 서로 맞닿음한다. 이로서 시트쿠션(S11)의 그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고, 시트 쿠션(S11)의 저판(432)은 반전상태에서 상방을 향하여 위치하고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화물실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구조의 리어 시트(S1)를 접어 완전편평화하는 경우에는, 시트쿠션(S11)을 축부재(42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반전시킨다(도 16의 쇄선). 계속하여, 시트 백(S12) 상단의 헤드 레스트(S13)를 제거하고, 리클라이닝기구(413)를 조작하여 시트 백(S12)을 시트 쿠션(S11)의 지나간 자리로 전도하면(도 16의 쇄선), 반전하게 된 시트 쿠션(S11)의 저판(432)과 전도한 시트 백(S12)의 배판(471)이 수평의 연속면으로 된다. 이로서, 차실내 후부에 설치된 러게지 박스(B)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의 화실 수평면이 넓게 확보되고, 다량의 화물이나 장척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브래킷(402)의 스토퍼(424)는 상방으로 기립하는 통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시트 쿠션(S11)을 통하여 화물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확실히 시트쿠션(S11)을 지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서로 근접한, 반전상태의 시트 쿠션(S11)의 저판(432) 뒤 가장자리와 전도상태의 시트 백(S12)의 배판(471) 앞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계단차가 생기면 볼품이 나쁘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기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402)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정 가능하므로, 시트 쿠션(S11)의 저판(432) 뒤 가장자리가 전도상태의 시트 백(S12)의 배판(471) 앞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이것과 거의 같은 높이로 되도록 지그에 의하여 높이 및 전후의 위치조정을 하고, 그후에, 볼트(81)를 체결하여 브래킷(402)을 최종 고정한다.
더욱이, 제작 오차 등에 의하여, 스토퍼(424)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시트 쿠션(S11)의 저판(432) 앞 가장자리의 높이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일이 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판(432) 앞 가장자리의 높이가 정규 위치 보다도 높아지도록 브래킷(402)의 전후 방향의 각도를 조정하여 최종 고정하고, 각 스토퍼면(444,425)을 소성변형시키면서 저판(432)의 앞 가장자리를 기계력으로 하방의 소정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저판(432) 앞 가장자리를 정확히 위치결정한다. 또, 이로서 각 스토퍼면(444,425)의 가공 거칠기가 균형되어 처음 사용의 친숙에 의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스토퍼면(444,425)이 가공경화하여 강성이 확보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402)을 상하 전후에 위치조정가능 또는 전후 방향의 각도를 조정가능으로하기 위한 볼트(481)에 대하여 충분히 큰 원형개구(422)를 설치하였지만, 상하방향의 위치조정 안으로 좋은 경우에는 상기 원형개구(422)에 대신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구멍으로할 수가 있다.
(제6실시형태)
도 21에 있어서, 상기 제1∼제5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차량용 접는 시트와, 마찬가지로 시트쿠션(S11)은 도면 생략의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레일에 고정한 브래킷(502)의 축부재(521)를 중심으로 반전되고, 시트 백(S12)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레일에 고정된 도면 생략의 브래킷에 도면 생략의 리클라이닝기구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반전한 시트 쿠션(S11)의 저판(532)과, 시트 쿠션(S11)이 반전한 자리의 공간에 전도된 시트 백(S12)의 배판(571)이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형상의 브래킷(502)에는 상부의 측면에 입방체형의 스토퍼부재(522)가 접합되어 있고, 스토퍼부재(522)에는 상방으로 개방하는 암나사부(5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암나사부(523)내에 볼트(524)가 죄여지고 스토퍼면으로서 기능하는 볼트(524)의 두부 상면(525)은 볼트(524)의 죄임량을 변경하는데 동반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 위치에 있는 시트 쿠션(S11)의 측면에는, 축부재(521)를 끼고 상기 스토퍼부재(522)와 반대 위치에 블록상의 스토퍼체(53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시트쿠션(S11)을 반전시키면, 이에 동반하여 도 23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체(533)가 축부재(521) 둘레로 거의 180도 선회회전하여 볼트(524)의 두부상면(525)에 맞닿음한다. 이로서, 시트쿠션(S11)은 그 저판(532)이 거의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되어 (도 24),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한 시트 백(S12)의 배판(571)과 거의 수평한 연속면을 형성한다(도 21).
그런데, 반전한 시트 쿠션(S11)의 선단의 높이(h)(도 24)는 스토퍼부재(522) 및 스토퍼체(533)의 부착 오차나 변형등에 의하여, 거의 시트(S1) 마다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은 곤난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524)의 죄임량을 적당히 변경하여 그 두부 상면(525)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므로서, 상기 높이(h)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7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1∼제6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차량 접는 시트에 있어서, 반전상태의 시트쿠션(S11)의 전단측을 지지하는 다리체를 시트 쿠션(S11)에 설치한 것이다. 도 25에 있어서 반전상태의 시트 쿠션(S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저판(632)에, 시트 쿠션(S11)이 반전한 지나간 자리의 공간의 전도된 시트 백(S12)의 배판(671)과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반전한 시트쿠션(S11)의 전단면(반전면의 사용상태에서 후단면)에는 좌우 위치에 다리체(633)가 설치되어 있고, 각 다리체(633)는 전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함과 동시에, 각 다리체(633)는 바깥쪽 끝이 시트 쿠션(S11)내의 프레임(도시생략)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시트 쿠션(S11)을 반전시켰을 경우에 좌우의 다리체(633)를 도 25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진출 회전운동시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다리체(633)를 플로어(F)상에 직립시킨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면, 일정 깊이의 다리체(633)에 의하여, 반전상태에서의 시트쿠션(S11) 선단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비교적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시트쿠션(S11)은 하방으로 변위하는 일없이 확실히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제8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1∼제6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차량 접는 시트에 있어서, 제7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전상태의 시트쿠션(S11)의 전단측을 지지하는 다리체를 시트 쿠션(S11)에 설치한 것이다. 도 27에 있어서 반전상태의 시트쿠션(S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저판(732)은 시트 쿠션(S11)이 반전한 지나간 자리의 공간에 전도된 시트 백(S12)의 배판(771)과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반전한 시트 쿠션(S11)의 양측면(한쪽만 도시)에는 다리체(733)가 설치되어 있고, 다리체(733)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함과 동시에, 전단이 시트 쿠션(S11)내의 프레임(도시생략)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시트 쿠션(S11)을 반전시켰을 경우에 좌우의 다리체(733)를 도 27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진출 회전운동시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다리체(733)를 플로어(F)상에 직립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일정 길이의 다리체(733)에 의하여, 반전상태에서의 시트쿠션(S11) 선단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비교적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시트쿠션(S11)은 하방으로 변위하는 일없이 확실히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제9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1∼제6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차량용 접는 시트에 있어서, 반전상태의 시트 쿠션(S11)의 전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플로어에 설치한 것이다. 즉 도 29에 있어서, 슬라이드레일(801) 상에 설치된 사용상태의 리어 시트(S1)의 전방에는, 플로어(F)에 형성된 오목부(F1)내에 지지부재(833)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833)는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재를 U자형으로 굴곡 성형한 것으로 그 양단이 브래킷(834)에 의하여 오목부(F1)의 저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도 32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F1)내로 경도한 수납위치로부터 도면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직립한 사용위치로 일으켜 회전운동시킬 수가 있다.
시트 쿠션(S11)을 반전시켜 반전한 지나간 자리의 공간에 시트 백(S12)을 전도시키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쿠션(S11)의 저판(832)과 시트백(S12)의 배판(871)이 연속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시트쿠션(S11)을 반전시키기에 앞서서, 오목부(F1)내로부터 지지부재(833)를 사용위치에 일으켜 회전운동시켜 두고 지지부재(833) 상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전시킨 시트쿠션(S11)의 선단을 재치하면, 일정 높이로 플로어(F)상으로 상승하는 지지부재(833)에 의하여, 반전상태에서의 시트쿠션(S11) 선단에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비교적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시트쿠션(S11)은 하방으로 변위하는 일없이 확실히 수평자세로 유지된다.
(제10실시형태)
도 33에 도시하는 리어 시트(S1)에 있어서, 플로어(F)상을 평행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레일(901)(한쪽만 도시)은 하부 레일(911)과 이 하부 레일(911) 위를 미끄럼 운동하는 상부 레일(9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부 레일(912)의 전단에는 브래킷(902)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902)에는 상단부에 전후방향(도 33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구멍(90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구멍(903)내의 후단 위치에 시트 쿠션(S11)의 측면에 돌출설치된 축부재(921)가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시의 사용상태에서는 시트 쿠션(S11)은 도시생략의 스토퍼에 의하여 대략 수평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시트 쿠션(S11)은 축부재(92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반전회전운동 가능함과 동시에, 축부재(921)는 긴구멍(903)을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가능하다. 더욱이, 리클라이닝기구(913)를 통하여 상부 레일(912)에 결합된 시트 백(S12)은 그 전장이 L이다.
리어 시트(S1)를 완전편평화하는 경우에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재(921)를 중심으로 하여 시트 쿠션(S11)을 전방으로 반전시킴과 동시에, 축부재(921)를 긴구멍(903)에 따라 그 전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서, 시트 쿠션(S11)을 반전시킨 지나간 자리에는 길이 L로 확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내로, 길이 L이 충분히 긴 시트 백(S12)을 전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하면 시트 쿠션(S11)의 전후 길이에 관계 없이 비교적 자유로이 시트 백(S12)의 길이 L을 설정할 수 있다.
(제11실시형태)
도 35에 있어서, 플로어(F)상에 위치하여 평행으로 연장(한쪽만 도시) 레일프레임(1001)의 전단에는 브래킷(1002)이 설치되어 그 상단부에 축부재(1021)가 지지되어 있다. 시트 쿠션(S11)은 축부재(1021)를 중심으로 반전되어 있고, 이 상측에 위치하는 저판(1032)이 반전한 시트 백(S11)의 지나간 자리에 전도되게 된 시트 백(S12)의 배판(1071)과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레일 프레임(1001)의 전단부 측면에는 하방으로 만곡하는 원호상의 긴구멍(1003)이 형성되어 있고,플로어(F)상에 설치한 브래킷(1004)의 측면에서 돌출하는 핀(1005)이 긴구멍(1003)내에 삽입되어 그 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시트 백(S12)은 리클라인닝기구(1013)를 통하여 레일프레임(100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리어 시트(S1)의 후방의 플로어(F)상에는 러게지 박스(B)와의 사이에 브래킷(1020)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1020)에 일단을 결합한 링크아암(1021)의 타단이 레일프레임(1001)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에 있어서, 레일프레임(1001)을 후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도면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아암(1021)을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레일프레임(1001) 및 이것과 일체의 시트쿠션(S11) 및 시트 백(S12)을 전체로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시트 백(1071)이 러게지 박스(B)에 접근하고, 러게지 박스(B)의 상면에서 시트 백(S12)의 배판(1071)을 경유하여 시트 백(S11)의 저판(1032)에 이르는 충분한 길이의 연속면이 형성되고, 차내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레일프레임(1001)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핀(1005)이 레일 전단부의 긴구멍(1003)내로 전방으로 상대이동하여, 이로서 레일프레임(1001)의 후방 이동시에 있어서 전단부의 떠오름이 방지된다.
(제12실시예)
본 실시형태는 제1∼제11실시형태(제3실시형태를 제외)에서 설명한 차량용 접는 시트에 있어서 전도상태의 시트 백(S12)의 후단과 러게지 박스(B)와의 사이에 간극을 막는 발판을 시트 백(S12)에 설치한 것이다. 즉, 도 36에 있어서, 슬라이드레일(1101)상에 설치된 리어 시트(S1)는 시트 쿠션(S11)이 반전되게 되어, 반전에의하여 형성된 빈공간에 시트 백(S12)이 전도되어서, 시트 쿠션(S11)의 저판(1132)과 시트 백(S12)의 배판(1171)이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시트 백(S12)의 배판(1171)에 포개어 발판(1172)이 설치되어 있고, 발판(1172)은 후단(시트 백 사용상태에서는 하단)이 힌지(1173)에 의하여 배판(1171)의 후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리어 시트(S1)를 슬라이드레일(1101)상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러게지 박스(B)와의 사이에는 큰 간극이 생기지만, 발판(1172)을 도면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그 선단을 러게지 박스(B)의 앞 가장자리 위에 건너지르므로서, 러게지 박스(B)의 상면으로부터 발판(1172)를 경유하여 배판(1171) 및 저판(1132)에 이르는 충분히 긴 연속면이 형성되고,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제13실시예)
도 37에 있어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완전편평식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전측 리어 시트(S3)로서 사용하고, 이것과 러게지 박스(B)와의 사이에 틸트 다운 식의 공지의 차량용 접는 시트를 후측 리어 시트(S4)로서 설치하고 있다. 후측 리어 시트(S4)의 측면도를 도 38에 도시하고, 시트 쿠션(S41)의 후부와 시트 백(S42)의 하부가 상부 링크(1213)로 결합됨과 동시에 시트 쿠션(S41)의 전부는 링크아암(1214)에 의하여 플로어(F)상에 설치한 레일프레임(1201)에 결합되어 있다.
시트 백(S42)을 도시생략의 리클라이닝기구에 의하여 시트 쿠션(S41)상에 전도하면,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부 링크(1213)가 전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링크아암(1214)이 전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시트 쿠션(S41) 및 이에 포개여진 시트 백(S42)이 플로어(F)상으로 하강한다. 이로서, 전측 리어 시트(S3)의 저판(1232) 및 배판(1271)으로부터, 후측 리어 시트(S4)의 시트 백(S42) 배면을 경유하여, 러게지 박스(B)의 상면에 이르는 장대한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이 형성되어 더욱더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제1∼제13실시형태(제11실시형태를 제외)에서 설명한 상부 레일 및 제1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레일프레임이 청구의 범위에서 기재한 가동부재에 상당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제1발명에 있어서는 시트쿠션의 반전회전운동과 시트백의 전도에 의하여 넓은 화물 적재면이 확보되고, 이곳을 화물 적재 스페이스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들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은 어느 것이나 차량 플로어상에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부재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할 수가 있고, 차실내 스페이스를 더욱더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가동부재(12)를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2개 설치하는 경우, 가동부재(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1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양가동부재(12)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어긋나서 시트 쿠션(S11) 및 시트백(S12)에 비틀림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본 제2발명에 있어서는 스토퍼를 시트 쿠션의 전단을 회전 자유롭게 결합하는 브래킷에 설치하여 있으므로, 착좌한 승무원의 다리 등이 스토퍼에 간섭하여 방해로 되는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스토퍼를 설치한 브래킷이 가동부재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가 어느 위치에 이동하더라도 스토퍼 작용이 발휘된다.
본 제3발명에 있어서는 브래킷에 형성한 통상체를 스토퍼로 하고, 그 상단면을 스토퍼면으로 하였으므로,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변형등이 생기는 일없이 확실히 시트 쿠션을 위치결정 지지할 수가 있다.
본 제4발명에 있어서는 스토퍼를 적당히 상하로 이동시키므로서, 부착 오차나 변형등에 무관계하게 반전한 시트 쿠션 선단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본 제5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에 의하여, 반전상태에서의 시트 쿠션의 선단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비교적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시트 쿠션이 하방으로 변위하는 일없이 확실히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본 제6발명에 의하면, 축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시트 쿠션을 반전시킨 지나간 자리에는 길이가 확장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내로, 길이가 충분히 긴 시트백을 전도시킬 수가 있다.
본 제7발명에 의하면, 발판을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그 선단을 차량 플로어 후반부의 앞 가장자리 위에 건너지르므로서, 차량 플로어 후반부의 상면에서 발판을 경유하여 시트백의 배면 및 시트쿠션의 저면에 이르는 충분히 긴 연속면이 형성되어,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본 제8발명에 의하면, 시트백 배면에서 연출하는 연장부에 의하여 차량 플로어 후반부와의 사이의 간격을 막고 있으므로 볼품의 좋음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시트 백 배면의 일부를 그 연장방향으로 연장시켜서 연장부로 하였으므로, 별부품을 장치할 것 없이, 간이하고 또한 염가로 간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제9발명에 의하면, 반전회전운동에 의하여 시트 쿠션이 가동부재상에서 이동하더라도 화물 수납 트레이가 가동부재를 덮고 있으므로, 가동부재가 노출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시트 쿠션 반전상태에서, 화물 수납 트레이내에 여러 가지 소화물을 수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쓸데 없는 부품의 증가나 코스트업을 피할 수가 있다.
본 제10발명에 의하면 시트 쿠션 전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브래킷을 적어도 그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 반전상태에서의 시트 쿠션 저면 뒤 가장자리의 높이를 상기 브래킷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전도상태의 시트백 배면 앞 가장자리의 높이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고 화물 적재면에 계단차가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제11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접는 시트의 저면 및 배면으로부터 틸트 다운 시트의 시트 백 배면에 이루는 장대한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이 형성되어 더욱더 차실내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1)

  1. 차량 플로어상에 평행하게 배열설치되고 또한 서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상에 배열설치되고, 전단양측이 상기 각 가동부재의 일단에 축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상하가 역으로 되도록 반전회전 운동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와 일체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시트쿠션과, 하단이 가동부재의 타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전 회전운동된 상기 시트쿠션의 지나간 자리에 전도되는 시트 백을 구비하고 있으며, 반전상태의 상기 시트 쿠션 저면과 전도상태의 시트 백의 배면으로 대략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상에 설치한 브래킷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상기 시트 쿠션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에 맞닿음함으로서, 반전회전운동한 경우의 상기 시트 쿠션의 저면이 상기 화물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래킷에 형성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통상체이고, 이 통상체의 상단면을 스토면으로서, 이 스토퍼면에 상기 시트 쿠션의 일부를 맞닿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브래킷에 상하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반전상태의 시트 쿠션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에 따라 일정 범위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축부재와 일체의 상기 시트쿠션을 상기 일정범위에서 전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의 배면에, 하단이 상기 배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결합된 발판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 백을 전도시켰을 때에 상기 발판을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 상기 화물 적재면과 거의 동일 높이 까지 단붙임으로 높게 된 차량 플로어 후반부의 앞 가장자리에 건너지르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의 아래 가장자리에, 시트 백 배면의 일부를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한 소정 길이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 백을 전도시켰을 때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화물 적재면과 거의동일 높이 까지 단붙임으로 높게된 차량 플로어 후반부의 앞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하여 이 앞 가장자리에 맞닿음하고, 상기 앞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간극을 막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전전의 상기 시트 쿠션의 하방 공간에 상기 가동부재를 덮고 화물 수납 트레이를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10.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의 전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브래킷을 최종위치결정에 앞서서 적어도 그 상하방향으로 일정 범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는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차량용 접는 시트에 인접시켜서, 시트 백을 전도시키는데 연동하여 시트 전체가 플로어상으로 하강하는 틸트 다운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용 접는 시트의 반전상태의 상기 시트 쿠션의 저면 및 전도상태의 상기 시트 백의 배면과 상기 틸트 다운 시트의 전도상태의 시트 백의 배면으로 거의 동일 높이의 화물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시스템.
KR1019980044622A 1997-10-23 1998-10-23 차량용접는시트 KR100302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09756 1997-10-23
JP30975697 1997-10-23
JP30975797 1997-10-23
JP97-309757 1997-10-23
JP25041598 1998-08-19
JP98-250415 1998-08-19
JP98-250413 1998-08-19
JP98-250414 1998-08-19
JP25041398 1998-08-19
JP25041498 1998-08-19
JP98-272672 1998-09-28
JP27267298A JP3539228B2 (ja) 1997-10-23 1998-09-28 車両用折り畳み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52A KR19990037352A (ko) 1999-05-25
KR100302570B1 true KR100302570B1 (ko) 2001-09-22

Family

ID=2755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622A KR100302570B1 (ko) 1997-10-23 1998-10-23 차량용접는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3187A (ko)
EP (1) EP0911210B1 (ko)
JP (1) JP3539228B2 (ko)
KR (1) KR100302570B1 (ko)
CN (1) CN1078547C (ko)
DE (1) DE698068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033B1 (en) 1998-03-31 2001-02-06 Ikeda Bussan Co., Ltd. Automobile seat
DE19838882A1 (de) * 1998-08-27 2000-03-0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Umlegen von Fondsitzen in einem Kraftfahrzeug
JP4024428B2 (ja) 1999-06-16 2007-12-19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US6499787B2 (en) 2000-07-26 2002-12-31 Lear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seat assemblies
JP2002096713A (ja) * 2000-09-21 2002-04-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折り畳みシートにおける乗員保護構造
JP2002104029A (ja) * 2000-09-27 2002-04-09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跳ね上げ装置
US6637819B2 (en) 2000-12-11 2003-10-28 Intier Automotive Inc. Fold flat seat assembly
DE20110342U1 (de) * 2001-06-22 2002-10-24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damit ausgestatteter Fahrzeugsitz, insbesondere Notsitz
DE10230624A1 (de) * 2002-07-02 2004-01-15 Volkswagen Ag Kraftfahrzeug mit einem Kraftfahrzeugsitz mit anschließendem Aufnahmebehälter zur Aufnahme von Kopfstützen
FR2841836B1 (fr) * 2002-07-04 2004-09-10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3706093B2 (ja) * 2002-09-04 2005-10-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US6679536B1 (en) 2002-09-23 2004-01-20 Lear Corporation Foldable and tumblable seat system
JP3698135B2 (ja) 2002-09-25 2005-09-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6746083B2 (en) * 2002-09-27 2004-06-08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US6749247B1 (en) * 2002-12-19 2004-06-1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towable vehicle seat
FR2853286B1 (fr) * 2003-04-04 2006-03-24 Gruau Laval Amenagement interieur de vehicule, et vehicule ainsi equipe
JP2004359107A (ja) * 2003-06-04 2004-12-24 T S Tec Kk 車装用補助椅子
DE10325495A1 (de) * 2003-06-04 2004-12-30 Zf Boge Elastmetall Gmbh Pedalsystem
US7077463B2 (en) * 2004-04-06 2006-07-18 Lear Corporation Rear fold down cargo seat with tilt down cushion
CN100465026C (zh) * 2004-06-01 2009-03-04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车辆的可折叠后座椅的布置
DE102004049585B4 (de) * 2004-10-12 2006-07-13 Daimlerchrysler Ag Sitz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41156A1 (de) * 2005-08-30 2007-03-01 Ford-Werke Gmbh Fahrzeugsitz
US7300090B2 (en) * 2005-10-05 2007-11-27 Chrysler Llc Split seat stowage system
DE102006015080A1 (de) * 2006-03-31 2007-10-11 Lear Corp., Southfield Rücksitz-Schrägstellungs-Einstelleinrichtung
KR20070101929A (ko) * 2006-04-12 2007-10-18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CA2647876A1 (en) * 2006-04-12 2007-10-18 Intier Automotive Inc. Fold flat seat assembly
US7654602B2 (en) * 2006-07-21 2010-02-02 The Raymond Corporation Reclining seat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KR100778594B1 (ko) 2006-12-07 200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조수석 시트의 쿠션테이블 구조
JP5076780B2 (ja) * 2007-09-27 2012-11-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263569B2 (ja) * 2007-10-22 2013-08-14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製造方法
CN101970260B (zh) * 2008-03-26 2013-11-13 东京座椅技术股份有限公司 车用收起座椅
FR2969057B1 (fr) * 2010-12-21 2014-02-14 Antolin Grupo Ing Sa Siege escamotab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N102244120A (zh) * 2011-07-15 2011-11-16 李子京 一种跟踪式太阳能电站支架
DE102012216901B3 (de) 2012-06-13 2013-09-26 Johnson Controls Gmbh Scharniermechanismus für einen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itzes
CN105818718B (zh) * 2016-05-18 2018-05-11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第二排、第三排座椅折叠放平时的间隙补偿结构
CN109955749A (zh) * 2017-12-22 2019-07-0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坐垫和靠背可折叠汽车座椅装置
CN110547717B (zh) * 2019-08-01 2021-11-02 安徽理工大学 一种智能坐便器
US11001170B2 (en) 2019-09-17 2021-05-11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Occupant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9552A1 (fr) * 1979-02-21 1980-09-19 Renault Siege pliant,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FR2524285A1 (fr) * 1982-04-05 1983-10-07 Renault Siege transformabl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US4534811A (en) * 1983-12-30 1985-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rmo bonding surfaces
JPS60161629A (ja) * 1984-02-01 1985-08-23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環境試験装置
JPS60148134U (ja) 1984-03-15 1985-10-01 日産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トのシ−ト折り畳み装置
DE3522439A1 (de) * 1984-07-20 1986-01-30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Hintersitz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JPS6175027A (ja) * 1984-09-18 1986-04-17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前傾式座席装置
FR2577860B1 (fr) * 1985-02-27 1987-04-10 Renault Siege transform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906497B2 (ja) * 1988-12-09 1999-06-21 旭硝子株式会社 湿気硬化性樹脂組成物
JPH0352241A (ja) * 1989-07-20 1991-03-06 Fujitsu Ltd 液相エピタキシャル結晶成長方法
US5200519A (en) * 1992-01-03 1993-04-06 Appleton Papers Inc. Mono(indolylethylenyl)phthalides
FR2691681B1 (fr) * 1992-05-26 1994-07-08 Renault Sie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a deux rangees de sieges reglables.
FR2696386B1 (fr) * 1992-10-07 1994-12-30 Peugeot Siège escamotable pour véhicule automobile.
JPH08119016A (ja) * 1994-10-25 1996-05-14 Aichi Mach Ind Co Ltd シート
US5954398A (en) * 1996-03-14 1999-09-21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Seat structure for motor vehicle
JP2978085B2 (ja) * 1995-06-19 1999-11-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JP3223783B2 (ja) * 1995-09-22 2001-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リヤシート装置
JP3136976B2 (ja) * 1995-12-21 2001-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リヤシート装置
JP3583867B2 (ja) * 1996-07-23 2004-11-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JP3181839B2 (ja) * 1996-09-20 2001-07-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ペースアップ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9228B2 (ja) 2004-07-07
EP0911210B1 (en) 2002-07-31
JP2000127820A (ja) 2000-05-09
US6113187A (en) 2000-09-05
CN1078547C (zh) 2002-01-30
DE69806882D1 (de) 2002-09-05
CN1215673A (zh) 1999-05-05
EP0911210A3 (en) 2000-03-22
KR19990037352A (ko) 1999-05-25
DE69806882T2 (de) 2003-03-20
EP0911210A2 (en) 199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70B1 (ko) 차량용접는시트
US6786544B1 (en) Seat back structure of vehicle seat
US6601900B1 (en) Seat assembly
US11021084B2 (en) Vehicle seat structure
US6874840B2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JP2003118436A (ja) 車両用シート
WO2018076223A1 (en) Headrest assembly and seat for motor vehicle
JP3719188B2 (ja) 車両用シート
CN112829654A (zh) 具有小腿支撑件的车辆座椅总成
JP3354780B2 (ja) リヤ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7393630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20132060A (ja) 乗り物用シート
JP7319509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3281536B2 (ja) 車両用シートの2段折れヒンジ構造
JP3453077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位置、姿勢可変装置
JP3628904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収納姿勢保持装置
US20240181943A1 (en) Luggage Gap Cover Device for Vehicle Rear Seat
JP2549365Y2 (ja) ワゴン車等のサードシート
JP342772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1122030A (ja) 車両用多目的コンソール
KR20230064716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JP3489499B2 (ja) 跳ね上げ式車両用シート
JP2003306080A (ja) 自動車用リヤパーセルシェルフ
JP2003118450A (ja) 車両用シート
JP2001146124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