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836B1 - 정보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836B1
KR100298836B1 KR1019970008983A KR19970008983A KR100298836B1 KR 100298836 B1 KR100298836 B1 KR 100298836B1 KR 1019970008983 A KR1019970008983 A KR 1019970008983A KR 19970008983 A KR19970008983 A KR 19970008983A KR 100298836 B1 KR100298836 B1 KR 10029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xternal device
area
facsimile apparatus
dp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239A (ko
Inventor
마사키 코타니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1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 G06F13/425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15Assigning priority to,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97Systems adapted to communicate over more than one channel, e.g. via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6Image trans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범용성이 풍부한 정보처리장치 및 외부장치를 제공한다.
외부장치(G1)에는, DPRAM(26), 제2커넥터(28) 및 제3커넥터(29)를 설치한다. 외부장치의 제2커넥터(28)를 팩시밀리장치(F)의 제1커넥터에 접속한다. 외부장치(G1)의 제3커넥터에는 다른 외부장치(G2)를 데이지체인접속할 수 있다.
DPRAM(26)을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F)와 외부장치(G)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전송이 행하여진다. DPRAM(26)은, 업로드영역(26a) 및 다운로드영역(26b)을 가지고 있다. 외부장치(G1)로부터 팩시밀리장치(F)에의 데이터전송은, 업로드영역(26a)이 사용되고,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외부장치(G1)로의 데이터전송은 다운로드영역(26b)이 사용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나 파스콤 등의 정보처리장치 및 그것에 접속가능한 스캐너, 프린터 등의 외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정보화사회의 발달에 따라 정보처리장치의 사용형태도 다종다양하게 되어오고 있다. 다종다양한 사용형태에 대응가능한 정보처리장치를 1대의 장치에서 실현하고자 하면, 비용이 상승한다. 그래서, 기본적인 기능을 구비한 장치에 필요에 따라서 각종의 외부장치를 접속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여기에서, 정보처리장치로서 팩시밀리장치를 예로 들면, 외부장치로서는 다회선화를 도모하기 위한 모뎀, 스캐너, 프린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외부장치를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정보처리장치에 외부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설치한다든지, SCSI방식 등의 전용 인터페이스보드를 사용하여 외부장치의 접속을 데이지체인방식으로 행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커넥터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에 복수의 외부장치를 접속하고자 하면, 그 정보처리장치에 복수의 커넥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커넥터의 수의 증대에 따라서, 외부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취하기 위한 구성도 복잡화한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장치에 외부장치를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복수의 외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구비하여 두지 않으면 아니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에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수가 증가하면, 그들 모두를 제어하는 정보장치의 CPU(중앙연산처리)에 부담이 걸린다.
또, SCSI방식 등의 전용 인터페이스보드를 사용한 방식에서는, 정보처리장치 및 외부장치에 인터페이스보드를 설치하고, 특정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처리장치와 외부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게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외부장치가 몇대이고, 그들이 어떠한 것인가에 의해서, 정보처리장치에 설치하는 인터페이스보드의 사양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정보처리장치 및 외부장치는 비용이 크게 됨과 아울러, 범용성에 뒤떨어지는 부분도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범용성이 풍부한 정보처리장치 및 외부장치로 이루어진 정보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한 실시형태의 팩시밀리장치 및 외부장치의 블록도.
도 2는, DPRAM의 기억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제1, 제2RAM의 관리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스택번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팩시밀리장치와 외부장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전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외부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7은, 외부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8은,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9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LAN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할입(割??)과 시스템간의 배타제어의 설명도.
도 12는, 할입(割??)과 시스템간의 배타제어를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1CPU,
12 ----------------------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1ROM,
13 ----------------------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1RAM,
14 ---------------------- 제1NCU,
15 ---------------------- 제1모뎀,
16 ---------------------- 판독부,
17 ---------------------- 기록부,
18 ---------------------- 조작부,
19 ---------------------- 표시부,
21 ----------------------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2CPU,
22 ----------------------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2ROM,
23 ----------------------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2RAM,
26 ---------------------- 기억수단으로서의 DPRAM,
26a --------------------- 업로드영역,
26b --------------------- 다운로드영역,
L1 ---------------------- 제1회선,
L2 ---------------------- 제2회선,
F ----------------------- 정보처리장치로서의 팩시밀리장치,
G1∼Gn ------------------ 외부장치.
최초에, 본 발명의 정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시스템간의 DPRAM의 배타제어와 할입처리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1)과 시스템(2)은, 서로 동기하는 일없이 동작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DPRAM(30)은, 2개의 입출력보드를 가지는 기억수단이고, 동일 어드레스에 관하여, 어느 보드로부터도 기록을 할 수 있고, 판독을 할 수 있는 기억수단이다. 따라서, DPRAM(3)의 각 입출력보드에 접속되어있는 시스템(1)과 시스템(2)은, 서로 독립해서 DPRAM(3)을 리이드, 라이트할 수 있고, 동기함이 없이 데이터의 수도(주고받음)를 행할 수 있다.
시스템(1)으로부터의 요구가, 할입(파고들어가는)요구로서 시스템(2)에 전달된다. 이 할입요구는, 시스템(1)의 DPRAM(3)에 대한 기록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즉, 상기 DPRAM(3)은, 특정의 어드레스가 할입발생어드레스(rA)로 미리 정하여져 있고, 시스템(1)이 이 할입발생어드레스(rA)를 지정하여 DPRAM(3)에 기록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DPRAM(3)으로부터 시스템(2)에 대하여 할입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해서 시스템(1)으로부터의 요구는 시스템(2)에까지 전달된다.
할입신호를 접수한 시스템(2)은, 할입의 해제를 행한다. 할입의 해제라 함은, 할입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것이고, 시스템(2)이 상기 할입정지어드레스(rB)를 지정하여, DPRAM(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에 의하여, DPRAM(3)으로부터의 할입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할입을 해제한 시스템(2)은, DPRAM(3)상에 데이터를 수취한 것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써넣는다). 이 데이터의 기록은, 상태어드레스(rC)를 지정하고, 그 어드레스의 데이터 중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1비트, 예컨대, 최하위비트(LSB)에 「1」을 써넣는 동작이다.
할입요구를 행한 시스템(1)은, 그후, 정기적으로 상태어드레스(rC)를 판독해서, 그 최하위비트의 값을 감시하고 있으면, 시스템(2)이 할입요구를 접수하고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다만, 이와같은 판단을 행하기 위해서는, 시스템(1)이 할입요구때, 상태어드레스(rC)의 최하위비트에 「0」을 써넣고 있는 것이 전제로 된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한 시스템복합형 장치의 기본동작의 일예를 표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 도면은 시스템(1), DPRAM(3) 및 시스템(2)의 각 동작을 시계열상의 대응관계와 함께 표시한 도면이고, S200∼S203이 시스템(1)에 대한 플로우챠트이고, S210∼S214가 DPRAM(3)에 대한 플로우챠트이고, S220∼S222가 시스템(2)에 대한 플로우챠트이다. 또, 도 11의 (1)∼(5)는, 각각 도 12의 (1)∼(5)에 대응하고 있다.
시스템(1)에 있어서, 시스템(2)에의 명령어전송의 요구가 발생하면(S200), 시스템(1)은 DPRAM(3)의 할입발생어드레스(rA)에 써넣고(S201), 상태어드레스(rC)에 「0」을 셋트한다(S202). DPRAM(30)은, 시스템(1)에 의한 할입발생어드레스(rA)에의 써넣음을 감시하고 있고(S210), 써넣음이 있으면, 시스템(2)에의 할입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211). 시스템(2)은 할입신호를 감시하고 있고, 할입신호가 검출되었다면 할입처리를 개시한다(S220).
시스템(2)의 할입처리에서는, 먼저, 할입을 해제하기 때문에, DPRAM(3)의 정지발생어드레스(rB)의 판독을 행한다(S221). DPRAM(3)은, 시스템(2)에 의한 할입정지어드레스(rB)의 판독을 감시하고 있고(S212), 판독이 있으면 할입을 해제하여 시스템(2)에의 할입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S213).
최후에, 시스템(2)은 상태어드레스(rC)의 최하위비트(LSB)에 「1」을 써넣는다(S222). 한편, 시스템(1)은, DPRAM(30)에의 명령어기록(S201) 후는, 정기적으로 DPRAM(30)의 상태어드레스(rC)를 판독하고 있고(S203), 그 최하위비트가 「1」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스템(1)의 요구가 시스템(2)에 전달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시스템(1)이, 할입발생시에 DPRAM(3)의 상태어드레스(rC)에 「0」을 셋트하고 나서, 시스템(2)이 할입을 정지시키고, 데이터를 참조한 후, 상태어드레스(rC)를 「1」로 되돌리기까지의 기간은, 다른 처리에 의한 DPRAM(3)의 사용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 즉, 상태어드레스(rC)의 값에 의해서 DPRAM(3)의 사용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하여, DPRAM(3)의 배타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DPRAM(3)의 상태어드레스(rC)의 값에 의하여, 2개의 시스템 사이에서 DPRAM(3)의 배타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상세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팩시밀리장치 및 그것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시스템에 구체화한 실시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회선(L1)을 가지는 팩시밀리장치(F)에 제2회선(L2)을 가지는 외부장치(G1)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팩시밀리장치(F)측의 제1회선(L1) 및 외부장치(G1)측의 제2회선(L2)을 통하여, 동시에 두 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즉, 본 실시태양에서는, 1회선을 가지는 팩시밀리장치(F)가, 옵션으로서의 외부장치(G1)를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2회선의 팩시밀리장치로서 확장되고 있다.
또, 외부장치(G1)에는, 다른 외부장치(G2)가 접속되고, 이 외부장치(G2)에는, 다시 다른 외부장치가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복수의 외부장치(G)를 데이지체인(Daisy Chain)방식으로 순차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먼저, 제1회선(L1)을 가지는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CPU(중앙처리장치)(11)에는, 팩시밀리장치(F) 전체의 동작과 외부장치(G1)에 구비된 후술하는 DPRAM(26)과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제1ROM(리이드온리메모리)(12),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제1RAM(랜덤액세스메모리)(13)이, 버스(B1)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태양에서는, 제1CPU(11), 제1ROM(12) 및 제1RAM(13)에 의하여,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제1NCU(네트워크콘트롤유니트)(14)는, 제1회선(L1)과의 접속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대구번의 전화번호에 대응한 다이얼펄스의 송출 및 착신을 검출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모뎀(15)은 송수신데이터의 변조 및 복조를 행한다. 판독부(16)는 원고상의 화상을 판독한다. 기록부(17)는, 수신된 화상데이터나 상기한 판독부(16)에서 판독된 화상데이터 등에 따라서 기록지상에 인자를 행한다. 조작부(18)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키, 팩시밀리통신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키 등의 각종 조작키를 구비하고 있다.
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9)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코오덱크(20)는, 전기 판독부(16)에서 판독된 화상을 송신하기 위해 부호화(엔코드)한다. 또, 코오덱크(20)는 수신된 화상데이터를 복호(디코드)한다. 제1접속수단으로서의 제1커넥터(27)는, 버스(B1)를 개재하여 제1CPU(11)와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B1)는, 어드레스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어드레스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버스, 할입신호나 BUSY신호 등의 제1CPU(11)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버스를 가지며, 전이중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다음에, 제2회선(L2)을 가지는 외부장치(G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CPU(21)에는, 외부장치(G1) 전체의 동작과, 그 외부장치(G1)에 구비되어있는 후술의 DPRAM(26)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제2ROM(22),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제2RAM(23)이, 버스(B)(22)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CPU(21), 제2ROM(22) 및 제2RAM(23)에 의하여,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제2NCU(24)는, 제2회선(L2)과의 접속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대 국번의 전화번호에 대응한 다이얼펄스의 송출 및 착신을 검출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2모뎀(25)은 송수신데이터의 변조 및 복조를 행한다.
쌍방향으로부터 판독, 기록가능한 기억수단으로서의 DPRAM(듀얼포오트랜덤액세스메모리)(26)은, 외부장치(G1)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DPRAM(26)은, 업로드영역(26a)과 다운로드영역(26b)과의 2개의 기억영역을 가지고 있다. DPRAM(26)은, 버스(B22)를 개재하여 제2CPU(21)와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B22)도 전기 팩시밀리장치(F)측의 버스(B1)와 마찬가지로 어드레스버스, 데이터버스 및 제어버스를 가지며, 더욱이 전이중통신이 가능한 구성이다.
제2접속수단으로서의 제2커넥터(28)는, 버스(B21)를 개재하여 DPRAM(26)과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B21)도 전기 버스(B1),(B22)와 마찬가지로, 어드레스버스, 데이터버스 및 제어버스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커넥터(28) 및 동 커넥터(28)와 접속되어 있는 버스(B21)는, 전이중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전기 팩시밀리장치(F)측의 제1커넥터(27)와, 이 제2커넥터(28)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팩시밀리장치(F)측의 제1커넥터(27)와, 이 제2커넥터(28)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팩시밀리장치(F)와 외부장치(G1)와의 사이에서 전이중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외부장치(G1)는, 팩시밀리장치(F)의 부속장치로서 그 팩시밀리장치(F)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 외부장치(G1)는, 다른 외부장치(G2)를 접속하기 위한 제3접속수단으로서의 제3커넥터(2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3커넥터(29)는, 버스(B22)를 개재하여 제2CPU(21)와 접속되어 있다. 이 제3커넥터(29)도 전이중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외부장치(G2)도 전기 외부장치(G1)와 마찬가지로 제2커넥터, 제3커넥터 및 DPRAM(26)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외부장치(G2)가 스캐너이면,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제2NCU(24) 및 제2모뎀(25)의 대신에,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이 외부장치(G2)의 제2커넥터(28)를 외부장치(G1)의 제3커넥터(29)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양 외부장치(G1),(G2) 사이에서 전이중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말단의 외부장치에 각종의 외부장치를 순차 접속할 수가 있다.
전기 DPRAM(26)에 있어서의 업로드영역(26a)은, 외부장치측으로부터 팩시밀리장치(F)측으로 향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고, 다운로드영역(26b)은 팩시밀리장치(F)측으로부터 외부장치측으로 향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리고, 팩시밀리장치(F)와 외부장치(G1)의 사이의 통신이 이 DPRAM(26)을 개재하여 행하여진다. 이 팩시밀리장치(F)의 제1CPU(11) 및 외부장치의 제2CPU(21)는, 상대에 전할 정보를 이 DPRAM(26)에 써넣고, 또 상대에 의하여 써넣어진 정보를 판독하여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팩시밀리장치(F)는, 외부장치(G1)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다운로드영역(26b)내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외부장치(G1)는, 외부장치(G1)의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외부장치(G1)의 업로드영역(26a)내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 결과, 팩시밀리장치(F)와 외부장치(G1)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팩시밀리장치(F)에 첫 번째로 접속된 외부장치(G1)는, 두 번째로 접속되는 외부장치(G2)에 있어서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동 장치(G2)의 다운로드영역(26b)내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DPRAM(26)에 있어서의 업로드영역(26a)과 다운로드영역(26b)의 내부에는, 각각 관리영역과 데이터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영역(Data Area)은, 실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다. 관리영역은, 데이터영역내의 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는 영역이다. 이 관리영역은, 상태(Status)영역, 스택번호(Stack Number)영역, 식별(Identification)영역, 우선(Priority)영역, 데이터타입(Data Type)영역, 명령어번호(Command Number)영역, 패킷번호(Packet Number)영역, 길이(Length)영역, 단위(Unit)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않으나, 할입신호를 발생시키는 할입발생어드레스, 할입신호를 정지시키는 할입정지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상태영역은, 데이터영역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시스템간의 배타제어에 사용되는 스택번호영역은, 데이터영역내의 데이터가 자기장치에 대한 것인가 아닌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스택번호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식별영역은, 외부장치의 종류(예컨대, 모뎀인가, 스캐너인가, 프린터인가 등)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영역은, 예컨대, 팩시밀리장치(F)에 보내는 데이터가 양 외부장치(G1),(G2)에서 동시에 발생한 경우, 어느쪽의 데이터를 우선해서 외부장치(G1)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에 기록할 것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명령어번호영역은, 명령의 내용을 표시하는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패킷번호영역은, 데이터를 분할하여 송신할 때에 각 분할데이터를 표시하는 패킷번호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즉, DPRAM(26)의 각 기억영역(26a),(26b)에 있어서의 데이터영역의 기억용량이 1KB(킬로바이트)의 경우, 전송할 데이터량이 4KB이면, 24KB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송신할 수 없으므로, 이것을 1KB(킬로바이트)씩 4개로 분할해서 송전할 필요가 있다. 이때, 분할된 각 데이터의 순번을 표시하기 위해, 각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번호가 부여된다. 길이영역은, 실데이터의 데이터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단위영역은, 전기 데이터길이의 단위를 표시하는 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데이터길이를 표시하는 정보가 「100」이고, 단위를 표시하는 정보가 「바이트」이면, 데이터영역내의 데이터는 100바이트이다.
도 3(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팩시밀리장치(F)의 제1RAM(13)에는, 외부장치(G1)의 DPRAM(26)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테이블(T)이 기억되고 있다. 이 관리테이블(T)에는 제1세마포관리수단으로서, DPRAM(26)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b)을 사용하기 위한 권리를 획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예컨대,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권을 획득하고 있지않는 경우에는, 관리테이블(T)의 「다운로드영역」의 란에 「1」이 설정되고,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0」이 설정된다. 또한, 이 관리테이블(T)에는, 제2세마포관리수단으로서 전기 다운로드영역(26b)의 데이터타입영역에 기록하여야할 각종의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을 획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데이터타입에는, 리모트함수, 리모트함수리턴치, 데이터전송, 데이터전송결과, AT명령어, AT명령어리절트코드가 있다. 그리고, 예컨대, 데이터타입영역에 기록하여야 할 데이터타입으로서 「데이터전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권을 획득하도록, 관리테이블(T)의 「데이터전송」의 란에 「0」이 설정된다. 또, 그 사용권을 획득하고 있지않는 경우에는, 관리테이블의 「데이터전송」의 란에 「1」이 설정된다.
또, 도 3(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외부장치(G1)의 제2RAM(23)에는, 제1관리테이블(T1)과 제2관리테이블(T2)이 기억되어 있다. 제1관리테이블(T1)은, 자기장치내의 DPRAM(26)에 있어서의 업로드영역(26a)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관리테이블(T1)에는, 제1세마포관리수단으로서, DPRAM(26)에 있어서의 업로드영역(26a)을 사용하기 위한 권리를 획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이 제1관리테이블(T1)에는 제2세마포관리수단으로서, 전기 업로드영역(26a)의 데이터타입영역에 기록하여야할 각종의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을 획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제2관리테이블(T2)은, 외부장치(G2)의 DPRAM(26)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2관리테이블(T2)에는, 제1세마포관리수단으로서, DPRAM(26)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b)을 사용하기 위한 권리를 획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이 제2관리테이블(T2)에는, 제2세마포관리수단으로서 전기 다운로드영역(26b)의 데이터타입영역에 기록하여야할 각종의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을 획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복수의 외부장치를 데이지체인방식으로 순차 접속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팩시밀리장치(F)는, 동 장치(F)에 직접 접속된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 즉, 외부장치측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를 판독한 때, 그 데이터의 발신원이 어느 외부장치인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 팩시밀리장치(F)는, 전기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DPRAM(26)의 다운로드영역(26b)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즉, 외부장치측으로 향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데이터중에 동 데이터를 받는 측으로 되어야할 외부장치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 외부장치는, 자신의 DPRAM(26)의 다운로드영역(26b)내에 기록된 데이터, 즉, 팩시밀리장치(F)측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를 판독한 때, 그 데이터가 자기앞의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 각 외부장치는, 자신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즉, 팩시밀리장치(F)측으로 향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데이터중에 동 데이터의 발신원이 자신인 뜻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용건을 충족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은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진다. 여기에서는, 도 4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팩시밀리장치(F)에 복수의 외부장치(G1∼Gn)가 접속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한다.
도 4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어떤 외부장치(Gn)(팩시밀리장치(F)에서 n번째의 외부장치)가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동 영역(26a)의 스택번호영역에, 스택번호로서 「0」을 기록한다. 상기의 외부장치(Gn)의 팩시밀리장치(F)측(업로드측)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Gn-1)는, 외부장치(Gn)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를 판독하면, 그 판독한 데이터를 자신의 DPRAM(26)의 업로드영역에 기록한다. 이때, 외부장치(Gn-1)는 판독한 스택번호 「0」을 「1」로 인크리멘트한 값인 「1」을, 자신의 업로드영역(26a)의 스택번호영역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하여, 어떤 외부장치(Gn)로부터 발신된 데이터가 복수의 외부장치를 거쳐서 팩시밀리장치(F)측에 전송되는 것에 따라, 각 외부장치에 있어서의 업로드영역(26a)의 스택번호영역에 기록되는 스택번호가 「1」씩 인크리멘트된다. 그러면, 팩시밀리장치(F)에 직접 접속된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업로드영역(26a)의 스택번호영역에는, 스택번호로서 「n-1」이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팩시밀리장치(F)는, 이 외부장치(G1)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를 판독한 때, 「n-1」이라는 스택번호에 따라서, 데이터의 발신원이 자신으로부터 n번째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Gn)인가를 인식한다.
한편, 예컨대, 팩시밀리장치(F)가, 먼저 데이터의 발신원이었던 외부장치(Gn)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첫번째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DPRAM(26)의 다운로드영역(26b)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동 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 스택번호로서 「n-1」을 기록한다. 첫번째의 외부장치(G1)는 자신의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를 판독한 때, 스택번호영역내의 스택번호가 「0」인 경우에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자신앞으로의 데이터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스택번호영역내의 스택번호가 「n-1」이므로, 외부장치(G1)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다른 외부장치앞의 데이터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외부장치(G1)는, 판독한 데이터를, 팩시밀리장치(F)와는 반대측(다운로드측)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G2)에 있어서의 DPRAM(26)의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한다. 이때, 외부장치(G1)는, 먼저 판독한 스택번호 「n-1」을 「1」디크리멘트한 값인 「n-2」를, 외부장치(G2)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 기록한다(써넣는다).
이와 같이해서,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발신된 데이터가 복수의 외부장치를 거쳐서 말단의 외부장치측으로 전송되는 것에 따라서, 외부장치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 기록되는 스택번호가 「1」씩 디크리멘트된다. 그러면, n번째의 외부장치(Gn-1)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는, 스택번호로서 「0」이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n번째의 외부장치(Gn-1)는, 자신의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판독된 때, 「0」이라고 하는 스택번호에 따라서,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자신앞으로의 데이터라고 하는 것을 인식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지는 것에 의하여, 팩시밀리장치(F)는, 외부장치로부터 자신에게 보내져온 데이터가, 어느 외부장치로부터 발신된 것인가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각 외부장치는, 팩시밀리장치(F)측으로부터 보내진 데이터가 자기앞으로의 것인가 아닌가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다음에, 외부장치(G1)에 있어서, 어떤 테스크(A1)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의 일예를, 도 5 및 도 6∼도 9의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의 플로우챠트는, 외부장치(G1)에서 행하여지는 동작을 표시하고, 도 8 및 도 9의 플로우챠트는, 팩시밀리장치(F)에서 행하여지는 동작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의 플로우챠트와, 도 8 및 도 9의 플로우챠트는 병행하여 진행한다.
먼저,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테스크(A1)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플로우챠트는, 제2CPU(21)의 제어하에 행하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외부장치(G1)에서의 테스크(A1)의 발생에 의해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데이터전송이 행하여지는 것으로 한다.
외부장치(G1)에 있어서 테스크(A1)가 발생하면, 도 6에 표시하듯이, 테스크(A1)는 단계 1에 있어서, 「데이터전송」이라고 하는 데이터타입을 사용하는 권리(세마포 "Semaphore")를 요구한다. 만약 다른 테스크에 의해서 기히 세마포가 획득되어 있는 경우, 테스크(A1)는, 상기 관리테스크인 리얼타임모니터에 의하여, 세마포를 획득할 수 있을 때까지(다른 테스크가 세마포를 포기할 때까지) 처리를 일시 정지시켜진다. 「데이터전송」의 세마포를 획득할 수 있으면 제2RAM(23)의 제1관리테이블(T1)의 「데이터전송」의 란이 「1」에서 「0」으로 바뀌어진다.
테스크(A1)는, 「데이터전송」의 세마포를 획득후, 다시, 업로드영역(26a)을 사용하는 권리(세마포)를 요구한다. 「데이터전송」의 세마포와 마찬가지로, 업로드영역(26a)의 세마포를 획득하면 제2RAM(23)의 제1관리테이블(T1)의 「업로드영역」의 란도 「1」에서 「0」으로 바뀌어서 단계(2)로 이행한다.
단계(S2)에 있어서는, 업로드영역(26a)의 상태영역이 「1」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즉,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가 불요인가 아닌가를 이 상태영역이 「1」로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상태영역이 「1」의 경우는, 팩시밀리장치(F)측에서 데이터의 판독이 완료하여, 다운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가 불요하게 되었다고 판단되고, 단계(3)로 이행한다. 상태영역이 「1」이 아닌 경우는, 팩시밀리장치(F)측에서의 데이터의 판독의 완료에 따라 상태영역이 「1」로 되는 것이 기다려진다. 환언하면, 상태영역의 「1」은,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이 사용가능한 상태, 즉, 해방상태라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단계(S3)에 있어서는, 업로드영역(26a)의 각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단계(S4)로 이행한다. 이때, 업로드영역(26a)의 데이터타입영역에는 「데이터전송」을 표시하는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스택번호영역에는 「0」이 기록된다.
단계(S4)에 있어서는, 업로드영역(26a)의 상태영역이 「0」으로 설정되고, 그후, 단계(S5)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 「0」은, 업로드영역(26a)의 데이터가 배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그것과 동시에, 할입발생어드레스에 기록되는 것에 의해 할입신호가 외부장치(G1)로부터 팩시밀리장치(F)의 제1CPU(11)에 출력된다. 즉, 업로드영역(26a)의 할입발생어드레스에 기록되는 것에 따라, 외부장치(G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아니한 하드회로에서 할입신호가 발생되어서 팩시밀리장치(F)에 입력된다. 그리고, 팩시밀리장치(F)의 제1CPU(11)는, 할입신호를 입력하면 테스크(A2)를 기동하여, 전기 업로드영역(26a)의 상태영역이 「0」인 것을 확인한 후,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단계(S5)에 있어서는, 제2RAM(23)의 제1관리테이블(T1)의 「업로드영역」의 란이 「0」에서 「1」로 변환되어, 단계(S6)로 이행한다. 그 결과,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를 사용하는 권리가 해방된다.
단계(S6)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테스크(A3)로부터의 메시지가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메시지있음의 경우는, 단계(S7)로 이행한다. 메시지가 없는 경우는, 메시지가 있을 때까지 기다려진다.
단계(S7)에 있어서는, 제2RAM(23)내의 제1관리테이블(T1)의 「데이터전송」의 란이 「0」에서 「1」로 변환되어, 이 테스크(A1)가 종료된다. 즉, 업로드영역(26a)의 사용권의 해방에 이어서 「데이터전송」이라는 데이터타입을 사용하는 권리가 해방된 후,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팩시밀리장치(F)에 있어서의 테스크(A2)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8 및 도 9에 표시하는 플로우챠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플로우챠트는, 팩시밀리장치(F)의 제1CPU(11)의 제어하에 실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테스크(A2)는 할입신호에 의하여 기동된다.
그런데, 팩시밀리장치(F)의 제1CPU(11)에 할입신호가 입력되면, 테스크(A2)가 기동되어서, 도 8 및 도 9의 플로우챠트의 처리가 개시된다. 즉, 먼저, 할입정지어드레스를 판독하여 할입신호가 정지되어, 외부장치(G1)의 업로드영역(26a)의 상태영역이 「0」인 것을 확인된 후, 도 8에 표시하는 단계(S21)에 있어서, 외부장치(G1)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판독이 완료하면, S22로 이행한다.
단계(S22)에 있어서는, 업로드영역(26a)의 상태영역이 「1」로 설정되어, DPRAM(26)의 업로드영역(26a)이 사용가능한 상태, 즉, 해방상태로 되어, 단계(S23)로 이행한다.
단계(S23)에 있어서는,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서, 데이터타입영역의 데이터가 「데이터전송」을 표시하는 데이터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데이터전송」을 표시하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S30)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때,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스택번호영역내의 데이터가 「0」이면,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가, 외부장치(G1)를 발신원으로하여 전송되어온 데이터라고 판단된다. 스택번호영역내의 데이터가 「0」이외이면, 업로드영역(26a)의 데이터가, 외부장치(G1) 이외의 다른 외부장치를 발신원으로하여 전송되어온 데이터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스택번호영역의 데이터가 「0」인 것으로 한다.
단계(S24)에 있어서는, 먼저에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그 데이터내용에 대응한 처리가 실행되고, 그후, 단계(S25)로 이행한다.
단계(S25)에 있어서는, S1과 마찬가지로, 제1RAM(13)의 관리테이블(T)의 「데이터전송결과」의 란이 「1」에서 「0」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DPRAM(26)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하는 권리가 획득됨과 아울러, 다운로드영역(26b)의 데이터타입영역에 기록하여야 할 데이터타입으로서 「데이터전송결과」라고 하는 타입을 사용하는 권리가 획득되어, 도 9에 표시하는 단계(S26)로 이행한다.
단계(S26)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의 상태영역이 「1」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즉,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불요인가 아닌가를 이 상태영역이 「1」로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상태영역이 「1」의 경우는, 외부장치(G1)측에서 데이터의 판독이 완료하여,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불요하게 되었다고 판단되어, 단계(S27)로 이행한다. 상태영역이 「1」이 아닌 경우는, 외부장치(G1)측에서의 데이터의 판독의 완료에 따라, 상태영역이 「1」로 되는 것이 기다려진다.
단계(S27)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의 각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고, 단계(S28)로 이행한다. 이때, 외부장치(G1)로부터의 데이터에 관한 처리결과를 그 외부장치(G1)에 알리도록,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텍번호영역에는 「0」이 기록되고, 데이터타입영역에는 「데이터전송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기록된다.
단계(S28)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의 상태영역이 「0」으로 설정되고, 그 후, 단계(S29)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 「0」은, 다운로드영역(26b)의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그것과 동시에, 할입발생어드레스에 기록되는 것에 의하여, 할입신호가 외부장치(G1)의 DPRAM(26)으로부터 외부장치(G1)의 제2CPU(21)에 출력된다. 즉, 다운로드영역(26b)의 상태영역이 팩시밀리장치(F)의 제1CPU(11)에 의하여 「0」으로 설정되는 것에 따라, 외부장치(G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아니하는 하드회로에서 할입신호가 발생되어서 입력된다. 그리고, 외부장치(G1)의 제2CPU(21)는, 할입신호를 입력하면 테스크(A3)를 기동하고, 전기 다운로드영역(26b)의 상태영역이 「0」인 것을 확인한 후,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단계(S29)에 있어서는, 제1RAM(13)의 관리테이블(T)의 「다운로드영역」의 란이 「0」에서 「1」로 변환되고, 또한 동 테이블(T)의 「데이터전송결과」의 란도 「0」에서 「1」로 변환되어, 일련의 처리가 종료한다. 즉,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권과 「데이터전송결과」라는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이 해방된 후에 처리가 종료한다.
도 8의 전기 단계(S23)에 있어서, 데이터타입이 「데이터전송」이 아닌 경우는, 단계(S30)로 이행하여, 판독된 데이터에 대응한 처리가 실행되어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테스크(A3)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7에 표시하는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챠트는, 외부장치(G1)의 제2CPU(21)의 제어하에 행하여지는 것이다.
외부장치(G1)의 제2CPU(21)에 할입신호가 입력되면, 테스크(A3)가 기동하여, 도 7에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의 처리가 개시된다. 즉, 먼저 외부장치(G1)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상태영역이 「0」인 것이 확인된 후, 단계(S26)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이 「0」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스택번호영역이 「0」인 경우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자기장치앞으로의 데이터라고 판단되어, 단계(S12)로 이행한다.
단계(S12)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판독이 완료하면 단계(S13)로 이행한다.
단계(S13)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의 상태영역이 「1」로 설정되어, 그 다운로드영역(26b)이 사용가능한 상태, 즉, 해제상태로 되어, 단계(S14)로 이행한다.
단계(S14)에 있어서는,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타입영역내의 데이터가 「데이터전송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데이터전송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먼저 스택(A1)에 의해서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전송된 데이터에 관한 처리결과라고 판단되어, 단계(S15)로 이행한다. 「데이터전송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먼저 테스크(A1)에 의해서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전송된 데이터에 관한 처리결과 이외의 데이터라고 판단되어, 단계(S18)로 이행한다. 즉,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데이터전송을 하고 나서, 그 전송데이터에 관한 처리결과의 데이터가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되돌아올 때까지의 사이에, 팩시밀리장치(F)측에서 별도의 테스크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경우에는,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데이터전송결과」 이외의 데이터타입의 데이터가 먼저 전송되어오는 일이 있다.
단계(S15)에 있어서는, 데이터전송결과를 판독한 뜻의 메시지가 테스크(A1)에 통지되고, 이 테스크(A3)가 종료된다. 그리고, 먼저 설명한 테스크(A1)에 있어서는, 전기 S6에 있어서 테스크(A3)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취하면,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전송한 데이터에 관한 처리결과가 그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되돌아온 것이라고 판단하여, S7의 처리후에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는 것이다.
한편, 전기 S11에 있어서, 스택번호영역이 「0」이 아닌 경우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다른 외부장치 앞으로의 데이터라고 판단되어, 단계(S16)로 이행한다.
단계(S16)에 있어서는,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내의 스택번호가 「1」디크리멘트되어서, 단계(S17)로 이행한다.
단계(S17)에 있어서는, 외부장치(G1)의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가, 두번째의 외부장치(G2)의 다운로드영역(26b)내로 전송된다. 이때, 전송선의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는, 상기 단계(S16)에서 디크리멘트된 스택번호가 기록되어, 이 테스크(A3)가 종료된다.
또, 전기 단계(S14)에 있어서 데이터타입이 「데이터전송결과」가 아닌 경우는, 단계(S18)에 있어서 판독한 데이터에 따른 처리가 실행되어, 이 스택(A3)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도 5에도 표시하는 바와같이, 예컨대 테스크(A1)의 「데이터전송」의 발생에 따라, 전기 단계(S3)에 있어서, 외부장치(G1)측에서 업로드영역(26b)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과 동시에, 팩시밀리장치(F)측에 있어서도 테스크(B1)의 「데이터전송」의 발생에 따라, 외부장치(G1)의 다운로드영역(26b)에 데이터의 기록이 행하여졌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외부장치(G1)에 있어서는, 업로드영역(26a)에 대한 기록종료후에, 제1관리테이블(T1)의 「업로드영역」의 란이 「1」로 되돌아가고,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권이 해방된다.
또, 팩시밀리장치(F)에서는, 테스크(A2)에 의하여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행한 후에, 그 처리결과를 외부장치(G1)에 알리도록,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외부장치(G1)에서는, 테스크(A2)에 의하여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행한 후에, 그 처리결과를 팩시밀리장치(F)에 알리도록,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업로드영역(26a)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팩시밀리장치(F)는, 「데이터전송결과」라고 하는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을 획득하기 위해, 관리테이블(T)의 「데이터전송결과」의 란을 「1」에서 「0」으로 한다. 또한, 팩시밀리장치(F)는, 먼저 해방한 다운로드영역(26b)의 사용권을 재획득하기 위하여, 관리테이블(T)의 「다운로드영역」의 란을 「1」에서 「0」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팩시밀리장치(F)는,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G1)는 테스크(A3)에 의하여 다운로드영역(26b)의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외부장치(G1)는, 「데이터전송결과」라고 하는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을 획득하기 위해, 제1관리테이블(T1)의 「데이터전송결과」의 란을 「1」에서 「0」으로 한다. 또한 외부장치(G1)는, 먼저 해방한 업로드영역(26a)의 사용권을 재획득하기 위하여, 제1관리테이블(T1)의 「업로드영역」의 란을 「1」에서 「0」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외부장치(G1)는,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업로드영역(26a)에 기록할 수가 있다. 따라서, 팩시밀리장치(F)는, 테스크(B3)에 의하여 업로드영역(26a)의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서, 팩시밀리장치(F) 및 외부장치(G1)의 쌍방에서, 상대에 대하여 동시에 처리의 의뢰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대로부터의 처리결과를 아무런 지장없이 확인할 수 있고, 다음의 처치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태양에서는, DPRAM(26)의 각 영역(26a),(26b)의 사용권(세마포)과, 데이터타입의 사용권이 따로따로 관리되고 있다. 더욱이, 데이터타입에 관하여는, 그 종류마다에, 사용권(세마포)의 설정이 각각 가능하다. 이 때문에, 팩시밀리장치(F) 및 외부장치(G1)는, 각각 각 영역(26a),(26b)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후에, 각 영역(26a),(26b)의 사용권을 해방하면, 그 영역(26a),(26b)의 처리결과의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재차 획득할 수가 있다. 또한,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타입은, 「데이터전송」이라고 하는 타입과 다른 「데이터전송결과」라는 타입이므로, 「데이터전송결과」라고 하는 데이터타입을 사용하는 권리는 「데이터전송」을 사용하는 권리와는 별개로 획득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팩시밀리장치(F) 및 외부장치(G1)는, 상대에 대하여 동시에 처리의 의뢰를 한 상태에서도, 상대로부터의 의뢰에 대한 처리결과의 데이터를 DPRAM(26)의 각 영역(26a),(26b)에 기록할 수 있고, 처리결과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는 상태로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외부장치(G1)에 있어서, 전술한 테스크(A1)의 발생에 따라, 전기 단계(S3)와 같이해서, 업로드영역(26a)내에,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그 테스크(A1)와는 별개의 테스크(C1)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 경우, 테스크(C1)의 데이터타입이 예컨대 「리모트함수」이면, 테스크(B1)의 데이터타입인 「데이터전송」과는 다르므로, 외부장치(G1)는 제1관리테이블(T1)의 「리모트함수」의 란을 「1」에서 「0」으로 하여, 「리모트함수」라고 하는 데이터타입을 사용하는 권리를 획득할 수가 있다. 그후 외부장치(G1)에 있어서는, 테스크(A1)에 의하여 업로드영역(26a)내에 데이터가 기록된 후, 제1관리테이블(T1)의 「업로드영역」의 란이 「1」로 되돌려져서, 업로드영역(26a)의 사용권이 해방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되면, 외부장치(G1)는, 테스크(C1)에 의하여 제1관리테이블(T1)의 「업로드영역」의 란을 재차 「0」으로하여, 업로드영역(26a)의 사용권을 획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G1)는, 「데이터전송」에 관한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처리결과를 기다릴 것없이, 「리모트함수」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영역(26a)에 기록해서, 팩시밀리장치(F)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팩시밀리장치(F)가 외부장치(G1)에 어떤 처리를 의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 동작은, 도 4를 참조하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첫 번째의 외부장치(G1)를 도 1에 표시하는 것같은 모뎀유니트, 두번째의 외부장치(G2)를 스캐너, n-1번째의 외부장치(Gn-1)를 프린터, n번째의 외부장치(Gn)를 외부장치(G1)와 동일한 모뎀유니트로 한다.
팩시밀리장치(F)가 외부장치에 대하여 송신처리를 의뢰한 경우에는, 그 뜻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첫 번째의 외부장치(G1)의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한다. 이때, 다운로드영역(26b)의 식별영역에는, 의뢰내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의 종료를 표시하는 데이터(이 경우는 모뎀유니트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또,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는, 모든 외부장치가 데이터의 받는 쪽인 뜻을 표시하는 특별한 값이 격납된다. 외부장치(G1)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를 판독한 때에, 스택번호영역내의 데이터가 상기한 바와같은 특별한 값이고, 더욱이, 식별영역내의 데이터가 모뎀유니트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므로,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의뢰가 자신에 대한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때, 외부장치(G1)는, 다른 통신의 통신중이라면,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의뢰를 받을 수가 없기 때문에, 스택번호영역내의 값이 모든 외부장치를 대상으로 한 특별한 값인 때에만, 판독한 데이터를 두 번째의 외부장치(G2)의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한다.
두 번째의 외부장치(G2)는,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를 판독한 때에, 식별영역내의 데이터가 모뎀유니트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므로,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의뢰가 자신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외부장치(G2)는, 판독한 데이터를 3번째의 외부장치(도시생략)의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하여, 외부장치(G2)와 외부장치(Gn-1)의 사이에 모뎀유니트로서의 외부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장치(Gn)의 다운로드영역(26b)에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된다. n번째의 외부장치(Gn)는, 다운로드영역(26b)의 데이터를 판독한 때에, 스택번호영역내의 데이터가 상기한 바와같은 특별한 값이고, 더욱이, 식별영역내의 데이터가 모뎀유니트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므로,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의뢰가 자신에 대한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말단의 외부장치(Gn)는, 다른 통신의 통신중이라면,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의뢰를 받을 수가 없기 때문에, 그 뜻의 응답을 업로드영역(26a)내에 기록한다. 한편, 외부장치(Gn)는, 다른 통신을 하고 있지않다면,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의뢰를 받을 수 있으므로, 그 뜻의 응답을 업로드영역(26a)내에 기록한다. 이때, 업로드영역(26a)의 스택번호영역내에는 「0」이 기록된다.
그리고, 이 외부장치(Gn)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는, 복수의 외부장치를 거쳐서 첫 번째의 외부장치(G1)의 업로드영역(26a)까지 전송된다. 그리고, 스택번호는, 전송에 따라서 순차 인크리멘트된다. 팩시밀리장치(F)는, 외부장치(G1)의 업로드영역(26a)내의 데이터에 따라서, 전송처리의 의뢰가 외부장치에서 받아들여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받아들여진 경우에는, 판독한 스택번호에 따라서 그 의뢰를 받아들인 외부장치가 몇번째의 외부장치인가를 인식한다. 그리고, 팩시밀리장치(F)는, 예컨대 송신하여야 할 화상데이터를 첫 번째의 외부장치(G1)의 다운로드영역(26b)에 기록한다. 이때, 다운로드영역(26b)의 스택번호영역에는 「n-1」이 기록된다. 따라서, 이 다운로드영역(26b)내의 데이터는, 말단의 외부장치(Gn)의 다운로드영역(26b)까지 순차 전송되어서, 그 외부장치(Gn)에서 자기앞의 데이터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외부장치(Gn)는 수취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태양의 팩시밀리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1) 팩시밀리장치에는, 하나의 커넥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외부장치를 데이지체인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장치가 증가하여도, 말단의 외부장치에 새로운 외부장치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따라서, 팩시밀리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팩시밀리장치로부터 외부장치에의 데이터전송 및 외부장치로부터 팩시밀리장치에의 데이터전송은, 각 외부장치에 설치된 DPRAM(26)을 개재하여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외부장치의 접속수에 관계없이, 그들 외부장치와 팩시밀리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전송을 간단하고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2) 외부장치에 있어서는, DPRAM(26), 두 개의 커넥터(28),(29) 및 데이터전송에 관한 소프트웨어를 공통화할 수 있다. 즉, 외부장치는 팩시밀리장치에 대하여 몇번째로 접속되어도, 항상 스택번호가 「0」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자신앞으로의 데이터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장치로서 공통화되는 요소가 많고, 따라서 외부장치의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3) DPRAM(26)은, 업로드측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억영역인 업로드영역(26a)과, 다운로드측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억영역인 다운로드영역(26b)으로 나뉘어져 있다. 더욱이, 전이중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항상 데이터를 쌍방향에서 동시에 효율좋게 전송할 수가 있다. 또, 데이터는 바라렐전송되므로 고속으로 전송할 수가 있다.
(4) 팩시밀리장치(F)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몇번째의 어느 외부장치에 전송하는가를 판단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외부장치로부터 알려진 스택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첫 번째의 외부장치(G1)에 전송하는 것 뿐이다. 이 때문에, 팩시밀리장치(F)에 있어서는, 외부장치의 수가 증가하여도, 제1CPU(11)에 걸리는 부담은 변하지 않는다. 또, 외부장치의 수나 그들이 어떠한 종류의 것인지에 관계없이, 팩시밀리장치의 사양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팩시밀리장치로서의 범용성에 뛰어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5) 팩시밀리장치(F)는, 외부장치로부터 알려진 스택번호에 의하여 각 외부장치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장치로서 같은 종류의 것이 접속되어 있어도 그들을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태양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팩시밀리장치(F)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로서, 프린터나 스캐너 등, 각종의 것을 준비할 것, 예컨대, 외부장치로서의 프린터라면, 도 1에 표시하는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제2NCU(24) 및 제2모뎀(25)에 바꾸어서, 기록부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같은 외부장치를 접속하면, 팩시밀리장치(F)에서 수신된 화상데이터를 이 외부장치에 전송해서 인자시킬 수가 있다. 또, 외부장치로서의 스캐너라면, 도 1에 표시하는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제2NCU(24) 및 제2모뎀에 대신해서 판독부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같은 외부장치를 접속하면, 동 외부장치에서 판독한 화상데이터를 팩시밀리장치(F)에 전송해서, 동 장치(F)에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로서, 도 10에 표시하는 것 같은 것을 준비하여도 좋다. 이 도 10의 외부장치(38)는, 팩시밀리장치(F)를 LAN(Local Area Network) 등에 접속해서, LAN상의 일단말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 외부장치(38)에는, 전기 도 1에 표시하는 외부장치(G1)에 있어서의 제2NCU(24) 및 제2모뎀(25)에 대신해서, 네트워크인터페이스(3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외부장치(38)는, 버스(B31),(B32), DPRAM(26), 제2커넥터(28), 제3커넥터(29), 제3CPU(31), 제2ROM(32), 제3RAM(33) 및 네트워크인터페이스(30)를 구비하고 있다. LAN으로서는, 예컨대, 이 이서네트 등의 버스형 LAN이 사용되고, 팩시밀리장치(F)는, 외부장치(38)를 개재하여 10 Base 2 등의 동축케이블(37)에 접속된다.
도 1의 외부장치(G1)와 마찬가지로, DPRAM(26)은 업로드영역(26a) 및 다운로드영역(26b)을 가지고 있고, 제3RAM(33)은 제1관리테이블(T1) 및 제2관리테이블(T2)을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30)는, 네트워크콘트롤러(34), 시리얼인터페이스아답터(35) 및 트랜시버(36)를 구비하고 있다. 네트워크콘트롤러(34)는, 팩시밀리장치(F)로부터의 데이터를 동축케이블(37)에 적정하게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방식에 따라서 LAN과의 액세스제어를 행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시리얼인터페이스아답터(35)는,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동축케이블(37)에 송출되는 데이터를 바라렐데이터로부터 시리얼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동축케이블(37)을 전송되는 시리얼데이터를 바라렐데이터로 변환해서 팩시밀리장치(F)에 출력한다. 트랜시버(36)는, 동축케이블(37)과의 접속을 위해 설치되고, 동축케이블(37)상의 신호레벨과 시리얼인터페이스아답터(35)에 있어서의 신호레벨을 적합시키기 위해, 그들 신호레벨의 변환을 행하던가 한다.
따라서, 이 외부장치(38)를 팩시밀리장치(F) 혹은 동 장치(F)에 접속된 외부장치에 접속하면, 팩시밀리장치(F)를 LAN상의 일단말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1회선(L1)을 개재하여 팩시밀리장치(F)에서 수신된 팩시밀리데이터를, LAN상의 파스콘 등의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팩시밀리장치(F)에서 제1회선(L1)을 개재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택번호를 「1」씩 인크리멘트 및 디크리멘트하였으나, 그들을 2이상의 수씩 인크리멘트 및 디크리멘트하는 일, 또, 외부장치는, 자신으로부터 팩시밀리장치(F)에 대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할 때는, 스택번호를 「0」부터 개시하였으나, 이것을 「0」이외의 값으로 하는 일, 이것에 따라서, 외부장치가 자기앞으로의 데이터인 것을 판단하는 스택번호의 값을 「0」이외의 값으로 하는 것.
(c) 팩시밀리장치(F)로부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스택번호를 인크리멘트하고, 외부장치로부터 팩시밀리장치(F)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스택번호를 디크리멘트하도록 변경하는 일.
(d) DPRAM(26)을 제1CPU(11)로부터 제2CPU(2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FIFO(First In First Out)메모리에, 제2CPU(21)로부터 제1CPU(11)에 데이터전송하는 제2FIFO메모리로 변경하는 일.
(e) 외부장치는 반드시 외부에 있어야만 되는 것이 아니고, 팩시밀리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장비하여도 좋다.
(f) 정보처리장치로서 팩시밀리장치(F)에 한정하지 않고, 퍼스널컴퓨터 등의 기기에 적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정보처리장치에 외부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정보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정보처리장치의 부하를 증대시키는 일없이, 데이지체인방식으로 복수의 외부장치를 용이하게 증설가능한 정보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처리장치가 팩시밀리장치인 경우, 1회선 사양의 팩시밀리장치라도, 용이하게 2회선 사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과, 네트워크대응 사양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쌍방향으로부터 판독가능한 기억수단은, 업로드영역과 다운로드영역을 독립해서 구비하고 있고, 또한 전이중버스에서 접속되므로, 쌍방향의 통신을 효율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통신에 관한 슬루풋트가 향상한다. 또, 기억수단을 개재하여 두 개의 서브시스템이 접속되어, 한쪽의 서브시스템이 기억수단의 사용권을 확보하고, 다른 쪽의 서브시스템이 기억수단의 사용권을 포기하는 것에 의하여, 서브시스템 사이에서 공용되는 기억수단의 배타제어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서브시스템 내에서의 기억수단의 배타제어에, 기억영역의 배타제어를 관리하는 세마포와, 기억수단의 데이터의 종류를 관리하는 세마포를 독립해서 설치하였으므로, 데이터의 종류가 다르면, 멀티테스크에 의한 다중처리에서 기억영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억수단을 개재하여, 복수의 서브시스템이 데이지체인방식으로 접속되고, 업로드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스택번호를 가산하고, 다운로드방향에 전송하는 경우, 스택번호를 감산한다. 최상위의 서브시스템은, 스택번호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원의 시스템을 특정할 수 있다. 또, 각 서브시스템은, 스택번호가 특정의 값(예컨대 "0")시에, 자기앞의 서브시스템의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서브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공통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쌍방향으로부터 판독 및 기록 가능한 제1 기억수단을 구비한 제1 외부장치; 및 상기 제1 외부장치와 접속하는 제1 접속수단과, 상기 제1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기억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전송을 행하여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수단에는 상기 제1 외부장치측으로부터 상기 정보처리장치측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업로드 영역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측으로부터 상기 제1 외부장치측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업로드 영역과 분리된 다운로드 영역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외부장치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되는 제2 접속수단, 이 제2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기억수단과 정보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 제2 외부장치에 접속되는 제3 접속수단, 및 이 제3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기억수단과 제2 외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3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외부장치는 쌍방향으로 판독 및 기록 가능한 제2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3 외부장치에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부장치에 접속되는 제4 접속수단; 및 제4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2 기억수단과 제3 외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4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정보처리시스템.
KR1019970008983A 1996-07-09 1997-03-17 정보처리시스템 KR100298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9467H# 1996-07-09
JP96-179467 1996-07-09
JP8179467A JPH1027150A (ja) 1996-07-09 1996-07-09 情報処理装置及び外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239A KR980013239A (ko) 1998-04-30
KR100298836B1 true KR100298836B1 (ko) 2001-10-26

Family

ID=1606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983A KR100298836B1 (ko) 1996-07-09 1997-03-17 정보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95178B1 (ko)
EP (1) EP0818918B1 (ko)
JP (1) JPH1027150A (ko)
KR (1) KR100298836B1 (ko)
CN (1) CN1094216C (ko)
DE (1) DE69728611T2 (ko)
HK (1) HK1009864A1 (ko)
TW (1) TW329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904B2 (ja) * 2000-08-29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外部装置、給紙装置、および、排紙装置
EP1326417B1 (en) 2001-12-28 2012-04-18 Canon Kabushiki Kaisha Internal interface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thereof
KR100604543B1 (ko) * 2004-01-16 2006-07-24 주식회사 팬택 모드간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US8209470B2 (en) * 2009-04-10 2012-06-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PU data bus PLD/FPGA interface using dual port RAM structure built in PLD
CN103001836A (zh) * 2011-09-09 2013-03-27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无需地址分配的串行通信方法和系统
TWI510926B (zh) * 2012-07-04 2015-12-01 Acer Inc 支援雙主控裝置存取介面裝置之系統及其電源管理方法
JP2022086836A (ja) * 2020-11-30 2022-06-09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バ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106A (en) * 1992-05-27 1995-09-19 Exfax Technologies Ltd Pty Modem device for communication of facsimile or file dat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665A (en) 1987-06-24 1993-01-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Microprocessor information exchange with updating of messages by asynchronous processors using assigned and/or available buffers in dual port memory
US4947266A (en) * 1987-10-13 1990-08-0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JPH01162967A (ja) 1987-12-18 1989-06-27 Fujitsu Ltd 割込み処理方法及び装置
US5014247A (en) 1988-12-19 1991-05-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for accessing the same memory location by two different devices
US4941170A (en) * 1989-03-20 1990-07-10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Facsimile transmissions system
JPH04165841A (ja) * 1990-10-30 1992-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ァクシミリ端末集線装置への遠隔操作制御方式
JPH04257048A (ja) 1991-02-12 199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ュアルポートメモリ
JPH04281645A (ja) 1991-03-09 1992-10-07 Mita Ind Co Ltd Cpu間の通信方法
CA2057446C (en) 1991-04-04 1998-02-17 Brian Neil Baker Shared memory access and data structure access control
US5317693A (en) 1991-04-04 1994-05-3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omputer peripheral device network with peripheral address resetting capabilities
JPH04358478A (ja) * 1991-06-04 1992-12-11 Fuji Xerox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52111B2 (ja) * 1992-07-09 1999-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制御装置
JPH0765145A (ja) * 1993-08-24 1995-03-1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106A (en) * 1992-05-27 1995-09-19 Exfax Technologies Ltd Pty Modem device for communication of facsimile or fil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7150A (ja) 1998-01-27
DE69728611T2 (de) 2005-03-31
CN1177770A (zh) 1998-04-01
EP0818918B1 (en) 2004-04-14
DE69728611D1 (de) 2004-05-19
EP0818918A2 (en) 1998-01-14
HK1009864A1 (en) 1999-06-11
CN1094216C (zh) 2002-11-13
TW329584B (en) 1998-04-11
KR980013239A (ko) 1998-04-30
US6195178B1 (en) 2001-02-27
EP0818918A3 (en)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3653B2 (ja) 通信装置内蔵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5228128A (en) Personal computer facsimile device
KR100298836B1 (ko) 정보처리시스템
US5235674A (en) Method and device for adapting a printer into an autonomous facsimile apparatus
EP0097028A2 (en) Multiple-microcomputer communications system
EP1033657B1 (en) Packet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manager means for managing packet labels
KR100597497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CN100544394C (zh) 图像处理系统及图像读取装置
KR19980042737A (ko) 호스트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EP0710374A1 (en) Apparatus for adding modem capabilities to a computer system equipped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721003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ing a memory controller to write control parameter in a nonvolatile memory into dual port RAM in accordance with power on
US5923442A (en) Facsimile which controls received data destination and stores or prints the data if the destination is unavailable
CA2193186C (en) Facsimile apparatus
KR100430229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JP2639248B2 (ja) 通信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JPH10228364A (ja) データ転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EP0400543B1 (en) Facsimile transmission system
JPH0521927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173124B2 (ja) ファクシミリ中継機
CN101127812B (zh) 图像处理系统及图像读取装置
JP2590773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JP2884943B2 (ja) アドレス調停回路
JPS62226766A (ja) 複数フアクシミリ間のデ−タ登録方式
JPH11308396A (ja) 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3023511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