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229B1 -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229B1
KR100430229B1 KR1019970057569A KR19970057569A KR100430229B1 KR 100430229 B1 KR100430229 B1 KR 100430229B1 KR 1019970057569 A KR1019970057569 A KR 1019970057569A KR 19970057569 A KR19970057569 A KR 19970057569A KR 100430229 B1 KR100430229 B1 KR 10043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l
signal
elevator
transmit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990A (ko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2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장치는 엘리베이터 이용시 승강장의 홀 호출버튼에 의해서만 카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카가 다른 층에서 대기할 때는 호출한 층에 도착할 때 까지는 이용자가 카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홀 정보를 주고 받는 전송용호스트와; 상기 전송용호스트와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각 종 홀 정보를 직렬전송하는 전송용 홀 스테이션과; 각 층 홀을 호출하는 홀호출버튼과; 홀 공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와; 각 종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무선통신하는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신호입출력부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 구성함으로써 각종 홀 정보를 통신선을 이용한 직렬통신외에 무선통신으로 처리할 수 있어 카를 이용하고자 할 때나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를 알고자 할 때 승강장에 가지 않고도 카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를 알 수가 있어 시간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카를 미리 호출할 수 있으므로 카 서비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은 전송용 호스트와 각 홀 스테이션과의 직렬통신 및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엘리베이터 신호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0)와 접속되어 홀 정보를 주고 받는 전송용호스트(101)와; 상기 전송용호스트(101)와 통신선(105)으로 접속되어 각 종 홀 정보를 직렬전송하는 전송용 홀 스테이션(102A~102N)과; 각 층 홀 호출버튼(103A~103N)과; 홀 공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104A~104N)로 구성된다.
도2는 상기 전송용호스트(101)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1)의 씨피유(200)와 홀측 씨피유(202)간에 각 종 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양 쪽에서 읽고,쓰기가 가능한 듀얼포트램(201)과; 상기 홀 스테이션(102A~102N)과 직렬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호스트 통신소자(203)와; 통신선(105)과 접속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부(204)로 구성된다.
도3은 상기 홀 스테이션(102A~102N)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전송용 호스트(101)와 데이터를 전송선(105)을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300)와; 상기 전송용 호스트(101)의 통신소자(203)와 직렬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소자(301)와; 홀 호출버튼(103A~103N)과 접속되어 홀 버튼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부(304)와; 홀 표시기(104A~104N)와 접속되어 홀 공통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303)와; 상기 입력부(304)로부터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한 이벤트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발생부(302)로 구성되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각 홀스테이션(102A~102N)의 입력부(304)는 홀 호출버튼(103A~103N)에서 호출이 발생하면 이 호출신호를 읽어들여 홀 측 통신소자(301)의 입력버퍼에 전달하며, 이때 이벤트발생부(302)는 상기 입력부(304)로부터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따라 홀 호출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벤트신호를 통신소자(301)에 인가한다.
이후, 상기 통신소자(301)는 입력된 홀버튼 정보를 송수신부(300)로 출력하며, 이에따라 상기 송수신부(300)는 그 홀버튼 정보를 통신선(105)에 출력하여 그 정보는 전송용 호스트(101)로 직렬 전송된다.
그 다음에, 직렬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전송용 호스트(101)의 송수신부(204)를 통해 호스트 통신소자(203)로 전달되고, 이 데이터수신을 완료한 통신소자(203)는 임의의 홀 스테이션(102A~102N)에서 홀 호출버튼 정보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호스트 씨피유(202)에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호스트 씨피유(202)는 통신소자(203)의 수신버퍼에 인가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난 다음에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내의 씨피유(200)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듀얼포트램(201)의 해당번지에 입력된 정보를 쓴다.
그 다음에, 상기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내의 씨피유(200)가 듀얼포트램(201)에 저장한 각종 홀 정보를 읽고 난 다음 호스트 통신소자(203)의 송신버퍼에 쓰고 난 다음 송수신부(204)의 송신드라이브회로에 의해 통신선(105)을 통하여 홀 스테이션(102A~102N)으로 데이터를 직렬 전송한다.
이후, 전송용 호스트(101)에서 직렬전송된 데이터를 홀 스테이션(102A~102N)의 송수신부(300)에 의해 통신소자(301)의 수신버퍼에 저장되고, 상기 통신소자(301)는 출력부(303)를 통하여 표시기(104A~104N)에 각 종 홀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장치는 엘리베이터 이용시 승강장의 홀 호출버튼에 의해서만 카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카가 다른 층에서 대기할 때는 호출한 층에 도착할 때 까지는 이용자가 카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홀 정보를 무선으로 처리하여 카를 이용하고자 할 때나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를 알고자 할 때 승강장에 가지 않고도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를 알 수 있어 카 서비스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신호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전송용 호스트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홀스테이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신호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전송용 호스트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신호입출력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 신호처리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외부 입력신호의 체크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9는 출력 인터럽트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수신 인터럽트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엘리베이터제어장치 102A~102N:홀스테이션
103A~103N:홀호출버튼 104A~104N:표시기
400:전송용호스트 401:신호처리부
404:신호입출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홀 정보를 주고 받는 전송용호스트와; 상기 전송용호스트와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각 종 홀 정보를 직렬전송하는 전송용 홀 스테이션과; 각 층 홀을 호출하는 홀호출버튼과; 홀 공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와; 각 종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무선통신하는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신호입출력부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신호전송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0)와 접속되어 홀 정보를 주고 받는 전송용호스트(400)와; 상기 전송용호스트(400)와 통신선(105)으로 접속되어 각 종 홀 정보를 직렬전송하는 전송용 홀 스테이션(102A~102N)과; 각 층 홀을 호출하는 홀호출버튼(103A~103N)과; 홀 공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104A~104N)와; 각 종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무선통신하는 신호입출력부(404)와; 상기 신호입출력부(404)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처리하는 신호처리부(404)로 구성한다.
도5는 상기 전송용 호스트(4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의 씨피유(200)로부터 전송된 홀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듀얼포트램(501)과; 상기 듀얼포트램에 저장된 홀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씨피유(502)와; 홀스테이션(102A~102N)의 통신소자(301)와 직렬전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소자(503A)와; 신호처리부(401)와 직렬전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소자(503B)와; 상기 통신소자(503A)의 테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04A)와; 상기 통신소자(503B)의 테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04B)로 구성한다.
도6은 상기 신호입출력부(404)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603)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604)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콘트롤부(601)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콘트롤부(60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602)와; 입출력정보를 상기 콘트롤부(601)와 접속시켜 주는 인터페이스부(600)로 구성한다.
도7은 상기 신호처리부(401)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전송용호스트(400)의 송수신부(504B)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707)와; 상기 전송용 호스트(400)의 통신소자(503B)와 직렬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소자(706)와; 상기 통신소자(70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는 콘트롤부(705)와; 상기 콘트롤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부(704)와; 상기 인터페이스부(7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이를 전송하는 콘트롤부(703)와; 상기 콘트롤부(70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702)와; 상기 신호변환부(702)의 변환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는 전송부(700)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701)로 구성한다.
도8은 외부 입력데이터 체크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로부터 전송된 입력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전송된 입력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제1 단계로 궤환하고 전송된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저장한 후 전송용 데이터로 전송한 후 상기 제1 단계로 궤환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9는 콘트롤부(705)가 신호입출력부(404)로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송용 호스트(4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전송용 호스트(4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이 아니면 상기 제1 단계로 궤환하고 전송용 호스트(400)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이면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전송한후 상기 제1 단계로 궤환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10은 전송용 호스트(400)의 씨피유(502)의 홀 정보를 처리하는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호처리부(401)로부터의 인터럽트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신호처리부(401)로부터의 인터럽트가 아니면 상기 제1 단계로 궤환하고 신호처리부(401)로부터의 인터럽트이면 전송된 입력데이터를 저장한 후 전송할 출력데이터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 전송할 출력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제1 단계로 궤환하고 전송할 출력데이터가 있으면 그 출력데이터를 저장한 후 신호처리부(401)로 전송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도8,도9 및 도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를 호출하면 신호입출력부(404)에 의해 입력이 발생하고, 이를 신호처리부(401)로 전송된 정보가 있는 지를 신호처리부(401)의 콘트롤부(705)가 체크함으로써 카호출이 발생하였음을 알게된다.
즉, 신호처리부(401)의 신호변환부(702)는 상기 신호입출력부(404)의 카호출 데이터를 수신부(701)를 통해 통해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신호처리부(401)의 콘트롤부(703)는 상기 신호변환부(702)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인터페이스부(704)에 저장하며, 이후 신호처리부(401)의 콘트롤부(705)가 상기 인터페이스부(704)를 수시로 체크하여 전송된 입력정보가 있을 때 신호처리부(401)의 콘트롤부(705)가 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편집한다.
이 편집된 정보는 통신소자(706)를 통해 전송용호스트(400)의 통신소자(503B)로 데이터를 직렬전송한다.
이후, 신호처리부(401)의 콘트롤부(706)는 전송용호스트(400)의 통신소자(503B)로부터 데이터 전송인가를 체크하고, 이때 전송용 호스트(400)의 통신소자(503B)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이면 상기 콘트롤부(706)는 통신소자(706)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편집한 후 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콘트롤부(703)로 건네준다.
그 다음에, 상기 콘트롤부(70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은 신호변환부(702)는 그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부(700)를 통해 신호입출력부(404)로 그 변환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전송용호스트(400)의 씨피유(502)는 홀스테이션(102A~102N)으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인지 또는 신호처리부(401)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인가를 체크한다.
상기에서, 만약 신호처리부(401)의 데이터전송이면 상기 전송용호스트(400)의 씨피유(502)는 통신소자(503B)로부터 전송된 입력데이터를 저장한후 그 입력데이터를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의 씨피유(200)로 전달하기 위해 듀얼포트램(501)의 해당번지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전송용호스트(400)의 씨피유(502)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로부터 저장된 홀정보가 있는 지를 듀얼포트램(501)의 해당번지를 체크하여 저장된 홀정보가
승강장의 홀 스테이션(102A~102N)의 정보이면 이를 통신소자(503A) 및 송수신부(504A)를 통하여 홀스테이션(102A~102N)으로 전송하고, 만약 상기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로부터 저장된 홀정보가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이면 이를 통신소자(503B) 및 송수신부(504B)를 통하여 신호처리부(401)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입력을 주면 신호입출력부(404)의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신호입출력부(404)의 콘트롤부(601)에 전달되고, 이에따라 상기 콘트롤부(601)는 입력데이터를 신호변환부(602)에 전송하며, 이후 신호변환부(602)는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여 전송부(603)를 통해 신호처리부(401)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신호처리부(401)의 입력데이터를 전송받은 전송용호스트(400)의 씨피유(502)는 통신소자(503B)로부터 전송된 입력데이터를 저장한후 그 입력데이터를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의 씨피유(200)로 전달하기 위해 듀얼포트램(501)의 해당번지에 저장한다.
반대로, 상기 신호처리부(40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신호입출력부(404)의 수신부(604)를 통해 신호변환부(602)에 입력되고, 그 신호변환부(602)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인식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신호입출력부(404)의 콘트롤부(601)는 상기 신호변환부(602)로부터 변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각종 홀 정보를 통신선을 이용한 직렬통신외에 무선통신으로 처리할 수 있어 카를 이용하고자 할 때나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를 알고자 할 때 승강장에 가지 않고도 카호출 및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를 알 수가 있어 시간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카를 미리 호출할 수 있으므로 카 서비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0)와 접속되어 홀 정보를 주고 받는 전송용호스트(400)와; 상기 전송용호스트(400)와 통신선(105)으로 접속되어 각 종 홀 정보를 직렬전송하는 전송용 홀 스테이션(102A~102N)과; 각 층 홀을 호출하는 홀호출버튼(103A~103N)과; 홀 공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104A~104N)와; 각 종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무선통신하는 신호입출력부(404)와; 상기 신호입출력부(404)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처리하는 신호처리부(40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전송용호스트(400)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100)의 씨피유(200)로부터 전송된 홀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듀얼포트램(501)과; 상기 듀얼포트램에 저장된 홀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씨피유(502)와; 홀스테이션(102A~102N)의 통신소자(301)와 직렬전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소자(503A)와; 신호처리부(401)와 직렬전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소자(503B)와; 상기 통신소자(503A)의 테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04A)와; 상기 통신소자(503B)의 테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04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신호입출력부(404)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603)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604)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콘트롤부(601)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콘트롤부(60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602)와; 입출력정보를 상기 콘트롤부(601)와 접속시켜 주는 인터페이스부(6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신호처리부(401)는 전송용호스트(400)의 송수신부(504B)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707)와; 상기 전송용 호스트(400)의 통신소자(503B)와 직렬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소자(706)와; 상기 통신소자(70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는 콘트롤부(705)와; 상기 콘트롤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부(704)와; 상기 인터페이스부(7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이를 전송하는 콘트롤부(703)와; 상기 콘트롤부(70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702)와; 상기 신호변환부(702)의 변환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는 전송부(700)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70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1019970057569A 1997-11-01 1997-11-01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10043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69A KR100430229B1 (ko) 1997-11-01 1997-11-01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69A KR100430229B1 (ko) 1997-11-01 1997-11-01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90A KR19990037990A (ko) 1999-06-05
KR100430229B1 true KR100430229B1 (ko) 2004-09-18

Family

ID=3733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69A KR100430229B1 (ko) 1997-11-01 1997-11-01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19B1 (ko) * 2001-05-24 2003-11-21 주식회사 삼일엘텍 듀얼 포트램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WO2024052303A1 (en) * 2022-09-06 2024-03-14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data-power nodes for elevator operating terminal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614A (ko) * 1987-08-12 1989-04-15 미쓰다 가쓰시게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그의 장치
KR920011083A (ko) * 1990-11-28 1992-06-27 정몽헌 위상록루프의 록타임 제어장치
JPH05201624A (ja) * 1992-01-27 1993-08-1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6345341A (ja) * 1993-06-10 1994-12-20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KR19980014909A (ko) * 1996-08-17 1998-05-2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장치
KR0158992B1 (ko) * 1996-06-18 1999-02-18 방현욱 호이스트카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614A (ko) * 1987-08-12 1989-04-15 미쓰다 가쓰시게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그의 장치
KR920011083A (ko) * 1990-11-28 1992-06-27 정몽헌 위상록루프의 록타임 제어장치
JPH05201624A (ja) * 1992-01-27 1993-08-1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6345341A (ja) * 1993-06-10 1994-12-20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KR0158992B1 (ko) * 1996-06-18 1999-02-18 방현욱 호이스트카 제어시스템
KR19980014909A (ko) * 1996-08-17 1998-05-2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90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229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JP3166796B2 (ja) コードレス電話
JPS62196944A (ja) ワイヤレスデ−タ伝送システム
KR0178760B1 (ko)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KR100331301B1 (ko)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266382B1 (ko) 교환기의원격모니터링장치
JP3807064B2 (ja) 携帯情報端末
JP2959918B2 (ja) 基地局、移動局間の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442499B1 (ko) 엘리베이터의신호전송장치
JP2560797B2 (ja) 混信対策付パーソナル無線機
JPH0475715B2 (ko)
KR19990035225A (ko) 알에스-232씨 신호 송/수신 회로
KR100225043B1 (ko) 인터럽트를 이용한 다중 직렬통신방법 및 직렬통신장치
JPH0630462A (ja) 移動体無線機の動作チェック装置
JPH06282374A (ja) マウスの延長・増設装置
KR100595443B1 (ko) 가전기기의 통신 검사 방법
KR100962306B1 (ko) 임베디드 시스템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장치 및 그 방법
JP2949118B1 (ja) バス通信型エンコーダ装置のエンコーダデータ出力方法
JPH0667006B2 (ja) 移動無線の無線回線制御方法
JPS60236397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0257573A (ja) 無線検針システム
JPH05219202A (ja) ボタン電話機の動作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S5995747A (ja) 通信制御装置
JPS60241356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5260572A (ja) 遠方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