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760B1 -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760B1
KR0178760B1 KR1019950029786A KR19950029786A KR0178760B1 KR 0178760 B1 KR0178760 B1 KR 0178760B1 KR 1019950029786 A KR1019950029786 A KR 1019950029786A KR 19950029786 A KR19950029786 A KR 19950029786A KR 0178760 B1 KR0178760 B1 KR 017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signal
numerical control
data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927A (ko
Inventor
윤헌구
이민렬
이상봉
Original Assignee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101995002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760B1/ko
Publication of KR97001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002Interbus-S, output serial out, input serial in, as one shift regis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76RS485, differential data signals, x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 데이타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생산 현장에서 각 기계별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종합관리 하면서 필요시 각 기계로 송신 수신하려고 할 때 각각의 기계와 사무실 컴퓨터간에 중계기 장치 역할을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와 회로 전체를 제어하는 주제어기에 있어서, 컴퓨터 측에 수치제어 데이타를 신호를 변환하는 (RS-422) 신호 변환부에서 주제어기로 수치제어 데이타를 전송하는 주변장치와 포트선택신호를 전송하는 주변인터페이스부의 신호와 TTL신호가 같이신호 변환되게 하는 RS-232C신호를 변환부의 RS-232신호를 해당 공작기계 펀치판넬부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장비를 마련하여 RS422통신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중계장치가 접속되므로 통신 거리가 (최대 거리 1.2㎞)으로 연장되며, 상기 통신거리가 1.2㎞이므로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각 기계로 송수신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 페이스부에 의해 1~16까지 포토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기계 최대 16대와 한 대의 중계장치로 수치제어 프로그램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며 수신되는 수치데이타를 버퍼링 하면서 송신을 하므로 대용량의 수치제어 프로그램도 송, 수신이 가능하다.
멀티프렉서부는 8개의 포토를 기본으로 하며 확장시 8포트의 확장 보드의 장착과 간단한 디프(DIP)스위치 조작만으로 가능한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공작기계 데이타 중계장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공작기계 데디타 중계장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0 : 공작기계 2 : 데이타중계장치
3 : 플로피디스크 4 : 주회로판
5, 42 : RS-232C 6 : 조작장치
10 : PC 20 : PC측송수신부
21 : RS-422 22, 41 : 직렬인터페이스
30 : 신호처리부 31 : 중앙처리장치
32 : 메모리 40 : 공작기계측송수신부
42 : 주변장치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공작기계 데이타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무실내의 개인용 컴퓨터로 장거리의 생산현장 공작기계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는 공작기계의 출력 및 입력 신호를 개인용컴퓨터와 송수신하기 위한 중계장치는 공작기계의 입출력단에 연결하는 데이타 중계장치(2)에는 공작기계(1)의 입출력 신호를 송수신하는 RS-232C(5)와, 상기 RS-232C(5)의 데이타 입출력관리 및 중계장치를 종합 제어하는 주회로판(4)와, 사용자와 전송장치의 주회로판(4)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조작장치(6)와 디스켓으로부터 데이타의 읽기, 쓰기를 수행하는 플로피 드라이버(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중계장치는 데이타중계장치(2)에서 공작기계(1)로 수치제어 프로그램 전송시 개인용컴퓨터(이하, PC라함)의 범용 에디터를 이용해 플로피 디스크(3)의 수치제어 데이타를 전송장치의 메모리에 읽히게 되며 사용자가 조작키를 이용해 메모리의 수치제어데이타를 공작기계(1)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공작기계(1)에서 데이타중계장치(2)로 수치제어 프로그램 전송시는 공작기계(1)에서 전송할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펀치판넬을 통해 전송하고 중계장치에서 수신 받는 수치제어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필요시에는 플로피디스크(3)에 백업하여 저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공작기계와 PC간에는 RS-232통신을 이용하므로 통신 거리가 최대 50M내로 짧아지고 공작기계와 1:1 통신만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해당 공작기계로 개인용 컴퓨터를 가지고 이동하면서 수치제어 프로그램의 송수신 작업을 행하거나 또는 매 기계 마다 1대씩의 중계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을 실행해야 되며, 중계기는 다른 기계어로 저장된 메모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수치제어 프로그램간에 송.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어 플로피 디스크에 의한 수치 제어 프로그램은 송수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다수의 기계와 연결시 효율적으로 수치제어프로그램을 관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거리의 공작기계와 PC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별도의 통신중계장치를 마련함으로서, 통신 거리를 늘리고 한 대의 PC로 다수개의 공작기계의 수치제어 프로그램간에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 대의 PC와 다수개의 공작기계간에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개의 공작기계(50)와 한 대의 PC(10)간에 상호 데이타를 교환할 수 있도록 PC(10)의 입출력단에는 직렬인터페이스(22)와 RS-422(21)를 연결한 PC측 통신송수신부(20)를 두고, 상기 공작기계(50)의 입출력단에는 직렬인터페이스(41)에 주변장치인터페이스(42)를 병렬로 연결하고 직렬인터페이스(41)의 입력출력단에 RS-232C(43)가 연결된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를 구비하고, 상기 PC측송수신부(20)의 입출력단에 연결하여 신호를 처리 한 후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31)와 메모리(32)를 연결하는 신호처리부(3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 대의 PC와 다수개의 공작기계간에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PC(10)에서 공작기계(50)로 데이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먼저, PC(10)측에서 중계장치의 통신 국제규격에 맞추어 포트(PORT)를 선택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의 주변장치인터페이스(42)에서 해당포트를 접속하게 된다.
이후, PC(10)가 정보데이타를 PC측송수신부(20)의 RS-422(21)에 출력하게 되면 RS-422(21)는 입력된 PC(10)의 데이타를 기계적인 언어(로직)로 변환하여 직렬인터페이스(41)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신호처리부(30)는 중앙처리장치(31)로부터 PC(10)측으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를 송출요구가 있을 때 까지 메모리(32)에 일시적으로 데이타를 저장하였다가 공작기계(50)측에서 신호를 요구해오면 일식적으로 데이타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메모리(32)는 내부에 데이타가 더 이상 들어올 공간이 없을 경우 PC(10)측으로부터 데이타 송신 지연신호를 출력하여 다음 데이타 송신을 대기시킨 후 저장할 공간이 마련되면 입력하는 데이타를 저장하게 된다.
공작기계(50)측은 신호처리부(30)에서 출력하는 데이타를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의 직렬인터페이스(41)와 주변장치인터페이스(42)로 동시에 입력하고 주변장치인터페이스(42)의 포트선택으로 RS-232C(43)로 출력하게 된다.
RS-232C(43)는 직렬인터페이스(41)로부터 입력된 기계어신호를 공작기계(50)가 입력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데이타로 변환시켜 PC(10)로부터 출력된 명령을 다수개의 공작기계(50)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공작기계(50)는 PC(10)측에서 수정된 데이타가 입력되면 수신된 정보에 따라 공작물을 직접 가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수신된 데이타는 작업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모니터(미도시)로부터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다수개의 공작기계(50)중 이상발생 및 작업개시 혹은 작업완료등의 신호를 PC(10)측으로 출력하여 다음명령을 요구하고 할 경우 상술한 순서에 역순으로 공작기계(50)의 출력신호를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를 거쳐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신호처리부(30)는 공작기계(50)측에서 출력한 데이타를 저장하고 PC측송수신부(20)를 통해 PC(10)로 출력하여 거리가 먼 사무실내에서 한 대의 PC(10)로 작업현장의 공작기계(50)의 작업상태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의 공작기계의 데이타중계장치는 한 대의 PC에 RS-422, RS232C등의 통신장치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공작기계간 데이타를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리가 먼 사무실내에 작업장의 다수개의 공작기계의 작업 공정을 명령하거나 작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공작기계의 데이타를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공작기계(50)와 한 대의 PC(10)간에 상호 데이타를 교환할 수 있도록 PC(10)의 입출력단에는 직렬인터페이스(22)와 RS-422C(21)를 연결한 PC측송수신부(20)를 연결하고, 상기 공작기계(50)의 입출력단에는 직렬인터페이스(41)에 주변장치인터페이스(42)를 병렬로 연결하고 직렬인터페이스(41)의 입력출력단에 RS-232C(43)가 연결된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를 연결하고, 상기 PC측송수신부(20)의 입출력단에 연결하여 신호를 처리 한 공작기계측송수신부(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31)와 메모리(32)를 연결하는 신호처리부(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데이타중계장치.
KR1019950029786A 1995-09-13 1995-09-13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KR017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86A KR0178760B1 (ko) 1995-09-13 1995-09-13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86A KR0178760B1 (ko) 1995-09-13 1995-09-13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27A KR970014927A (ko) 1997-04-28
KR0178760B1 true KR0178760B1 (ko) 1999-04-01

Family

ID=1942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786A KR0178760B1 (ko) 1995-09-13 1995-09-13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90B1 (ko) * 2010-08-25 2011-02-14 구영진 공작기계 무선 제어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623B1 (ko) 2015-06-12 2016-12-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공작 기계와 컴퓨터 간의 스마트 유무선 통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90B1 (ko) * 2010-08-25 2011-02-14 구영진 공작기계 무선 제어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27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634B1 (en) Bus controller and bus control system
US4435771A (en) System for numerically controlling a machine tool
US6813538B2 (en) Welding system
KR100949814B1 (ko) 무정전전원장치의 통합 원격 감시 시스템
KR0178760B1 (ko) 공작기계의 데이타 중계장치
KR20060003754A (ko) 캔 통신 네트워크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686623B1 (ko) 공작 기계와 컴퓨터 간의 스마트 유무선 통신장치
KR100430229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100759480B1 (ko) Plc의 시리얼 통신 변환 방법 및 그 변환 장치
KR100329652B1 (ko) 패킷망을 이용한 원격지 보드 제어방법
KR19990015306A (ko) 교환기와 외부 장치간의 입출력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
JPH0973310A (ja) 数値制御装置及び数値制御システム
EP4080298A1 (en) Plc analog module comprising hart pass-through interface
JP3807064B2 (ja) 携帯情報端末
KR100331301B1 (ko)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JPH0630803U (ja) Nc工作機械の管理装置
JP2006085263A (ja) コンピュータ操作システム
JPH10275164A (ja) 情報収集方法および装置
KR100434052B1 (ko) Usb포트를 지원하는 레벨 변환장치
KR100262864B1 (ko) Plc의 통신 프로토콜
KR200221933Y1 (ko) 컴퓨터에 이용되는 유무선 접속 장치
KR100242709B1 (ko)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KR20240023910A (ko) 적외선 통신 및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hmi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0412640B1 (ko) 차량용 변속 제어부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283044Y1 (ko) 교환기 가입자 보드의 직렬 데이터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