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709B1 -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709B1
KR100242709B1 KR1019970005933A KR19970005933A KR100242709B1 KR 100242709 B1 KR100242709 B1 KR 100242709B1 KR 1019970005933 A KR1019970005933 A KR 1019970005933A KR 19970005933 A KR19970005933 A KR 19970005933A KR 100242709 B1 KR100242709 B1 KR 10024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acket handler
monitoring
link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060A (ko
Inventor
허비또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0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70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70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에 있어서 정상적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면서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패킷 핸들러의 특정 링크 및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감시하는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패킷 핸들러 장치(210)에 대한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과 모니터링을 원하는 링크 및 경로에 대한 명령을 인가하고, 해당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220); 패킷 핸들러 장치에 구비되어, 패킷 핸들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교환기내에 구비되어 있는 상위 프로세서와 패킷 핸들러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패킷 데이터와 패킷 핸들러 장치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전송처리를 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212); 패킷 핸들러 장치에 적어도 1개 구비되어, 단말기(220)로부터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정상적인 프로토콜 처리모드와 모니터 모드가 병행될 수 있도록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타임 스위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중 모니터링을 위한 링크 선택 및 타임 스위치(200)와의 경로와 디바이스 제어보드(212)와의 경로중 선택된 모니터링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분석하여 단말기(220)로 출력하는 패킷 핸들러(214∼218)로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없이 단말기를 통한 운용자 명령만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PACKET HANDLER LINK IN A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패킷 핸들러 장치의 링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패킷 핸들러 장치의 특정 링크를 선택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장치에 대한 링크 모니터는 패킷 가입자로부터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가 깨진 경우에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한 작업의 일종이다. 이러한 링크 모니터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실제 패킷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핸들러 장치와 타임스위치 사이에 별도의 계측기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즉,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핸들러 장치(110)가 실장되는 시스템내의 후면에 마련된 정합보드(104)에 패킷 프로토콜 분석기(102)를 연결하여 패킷 핸들러 장치(110)와 타임 스위치(100)간의 패킷 링크를 모니터링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합보드(104)는 패킷 프로토콜 분석기(102)가 표준 RS-232방식으로만 정합되는 반면에 교환기내의 물리적인 경로가 RS-422방식으로만 정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패킷 프로토콜 분석기(102)로부터 패킷 핸들러 장치(11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RS-232구조에서 RS-422구조로 변환하고, 패킷 핸들러 장치(110)로부터 패킷 프로토콜 분석기(102)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RS-422구조에서 RS-232구조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타임 스위치(100)와 패킷 핸들러 장치(110)간에는 2Mbps 속도로 32개의 타임슬롯이 존재하는 반면에 패킷 핸들러 장치(110)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112, 114, 116)들은 64Kbps 1 타임슬롯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므로, 상술한 정합보드(104)는 속도변환 및 해당되는 타임슬롯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는 패킷 핸들러 장치(110)의 링크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합보드(104)와 패킷 프로토콜 분석기(102)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할 뿐 아니라 링크 모니터링 범위도 타임 스위치(100)와 해당되는 패킷 핸들러간의 링크에 대해서만 가능하므로 패킷 핸들러의 링크 모니터링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상적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면서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패킷 핸들러의 특정 링크 및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감시하는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교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타임 스위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핸들러 장치에 대한 링크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패킷 핸들러 장치에 대한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과 모니터링을 원하는 링크 및 경로에 대한 명령을 인가하고, 해당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CRT); 패킷 핸들러 장치에 구비되어, 패킷 핸들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교환기내에 구비되어 있는 상위 프로세서와 패킷 핸들러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패킷 데이터와 패킷 핸들러 장치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전송처리를 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 패킷 핸들러 장치에 적어도 1개 구비되어, 단말기로부터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정상적인 프로토콜 처리모드와 모니터 모드가 병행될 수 있도록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타임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중 모니터링을 위한 링크 선택 및 타임 스위치와의 경로와 디바이스 제어보드와의 경로중 선택된 모니터링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분석하여 단말기로 출력하는 패킷 핸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교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타임 스위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1개의 패킷 핸들러에 대한 링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패킷 핸들러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CRT)를 통해 모니터링을 원하는 패킷 핸들러, 패킷 데이터 링크 및 모니터링 경로에 대한 정보가 인가되면, 해당되는 패킷 핸들러는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고, 해당되는 링크 및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정상적인 송수신용와 모니터링용으로 각각 저장하는 단계; 모니터링용으로 저장된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처리를 수행하여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 중단 요구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저장단계 및 출력단게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타임 스위치 210 : 패킷 핸들러 장치
212 : 디바이스 제어 보드
214, 216, 218 : 제 1, 제 2, ..., 제 N 패킷 핸들러
220 : C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는 1개의 디바이스 제어 보드(212)와 N 매의 패킷 핸들러(214, 216, ..., 218) 보드로 구성된 패킷 핸들러 장치(210), 가입자와 패킷 핸들러 장치(210)간의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타임 스위치(200), 본 발명에 따른 링크 모니터링을 위해 운용자 또는 시험자에 의한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 및 모니터 대상 링크에 대한 선택 명령 등을 각각 입력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운용자 또는 시험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CRT(220)로 구성된다.
패킷 핸들러 장치(210)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바이스 제어보드(212)는 상위 프로세서(미도시됨)와의 통신을 통해 16비트 병렬 로컬버스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반면에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패킷 데이터를 미도시된 상위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 상호간의 패킷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제어보드(212)는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내에 구비되어 있는 미도시된 공통 메모리를 억세스(Access)한다.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는 디바이스 제어보드(212)에 의해 제어되어 타임 스위치(200)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들에 대한 패킷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타 패킷 핸들러로 전송하고, 디바이스 제어보드(212)를 통해 미도시된 상위 프로세서로 호 접속 요구 및 호 절단 요구 등과 같은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여 패킷 링크를 셋업하거나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패킷 핸들러(214, 216, 218)는 주처리부(미도시됨)에 링크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존재하도록 구현하고, 링크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될 때 패킷 프로토콜 처리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용도로 저장할 수 있는 모니터용 메모리가 존재하도록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그러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패킷 핸들러 장치(210)내에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가 실장되면, 패킷 핸들러(214, 216, 218)내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미도시됨)들에 대한 초기화가 이루어진다(단계 300). 그리고,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들은 타임 스위치(200) 및 디바이스 제어보드(212)와 정합하여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패킷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302).
이 때, CRT(220)를 이용하여 운용자 또는 시험자가 패킷 핸들러 링크 상태에 대한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 및 모니터링을 원하는 링크 선택 명령을 인가하면, 제 1 내지 제 N 패킷 핸들러(214, 216, 218)내의 미도시된 주처리부는 이를 분석한다. 분석한 결과, 자신에 대한 모니터 모드 설정이 요구된 경우에, 미도시된 주처리부에 존재하는 링크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링크 모니터링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304). 예를 들어 CRT(220)로부터 인가된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이 제 1 패킷 핸들러(214)의 링크에 대한 모니터 모드 설정을 요구한 경우에, 제 1 패킷 핸들러(214)의 주처리부(미도시됨)는 링크에 대한 모니터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해당되는 패킷 핸들러에 존재하는 링크중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링크를 선택한다(단계 306). 이는 각 패킷 핸들러마다 타임 스위치(200)와 다수의 링크가 정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각 패킷 핸들러들이 타임 스위치(200)와 8링크씩 정합되는 구조로 구현된 경우에, 단계 306에서는 8링크중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하나의 링크를 선택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니터링 경로를 선택한다(단계 308). 각 패킷 핸들러에 대한 모니터링 경로는 4개가 존재하는데, 디바이스 제어 보드(212) → 패킷 핸들러(214, 216, ..., 218) 경로, 패킷 핸들러(214, 216, ..., 218) → 디바이스 제어 보드(212) 경로, 패킷 핸들러(214, 216, ..., 218) → 타임 스위치(200) 경로 및 타임 스위치(200) → 패킷 핸들러(214, 216, ..., 218) 경로가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단계 308에서는 상술한 4종류의 경로중 하나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 링크 및 모니터 경로가 각각 선택되면, 해당 패킷 핸들러내의 미도시된 주처리부는 패킷 모니터용 메모리(미도시됨)를 클리어시킨 뒤, 정상적인 패킷 프로토콜 처리된 패킷 데이터를 기존과 같이 해당되는 공통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술한 패킷 모니터용 메모리(미도시됨)에도 저장시킨다.
그리고, 패킷 모니터용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처리를 수행한다(단계 312). 프로토콜 분석처리는 패킷 모니터용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를 LAPB(Balenced Mode Link Access Procedure) 레이어 2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로토콜 분석처리된 패킷 데이터는 CRT(220)로 전송되어 출력되고(단계 314), 운용자는 출력된 패킷 데이터를 통해 장애 원인을 파악하게 된다. 상술한 CRT(220)로의 출력처리는 CRT(220)를 통해 모니터링 모드에 대한 중단 요구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계속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용자는 원하는 구간에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CRT(220)를 통해 모니터링 중단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해당되는 패킷 핸들러의 미도시된 주처리부는 링크 모니터링 모드 설정을 해제하고, 정상적인 패킷 프로토콜 처리만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상적인 패킷 프토로콜 처리를 수행하면서 CRT를 통해 인가된 모니터링을 원하는 링크 및 경로에 대해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를 CRT를 통해 출력하여 운용자 또는 시험자가 해당 패킷 링크에 대한 장애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정합보드나 프로토콜 분석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원하는 링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디바이스 제어보드와 패킷 핸들러간의 경로에 대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패킷 링크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교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타임 스위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핸들러 장치에 대한 링크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핸들러 장치에 대한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과 모니터링을 원하는 링크 및 경로에 대한 명령을 인가하고, 해당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CRT);
    상기 패킷 핸들러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패킷 핸들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교환기내에 구비되어 있는 상위 프로세서와 상기 패킷 핸들러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패킷 데이터와 상기 패킷 핸들러 장치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전송처리를 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
    상기 패킷 핸들러 장치에 적어도 1개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모니터 모드 설정 명령이 인가되면, 정상적인 프로토콜 처리모드와 모니터 모드가 병행될 수 있도록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타임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중 모니터링을 위한 링크 선택 및 상기 타임 스위치와의 경로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와의 경로중 선택된 모니터링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패킷 핸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핸들러는 상기 정상적인 프로토콜 처리모드와 상기 모니터 모드를 병행할 수 있도록 정상적으로 프로토콜 처리된 패킷 데이터를 정상적인 송수신용으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모니터링용으로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장치.
  3. 교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타임 스위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1개의 패킷 핸들러에 대한 링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패킷 핸들러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CRT)를 통해 모니터링을 원하는 패킷 핸들러, 패킷 데이터 링크 및 모니터링 경로에 대한 정보가 인가되면, 해당되는 패킷 핸들러는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되고, 해당되는 링크 및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정상적인 송수신용와 모니터링용으로 각각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용으로 저장된 패킷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 중단 요구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저장단계 및 출력단게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핸들러에 대한 모니터링 경로로는 상기 패킷 핸들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 교환기내의 상위 프로세서와 상기 패킷 핸들러간에 제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정합처리를 하고, 상기 패킷 핸들러간에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와 상기 패킷 핸들러간의 송수신 경로 및 상기 타임 스위치와 상기 패킷 핸들러간의 송수신 경로가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링 방법.
KR1019970005933A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KR10024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933A KR100242709B1 (ko)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933A KR100242709B1 (ko)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060A KR19980069060A (ko) 1998-10-26
KR100242709B1 true KR100242709B1 (ko) 2000-02-01

Family

ID=1949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933A KR100242709B1 (ko)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7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060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795A (en) D channel monitor
CN112988495B (zh) 一种soc芯片复用管脚的多功能测试方法、装置及系统
US20040106400A1 (en) System for monitoring mobile communication performance
KR100242709B1 (ko)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US5262771A (en) Method for addressing processor units
US6922143B2 (en) Serial bus type configuration recognition and alarm apparatus
KR100329652B1 (ko) 패킷망을 이용한 원격지 보드 제어방법
KR100365779B1 (ko)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KR19980077116A (ko) 멀티 보드의 테스트 방법
KR100255421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데이터처리용통합단말장치및방법
JP3856991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検査システム
KR200283044Y1 (ko) 교환기 가입자 보드의 직렬 데이터 통신 장치
KR014030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통합시험장치 및 방법
KR100279679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교환기의 이동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험장치
KR100197414B1 (ko) 교환기에서의 패킷 핸들러와 옥내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의 정합 시험 장치 및 방법
JPH05244230A (ja) データ伝送試験装置
KR19980051679A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분할 스위치 경로 시험 장치
KR970005731B1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유지보수 메시지 처리방법
JPH07107140A (ja) プロトコルアナライザ
KR0148889B1 (ko) 키폰 시스템의 국선, 내선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20000061271A (ko)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보드 디버깅 및 상태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JPH04150442A (ja) インタフェース試験方式
KR920001437B1 (ko)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KR19990060610A (ko)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용 디바이스 온라인 상태 체크방법
SU571924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ключени телеграфного аппарата к линии св 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