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779B1 -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779B1
KR100365779B1 KR1019950036645A KR19950036645A KR100365779B1 KR 100365779 B1 KR100365779 B1 KR 100365779B1 KR 1019950036645 A KR1019950036645 A KR 1019950036645A KR 19950036645 A KR19950036645 A KR 19950036645A KR 100365779 B1 KR100365779 B1 KR 10036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digital
code
response cod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223A (ko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3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779B1/ko
Publication of KR97002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04Q1/22Automatic arrangements
    • H04Q1/24Automatic arrangements for conne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다수의 디지탈 키폰전화기의 기능을 동시에 시험하는 장치를 구현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확장슬롯에는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시험운용자가 테스트키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입력된 테스트키에 대응하는 테스트코드를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통해 교환기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교환기는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응답코드를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통해 다시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때 컴퓨터와 교환기의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는 2B+D전송로를 통한 버스방식으로 테스트코드와 응답코드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타를 빠른 시간안에 주고 받을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다수의 디지탈 키폰전화기의 기능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시험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자동적으로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최초의 방법으로는 기능시험자가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수동으로 시험터미날의 조작패널을 조작하고, 표시장치등에 표시되는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기능시험자가 수동으로 시험하고 그 결과를 직접 판단함으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많은 양의 시험을 행하는 경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자동테스트방법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에 따라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처리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시험 장치의 기능시험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교환기(20)의 기능을 시험하는 시험운용자가 피시험장치인 교환기(20)의 디지탈 관련 호를 테스트하기 위한 코드를 키로써 입력하면 PC(Personal Computer)(22)는 30단계에서 입력 키코드에 대응한 테스트코드를 발생하고, 이를 SIO(Serial Input/Output Device)(24)를 통해 DLI(Digital Line Interface)(26)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PC(22)로부터 전송되는 테스트코드를 입력하는 DLI(26)는 32단계에서 입력 테스트코드를 교환기(20)의 신호방식으로 변환하여 모듈라잭(Modular Jack)(28)을 통해 교환기(20)내의 DLI(18)로 전송한다.
한편 테스트코드를 입력한 교환기(20)는 입력 테스트코드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응한 응답코드를 모듈라잭(28)을 통해 DLI(26)로 전송한다. 상기 교환기(20)로부터 응답코드를 수신한 DLI(26)는 32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응답코드를 직렬데이타로 변환하여 PC(22)로 전송한다. 따라서 테스트코드를 송신한 PC(22)는 이에 대한 응답코드를 수신하게 된다. 응답코드를 수신한 상기 PC(22)는 내부에 저장된 표준화코드와 응답코드를 비교하여 테스트의 이상유무를 34단계에서 판단한다. 상기 3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된 응답코드와 표준화코드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PC(22)는 교환기(20)의 디지탈 호처리가 양호하다고 36단계에서 처리하고, 상기 두 코드가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38단계에서 에러처리한다.
따라서 PC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기능의 코드와 그에 대한 표준화코드를 한번만 저장시키면 이후에 시험운용자가 간단히 키조작만을 하여도 교환기의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동테스트방법에 따르면 PC의 SIO를 이용해서 테스트코드 및 응답코드를 직렬데이타로 송수신하기 때문에 전송데이타량과 속도에 한계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테스트방법으로는 동시에 많은 시료수를 테스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자동으로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디지탈 키폰전화기의 기능을 동시에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C의 확장슬롯에는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Digital Link Emulator: 이하 "DLE"라 칭함)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시험운용자가 테스트키를 입력하면 PC는 입력된 테스트키에 대응하는 테스트코드를 DLE를 통해 교환기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교환기는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응답코드를 DLE를 통해 PC로 전송한다. 이때 PC와 교환기의 DLE는 2B+D전송로를 통한 버스방식으로 테스트코드와 응답코드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타를 빠른 시간안에 주고 받을 수 있다. PC의 확장슬롯에 장착되는 DLE의 바람직한 수는 4개이며, 이 경우 각 DLE는 16채널을 서비스하므로 총 64채널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교환기(20)와, 교환기(20)의 기능을 사용자가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PC(22)가 포함되어 있다.
제3도에서 PC(22)의 확장슬롯에는 DLE(30)가 장착되고, 이 DLE(30)는 원래 디지탈 키폰전화기가 연결되는 교환기(20)의 DLI(18)에 연결된다. 상기 DLI(18)와 DLE(30)사이의 전송로는 2B+D의 특성을 갖는다. 이때 중앙처리장치(CentralProcessing Unit 이하 "CPL'"라 칭함)(40)의 내장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테스트 프로그램 및 신뢰성테스트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디지탈 키폰전화기가 교환기(20)에 여러대 연결되어서 동작하는 것과 유사하게 된다. 그리고 CPU(40)의 내장메모리에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테스트코드와 테스트코드에 대응하는 표준화코드가 미리 저장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기능시험을 위한 테스트키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코드가 DLE(30)를 통해 DLI(18)로 전송된다. 교환기(20)는 테스트코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행결과에 따른 응답코드를 다시 DLE(30)로 전송하므로, PC(22)의 CPU(40)는 이 응답코드와 표준화코드를 비교하여 시험결과의 이상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제3도에서 PC(22)의 확장슬롯에 장착된 DLE(30)의 수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통상의 PC의 확장슬롯에는 그 이상의 보드들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보드들이 장착되는 것도 고려한다면 4개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DLE(30)는 통상 디지탈송수신부와 코덱으로 구성되는 전송부(31)와, 톤공급기(32)와, CPU(33)와, 톤검출기(34)와 공유메모리(35)를 포함한다. 상기 CPU(33)는 DLI(18)와 DLE(30)의 전송부(31)와의 링크접속 통신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등 DLE(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CPU(33)는 전송부(31)를 통한 수신데이타를 공유메모리(35)를 통해 CPU(40)로 전송하며, 공유메모리(35)를 통한 송신데이타를 전송부(31)의 데이타채널에 실어서 교환기(20)로 전송한다. 또한 CPU(33)는 DLE(30)의 임의의 포트 두개가 서로 통화로를 형성한 후 한쪽 포트에서 톤공급기(32)를 이용해 톤을 실어주면 다른 포트에서 톤검출기(34)를 이용하여 B채널연결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처리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에 따른 동작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지금 교환기(20)의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를 누르면 CPU(40)는 해당하는 테스트코드를 AT버스 또는 XT버스를 통해 DLE(30)로 제공한다. 그러면 40단계에서 DLE(33)의 CPU(33)는 제공받은 테스트코드를 2B+D전송로를 통해 교환기(20)의 DLI(18)로 전송한다. 그러면 교환기(20)는 전송받은 테스트코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응답코드를 2B+D전송로를 통해 전송한다.
DLE(30)의 전송부(31)를 통해 응답코드가 수신되면, CPU(33)는 수신된 응답코드를 공유메모리(35)를 통해 CPU(40)로 제공한다. 그러면 42단계에서 CPU(40)는 제공받은 응답코드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코드가 동일한지를 비교한 후 검증결과를 처리한다. 즉, CPU(40)는 응답코드와 표준화코드가 동일한 것으로 비교되는 경우는 44단계에서 교환시스템의 기능이 양호하다고 처리하고,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비교되는 경우는 46단계에서 교환시스템의 기능이 에러인 것으로 처리한다. 이때의 CPU(40)가 행하는 처리동작의 예로는 검증결과를 모니터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프린터로 프린팅되도록 하는 예가 있다. 이러한 처리동작 이후에 CPU(40)는 다른 시험동작이 요구되는지 확인한 후 다른 시험동작이 요구되는 경우는 40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시험동작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C의 확장슬롯에 DLE를 장착한 후 테스트함으로써 많은 수의 디지탈 키폰전화기를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시험 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라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처리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시험 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처리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디지탈라인인터페이스(DLI) 20: 교환기
22: 퍼스날컴퓨터(PC) 30 : 디지탈링크에뮬레이터(DLE)
31 : 전송부 32: 톤공급기
33, 40: 중앙처리장치(CPU) 34: 톤검출기
35: 공유메모리

Claims (6)

  1.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자동으로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의 디지탈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탈라인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디지탈라인인터페이스를 통해 테스트코드가 수신될 시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응답코드를 출력하는 디지탈 교환기와,
    다수의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 각각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코드와, 상기 테스트코드에 대응하는 표준화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 테스트키에 대응하는 테스트코드를 해당하는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되는 응답코드를 해당하는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통해 수신한 후 대응하는 표준화코드와 비교하여 시험결과의 이상유무를 검증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와 상기 디지탈라인인터페이스는 2B+D전송로를 통해 테스트코드와 응답코드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는, 16채널을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는 4개의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진단된 시험 결과의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장치.
  6.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지탈 교환시스템의 기능을 자동으로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확장슬롯에 다수의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장착하는 제1과정과,
    입력키에 대응하는 테스트코드를 상기 장착된 디지탈링크 에뮬레이터를 통해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테스트코드가 수신될 시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교환기의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응답코드를 전송하는 제3과정과,
    응답코드가 수신될 시 상기 응답코드가 테스트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코드와 동일한지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교환기의 상태를 검증하는 제4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36645A 1995-10-23 1995-10-23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KR10036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45A KR100365779B1 (ko) 1995-10-23 1995-10-23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45A KR100365779B1 (ko) 1995-10-23 1995-10-23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223A KR970025223A (ko) 1997-05-30
KR100365779B1 true KR100365779B1 (ko) 2003-03-06

Family

ID=3749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645A KR100365779B1 (ko) 1995-10-23 1995-10-23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62B1 (ko) 2011-03-04 2011-06-1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데이터 터미널 세트(dts)에뮬레이팅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462B1 (ko) * 2001-07-26 2004-07-14 오세찬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교환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62B1 (ko) 2011-03-04 2011-06-1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데이터 터미널 세트(dts)에뮬레이팅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223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795A (en) D channel monitor
KR10065269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65779B1 (ko)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US5838767A (en) Method of simulative testing stored program control type electronic automatic exchange
US4852144A (en) Traffic generator analog
KR19990002727A (ko) 전자 교환기에서 공간 스위치 및 링크부 시험 방법
KR100429508B1 (ko) 사설교환기의내선및국선포트시험방법
KR100474716B1 (ko) 교환기와외부장치간의입출력데이터모니터링방법
KR100247423B1 (ko) 입출력 포트 시험 방법
KR014030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통합시험장치 및 방법
KR100208937B1 (ko) Pcm 단국장치에서 시그널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00046136A (ko) 전전자교환기의 고정 가입자 정합 장치 블록 테스트용 지그
KR19990002726A (ko) 전자 교환기에서 시간 스위치 및 링크부 시험 방법
KR960013274B1 (ko) 전자 교환기를 위한 중계선 자동시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중계선 자동시험방법
KR100564240B1 (ko) 전송 장비의 호 시험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1760A (ko) 디지털라인 진단기능이 구비된 키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08278B1 (ko) 양방향 동시 트렁크 시험방법
KR200331393Y1 (ko) 억세스 게이트웨이 정합장치
KR19990060610A (ko)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용 디바이스 온라인 상태 체크방법
KR0168230B1 (ko) 개선된 시분할 교환기 가입자 시험장치
KR100421587B1 (ko) 억세스 게이트웨이 정합장치
KR100225735B1 (ko) 전전자교환기의 아이들메시지(idle message) 표시에 의한 테스트제어방법
KR20000067260A (ko) 다중호 시험 시스템
KR20000066432A (ko) 중앙 링크 정합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200167254Y1 (ko) 티디엑스 시험대 정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