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437B1 -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437B1
KR920001437B1 KR1019880016332A KR880016332A KR920001437B1 KR 920001437 B1 KR920001437 B1 KR 920001437B1 KR 1019880016332 A KR1019880016332 A KR 1019880016332A KR 880016332 A KR880016332 A KR 880016332A KR 920001437 B1 KR920001437 B1 KR 92000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pu
crosspoint
keyboar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216A (ko
Inventor
장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437B1/ko
Publication of KR90001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구체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해 수행하는 시스템 본체의 CPU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1 :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 102,103 : 제1,2레벨변환기
104 : 다코더 및 디멀티플렉서 106,107 : 반전소자
본 발명은 키텔리폰(Key Telephone) 제작에 있어서 각종 키에 대한 제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키들에 대한 제기능 수행여부 및 접점상태를 검사할시 각종 키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텔리폰에는 국선 및 내선전화번호 및 숫자키들과 각종 특수기능키들이 있는데, 그리고 상기 텔리폰 제작시 각종 키에 대한 제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제작자가 키텔리폰의 각종키들을 손을 직접 조작하여 기능의 수행상태를 확인하여야 하였다. 이와같이 제작자가 키텔리폰의 각종 키를 일일이 하나씩 선택조작하는 것은 검사시간 및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텔리폰 제작에 있어서 각종 키에 대한 기능의 정상 수행여부 검사시 검사시간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키텔리폰의 키 동작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키보드(90)를 갖는 키텔리폰(100)과, 시험 항목을 선택하고 시험 제어데이타를 입력하며 처리된 시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PC(200)과, 상기 키텔리폰(100)과 상기 PC(200)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키텔리폰(100)의 키동작상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데이터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키 동작 제어회로(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에서 키텔리폰(100)시험시 상기 키텔리폰(100)이 상기 PC(200)와 데이터 상호 통신을 수행하도록 중계하는 데이터 링크보드(Data Link Board)를 나타내고 있는데, 제1도중 논리합소자(105) 및 래치회로(108)와 버퍼회로(109)를 구비하여 상기 PC(2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키텔리폰(100)쪽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키텔리폰(100)쪽으로 입력되는 국선신호(C01,C02) 및 도어폰 신호(Doorphone Signal: Door), 인터콤신호(Intercomm Signal: INT), 볼륨 스위치신호(Volume Switch Signal: Volume)들을 상기 PC(200)로 전송토록 하는 기존의 데이터 링크 보드와 동일하다.
상기 제1도중 제1,2 레벨 변환기(102,103) 및 제1,2크로스포인터 스위치부(100,101)와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104) 그리고 두 개의 반전소자(106,107)로 이루어진 키 동작 제어회로(300)부분이 신규한 부분으로서 그 작동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는 제2키보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4×4개의 크로스포인트들과 상기 크로스포인트의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모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트로브단자(7)에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고, 어드레스단자들(3-5)에 하위 어드레드(A0-A3)가 인가되어지며 데이터입력단자(2)에 데이터(D0)가 인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상기 하위 4비트의 어드레스(A0-A3)의 논리값에 따라 키보드(90)상의 횡축라인들(Y11,Y12,Y21,Y22,Y31,Y32,Y41,Y42)중 임의의 한 라인과 종축라인들(X1-X4)중 임의의 한라인을 도통상태 즉 키보드(90)상의 다수의 키중 하나가 온(ON)된 상태에 있게 한다.
그리고 디코더 및 멀티플렉서(104)는 상기 PC(200)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or Unit; 이하 CPU라함)로부터 두라인(115,116)을 통해 어드레스포트(2,3)으로 인가되는 상위 어드레스(A4,A5)의 논리값을 해독한 다음 상기 해독된 논리값에 따라 제1-4출력단자(4-7)들 중 한 개의 출력단자를 선택한 후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라인(117)를 통해 입력단자(1)로 인가되는 인에이블신호(E)를 상기 상위 어드레스값에 의해 선택된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다중화한다.
한편 상기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104)의 제1,2출력단자(4,5)의 출력을 두 개의 반전소자(106,107)를 각각 통해 제5,6입력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4개의 라인(110-113)을 각각 통해 제1-4 입력단자(3,5,7,9)로 하위 4비트의 어드레스(A0-A3)을 입력하는 제1레벨변환기(102)는 상기 입력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제1전압레벨(Vdd)에서 제2전압레벨(Vcc)로 변환하여 제1-4출력단자(2,4,6,10)를 통해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의 어드레스포트(3-6)에 공통적으로 인가하고, 제5,6입력단자(11,14)상의 인에이블신호(E)는 제5,6출력단자(12,15)를 통해 상기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0,101)의 스트로브단자(7)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상기 PC(200)의 CPU와 상기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0,101)간의 신호매칭을 이루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2레벨변환기(103)도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라인(118)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D0)의 전압레벨을 제1전압레벨(Vdd)에서 제2전압레벨(Vcc)로 변환하여 출력단자(2)를 통해 상기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0,101)의 데이터입력단자(2)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상기 PC(200)의 CPU와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0,101)간의 신호매칭을 이루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104)의 동작결과는 아래 표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0,101)의 스위칭 상태는 표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1]
Figure kpo00001
[표 1-2]
Figure kpo00002
여기서 L은 로우 논리상태를, H은 하이 논리상태를 말한다. 키텔리폰(100)에서 키보드(90)상의 횡축라인들(Y11,Y12,Y21,Y22,Y31,Y32,Y41,Y42)을 제1,2크로스 포인트 스위치부(100,101)의 횡축스위칭 통로단자들(10,11,14,15)에 각각 1:1대응 접속하고 종축라인들(X1-X4)을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의 종축 스위칭 통로단자들(9,1,12,13)에 연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어드레스를 지정해서 특정 크로스포인트를 온-오프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90)의 어느한 키를 온시키는 것은 키텔리폰의 사용자가 그의 키의 특정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키를 누르는 것을 의미하지 때문에, 본 발명회로를 사용하여 키텔리폰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대신에 PC(200)의 CPU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그 키를 온시킴으로서 정상적인 기능 수행여부를 시험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를 16개의 키구간의 횡축 종축 라인들을 스위칭(온-오프)제어할 수 있도록 대응 확장하고,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의 다중화 용량을 상기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들 수량만큼 확장하면 대량의 키들을 갖는 키보드를 구비한 키텔리폰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1의 하드웨어 동작에 의거하고 제2도에 도시한 상기 PC(200)의 CPU가 실행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작자가 신규 생산한 피시험물(키텔리폰)에 키 동작 상태를 시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00단계에서 로우논리상태의 데이터(DO)를 송출하여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를 초기화하고, 제201단계에서 로우논리상태의 인에이블신호(E)와 상위 두 비트의 어드레스(A3,A5)를 송출하여 전술한 표1-1에 의거 제1,2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제201단계 수행후 제202단계에서 하위 4비트의 어드레스(A0-a3)를 송출하여 전술한 표1-2에 의거 키보드(90)의 기능키중 임의의 하나에 해당하는 크로스포인트를 선택하고, 제203단계에서는 하이논리상태의 데이터(D0)를 송출하여 선택된 크로스포인트를 온시켜 상기 키보드(90)상의 임의의 기능키가 온(ON)상태 있는 것 같이 만든다.
이때 상기 키텔리폰(100)의 CPU에서는 해당 키의 온 혹은 오프상태를 점검하여 온 상태임이 확인되면 그 키가 갖는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상태 확인 데이터)를 버퍼회로(109)로 입력하여 시험 결과가 상기 PC(200)의 CPU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204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온 상태에 있는 기능키에 대한 시험 결과를 입력한 상기 PC(200)의 CPU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신호인지 합.부판정을 하여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운용자에게 정상 기능수행여부를 확인하게 하고난 다음 205단계에서 다시 로우논리상태의 데이터를 송출하여 상기 온 상태의 크로스포인트를 오프시킨다.
상기 205단계 수행후 다음 확인할 크로스포인트가 있는가 판단하여 없을시는 다은 제200단계로 되돌아가고, 있을시는 상기 제202단계로 되돌아가서 다음 크로스포인트를 온시켜 키보드(90)상의 해당 기능키에 대한 기능을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06단계에서 수행중인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에서 차기 시험할 크로스포인트가 없을시 제207단계에서 다음으로 시험할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가 있는가 검사하여 다음 시험할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가 있을 경우엔 제200단계로 리턴하고 다음으로 시험할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가 없을 경우에는 키에 대한 기능 및 접점 시험을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키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순차적이고 자동적으로 온-오프시켜 기능키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키의 손조작없이도 수행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과 손조작 시간없이 연속적으로 기능 확인이 가능하여 검사시간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PC(200)와 시그날 인터페이싱을 위한 래치회로(108) 및 데이터 전달을 위한 버퍼회로(109)를 구비하여 키텔리폰(100)의 키 동작 상태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텔리폰(100)의 키보드(90)내의 다수의 키들과 동일하게 배치되어진 크로스포인트를 내장하여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임의의 크로스포인트를 선택하여 온 혹은 오프하는 제2키보드 수단(100,101,104)과, 상기 PC(200)와 상기 제2키보드수단(100,101,104)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레벨을 상기 제2키보드수단(100,101,104)이 요구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 매칭수단(102,103,106,107)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키보드수단(100,101,104)에서 선택된 크로스포인트에 대응하는 키텔리폰의 키보드(90)상의 키의 상태를 상기 키텔리폰(100)의 CPU에서 점검하여 상태 확인 데이터를 상기 버퍼회로(109)를 거쳐 상기 PC(200)의 CPU로 전달하면 이를 분석하여 키 기능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동작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다수비트의 어드레스와 1비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져 상기 어드레스에 의해 크로스포인트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해 선택된 크로스포인트의 온 혹은 오프 상태를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텔리폰의 키 동작 제어회로.
  3. PC(200)와 상기 PC(200)에 접속되어 시그날 인터페이싱을 수행하기 위한 래치회로(108) 및 상기 PC(200)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달을 위한 버퍼회로(109)를 구비하여 상기 래치회로(108)와 버퍼회로(109)에 접속되며 키보드(90)를 갖는 키텔리폰(100)의 키 동작 상태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90)내의 다수의 키들과 동일하게 배치되어진 크로스포인트를 내장한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와,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다수 비트의 어드레스신호를 입력하여 해독하고 상기 어드레스에 의해 임의의 크로스포인트를 선택하는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104)와, 상기 PC(200)와 상기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104)의 제어를 받아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의 레벨을 상기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부(100,101)에 적합한 신호 레벨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레벨변환기(102)와, 상기 PC(200)의 CPU와 상기 크로스 포인트스위치부(100,101)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의 레벨을 상기 크로스 포인트스위치부(100,101)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PC(200)의 CPU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의 레벨을 상기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부(100,101)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2레벨변환기(102)로 이루어져 상기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부(100,101)에서 선택된 크로스포인트에 대응하는 키텔리폰의 키보드(90)상의 키의 상태를 상기 키텔리폰(100)의 CPU에서 점검하여 상태 확인 데이터를 상기 디코더 및 디멀티플렉서(104)의 제어를 받아 인에이블되는 상기 버퍼회로(109)를 거쳐 상기 PC(200)의 CPU로 전달하면 이를 분석하여 키 기능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동작 제어회로.
KR1019880016332A 1988-12-08 1988-12-08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KR92000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332A KR920001437B1 (ko) 1988-12-08 1988-12-08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332A KR920001437B1 (ko) 1988-12-08 1988-12-08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16A KR900011216A (ko) 1990-07-11
KR920001437B1 true KR920001437B1 (ko) 1992-02-13

Family

ID=1927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332A KR920001437B1 (ko) 1988-12-08 1988-12-08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4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16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6700C (zh) 控制移动终端的按键的装置和方法
JPH0787193A (ja) 加入者系試験方法
KR920001437B1 (ko)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KR0133866B1 (ko) 전화용 반도체 집적 회로
KR100242367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US4852144A (en) Traffic generator analog
KR960013985B1 (ko) 전전자 교환기 선로시험모듈 범용시험장치 및 그 방법
JPH08202645A (ja) 入出力回路構造
GB2167920A (en) Telephone circuit
KR100365779B1 (ko) 디지탈교환시스템의기능시험장치및그방법
KR100548238B1 (ko) 개인용 컴퓨터와 어드레스를 공유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242709B1 (ko) 교환기에서 패킷 핸들러 링크 모니터 장치 및 방법
KR200600340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920000999B1 (ko) 사설교환기의 라인 인터페이스회로
KR100267848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음성경로시험방법
KR100345596B1 (ko) 전전자 교환시스템의 종합정보통신망 시험장치 및 그시험방법
JPH11312137A (ja) 電子機器の接続装置
JP2842184B2 (ja) ディジタル電子交換機
KR950010666A (ko) 전전자교환기(tdx-ib)의 비에이(ba)버스 루프백 시험장치 및 방법
JP2948599B2 (ja) クロスポイント装置
JP3061708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S5916455A (ja) デイジタル交換機の通話特性試験方法
JPH11202911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インタフェースユニット
KR20020088602A (ko) 키입력시스템
JPH07210581A (ja) 入出力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