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053B1 -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053B1
KR100298053B1 KR1019980014112A KR19980014112A KR100298053B1 KR 100298053 B1 KR100298053 B1 KR 100298053B1 KR 1019980014112 A KR1019980014112 A KR 1019980014112A KR 19980014112 A KR19980014112 A KR 19980014112A KR 100298053 B1 KR100298053 B1 KR 10029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rm
push rod
lever
d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558A (ko
Inventor
히로유키 미즈마
데츠야 이치카와
가즈미 스케시타
Original Assignee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나와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1998008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충돌 검출 기구(27)로 차량의 전방 충돌을 검출하면, 마스터백(13)의 푸시 로드(14)를 연결하는 푸시 로드 레버(15)에 페달 아암(2)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기구(18)가 분리된다. 따라서, 푸시 로드(14)가 마스터백(13)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푸시 로드 레버(14)가 헛놀게되는 공진 작동(空振 作動)을 하게되어, 충돌 하중이 페달 아암(2)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BRAKE PEDAL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는 일본국 실개평 제 6-1113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아암의 상단부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페달 브라켓이, 대시 하부 패널과, 대시 하부 패널에 연결되어 차실측으로 돌출한 대시 상부 패널의 하면부에 체결되고, 또 페달 아암 상에서의 밟는 량에 따라, 페달 아암의 상단부에 연결된 푸시 로드가 전진 가압됨으로써, 마스터백(Master Vac)이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차량의 전방 충돌시, 마스터백이나 이 마스터백을 고정하는 대시 하부 패널이 차실측으로 후방향 이동되도록 변형될 때, 밟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이 마스터백의 푸시 로드를 통해 페달 아암상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위치가 후방으로 변위되어, 불쾌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그 충돌 하중(collision load)이 마스터백의 푸시 로드를 통해 페달 아암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시 패널에 고정된 페달 브라켓;
상기 페달 브라켓에 의해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지지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브라켓에 의해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지지되고 푸시 로드에 연결된 푸시 로드 레버;
평상시에는 상기 푸시 로드 레버에 상기 페달 아암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충돌 검출 센서가 충돌을 검출할 때 푸시 로드 레버로부터 페달 아암을 분리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페달 아암 및 푸시 로드 레버는 클러치 수단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페달 아암 및 푸시 로드 레버는 페달 아암의 밟는 작용에 의해 일체로 회동된다. 따라서, 통상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용에 상응하는 마스터백의 작용이 수행되게 된다.
이에 반해, 차량이 전방으로 충돌할 때, 클러치 수단은 충돌 검출 수단의 검출 작용에 따라 작동되어, 푸시 로드 레버로부터 페달 아암을 분리하고, 이에 의해 마스터백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대시 패널이 차실을 향해 변형되어 마스터백의 푸시 로드가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푸시 로드 레버가 헛놀게 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충돌 하중이 페달 아암에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페달 아암 및 푸시 로드 레버는 페달 브라켓에 제공된 페달 샤프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푸시 로드 레버 및 페달 아암중 어느 하나가 페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운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페달 아암과 푸시 로드 레버에 형성되고 상호 맞물리는 맞물림부들;
평상시에는 상기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의 맞물림부가 상호 맞물리게 되도록 위치 결정되고,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푸시 로드와 페달 아암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맞물림부들 간의 맞물림이 상기 페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해제되도록 위치결정되는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러치 기구가 페달 아암 및 푸시 로드 레버에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는 맞물림부와; 평상시에는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의 맞물림부가 상호 맞물리게 되고,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때는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 중 어느 하나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변형되어, 맞물림부들 간의 맞물림이 페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위치결정기구에 의한 기계적인 클러치 구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고 그의 비용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이 맞물림부들은 페달 아암의 보스부와 푸시 로드 레버의 보스부의 단부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이 맞물림부는 페달 아암과 푸시 로드 레버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부와, 이 후크부와 맞물리는 타 전방측 가장자리와 후방측 가장자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기구는 축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페달 샤프트에 평행하게 페달 브라켓내에 제공된 아암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고,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클러치 아암과;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클러치 아암을 설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때 클러치 아암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변형되는 위치설정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위치결정기구의 클러치 아암이 페달 샤프트에 평행하게 있는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푸시 로드 레버나 페달 아암이 페달 샤프트상에서 축방향으로 부드럽게 미끄럼 운동하게 됨으로써, 클러치 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더군다나, 충돌 검출 센서는 충돌 하중에 기인하여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충돌 검출 센서는 페달 브라켓으로부터 돌출하고 충돌 하중에 기인한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에 의해 대시 패널보다 차실에 더 가깝게 위치된 차체나 차체부와 맞물림에 의해 회동되는 충돌 검출 레버와; 충돌 검출 레버의 회동에 의해 맞물림부들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아암을 이동하는 캠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충돌 검출 센서가 충돌 검출 레버와 캠부로 기계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고 그의 비용에서도 이점이 있다.
충돌 검출 레버는, 패널 샤프트 상부로 돌출되어, 충돌 하중에 기인한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에 따라 대시 하부 패널의 상부의 차실측으로 돌출하는 대시 상부 패널의 하면부와 맞물림에 의해 회동되게끔,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아암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충돌시 브레이크가 대시 상부 패널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충돌 검출 레버가 대시 상부 패널의 하면부와 맞물림에 의해 회동되는 충돌 검출 작동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 캠 기구는 클러치 아암의 보스부와 충돌 검출 레버의 보스부의 단부면 각각에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게 되며, 충돌 검출 레버의 회동에 의해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결정력에 대항하여 맞물림부의 맞물림이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해제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아암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페달 브라켓에는 페달 브라켓으로부터 돌출하는 충돌 검출 레버에 근접하여 배치된 저지부가 제공되어서, 평상시에는 충돌 검출 레버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회동력이 설정된 하중 이상일 때에는 충돌 검출 레버를 회전을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지부로 하여금 차량에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조립, 수송 및 운송시 충돌 검출 레버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검출 레버가 초기 설정 위치내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차량의 전방 충돌시에는, 충돌 검출 레버의 회동력이 설정 하중 이상일 경우 저지부에 의한 회동 저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충돌 검출 레버가 아무런 문제없이 전방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위치결정 부재는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클러치 아암을 압박하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페달 브라켓과 푸시 로드 레버 사이에는 복원 스프링이 배치됨므로써, 푸시 로드 레버를 통해 페달 아암에 후방향 회동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페달 아암상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의 압박력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페달 아암으로부터 푸시 로드 레버를 분리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또, 페달 브라켓은 최소한 대시 하부 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충돌 검출 레버는, 대시 하부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대시 상부 패널과 맞물릴 수 있고 충돌 하중에 기인하여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으로 이동시 차실측으로 돌출한다.
더욱이, 대시 패널은 대시 하부 패널, 대시 하부 패널에 연결된 대시 상부 패널로 구성되어 차실로 돌출하는 구조로 될 수 있고, 또 페달 브라켓은 대시 하부 패널상에 걸터서도록 고정되고 충돌 하중에 기인한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시 대시 상부 패널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페달 브라켓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페달 브라켓이 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대시 상부 패널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페달 브라켓의 상부방향 운동이 대시 상부 패널에 의해 저지되고, 이에 의해서 페달 브라켓이 페달 브라켓의 고정점 주위의 후방방향, 사선방향 및 상부방향을 향해 대시 상부 패널로 후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달 브라켓의 후부 및 상부에 인접 배치된 스티어링 부재에 페달 브라켓이 간섭함으로써, 스티어링 부재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페달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후크부에 의해 페달 아암과 푸시 로드 레버가 맞물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페달 브라켓 1A : 전방 벽
1B : 상부 벽 2 : 페달 아암
3 : 페달 샤프트 4 : 하부 패널
5 : 상부 패널 6 : 차체 단부 브라켓
7 : 보울트 8 : 너트
10 : 부시 11 : 칼러
12 : 페달 아암의 보스부 13 : 마스터백
14 : 푸시 로드 15 : 푸시 로드 레버
16 : 핀 17 : 푸시 로드 레버의 보스부
18 : 클러치 수단 19 : 복원 스프링
20 : 맞물림부 21 : 위치 결정 수단
22 : 클러치 아암 23 : 스프링
24 : 클러치 아암의 보스부 25 : 포크부
26 : 아암 샤프트 27 : 충돌 검출 수단
28 : 충돌 검출 레버 29 : 충돌 검출 레버의 보스부
30 : 캠부 31 : 윈도우부
32 : 보울트 삽입공 33 : 스토퍼
34 : 인슐레이터 36 : 후크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1"는 페달 브라켓을 나타내며, 참조 부호"2"는 페달 브라켓(1)에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고정된 페달 샤프트(3)에 의해 지지되는 상단부를 갖는 페달 아암을 나타낸다. 이 페달 아암에는 그의 하단에서 페달 패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페달 브라켓(1)은 역 'L'자형 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페달 브라켓(1)의 전방 벽(1A)은 보울트(7)와 너트(8)를 통해 대시 하부 패널(4)에 체결되어 있다. 상부 벽(1B)의 후단부는 대시 하부 패널(4)에 연결되고 차실로 돌출하는 대시 상부 패널(5)의 하면부에 체결된다 즉,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체 단부 브라켓(6)은 앞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보울트(7)와 너트(8)를 통해 대시 상부 패널(5)의 하면과 후벽 사이에 연결 및 배치된다.
페달 샤프트(3)에는 부시(10)를 통해 원통형 칼러(11)가 고정 및 배치된다. 이에 반해, 페달 아암의 보스부(12)는 페달 아암(2)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페달 샤프트(3)는 페달 아암의 보스부(12)를 통해 칼러(1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참조 부호(13)는 대시 하부 패널(4)의 엔진 룸에 근접한 측면에 고정되고, 페달 아암(2)을 밟음(stepping)에 따라 대시 하부 패널(4)를 통해 연장하는 푸시 로드(14)를 누르게 되어, 브레이크 유닛(도시되지 않음)내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백을 나타낸다.
이 마스터 백(13)의 푸시 로드(14)는 핀(16)을 통해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페달 샤프트(3)에 의해 지지되는 푸시 로드 레버(15)의 하단에 연결된다.
푸시 로드 레버(15)는 그의 상단부에서 푸시 로드 레버의 보스부(17)와 함께 제공되어, 축을 따라 회동 및 미끄럼이 자유롭도록 푸시 로드 레버의 보스부(17)를 통해 페달 샤프트(3)의 칼러(11)에 고정된다.
페달 아암(2) 및 푸시 로드 레버(15)는 평상시에는 클러치 수단(18)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클러치 수단(18)에 의해 연결되는 페달 아암(2) 및 푸시 로드 레버(15)는 후술하는 충돌 검출 수단의 검출 작동에 의해 작동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푸시 로드 레버(15)의 핀(16)과 페달 브라켓(1)의 사이에는 복원 스프링(인장 스프링)(19)이 설치됨으로써, 후방향 회전력이 푸시 로드 레버(15)를 통해 페달 아암(2)에 부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수단(18)에는 페달 아암(2)의 보스부(12)와 푸시 로드 레버(15)의 보스부(17)에 대하여 상호 대향하는 단부면 각각에 형성된 맞물림부(20)와, 이 맞물림부(20)가 맞물리게 되는 방향 즉, 페달 샤프트(3)에서 축방향으로 페달 아암(2) 단부를 향해 푸시 로드 레버(15)를 압박하는 위치결정 수단(21)이 제공된다.
위치결정 수단(21)에는 칼러(11)의 축방향으로 푸시 로드 레버(15)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아암(22)과, 일측 방향으로 클러치 아암(22)을 누르는 위치결정부재로서 작용하는 스프링(23)이 제공된다.
클러치 아암(22)에는 원통형 클러치 아암의 보스부(24)와 포크부(25)가 제공된다. 이 클러치 아암의 보스부(24)는 아암 샤프트(26)의 축방향으로 회동 및 슬라이딩 자유롭게 클러치 아암의 보스부(24)를 통해 아암 샤프트(26)에 고정되는 데, 이 아암 샤프트(26)는 페달 샤프트(3)에 평행하게 페달 브라켓(1)에 고정된다. 포크부(25)는 푸시 로드 레버(15)의 상단부의 외주 가장자리의 좌우 양측부를 타고 넘도록 푸시 로드 레버의 보스부(17)의 상하측과 맞물리고, 그리하여 칼러(11)의 축방향으로 푸시 로드 레버(15)의 보스부(17)를 이동시키도록 연결된다.
또, 압축 스프링(23)은 페달 브라켓(1)의 일측벽과 아암 샤프트(26)상의 클러치 아암(22)의 보스부(24) 사이에 탄성 배치된다.
참조 부호 "27"은 차량의 전방 충돌을 검출하고 클러치 수단(18)을 분리시키는 충돌 검출 수단을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충돌 검출 수단(27)에는 충돌 검출 레버의 보스부(29)를 통해 아암 샤프트(26)에 의해 지지되고, 페달 브라켓(1)의 상부벽(1B)에서 윈도우부(31)를 통해 돌출하도록 차체 단부 브라켓(6)의 전방부 근방에 배치된 상단부를 갖는 충돌 검출 레버(28)와; 충돌 검출 레버(28)의 보스부(29)와 클러치 아암(22)의 보스부(24)에 대하여 상호 대향하는 단부면 각각에 형성된 캠부가 제공된다.
충돌 검출 레버(28)는 차체 단부 브라켓(6)의 전방면과 맞물려 있어서, 페달 브라켓(1)이 차량의 전방 충돌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회동되며, 이 회동에 기인하여 스프링(2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아암 샤프트(26)의 축방향으로 클러치 아암(22)은 캠부(30)에 의해 이동되고, 그 결과 클러치 수단(18)의 맞물림부(20)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스프링(23)은 설정치 이상으로 하중이 인가될 때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캠부(30)는 보스부(24, 29)의 단부면상에 동일한 소망 도입각(lead angle)을 가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됨으로써, 상호 긴밀한 접촉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페달 브라켓(1)의 상부벽(1B)에서 길이 방향으로 장공내에 형성된 보울트 삽입공(32)은 윈도우부(31)와 연통된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충돌력이 후방으로 페달 브라켓(1)에 작용되면, 보울트 삽입공(32)은 차체와 브라켓(6)에 대하여 후방으로 미끄러진다. 그래서, 윈도우부(31)가 보울트(7)의 입설 위치에 도달하면, 윈도우부(31)는 보울트(7)의 헤드부로부터 빠져나와, 페달 브라켓(1)이 차체 단부 브라켓(6)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33"는 페달 아암(2)의 후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지시하고, 참조 부호 "34"는 대시 하부 패널(4)의 차실에 근접한 측면에 제공된 대시 인슐레이터를 지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클러치 수단(18)의 맞물림부(20)가 맞물린 상태에 있고 페달 아암(2)을 푸시 로드 레버(15)에 일체적으로 연결해 놓기 때문에, 페달 아암(2)과 푸시 로드 레버(15)는 페달 아암(2)의 밟음 작용에 의해 일체로 회동된다. 따라서, 이 장치는 통상의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푸시 로드(14)를 누름으로써 마스터 백(13)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전방 충돌시, 마스터 백(13)이 엔진룸내의 다른 기능성 부품에 의해 간섭되어 후방으로 눌려지거나, 또는 대시 하부 패널(4)이 엔진룸내의 기능성 부품에 의해 간섭되어, 대시 하부 패널(4)이 차실측으로 변형되어 차실로 대시 하부 패널(4)의 변형에 따라 페달 브라켓(1)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충돌 검출 수단(27)의 충돌 검출 레버(28)가 차체 단부 브라켓(6)의 전방면과 맞물려서 전방으로 회전한다.
충돌 검출 레버(28)가 전방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수단(18)의 클러치 아암(22)이 스프링(2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아암 샤프트(26)를 이동시키고, 푸시 로드 레버(15)는 클러치 아암(22)의 회전에 의해 맞물림부(20)의 맞물림이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푸시 로드 레버(15)는 페달 아암(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후방으로 누르는 힘이 마스터 백(13)의 후방 이동에 의해 야기되어 푸시 로드(14)에 의해 푸시 로드 레버(15)상에 작용하더라도, 푸시 로드 레버(15)가 헛놀게 될뿐, 그 충돌 하중이 페달 아암(2)에 입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페달 아암(2)을 밟는 운전자의 발로 하중이 인가되는 데 따른 불쾌감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페달 아암(2)의 복원 스프링(19)이 푸시 로드 레버(15)의 하단부와 페달 브라켓(1)에 배치된 푸시 로드(14)를 연결하는 핀(16)상에 걸터서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푸시 로드 레버(15)는, 클러치 수단(18)이 상술한 방식으로 분리될 때 페달 아암(2)을 자유롭게 만들도록 복원 스프링(19)의 후방향 압박력에 의해 맞물림부(20)의 비-맞물림 위치로 즉각 회동한다. 게다가, 페달 아암(2)으로 복원 스프링(19)의 압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발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전방 충돌하여 페달 브라켓(1)이 후방향으로 이동되면, 페달 브라켓(1)에는 상부벽(1B)에 제공된 보울트 삽입공(32)과, 충돌 검출 레버(28)가 돌출하는 윈도우부(31)가 연달아서 상부방향으로 제공되고, 페달 브라켓(1)이 차체 단부 브라켓(6)에 대하여 후방으로 미끄러지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충돌 검출 작동은 이러한 페달 브라켓(1)의 후방향 미끄러짐에 따라 충돌 검출 레버(28)를 신속하게 회전시킴으로써 확실하게 수행된다.
또한, 페달 브라켓(1)이 후방향으로 미끄러져서, 윈도우부(31)가 보울트(7)의 입설 위치(standing position)에 도달하면, 이 윈도우부(31)가 보울트(7)의 헤드부로부터 빠져나와서, 페달 브라켓(1)이 차체 단부 브라켓(5)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1)이 차체 단부 브라켓(5)의 고정점 주위에서 후방 방향, 사선 방향 및 상방 방향을 향한 후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또, 페달 브라켓(1)이 페달 브라켓(1)의 후방부 상에 인접 배치된 스티어링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간섭하여, 스티어링 부재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충돌 검출 수단(27)은 아암 샤프트(26)에 의해 지지되는 충돌 검출 레버(28)와, 캠부(30)에 의해 기계식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또, 클러치 수단(18)도 맞물림부(20), 아암 샤프트(26)에 의해 지지되는 클러치 아암(20), 및 스프링(23)을 구비한 위치결정 수단에 의해 기계식으로 구성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화되고, 그의 비용에 있어서도 이점이 확보된다.
또, 스프링(23)은 진동을 흡수시켜 클러치 아암(22)이 노는 현상(play)을 제거함으로써, 품질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클러치 아암(22)이 페달 샤프트(3)와 평행한 아암 샤프트(26)를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푸시 로드 레버(15)가 축방향으로 페달 샤프트(3)상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됨으로써, 클러치 작동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때 축방향으로 변형하는 원통형 칼러는 상술한 스프링(23) 대신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칼러의 슬릿 등과 같은 변형이 시작되면, 설정 하중 이상에서 축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자(電磁) 클러치가 상술한 수단 이외에 클러치 수단(18)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통상, 차량 내에 장착되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충돌 센서가 충돌 검출 수단(27)을 위해 공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푸시 로드 레버(15) 단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지만, 페달 아암(2)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도 3의 푸시 로드 레버(15)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페달 아암으로 되고, 도 3의 페달 아암(2)가 단축되어 푸시 로드 레버로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페달 브라켓(1)의 상부벽(1B)에, 평상시에는 충돌 검출 레버(28)의 전방 회동을 저지하고, 회전력이 설정 하중 이상일 때에는 충돌 검출 레버(28)의 전방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저지부(35)가, 페달 브라켓(1)의 윈도우부(3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충돌 검출 레버(28)의 전방부 근방에 제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 저지부(35)가 브라켓 페달 장치가 차량에 조립, 운반, 및 운송되는 시점에, 충돌 검출 레버(28)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검출 레버(28)가 초기 설정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한편, 차량의 전방 충돌시에는, 저지부(35)에 의한 회동 저지가 충돌 검출 레버의 회동력이 설정 하중 이상 일때 해제되기 때문에, 충돌 검출 레버(28)가 아무런 문제없이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술한 클러치 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저지부(35)는 일 예로서, 페달 브라켓(1) 내의 윈도우부(31)의 양측방 가장자리에 브리지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저지부(35)는 윈도우부(31)의 양측으로부터 개구를 갖는 중앙부를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시 로드 레버(15)에, 평상시 이와 맞물림에 의해 페달 아암(2)의 전방측 가장자리와 후방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클러치 수단(18)에 의해 페달 아암(2)로부터 푸시 로드 레버(15)를 분리하는 시점에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후크부(36)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 페달 아암(2)과 푸시 로드 레버(15) 사이의 연결 강도가 증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후크부(36)가 푸시 로드(15)에 근접하여 형성되지만, 페달 아암(2)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량의 전방 충돌시 그 충돌 하중이 마스터 백의 푸시 로드를 통해 페달 아암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위치가 후방으로 변위되어, 불쾌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대시 패널에 고정된 페달 브라켓;
    상기 페달 브라켓에 의해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지지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브라켓에 의해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지지되고 푸시 로드에 연결된 푸시 로드 레버;
    평상시에는 상기 푸시 로드 레버에 상기 페달 아암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충돌 검출 센서가 충돌을 검출할 때 푸시 로드 레버로부터 페달 아암을 분리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 및 푸시 로드 레버는 상기 페달 브라켓에 제공된 페달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중 어느 하나는 페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상기 페달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페달 아암과 푸시 로드 레버에 형성되고 상호 맞물리는 맞물림부들;
    평상시에는 상기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의 맞물림부가 상호 맞물리게 되도록 위치 결정되고,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푸시 로드와 페달 아암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맞물림부들 간의 맞물림이 상기 페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해제되도록 위치결정되는 위치결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 들은 상기 페달 아암과 푸시 로드 레버의 보스부 각각의 단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페달 아암과 푸시 로드 레버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와 맞물리는 타 전방측 가장자리와 후방측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기구는 축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상기 페달 샤프트에 평행하게 상기 페달 브라켓에 제공된 아암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푸시 로드 레버와 페달 아암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클러치 아암;
    상기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설정된 위치에 상기 클러치 아암을 위치결정하며, 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되는 위치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센서는 충돌 하중에 기인한 상기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센서는, 상기 페달 브라켓으로부터 돌출하고, 충돌 하중에 기인한 상기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대시 패널보다 상기 차실에 더 가깝게 위치된 차체나 차체 부품과 맞물림에 의해 회동되는 충돌 검출 레버와;
    상기 맞물림부 들의 맞물림이 상기 충돌 검출 센서의 회동에 의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클러치 아암을 이동시키는 캠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검출 레버는, 회전 자유로운 방식으로 상기 아암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페달 샤프트의 상부로 돌출되고, 충돌 하중에 기인한 상기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에 따라 대시 하부 패널 상부의 차실측으로 돌출하는 대시 상부 패널의 하면부와 맞물림에 의해 회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클러치 아암과 충돌 검출 레버의 보스부 각각의 단부면에 형성되고, 상호 맞물리게 되며, 상기 맞물림부의 맞물림이 상기 충돌 검출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결정력에 대항하여 상기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클러치 아암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라켓에는, 상기 페달 브라켓으로부터 돌출하는 충돌 검출 레버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상기 충돌 검출 레버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력이 설정된 하중 이상일 때에는 상기 충돌 검출 레버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저지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상기 아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클러치 아암을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라켓과 푸시 로드 레버의 사이에는 복원 스프링이 배치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푸시 로드 레버를 통해 상기 페달 아암에 후방향 회동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라켓은 최소한 상기 대시 하부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충돌 검출 부재는 상기 대시 하부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대시 상부 패널과 맞물리고, 충돌 하중에 기인한 상기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시 차실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 패널은 대시 하부 패널과, 상기 대시 하부 패널에 연결된 대시 상부 패널로 구성되어 차실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페달 브라켓은 대시 하부 패널과 대시 상부 패널 상에 걸쳐 고정되고, 충돌 하중에 기인한 상기 페달 브라켓의 후방향 이동시 상기 대시 상부 패널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1019980014112A 1997-04-21 1998-04-21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KR100298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03472 1997-04-21
JP10347297 1997-04-21
JP15684097A JP3781864B2 (ja) 1997-04-21 1997-06-13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97-156840 1997-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558A KR19980081558A (ko) 1998-11-25
KR100298053B1 true KR100298053B1 (ko) 2001-10-25

Family

ID=2644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112A KR100298053B1 (ko) 1997-04-21 1998-04-21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76340B1 (ko)
EP (1) EP0873923B1 (ko)
JP (1) JP3781864B2 (ko)
KR (1) KR100298053B1 (ko)
DE (1) DE698042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955B1 (en) * 1983-12-06 1991-05-21 Eyeglass frame including shape-memory elements
JP3792465B2 (ja) 1999-07-02 2006-07-05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316950B1 (ko) * 1999-08-10 2001-12-22 이계안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지지구조
JP3804373B2 (ja) * 1999-12-06 2006-08-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GB9930601D0 (en) * 1999-12-24 2000-02-16 Ksr Automotive Limited Vehicle pedal box
GB0006365D0 (en) * 2000-03-17 2000-05-03 Bck Technology Ltd Vehicle foot pedal retraction device
CN1258455C (zh) * 2000-09-14 2006-06-0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机动车制动器踏板装置
JP3896779B2 (ja) * 2000-09-14 2007-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4221160B2 (ja) * 2001-01-19 2009-02-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JP2002362339A (ja) * 2001-06-08 2002-12-18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GB0118227D0 (en) * 2001-07-26 2001-09-19 Bck Technology Ltd Motor vehicle brake or clutch pedal
DE10139592C2 (de) * 2001-08-11 2003-08-14 Porsche Ag Haltevorrichtung für ein Pedal eines Kraftfahrzeugs
KR100405559B1 (ko) * 2001-09-2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밀림 방지구조
FR2835796B1 (fr) * 2002-02-11 2004-03-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edale de frein destinee a equiper un vehicule automobile
KR100456537B1 (ko) * 2002-04-19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KR100461378B1 (ko) * 2002-04-22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장치
JP3937395B2 (ja) * 2002-06-04 2007-06-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の支持構造
JP3819328B2 (ja) * 2002-06-12 2006-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KR20040026829A (ko) * 2002-09-26 2004-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밀림 방지장치
KR100851826B1 (ko) 2002-12-18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페달장치
US6951152B2 (en) * 2003-02-17 2005-10-0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Crash release arrangement and method for an automotive pedal mounting
FR2855278B1 (fr) * 2003-05-19 2006-09-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edalier retractable en cas de choc frontal sur un vehicule
US7195091B2 (en) * 2003-08-06 2007-03-27 Drivesol Worldwide, Inc. Crash relief pedal assembly
JP4029800B2 (ja) * 2003-08-26 2008-01-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KR100552747B1 (ko) * 2003-11-13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브레이크페달의 발목 상해 방지구조
SE527696C2 (sv) * 2004-01-26 2006-05-16 Teleflex Automotive Sweden Ab Anordning för pedalställ
FR2873829B1 (fr) * 2004-07-28 2007-11-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pedalie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KR100657586B1 (ko) * 2005-12-29 2006-12-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후방 밀림 방지 장치
US8276478B2 (en) * 2006-04-11 2012-10-02 Mazda Motor Corporation Operating pedal support structure
US7712570B2 (en) * 2006-06-08 2010-05-11 Honda Motor Co., Ltd. Crash safe vehicle brake assembly
US20080047386A1 (en) * 2006-08-07 2008-02-28 Ridgway Jason R Automotive foot pedal assembly
US7775555B2 (en) * 2008-04-04 2010-08-17 Dura Global Technologies, Llc Break-away pedal assembly
KR101144442B1 (ko) * 2008-12-05 2012-05-10 경창산업주식회사 충돌 상해 저감형 브레이크 페달장치
US7987743B2 (en) * 2008-12-19 2011-08-02 Ventra Group, Inc. Positive release crash pedal mechanism
DE102009034783B4 (de) * 2009-07-25 2017-07-13 Volkswagen Ag Fußhebelwerk an Kraftfahrzeugen
US9213354B2 (en) * 2010-11-17 2015-12-15 KSR IP Holding LLC. Pedal with active release
JP5719804B2 (ja) * 2012-06-22 2015-05-20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ブラケット
KR101704084B1 (ko) * 2012-10-2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RU2587665C1 (ru) * 2013-02-15 2016-06-20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523998B2 (en) 2013-03-14 2016-12-20 Ventra Group Co. Safety release system for pedals
US9639112B2 (en) 2013-04-10 2017-05-02 KSR IP Holdings, LLC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assembly
KR101461187B1 (ko) * 2013-05-03 2014-11-1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페달의 후방 밀림 방지 장치
US9889826B2 (en) 2014-02-19 2018-02-13 Ventra Group Co. Variable ratio brake pedal
CN104527622B (zh) * 2015-02-02 2017-12-05 盐城咏恒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防止腿部受伤制动踏板结构
JP6206434B2 (ja) * 2015-03-20 2017-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ペダル装置取付構造
CN113525310B (zh) * 2021-07-23 2022-08-0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制动踏板结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8732C2 (de) 1980-05-16 1982-05-13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raftwagen
US4641733A (en) * 1985-02-27 1987-02-10 Allied Corporation Disabling device for a brake control device
US5086663A (en) * 1989-07-28 1992-02-11 Fuji Kiko Company, Limited Adjustable pedal
JP2630031B2 (ja) 1990-07-05 1997-07-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JPH06211115A (ja) 1993-01-18 1994-08-02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ペダルの退避構造
JP2815791B2 (ja) 1993-08-23 1998-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ペダル及びステアリング支持部の車体構造
JP2876995B2 (ja) 1994-07-13 1999-03-3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ブレーキペダルおよびステアリングポストの支持構造
JPH08164782A (ja) 1994-12-14 1996-06-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ットレスト構造
JP3267082B2 (ja) 1994-12-28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DE19522398C1 (de) 1995-06-23 1996-12-19 Daimler Benz Ag Sicherheitsanordnung im Fußraum eines Kraftwagens
DE19529347A1 (de) * 1995-08-09 1997-02-20 Hs Tech & Design Vorrichtung zum Lösen der Verankerung eines Pedals vom Aufbau eines Kraftfahrzeugs
DE19534225A1 (de) 1995-09-15 1997-03-20 Teves Gmbh Alfred Ein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Druckgebers
JPH0986255A (ja) 1995-09-25 1997-03-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ットレスト
JP3277814B2 (ja) * 1996-06-27 2002-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5921144A (en) * 1997-09-11 1999-07-13 Chrysler Corporation Brake pedal assembly with displacement lim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517A (ja) 1999-01-12
DE69804260D1 (de) 2002-04-25
EP0873923B1 (en) 2002-03-20
KR19980081558A (ko) 1998-11-25
EP0873923A1 (en) 1998-10-28
JP3781864B2 (ja) 2006-05-31
US6176340B1 (en) 2001-01-23
DE69804260T2 (de)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053B1 (ko)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JP3542709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EP1862363B1 (en) Brake pedal apparatus for automobile
US6418812B2 (en) Brake pedal structure for vehicle
JP4221160B2 (ja)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US6364046B1 (en) Method for activation of a safety arrangement in a vehicle
JP2002087226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2002370631A (ja) 車両のペダル支持構造
JP3459378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3925845B2 (ja) 自動車における2次衝突時の衝撃力緩和装置
JP3932702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構造
JPH1159350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構造
JP2959235B2 (ja) ペダル装置
JP3409651B2 (ja) 自動車のペダルブラケット構造
JP4577112B2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3804424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装置
JP3459347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構造
JP4014929B2 (ja)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JP3893817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3518378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4181244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
JP3870552B2 (ja) ブレーキ装置
JPH0911827A (ja) ペダル引き込み装置
KR20000002617U (ko) 차량 변속 조작 안전 장치
JPH092206A (ja) シートベルト締付機構における誤動作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