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507B1 - 입자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입자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507B1
KR100295507B1 KR1019930015039A KR930015039A KR100295507B1 KR 100295507 B1 KR100295507 B1 KR 100295507B1 KR 1019930015039 A KR1019930015039 A KR 1019930015039A KR 930015039 A KR930015039 A KR 930015039A KR 100295507 B1 KR100295507 B1 KR 10029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measuring
particles
light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956A (ko
Inventor
시라사와요시아끼
야마모또데쯔야
Original Assignee
미와 요시히로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와 요시히로,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와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4000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82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precipitate or turb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선으로 조사된 입자를 포함하는 시료셀로부터의 산란광 강도가 수광소자에 의해 측정되고,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여 입자의 직경과 그 수를 계측하고, 입지의 크기와 그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내는 응집괴의 크기와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하는 입자측정장치를 제공한다. 혈구의 응집능을 측정하는 경우 본 발명은 고감도로 시간 경과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응집괴의 크기와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임상에 있어서 혈전증을 포함하여 각종의 질환 및 치료약의 효과 판정에 유용한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자측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자측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수광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산란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제3도는 신호처리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제4a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응집반응 측정장치 데이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4b도는 종래 장치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응집반응 측정 데이터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제5c도는 종래 장치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레이저 2 : 집광 렌즈
3 : 시료셀 4 : 교반봉
6 : 수광렌즈 7 : 핀홀
8 : 포토다이오드 11 : AD 변환기
12 : 컴퓨터 15 : 연산증폭기
17 : 절대치 회로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입자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소판 등의 혈구의 응집능 또는 응집률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혈소판 등의 혈구의 응집능에 의해 형성된 응집괴(凝集塊)의 크기와 그 수를 파악하는 것은, 응집반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질환에 대한 진단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를 위해 응집괴를 입자로서 측정하는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는, 혈소판 용액을 용해한 시료셀(sample cuvette)에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다수의 응집괴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으로부터의 투과광 및 산란광을 수광소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의 강도 변화에 의해 혈소판의 응집능을 측정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의 기술에서는 많은 응집괴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으로부터의 투과광 또는 산란광의 강도를 측정하기 해문에, 응집괴의 크기와 수가 응집반응의 양적 변화를 충실하게 나타내는 지표인데도 불구하고 그 양자를 시간 경과에 따라서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응집초기에 있어서, 많은 미응집의 혈소판으로부터의 산란광의 강도가 소수의 응집괴로부터의 산란광 강도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응집 변화를 포착할 수 없고 실제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에서는 30 ~ 40%의 혈소판이 응집되어도 그의 변화를 포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응집괴의 크기와 수를 시계열(時系列)(time-series)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입자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선으로 조사된 입자를 포함하는 시료셀로부터의 산란광 강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입자의 특성을 측정하는 입자측정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선을 콜리메이트(collimate)하여 시료셀에 조사하는 수단과 시료셀로부터의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여 입자직경과 그의 수를 계측하는 수단과 상기 입자의 크기와 그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갖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작용]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자의 크기와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입자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계측수단이 입자 직경에 대응한 상한치와 하한치를 갖는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를 각 한계치와 비교하여 입자 직경을 식별하는 복수 개의 비교수단과 각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계측하는 카운터(counter)로 이루어져 비교수단의 수에 대응한 입자 직경과 그 수가 시계열적으로 계측된다.
또 수광소자가 실질적으로 한 개의 측정입자로부터의 산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 개의 수광소자가 설치되어, 그 수광소자에 대응한 산란광이 동시에 측정되며, 그 경우 수광소자 한 쌍으로부터의 출력을 감산하여 유효신호의 비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측정시의 S/N 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자측정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이다. 그 경우 입자는 혈소판 등의 혈구의 응집능에 의해 형성된 응집괴이고, 혈구의 응집능 혹은 응집률이 측정된다. 이와 같은 혈소판 응집측정장치의 경우, 혈소판 등의 혈구의 응집반응에 있어서, 응집괴의 크기와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응집반응을 보다 충실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미약한 응집반응에 있어서 소수의 응집괴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자측정장치를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이와 같은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산란광 강도 측정을 위한 반도체 레이저(40mW) 광원(1)은 구동회로(9)에 의해 구동되어 레이저 광선을 발생한다. 이 레이저 광선은 집광렌즈(2)에 의해 콜리메이트(collimate)되고, 혈소판 등의 혈구 부유액을 포함하는 시료 유리셀(3)에 조사된다. 시료셀(3) 내의 혈구 부유액은 37℃의 일정 온도를 유지하고, 교반봉(stirring bar)(4)과 자기 교반기(magnetic stirrer)(5)에 의해, 1000rpm으로 회전 교반된다.
혈구 부유액으로부터의 산란광은 수광렌즈(6)를 끼운 복수 개의 수광소자인 포토다이오드(8)(8a~8d)에 의해 전기신호로서 측정된다. 각각의 포토다이오드의 앞부분에 통계적으로 응집괴 한 개만이 측정될 수 있는 관찰 영역으로부터의 산란광을 수광하기 위해 핀홀(10×100㎛)(7)이 배치된다. 포토다이오드(8)의 출력은 증폭기(10)에 의해 전류전압변환 증폭 후, AD 변화기(11)에 의해 AD 변환되어 컴퓨터(12)에 입력된다.
컴퓨터(12)에서는 응집괴의 입자 직경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컴퍼레이터(comparator)에 의해 그 신호 레벨이 식별되고, 상기 컴퍼레이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카운터에 의해 계산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입자 직경의 응집괴가 몇 개인가가 측정된다. 그 경우, 응집괴의 일부가 핀홀(7)의 주변부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잘못 계측되는 응집괴의 입자 직경은 통계적 확률론과 표준입자의 측정결과로부터의 식을 이용한 퍼스널 컴퓨터의 측정 소프트에 의해 보정된다.
제2도에는 1개의 포토다이오드(8a~8d)로 측정된 혈소판 응집시의 산란광 강도신호의 변화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응집괴로부터의 산란광은 응집괴의 크기에 상관된 피크신호(13a~13d)로서 측정되어 응집되지 않은 각각의 혈구로부터의 산란광은 백그라운드 신호(14a~14d)로서 측정된다.
그곳에 이 백그라운드 신호의 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수광소자인 포토다이오드 8a, 8b로부터의 각각의 출력신호가 각각 연산 증폭기(15)에 입력되어 감산된다. 그에 의해 미응집의 혈구로부터의 산란광에 의한 백그라운드 신호가 서로 소멸되어,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집괴만으로부터의 산란광 강도 변화만이 측정된다. 이 백그라운드 신호가 제거된 신호는 절대치 회로(17)에 입력된다. 절대치 회로(17)의 출력은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없는 피크 신호만큼의 신호로 된다.
이 절대치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각각 윈도우 컴퍼레이터(window comparator)(20_1, 20_2, ......., 20_n)에 입력되어, 그 레벨이 식별된다. 각 컴퍼레이터는 응집괴의 입자 직경에 대응한 레벨 비교를 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컴퍼레이터의 출력은 응집괴의 입자 직경에 대응한 신호로 된다. 이 신호가 각각 카운터(21_1, 21_2, .......,, 21_n)에서 카운트되고, 그 입자 직경의 응집괴의 수가 계산된다. 그 계산된 데이터는 연산회로(22)에 입력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집괴의 입자 직경과 그 수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연산을 행한다. 또, 컴퍼레이터, 카운터, 연산회로는 제1도에 컴퓨터(12)에 의해 실현된다.
또 제3도에는 포토다이오드(8a, 8b)의 출력신호의 처리가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포토다이오드(8c, 8d)도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수광소자의 응집괴 수의 계측확률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조의 수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는 본 발명을 채용한 측정장치와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한 혈소판 응집을 나타냈다.
혈소판 응집 야기제인 ADP(Adenosine diphosphate)에 의한 응집반응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제4a도에는 본 발명을 채용한 측정장치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또 제4b도에는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시판되고 있는 응집측정기(aggregometer))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응집능 측정장치에서는 농도 0.3 μM의 이하의 ADP에 의한 응집반응은 측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측정장치에서는, 컴퍼레이터(20_1, 20_2, ......., 20_n) 에 의해 입자직경이 각각 응집괴 입도로서 식별되며, 그 식별된 각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입도의 수가 응집괴 수로서 시계열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표시되어 있고, 농도 0.3 μM의 ADP 첨가에 의해 다수의 응집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관측된다.
본 측정장치에서는 0.03μM의 낮은 농도의 ADP에 의한 응집반응도 측정할 수 있다. 즉, 종래법에 비해 본 발명을 채용한 장치에서는 약 30배의 고감도로 응집 반응의 측정이 가능하다. 더욱 응집괴의 크기의 분포와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작은 응집괴로부터 큰 응집괴가 응집반응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어떻게 형성되어가는가를 관찰할 수 있다.
제5도에서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채용한 측정장치와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혈소판 응집을 나타낸다. 혈소판 응집 야기제인 콜라겐에 의한 응집반응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제5a,b도에는 본 발명을 채용한 측정장치에 의한 데이터가, 또 제5c도에는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aggregometer)에 의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제5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혈소판 응집능 측정장치에서는 농도 0.7μg/ml의 콜라겐 첨가에 의해 응집반응은 관찰되지 않는다. 한편,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측정장치에서는 농도 0.7μg/ml의 콜라겐 첨가에 의해 다수의 응집괴가 형성되어 가는 것이 관찰된다.
또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 EGTA(ethyleneglycol tetraacetic acid)를 포함하는 무칼슘 이온 용액(calcium-ion-free solution) 중에서는 콜라겐 0.7μg/ml 첨가에 의해 응집괴의 형성이 확실히 억제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선이 콜리메이트하여 시료셀에 조사되고, 시료셀로부터의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가 평가되어 입자 직경과 그의 수가 측정되어, 입자의 크기와 그 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혈구의 응집능을 측정하는 경우, 고감도로 또한 시간경과에 따라 생성하는 응집괴의 크기와 수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임상에 있어서 혈전증을 포함한 각종 질환의 진단 및 치료약의 효과 판정에 유용한 수단이 제공된다.

Claims (4)

  1. 입자를 포함하는 시료셀로부터 산란된 광의 강도를 측정하여 입자의 특성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선을 생성하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선을 상기 시료셀에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광선을 콜리메이트(collimate)하는 수단; 복수 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하며, 각각의 수광소자에 수광되는 광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시료셀로부터의 산란광을 수광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수광수단; 상기 시료셀 및 수광수단의 사이에 위치하며 선택된 입자로부터 산란된 광을 통과시키는 수단; 입자 직경에 대응하여 상한치 및 하한치를 가지고 상기 수광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입자 직경을 식별하도록 각각 작동되는 복수 개의 비교수단 및 각각의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계수하도록 연결되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평가하여 입자들의 직경 및 수를 측정하며, 상기 비교수단의 수에 대응하여 군으로 분류되는 입자 직경들 및 그 수들을 시계열(時系列)(time-series)적으로 측정하는 계측수단; 및 입자의 크기 및 양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입자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는 실질적으로 1개의 측정입자로부터의 산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입자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 한쌍으로부터의 출력을 감산하여 유효신호의 비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측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혈소판과 같은 혈구의 응집능에 의해 형성된 응집괴이고, 혈구의 응집능 또는 응집률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측정장치.
KR1019930015039A 1992-08-04 1993-08-03 입자측정장치 KR10029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06891 1992-08-04
JP20689192A JP3199850B2 (ja) 1992-08-04 1992-08-04 血小板凝集能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956A KR940005956A (ko) 1994-03-22
KR100295507B1 true KR100295507B1 (ko) 2001-10-24

Family

ID=1653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039A KR100295507B1 (ko) 1992-08-04 1993-08-03 입자측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07399A (ko)
EP (1) EP0582431B1 (ko)
JP (1) JP3199850B2 (ko)
KR (1) KR100295507B1 (ko)
CA (1) CA2100890C (ko)
DE (1) DE69327371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76B1 (ko) 2007-03-15 2008-04-11 한국원자력연구원 레이저 유도 충격파의 탐침 빔 검지를 이용한 수용액 내나노입자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WO2010017001A2 (en) * 2008-08-06 2010-02-11 Invitrox,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s
KR100984183B1 (ko) 2008-09-22 2010-09-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구 응집률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3023B1 (ko) 2008-10-10 2010-12-21 한국원자력연구원 레이저 유도 파열에 의해 발생된 탐침 빔 편향신호 크기의 도수분포곡선을 이용한 나노입자 크기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1835A (en) * 1995-12-18 1998-12-22 Center For Laboratory Technology, Inc. Multiparameter hematology apparatus and method
JPH1050220A (ja) * 1996-07-31 1998-02-20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の調整装置
US6043871A (en) * 1997-03-03 2000-03-28 Brigham Young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platelet function
US6150174A (en) * 1997-03-05 2000-11-21 Diametrics Medical, Inc. Method for measurement of whole blood coagulation parameters
US7515264B2 (en) * 1999-06-15 2009-04-07 Tokyo Electron Limited Particle-measuring system and particle-measuring method
JP4320924B2 (ja) * 1999-06-15 2009-08-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パーティクル計測装置及び処理装置
AU8026100A (en) 1999-10-15 2001-04-30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tional Fund Device for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measuring light scatter from multiple liquid samples
JP4372369B2 (ja) * 2001-03-30 2009-11-25 大塚電子株式会社 光子相関計
JP4680422B2 (ja) * 2001-05-29 2011-05-11 嘉之 山海 血栓計測装置
WO2003069335A1 (en) * 2002-02-14 2003-08-21 Mcgill University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rameters
US7393690B2 (en) * 2003-05-06 2008-07-01 Thrombody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fluid properties
US7262059B2 (en) * 2003-05-06 2007-08-28 Thrombody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fluid properties
US7259007B2 (en) * 2003-12-24 2007-08-21 Glycofi, Inc. Methods for eliminating mannosylphosphorylation of glycans in the production of glycoproteins
US7842247B2 (en) 2005-08-19 2010-11-30 Canadian Blood Services Sample holder for dynamic light scattering
JP4787608B2 (ja) * 2005-12-06 2011-10-05 興和株式会社 血小板凝集反応測定方法、および血小板凝集反応測定装置
WO2008038329A1 (fr) * 2006-09-25 2008-04-03 Kowa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mesure de la gélification et cuve à échantillon
KR100834385B1 (ko) * 2006-12-12 2008-06-09 주식회사 리오메디텍 교반을 이용한 혈구 응집률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00178206A1 (en) * 2007-09-25 2010-07-15 Toru Obata Gel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sample cell
US8289514B2 (en) * 2008-03-05 2012-10-16 Aggredyne, Inc. System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a physiological fluid suspension
WO2009116633A1 (ja) 2008-03-19 2009-09-24 Obata Toru ゲル粒子測定装置
JP5014466B2 (ja) 2010-06-04 2012-08-29 徹 小幡 ゲル粒子測定装置
EP3036523A4 (en) * 2013-08-20 2017-04-05 Advanced Polymer Monitoring Technologies Inc. Characterization of polymer and colloid solutions
JP2015210188A (ja) * 2014-04-25 2015-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粒子測定装置
JP6323178B2 (ja) * 2014-06-02 2018-05-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粒度分布測定方法、並びに、粒度分布測定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6013392A1 (ja) * 2014-07-22 2016-01-2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細胞分散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継代培養システム
EP3023770B1 (en) * 2014-11-21 2017-12-27 Anton Paar GmbH Determination of a refractive index of a sample and of a particle size of particles in said sample by means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light scattering
CN104596900B (zh) * 2015-01-05 2017-04-12 暨南大学 一种自动实现大气颗粒物粒径校正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7549A (en) * 1981-03-27 1983-08-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for removal of LIDAR background backscattering by subtraction of multiple-delayed return signal
US4492472A (en) * 1981-07-27 1985-01-08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hape in plane to be determined in atmosphere of scattering materials
JPS5895248A (ja) * 1981-11-02 1983-06-06 Olympus Optical Co Ltd 粒子凝集判定用容器およびこの容器を用いる粒子凝集判定方法
FR2545610B1 (fr) * 1983-05-02 1989-04-21 Materiel Biomedical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detection et la quantification d'agglutinats
US4623252A (en) * 1984-10-09 1986-11-18 Spectrex Corporation Particulate counter
FR2576106B1 (fr) * 1985-01-16 1988-06-10 Mulhouse Ctre Hospitalier Appareil d'etude de la formation d'agregats et/ou de precipites en milieu physiologique et des phases prealables, notamment destine a l'etude des fonctions agregatives plaquettaires et du changement de forme de plaquettes
JP2667867B2 (ja) * 1988-03-30 1997-10-27 東亜医用電子株式会社 粒子解析装置
JPH03500573A (ja) * 1988-04-20 1991-02-07 フセソユズニ カルディオロジチェスキ ナウチニ ツェントル アカデミイ メディツィンスキフ ナウク エスエスエスエル 血小板凝集の分析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43949B2 (ja) * 1988-10-03 1994-06-08 大塚電子株式会社 粒径測定装置
JP2641927B2 (ja) * 1988-11-16 1997-08-20 興和株式会社 微粒子測定装置
JP2899360B2 (ja) * 1990-05-21 1999-06-02 興和株式会社 流体中の粒子計測方法及びその装置
JP2863874B2 (ja) * 1990-12-30 1999-03-03 株式会社堀場製作所 粒度分布測定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76B1 (ko) 2007-03-15 2008-04-11 한국원자력연구원 레이저 유도 충격파의 탐침 빔 검지를 이용한 수용액 내나노입자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측정방법
WO2010017001A2 (en) * 2008-08-06 2010-02-11 Invitrox,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s
WO2010017001A3 (en) * 2008-08-06 2010-05-06 Invitrox,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s
US8828737B2 (en) 2008-08-06 2014-09-09 Invitrox,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a
US9459252B2 (en) 2008-08-06 2016-10-04 Invitrox,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s
US9683920B2 (en) 2008-08-06 2017-06-20 Aidia Investment Group,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s
US10359349B2 (en) 2008-08-06 2019-07-23 Aidia Investment Group, Inc. Use of focused light scattering techniques in biological applications
KR100984183B1 (ko) 2008-09-22 2010-09-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구 응집률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3023B1 (ko) 2008-10-10 2010-12-21 한국원자력연구원 레이저 유도 파열에 의해 발생된 탐침 빔 편향신호 크기의 도수분포곡선을 이용한 나노입자 크기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7371D1 (de) 2000-01-27
CA2100890C (en) 2003-02-11
DE69327371T2 (de) 2000-04-20
EP0582431A3 (en) 1995-06-21
EP0582431A2 (en) 1994-02-09
JPH0650875A (ja) 1994-02-25
CA2100890A1 (en) 1994-02-05
KR940005956A (ko) 1994-03-22
EP0582431B1 (en) 1999-12-22
JP3199850B2 (ja) 2001-08-20
US5907399A (en)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507B1 (ko) 입자측정장치
JP2815435B2 (ja) 粒子解析装置及び血球カウンタ
EP0359681B1 (en) Characterization of particles by modulated dynamic light scattering
JP4886785B2 (ja) ゲル化測定装置および試料セル
US4747685A (en) Biological microparticle inspection apparatus
KR970048449A (ko) 혈소판을 동정 및 정량하고, 전혈 샘플을 사용한 혈소판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고도로 민감하고 정확한 자동화 방법
JPH0424535A (ja) 流体中の粒子計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03020B1 (ko) 탁도의측정방법및장치
US20110124036A1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derived from organism and measurement apparatus
US6320656B1 (en) High numerical aperture flow cytomet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4061543A (en) Bioassay for drugs and antibiotics
WO19890105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thrombocyte aggregation
JPH06174724A (ja) 免疫学的測定装置
JP4787608B2 (ja) 血小板凝集反応測定方法、および血小板凝集反応測定装置
JPH0921739A (ja) 粒子分析装置
AU768616C (en) High numerical aperture flow cytomet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S58172537A (ja) 光散乱測定装置
CN205506622U (zh) 扬尘传感器
JP2820879B2 (ja) 懸濁液の粒子濃度の定量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25144A (ja) 血液分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26553A (ja) 液中微粒子の計測装置
Harris Electronic Enumeration and Sizing of Cells: B. Tissue Culture Cells
JPS6259839A (ja) 粒子計数装置
JPS63247644A (ja) 免疫反応測定方法
JPS6193932A (ja) 粒子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