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499B1 - 자동2륜차의전조등 - Google Patents

자동2륜차의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499B1
KR100293499B1 KR1019970059467A KR19970059467A KR100293499B1 KR 100293499 B1 KR100293499 B1 KR 100293499B1 KR 1019970059467 A KR1019970059467 A KR 1019970059467A KR 19970059467 A KR19970059467 A KR 19970059467A KR 100293499 B1 KR100293499 B1 KR 10029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tribution
headlamp
area
headligh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328A (ko
Inventor
데츠야 스즈키
요시히사 히로세
하지메 다바타
도시야 나가투유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4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3Attitude of the vehicle body
    • B60Q2300/136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2Road surface or travel path
    • B60Q2300/322Road curv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배광(20)을 주광축을 포함하는 주배광영역(21)과, 이 주배광영역(21) 상측의 주배광영역(21)보다 어두운 저광도영역(24)과, 이 저광도영역(24) 상측의 저광도영역(24)보다 밝은 고광도영역(22)(23)으로 구성한 자동2륜차의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자동2륜차가 코너링할 때 코너를 밝게 비출 수 있어서, 코너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2륜차가 직진할 때 대향차에 대해 눈부시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2륜차의 전조등
본 발명은 코너링시의 배광을 고려한 자동2륜차의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도21(a), 도21(b)는 종래의 자동2륜차 전조등의 로우 빔에서의 배광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a)는 직진시, (b)는 코너링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전조등(100)은 대향차를 현혹하지 않도록 자동2륜차(101) 전방의 비교적 가까운 노면을 좌우의 퍼짐새를 가지고 비춘다.
(b)에 있어서, 코너링중에는 자동2륜차는 코너 내측으로 기울고, 이에 따라 배광(102)의 코너 내측부분(103)은 자동2륜차(101)쪽으로 이동한다.
도22(a), 도22(b)는 종래의 자동2륜차 전조등의 주행빔에서의 배광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a)는 직진시,(b)는 코너링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전조등(100)은 자동2륜차(101) 전방의 먼 노면을 비춘다.
(b)에 있어서, 코너링중에는 자동2륜차(101)는 코너 내측으로 기울고, 이에 따라 배광(102)의 코너 내측부분(103)은 자동2륜차(101)쪽으로 이동한다.
도23(a), 도23(b)는 종래의 자동2륜차 전조등의 코너링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로우 빔의 것으로 도21(b)에 대응하고, (b)는 주행빔의 것으로 도22(b)에 대응하며, (a)에 도시한 주배광영역(104), (b)에 도시한 주배광영역(105) 모두 좌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도21(b) 및 도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2륜차(101)의 운전자(106)가 코너링중에 보는 코너의 노견(107) 및 이 노견(107) 앞의 노면(108)에 닿는 광의 양이 감소하여 어두워진다. 즉, 코너링시에는 도23(a) 및 도23(b)에 있어서, 노견(107) 및 노면(108)을 포함하는 범위(Al, A2)에 배광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 범위(Al, A2)에 배광하여 코너의 전방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또, 일본국 실공소59-13685호 공보 「차량용 전조등」 이나 일본국 특개소63-312280호 공보 「2륜차용 헤드 램프」에도 렌즈나 리플렉터에서 배광을 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코너링시의 코너의 조사에 대해서는 어디를 어느 정도의 밝기로 비출지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링시에 코너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2륜차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직진시의 로우 빔에 있어서의 스크린 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 있어서의 광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직진시의 주행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로우 빔의 스크린 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주행빔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를 탑재한 자동2륜차의 코너링중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를 탑재한 자동2륜차의 코너링중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
제11도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자동2륜차의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모식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
제1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3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의 리플렉터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인 직진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로우 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주행 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종래의 자동2륜차 전조등의 로우 빔에서의 배광을 도시한 평면도,
제22도는 종래의 자동2륜차 전조등의 주행 빔에서의 배광을 도시한 평면도,
제23도는 종래의 자동2륜차 전조등의 코너링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2륜차 10, 40, 50, 60 : 전조등
14 : 차광부 14a : 비차광부분(창)
20, 25, 70, 75, 80, 85, 90, 95 : 스크린배광
21, 26, 71, 76, 81, 86, 91, 96 : 주배광영역
22, 23, 27, 28, 82, 87, 92, 97 : 고광도영역
24, 29 : 저광도영역 44 : 렌즈
52, 62 : 리플렉터 62b : 분할부분(가동부)
65 : 리플렉터 구동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의 청구항1은 스크린배광을 주광축을 포함하는 주배광영역과, 이 주배광영역 상측의 주배광영역보다 어두운 저광도영역과, 이 저광도영역 상측의 저광도영역보다 밝은 고광도영역으로 구성했다.
자동2륜차가 코너링할 때 코너를 밝게 비출 수 있어서 코너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2륜차가 직진할 때 대향차에 대해 눈부시지 않게 할 수있다
청구항2는 고광도영역에 4U보다 상측에 광도가 적어도 200cd가 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코너링시에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3은 고광도영역을 10R의 외측 및 10L의 외측으로 했다.
신호대기 등으로 앞에 정차해 있는 자동차나 자동2륜차의 백미러에 고광도영역의 광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4는 고광도영역의 광도를 1000cd를 초과하지 않게 했다.
고광도영역의 광이 대향차를 현혹하기 힘들다.
청구항5는 전조등을 렌즈에 형성한 다수의 프리즘에 의해 배광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 프림즘중 적어도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한다.
고광도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6은 전조등을 프로젝터형으로 하고.,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전조등에 수납한 차광부에 비차광부분을 배치함으로써 고광도영역을 형성한다.
고광도영역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차광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7은 전조등을 리플렉터에 다수의 반사면을 형성한 멀티 리플렉터형 또는 리플렉터의 반사면을 자유곡면으로 한 자유곡면 리플렉터형으로 하고, 리플렉터의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한다.
고광도영역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8은 전조등의 리플렉터중 일부를 분할하고, 이 분할부분을 차량 직진시의 제1위치에서 차량 코너링시의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2위치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한다.
차량 코너링시에 배광이 불필요해진 장소나 너무 밝은 장소에 대한 광을 이용하여 고광도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도면은 부호 방향으로 보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2륜차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전조등(10)은 전구(11)와, 리플렉터(12)와, 렌즈(13)와, 전구(11), 렌즈(13) 사이에 배치한 차광부(14)로 이루어진 프로젝터형이다. 또한, 15는 통부재이다.
차광부(14)는 리플렉터(12) 하반분의 반사면(12a)에서 반사한 광을 차광하여, 수평방향보다 상측에 광이 닿지 않게 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부에 비차광부분인 윈도우(14a)(14a)(2개의 윈도우(14a)(14a)는 도면의 표리방향으로 늘어서 있으나, 한쪽은 생략)를 가진다.
전구(11)에서 나와 리플렉터(12) 상반분의 반사면(12a)에서 반사한 광은 렌즈(13)를 통과하고, ①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보다 하측으로 나아간다.
또, 리플렉터(12) 하반분의 반사면(12a)에서 반사한 광의 일부는 차광부(14)의 윈도우(14a) 및 렌즈(13)를 통과하여, 도면의 ②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아간다.
이 광이 후술하는 고광도영역을 형성한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직진시의 로우 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전조등(10)(도1 참조)의 스크린배광(20)은 H선보다 아래에서 또 주광축을 포함하는 주배광영역(21)과, H선보다 위에서 또 V선의 양측에 배치한 고광도영역(22)(23)과, 이들 주배광영역(21), 고광도영역(22)(23) 사이에 형성한 저광도영역(24)으로 이루어진다.
도3은 도2의 3-3선에 있어서의 광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고광도영역(23)(및 22)의 광도는 미국의 SAE규격 J584(OCT93)의 로우 빔에 의한 현혹방지규정의 0.5U1.5L 및 그것보다 외측(우측 통행)의 규정치 1000cd MAX에 따르며, 예를들면 1000cd를 초과하지 않게 하고 있다. 또, 고광도영역(23)(및 22)은 4U보다 상측에 적어도 200cd가 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종래예에서는 고광도영역을 구비하지 않았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직진시의 주행 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전조등(10)(도1 참조)의 스크린배광(25)은 H선상에 장축을 가지며, 또 V선상에 단축을 가진 타원형상의 주배광영역(26)과, 이 주배광영역(26)의 좌우단 상측에 배치한 고광도영역(27)(28)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조등(10)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5(a), 도5(b)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로우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조등이 좌측으로 기운 상태, (b)는 전조등이 우측으로 기운 상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좌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자동2륜차의 차체를 좌측으로 기울게 한다. 이에 따라 전조등도 기운다. 이 때 스크린배광(20A)의 고광도 영역(22)은 H선보다 아래로 이동한다. 이 고광도영역(22)의 위치는 후술하는 코너의 노견이나 이 노견 앞의 노면에 대응한다.
(b)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우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a)와는 반대로 전조등(10)이 우측으로 기울고, 스크린배광(20B)의 고광도영역(23)은 H선보다 아래로 이동한다. 이 고광도영역(23)의 위치도 코너의 노견이나 이 노견 앞의 노면에 대응한다.
도6(a), 도6(b)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주행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조등이 좌측으로 기운 상태, (b)는 전조등이 우측으로 기운 상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좌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자동2륜차의 차체를 좌측으로 기울게 한다. 이에 따라 전조등(10)(도1 참조)도 기운다. 이 때 스크린배광(25A)의 고광도영역(27)은 H선보다 아래로 이동한다. 이 고광도영역(27)의 위치는 후술하는 코너의 노견이나 이 노견 앞의 노면에 대응한다.
(b)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우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a)와는 반대로 전조등(10)이 우측으로 기울고, 고광도영역(28)은 H선보다 아래로 이동한다. 이 고광도영역(28)의 위치도 코너의 노견이나 이 노견 앞의 노면에 대응한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를 탑재한 자동2륜차의 코너링중의 평면도로서, 전조등을 로우 빔으로 했을 때의 배광을 나타내며, 도5(a)의 스크린배광(20A)에 대응한다.
자동2륜차(1)는 좌측으로 기울고, 영역(22a)을 비춘다. 고광도영역(22)에 대응하는 것의 영역(22a)은 코너의 노견(32)이나 이 노견(32) 앞의 노면(33) 등 운전자(2)가 코너링시에 시선을 던지는 지점에 있다. 이와 같이, 영역(22a)을 비추어 밝게 함으로써, 쾌적하게 코너링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를 탑재한 자동2륜차의 코너링중의 평면도로서, 전조등을 주행 빔으로 했을 때의 배광을 나타내며, 도6(a)의 스크린배광(25A)에 대응한다.
자동2륜차(1)는 좌측으로 기울고, 영역(27a)을 비춘다. 고광도영역(27)에 대응하는 것의 영역(27a)은 코너의 노견(32)이나 이 노견(32) 앞의 노면(33) 등 운전자(2)가 코너링시에 시선을 던지는 지점에 있다. 이와 같이, 영역(27a)을 비추어 밝게함으로써 쾌적하게 코너링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고광도영역의 위치·광도의 결정방법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자동2륜차(1)가 코너를 차속(v)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이 때, 자동2륜차(1)의 전조등(10)은 반경(R1)의 궤적을 그린다. 또, 노견의 반경을 R2라 하고, 전조등(10)을 지나는 직선이 노견(32)의 점과 접한다고 하면 반경(R1, R2)에서 전조등(10)으로부터 노견(32)까지의 도면의 상하방향거리(B) 및 도면의 좌우방향 거리(C)를 구할 수 있으며, 또 차량중심면상이나 전조등(10)으로부터 전방에 스평으로 뻗은 직선(D)과 전조등(10), 점(32a) 사이를 연결하는 접선(F)이 이루는 각θ을 구할 수 있다. 또, 접선(F)의 길이(Ll)를 구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자동2륜차의 코너링시의 차속과 뱅크 각의 관계를 나타낸다. 횡축은 차속, 종축은 뱅크 각을 나타내며, 상술한 전조등의 궤적의 반경(Rl)으로서 R1=20m, 50m에 대해 나타낸다.
먼저, 이 그래프에 있어서, 차속(v) 및 반경(Rl)으로부터 뱅크각(α)을 구한다.
도11(a), 도11(b)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자동2륜차의 정면도로서, (a)는 직진시, (b)는 코너링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지면(E)으로부터 전조등(10)까지의 높이를 (h1)이라 한다.
(b)에 있어서, 코너링시의 뱅크 각(α)과 (a)의 높이(hl)로부터 코너링시의 지면(E)에서 전조등(10)까지의 높이(h2)를 구한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측을 지면으로 했다.
여기서는 도9에서 구한 길이(Ll) 및 도11에서 구한 높이(h2)로부터 전조등(10)에서 노견(32)까지의 실거리(L2) 및 전조등(10)을 지나는 수평선(도면에서는 상하방향의 선)(G)과 전조등(10), 노견(32) 사이를 연결하는 선분(J)이 이루는 각(β)을 구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배광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시인 거리와 필요한 노면조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횡축은 상술한 실거리인 시인 거리(L2), 종축은 노면 조도(K)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 의해 도12에서 구한 시인 거리(L2)로부터 필요한 노면조도(K)를 구할 수 있다.
이상의 수평방향의 각도(θ), 수직방향의 각도(β) 및 노면 조도(K)로부터 고광도영역의 위치·광도를 구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조등(40)은 전구(41)와 리플렉터(42)와, 이 리플렉터(42)에 일체로 된 하우징(43)과, 렌즈(44)로 이루어지며, 렌즈(44)에 형성한 다수의 프리즘에 의해 배광을 행하고, 상기 프리즘중 적어도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고광도영역을 위한 프리즘의 형성은 종래의 기술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고광도영역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3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조등(50)은 전구(51)와, 리플렉터(52)와, 이 리플렉터(52)에 일체로 된 하우징(53)과, 렌즈(54)로 이루어지며, 리플렉터(52)에 다수의 반사면을 형성한 멀티 리플렉터형 또는 리플렉터(52)의 반사면을 자유곡면으로 한 자유곡면 리플렉터형이며, 리플렉터(52)의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고광도영역을 위한 리플렉터(52) 반사면의 형성은 종래의 기술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고광도영역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전조등(60)은 전구(61)(61)와, 리플렉터(62)(62)와, 하우징(63)과, 렌즈(64)로 이루어진다.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의 리플렉터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리플렉터(62)는 리플렉터 본체(62a)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부(62b)로 이루어진다.
가동부(62b)는 후방에 리플렉터 구동장치(65)를 구비하며, 이 리플렉터 구동장치(65)에서 가동부(62b)를 자동2륜차(1)의 직진시의 제1위치에서 자동2륜차(1) 코너링시의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서, 제2위치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한다.
도18(a), 도18(b)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인 직진시의 스크린 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로우 빔, (b)는 주행 빔을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전조등(60)의 스크린배광(70)은 H선보다 아래에서 주광축을 포함하는 주배광영역(71)을 구비한다.
(b)에 있어서, 전조등(40)의 스크린배광(75)은 H선상으로부터 0.5D의 위치에 장축을 가지며, 또 V선상에 단축을 가진 대체로 타원형상의 주배광영역(76)을 구비한다.
이상에 설명한 전조등(60)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1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4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로우 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조등이 좌측으로 기운 상태, (b)는 전조등이 우측으로 기운 상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좌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자동2륜차의 차체를 좌측으로 기울게 한다. 이에 따라 전조등(60)도 기운다. 이 때, 스크린배광(80)의 주배광영역(81)은 도18(a)에 도시한 주배광영역(71)을 기울게 하고, 또 이 주배광영역(71)의 H선보다 위의 범위(A3)를 리플렉터(62)(도17 참조)의 가동부(62b)를 이동시킴으로써 삭제한 것이다.
가동부(62b)가 이동한 후 범위(A3)의 광은 고광도영역(82)을 형성한다.
이 고광도영역(82)은 도9∼도13에서 설명한 배광의 결정방법에 의해 구한다. 즉, 상술한 차속(v)이나 반경(Rl) 등으로부터 H선에서 하측에 각도β, V선에서 좌측에 각도θ 기운 점(βU-θL)을 다수 구하고, 이들 점의 집합을 고광도영역(82)으로 하고 있다.
(b)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우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a)와는 반대로 전조등(60)이 우측으로 기울고, 스크린배광(85)의 주배광영역(86)은 H선보다 위의 범위(A4)를 도19(a)에서 설명한 리플렉터(62)의 다른쪽 리플렉터(62)의 가동부(62b)를 이동시킴으로써 삭제한 것이다.
가동부(62b)가 이동한 후 범위(A4)의 광은 고광도영역(87)을 형성한다.
이 고광도영역(87)은 도9∼도13에서 설명한 배광의 결정방법에 의해 똑같이 구한다. 즉, H선보다 하측에 각도β, V선보다 우측에 각도θ 기운 점(βU-θR)의 집합을 고광도영역(87)으로 하고 있다.
도20(a), 도20(b)는 본 발명에 관한 전조등의 제1실시형태인 코너링시의 주행빔에 있어서의 스크린배광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조등이 좌측으로 기운 상태, (b)는 전조등이 우측으로 기운 상태를 나타낸다.
(a)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좌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자동2륜차의 차쳬를 좌측으로 기울게 한다. 이에 따라 전조등(60)도 기운다. 이 때, 스크린배광(90)의 주배광영역(91)은 도18(b)에 도시한 주배광영역(76)을 기울게 하고, 또 이 주배광영역(76)의 H선보다 위의 범위(A5)를 리플렉터(62)의 가동부(62b)를 이동시킴으로써 삭제한 것이다.
가동부(62b)가 이동한 후 범위(A5)의 광은 고광도영역(92)을 형성한다.
(b)에 있어서, 자동2륜차가 우측 코너를 코너링중에는 (a)와는 반대로 전조등(60)이 우측으로 기울고, 스크린배광(95)의 주배광영역(96)은 H선보다 위의 범위(A6)를 도19(b)에서 설명한 리플렉터(62)의 다른쪽 리플렉터(62)의 가동부(62b)를 이동시킴으로써 삭제한 것이다.
가동부(62b)가 이동한 후 범위(A6)의 광은 고광도영역(97)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차량 코너링시에 배광이 불필요해진 장소나 너무 밝은 장소에의 광을 이용하여 고광도영역(82, 87, 92,97)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광도영역의 형상·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속(v), 반경(R1), 노면의 마찰계수 등 설정범위에 의해 다르다.
또, 전조등(10, 40, 50, 60)은 형식이 동일하면 상세한 구조는 문제삼지 않는다.
또, 전조등(60) 가동부(62b)의 이동방법은 전후방향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을 가하거나,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흔들리게 해도 되는데, 요는 코너링시에 코너의 노견 혹은 이 근방을 비출 수 있게 가동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1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스크린배광을 주광축을 포함하는 주배광영역과, 이 주배광영역 상측의 주배광영역보다 어두운 저광도영역과, 이 저광도영역 상측의 저광도영역보다 밝은 고광도영역으로 구성했으므로, 자동2륜차가 코너링할 때 코너를 밝게 비출 수 있어서 코너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2륜차가 직진할 때 대향차에 대해 눈부시지 않게 할 수 있다.
청구항2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고광도영역에 4U보다 상측에 광도가 적어도 200cd가 되는 부분을 구비하므로, 코너링시에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3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고광도영역을 10R의 외측 및 10L의 외측으로 했으므로, 신호대기 등으로 앞에 정차해 있는 자동차나 자동2륜차의 백미러에 고광도영역의 광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4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고광도영역의 광도를 1000cd를 초과하지 않게 했으므로, 고광도영역의 광이 대향차를 현혹하기 힘들다.
청구항5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전조등을 렌즈에 형성한 다수의 프리즘에 의해 배광을 행하게 하여, 프리즘중 적어도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므로, 고광도영역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6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전조등을 프로젝터형으로 하고,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전조등에 수납한 차광부에 비차광부분을 배치함으로써 고광도 영역을 형성하므로, 고광도영역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또 차광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7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전조등을 리플렉터에 다수의 반사면을 형성한 멀티 리플렉터형 또는 리플렉터의 반사면을 자유곡면으로 한 자유곡면 리플렉터형으로 하고, 리플렉터의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므로, 고광도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8의 자동2륜차의 전조등은 전조등의 리플렉터 일부를 분할하고, 이 분할부분을 차량 직진시의 제1위치로부터 차량 코너링시의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2위치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므로, 차량 코너링시에 배광이 불필요 해진 장소나 너무 밝은 장소에의 광을 이용해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차체직립시에 전조등의 주광축을 스크링배광에서 H선보다 아래로 조준시키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배광이 주광축을 포함하는 주배광영역과, 이 주배광영역 상측의 주배광영역보다 어두운 저광도영역과, 이 저광도영역 상측의 저광도영역보다 밝은 고광도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광도영역은 4U보다 상측에 광도가 적어도 200cd가 되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광도영역은 10R의 외측 및 10L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광도영역의 광도는 1000cd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렌즈에 형성한 다수의 프리즘에 의해 배광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프림즘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프로젝터형이며,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전조등에 수납한 차광부에 비차광부분을 배치함으로써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7.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리플렉터에 다수의 반사면을 형성한 멀티 리플렉터형 또는 리플렉터의 반사면을 자유곡면으로 한 자유곡면 리플렉터형이며, 상기 리플렉터의 일부에서 고광도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리플렉터의 일부를 분할하고, 이 분할부분을 차량 직진시의 제1위치에서 차량 코너링시의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2위치에서 상기 고 광도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전조등.
KR1019970059467A 1996-11-18 1997-11-12 자동2륜차의전조등 KR100293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6887 1996-11-18
JP30688796A JP3825108B2 (ja) 1996-11-18 1996-11-18 自動二輪車の前照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28A KR19980042328A (ko) 1998-08-17
KR100293499B1 true KR100293499B1 (ko) 2001-09-17

Family

ID=1796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467A KR100293499B1 (ko) 1996-11-18 1997-11-12 자동2륜차의전조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975732A (ko)
EP (1) EP0842817B1 (ko)
JP (1) JP3825108B2 (ko)
KR (1) KR100293499B1 (ko)
CN (1) CN1098436C (ko)
DE (1) DE69715564T2 (ko)
ES (1) ES2186833T3 (ko)
TW (1) TW338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108B2 (ja) * 1996-11-18 2006-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照灯
JP4333887B2 (ja) * 1999-03-31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装置
US7445364B2 (en) * 2001-01-19 2008-11-04 Stephan Gropp Headlight unit for single-track two-wheeled vehicles
US20050099818A1 (en) * 2001-01-19 2005-05-12 Stephan Gropp Headlight unit for single-track two-wheeled vehicles
FR2844759B1 (fr) * 2002-09-20 2007-04-06 Ecole Nationale D Ingenieurs D Phare gyrostable pour moto
US7036969B2 (en) * 2003-12-04 2006-05-02 Guide Corporation Adverse weather headlamp system
JP4806550B2 (ja) * 2004-10-07 2011-11-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照明灯の照射領域制御方法および自動二輪車用照明灯
DE102007044963B4 (de) * 2007-07-26 2013-03-28 Erco Gmbh Leuchte
EP2157362A1 (de) * 2008-08-11 2010-02-24 Hella KG Hueck & Co. Projektionsscheinwerferanordnung für Fahrzeuge
DE102009041698B4 (de) * 2009-09-16 2015-04-02 Audi Ag Verfahren zur prädiktiven Ansteuerung eines adaptiven Kurvenlichts und Kraftfahrzeug
JP5510805B2 (ja) * 2010-03-01 2014-06-0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5691514B2 (ja) * 2010-12-28 2015-04-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5713178B2 (ja) * 2010-12-28 2015-05-0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CN102537810B (zh) * 2010-12-28 2016-03-02 斯坦雷电气株式会社 机动两轮车用投影型前照灯
JP5692521B2 (ja) * 2011-03-29 2015-04-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照灯
JP5810694B2 (ja) * 2011-07-11 2015-11-1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869807B2 (ja) * 2011-09-01 2016-02-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5755085B2 (ja) * 2011-09-01 2015-07-2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5755084B2 (ja) * 2011-09-01 2015-07-2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5848922B2 (ja) * 2011-09-05 2016-01-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DE102012109423A1 (de) * 2012-10-04 2014-06-12 Hella Kgaa Hueck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Schwenkwinkels eines Scheinwerfers bei einer Kurvenfahrt
WO2014057681A1 (ja) * 2012-10-11 2014-04-1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装置
DE102013211878A1 (de) * 2013-06-24 2014-12-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einwerfer für ein Motorrad
US10023103B2 (en) 2013-09-13 2018-07-17 J.W. Speake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on control and distribution during a vehicle bank
JP6710048B2 (ja) * 2015-12-28 2020-06-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
JP6664468B2 (ja) * 2016-03-30 2020-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前照灯装置
CN109131047A (zh) * 2018-08-15 2019-01-04 常熟理工学院 一种汽车智能前照明灯
KR102305740B1 (ko) 2021-04-20 2021-09-3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잔류 슬러지케이크 제거 기능을 갖는 여과판 이송 장치
KR102344244B1 (ko) 2021-04-20 2021-12-2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WO2024013766A1 (en) 2022-07-09 2024-01-18 Tvs Motor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to actuate a cornering lamp, headlamp assembly with a cornering lamp, two wheeler vehicle with the headlmap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85Y2 (ja) 1979-09-18 1984-04-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輛用前照灯
JPS5913685A (ja) 1982-07-14 1984-01-24 神東塗料株式会社 不燃性弾性仕上げ材
JPH0320961Y2 (ko) * 1986-12-23 1991-05-08
DE3718642C1 (de) * 1987-06-04 1988-10-20 Friemann & Wolf Gmbh Abgeblendeter Fahrzeugscheinwerfer fuer Grubenfahrzeuge
JPS63312280A (ja) 1987-06-12 1988-12-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二輪車用ヘッドランプ
JPH07110595B2 (ja) * 1987-10-13 1995-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のヘッドライト装置
DE4102586C2 (de) * 1990-01-31 2000-07-06 Honda Motor Co Ltd Scheinwerfer
JP2604646B2 (ja) * 1991-01-28 1997-04-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の反射鏡
JP3493611B2 (ja) * 1993-12-29 2004-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の前照灯
JP3825108B2 (ja) * 1996-11-18 2006-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38092B (en) 1998-08-11
ES2186833T3 (es) 2003-05-16
JP3825108B2 (ja) 2006-09-20
JPH10149702A (ja) 1998-06-02
EP0842817A3 (en) 1999-03-31
DE69715564D1 (de) 2002-10-24
CN1182853A (zh) 1998-05-27
EP0842817B1 (en) 2002-09-18
US6309093B1 (en) 2001-10-30
EP0842817A2 (en) 1998-05-20
US5975732A (en) 1999-11-02
DE69715564T2 (de) 2003-01-16
KR19980042328A (ko) 1998-08-17
CN1098436C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499B1 (ko) 자동2륜차의전조등
US5307247A (en) Headlamp for motor vehicles
US6796696B2 (en) Vehicle light with movable reflector portion and shutter portion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illuminated area of light incident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hicle light during driving
EP2116421B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JP5074888B2 (ja)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US7008093B2 (en) Headlamp for vehicle
US6773147B2 (en) Twin beam type headlight device for motorcycle
US6644828B2 (en) Vehicular headlamp
US6102557A (en) Headlamp with auxiliary reflector
US6409369B1 (en) Dual function headlight for a motor vehicle with a single light source and fixed optics
KR100386219B1 (ko) 전조등
CN114321828A (zh) 车辆用灯具
JPH11144501A (ja) 車輌用前照灯
JPH0313682B2 (ko)
KR20000034941A (ko) 전조등
CA2510369A1 (en) Self-aim vehicle light device
US11781719B2 (en) Vehicle lamp
JP2007214074A (ja) 車両前照灯
JPH101346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966017B2 (ja) 車両用灯具
EP0864803B1 (en) Headlights for motor vehicles
JPS5952483B2 (ja) 自動車用前照灯
CN1108369A (zh) 车辆眩光减弱法及二维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