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244B1 -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244B1
KR102344244B1 KR1020210050874A KR20210050874A KR102344244B1 KR 102344244 B1 KR102344244 B1 KR 102344244B1 KR 1020210050874 A KR1020210050874 A KR 1020210050874A KR 20210050874 A KR20210050874 A KR 20210050874A KR 102344244 B1 KR102344244 B1 KR 10234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filter
rotating piece
plat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필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5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4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e.g. rotating, the filter elements
    • B01D25/343Particular measures for replacing or isolating one or mor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the filter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27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with one or more movable filter bands arranged to be clamped between the press plates or between a plate and a frame during filtration, e.g. zigzag endless filter b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측면에 날개를 구비한 여과판들 및 상기 여과판들의 전후면에 고정된 여과포들을 포함하는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에 마련되어, 폐판된 여과판들을 후방으로 견인하면서 개판하기 위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그리고 상기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는, 상기 여과판들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 프레스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마련된 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함몰 상태와 돌출 상태를 오가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후방으로부터 차례대로 나열된 제1회전편, 제2회전편 및 제3회전편을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편은 돌출 상태로 전진하다가 폐판된 여과판들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회전편은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한 후 상기 본체가 후진할 때 돌출 상태로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에 걸려 상기 제1여과판을 견인한다. 상기 제3회전편은 상기 제1여과판이 상기 제2회전편의 견인에 의해 상기 제1여과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여과판과 떨어졌을 때 돌출 상태로 상기 제2여과판의 날개에 걸려 상기 제2여과판을 견인한다.

Description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FILTER PLATES TRANSFER DEVICE FOR FILTER PRESS}
본 발명은 필터 프레스의 여과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포가 여과판에 고정되어 있는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에서 복수의 여과판을 한꺼번에 개판하기 위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농축, 탈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들 중 하나인 탈수기는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작동 원리에 따라 벨트 프레스, 필터 프레스, 스크류 프레스, 원심 탈수기, 전기침투 탈수기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필터 프레스는 서로 밀착한 여과판들 사이에 마련된 여실로 슬러지를 압입하여 상기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분리한 후, 슬러지케이크(여액과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여실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이다. 필터 프레스에서는,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이 여실을 감싸는 여과포를 통과한 후 여과판의 표면 돌기들 사이를 경유하여 여과판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슬러지케이크는 여과판들의 이격에 의해 개방된 여실로부터 자유낙하함으로써 여실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필터 프레스에는 여과포 이동식 필터 프레스와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가 있다.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에서는 여과포가 여과판들에 고정되어 있고, 여과판의 좌우측에서 여과판의 나열방향을 따라 전후진을 하면서 여과판들을 이격시키기 위한 여과판 이송 장치가 마련된다.
여과판 이송 장치는 일반적으로 여과판의 나열 방향을 따라 이격한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을 포함한다. 여과판 이송 장치가 전진(여과판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 제1회전편은 개판할 여과판의 손잡이에 눌려 함몰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하고, 제2회전편은 상기 개판할 여과판의 손잡이에 걸리게 된다. 여과판 이송 장치가 후진(여과판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 제1회전편은 개판할 여과판의 손잡이를 끌고 이동하고, 제2회전편은 이미 개판된 여과판들의 손잡이에 눌려 함몰한다. 이미 개판된 여과판들의 손잡이에 눌려 있던 제2회전편은 여과판 이송 장치의 전진 시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2695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67434호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42328호는 위와 같은 여과판 이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위 등록특허공보들 및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여과판 이송 장치는 한 번에 한 장의 여과판만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반면, 등록특허공보 제10-1446752호의 여과판 이송장치는 한 번에 여러 장의 여과판을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여과판들은 체인으로 연결되고, 여과판들은 손잡이의 하부에 통과홈을 갖는 것들과 갖지 않는 것들로 구성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26958호(캐리어유니트와 이를 구비한 필터프레스) 한국등록특허 제10-1267434호(필터프레스의 여과판 이송용 캐리어유니트) 한국공개실용신안 실1998-042328호(필터프레스의 여과판 이송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446752호(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
위 등록특허공보 제10-1446752호의 여과판 이송 장치는 한 번에 여러 장의 여과판을 이송할 수 있어 개판 효율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이를 위해 채택한 체인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을 수반한다. 즉, 여과판들이 서로 밀착하는 과정에서 체인들이 여과판들 사이에 끼거나 손잡이들 사이에 끼일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여과판들이 가압되면 여과판 또는 손잡이 또는 체인이 파손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되는 체인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한 번에 여러 장의 여과판을 이송할 수 있는 여과판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좌우측면에 날개를 구비한 여과판들 및 상기 여과판들의 전후면에 고정된 여과포들을 포함하는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에 마련되어, 폐판된 여과판들을 후방으로 견인하면서 개판하기 위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그리고 상기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는, 상기 여과판들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 프레스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마련된 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함몰 상태와 돌출 상태를 오가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후방으로부터 차례대로 나열된 제1회전편, 제2회전편 및 제3회전편을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편은 돌출 상태로 전진하다가 폐판된 여과판들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회전편은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한 후 상기 본체가 후진할 때 돌출 상태로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에 걸려 상기 제1여과판을 견인한다. 상기 제3회전편은 상기 제1여과판이 상기 제2회전편의 견인에 의해 상기 제1여과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여과판과 떨어졌을 때 돌출 상태로 상기 제2여과판의 날개에 걸려 상기 제2여과판을 견인한다.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3회전편은 상기 제2여과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여과판의 날개에 눌려 함몰 상태에 놓인다.
상기 본체에는 개판된 상기 제1여과판 및 제2여과판의 날개를 들었다 놓아주는 방식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여과판 및 제2여과판의 여과포로부터 슬러지를 털어내는 제1여과판승강수단 및 제2여과판승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여과판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1공압실린더 및 상기 제1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1완충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여과판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2공압실린더 및 상기 제2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편과 제3회전편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승강하는 상기 제1여과판 및 제2여과판의 날개를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가 마련된다.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 전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 쪽으로 연장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제1지지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 전후에서 상기 제2여과판의 날개 쪽으로 연장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전후 이동 시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날개들에는 상기 여과판 쪽으로 후퇴한 후퇴면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판들을 연결하는 체인 없이도 한 번에 두 장의 여과판들이 서로 이격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장의 여과판을 개판하는 과정에서 그 두 장의 여과판의 여과포들로부터 잔류 슬러지케이크를 털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여과포들로부터 잔류 슬러지케이크를 털어낼 때 발생하는 두 장의 여과판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가 필터 프레스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를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100)는 필터 프레스(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와, 복수의 회전편(131, 132, 133)을 포함한다.
필터 프레스(10)는 서로 밀착한 여과판들(110) 사이에 마련된 여실(미도시)로 슬러지를 압입하여 상기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분리한 후, 슬러지케이크를 상기 여실(미도시)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여과판들(110)의 후방에는 가압판(15)이 위치하고, 상기 가압판(15)은 유압 실린더(16)의 로드(17)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6)는 필터 프레스(10)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미도시)의 뒷판(18)에 고정되어 있다.
여과판들(110)이 서로 떨어진 상태, 즉 개판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6)가 작동하면 가압판(15)은 로드(17)에 의해 밀리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여과판들(110)은 가압판(15)에 의해 밀리면서 전진하다가, 도 1과 같이 서로 밀착한 상태인 폐판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여과판들(110) 사이의 여실로 슬러지가 압입되고, 이때 여액은 여과판들(110)의 전후면에 고정된 여과포(미도시)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고액 분리 과정이 완료되면 여실에 남은 슬러지케이크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판들(110)을 개판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개판 작업에서는 우선 유압 실린더(16)가 작동하여 가압판(15)이 로드(17)에 이끌려 후진하다가 뒷판(18)과 맞닿게 된다. 이후, 여과판들(110)의 좌우측에 마련된 여과판 이송 장치(100)가 여과판들(110)을 한 번에 두 장씩 후방으로 견인하면서 개판하게 된다.
여과판들(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날개(1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날개(112)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미도시)의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미도시)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프레임(미도시)의 앞판(미도시)및 뒷판(18)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여과판들(110)의 좌우측에 마련된 여과판 이송 장치(100)는 각각 여과판들(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된 날개(112)를 이용하여 여과판들(110)을 이송할 수 있다.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100)의 상기 본체(120)는 레일(19)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일(19)은 여과판들(110)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미도시)에 마련된다. 본체(110)는 소정의 구동 수단에 의해 레일(19)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한다.
상기 복수의 회전편(131, 132, 13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본체(120)에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회전운동을 통해 함몰 상태와 돌출 상태를 오간다. 상기 함몰 상태에서 회전편들(130)은 본체(120)의 안쪽으로 함몰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는 본체(120)의 상측으로 돌출한다.
회전편들(131, 132, 133)은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들(미도시)의 일단과도 각각 결합하고 있고, 각 스프링(미도시)은 각 회전편(131, 132, 133)을 돌출 상태로 회전시키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회전편들(131, 132, 133)은 외력을 받지 않는 한 항상 돌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복수의 회전편(131, 132, 133)은 제1회전편(131), 제2회전편(132), 및 제3회전편(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편(131)은 회전편들(131, 132, 133)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회전편(131)은 돌출 상태로 후진할 때는 날개(112)에 눌려 함몰 상태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전편(131)은 이미 개판되어 밀착한 여과판들(110)의 날개들(112) 아래에서는 함몰 상태로 전후진을 하고, 개판된 여과판들(110)의 날개들(112) 아래를 벗어나면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 상태로 되어 전후진을 하게 된다.
또한, 제1회전편(131)은 돌출 상태로 전진할 때는 날개(112)와 접촉하더라도 돌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함몰 상태로 되지는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전편(131)은 폐판된 여과판들(110)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할 때는 함몰 상태로 되지 않고 돌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돌출 상태로 전진하는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하면, 곧바로 본체(120)가 후진하게 된다.
상기 제2회전편(132)은 제1회전편(131)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회전편(132)은 돌출 상태로 전진할 때는 날개(112)에 눌려 함몰 상태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회전편(132)은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아래를 통과할 때는 그 날개(112a)에 눌려 함몰 상태가 되고, 이 날개(112a)를 통과한 후에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제2회전편(132)의 전진은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할 때까지만 이루어지고, 전진을 멈춘 제2회전편(132)은 제1여과판(110a)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a)에 의해 약간 눌린 상태(완전한 함몰 상태가 아님)가 된다.
또한, 제2회전편(132)은 돌출 상태로 후진할 때는 날개(112)와 접촉하더라도 돌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함몰 상태로 되지는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회전편(132)은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에 접촉한 후 본체(120)가 후진할 때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에 걸려 제1여과판(110a)을 후방으로 견인한다.
상기 제3회전편(133)은 제2회전편(132)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서, 제2회전편(132)과 동일한 방식으로 함몰 위치와 돌출 위치를 오간다. 따라서 제3회전편(133)은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아래 및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 아래를 함몰 상태로 통과하고, 이 날개들(112a, 112b)을 벗어나면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 상태로 된다.
제3회전편(133)의 전진은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할 때가지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진을 멈춘 제3회전편(133)은 제2여과판(110b)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여과판(110c)의 날개(112c)에 눌려 함몰 상태가 되는데, 이로 인해 제1여과판(110a)이 제2회전편(132)의 견인에 의해 제2여과판(110b)과 떨어졌을 때 제3회전편(133)이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에 걸려 제2여과판(110b)을 견인하기 시작한다.
위 회전편들(131, 132, 133)의 작동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모든 회전편(131, 132, 133)이 돌출된 상태로 본체(120)가 전진하다 보면, 제일 먼저 제3회전편(133)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하게 되는데, 그 이후에도 본체(120)는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할 때까지 계속 전진한다. 그리고 제3회전편(133)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한 시점부터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한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 제3회전편(133)은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하부 및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 하부를 차례대로 통과한 후 제3여과판(110c)의 날개(112c)에 눌려 함몰 상태로 되고, 제2회전편(132)은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하부를 통과한 후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에 의해 약간 눌린 상태로 된다.
제1회전편(131)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와 접촉하면 본체(120)가 후진을 시작하는데, 그러면 도 4의 (a)와 같이 제2회전편(132)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에 걸려 제1여과판(110a)을 후방으로 견인하고, 제3회전편(133)은 도 4의 (b)와 같이 제1여과판(110a)이 제2여과판(110b)으로부터 이격하였을 때부터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에 걸려 제2여과판(110b)을 견인한다. 이때부터는 도 4의 (c)와 같이 제1여과판(110a) 및 제2여과판(110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동시에 견인된다. 따라서 제1여과판(110a)과 제2여과판(110b) 사이의 여실 및 제2여과판(110b)과 제3여과판(110c) 사이의 여실로부터 슬러지케이크가 낙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100)는 여과판들(110)을 연결하는 체인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한 번에 두 장의 여과판(110)을 이송할 수 있는바, 체인을 구비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초래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100)는 제1여과판승강수단(140a)과, 제2여과판승강수단(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판승강수단(140a)은 제1공압실린더(141a) 및 제1완충부재(142a)를 포함한다. 제1공압실린더(141a)는 본체(120)에 설치되어 있고, 제1회전편(131)과 제2회전편(132) 사이에 위치한다. 제1완충부재(142a)는 제1공압실린더(141a)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제1공압실린더(141a)의 작동 시 제1회전편(131)과 제2회전편(132) 사이에서 승강한다.
상기 제2여과판승강수단(140b)은 제2공압실린더(141b) 및 제2완충부재(142b)를 포함한다. 제2공압실린더(141b)는 본체(120)에 설치되어 있고, 제2회전편(132)과 제3회전편(133) 사이에 위치한다. 제2완충부재(142b)는 제2공압실린더(141b)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제2공압실린더(141b)의 작동 시 제2회전편(132)과 제3회전편(133) 사이에서 승강한다.
제2여과판(110b)이 제3여과판(110c)으로터 분리된 이후의 소정 시점에 본체(120)는 후진을 잠시 멈추는데, 이때 위 공압실린더들(141a, 141b)이 동시에 작동하여 위 완충부재들(142a, 142b)이 승강을 여러 회 반복한다. 그리고 완충부재들(142a, 142b)의 매 승강 시마다,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및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a)는 도 4의 (c)와 같이 상승하는 완충부재들(142a, 142b)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완충부재들(142a, 142b)이 하강할 때 자유낙하를 하고, 이로 인해 제1여과판(110a) 및 제2여과판(110b) 역시 반복적으로 들어올려졌다고 자유낙하를 하게 되어 제1여과판(110a)의 여과포 및 제2여과판(110b)의 여과포에 잔류하는 슬러지케이크가 털려 떨어지게 된다.
위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100)는 제1가이더(150a)와, 제2가이더(150b)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150a)는 본체(120)에 고정된 제1지지대(151a)와 상기 제1지지대(151a)의 상단 전후에서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돌출부(152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더(150b)는 제1지지대(151a)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120)에 고정된 제2지지대(151b)와 상기 제2지지대(151b)의 상단 전후에서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 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돌출부(152b)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여과판(110a)의 날개(112a) 및 제2여과판(110b)의 날개(112b)는 제1여과판승강수단(140a) 및 제2여과판승강수단(140b)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놓이는 방식으로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날개들(112a, 112b)의 일 부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들(152a) 및 제2돌출부들(152b) 아래에 있다가 상승 시 제1돌출부들(152a) 사이 및 제2돌출부들(152b)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제1가이더(150a) 및 제2가이더(150b)가 마련되면 제1여과판(110a) 및 제2여과판(110b)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가이더들(150a, 150b)의 돌출부들(152a, 152b)은 본체(120)의 전진 시 여과판들(110)의 날개(112)에 걸리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모든 여과판들(110)의 날개(112)에는 여과판(110) 쪽으로 후퇴한 후퇴면(113)이 마련된다. 돌출부들(152a, 152b)을 날개들(112)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시켜도 돌출부들(152a, 152b)이 날개들(112)에 걸리지 않게 되나, 이 경우에는 날개들(112)의 위치가 너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바, 날개들(112)에 후퇴면(113)을 두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110, 110a, 110b, 110c : 여과판
112, 112a, 112b, 112c : 날개 113 : 후퇴면
120 : 본체 131 : 제1회전편
132 : 제2회전편 133 : 제3회전편
140a, 140b : 여과판승강수단 141a, 141b : 공압실린더
142a, 142b : 완충 부재 150a, 150b : 가이더
151a, 151b : 지지대 152a, 152b : 돌출부
10 : 필터 프레스 19 : 레일

Claims (7)

  1. 좌우측면에 날개를 구비한 여과판들 및 상기 여과판들의 전후면에 고정된 여과포들을 포함하는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에 마련되어, 폐판된 여과판들을 후방으로 견인하면서 개판하기 위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로서,
    상기 여과판들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 프레스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마련된 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함몰 상태와 돌출 상태를 오가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후방으로부터 차례대로 나열된 제1회전편, 제2회전편 및 제3회전편을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편은 돌출 상태로 전진하다가 폐판된 여과판들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회전편은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한 후 상기 본체가 후진할 때 돌출 상태로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에 걸려 상기 제1여과판을 견인하고,
    상기 제3회전편은 상기 제1여과판이 상기 제2회전편의 견인에 의해 상기 제1여과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여과판과 떨어졌을 때 돌출 상태로 상기 제2여과판의 날개에 걸려 상기 제2여과판을 견인하고,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3회전편은 상기 제2여과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여과판의 날개에 눌려 함몰 상태에 놓이는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개판된 상기 제1여과판 및 제2여과판의 날개를 들었다 놓아주는 방식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여과판 및 제2여과판의 여과포로부터 슬러지케이크를 털어내는 제1여과판승강수단 및 제2여과판승강수단이 구비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판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1공압실린더 및 상기 제1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1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판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2공압실린더 및 상기 제2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편과 제3회전편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승강하는 상기 제1여과판 및 제2여과판의 날개를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가 마련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 전후에서 상기 제1여과판의 날개 쪽으로 연장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제1지지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 전후에서 상기 제2여과판의 날개 쪽으로 연장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 이동 시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날개들에는 상기 여과판 쪽으로 후퇴한 후퇴면이 마련된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KR1020210050874A 2021-04-20 2021-04-20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KR10234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74A KR102344244B1 (ko) 2021-04-20 2021-04-20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74A KR102344244B1 (ko) 2021-04-20 2021-04-20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244B1 true KR102344244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874A KR102344244B1 (ko) 2021-04-20 2021-04-20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2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2391A1 (de) * 1991-05-08 1992-11-11 Erich Netzsch GmbH & Co. Holding KG Verschiebevorrichtung für Filterplatten an einer Filterpresse
KR19980042328A (ko) 1996-11-18 1998-08-17 가와모토 노부히코 자동2륜차의 전조등
KR20050007034A (ko) * 2003-07-11 2005-01-17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프레스용 여과판 전개장치
KR100926958B1 (ko) 2007-11-26 2009-11-17 주식회사 정도기연 캐리어유니트와 이를 구비한 필터프레스
KR101267434B1 (ko) 2011-08-12 2013-05-30 주식회사 정도기연 필터프레스의 여과판 이송용 캐리어유니트
KR101446752B1 (ko) 2014-04-23 2014-10-0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2391A1 (de) * 1991-05-08 1992-11-11 Erich Netzsch GmbH & Co. Holding KG Verschiebevorrichtung für Filterplatten an einer Filterpresse
KR19980042328A (ko) 1996-11-18 1998-08-17 가와모토 노부히코 자동2륜차의 전조등
KR20050007034A (ko) * 2003-07-11 2005-01-17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프레스용 여과판 전개장치
KR100926958B1 (ko) 2007-11-26 2009-11-17 주식회사 정도기연 캐리어유니트와 이를 구비한 필터프레스
KR101267434B1 (ko) 2011-08-12 2013-05-30 주식회사 정도기연 필터프레스의 여과판 이송용 캐리어유니트
KR101446752B1 (ko) 2014-04-23 2014-10-0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3994B1 (fr) Appareil compact de traitement des boues par egouttage et pressage
KR101745661B1 (ko) 필터 프레스
KR101446752B1 (ko) 여과포 고정식 필터 프레스
KR102344244B1 (ko) 복수 여과판 이송 장치
KR20170047038A (ko) 케이크 탈리 구조를 갖는 필터프레스
KR102305740B1 (ko) 잔류 슬러지케이크 제거 기능을 갖는 여과판 이송 장치
EP0117159B1 (fr) Filtre presse comprenant des moyens d'extraction des boues
US410128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s from juice-laden solid materials
KR10068705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US3018510A (en) Shrimp peeling machine
US3333702A (en) Filter press
US3251091A (en) Recovery of crab meat
KR101545547B1 (ko) 여과포 이동식 필터 프레스
US4550905A (en) Hide transfer apparatus
KR20220032141A (ko)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CN114105436A (zh) 具有滤布左右翻折功能的压滤机
JP2011230929A (ja) 材料の取扱いおよび処理
KR101894884B1 (ko) 여과판과 분리된 현수축을 갖는 여과포 이동식 필터 프레스
CN117843069B (zh) 一种工业废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JP2009119737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処理装置
CN217449127U (zh) 一种化工染料过滤设备
CN212687877U (zh) 具有滤布左右翻折功能的压滤机
SE509884C2 (sv) Anordning för att utdraga ben ur fisk
KR102140615B1 (ko) 협잡물 처리용 탈수기
CN117415127B (zh) 一种垃圾处理用的污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