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440B1 -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 Google Patents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440B1
KR100287440B1 KR1019980028759A KR19980028759A KR100287440B1 KR 100287440 B1 KR100287440 B1 KR 100287440B1 KR 1019980028759 A KR1019980028759 A KR 1019980028759A KR 19980028759 A KR19980028759 A KR 19980028759A KR 100287440 B1 KR100287440 B1 KR 10028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filler pipe
folded
vehicl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210A (ko
Inventor
하루야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2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4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6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비사용시에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고, 필요시에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고, 시트 하측의 수납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을 제공한다.
차량의 전부에 설치한 윈드스크린(13)과 차량의 후부에 설치된 리어필러(40) 사이에 절첩식 루프(20)를 설치한 경차량에 있어서, 리어필러를 중공부재로 형성하고, 직물재 루프(21)의 횡방향에 와이어상의 심재를 설치한다. 상기 직물재 루프(21)를 절첩하면 상기 심재가 리어필러(40) 내에 수납된다.

Description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본 발명은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절첩식 루프가 콤팩트한 상태로 용이하게 절첩되고, 루프를 지지하는 필러가 콤팩트한 상태로 절첩되고, 절첩된 루프와 필러가 차량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경차량용 절첩식 루프에 관한 것이다.
스쿠터와 같은 경차량에 우천시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루프를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고, 또 실용화되어 있는데, 종래의 경차량용 루프는 대부분 고정식으로 되어 있다.
통상, 루프는 일기에 관계없이 차량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날씨가 우천으로부터 청천으로 이행했을 때에도 루프를 차량으로부터 떼어내기가 곤란하다.
종래, 루프를 갖춘 경차량에서 루프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는데, 일례로서 일본국 특공평3-52396호가 알려져 있다. 이 경차량의 루프는 운전자 상방의 루프패널, 이 루프패널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리어패널 및 이 리어패널의 하방에 배치된 리어서브패널을 구비한다. 차량의 후단부에는 리어패널을 지지하는 역U자형단면의 타가바아(targa bar)가 기립 및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은 강성을 가지는 수지재 등으로 제작되고, 루프패널의 전단부는 윈드스크린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또, 루프패널의 후단부는 기립한 타가바아로 지지하고, 리어패널은 타가바아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특공평3-52396호에 개시되어 있는 착탈식 루프를 구비하는 경차량에 있어서 루프는 다음의 순서로 제거된다. 먼저, 강성 루프패널을 윈드스크린으로부터 떼어낸 다음, 리어패널을 떼어내고, 이들 떼어낸 패널들을 차량의 후부에 위치시킨 다음 리어서브패널 등으로 이것들을 덮어씌운다.
이상의 경차량에 있어서 루프패널, 리어패널 및 리어서브패널이 각각 강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루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들 패널들을 분해해야 하고, 분해된 패널을 차량의 후부에 부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따라서, 패널의 제거 및 제거된 패널을 차량의 후부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루프패널 및 기타 루프구성부품이 강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부품을 절첩할 수 없다. 따라서, 소형인 경차량에 떼어낸 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므로 떼어낸 패널은 차량의 후부에 부착해 두어야 한다.
상기 제거된 루프구성부품은 부피가 크고 차량의 후부로부터 돌출하므로 차량의 길이가 불가피하게 길어지게 되고, 또 차량의 외관을 해치게 된다.
또, 루프를 이루는 강체패널은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또 조립된 패널은 차량의 균형잡힌 외관을 해치고, 차량을 무거워 보이게 한다. 따라서, 경쾌한 외관을 중시하는 경차량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스텝 조작에 의해 소형으로 절첩할 수 있고, 필러를 포함한 전체를 시이트의 하측의 수납박스 내에 수납할 수 있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첩식 루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루프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절첩할 수 있도록 그 조작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 절첩식 루프는 전개된 상태 및 절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헬멧 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 내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절첩된 상태의 치수가 소형이 되도록 제작된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프의 전개상태 및 절첩보관상태에서 부드럽고 우수한 외관을 가지는, 경량부품을 구비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절첩식 루프를 콤팩트한 상태로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의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도모한다. 특히, 절첩된 루프의 폭과 길이를 소형화하고, 용이한 절첩 및 수납공간 내에 효과적으로 보관되도록 하기 위해 절첩식 루프의 전단부를 자유롭고 콤팩트한 형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루프의 후부를 지지하는 리어필러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절첩시킬 수 있고, 특히 루프를 전개상태로 유지하는 리어필러를 콤팩트한 상태로 수납박스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하로 분할된다. 상기 리어필러는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고, 기립상태 또는 절첩상태에서 로크될 수 있고, 이 로크상태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은 차량의 전방의 윈드스크린과 차량의 후방의 리어필러 사이에 절첩식 루프를 설치한 경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리어필러는 중공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절첩식 루프는 와이어상의 좌우 심재(liner)와 이 좌우심재 사이에서 절첩가능한 직물재로 형성하고, 상기 심재는 상기 리어필러 내에 수납가능하다.
청구항 1에 따르면, 절첩식 직물재 루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되거나 절첩될 수 있도록 심재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 심재는 리어필러 내로 슬라이드하여 수납되도록 제작된다.
청구항 1의 종속항인 청구항 2의 절첩식 직물재 루프는 그 전단부가 심재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가 리어필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심재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된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직물재인 절첩식 루프의 후단부는 심재의 전단부를 향해 절첩되도록 리어필러로부터 분리된다. 직물재의 절첩식 루프가 심재의 전단부를 향해 절첩되면 심재의 나머지부분은 노출되고, 리어필러 내로 원활하게 슬라이드되어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직물재인 절첩식 루프는 리어필러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직물재인 절첩식 루프 및 심재는 매우 콤팩트한 상태가 된다.
제1항 또는 제2항의 종속항인 청구항 3의 리어필러는 상부 필러파이프 및 이 상부 필러파이프를 절첩상태에서 지지하는 하부 필러파이프를 구비하고, 하부 필러파이프는 상부 필러파이프의 기립상태를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다.
청구항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루프가 전개된 상태일 때 상부 필러파이프는 하부 필러파이프의 로크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기립상태에 유지되고, 절첩식 루프가 절첩된 상태일 때는 리어필러는 굴곡되고, 더욱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리어필러는 절첩된 루프와 함께 시트의 하측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청구항 3의 종속항인 청구항 4의 상부 필러파이프는 하부 필러파이프에 대하여 절첩되고, 하부 필러파이프는 절첩된 루프와 함께 시이트 하측의 수납박스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제4항에 따르면, 콤팩트한 상태로 절첩된 루프는 경차량의 시이트의 하측의 비교적 제한된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종속항인 청구항 5의 직물재 루프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홀딩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이 홀딩부재는 차폭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따르면, 홀딩부재는 차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으므로 직물재 루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폭을 축소할 수 있고, 절첩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종속항인 청구항 6의 홀딩부재는 직물재 루프의 전단부를 파지하도록 심재에 힌지결합된 윈드스크린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6의 홀딩부재는 심재의 전단부에서 요동가능하고, 절첩된 직물재 루프를 수납공간 내에 수납시킬 때, 홀딩부재를 수납공간의 저면에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종속항인 청구항 7에 따르면, 하부 필러파이프는 차체 프레임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단부 및 상부 필러파이프의 베이스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을 구비한다. 이 아암에는 상부 필러파이프의 축부와 착탈이 자유로운 로크바아가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바아는 회동축을 개재하여 상기 아암에 지지된 요동로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로크바아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로크부재의 결합부에 결합해제가능한 로크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로크부재는 조작레버에 의해 회동된다.
청구항 7에 따르면, 조작레버는 요동로크부재를 고정로크부재로부터 해제하고, 요동로크부재의 요동에 의해 상부 필러파이프와 로크바아의 로크가 해제되므로 상부 필러파이프는 하부 필러파이프와 로크가 해제될 수 있다.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전술한 로크해제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종속항인 청구항 8에 있어서, 요동로크부재의 로크요소는 2개의 클로이고, 고정로크부재의 로크요소는 2개의 커트부이고,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는 요동로크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고정로크부재의 커트부와 기립위치 또는 절첩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청구항 8의 상부 필러파이프는 클로와 커트부의 결합에 의해 기립위치 및 절첩위치에서의 로크가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루프의 전개, 전개상태에서의 유지, 절첩 및 수납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 클로는 요동가능하고, 커트부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크 및 언로크작동이 단순한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절첩식 루프의 확대평면도,
도 3은 절첩식 루프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루프의 전단부의 홀딩부재의 정면도,
도 7은 홀딩부재의 주요부의 확대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단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단면도,
도 11은 홀딩부재의 분해도,
도 12는 루프 후단부와 리어필러의 연결구조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루프 후단부를 리어필러로부터 제거한 것을 보여주는 도 12와 유사한 종단면도,
도 14는 리어필러의 하부 필러파이프의 정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5는 기립상태에 고정된 하부 필러파이프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17-17선단면도,
도 18 내지 도 21은 하부 필러파이프의 절첩작동 설명도로서, 도 18은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한 하부 필러파이프의 로크해제조작 설명도,
도 19는 하부 필러파이프를 후방으로 전도시키는 조작설명도,
도 20은 하부 필러파이프가 후방에 전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하부 필러파이프가 로크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하부 필러파이프의 로크상태를 보여주는 도 15와 유사한 종단면도,
도 23은 절첩식 루프의 전방으로의 절첩작동설명도,
도 24는 절첩된 루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심재를 상부 필러파이프 내에 수납하는 조작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25는 절첩상태의 루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하부 필러파이프를 후방으로 전도시키고, 상부 필러파이프를 전하방으로 전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수납박스 내에 수납된 절첩상태의 루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8은 절첩상태의 루프를 수납박스 내에 수납시키고, 수납박스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9는 윈드스크린의 승강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설명>
1: 경차량
2: 바디프레임
2a: 후부
3: 바디커버
4: 전륜
5: 핸들
6: 후륜
7: 파워유니트
8: 프론트커버
9: 사이드미러
10: 시트
10a: 시트백
11: 리어커버
12: 수납박스
12a: 수납요홈
12b: 내측덮개
13: 윈드스크린
13a: 통공
13b: 지지체
13c: 양측단부
14: 개구
15: 기대
16: 지지프레임
16a: 스테이
17: 스테이
20: 절첩식 루프
21: 직물재 루프
21a: 양측단부
21b: 전단부
21c: 후단부
22: 짧은 파이프
23: 조인트
24: 보강플랩
25: 심재
25a: 굴곡부
25b: 후단부
26: 보강선재
27: 조인트
27a: 원통상부재
27b: 평판부
27c: 리벳
27d: 취부공
28: 후단판
28a: 판상심재
29: U자형 후크
29a: 나사
30: 홀딩부재
31: 기판
31a: 요홈
31b: 보강판
32: 홀딩판
32a: 장방형 전면부
32b: 굴곡부
32c: 커트부
32d: 요홈
32e: 슬릿
32f: 원형의 통공
32g: 원형의 통공
32h: 슬릿
33: 고무벨트
34: 나사
34a: 헤드부
35: 평나사
35a: 선단부
36: 너트
37: 후크
37a: 축
40: 리어필러
41: 상부 필러파이프
41a: 굴곡하부
42: 클로부재
43: 원통상 가이드
43a: 나사
43b: 하단부
44: 스프링 지지부
45: 코일스프링
46: 하부 필러파이프
47: 본체
48: 후면판
49: 커버
50: 아암
50a: 상단부
50b: 하단부
51: 지지파이프
51a: 통공
51b: 가이드
52: 지지축
52a: 양단부
52b: 요홈
52c: 개구
53: 지지축
53a: 기립측부재
54: 지지축
55: 로크부재
55a: 제1커트부
55b: 제2커트부
56: 지지축
56a: 커플링
57: 로크클로
57a: 클로부재
57b: 베이스
57c: 회동축받침
57d: 스토퍼
58: 로크바아
58a: 선단부
58b: 스프링받침
58c: 하단부
59: 코일스프링
60: 조작레버
60a: 파지부
60b: 베이스
61: 복귀스프링
61b: 타단
62: 결합핀
63: 보강레버
70: 높이조절기구
71: 기판
72: 가이드
73: 이송스크류
74: 너트
75: 모터
76: 구동기어
77: 피동기어
78: 스타트스위치
78a: 조작자
79: 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절첩식 루프의 확대평면도, 도 3은 절첩식 루프의 확대측면도, 도 4는 도3의 5-5선을 따라 취한 절첩식 루프의 확대횡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선을 따라 취한 절첩식 루프의 확대횡단면도, 도 6은 절첩식 루프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홀딩부재의 정면도, 도 7은 홀딩부재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단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단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단면도, 도 11은 홀딩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절첩식 루프의 후단부와 리어필러의 결합구조의 확대종단면도, 도 13은 절첩식 루프의 후단부를 리어필러로부터 해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의 유사도이다.
리어필러 로크기구의 도면 및 작동설명은 후술한다.
도 1에서 경차량(1)(이하 "차량"으로 기재함)은 스쿠터로서, 이 차량(1)은 바디프레임(2)을 보호하고, 차량의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커버(3); 조향핸들(5)에 의해 자유롭게 조향되는 전륜(4); 차량의 후단부에 배치된 스윙타입의 파워유니트(7); 및 이 파워유니트(7)의 후측에 배치되고, 구동륜을 구성하는 후륜(6)을 구비한다.
또, 전륜(4)의 상측에는 프론트커버(8)가 배치되고, 이 프론트커버(8)의 상단부의 양측에는 사이드미러(9)가 배치되어 있다.
차량(1)의 중간부에는 탑승용 시트(10)가 구비되고, 시트(10)의 하측의 공간부는 리어커버(11)로 둘러싸고, 리어커버(11)의 내부공간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박스(12)가 수용되어 있다.
차량(1)의 전방에는 프론트커버(8)로부터 윈드스크린(13)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윈드스크린(13)은 그 상단부가 차량(1)의 후방을 향해 기울어진 후방경사를 이루고 있다.
윈드스크린(1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어필러(40)의 절첩운동에 연동하여 도 1의 최상부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하강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윈드스크린(13)의 상단부와 차량(1)의 후부의 리어필러(40) 사이에는 루프(20)가 설치된다.
루프(2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루프(20)를 전개한 상태로 설명한다.
루프(20)는 가요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직물재 루프(21)와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심재(25)로 이루어진다. 심재(25)는 예로써 피아노선과 같이 가요성, 복원성 및 탄성을 가지는 선재로 형성한다.
직물재 루프(21)의 양측단부(21a)에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짧은 파이프(22)가 봉착(縫着)되어 있고, 이 파이프(22) 내에는 좌우심재(2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직물재 루프(21)는 좌우심재(25) 사이에 걸쳐있게 된다.
또, 직물재 루프(21)의 양측단부(21a)에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인트(23)가 봉착(縫着)되어 있고, 이 조인트(23)는 직물재 루프(21)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심재(2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좌우 한 쌍의 조인트(23) 사이에는 피아노선과 같은 보강선재(26)가 배치된다. 이 보강선재(26)는 직물재 루프(21)의 하면에 배치되어 직물재 루프(21)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인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직물재 루프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3개의 보강선재(26)를 배치하고 있다.
또, 직물재 루프(21)의 양측단부(21a)에는 보강플랩(flap)(24)이 현수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심재(25), 파이프(22) 및 조인트(23)를 보이지 않도록 가려준다.
이상과 같이, 소위 소프트탑(soft top)이라 칭하는 상기 절첩식 루프(20)는 윈드스크린(13)의 상단부와 리어필러(40) 사이에 연장설치되는데, 이것은 경차량의 외관을 소프트하고도 우수하게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절첩식 루프(20)의 전단부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홀딩부재(3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C자형 단면을 가지는 장방형 기판(31)과 한 쌍의 홀딩판(32)을 구비한다.
기판(31)의 상하측 굴곡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상하요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31)의 이면의 중앙에는 한 쌍의 보강판(31b)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홀딩판(32)은 대칭을 이루고 있고, 각 홀딩판(32)은 장방형 전면부(32a) 및 굴곡된 짧은 굴곡부(32b)를 구비하여 대략 L자형을 이룬다.
각 전면부(32a)의 내측단 근처에는 상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장방형 요홈(32d)이 형성되고, 각 요홈(32d)의 일단부에는 커트부(32c)가 형성된다. 요홈(32d) 사이에는 장방형 슬릿(32e)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전면부(32a)의 외측단 근처의 하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형의 통공(32f)(32g)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통공(32f)(32g)의 상측에는 장방형 슬릿(32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 장방형 슬릿 및 원형 통공은 양 홀딩판(32)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홀딩판(32)은 기판(31)의 이면에 배치되고, 홀딩판(32)의 상하단부는 기판(31)의 상하요홈(31a)에 결합한다. 따라서, 홀딩판(32)은 기판(31)의 이면상에서 측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좌우홀딩판(32)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각 커트부(32c) 사이에 한 쌍의 인장 및 부세부재, 예로써 고무벨트(33)를 걸쳐둔다. 이 고무벨트(33)는 기판(31)의 이면에 결합된 홀딩판(32)을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준다.
상기 기판(31)에 부착된 보강판(31b)의 통공에는 한 쌍의 나사(34)가 삽입되어 홀딩판(32)의 슬릿(32h)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홀딩판(32)은 기판(31) 상에서 슬라이드운동이 가능해 진다.
상기 각 심재(25)에는 대략 90도의 각도로 굴곡된 굴곡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25a)에는 조인트(27)가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조인트(27)는 힌지의 일측부와 같은 구조로서, 이 조인트(27)에는 심재(25)의 굴곡부(25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상부재(27a)(27a)가 형성되고, 조인트(27)의 평판부(27b)의 우측단 근처에는 취부공(27d)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단 근처에는 리벳(27c)이 돌설되어 있다.
조인트(27)의 평판부(27b)는 홀딩판(32)의 이면에 당접하고, 리벳(27c)이 통공(32g) 내에 삽입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상태를 이룬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27)가 홀딩판(32)에 부착되면, 원통상부재(27a)가 슬릿(32h) 내에 진입함으로써 홀딩판(32)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통공(32f)의 전면측으로부터 평나사(35)를 삽입하고, 이 평나사(35)의 선단부(35a)가 평판부(27b)의 이면에 돌출하도록 한다.
상기 평나사의 선단부(35a)에는 너트(36)를 나사결합하고, 평판부(27b)는 리벳(27c)에 의해 홀딩판(32)에 고착한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6)의 후단부에는 축(37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후크(37)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각 너트(36)의 후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진 포크(fork) 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곳에 후크(37)의 축(37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요동운동하도록 후크(37)를 설치한다.
상기 윈드스크린(13)의 상단부의 양측부 근처에는 비교적 대경의 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37)는 윈드스크린(13)에 직각으로 배치한다. 상기 개구(14)를 통해 후크(37)를 삽입한 다음, 하방으로 굴곡회동시켜 홀딩판(32)을 윈드스크린(13)에 결합고정한다.
도 8은 홀딩판(32)을 윈드스크린(13)에 고정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홀딩판(32), 기판(31) 및 심재(25)를 포함한 홀딩부재(30)는 윈드스크린(13)의 상단부에 결합고정된다.
도 8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37)가 하방으로 눌러진 상태가 되면, 후크(37)는 윈드스크린(13)의 개구(14) 근처의 이면에 당접하여 개구(14)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화살표① 방향으로 후크(37)를 밀어올리면 가상선(37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37)와 개구(14)가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홀딩판(32)을 포함한 홀딩부재(30)를 도 8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구(14)로부터 후크(37)를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1)의 이면에 설치된 보강판(31b)을 관통하는 나사(34)는 그 헤드부(34a)가 개구(14) 사이에 형성된 통공(13a)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홀딩판(32)은 윈드스크린(13)의 전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 같은 홀딩부재(30)의 전면을 구성하는 홀딩판(32) 및 기판(31)의 전면에는 직물재 루프(21)의 전단부(21b)를 점착한다. 또, 좌우 보강플랩(24)의 전단부는 홀딩판(32)의 굴곡부(32b)에 점착한다.
상기 홀딩부재(30)는 도 8의 가상선(37A)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7)를 상측으로 밀어올린 다음 개구(14)로부터 빼냄으로써 윈드스크린(1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홀딩부재(30)에서 윈드스크린(13)의 중심부 근처에서 기판(31)과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홀딩판(32)은 고무벨트(33)에 의해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력을 받는다.
따라서, 윈드스크린(13)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면 홀딩판(32)은 기판(31)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무벨트(33)의 인장력 및 복귀력에 의해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홀딩부재(30) 전체의 폭이 작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직물재 루프(21)는 폭방향으로 절첩된다.
또, 좌우심재(25) 사이에 걸쳐있는 보강선재(26)는 피아노선과 같이 가요성 및 탄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직물재 루프(21)의 절첩에 따라 복원가능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윈드스크린(13)으로부터 제거된 홀딩부재(30)는 직물재 루프(21), 심재(25) 및 보강선재(26)와 함께 자동적으로 폭이 축소되어 수납박스(12) 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30)는 홀딩판(32)을 개재하여 심재(25)의 전단부에 조인트(27)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따라서, 윈드스크린(13)으로부터 홀딩부재(30)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심재(25)의 굴곡부(25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홀딩부재(30)는 심재(25)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등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첩식 루프(20)는 도 27 및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홀딩부재(30)를 수납박스(12)의 수납요홈(12a)에 평행하게 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절첩식 루프(20)의 후단부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상측으로 경사진 바디프레임(2)의 후부(2a)에는 리어필러(40)의 기대(pedestal)(15)를 기립상태로 설치한다. 기대(15) 상에는 지지프레임(16)을 연장설치하고, 지지프레임(16)에는 로크기구를 개재하여 리어필러(40)의 하부 필러파이프(46)를 설치한다. 따라서, 하부 필러파이프(46)는 상기 로크기구에 의해 기립위치 및 절첩위치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상기 기대(15) 및 지지프레임(16)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리어커버(11)의 후부에 의해 덮어씌워지므로 리어필러(40)는 리어커버(11)의 후부 상에 상방으로 기립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루프(20)의 후단부에는 루프(20)의 전단부의 홀딩부재(30)와 유사한 후단판(28)이 폭방향으로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단판(28)은 직물재 루프(21)의 후단부(21c)에 폭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판상심재(28a)를 구비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판(28)의 내면측(차량(1)의 전방을 향한 면)에는 U자형 후크(29)가 나사(29a)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U자형 후크(29)는 후단판(28)의 좌우측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리어필러(40)는 서로 대칭인 L자형의 한 쌍의 상부 필러파이프(41)를 구비한다.
상부 필러파이프(41)의 굴곡하부(41a)는 대칭적으로 내측으로 굴곡되고, 굴곡하부(41a)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상방으로 기립하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상방으로 굴곡된다.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41)의 상단부 외면에는 상기 U자형 후크(29)와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로운 클로부재(42)가 설치된다.
상부 필러파이프(41)의 선단부 주위에는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 등으로 제작된 원통상 가이드(43)를 나사(43a) 등을 이용하여 동심상으로 고착한다. 상기 심재(25)의 후단부(25b)는 상기 원통상 가이드(43)를 개재하여 상부 필러파이프(41) 내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심재(25)의 후단부(25b)에는 스프링 지지부(44)가 고정되고, 이 스프링 지지부(44)와 상부 필러파이프(41)의 상단부의 원통상 가이드(43)의 하단부(43b) 사이, 구체적으로는 상기 심재(25)의 후단부(25b)의 외주에는 코일스프링(45)이 설치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단판928)을 후방으로 당기면, 후단판(28)의 U자형 후크(29)와 상부 필러파이프(41)의 클로부재(42) 사이의 결합이 풀린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루프(20)의 후단부는 상부 필러파이프(41)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절첩식 루프(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후단판(28)을 전방으로 밀어주면 가요성인 직물재 루프(21)는 심재(25)와 파이프(22) 상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하면서 절첩이 이루어진다.
좌우 심재(25) 사이에 가설된 보강선재(26)는 조인트(23)의 심재(25)에 대한 슬라이드운동에 의해 직물재 루프(21)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직물재 루프(21)와 함께 절첩된다.
절첩된 직물재 루프(2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25)의 전단부의 홀딩부재(30)와 중첩되도록 절첩되고, 이 상태에서 루프(20)의 좌우방향의 폭이 줄어든다.
이 상태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직물재 루프(21)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심재(25)의 대부분이 노출되면, 홀딩부재(30)를 잡아서 심재(25)를 후방으로 누른다.
상기 심재(25)는 상부 필러파이프(41) 내에서 슬라이드하여 수납된다.
상기 원통상 가이드(43)에 의해 심재(25)의 슬라이드 및 수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스프링(45)의 탄력에 의해 심재(25)의 초기 삽입시의 가압력을 얻으므로 심재(25)의 상부 필러파이프(41) 내로의 삽입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절첩된 직물재 루프(21) 및 후단판(28)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심재(25)는 후단판(28)이 원통상 가이드(43)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부 필러파이프(41) 내에 수납된다.
도 24는 상부 필러파이프(41)의 선단부 사이에 루프(20)가 절첩된 상태로 위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음에, 하부 필러파이프(46)의 구조와 작동에 대하여 그리고 상부 필러파이프(41)와 하부 필러파이프(46) 사이의 로크기구, 로크해제기구 및 연결구조와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하부 필러파이프(46)의 상세정면도, 도 15는 하부 필러파이프의 횡단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17-17선단면도, 도 18 내지 도 21은 하부 필러파이프(46)의 절첩작동 설명도로서, 특히 로크해제조작 설명도, 도 19는 하부 필러파이프(46)가 후방으로 밀리는 상태의 설명도, 도 20은 하부 필러파이프(46)를 후방경도상태에서 로크하는 작동설명도, 도 21은 하부 필러파이프를 후방경도상태에서의 로크상태도, 도 22는 하부 필러파이프의 로크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본체(47)는 하부 필러파이프(46)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후단부의 폭이 좁고 얇은 상자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체(47)는 후면판(48)과 이 후면판(48)의 전면을 덮는 커버(49)를 포함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기다란 장방형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양측단부를 따라 한 쌍의 아암(50)이 일체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아암(50)을 포함하는 본체(47)는 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지지축(54)(후술함)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운동이 가능하다.
아암(50)의 상단부(50a) 사이에는 지지파이프(51)가 횡방향으로 연장설치된다.
상기 지지파이프(51)에는 상부 필러파이프(41)를 지지하는 지지축(5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지지축(52)의 양단부(52a)는 지지파이프(51)의 양단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상부 필러파이프(41)의 굴곡하부(41a)에 결합시킨다.
하부 필러파이프(46)와 지지축(52)은 일체적으로 지지파이프(51)에 대한 회동이 가능하다.
도 15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52)은 그 외면상에 소정각도의 요홈(52b)을 구비하고, 이 요홈(52b)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의 개구(5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체프레임의 후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된 기대(15)의 지지프레임(16)의 선단부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스테이(16a)가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16a)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배치된 한 쌍의 지지스테이(17)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스테이(17)의 외면에는 E자형상의 브라켓(53)의 한 쌍의 기립 측부재(53a)가 접촉되고, 이 기립 측부재(53a)의 외면에는 아암(50)의 하단부(50b)가 접촉된다. 따라서, 아암(50)과 브라켓(53)은 일체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축(54)은 기립 측부재(53a)와 아암(50)의 하단부(50b) 사이에 연장설치된다. 아암(50)을 포함하는 하부 필러파이프(46)는 상기 지지축(54)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아암(50)의 내측의 지지축(54)의 외면 상에는 상기 지지축(54)을 향해 직각방향으로 확대되는 한 쌍의 좌우 로크부재(55)를 고정설치한다.
로크부재(55)에는 고정로크부재를 구성하는 제1커트부(55a) 및 제2커트부(55b)가 형성된다. 제1커트부(55a)는 후방하향으로 형성되고, 제2커트부(55b)는 전방하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암(50)의 하부와 상기 지지축(54)의 상측 후방에는 지지축(56)을 연장설치한다. 상기 지지축(56)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C자형상의 로크클로(locking claw)(57)의 중심부를 고착한다. 상기 로크클로(57)는 하부 필러파이프(46)를 기립위치에 유지하는 요동로크부재를 구성한다.
각 로크클로(57)의 선단부에는 역L자형의 클로부재(57a)를 구비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필러파이프(46)가 기립상태인 경우 클로부재(57a)는 고정된 로크부재(55)의 제1커트부(55a)에 맞물리므로 하부 필러파이프(46)의 기립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아암(50)의 내측에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로크바아(58)를 평행하게 설치한다. 상기 지지파이프(51)의 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통공(51a)이 형성되고, 이 통공(51a)에는 로크바아(58)를 상기 지지파이프(51)의 하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각 통공(51a)의 하면에는 가이드(51b)를 형성한다.
상기 로크바아(58)의 선단부(58a)는 통공(51a) 및 지지축(52)의 요홈(52b)을 통과하여 개구(52c)에 결합한다.
상기 로크바아(58)의 선단부(58a)와 상기 개구(52c)와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41)의 로크기구를 구성한다.
또, 상기 로크바아(58)는 그 선단부(58a)와 상기 개구(52c)와의 결합에 의해 지지축(52)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지지축(52)은 회동할 수 없으므로 이 지지축(52)의 양단부에 연결된 상부 필러파이프(41)가 로크되어 회동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필러파이프(41)는 하부 필러파이프(46) 상에 기립된 상태로 로크되게 된다.
따라서, 절첩식 루프(20)의 전개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로크클로(57)의 베이스(57b)에는 회동축받침(57c)을 설치하고, 이 회동축받침(57c)을 개재하여 로크바아(58)의 하부를 축선방향(도 15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한다.
로크바아(58)의 중간부에는 스프링받침(58b)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받침(58b)과 회동축받침(57c) 사이에 코일스프링(59)을 설치한다. 로크바아(58)의 하단부(58c)는 회동축받침(57c)의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스토퍼(57d)를 설치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57d)는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축(56)의 일단부, 즉 도 14 및 도 16의 우측단부에 조작레버(60)의 베이스를 연결한다.
조작레버(60)는 도 14의 실선 및 도 15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7)의 일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그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파지부(60a)를 구비한다.
조작레버(60)의 베이스(60b)는 지지축(56)의 일단부에 설치된 원통상 커플링(56a)에 결합시키고, 조작레버(60)의 요동조작으로 지지축(56)을 회동가능하게 한다.
회동축받침(57c) 부근의 로크클로(57)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복귀스프링(61)의 일단부(61a)를 결합하고, 상기 복귀스프링(61)의 타단부(61b)는 아암(50)의 중간부에 설치된 결합핀(62)에 결합한다.
도 14 및 도 15에서 참조번호 63은 아암(50) 사이에 가설된 보강레버이다.
다음에 하부 필러파이프(46)의 격납을 위한 절첩작동을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서, 하부 필러파이프(46)와 상부 필러파이프(41)는 기립상태이고, 절첩식 루프(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상태가 된다.
하부 필러파이프(46)를 하방으로 밀어내리기 전에 절첩식 루프(20)의 후단판(28)을 상부 필러파이프(41)로부터 제거하고, 직물재 루프(21)를 도 23의 화살표②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심재(25)상에서 전방으로 이동시켜 절첩한다.
상기 절첩식 루프(20)는 심재(25)의 전단부에 절첩되어 그 길이가 크게 축소된다.
상기 홀딩부재(30)를 윈드스크린(13)으로부터 제거한 다음 후방으로 압압한다. 이에 의해 도 24의 화살표③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필러파이프(41) 내에 심재가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절첩된 루프(20)와 홀딩부재(30)는 상부 필러파이프(4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10)의 로크를 해제하고, 전단부를 힌지로 하여 회동기립시킴으로써 절첩된 루프(20)를 수납시키도록 수납박스(12)를 개방한다.
다음에 상부 필러파이프(41) 및 하부 필러파이프(46)의 절첩작동을 도 18 내지 도21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레버(60)를 화살표④ 방향(도 18의 좌측방향, 차량의 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따라서, 지지축(56)은 회동하고, 로크클로(57)는 상기 지지축(56)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18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조작레버(60)는 복귀스프링(61)에 대항하여 요동한다.
로크클로(57)의 회동에 의해 선단부의 클로부재(57a)는 로크부재(55)의 제1커트부(55a)로부터 해제된다. 로크클로(57)의 베이스(57b)는 하향이동하고, 이에 의해 로크바아(58)는 스프링(59)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지지축(52)의 개구(52c)로부터 로크바아(58)의 선단부(58a)를 빼내면 지지축(52)은 하부 필러파이프(46)의 상단부의 지지파이프(51) 내에서 회동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로크바아(58)의 하강에 의해 지지축(52) 및 상부 필러파이프(41)는 로크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특히 지지축(52)의 양단부에 굴곡하부(41a)를 연결한 상부 필러파이프(41)는 하부 필러파이프(46)로부터 로크가 해제되고, 이에 의해 상부 필러파이프(41)는 도 19 및 도 25의 화살표⑤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절첩된 루프(20)를 선단부에 부착하고 있는 상부 필러파이프(41)는 수납박스(12) 내로 절첩될 준비가 된다.
로크부재(57a)가 고정 로크부재(55)의 제1커트부(55a)로부터 해제됨에 의해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46)는 자체 로크상태로부터 해제되어 구속이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부 필러파이프(46)는 지지축(5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즉 도 19 및 도 25의 화살표⑥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하부 필러파이프(46)를 후방으로 압압하고, 상부 필러파이프(41)를 도 20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압압한다. 특히 상부 필러파이프(41)는 하부 필러파이프(46)에 대하여 로크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하방으로 압압작동시킬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필러파이프(41)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하방으로 압압된 하부 필러파이프(46)의 레벨보다 하방까지 압압이 가능하므로 절첩된 루프(20)를 수납박스(12) 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도 21은 하부 필러파이프(46)가 후방으로 전도되고, 상부 필러파이프(41)는 전방하향으로 전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로크클로(57)의 클로부재(57a)는 로크부재(55)의 제2커트부(55b)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어서, 상기 클로부재(57a)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트부(55b)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46)는 후방으로 전도된 상태로 로크된다.
상기 조작레버(60)를, 도 21의 화살표⑧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요동시키면 로크클로(57)는 회동하고, 이에 의해 클로부재(57a)는 제2커트부(55b)로부터 이탈한다. 이어서, 하부 필러파이프(46)는 로크상태가 해제되어 기립하고, 상부 필러파이프(41) 역시 기립함으로써 절첩된 루프(20)는 전개가 가능해진다.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46) 및 상부 필러파이프(41)의 기립 및 로크순서와 절첩된 직물재 루프(21)의 전개순서는 전술한 설명의 역순이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22는 하부 필러파이프(46)를 후방으로 전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박스(12)의 저면에는 상부 필러파이프(41)에 연결된 절첩된 루프(2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요홈(12a)을 형성한다.
도 26에서 절첩된 루프(20)는 수납요홈(12a)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이것을 하향으로 압압하면 수납요홈(12a)에 당접한다. 이 때, 상부 필러파이프(41) 내의 심재(25)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당길 수 있다.
도 27은 절첩된 루프(20)를 수납요홈(12a) 내에 완전히 수납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홀딩부재(30)는 조인트(27)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심재(2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절첩된 루프(20)를 수납요홈(12a)에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홀딩부재(30)가 강성체인 경우에도 절첩된 루프(20)가 수납요부(12a) 내에서 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납요홈(12a)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될 수 있다.
다음에, 내측덮개(12b)를, 도 27의 화살표⑨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하향으로 전도시킴에 의해 절첩된 직물재 루프(21)를 수납한 수납박스(12)를 덮는다.
최후에, 도 27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0)를 하방으로 전도시켜, 수납박스(12)를 덮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트백(10a)의 후면에는 상부 필러파이프(41)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요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필러파이프(41)와 헬멧(H)을 수납박스(12)의 후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첩식 루프(20)의 절첩 및 수납에 연동하여 윈드스크린(13)을 소정의 위치만큼 하향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그 이유는 절첩식 루프(20)를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탑승자를 강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윈드스크린(13)의 상단부의 높이를 탑승자의 머리보다 약간 높게 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절첩식 루프(2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드스크린(13)의 상단부의 높이를 탑승자의 눈 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이 좋다.
도 29는 윈드스크린(13)의 높이조절기구(70)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높이조절기구(70)는 윈드스크린(13)의 하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지지체(13b)를 구비하고, 차체(1)의 프론트커버(8)에는 기판(71)을 고정설치하고, 윈드스크린(13)의 양측단부(13c)에는 슬라이드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72)를 설치한다. 기판(71)의 양측단부 부근에는 한 쌍의 이송스크류(73)가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73)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체(13b)에 각각 고정된 너트(74)를 나사결합시킨다.
기판(71)의 하단부에 모터(75)를 고정설치하고, 이 모터(75)의 좌우 출력축에 구동기어(76)를 고정설치하고, 이 구동기어(76)를 상기 이송스크류(73)의 하단부에 설치한 피동기어(77)에 치합한다.
모터(75)를 구동시키면 구동기어(76)가 이송스크류(73)를 정역회전시키고, 그 결과 이송스크류(73)에 치합된 너트(74)가 상하운동함으로써 너트(74)에 연결된 윈드스크린(13)을 승강시킨다.
상기 윈드스크린(13)의 승강운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스타트스위치(78)를 아암(50)의 일측, 즉 상부 필러파이프(41)에 고정설치한다. 도 15에서 스타트스위치(78)의 조작자(78a)는 개방상태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필러파이프(41)를 후방으로 밀면 스타트스위치(78)가 아암(5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조작자(78a)와 지지축(56)에 설치된 캠(79)이 접촉한다.
따라서, 조작자(78a)가 압압되어 스타트스위치(78)를 온상태로 하고, 이에 의해 상기 모터(75)가 회전구동되어 상기 이송스크류(73)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윈드스크린(13)은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도 26 및 도 27도 하부 필러파이프(46)의 전도에 따라 윈드스크린(13)이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서, 절첩식 루프는 윈드스크린과 리어필러 사이에 배치한다. 상기 절첩식 루프는 절첩이 가능한 직물재 및 다수의 심재로 제작한다. 상기 직물재 루프는 심재를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절첩 또는 전개가 가능하고, 직물재 루프를 절첩한 후에 심재를 하부 필러파이프 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상기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은, 루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루프를 절첩할 수 있고, 또 심재를 하부 필러파이프 내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직물재 루프는 하부 필러파이프의 후단부에 절첩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콤팩트하게 수납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납박스 내에 절첩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절첩식 루프는 하부 필러파이프 내에 수납시킬 수 있는 심재와, 이 심재 상에서 슬라이드가능하고, 용이하게 절첩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직물재로 구성한다. 또, 상기 절첩식 루프는 절첩순서의 역순으로 용이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상기 절첩식 루프는 이 루프의 전개상태를 유지하고, 하부 필러파이프 내에 수납시킬 수 있는 피아노선 등으로 구성된 심재와, 이 심재 상에서 슬라이드가능한 직물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경차량에 적합한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상기 루프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비가 저렴하다.
상기 비사용시 수납이 가능한 절첩식 루프는 윈드스크린과 하부 필러파이프 사이에 설치된 직물재로서 소프트탑형식의 루프를 구성하므로 경량이고, 외관이 우수하다.
청구항 1의 종속항인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물재 루프는 그 전단부를 상기 심재에 고정하고, 직물재의 다른 부분을 심재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후단부를 상기 리어필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직물재 루프를 리어필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직물재를 심재를 따라 전방을 향하여 절첩할 수 있다.
상기 직물재 루프를 심재의 전단부를 향해 슬라이드시키면 심재가 노출되므로 이 심재를 리어필러 내에 슬라이드시켜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루프를 절첩하는 조작은 직물재의 후단부를 리어필러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심재의 선단부를 향해 이동시킴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종래기술의 루프패널의 제거 등과 같은 번잡한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심재가 리어필러 내에 수납되면, 리어필러의 선단부에는 절첩된 직물재 루프가 위치한다. 따라서, 루프는 길이가 매우 짧아져서 콤팩트하게 되고, 수납박스에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종속항인 청구항 3에 따르면, 상기 리어필러는 상부 필러파이프 및 이 상부 필러파이프를 절첩상태에서 지지하는 하부 필러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는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의 기립상태를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절첩식 루프를 경차량에 전개하여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리어필러는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루프를 절첩한 상태에서는 상부 필러파이프를 하부 필러파이프 내로 수납시킴으로써 리어필러 전장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절첩된 루프와 리어필러를 수납박스 등에 수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3의 종속항인 청구항 4에 따르면,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는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에 대하여 전하방으로 절첩되고,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는 절첩된 루프와 함께 경차량의 시이트 하측의 수납박스 내에 수납된다.
상부 필러파이프를 하부 필러파이프에 대하여 절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절첩된 상태에서도 상부 필러파이프의 길이는 절첩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와 동일하지만 이것을 전하방으로 전도시키면 차량의 후부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전장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납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종속항인 청구항 5에 따르면, 상기 직물재 루프의 전단부에는 이 전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차폭방향으로 설치한 홀딩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이 홀딩부재는 차폭방향으로 신축가능하다. 따라서, 절첩식 루프의 비사용시에는 루프의 전단부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절첩식 루프는 좌우의 심재와 직물재로 구성하고, 그 전단부의 폭을 작아지게 절첩할 수 있으므로 절첩식 루프의 전장 및 폭을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절첩된 루프를 차량의 시트 하측에 설치된 수납박스 내에 수납하는 것이 용이하다.
청구항 5의 종속항인 청구항 6에 따르면, 상기 홀딩부재는 절첩식 루프의 전단부를 윈드스크린에 연결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한다. 이 부착부재는 직물재 루프의 심재에 대하여 힌지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홀딩부재는 심재의 전단부에서 요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홀딩부재는 절첩된 루프를 수납시킬 때 수납박스의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절첩된 루프와 함께 수납박스의 저면에 평행하고 콤팩트한 상태로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절첩된 루프를 헬멧 등과 함께 수납박스에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납박스는 그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종속항인 청구항 7에 따르면,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는 차체 프레임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베이스를 구비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그 선단부가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아암부재에는 상부 필러파이프의 축부와 착탈이 자유로운 로크바아가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바아는 회동축을 개재하여 상기 아암에 지지된 요동로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로크바아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로크부재의 결합부에 결합해제가능한 로크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로크부재는 조작레버에 의해 회동된다. 따라서,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요동로크부재와 고정로크부재의 결합을 해제하고, 요동로크부재의 요동에 의해 상부 필러파이프의 축부와 로크바아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부 필러파이프와 하부 필러파이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는 하부 필러파이프와 상부 필러파이프의 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즉, 조작레버에 의해 절첩된 루프를 지지하는 상부 필러파이프를 하부 필러파이프 내에 수납시키는 작용과, 하부 필러파이프를 후방으로 전도시키는 작용을 상호 연동하는 상태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조작레버에 의해 연동기구를 이용하여 하부 필러파이프의 후방압압조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종속항인 청구항 8에 따르면, 상기 요동로크부재의 로크요소는 2개의 클로이고, 상기 고정로크부재의 로크요소는 2개의 커트부이고,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는 요동로크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고정로크부재의 커트부와 기립위치 또는 절첩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요동로크부재와 고정로크부재는 상기 클로와 커트부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이에 의해 상부 필러파이프의 기립위치 또는 절첩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바람을 받는 경우에도 기립한 리어필러에 의해 전개상태의 루프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 루프를 절첩하여 수납보관한 후에 리어필러를 절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요동식 클로와 고정식 커트부에 의해 로크와 로크해제작동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전방의 윈드스크린과 차량의 후방의 리어필러 사이에 절첩식 루프를 설치한 경차량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는 중공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절첩식 루프는 와이어상의 좌우심재와 이 좌우심재 사이에서 절첩가능한 직물재로 형성하고;
    상기 심재는 상기 리어필러 내에 수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직물재 루프는 그 전단부가 상기 심재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가 상기 리어필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심재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는 상부 필러파이프 및 이 상부 필러파이프를 절첩상태에서 지지하는 하부 필러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는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의 기립상태를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는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에 대하여 전하방으로 절첩되고,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는 절첩된 루프와 함께 경차량의 시이트 하측의 수납박스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재 루프의 전단부에는 홀딩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홀딩부재는 차폭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심재에 힌지결합된 윈드스크린 부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필러파이프는 차체 프레임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베이스를 구비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그 선단부가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아암부재에는 상부 필러파이프의 축부와 착탈이 자유로운 로크바아가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바아는 회동축을 개재하여 상기 아암에 지지된 요동로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로크바아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로크부재의 결합부에 결합해제가능한 로크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로크부재는 조작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로크부재의 로크요소는 2개의 클로이고; 상기 고정로크부재의 로크요소는 2개의 커트부이고; 상기 상부 필러파이프는 요동로크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고정로크부재의 커트부와 기립위치 또는 절첩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KR1019980028759A 1997-08-01 1998-07-15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KR100287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13697A JP3961631B2 (ja) 1997-08-01 1997-08-01 屋根付き軽車両
JP97-208136 1997-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10A KR19990023210A (ko) 1999-03-25
KR100287440B1 true KR100287440B1 (ko) 2001-04-16

Family

ID=1655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759A KR100287440B1 (ko) 1997-08-01 1998-07-15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961631B2 (ko)
KR (1) KR100287440B1 (ko)
CN (1) CN1091708C (ko)
DE (1) DE19834186C2 (ko)
IT (1) IT1303099B1 (ko)
TW (1) TW4509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5121081A1 (es) * 2001-10-11 2002-01-30 Garcia Ricardo Flery Protector contra la lluvia o sol, completamente retractil y adaptable a cualquier vehiculo
DE10337575A1 (de) * 2003-08-14 2005-03-17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mit einem beweglichen Dachteil
DE102005059869B4 (de) * 2005-12-15 2016-06-09 Valmet Automotive Oy Cabriolet-Fahrzeug
WO2007072134A1 (en) * 2005-12-19 2007-06-28 Johannes Hendrik Nel Vehicle with protective structure
ES2323625B1 (es) * 2007-08-20 2010-04-30 Manuel Muñoz Saiz Sistema protector de golpes y de los agentes atmosfericos para motocicletas y triciclos.
KR101924399B1 (ko) * 2016-11-08 2018-12-03 (주) 한호기술 전동식 보행 보조 장치
WO2020053802A1 (en) * 2018-09-13 2020-03-19 Smart Mobility Solutions S.R.L. Apparatus for covering a vehicle emplace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
WO2020152721A1 (en) * 2019-01-25 2020-07-30 Todmal Rahul Suresh Roof assembly for a two-wheeler
CN110155223A (zh) * 2019-05-08 2019-08-23 山东华宇工学院 一种电动车保暖防护装置
BE1027362B1 (nl) 2019-06-11 2021-01-21 Intrater Hersch Mifien Ltd Cover voor open voertuigen zoals een fiets
DE102020114696A1 (de) * 2020-05-05 2021-11-11 Günter Rood Fahrzeug, insbesondere Leich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376U (zh) * 1988-05-10 1989-01-25 湖南省津市市童具厂 七功能童车
CA1309370C (en) * 1988-09-20 1992-10-27 Edward C. Shurtleff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waste oil
CN2106782U (zh) * 1990-11-05 1992-06-10 胡月景 摩托车防护罩
CN2178208Y (zh) * 1993-10-28 1994-09-28 刘天来 摩托车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9065A (ja) 1999-02-23
CN1091708C (zh) 2002-10-02
ITTO980667A0 (it) 1998-07-31
CN1209403A (zh) 1999-03-03
TW450909B (en) 2001-08-21
DE19834186C2 (de) 1999-10-28
ITTO980667A1 (it) 2000-01-31
IT1303099B1 (it) 2000-10-30
DE19834186A1 (de) 1999-02-18
KR19990023210A (ko) 1999-03-25
JP3961631B2 (ja)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440B1 (ko) 절첩식 루프를 구비한 경차량
US6935649B2 (en) Foldable tricycle
US7316450B2 (en) Foldable cover for the overhead protection of an occupant of a wheelchair or other wheeled vehicle
US7021695B2 (en) Convertible top system for vehicle
JPH10329548A (ja) コンバ−ティブル型車のトランクのふた及び後部クロスメンバ−用開閉装置
JPS5926325A (ja) 単座式車両用折畳み式天蓋装置
AU2003211530B2 (en) Automobile body cover
US5029932A (en) Foldable vehicle roof
JPH05193363A (ja) 車両の折畳みフード
JP2007223592A (ja) 折畳み式トップを備えたカブリオレ車両
US20080061591A1 (en) Folding Top
US20040021337A1 (en) Passenger motor vehicle and folding top therefor
FR2699868A1 (fr) Véhicule décapotable.
KR102456101B1 (ko)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JPH115582A (ja) 駆動力の断続機構を備えた折り畳み自転車
JP3818553B2 (ja) 収納式キャビンを有する軽車両
KR101231272B1 (ko)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전거
JPH06106986A (ja) 幌付自動車の幌構造
JP3808183B2 (ja) 屋根付き軽車両
JPH027059Y2 (ko)
CN221477248U (zh) 童车
JPH1120767A (ja) 折り畳み自転車
JP3722246B2 (ja) 軽車両の収納式ウインドスクリーン装置
JP3556352B2 (ja) 小型車両の物入れ装置
JPH07246839A (ja) 自動車の着脱ルー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