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354B1 -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354B1
KR100281354B1 KR1019970022894A KR19970022894A KR100281354B1 KR 100281354 B1 KR100281354 B1 KR 100281354B1 KR 1019970022894 A KR1019970022894 A KR 1019970022894A KR 19970022894 A KR19970022894 A KR 19970022894A KR 100281354 B1 KR100281354 B1 KR 10028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reliminary
plasma display
display device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177A (ko
Inventor
유지 사노
다다요시 오이카와
노부오 아즈마
유이치로 기무라
마사지 이시가키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8000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reset discharge, priming discharge or erase discharge occurring in a phase other than addressing
    • G09G3/2927Details of initial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에 있어서 화상전체의 휘도조절을 광범위하게 실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휘도조정에 따라서 화소를 선택할 때 초기화를 위해 실행하는 예비방전의 방전조건(방전펄스수, 방전전압, 방전전압파형 등)을 변경하는 수단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A/D컨버터나 아날로그 입력회로 등의 다이나믹영역에서 결정되는 소정 계조수를 손상시키지 않고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전체의 휘도조절을 광범위하게 실행할 수 있디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을 화면에 있어서 또는 소정 계조수에 의해 농담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두고, 그 소정 계조수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화상전체의 휘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시분할 구동법에 의한 계조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선택해서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면상에 화상표시를 실행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 구동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휘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매트릭스형 플라즈마 표시장치로서 제2도의 블럭도에 의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종래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종래의 휘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블럭도로서, 표시패널(PDP)는 AC형이라 불리는 구조의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회로(10), A/D컨버터(11), 데이타라이트 처리회로(12), 프레임메모리(13), 데이타리드 처리회로(14), 표시제어회로(15), 휘도조절회로(16), 표시패널(21), 표시패널(21)이 갖는 어드레스전극(26), 주사전극(27), 유지전극(28)을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22), 주사펄스 출력회로(23)(주사와 유지의 양쪽에 사용되지만, 이하 주사펄스 출력회로라고 한다), 유지펄스 출력회로(25)에 의해서 구성된다.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11)에 의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 후 데이타라이트 처리회로(12)를 거쳐셔 프레임메모리(13)에 라이트된다. 프레임메모리(13)에서 리드된 데이타는 데이타리드 처리회로(14)를 거쳐서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22)에 입력된다. A/D컨버터(11)에 의해 여러개의 비트로 변환된 데이타는 프레임메모리(13)에 라이트할 때는 각 비트 병렬로 저장처리되고 프레임 메모리(13)에서 리드할 때는 단일비트씩 즉 비트프레임 단위로 재배치해서 처리된다. 각 비트는 휘도의 비중에 따라서 각 서브필드에 할당된다.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22), 주사펄스 출력회로(23), 유지펄스 출력회로(25)로 공급되는 펄스신호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표시제어회로(15)에 의해 작성된다.
화면 전체의 휘도는 휘도조절회로(16)에서 아날로그 입력회로(10)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된다.
표시패널(21)은 2장의 유리판, 어드레스전극(26), 주사전극(27). 유지전극(28) 및 상기 유리판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간막이하는 격벽 등을 갖는다. 화소는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있고 또한 격벽에 의해 간막이된 공간인 방전셀에 의해 구성된다.
AC형에서는 주사전극(27), 유지전극(28)이 유전체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방전셀에는 예를 들면 He-Xe, Ne-Xe와 같은 희가스가 봉입되어있고, 어드레스전극(26), 주사전극(27), 유지전극(28) 중의 어느 한조 사이에라도 전압을 인가하면 방전이 발생하여 자외선이 발생된다. 격벽에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자외선에 의해서 여기되어 발광한다. 형광체의 발광색을 방전셀마다 적, 녹, 청으로 나누어 칠하고, 화상신호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칼라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제3도에 AC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도시한다. 전극의 구동은 선순차로 실행되고, n열의 방전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전극에는 화상신호에 따라서 전압VA의 어드레스펄스(51)이 순차 전송된다. 한편, 주사전극에는 1행째부터 순차 전압VS의 주사펄스(52)가 인가된다. 어드레스전압VA와 주사전압VS가 동시에 인가된 셀에서는 전극간 전압이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해서 방전된다. 이 방전을 어드레스방전이라 한다.
어드레스방전을 안정하게 하기 위해서 통상 어드레스방전 전에는 예비방전기간을 마련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압파형을 각 전극에 인가해서 전체셀을 동시에 순간적으로 방전 점등시킨 후 소거하고. 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 상에 소정의 전하(이하 벽전하)를 인가해서 전체셀을 초기상태로 한다.
방전이 발생한 셀에서는 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 상에 전하가 축적되어 있고, 그 후의 일정 기간내이라면 방전개시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재차 방전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동방법을 메모리구동법이라 한다.
이 메모리구동법을 이용한 시분할 구동법(이하, 서브필드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브필드법이라는 것은 1필드를 발광휘도의 차이에 따라서 결정된 여러개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각 화소마다 임의의 서브필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다계조화를 실현하는 방법이다.
제4도의 시분할 구동법(서브필드법)에 의한 구동시퀀스는 4개의 서브필드SF1∼SF4에 의해 16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의 예이다. 주사기간(어드레스기간이라고도 한다)(61)은 제1 서브필드의 발광셀을 선택하기 위한 기간, 유지기간(62)는 선택된 셀이 전극(27)과 (28) 사이의 방전에 의해 발광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주사기간(61)은 예비방전기간(63)과 실제어드레스를 결정하고, 발광셀을 선택하기위한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예비방전기간(63)은 최초로 전체화면의 전극 상에 소정의 벽전하를 인가해서 전체셀을 초기상태로 하기 위한 기간이다.
서브필드SF1∼SF4의 유지기간은 8:4:2:1의 휘도비로 결정되어 있고, 영상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이들의 서브필드를 임의로 선택하면 24=16계조의 다계조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계조수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필드의 수를 늘리면 좋고, 예를 들면 서브필드수를 8로 하면 256계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각 서브필드의 휘도레벨은 펄스의 수에 따라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주사기간(61)과 유지기간(62)는 완전하게 분리되고, 유지기간에 관해서는 전체화면 공통의 구동펄스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구동법을 어드레스 분리구동방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종류의 시분할 구동법을 사용한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신학기보 EID92-86(1993년 1월)의 PP.7∼11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계조표시의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에 있어서의 화면전체의 휘도조절(밝기조절이라고도 하고 통상은 화면의 최소휘도인 흑레벨을 조절한다)을 실행하기 위해서, 종래는 예를 들면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조절에 의한 아날로그 영상신호 중 아날로그 입력회로(10)에 있어선 표시할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직류레벨을 휘도조절회로(16)에 의해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하고 있었다.
즉, 휘도조절에 의해 A/D컨버터(11)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직류레벨은 제5도와 같이 휘도가 최소인 a의 상태에서 휘도가 최대인 b의 상태까지 흑레벨이 상승하강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휘도조절을 영상신호의 직류레벨 조절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다계조표시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에는 영상신호의 직류레벨조절을 실행하면, 휘도조절에 의해 유효한 계조수가 손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펄스수 변조에 의해 다계조표시를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6도의 종래의 휘도조절에 의한 다이나믹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펄스수 변조를 실행하기 위해서, 영상신호는 A/D컨버터에 의해 PCM신호로 변환해서 사용한다. 이 A/D컨버터의 입력영상신호의 직류레벨이나 진폭을 조절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화면에 표시하는 재생화상의 계조수를 256계조로 하면 화질적으로 충분하다고 고려되므로, 사용하는 A/D컨버터는 8비트의 출력으로서 설명한다. 이 A/D컨버터의 입력 다이나믹영역을 최소레벨에서 최대레벨까지 최대한 이용했을 때, 8비트의 LSB(Least Significant Bit : 최하위비트)에서 MSB(Most Significant Bit : 최상위비트)까지 유효한 PCM신호를 얻을 수 있고 256계조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제6도에 있어서, 가령 이와 같은 최적상태 즉 영상신호의 진폭변화범위 전체(제6도의 C)에 A/D컨버터의 8비트를 할당한 경우, 휘도를 높이기 전에는 제6도의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8비트였던 A/D컨버터의 입력 다이나믹영역이 직류레벨을 변경해서 휘도를 높였을 때에는 B로 나타낸 상태까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신호가 커지면 입력 다이나믹영역을 벗어나고 휘도는 포화되어버려 정상적인 화면을 재생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6도의 C에 대해서 8비트분 이하의 할당으로 하면, 표시하는 화상의 계조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다이나믹영역에 여유가 없는 아날로그 입력회로의 앰프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영상신호의 직류레벨 조정범위에 알맞는 여유를 A/D컨버터의 입력 다이나믹영역에 부여하고 10비트, 12비트 등의 고비트수 A/D컨버터를 사용하면, A/D컨버터의 비트수가 증가하게 되어 A/D컨버터가 고가로 될 뿐만아니라 비트수의 증가에 따라서 신호처리회로가 복잡하게 되어 더욱더 소비전력이 증가한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주사기간의 증가에 따른 유지기간의 감소에 의해 발광휘도의 감소도 회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A/D컨버터나 아날로그 입력회로 등의 다이나믹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계조수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전체의 휘도조절을 광범위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의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휘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구동파형도.
제4도는 시분할 구동법에 의한 구동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휘도조절에 의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종래의 휘도조절에 의한 다이나믹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분할 구동법에 의한 구동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휘도조절에 의한 다이나믹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설명하는 도면.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분할 구동법에 의한 구동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날로그 입력회로 11 : A/D컨버터
12 : 데이타라이트 처리회로 13 : 프레임메모리
14 : 데이타리드 처리회로 17 : 표시제어회로
18 : 휘도조절회로 21 : 표시패널
22 :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 23 : 주사펄스 출력회로
25 : 유지펄스 출력회로 26 : 어드레스전극
27 : 주사전극 28 : 유지전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화소를 선택하기 전에 초기화를 위해 실행하는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을 회도조절에 따라서 변경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입력 아날로그회로와는 관계없이 예비방전에 의한 발광의 밝기를 제어하여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전체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방전조건으로서는 각 전극에 가해지는 방전전압, 방전회수(방전펄스수), 방전펄스폭, 방전전압파형 등을 제어하면 좋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1필드내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실행하는 종래의 서브필드와는 달리 휘도조절 전용의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을 마련하고, 영상신호레벨에 의존하지 않고 휘도조절량에 따라서 이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의 방전조건을 변경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휘도조절에 따라서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의 방전에 의한 발광량을 변화시켜 화면전체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방전조건으로서는 마찬가지로 각 전극에 가해지는 방전전압, 방전회수(방전펄스수), 방전기간폭, 방전전압파형 등을 제어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의 제어에 의한 휘도조절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계조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휘도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예비방전의 펄스수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방전회수가 예비방전 추가분만큼 증가하므로, 최고휘도는 증가함과 동시에 휘도조절에 따라서 오프셋의 증가량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예비방전 펄스전압을 제어한 경우에는 예비방전 1회당의 발광강도를 가변으로 할 수 있으므로, 휘도조절에 따라서 휘도오프셋을 증감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펄스폭의 제어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펄스폭에 따라서 예비방전 1회당의 방전지속시간을 가감할 수 있으므로, 휘도조절에 맞게 휘도오프셋을 증감시킬 수 있다. 또, 예비방전 펄스파형의 상승이나 하강의 경사를 제어한 경우에도 기울기(through rate)의 절대값의 감소에 따라서 예비방전 1회당의 발광강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휘도조절에 따라서 휘도오프셋을 증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방식의 경우에는 256계조의 1할을 휘도조절분으로 할당(할애)하면 영상신호의 표시계조는 230계조로 감소해 버리고, 특히 어두운 화상의 검은 왜곡(찌그러짐)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지만, 본원 발명을 적용하면 표시계조는 256으로 유지하면서 1할의 최고휘도상승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초기화를 위해 실행되는 예비방전에 있어서도 유지방전과 마찬가지로 희가스 방전으로 변경되지 않고 자외선 발광에 따라 형광체 발광이 발생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특히, 종래의 예비방전에 추가하는 예비방전은 각 원색의 RGB에서 마찬가지로 방전하기 때문에 휘도방전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1펄스당 발광량도 유지방전과 동등한 펄스이다. 오히려, 예비방전펄스의 전체셀 발광이기 때문에 펄스전압이나 그 경사에 따라서 발광레벨이 유지방전의 발광레벨을 상회하는 경우도 많고,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휘도조절레벨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어드레스의 미약한 방전시에서조차 발광을 수반한다는 것은 주지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블럭도로서, 제2도의 종래의 휘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블럭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도와의 주요한 차이는 휘도조절회로(18)이 표시제어회로(17)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회로(10), A/D 컨버터(11), 데이타라이트 처리회로(12), 프레임메모리(13), 데이타리드 처리회로(14), 표시제어회로(17), 휘도조절회로(18), 표시패널(21), 표시패널(21)이 갖는 어드레스전극(26), 주사전극(27), 유지전극(28)을 구동시키기 위한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22), 주사펄스 출력회로(23), 유지펄스 출력회로(25)에 의해서 구성된다.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11)에 의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 후, 데이타라이트 처리회로(12)를 거쳐서 프레임메모리(13)에 라이트된다. 프레임메모리(13)에서 리드된 데이타는 데이타리드 처리회로(14)를 거쳐서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22)에 입력된다. A/D컨버터(11)에 의해 여러개의 비트로 변환된 데이타는 프레임메모리(13)에 라이트할 때는 각 비트 병렬로 처리되고, 프레임메모리(13)에서 리드할 때는 단일비트씩 즉 비트프레임 단위로 처리된다. 각 비트는 휘도의 비중에 따라서 각 서브필드에 할당된다.
어드레스펄스 출력회로(22), 주사펄스 출력회로(23), 유지펄스 출력회로(25)로 공급되는 펄스신호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표시제어회로(17)에서 작성된다.
화면 전체의 흑레벨의 휘도는 휘도조절회로(18)에서 아날로그 입력회로에 의한 신호처리에만 의존하지 않고 표시제어회로(17)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된다. 표시패널(21)은 2장의 유리판, 어드레스전극(26), 주사전극(27), 유지전극(28) 및 상기 유리판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간막이하는 격벽 등을 갖는다. 화소는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있고 또한 격벽에 의해 간막이된 공간인 방전셀에 의해 구성되는 점은 제2도와 마찬가지이다.
제7도에 본 발명에 의한 AC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도시한다. 전극의 구동은 선순차로 실행되고, 주사기간에 있어서 n열의 방전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전극에는 화상신호에 따라서 전압VA의 어드레스펄스(51)이 순차 전송된다. 한편, 주사전극에는 1행째부터 순차 전압VS의 주사펄스(54)가 인가된다. 어드레스전압VA와 주사전압VS가 동시에 인가된 셀에서는 전극간 전압이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해서 방전(어드레스방전)된다.
어드레스방전을 안정하게 하기 위해서 어드레스방전 전에는 예비방전기간을 마련하고, 제7도에 도시한 전압파형을 각 전극에 인가해서 전체셀을 동시에 한번 방전 점등시킨 후 소거하고, 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 상에 소정의 벽전하를 인가해서 전체셀을 초기상태로 한다.
본 발명은 이 때의 예비방전에 의한 발광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휘도조정에 따라서 발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전체의 휘도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종래에는 예비방전광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의 문제로 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외광이 밝을 때에는 실제로는 휘도를 높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예비방전을 역으로 이용한 것이다.
즉, 화소를 선택하기 전에 초기화를 위해 실행하는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을 변경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예비방전에 의한 발광의 밝기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간 중의 예비방전 기간에 있어서 3회 예비방전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서브필드의 예비방전의 회수를 10회에서 1회까지 가변으로 하거나, 적당한 서브필드부터 순번으로 예비방전 회수를 최대수까지 늘려가는 것이 고려된다. 또, 제7도에 있어서 예비방전시에 각 전극에는 동일수의 구동파형이 반복해서 인가되고 있지만, 특정 전극에만 단일 구동파형의 일부분을 반복해서 인가해도 좋다. 본 실시예는 휘도조절에 따라서 발광회수를 디지탈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전체 어드레스전극에 VA로서 비교적 낮은 전압펄스(0이라도 좋다)를 인가함과 동시에 유지전극에 정의 높은 전압펄스를 인가해서 한번 방전 점등시킨다. 그 후, 주사전극에 정의 높은 전압펄스를 인가함과 동시에 유지전극에 부의(또는 하강하는) 전압펄스를 인가해서(어드레스전극은 0) 예비방전의 소거를 확실하게 한다. 이하, 이것을 필요한 회수만큼 반복한다. 또한, GND의 DC레벨은 0이어도 좋고 소정의 바이어스를 건 상태라도 좋다.
그리고, 메모리구동법을 이용한 시분할 구동법(서브필드법)에 의해서 1필드를 발광휘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 여러개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각 화소마다 임의의 서브필드를 선택하고, 어드레스가 완료된 동일 서브필드 중에는 제7도의 유지기간에 있어서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사이에 교대로 정의 전압펄스를 인가하여 다계조화의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제8도의 시분할 구동법(서브필드법)에 의한 구동시퀀스는 4개의 서브필드SF1∼SF4에 의해 16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의 예이다. 주사기간(어드레스기간)(65)는 제1 서브필드의 발광셀을 선택하기 위한 기간, 유지기간(66)은 선택된 셀이 발광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주사기간(65)는 예비방전기간(67)과 실제어드레스를 결정하고, 발광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또는 스캔)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예비방전기간(67)은 최초로 전체화면 동시에 소정의 벽전하를 인가해서 전체셀을 초기상태로 하기 위한 기간이다.
서브필드SF1∼SF4의 유지기간은 8:4:2:1의 휘도비로 결정되어 있고, 영상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이들의 서브필드를 임의로 선택하면 24=16계조의 다계조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계조수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필드의 수를 늘리면 좋고, 예를 들면 서브필드수를 8로 하면 256계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각 서브필드의 휘도레벨은 펄스의 수에 따라서 제어한다.
제8도의 주사기간(65) 중의 예비방전기간(67)에서는 예를 들면 제10도의 구동파형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의 예비방전을 실행하고, 이것을 SF1, SF2, SF3, SF4의 각 예비방전기간 중 적어 도 1개의 서브필드에 있어서 실시하여 휘도조절에 따른 발광량을 얻고 있다. 예를 들면, SF1과 SF3의 예비방전기간에 있어서만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휘도조절용 발광의 시간간격을 균등하게 한 경우에는 시분할 구동에 따라서 동화(움직임화상) 표시시에 눈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있는 의사윤곽 형상의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조절에 의해 예비방전광이 증가한 상태로 되므로 A/D컨버터에 입력되는 신호의 직류레벨은 변경되지 않고, 본 발명의 휘도조절에 의한 아날로그부분에서의 다이나믹영역 D는 제6도의 A와 동일하게 되므로, 다이나믹영역에서 결정되는 소정 계조수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전체의 휘도조절을 넓은 범위에 걸쳐서 실시할 수 있게된다.
이상은 SF1∼SF4의 각각의 예비방전기간의 방전회수를 휘도조절에 따라서 동시에 변경한 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실시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의 변형예로서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실시예 2로서는 특정의 예를 들면 SF1의 예비방전기간의 방전회수만을 변경하도록 하고 그 이외에는 1회(통상의 예비방전)만으로 해도 좋고,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시키도록 해도 좋다.
조합시킨 경우의 특유의 효과로서는 예를 들면 유지기간이 짧은 기간에 집중해서 휘도용 예비방전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플리커(깜빡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 등이 있다.
이상은 펄스의 회수를 변경하는 예로서 입력아날로그 회로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다이나믹영역이 모두 사용되어 계조를 회생시키는 일이 없다는 효과는 물론이고 디지탈제어가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 3에서는 방전회수를 변경하는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 제7도에서와 같이 펄스수는 일정 갯수(예를 들면 1개)로 하고 그의 각 전극에 인가하는 펄스폭은 휘도조절에 따라서 변경해도 좋다. 또는, 인가펄스의 전압값을 휘도조절에 따라서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지전압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하면 좋다. 전압값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조절량을 아날로그적으로 연속해서 무단계로 선택할 수 있는 점은 물론이고, 디지탈회로는 그대로 아날로그계만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방전조건은 여러가지가 있고, 예를 들면 휘도조절에 따라서 예비방전의 파형(예를 들면 제10도에 있어서 예비방전기간의 주사전극의 전압펄스하강의 슬로프(slope)를 발생시키는 회로의 시정수를 제어해서 도시한 슬로프의 형태를 급준하게 하거나 원활하게 한다)을 변경해도 좋다.
이상에서는 휘도조절에 따라서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을 변경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과는 다른 실시예 4에 대해서 제11도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시퀀스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A/D컨버터나 아날로그 입력회로 등의 다이나믹영역에서 결정되는 소정 계조수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전체의 휘도조절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1필드내에 있어서 화상신호에 따라 표시를 실행하는 서브필드 이외에 휘도조절 전용의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전용영역, 도면의 휘도전용기간(75))을 도면에서는 SF4 뒤에 마련하고, 휘도조절에 따라서 이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거의 휘도전용기간이고, 엄밀하게는 예비방전기간(76)을 제외한 부분)의 방전조건을 변경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휘도조절에 따라서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의 방전에 의한 발광량을 변화시켜 화면 전체의 휘도를 조절하면 좋다. 그 때, 휘도전용 기간내의 유지방전 펄스수를 가변으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휘도전용기간(75)에서는 전체화소를 선택하면 좋으므로 주사기간이 필요없다. 그 때문에, 대부분의 기간이 유지방전에 소비된다. 또, 도면중의 예비방전기간(76)은 전체화소의 동시 어드레스기간으로 치환해서 단발펄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휘도전용 기간내의 유지방전용 기간중에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하는 방전펄스를 사용해서 그 펄스수를 가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비방전기간(76)을 삭제할 수도 있다.
방전조건으로서는 마찬가지로, 각 전극에 가해지는 휘도전용 기간내의 유지기간에 상당하는 기간의 방전회수(방전펄스수), 방전펄스폭, 방전전압, 방전전압파형 등을 제어하면 좋다.
이 경우, 표시를 위한 영상신호영역(SF1∼SF4)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휘도전용으로 독립해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어회로 등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으로 각종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화소를 선택하여 발광시키는 매트릭스표시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A/D컨버터나 아날로그 입력회로 등의 다이나믹영역에서 결정되는 소정 계조수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전체의 휘도조절을 광범위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화소를 선택해서 발광시키는 매트릭스 표시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를 선택할 때 초기화를 위해 실행하는 모든 화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전 발광시키는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을 휘도조절에 따라서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갖고, 휘도조절에 따라서 예비방전에 의한 발광량을 변화시켜 표시계조수를 손상시키지 않고 화면 전체의 휘도레벨의 오프셋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예비방전기간의 예비방전 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수단은 여러개의 서브필드 증 적어도 1개의 서브필드의 예비방전 기간에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예비방전기간의 예비방전펄스의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예비방전기간의 예비방전펄스의 펄스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6.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화소를 선택해서 발광시키는 매트릭스 표시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1필드내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따라서 보시를 실행하는 서브필드 이외에 휘도조절 전용의 전체셀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전시키는 기간을 마련하고, 휘도조절에 따라서 이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의 방전조건을 변경하는 수단을 갖고,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의 방전에 의한 발광량을 변화시켜 표시계조수를 손상시키지 않고 화면 전체의 휘도레벨의 오프셋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전체셀을 방전시키는 기간의 방전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8.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전극, 상기 여러개의 전극의 교점에 배치된 여러개의 셀 및 상기 여러개의 셀의 발광휘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여러개의 전극을 구동하는 전압의 펄스수, 펄스진폭 또는 펄스폭을 조절하는 휘도조절회로를 구비하는 매트릭스 표시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조절회로의 출력에 따라 화소를 선택할 때에 초기화를 위해 실행하는 모든 화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전 발광시키는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을 제어하는 수단을 마련해서, 표시계조수를 손상시키지 않고 예비방전의 발광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표시형 플라즈마 표시장치.
  9.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화소를 선택해서 발광시키는 매트릭스 표시형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화소를 선택하기 전에 초기화를 위해 실행하는 모든 화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전 발광시키는 예비방전의 방전조건을 휘도조절에 따라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계조수를 손상시키지 않고 예비방전에 의한 발광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예비방전기간의 예비방전 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수단은 여러개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1개의 서브필드의 예비방전기간에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예비방전기간의 예비방전펄스의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조건은 예비방전기간의 예비방전펄스의 펄스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9970022894A 1996-06-06 1997-06-03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0281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43958 1996-06-06
JP14395896A JP3580027B2 (ja) 1996-06-06 1996-06-06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177A KR980005177A (ko) 1998-03-30
KR100281354B1 true KR100281354B1 (ko) 2001-02-01

Family

ID=1535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894A KR100281354B1 (ko) 1996-06-06 1997-06-03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15011A (ko)
EP (1) EP0811963B1 (ko)
JP (1) JP3580027B2 (ko)
KR (1) KR100281354B1 (ko)
DE (1) DE6973969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3968B2 (ja) 1997-07-15 2004-10-06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JP2994633B2 (ja) * 1997-12-10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疑似輪郭ノイズ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286823B1 (ko) * 1998-06-27 2001-04-16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DE19832261A1 (de) * 1998-07-17 2000-01-20 Thomson Brandt Gmbh Anordnung zur Regelung der Luminanz
TW527576B (en) * 1998-07-29 2003-04-11 Hitachi Ltd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discharge type display apparatus
JP2000047634A (ja) * 1998-07-29 2000-02-18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3399852B2 (ja) 1998-09-30 2003-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回路
FR2794563B1 (fr) * 1999-06-04 2002-08-16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adressage de panneau d'affichage au plasma
JP3580732B2 (ja) * 1999-06-30 2004-10-27 富士通株式会社 色温度若しくは色偏差を一定にす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514205B2 (ja) * 2000-03-10 2004-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473545B1 (ko) 2000-05-15 2005-03-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JP3867835B2 (ja) * 2000-06-05 2007-01-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
TW538407B (en) * 2000-11-30 2003-06-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subfield coding
JP2002328648A (ja) * 2001-04-26 2002-11-15 Nec Corp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CN100351878C (zh) * 2001-04-27 2007-11-28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改善等离子平面显示器上色彩饱和度及图像品质的补偿方法
JP4749601B2 (ja) * 2001-06-04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EP1347434A1 (en) * 2002-03-18 2003-09-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of a display
KR100468416B1 (ko) * 2002-07-12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2004212559A (ja) * 2002-12-27 2004-07-2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4084167A1 (en) * 2003-03-20 2004-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of a display
JP4669226B2 (ja) * 2004-01-14 2011-04-13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2005300695A (ja) * 2004-04-07 2005-10-27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表示装置及び該プラズマ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方法
KR100553772B1 (ko) 2004-08-05 2006-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JP2006317856A (ja) * 2005-05-16 2006-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736530B2 (ja) * 2005-05-16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761167B1 (ko) 2005-07-12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4947088B2 (ja) * 2009-04-10 2012-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5110096B2 (ja) * 2010-01-25 2012-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673A (en) * 1971-06-21 1973-12-11 Burroughs Corp Low power display driver having brightness control
US4020280A (en) * 1973-02-21 1977-04-26 Ryuichi Kaneko Pulse width luminance modulation system for a DC gas discharge display panel
US4140945A (en) * 1978-01-06 1979-02-20 Owens-Illinois, Inc. Sustainer wave form having enhancement pulse for increased brightness in a gas discharge device
US4414544A (en) * 1981-06-12 1983-11-08 Interstate Electronics Corp. Constant data rate brightness control for an AC plasma panel
JPH077245B2 (ja) * 1987-12-21 1995-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2値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
US4924148A (en) * 1988-06-24 1990-05-08 Tektronix, Inc. High brightness panel display device
CA2010879A1 (en) * 1989-03-07 1990-09-07 Kathleen Potter Speciation of mycobacteria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of chromosomal dna fragments
JP2765154B2 (ja) * 1990-01-24 199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5430458A (en) * 1991-09-06 1995-07-04 Plasmaco, Inc.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flicker in displays addressed at low frame rates
JP3179609B2 (ja) * 1993-01-05 2001-06-25 マツダ株式会社 シェル鋳型接合装置
US5483252A (en) * 1993-03-12 1996-01-0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JP3033392B2 (ja) * 1993-06-07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輝度補償方法および輝度補償回路
JP3266373B2 (ja) * 1993-08-02 2002-03-18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772753B2 (ja) * 1993-12-10 1998-07-09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並びにそ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JP3891499B2 (ja) * 1995-04-14 2007-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における輝度調整装置
JP3369395B2 (ja) * 1995-04-17 2003-01-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トリクス方式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08314414A (ja) * 1995-05-12 1996-11-29 Sony Corp プラズマアドレス表示装置
US5745086A (en) * 1995-11-29 1998-04-28 Plasmaco Inc. Plasma panel exhibiting enhanced contrast
JP3704813B2 (ja) * 1996-06-18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1963A1 (en) 1997-12-10
JPH09325736A (ja) 1997-12-16
EP0811963B1 (en) 2009-12-16
JP3580027B2 (ja) 2004-10-20
KR980005177A (ko) 1998-03-30
US6115011A (en) 2000-09-05
DE69739699D1 (de)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35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US79114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ressing gray levels in a plasma display panel
US6097358A (en) AC plasma display with precise relationships in regards to order and value of the weighted luminance of sub-fields with in the sub-groups and erase addressing in all address periods
KR1007058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420022B1 (ko) 어드레스 전위 가변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JP360642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0714092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階調制御方法
EP0987676A1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0721045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KR1005529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US6052101A (en) Circuit of driving plasma display device and gray scale implementing method
KR2002006150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수값 계조 표현방법 및 장치
JP200334529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3009104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비디오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EP0923066B1 (en)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10768A (ko)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502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1007471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구동 방법
KR1007845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251149B1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190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659345B1 (ko) 피디피에서 에스엠에스 구동 방법
KR1004936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9990010331A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EP15535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special coding on pixel located at the border area of a plasma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