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693B1 -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693B1
KR100279693B1 KR1019980023129A KR19980023129A KR100279693B1 KR 100279693 B1 KR100279693 B1 KR 100279693B1 KR 1019980023129 A KR1019980023129 A KR 1019980023129A KR 19980023129 A KR19980023129 A KR 19980023129A KR 100279693 B1 KR100279693 B1 KR 10027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riving force
toner supply
main assembly
suppl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435A (ko
Inventor
아유무 무라까미
교따 미야자끼
가쯔야 무라까미
후미오 다자와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9001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가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b)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와, (c)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부와, (d)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e)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와, (f)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는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토너 공급 용기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 사진 복사기와,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모사 전송기, 워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는 전자 사진 복사기 혹은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분말을 현상제로 사용해 왔다. 장치의 주 조립체의 현상제가 떨어지면,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를 사용해서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된다.
공지된 시스템에서는 토너가 미세 가루 혹은 미세 입자이므로, 토너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보관되고 토너 공급 작동 동안 소형 개구를 통해 낮은 비율로 토출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는, 중력 등에 의해 토너가 하강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일종의 공급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한 토너 공급 수단이 제공되는 토너 공급 용기의 예가 일본 특허 출원 평7-113796호에 개시되었다. 토너 공급 용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일 단부에는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에는, 용기의 단부 벽을 관통하며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나선형 토너 공급 수단이 제공된다.
구동 전달을 위해 단부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서 토너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베어링 밀봉 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밀봉 기구는 공급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는 기어 부재를 포함하고, 시일이 기어 부재와 용기 벽면 사이에 개재된다. 시일은 많은 경우에 환형 울 펠트, 오일 시일 등이다.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보관되어 사용되고, 토너는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되는 토너 공급 수단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며, 토너는 개구를 통해 낮은 비율로 토출된다.
한편, 토너 공급 수단을 갖는 다른 토너 공급 용기가 일본 특허 공개 평7-44000호에 개시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는 원통형 병의 형태이고, 그 내부면에는 나선형 리브가 구비되고, 작은 토너 토출 출구가 한 단부의 중앙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상기에 설명한 종래의 예와는 대조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는 어떠한 내부 공급 수단도 갖지 않으며,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보관되어 사용되고 용기의 본체 자체는 주 조립체에 의해 회전되어 토너를 공급한다. 토출 출구 부근의 단부로 이송된 토너는 용기의 중앙에 인접한 토출 출구 쪽으로 융기한 개구에 인접한 연장부에 의해 안내되고, 그런 다음 토출된다.
지금까지는 전자 사진 복사기 혹은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분말을 현상제로 사용해 왔다. 장치의 주 조립체의 현상제가 떨어지면,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를 사용해서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된다.
공지된 시스템에서는 토너가 미세 가루 혹은 미세 입자이므로, 토너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보관되고 토너 공급 작동 동안 소형 개구를 통해 낮은 비율로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보관되고 높은 신뢰도로 토너를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저렴한 타입의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확실하게 토너를 교반하고 공급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로서,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b) 토너 수용부에 수용되는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와, (c) 토너 공급 포트를 향해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부와, (d)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제1 구동력 수용부와, (e)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와, (f)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제2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는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장치의 주 조립체에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인 전자 사진 복사기의 개략 단면도.
도2는 토너 공급 용기의 측면도.
도3은 토너 공급 용기의 측단면도.
도4는 토너 공급 용기의 정면도.
도5는 토너 공급 용기의 정단면도.
도6a 내지 도6e는 토너 공급 용기용 밀봉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6a는 정면도, 도6b는 A 선을 따라 본 도면, 도6c는 도6a의 선 B를 따라 본 도면, 도6d는 도6a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6e는 도6a의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7은 주 조립체에 장착된 토너 공급 용기의 개방 상태의 측단면도.
도8a 내지 도8c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제1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8a는 정면도, 도8b는 배면도, 도8c는 측단면도.
도9a 내지 도9d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제2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9a는 정면도, 도9b는 평면도, 도9c는 도9a의 선 A를 따라 본 도면, 도9d는 도9c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0은 개봉되었으며 전자 사진 복사기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측단면도.
도11은 전자 사진 화상 복사기의 사시도.
도12는 토너 공급 용기 교환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전자 사진 복사기에 장착되는 시점의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13a 내지 도13c는 상기 전자 사진 복사기의 토너 공급 용기 교환용 커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3a는 측면도, 도13b는 정면도, 도13c는 평면도.
도14a 및 도14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4a는 밀봉 부재 근처의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14b는 핸들 근처에서 본 사시도.
도15a 내지 도15f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5a는 정면도, 도15b는 단면도, 도15c는 좌측면도, 도15d는 우측면도, 도15e는 측단면도, 도15f는 평면도.
도16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위치되고 공급 포트가 밀봉되어 있는 토너 공급 용기의 정단면도.
도17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위치되고 공급 포트가 개봉되어 있는 토너 공급 용기의 정단면도.
도18a 및 도18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8a는 보조 포트 근처의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18b는 핸들 근처의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19a 내지 도19f는 토너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9a는 정면도, 도19b는 단면도, 도19c는 좌측면도, 도19d는 우측면도, 도19e는 측단면도, 도19f는 평면도.
도20a 내지 도20d는 밀봉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0a는 정면도, 도20b는 선 A를 따라 본 도면, 도20c는 선 B를 따라 본 도면, 도20d는 정단면도.
도21a 내지 도21c는 교반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1a는 정면도, 도21b는 좌측면도, 도21c는 우측면도.
도22는 강성 블레이드부의 확대 측면도.
도23은 가요성 블레이드부의 확대도.
도24a 내지 도2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4a는 정면도, 도24b는 좌측면도, 도24c는 우측면도, 도24d는 저면도.
도25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26은 제2 커플링 부재의 세부도.
도27a 내지 도27c는 기어부의 세부도.
도28a 내지 도28d는 가동 부재의 세부도.
도29는 제2 커플링 부재의 세부도.
도30a 내지 도30d는 구동 전달 클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30a는 정단면도, 도30b는 측면도, 도30c는 정면도, 도30d는 평면도.
도31a 내지 도31d는 전달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31a는 정단면도, 도31b 및 도31c는 측면도, 도31d는 정면도.
도32는 밀봉 부재 및 공급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1 : 토너 공급 용기
2, 302 : 토너 이송 부재
2A : 축부
2B : 블레이드부
3, 11, 303 : 밀봉 부재
4, 4', 305 : 교반 부재
100 : 주 조립체
다음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전자 사진 복사기,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한 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00은 프린터(1000)와 스캐너(2000)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를 나타내는데, 아래에서는 간단히 주 조립체로 기재하기로 한다.
문자 숫자식 참조 부호 100f는 프린터(1000)에 장착되는 상부 카세트를 나타낸다. 이 상부 카세트(100f)의 기록 매체(이하 "시트")는 하나씩 분리되어 분리기 클로(도시되지 않음) 및 공급기 롤러(101)에 의해 기록 롤러(106)로 안내된다. 도면 부호 102로 표시된 카세트는 바닥 카세트이다. 이 바닥 카세트(102)의 시트는 하나씩 분리되고 분리기 클로(도시되지 않음) 및 공급기 롤러(103)에 의해 기록 롤러(106)로 이송된다. 기록 매체로는 일반 용지, OHP 용지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11은 레이저 기록 장치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2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3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4는 화상 현상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5는 전사 대전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6은 분리기 대전기를 나타낸다. 이 부품들이 화상 형성부를 구성한다. 도면 부호 117은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8은 고정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19는 토출 롤러를 나타낸다.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토출기 롤러(119)에 의해 정렬기(2)로 배출된다.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된 용기가 다음에 설명할 토너 공급 용기이다.
같은 도면에서, 도면 부호 201은 스캐너(2000)의 광원을 나타내고, 202는 플래튼 유리를 나타내고, 203은 원본을 아래로 누르는 힌지된 또는 가요성 판을 나타내고, 204는 렌즈를 나타내고, 205는 수용기 요소(광전 변환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06은 화상 처리부를 나타낸다. 스캐너(2000)에 의해 판독되는 원본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206)에 의해 처리되고 전기 신호(207)로 전환된 후 레이저 기록 장치(111)로 전송된다. 그리고 나서, 화상 데이터에 따라 광학 화상이 화상 기록 시스템(113)을 통해 감광 드럼(112)의 주위면에 형성된다.
전사 대전기(115)는 감광 드럼(112)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시트로 전사시키기 위한 대전기이다. 분리기 대전기(116)는 토너 화상이 이전된 시트를 감광 드럼(112)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대전기이다. 고정 장치(118)는 열과 압력을 사용해서 시트 상의 토너 화상을 시트에 영속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주 조립체(100) 내에, 화상 현상부(114)와, 세척부(120)와, 주 대전기(121)가 감광 드럼(112)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화상 현상부(114)는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따라 감광 드럼(112) 상에 형성된 정전기적 잠상을 현상하는 부분이다. 토너를 현상부(114)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용기(1)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주 조립체(100)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화상 현상부(114)는 토너 호퍼(hopper)(114a)와, 화상 현상 장치(114b)를 포함한다. 토너 호퍼(114a)는 토너 공급 용기(1)에서 공급되는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114c)를 포함한다. 이 교반 부재(114c)에 의해 교반된 토너는 자기 롤러(114d)에 의해 화상 현상 장치(114b)로 전달된다. 현상 장치(114b)는 화상 현상 롤러(114f)와 토너 전달 부재(114e)를 포함한다. 자기 롤러(114d)에 의해 토너 호퍼(114a)에서 전달된 토너는 토너 전달 부재(114e)에 의해 화상 현상 롤러(114f)로 전달되고 나서, 화상 현상 롤러(114f)에 의해 감광 드럼(112)으로 공급된다.
세척부(120)는 감광 드럼(112)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부분이다. 주 대전기(121)는 감광 드럼(112)을 대전시키는 대전기이다.
프린터(1000) 및 스캐너(2000)는 도면에 도시된 대로 서로 분리형이거나 일체형일 수 있다. 일체로 된 경우에는, 두 개의 결합은 "화상 형성 장치"로 불린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신호가 입력 신호에 따라 변조되는 레이저 광선을 투영하는 프린터(1000)의 레이저 화상 기록 장치(111)로 입력되면 프린터(1000)는 복사기용 출력 장치로 작동하고, 팩시밀리 신호가 기록 장치(111)로 입력되면 프린터(1000)는 팩시밀리용 출력 장치로 작동한다.
또, 개인용 컴퓨터에서 나온 출력 신호가 프린터(1000)의 기록 장치(111)로 입력되면 프린터(1000)는 소위 프린터로 작동한다. 한편, 스캐너(2000)의 화상 데이터 처리부(206)로부터의 신호가 팩시밀리 신호로서 팩시밀리에 전송되기도 한다. 또한, 프레싱 플래튼(203)이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자동 원본 공급 장치(250)로 대체되어서 다수의 원본을 자동 판독할 수도 있다.
도11에 도시된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토너 공급 용기를 대체하는 커버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어 용기 장착부(50)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빼낸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상기 용기 장착부(50) 상에 위치된다. 토너 공급 용기(1)를 주 조립체(100)에서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커버(15)를 개방해서 용기 장착부(50)를 빼내고, 용기(1)를 용기 장착부(50)로부터 제거한다. 커버(15)는 토너 공급 용기(1)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데 쓰이고, 용기(1)를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만 개폐된다. 주 조립체(100)의 관리를 위해 정면 커버(100c)가 구비된다.
여기서는 용기 장착부(50)를 없애고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에 직접 장착되거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를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측면도이고, 도3은 토너 공급 용기(1)의 측벽에 평행한 부분의 부분도이고, 도4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정면도이고, 도5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정면 벽에 평행한 토너 공급 용기(1)의 부분도이다. 토너는 감광 드럼(112)의 주위면 상에 형성된 정전기적 잠상을 현상하는 물질이다. 단일 성분 토너 혹은 2 성분 토너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A는 토너 공급 용기(1)의 본체(이하에서는 "본체")를 나타내고, 2는 토너 이송 부재를 나타내고, 3은 밀봉 부재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는 교반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은 주 조립체(100)의 토너 호퍼(114a)의 토너 수용구를 나타낸다. 토너 공급 용기(1)에서 토출되는 토너는 이 토너 수용구(10)를 통해 토너 호퍼(114a)로 안내된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토출된 토너는 직선으로, 즉 토너 호퍼(114a)를 통과하지 않고 화상 현상 장치(201b)로 안내되도록 배열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본체(1A)는 곡면 벽부(1F)와, 직선 벽부(1G) 및 반원형 벽부(1H)를 포함한다. 곡면 벽부는 바닥 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직선 벽부는 곡면 벽부 바로 아래에 있고, 그 폭은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일정하다. 반원형 벽부(1H)는 직선 벽부의 바로 아래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닥부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될 때 바닥면에 위치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바닥면 및 상부 표면은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될 때 각각 바닥 및 상부에 위치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측면은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있는 경우에 직립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주 조립체(100)의 토너 공급 용기(1)의 위치는 도2 내지 도5 및 도7, 도10, 도14a 및 도14b, 도15a 내지 도15f, 도18a 및 도18b, 도19a 내지 도19f, 도32에서 모두 동일하다.
먼저, 용기 본체(1A)를 설명하기로 한다. 측벽(1A2), 즉 본체(1A)의 일 종단부에 위치된 측벽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된 토너 토출부(1a)가 본체(1A)에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토너 저장부(1A3)에 저장된 토너가 주 조립체(100)로 토출된다. 이 토너 토출부(1a)에는 토너가 토출되면서 통과하는 토너 토출구(1g)가 구비된다.
또한, 용기 본체(1A)에는 측벽(1B), 즉 본체(1A)의 다른 종단부 상에 위치된 측벽의 바닥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베어링부(1b)가 구비되는데, 토너 이송 부재(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베어링부(1b)는 토너 토출부(1a)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또, 용기 본체(1A)에는 베어링부(1c, 1d)가 제공되는데, 이 베어링부는 토너 토출부(1a, 1b)의 상부에 위치하고, 교반 부재(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용기 본체(1A)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용기 본체(1A)의 재료 및 제작 방법은 각기 플라스틱 재료와 사출 성형과는 상이하다.
용기 본체(1A)는 제조 상황에 따라 2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용접, 압접, 혹은 그밖의 다른 방법 등에 의해 합체된다. 본 실시예의 용기 본체(1A)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상부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은 사출 성형에 의해 고충격 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되어서 진동 용접에 의해 서로 용접된다.
다음은 토너 이송 부재(2)를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이송 부재(2)는 토너 토출구(1g)로 토너 저장부(1A3)에 저장된 토너를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토너 이송 부재는 축부(2A)와, 나선 블레이드(2B), 즉 실제 토너 이송부로 구성되고, 이송부는 축부(2A) 주위에 체결되고 축부(2A) 회전 시 소정 방향으로 토너를 이동시킨다. 토너 이송 부재(2)는 축부(2A)의 축선이 원형 토너 토출구(1g)의 중앙과 거의 정렬되는 방식으로 용기 본체(1A)에 부착된다.
토너 이송 부재(2)의 배열이 전술한 바와 같은 소위 나사형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축부(2A)와 이 축부(2A)에 부착된 가요성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축부(2A)와 블레이드부(2B)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2A)와 블레이드부(2B)가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 성형된다.
또한 토너 이송 부재(2)는 토너 토출부(1a)의 원통형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부분(2C)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2C)는 토너 토출부(1a)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토너 이송 부재(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힘이 토너 토출부(1a)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부분(2C)을 통해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 이송 부재(2)로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2C)에는 축부(2A)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밀봉 부재(3)가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는 네 가지 기능, 즉 (1) 토너 토출부(1a)를 밀봉하고, (2) 주 조립체(100)에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고, (3) 회전 구동력을 토너 이송 부재(2)로 전달하고, (4) 주 조립체 측면에 제공된 커플링 부재(6)와 결합하여 토너 토출부(1a)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바꾸어 말하면, 밀봉 부재(3)가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한 구동력은 연장부(2C)를 통해 축부(2A)로 전달되어 토너 이송 부재(3)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기능은 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부(2C)의 외측 단부(2a)는 밀봉 부재(3)를 통해 주 조립체(10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도록 된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단부(2a)는 "H"자형으로 절결되어서, 토너 토출부(1a)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2C)의 일부(2a)에 의해 축부(2A)가 밀봉 부재(3)에 의해 지지된다. 축부(2A)의 타 단부는 용기 본체(1A)의 베어링부(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리하여, 토너 이송 부재(2)는 토너 공급 용기(1)가 개봉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토너 이송 부재(2)는 밀봉 부재(3)에 의해 지지되어 토너 이송 블레이드(2B)는 토너 토출부(1a)의 내부면(1a1)과 접촉되지 않고, 또 축부(2A)가 토너 토출부(1a)의 내부면(1a1)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토너 이송 부재(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됨으로써, 토너 이송 부재(2)가 회전될 때 토너는 대체로 수평하게 토너 토출구(1g) 쪽으로 이송되고, 극미의 토너 입자들이 블레이드(2B)와 토너 토출부(1a)의 내부벽(1a1) 사이의 간극에 강제로 끼워지거나, 벽(1a1)에 대해서 마찰되거나, 녹거나, 벽(1a1)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극미 토너 입자들이 보다 큰 입자로 뭉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토너 이송 부재(2)가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재료와 제조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재료와 제조 방법 외의 재료 및 방법 사용될 수 있다. 토너 이송 부재(2)는 예를 들어 개별 형성되어 조립되는 수개의 임의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부(1b)에는 밀봉 부재(11)가 구비되고, 이는 토너가 베어링부(1b)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은 도6a 내지 도6e를 참조하여 밀봉 부재(3)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a는 프린터의 정면에서 바라본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6b는 도6a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바라본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6c는 도6a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바라본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6d는 도6a의 선 X-X에서 취한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6e는 도6a의 선 Y-Y에서 취한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e에서, 참조 부호 3b는 밀봉 부재(3)의 실제 시일을 나타내고, 이는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토출구(1g)를 개폐시키도록 밀봉 부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 상에 위치된다. 시일(3b)의 외경은 토너 토출구(1g)의 직경에 비해 소정 양만큼 약간 크게 되어 있고, 밀봉 부재(3b)의 플러그부(3b1)가 토너 토출부(1a)의 토너 토출구(1g)로 강제 삽입됨으로써 토너 토출구(1g)가 밀봉된다.
참조 부호 3c는 커플러부를 나타내고, 이 커플러부는 밀봉 부재(3)가 이를 통해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 이송 부재(2)를 구동하는 힘을 수용하는 전달부를 구성한다. 커플러부(3c)는 축부(3c1)와 리브(3d)를 포함한다. 축부(3c1)는 용기 본체(1a)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부(2A)와 이 축부(3c1)의 축선은 대체로 서로 일치한다. 리브(3d)는 스플라인 형태이고, 실질적으로 구동력을 수용하는 부분을 이룬다. 이들은 축부(3c1)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축부(3c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축부(3c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제1 커플링 부재(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리브(3d)가 축부(3c1)의 외주면 주위에 고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3)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한 구동력을 토너 이송 부재(2)로 전달하도록 토너 이송 부재(2)의 외측 단부(2a)와 결합되는 부분을 이루는 암형 커플러부(3a)를 포함한다. 이 암형 커플러부(3a)는 플러그부(3b1)와 수형 커플러부(3c)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형 커플러부(3a)의 단면은 "D"자형이고, 토너 토출부(1a)의 외부로 돌출한 토너 이송 부재(2)의 외부면(2a)의 단면 형태와 대응한다. 외부면(2a)이 암형 커플러부(3a)에 느슨하게 끼워지도록 암형 커플러부(3a)의 단면은 토너 이송 부재(2)의 외부면의 단면에 비해 약간 크게 만들어진다.
외측 단부(2a)가 암형 커플러부(3a), 즉 커플링 구멍(3a)에 느슨하게 끼워짐으로써, 토너 이송 부재(2)와 밀봉 부재(3)는 토너 이송 부재(2)의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면서 토너 이송 부재(2)의 회전 방향으로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3)와 용기 본체(1A)는 분리되어 토너 토출구(1g)를 개봉(개방)시킬 수 있다.
밀봉 부재(3)의 실제 시일(3b)이 용기 본체(1A)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커플링 구멍(3a)과 외측 단부(2a)는 서로 분해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커플링 구멍(3a)과 외측 단부(2a)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밀봉 부재(3)의 실제 시일(3b)이 용기 본체(1A)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토너 이송 부재(2)는 밀봉 부재(3)(암형 커플러부(3c))를 통해 구동력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3)는 수형 커플러부(3a)와 실제 시일(3b)의 사이에 있고, 실제 시일(3b)이 토너 토출부(1a)로 가압될 때 토너 토출부(1a)의 단부와 접촉하는 플랜지부(3f)를 포함한다. 플랜지부(3f)의 외경은 토너 토출부(1a)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하다. 플랜지부(3f)가 구비됨으로써, 정확히 플러그부(3b1)의 길이만큼 실제 시일(3b)이 토너 토출부 속으로 가압된다.
참조 부호 3e는, 수형 커플러부(3c)의 끝에 위치하며 도7에서 도시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되었을 때 주 조립체 측면 상의 로킹 부재(6)와 결합하는 돌기를 나타낸다. 돌기(3e)가 로킹 부재(6)와 결합됨으로써, 밀봉 부재(3)는 토너 토출구(1g)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밀봉 부재(3)도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지 이외의 다른 재료와 사출 성형 이외의 다른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밀봉 부재(3)는 개별 형성하여 조립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3)는 토너 토출부(1a) 속으로 가압되었을 때 토너 토출부(1a)를 적절하게 밀봉하도록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밀봉 부재(3)용 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고밀도의 폴리에틸렌 등도 사용 가능하다.
다음은 교반 부재(4)를 설명하기로 한다. 교반 부재(4)는 뭉친 토너 입자들을 분쇄하고, 토너 저장 용기(1A3)에서 토너가 불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너 저장 용기(1A3)에 저장된 분말 토너를 교반하는 부재이며, 토너 저장부(1A3)의 어느 부분이 남아 있지 않게 토너 저장부(1A3)로부터 분말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교반부(4)는 축부(4A)와 이 축부(4A)에 부착되어 축부(4A)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토너 입자들의 집합물을 분쇄하는 교반 블레이드부(4B)로 이루어져 있다.
교반 부재(4)는 베어링부(1c, 1d)에 의해 축부(4A)의 각 종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부(1c, 1d)는 토너 토출부(1a) 및 베어링부(1b) 상에 각기 위치한다. 또한, 교반 부재(4)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는 커플러 클로(4c)를 포함한다. 커플러 클로(4c)는 종단부(4a), 즉 베어링부(1c)에 의해 지지되는 토너 토출부 측면 상의 교반 부재(4)의 종단부에 부착된다.
또한 교반 부재(4)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이외의 재료 및 제조 방법 외의 재료와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또, 교반 부재(4)는 개별 형성되어 조립되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부(1c, 1d)에는 각각 밀봉 부재(12, 13)가 구비되어, 분말 토너가 베어링부(1c, 1d)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은 토너 공급 용기(1)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1)를 조립하는 데에 있어서, 먼저 토너 이송 부재(2)와 교반 부재(4)가 용기 본체(1A)의 바닥 프레임(1K)에 부착된다. 다음에, 용기 본체(1A)의 상부 프레임(1J)이 바닥 프레임(1k)에 접착된다. 접착 방법에는 다양한 공지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초음파 용접이 간단하고 또한 토너 공급 용기가 밀폐되는 점에서 우수하므로 이 용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소정량의 토너가 용기 본체(1A)에 채워진 다음, 토너 토출구(1g)가 밀봉 부재(3)로 밀봉되어 토너 공급 용기(1)가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의 조립은 매우 간단하고 매우 적은 수의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토너는 토너 토출구(1g)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1)에 채워진다. 그러나, 토너는 용기 본체(1A) 벽의 최적 지점에 형성되고 토너 충전 후 캡 등으로 밀봉되는 전용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채워질 수 있다. 또, 토너 이송 부재(2), 교반 부재(4) 및 밀봉 부재(3)가 바닥 프레임(1K)에 조립된 후, 상부 프레임(1J)이 바닥 프레임(1K)과 결합되기 전에 토너가 용기 본체(1A)의 바닥 프레임(1K) 내에 채워지기도 한다.
다음은 도7을 참조하여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 조립체(100)의 토너 공급 용기 교체 커버(15)를 개방하여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삽입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삽입되면, 밀봉 부재(3)의 수형 커플러부(3c)가 주 조립체 측면에 로킹 부재(6)와 결합한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 교체 커버(15)가 닫힌다. 커버(15)가 닫히면, 주 조립체(100) 측면 상의 개폐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밀봉 부재(3)는 토너 토출구(1g)로부터 분리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이러한 이동 중에 및 그 후에, 토너 이송 부재(2) 및 밀봉 부재(3)는 그 회전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토너 공급 용기(1)의 이러한 이동 중에, 밀봉 부재(3)는 수형 커플러부(3c)에 의해 주 조립체(100) 측면 상의 제 1 커플링 부재(5)와 결합한다. 제1 커플링 부재(5)는 밀봉 부재(3)로 주 조립체(100) 내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러이다.
따라서, 토너 이송 부재(2)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3)에 의해 수용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토너 토출구(1g)를 통해 주 조립체(100)로 토너를 지속적으로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검출기(114g)가 토너 호퍼부 내에 마련되고, 토너 검출기(114g)가 토너의 부재를 검출하면, 밀봉 부재(3)가 회전되고, 반면 토너 검출기(114g)가 토너의 존재를 검출하면, 밀봉 부재(3)의 회전은 멈춘다. 다시 말하면, 밀봉 부재(3)는 주 조립체(100) 측면 상의 토너 소모에 응답하여 간헐적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토너는 지속적이지만 간헐적으로 주 조립체(100)에 공급된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되었으므로, 토너 공급 용기(1)내 토너의 전량이 주 조립체(100)로 1 회에 모두 투입될 수 있다.
다음은 토너 공급 용기(1)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1)내의 토너 전량이 화상 형성 처리를 통해 소모된 경우에는, 주 조립체(100) 측면에 마련된 토너 소진 검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 전량이 소진된 것이 검출되면, 사용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100b)(도11)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 소진을 인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는 사용자 본인에 의해 교체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교체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11 및 도13a 및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혀 있는 토너 공급 용기 교체 커버(15)가 개방된다. 커버는 도12 및 도1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힌지(18)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 교체 커버(15)의 개방 이동에 이어, 용기 본체(1A)의 이동에 의해 용기 본체(1A)로부터 분리되고, 토너 토출구(1g)를 개방 유지시키는 위치에 있는 밀봉 부재(3)는 토너 토출부(1a) 개폐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토너 토출부(1a)로 가압되어, 그 결과 토너 토출구(1g)가 닫힌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주 조립체(100)에 내장되어 있는 토너가 소진된 토너 공급 용기(1)를 도13c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1)를 당김으로써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한다. 그런 다음,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1)를 화살표 방향으로 주 조립체(100)에 삽입하고, 커버(15)를 덮는다(도13a 및 도13b). 커버(15)의 폐쇄 이동 후에, 밀봉 부재(3)가 토너 토출부(1a)의 개폐 수단에 의해 용기 본체(1A)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토너 토출구(1g)가 밀봉된다. 이상 토너 공급 용기(1)를 교체하는 단계들이다.
도8a 내지 도8c는 제1 커플링 부재(5)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8a는 커플러부(5)의 정면도, 도8b는 커플러부(5)의 후면도, 도8c는 그 축선에 평행한 커플러부(5)의 단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c에서 참조 부호 5a는 커플링 부재(5)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기어부를 나타낸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이 기어부(5a)를 통해 주 조립체(100)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한다.
참조 부호 5b는 밀봉 부재(3)와 연결되는 커플링 구멍을 나타낸다. 커플링 구멍(5b)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밀봉 부재(3)의 스플라인형 돌기의 하나와 결합되는 요홈(5c)이 구비된다. 커플링 구멍(5b)의 단부의 하나, 즉 토너 공급 용기(1)를 향한 단부는 테이퍼져 있어서 안내부(5d)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에는 스플라인형 돌기(3d)가 제공되고, 제1 커플링 부재(5)에는 12 개의 결합 요홈(5c)이 구비된다. 결합 요홈(5c)의 개수는 스플라인형 돌기(3c)보다 많게 되어 있고, 또한 커플링 구멍(5b)의 입구측에는 안내부(5d)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스플라인형 돌기(3d)와 결합 요홈(5d)이 회전 위상 면에서 정렬되지 않더라도 밀봉 부재(3)는 제1 커플링 부재(5)와 확실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밀봉 부재(3)의 스플라인형 돌기(3d)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될 필요가 없고, 임의적임에 유의해야 한다. 또, 결합 요홈(5c)의 개수도 12 개로 한정될 필요가 없고, 임의적이다.
교반 부재(4)는 결합 클로(4c), 즉 교반 부재(4)가 제2 커플링 부재(9)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공된 교반 부재(4)의 종단부(4a)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9), 즉 교반 부재를 구동하는 주 조립체(100) 측면에 제공된 부재와 결합된다. 제2 커플링 부재(9)는 주 조립체(100) 측면의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교반 부재(4)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러이다.
도9a 내지 도9d는 제2 커플링 부재(9)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9a는 제2 커플링 부재(9)의 측면도, 도9b는 도9a에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 도9c는 도9a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 도9d는 도9c에서 선 X-X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9a는 커플링 부재(9)의 주 조립체 측면의 축부를 나타내며, 이 축부를 통하여 교반 부재(4)를 구동하는 힘이 주 조립체(100)로부터 교반 부재(4)로 전달된다. 참조 부호 9d는 제1 커플링 부재(9)의 축선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제2 커플링 부재(9)의 토너 공급 용기(1) 측면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한 결합 클로를 표시하며, 축부(9a)에 의해 주 조립체(100)에서 수용된 구동력을 교반 부재(4)에 전달한다. 제1 커플링 부재(9)는 2개의 결합 클로(9b)를 갖는다.
축부(9a)가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 결합 클로(9b)가 교반 부재(4)의 결합 클로(4c)와 결합됨으로써, 제2 커플링 부재(9)가 회전되고, 교반 부재(4)가 회전된다.
제2 커플링 부재(9)와 교반 부재(4)의 결합 클로(9b, 4c)는, 토너 공급 용기(1)에 설치되는 순간에는 결합 클로(9b, 4c)의 회전 위상이 오정렬되더라도 자동적으로 정렬되고 확실하게 결합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에 설치되면,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토출부(1a)는 주 조립체(100)의 홀더(6a)에 보유되고, 토너 토출부(1a)의 외주면과 홀더(6a)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는 원형 밀봉 부재(8)에 의해 밀봉된다.
다음은 토너의 토출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커플링 부재(5)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주 조립체(100) 측면의 전기 모터 등의 동력원(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수용한다. 제1 커플링 부재(5)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요홈(9c)과 스플라인형 돌기(3d)의 사이의 결합을 통해 밀봉 부재(3)로 전달된다. 밀봉 부재(3)에 전달된 구동력은 "D"자형 단면을 갖는 커플링 구멍(3)과 "D"자형 단면을 갖는 외측 단부(a)의 사이의 결합을 통해 토너 이송 부재(2)로 더 전달된다.
제2 커플링 부재(9)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주 조립체(100) 측면 상의 전기 모터 등의 동력원(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한다. 클로(9b, 4c)가 서로 결합하기 때문에, 제2 커플링 부재(9)에 전달된 구동력은 교반 부재(4)로 전달되고, 교반 부재(4)를 회전시킨다. 교반 부재(4)가 회전되면, 토너 공급 용기(1)의 수송 동안 발생되는 진동이나 토너 공급 용기(1)가 장기간 저장되는 동안 발생되는 토너로부터의 공기 누출로 인해 뭉쳐진 토너 입자의 "브리징(bridging)" 문제를 방지하도록 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이송 부재(2)와 교반 부재(4)의 회전수는 각각 약 37 회전/분, 8 회전/분으로 설정된다.
교반 부재(4)에 의해 분리되어진 입자들인 토너는 토너 이송 부재(2)가 회전되면서 토너 토출구(1a)를 향하여 이송된다. 그런 다음, 토너 토출구(1g)에서 토출되어, 주 조립체(100)의 토너 토출구(10)를 통해 주 조립체(100)의 토너 호퍼(114a)로 낙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토출구(1g)와 토너 수용구(10)의 사이의 부분은 밀봉 부재(8)에 의해 밀폐되고, 따라서 토너 토출구(1g)에서 토출된 토너 입자들은 주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누출 및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는 밀봉 부재(3)가 토너 토출구(1g)의 외부에 바로 보유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토너의 뭉친(flocculency) 정도에 따라 토너가 토너 토출구(1g)에서 토출되지 못하는 것을 밀봉 부재(3)가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 거리가 밀봉 부재(3)와 토너 토출구(1g)의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토너 토출구(1g)에 인접한 토너 토출부(1a)가 막히는 문제와 이 막힘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이 방지될 수 있다.
또, 교반 부재(4)를 구동하는 힘과 토너 이송 부재(2)를 구동하는 힘은 주 조립체(100) 측면 상에서 분리되어 있고, 독립적으로 교반 부재(4)와 토너 이송 부재(2)에 전달된다. 따라서, 기어 등이 서로 마찰하는 지역, 즉 주 조립체(100) 측면으로부터의 구동력이 통과하여 토너 공급 용기(1)에 전달되는 조인트는 토너가 저장된 공간에 있지 않다. 따라서, 토너 입자들은 더 큰 입자들로 뭉치지 않게 된다.
주 조립체(100) 측면 상에서 교반 부재(4)를 구동하는 힘과 토너 이송 부재(2)를 구동하는 힘을 분리하는 배열은 용기 본체(1A) 내에서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구동력을 분리하는 배열에 비해 토너 공급 용기(1)의 단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프린터 운용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용기의 종방향에 평행한 토너 공급 용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용기는 전기 사진 복사기의 주 조립체 내에 있고, 개방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7의 참조 부호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대응되는 구성 요소 및 부분들을 표시한다.
도10에서, 참조 부호 4'는 본 실시예에서 축부의 양 종단부(4a, 4b)로부터 구동되는 교반 부재를 나타낸다. 단부(4a, 4b)에는 각각 주 조립체(10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는 결합 클로(4c, 4d)가 구비되고, 이 단부는 토너 공급 용기(1)의 베어링부(1c, 1e)에 의해 각기 지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로 설치되면, 교반 부재(4)의 종단부(4a)에 있는 결합 클로(4c)가 주 조립체(100) 측면 상의 제2 커플링 부재(9)의 결합 클로(9b)와 결합하고, 교반 부재(4)의 다른 종단부(4b)의 결합 클로(4d)는 제2 커플링 부재(9)의 구성과 동일한 제3 커플링 부재(14)의 결합 클로(14a)와 결합한다(도9a 내지 도9d).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와 주 조립체(100)는, 교반 부재(4')의 결합 클로(4c, 4d)와 제2 및 제3 커플링 부재(9, 14)의 결합 클로(9b, 14a)가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100)로 설치되는 순간에는 회전 위상이 각각 서로 정렬되지 않더라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정렬되어 확실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10에서, 참조 부호 M1은 토너 이송 부재(2)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주 조립체(100)에 배치된 제1 모터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M2는 교반 부재(4')의 종단부 양쪽으로부터 교반 부재(4')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교반 부재(4')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주 조립체(100)에 배치된 제2 모터를 나타낸다.
다음은 토너의 토출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커플링 부재(5)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주 조립체(100) 측면 상의 제1 모터(M1)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한다. 제1 커플링 부재(5)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요홈(5c)과 스플라인형 돌기(3d)의 사이의 결합을 통해 밀봉 부재(3)로 전달된다. 밀봉 부재(3)에 전달된 구동력은 "D"자형 단면을 갖는 커플링 구멍(3)과 "D"자형 단면을 갖는 외측 단부(2a)의 사이의 결합을 통해 토너 이송 부재(2)로 전달된다.
제2 및 제3 커플링 부재(9, 14)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2 모터(M2)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한다. 제2 및 제3 커플링 부재(9, 14)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교반 부재(4')의 결합 클로(4c)와 제2 커플링 부재(9)의 결합 클로(9b)의 사이의 결합과, 교반 부재(4')의 결합 클로(4c)와 제3 커플링 부재(14)의 결합 클로(14a)의 사이의 결합을 통해 교반 부재(4')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 조립체(100) 내의 토너 공급 용기(1)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프린터에 입력되면, 우선 교반 부재(4')가 소정 시간 동안 회전되고, 그리고 나서 교반 부재(4')와 토너 이송 부재(2)가 함께 회전된다. 또, 주 조립체(100) 내의 토너 공급 용기(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가 프린터에 입력되면, 교반 부재(4')와 토너 이송 부재(2)가 동시에 정지되거나, 토너 이송 부재(2)를 정지시킨 후에 교반 부재(4')가 소정 시간 동안 정지된다.
토너 이송 부재(2)의 회전을 개시하기 전에 그리고 토너 이송 부재(2)의 회전을 정지한 후에 교반 부재(4')를 소정 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배열에 의해, 뭉쳐 있던 토너 입자들은 항상 토너가 토출되기 전에, 동안에 그리고 그후에 분산된다. 이리하여, 토너 공급 용기가 장기간 보관되거나, 이송 중에 진동 혹은 바람직하지 못한 주위 조건(고온 다습) 하에 놓인 결과 토너 내에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면서 토너가 밀도 있게 뭉치게 된 경우에도, 토너는 소정 속도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정확히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동일한 효과를 본 실시예에서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교반 부재(4')는 양 종단부에서 구동되므로, 교반 부재(4')가 받는 비틀림 힘은 제1 실시예 내의 교반 부재(4')가 받았던 비틀림 힘만큼 크지 않다. 그러므로, 교반 부재(4')용 재료는 제1 실시예 내의 교반 부재(4)의 재료보다 비틀림 힘에 대한 내구력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보다 값싼 재료가 교반 부재(4')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반 부재(4')의 양 종단부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토너 공급 용기(1) 측면 상이 아닌 주 조립체(100) 상에 배치되므로, 토너 공급 용기(1)의 가격이 낮고, 따라서 프린터의 운용 비용을 낮춘다.
또한, 교반 부재(4')와 토너 이송 부재(2)의 회전 회수는 소정 화상 밀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원[모터(M1, M2)]의 소비 전력은 절감되어 프린터의 운용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 부재와 이 공급 부재와는 별개의 부재인 교반 부재가 구비된다.
도14a 및 도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301)의 사시도이다.
도1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정면도, 도15b는 단면도이다. 도15c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좌측면도, 도15d는 토너 공급 용기의 우측면도, 도15e는 토너 공급 용기의 측단면도, 도15f는 토너 공급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16은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설치되고 공급 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17은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 내에 설치되고 공급 개구가 밀봉된 정면도이다.
도14a 내지 도17에서, 용기의 주 조립체는 도면 부호 301A로 표시되었고, 용기의 본체(301A)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개구(301a)로 이송하기 위한 공급 부재는 도면 부호 302로 표시되었다. 토너 공급 개구(301g)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는 도면 부호 303으로 표시되었고,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구동력을 밀봉 부재(303)에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는 도면 부호 304로 표시되었다. 본체(1A) 내의 토너를 섞기 위한 교반 부재는 도면 부호 305로 표시되었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회전력을 교반 부재에 전달하는 교반 부재(305)와 결합 가능한 전달 부재는 도면 부호 306으로 표시되었다.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구동력을 전달 부재(306)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커플링 부재는 도면 부호 307로 표시되었다.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시일이 도면 부호 309로 표시되었다.
도18a 및 도18b와 도19a 내지 도19f를 참조하여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인 토너 공급 용기부(301A)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8a와 도18b는 용기의 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9a는 용기의 주 조립체의 정면도, 도19b는 단면도, 도19c는 좌측면도, 도19d는 우측면도, 도19e는 단면도, 도19f는 평면도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1A)는 하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만곡부(301F)와, 만곡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일정한 폭을 갖는 편평부(301G)와, 편평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호형부(301H)를 포함한다.
용기의 본체(301A)의 일 측면(1A1)의 하부에는, 토너 공급 개구(301a)를 형성하고 토너 수용부(1n) 내에 수용된 토너를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원통형 부재가 돌출되어 있다. 토너 공급 개구(301g)가 토너 공급 개구(301a)의 일 단부에 마련된다. 다른 측면(301B)의 토너 공급 개구(301a)에 대응하는 지점에는, 공급 부재(2)를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 수용부(301b)가 형성된다. 도면 부호 301D 외부에는, 토너 공급 용기(301)를 장착 및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주 조립체(100) 내에 마련된 토너 공급 개구 개폐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01c)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301C)는 하부면(301D)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은못(dowel) 형태이다. 상부면(301E)에는 토너 공급 용기(391)를 주 조립체(100)에 장착 및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부(301e)가 구비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용기의 주 조립체(1A)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기의 종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홈(301f)이 전방측 및 후방측의 하부 경사면(만곡면)(301F)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측면(301B)의 제1 수용부(301b1)의 상부에는, 교반 부재(30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수용부(301b2)가 마련된다.
토너 공급 개구(301a)는 본체(301A)의 종방향으로 그립부(301e)가 있는 측면(301B)의 대향하는 측면(301A1)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301)를 주 조립체(100)에 장착시킨 경우에 사용자가 토너 공급 개구(301a)를 우연히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토너 공급 개구(301a)는 측면(301A1)의 하부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301A) 내에 수용된 토너의 양이 적더라도, 토너는 효과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너 공급 개구는 측면(301A)으로부터 20 ㎜ 내지 4 ㎜, 바람직하게는 약 27.8 ㎜ 만큼 돌출된다. 토너 공급 개구(301a)는 원통형 형태이고, 원통형부의 외경은 2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약 27.6 ㎜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301C)는 하부면(301D)의 외부에 마련된다. 결합부(301C)는 토너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장치의 주 조립체(100) 에 마련된 (도8a 내지 도8c의) 로킹부(51C)에 의해 정확히 위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301C)는 하부면(301D)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원주형 돌기(도웰)의 형태이다. 원형기둥형부는 5 내지 12 ㎜, 바람직하게는 약 8 ㎜인 외경을 갖는다. 위치 설정부는 하부면(301D)으로부터 2 내지 6 ㎜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결합부(301C)(위치 설정부)는 하부면(301D)의 종방향으로 토너 공급 개구(301a)의 측면의 반대편 측방향 단부면(301B)으로부터 6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약 71 ㎜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측면(301A1)과 다른 측면(301B)에는 용기가 공장으로부터 인도되기 전에 용기의 주 조립체에 대한 치수상의 검사가 수행될 때 용기의 주 조립체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2 개의 보스(301k, 3011)가 구비된다.
오장착 방지용 리브가 도면 부호 301m으로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의 상이한 위치에 리브(301m)를 위치시킴으로써 용기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체(301A)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와 같은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 중공 성형 또는 사출 중공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다른 재료나 제작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의 본체(301A)는 용접 및 접착 등에 의해 하나로 조립되는 2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충격 폴리스티렌으로 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진동 용접에 의해 합체된다.
도16에 도시된 공급 부재(302)는 축부(302A)와, 축부(302A)의 회전에 의해 분말 토너를 소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의 기능을 하는 축부(302A) 상의 나선형 강성 이송 블레이드(302B)를 포함한다. 공급 부재(302)는 축부(302A)의 축이 대체로 원형인 토너 공급 포트(301g)의 중심과 대체로 정렬된 상태로 용기의 본체(301A)에 장착된다.
공급 부재는 전술된 바와 같이 나사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가요성 블레이드가 축부(302A)에 장착될 수 있다. 축부 및 블레이드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302A) 및 블레이드(302B)는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 부재(302)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원통형 부분 내로 연장된 연장부(302C)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302C)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 외부로 더욱 연장된다. 연장부(302C)의 외측 연장부의 자유단은 주 조립체(100)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03)는 자유단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장부(302C)의 일 단부(302a)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303)를 통해 회전력을 수용하기 위한 다각형, 특히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축부(302A)의 상기 일 단부는 연장부(302C)의 일 단부(302a)를 통해 밀봉 부재(303) 상에서 지지된다. 축부(302A)의 다른 단부(302b)에는 제1 베어링 부재(308)가 마련된다. 상기 다른 단부는 제1 베어링 부재(308)를 통해 본체(301A)에 (밀봉 해제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급 부재(302)는 공급 블레이드(302B)가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내측 벽면(301a1)과 접촉되지 않고 또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내측 벽면이 축부(302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밀봉 부재(303) 상에 지지된다. 공급 부재(302)를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함으로써, 토너는 공급 부재(302)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301g)에 대체로 수평하게 이송될 수 있다. 미세 토너 입자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내측 벽면(301a1)과 이송 블레이드(302B) 사이로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이들 사이에서 강하게 마찰됨으로써 내측 벽면(301a1)에서 용융된 결과, 크기가 큰 토너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은 공급 부재(302)를 상기 방식으로 지지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부재(2)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등의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방법 및/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공급 부재는 조립되는 개별 부재들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도20a 내지 도20d를 참조하여 밀봉 부재(30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0a는 밀봉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20b는 선 A-A를 따라 취한 도면이며, 도20c는 선 B-B를 따라 취한 도면이고, 도20d는 정단면도이다.
도20a 내지 도20d에는, 토너 공급 용기(301)의 토너 공급 포트(301g)를 개방 가능하게 밀봉하도록 밀봉 부재(303)의 토너 공급 용기(301)의 대향 측면에 마련된 시일이 도면 부호 303b로 표시되었다. 시일(303b)의 외경은 토너 공급 포트(301g)의 내경보다 적당량만큼 더 크다. 밀봉 부재(303)는 시일(303b)의 결합부(303b1)를 토너 공급 포트(301g)로부터 토너 공급 포트부(301a) 내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써 토너 공급 포트(301g)를 밀폐식으로 밀봉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공급 부재(30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드라이버)의 기능을 하는 커플링 결합부가 도면 부호 303c로 표시되었다. 커플링 결합부(303c)에는 [밀봉 부재(303)가 용기의 본체(301A)에 장착되었을 때] 공급 부재(302)의 축부(302A)의 축선과 대체로 동축으로 토너 용기의 본체(301A)로부터 대향한 방향으로 시일(303b)로부터 연장된 돌기(303c1)가 마련된다. 커플링 결합부(303C)는 돌기(303c1)의 곡면 상에 마련되고, 커플링 결합부에는 커플링 부재(304)와 결합할 수 있는 구동력 수용부의 기능을 하는 (스플라인형) 긴 돌기(리브)(303d)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스플라인형 돌기(303d)가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특히, 이들은 약 180 °간격으로 배치된다.
리브(303d)는 밀봉 부재의 외부면으로부터 0.5 ㎜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약 1.8 ㎜ 돌출된다.
돌기(303c1)의 외경은 10 ㎜ 내지 14 ㎜, 바람직하게는 약 12 ㎜이다.
밀봉 부재(303)는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공급 부재(302)의 일 단부(302a)와의 결합에 의해 공급 부재(302)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결합 구멍(303a)을 포함한다. 결합 구멍(303a)은 시일(303b) 및 커플링 결합부(303c)를 관통하는 개구(구멍)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구멍(303a)은 분말 토너 공급부(301a)로부터 돌출된 공급 부재(302)의 축의 단부(302a)의 직사각형 형태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을 갖는다. 결합 구멍의 크기는 단부(302a)가 결합 구멍(303a) 내에 느슨하게 끼워 맞춤되도록 축의 단부(302a)보다 약간 크다.
공급 부재(302) 및 밀봉 부재(303)는 단부(302a)와 결합 구멍(303a)이 느슨하게 끼워 맞춤짐으로써 회전 방향으로 상호 고정된다. 한편, 축방향으로는, 이들 사이에서의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기의 본체(301A) 및 밀봉 부재(303)는 서로 분리 가능하여, 토너 공급 포트(301g)가 토너 공급 용기 장착 시에 개방될 수 있다.
결합 구멍(303a)과 축 단부(302a) 사이의 결합 길이는 용기의 본체(301A) 및 밀봉 부재(303)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결합 구멍(303a)과 축 단부(302a)가 분리되지 않기에 충분할만큼 길다. 따라서, 밀봉 부재(301A)가 본체(301A)로부터 멀리 이동될지라도, 공급 부재(302)는 밀봉 부재(303)[커플링 결합부(303c)]를 통해 구동력을 수용할 수 있다.
커플링 결합부(303c)와 시일(303b) 사이에는, 시일(303b)이 토너 공급 포트부(301a)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었을 때 분말 토너 공급부(301a)의 단부와 맞닿는 플랜지부(303f)가 마련된다. 플랜지부의 외경은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외경과 대체로 같다[바람직하게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의 외경보다 작음]. 플랜지부(303f)에 의해, 시일(303b)은 시일(303b)의 길이만큼 토너 공급부(301a) 속으로 들어간다.
한편,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로킹 부재(6)와의 로킹 결합을 위하여 커플링 결합부(303c)의 자유단에 형성된 로킹 돌기(303e)가 도면 부호 303e로 표시되었다. 로킹 돌기(303e)에 의해 로킹 부재(6)를 고정시킴으로써, 밀봉 부재(303)가 토너 공급 포트(301g)가 개방되었을 때 고정될 수 있다.
밀봉 부재(303)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등의 수지 재료의 일체식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료, 다른 제조 방법 및/또는 비일체형 구조도 사용 가능하다. 밀봉 부재(303)는 토너 공급부(301a)를 밀봉하도록 토너 공급부(301a) 내에 억지 끼움되기에 적당한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지만, 다른 바람직한 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로킹 부재(6)를 수용하기 위한 로킹 홈이 도면 부호 303j로 표시되어 있다. 로킹 홈(303j)의 폭은 1.5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 ㎜이다. 로킹 홈의 깊이는 0.5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303)는 토너 공급 포트부(303a)와 결합할 수 있는 대체로 원통형인 결합부(303b1)를 갖는다. 플랜지부(303f)는 결합부(303b1)와 대체로 동축이다. 밀봉 부재에는 결합부(303b1)가 마련된 측면의 대향 측면에 결합부(303b1)와 대체로 동축으로 플랜지부(303f)로부터 돌출된 돌기(303c1)가 더 포함한다. 돌기(303c1)의 자유단에 인접하여 로킹 홈(303c)이 구비되며, 자유단은 로킹부(303e)로 형성된다. 결합부(303b1) 측으로부터 로킹부(303e) 측으로 연장하는 중공부가 마련되며, 이 중공부 내에는 구동력 전달부(303a)가 마련된다. 중공부의 로킹부(303e)는 개방되지 않으며, 따라서 결합부(303b1)가 토너 공급 포트부(303a)와 결합된 때 토너는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공급 포트부(303a)는 밀봉 부재(303)를 장착함으로써 밀봉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303)는 다음의 네 가지 기능을 갖는다. 특히, 그 기능은 (1) 토너 공급 포트부(301a)를 밀봉하는 것과, (2)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회전력의 전달을 수용하는 것과, (3) 회전력을 공급 부재(303)로 전달하는 것과, (4)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결합 가능 부재(6)와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밀봉 부재(303)는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연장부(302c)를 통해 축부(302A)로 전달하여, 공급 부재(302)를 회전시키게 된다.
교반 부재(30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1a 내지 도21c를 참조하면, 도21a는 교반 부재(305)의 정면도이고, 도21b는 좌측면도이며, 도21c는 우측면도이다. 도21a 내지 도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305)는 축부(305a)와, 강성 블레이드부(305b)와,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를 포함한다. 도22는 강성 블레이드부(305)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23은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확대도이다. 축부(305a)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또는 고강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 필름 또는 시트, 또는 탄성 중합체 시트 등의 저강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이다.
교반 부재(305)의 일 단부(305d)는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의 베어링부(301h)에서 전술한 전달 부재(306)와 결합한다. 다른 단부(305e)는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의 제2 수용부(301b2)에서 스톱퍼 부재(제2 베어링 부재)(301f)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305a)는 비교적 고강성의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지만, 금속 등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등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되거나, 다른 재료 및/또는 제조 방법이 사용되거나, 용접 또는 접합 등에 의해 일체화되는 2 이상의 부품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 0.8 ㎜의 두께를 갖는 프레스 가공된 스테인레스강판이 사용된다. 축부(305a)와 결합할 수 있는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결합부는 축부(305b)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도록 축부(305a)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지며, 축부(305a)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하여 용기 내의 토너를 교반한다.
도21a 내지 도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에 절결부(305h)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조립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전체 길이부는 회전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한 판의 형태이며, 회전 방향에 대하여 블레이드부의 하류측 부분은 토너 공급 용기의 내측 벽면을 향해 만곡된다. 도22에 도시된 만곡부(305b1)의 길이(r)는 약 2 ㎜ 내지 8 ㎜이고, 만곡 각도(δ)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만곡부(305b)의 길이(r)는 약 3 ㎜ 내지 5 ㎜이고, 만곡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부(305b1)의 길이는 약 5 ㎜이고, 만곡 각도는 약 45 °이다.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강성 블레이드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는 장치의 본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본체의 내경의 약 70 % 내지 95 %이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의 본체의 내경은 약 44.5 ㎜이고, 따라서 약 39.4 ㎜(89 %)이다.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플라스틱 수지재 필름 또는 시트, 또는 탄성 중합체 시트 등의 저강성 재료의 것이다.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 내지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300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100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시트가 사용되었다.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자유단이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만곡부(305b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본체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가요성 블레이드부는 강성 블레이드부와 함께 용기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토너를 긁어내도록 회전한다.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내측 벽면과 강성 블레이드부(305b) 사이의 거리보다 약 0.5 ㎜ 내지 10 ㎜만큼 더 긴데, 그 이유는 전술된 효과가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6 ㎜ 정도가 더 길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와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 사이의 접합은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만곡부(305b) 상에서 도23에 도시된 양면 코팅 테이프(305i)(DIC#8800CH)에 의해 이루어졌다. 리벳 또는 다른 공지의 수단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거나, 강성 블레이드와의 일체 성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24a 내지 도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블레이드부(305b)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중앙 위치에서 180 °의 위상차를 가지고 분할되고 분할된 부품들이 서로 엇갈려 있을 수 있다. 분할 개수는 용기의 본체의 형태 및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3개 또는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위상은 나선형 형태를 제공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변형될 수 있다. 축부의 중앙부와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결합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305h)가 마련되는데, 그 이유는 조립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강성 블레이드의 만곡부의 길이는 토너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회전 방향으로의 강성 블레이드부의 돌출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 3 ㎜이다. 만곡부의 길이 및 만곡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2 ㎜ 내지 8 ㎜와 30 ° 내지 50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3 ㎜ 내지 5 ㎜와 약 45 °이다.
강성 블레이드부(305b) 및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는 알루미늄 리벳(4i)에 의해 크림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리벳 구멍의 위치가 약간 벗어나 있게 된다면, 기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성 블레이드부(305b)의 만곡부(C)에 접촉된 가요성 블레이드부(305c)의 부분에서 천공부 또는 절반 절단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수단은 양면 코팅 테이프 또는 다른 공지의 수단일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조립 방법에서, 공급 부재(302)는 상부로부터 하부 프레임(301K)의 하부에 삽입된다. 오일 시일(309)이 제1 수용부(301b1) 내에 삽입된 후에, 베어링 부재(308)가 공급 부재(302)의 다른 단부(302b)와 결합한다. 토너 공급 포트(301g)는 밀봉 부재(303)에 의해 밀봉된다. 그리고 나서, 교반 부재(305)가 상부로부터 삽입된다. 오일 시일(309)이 용기의 본체 내에 삽입되고, 이후에 제2 베어링 부재(310) 및 전달 부재(306)는 교반 부재(305)의 대향 단부들에서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상부 프레임(301J)은 진동 용접에 의해 하부 프레임(301K)에 용접되며, 소정량의 토너가 토너 공급 용기(301)의 본체의 충전 포트(301i)를 통해 용기의 본체(301A) 내에 공급되며, 충전 포트(301i)는 밀봉 부재(311)에 의해 밀봉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301)의 조립은 매우 용이하며, 조립 공정의 수가 매우 적다.
토너의 충전은 토너 공급 포트(301g)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301)의 교환 공정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토너 공급 포트부(301a)가 토너 공급부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 용기의 본체(301A)는 토너 공급 포트부(301a) 및 결합부(301c)에서 힘을 수용한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301c)는 용기의 본체(301A)의 하부면에서 종방향으로 토너 공급 포트부(301a)가 있는 측면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고, 본체(301A)는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체(301A)가 상승해도, 본체(301A)의 소정 거리를 초과한 운동은 상부면(301E)이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상부면 부분(100d)(도25)에 접촉되어 제한된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코너 공급 포트(301g) 및 결합 돌기(301c)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미끄럼 이동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301)에서의 미끄럼 이동 방향에 대하여 도25의 양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양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본체(301A)의 설정 거리를 초과하는 이동은 301B 지점에 측방향 스톱퍼부로 마련된 리브(301j)가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측벽부(100e)에 맞닿음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301)의 결합 돌기(301c)의 높이는, 결합 돌기(301c)와 용기 처킹 부재(51)(도25) 사이에서의 중첩(x)이 장치의 주 조립체의 상부면(100d)(도25)과 용기의 상부 부분(301E) 사이의 간극(Y)보다 커서 미끄럼 이동 중에 토너 공급 용기(301)가 상향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5의 토너 공급 용기(301)의 수평 리브(310j)들은 막히지 않도록 토너 공급 용기(301)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의 수평 리브들은 측벽부(100e)로부터 적당한 간극을 갖고 토너 공급 용기(1)의 상부 부분(높이 중심보다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301)를 위한 구동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착되었을 때, 밀봉 부재(303)의 커플링 결합부(303c)는 도23에 도시된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제1 커플링 부재(304)와 결합하게 된다. 제1 커플링 부재(304)는 주 조립체(100)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밀봉 부재(30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26은 제1 커플링 부재(304)의 세부를 도시한다.
외부면(512a)에 기어부가 있는 기어 부재가 도면 부호 512로 표시되었다. 기어 부재(512)는 2개의 부재, 즉 기어부(512A) 및 캡 부분(512B)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스냅 끼워 맞춤, 접합 등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기어 부재(512)의 내부에는 압박 수단(514) 및 가동 부재(513)가 마련된다. 압박 수단(514)은 기어 부재(512)의 512B 부분과 가동 부재(513)의 513b 부분과 맞닿는다.
도27a 내지 도27c는 기어부(512)의 세부도이며, 도27a는 정단면도이고, 도27b 및 도27c는 측면도이다. 도28a 내지 도28d는 가동 부재(513)의 상세한 도면이며, 여기서 도28a는 정단면도이고, 도28b 및 도28c는 측면도이며, 도28d는 정면도이다.
도27a 내지 도27c에서, 기어부(512A)에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미끄럼 이동 안내 리브(512A1)가 구비된다. 도28a 내지 도28d에서, 가동 부재(513)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미끄럼 이동 안내 구멍부(513c)를 갖고, 가동 부재는 기어부(512A)의 미끄럼 이동 안내 리브(512A1)와 결합되는데, 이 미끄럼 이동 안내 리브에 의해 가동 부재(513)가 기어 부재(512)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가동 부재(513)의 구동력 전달부는 도면 부호 513a로 표시되었다. 구동력 전달부(513a)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회전력을 밀봉 부재로 전달하도록 밀봉 부재(303)의 긴 돌기(303d)와 결합한다.
도27a 내지 도27c에서, 기어 부재(5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들이 도면 부호 515 및 517로 표시되었으며, 도면 부호 516은 오일 시일을 나타낸다. 오일 시일(516)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301g)를 통해 토출된 토너가 베어링 부재(515, 517)로 유입되어 기어 부재(512)의 로킹을 초래하는 것이 방지된다. 기어 밀봉 부재가 도면 부호 519로 표시되어 있고,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밀봉 부재(303)의 303h 부분(도20a 내지 도20d)에 가압 접촉되어, 토너 공급 포트(301g)를 통해 토출된 토너가 기어 부재(5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커플링 부재(304)를 지지하는 구동 측판이 도면 부호 511 및 510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사 또는 접합에 의해 구동 측판(511) 상에 단단히 고정되고 오일 시일(516) 및 베어링(51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 홀더가 도면 부호 518로 표시되어 있다. 도20a 내지 도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베어링 홀더(518)와 홀더(5) 사이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 밀봉 부재가 도면 부호 520으로 표시되어 있다.
기어 밀봉 부재(519) 및 홀더 밀봉 부재(518)는 양면 코팅 테이프 등에 의해 기어 부재(512) 및 베어링 홀더(518)에 각기 고정되며, 그 재료는 우레탄 폼 등의 탄성 재료이다.
제1 커플링 부재(304)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커플링 부재의 가동 부재(513)는 전술한 구조로 해서 도26에 도시된 A 방향으로 후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압박 수단(514)에 의해 도26에 도시된 위치로 압박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밀봉 부재(303)는 도20a 내지 도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로 진입한다. 밀봉 부재(303)의 돌기(303d)의 위상과 가동 부재(513)의 구동 전달부(513a)의 위상이 일치되면, 기어 부재(512)와 가동 부재(513)는 도시되지 않은 주 조립체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되어, 밀봉 부재(303)가 구동 전달부(513a)를 통해서 회전된다. 위상이 일치되지 않으면, 가동 부재(513)는 밀봉 부재(3)의 돌기(303d)에 의해 도26의 A 방향으로 압박된다. 기어 부재(512)와 가동 부재(513)가 이 상태에서 주 조립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 가동 부재(513)는 밀봉 부재(303)의 돌기(303d)와 가동 부재(513)의 구동 전달부(513a) 사이의 위상이 일치될 때까지 공회전한다. 위상이 일치되면, 구동 전달부(513a)와 밀봉 부재(303)의 긴 돌기(303d)가 밀봉 부재(303)로 구동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도26에 도시된 위치까지 가동 부재(513)는 압박 수단(514)에 의해 미끄럼 이동한다.
도29는 제2 커플링 부재(307)의 세부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 521은 구동 전달 클로를 나타낸다. 도30a 내지 도30d에서, 도30a는 구동 전달 클로(521)의 정단면도이고, 도30b는 측면도이고, 도30c는 정면도이고, 도30d는 평면도이다. 도30a 내지 도30d에서, 도면 부호 521a는 클로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521b는 미끄럼 이동 안내부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21c는 평행 핀홈부, 도면 부호 521d는 스프링 수납면을 나타낸다. 도31a 내지 도31d는 도19a 내지 도19d에서 도시된 전달 부재(306)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31a는 정단면도이고, 도31b 및 도31c는 측면도이고, 도31d는 정면도이다. 도31a 내지 도31d에서, 도면 부호 307a는 전달 클로부를 나타낸다.
도29에서, 도면 부호 522는 베어링(525, 526)을 통해서 구동 측면판(510, 51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한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달하는 일체형 일방 클러치(527a)가 구비된 일방 기어(527)가 제공되어 있는 구동축을 나타낸다.
구동 전달 폴 또는 클로(521)는 미끄럼 이동 안내부(512b) 및 구동축(522) 사이의 결합과, 평행 핀홈부와의 결합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구동축(522)의 회전은 구동 전달 클로(521)로 전달된다. 도면 부호 524는 스프링 좌석부(528)와 구동 전달 클로(521)의 스프링 수납면(521d)에 접촉하는 압박 수단을 가리킨다.
제2 커플링 부재(307)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7)의 구동 전달 클로(521)는 전술한 구조로 해서 도32에 도시된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압박 수단(524)에 의해서 도29에 도시된 위치로 압박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전달 부재(306)는 제2 커플링 부재(307)로 진입한다. 전동 부재(307)의 전달 클로부(307a)가 구동 전달 클로(521)의 클로부(521a)에 접촉되는 위상 관계인 경우에, 구동 전달 클로(521)의 클로부(521a)는 전동 부재(307)의 전달 클로부(307a)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구동축(522)은 전달 부재(306)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지만, 이것은 일방 기어(527)의 일방 클러치부(527a)와 함께 공회전되며,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면, 구동 전달 클로(521)와 전달 부재(306)는 방해받지 않는다.
도17에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도16에서 도시된 상태에 있는 토너 공급 용기 내에서, 구동 전달 클로(521)는 좌측으로의 전달 부재(306)의 후퇴와 함께 압박 수단(524)에 의해 이동되어서, 전달 부재(306)의 전달 클로부(306a)와 구동 전달 클로(521)의 클로부(521a) 사이의 결합이 유지된다.
따라서, 전동 부재(307)는 도시되지 않은 주 조립체 구동 수단으로부터 일방 기어(527)와, 구동축(522)과, 구동 전달 클로(521)를 통해서 회전 구동력을 수용해서, 교반 부재(305)가 회전된다.
토너의 토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301)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밀봉 부재(303)의 단부에서 로킹부(303e)가 화상 형성 장치의 로킹 부재(51c)와 로킹되며, 용기의 본체(301A)의 토너 공급 포트(301g)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 때, 공급 부재(302)와 밀봉 부재(303) 사이의 회전 방향에서의 결합 관계는 유지된다.
밀봉 부재(303)는 커플링 결합부(구동력 수용부(303c))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1 커플링 부재(304)와 결합된다. 제1 커플링 부재(304)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모터 등과 같은 (도시 안된) 구동력 공급원으로부터 기어와 같은 (도시 안된) 구동 전달 수단을 통해서 회전을 수용하며, 스플라인형 돌기(303d)와의 결합을 통해서 밀봉 부재(303)로 전달된다. 또한 이것은 비원형 또는 사각 구멍(303a)에 공급 부재(302)의 자유단(302a)가 결합됨으로써 공급 부재(302)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교반 부재(304)의 한 단부(304d)와 결합된 전달 부재(306)가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2 커플링 부재(307)와 결합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2 커플링 부재(307)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모터 등과 같은 (도시 안된) 구동력 공급원으로부터 기어와 같은 (도시 안된) 구동 전달 수단을 통해서 회전을 수용하며, 결합 클로(306a)와 결합됨으로써 교반 부재(304)에 전달된다. 공급 부재(302)와 교반 부재(304)의 회전 진동수는 대략 2 회전/분이고, 10 회전/분이다.
이 실시예에서, 교반 부재(304)가 회전하면, 운반 기간 동안의 진동과 장기간 비사용으로 해서 공기의 제거에 의해 덩어리 토너가 느슨해져서, 공급 부재(302)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부(301a)쪽으로 공급되고, 토출되어서 토너 공급부(1g)를 통해서 낙하된 것이 토너 호퍼(201a)로 공급되도록 한다.
토출 실험은 용기 구조물을 사용해서 수행되었다. 용기의 본체는 토너로 충전되며, 토너는 대략 10 회전/분의 속도로 회전된 교반 부재와, 대략 52 회전/분의 속도로 회전된 교반 부재에 의해 토출된다. 체(75㎛의 개구, SUS로 제조)가 큰 입자의 존재 유무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큰 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기 내의 잔류 토너량은 20g이며, 따라서 토너 잔류량의 저감된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03)는 공급 부재(302)에 대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밀봉 부재 및 공급 부재는 일체형이다. 도32에서, 밀봉 부재(320)는 시일(320a)과, 구동력 수용부(320b)와, 밀봉 부재(320)를 포함한다. 밀봉 부재(320)는 도32의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토너 용기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는,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예를 들어, 1n, 301n)와,
(b) 상기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예를 들어, 1a, 301a)와,
(c) 토너 공급 포트 쪽으로 상기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부재(예를 들어, 2, 302)와,
(d)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수용부(예를 들어, 3d, 303d)와,
(e) 상기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예를 들어, 4, 305)와,
(f)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수용부(예를 들어, 4c, 307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된다.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구동력 수용부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가 위치된다.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는 장착 방향에 대해서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하류에 배치된다.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보다 크다.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토너 공급부의 토너 공급 방향에 대해서 하류측에서 구동력을 수용한다.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는 토너 공급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이고, 상기 제2 구동력 수용부는 토너 교반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이고, 상기 장치의 토너 공급 조립체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홈(예를 들어, 5c, 513c)에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구동력 수용부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돌기(예를 들어, 9b, 521a)와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한다.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부(301e)가 마련되는데, 상기 그립부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으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있는 측면에 대향한 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과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50 ㎜ 내지 60 ㎜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은 9 ㎜ 내지 15 ㎜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은 4 ㎜ 내지 8 ㎜이다.
상기 토너 공급 용기는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서의 토너 소비에 따라 토너 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를 통해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한다.
상기 토너 교반부는 축과, 강성부(305b) 및 이 강성부에 장착된 가요부(305c)를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보유되고 높은 신뢰도로 장치의 주 조립체에 토너를 공급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조 비용이 낮은 타입의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확실하게 토너를 교반하여 공급할 수 있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토너 공급 용기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기재된 세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량을 목적으로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서의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21)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b)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와,
    (c) 상기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부와,
    (d)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e)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와,
    (f)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1 구동력 수용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가 장착 방향에 대해서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공급부의 토너 공급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에서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공급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교반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이며,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홈과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고, 제2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이 그립부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으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있는 측면과 대향한 측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과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50 ㎜ 내지 60 ㎜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9 ㎜ 내지 15 ㎜이고,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4 ㎜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서의 토너 소비에 따라 토너 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를 통해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토너 교반부가 축과, 강성부 및 이 강성부에 장착된 가요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b)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와,
    (c)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부와,
    (d)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식 제1 구동력 수용부와,
    (e)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와,
    (f)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위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구동력 수용부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회전 반경이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큰 회전식 제2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공급부의 토너 공급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에서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는 토너 공급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는 토너 교반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이고,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제1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홈과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고, 제2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이 그립부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으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있는 측면과 대향한 측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과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50 ㎜ 내지 60 ㎜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9 ㎜ 내지 15 ㎜이고,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4 ㎜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5. 제11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토너 소비에 따라 토너 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를 통해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6. 제11항에 있어서, 토너 교반부가 축과, 강성부 및 이 강성부에 장착된 가요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b)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와,
    (c)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부와,
    (d)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고, 토너 공급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기의 형태를 가지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주 조립체에 마련된 홈과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는 회전식 제1 구동력 수용부와,
    (e)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와,
    (f)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고, 상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위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구동력 수용부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회전 반경이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크고, 토너 교반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기의 형태를 가지며,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식 제2 구동력 수용부와,
    (g)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것을 용이하며,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으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있는 측면에 대향한 측면에 마련된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공급부의 토너 공급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에서 구동력을 수용하며, 토너 공급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토너 소비에 따라 토너 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포트를 통해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과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50 ㎜ 내지 60 ㎜이고, 제2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9 ㎜ 내지 15 ㎜이고, 제1 구동력 수용부의 회전 반경이 4 ㎜ 내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9. 제17항에 있어서, 토너 교반부가 축과, 강성부 및 이 강성부에 장착된 가요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20. 기록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와,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 포트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부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토너 교반부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교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구동력 수용부와 제2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자유단에 배치된 토너 공급 용기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과,
    (b)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착 수단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었을 때 제1 구동력 수용부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구동기와,
    (c)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장착 수단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었을 때 제2 구동력 수용부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구동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a)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b)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수용부와,
    (c)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KR1019980023129A 1997-07-31 1998-06-19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279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6927 1997-07-31
JP20692797 1997-07-31
JP16837198A JP3697066B2 (ja) 1997-07-31 1998-06-16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98-168371 199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35A KR19990013435A (ko) 1999-02-25
KR100279693B1 true KR100279693B1 (ko) 2001-02-01

Family

ID=2649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129A KR100279693B1 (ko) 1997-07-31 1998-06-19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49685A (ko)
EP (6) EP1413932A3 (ko)
JP (1) JP3697066B2 (ko)
KR (1) KR100279693B1 (ko)
CN (1) CN1149446C (ko)
DE (1) DE698311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065B2 (ja)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68139B2 (en) *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465143B2 (en) 2000-01-31 2002-10-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20160124348A1 (en) * 2014-11-05 2016-05-05 Yusuke Yamad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S2383157T3 (es) 2001-02-19 2012-06-18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US6990301B2 (en)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24992B2 (ja) * 2001-10-25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CN1328630C (zh) * 2002-02-05 2007-07-2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用于电摄影成像设备的通用粉盒
JP4035384B2 (ja) * 2002-06-19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KR100503089B1 (ko) * 2003-05-02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대전량 제어방법
JP4652783B2 (ja) * 2003-12-10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
KR100613664B1 (ko) * 2004-10-06 2006-08-21 유태우 다기능 수지 요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요법
JP4459025B2 (ja) * 2004-11-12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
JP4603905B2 (ja) * 2005-02-24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06323082A (ja) * 2005-05-18 2006-11-30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US7526237B2 (en) * 2005-10-26 2009-04-28 Kyocera Mita Corporation Rotary mounting structure for toner cartridge
US7729644B2 (en) * 2006-05-11 2010-06-01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JP2008170898A (ja) 2007-01-15 2008-07-2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JP5259088B2 (ja) * 2007-01-15 2013-08-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
JP2010086004A (ja) * 2010-01-21 2010-04-15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3042B2 (ja) * 2012-05-30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6128908B2 (ja) 2013-03-19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キット及び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1992B2 (ja) * 2013-11-18 2017-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10703572B (zh) 2014-01-06 2022-04-22 兄弟工业株式会社 具有驱动力接收构件的显影盒
JP2016090933A (ja) 2014-11-10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の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5251B2 (ja) 2014-11-10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42878A (ja) * 2015-01-30 2016-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60223979A1 (en) * 2015-01-30 2016-08-0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58401B2 (ja) * 2016-08-26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7005249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69948B2 (ja) * 2018-03-28 2022-05-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204644A (ja) * 2019-06-14 2020-12-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L3982200T3 (pl) * 2019-09-17 2024-01-03 Canon Kabushiki Kaisha Wkład z tonerem i urządzenie tworzące obraz
CN113281974A (zh) * 2021-04-28 2021-08-20 宁波得力科贝技术有限公司 分体式硒鼓的装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9252A (en) * 1977-04-14 1980-01-16 Rex Rotary International Supply of toner powder in a developer for an electrostatographic copier
DE2723805C3 (de) * 1977-05-26 1980-07-03 Canon K.K., Tokio Nachfülleinrichtung für Tonerpulver in einem elektrofotografischen Kopiergerät
US4456364A (en) * 1982-06-09 1984-06-26 Pitney Bowes Inc. Magnetic brush hopper agitator for electrophotocopier
JPS60146265A (ja) * 1984-01-09 1985-08-01 Ricoh Co Ltd 乾式複写機におけるトナ−補給装置
US4878603B1 (en) * 1984-01-09 1994-11-08 Ricoh Kk Toner replenishing device
JPS61116372A (ja) * 1984-11-10 1986-06-03 Toshiba Corp トナ−供給装置
JPS61180268A (ja) * 1985-02-05 1986-08-12 Sharp Corp トナ−補給装置
JPS6250863A (ja) * 1985-08-30 1987-03-05 Mita Ind Co Ltd 静電記録装置の現像剤供給構造
JPS6375767A (ja) * 1986-09-19 1988-04-06 Fujitsu Ltd 現像剤供給装置における現像剤撹拌構造
GB2214609B (en) * 1988-01-20 1991-12-11 Xerox Corp Drive coupling
JPH01219861A (ja) * 1988-02-29 1989-09-01 Toshiba Corp 現像剤補給装置
US5307129A (en) * 1990-10-01 1994-04-26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69117275T2 (de) * 1990-12-27 1996-07-11 Matsu Sangyo Co Ltd 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Pulverfarben
JPH04260075A (ja) * 1991-02-15 1992-09-1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3000493B2 (ja) * 1991-07-15 2000-01-1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JPH05232809A (ja) * 1992-02-25 1993-09-10 Sharp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H06149047A (ja) * 1992-11-10 1994-05-27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用トナー供給装置
US5455662A (en) * 1992-12-30 1995-10-03 Ricoh Company, Lt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for use therewith
JP3320152B2 (ja) * 1993-07-28 2002-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3229088B2 (ja) * 1993-10-14 2001-11-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ガス採取方法及び自動ガス分析方法
JP3245288B2 (ja) * 1993-12-24 2002-01-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JP3141317B2 (ja) * 1995-04-05 2001-03-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が着脱自在に装着される現像装置
JP3697065B2 (ja) *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8205B2 (ja) * 1997-06-19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8378A2 (en) 2004-04-14
EP1408377A3 (en) 2006-04-05
EP1408379A2 (en) 2004-04-14
JPH11102109A (ja) 1999-04-13
EP1413932A3 (en) 2006-05-03
EP1408378A3 (en) 2006-04-05
DE69831198D1 (de) 2005-09-22
DE69831198T2 (de) 2006-02-23
CN1207511A (zh) 1999-02-10
EP1408377A2 (en) 2004-04-14
KR19990013435A (ko) 1999-02-25
EP1408379A3 (en) 2006-04-05
EP0895136A2 (en) 1999-02-03
US6049685A (en) 2000-04-11
CN1149446C (zh) 2004-05-12
JP3697066B2 (ja) 2005-09-21
EP1560077A3 (en) 2007-01-10
EP1413932A2 (en) 2004-04-28
EP0895136A3 (en) 2001-03-14
EP0895136B1 (en) 2005-08-17
EP1560077A2 (en)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693B1 (ko) 토너 공급 용기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316569B1 (ko) 토너수용용기부,토너공급용기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488373B1 (ko) 토너 보급 용기
US6792228B2 (en)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978101B2 (en) Toner supply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oupling projection
US20030081968A1 (en) Refill toner container, toner supplying apparatus, and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JP4011831B2 (ja) トナー補給容器
MXPA98004950A (en) Pigment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electrofotograf
JP3840005B2 (ja)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