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425B1 -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 Google Patents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425B1
KR100272425B1 KR1019980005191A KR19980005191A KR100272425B1 KR 100272425 B1 KR100272425 B1 KR 100272425B1 KR 1019980005191 A KR1019980005191 A KR 1019980005191A KR 19980005191 A KR19980005191 A KR 19980005191A KR 100272425 B1 KR100272425 B1 KR 10027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electrode
stator
rot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520A (ko
Inventor
모토히로 기노시타
히로유키 기시시타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7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40Structural combinations of variable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elements not covered by this subclass, the structure mainly consisting of a capacitor, e.g. RC comb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4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 H01G5/06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due to rotation of flat or substantially flat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커패시터(variable capacitor) 및 이런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LC 복합부품(LC composite part)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변 커패시터에서 정전용량은 로터의 1 회전시에 최대값을 한 번 나타낸다. 가변 커패시터는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과, 로터전극을 구비한다. 제 1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에 대향하며, 제 1 커패시터부를 형성한다. 제 2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에 대향하며, 제 2 커패시터부를 형성한다. 이들 두 개의 커패시터부들은 로터전극에 의해 직렬접속된다.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대향측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터는 균형있게 고정자 전극들과 접촉한다. 이것은 정전용량을 안정화시킨다.

Description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본 발명은 가변 커패시터(variable capacitor) 및 이런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LC 복합부품(LC composite par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로터가 1 회전을 하는 경우, 최대 정전용량(maximum electrostatic)을 한번 나타내도록 설계된 가변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LC 복합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가변 커패시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1은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하는데 이용된다. 참조부호 1로 표시된 가변 커패시터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고정자(stator) 2를 구비한다. 고정자 전극들 3은 상기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로터 4는 상기 고정자 전극들 3과 접촉한다. 로터전극 5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상기 로터 4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자 전극들 3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고정자 전극들 3에 대향하는 상기 로터전극부 5의 면적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을 형성한다.
전술한 영역들 또는 정전용량은, 로터 4가 상기 고정자 2에 대하여 회전됨에 따라 변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로터 4를 유지하기 위해, 조정부재(adjusting member) 6은 로터 4와 고정자 2에 각각 형성된 베어링홀들 8, 9를 통과하여 확장하는 축부(shaft) 7을 구비한다. 플랜지부(flange) 10은 조정부재 6의 정점에 형성되며, 로터전극 5에 땜납된다. 따라서, 조정부재 6은 로터 4에 고정되지만, 축부 7의 축을 중심으로 고정자 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조정용 홈(adjusting) 11은 플랜지부 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쿠루 드라이버(screwdriver) 등의 조정용 공구(도시하지 않았음)를 홈 11에 맞물리게 하여 조정부재 6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터 4가 고정자 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12는 조정부재 6의 축부 7의 하단부 위로 고정된다. 그런 다음, 푸쉬 너트(push nut) 13은 와셔 12에 근접하여 고정된다. 푸쉬 너트 13이 축부 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푸쉬 너트 13은 축부 7의 외면을 갉아낸 후 삽입한다. 고정자 전극들 3과 접촉하여 로터 4를 유지하는 고정자 2로부터 떨어져서 스프링 와셔 12는 푸쉬 너트 13을 한쪽으로 기울게 한다.
도 1에는, 고정자 전극들 3도 로터전극 5도 정밀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가변 커패시터 1은 다음과 같이 설계된다. 고정자 전극들 3은 서로 독립적인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 5에 대향하며,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을 형성한다. 제 2 고정자 전극은 상기 로터전극 5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따라서 제 2 커패시터부 17을 형성한다. 제 1 커패시터부 16과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로터전극 5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다.
이런 직렬 정전용량은,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에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 18, 19(도 1)들로부터 용이하게 얻어진다. 정전용량의 조정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정전용량이 로터 4의 1 회전시에 최대값을 한번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요구를 만족하는 가변 커패시터가, 예를 들어, 심사는 되지 않고 공고는 된 일본 실용신안 출원번호 58-13392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로터 4는 도 31에 나타낸 로터전극 5p를 구비하며, 고정자 2는 도 32에 나타낸 고정자 전극들 3p를 구비한다. 도 31 및 도 32를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며,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이들 구성요소들은 하기에 설명되지 않는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전극 5p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다. 한편, 고정자 전극 3p는 제 1 고정자 전극 14p와 제 2 고정자 전극 15p를 포함한다. 제 1 고정자 전극 14p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로터전극 5p의 내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다. 제 2 고정자 전극 15p는 제 1 고정자 전극 14p의 외주측 부분을 따라 180°정도로 확장하며, 로터전극 5p의 외주측 부분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다. 제 1 단자전극 18p는 제 1 고정자 전극 14p에 접속된다. 유사하게, 제 2 단자전극 19p는 제 2 고정자 전극 15p에 접속된다.
이 구조에서, 로터전극 5p는 제 1 고정자 전극 14p에 대향하며,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을 형성한다. 로터전극 5p는 제 2 고정자 전극 15p에 대향하며, 따라서 제 2 커패시터부 17을 형성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 16, 17은 로터전극 5p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다.
이 방법으로 얻어진 직렬 정전용량은,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각도들에서 로터전극 5p가 고정자 전극들 3p에 대향하는 경우, 최대값을 나타낸다. 이 최대값은 로터 4의 1 회전시에 한번 발생한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로터 4의 1 회전시에 정전용량이 최대값을 한번만 나타내기 위해, 로터전극 5p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p의 면적이 최대값을 취하는 경우에 로터전극 5p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p의 면적이 최대값을 취하도록,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 14p, 15p가 각각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 14p, 15p 모두는 로터 4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고정자 전극들 3p와 로터전극 5p가 적용되는 경우, 하기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 전극들 3p의 제 1 및 제 2 전극들 14p, 15p 모두는 상기 로터 4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자 전극들 3p의 두께로 인해, 로터 4가 불균일하게 고정자 전극들 3p에 접촉한다. 그 결과, 조정중에 정전용량이 불안정하다. 또한, 조정 후, 정전용량이 불안정하다, 즉, 설정 드리프트(setting drift)가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더미전극 20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자 전극들 3p의 대향측에 고정자 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더미전극 20은 충분한 효과들을 발생하지 못 할 수 있다. 또한,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진일보한 개선을 위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이 없는 가변 커패시터, 및 이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한 LC 복합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가변 커패시터 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변 커패시터 1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5a∼도 5e는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고정자 및 로터의 도해적 평면도로서, 로터 4의 다양한 회전각도 이외에도, 로터전극 5a가 고정자 전극들 3a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전극들 14a, 15a에 대향하는 다양한 상태들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2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8a∼도 8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2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9는 도 2와 유사한 등가회로도이나,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10은 제 3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3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12a∼도 12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3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 4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15a∼도 15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4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 5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18a∼도 18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5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6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21a∼도 21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6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 7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24a∼도 24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7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 구현예에 이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 8 구현예에 이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27a∼도 27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8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28a∼도 28e는 도 5a∼도 5e의 유사도면이나, 제 8 구현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1a를 이용하는 LC 복합부품 26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LC 복합부품 2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가변 커패시터에 결합된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로터 4와 결합된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가변 커패시터
2: 고정자
3, 3a, 3b, 3c, 3d, 3e, 3f, 3g, 3h: 고정자 전극
4: 로터
5, 5a, 5b, 5c, 5d, 5e, 5f, 5g, 5h: 로터전극
6, 37: 조정부재
7, 38: 축부
8, 9: 베어링홀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 제 1 전극부
15a, 15b, 15c, 15d, 15e, 15f, 15g, 15h: 제 2 전극부
16, 16a: 제 1 커패시터부
17: 제 2 커패시터부
21a, 21b, 21c, 21d, 21e, 21f, 21g, 21h: 주영역
22a, 22b, 22c, 22d, 22e, 22f, 22g, 22h: 부영역
23a, 23b, 23d, 23g, 23h: 절단부분
25g, 25h: 개구부
26: LC 복합부품
27: 기판
28: 제 1 인출전극
29: 제 2 인출전극
30: 제 1 단자전극
31: 제 2 단자전극
32: 제 3 단자전극
41: 조정용 홈
47: 코일
48: 차폐 커버
49: 개구부
A: 제 1 전극부와 로터전극과의 대향면적
B: 제 2 전극부와 로터전극과의 대향면적
이 목적은, 전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자 전극들;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자 전극들과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된 로터; 및 로터에 의해 유지되며, 로터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자 전극들에 대향하여 배치된 고정자 전극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에 의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달성된다. 상기 고정자 전극들은 서로 독립적인 제 1 및 제 2 전극들을 포함한다. 제 1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에 대향하며,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를 형성한다. 제 2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에 대향하며, 따라서 제 2 커패시터부를 형성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들은 로터전극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들의 직렬 정전용량은 로터의 1 회전중에 최대값을 한 번 나타낸다.
발명의 한 특징에서, 제 1 고정자 전극과 제 2 고정자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대향측들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기술문제가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 로터전극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전극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로터전극은 직경이 비교적 큰 주영역, 및 직경이 비교적 작은 부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주영역 및 부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심원상이며, 로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역방향들로 확장한다. 게다가, 주영역은, 주영역과 유사한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은 하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로터전극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동심(同心)원 관계에서 로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역방향들로 확장하는 직경이 크고 반원형상인 전술한 주영역, 및 직경이 더 작으며 반원형상인 부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형성되며 주영역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은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cutout)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맞은편으로 확장하며, 로터전극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은 주영역의 외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으며,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은 형상면에서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은 형상면에서 또한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주영역에 대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대향측들에 형성된다.
상기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은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 1 고정자 전극은 직경이 비교적 작은 원형상의 형태를 취하며, 로터의 회전중심에 중심이 두어진다. 제 2 고정자 전극은 주영역의 외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으며, 제 1 고정자 전극의 외주측 부분을 따라 180°정도로 확장한다.
여기에서, 로터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은 흔히 "제 1 면적"으로서 간주된다. 여기에서, 로터전극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은 흔히 "제 2 면적"으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에서, 이들 제 1 및 제 2 면적들은 하기의 3 개의 전형적인 형태들로 변화한다.
제 1 형태에서,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면적들 중 하나가 증가되며, 반면 다른 것은 감소된다. 상기 제 2 면적, 또는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이 최대값을 취하는 경우, 제 1 면적은 최대 제 2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2 형태에서, 제 1 면적, 또는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이 로터의 회전에 상관없이 일정함을 유지한다. 로터의 회전중에, 제 2 면적만이 변화한다.
제 3 형태에서,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면적이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LC 복합부품을 제공한다. 이 LC 복합부품은 표면(face)을 구비하는 전기 절연성 기판을 포함한다. 로터전극은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은 이 표면 위에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인출전극들을 각각 경유하여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과 관계없이 제 3 단자전극은 기판의 상기 표면 위에 형성된다. 기판의 일부는 고정자를 형성한다. 상기 LC 복합부품은 조정부재와, 인덕터(inductor), 및 기판에 실장된 차폐 커버(shield cover)를 더 포함한다. 조정부재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되며, 로터의 회전을 허락한다. 인덕터는 제 3 단자전극과 제 1 또는 제 2 단자전극간에 접속된다. 상기 차폐 커버는 조정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조정부재와, 로터, 및 인덕터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다음에 오는 설명중에 나타낸다.
도 1에서, 가변 커패시터 1은 고정자(stator) 2 및 로터(rotor) 4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자 전극들 3은 고정자 2 위에 형성되며, 로터전극 5는 로터 4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기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이들 고정자 전극들 3 및 로터전극 5의 다양항 형태들과 관계있다.
도 3~도 5는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가변 커패시터 1의 로터 4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가변 커패시터 1의 고정자 2의 평면도이다. 도 5a~도 5e는 파선으로 표시된 로터전극 5a가 고정자 전극들 3a에 대향하여 배치된 로터 4의 몇몇 전형적인 회전각도(angular position)를 나타낸다.
도 3에 대하여,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로터 4의 표면 위에는, 로터전극 5a가 형성된다. 로터전극 5a는 직경이 비교적 크고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main region) 21a, 및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auxiliary region) 22a를 구비한다. 이들 주영역 21a와 부영역 22a는 거의 동심원상이며, 베어링홀(bearing hole) 8에 있는 로터 4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역방향으로 확장한다.
이하, 도 4에 대하여, 전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고정자 2의 표면위에는, 고정자 전극들 3a가 형성된다. 이들 고정자 전극들 3a는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a 및 제 2 고정자 전극 15a를 포함한다. 제 1 고정자 전극 14a 및 제 2 고정자 전극 15a는, 베어링홀(bearing hole) 9에 존재하는 로터 4의 회전중심의 대향측들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고정자 전극 14a는 로터전극 5a의 주영역 21a의 전면에 대향할 수 있도록 성형되며, 로터 4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형성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a는 로터전극 5a의 주영역 21a의 외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지만, 그러나 부영역 22a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cutout) 23a를 구비한다.
제 1 단자전극 18a는 제 1 고정자 전극 14a에 접속된다. 유사하게, 제 2 단자전극 19a는 제 2 고정자 전극 15a에 접속된다. 이들 단자전극들 18a, 19a는 고정자 2의 단면들에까지 인출된다.
도 1에 나타낸 가변 커패시터 1이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고정자 2 및 로터 4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실현된다. 특히, 제 1 고정자 전극 14a는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며,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를 형성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a는 로터전극 5a에 대향하여, 제 2 커패시터부 17을 형성한다. 제 1 커패시터부 16 및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로터전극 5a에 의해 직렬접속된다. 제 1 커패시터부 16과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 정전용량은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 18a, 19a로부터 각각 얻어진다.
로터 4의 회전에 따라,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제 1 면적), 및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제 2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술한 정전용량이 변화될 수 있다. 로터 4의 회전각도가 0°, 45°, 90°, 135°, 및 180°인 경우, 이것을 도 5a~도 5e에 각각 도시한다.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이들 제 1 고정자 전극부 14a 및 제 2 고정자 전극부 15a는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5a~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4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a의 면적 A가 감소하며, 반면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a의 면적 B는 증가한다. 로터 4의 회전각도가 180°를 초과한 후, 가변 커패시터는 도 5d, 도 5c, 및 도 5b에 나타낸 상태들과 각각 수직대칭인 상태들을 연속적으로 얻는다. 면적 A는 증가하지만 면적 B는 감소한다. 회전각도가 360°에 도달하는 경우, 도 5a의 상태가 회복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터 4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은 180°의 회전각도에 대하여 대칭이다라는 특성을 나타낸다. 180°에서(도 5a),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a의 면적 B는 0이며, 따라서 정전용량은 최소값을 나타낸다.
본 구현예에서, 정전용량은 18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로터 4의 1 회전시에, 정전용량이 최대값을 한번 나타낸다. 이것은 하기의 요구들을 충족할 경우에 허락된다.
본 구현예에서, 로터 4가 회전함에 따라,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고정자 전극부들 14a, 15a의 면적 A, B 중의 하나는 증가하며, 다른 것은 감소한다. 이 경우,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a의 면적 B가 최대값을 취하는 경우, 로터전극 5a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a의 면적 A는 면적 B의 최대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도 8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6~도 8은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6에 대하여, 로터전극 5b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제 1 구현예의 로터전극 5a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이 비교적 크고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 21b, 및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 22b를 구비한다. 상기 부영역 22b는 제 1 구현예의 부영역 22a에 비하여 작다.
도 7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들 3b는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b와 제 2 고정자 전극 15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극 14b가 로터전극 5b의 거의 전면에 대향할 수 있도록, 제 1 고정자 전극 14b는 로터 4의 회전중심의 맞은편까지 확장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b는 로터전극 5b의 주영역 21b의 외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으며, 부영역 22b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cutout) 23b를 구비한다. 로터전극 5b의 부영역 2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작기 때문에, 제 2 고정자 전극 15b에서의 절단부분 23b는 제 1 구현예의 절단부분 23a보다 작다. 제 1 단자전극 18b 및 제 2 단자전극 19b는 제 1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고정자 전극 14b 및 제 2 고정자 전극 15b에 각각 접속된다.
이 제 2 구현예는 또한 도 2에 나타낸 등가회로를 실현한다. 제 1 고정자 전극 14b는 로터전극 5b에 대향하여, 이것에 의해 제 1 커패시터부 16b를 형성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b는 로터전극 5b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따라서 제 2 커패시터부 17을 형성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들의 직렬접속은, 정전용량을 생산한다.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이 정전용량은, 제 1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b와 제 2 고정자 전극부 15b의 면적의 변화에 의해 변화된다. 이것은 도 8a~도 8e에 도시되어 있다.
도 8a~도 8e에 대하여, 도 5a~도 5e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 4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b의 면적 A가 감소하며, 반면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b의 면적 B가 증가한다. 또한, 본 제 2 구현예에서, 정전용량이 180°(도 8e)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정전용량은 로터 4의 1회전시에 최대값을 한번 나타낸다.
그러므로, 제 2 구현예에서는 또한,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b의 면적 B가 최대값을 최대값을 취하는 경우,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b의 면적 A는 면적 B의 최대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고정자 2 및 로터 4가 동일한 내구력(tolerance)으로 설계되는 경우, 제 2 구현예를 도해하는 도 8e의 상태에서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b의 면적 B가 제 1 구현예에서 얻어진 면적 B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로터전극 5b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b의 면적 A는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훨씬 큰 최대 정전용량이 얻어질 수 있다.
하기에 설명하는 구현예에서는, 로터전극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은 로터의 회전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로터의 회전 중에, 로터전극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의 면적만이 변화하게 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커패시터부 16a 및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접속으로 구성된 등가회로가 실현된다. 제 1 커패시터부 16a만이 고정된다.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변하기 쉽다.
도 10~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0~도 12는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10에 대하여, 로터전극 5c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로터전극 5c는 제 1 구현예의 로터전극 5a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이 비교적 크고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 21c, 및 직경이 비교적 작고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 22c를 구비한다.
도 11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들 3c는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c와 제 2 고정자 전극 15c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고정자 전극 14c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로터전극 5c의 부영역 22c에 대향할 수 있다. 제 1 고정자 전극 14c는 로터 4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형성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c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로터전극 5c의 주영역 21c의 외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다. 제 2 고정자 전극은 로터 4의 회전중심의 다른쪽 측에만 형성된다.
제 1 단자전극 18c는 인출전극 24c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자 전극 14c에 접속된다. 제 2 단자 전극 19c는 제 2 고정자 전극 15c에 접속된다.
도 1에 나타낸 가변 커패시터 1이 구성된 경우, 제 3 구현예에 따른 고정자 2와 로터 4를 이용하여, 도 9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완성된다. 특히, 제 1 고정자 전극 14c와 로터전극 5c간에 형성된 제 1 커패시터부 16a는 실질적으로 고정되며, 제 2 고정자 전극 15c와 로터전극 5c간에 형성된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변화하기 쉽다.
로터 4의 회전에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a와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접속의 직렬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이것은 도 12a~도 12e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로터 4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c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c의 면적 A는 거의 일정함을 유지하지만, 로터전극 5c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c의 면적 B는 증가한다. 로터 4의 회전각도가 180°를 초과한 후, 가변 커패시터는 도 8d, 도 8c, 및 도 8b에 나타낸 상태들과 각각 수직대칭인 상태들(도시하지 않았음)을 연속적으로 얻는다. 이것은 면적 B만이 감소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따른다. 회전각도가 360°에 도달하는 경우, 도 8a의 상태가 회복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로터 4의 회전중에, 로터전극 5c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c의 면적 B의 변화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이런 가변 정전용량은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며,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제 3 구현예에서, 정전용량은 제 1 고정자 전극 14c와 로터전극 5c간에 일정하게 발생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c와 로터전극 5c 간에 발생된 정전용량은 최소인 경우에도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가변 커패시터 1의 최소 정전용량은 제 1 구현예와 제 2 구현예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2e와 도 5e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듯이, 고정자 2의 전체면적에 대한 면적 B의 비율이 증가될 수 있으며, 그래서 최대 정전용량이 적어도 제 1 구현예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도 13~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3~도 15는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13에 대하여, 로터전극 5d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제 1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이 비교적 크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 21d, 및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 22d를 구비한다.
도 14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 3d가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d와 제 2 고정자 전극 15d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고정자 전극 14d의 형상은 제 3 구현예의 제 1 고정자 전극 14c와 유사하고, 형상면에서 실질적으로 반원형이며, 로터전극 5d의 부영역 22d에 대향할 수 있으며, 로터 4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형성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d는 제 3 구현예의 제 2 고정자 전극 15c의 형상에 따른 절단부분 23d를 갖는다. 이 절단부분 23d는 로터전극 5d의 부영역 22d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단자전극 18d는 인출전극 24d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자 전극 14d에 접속되며, 제 2 단자전극 19d는 제 2 고정자 전극 15d에 접속된다.
또한, 본 제 4 구현예에서, 도 9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완성된다. 즉, 제 1 고정자 전극 14d와 로터전극 5d간에 발생된 제 1 커패시터부 16d가 실질적으로 고정되며, 제 2 고정자 전극 15d와 로터전극 5d간에 발생된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변하기 쉽다.
로터 4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a와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접속의 직렬정전용량이 변화한다. 도 15a~도 1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 4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d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d의 면적 A는 실질적으로 일정함을 유지하지만, 로터전극 5d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d의 면적 B는 증가한다.
그러므로, 로터 4의 회전 중에,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d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d의 면적 B의 변화에 의해서만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이런 방법으로 변화하는 이 정전용량은 도 1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며,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본 제 4 구현예에서는, 제 3 구현예에 비하여 더 작은 최대 정전용량 및 더 작은 최소 정전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6~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6~도 18은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이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16에 대하여, 제 1 구현예의 로터전극 5a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e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 21e, 및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 22e를 구비한다.
이하, 도 17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 3e는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e와 제 2 고정자 전극 15e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고정자 전극 14e는 직경이 비교적 작은 원이며, 로터 4의 회전중심에 중심을 둔다. 제 2 고정자 전극 15e는 로터전극 5e의 주영역 21e의 외주측 부분에 대향할 수 있도록 성형되며, 제 1 고정자 전극 14e의 외주측 부분을 따라 180°정도로 확장한다.
제 3 구현예와 유사하게, 제 1 단자전극 18e는 인출전극 24e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자 전극 14e에 접속되며, 제 2 단자전극 19e는 제 2 고정자 전극 15e에 접속된다.
또한, 제 5 구현예에서, 도 9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완성된다. 즉, 제 1 고정자 전극 14e와 로터전극 5e간에 발생된 제 1 커패시터부 16a는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제 2 고정자 전극 15e와 로터전극 5e간에 발생된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변하기 쉽다.
로터 4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a와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접속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도 18a~도 1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e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e의 면적 A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로터전극 5e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e의 면적 B는 증가한다.
그러므로, 로터 4의 회전 중에,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e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e의 면적 B의 변화에 의해서만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이런 방법으로 변화하는 이 정전용량은 도 1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며,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본 제 5 구현예는 제 4 구현예에 비하여 더 큰 최대 정전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9~도 21은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19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원형상의 로터전극 5f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도 20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들 3f는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f와 제 2 고정자 전극들 15f를 포함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 14f, 15f 각각은 제 5 구현예의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 14e, 15e에 각각 따른다.
제 5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단자전극 18f는 인출전극 24f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자 전극 14f에 접속된다. 제 2 단자전극 19f는 제 2 고정자 전극 15f에 접속된다.
또한, 본 제 6 구현예에서, 도 9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완성된다. 즉, 제 1 고정자 전극 14f와 로터전극 5f간에 발생된 제 1 커패시터부 16a는 실질적으로 고정되며, 반면 제 2 고정자 전극 15f와 로터전극 5f간에 발생된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변하기 쉽다.
로터 4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a와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접속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도 21a~도 2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f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f의 면적 A는 실질적으로 일정함을 유지하지만, 로터전극 5f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f의 면적 B는 증가한다.
그러므로, 로터 4의 회전 중에,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f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f의 면적 B의 변화에 의해서만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이런 방법으로 변화하는 이 정전용량은 도 2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며,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도 22~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2~24는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22에 대하여, 로터전극 5g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직경이 비교적 크고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 21g, 및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 22g를 포함한다. 로터전극 5g는 제 1 구현예의 로터전극 5a와 윤곽면에서 유사하다. 주영역 21g는, 주영역 21g와 유사한 개구부 25g를 구비한다.
도 23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들 3g는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g와 제 2 고정자 전극 15g를 포함한다. 이들 제 1 고정자 전극 14g와 제 2 고정자 전극 15g의 형상은 제 1 구현예의 제 1 고정자 전극 14a와 제 2 고정자 전극 15a와 각각 유사하다. 제 2 고정자 전극 15g는 로터전극 5g의 부영역 22g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 23g를 갖고 형성된다.
제 1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단자전극 18g와 제 2 단자전극 19g는 제 1 고정자 전극 14g와 제 2 고정자 전극 15g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본 제 7 구현예에서, 도 9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완성된다. 즉, 제 1 고정자 전극 14g와 로터전극 5g간에 발생된 제 1 커패시터부 16a가 실질적으로 고정되며, 반면 제 2 고정자 전극 15g와 로터전극 5g간에 발생된 제 2 커패시터부 17은 변하기 쉽다.
로터 4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 1 커패시터부 16a와 제 2 커패시터부 17의 직렬접속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도 24a~도 2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g의 면적 A는 실질적으로 일정함을 유지하지만,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g의 면적 B는 증가한다.
그러므로, 로터 4의 회전 중에, 제 3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g의 면적 B의 변화에 의해서만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이런 방법으로 변화하는 이 정전용량은 도 1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며,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제 7 구현예에서,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g의 면적 A는 일정함을 유지하지 않으며, 로터 4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오히려, 로터 4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g의 면적 B가 증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g의 면적 A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고정자 전극 15g에 대향하는 로터전극부 5g의 면적 B가 최대값으로 증가되는 경우, 로터전극 5g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g의 면적 A는 면적 B의 최대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5~도 27은 본 발명의 제 8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5~도 27은 제 1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 3~도 5에 대응한다.
도 25에 대하여, 도 22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제 7 구현예의 로터전극 5g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전극 5h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직경이 비교적 크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 21h와, 직경이 비교적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 22h를 포함한다. 주영역 21h는, 주영역 21h와 유사한 개구부 25h를 구비한다.
도 26에 대하여, 고정자 전극 3h는 고정자 2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고정자 전극 14h와 제 2 고정자 전극 15h를 포함한다. 이들 제 1 고정자 전극 14h와 제 2 고정자 전극 15h의 형상은 제 4 구현예의 고정자 전극들 3d와 유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고정자 전극 14h의 형상은 반원형이고, 로터전극 5h의 부영역 22h에 대향할 수 있으며, 로터 4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형성된다. 제 2 고정자 전극 15h는 로터전극 5h의 부영역 22h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cutout) 23h를 구비한다.
제 1 단자전극 18h는 인출전극 24h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자 전극 14h에 접속된다. 제 2 단자전극 19h는 제 2 고정자 전극 15h에 접속된다.
본 제 8 구현예에서, 도 2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완성된다. 즉, 제 1 커패시터부 16은 제 1 고정자 전극 14h와 로터전극 5h간에 발생된다. 제 2 커패시터부 17은 제 2 고정자 전극 15h와 로터전극 5h간에 발생된다. 정전용량을 발생시키는 이들 두 개의 커패시터부들은 직렬로 접속된다. 로터 4의 회전 중에, 로터전극 5h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h의 면적과, 로터전극 5h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h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이것은 도 27a~도 27e에 도시되어 있다.
도 27a~도 2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4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로터전극 5h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h의 면적 A가 감소하며, 반면 로터전극 5h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h의 면적 B가 증가한다. 로터 4의 회전각도가 도 2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인 경우, 면적 A, B는 이들의 최대값을 취하며, 그러므로, 정전용량은 이것의 최대값을 취한다. 도시되지 않은 방법에서, 로터 4의 회전각도가 180°를 초과한 경우, 가변 커패시터는 도 27d, 도 27c, 및 도 27b에 나타낸 상태들과 각각 수직대칭 관계를 갖는 상태들(도시하지 않았음)을 연속적으로 얻는다. 면적 A, B는 동시에 감소한다. 회전각도가 360°에 도달하는 경우, 도 27a의 상태가 회복된다. 이 상태하에서, 면적 A와 B 모두는 0이며, 따라서 정전용량은 최소값을 취한다.
도 27a, 도 27b, 및 도 27c의 상태에서, 로터전극 5h는, 고정자 전극들 3h의 제 1 고정자 전극 14h에 접속된 인출전극 24h에 대향하는 영역 D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 영역 D에 의해 발생된 정전용량은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도 28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1에 의해 발생된 정전용량은 로터 4의 회전각도에 의지하여 플로트(plot)된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가변 커패시터 1의 로터 4의 1 회전(360°)시에, 정전용량은 180°의 회전각도에서 단 한번 최대값을 나타낸다.
또한, 도 28에 대하여, 실선은, 제 1 및 제 2 구현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고정자 전극 15a 또는 15b에 대향하는 로터전극부 5a 또는 5b의 면적 B가 최대인 경우, 로터전극 5a 또는 5b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a 또는 14b의 면적 A가 면적 B 의 최대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변 커패시터 1의 특징들을 나타낸다.
파선은, 로터전극 5c 또는 5g에 대향하는 제 1 고정자 전극부 14c 또는 14g의 면적이 로터 4의 회전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로터 4의 회전 중에 로터전극 5c 또는 5g에 대향하는 제 2 고정자 전극부 15c 또는 15g의 면적만이 변화하도록 설계된 가변 커패시터 1의 특징들을 나타낸다.
후자의 가변 커패시터 1의 정전용량의 특징 곡선은, 전자의 가변 커패시터 1에 비하여 직선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의 조정에 있어서, 비교적 큰 값의 정전용량에서 분해능력(resolution)이 향상된다. 그 결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도 28에서, 일점쇄선(the dot-and-dash line)은, 상기 제 8 구현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터 4의 회전 중에 로터전극 5h에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부들 14h, 15h의 면적이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설계된 가변 커패시터 1을 나타낸다.
상기 제 8 구현예에서, 정전용량은 일점쇄선(the dot-and-dash line)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그 결과, 실선에 의해 나타낸 제 1 및 제 2 구현예들과 비교된 정전용량 뿐만 아니라, 파선에 의해 나타낸 제 3 구현예~제 7 구현예와 비교된 비교적 큰 값의 정전용량에 비해서도 분해능력이 더 향상된다. 따라서, 조절이 더 용이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설명하였다. 이들 구현예들의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이 하기의 다른 관점들로부터 비교된다. 제 1, 제 3, 제 4, 제 7, 및 제 8 구현예에서, 제 1 고정자 전극(14a, 14c, 14d, 14g, 또는 14h)과 제 2 고정자 전극(15a, 15c, 15d, 15g, 또는 15h)간에 간격은 제 2, 제 5, 및 제 6 구현예들에 비하여 훨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근접되어 있으며 평행인 이들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의 가장자리부들(fringes)이 더 짧게될 수 있다.
제 1, 제 3, 제 4, 제 7, 및 제 8 구현예들에서, 제 1 고정자 전극(14a, 14c, 14d, 14g, 또는 14h)과 제 2 고정자 전극(15a, 15c, 15d, 15g, 또는 15h)간에 발생된 바람직하지 않은 정전용량이, 제 2, 제 5, 및 제 6 구현예들에서 발생된 것에 비하여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 정전용량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다양한 구현예들의 고정자 전극들과 단자전극들의 접속들이 다른 관점들로부터 비교된다. 제 1, 제 2, 및 제 7 구현예들에서, 고정자 전극들(3a, 3b, 또는 3g)의 제 1 전극(14a, 14b, 또는 14g)과 제 2 전극(15a, 15b, 또는 15g)의 외주측 가장자리부들은 로터전극(5a, 5b, 또는 5g)의 외주측 가장자리부들과 동일평면상으로,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3~제 6 및 제 8 구현예들의 예를 들어, 24c, 24f, 또는 24h와 같은 어느 인출전극들이 불필요하게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7 구현예들에서, 정전용량은 상술한 어느 인출전극들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정전용량은 로터 4의 회전동안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정전용량의 조정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 3~제 6 및 제 8 구현예들의 인출전극들 24c~24f 및 24h가, 발생된 정전용량이 무시될 수 있는 레벨로 감소될 수 있도록 가능한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의 고정자 전극 및 로터전극들의 몇몇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경들 및 변화들이 가능하다. 상술한 다양한 구현예들의 고정자 전극들 및 로터전극들이 또한 다르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7 구현예의 로터전극 5g는 제 2 구현예의 고정자 전극 3b에, 또는 제 3 구현예의 고정자 전극 3c에, 또는 제 5 구현예의 고정자 전극 3e에 결합될 수 있다. 제 6 구현예의 로터전극 5f는 제 2 구현예의 고정자 전극 3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고정자 전극 및 로터전극들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간에 교환될 수 있다.
설명된 상기 구현예들에서, 고정자 2 및 로터 4는 베어링홀들 9, 8을 각각 구비한다. 축부(shaft) 7은 이들 홀들을 통과하여 확장한다. 따라서, 로터 4는 고정자 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로터가 다른 수단들로 유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외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유지되는 경우), 고정자도 로터도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홀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 경우, 베어링홀들이 보통 설치되었던 부분까지 고정자와 로터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로터전극 5a는 로터 4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로터는 로터전극과 결합하는 적층구조(laminar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의 두께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로터전극이 고정자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면서, 훨씬 큰 최대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9 및 도 30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LC 복합부품 26이 도시되어 있다. 도 29는 LC 복합부품 26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30은 LC 복합부품 26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LC 복합부품 26은 도 3~도 5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제 1 구현예의 가변 커패시터 1과 동일한 구조의 가변 커패시터 1a를 포함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 3~도 5와 유사한 이들 요소들은 도 3~도 5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며, 하기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LC 복합부품 26은 알루미나(alumina) 등의 전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기판(board) 27을 구비한다. 기판 27의 일부는 상술한 고정자 2를 형성한다. 고정자 전극들 3a를 형성하는 제 1 고정자 전극 14a와 제 2 고정자 전극 14b는 기판의 한쪽 면 위에, 즉, 도면에서 볼때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단자전극 30과 제 2 단자전극 31은 이 면 위에 형성되며, 제 1 고정자 전극 14a와 제 2 고정자 전극 15a로부터 제 1 인출전극 28과 제 2 인출전극 29를 경유하여 접속된다. 제 3 단자전극 32는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 30, 31과 관계없이 각각 이 면 위에 형성된다. 아이들(idle) 전극 33은 제 3 단자전극 32의 대향측에 기판 27의 이 면 위에 형성된다.
이들 전극들 3a와 28~33은 예를 들어, 기판 27 위에 도전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이 페이스트를 소성함으로써 제작된다. 그런 다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설정 드리프트(setting drift)와 Q등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극들 3a와 28~33이 거울같이 연마되는 것이 좋다. 고정자 전극들 3a와, 제 3 단자전극 32, 및 아이들 전극(idle electrode) 33은 도전 페이스트를 두 번 도포함으로써 두껍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기판 27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고정자 전극 3a는 적절하게 연마될 수 있다.
제 1 고정자 전극 14a와 제 2 고정자 전극 15a간에 베어링홀 9는 기판 27을 관통하여 확장한다. 홀들 34, 35, 및 36은 제 1, 제 2, 및 제 3 단자전극들 30, 31, 및 32에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로터 4는 기판 27 위에 고정자 전극들 3a와 접촉하여 배치된다. 베어링홀 8은 로터 4의 중심을 건너 확장하며, 기판 27의 베어링홀 9와 정렬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로터전극 5a는 로터 4의 상면 위에 형성되며, 로터 4를 경유하여 고정자 전극 3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조정부재 37은 기판 27의 상면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이 조정부재 37은 회전축을 구비하는 축부(shaft) 38을 구비한다. 이 축부 38은 로터 4의 베어링홀 8 및 기판 27의 베어링홀 9를 관통한다. 이 조정부재 37은 이것의 아래쪽 말단측에 스커트부(skirt portion) 39를 구비한다. 로터 4를 수용하는 영역은 스커트부 39 내측에 형성된다. 스커트부 39의 밑면은 기판 27의 상면과 접촉하여, 로터 4와 기판 27간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커트부 39의 윗부분이 가늘어지도록, 단차부 40이 조정부재 37의 외주측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조정부재 37은 상방말단측에 예를 들어, 조정용 홈 48과 같이, 조정용 형상부분(portion shaped to permit adjustment)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스쿠루드라이버(도시하지 않았음)와 같은 조정용 공구는 이 조정용 형상부분(adjusting-permitting portion)에 맞물려질 수 있다. 상기 조정용 형상부분은 홈(groove) 이외에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부재 37은 전기 절연성 재료로 전적으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이 전기 절연성 재료의 예들은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based resins),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중합 액정(polymeric liquid crystals),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olyphenylene sulfide), 및 세라믹계 재료를 포함한다.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LC 복합부품 26이 땜납되는 경우에 경험되는 열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거나, 또는 고온상태하에서 장기사용을 허락하기 위해, 이들이 높은 열변형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정부재 37은 전기 절연성 재료로 전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다. 최소한, 조정부재 37이 고정자 전극들 3a와 로터전극 5a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면 된다. 게다가, 필요한 부분들만 전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판 27의 상면과 접촉하여 조정부재 37의 스커트부 39를 유지하기 위해, 본 구현예에서는, 기판 27의 하면측에 축부 38을 맞물림하여, 축부 38이 베어링홀들 9, 8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맞물림 부재(engagement member)를 제공한다. 본 특정 구현예에서, 이 맞물림 부재는 이것의 하면 말단으로부터 축부 38 위로 고정된 푸쉬 너트(push nut) 42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nut)가 고정된 후, 너트(nut)가 축부 38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부 38을 절단후 삽입한다.
기판 27의 상면과 접촉하여 스커트부를 유지하는 수단은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43으로 구성된 탄성부재(resilient member)를 더 포함한다. 푸쉬 너트(push nut) 42가 고정되기 전에, 스프링 와셔 43이 축부 38 위로 고정되며 기판 27의 하면과 푸쉬 너트 42간에 배치된다. 스프링 와셔 43은 푸쉬너트 42를 기판 27로부터 떨어져서 휘게 한다.
스프링 와셔 43의 장착으로 인해, 기판 27이 스커트부 39와 접촉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 효과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닌 경우, 푸쉬 너트 42는 스프링 와셔 43을 제공하지 않고서도 기판 27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스커트부 39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27과 접촉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 30, 31 각각은 스커트부 39가 접촉하게 되는 부분 이외에 배치된다. 스커트부 39는 제 1 및 제 2 인출전극들 28, 29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부재 37의 회전이 반복되는 경우, 스커트부 39는 인출전극들 28, 29에 반복적으로 마찰될 것이다. 이것은 인출전극들 28, 29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스커트부 39에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인출전극들 28, 29의 이들 부분들 28a, 29a가 다른 부분들에 비하여 더 넓다. 이것은 인출전극들의 파손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정부재 37은 회전중에 요동이 덜 할 것이다.
탄성체(resilient body)로 구성된 회전전달부재(ratation transfer member)는 스커트부 39에서 조정부재 37과 로터 4간에 배치되어, 기판 27의 상면을 향하여 로터 4를 밀고, 로터 4에 조정부재 37의 회전동작을 전달하며, 따라서 조정부재 37과 함께 로터 4를 회전시킨다. 본 구현예에서, 회전전달부재는 O링(O ring) 44로 구성된다. 조정부재 37은 O링 44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고리모양의 홈(annular groove) 45를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O링 44와 조정부재 37 사이와 O링 44와 로터 4 사이에 마찰이 발생된다. 마찰에 의해 로터 4가 조정부재 37과 함께 회전한다. O링 44의 탄성은 기판 27을 향하여 로터 4를 민다. 바람직하게는, O링 44가 실장된 경우에 발생된 변형은 탄성한계 이내인 것이 좋다.
LC 복합부품 26의 제 1 단자로서 작용하는 단자핀(terminal pin) 46은 제 2 단자전극 31을 관통하는 홀 35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그런 다음, 단자핀 36은 제 2 단자전극 31에 땜납된다.
인덕터(inductor)로서 작용하는 코일(coil) 47이 실장되며, 본 구현예에서는, 공동(空洞)의 코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 47은 공동(空洞)의 코일 대신에, 칩 인덕터(chip inductor) 또는 기판 27 위에 인쇄된 유도성 패턴(inductive pattern)일 수 있다. 코일 47의 한쪽 말단은 홀 34에 기판 27의 위로부터 삽입되며 기판 27 아래로 당겨진다. 이 말단은 제 1 단자전극 30에 땜납되며 LC 복합부품 26의 제 2 단자를 형성한다. 코일 47의 다른쪽 말단은 홀 36에 기판 27 위로부터 삽입되고, 기판 27 아래로 당겨지며, 제 3 단자전극 32에 땜납되며, LC 복합부품 26의 제 3 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LC 복합부품 26의 제 2 및 제 3 단자들은 코일 47의 상기 말단들에 의해 형성된다. 대신에, 제 2 및 제 3 단자들은 예를 들어, 단자핀들 등의 개별적으로 준비된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정부재 37 및 코일 47을 수용하도록, 차폐 커버(shield cover) 48은 기판 27에 실장된다. 차폐 커버 48은 조정부재 37의 조정용 홈 41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49를 구비한다.
차폐 커버 48은 LC 복합부품 26의 내부를 보호하며, 차폐효과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커버 48은 금속 플레이트(plate) 등의 전기 도전성 재료의 플레이트를 구부림으로써 제작된다. 커버 48의 일부분을 구부려서, 굴곡부들 50을 형성한다. 또한, 커버 48의 일부분이 절단되고 세워져서, 융기부들(raised portions) 51을 형성한다. 기판 27의 가장자리부들(fringes)은 이들 굴곡부들 50과 융기부들 51간에 압착된다. 따라서, 차폐 커버 48은 기판 27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차폐 커버 48은 기판 27로부터 바깥쪽으로 아래쪽으로 뻗치며, 기판 27 아래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간격에 조정부재 37의 축부 38이 배치된다. 접지 단자 52는 커버 48의 하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확장된다. 이 커버 48은 금속; 신속하게 도금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중합 수지(polymeric resin) 등의 수지; 또는 전기 도전성이 첨가된 수지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LC 복합부품 26의 가변 커패시터 1a에 의해 발생된 정전용량은 단자핀 46과 코일 47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얻어진다. 코일 47에 의해 발생된 인덕턴스(inductance)는 코일의 대향말단들로부터 얻어진다. 정전용량은 조정부재 37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LC 복합부품 26은 도 3~도 5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제 1 구현예의 가변 커패시터 1과 동일한 구조의 가변 커패시터 1a를 포함한다. 대신에, 복합부품 26은 다른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 1과 동일한 구조의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터전극, 및 서로 독립적인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을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제 1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 1 커패시터부를 형성한다. 제 2 고정자 전극은 로터전극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며, 따라서 제 2 커패시터부를 형성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들은 로터전극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LC 복합부품을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들의 직렬접속의 정전용량이 로터의 1 회전시에 최대값을 한번만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인용된 심사없이 공고된 일본 실용신안 출원번호 58-133926호 공보에서 설명된 구조의 적용이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상 이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고정자 전극들 모두가 로터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만 부득이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및 이 신규한 가변 커패시터를 이용한 LC 복합부품에서, 제 1 고정자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서 형성되며, 반면 제 2 고정자 전극은 로터의 회전중심의 다른쪽 측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로터는 균형있게 고정자 전극들과 접촉한다. 그 결과, 정전용량은 조정중에 안정화된다. 조정후에, 정전용량, 또는 설정 드리프트(setting drift)가 안정화될 수 있다.

Claims (17)

  1. 전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인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자 전극들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중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된 로터; 상기 로터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로터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자 전극들에 대향하여 배치된 로터 전극;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과 상기 로터전극간에 형성된 제 1 커패시터부 및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과 상기 로터전극간에 형성된 제 2 커패시터부를 포함하는 가변 커패시터로서, 상기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부들은 상기한 로터전극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직렬 정전용량을 형성하며, 상기한 직렬 정전용량은 상기 로터의 1 회전중에 단 한번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과 상기 제 2 고정자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의 대향측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전극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터전극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주영역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주영역과 부영역이 실질적으로 동심원상을 이루며,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들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터전극의 상기 주영역이 상기 주영역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고정자 전극은 상기 주영역에 대향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의 한쪽 측에 형성되며, 상기한 제 2 고정자 전극은 상기 주영역의 외표면에 대향할 수 있으며, 상기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cutout)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고정자 전극은 상기 로터전극의 상기 주영역 및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의 맞은편에까지 형성되며, 상기한 제 2 고정자 전극은 상기 주영역의 외표면에 대향할 수 있으며, 상기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이고, 각각 상기 부영역과 상기 주영역에 대향할 수 있으며, 서로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2 고정자 전극이 상기 부영역에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절단부분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9.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고정자 전극이 직경이 비교적 작고 중심이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에 있는 원형이며, 상기한 제 2 고정자 전극은 상기 주영역의 외표면에 대향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의 외표면을 따라 대략 180°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0. 제 5항에 있어서, (a) 상기한 제 1 고정자 전극은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면적부를 갖고 있으며; (b) 상기한 제 2 고정자 전극은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면적부를 갖고 있으며; (c)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1 및 제 2 면적들 중 하나는 증가하고, 다른 하나는 감소하며; (d) 상기한 제 2 면적이 최대값을 취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은 상기 제 1 면적이 상기 제 2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면적이 상기 로터의 회전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2 면적만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1 및 제 2 면적들이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3. 제 1항에 기재된 가변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LC 복합부품으로서, 일부분이 상기한 고정자를 형성하며, 상기한 로터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면을 갖고있는 전기 절연성 기판; 상기한 제 1면 위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인출전극들을 경유하여 각각 상기한 제 1 및 제 2 고정자 전극들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 상기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들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 1 면 위에 형성된 제 3 단자전극; 상기한 로터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정부재로서, 상기한 로터가 상기한 조정부재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 조정부재; 상기 제 3 단자전극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단자전극간에 접속된 인덕터; 및 상기 조정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부재와, 상기 로터, 및 상기 인덕터를 수용하도록 상기한 기판에 실장된 차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 복합부품.
  14. 제 6항에 있어서, (a) 상기한 제 1 고정자 전극은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면적부를 갖고 있으며; (b) 상기한 제 2 고정자 전극은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면적부를 갖고 있으며; (c)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1 및 제 2 면적들 중 하나는 증가하고, 다른 하나는 감소하며; (d) 상기한 제 2 면적이 최대값을 취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자 전극은 상기 제 1 면적이 상기 제 2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전극에 대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면적이 상기 로터의 회전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2 면적만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면적이 상기 로터의 회전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2 면적만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면적이 상기 로터의 회전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한 로터의 회전중에, 상기 제 2 면적만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커패시터.
KR1019980005191A 1997-02-19 1998-02-19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KR100272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556 1997-02-19
JP09034556A JP3092539B2 (ja) 1997-02-19 1997-02-19 可変コンデ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lc複合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520A KR19980071520A (ko) 1998-10-26
KR100272425B1 true KR100272425B1 (ko) 2000-11-15

Family

ID=1241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191A KR100272425B1 (ko) 1997-02-19 1998-02-19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92539B2 (ko)
KR (1) KR100272425B1 (ko)
CN (1) CN1108616C (ko)
MY (1) MY124587A (ko)
TW (1) TW3641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736A (ja) * 2000-09-11 2002-03-22 Murata Mfg Co Ltd 可変コンデンサ
JP4487502B2 (ja) 2003-06-20 2010-06-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コンデンサ
CN102646512B (zh) * 2011-01-14 2015-03-25 问石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三端口双可调电容及其制造方法
CN105719835A (zh) * 2015-04-22 2016-06-29 周景振 频率调谐用集成构造电荷介质平面可变电容器
CN104941257A (zh) * 2015-06-09 2015-09-30 朱德金 一种矿用油水分离机功率调谐器
CN108557648A (zh) * 2018-05-10 2018-09-21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电容检测的双吊具桥吊摆角测量装置及测量方法
JP7448769B2 (ja) * 2019-06-18 2024-03-13 日新電機株式会社 可変コンデンサ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33338A (ja) 1998-09-02
CN1191377A (zh) 1998-08-26
MY124587A (en) 2006-06-30
TW364130B (en) 1999-07-11
JP3092539B2 (ja) 2000-09-25
CN1108616C (zh) 2003-05-14
KR19980071520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2542B2 (ja) Lc複合部品
KR100272425B1 (ko)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US4112480A (en) Tunable extended range chip capacitor
US3705335A (en) Low height ceramic capaci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KR100343317B1 (ko) 가변커패시터
KR100323583B1 (ko) 가변커패시터
US4220980A (en) Trimmer capacitor
US5721526A (en) Compact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JP3201015B2 (ja) 可変コンデンサ
JPS6328103A (ja) ストリツプラインフイルタ
JPH10321467A (ja) 可変コンデンサ
JPS5934119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3351336B2 (ja) 可変コンデンサ
JPH0236269Y2 (ko)
JPS605562Y2 (ja) 可変コンデンサ
JPS5934989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S5934990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H0650977Y2 (ja) 貫通形コンデンサ
JPH06283387A (ja) トリマーコンデンサ
JPH0529123U (ja) トリマーコンデンサ
JPS6025893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H0510368Y2 (ko)
JPS607026Y2 (ja) コネクタ
JP2004119931A (ja) 可変コンデンサ
JPS605563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