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245B1 -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245B1
KR100263245B1 KR1019970034477A KR19970034477A KR100263245B1 KR 100263245 B1 KR100263245 B1 KR 100263245B1 KR 1019970034477 A KR1019970034477 A KR 1019970034477A KR 19970034477 A KR19970034477 A KR 19970034477A KR 100263245 B1 KR100263245 B1 KR 10026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light emitting
frame
chang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237A (ko
Inventor
시게오 미꼬시바
타까히로 야무구찌
꼬사구 토다
쓰타에 시노다
꾜지 까리야
토시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시게오 미꼬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시게오 미꼬시바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3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3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with specific control of sub-frames corresponding to the least significant b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33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with splitting one or more sub-frames corresponding to the most significant bits into two or more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03Display of gra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프레임 또는 필드 내 시간분할법으로 중간조 표시를 행하는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화상의 이동속도가 크게 되면, 계조의 흐트러짐이 크게 되고, 영상의 동화조 윤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화소에서의 특정의 발광블럭의 점등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와 같은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 및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본 발명은 프레임 또는 필드 내 시간분할법으로 중간조 표시를 행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 방전 패널의 동화상부에 발생하는 중간조 흐트러짐을 개선함과 동시에 동화조 윤곽(색조 윤곽)의 발생을 방지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박형의 표시장치가 요구되고, 이 때문에 각 종류의 박형의 표시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탈 신호대로 표시하는 매트릭스 패널, 요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가스방전 패널, DMD(Digital Micromirr or Device), EL 표시소자, 형광표시관, 액정 표시소자 등의 매트릭스 패널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박형의 표시장치의 경우, 특히 가스방전 패널은 간이한 프로세스이므로 대화면이 용이한 것, 자기 발광형의 표시품질이 좋은 것, 또는, 응답속도가 빠른 것 등의 이유로 대화면에서 직시형의 HDTV(고품위 텔레비젼)용 표시장치의 제일 유력한 후보로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있어서, 특히, 동화상부의 중간조 표시에서 흐트러짐이 생겨 표시품위를 해친다는 문제가 있고, 이에 대하여, 정 또는 부의 등화펄스를 원신호에 중첩하여 위윤곽을 저감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화상의 이동속도의 증대에 따라, 화상의 흐트러짐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동속도가 큰 동화상에 대하여도, 중간조 표시에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는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에 있어서의 메모리형 가스방전 패널의 중간조 표시는, 프레임 또는 필드 내 시간분할법으로 행하여 왔고, 이 중간조 표시방법은, 1 프레임(또는, 1 필드: 어느 것도 60Hz의 주기를 규정하는 기간)을 휘도의 가중치가 다른 N매의 화면(서브프레임:발광블럭)으로 구성하고 있다. 서브프레임(발광블럭)은 휘도의 가중치가 작은 것으로부터 각각 SF0, SF1, SF2, … SF(N-1)로 불리우고, 이들의 휘도의 가중치의 비는 20, 21, 22, … 2N-1로 되어 있다. 1 프레임내의 중간조 휘도는, 이들의 서브프레임의 발광의 유무를 선택함으로써 행해지고, 사람의 눈의 시각특성, 즉, 잔광특성(殘光特性)에 의해 사람의 눈이 느끼는 휘도는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휘도의 합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1 프레임 내에서의 표현가능한 중간조의 수는 2N과 같다.
도 1은 프레임 내(프레임 또는 필드)의 각 서브프레임의 점등 시퀀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상기 중간조 표시방법을 이용한 경우의 1 프레임내의 표시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프레임(1 필드)은 휘도의 가중치가 다른 8매(N=8)의 서브프레임(발광블럭)으로 구성되고, 휘도의 가중치가 큰 쪽으로부터 SF7, SF6, … SF0로 불리우고 있다. 여기서, SF7을 최상위 비트(MSB)측, SF0를 최하위 비트(LSB)측으로 부르고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 프레임 중에 SF0, SF1, … , SF7로 휘도의 가중치가 작은 것으로부터 순차로 늘어서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서브프레임이 늘어서 있는 표시 시퀀스의 경우(256계조의 경우)에 있어서, 휘도의 크기가 같은 위치에서, 발광하고 있는 서브프레임의 가중치가 없던가, 또는 시간적으로 적은 중간계조레벨이 프레임 마다 교호로 점등하는 경우, 그 셀의 발광이 프레임 주파수의 반 주기로 되고, 플리커가 발생하여 표시품위를 현저하게 저해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도 2는 중간계조레벨이 127과 128인 경우 각 서브프레임의 점등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중간계조레벨 127에서는, 서브프레임(SF0∼SF6)이 모두 점등하고 SF7만이 점등하지 않고, 또 중간계조레벨 128에서는, 서브프레임 SF0∼SF6가 모두 점등하지 않고 SF7만이 점등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중간계조레벨 127과 128이 프레임 마다 교호로 점등한 경우, 1 프레임의 기간 동안 완전히 점등하지 않은 기간과 점등하는 기간이 교호로 반복되는 것으로 된다.
즈, 프레임 주기의 반이 점등주기로 되고, 플리커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특정의 중간계조레벨 사이를 교호로 반복하는 표시는, 완만하게 휘도가 변화하고 있는 부분의 아날로그 영상표시 데이터를 A/D변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 사이(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의 변환오차나 노이즈의 영향 등이 없어지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A/D변환시의 오차나 노이즈 등이 플리커로서 증폭되어 표시되고, 영상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플리커를 개선하는 중간조 표시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3-145691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배열을, SF0, SF2, SF4, SF6, SF7, SF5, SF3, SF1와 같이 배열함으로써 개선함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중간조 표시에 있어서는, 휘도의 크기가 같은 위치에서, 발광하고 있는 서브프레임의 가중치가 없거나, 또는 시간적으로 적은 중간계조레벨을 서로 이웃하여 표시하는 경우, 그들의 경계부에 플리커가 발생하여, 표시품위가 현저하게 저해되고, 이들은 휘도가 높은 만큼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플리커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4-127194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위 서브프레임의 발생을 2분할하고, 그보다 작은 서브 프레임을 끼워 배치함으로써 개선함도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동화상부의 움직임에 매끄러움이 없고 영상품위를 손상하고 있음이, 일본 특개평 5-127612호 공보에 보고되고 개선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개핑 5-127612호 공보의 중간조 표시방법은, 70Hz이하의 프레임 주파수의 입력 화상신호의 입력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프레임 주파수를 2배로 올리는 수단을 설비하고, 2배로 올려진 프레임내에서, 최상위 비트를 표시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정규 비트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정규 비트용 서브프레임과 정규 비트 미만의 비트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정규 비트용 서브프레임을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정지 화상부에 대해서는 2배로 올린 프레임의 2프레임 단위로 처리를 행하고, 동화상에 대해서는 2배로 올린 각 프레임단위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과, 2배로 올린 프레임의 표시 데이터를 새로 작성하기 위하여 입력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신호를 새로이 작성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있어서의 점등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31은 제1 프레임, 또 32는 제2 프레임을 나타내고, 제1 및 제2 프레임(31, 32)은 2배 올려진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2배로 올린 프레임 사이에서 같은 휘도의 가중치로 설정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을 정규 비트용 서브프레임이라 하고, 31a, 31b, 32a, 32b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그 이외의 서브프레임을 비정규 비트용 서브프레임이라 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정지면 및 움직임이 느린 동화상부의 표시에서는, 중간조 흐트러짐이 개선되었지만, 움직임이 빠른 동화상에서는 중간조 흐트러짐이 여전히 발생함이 동화상의 표시실험에 의해 판명되었다. 이 중간조 흐트러짐의 발생기구를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수가 6개에서,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배열이 프레임의 선두측으로부터 SF5, SF4, SF2, SF1, SF0인 경우(64계조의 경우)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방법에서의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의 발생원인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방법에서의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의 발생원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종래의 방법에서의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의 발생원인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중간계조레벨이 31에서 32로 변화하는 경우에서의 서브프레임의 분리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청색의 종(縱) 1 라인의 SF5를 점등시킨 표시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스크롤하는 표시에 있어서, 1 프레임에 1픽셀 이동시킨 경우, 마치 점등하고 있지 않은 다른 색의 셀 위를 이동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관측된다. 이 부드러운 움직임은 1 프레임 이동한 픽셀이 약간 큰 경우에서도 관측된다. 이 현상은 심리학의 분야에서 가현운동(假現運動) 또는 β 운동이라 불리고 있다.
다음에, 청색의 종1 라인의 SF5, SF4를 점등시킨 표시를 1 프레임에 1픽셀씩 우측에서 좌측으로 스크롤 시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의 발광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표시되고 있음이 관측된다. 편의상, SF5의 발광은 청색 셀(B)위에 표현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이유로 그들의 발광은 적색 셀(R), 녹색 셀(G)위를 마치 이동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이것은, SF5가 점등하고부터 표시데이터 기입기간인 약 2ms 시간 지연되어 SF4가 발광한 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가현운동에 의해, SF5의 발광은 스크롤 방향측으로 이동하고, 마치 SF4의 발광이 SF5의 발광을 쫓아 가고 있는 것 같이, 사람 눈이 인식해 버리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1 프레임내에 모든 서브프레임을 점등시켜 스크롤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픽셀 내에 SF5∼SF0의 발광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발광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도 6은 1 프레임에 2 픽셀 이동한 경우의 관측결과이다. 이 경우, 실제로 발광하고 있는 셀의 간격이 2 픽셀로 되어 이동거리가 길게 된 만큼, 가현운동에서 이동하는 광의 속도가 크게 된다. 따라서, SF5가 발광하여 약 2ms의 시간 지연되어 SF4가 발광한 때에는, SF5의 발광부는 보다 멀리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되고, 서브프레임의 공간적인 발광간격이 넓은 것 같이 보인다. 관측결과에 의해 가현운동 발생시의 서브프레임의 공간적인 확대(분리)는, 1 프레임의 기간에 이동한 픽셀내로 확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래 같은 셀에서 발광하여야 할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발광이 동화상부에서는 다른 장소(셀)에서 발광하고 있는 것으로 되고, 셀의 중간조 휘도가 각 서브프레임의 합으로 표현할 수 없게 되므로, 동화상부에서 중간조 휘도에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구체적인 예로서, 단색의 글래디에이션(gradiation) 표시를 구배(句配) 방향으로 스크롤한 경우에 있어서, 특정의 중간계조레벨의 경계부에 명선이나 암선이 발생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수가 6개에서, 그 배열이 휘도가 높은 것에서부터 프레임의 선두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방법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중간계조레벨을 크게 하고 있는 청색의 글래디에이션 표시를 하고, 휘도가 높은 구배방향으로 스크롤, 즉, 우측으로 스크롤하면, 서브프레임의 점등수가 크게 다른 중간계조레벨 사이의 경계부에 암선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중간계조레벨 31과 32, 15와 16, 7과 8 등에서 발생한다. 도 7에서 1 프레임 마다 2 픽셀 이동한 경우의 중간계조레벨 31과 32의 경계부의 암선발생의 형태를 모식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화상부에서는, 서브프레임의 공간적인 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간계조레벨 31과 32의 경계부에서 발광하고 있지 않는 셀이 1 픽셀분 발생하여, 암선이 발생한다.
또한, 휘도가 낮은 구배방향으로 스크롤, 즉 좌측으로 스크롤 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계조레벨 31과 32의 경계부는, 발광이 조밀하고 휘도가 높게 되어, 명선이 발생하게 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도 휘도가 낮은 구배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중간계조레벨 31과 32의 경계부는, 발광이 조밀하고 휘도가 높게 되어, 명선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단색표시나 색이 없는 표시, 즉 점등 서브프레임이 픽셀 내에서 각 색과 같으면, 동화상부에 발생하는 중간조 흐트러짐은 명선이나 암선으로 발생하고, 중간색의 표시, 즉 점등 서브프레임이 픽셀 내에서 색마다 다르면 정지시와는 다른 색이 발생한다.
상기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동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생기는 동화조 윤곽(색조 윤곽)의 발생기구를 다시 도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0은 표시화상을 스크롤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화상을 1 프레임 마다 1 화소 스크롤한 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도 10b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시화상을 1 프레임 마다 1 화소 스크롤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0a 및 도 10b에서, 종축은 시간(t)을 나타내고, 횡축은 공간적인 위치(x)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F∼4F는 각각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화상을 스크롤한 때에 생기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또 도 12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시화상을 스크롤한 때 생기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을 서로 이웃하여 표시한 상태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1 프레임 마다 1화소 이동시키면, 인간의 눈은 이동물체를 추종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망막상의 좌표원점은 도면 중의 파선 화살표(ROR) 위를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를 망막상의 좌표를 고정하여, 도면을 다시 그린 것이 도 11a이다. 도 11a에서의 횡축의 눈금은, 망막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표시화상이 1 프레임 기간에 이동하는 거리(망막상의 길이)를 1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을 서로 이웃하여 표시한 상태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1 프레임 마다 1화소 이동시키면, 인간의 눈에는 이동물체를 추종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망막상의 좌표원점은 도면중의 파선 화살표(ROL) 위를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를 망막상의 좌표를 고정하여, 도면을 다시 그린 것이 도 12a이다. 또, 도 12a에서의 횡축의 눈금은, 도 11a에서의 횡축의 눈금과 마찬가지다.
여기서, 중간계조레벨 127은, 서브프레임 SF0∼SF6이 모두 점등하고 SF7만이 점등하지 않은 상태이고, 또 중간계조레벨 128은, 서브프레임 SF0∼SF6이 모두 점등하지 않고 SF7만 점등한 상태이다. 또한, 도 11a 및 도 12a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방전셀에는 면적을 갖지 않는다.
먼저,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을 서로 이웃하여 표시한 상태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화상을 스크롤 하면, 망막상의 위치(x)에 있어서 휘도 K(x)는, 중간계조레벨(127과 128) 사이에서 간극이 생기게 된다. 그 결과, 도 11(c)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상의 자극량 L(x)가 상기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의 사이의 간극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계곡(volley) 모양을 나타낸다.
즉,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x=2.5∼3.5, 3.5∼4.5, 4.5∼5.5 각각의 자극량의 적분치를 L(1), L(2), L(3)로 하면,
L(1) ≒ L(3) ≫ L(2)
로 됨이 판명된다. 즉,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의 경계부에 암선(DL)이 발생한다. 이 현상이 중간조 흐트러짐의 발생기구이다.
또, 망막상의 자극량(L(x))은, 이하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λ는 임의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의 수학식 1에서의 적분범위는, λ -0.5에서 λ+0.5까지로 하였지만, 이 적분범위를 취하는 방법은 임의이고, 중간조 흐트러짐이 생기는 범위로 대략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을 서로 이웃하여 표시한 상태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시화상을 스크롤 하면, 망막상의 위치(x)에서의 휘도 K(x)는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이 연속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상의 자극량 L(x)가 상기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의 경계에서 피크를 나타내게 된다.
즉,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x=2.5∼3.5, 3.5∼4.5, 4.5∼5.5 각각의 자극량의 적분치를 L(1), L(2), L(3)로 하면,
L(1) ≒ L(3) ≪ L(2)
로 됨이 판명된다. 즉, 중간계조레벨 128과 127의 경계부에 명선(BL)이 발생한다.
이는, 색을 갖는 중간계조레벨을 이동한 경우, 예를 들어, 녹색의 중간계조레벨(128과 127), 적색의 중간계조레벨(64)만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녹색의 중간계조레벨 경계부에는 암선이 발생하지만, 적색은 중간계조레벨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휘도레벨을 나타내게 된다. 즉, 사람은 각 색을 합성한 결과를 인식하기 때문에, 녹색의 암선부는 적색이 눈에 띄어 색의 윤곽이 발생한다.
상기 현상은 특히 부드럽게 중간계조레벨이 변화하고 있는 살색 부분에 현저하게 발생하고, 이들은 사람이 돌아 보는 영상에서의 옆부분에서 적색이나 녹색의 윤곽(색조윤곽)을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일본 특원평 8-198916호에서, 각각의 화소의 계조레벨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변화의 상태에 따라 각 화소에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의 발광블럭(등화펄스)을 더하거나 감하도록 한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를 제안하였다.
도 13은 일본 특원평 8-198916호에 제안한 관련기술로서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표시계조가 127레벨에서 128레벨로 변화하는 경우의 방전셀의 발광 상태(I(t))를 나타낸다. 여기서 횡축(t)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의 2 필드(1F, 2F)는 127레벨, 다음의 2필드(3F, 4F)는 128레벨로 되어 있다.
이 발광상태(I)를 사람의 눈으로 관측하면, 망막자극강도 P(t)는 도 13b와 같이 된다. 망막 자극 강도(P)는 127레벨을 표시하고 있는 기간은 P1과 P2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128레벨을 표시하는 필드(3F)의 처음에서는, 이 값은 P2보다도 낮게 되어 버린다. 또한, 128레벨의 필드(4F, ···)가 충분히 계속되면, 자극 강도는 다시 대략 P1과 P2 사이에서의 진동으로 돌아간다.
이 망막 자극 강도(P)가 일시적으로 낮게 되는 현상 때문에, 눈에는 중간조가 흐트러져 관측된다. 시인(視認)된, 즉 눈에 보이는 강도 B(t)는 망막을 자극하는 강도(P(t))를 잔상정도의 시간 사이에서 적분한 것이고, 대략 도 13c와 같이 된다. 도면 중에, 만약 S1〈S2〈S3의 관계가 만족되어 있으면, 중간조의 흐트러짐은 관측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3c는 분명하게 이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다. 이 경우, 계조의 경계선은 원래 화상보다도 어둡게 표현된다. 여기서, 강도 △ S를 S2에 보충하고, S1〈S2+△ S〈S3로 하면, 중간조에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일본 특원평 8-198916호에서 제안한 중간조 표시방법에서는, 발광강도가 도 13d에서 표현된 등화(等化)펄스(EP)를 가한다. 이 등화펄스(EP)에 의한 망막 자극 강도(P(t))를 도 13e에 나타내고, 시인된 강도 B(t)를 도 13f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등화펄스(EP)를 가한 결과의 발광강도(I(t)), 망막 자극 강도(P(t)) 및 시인된 강도(B(t))를 각각 도 13g, 도 13h 및 도 13i에 나타낸다.
도 13c와 도 13i의 비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등화펄스(EP)를 가함(EPA)으로써, 시인되는 발광강도의 흐트러짐이 감소함이 명백하다. 여기서, 삽입하는 등화펄스(EP)는, 부의 경우(EPS)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발광블럭의 폭을 좁게해서, 휘도를 감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등화펄스의 삽입은,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4는 관련기술에서의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서, 참조부호 310은 수직동기기간(1V)의 지연을 주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 400은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추가회로, 410은 등화펄스 판별회로, 그리고, 420은 등화펄스 추가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회로에 있어서, 등화펄스 판별회로(410)는, 비교회로(비교부)(410a) 및 룩업 테이블(LUT : ROM)(410b)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등화펄스 추가회로(420)은 가산부(가산회로)로서 구성되어 있다. 비교부(410a)는 제n 프레임의 비트 데이터와 상기 제n 프레임 다음의 제n+1 프레임의 비트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트 데이터가 점등에서 비점등으로 된 비트에 대해서 "+1", 비점등에서 점등으로 된 비트에 대해서는 "-1", 그리고, 양 프레임 사이에서 데이터의 변화가 없는 비트에 대해서는 "0"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LUT(410b)는, 예를 들어, 미리 소정의 데이터가 씌여진 ROM으로서 구성되고, 비교부(410a)의 출력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미리 씌여진) 등화펄스를 발생한다. 이 LUT(410b)에서 출력되는 등화펄스는 정부(正負)의 부호를 갖고 있다.
가산부(420)는 원신호(표시데이터 210)에 대하여 등화펄스(정부의 부호부)를 가산하고(등화펄스가 부인 경우에는 감하는 것으로 된다), 등화펄스 가감후의 표시신호(220)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원평 8-198916호에서 제안한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등화펄스법)은, 눈에 입력하는 모든 광 다발이 원신호와 같게 된다는 점에서는 우수하다. 즉, 도 13i에서의 S2+△ S의 구간은, 시인된 강도에 시간적 증감은 있지만, 총량은 S1 또는 S3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화상을 디스플레이장치(PDP화면)에서 충분히 떨어져서 보면, 중간조의 흐트러짐은 시인할 수 없고,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이 개선된다.
그런데, 상기의 『모든 광 다발이 원신호와 같다』 라는 내용은 정지화상에 대해서도 동화상에 대해서도 올바르지만, 움직임이 빠른 화상에 대해서 시인된 강도의 공간적 비균일성이 심해지면,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화질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5 내지 도 22는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의 유무에 의해 각각의 이동속도(각각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9는 화상이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1 화소/프레임, 도 16 및 도 20은 화상이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3 화소/프레임, 도 17 및 도 21은 화상이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4 화소/프레임, 도 18 및 도 22는 화상이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5 화소/프레임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원화상의 좌측 반은 127레벨의 중간조, 우측 반은 128레벨의 중간조를 표시하고 있고,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도, 실선은 등화펄스를 가하지 않은 경우, 파선은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따라서 등화펄스를 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종축은 휘도, 횡축은 표시화상과 함께 움직이는 좌표축상, 즉, 망막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따라서 등화펄스를 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화소/프레임(3 서브픽셀/프레임)과 같이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정 또는 부의 등화펄스를 가함으로써, 중간조 표시특성이 충분히 개선됨이 명백하다.
특히, 등화펄스를 가하지 않은 경우는 휘도의 흐트러짐이 정 또는 부의 범위에 있지만, 등화펄스를 가한 경우는, 휘도의 흐트러짐의 증분과 감분이 상쇄된 합인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도 16 내지 도 20 및 도 l8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속도가 크게 됨에 따라 흐트러짐이 크게 되고, 특히, 도 18 및 도 22에 나타낸 5 화소/프레임으로 화상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는, 분명히 화질의 저하로서 시인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중간조 표시방법이 갖는 과제에 비추어 화상의 이동속도가 증대하여도, 중간조 표시에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고, 즉, 화상의 동화조 윤곽(색조 윤곽)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제 1도는 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의 점등 시퀀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 2도는 중간계조레벨이 127과 128에서의 각 서브프레임의 점등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제 3도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서의 점등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 4도는 종래의 방법에서의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의 발생 원인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5도는 종래의 방법에서의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의 발생 원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6도는 종래의 방법에서의 중간조 휘도의 흐트러짐의 발생원인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7도는 중간계조레벨이 31에서 32로 변화하는 경우에서의 서브프레임의 분리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제 8도는 제 7도에 나타낸 구체예에서, 오른 쪽 스크롤을 행한 경우의 서브프레임의 분리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제 9도는 중간계조레벨이 32에서 31로 변화하는 경우에서의 서브프레임의 분리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제 10도는 표시화상을 스크롤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 11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화상을 스크롤한 때에 생기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2도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시화상을 스크롤한 때에 생기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3도는 관련기술로서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4도는 관련기술로서의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 15도는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의 유무에 의한 제1의 이동속도(제1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16도는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 및 관련 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2의 이동속도(제1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17도는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 및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3의 이동속도(제1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18도는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 및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4의 이동속도(제1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19도는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1의 이동속도(제 2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20도는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 및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2의 이동속도(제2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21도는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 및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3의 이동속도(제2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22도는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 및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 유무에 의한 제4의 이동속도(제2의 이동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 2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드 내 펄스폭/수 변조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24도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 2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1)
제 2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2)
제 2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3)
제 2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를 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4)
제 29도는 도 25에 나타낸 발광패턴에 도 28에 나타낸 등화펄스를 중복하여 기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 30도는 제 29도에 나타낸 발광패턴의 구체적인 발광파형을 나타낸 도면.
제 31도는 제 28도에 나타낸 발광패턴을 종축을 압축하여 나타낸 도면.
제 3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3은 제 32도의 변형예에 사용하는 등화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발광 서브프레임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 3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원신호에 가해진 등화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원신호에 가해진 등화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에서의 등화펄스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곡선부가 있는 화상의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곡선부가 있는 화상의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곡선부가 있는 화상의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곡선부가 있는 화상의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비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3도는 제 52도의 흐름도에서의 비트 절환부 검출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4도는 제 52도의 흐름도에서의 동화조 윤곽 개선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5도는 제 54도의 흐름도에서의 운동량 검출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6도는 제 54도의 흐름도에서의 운동량 검출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7도는 제 54도의 흐름도에서의 운동량 검출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8도는 제 54도의 흐름도에서의 등화펄스 가감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59도는 제 54도의 흐름도에서의 등화펄스 가감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 60도는 제 58 및 도 59에 나타낸 등화펄스 가열처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장치 102 : 화상표시부
131 : X 디코더 132 : X 드라이버
141 : Y 디코더 142 : Y 드라이버
105 : 제어부 200 :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수단
310 : 지연수단 400 :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추가수단
410 : 등화펄스 판별수단 410a : 비교부
410b : 룩업 테이블(LUT) 420 : 등화펄스 추가수단
EPA, EPS : 등화펄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이 조합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 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 내에서의 점등블럭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 개의 화소의 상태 및 상기 점등블럭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 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어떤 프레임과, 당해 프레임에 연속하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특정의 비트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비트가 변화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는 수단과, 상기 산정된 화소수 및 상기 특정 비트의 변화의 상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 비트의 변화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대하여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처리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 내에서의 점등블럭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상태 및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또는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제공된다.
도 2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드 내 펄스폭/수 변조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a는 도 1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방전 기간(발광기간)이 분리된 점등 시퀀스의 표시장치만이 아니고,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기간이 유지방전 기간에 분산하고 있는 것 같은 표시장치 또는 다른 다양한 1 프레임을 휘도의 강도가 다른 복수의 발광블럭(서브프레임)에 의해 구성한 표시장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화소에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가 산정된다. 또한,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 내에서의 점등 블럭의 상태가 검출되고, 이 연속하는 화소수,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상태 및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이 선택된다. 그리고, 이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이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조 표시처리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검출수단에 의해 어떤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속하는 프레임에서의 특정 비트의 변화가 검출되고, 또 산정수단에 의해 상기 특정 비트가 변화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가 산정된다. 또, 선택수단에 의해, 산정된 화소수 및 특정 비트의 변화의 상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가 선택되고, 특정 비트가 변화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대하여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이 가해지거나 감해진다.
이에 의해서, 화상(화소)의 이동속도가 증대하여도, 중간조 표시에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고, 즉, 이동속도가 큰 동화상에서의 영상의 동화색조 윤곽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을 실현하는 표시장치의 규체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4는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4에서, 참조부호 100은 표시장치, 200은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부호 210은 원신호(표시 데이터)를 나타내고, 220은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후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 바와 같이, 표시장치 100은, 화상표시부(디스플레이 패널)(102), 상기 화상표시부(102)를 구동하는 X 디코더(131) 및 X 드라이버(132), Y 디코더(141) 및 Y 드라이버(142), X 드라이버(132)와 Y 드라이버(142)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1 프레임의 화상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서브프레임(발광블럭)에 의해 계조를 변화시켜 화상표시부(102)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각각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방전 기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표시장치로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가스방전 패널 외에, 프레임 또는 필드 내 시간분할법으로 중간조 표시를 하는 여러 가지 표시장치, 예를 들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나 EL 패널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도 24에서의 표시장치(100)은, 기본적으로는, 서브프레임 이용의 계조표시를 행하는 구조의 것이면, 여하한 패널에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적용은, 표시 데이터(원신호 210)를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수단(200)을 통하여 표시장치(100)에 공급하면 좋게 된다. 여기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 삽입수단(200)은, 원신호(210)의 프레임(또는 필드) 사이의 신호의 변화 유무에 따라서, 상기 원신호에 휘도조정용 발광블럭(등화펄스 : 서브프레임)을 가하거나 감한 신호(220)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의 특성은,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방전셀에 가한 등화펄스의 총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표시화상의 움직임에 대하여 시인된 발광강도 패턴의 장소적 변화가 일정하게 되도록 각 등화펄스에 웨이팅(weighting)을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모든 발광 광다발에 변화를 주는 것은 아니고, 휘도의 흐트러짐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정의 웨이팅된 등화펄스(EPA)를 부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도 23b에 나타낸 1 프레임을 8 비트의 서브프레임(SF0∼SF7)으로 분할하여 계조 표시를 행하는 경우를 전제로서 설명한다.
도 25는, 화상을 좌방향으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종축은 시간(t)(프레임 시간 : 1F, 2F, 3F)를 나타내고, 횡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선 상에서의 위치 X(화소 A, B, C)를 나타내고 있다. 또,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여기에는 단색 표시를 고려하지만, 컬러 표시의 경우는 각각의 색(R, G, B)에 대해서 고려하고, 이들을 더하여 합하면 된다. 또한, 화소의 면적은 충분히 작다. 종축은 시간(t)이고, F는 프레임 시간을 나타낸다.
도 25에 있어서, 종선은 각 화소의 발광상태를 나타내고, 제1 프레임(0≤ t≤F)에서는 화소 A∼C 및 P는 비발광, 화소 D∼I는 127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화소 J∼0는 128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프레임의 전반에서는 화소 D∼I가, 후반에서는 화소 J∼0가 발광한다. 제2 프레임(F≤ t≤ 2F)에서는, 화소 A∼F가 127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화소 G∼L은 128 계조레벨로 변하기 때문에, 제2 프레임의 전반에서는 화소 A∼F가 발광하고, 후반에서는 화소 G∼L이 발광한다. 이하, 마찬가지의 발광 패턴이 계속되는 것이다.
패널 내의 모든 수평선에 동일한 패턴을 표시하면, 눈에는 세로로 긴 벨트 패턴이 보인다. 이 벨트의 좌측 반의 6 화소는 127 계조레벨, 우측 반의 6 화소는 128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있고, 또 상기 패턴은 1 프레임당 3 화소(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발광의 위치 및 시간적 변화는 이산적이지만, 눈은 이들을 부드러운 움직임으로서 포착하고, 망막의 중심은 이 벨트 패턴을 쫓게 된다.
도 26a에서, 횡축은 망막상에 고정한 위치좌표(x)를 취하고 있다. 화상이 좌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눈이 패턴을 쫓기 때문에, 망막상에 투영되는 화소는 상대적으로 망막위를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6a에서는, 우측 아래의 직선위를 움직이게 된다. 도 26a에서, 좌측은 127 계조레벨이고, 또 우측은 128 계조레벨이다. 여기서, 도 26a의 상부에 나타낸 화소 기호 A∼P는, 시간 t=0인 때의 위치이고, 시간에 따라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6b는, 망막이 인식하는 발광강도의 장소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고, 시간 t=0.5F와 1.5F의 사이(1 프레임의 길이에 대응)의 발광을 적분한 것이다. 또, 이하의 도 27, 도 28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7 계조레벨과 128 계조레벨 사이에서는, 어두운 발광부(DP)가 나타나고 있다. 이 시간의 범위에서는 화소 G, H 및 I의 3 화소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127 계조레벨에서 128 계조레벨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혀 발광하지 않은 기간이 1 프레임(DD) 생기게 된다. 이것이 어두운 발광부(DP)가 발생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3개의 화소(G, H, I)에 등화펄스를 가할 필요가 있다. 도 27(도 27a)는 본 발명자들이 일본 특원평 8-198916호에서 제안한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등화펄스법)에 대응하는 것이고, 화소 G, H, I에 대하여, 각각 원신호에 등화펄스(EPA)를 중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등화펄스(EPA)의 크기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휘도 레벨 63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이 인식하는 발광강도는 도 26b에 비하면, 개선된 것이 명백하다. 특히, 127 또는 128 휘도 레벨(계조레벨)과 비교하여 밝음 초과량과 어두움 초과량이 상쇄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표시화상을 관측하면, 중간조의 흐트러짐은 시인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패널을 가까이서 관찰하면, 휘도의 증감은 시인되고, 더욱이, 도 15∼도 18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화소)의 이동속도가 3 화소/프레임보다 더 큰 경우(4 화소/프레임 또는 5 화소/프레임 등의 경우)에는, 이 휘도의 증감은 더 눈에 띄게 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등화펄스에 웨이팅을 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정의 웨이팅 등화펄스(EPA)를 부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G에 대하여 휘도 레벨 127의 등화펄스(EPA)(1)를 부가하고, 화소 H에 대해서 휘도레벨 63의 등화펄스(EPA)(2)를 부가하고, 화소 I에 대하여 휘도 레벨 0의 등화펄스(EPA)(3)를 부가하도록(즉, 화소 I에는 등화펄스를 부가하지 않는다) 되어 있다. 이들의 등화펄스의 총량(EPA1 + EPA2 + EPA3 = 127 + 63 + 0 = 190)은 도 27에서 가한 등화펄스의 총량(3· EPA=189)와 대략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이 인식하는 발광강도는 도 27b에 비하여 더 개선된 것이 명백하다.
도 29는 도 25에 나타낸 발광 패턴에 도 28에 나타낸 등화펄스를 중복 기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발광 패턴의 구체적인 발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을 좌방향으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방향의 제G 선의 표시계조가 프레임 사이에 걸쳐 127 레벨에서 128 레벨로 변화하는 위치에 대하여, 휘도 레벨 127의 등화펄스(EPA)(1)(예를 들어, SF0∼SF6 : 도면중의 사선부분 참조)를 원신호에 중첩하고, 또, 수평방향의 제H 선의 표시계조가 프레임 사이에 걸쳐 127 레벨에서 128 레벨로 변화하는 위치에 대하여, 휘도 레벨 63의 등화펄스(EPA)(2)(예를 들어, SF0∼SF5 : 도면중의 사선부분 참조)를 원신호에 중첩한다. 또한, 수평방향의 제I 선 표시계조가 프레임 사이에 걸쳐 127 레벨에서 128 레벨로 변화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휘도 레벨 0의 등화펄스(EPA)(3)를 원신호에 중첩, 즉, 원신호대로 한다. 이에 의해, 동화상에 발생하는 중간조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도 28에 나타낸 발광 패턴을 종축을 압축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0.5F ∼ 1.5F의 범위의 발광 패턴을 압축하여 나타내고, 후술하는 도 40 ∼ 도 44 등에서의 1 프레임 사이의 각 화소의 발광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등화펄스에 웨이팅을 한 다른 예이다.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화소 G, H, I에 대하여 각각에 휘도 레벨 95,95, 0의 등화펄스(EPA1, EPA2, EPA3)를 부가하고 있다. 여기서, 등화펄스의 총량은, 도 28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EPA1 + EPA2 + EPA3 = 95 + 95 + 0 = 190)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해 화소 G, H, I에 대하여 각각에 휘도 레벨 95, 95, 0의 등화 레벨(EPA1 + EPA2 + EPA3)을 부가한 경우, 도 27b와의 비교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시인 휘도의 일정함은 대폭적으로 개선됨이 명백하다. 여기서, 화소 G 및 H에 대하여, 휘도 레벨 95의 등화펄스 EPA1 및 EPA2를 도32a에 나타낸 위치에서 부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발광 서브프레임의 배열을 도 33과 같이 변경할 필요가 있다.
도 33은 도 32의 변형예로 사용하는 등화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발광 서브프레임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계조레벨이 64의 발광블럭(서브프레임)(SF6)을 선두에 배치하고, 그 후에 발광블럭(SF0 ∼ SF5)를 설치하고, 또 최후에 계조레벨 128의 발광블럭(SF7)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등화펄스(EPA1, EPA2)의 휘도 레벨 95를, 발광블럭(SF6) 및 발광블럭(SF0 ∼ SF4)에 의해 얻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서브프레임의 배열은, 여러 가지의 중간조 및 화상의 이동속도에 대해 웨이팅한 등화펄스의 휘도 레벨을 감안하여 정하게 된다.
다음에, 도 34 ∼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등화펄스에 웨이팅한 다른 실시예(부의 웨이팅한 등화펄스(EPS)를 부가하는 경우, 즉, 등화펄스를 감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1 프레임을 8 비트의 서브프레임(SF0 ∼ SF7)으로 분할하여 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34 ∼ 도 36은, 전술한 도 26 ∼ 도 28에 대응하고, 도 37은 도 32에 대응하고 있다.
도 34 ∼ 도 37은, 화상을 좌방향으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종축은 시간(t)(프레임 시간 : 1F, 2F, 3F)을 나타내고, 횡축은 망막상에 고정된 위치좌표(x)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프레임(0≤ t〈F)에서는 화소 A ∼ C 및 P는 비발광, 화소 D ∼ I는 128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화소 J ∼ O는 127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프레임의 전반에서는 화소 J ∼ O가, 후반에서는 화소 D ∼ I가 발광한다. 제2 프레임(F≤ t〈2F)에서는, 화소 A ∼ F가 128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화소 G ∼ L은 127 계조레벨로 변하기 때문에, 제2 프레임의 전반에서는 화소 G ∼ L이 발광하고, 후반에서는 화소 A ∼ F가 발광한다. 이하, 마찬가지의 발광 패턴이 연속된다. 여기서, 패널 내의 전체 수평선에 동일한 패턴을 표시하면, 눈에서는 가로로 긴 벨트 패턴이 보인다. 이 벨트의 좌측 반의 6 화소는 128 계조레벨, 우측 반의 6 화소는 127 계조레벨로 발광하고 있고, 또 상기 패턴은 1 프레임 당 3 화소(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발광의 위치 및 시간적 변화는 이산적이지만, 눈은 이들을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망막의 중심은, 이 벨트 패턴을 쫓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이 좌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눈이 패턴을 쫓기 때문에, 망막상에 투영된 화소는 상대적으로 망막상을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화소 G, H, L는, 제1 프레임(F)에서의 128 계조레벨로, 제2 프레임(2F)에서의 127 계조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속하여 발광하는 기간이 1 프레임일 수 있다.
도 34b는, 망막이 인식하는 발광강도의 장소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고, 시간 t=0.5F와 1.5F의 사이(1 프레임 분의 길이에 대응)의 발광을 적분한 것이다. 또, 이하의 도 35 ∼ 도 37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8 계조레벨과 127 계조레벨의 사이에는, 밝은 발광부(BP)가 나타나 있다. 이 시간의 범위에서는 3개의 화소 G, H, I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128 계조레벨에서 127 계조레벨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속하여 발광하는 기간이 1 프레임(BB) 생기게 된다. 이것이, 밝은 발광부(BP)가 발생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도 26의 경우와는 역으로, 부의 등화펄스를 부가할(정의 등화펄스를 감한다) 필요가 있다.
도 35(도 35a)는, 본 발명자들이 일본 특원평 8-198916호에서 제안한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등화펄스법)에 대응하는 것이고, 화소 G, H, I에 대하여, 각각의 원신호에서 등화펄스(EPS) 를 감(부의 등화펄스를 가한다)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등화펄스(EPS)의 크기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휘도 레벨 63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3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이 인식하는 발광강도는 도 34b에 비하면, 개선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은, 상술한 도 26b와 도27b의 비교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부의 웨이팅한 등화펄스를 부가하는 경우도, 상술한 정의 웨이팅한 등화펄스틀 부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9 ∼ 도 22의 시뮬레이선 결과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의 이동속도가 3 화소/프레임보다 더 큰 경우(4 화소, /프레임 또는 5 화소/프레임 등의 경우)에는, 이 휘도의 증감은 더 눈에 띄도록 된다. 여기서, 도 19 ∼ 도 22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15 ∼ 도 18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좌측의 화소가 127 계조레벨로 우측의 화소가 128 계조레벨로 발광한 경우의 것이지만, 화상의 이동방향이 도 15 ∼ 도 18의 시뮬레이션과는 역으로 우방향의 경우이다. 또한, 도 19 ∼ 도 22에 나타낸 좌측의 화소가 127 계조레벨로, 우측의 화소가 128 계조레벨로 발광한 화상을 우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좌측의 화소가 128 계조레벨로, 우측의 화소가 127 계조레벨로, 발광한 화상을 좌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부의 등화펄스를 부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의 것에 상당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등화펄스에 웨이팅 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부의 웨이팅한 등화펄스(EPS)를 부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G에 대하여 휘도 레벨 127의 등화펄스(EPS1)를 부가하고(휘도 레벨 127의 등화펄스를 감함), 화소 H에 대하여 휘도 레벨 63의 등화펄스(EPS2)를 부가하고(휘도 레벨 63의 등화펄스를 감함), 화소 I에 대하여 휘도 레벨 0의 등화펄스(EPS3)를 부가함(즉, 휘도 레벨 0의 등화펄스를 감하지 아니함)으로써 되어 있다. 이들의 등화펄스의 총량(EPS1 + EPS2 + EPS3 = (-127) + (-63) + 0 = -190)은, 도 35에 가한 등화펄스의 총량(3·EPS = -189)와 대략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이 인식하는 발광강도는 도 35b에 비하여 더욱 개선된 것이 명백하다.
도 37은 도 36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화소 G, H, I에 대하여 각각 휘도 레벨 -95, -95, 0의 등화펄스(EPS1, EPS2, EPS3)를 부가하고 있다. 여기서, 등화펄스의 총량은, 도 36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EPS1 + EPS2 + EPS3 = -95 + (-95) + 0 = -190)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화소 G, H, I에 대하여 휘도 레벨 -95, -95, 0의 등화펄스(EPS1, EPS2, EPS3)를 부가한 경우, 도 35b와의 비교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시인 휘도의 일정함이 대폭 개선됨이 명백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정의 웨이팅한 등화펄스(EPS)를 부가하는 경우 및 부의 웨이팅한 등화펄스(EPS)를 부가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이동에 대하여 웨이팅한 등화펄스를 주는 것 및 임의의 이동속도에 대하여 웨이팅한 등화펄스를 주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화상에 대하여 화소의 휘도 레벨이 127 계조레벨과 128 계조레벨의 사이에서 변동하는 경우, 화소의 상태로는,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4가지 경우(C11 ∼ C14)가 존재한다.
Figure kpo00002
구체적으로, 상기의 표 1의 경우 C11에서, 예를 들어, 표시화상은 좌방향으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하고, 종방향으로 긴 벨트는 좌측 반이 127 계조레벨이고 우측 반이 128 계조레벨이다. 이 경우, 시점이 이동하는 벨트를 추종하면, 계조의 경계에 암선이 표현된다. 이 계조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려면, 휘도 레벨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화소에 대하여, 상술한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즉, 127에 가까운 측의 128의 화소에서 각각 +127, +63, 0의 등화펄스(EPA1, EPA2, EPA3)를 가하면 된다.
또한, 표 1의 경우 C13은, 예를 들어, 표시화상은 좌방향으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하고, 종방향으로 긴 벨트는 좌측 반이 128 계조레벨이며 우측 반이 127 계조레벨이다. 이 경우, 시점이 이동하는 벨트로 추종하면, 계조의 경계에는 명선이 표현된다. 이 계조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려면 휘도 레벨이 128에서 127로 변화하는 화소에 대하여, 상술한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즉, 128에 가까운 측의 127의 화소에 각각 -127, -63, 0의 등화펄스(EPS1. EPS2. EPS3)를가하면 된다. 또한, 표 1에서의 경우 C12 및 C14는, 각각 경우 C13 및 C11 대응시켜 이해된다.
여기서, 표 1의 4개의 경우(C11 ∼ C14)를 정리하여 나타내면, 각각의 화소의 발광휘도의 변화와 등화펄스의 웨이팅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03
상기 표 2에서, 경우 C21은, 휘도레벨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경우 계조의 경계로는 암선이 표현된다. 이 흐트러짐을 방지하려면 정의 등화펄스(EPA1, EPA2, EPA3)를 가하면 된다. 여기서 등화펄스의 절대치는, 예를 들어, 0, 63, 127의 3 종류가 있지만, 표시화면에서 휘도레벨이 127인 채 변화하지 않는 측의 128의 화소에 대하여 절대치가 큰 등화펄스를 가한다.
상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의 이동이 수평방향인 경우는, 웨이팅한 등화펄스의 량(휘도 레벨)은 이동방향에는 관계 없음이 명백하다.
다음에, 전술한 도 25의 예에서는 화상의 이동속도가 3 화소/프레임이고, 휘도레벨이, 예를 들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화소(G, H, I)가 3개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3개의 화소(G, H, I)에 대하여, 웨이팅된 등화펄스(EPA1, EPA2, EPA3)를 가했다. 만일, 표시화상의 이동속도가 n 화소/프레임인 경우에, n개의 화소에 등화펄스를 가하면 된다.
여기서, 이동속도가 정수가 아닌 경우는, 그 속도의 전후의 정수를 소정의 비로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이동속도가 3.5 화소/프레임인 경우, 제1 프레임에서는 3 화소/프레임, 제2 프레임에서는 4 화소/프레임, 제3 프레임에서는 재차 3 화소/프레임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평균속도는 3.5 화소/프레임으로 된다. 통상의 테레비젼 신호 샘플링 방식을 이용하면, 신호는 자동적으로 이와 같이 처리된다.
하기의 표 3은, 여러 가지의 수평방향 이동속도(1 ∼ 7 화소/프레임)에 대하여 웨이팅된 등화펄스의 량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kpo00004
상기의 표 3에서, 예를 들어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등화펄스에 웨이팅한 예는, 동일한 발광상태가 연속하는 화소수가 3인 경우(참조부호 300으로 나타낸다)에 대응하고, 휘도 레벨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참조부호 301로 나타내는 등화펄스의 정의 부호를 선택(+127, +63, 0: 기호 2/1/0에 대응)하고, 등화펄스(EPA1, EPA2, EPA3)로서 동일한 발광상태가 연속하는 화소(G, H, I)에 부가한다. 또한, 휘도 레벨이 128에서 127로 변화하는 경우(도 36의 경우에 대응)에는, 예를 들어, 참조부호 301로 나타낸 등화펄스의 부의 부호(-127, -63, 0)를 선택하고, 등화펄스(EPS1, EPS2, EPS3)로서 동일한 발광상태가 연속하는 화소(G, H, I)에 부가한다. 여기서, 표 3에서, 기호는 각 등화펄스를 나타내는 것이고, 2는 127 계조레벨의 등화펄스, 1.5는 95 계조의 등화펄스, 1은 63 계조레벨의 등화펄스, 그리고 0은 0의 등화펄스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표 3에서의 참조부호 302는, 참조부호 301로 나타낸 등화펄스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휘도 레벨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등화펄스 302의 정의 부호(+95, +95, 0 : 기호 1.5/1.5/0에 대응)를 선택하고, 등화펄스(EPA1, EPA2, EPA3)로서 화소(G, H, I)에 부가(도 32의 경우에 대응)하고, 또한, 휘도 레벨이 128에서 127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등화펄스(302)의 부의 부호(-95, -95, 0)를 선택하고, 등화펄스(EPS1, EPS2, EPS3)로서 화소(G, H, I)에 부가(도 37의 경우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발광상태가 연속하는 화소수가 더 많은 경우, 즉, 화상의 이동속도가 4 화소/프레임 ∼ 7 화소/프레임 등의 경우에도, 상기의 표 3에서 원신호로 부가하는 등화펄스(EPA, EPS)를 선택하여, 각 화소(발광상태가 연속하는 화소)의 휘도 레벨을 보정하여 표시의 흐트러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의 웨이팅의 량(등화펄스의 크기)는 일의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배열 등도 고려하여 최적의 것을 선택한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동화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위윤곽을 저감)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다음에, 정지화상에 대한 등화펄스의 중첩의 영향을 검토한다.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중간조의 어떤 화면 전체가 정지한 채로 점차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경우도, 웨이팅한 등화펄스가 삽입된다. 본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의 시점의 이동은 없기 때문에, 웨이팅하지 않는 등화펄스의 삽입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웨이팅 등화펄스(EPA, EPS)가 원신호에 중첩된 경우에도, 그 등화펄스는 화상의 계조레벨이 특정의 값을 통과하는 일 순간밖에 들어가지 않고, 또한, 상기 등화펄스가 가해진 패널상의 위치는 망막상을 이동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위윤곽은 망막상의 정해진 위치에서 관측되기 때문에 눈에 띄지만, 흐트러짐이 망막상을 이동하면, 이는 시인되지 않고, 따라서 웨이팅된 등화펄스가 표시화상에 주는 악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원신호에 가해진 등화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8은 이상적인 등화펄스(EP)의 조건을 나타낸 것이고, 또한, 도 39는 등화펄스(EP)의 설정범위의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화상의 이동속도(v)는, v=2 화소/프레임 이상의 경우를 상정하고 있고,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휘도변화를 하는 화소가 복수개 늘어서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38a는 상술한 도 13a에 대응하고, 도 38b는 도 13c에 대응하고 있다. 도 38b에서, 참조부호 11은 휘도 레벨이 127(b0 ∼ b6)의 영역을 나타내고, 13은 휘도 레벨이 128(b7)의 영역을 나타내고, 12는 휘도 레벨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38c는, 도 38b에 나타낸 영역(11, 12, 13)의 시인강도(B(t))를 변화의 기간(T)으로 나누어 평균화한 것(B1, B2, B3)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휘도조정을 위하여 가해진(또는 감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등화펄스)의 발광에 의해 망막상의 자극의 총화(△ S)SMS, 이하의 식 1 또는 식 2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B1T ≤ B2T + △ S ≤ B3T ··· (1)
B1T ≥ B2T + △ S ≥ B3T ··· (2)
여기서, 식 1은 휘도가 올라간 때의 이상적인 등화펄스의 량을 나타내고, 식 2는 휘도가 내려간 때의 이상적인 등화펄스의 량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27 및 도 35에 나타낸 관련기술의 중간조 표시방법(등화펄스법)에서는, 부가할 만한 화소(G, H, I)의 모두에 대해서, 같은량의 등화펄스를 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한 본 실시예의 중간조 표시방법(중량 붙인 등화펄스법)에서는, 이동방향으로 나란한 화소(G, H, I)에 대하여 각각 중량 붙인 량의 등화펄스(예를 들어, 휘도 레벨이 127, 63, 0의 등화펄스)를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중간조 표시방법에서도, 흐트러짐이 생기는 영역 전체에 대하여 부가할 만한 등화펄스의 양은 결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웨이팅 등화펄스법에서도, 전체의 등화펄스량은, 도 27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관련기술로서의 등화펄스법을 이용한 때와 같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웨이팅 등화펄스법에서는, 이동방향에 대하여 n개의 등화펄스를 부가할 화소가 늘어서 있는 경우, 그 n개 중에 웨이팅을 행하기 때문에, 상기 n개의 화소에 부가하는 등화펄스의 총화를 nS로 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이 등화펄스의 총화는, 반드시 일치시킬 수 있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등화펄스의 총화는 대략 같게 되면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중간조 표시방법는,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배열에 의하면, 다소 값을 바꾸는 쪽이 효과(흐트러짐을 저감)가 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은,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웨이팅 등화펄스의 부가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등화펄스의 량(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한 망막상의 자극의 총화)(△ S)는, 어떤 범위내의 양이면,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즉, 등화펄스의 량(△ S)은, 0에서 이상적인 값(△ Si)의 배(등화펄스의 량의 최대치 △ Sm)까지 효과가 얻어지고, △ S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하면, 역으로 흐트러짐이 크게 된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적인 등화펄스의 량(△ Si)은, △ Si = ((B1+ B3)/2 - B2)T 로 구해진다. 또한, 등화펄스의 량의 최대치(△ Sm)는, △ Sm = (B1 + B3 - 2B2)T 로 구해진다.
따라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해 망막상의 자극의 총화(등화펄스의 량)(△ S)은, B2≤ (B1+ B3)/2 의 경우, 이하의 식 3을 만족하고
0 ≤ △ S ≤ (B1+ B3- 2B2)T ··· (3)
또한, B2≥ (B1+ B3)/2 의 경우, 이하의 식 4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0 ≥ △ S ≥ (B1+ B3- 2B2)T ··· (4)
이상의 설명에서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만을 고려할 수 있지만,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관하여는, 상술한 설명에서, 종방향을 횡방향으로서 고려하면, 용이하게 이해된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화상의 이동방향이 임의의 방향인 경우를 순차로 설명한다.
먼저, 대각방향으로의 이동, 즉, 화상이 이동하는 방향과 계조레벨이 변화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화소가 정방행렬 형태로 늘어서고, 화상은 좌하방향으로 45도 각도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40 ∼ 도 43은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화소는 정방행렬 형태로 늘어서고, 화상은 좌하방향으로 45도의 각도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이동한다. 시점은 상의 움직임을 추종하고, 도 40a 은 망막에 고정된 2차원의 위치좌표를 나타낸다. 또한, 시점은 디스플레이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화소는 눈의 잔상효과에 의해 우상방으로 45도 각도로 발광의 꼬리부분을 당기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도 4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은, 우상방향으로 45도 각도로 3 화소/프레임의 속도로 망막상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40a는 직선 A-A의 우하측의 휘도 레벨이 128(b7)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0b는, 도 40a에서의 1 라인 분의 화소(CC)에서의 망막상의 자극(L)을 망막상의 위치(x)에 대하여 묘사한 것이다.
도 40a에서의 각 직선(선분)은, 1 프레임 사이의 각 화소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직선은, 도 31의 종축을 압축한 발광 패턴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40a에서의
Figure kpo00005
표시 및
Figure kpo00006
표시는, 시각 0일 때의 화소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0a에서, 127계조레벨(b0 ∼ b6: SF0 ∼ SF6)의 화소(P1, P2, P3)는, 다음의 프레임에서는, 각각 거기까지 128 계조레벨(b7:SF7)의 화소(P4, P5, P6)의 위치로 온다. 이 때, 도 4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선부(DD)가 생기게 된다. 즉, 도 40b에 나타낸 1 라인 분의 화소(CC)에서, 암부(DP)가 생기게 된다.
도 41은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의해 등화펄스를 부가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화소(P1, P2, P3)가 다음의 프레임 기간으로 이동하는 화소의 위치(P4, P5, P6)에 대하여, 각각 등화펄스 EPA1(휘도레벨 +127), EPA2(휘도 레벨 +63), EPA3(휘도 레벨 0)을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41에서, 각 괄호에 붙인 수자는, 각각 부가하는 등화펄스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2) 표시는 휘도레벨 +127의 등화펄스(EPA1)를 부가하는 화소(예를 들어, 화소P1)을 나타내고, (1)은 +63의 등화펄스(EPA2)를 부가하는 화소(예를 들어, 화소P2)를 나타내고, (0)은 0의 등화펄스(EPA3)를 부가하는(즉, 등화펄스를 인가하지 않는) 화소(예를 들어, 화소P3)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라인의 각 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등화펄스를 부가한다. 이들에 의해, 도 4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조의 경계에 나타난 암선부(DD)를 중량 붙인 등화펄스(EPA1 ∼ EPA3)를 가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도 42는, 도 40(도 41)에서, 홧의 이동속도를 2 화소/프레임으로 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이동속도가 2 화소/프레임의 경우에는, 각 화소에 대하여, 휘도 레벨이 +127인 등화펄스 및 휘도 레벨이 0인 등화펄스를 인가한다. 즉,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로 나타낸 휘도 레벨 +127인 등화펄스를 소정의 화소에 인가한 만큼 좋게 된다.
도 43은, 도 40a에서, 직선 AA의 좌상측의 화소의 휘도 레벨을 127로 하고, 또 직선 AA의 좌하측의 화소의 휘도 레벨을 128로 한 것이고, 도 36의 경우에 대응한다. 또한, 도 43에서는, 1 라인 만을 묘사하고 있지만, 다른 라인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도 43에서,
Figure kpo00007
표시 및
Figure kpo00008
표시는, 시각 0의 경우의 화소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2)표시는 휘도 레벨 -127의 등화펄스(EPS1)를 부가한(+127의 등화펄스를 뺀) 화소(예를 들어, 화소 P1)를 나타내고, (/1)은 -63의 등화펄스(EPS2)를 부가한 화소(예를 들어, 화소 P2)를 나타내고, (0)은 0의 등화펄스(EPS3)를 부가하는 화소(예를 들어, 화소 P3)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P1, P2, P3)가 다음의 프레임 기간으로 이동하는 화소의 위치(P4, P5, P6)에 대하여, 각각 등화펄스 EPS1(휘도 레벨 -127), EPS2(휘도 레벨 -63), EPS3(휘도 레벨 0)가 부가된다. 즉, 파선으로 나타낸 등화펄스 EPS1 및 EPS2는, 최초에 존재한 발광을 부의 등화펄스에서 소거한 부분이고, 도 4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계조의 경계에 나타난 명선무(BB)는, 부의 등화펄스(EPS1 ∼ EPS3)를 부가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그런데, 표시화상의 움직임의 속도 및 방향은, 통상 명백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의 중량 붙인 등화펄스를 주는 방향의 순서의 개략을 설명한다. 즉, 표시화상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일반화하여 본 발명의 적용을 설명한다.
먼저, 서브프레임의 비트(b5, b6, b7)의 각각의 유무가 연속하는 화소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계산하고, 연속하는 수의 적은 쪽을 선택한다. 또한, 상술한 표 3의 LUT(Look-up Table)에서 웨이팅 등화펄스의 크기를 찾아, 상기 등화펄스를 원신호에 부가한다.
표시화상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1 프레임 당의 이동속도(이동거리를 화소단위로 표현한다)와 계조의 변화가 동일한 화소수는 일치한다. 임의의 방향에 대한 이동에 관하여는, 화상의 이동방향의 좌표축상에서 계조변화의 같은 화소수를 셀 만하다. 그러나, 이동방향이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대각방향의 경우를 제외하면, 화소수를 세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계조의 변화가 동일한 화소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세고, 연속하고 있는 수의 작지 않은 쪽을 보다 이동방향에 가까운 것으로서 선택하고, 또 표 3을 이용하여 웨이팅된 등화펄스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는 원신호에 중첩한다.
도 41에 나타낸 등화펄스는, 대각방향의 이동을 고려하여 준 것이고,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방법을 이용하여, 도 40a의 화상에 웨이팅된 등화펄스를 주어 본다. 또한, 표 4에 나타낸 웨이팅된 등화펄스의 부여는, 다음에, 도 52 ∼ 도 59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Figure kpo00009
먼저 계조레벨이 127에서 128로 변화하는 화소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과 함께 6화소이다. 따라서 표 3의 이동속도가 6인 경우(표 3의 참조부호 303)에서, 웨이팅된 등화펄스의 값은 +127, +127, +127, 0, 0, 0 또는 +127, +127, +63, +63, 0, 0으로 구해진다. 또한, 등화펄스 +127을 부가하는 화소에는 (2)표시를 붙이고, 등화펄스 +63을 부가하는 화소에는 (1)표시를 붙이고, 등화펄스 0을 부가하는 화소에는 (0)표시를 붙여 나타낸다.
여기서, 전자의 등화펄스열(+127, +127, +127, 0, 0, 0)을 이용하면, 등화펄스의 크기는 도 44와 같이 된다. 도 41에 나타낸 등화펄스의 양과는 다소 다르지만,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는 2 라인의 평균을 취하면, 도 41과 일치한다. 한편, 후자의 등화펄스열(+127, +127, +63, +63, 0, 0)을 이용하면, 도 41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표 4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 42의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는 화상에 웨이팅된 등화펄스를 주어 본다. 계조레벨이 127에서 1238로 변화하는 화소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과 동시에 4 화소이다. 따라서, 표 3의 이동속도가 4인 경우(표 3의 참조번호 304)에서, 웨이팅된 등화펄스의 값은 +127, +127, 0, 0 또는 +127, +63, +63, 0으로 된다. 전자의 등화펄스열(+127, +127, 0, 0 : 기호 2/2/0/0에 대응)을 이용하면, 도 42에 나타낸 등화펄스량과 일치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후자의 등화펄스열(+127, +63, +63, 0 : 기호 2/1/1/0에 대응)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 42와는 다르지만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는 2 라인의 평균을 취하면 일치하게 된다.
다음에, 화상의 이동(화소의 움직임)은 대각방향이지만, 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도 45 및 도 46은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 이동(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직선 AA에 수평으로 계조가 변화하는 화상이, 좌하 45도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각 화소는 발광의 꼬리부를 당기지만, 망막상을 우상 45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5에서의 부호 (2), (1), (0)은, 각각 도 41과 마찬가지이고,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을 고려하여 등화펄스에 웨이팅하고 있다.
도 45에서, 먼저, 표시화상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알기 때문에, 서브프레임의 비트(b7, b6, b5)의 각각의 유무가 연속하는 화소를 수평방향(HH) 및 수직방향(VV)에서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수평방향(HH)에 포함된 화소수는 3개이고, 수직방향(VV)에 포함된 화소수는 6개이다. 그래서, 이들 연속하는 화소수의 작지 않은 쪽, 즉, 3개를 선택하고, 상술한 표 3의 LUT에서 중량 붙인 등화펄스의 크기를 찾는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의 비트(b7, b6, b5)에 주목함은, 이들의 비트(특히, b7, b6)가 계조의 흐트러짐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표 3에서의 연속하는 화소수가 3개인 경우는, 참조부호 30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화펄스로서, 기호(부호) 2/1/0 및 1.5/1.5/0이 얻어진다. 즉, 등화펄스 127, 63, 0 및 95. 95, 0이 얻어진다. 도 45에서는, 등화펄스 127, 63, 0(기호 2/1/0에 대응)이 선택되어, 원신호에 부가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6은, 도 45의 등화펄스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낸 방법으로 웨이팅 한 경우(웨이팅된 등화펄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45의 웨이팅과는 다소 다르지만, 대각 방향으로 이동하는 2 라인의 평균을 취하면 도 45와 대락 일치한다.
상기의 표 4를 참조하여, 웨이팅된 등화펄스의 주는 쪽의 순서의 개략을 설명한다.
1) 먼저, 전 화소에 대하여, 제n 프레임과 제n+1 프레임의 휘도 레벨을 비교하여, 제7 비트(b7:SF7)이 없음에서 없음(예를 들어, 127→ 127)이라면 "a"로 하고, 없음→ 있음(127→ 128)이라면 "b"로 하고, 있음→ 없음(128→ 127)이라면 "c"로 하고, 있음→ 있음(128→ 128)이라면 "d"로 하여 메모리(RAM)에 기입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표 3에서, 휘도변화가 127→128의 경우는, "b"에 대응하고, 휘도변화가 128→127의 경우는 "c"에 대응한다.
2) 또한, 패널내의 화소를 (1, 1), (1, 2), (1, 3) … (2, 1), (2, 2), (2, 3)의 순서로 찾아 "b"(또는 "c) 이내로, 아직 등화펄스가 주어져 있지 않은 화소를 검색하고, 이 화소를 (i, j)로 한다.
3) 다음에, 화소(i, j)를 수평방향으로 "b"(또는 "c")가 이어진 영역을 찾는다.
4)이 영역을 끼운 화소가 "a"와 "d" 또는 "d"와 "a"이라면, "b"(또는 "c")가 계속된 수를 "Bij"로 한다.
5) 또한, 상기 3) 및 4) 이외의 경우,
Figure kpo00010
를 "Bij"번지에 기록한다.
6) 화소(i, j)와 수직방향으로 "b"(또는 "c")가 계속되는 영역을 찾는다.
7) 이 영역을 끼운 화소가 "a"와 "d" 또는 "d"와 "a"이라면 "b"(또는 "c")가 계속된 수를 Cij로 한다.
8) 상기 6) 및 7) 이외의 경우,
Figure kpo00011
를 "Cij"번지에 기록한다.
9) "Bij"가 "Cij"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Bij"를, 그 이외라면 "Cij"를 선택한다.
10) "Bij", "Cij" 어느 쪽도 "
Figure kpo00012
"인 때는, 등가펄스의 값을 "0"으로 한다.
11) 표 3의 LUT에서, 중량 붙인 등가펄스의 크기를 찾는다.
12) "b"(또는 "c")에 있는 전체 화소에 이 웨이팅된 등가펄스를 준다.
13) 상기 2)로 되돌린다.
14) 전체 화소에 대하여 웨이팅된 등가펄스의 부여가 종료하여 1)로 되돌리고, 제6 비트에 대한 웨이팅된 등가펄스 부가를 행한다. 또한, 다른 비트에 대하여도 이를 반복한다.
도 47 ∼ 도 50은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적용예로서 대각방향으로의 이동(곡선부의 어떤 화상의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은 대각방향이지만, 화상이 곡선으로 나타내지는 경우를 고려한다. 도 47은 원형화상이 좌하 45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면이다. 원의 내부는 휘도 레벨 127이고, 외부는 128이다. 화소는, 꼬리부분을 당기면서 망막상을 좌상 45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7에서의 부호 (2), (1), (0)은, 각각 도 41과 마찬가지이고,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을 고려하여 등화펄스에 웨이팅을 하고 있다. 또한, 도 48은 원형화상의 이동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49는, 도 47의 등화펄스에 대하여 표 4의 상단의 값으로 웨이팅을 하고 있다. 도 47의 웨이팅과 개략 일치하고 있는 것은 명백하다. 도 50은, 이 도면의 등화펄스에 대하여 표 4의 하단의 값으로 웨이팅 하고 있다. 도 47의 웨이팅과 결국 대략 일치하고 있음이 명백하다.
도 51에서, 이동방향과 계조의 변화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방향은 비대각방향이기 때문에, 발광의 잔상이 인접 화소와는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이 겹치는 도 41의 경우와 같이, 대각방향으로의 이동을 고려하여 웨이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1에서, 웨이팅은 표 4에 따르지만, 도 41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이하, 상기의 표 4에서의 처리는, 도 52 ∼ 도 59(도 60)의 흐름도로서 상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은, 회로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지만, 컴퓨터를 이하의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용의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c)나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적 기억매체 및 CDROM이나 MO 디스크 등의 광학적 기억매체 등을 통하여 반포되고,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등에 기재되어 반포되어 사용된다.
도 52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조 표시방법의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 프로챠트이고, 등화펄스 처리의 메인 버스(main bus)(메인 루틴(main routine))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화펄스 처리(중간조 표시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T1에서, N=7(최상위 휘도 비트)을 설정하여 스텝 ST2로 진행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N은, 휘도신호의 비트번호를 표시하고, 예를 들어, N=7은 최상위 신호비트(SF7 : 128 계조레벨), N=6은 그 아래의 휘도 신호비트(SF6 : 64 계조레벨)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2에서,『비트 절환부 검출처리』를 N=7 비트의 휘도신호에 대하여, 제n 프레임과 제n+1 프레임에 대하여 실행하고, 화소마다 비트절환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또, 스텝 ST3로 진행하고,『동화조 윤곽 개선처리』를 스텝 ST2의 비트절환부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실행하고, 스텝4로 진행한다.
스텝 ST4에서는, N=5가 성립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N=5이면(진:Yes) 등화펄스 처리를 종료하고, N=5가 아니면(위:No), 스텝 ST5로 진행한다. 스텝 ST5에서는, N=N-1을 실행한 후, 스텝 ST2로 되돌리고, 이하. 순서대로 ST3, ST4로 진행하고, 스텝 ST4에서 진(N=5)로 되기까지, 스텝 ST2 및 ST3의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서, 스텝 ST4에서의 N=5의 판별은,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등 시퀀스에서, 화상에 주는 영향이 큰 N=5(SF5: 32계조레벨)까지 등화펄스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따라서, 점등 시퀀스의 구성 및 등화펄스 처리가 필요로 되는 비트 구성 등에 의해, 그 설정치는 변화하게 된다.
도 53은 도 52의 흐름도에서의 비트절환부 검출처리(스텝 ST2)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2의 흐름도에서의『비트절환부 검출처리 ST2』 가 개시되면, 스텝 ST21에서, j=0으로 초기설정을 행하고, 또한, 스텝 ST22에서, i=0으로 초기설정을 행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i 및 j는, 화소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위치(화소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방향의 화소번호 i 및 종방향의 화소번호 j는, 함께 "0"에서 시작하고, 횡방향은 k 또는 종방향은 m의 크기를 갖고 있다. 즉, 화소수는, 횡방향이 (k+1)개이고, 종방향이 (m+1)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23으로 진행하고, 좌표 (0, 0)의 프레임 번호n과 (n+1)의 중간조 비트 데이터(b7(n)) 및 (b7(n+1))을 이어서 입력하고, 스텝 ST24로 진행한다. 스텝 ST24에서는, 스텝 ST23에서 계속하여 입력한 중간조 비트를 비교하고, 하기의 표 5에 따라서 값(yij)를 기억수단에 기입한다.
Figure kpo00013
또한, 스텝 ST25로 진행하고, 횡방향의 좌표번호를 비교(i=k)하고, 횡방향의 화소번호(i)가 k에 일치하지 않으면(즉, 비교한 결과, 횡방향의 화소번호i가 횡방향 화소수 k보다도 작으면), 스텝 ST26으로 진행하여 i=i+1로서 스텝 ST23으로 되돌리고, 스텝 ST25에서 i=k가 성립하기까지(즉, 같은 라인의 끝에서 끝까지의 화소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T25에서 i=k가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27로 진행한다.
스텝 ST27에서는, 종방향의 좌표번호를 비교(j=m)하고, 종방향의 화소번호 j가 m에 일치하지 않으면(즉, 비교한 결과, 종방향의 라인 번호 j가 종방향의 최대 표시라인수(m)보다도 작게 되면), 스텝 ST28로 진행하여 j=j+1로 하여 스텝 ST22로 되돌리고, 스텝 ST27에서 j=m이 성립하기 까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T27에서 j=m이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비트절환부의 검출처리 ST2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린다(도 52중의 스텝 ST3로 진행한다).
도 54는 도 52의 흐름도에서의 동화조 윤곽 개선처리(스텝 ST3)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흐름도는, 주로『움직임량 검출 처리용 서브루틴(ST35)』및『등화펄스 가감처리용 서브루틴(ST36)』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의 처리는, 도 55 ∼ 도 57 및 도 58 ∼ 도 60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여기서는, 이들 스텝 ST35 및 ST36의 서브루틴의 동작에는 언급하지 않고 전체적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2의 흐름도에서의 『동화조 윤곽 개선처리 ST3』 가 개시되면, 스텝 ST31에서, j=0으로 초기설정을 행하고, 또 스텝 ST32에서, i=0으로 초기설정을 행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i 및 j는, 화소의 횡방향의 화소번호(검색 모트) 및 종방향의 위치(처리 라인 번호)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스텝 ST33으로 진행하고, 좌표(0, 0)의 y0을 이어서 입력 y0의 값은, b 또는 c(즉, 중간조 레벨의 캐리업/캐리다운(carry-up/carry down))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스텝 ST33에서, 캐리업/캐리다운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34로 진행하고, 또한, 캐리업/캐리다운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37로 진행한다.
스텝 ST34에서는, 현재 검색중인 화소가 현 프레임에서의 다른 화소의 처리 결과에 의해 등화펄스가 가감되고 있지 않은지 어떤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T34에서, 등화펄스가 가감되고 있는지 판별되면, 스텝 ST37로 진행하고, 또한, 등화펄스가 가감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35로 진행하여, 『움직임량 검출처리』 가 행해지고, 스텝 ST36으로 진행하여 『등화펄스 가감처리』 가 행해지고, 스텝 ST37로 진행한다.
스텝 ST37에서는, 현재 검색중의 화소의 횡방향의 위치 i가 횡방향의 화소의 최대치 k인지 아닌지가 판별되고, 횡방향의 화소번호 i가 횡방향의 최대화소 k에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T38로 진행하여 i=i+1로서 스텝 ST33으로 되돌리고, 스텝 ST37에서 i=k가 성립하기까지(즉, 같은 라인의 끝에서 끝까지의 화소에 대하여),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T37에서 i=k가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39로 진행한다.
스텝 ST39에서는, 종방향의 라인 번호 j가 종방향의 표시 최대표시 라인수 m에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T30으로 진행하여 j=j+1로서 스텝 ST32로 되돌리고, 스텝 ST39에서 j=m이 성립하기까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T39에서 j=m이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동화조 윤곽 개선처리 ST3를 종료하고, 메인루틴으로 되돌린다(도 52중의 스텝 ST4로 진행한다).
도 55 ∼ 도 57은 도 54의 흐름도에서의 움직임량 검출처리 ST35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5의 흐름도는 횡방향의 움직임량 검출처리를 나타내고, 도 56 및 도 57의 흐름도는 종방향의 움직임량 검출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55 ∼ 도 57에 나타낸 서브 루틴(움직임량 검출처리 ST35)는, 화소 i, j에서, 캐리업 또는 캐리다운(캐리업/캐리다운)이 발생하는 경우(yij=b 또는 c)에 처리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량 검출처리(횡방향의 움직임량 검출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T41에서, 캐리업/캐리다운이 있는 화소에서 아직 등화펄스가 가감되어 있지 않은 화소(i, j)를 움직임 검색 개시화소의 좌표로서, 이 좌표를 고치어 (XS, YS)로 하여, 본 서브 루틴이 종료하기 까지 기억하고 있다.
다음에, 스텝 ST411에서, 횡방향의 검색개시 위치 i에서 1을 빼어, 다시 i로 두고(i=i-1), 스텝 ST412로 진행한다. 스텝 ST412에서는, 검색화소가 패널표시영역을 넘는지 어떤지(i〈0)가 판별되고, 검색화소가 패널표시 영역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415로 진행하고, 또한, 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4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T413에서는, 검색하고 있는 좌표(YS, i)로 검색을 개시하는 좌표의 화소의 상태변화(Yiys, YXsYs)를 비교하고, 다르면 스텝 ST414로 진행하고, 또한 같으면 스텝 ST411로 되돌아가고, 다르게 되기까지 또는 횡방향의 표시화면의 끝까지 도달하기까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T414에서는, 검색종료한 화소의 위치(i)에 대하여 1을 더하고, 횡방향의 캐리업/캐리다운(캐리업 또는 캐리다운)의 상태의 선두 좌표의 위치(Xea)를 구한다(Xea=i+1). 또한, 스텝 ST415에서, 횡방향의 캐리업/캐리다운의 상태가 표시영역의 끝까지 이어진 경우는, Xea=0으로 두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좌횡방향의 움직임량의 검색처리(상측으로의 검색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T411 및 ST415의 처리가 종료하면, 동시에 스텝 ST416으로 진행하고, 이하에 나타낸 우횡방향의 움직임량의 검색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T416에서는, 횡방향의 검색 시작위치(i)를 구하여 i=XS로 두고, 스텝 ST42로 진행하고, 횡방향의 검색시작 위치(i)에 1을 더하여, 다시 i로 둔다(i=i+1). 또한, 스텝 ST43으로 진행하고, 스텝 ST42에서 구한 i가 횡방향의 표시영역(k)를 넘는지 어떤지를 판별하고, 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검색동작을 증료하여 스텝 ST47로 진행하고, 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44로 진행한다.
스텝 ST44에서는, 새로운 횡방향의 검색화소의 좌표(i, ys)가 검색개시 화소의 위치의 비트절환 상태와 같은지 어떤지의 판별을 행하고, 상태가 같으면 (yiYs=yXsYs), 스텝 ST42로 되돌리고, 상기 스텝 ST44에서 상태가 다른 것으로 판별되기까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ST44에서 상태가 다른 것으로 판별되면, 검색처리를 종료하여 스텝 ST45로 진행한다. 여기서, 스텝 ST45는, 횡방향의 검색화소의 종료위치가 표시화소 끝까지 도달하게 되는 경우에 실행되고, 검색종료 위치의 횡방향의 좌표 i에서 1을 빼고, 그 값을 Xeb(Xeb=i-1)로서 기억한다.
또한, 스텝 ST451에 있어서, 스텝 ST45에서 얻어진 Xeb가 Xeb=0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별된다. 스텝 ST451에서, Xeb=0인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50으로 진행하고, Xeb=0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46에서, Xea가 Xea=0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스텝 ST46에서, Xea=0으로 판별되면, 스텝 ST49로 진행하고, Xea=0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4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T47에서는, 화소 Xea가 표시 선두위치에서 개시되었는지 아닌지 판별이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 ST47에서, 검색시작 화소가 표시선두 위치에서 개시된(Xea=0)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52로 진행하고, 개시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51로 진행한다.
스텝 ST48에서는, 횡방향의 움직임량(BXsYs)를 BXsYs=Xeb-Xea+1로 하고, 또한 횡방향의 비트의 절환이 있는 화소의 양측의 화소상태(α, β)=(YXea-1,Ys, YXeb+1,Ys)로서 구하여 기억한다. 또한, 스텝 ST49에서는, BXsYs=Xeb+1, 또 (α, β)=(YO,Ys, YXeb+1,Ys)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50에서는, BXsYs=1, 또한, (α, β)=(YO,Ys, YO,Ys)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51에서는, BXsYs=k-Xea+1, 또한, (α, β)=(YXea-1,Ys, Yk.Ys)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52에서는, BXsYs=k+1, 또한, (α, β)=(YO,Ys, Yk,Ys)로 구하여 기억한다. 이에 의해, 각 스텝 ST48 ∼ ST 52에서, 횡방향의 움직임량 및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 상태가 검색되고, 이어서, 스텝 ST53으로 진행한다.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T53에서는, 횡방향의 검색개시 위치(j)에서 1을 빼고, 다시 j로 두고(j=j+1), 스텝 ST54로 진행한다. 이 때, 횡방향의 검색화소의 위치는 Xs이다. 스텝 ST54에서는, 검색화소가 패널표시영역을 넘지 않는지 어떤지(j〈0)가 판별되어, 검색화소가 패널표시영역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57로 진행하고, 또 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55로 진행한다.
스텝 ST55에서는, 검색하고 있는 화소의 좌표(Xs, j)로 검색을 개시하는 좌표의 화소의 상태변화(YXsj, YXsYs)를 비교하고, 다르면 스텝 ST56으로 진행하고, 같으면 스텝 ST53으로 되돌아가고, 다르게 되기까지 또는 종방향의 표시화면의 끝으로 도달하기까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T56에서는, 검색종료한 화소의 위치(j)에 대하여 1을 더하고, 종방향의 캐리업/캐리다운(캐리업 또는 캐리다운)의 상태의 선두좌표의 위치(Yea)를 구한다(Yea=j+1). 또한, 스텝 ST57에서, 종방향의 캐리 업/캐리다운 상태가 표시영역의 끝까지 계속되는 경우는, Yea=0으로 두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방향의 움직임량의 검색처리(상측으로의 검색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T56 및 ST57의 처리가 종료하면, 동시에 스텝 ST58로 진행하고, 이하에 나타낸 종방향의 움직임량의 검색처리(하측으로의 검색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T58에서는, 종방향의 검색시작 위치(j)를 다시 j=YS로 두고, 다시, 스텝 ST59로 진행하여, 종방향의 검색시작 위치(j)에 1을 더하여, 다시 j로 둔다(j=j+1).
다음에, 스텝 ST60으로 진행하고, 검색화소의 위치(j)가 종방향의 표시영역(m)을 넘고 있지 않은지 판별하고, 넘고 있으면 스텝 ST68로 진행하고, 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T61로 진행한다. 스텝 ST61에서는, 검색하고 있는 화소의 좌표(XS, j)로 검색을 개시하는 좌표의 화소의 상태변화(YXsj, YXsYs)를 비교하고, 다르면 스텝 ST62로 진행하고, 같으면(YXsj= YXsYs) 스텝 ST59로 되돌리고, 다르게 되기까지 또는 종방향의 표시화면의 끝에 도달하기 까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T62에서는, 검색이 종료한 화소위치(j)에서 1을 빼고, 종방향의 캐리업/캐리다운(캐리업 또는 캐리다운)의 상태의 후측의 좌표의 위치(Yeb)를 구하고(Yeb=j-1), 또한, 스텝 ST63으로 진행한다. 스텝 ST63에서는 스텝 ST62에서 구해진 상태의 후측의 좌표 Yeb= 0이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67로 진행하고, 한편, Yeb= 0이 성립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64로 진행한다.
스텝 ST64에서는, 상태변화의 선두의 좌표(Yea)가 화면의 끝(=0)인지 아닌지 판별되고, 화면의 끝이 아니면, 스텝 ST65로 진행하고, 화면의 끝이면(Yea= 0) 스텝 ST66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ST68에서도, 상태변화의 선두 좌표(Yea)가 화면의 끝인지 아닌지 판별되고, 화면의 끝이 아니면 스텝 ST69로 진행하고, 화면의 끝이면(Yea=0) 스텝 ST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T65에서는, 종방향의 움직임량 CXsYs를 CXsYs= Yeb- Yea+1로 하고, 또 종방향의 비트 절환이 있는 화소의 양단의 화소상태(
Figure kpo00014
)=(YXs,Yea-1, YXs,Yeb+1)로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66에서는, CXsYs=Yeb+1, 또 (
Figure kpo00015
)=(YXs,0, YXs, Yeb+1)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67에서는, CXsYs=1, 또, (
Figure kpo00016
)=(YXs,0, YXs,0)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69에서는, CXsYs=m-Yea+1, 또 (
Figure kpo00017
)=(YXs,Yea-1, YXs,m)로 구하여 기억하고, 스텝 ST70에서는, CXsYs=m+1, 또 (
Figure kpo00018
)=(YXs,0, YXs,m)로 구하여 기억한다. 이에 의해, 횡방향의 움직임량과 동시에, 종방향의 움직임량도 검색하여, 움직임량 검출처리 ST35를 종료하고,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도 54중의 스텝 ST36으로 진행한다).
도 58 및 도 59(도 60)은 도 54의 흐름도에서의 등화펄스 가감처리 (ST36)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화펄스 가감처리(ST36)이 개시되면, 스텝 ST71에서는, 검색된 움직임 영역을 둔 횡방향의 화소(α, β)가 (a, d) 및 (d, a)인지 아닌지(조건 1) 판별되고, 판별결과가 진(Yes)이면 스텝 ST72로 진행하고, 위(No)이면 스텝 ST7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72에서는, 검색된 움직임 영역을 기운 종방향의 화소(
Figure kpo00019
)가 (a, d) 및 (d, a)인지 아닌지(조건 2) 판별되고, 판별결과가 진이면 스텝 ST73으로 진행하고, 위이면 스텝 ST74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T73에서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움직임량 BXsYs및 CXsYs가CXsYs≥ BXsYs(조건 3)에 의해 판별되고, CXsYs≥ BXsYs가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74로 진행하고, 또한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75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ST76에서도, 검색된 움직임 영역을 끼운 종방향의 화소(
Figure kpo00020
)가 (a, d) 및 (d, a)인지 아닌지(조건 2) 판별되고, 판별결과가 진이면 스텝 ST75로 진행하고, 위이면 스텝 ST77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T77에서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움직임량 BXsYs및 CXsYs가 CXsYs≥ BXsYs(조건 3)에 의해 판별되고, CXsYs≥ BXsYs가 성립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78로 진행하고, 또한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 ST79로 진행한다.
스텝 ST74에서는, 움직임량(VXsYs), 움직임량을 끼운 화소(ε , ζ) 및 검출시작 화소(YXsYs)가 기억된다(VXsYs= BXsYs, (ε , ζ)= (α , β), YXsYs). 마찬가지로, 스텝 ST75에서는, VXsYs= CXsYs, (ε , ζ)= (
Figure kpo00021
), YXsYs가 기억된다. 또한, 스텝 ST78에서는, 움직임량(VXsYs), 움직임량을 끼운 화소 및 검출시작 화소(YXsYs)가 기억 된다(VXsYs= BXsYs, (ε , ζ)= (α , β), YXsYs). 마찬가지로, 스텝 ST79에서는, VXsYs= CXsYs, (ε , ζ)= (
Figure kpo00022
), YXsYs가 기억된다. 그리고, 스텝 ST74 및 ST75의 처리가 끝나면 스텝 ST80으로 진행하고, 또한, 스텝 ST78 및 스텝 ST79의 처리가 끝나면 스텝 ST84로 진행하고, 각각 움직임 보상용의 등화펄스를 가감한다.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T80에서는, 상술한 표 4의 룩업 테이블(LUT)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량(VXsYs)에 대응하는 행을 선택하고, 스텝 ST81로 진행하며, YXsYs의 상태에 의해 정부 어느 쪽의 등화펄스를 가하는지를 선택한다. 또한, 스텝 ST82에서는, 움직임량을 끼운 화소(ε , ζ)에 의해 등화펄스의 웨이팅 방향을 결정하고, 스텝 ST83으로 진행하며, 움직임량을 끼운 화소(ε , ζ)에 끼워진 영역에 중량 붙인 등화펄스를 순서대로 더하고, 등화펄스 가감처리(ST36)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도 54 중의 스텝 ST37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T84에서는, 표 4의 LUT에 의해 검출시작 화소(YXsYs)의 상태에 따라 관련기술과 마찬가지의 등화펄스(도 27 및 도 35에 나타낸 등화펄스)를 선택한다. 또한, 스텝 ST85로 진행하고, 움직임량을 끼운 화소(ε , ζ)에 끼워진 영역에 등화펄스(관련기술과 마찬가지의 등화펄스)를 순서대로 더하여, 등화펄스 가감처리(ST36)을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 간다(도 54중의 스텝 ST37로 진행한다).
도 60은 도 58 및 도 59에 나타낸 등화펄스 가감처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0a 및 도 60b는, 각각 도 58 및 도 59에 나타낸 등화펄스 가감 처리에서의 참조부호 F에서 G의 사이의 처리의 변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 58 및 도 59 중의 스텝 ST77 ∼ ST79 및 스텝 ST84, ST85는, 도 60a에 나타낸 스텝 ST86 및 ST87 또는 도 60b에 나타낸 스텝 ST88로 처리할 수 있다.
도 58, 도 59 및 도 6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T76에서, 검색된 움직임 영역을 끼운 종방향의 화소(
Figure kpo00023
)가 (a, d) 및 (d, a)에서는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도 58 중의 스텝 ST77로 진행하는 대신, 스텝 ST8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86에서는, 상술한 표 4의 LUT에 의해 검출시작 화소(YXsYs)의 상태에 따라 관련기술과 마찬가지의 등화펄스(도 27 및 도 35에 나타낸 등화펄스)를 선택하고, 또한, 스텝 ST87로 진행하며, 좌표(Xs, Ys)에 대하여만 상기 YXsYs의 상태에 따라 등화펄스를 순서대로 가하여, 등화펄스 가감처리(ST36)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리도록(도 54 중의 스텝 ST37로 진행한다)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도 58, 도 59 및 도 6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T76에서, 검색된 움직임 영역을 둔 종방향의 화소(
Figure kpo00024
)가 (a, d) 및 (d, a)에서는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도 58 중의 스텝 ST77로 진행하는 대신, 스텝 ST88로 진행하고, 등화펄스를 가하지 않고, 등화펄스 가감처리(ST36)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리도록(도 54 중의 스텝 ST37로 진행한다)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도 52 ∼ 도 6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간조 표시방법은, 여러 가지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의 동화상에 대하여, 특히, 예를 들어, 이동속도가 5 화소/프레임을 넘는 고속의 동화상에 대하여도, 중간조 표시의 흐트러짐을 감소하여, 영상의 동화조 윤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표시장치로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가스 방전패널 이외에, 프레임 또는 필드 내 시간분할법에서 중간조 표시를 행하는 여러가지의 표시장치, 예를 들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나 EL패널 등에 대하여도 적용가능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화소의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각 프레임 내에서 각 화소에 미리 정해진 발광블럭에 대하여, 상기 변화의 상태에 따라서 각 화소에 중복하여 부착된 휘도조정을 위한 발광블럭을 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동속도가 큰 동화상에 대하여도, 중간조 표시의 흐트러짐을 감소하고, 특히, 영상의 동화조 윤곽(색조 윤곽)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2)

  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 및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또는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2.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 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 내에서의 점등 블럭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 수,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개의 화소의 상태 및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 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3.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산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화소수 내의, 작은 쪽의 화소수 및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 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4.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산정하고
    각각의 방향의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 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내에서의 점등블럭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두 개의 점등블럭이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연속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화소수 내의, 작은 쪽의 화소 수 및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 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5.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산정하고
    각각의 방향의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 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내에서의 점등블럭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상기 두 개의 점등블럭이 서로 다르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연속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화소수 내의, 작은 쪽의 화소 수 및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 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6.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산정하고
    각각의 방향의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두 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내에서의 점등블럭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한쪽의 방향만 상기 두 개의 점등블럭이 서로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연속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화소수의 크기에 관계없고,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소의 점등블럭에 끼운 화소수 및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 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상기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소의 발광블럭에 끼워질 때,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상기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소의 발광블럭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0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상기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소의 발광블럭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 발광블럭의 점등패턴의 변화에 따라 선택된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 내, 적어도 하나의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10.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이며,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할 때,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는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상기 연속하는 화소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도록 설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화소에 당해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1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이며,
    긱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할 때.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는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늘어선 순서로 단조롭게 증가하거나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12.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고,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n개 연속하고,
    상기 연속하는 n개 화소의 각 발광블럭에 의해 망막상의 자극의 시간변화를 B(t)으로 하고, 중간조 표시휘도의 변화전의 B(t)의 평균치를 B1으로 하고, 변화중의 B(t)의 평균치를 B2로 하고, 변화후의 B(t)의 평균치를 B3로 하고, 변화의 기간을 T로 하고,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해 막망상의 자극의 총화를
    Figure kpo00025
    S로 한 때, 상기 자극의 총화
    Figure kpo00026
    S가,
    B1T ≤ B2T +
    Figure kpo00027
    S ≤ B3T
    또는,
    B1T ≥ B2T +
    Figure kpo00028
    S ≥ B3T
    를 개략 만족하도록, 정 또는 부의 값을 갖는 자극의 총화
    Figure kpo00029
    S를 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n개의 화소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같거나 다른 크기의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고,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한 막망상의 자극의 총화를 n△ S에 개략 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13.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고,
    상기 점등 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n개 연속하고,
    상기 연속하는 n개 화소의 각 발광블럭에 의해 망막상의 자극의 시간변화를 B(t)으로 하고, 중간조 표시휘도의 변화전의 B(t)의 평균치를 B1으로 하고, 변화중의 B(t)의 평균치를 B2로 하고, 변화후의 B(t)의 평균치를 B3로 하고, 변화의 기간을 T로 하고,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해 막망상의 자극의 총화를 △ S로 한 때, 상기 자극의 총화 △ S가,
    B2≤ (B1+ B3)/2
    의 경우, △ S가,
    O ≤
    Figure kpo00030
    S ≤ (B1+ B3- 2B2)T
    를 개략 만족하도록, 또는
    B2≥ (B1+ B3)/2
    의 경우, △ S가,
    O ≥ △ S ≥ (B1+ B3- 2B2)T
    를 개략 만족하도록, 정 또는 부의 값을 갖는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한 막망상의 자극의 총화 △ S를 정하고,
    상기 연속하는 n개의 화소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같거나 다른 크기의 휘도 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도록 하고,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발광에 의해 망막상의 자극의 총화를 n△ S에 개략 같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14.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한 중간조 표시방법이며, 복수의 화소의 발광블럭의 점등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점등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중간조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 점등패턴이 변화하는 복수의 연속하는 화소에 대하여,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 및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 변화의 상태에 따라 웨이팅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각각을 발광하는 종속화소를 갖고, 상기 종속화소의 조합된 컬러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조 표시방법.
  16.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어떤 프레임과, 당해 프레임에 연속하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특정의 비트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비트가 변화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는 수단과,
    상기 산정된 화소수 및 상기 특정 비트의 변화의 상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 비트의 변화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대하여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의 특정 발광블럭의 점등 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
    어떤 프레임과, 당해 프레임에 연속하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특정의 비트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 비트가 변화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는 수단과,
    상기 특정비트가 변화하는 화소가 표시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속하는 수를 산정하는 수단과,
    상기 산정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각각의 표시평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을 끼운 2개의 화소의 점등패턴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와 각각의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점등패턴의 검출된 상태에 따라, 어느 한쪽의 방향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연속하는 화소수 및 상기 선택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점등패턴의 상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 비트의 변화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대하여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상기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2개의 화소의 발광블럭에 끼워진 경우,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상기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2개의 화소의 발광블럭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의 크기를 0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하는 화소가 상기 표시화면상에서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2개의 화소의 발광블럭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 상기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발광블럭의 점등패턴의 변화에 따라 선택된 상기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 내, 적어도 하나의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 혹은 필드내에 미리 정해진 복수의 발광블럭을 가지며, 상기 발광블럭의 조합으로 중간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발광블럭의 점등패턴이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의 점등패턴을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원신호에 가하거나 감하는 수단과,
    상기 연속하는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에 점등패턴이 변화하는 복수의 연속하는 화소에 대하여, 상기 연속하는 화소수 및 상기 연속하는 화소를 끼운 2개의 화소의 프레임 또는 필드 내에서 점등패턴의 상태 및 상기 연속하는 화소의 상기 점등패턴의 프레임 또는 필드 사이 변화의 상태에 따라 웨이팅된 휘도조정용 발광블럭을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 16항 내지 제 21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조를 표시하는 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각각을 발광하는 종속화소를 갖고, 상기 종속화소의 조합된 컬러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19970034477A 1996-10-29 1997-07-23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100263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7077 1996-10-29
JP28707796A JP3712802B2 (ja) 1996-10-29 1996-10-29 中間調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237A KR19980032237A (ko) 1998-07-25
KR100263245B1 true KR100263245B1 (ko) 2000-08-01

Family

ID=1771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477A KR100263245B1 (ko) 1996-10-29 1997-07-23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29204B1 (ko)
EP (2) EP1519352A3 (ko)
JP (1) JP3712802B2 (ko)
KR (1) KR100263245B1 (ko)
DE (1) DE69739246D1 (ko)
TW (1) TW3290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704B1 (ko) * 1998-04-17 2003-02-0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의사윤곽 보정 장치 및 방법
ES2232148T3 (es) * 1998-07-25 2005-05-16 Grundig Multimedia B.V. Dispositivo de representacion de imagenes controlado por subcuadros.
US6496194B1 (en) 1998-07-30 2002-12-17 Fujitsu Limited Halftone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disturbances occurring in moving image portions
JP4767379B2 (ja) * 1998-07-30 2011-09-07 茂生 御子柴 中間調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EP0978816B1 (en) 1998-08-07 2002-02-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especially for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EP0982708B1 (en) * 1998-08-19 2011-05-1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in particular for large area flicker effect reduction
EP0987675A1 (en) * 1998-09-16 2000-03-2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especially for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US6630917B1 (en) 1999-06-28 2003-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bfield-driven display
JP2001083926A (ja) 1999-09-09 2001-03-30 Sharp Corp 動画偽輪郭補償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6525702B1 (en) * 1999-09-17 2003-02-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in sub-fields
AU7783900A (en) 1999-09-29 2001-04-30 Thomson Licensing S.A.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JP2001117074A (ja) * 1999-10-18 2001-04-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306029A (ja) * 2000-04-25 2001-11-02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Ac型pdpの駆動方法
EP1285427A1 (en) 2000-05-09 2003-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in sub-fields
FR2814627B1 (fr) * 2000-09-27 2003-01-17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image pour corriger des defauts de visualisation d'objets mobiles
JP5191621B2 (ja) * 2000-11-28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の駆動方法
TW538407B (en) * 2000-11-30 2003-06-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subfield coding
KR100397437B1 (ko) * 2001-06-11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의사윤곽 감소방법 및 그의감소장치
JP2002372948A (ja) * 2001-06-18 2002-12-26 Fujitsu Ltd Pdp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03015587A (ja) * 2001-06-28 2003-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25486B1 (ko) * 2001-12-03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신호 처리 장치
JP3995505B2 (ja) * 2002-03-25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WO2003091975A1 (en) * 2002-04-24 2003-11-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3818649B2 (ja) 2002-05-20 2006-09-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784898B2 (en) * 2002-11-07 2004-08-31 Duke University Mixed mode grayscale method for display system
KR20050033197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CN100466045C (zh) * 2004-05-18 2009-03-0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显示器件及驱动方法
JP2005352483A (ja) * 2004-06-09 200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772033B2 (ja) * 2005-01-25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070063996A1 (en) * 2005-09-14 2007-03-22 Childers Winthrop 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070064008A1 (en) * 2005-09-14 2007-03-22 Childers Winthrop 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7551154B2 (en) * 2005-09-15 2009-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WO2007052441A1 (ja) * 2005-11-07 2007-05-10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360410B2 (ja) * 2007-03-16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回路、表示装置及び印刷装置
JP5141277B2 (ja) 2008-02-08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点灯期間設定方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バックライトの駆動方法、点灯期間設定装置、半導体デバイス、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US10341622B2 (en) 2013-05-07 2019-07-0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half-tone imaging and dual modulation projection/dual modulation laser projection
WO2014182404A1 (en) 2013-05-07 2014-11-1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half-tone imaging and dual modulation projection/dual modulation laser proj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495A (en) * 1992-05-14 1995-10-17 In Focus Systems, Inc. Gray level addressing for LCDs
JPH05127612A (ja) 1991-11-05 1993-05-25 Nippon Hoso Kyokai <Nhk> 中間調画像表示方法
WO1993013513A1 (en) * 1991-12-24 1993-07-08 Cirrus Logic, Inc. Process for producing shaded images on display screens
US5495287A (en) * 1992-02-26 1996-02-27 Hitachi, Ltd. Multiple-tone display system
US5596349A (en) * 1992-09-30 1997-01-21 Sanyo Electric Co., Inc. Image information processor
JP2795124B2 (ja) 1993-03-03 1998-09-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画像表示方法
US5943032A (en) * 1993-11-17 1999-08-24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gray scale of plasma display device
JP3489884B2 (ja) 1994-02-08 2004-01-26 富士通株式会社 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及び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における中間調表示方法
AUPM440494A0 (en) * 1994-03-11 1994-04-14 Can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ustralia Pty Ltd Intermingling subpixels in discrete level displays
JP3169763B2 (ja) * 1994-05-18 2001-05-28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階調駆動装置
JP3588481B2 (ja) 1994-06-24 2004-11-10 Fdk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亜鉛系フェライト材
JPH0863120A (ja) 1994-08-19 1996-03-08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画像表示方法
JP2666739B2 (ja) * 1994-09-29 1997-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3158904B2 (ja) * 1994-10-19 2001-04-2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映像表示方法
US6025818A (en) 1994-12-27 2000-02-1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for correcting pixel data in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driving system
JP2796619B2 (ja) * 1994-12-27 1998-09-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階調駆動装置
JP3891499B2 (ja) * 1995-04-14 2007-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における輝度調整装置
DE69634972T2 (de) * 1995-05-23 2006-05-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ldqualitätsverbesserung bei rasterabbildung
US5767828A (en) * 1995-07-20 1998-06-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ey-scale or color images from binary images
US5748160A (en) * 1995-08-21 1998-05-05 Mororola, Inc. Active driven LED matrices
JP3922736B2 (ja) * 1995-10-18 2007-05-30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5818419A (en) * 1995-10-31 1998-10-06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5818405A (en) * 1995-11-15 1998-10-06 Cirrus 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licker in shaded displays
US5818400A (en) * 1996-04-09 1998-10-06 International Resource Management Inc. Display device using intersecting optical beams
JP3277121B2 (ja) * 1996-05-22 2002-04-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デイスプレイの中間表示駆動方式
JP3719783B2 (ja) * 1996-07-29 2005-11-24 富士通株式会社 中間調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5790096A (en) * 1996-09-03 1998-08-04 Allus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ed flat panel display control system for accomodating broad range of video types and formats
JP3620943B2 (ja) * 1997-01-20 2005-02-16 富士通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0274B1 (en) 2009-02-11
US6529204B1 (en) 2003-03-04
JP3712802B2 (ja) 2005-11-02
EP1519352A2 (en) 2005-03-30
EP1519352A3 (en) 2007-08-01
EP0840274A1 (en) 1998-05-06
TW329003B (en) 1998-04-01
JPH10133623A (ja) 1998-05-22
DE69739246D1 (de) 2009-03-26
KR19980032237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245B1 (ko) 중간조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JP3719783B2 (ja) 中間調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0586083B1 (ko) 의사윤곽 효과 보상을 위해 비디오 화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6496194B1 (en) Halftone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disturbances occurring in moving image portions
JP3489884B2 (ja) 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及び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における中間調表示方法
KR100473514B1 (ko)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디스플레이를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6222512B1 (en)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isplaying gray-scales in an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JP3711378B2 (ja) 中間調表示方法及び中間調表示装置
JP2002372948A (ja) Pdp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H10124000A (ja) 自発光表示器の駆動装置
KR10081006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87678B1 (ko) 비디오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비디오 화상을처리하기 위한 장치
KR100825355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H0925868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319903A (ja) 多階調画像表示装置
KR100346809B1 (ko) 중간조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JP4591081B2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767379B2 (ja) 中間調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3609204B2 (ja) ガス放電表示パネルの階調表示方法
JP3365229B2 (ja) 画像表示装置
JP3656995B2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EP09800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especially for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JPH117266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映像表示方式およびその装置
JPH10161587A (ja) 表示装置の動画補正方法及び動画補正回路
JPH0863121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