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390B1 - 필름급송장치 - Google Patents

필름급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390B1
KR100261390B1 KR1019970074863A KR19970074863A KR100261390B1 KR 100261390 B1 KR100261390 B1 KR 100261390B1 KR 1019970074863 A KR1019970074863 A KR 1019970074863A KR 19970074863 A KR19970074863 A KR 19970074863A KR 100261390 B1 KR100261390 B1 KR 10026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lm
spool
motor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730A (ko
Inventor
료지 오쿠노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6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2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 G03B17/425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motor driv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카메라등의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한 장치는, 필름을 감는 스풀에 설치된 스풀기어와, 상기 스풀기어에 전달된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급송장치
본 발명은 카메라등에서 필름을 감거나 되감는 동력전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촬영필름중에는, 미국특허 제4,832,275호와 제4,834,3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 전까지 필름선단부가 카트리지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가 카메라등에 장전된 후에 카메라등의 내부에 설치된 필름급송기구에 의해서 카트리지내에 설치된 스풀(이후 카트리지 스풀이라고 함)이 구동되어 카트리지에서 필름이 송출되는 타입의 필름이 있다. 이후 이런 타입의 필름을 드러스트타입이라고 한다.
또한, 감기스풀을 구동함으로써 드러스트타입 카트리지로부터 송출된 필름을 카메라 등에 설치된 감기 스풀상에 감고, 카트리지스풀을 구동함으로써 필름을 카트리지내로 되감는 각종 기술수단은 (i) 일본국 특개평 3-206435호 공보, (ii) 일본국특개평 3-287150호 공보, (iii) 일본국 특개평 6-265989호 공보등에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i) 일본국 특개평 3-206435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수단에서는, 카트리지스풀을 구동함으로써 필름을 송출하는 동작에서부터 감기 스풀을 구동함으로써 필름을 감는 동작으로의 전환이 1방향 클러치를 사용함으로써 원활하게 수행된다.
또한, (ii) 일본국 특개평 3-287150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수단에서는, 1방향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2개 전달경로채널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어 카트리지스풀을 구동함으로써 필름을 송출하는 동작에서부터 감기 스풀을 구동함으로서 필름을 감는 동작으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iii) 일본국 특개평 6-26598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수단에서는 태양기어가 감속기어열의 최종단에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유성기어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유성기어중 하나는 감기 스풀을 구동함으로써 필름을 송출하는 동작실행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어, 필름을 송출하는 동작에서부터 필름을 감는 동작으로의 전환이 소형기어배열에 의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언급한 각종의 기술수단은, 카트리지스풀을 구동하고, 감기 스풀을 구동하는 최소 2개의 구동력 전달채널이 필요함으로써 장치의 크기가 불이익하게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3의 각 필름급송장치에 사용되는 클러치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 2의 필름급송장치에 사용되는 클러치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 A에서 본 기어헤드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6도에 표시된 필름급송장치의 클러치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9도는 제6도에 표시된 필름급송장치의 클러치부를 또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0도는 필름을 송출하는 동작이 개시되는 상태에서 제6도의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1도는 필름을 되감는 동작의 변경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제6도의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필름을 되감는 동작이 진행중인 상태에서 제6도의 필름급송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트리지 2 : 필름
3 : 감기 스풀 4 : 피니언 기어
5,6,7 : 감속기어 8 : 유성기어
9 : 유성암 10 : 스토퍼
11 : 드러스트 기어 12,12' : 클러치판
13 : 되감기 기어 14,15 : 아이들 기어
16 : 포오크 기어 17,17' : 캠판
18 : 강철볼 20,21 : 아이들 기어
본 발명의 일국면에 의하면, 필름감기 스풀에 설치된 스풀기어와 스풀기어로 전달된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기어가 구동력전달시에 중간기어로 사용됨으로써, 장치의 크기와 가격을 감소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국면 및 다른 국면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실시예 1에 따른(또한, 이후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는 카메라, 필름관찰장치등과 같은, 각종 필름사용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필름카트리지(1)는 미국특허 제4,832,275호와 미국특허 제4,834,306호 등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드러스트타입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2)의 선단부는 사용할 때까지 카트리지(1)내에 수납되고, 카트리지(1)가 필름급송장치에 장전된 후에, 카트리지스풀이 회전구동되어 필름(2)이 카트리지(1)에서 송출된다.
감기 스풀(3)은 카트리지(1)에서 송출된 필름(2)을 감도록 되어 있다. 감기 스풀(3)은 필름(2)에 마찰력의 발생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고무재료로 표면이 피복된 필름을 감는 부분(3b)과 회전력을 얻기위한 스풀기어(3a)로 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4)는 감기 스풀(3)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도시생략)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제1감속기어(5)는 피니언 기어(4)와 맞물려 있는 큰 기어부(5a)를 가진다. 아이들 기어(6)는 제1감속기어(5)의 작은 기어부(5b)와 맞물려 있다. 제2감속기어(7)는 아이들 기어(6)와 맞물려 있는 큰 기어부(7a)와 스풀기어(3a)와 맞물려 있는 작은 기어부(7b)를 가진다. 모터에 직접 연결된 피니언 기어(4)에서부터 스풀기어(3a)까지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시스템에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풀기어(3a)까지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시스템에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어들은 항상 서로 맞물려 있고, 유성기어 등과 같은 구동절환부재는 포함되어 있지않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모터가 감기 스풀(3)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감속기어열은 감기 스풀(3)을 수용하는 스풀챔버의 상부에만 집중해서 설치될 수 있다.
유성암(9)은 제2감속기어(7)의 회전축상에 장착되어 있다. 유성암(9)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유성기어(8)는 제2감속기어(7)의 큰 기어부(7a)와 맞물려 있다. 또한, 제2감속기어(7)와 유성암(9) 사이에는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소정의 회전마찰력이 부여되어 있다.
드러스트 기어(11)는 항상 스풀기어(3a)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드러스트 기어(11)는 클러치부(12)의 입력측상의 부재로 사용된다. 되감기 기어(13)는 클러치부(12)의 출력측상의 부재로 사용된다.
여기서, 클러치부(12)의 분해사시도는 제4도에 표시된다. 제4도에 있어서, 드러스트 기어(11)와 일체로 형성된 캠판(17)은 외주의 3개 방향에 돌출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의 단면도에 표시된 되감기 기어(13)는 캠판(17)이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사발형상 클러치 튜브(1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되감기 기어(13)의 축구멍부(13a)와 클러치튜브(19)는, 드러스트 기어(11) 및 캠판(17)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되감기 기어(13)의 축구멍부(13a)와 클러치튜브(19)는, 드러스트 기어(11) 및 캠판(17)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1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강철볼(18)은 캠판(17)과 클러치튜브의 내벽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부(12)에 의해, 드러스트 기어(14)와 되감기 기어(13)는, 드러스트 기어(11)와 되감기 기어(13) 사이의 회전속도의 관계에 따라서 강철볼(18)이 클러치 튜브(19)의 내벽과 캠판(17)의 돌출부(17a)사이에 삽입될 때 서로 연결되고, 강철볼(18)이 돌출부(17a)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으로 떨어질 때 서로 연결이 차단된다.
다시 제1도에 있어서, 아이들 기어(14)는 되감기 기어(13)와 맞물려 있다. 아이들 기어(15)는 아이들 기어(14)와 맞물려 있다. 포오크 기어(16)는 아이들 기어(15)와 맞물려 있고, 카트리지 스풀을 걸어맞추어서 이것을 구동하는 포오크(16a)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필름급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상기한 부재가 필름(2)을 감기 위해 회전하는(송출하고 감는) 구동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상기한 부재가 필름(2)을 되감기 위해 회전하는 구동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우선, 피니언 기어(4)가 필름감기구동방향으로(실선 화살표로 표시됨)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 피니언 기어(4)와 맞물려 있는 기어(5), 기어(6),(7) 스풀기어(3a)는 실선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그래서 감기 스풀(3)도 또한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2감속기어(7)의 회전은 유성암(9)을 스토퍼(1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결과, 유성기어(8)는 어느 기어에도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된다.
스풀기어(3a)와 맞물려 있는 드러스트 기어(11)는 감기 스풀(3)를 개재하여 전달된 모터구동력에 의해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실선화살표 방향의 드러스트 기어(11)의 회전은 강철볼(18)을 캠판(17)의 돌출부(17a)에 의해서 클러치 튜브(19)의 내벽에 밀리도록 하여, 클러치부(12)는 연결상태로 되어, 드러스트 기어(11)와 되감기 기어(13)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다. 되감기 기어(13)의 회전은 아이들 기어(14)와 (15)를 개재하여 포오크 기어(16)로 전달된다. 포오크(16a)를 걸어맞추는 카트리지 스풀은 회전구동된다. 그결과, 필름(2)은 카트리지(1)에서 송출된다.
카트리지(1)에서 송출된 필름(2)이 감기 스풀(3)의 필름감기부분(3b)에 도달하면, 필름(2)은 밀기수단(도시생략)의 미는 동작하에 느슨하지 않게 필름감기부분(3b)에 감긴다. 필름급송장치의 기어열의 감속비는, 감기 스풀(3)의 표면상에서 필름(2)의 외주속도가 필름(2)이 카트리지(1)에서 송출되는 속도보다 항상 빠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감기 스풀(3)에 감긴 필름(2)의 일부는 포오크기어(16)를 실선화살표방향으로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결과, 포오크기어(16), 아이들 기어(14),(15) 및 되감기 기어(13)는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더 빠른 속도로 회전된다. 되감기 기어(13)가 실선화살표방향으로 드러스트 기어(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되며, 클러치 튜브(19)의 내벽과 강철볼(18) 사이의 마찰에 의해 강철볼(18)은 캠판(17)의 돌출부(17a)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으로 밀어 넣어진다. 오목한 부분에 삽입된 강철볼(18)로 인하여 클러치불(12)가 연결상태에서 해제되어, 드러스트 기어(11)에서 되감기 기어(13)로 전달되는 동력이 정지된다. 따라서 그 후에, 필름은 감기 스풀(3)에 의해서만 감겨지게 된다.
또, 드러스트 기어(11)와 스풀기어(3a)는, 필름감기구동시에 아이들 기어(15)와 포오크 기어(16)의 감속단을 제외하고, 최종감속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기어(13),(14)와 (15)는, 감속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기어배열에 의해서, 기어(13),(14)와 (15)는 포오크 기어(16)가 필름(2)에 의해 구동될 때 어떤 큰 부하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클러치부(12)의 연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모터상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필름송출구동에서 필름감기구동으로의 전환은 신속하고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다.
한편, 피니언 기어(4)가 모터에 의해 필름되감기방향으로(점선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면, 감속기어(5),(6),(7)과 스풀기어(3a)는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감기 스풀(3)을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제2감속기어(7)의 회전에 의해 유성암(9)은 스토퍼(1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성기어(8)는 되감기 기어(13)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감속기어(7)의 회전은 되감기 기어(13)로 전달되어, 되감기 기어(13)를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스풀기어(3a)와 맞물리는 드러스트 기어(11)는 모터구동력에 의해서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되감기 기어(13)와 드러스트 기어(11) 모두는 구동력을 받아서, 클러치부(12)를 가로질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렇지만, 모터에서부터 되감기 기어(13)까지의 부분의 감속비(기어(4),(5),(6),(7a),(8) 및(13)의 감속비)가 모터에서부터 드러스트 기어(11)까지의 부분의 감속비(기어(4),(5),(6),(7),(3a) 및 (11)의 감속비)보다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필름되감기구동시에 되감기 기어(13)는 드러스트 기어(11)보다 항상 느리게 회전한다. 그러므로, 캠판(17)은 캠판(17)의 돌출부(17a)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분으로 강철볼(18)을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되감기구동시에, 클러치부(12)는 연결상태에서 항상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력은 제2감속기어(7), 유성기어(8), 되감기 기어(13) 및 아이들 기어(14),(15)를 개재하여 포오크 기어(16)에 전달된다.
또한, 필름의 되감기시에는 포오크 기어(16)와 감기 스풀(3) 모두는 필름 되감기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렇지만, 감기 스풀(3)의 표면상에서의 필름(2)의 되감기 속도가 포오크 기어(16)에 의해 회전되는 카트리지스풀의 표면상에서의 필름(2)의 되감기 속도보다 항상 빠르게 설정되기 때문에 필름(2)이 스풀챔버내에 느슨하게 감긴 상태로 되어 필름(2)이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에서, 스풀기어(3a)는, 감기 스풀(3)을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기어뿐만 아니라, 되감기 기어(13)에서부터 포오크 기어(16)까지의 기어들로 구성된 카트리지스풀구동시스템으로 모터구동력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 드러스트 기어(11)에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아이들 기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해 필름급송장치에 필요한 기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카트리지스풀구동시스템에의 구동력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풀기어(3a)는 스풀챔버의 중심에 배치되고, 비교적 큰 사이즈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풀기어(3a)의 출력은 어느 방향에서도 인출할 수 있다. 즉, 드러스트 기어(11)의 설정위치는 넓은 허용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에서는, 필름감기구동작용은 유성기어(8)을 동력전달을 위한 되감기 기어(13)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서 실행된다. 그러므로, 만약 되감기 기어(13)의 배치(드러스트 기어(11)의 배치에 따라서 결정됨)가 제2감속기어(7)(유성기어(8)의 태양기어)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지더라도, 그 거리는 유성기어(8)의 사이즈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의 상기 구성에 의해 비교적 두꺼운 클러치 기어열(11,12,13), 유성기어열(8,9)과 감속기어열(5,6,7)을 스풀기어(3a)상부에 집중해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클러치 기어열(11,12,13)을 따르는 기어(14),(15),(16)는 포오크 기어(16)에 이르는 비교적 얇은 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비록 필름급송장치가 클러치부(12)를 포함하지만 필름카트리지(1)가 설치된 카트리지 챔버 상부의 유용한 얇은 공간내와, 또한 카트리지챔버와 스풀챔버 사이의 유용한 얇은 공간내에 체적이 있는 기어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이 얇은 공간이외의 넓은 공간은 필름급송장치 이외의 부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한 구성에 의해 필름급송장치를 사용하는 장치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클러치 기어열(11,12,13), 유성기어열(8,9) 및 감속기어열(5,6,7)을 스풀기어(3a) 상부에 집중해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유니트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니트를 각종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유성기어(8)의 이동범위는 유성기어(8)가 되감기 기어(13)와 맞물리는 위치와, 유성기어(8)가 되감기 기어(13)에서 이탈되는 위치의 2개의 위치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유성기어(8)가 2개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경우와 비교하면, 유성기어(8)는 더 작은 이동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은 이런 관점에서 필름급송장치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유성기어(8)는 필름을 되감을 때 되감기 기어(13) 대신에., 예를 들면, 아이들 기어(15)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런 변형예는 클러치부(12)가 필름을 되감는 연결상태에서 해제되는 기어열 구성이면 문제는 없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에서 표시한 실시예 1과 공통인 모든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이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 설명에서 생략한다. 실시예 2는, 스풀기어(3a)에 내접기어부(3c)가 형성되어 있고, 제2감속기어(7)의 작은 기어부(7b)는 내접기어부(3c)와 맞물려 있고, 드러스트 기어(11)는 아이들 기어(20)를 개재하여 스풀기어(3a)(외접기어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실시예 2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에서도, 피니언 기어(4)가 모터에 의해서 필름감기 방향으로(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의 구동력은 감속기어열(5,6,7)을 개재하여 스풀기어(3a)로 전달되어 감기 스풀(3)도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스풀기어(3a)의 내접기어부(3c)와 제2감속기어(7)의 작은 기어부(7)의 내접맞물림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작은 기어부(7b)가 스풀기어(3a)와 외접하여 맞물리는 경우보다 맞물림범위가 증가되는 만큼 더 안정된 스풀(3)상의 구동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넓은 맞물림범위를 제공한다.
이 스풀기어(3a)는 아이들 기어(20)를 개재하여 드러스트 기어(11)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드러스트 기어(11)를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에, 제2감속기어의 회전에 의해 유성암(9)은 스토퍼(1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성기어(8)는 어느 기어와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대피한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드러스트 기어(11)와 되감기 기어(13)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부(12')는 캠판(17')의 돌출부(17a')형상, 즉 이 돌출불(17a')와 클러치 튜브(19)내에 강철볼(18)의 걸리는 방향이 실시예 1의 클러치부(12)(제4도 참조)와 다르다. 특히 필름을 카트리지에서 송출할 때 드러스트 기어(11)가 제2도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러스트 기어(11)와 일체로 형성된 캠판(17')은 클러치 튜브(19)의 내벽에 강철볼(18)을 민다. 그러므로 클러치부(12')는 연결상태로 되어 되감기 기어(13)를 드러스트 기어(11)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후에, 필름(2)이 감기 스풀(3)에 감기게 되고, 되감기 기어(13)가 드러스트 기어(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튜브(19)의 내벽은 강철볼(18)을 캠판(17')의 돌출부(17a')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밀어넣어, 클러치부(12')는 연결상태에서 해제된다. 그후에, 필름(2)의 감기구동은 감기 스풀(3)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한편, 피니언 기어(4)가 모터에 의해서 필름되감기방향으로 즉,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의 구동력은 감속기어열(5,6,7)을 개재하여 스풀기어(3a)로 전달되어, 감기 스풀(3)을 또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스풀기어(3a)는 아이들 기어(20)를 개재하여 또 드러스트 기어(11)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드러스트 기어(11)를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에, 제2감속기어(7)의 회전은 유성암(9)을 스토퍼(10)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그 결과, 유성기어(8)는 되감기 기어(13)와 맞물리게 되어 되감기 기어(13)를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되감기 기어(13)와 드러스트 기어(11) 모두는 클러치부(12)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지만, 모터에서부터 되감기 기어(13)까지 부분의 감속비(기어(4),(5),(6),(7a),(8),(13)의 감속비)는 모터에서부터 드러스트 기어(11)까지 부분의 감속비(기어(4),(5),(6),(7),(3a),(20),(11)의 감속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름되감기 구동시에 되감기 기어(13)는 드러스트 기어(11)보다 항상 느리게 회전한다. 따라서 캠판(17')은 강철볼(13)을 돌출불(17a')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필름되감기구동시의 연결상태에서 클러치부(12')를 해제시킨다. 그러므로 이때에 모터의 구동력은 제2감속기어(7), 유성기어(8), 감기기어(13) 및 아이들 기어(14)를 개재해서 포오크 기어(16)로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2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로는, 실시예 1의 효과와 동일한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실시예 2와 공통인 실시예 3의 모든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설명에서 생략한다. 실시예 3은, 스풀기어(3a)와 드러스트 기어(11)가 서로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필름되감기 구동시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성기어(8)와 되감기 기어(13)사이에 아이들 기어(21)가 삽입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2와 다르다.
또 실시예 3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에서, 피니언 기어(4)가 모터에 의해서 필름감기 방향으로 즉,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의 구동력은 감속 기어열(5,6,7)을 개재하여 스풀기어(3a)로 전달된다. 다음에 감기 스풀(3)도 또한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스풀기어(3a)는 모터의 구동력을 또 드러스트 기어(11)에 전달하여 드러스트 기어(11)를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에, 제2감속기어(7)의 회전은 유성암(9)을 스토퍼(1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결과, 유성기어(8)는 어느 기어와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대피한다.
드러스트 기어(11)와 되감기 기어(13)사이에 배치된 클러치판(12)는 실시예 1의 클러치부(제4도 참조)와 동일하다. 드러스트 기어(11)가 카트리지에서 필름을 송출할때에 제3도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러스트 기어(11)와 일체로 형성된 제2감속기어(7)은 클러치 튜브(19)의 내벽에 강철볼을 밀어서, 클러치판(12)는 연결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되감기 기어(13)는 카트리지(1)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그후에, 필름(2)이 감기 스풀(3)에 감겨지고, 되감기 기어(13)가 드러스트 기어(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튜브(19)의 내벽은 캠판(17)의 돌출부(17a)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강철볼(18)을 밀어넣어, 클러치판(12)는 연결상태에서 해제된다. 그 후에, 필름(2)의 감기구동은 감기 스풀(3)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한편, 피니언 기어(4)가 모터에 의해서 필름 되감기 방향으로 즉,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의 구동력은 감속기어열(5,6,7)을 개재하여 스풀기어(3a)로 전달되어 감기 스풀(3)을 또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스풀기어(3a)는 또 드러스트 기어(11)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드러스트 기어(11)를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에, 제2감속기어(7)의 회전은 유성암(8)을 스토퍼(10)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그 결과, 유성기어(8)는 아이들 기어(21)를 개재하여 되감기 기어(13)와 맞물리도록 되어, 되감기 기어(13)를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되감기 기어(13)와 드러스트 기어(11) 모두는 클러치판(12)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지만, 모터에서부터 되감기 기어(13)까지의 부분의 감속비(기어(4),(5),(6),(7a),(8),(21),(13)의 감속비)는 모터에서부터 드러스트 기어(11)까지의 부분의 감속비(기어(4),(5),(6),(7),(3a),(11)의 감속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름되감기 구동시에, 되감기 기어(13)는 드러스트 기어(11)보다 항상 느리게 회전한다. 이 때문에, 캠판(17)은 돌출부(17a)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강철볼(18)을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필름되감기 구동시의 연결상태에서 클러치판(12)를 해제한다. 그러므로, 이때에 모터의 구동력은 제2감속기어(7), 유성기어(8), 되감기 기어(13) 및 아이들 기어(14),(15)를 개재하여 포오크 기어(16)로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3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한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필름급송장치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A의 방향에서 본, 필름급송장치의 기어헤드부를 표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6도와 제7도에서, 상기 실시예와 공통인 모든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아래 설명에서 생략한다.
제6도와 제7도를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4)는 필름급송모터(도시생략)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감속기어(5)는 피니언 기어(4)와 맞물려 있는 큰 기어부(5a)를 가진다. 유성기어(22)는 태양기어로서의 감속기어(5)를 가지고, 감속기어(5)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성기어(22)의 큰 기어부(22a)는 감속기어(5)의 작은 기어부(5b)와 맞물려 있다. 유성판(23)은 유성기어(22)의 작은 기어부(22b)를 감기 스풀(3)의 내접기어부(3c)나 태양기어(25)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유성축(24)은 스프링(도시생략)을 개재하여 유성기어(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태양기어(25)는 감기 스풀(3)의 내접기어부(3c)와 맞물리지 않는 고정위치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유성클러치 기어(26)는 태양기어(25)와 전달기어(29)의 큰 기어부(29a)와 항상 맞물려 있고, 태양기어(25) 주위를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유성드러스트 기어(27)와 유성클러치 기어(26) 사이에서 클러치기능을 수행하면서 유성드러스트 기어(27)가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와 맞물리는 위치와 유성드러스트 기어(27)가 내접 기어부(3c)와 맞물리지 않는 다른 위치 사이에서 태양기어(25)주위를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축(28)은 유성클러치 기어(26)와 유성드러스트 기어(27)에 대한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이 클러치축(28)은 유성판(23)의 캠부(23a)를 걸어 맞추는 단부 돌기(28a)를 가져서, 클러치축(28)의 위치 즉, 유성드러스트 기어(27)의 선회위치가 유성판(23)으로 제어된다.
제8도와 제9도는 제6도에 표시된 유성클러치 기어(26)와 유성드러스트 기어(27)로 구성된 클러치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제8도와 제9도에 있어서, 태양기어 회전 슬리이브(31)는 유성판(30)과 일체로 코오킹되어 있고, 태양기어(25)와 끼워맞춤되어 있다. 유성클러치 기어(26)는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면에 경사진 발톱면(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성드러스트 기어(27)도,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발톱면(27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축(28)은, 유성드러스트 기어(27)에 유성클러치 기어(26)를 밀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32)을 가압하면서 유성판(3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4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필름급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0도는 필름을 카트리지에서부터 송출하는 동작이 개시될 때의 필름급송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0도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4)(제10도에서 도시생략)에 의해서 구동되는 감속기어(5)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속기어(5)와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22)는 유성축(24)에 화살표방향으로 작용되는 공전력을 받는다. 따라서, 이 유성기어(22)는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와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유성기어(22)는 태양기어(25)와 맞물리지 않는다. 다음에, 감기 스풀(3)은 유성기어(22)에 의해서 화살표방향으로 즉, 필름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이때에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가 큰 직경이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4)와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사이의 기어단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량의 감속이 가능하다.
또한, 클러치축(28)의 단부돌기(28a)는 유성판(23)의 캠부(23a)의 작동에 의해서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쪽에 규제되어 있다. 이 동작에 의해서 유성드러스트 기어(27)는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와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유성드러스트 기어(27)가, 제8도에 표시된 유성드러스트 기어(27)의 경사진 발톱면(27a)이 유성클러치 기어(26)의 경사진 발톱면(26a)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이 유성클러치 기어(26)는 유성드러스트 기어(27)와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유성클러치 기어(26)의 동력은 전달기어(29)의 큰 기어부(29a)로 전달된다. 즉, 유성드러스트 기어(27)는, 유성기어(22)의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감기 스풀(3)의 내접 기어부(3c)의 동력이 내접 기어부(3a)의 다른 부분에서 인출되어 포오크 기어(16)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서 표시한 상태에서, 각 기어는 실선방향으로 회전하고, 필름(2)은 포오크 기어(16)에 의해서 카트리지(1)에서 송출되도록 구동된다. 송출된 필름(2)은 탄성부재(33)에 의해서 감기 스풀(3)에 밀리는 상태로 감기스풀에 감겨진다. 다음에, 감기 스풀(3)의 필름감기속도가 포오크 기어(16)의 필름송출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기 때문에, 필름(2)은 포오크 기어(16)의 필름 송출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카트리지(1)에서 이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감기 스풀(3)의 회전에 의한 필름(2)의 인장력은 포오크 기어(16)에 전달된다. 다음에, 유성클러치 기어(26)가 유성드러스트 기어(27)보다 빠른 속도로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유성클러치 기어(26)와 유성드러스트 기어(27)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필름(2)은 감기 스풀(3)의 회전에 의해서만 감긴다. 또한, 이때에 태양기어(25)가 항상 유성클러치 기어(26)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태양기어(25)는 유성클러치 기어(26)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그렇지만, 태양기어(25)의 회전은 단지 공회전만 할 뿐이다. 그러므로, 필름(2)은 송출될 수 있고, 방해없이 감길 수 있다.
제11도는 필름을 송출하고 감는 동작에서 필름을 되감는 동작으로 전환한 후에 바로 얻게 되는 필름급송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4)(제11도에서 도시생략)에서 동력을 받은 감속기어(5)는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된다. 유성기어(22)의 작은 기어부(22b)가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유성판(23)이 회전함으로써 감기 스풀(3)의 내접기어부(3c)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해제되어, 유성기어(22)는 태양기어(25)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클러치축(28)의 단부돌기(28a)는 유성판(23)의 캠부(23a)의 동작에 의해서 유성드러스트 기어(27)가 감기 스풀(3)의 내접기어부(3c)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점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2도는 필름감기 동작이 진행중인 필름급송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유성기어(22)의 작은 기어부(22b)는 태양기어(25)와 맞물려 있어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공전력을 부여한다. 태양기어(25) 주위의 공전력을 받으면서, 유성클러치 기어(26)는, 유성드러스트 기어(27)가 감기 스풀(3)의 내접기어부(3c)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서 유성판(23)의 캠부(23a)의 위치규제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의 필름되감기 구동력은 태양기어(25), 유성클러치 기어(26), 전달기어(29) 및 아이들 기어(14),(15)를 개재하여 포오크 기어(16)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감기 스풀(3)은 모터의 구동력과 전혀 관계없이 필름감기부(3b)에 감긴 필름을 되감는 힘에 따라서 회전한다. 다음에 제6도에 표시된 탄성부재(33)(판스프링등)의 존재에 의해 필름감기동작과 필름되감기동작을 반복 실행하더라도 필름(2)이 감기 스풀(3)의 필름감기부(3b)상에 감긴상태를 느슨하게 하는 일 없이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4에 따른 필름급송장치로는,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동일한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종래 감기스풀에의 구동력의 입력만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던 스풀기어를, 카트리지스풀구동기구에의 모터구동력을 중계하는 아이들기어로서도 사용하므로, 필름급송장치내의 기어수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소형화나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풀기어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크기 때문에, 이것에 맞물리는 입력기어의 배치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스풀기어에 상시 맞물리는 감속기어열을 개재해서 이 스풀기어에 모터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감을 때와 되감을 때에 있어서 스풀기어에 걸어맞춤 및 이탈하는 유성기어 등의 구동절환기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감속기어열의 배열상의 제약을 줄이거나 모터로부터 스풀기어까지의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입력기어를, 스풀기어와 카트리지스풀구동기어와의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수단의 입력측부재로서 사용하므로, 기어수를 감소시키고, 카트리지스풀구동기구에의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스풀구동기구의 기어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맞물림 및 이탈하는 기어를 가진 구동절환수단을 설치하고, 이 구동절환수단을, 상기 감속기어열중의 기어에 장착하고 있으므로, 이 구동절환수단을 비롯 상기 클러치수단이나 감속기어열 등, 비교적 두께가 큰 부재를 스풀기어의 근방에 종합해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챔버둘레나 카트리지챔버와 스풀챔버와의 사이부분에 클러치수단이후의 얇은 기어열만을 배설해서 장치내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거나, 스풀기어둘레의 기어열을 유니트화해서 여러 가지 필름사용장치에 병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스풀기어와 입력기어와 모터로부터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구동력전달경로에 있어서의, 적어도 감을 때에 있어서의 최종 또는 그 앞의 감속단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스풀에 의한 필름송출후의 감기스풀에 의한 감기 중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상과 같은 필름급송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콤팩트하고, 평활한 필름감기와 되감기를 행할 수 있는 필름사용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또는 블록형태로 표시된 각 구성요소는 카메라기술분야에서 모두 잘 알려져 있고, 그 상세한 구성과 동작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나 동작에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생각되는 것에 관해서 설명해왔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역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와 사상에 포함되는 동등한 구성과 각종 변형예를 커버하고자 한다. 하기 청구항의 범위는 최대 광의의 해석을 허용해서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성과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필름감기 스풀에 배치된 스풀기어가 개시된 각 실시예에서 필름급송구동력의 전달을 위한 중간기어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스풀기어는 필름급송구동력 이외에 광학시스템구동력과 같은 구동력의 전달을 위한 중간기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또는 그 기술적 구성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이나 언급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전체나 일부가 하나의 장치를 형성하거나, 다른 장치와의 결합에 사용되거나, 장치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안렌즈리플렉스카메라와 렌즈-셔터형카메라와 같은 각종 카메라와, 필름감상장치, 필름사용장치, 동력전달장치등과 같은 카메라 장치이외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a) 필름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감는 스풀과; b) 상기 스풀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c) 상기 모터의 출력이 전달되고,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스풀기어와; d) 상기 모터의 출력을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는 필름카트리지 구동기구를 구비한 필름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는, 필름을 송출할 때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해서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고, 필름을 되감을 때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하지 않고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기어는 상기 스풀의 외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기어는 상기 스풀의 내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는 유성클러치기구를 가지며, 유성클러치기구의 태양기어는 상기 스풀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 구동기구는, 2개의 기어의 속도차가 있는 경우에 2개의 기어의 연결을 끊는 클러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는, 필름을 되감을 때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에 전달하지 않도록 전달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7. a) 필름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감는 스풀과; b) 상기 스풀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c) 상기 모터의 출력이 전달되고,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스풀기어와; d) 필름을 송출할 때에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해서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는 제1의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와; e) 필름을 되감을 때에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하지 않고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는 제2의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기어는 상기 스풀의 외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기어는 상기 스풀의 내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필름을 되감을 때에 상기 제2의 필름카트리지 구동기구는 상기 제1의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에 의한 전달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필름을 되감을 때에 상기 제2의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는 상기 모터와 상기 스풀기어와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12. a) 필름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감는 스풀과; b) 상기 스풀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c) 상기 모터의 출력이 전달되고,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스풀기어와; d) 상기 모터의 출력을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는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를 구비한 필름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는, 상기 모터가 제1의 방향으로 회전구동할때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해서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고, 상기 모터가 제2의 방향으로 회전구동할때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하지 않고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13. a) 필름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감는 스풀과; b) 상기 스풀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c) 상기 모터의 출력이 전달되고,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스풀기어와; d) 상기 모터가 제1의 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해서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는 제1의 필름카트리지 구동기구와; e) 상기 모터가 제2의 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스풀기어를 개재하지 않고 필름카트리지에 전달하는 제2의 필름카트리지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급송장치.
KR1019970074863A 1996-12-27 1997-12-27 필름급송장치 KR100261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152996 1996-12-27
JP1996-351529 1996-12-27
JP96-351529 199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730A KR19980064730A (ko) 1998-10-07
KR100261390B1 true KR100261390B1 (ko) 2000-07-01

Family

ID=1841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863A KR100261390B1 (ko) 1996-12-27 1997-12-27 필름급송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70999B1 (ko)
EP (1) EP0851273B1 (ko)
KR (1) KR100261390B1 (ko)
CN (1) CN1149441C (ko)
DE (1) DE69731876T2 (ko)
TW (1) TW367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658A (ja) * 1998-09-03 2000-03-21 Canon Inc フィルム給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2001099243A (ja) * 1999-09-29 2001-04-10 Canon Inc 動力伝達装置、フィルム給送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0335500B1 (ko) * 2000-05-16 2002-05-08 윤종용 직접사상 캐쉬와 완전연관 버퍼를 포함한 캐쉬 시스템의제어 방법
JP5220284B2 (ja) * 2006-05-15 2013-06-26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フィルム巻き取りロールの回転機構
US9625786B2 (en) * 2011-07-29 2017-04-18 Robert Bosch Gmbh Linear actuator and camera with a motorized back focus module with the linear actuator
CN107477171A (zh) * 2017-08-01 2017-12-15 梁文元 一种齿轮传动收放结构
CN108761782A (zh) * 2018-06-20 2018-11-06 东莞市维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监控镜头防尘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730A (ja) * 1988-10-17 1990-04-18 West Electric Co Ltd フィルム電動給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324A (en) * 1980-03-22 1981-10-16 Canon Inc Film feeder for camera
US4688763A (en) 1983-10-01 1987-08-25 Nippon Kogaku K. K. Film feeding device in a camera
US4832275A (en) 1988-05-19 1989-05-23 Eastman Kodak Company Film cassette
JP2890641B2 (ja) 1989-10-26 1999-05-17 株式会社ニコン 巻上げ・巻戻し装置
JPH03287150A (ja) * 1990-04-02 1991-12-17 Nikon Corp カメラのフイルム給送装置
JP3110507B2 (ja) * 1991-09-19 2000-11-20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電動巻上げ装置
JP3208882B2 (ja) * 1993-01-05 2001-09-17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作動機構
JPH07110518A (ja) * 1993-10-14 1995-04-2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H07175114A (ja) * 1993-12-17 1995-07-1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装置
JPH0829841A (ja) * 1994-07-15 1996-02-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フイルム給送装置
JPH08160511A (ja) * 1994-12-02 1996-06-21 Nikon Corp フィルム給送装置
US5555048A (en) * 1995-01-20 1996-09-10 Eastman Kodak Company Dual floating gear system for a film transport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730A (ja) * 1988-10-17 1990-04-18 West Electric Co Ltd フィルム電動給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730A (ko) 1998-10-07
DE69731876D1 (de) 2005-01-13
EP0851273B1 (en) 2004-12-08
EP0851273A2 (en) 1998-07-01
DE69731876T2 (de) 2005-11-24
CN1149441C (zh) 2004-05-12
CN1190749A (zh) 1998-08-19
US6170999B1 (en) 2001-01-09
EP0851273A3 (en) 2000-01-19
TW367426B (en) 199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390B1 (ko) 필름급송장치
EP0202073B1 (en) An electric camera
US5456419A (en) Film feeder for cameras
JP3208882B2 (ja) カメラおよび作動機構
KR900001984Y1 (ko) 카메라의 필림 이송장치
US4724450A (en) Motorized camera
JPS6242489B2 (ko)
US5576784A (en) Film transport device of camera
US6336751B1 (en) Film feeding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267535A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送り装置
JPH0580396A (ja) フイルム電動巻上げ装置
US6276845B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JP2633350B2 (ja) 切換クラッチ機構およびこの機構を使用したフィルム電動給送装置
US6929408B2 (en) Camera with motor and gear drive system
KR910009543B1 (ko) 필름 와인딩장치
US6361224B1 (en) Film transport device and camera
KR0184952B1 (ko)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JPS58203423A (ja) カメラの巻上げ装置
JP2000009154A (ja) クラッチ装置
JPH10239743A (ja) カメラ等の動力伝達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00019597A (ja) カメラ
JP2765707B2 (ja) フィルム給送装置
JP4033680B2 (ja) 駆動伝達機構
KR930005817Y1 (ko) 카메라의 필름 이송장치
JPH04760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