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952B1 -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952B1
KR0184952B1 KR1019950041662A KR19950041662A KR0184952B1 KR 0184952 B1 KR0184952 B1 KR 0184952B1 KR 1019950041662 A KR1019950041662 A KR 1019950041662A KR 19950041662 A KR19950041662 A KR 19950041662A KR 0184952 B1 KR0184952 B1 KR 018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lanetary gear
gear
spool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780A (ko
Inventor
장재원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5004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952B1/ko
Publication of KR97002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03B17/305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for roll 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03B1/10Pull exerted by take-up spool rotated by knob through gea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03B1/12Pull exerted by take-up spool rotated by motor, e.g.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어드벤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구성함에 있어, 일방향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두개의 유성 기어부를 사용하여 와인딩 및 리와인딩을 하고, 와인딩시 카트리지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함으로써, 카메라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3도는 종래의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Advanced Photo System)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 기어로써 와인딩(Winding) 및 리와인딩(Rewinding) 작용과 그 속도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제3도는 종래의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테이컵 스풀(Take-up Spool; 103)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과 카트리지 구동축(105)으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필름 카트리지(119) 장착후 필름 선단부가 테이컵 스풀(Take-up Spool; 103)에 감길 때까지는, 카트리지 구동축(105)으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만이 필름 카트리지(119)에 작용하고, 테이컵 스풀(103)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은 필름이 테이컵 스풀(103)과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구동은 되나 필름 카트리지(119)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101)가 구동되어 그 회전력이 여러 기어를 통하여 선기어(113)로 전달되며, 상기 선기어(113)와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115)로 전달되고, 유성 기어(115)는 제2일방향 클러치(111)와 동일축 상에 설치된 기어와 맞물리는 상태(실선으로 나타냄)로 된다.
유성 기어(115)로 전달된 회전력은 그와 연결된 제2일방향 클러치(111) 하측에 연결된 카트리지 구동기어(107)로 전달되어 카트리지 구동축(105)을 회전시킴으로써 필름 카트리지(119)를 회전시켜 필름 선단부를 테이컵 스풀(103) 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필름의 선단부가 테이컵 스풀(103)에 연결되면, 비로소, 테이컵 스풀(103)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이 필름 카트리지(119)에 작용하게 된다.
즉, 모터(101)로부터 각 기어를 통하여 제1일방향 클러치(109)로 전달되므로써 이와 연결된 테이컵 스풀(103)의 회전력이 필름 카트리지(119)에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단 필름의 선단부가 테이컵 스풀(103)과 연결되면 카트리지 구도축(105)으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과 테이컵 스풀(103)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이 동시에 필름 카트리지(119)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은 필름의 와인딩을 설명한 것이고, 이제 필름의 리와인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일방향 클러치(103)는 와인딩시에만 회전력을 테이컵 스풀(103)로 전달하므로, 필름의 리와인딩시에는 테이컵 스풀(103)은 자유 회전하고 카트리지 구동축(105)만이 강제 회전한다. 즉, 카트리지 구동축(105)이 회전함에 의해서 필름을 리와인딩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101)는 와인딩시와 반대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력은 각 기어를 통하여 선기어(113)로 전달되어 이와 연결된 유성 기어(115)를 회전시키고, 유성 기어(115)는 카트리지 구동기어(107)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117)와 맞물리는 상태(점선으로 나타냄)로 된다.
유성 기어(115)로 전달된 회전력은 기어(117)를 통하여 제2일방향 클러치(111)의 하측에 카트리지 구동축(105)과 연결된 카트리지 구동기어(107)로 전달되어 역시 카트리지 구동축(105)으로 전달된다.
즉, 모터(101)로부터 유성 기어(115)로 전달된 회전력이 카트리지 구동축(105)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카니즘은 회전력의 전달이 두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테이컵 스풀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과 카트리지 구동축으로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어드밴스트 포토시스템 카메라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구성함에 있어 하나의 메카니즘을 통하여 와인딩과 리와인딩을 구현함으로써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이에 따라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어드밴스트 포토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구동축과, 상기 필름 카트리지로부터의 필름이 와인딩되는 테이컵 스풀과,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력 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력 발생장치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테이컵 스풀과 카트리지 구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어와, 필름 와인딩 및 리와인딩시 상기 카트리지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유성 기어부 및 상기 테이컵 스풀로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기 위한 제2유성 기어부를 포함하며, 필름 와인딩시 상기 제1유성 기어부가 상기 카트리지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작용]
따라서, 필름 와인딩시에는 회전력 발생장치로부터의 회전력이 제1유성 기어부에 의해 카트리지 구동축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제2유성 기어부에 의해 테이컵 스풀로 전달되고, 필름 리와인딩시에는 제2유성 기어부에 의해 테이컵 스풀로의 회전력 전달은 차단되고 제1유성 기어부에 의해 카트리지 구동축으로만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필름의 와인딩과 리와인딩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필름 카트리지(미도시)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구동축(9)과, 상기 필름 카트리지로부터의 필름이 와인딩되는 테이컵 스풀(5)과,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2)와, 상기 전기 모터(2)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테이컵 스풀(5)과 카트리지 구동축(9)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어(14), (20)와, 필름 와인딩 및 리와인딩시 상기 카트리지 구동축(9)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유성 기어부(13) 및 필름 와인딩시에는 테이컵 스풀(5)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필름 리와인딩시에는 테이컵 스풀(5)로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제2유성 기어부(21)를 포함하며, 필름 와인딩시 상기 제1유성 기어부(13)가 상기 카트리지 구동축(9)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2)는 상기 테이컵 스풀(5)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데, 테이컵 스풀(5)과는 분리되어 장착되어 테이컵 스풀(5)이 회전하더라도 모터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모터(2)가 구동하면 그 회전력은 모터축(1)에 결합된 모터축 기어(3)을 통하여 여러 기어(14)를 거쳐 제2유성 기어부(21)의 제2선기어(23)로 전달됨과 동시에, 여러 기어(14)를 거쳐 제1유성 기어부(13)로 전달되며, 다시 여러 기어(20)를 거쳐 카트리지 구동기어(11)로 전달되어 카트리지 구동축(9)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제, 필름 와인딩시와 리와인딩시로 나누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 실선화살표로 회전방향을 나타낸 필름 와인딩시에는, 제1유성 기어부(13)와 제2유성 기어부(21)가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즉, 테이컵 스풀(5)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2)로부터의 회전력은 제1유성 기어부(13)의 제1유성 기어(17)를 통하여 카트리지 구동축(9)으로 전달됨은 물론이고, 제2유성 기어부(21)의 제3유성 기어(25)가 테이컵 스풀(5)과 결합된 테이컵 스풀 구동기어(7)와 맞물림으로써 테이컵 스풀(5)에도 전달되는 것이다.
필름 카트리지(미도시)의 필름 선단부가 테이컵 스풀(5)에 감길 때까지는 모터(2)로부터의 회전력이 제2유성 기어부(21)를 통하여 테이컵 스풀(5)로 전달되어 테이컵 스풀(5)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력이 제1유성 기어부(13)의 제1유성 기어(17)를 통하여 카트리지 구동축(9)으로 전달되어 이에 장착된 필름 카트리지를 회전시킴으로써 필름을 밀어내게 된다.
이제, 필름이 카트리지로부터 더욱 밀려나 필름 선단부가 테이컵 스풀(5)에 감기게 되면, 테이컵 스풀(5)의 회전속도가 카트리지 구동축(9)의 회전속도보다 빠르므로, 이를 전달받은 기어(18)의 회전속도가 제1유성 기어(17)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되어 속도차에 의하여 제1유성 기어(17)가 기어(18)와 맞물린 상태로부터 떨어졌다 맞물리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속도 조절을 행하게 되고, 제2유성 기어부(21)를 통하여 테이컵 스풀(5)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필름이 테이컵 스풀(5)에 감기게 된다.
다음으로 제2도에 점선화살표로 회전방향을 나타낸 리와인딩시에는 제2유성 기어부(21)의 회전력은 테이컵 스풀(5)로 전달되지 않고 제1유성 기어부(13)의 회전력만이 카트리지 구동축(9)으로 전달되어 카트리지에 작용하게 된다. 즉, 리와인딩시에는 제2유성 기어부(21)의 제3유성 기어(25)는 테이컵 스풀 구동기어(7)와 떨어지게 되고, 제1유성 기어부(13)의 제2유성 기어(19)가 기어(18)와 맞물려 회전력을 카트리지 구동축(9)으로 전달됨으로써 리와인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모터(2)의 회전은 와인딩시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제1유성 기어부(21)의 제2유성 기어(19)를 통하여 카트리지 구동기어(11)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카트리지 구동축(9)을 회전시킴으로써 리와인딩이 이루어진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가 테이컵 스풀 내부에 장착되고, 필름을 와인딩 및 리와인딩 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하나의 기어 트레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와인딩시 필름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카트리지 구동축의 회전력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유성 기어로써 차단하므로 별도의 일방향 클러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카메라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Claims (3)

  1. 필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구동축과, 상기 필름 카트리지로부터의 필름이 와인딩 되는 테이컵 스풀과,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력 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력 발생장치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테이컵 스풀과 카트리지 구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어와, 필름 와인딩 및 리와인딩시 상기 카트리지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유성 기어부 및 상기 테이컵 스풀로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기 위한 제2유성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성 기어부는 하나의 선기어에 두개의 유성 기어가 각각 맞물려 있어 상기 선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두 개의 유성 기어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필름을 와인딩하는 방향으로 선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두개의 유성 기어중 하나의 유성기어가 카트리지 구동축과 결합된 카트리지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맞물리고, 필름을 리와인딩하는 방향으로 선기어의 회전방향이 바뀌면 다른 하나의 유성기어가 상기 카트리지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 발생장치는 전기 모터인 어드밴스트 포트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유성 기어부는 하나의 선기어에 하나의 유성 기어가 맞물려 있어 상기 선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유성 기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필름을 와인딩하는 방향으로 선기어가 회전하면 테이컵 스풀과 결합된 테이컵 스풀 구동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가 서로 맞물리고, 필름을 리와인딩하는 방향으로 선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유성 기어가 테이컵 스풀 구동기어와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KR1019950041662A 1995-11-16 1995-11-16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KR018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662A KR0184952B1 (ko) 1995-11-16 1995-11-16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662A KR0184952B1 (ko) 1995-11-16 1995-11-16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780A KR970028780A (ko) 1997-06-24
KR0184952B1 true KR0184952B1 (ko) 1999-05-15

Family

ID=1943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662A KR0184952B1 (ko) 1995-11-16 1995-11-16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9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780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8304A (en) One-way clutch and winding and rewinding device for camera using the same
US5456419A (en) Film feeder for cameras
KR0184952B1 (ko) 어드밴스트 포토 시스템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리와인딩 메카니즘
EP0851273B1 (en) Film transport apparatus
KR950008347B1 (ko) 전동구동 카메라
JP2821146B2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送り装置
US5735475A (en) Multi-motor film feeding device with planetary gearing
JPS6242489B2 (ko)
US5576784A (en) Film transport device of camera
EP0424938B1 (en) Winding/rewinding apparatus for a camera
JPH09236854A (ja) カメラの駆動切換機構
JP2633350B2 (ja) 切換クラッチ機構およびこの機構を使用したフィルム電動給送装置
JPS5885424A (ja) カメラの巻上げ巻戻し装置
JPH1062852A (ja) カメラの駆動機構
JPH0134776Y2 (ko)
JPH0733221Y2 (ja) カメラの画面間隔保持機構
JPH0244269Y2 (ko)
JPH01173728U (ko)
JPH06265990A (ja) カメラのフイルム給送装置
JP2765707B2 (ja) フィルム給送装置
JP3372995B2 (ja) 駆動装置
JP3375820B2 (ja) フィルム電動巻上げ装置
JPH09230452A (ja)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機構
JPS58137829A (ja) モ−タドライブカメラ
JPH04125530A (ja)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