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543B1 - 필름 와인딩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와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543B1
KR910009543B1 KR1019880014262A KR880014262A KR910009543B1 KR 910009543 B1 KR910009543 B1 KR 910009543B1 KR 1019880014262 A KR1019880014262 A KR 1019880014262A KR 880014262 A KR880014262 A KR 880014262A KR 910009543 B1 KR910009543 B1 KR 91000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clutch
shaft
film wind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810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4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543B1/ko
Publication of KR90000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03B1/10Pull exerted by take-up spool rotated by knob through gea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18Moving film strip by means which act on the film between the ends thereof
    • G03B1/20Acting means
    • G03B1/32Friction grippers or 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름 와인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 와인딩시의 작동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리와인딩시의 작동도.
제4도는 통상적인 필름 리와인딩 장치의 동력전달을 도시하는 치차 연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중공축수 6a : 돌출부
12 : 종동기어 12a : 슬로트
14a : 클러치 로울 14b : 래치트 핑거
20 : 클러치링 20a : 노치
20b : 래치트 톱니 22 : 핀
본 발명은 필름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있어서 모우터의 동력원으로 필름을 감아 들일 수 있게 한 필름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동식 카메라에서 필름은 감기레버의 조작에 의해 와인딩 스풀상에 감겨지면서 촬영이 행해지고, 촬영이 끝나면 되감기레버를 조작하여 파트로네안으로 필름을 되감아 들이게 되어 있다.
이러한 필름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 조작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모우터를 동력원으로 해서 자동으로 가필름 감기 및 되감기가 행해지게 하여 조작의 번거로움을 없앤 필름 와인딩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종류 필름 와인딩장치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그 부피가 커서 카메라 몸체와는 별도로 만들어져 사용시에만 조립될 수 있게 하였으나, 기술의 진보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에 일체로 내장할 수 있는 수준에 까지 이르고 있다.
그렇지만 카메라 내장형 필름 와인딩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대부분 감기 스풀축과 되감기축에 각각 정역종동기어를 설치하고, 이들 양 기어사이에 모우터와 연결된 구동기어 및 클러치기어를 개재시켜서 감기 스풀 혹은 되김기축을 선택적으로 회전구동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많은 부품이 필요하고 더 이상 부피와 중량을 감소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잘 알려진 필름 와인딩장치의 구조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양단에 감기스풀축의 정종동기어(A)와 되감기축의 역종동기어(B)가 대향배치되고, 그 중간에 모우터와 연결된 구동기어(C)가 배치되는 한편, 이 구동기어(C)의 외주에 링크와 치차연결된 클러치기어(D)를 설치하고, 전기한 구동기어(C)는 감기 수풀축의 정종동기어(A)로 치차연결되어진 감속기어군(E)로 치차연결하는 한편, 클러치기어(D)는 되감기축의 역종동기어(B)측으로 치차 연결된 아이들러(F)에 단속 가능하게 치차연결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필름 와인딩장치는 구조적으로 많은 수의 기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부피 및 중량감소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구동기어(C)가 감기 수풀축의 종동기어(A)측으로 항시 치차연결되어 있는 까닭에, 클러치기어(D)를 단속하기 위한 조작수단외에도 감기 스풀축으로도 동력의 단속수단을 설치해야만 필름 되감기시 장애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등 구조적으로도 복잡해짐을 피할 수 없다.
상술한 구조의 복잡성은 공지된 정역회전 모우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해결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에 되감기축과 감기 스풀은 필연적으로 동기회전될 수 밖에 없고, 이들의 동기회전은 필름이 풀리는 쪽과 감기는 쪽에 속도차가 생기게 하므로 실용화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필름 와인딩장치에서 볼 수 있는 다수의 기어 배열군을 생략하여 부피 및 중량의 감소를 도모함과 동시에 구조를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필름 와인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되감기축의 종동기어를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내부에 일방향회전 클러치수단을 배치하여 종동기어가 특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되감기축이 연동 회전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감기 스풀축의 종동기어와 되감기 축의 종동기어 사이를 타이밍밸트로 연결하여 정역모우터의 동력이 양종동기어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되감기축의 종동기어 내측에 배치되는 클러치 수단은 내부에 되감기축이 삽입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중공축수와, 전기한 중공기어의 밑면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되는 클러치링과, 전기한 되감기축의 하단에서 종동기어를 관통하여 연장되어서 클러치링의 중심에 위치하는 클러치로울로 이루어진다.
중공축수는 클러치링과 연계되는 돌출부를 보유하는 것으로서, 종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클러치링과 클러치로울 사이의 동력 연결이 단속되게 한다.
종동기어는 전기한 중공축수의 돌출부가 관총되는 슬로트를 보유하며, 클러치로울의 축상에서 아이들링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로서, 카메라 바디(2)에서 되감기축(4)가 배치된 부분을 나타낸다.
되감기축(4)는 중공축수(6)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중공축수(6)은 하측방에 플랜지(6a)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플랜지(6a)의 일측에서 밑면으로 돌출부(6b)가 형성되어있다.
전기한 중공축수(b)는 커버(8)에 의해 축수되어 바디(2)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플랜지(6a)상에는 스프링(10)이 개재되어 항상 내리눌리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받게 되어 있다.
플랜지(6a)의 밑면측으로 종동기어(12)가 위치한다.
전기한 종동기어(12)의 중심 축공에는 연결관(1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서 중공축수(6)내로 그 일단부가 연장되어 되감기축(4)의 하단과 축이음된다.
한편, 되감기축(4)의 하단은 연결관(14)의 내부에서 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됨과 동시에 연결관(14)의 외주 일측에 뚫려 있는 수직장공(14b)를 타고 승강되는 연결핀(18)에 의해 상호 일체로 접속되어, 축방향으로 출몰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파트로네가 되감기축(4)에 쉽게 축연결될 수 있게 해준다.
전기한 중공축수(6) 돌출부(6b)는 종동기어(12)에 뚫려 있는 슬리트(12a)를 관통하여 밑면으로 연장하고, 또 종동기어(12)의 밑면에는 클러치링(20)의 일단부가 핀(22)에 의해 고정되어 이를 중심으로 요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연결축(14)의 하측부에는 플러치로울(1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클러치로울(14a)는 종동기어(12)의 밑면에서 클러치링(2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전술한 종동기어(12)의 외주에는 타이밍벨트(24)가 감겨져서 감기 스풀(도시생략)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도는 전술한 타이밍밸브(24)가 외주에 감겨진 종동기어(12)의 내측에 배치되는 클러치링(20)과 클러치로울(14a)사이의 동력전달 구조를 도시한다.
클러치링(20)은 핀(22)의 대향측에 노치(20a)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노치(20a)로는 종동기어(12)의 슬리트(12a)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축수(6)의 돌출부(6b)가 삽입 개재되어진다.
또한 클러치링(20)은 내주 일측에 래치트톱니(20b)를 보유하는 한편, 클러치로울(14a)의 외주에는 이와맞물리는 래치트핑거(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종동기어(12)는 정역회전 모우터의 구동기어(26)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며, 구동기어(26)은 동력전달이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제2도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종동기어(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종동기어(12)가 회전을 시작할 때, 돌출부(6b)는 중공축수(6)에 가해지는 스프링(10)의 압력으로 인하여 슬로트(12a)내에서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기어(12)에 연결된 핀(22)을 축으로 클러치링(20)은 시계방향으로 이동된 결과로 되어 래치트톱니(20b)는 클러치로울(14a)의 래치트핑거(14b)로부터 벗어나는 상태로 된다.
종동기어(12)의 반시계회전이 지속되어 슬로트(12a)의 일단부(12b)가 돌출부(6b)를 걸고 연동 회전시켜더라도 돌출부(6b)가 슬로트(12a)를 타고 스스로 활주할 수 없기 때문에 래치트톱니(20b)는 래치트핑거(14b)에서 벗어난 위치 그대로 보전되어지므로 이들 사이의 동력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종동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더라도 중공축수(6)과 클러치링(20)만이 회전되고, 클러치로울(14a)와 연결된 되감기축(14)는 정지상태로 된다.
한편, 종동기어(12)의 반시계회전은 타이밍벨트(24)에 의해 감기 스풀(도시생략)로 전달되어 필름감기가 행해진다.
반대로 필름 되감기를 행할 때는 구동기어(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3도는 필름 되감기시의 동력전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동기어(12)는 구동기어(26)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6a)는 슬로트(12a)의 타단부(12c)와 접촉하게 되어 클러치링(20)은 핀(2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그 결과로 래치트톱니(20b)는 래치트핑거(14b)에 맞물리게 되어 종동기어(12)의 회전은 돌출부(6b), 클러치링(6b), 래치트톱니(20b), 래치트로울(14a), 되감기축(4)의 경로로 전파되어 필름 되감기가 행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중공축수(6)과 클러치로울(14a) 및 클러치링(20)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수단은 되감기 축(4)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클러치수단을 감기 스풀측에 배치하거나 또는 양측 모두 설치하여도 좋으며, 단지 클러치수단이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클러치수단의 동력단속방향이 상호 반대로 될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감속기어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카메라의 부피와 중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필름감기 및 되감기를 확실하고 부드럽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중공축수(6)의 돌출부(6a)를 종동기어(12)의 슬로트(12a)로 관통하여 전기한 종동기어(12)의 밑면에 핀(22)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클러치링(20)의 노치(20a)내로 위치시켜서 종동기어(1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기한 클러치링(20)의 래치트톱니(20b)가 중심측의 클러치로울(14a)에 형성된 래치트핑거(14b)와 맞물리거나 어긋나게 되어 정역회전 모우터의 구동기어(26)로부터 전기한 클러치로울(14a)로 동력이 단속될 수 있게 구성한 필름 와인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링(20)은 종동기어(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정으로 하는 필름 와인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러치로울(14a)는 적어도 1쌍의 래치트핑거(14b)를 외주면 대칭위치에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와인딩장치.
KR1019880014262A 1988-10-31 1988-10-31 필름 와인딩장치 KR91000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262A KR910009543B1 (ko) 1988-10-31 1988-10-31 필름 와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262A KR910009543B1 (ko) 1988-10-31 1988-10-31 필름 와인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10A KR900006810A (ko) 1990-05-08
KR910009543B1 true KR910009543B1 (ko) 1991-11-21

Family

ID=1927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262A KR910009543B1 (ko) 1988-10-31 1988-10-31 필름 와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507B1 (ko) * 2000-08-01 2007-01-16 보령제약 주식회사 세푸록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10A (ko)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6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film
KR910009543B1 (ko) 필름 와인딩장치
KR900001984Y1 (ko) 카메라의 필림 이송장치
US4724450A (en) Motorized camera
US5530502A (en) Camera autowind gear mechanism
EP0851273B1 (en) Film transport apparatus
JPH0267535A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送り装置
US5842067A (en) Film winder unit and camera
US4182576A (en) Ink-ribbon reversing device
JPH0267534A (ja) カメラのフイルム給送装置
KR100346626B1 (ko)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US6361224B1 (en) Film transport device and camera
EP0584514B1 (en) 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hotographic film
KR920004218Y1 (ko) 필름 와인딩 장치
US6276845B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KR920007370Y1 (ko)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JP2633350B2 (ja) 切換クラッチ機構およびこの機構を使用したフィルム電動給送装置
JPH0267538A (ja) 写真フイルム用カートリツジ
JP3043892B2 (ja) 遊星歯車機構
JP2000009154A (ja) クラッチ装置
JP2765707B2 (ja) フィルム給送装置
KR830002183B1 (ko) 인자(印字)장치
KR200147278Y1 (ko) 카메라의 셔터 구동장치
US3384316A (en) Tape transport apparatus
JPS5831137Y2 (ja) 映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