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70Y1 -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70Y1
KR920007370Y1 KR2019890020152U KR890020152U KR920007370Y1 KR 920007370 Y1 KR920007370 Y1 KR 920007370Y1 KR 2019890020152 U KR2019890020152 U KR 2019890020152U KR 890020152 U KR890020152 U KR 890020152U KR 920007370 Y1 KR920007370 Y1 KR 920007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lm
camera
spool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342U (ko
Inventor
박명제
이상걸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70Y1/ko
Publication of KR910012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2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03B1/10Pull exerted by take-up spool rotated by knob through gea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18Moving film strip by means which act on the film between the ends thereof
    • G03B1/20Acting means
    • G03B1/24Sprockets engaging holes in the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 필름 이송장치의 기어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스프로켓 구동기어와 파트로네 기어 사이의 동력전달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주요부 슬립기어와 공전기어 사이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필름 이송장치의 일반적인 기어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스풀 4 : 종동기어
5 : 슬립기어 6 : 공전기어
7 : 스프로켓 구동기어 9 : 유성기어
13 : 파트로네 축 14 : 이송표시기어
15 : 파트로네기어
본 고안은 콤팩트 카메라에 적합한 필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촬영시에 필름은 파트로네로부터 카메라의 스프로켓에 의해 인출되어 와인딩스풀로 감겨지게 된다.
상기한 스프로켓은 와인딩레버 또는 와인딩모우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의 실수로 인하여 필름 인출용 구멍이 찢겨지거나 또는 와인딩스풀에 채 감겨지지 않은 채로 파트로네를 장전하였거나 혹은 되감기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스프로켓이 회전되더라도 필름감기가 실행되지 않으므로 촬영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와인딩레버 조작식 카메라는 촬영자에게 필름 와인딩시마다 되감기레버가 연동 회전하는가를 관찰하는 습관을 갖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범용화되고 있는 콤팩트카메라의 필름 이송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인딩스풀(S)의 내부에 설치된 모우터(M)이 회전할 때 와인딩기어(61)이 반전기어(62)를 경유하여 스프로켓 구동기어(G3)를 동일 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와인딩기어(G1)과 동축 설치된 타이밍 풀리(T1)이 타이밍벨트(V)를 개재하여 파트로네 축(A)의 종동 타이밍풀리(T2)를 동기 회전시킴으로써, 파트로네(B)로부터 필름(P)가 풀려 나와 와인딩스풀(S)로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름의 장전과 되감기를 모우터로 행하는 콤팩트카메라에서는 필름 장전의 양부에 관한 판별수단이 없기 때문에 필름이 감겨지지 않더라도 카메라는 한장의 필름이 장전되었음을 촬영자에 오보하여 주는 결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필름이 와인딩스풀로 감겨지지 않게 되어 있음을 모르고 촬영하여 실패를 경험하는 사례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콤팩트카메라에 있어서 필름 와인딩시의 문제점을 조기에 촬영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의 실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모우터를 동력원으로 내장한 콤팩트카메라에 있어서, 스풀의 종동기어와 스프로켓 구동기어 사이로, 중앙에 중심공이 뚫러진 스립기어와 이 슬립기어의 중심공에 기워 맞춰지는 타원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판스프링을 기립배치시킨 공정기어를 개재시키고, 또한 파트로네 측의 파트로네 파트로네 기어를 이송표시기어의 치차연결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필름 이송장치의 기어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모우터(1)의 동력은 다수의 감속기어군(2)를 경유하여 스풀(3)의 종동기어(4)로 전달된다.
상기한 스풀(3)의 종동기어(4)는 슬립기어(5)를 보유한 공전기어(6)을 개재하여 스프로켓 구동기어(7)과 맞물려 있고, 이 구동기어(7)의 외주에는 아암(8)로 지지된 유성기어(90)가 공전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한편, 구동기어(7)의 지지축(10)은 상단에 피니언(11)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피니언(11)에 의해 카운터 기어(12)가 연동회전하게 된다.
필름 장입실의 파트로네 축(13)에는 이송표시기어(14)를 종동시키기 위한 파트로네기어(15)가 부착되어 있다.
필름(P)는 파트로네(B)로부터 스프로켓(S)를 경유하여 스풀(3)으로 감겨지게 되는 바, 모우터(1)의 정회전이 감속기어군(2)를 경유하여 종동기어(4)를 구동시키면 스풀(3)이 연동회전하여 필름(P)는 감겨지게 된다.
한편, 모우터(1)의 정회전은 종동기어(4)에서 공전기어(6)과 슬립기어(5)를 거쳐 스프로켓 구동기어(7)로도 전달된다.
구동기어(7)이 회전을 시작하면 유성기어(9)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여 파트로내 축(13)의 파트로네 기어(15)로 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파트로네 축(13)은 모우터(1)로 부터 전혀 영향받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스풀(3)과 스프로켓(S)의 회전에 의해 필름(P)가 이끌릴 때, 파트로네 축(13)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측의 파트로네 기어(15)가 이송표시 기어(14)를 종동회전시킴에 따라, 필름 이송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필름(P)를 되감기 위하여 모우터(1)이 역회전할 경우에는 유성기어(7)이 스프로켓 구동기어(7)의 외주를 타고 공정하여 제2도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트로네 기어(15)와 맞물려지게 되므로 파트로네 축(13)은 모우터(1)의 역회전을 전달받아 필름(P)의 되감기를 실행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송표시기어(14)에 부착된 표시구를 시각적 표시구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경보장치와 연결된 접점스위치를 비치하여 이송표시기어(14)의 회전유무를 경보음으로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공전기어(6)과 슬립기어(5) 사이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1쌍의 판스프링(16)이 개재된다.
공전기어(6)은 중심에 타원축(17)을 보유하고 있어서 상기한 판스프링(16)은 타원축(17)의 양측에 나누어 배치된 채로 슬립기어(5)의 중심공(18)과 끼워 맞춰 지므로써, 양기어(5)(6) 사이는 판스프링(16)과 중심공(18) 간의 마찰력으로 동력전달되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슬립기어(5)와 공전기어(6), 어느쪽으로건 부하가 작용될 경우, 예컨대 모우터(1)측의 회전력이 갑자기 증가하거나 또는 필름(P)의 장력이 증가하여 스프로켓(S)측으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생기는 양 기어(5)(6) 사이의 회전력 차이를 판스프링(16)과 중심공(18) 사이의 마찰력이 흡수하여 항상 필름(P)가 일정한 장력으로 풀려 나오도록 해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콤팩트 카메라에 있어서, 필름의 감김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종래의 이 종류 카메라와는 달리 필름이 감겨지지 않음에 기인하는 촬영의 실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

  1. 모우터를 동력원으로 내장한 콤팩트 카메라에 있어서, 스풀(3)의 종동기어(4)와 스프로켓 구동기어(7) 사이로, 중앙에 중심공(18)이 뚫려진 슬립기어(5)와 이 슬립기어(5)의 중심공(18)으로 끼워 맞춰지는 타원축(17)이 중앙에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판스프링(16)이 기립 배치된 공전기어(6)을 개재시켜 전기한 스풀(3)에 의해 연동하는 슬립기어(5)의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파트로내 기어(15)를 이송표시기어(14)와 치차연결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KR2019890020152U 1989-12-28 1989-12-28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KR920007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152U KR920007370Y1 (ko) 1989-12-28 1989-12-28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152U KR920007370Y1 (ko) 1989-12-28 1989-12-28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342U KR910012342U (ko) 1991-07-30
KR920007370Y1 true KR920007370Y1 (ko) 1992-10-12

Family

ID=1929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152U KR920007370Y1 (ko) 1989-12-28 1989-12-28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342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2894A (en) Torque controller
US4652117A (e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US4959672A (en) Motor-driven film winder
US5456419A (en) Film feeder for cameras
US4183477A (en) Cassette adapter
KR920007370Y1 (ko) 카메라용 필름 이송장치
US5028046A (en) Feed path selection mechanism for sheets of paper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existing drive system of a photocopier or the like
EP0851273B1 (en) Film transport apparatus
US3895544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between a plural number of rotors of cineprojectors
US3032286A (en) Winding and reeling mechanism
US6336751B1 (en) Film feeding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1184492A (ja) フィルム巻取り装置及び写真フィルム使用カメラ
US4533090A (en) Apparatus for tensioning band or web portions running off and onto two rollers
KR910009543B1 (ko) 필름 와인딩장치
US4448370A (en) Tape transport mechanism
US6361224B1 (en) Film transport device and camera
JPS59102744A (ja) フイルム貯蔵装置
JPH0267534A (ja) カメラのフイルム給送装置
KR920004218Y1 (ko) 필름 와인딩 장치
JPS63178262A (ja) 現像装置
JPH0116204Y2 (ko)
US4083517A (en) Reversible drive transmission for strip handling systems
JP2572298B2 (ja) 長尺物巻取り装置
JPS63145059A (ja) 感光転写型画像形成装置
JPH06156832A (ja) 用紙給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