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298B1 -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298B1
KR100260298B1 KR1019970013305A KR19970013305A KR100260298B1 KR 100260298 B1 KR100260298 B1 KR 100260298B1 KR 1019970013305 A KR1019970013305 A KR 1019970013305A KR 19970013305 A KR19970013305 A KR 19970013305A KR 100260298 B1 KR100260298 B1 KR 10026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holder
harness holder
engin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612A (ko
Inventor
가즈히토 가키모토
시게루 마루야마
요시아키 고야마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7006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구동풀리(7) 및 타이밍 벨트(9)를 덮는 커버부재(13)의 내측에 잇따라서 하아네스 호울더(22)를 배치하고, 이 하아네스 호울더(22)에 크랭크각 센서(17)로부터 뻗은 하아네스(21)를 지지하여 벨트 및 또는 풀리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하아네스(21)를 커버부재(13)의 외부에 도출하도록 이 커버부재(13)에 장착한 그로밋(23)에 하아네스 호울더(72)의 단부에 돌출설치한 걸이훅(225)을 끼워맞춘다. 이에따라, 하아네스 호울더(22)를 고정하는 보울트등의 고정수단을 삭감할 수 있으며, 그위에 걸이훅(225)의 선단을 커버부재(13)의 외부로부터 보고 확인하여 하아네스 호울더(22)의 부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크랭크측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덮는 커버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하아네스를 배치한 엔진에 관한것으로, 특히 그 하아네스 호울더(harness holder)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엔진의 크랭크축의 축단부에 설치한 구동풀리의 톱니에 대향하도록 엔진회전수 센서나 크랭크각 센서를 배치하고, 이 센서로부터 뻗은 하아네스를 상기 구동풀리에 감은 타이밍 벨트의 근방을 통과시켜서 외부에 노출하는 것에 대하여는 일본국 실개평4-44451공보에 계재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것은, 하아네스가 타이밍 벨트의 근방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하아네스의 위치가 이동하면 타이밍 벨트등의 구동력 전달수단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하아네스를 하아네스 호울더로 고정하여 구동력 전달수단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동풀리나 타이밍 벨트등의 구동력 전달수단은 커버부재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아네스 호울더를 보울트등의 고정수단으로 좁다란 커버부재내의 공간에 고정하려면, 하아네스를 엔진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점수가 증가할 뿐아니라 엔진의 조립 방법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아네스를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지지하여 구동력 전달수단과의 접촉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지지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지금 현재의 가장 적합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V형 다기통 엔진의 타이밍 벨트 커버를 벗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주요부분 확대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6-6선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7-7선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4도의 8-8선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주요부분 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의 10-10선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제6도에 대응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크랭크축 6 : 구동풀리
13 : 커버부재 16 : 크랭크각 센서
17 : 센서호울더 2 : 하아네스(harness)
225: 걸림목 23 : 그로밋(grommet)
24 : 오일필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크랭크축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덮는 커버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하아네스를 배치한 엔진에 있어서, 하아네스를 지지하는 하아네스 호울더를 커버부재내에 설치하고, 이하아네스 호울더에 설치하여 커버부재에 물리는 걸림훅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커버부재 외부에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아네스를 지지하는 하아네스 호울더를 커버부재내에 설치 하였으므로, 커버부재내에서 하아네스를 확실하게 지지하여 구동력 전달수단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아네스 호울더에 설치하여 커버부재에 물리는 물림훅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부재 외부에 노출시켰으므로,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에 필요한 보울트등의 특별한 고정부재를 삭감하여 엔진의 소형화와 조립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를 장착한 상태에도 하네스 홀더의 조립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따라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제1도~제10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V형 다기통엔진(E)은, 크랭크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한 실린더 블록(1)과 실린더 블록(1)의 상부에 결합된 전투한쌍의 실린더 헤드(2F, 2R)와 각 실린더헤드(2F, 2R)의 상부에 결합된 전후 한쌍의 헤드커버(3F, 3R)와 실린더 블록(1)의 하면에 결합된 오일팬(4)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1)에 지지된 클랭크축(7)의 축단부에 설치한 구동풀리(7)와, 각 실린더헤드(2F, 2R)에 지지한 캠축(7F, 7R)의 축단부에 각기 설치한 캠풀리(8F, 8R)등에, 코그(cog)부속벨트로 된 타이밍 벨트(9)가 감겨져 있다. 타이밍 벨트(9)의 바깥면에, 2개의 가이드 풀리(10, 11)와, 1개의 인장풀리(12)등이 맞닿는다. 타이밍 벨트(7)를 덮는 타이밍 벨트 커버(25)(제5도 참조)가 결합되는 리브형상의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 14F, 14R)가, 실린더 블록(1)에 결합한 오일펌프본체(15) 및 실린더 헤드(2F, 2R)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풀리(5) 및 타이밍 벨트(9)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구성하고,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 및 타이밍 벨트 커버(25)는 커버부재를 구성 한다 .
제2도~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펌프본체(15)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와 구동풀리(6)와의 사이에 크랭크축(5)의 위상을 검출하는 크랭크각센서(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크랭크각 센서(16)가 대향하는 구동풀리(6)의 외주에 30°간격으로 12개의 피검출돌기(61…)가 구동풀리(7)의 외주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각 센서(16)를 지지하는 합성수지제의 센서호울더(17)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기판(171)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판(171)의 하면에 한쌍의 다리부분(172, 172) 및 맞물린핀(173)이 돌출설치됨과 동시에, 기판(171)을 관통하도록 핀구멍(174) 및 년울트구멍(175)이 천설되어 있다.
크랭크각 센서(17)는 센서호울더(17)의 한쌍의 다리부분(172, 172)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부착 풀랜지(171)를 관통하는 보울트(18)로 센서호울더(17)의 기판(171)의 단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센서호울더(17)의 핀구멍(174)과 오일펌프본체(15)의 벽면에 형성된 핀구멍(151)등에 위치결정핀(19)을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센서호울더(17)의 보울트구멍(175)을 관통하는 보울트(20)를 오일펌프본체(15)에 형성된 보울트구멍(152)에 비틀어 넣음에 따라 센서호울더(17)가 오일펌프본체(15)에 체결되어 있다.
크랭크각 센서(16)에서 뻗은 2개의 리이드선으로 된 하이네스(21)는 크랭크축(5)의 왼쪽위의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에 형성한 노치(131)에서 엔진(E)의 외부에 도출된다. 크랭크각 센서(16)에서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의 노치(131)까지의 사이, 하아네스(21)를 구동력 전달수단과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지지하기 위만 합성수지제의 하아네스 호울더(22)가,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7)의 내벽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하아네스 호울더(22)는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의 내벽면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그 횡단면은 내부에 하아네스(2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오일펌프본체(15)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제8도 참조). 그리고 하아네스 호울더(22)의 길이방향의 여러곳에 타원형의 개구부(221…)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개구부(221)의 근방에 하아네스(21)가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222…)가 설치되어 있다(제7도 참조).
제4도 및 제7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아네스 호울더(22)의 일단부에는 부착판(223)이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착판(223)에 형성된 핀구멍(224)에 센서호울더(17)에 일제로 형성된 맞물린핀(173)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6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아네스 호울더(22)는 맞물린핀(173)이 끼워맞춤에 따라 위치 결정되고, 또한 센서호울더(17)의 기판(171)과의 맞닿음에 따라 도면중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됨과 동시에, 오일펌프본체(15)와의 맞닿음에 따라 도면중 아랫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제4도 및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아네스 호울더(22)의 타단부에는 하아네스(21)와 같은 방향으로 뻗은 걸림훅(225)이 일제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의 노치(131)에 흠부(231)를 끼워맞춤한 고무제의 그로밋(grommet)(23)의 본체부(233)를 걸림훅(225)이 관통함에 따라, 하아네스 호울더(22)의 타단부가 그로밋(23)을 개재하여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에 걸린다. 그리고, 하아네스(21)는 그로밋(23)의 본체부(232) 및 하아네스 안내부(233)의 내부를 관통하여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의 바깥쪽으로 도출된다. 더욱이 그로밋(23)은 본 발명의 탄성시일부재를 구성한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로밋(23)의 본체부(232)는 횡단면이 대략 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것을 관통하는 하아네스 호울더(22)의 걸림훅(225) 은 횡단면이 평탄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아네스 호울더(22)의 걸림훅(225)은 그로밋(23)의 본체부(232)의 중심의 한편쪽으로 편기하고 있어, 본체부(232)의 중심의 다른쪽을 하아네스(21)의 2개의 리이드선이 관통하고 있다. 하아네스(21)의 2개의 리이드선의 횡단면은 걸림훅(225)의 타원형의 횡단면의 긴변에 따라서, 즉 긴변에서 같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로밋(23)의 본체부(232)의 횡단면중에 걸림훅(225) 및 하아네스(21)의 2개의 리이드선을 소형으로 배치하여, 그로밋(23)을 소형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아네스 호울더(22)를 사용하였으므로. 하아네스(21)를 확실하게 지지하여 구동력 전달수단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아네스 호울더(22)의 타단부에 설치만 걸림훅(225)을, 하아네스(21)를 안내하도록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의 노치(131)에 장착한 그로밋(23)을 이용하여 지지하였으므로, 보울트등의 특별한 고정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하아네스 호울더(22)를 고정할 수 있고,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엔진(E)의 소형화와 조립 작업 향상등이 동시에 달성된다. 또, 하아네스 호울더(22)의 걸림훅(225)을 그로밋(23)에 연결하는 작업은, 고무제의 그로밋(23)이 탄성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다.
더욱이 엔진(E)에의 조립하기 전에 미리 하아네스 호울더(22)와 그로밋(23)이 일제화되어, 그것들 양부재의 내부에 하아네스(21)가 삽통되므로, 조립하기전의 운반시나 조릴한 다음에 하아네스 호울더(22)와 그로밋(23)과의 사이로부터 하아네스(21)가 삐어져 나와서 다른 부재와 간섭할 염려가 없다. 또, 타이밍 벨트 커버(25)를 장착한 상태라도, 타이밍 벨트 커버(25)에 의하여 덮여진 하아네스 호울더(22)의 걸림훅(225)의 선단이 그로밋(23)을 관통하여 커버의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타이밍 벨트커버(27)를 벗기는 일 없이 하아네스 호울더(22)의 부착상태를, 즉 하아네스(21)가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아네스 호울더(22)의 걸림훅(225)을 그로밋(23)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이 그로밋(23)에 걸리므로써, 하아네스 호울더(22)의 지지를 위한 부품 점수의 삭감과 하아네스 호울더(27)의 부착상태의 확인등이 동시에 가능하게 된다.
제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크랭크각 센서(16)의 가까이의 타이밍 벨트커버 결합부(13)의 최하단에 물빼기용 노치(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32)는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의 내의의 통풍에도 효과가 있고, 크랭크각 센서(17) 의 냉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센서호울더(17)의 기판(171)에는, 타이밍 벨트(9)의 바깥면에 약간만 틈을 두고 대향하는 미끄럽게 만곡한 벨트 안내면(176)이 형성되어있다 이 벨트 안내면(176)에 의하여, 구동풀리(6)로부터의 타이밍 벨트(9)의 톱니가 떨어져 나감을 방지하면서 이 타이밍 벨트(9)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 및 하아네스 호울더(22)가 타이밍 벨트(9)에 향하여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그것들 바깥쪽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오일필터(24)를 치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 제9도 및 제10도에 따라서 캠축(7F)에 설치된 TDC 검출기구의 구조를 설명한다. 더욱이, 제9도에 있어서 타이밍 벨트 커버(25)(제10도 참조) 및 타이밍 벨트(9)는 생략되어 있다.
흡기측의 캠축(7F)의 단부에 와셔(31) 및 보울트(32)로 고정된 캠풀리(8F)는 60°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6개의 스포우크부(spoke 部)(33…)와, 이것들 스포우크부(33…)사이에 형성된 6개의 관통구멍(34…,34′)등을 구비하고 있다. 1개의 관통구멍(34′)을 제외한 5개의 관통구멍(34…)은 캠축(7F)의 축선을 중심으로하는 원호형상의 링부(35…)에서 반지름방향 내외로 2분할되어 있고, 또 4개의 스포우크부(33…)의 배면(실린더헤드(2F)에 대향하는면)에는 상기 링부(35…)와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4개의 피 검출돌기(331…)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캠축(7F)의 축선을 통하는 직경선상에 위치하고, 또한 피검출돌기(331…)에 대향하도록, 2개의 TDC(피스톤의 상사점)센서(36,37)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2개의 TDC센서(36,37)는 실린더 헤드(2F)에 고정된 타이밍 벨트 백커버(14F)(타이밍 벨트 커버결합부에 상당)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착이 용이하다.
그리하여 캠축(7F)과 함께 캠풀리(8F)가 회전하면, 2개의 TDC 센서(37, 37) 앞을 4개의 피검출돌기(331…)가 일정한 타이밍에서 통과하고, 그 타이밍에 따라서 TDC가 검출된다. 이때 링부(35…)를 설치함에 따라 피검출돌기(331…)의 높이가 비교적 작아도, 피검출돌기(331…)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스포우크부(33…)를 피검출돌기(331…)이라 오인할것도 없이, TDC센서(36,37)에 의한 검출정밀도의 향상과 엔진(E)의 소형화등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스포우크부(33…)는 링부(35…)에서 연결되므로 캠풀리(8F)의 강성도 항상하고, TDC센서(36, 37)에 의한 검출정밀도 도 향상한다.
더욱이, 1개의 관통구멍(34′)으로부터 링부(35)를 생략한 것은, 4개의 피검출돌기(331…)가 설치된 캠풀리(8F)의 직경선의 한쪽의 중량이 다른쪽의 중량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한쪽의 중량을 링부(35)의 생략에 의하여 경감하여 캠풀리(8F)의 중량 균형을 원주방향으로 균일화하기 위함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2실시예는 센서호울더(17)에 의한 하아네스 호울더(22)의 위지결정 고정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센서 호울더(19)의 맞물린핀(173)에 의하여 하아네스 호울더(22)의 핀구멍(224)에 연결하고 있으나, 위치결정핀(19)의 위치를 제1실시예에서의 위치와는 변하므로서, 기판(171)을 오일펌프본체(15)에 대하여 위치결정할뿐아니라, 하아네스 호울더(22)를 센서호울더(17)에 대하여 걸리도록 위치결정핀(19)을 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2실시예에서는 맞물린핀(173)을 페지하였다. 이에 따라, 하아네스 호울더(22)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하아네스 호울더(22)의 제조 및 조립의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지금 현재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에 그로밋(23)을 장착하고 있으나, 이 그로밋(23)을 타이밍 벨트 커버(25)에 장착하여도, 혹은 타이밍 벨트 커버 결합부(13) 및 타이밍 벨트 커버(25)의 양편에 걸쳐서 장착하여도 좋다.
또 하아네스(21)는, 크랭크각 센서(17)에 접속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용도의 하아네스 였어도 좋다. 또 구동력 전달수단도 구동풀리(6) 및 타이밍 벨트(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타이밍 벨트 커버(25)는 수지게 또는 금속제의 어느것이 라도 좋다.

Claims (11)

  1. 크랭크축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덮는 커버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하아네스를 배치한 엔진에 있어서, 하아네스를 지지하는 하아네스 호울더를 커버부재내에 설치하고, 이 하아네스 호울더에 설치되어 커버부재에 물리는 걸림훅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커버부재 외부에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네스 호울더에 설치한 걸림훅을 탄성시일부재를 개재하여 커버부재에 몰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일부재의 단면형상이 4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네스 호울더의 걸림혹 및 하아네스가 탄성시일부재를 관통하는 부분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걸림훅의 장방형의 횡단면의 긴변에 따르도록 상기 하아네스의 여러개의 리이드선의 횡단면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네스 호울더의 일단에 걸림훅을 설치함과 동시에 타단을 센서를 보유하는 센서호울더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크랭크각 검출용센서이며,센서호울더에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센서의 하방부분이 배수용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네스 호울더의 중앙부는 구동력 전달수단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오목부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으며, 그 오목형상부에 대향하도록 오일 필터를 배치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고정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네스 호울더의 하아네스를 속에 수용할 수 있도록 엔진본체측으로 향하여 개방되는 U자 형상단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하아네스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네스 호울더의 타단은, 하아네스 호울더에 형성된 구멍안으로 뻗은 핀에 의하여 센서호울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새로이 센서호울더를 엔진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KR1019970013305A 1996-04-12 1997-04-10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KR100260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1510 1996-04-12
JP8091510A JP2890247B2 (ja) 1996-04-12 1996-04-12 エンジンにおけるハーネスホルダーの固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12A KR970069612A (ko) 1997-11-07
KR100260298B1 true KR100260298B1 (ko) 2000-07-01

Family

ID=1402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305A KR100260298B1 (ko) 1996-04-12 1997-04-10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13381A (ko)
JP (1) JP2890247B2 (ko)
KR (1) KR100260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487B1 (en) 2000-11-09 2003-08-26 Caterpillar Inc Composite o-ring seal
KR100645561B1 (ko) * 2004-12-23 2006-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보호장치
JP4715892B2 (ja) * 2008-09-17 2011-07-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センサ配設構造
JP5826002B2 (ja) * 2011-11-30 2015-12-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カバー構造
KR101542958B1 (ko) * 2013-06-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타이밍벨트 시스템
JP6459525B2 (ja) * 2015-01-09 2019-01-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干渉回避構造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干渉回避方法
TWI605893B (zh) * 2016-06-28 2017-11-21 日睿股份有限公司 用於分條機之輕化型刀套
JP6332396B2 (ja) * 2016-10-14 2018-05-30 マツダ株式会社 ハーネスの取付け構造
JP6521004B2 (ja) * 2017-08-24 2019-05-29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
DE112020001284B4 (de) 2019-04-15 2023-10-12 Suzuki Motor Corporation Motorgehäuse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646U (ja) * 1983-02-12 1984-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ミングベルトカバ−のシ−ル装置
GB2181784B (en) * 1985-10-21 1989-09-20 Honda Motor Co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44451A (ja) * 1990-06-12 1992-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
US5060625A (en) * 1990-12-10 1991-10-29 Caterpillar Inc. Ignition system wiring harness and spring clip retainers therefor
JPH0510167A (ja) * 1991-07-02 1993-01-19 Sanshin Ind Co Ltd 船外機用電装部品の配線構造
JPH07293269A (ja) * 1994-04-28 1995-11-07 Hitachi Ltd 自動車の電気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3381A (en) 1998-09-29
JPH09280070A (ja) 1997-10-28
KR970069612A (ko) 1997-11-07
JP2890247B2 (ja) 199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298B1 (ko) 엔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 호울더의 고정구조
EP1081342B1 (en) Construction for a cam rotation sensor attaching portion
KR910006602A (ko) 메카니컬 가버너가 부착된 디이젤엔진.
JP4275846B2 (ja) V型バーチカルエンジン及び船外機のハンガ構造
US4970999A (en) Cylinder head for overhead camshaft engine
KR940000899Y1 (ko) 엔진의 오일 배플판 고정구조
US20100065006A1 (en) Pulser plate mounting structure
KR20040029308A (ko) 캠 체인의 탈락방지 구조
US6196182B1 (en) Engine cover structure
JPH102211A (ja) オイルレベルゲージガイドの構造
JP4245447B2 (ja) ケース部材の取付け構造
JP2000073813A (ja) クランク角センサの取付構造
JP3040679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レベルゲージ案内用パイプの取付け構造
JP4292101B2 (ja) 内燃機関
JP2548198Y2 (ja) エンジンのクランク角検出装置取付構造
KR200153509Y1 (ko) 자동차의 크랭크기어
JP3619342B2 (ja) 内燃機関
JPH0589845U (ja) エンジンのタイミングベルトカバー
KR200153505Y1 (ko) 클립 고정식 타이밍벨트 커버
KR200213882Y1 (ko) 크랭크 샤프트와 오일펌프 구동기어의 체결구조
JPH0330609Y2 (ko)
JP3147722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スプロケットカバー
JP3140639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点火時期タイミングの検出装置
KR960008544Y1 (ko) 자동차용 캠 센서 설치구조
JPH04552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