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874B1 -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874B1
KR100253874B1 KR1019920017662A KR920017662A KR100253874B1 KR 100253874 B1 KR100253874 B1 KR 100253874B1 KR 1019920017662 A KR1019920017662 A KR 1019920017662A KR 920017662 A KR920017662 A KR 920017662A KR 100253874 B1 KR100253874 B1 KR 10025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uterium
product
ppm
water
tu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461A (ko
Inventor
가보르소믈라이
Original Assignee
가보르소믈라이
귈라 무지크
디 포 에이치 알라피트바니 아즈 에게스제게스 엠베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보르소믈라이, 귈라 무지크, 디 포 에이치 알라피트바니 아즈 에게스제게스 엠베레트 filed Critical 가보르소믈라이
Publication of KR93000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인체에 적절한 유효성분의 물 또는 수용액과 임의의 담체 및/또는 보조제로 이루어진 제약 생성물 또는 약용액제 형태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중수소 함량이 감소(v:30ppm)되었거나 정상(v:150ppm)인 물로 제조된 영양액의 G1상(phase)에서 동시시작한 후의 마우스-섬유아세포 L929의 성장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30 내지 500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영양배지(a:30 ; b:150 ; c:300 ; d:600 ; e:1250 ; f:5000 ppm D)에서 마우스-섬유아세포 L929를 배양한 후 이들의 상대적인 양을 결정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들면, 외과적 방법, 조사(조사照射)요법, 호르몬 요법 또는 항종양제의 사용 등의 수많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진단학에서의 최근 결과와 함께 상기 방법들은 지난 10년동안 많은 진전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어 온 방법들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중요한 이유는 세포증식의 분자 메카니즘이 아직 알려지지 않아서 가능한 수단에 의한 질병 경로에로의 조정이 다소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질병응ㄹ 회복시키거나 적어도 질병의 발전을 지연하는 방법은 기관의 일부를 자주 제거하거나 항종양제 등을 사용할 때 혈액생성과정에서의 문제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의문에 대한 답변은 세포증식을 개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서브)분자 메카니즘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질 때에만 기대할 수 있다.
분자생물학의 발전으로 생물학은 바로 얼마전에 종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건강하게 회복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조절방법을 알아냈다.
분자생물학의 최근 결과에 다르면 증식을 활성화하는 자극에 대한 진핵세포의 일반적인 초기응답은 플라즈마막을 교차하는 세포외의 Na+와 세포내 H+의 교환으로 인해 세포내 pH의 증가라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P.N.A.S. 79, 7778-7782(1982)). Na+/H+교환시스템의 활성화가 세포성장을 개시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하다는 결론은 수많은 실험결과들에 의해 뒷받침된다.
Na+/H+교환시스템이 없는 특이한 돌연변이가 중성 및 산성 Ph에서 세포의 성장을 방해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P.N.A.S. 81, 4833-4837(1984)). 최근에 성장인자가 막전이 시그널 변환체로서 작용할 것이라고 알려진 Na+/H+교환을 활성화한다는 사실이 제안되었다(Nature 304, 645-648(1983)).
활성화된 Na+/H+교환시스템과 세포들의 종양특성간의 상관관계도 증명되었다. 종양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세포의 변형 후에 pH가 증가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P.N.A.S. 84, 2766-2770(1987)). 세포내에서 Ha-ras에 의해 코드화되는 단백질이나 V-mos와 Ha-ras종양원의 발현을 주입하는 것이 Na+/H+교환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세포내 pH를 증가시키므로 종양원의 발현과 상승된 세포내 pH간에는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Mol. Cell. Bilo. 7, 1984-1988 (1987); Gene 54, 147-153(1987)).
또 다른 막-결합 수소이온 이동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유사한 변화를 발견하였다. 이 경우에는 효모로 부터 ATP아제 유전자를 분리하여 마우스와 원숭이 세포를 변형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유전자가 발현되고 ATP아제는 계속적인 양자의 제거에 의해 세포질의 지속적인 알칼리화를 일으킨다. 이 실험의 놀라운 결과는 종양발생작용을 획득한 효모의 ATP아제 유전자에 의해 세포가 변형된다는 것이다(Nature 334, 438-440(1988)).
이러한 최근의 실험은 세포증식의 유도가 단지 Na+/H+교환시스템에만 연관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세포증식의 시그널로서 작용할 수 있는 양자-제거시스템의 활성화와도 연관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즉, 상기 현상에 따르면 세포증식은 세포내 pH의 증가에 의해 개시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세포질의 pH를 인공적으로 증가시킨 것이 세포증식의 활성화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실험결과에 따라 이러한 설명은 확인할 수 없었다(J. Exp. Biol. 124, 359-373(1986)).
상기한 분자작용은 상기 작용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수소와 중수소의 가능한 역할을 연구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자연계에서 수소와 중수소의 비는 약 6000:1이다. 100%의 중량차 때문에 이 두개의 동위원소는 화학반응에서 서로 다른 행동양식을 보인다. 화학반응에 참여하는 D-결합은 동위원소 효과때문에 더 낮은 속도로 분할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증가된 활성화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이다[Simonyi Miklos and Fitos Ilona : Hydrogen Isotope Effect in Chemical Reactions. A kemia ujabb eredmenyei (in Hungarian) 46, 8-129(1980)].마찬가지로, 효소반응에서 반응속도는 더 작은 증량수를 가지는 수소동위원소에서 의해 4 내지 5배 더 높게 측정될 수 있다(Biochem. Pharmacol. 30, 3089-3094(1981)).
중수소효과 역시 생물학계에서 널리 연구되어 왔다(Katz, J. J. and Crespi, H. L. : Isotope Effects in Biological Systems(eds. Collins, C. J. and Bowman, N. S. )A. C. S. Monograph 167,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286-363(1971)). 이러한 실험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일반적으로 높은 농도(1 내지 100%)의 D2O를 사용하여 중수소효과의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것이다.
중수소는 박테리아, 효모 및 식물의 재생 및 성장을 저해한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포유류는 거의 35% 농도의 D2O에서 견딜 수 있으나 더높은 농도의 D2O는 포유류에게 치사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에서 중수소는 무시할 만한 정상적인 농도보다 100 내지 10,000배 더 높은 농도가 사용되었다.
강우 중의 수소동위원소에 대한 세계적인 조사에서 중수소의 함량은 주로 샘플링에 따라 120 내지 160ppm의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수소동위원소를 구별하는 식품과 조류(藻類)는 수소를 보충할 수 있다(Schiegl, W. E. and Vogel, J. C., Earth and Planet. Sci. Letters 7, 307-313(1970) ; Ziegler, H. et al., Planta 128, 85-92(1976)).
결과적으로, 초식동물의 중수소농도는 섭취되는 식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좁은 범위에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의 경우, 섭취되는 식물이 배양되는 지역은 결정적인 인자이다. 측정에 따라 열대지방 강우의 중수소 함량은 155 내지 160ppm인 반면, 온대지방에서는 단지 120 내지 150ppm이다. 이러한 차이는 식물의 중수소 함량에 있어서 10 내지 20%의 변화를 보인다.
상기와 같은 현상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의 중수소 함량에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암을 예방하거나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적절한 제약생성물을 개발하고 그리하여, 암을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아주 낮은 농도(120 내지 160ppm)의 중수소 함량은 세포증식을 정상적인 속도로 유지하는데 중요하고 중수소의 결핍은 세포주기를 길게 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였다. 즉, 중수소는 분자 이하의 조절시스템 성분이며 D 트리거 세포증식 농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적인 물의 중수소 함량보다 적은량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예를들면, 중수소를 감소시킨 물로 희석된 쥬스 등의 물이나 수용액을 사용하여 교환작용 결과, 인체에서 중수소의 농도를 감소시켜 종양발생 세포의 증식을 중지시키거나 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및/또는 인간이 섭취하기에 적절한 유효성분으로서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임의의 담체 및/또는 보조제로 이루어진 종양치료제인 것이다.
이하,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0.1 내지 10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생리식염수 등의 제약생성물 또는 소량의 알콜이나 알콜이 없는 과일시럽, 청량음료 또는 맥주 등의 약용액제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 및/또는 증류에 의해 유효성분으로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및/도는 수용액을 생산하고,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상기 물 및/또는 수용액과 임의의 담체 및 보조제를 제 약 생성물 또는 약용액제로 변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생리식염수는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제약 생성물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알콜을 함유하지 않거나 소량 함유하는 과일시럽, 청량음료 또는 맥주는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약용액제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의 바람직한 제형은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주사액제, 주입액제, 시럽제, 쥬스제 또는 함수연고제 등이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종양의 치료에 적절하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중수소가 감소된 용액을 사용함으로 하여 개체내의 중수소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상기 방법의 실시 결과, 종양세포의 성장속도가 저하되어 종양세포는 없어지게 되는 반면, 건강한 세포는 감소한 중수소농도를 견딜 수 있게 된다.
종양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중수소가 감소된 물로 실시한 생체내 및 시험관내 시험에 의해 그 적합성이 증명되었다. 시험결과를 표 1 내지 표 4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진 수소가 실시예 1에 따라 물로 연소되면 30 내지 4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이 생성된다. 자연적인 물보다 더 높은 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은 정상적인 물에 D2O 99.78중량%를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시험관내에서 서로 다른 동물세포를 배양하는 데 적절한 배지는 물 1ℓ에 아미노산, 비타민, 염 및 염기 등의 시판용 탈수혼합물(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Code No.:074-01600l Sigma, St. Louis USA) 10g을 용해하여 서로 다른 함량의 중수소를 함유하도록 준비된 물로 제조되었다. 소혈청 110㎖를 상기와 같이 제조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제조된 액체배지는 세포를 배양하는데 필요한 모든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마우스-섬유아세포 L929의 성장은 먼저 서로다른 양(30 내지 500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영양배지에서 시험관내 조건하에 실험되었다. 이 실험에서 약 400개의 세포분할이 일어났다. 이 실험에 의해 중수소가 감소된 물로 제조한 배지에서의 세포성장 속도는 15 내지 20% 감소되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영양배지의 중수소농도가 세포가 동시시작한 후에 소위 G1 상태에서 S-상태로 가는데 필요한 시간에 대해 영향이 있는지를 실험하였다(제1도). 제1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동시시작 후 세포는 6 내지 8시간이 지난후에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성장속도는 정상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v:150ppm)로 제조한 영양배지에서 보다 중수소가 감소된 물(v:30ppm)로 제조한 영양배지에서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세포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세포에 의해 환원되는 2, 3-비스(2-메톡시-4-니트로-5-설포페닐)-5-[(페닐아미노) 카르보닐]-2H-테트라졸리움-히드록시드(XTT)화합물을 세포와 함께 항온처리하는 것이다. 이 화합물의 환원형태는 450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므로 광도계에 의해 그 양을 측정할 수 있어서 흡광도(OD)로 부터 상대적인 세포수를 계산할 수 있다(Cancer Research 48, 4827-4833 (1988)). 이 방법에 의해 정상농도 이상(300 내지 5000ppm) 또는 이하(30ppm)의 중수소농도가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제2도). 상기 실험에 의해 중수소가 감소된 물로 제조한 영양배지의 성장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에 따르면, 정상적인 농도보다 2 내지 4배 높은 중수소농도(300 및 600ppm)는 세포증식에 대해 자극효과를 나타내었다(중수소 농도가 더 증가하면(1250 및 5000ppm) 동위원소효과로 인한 억제가 더 강해질 것이다.). 서로 다른 4개의 세포로 상기 시험을 반복한 결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1차 생체내 실험에서는 마우스가 마시는 무속의 중수소 함량을 감소시킴으로 해서종양의 성장이 어떻게 영향받는지가 연구되었다. 인간폐종양 MDA-MD-231과 MCF-7을 14마리의 CBA/Ca 마우스로 된 두개의 군 각각에 이식하였다. 대조군은 정상적인 물을 섭취한 반면, 처치군에 속하는 동물들에게는 이식이 실시된 날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중수소가 감소된 물이 공급되었다. 그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표 1]
처치군과 대조군의 숫자는 종양이 있는 동물의 수/전체 동물의 수이다.
표 1의 결과는 두개의 대조군(5+6)에서 종양이 있는 11마리중 1마리에서만 자발적인 종양의 퇴행이 일어날 수 있고 나머지는 이후 71일째와 80일째에 각각 죽었다. 한편, 두개의 처리군에서 17마리의 종양이 있는 동물(9+8)중 10마리(59%)에서 종양이 자라서 퇴행된 후 소멸되었고, 표 1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종양이 있는 동물중 한마리가 30일째까지 살아남았는데 대조군에서 최후에 죽은 것과 같은 종류였다. 이들은 3주동안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마셨으며 실험이 끝날 때까지 110 내지 12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마셨다.
또른다른 실험으로 인간의 전립선 세포 PC-3를 44마리의 CBA/Ca 마우스에게 이식하였다. 이식후 32일째에 94±5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상기 동물에게 공급하여 실험을 개시하였다. 이때, 대조군의 종양과 처치군의 종양의 평균 직경은 각각 10.4mm와 10.2mm였다(체중/종양의 무게비를 고려해 보면, 이 단계에서 마우스의 처리는 3.5kg의 종양을 가진 체주이 70kg인 사람의 치료를 시작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상기 처치는 종양이 매우 진척된 상태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것은 왜 이 처치가 처음 실험만큼 효과적이지 않은가 하는 이유이다. 표 2의 숫자는 종양이 있는 동물의 수/전체 동물의 수와 처치과정에서 변화되는 종양의 평균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표 2의 결과는 종양세포를 이식한 후 87일째까지 22마리중 3마리만 (13%)이 살아남은 반면, 처치군에서는 22마리중 8마리(36%)가 88일째에 여전히 살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에서는 2마리(9%), 처치군에서는 5마리(23%)가 각각 살아있었다. 처치군중 3마리는 종양의 퇴행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 자료에 의해 처치군과 대조군간의 중요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표 2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누적 폐사율을 표 3에 요약하였다.
[표 3]
표 3의 결과는 시험의 전체 단계에서 처치군중 죽은 동물의 수가 대조군에서 보다 더 적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식후 67일째까지 처치군에서 단 9마리만이 죽은 반면, 대조군에서는 그두배인 18마리가 죽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마우스에서의 종양 진행기간 1주일은 인간에게는 200 내지 300일에 해당한다는 사실에 의해 중요시된다. 그러므로, 표 3의 자료는 질병의 진행기에 상기 치료를 시작하였을지라도 인간의 생존기간을 수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번째 실험에서는 종양 HT-29 결장세포를 마우스에게 이식하였다. 이식후 24일째에 마우스에게 94±5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공급하여 처치를 개시하였다. 종양의 평균부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13마리의 쥐로 이루어졌으며 처치군은 16마리로 이루어졌다. 처치기간 90일 동안 처치군 종양의 평균 부피가 대조군보다 상당히 적은 것을 표 4로 부터 알 수 있다.
[표 4]
동물실험의 결과는 종양치료에 본 발명의 제약 생성물을 사용하면 질병의 초기에는 약 50%의 회복율을 얻을 수 있고, 질병의 진행기에는 생존기간을 20 내지 30%로 연장시킬 수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더욱 더 적은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여 한층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안정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보조제와 함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형태로 치료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은 억제, 유화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주사액제 등의 비경구투여용 또는 직장주입용 액제등의 직장투여용 조성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예를들면, 연고제 형태 등의 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생성물은 제약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즉, 유효성분과 안정한 무기 또는 유기담체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생약으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체 담체로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약 생성물은 제약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완충제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용액제는 과일쥬스, 시럽, 청량음료 및 맥주 등을 제조하는 식품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즉, 유효성분을 과일쥬스, 쥬스농축액, 풍미제, 감미제, 방향제, 정유 등의 청량음료 및 맥주 산업의 기본 재료뿐만 아니라 청량음료 및 맥주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와 보조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생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여러가지 요인들, 예를들면, 유효성분의 활성, 환자의 상태 및 연령, 종양의 종류, 악성의 정도 등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이다. 체중이 70kg인 환자의 경우, 매일 경구적으로 0.1 내지 110ppm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중수소감소액 1 내지 2리터를 투여할 수 있다.
중수소가 감소된 물은 제약 생성물을 더욱 풍미있게 하기 위해 30내지 50그람의 탄수화물과 기타 풍미제 또는 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주사액제의 경우, 일일 투여량은 2 내지 6리터까지 가능하며 물의 중수소농도는 넓은 간격내(0.1 내지 110ppm)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체내의 물의 중수소농도는 바람직한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매일 적어도 0.5ppm씩 감소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복용량은 단지 유용한 정도일 뿐으로 사용하는 양은 반드시 주치의가 처방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생성물과 방법의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방법은 자연적 방식의 세포증식조절 메카니즘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의 제약 생성물을 사용하여 종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3) 상기 생성물의 성분은 유독한 부작용이 없다.
4) 생산과정에서 환경에 유해한 폐기물을 생성하지 않는다.
5) 본 발명의 방법은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6) 유효성분이 돌연변이 유발인자가 아니므로 치료과정에서 돌연변이세포가 발생하지 않는다(이제까지 사용되어온 대부분의 세포증식억제제는 강력한 돌연변이 유발성이 있어서 대개는 새로운 종양을 유발한다).
7) 본 발명의 제약 생성물을 사용하여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라 질병을 회복시킨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전기분해에 의한 중수소감소수(水)의 제조
15 내지 20W/V% KOH수용액을 양극과 음극을 서로 분리하여 전압 2 내지 5V에서 직류로 전기분해하였다. 음극에서 방출되는 감소된 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수소를 연소하여 생성된 증기를 축합하여 따로 모았다. 얻어진 물은 30 내지 40ppm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데 더 전기분해하여 중수소함량을 6 내지 20ppm으로 감소시켰다.
상기 생성물은 종양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유동액 요구를 만족하고 감소된 중수소 함량을 가진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시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과정의 최종 생성물은 증류수이므로 인체에 사용하기 전에 필수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1000mg, 칼륨 200mg, 칼슘 160mg, 마그네슘 88mg, 인 650mg 및 염소 600mg을 함유하는 염 혼합물을 첨가하여 1리터로 만든다.
[실시예 2]
증류에 의한 증수소감소수의 제조
압력 50 내지 60 밀리바, 45내지 50℃의 온도하에 30 내지 50플레이트의 분별증류관에서 물을 증류하였다. 증류하는 동안 환류값을 12내지 13으로 유지하였다. 중수소의 농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증류하는 동안 바닥에서 10배로 희석하였다. 상기 파라미터들을 사용한 선(先)생성물의 중수소농도는 20 내지 30ppm이었다. 분별증류관의 플레이트수를 더 증가 및/또는 증류과정을 반복하여 물의 중수소 함량을 1 내지 10ppm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정의 최종 생성물은 증류수이므로 인체에 사용하기 전에 필수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의 염 혼합물은 상기 목적을 위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중수소가 감소된 생리식염수의 제조
NaCl 8.5g을 실시예 1 또는 2에 따라 제조된 증류수 1ℓ에 첨가하였다. 생리식염수는 대개 일반적인 멸균과정을 실시한 후에 주입액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생성물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일일 복용량은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 2 내지 6리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중수소가 감소된 과일쥬스의 제조
실시예 1 또는 2에 따라 제조된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증류수를 다음과 같이 물 및 과일쥬스 농축액과 혼합하였다:
1)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0.8 부피부+과일쥬스 농축액 0.2 부피부(중수소의 최종 농도는 약 45-50ppm);
2)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0.5 부피부+과일쥬스 농축액 0.2 부피부+정상적인 물 0.3부피부(중수소의 최종 농도는 약 85-90ppm);
3)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0.3 부피부+과일쥬스 농축액 0.2 부피부+정상적인 물 0.5 부피부 (중수소의 최종 농도는 약 105-110ppm).
낮은 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여 더 낮은 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과일 쥬스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
탄산수를 함유하는 중수소가 감소된 청량음료의 제조
실시예 1 또는 2에 따라 제조된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증류수를 다음과 같이 설탕 50g/ℓ, 오렌지 쥬스 5부피%, 탄산 6g/ℓ, 시트르산 1g/ℓ, 아스코르빈산 500mg/ℓ 및 풍미제 500mg/ℓ를 함유하는 청량음료와 혼합하였다.
1)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0.8 부피부+청량음료 농축액 0.2 부피부(중수소의 최종 농도는 약 45-50ppm);
2)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0.5 부피부+정상적인 물 0.3 부피부+청량음료 농축액 0.2 부피부(중수소의 최종 농도는 약 85-90ppm);
3) 20 내지 3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0.3 부피부+정상적인 물 0.5 부피부 +청량음료 농축액 0.2부피부(중수소의 최종 농도는 약 105-110ppm).
낮은 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여 더 낮은 농도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과일 쥬스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6]
중수소가 감소된 맥주의 제조
먼저 보리를 엿기름을 제조하기 위해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에 담가서 5 내지 15㎝두께의 시이트에서 5 내지 15℃의 온도 및 충분한 공기혼화 조건하에서 발아시켰다.
발아된 보리를 56 내지 75℃사이의 온도에서 탈수하고 나머지 맥아를 분리하여 분쇄하였다. 분쇄된 엿기름을 0.1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적당량의 물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75℃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여과하여 홉으로 양조하였다. 홉으로 맛을 낸 맥주를 여과하여 냉각하고 나서 미리 증식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였다. 5 내지 6℃에서 10 내지 14일 동안 1차 발효과정을 실시하였다. 0℃의 밀봉된 드럼에서 몇주 동안 2차 발효를 실시하고 나서 제조된 맥주를 여과하고 병에 담아 저온살균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맥주의 중수소 함량은 에탄올과 기타 성분의 중수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된 물의 중수소 함량에 의존한다.
[실시예 7]
중수소가 감소된 함수 연고제의 제조
중수소가 감소된 물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함수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제품 1000 그람을 생산하는 일반적으로 유용한 함수 연고제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Claims (8)

  1. 중소수를 함유하는 물 또는 활성제로서 중수소를 함유하는 인체에 적절한 수용액과 임의의 담체 및/또는 보조제로 이루어진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물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중수소의 함량이 30내지 11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을 생리 식염수 형태의 제약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은 과일 시럽, 청량음료, 또는 맥주 형태의 약용액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4. 전기분해 및/또는 증류에 의해 유효성분으로 30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및/또는 수용액을 생산하고, 30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상기 물 및/또는 수용액과 임의의 담체 및 보조제를 제1항의 생성물로 변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생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은 생리 식염수 형태의 제약 생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은 과일 시럽, 청량음료, 또는 맥주 형태의 약용액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은 주사액제, 주입액제, 시럽제, 쥬스제 또는 함수 연고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30 내지 110ppm의 중수소를 함유하는 물 및/또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종양 예방제 또는 치료제.
KR1019920017662A 1991-10-31 1992-09-28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3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913437A HU208084B (en) 1991-10-31 1991-10-31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ions suitable for curing tumorous diseases
HU3437/91 1991-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461A KR930007461A (ko) 1993-05-20
KR100253874B1 true KR100253874B1 (ko) 2000-04-15

Family

ID=1096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662A KR100253874B1 (ko) 1991-10-31 1992-09-28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855921A (ko)
JP (1) JP3569916B2 (ko)
KR (1) KR100253874B1 (ko)
CN (1) CN1045162C (ko)
AT (1) AT402692B (ko)
BE (1) BE1006186A3 (ko)
CA (1) CA2122612C (ko)
CH (1) CH685282A5 (ko)
CZ (1) CZ282379B6 (ko)
DE (1) DE4232465B4 (ko)
DK (1) DK170832B1 (ko)
ES (1) ES2077530B1 (ko)
FI (1) FI114010B (ko)
FR (1) FR2683148B1 (ko)
GB (1) GB2276086B (ko)
HU (1) HU208084B (ko)
IT (1) IT1255390B (ko)
LU (1) LU88175A1 (ko)
NL (1) NL194664C (ko)
NO (1) NO307031B1 (ko)
SE (1) SE513624C2 (ko)
WO (1) WO1993008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1483B2 (en) * 1994-01-06 1998-05-21 Hyd Kutato-Fejleszto Kft. Food products for preventing development of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HU214824B (hu) * 1994-03-23 1998-06-29 HYD Kutató-Fejlesztő Kft. Bőrbetegségek kezelésére és megelőzésére alkalmas kozmetikai, higiéniai, valamint szépség- és testápolási készítmények és eljárás azok előállítására
DE4427690A1 (de) * 1994-08-04 1996-02-08 Bogdahn Ulrich Prof Deuterium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als Zytostatikum oder Tumor-Therapeutikum
HU217418B (hu) * 1995-04-20 2000-01-28 László Kótai Kémiai eljárás alacsony deutériumtartalmú víz előállítására
RU2083210C1 (ru) * 1995-09-13 1997-07-10 Николаева Ирина Сергеевна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поддерживающей и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й терапии развивающихся при старении и/или под воздействием патогенных факторов патологий, связанных с дистрофическим и дегенеративными изменениями органов и тканей
US6444238B1 (en) 2000-03-10 2002-09-03 General Cosmetics Corporation Pain relief composition and method of relieving pain
HU226984B1 (en) * 2001-12-12 2010-04-28 Hyd Kutato Fejlesztoe Kft Medical and food products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TWI263677B (en) * 2002-02-12 2006-10-11 Univ California Measurement of biosynthesis and breakdown rates of biological molecules that are inaccessible or not easily accessible to direct sampling, non-invasively, by label incorporation into metabolic derivatives and catabolic products
US20060094057A1 (en) 2002-07-30 2006-05-04 Maro K. Hellerstein Method for automated, large-scale measurement of the molecular flux rates of the proteome or the organeome using mass spectrometry
AU2002321678A1 (en) * 2002-09-09 2004-03-29 Boros Béla Oxygen-enriched water, treated within a magnetic field and heavy water
EP1546373B1 (en) * 2002-09-13 2008-11-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measuring rates of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in vivo, as an index of anti-atherogenesis
WO2004042360A2 (en) 2002-11-04 2004-05-21 The Regents Of The Univeristy Of California Deuterated glucose or fat tolerance tests for high-throughput measurement of the metabolism of sugars or fatty acids in the body
JP2004315487A (ja) * 2003-04-17 2004-11-11 Internatl Scient:Kk 重水素減少水(スーパーライトウォーター)を原料とするスポーツドリンクの飲用による筋肉増強、及び製造方法。
RO120171B1 (ro) * 2003-05-23 2005-10-28 Ioan Nedelcu Produse cosmetice şi pentru igienă, procedeu de obţinere şi procedeu de aplicare a acestora
US7262020B2 (en) * 2003-07-03 2007-08-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comparing relative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 vivo through a single protocol
RO120505B1 (ro) * 2003-08-13 2006-02-28 Institutul Oncologic Profesor Dr. Al. Trestioreanu Metodă pentru stabilirea in vivo la animale de experienţă, a concentraţiei eficiente de apă sărăcită în deuteriu pentru tratamentul cancerului
US20050202406A1 (en) * 2003-11-25 2005-09-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of compounds and combinations of compounds for discovery and quantification of actions, particularly unanticipated therapeutic or toxic actions, in biological systems
WO2005070438A1 (en) * 2004-01-23 2005-08-04 Igor Anatolievich Pomytk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water depleted of heavy isotopes 0-17 and 0-18
TW200538738A (en) 2004-02-20 2005-12-01 Univ California Molecular flux rates through critical pathways measured by stable isotope labeling in vivo, as biomarkers of drug action and disease activity
US20050226825A1 (en) * 2004-04-13 2005-10-13 Giampapa Vincent C Top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damage caused by UV light exposure
WO2005117566A1 (ja) * 2004-06-03 2005-12-15 Kunihiro Seki 低重水素濃度食品の生産装置
RO121676B1 (ro) * 2004-08-18 2008-02-28 Institutul Oncologic "Prof.Dr. Al. Trestioreanu" Metodă de creştere a toleranţei organismului la tratamentul cu citostatice
CN101123889A (zh) * 2005-02-08 2008-02-13 伍德福德联合有限公司 富含1h216o的非酒精饮料
EP1846546B1 (en) * 2005-02-08 2011-04-13 Woodford Associates Limited Alcoholic beverage enriched with 1h216o
ES2386639T3 (es) * 2005-03-05 2012-08-24 Sergey Pavlovich Soloviev Composición cosmética enriquecida en 1H216O
US20080118463A1 (en) * 2005-03-11 2008-05-22 Igor Anatolievich Pomytkin Light Pharmaceutical Water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20080103092A1 (en) * 2005-03-11 2008-05-01 Pomytkin Igor A Methods for Intradermal, Transdermal or Transmucosal Delivery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CN101146448A (zh) * 2005-03-11 2008-03-19 维达咨询有限公司 用于消毒无生命表面的组合物
RU2275920C1 (ru) * 2005-04-01 2006-05-10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Помытки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US20060251576A1 (en) * 2005-05-03 2006-11-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measuring cholesterol metabolism and transport
TW200711660A (en) * 2005-06-10 2007-04-01 Univ California Monitoring two dimensions of diabetes pathogenesis separately or concurrently (insulin sensitivity and beta-cell sufficiency): uses in diagnosis, prognosis, assessment of disease risk, and drug development
WO2007069934A1 (en) * 2005-12-12 2007-06-21 Vada Consulting Limited Method of treating metabolic syndrome
EA014537B1 (ru) * 2005-12-12 2010-12-30 Тимантти Аб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уровня постпрандиальной глюкозы
WO2007069932A1 (en) * 2005-12-12 2007-06-21 Vada Consulting Limited Method for suppressing appetite and food intake
HUP0900231A2 (hu) * 2009-04-16 2010-11-29 Hyd Rakkutato Es Gyogyszerfejlesztoe Kft Allergiás betegségek kezelésére, gyógyítására alkalmas készítmények és eljárás azok elõállítására
DE102009017966A1 (de) 2009-04-21 2010-11-04 Renate Rohlf Gesundheitsförderndes flüssiges Nahrungsmittel
US8658236B2 (en) * 2009-08-21 2014-02-25 Deuteria Beverages, Llc Alcoholic compositions having a lowered risk of acetaldehydemia
EP2726475B1 (en) * 2011-05-27 2017-10-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ripeptides incorporating deuterium as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HUP1100290A2 (en) * 2011-06-01 2012-12-28 Hyd Rakkutato Es Gyogyszerfejlesztoe Kft Combinatio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EP2753707A4 (en) 2011-09-08 2015-03-04 Univ California MEASUREMENT OF METABOLIC FLOW, IMAGING AND MICROSCOPY
JP6294233B2 (ja) 2011-12-07 2018-03-14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 エルエルシー 全身骨格筋量の定量方法
HUP1200552A2 (en) 2012-09-21 2014-04-28 Hyd Rakkutato Es Gyogyszerfejlesztoe Kf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WO2014088441A1 (en) * 2012-12-03 2014-06-12 Igor Anatolievich Pomytkin Food for the dietary management of burnout
US9134319B2 (en) 2013-03-15 2015-09-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replacing biomarkers of protein kinetics from tissue samples by biomarkers of protein kinetics from body fluids after isotopic labeling in vivo
CN103462830A (zh) * 2013-09-03 2013-12-25 大连世纪新源技术开发有限公司 超轻水多肽化妆品及其制备方法
JP2017526638A (ja) * 2014-06-30 2017-09-14 ミトコンドリアル サブストレート インベンション リミテッドMitochondrial Substrate Invention Limited 認知機能向上のための栄養素溶液
RU2601046C1 (ru) * 2015-07-29 2016-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убГУ")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дейтерия в пищевых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ах
AU2017329108B2 (en) * 2016-09-21 2022-07-07 Botanical Water Technologies Ip Ltd Isotopic compositions
BR112020013545A2 (pt) * 2018-01-02 2020-12-01 Botanical Water Technologies Ip Ltd composições isotópicas ii
WO2019174659A1 (de) 2018-03-15 2019-09-19 Karl Bau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herstellung von deuterium reduziertem wasser
CN112811559A (zh) * 2020-12-30 2021-05-18 江苏奥特泉超轻水饮料有限公司 一种低氘氢水及其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7960A (en) * 1969-08-04 1974-04-30 V Thayer Apparatus for enrichment of deuterium between water and hydrogen sulfide by countercurrent mass transfer
JPS53107408A (en) * 1977-02-28 1978-09-19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Micellar preparation for rectal infusion
JPS56141822A (en) * 1980-04-07 1981-11-05 Hitachi Lt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hydrogen isomer
US4411798A (en) * 1980-05-27 1983-10-25 Standard Oil Company Process for separating D2 O from H2 O using surfactant systems
FR2552324B1 (fr) * 1983-09-23 1985-11-22 Ionescu Pantelimon Dumitru Eau anticancereuse, procede pour sa realisation, outillage pour sa conservation, et methode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US4874780A (en) * 1987-03-11 1989-10-17 Norsk Hydro A.S. Anticancer compounds
DE3717883A1 (de) * 1987-05-27 1988-12-15 Schiwa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herstellung von physiologischen loesungen
WO1989001342A2 (en) * 1987-08-07 1989-02-23 Mallinckrodt, Inc. Diagnostic or radiotherapeutic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gen containing compound
IL85312A (en) * 1988-02-03 1991-08-16 Israel State Injec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US4931154A (en) * 1989-07-17 1990-06-05 Southwestern Analytical Chemicals, Inc. Production of metal borohydrides and organic onium borohydrides
US5223269A (en) * 1989-08-31 1993-06-29 Andrejs Liepins Methods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62(3);462-6 (1988. 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14010B (fi) 2004-07-30
NO941590L (ko) 1994-06-23
SE513624C2 (sv) 2000-10-09
SE9401406D0 (sv) 1994-04-25
ES2077530B1 (es) 1996-07-01
LU88175A1 (fr) 1993-03-15
ITMI922233A1 (it) 1994-03-28
NL9220026A (nl) 1994-09-01
CZ282379B6 (cs) 1997-07-16
NO941590D0 (ko) 1994-04-29
ITMI922233A0 (it) 1992-09-28
GB2276086B (en) 1995-09-27
IT1255390B (it) 1995-10-31
JP3569916B2 (ja) 2004-09-29
CA2122612C (en) 2003-02-04
DE4232465A1 (de) 1993-05-06
NO307031B1 (no) 2000-01-31
HU208084B (en) 1993-08-30
FI941979A0 (fi) 1994-04-29
FI941979A (fi) 1994-06-29
CN1071836A (zh) 1993-05-12
US5855921A (en) 1999-01-05
ATA902992A (de) 1996-12-15
ES2077530A1 (es) 1995-11-16
NL194664C (nl) 2002-11-04
SE9401406L (sv) 1994-06-07
DE4232465B4 (de) 2008-11-06
FR2683148B1 (fr) 1994-09-09
FR2683148A1 (fr) 1993-05-07
KR930007461A (ko) 1993-05-20
JPH08501275A (ja) 1996-02-13
BE1006186A3 (fr) 1994-06-07
CH685282A5 (de) 1995-05-31
CN1045162C (zh) 1999-09-22
AT402692B (de) 1997-07-25
DK170832B1 (da) 1996-02-05
GB9408654D0 (en) 1994-07-20
CZ102094A3 (en) 1994-12-15
CA2122612A1 (en) 1993-05-13
HU913437D0 (en) 1992-01-28
WO1993008794A1 (en) 1993-05-13
NL194664B (nl) 2002-07-01
GB2276086A (en) 199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874B1 (ko) 종양 치료를 위한 제약 생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0269545B1 (en) Food supplements containing a vitamine e antioxidant activity simulator
US6821536B2 (en) Antioxidative compositions
KR101186898B1 (ko) 항산화 조성물
KR102137388B1 (ko) 오리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2158A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0972167B1 (ko) 아라리아 에스쿠렌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항산화 및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7966B1 (ko) 녹용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8030B1 (ko) 탈염 함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MXPA96003241A (en) Pharmaceutical products to cure tumor diseases and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JP6969041B2 (ja) 血管内皮型一酸化窒素合成酵素産生促進剤及び経口用組成物
US20060122261A1 (en) [method of preparing labdane diterpene composition, preferably isoforskolin and deacetylforskolin from forskolin extract and their use for promoting lean body mass and other applications]
WO2014045072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CN115025140A (zh) 辣木叶提取物在制备抗低氧药物或功能性食品中的应用
RU2381811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рови и иммунитета у онкологических больных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111728978A (zh) 罗汉果苷iie在制备抗氧化食品、保健品或药品中的应用
KR101519654B1 (ko) 슬리밍용 조성물
RU2165160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KR20200140098A (ko) 소나무 담쟁이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20026743A (ko) 비소화합물 및 글루타치온 고갈 유도 화합물을 함유하는항암조성물
KR20050014253A (ko) 반도 심층수 또는 그 농축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효과를 가지는 약학 조성물
KR20050104092A (ko) 골성장촉진활성을 갖는 지사노사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및 약학적 제제
KR20030048487A (ko)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솔잎의 다단발효추출물
CH678491A5 (en) Pharmaceutical nutrient contg. dolomite, bone meal, yeast and plant 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