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465B1 - 매체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매체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465B1
KR100253465B1 KR1019960043607A KR19960043607A KR100253465B1 KR 100253465 B1 KR100253465 B1 KR 100253465B1 KR 1019960043607 A KR1019960043607 A KR 1019960043607A KR 19960043607 A KR19960043607 A KR 19960043607A KR 100253465 B1 KR100253465 B1 KR 10025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recording
reproduc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142A (ko
Inventor
노조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634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81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2631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1789B2/ja
Application filed by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구치 유죠
Publication of KR97002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support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e.g. manual adjustment for azimuth correction or track cent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Landscapes

  • Magnetic Head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기록매체의 두께가 다르면 서로 대향배치한 자기헤드의 내구성이나 기록매체에 대한 패드압, 또는 자기헤드의 코어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등의 영향으로 양호한 정보의 기록재생이 어려우며,
해결수단으로는 본 발명에 관한 두께가 다른 자기카드체(C)가 주행하는 매체반송로(5)의 양측에 자기카드체(C)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코어부 (6A),(7A)가 각각 중앙에 배치된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6)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 (7)를 각각 배치한 매체기록 재생장치(1)로는 코어부(6A),(7A)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6)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7)를 매체반송방향(A)에 스쳐서 대향배치하여 접촉했다.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6)는 부세수단(32)에 의해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7)에 대하여 부세되고 있다.

Description

매체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의 개략구성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3도는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I-I 선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에서 채용된 기록매체의 종류의 일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의 개략 구성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근방의 개략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매체기록 재생장치의 저면도.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에 채용되는 기록매체의 종류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두꺼운 카드의 반송시에 있어서 헤드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
제13도는 얇은 카드의 반송시에 있어서 헤드부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
본 발명은 기록매체가 주행하는 매체반송로의 양측(위 아래)에 정보기록 재생헤드가 각각 배치된 매체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카드에 대표되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자기헤드 등의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정보기록 재생헤드(다음은 헤드라고 생략한다)에 의해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가 여러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매체기록 재생장치에는 매체반송로로 향하는 헤드에 대향하여 패드롤러를 마련한 것이거나 상기 헤드에 대향하여 다른 헤드를 마련하여 매체반송로의 양측에 헤드를 배치하고 있는 것이 있다. 헤드끼리를 대향하여 마련한 매체기록 재생장치로는 한쪽의 헤드에 대향하는 헤드에 대하여 부세수단으로 부세하는 한편 헤드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방지를 위해 기록매체에 대하여 적당한 패드압이 나올수 있는 범위의 틈을 대향하는 헤드사이에 마련하고 있다. 이들 각 헤드에는 기록매체에 접촉하여 정보의 주고받음(기록 및/ 또는 재생)을 행하는 코어부가 헤드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매체기록 재생장치는 이미 여러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사용되는 기록매체도 자기스트라이퍼의 위치나 두께에 의해서 몇가지 종류로 규격화되어 크레디트 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두꺼운 카드나 프리페이드 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얇은 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여러 가지의 카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헤드 끼리를 대향하여 마련한 매체기록 재생장치로는 기록매체의 두께가 다른 것을 사용할 경우 헤드간에 형성되는 틈은 사용빈도가 많은 기록매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으로 한 기록매체의 두께 이외의 기록매체가 반송로내로 삽입되면 기록매체에 대한 패드압이 변화하는 등 기록매체와 헤드와의 접촉상태가 변한다. 예를 들면 두꺼운 기록매체를 기준으로 이 틈을 설정하면 얇은 기록매체에 대한 패드압은 충분한 것으로 되지 않고, 얇은 기록매체를 정규의 반송속도로 반송할 수가 없고 정보의 기록재생 불량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얇은 기록매체를 기준으로 하여 헤드간에 형성되는 틈을 설정할 경우 헤드끼리가 접촉하도록 부세한 상태로 하면 양호한 패드압을 얻을 수 있지만 단지 헤드끼리를 접촉시키면 각 헤드의 중앙에 배치되는 기록/재생용의 갭이 접촉하여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갭을 형성하는 코어부에 마모에 의한 단차(段差)가 발생하여 이 단차에 의하여 정보의 기록재생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생긴다.
또 여러가지의 카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대향하여 마련한 2개의 헤드외에 자기스트라이퍼의 위치가 상기 2개의 헤드와는 다른 카드에 대응하도록 제3의 헤드를 마련하도록 한 것도 있다. 이 제3의 헤드를 마련한경우 제3의 헤드에 대향하여 패드롤러를 마련하고 기록매체에 대한 패드압을 알맞은 것으로 하도록 구성하지만 여러가지 카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기록 재생헤드가 여러개 배치된 경우에는 헤드근방이 복잡하게 되어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구성을 간단화 하기 위해 패드롤러를 생략하면 이 제3의 헤드에 대해서 충분한 패드압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정보의 기록재새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가지의 규격의 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매체반송로의 양측(위 아래)에 정보기록 재생헤드가 배치된 매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두께가 다르다고 하여도 또는 자기스트라이퍼의 위치가 다르다고 하여도 각각의 정보기록 재생헤드에 의한 양호한 정보의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1)에는 아래 가이드블록(2)과 위 가이드블록(3)이 프레임(4)에 고정되어 있고, 아래 가이드블록(2)과 위 가이드블록(3)과의 사이에 매체반송로(5)를 형성하고 있다.
매체반송로(5)의 양측, 즉 매체반송로(5)를 사이에 끼운 위아래에는 각각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로서의 자기헤드(6)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로서의 자기헤드(7)가 대향배치되어 있다. 자기헤드(7)는 기록매체로서의 자기카드체(C)의 반송방향(화살표 A방향, [매체반송방향 A]라고 칭한다)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판(8)에 접착고정 되어 있다. 헤드지지판(8)은 박판의 측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에 작은 구멍(8a),(8b)이 각각 뚫려 있다. 이 작은구멍(8a),(8b)에는 기판(11A),(11B)의 단에각각 마련된 반구형상의 돌부가있는 핀(다음에는 [핀]이라고 칭한다)(13A),(13B)삽입하고 있어 헤드지지판(8)을 매체반송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 즉, 화살표시(W)로 표시하는 매체반송로(5)의 폭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매체반송로(5)의 위 아래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반송롤러쌍(14A),(14B)이 자기헤드(6),(7)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한쌍의 반송롤러쌍(14)만 도시하고 있지만 이 반송롤러쌍(14)의 앞뒤에도 같은 반송롤러가 배치되어 있어 카드의 반송을 행할 수가 있다.
아래 가이드블록(2)에 고정된 고정판(16)에는 판용수철(17)의 일단(17a)이 비스(18)로 고정되어 있다. 판용수철)(17)의 타단(17b)은 역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핀(13A),(13B)을 잇는 선상에서 자기헤드(7)와 핀(13B)과의 사이에 취이하는 헤드지지판(8)을 압착하고 있어이 때문에 자기헤드(7)는 판용수철(17)에 의해 매체반송로(5)내를 향하여 부세되고 있다. 판용수철(17)은 용수철힘이 크게 설정되어 있어 정상인 자기카드체(C)의 주행시에 있어서는 판용수철(17)의 부세력에 의해 위아래로 변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정상적인 카드로는 만곡이 소정의 허용범위내에 있는 자기카드체(C)를 가리키고 만곡이 허용범위를 벗어날 정도록 크거나 절곡된 이상 카드등이 반송되었을 경우에는 자기헤드(7)에 대해 카드에서의 압착력이 판용수철(17)의 부세력을 초과하게 되어 판용수철(17)이 휘어서 자게헤드(7)는 제2도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카드의 반송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11A)의 일단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가이드블록(2)에 꽂아 설치된 핀(24)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반구형상의 돌부가 있는 핀(13B)이 고정된 타단측에는 스큐우트랙 조정용의 긴구멍이 뚫려있다.
이 긴구멍에는 편심핀 (25)의 편심부가 삽입되어 있다. 기판(11A)은 편심핀 (25)을 나사(26)로 아래 가이드블록(2)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이 고정되어 있다.
기판(11B)은 아래 가이드블록(2)에 마련된 칼라(27)를 통하여 나사(28)로 나사고정하여 유지되고 있다. 기판(11B)에는 기판(11A)과 같은 긴구멍이 뚫려있고, 편심핀(25)을 통하여 블록(2)에 나사(26)로 나사고정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각 편심핀 (25)이 회동되면 기판(11A)은 핀(24)을 중심으로, 기판(11B)은 칼라(27)가 끼워진 핀을 중심으로 각가 회동된다. 이 회동에 의해서 자기헤드(7)의 스큐우트랙 조정이 행해지고, 조정후 기판(11A),(11B)은 칼라(27), 편심핀(25)을 나사체계함으로써 고정된다.
자기헤드(6)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반송로(5)의 위쪽에 위치하는 프레임(4)의 부착판(15A,15B)에 축(2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유지블록(19)에 마련되어 있다. 축(20)은 매체반송방향(A)을 향해 뻗어나와 유지블록 (19)의 기단(19A)에 삽입하고 있고, 부착판(15A),(15B)에 형성된 구멍(15C)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블록(19)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반송로(5)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타단(19B)측을 매체반송로(5)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블록(19)의 양측부(19a),(19b)에는 베어링(21a),(21b)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이 베어링(21a),(21b)에는 지지핀(22,) (23)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지블록(19)의 내측에는 접착부재(30)를 통하여 자기헤드(6)를 고착한 고정블록(31)이 유지블록(19)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을 두고 움직이도록 끼워져 있다. 이 고정블록(31)에는 지지핀(22),(23)의 선단에 가압으로 삽입되어 있고 유지블록(19)에 대해서 지지핀(22),(23)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어 고정블록(31), 즉, 자기헤드(6)가 지지핀(22),(23)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된다. 고정블록(31)과 유지블록(19)과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블록(31)이 유지블록(19)의 규제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요동가능하게 된다.
축(20)에는 자기헤드(6)를 자기헤드(7) 측으로의 가압하는 부세수단으로서 비틀어진 코일 용수철(32)이 유지블록(19)의 공간부(x) 내에서 감겨서 장착되어 있다. 비틀어진 코일용수철(32)의 단부(32a),(32b)는 유지블록(19)에 형성된 용수철걸림부(33),(34)에 걸리고, 중앙에 형성된 팔부(32c)는 프레임(4)에 걸려있어 유지블록(19)에 마련된 자기헤드(6)에 자기헤드(7)로 향하는 회동 부세력을 주고 있다. 즉 자기헤드(6)는 축(20)을 중심으로 매체반송로(5)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아울러 지지핀 (22),(23)을 중심으로 매체반송로(5)의 폭방향(W)에 대해서도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비틀어진 코일용수철(32)에 의한 자기헤드(6)의 회동 부세력은 다른 부세수단으로서의 판용수철(17)에 의한 다른 자기헤드(7)의 부세력 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어 자기헤드(6)를 자기헤드(7) 보다도 매체반송로(5)에 대해 진퇴하기 쉽게하고 있다.
자기헤드(96),(7)는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반송로(5)를 향하는 케이스선단부(6A),(7A)의 중앙이 높아지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자기카드체(C)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갭(6G),(7G)을 형성한 코어부 (6B),(7B)를 각각 금속제의 실드케이스 내측 보다 노출시켜 마련하고 있다. 자기헤드(6),(7)는 이들 코어부(6B),(7B)의 중앙에 형성되는 갭(6G),(7G)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매체반송방향 (A)에 스쳐서 배치되어 케이스선단부(6A)와 케이스선단부 (7A)가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회동 부세력이 강한 자기헤드 (7)의 코어부(7B)를 자기헤드(6)의 코어부(6B)보다도 카드삽입방향안쪽(우측)에 배치하고, 카드가 매체반송로(5)에 대하여 진퇴하기 쉽게 구성한 자기헤드(6)에 자기헤드(7)보다도 먼저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카드체(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에는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윗면이나 아래면에 자기스트라이퍼(C1a),(C1b)가 각각 마련된 크레디트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두꺼운 카드(C1)와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아래면에 자기스트라이퍼(C2a)가 마련된 프리페이드 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얇은 카드(C2)가 이용된다. 자기헤드(6)는 두꺼운 카드(C1)의 자기스트라이퍼(Ca)에 대응하고, 자기헤드(7)는 두꺼운 카드(C1)의 자기스트라이퍼(C1a)에 대응하고, 자기헤드(7)는 두꺼운 카드(C1)의 자기스트라이퍼(C1b)와 얇은 카드(C2)의 자기스트라이퍼(C2a)의 양쪽에 대응하는 것으로 각각 카드(C1),(C2)의 자기스트라이퍼(C2a)의 양쪽에 대응하는 것으로 각각 카드(C1),(C2)의 자기스트라이퍼(C1a),(C1b),(C2a)와 접촉함으로써 자기기록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또 자기헤드(7)의 코어부(7B)에서 위 가이드블록(3)의 내측(3a)까지의 간격(L1)은 두꺼운 카드(C1)의 카드두께 보다 약간 넓은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자기헤드(7)의 매체반송로(5)로의 돌출량은 제1돋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형상의 돌기부(13B)에 삽입되는 돌출량 조정워셔(29)의 두께나 매수 등에 의해 조정된다.
이와같이 구성한 매체기록 재생장치(1)의 매체반송로(5)에 자기카드체(C)를 삽입하면 자기헤드(6),(7)의 사이에 자기카드체(C)가 반송롤러쌍(14)으로 반송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자기헤드(6)는 자기헤드(7)보다도 매체반송로(5)에 대해 진퇴하기 쉽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통 정상적인 카드의 경우 자기헤드(7)는 매체반송로(5)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고 자기헤드(6)가 축(20)을 중심으로 비틀어진 코일용수철 (3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요동하고, 매체반송로(5)에 대하여 진퇴하게 된다. 이 때 삽입된 자기카드체(C)가 두꺼운 카드(C1)면 자기카드(6)는 그 두께에 따라 진퇴변위하고 자기헤드(7)와 함께 두꺼운 카드(C1)에 알맞은 패드압을 준다. 한편,된자기카드체(C)가 얇은 카드(C2)일 때에도 자기헤드(6),(7)는 이들 코어부(6B),(7B)의 중앙에 형성되는 갭(6G),(7G)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매체반송방향(A)에 스쳐서 배치되고, 케이스선단부(6A)와 케이스선단부(7A)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자기헤드(6)가 비틀어진 코일용수철(3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변위하고 자기헤드(7)와 함게 동 카드(C2)에 충분한 패드압을 줄 수가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자기헤드(6)와 자기헤드(7)를 접촉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자기헤드(6),(7)의 코어부(6B),(7B)에 의해 형성되는 갭(6G),(7G) 끼리가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그 결과 노이즈를 내거나, 또는 마모하여 단차가 발생하기 쉽고, 그 때문에 실제로는 자기헤드(6),(7)를 접촉시킬 수가 없고 반송되는 자기카드, 특히 얇은 자기카드(C2)에 대한 패드압을 충분히 줄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부(6B),(7B)에 형성되는 갭(6G),(7G)이 접촉하지 않도록 자기헤드(6),(7)를 매체반송방향(A)에 스쳐서 배치하고 양 헤드(6),(7)를 접촉시키면 자기헤드(6),(7)의 틈을 제로이하, 즉, 선단끼리를 비집고 들어가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얇은 자기카드(C2)가 삽입된 경우라도 패드압을 충분히 줄 수가 있고, 얇은 자기카드(C2)의 정보의 기록재생불량이 굉장히 적어진다. 또 자기헤드 (6),(7)의 접촉부위를 코어부(6B),(7B)로 하지 않고, 내마모성이 좋은 자기헤드의 케이스, 구체적으로는 실드케이스에서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코어부(6B),(7B)의 접촉을 원인으로 하는 노이즈나 마모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없어져 정보의 기록재생불량이 극히 적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롤러쌍(14)에서 자기카드체(C)를 반송하는 타입의 매체기록 재생장치(1)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가지카드체(C)를 수동으로 주행시키는 타입의 매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기헤드(6),(7)를 매체반송방향에 스쳐서 배치하고 양 헤드(6),(7)를 접촉시켜도 물론 상관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반송로(5)에 진퇴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매체반송로(5)의 폭방향 (W)으로 약간 회동가능된 자기헤드(6)를 매체반송로(5)의 위쪽에 배치했지만, 이 자기헤드(6)를 매체반송로(5)의 아래쪽에 배치하고 자기헤드(7)를 위쪽에 배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여기서는 자기헤드(6)의 갭부(6B)를 자기ㅔ드(7)의 갭부(7B)보다도 카드침입측(좌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 갭부(6B)를 갭부(7B)보다도 카드배출측(우측)에 배치시켜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7도 내지 제1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3의 정보기록 재생헤드를 또한 구비한 것으로 이미 서명한 제1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것은 동일의 부호로 표시한다.
제7도에 도시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1)에는 아래 가이드블록(2)과 위가이드블록(3)이 프레임(4)에 고정되어 있고, 아래 가이드블록(2)과 위 가이드블록(3)과의 사이에 매체반송로(5)를 형성하고 있다. 매체반송로(5)의 한쪽면에는 제1헤드(6)가 배치되고 이 제1헤드(6)와 대향하는 매체반송로(5)의 하측에는 제2헤드(7)와 제3헤드 (9)가 배치되어 있다. 제1헤드(6), 제2헤드(7), 제3헤드(9)는 매체반송로(5)를 향하는 선단부(6A), (7A), (9A)의 중앙이 높아지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자기카드체(C)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갭부(6G),(7G),(9G)를 형성한 코어부(6B),(7B),(9B)를 각각 케이스내보다 노출시켜 마련하고 있다.
제2헤드(7)와 제3헤드(9)는 자기카드체(C)의 반송방향(A)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판(8),(10)에 각각 접착부재(36)로 따로따로 고정되어 인접배치되어 있다. 헤드지지판(8),(10)은 박판의 측부를 절곡하여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0도에 도기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작은 구멍(8a),(8b),(10a),(10b)이 각각 뚫려있다. 이 작은 구멍(8a),(8b),(10a),(10b)에는 기판(11A),(11B)의 일단에 각각 마련된 반구형상의 돌부가 있는 핀(13A),(13B),(13C),(13D)이 각각 삽입되어 잇고, 헤드지지판 (8), (10)을 매체반송방향(A)과 직교하는 매체반송로(5)의 위아래방향으로 진출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화살표(W)로 표시하는 매체반송로(5)의 폭방향에 대하여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0a),(0b)둘레에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요동범위는 제2헤드(7)와 제3헤드(9)의 쌍방이 요동했을 때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3헤드(9)는 인접하는 제2헤드(7)의 선단부(7A) 보다 더 그 선단부(9A)를 매체반송로(5) 내측을 향해 돌출시켰다. 이 제3헤드(9)의 돌출량은 제3헤드(9)이 양측면부(9C),(9D)가 매체반송로(5)에 진출하면 자기카드체(C)이 반송의 방해가 되므로 선단부(9A)만이 매체반송로(5)에 돌출하는 양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실제로는 1mm미만이다.
아래 가이드블록(2)에 고정된 고정판(16)에는 부세수단으로서의 판용수철 (17)의 일단(17a)이 비스(18)로 고정되어 있다. 판용수철(17)은 그 도중에서 두갈래로 나뉘어진 암부(17A),(17B)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17b),(17c)을 역 U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선단(17b),(17c)은 핀(13A),(13B),(13C),(13D)을 잇는 선상에서 제2헤드(7)와 핀(13B) 및 제3헤드(9)와 핀(13D)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지지판(8),(10)부위를 압착하고 있는 제2헤드(7), 제3헤드(9)를 매체반송로(5)를 향해 각각 따로따로 부세하고 있다.
암부(17A)는 다른 암부(17B)보다도 넓은 폭으로 마련되어 용수철힘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 자기카드체(C)의 주행시에 있어서는 위아래로 변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암부(17B)는 뒤에 설명하는 얇은 카드(C2),(C3)의 주행 중에 제3헤드(9)가 눌려서 밑으로 내려질 정도의 용수철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기판(11A)의 일단은 제7도에 더시한 바와 같이 아래 가이드블록(2)에 꽂아 설치된 핀(24)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핀(13B),(13D)이 고정된 타단의 단에 스큐우트랙 조정용의 긴구멍이 뚫려있다. 이 긴구멍에는 편심핀 (25)의 편심부가 삽입되어 있다. 기판(11A)은 편심된(25)이 관통하고, 이 핀의 회전중심을 겸한 나사(26)로 아래 가이드블록(2)에 고정하는 것에 위치고정이 되어있다.
기판(11B)은 일단에 뚫은 원형구멍에 동심의 칼라(27)가 끼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칼라(27)의 중심을 과통한 나사(28)에 의해 아래 가이드블록(2)에 고정되어 있다. 또, 기판(11B)의 타단에는 기판(11A)과 같은 긴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긴 구멍에 끼인 편심핀(25)이 나사(26)에 의해 아래 가이드블록(2)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 (11A),(11B)은 나사(26),(26),(28)를 약간 느슨하게 하여두고 편심핀(25),(25)의 한 쪽을 돌리는 것에 의해 스큐우조정을 행하고, 편심핀(25),(25)의 양쪽을 돌리는 것에 의해 트랙조정을 행하여 조정후에 나사(26),(26),(28)를 조여 고정한다. 또 칼라(27)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3A),(13C)과 결합하는 스톱퍼판(35)이 나사(28)로 고정되어 있다. 즉 제2헤드(7)와 제3헤드(9)는 용수철판(17)에 의한 부세력을 받은 상태에서 자기카드체(C)가 삽입되지 않을 때 수직이 되도록 지지 설정되어 있다.
제1헤드(6)의 부차근 제3도, 제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고, 비틀어진 코일용수철(32)에 의한 제1헤드(6)의 회동부세 습성은 판용수철(17)에 의한 제2헤드(7)의 부세 습성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어 제1헤드(6)와 제2헤드(7)는 그 갭부 (6G),(7G)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매체반송방향(A)에 스쳐서 선단부 (6A),(7A)를 접촉시키고 있는 점 등이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헤드 (6)와 제2헤드(7)가 그 갭부(6G),(7G)를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매체반송방향(A)에 스쳐서 선단부(6A),(7GA)를 접촉시키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헤드갭끼리의 마모가 별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는 헤드갭끼리를 상당히 근접하는 상태로 스치게하여 접촉시키거나 또는 두께가 있는 카드로 자기스트라이퍼의 위치가 다른 카드의 경우에는 상기 헤드끼리를 접촉시키지 않고 근접상태로 대향시키도록 배치해도 상관없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카드체(C)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카드체(C)는 제11a도에 도시하는 자기스트라이퍼(C1a),(C1b)가 카드 윗면이나 아래면에 마련된 크레디트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두꺼운 카드(C1)와, 제11b도에 도시하는 자기스트라이퍼(C2a)가 카드 아래면에 마련된 프레페이드 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얇은 카드(C2)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제11c도에 도시하는 자기스트라피어(C2a)가 카드 아래면에 마련된 프레페이드 카드 등으로 대표되는 얇은 카드(C2)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제11c도에 도시하는 자기스트라이퍼(C3a)가 카드 아래면측에서 또한 다른 카드(C1),(C2)보다도 매체반송로(5)의 중앙근처에 마련된 얇은 카드(C3)도 이용된다. 제1헤드(6)는 두꺼운 카드(C1)에 대응하고 제2헤드(7)는 두꺼운 카드(C1)와 얇은 카드(C2)의 양쪽에 대응하고, 제3헤드(9)는 얇은 카드(C3)에 대응하는 것으로 각각 카드 (C1), (C2), (C3)의 자기스트라이퍼(C1a),(C1b),(C2a),(C3a)와 접촉하는 것으로 자기기록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또한 제3헤드(9)의 매체반송로(5)로의 돌출량은 핀(13D)에 삽입되는 돌출량 조정워셔(29)의 두께나 매수 등에 의해 조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매체기록 재생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매체반송로 (5)내에 자기카드체(C)가 삽입되면 도시하지 않은 반송롤러쌍이나 반송롤러쌍(14)으로 반송되어 제1헤드(6)와 제2헤드(7) 및 제3헤드(9)의 사이에 이른다. 그러면 제2헤드(7)는 거의 그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제1헤드(6)가 축(20)을 중심으로 비틀어진 코일용수철(3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제3헤드(9)가 핀(13D)을 지점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삽입된 자기카드체(C)가 두꺼운 카드(C1)이면,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헤드(6)가 크게 위쪽을 향해 변위하고, 대향하는 제2헤드(7)와 더불어 두꺼운 카드(C1)에 알맞은 패드압이 주어진다. 그리고 자기스트라이퍼(C1a)나 자기스트라이퍼(C1b)의 어느쪽 한쪽으로 제1헤드(6) 또는 제2헤드(7)가 압착되어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한다.
삽입된 자기카드체(C)가 얇은 카드(C2),(C3)이면 제1헤드(6)와 제2헤드(7)는 접촉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헤드(6)가 카드 두께만큼 위쪽을 향하여 변위함과 동시에 제3헤드(9)가 아래쪽으로 변위하고 얇은 카드(C2), (C3)가 제1헤드(6)와 제2헤드(7)에 의해 끼워서 집혀진다. 이 때 얇은 카드(C2)일 경우에는 그 자기스트라이퍼(C2a)는 제1헤드(6)와 제2헤드(7)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2헤드(7)에 충분한 압착력으로 압착되어 정보의 기록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얇은 카드(C3)의 경우에는 그 자기스트라이퍼(C3a)는 제1헤드(6)와 제2헤드(7)에는 끼워서 집혀지지 않지만 제3헤드(9)가 제2헤드(7)보다도 매체반송로 (5)내로 많이 돌출되고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 같은 패드 롤러를 제3헤드(9)에 대방향배치 하지 않아도 충분한 압착력이 주어진다. 따라서 자기스트라이퍼(C3a)와 제3헤드(9)와의 접촉이 좋아져 패드압 부족에 의한 정보의 기록재생불량이 저감되게 된다. 또 패드롤러가 없어도 양호한 패드압을 얇은 카드(C3)에 줄 수 있기 때문에 헤드 근방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수세수단으로서 1매의 판용수철(17)을 두갈래형상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선단을 제2헤드(7)와 제3헤드(9)에 접촉부세하고, 상기 제2헤드 (7)를 부세하는 판용수철의 폭을 제3헤드를 부세하는 판용수철의 폭보다 크게하여 일정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바로소 제2헤드(7)가 변위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2헤드(7)와 제3헤드(9)를 개별의 판용수철로 매체반송로(5)내를 향해 부헤해도 좋고, 또는 제3헤드(9)측만 판용수철이나 그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예를들면 코일용수철을 이용하여 부세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가 기록매체의 반송방향으로, 코어부에 의해 형성되는 갭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스쳐서 배치하여 서로 접촉시키므로 각 헤드의 갭이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어 코어부 접촉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노이즈가 저감하고 이 노이즈를 원인으로하는 기록매체의 정보의 기록재생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덧붙여 각 헤드를 접촉시켜도 코어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해두면 코어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헤드의 내구성 향상에 연결됨과 동시에 헤드간의 틈을 제로로 할 수 있으므로 얇은 기록매체에도 양호한 패드압을 주어, 두께가 다른 기록매체에서 안정되게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가 대향배치된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에 인접한 위치에 제3의 정보기록 재생헤드를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보다도 반송로내로 돌출하여 배치한 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패드롤러등의 압축수단이 없어도 충분한 패드압을 제3의 정보기록 재생헤드에 줄 수가 있고 안정된 정보의 기록재생과 함께 헤드근방의 구성도 간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의 규격의 기록매체에 대해서 안정된 정보의 기록재생을 할 수 있는 매체기록 재생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기록매체가 주행하는 매체반송로의 양측에 상기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코어부가 각각 중앙에 배치된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를 대향배치하고,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 또는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적어도 한쪽이 부세수단에 의해 대향하는 다른 쪽의 헤드를 향해 부세되는 구성의 매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반송로를 두께가 다른 기록매체가 주행하는 매체반송로로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와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를 상기 코어부에 의해 형성되는 갭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매체반송 방향에 스쳐서 대향배치하여 서로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코어부와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코어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매체반송방향에 스쳐서 대향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코어부와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코어부는 각각 케이스내에 수납되어 있고 각각의 케이스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코어부와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코어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와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는 각각 부세수단에 의해 대향하는 다른쪽의 헤드를 향해 부세되고, 한 쪽의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다른 쪽의 부세력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에 인접하여 상기 반송로에 돌출부세된 제3정보기록 재생헤드를 또한 구비하여 상기 제3정보기록 재생헤드가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보다도 상기 반송로 내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및 상기 제3의 정보기록 재생헤드는 각각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고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부세력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7. 제1항에있어서,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제3정보기록 재생헤드를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에 인접하고 상기 반송통로에 돌출부세하여 마련하고, 상기 제3정보기록 재생헤드를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 보다도 상기 반송로 내측으로 돌출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상기 제3의 정보기록 재생헤드는 각각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고, 상기 제2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상기 제1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부세력 및 상기 제3정보기록 재생헤드의 부세력보다 크게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기록 재생장치.
KR1019960043607A 1995-10-03 1996-10-02 매체기록 재생장치 KR100253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56348 1995-10-03
JP25634895A JP3268174B2 (ja) 1995-10-03 1995-10-03 媒体記録再生装置
JP7263112A JP2971789B2 (ja) 1995-10-11 1995-10-11 媒体記録再生装置
JP95-263112 1995-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42A KR970023142A (ko) 1997-05-30
KR100253465B1 true KR100253465B1 (ko) 2000-04-15

Family

ID=2654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607A KR100253465B1 (ko) 1995-10-03 1996-10-02 매체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4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42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66386A (ja) 身分証明カ−ド読取りエンコ−ダ
KR100253465B1 (ko) 매체기록 재생장치
JP3268174B2 (ja) 媒体記録再生装置
JP2971789B2 (ja) 媒体記録再生装置
JP3061890B2 (ja) 厚・薄カード兼用の磁気カードリーダ
JP2659505B2 (ja) カード記録再生装置
JP2868687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2937764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H1063790A (ja) カードリーダライタの磁気ヘッド取付装置
JP2728353B2 (ja) 媒体送り装置
JP4716601B2 (ja) 媒体処理装置
JP3211611B2 (ja) 磁気リーダライタ装置
JPS6337426B2 (ko)
JP2574423Y2 (ja) 磁気ヘッド保持装置
JP2531058Y2 (ja) 厚・薄カード兼用の磁気カードリーダ
JPH0356917Y2 (ko)
JP2986553B2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S6055871B2 (ja) 磁気カ−ド搬送装置
JP2592734Y2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3309050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2531267Y2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H082837Y2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H09179944A (ja) Icカードリーダ
JPH08195025A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S63316359A (ja) 磁気カ−ドの情報記録装置における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