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532B1 - 높은 군수준의 미립자를 갖는 염화비닐 중합체계 2 군화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높은 군수준의 미립자를 갖는 염화비닐 중합체계 2 군화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532B1
KR100252532B1 KR1019970041649A KR19970041649A KR100252532B1 KR 100252532 B1 KR100252532 B1 KR 100252532B1 KR 1019970041649 A KR1019970041649 A KR 1019970041649A KR 19970041649 A KR19970041649 A KR 19970041649A KR 100252532 B1 KR100252532 B1 KR 10025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vinyl chloride
latex
seed polymer
averag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077A (ko
Inventor
필립 에스삐아르
리차르 페르
브노와 에른스트
Original Assignee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1998001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077A/ko
Priority to KR1019990035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 C08F25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59/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chlorine on to 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평균직경의 군 대 큰 평균직경의 군의 중량비가 0.4 내지 0.7이 되는 비율로, 각각 0.9 내지 1.3μm 및 0.15 내지 0.3μm의 평균직경을 보이는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2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액체 플라스티졸 및 우수한 기포품질의 발포물에서의 이의 사용이다.

Description

높은 군수준의 미립자를 갖는 염화비닐 중합체계 2군화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2군(population)의 입자를 함유한 라텍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이 라텍스의 제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1 내지 20의 직경비 및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각각 0.4 내지 2.5μm 및 0.08 내지 1μm의 평균입경을 갖는 염화비닐 기재 중합체 입자의 2군화된 라텍스는 공지되어 있다. 이 라텍스는 입자중에 1종이상의 유기가용성 개시제를 함유하는 제1의 종자 중합체, 제2의 종자 중합체, 계면활성제 및 가용성 금속염의 존재하에서 금속염 대 유기가용성 개시제의 몰비가 0.1 내지 10이 되는 양으로 대응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접종 미세현탁 중합시켜 제조한다(FR 2 309 569). 중합은 개시제의 보충추가없이 행한다.
더우기, 특히 US 5 151 476에는 금속 염/유기가용성 개시제의 몰비는 감소될 수 있고, 중합은 금속염의 부재하에서 조차 행할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현재 알려진 2군화 라텍스, 특히 접종 미세현탁 중합으로 제조되는 것은 액체 플라스티졸 또는 우수한 기포 품질(cellular quality)의 발포물(foam)이 될 수 있으나, 본 출원 이전에는, 동일한 라텍스로부터 동시에 액체 플라스티졸과 기포품질이 우수한 발포물 둘다를 수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출원회사는 현재 작은 평균직경의 군 대 큰 평균직경 군의 중량비가 0.4 내지 0.7이 되는 비율로, 각각 0.9 내지 1.3μm 및 0.15 및 0.3μm의 평균 직경을 보이는 염화비닐 기재의 중합체의 2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를 발견하였다.
염화비닐 기재의 중합체는 단독- 및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후자는 50중량% 이상의 염화비닐 및 염화비닐과 공중합할 수 있는 1종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한다.
공중합체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염화비닐의 공중합을 위해 통상의 기술에서 사용하는 단량체이다. 모노- 및 폴리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 또는 벤조에이트; 불포화 모노 및 폴리카르복실산,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또는 이타콘산 및 이들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이들의 아미드 또는 이들의 니트릴; 알킬, 비닐 또는 비닐리덴 할라이드; 알킬 비닐 에테르 및 올레핀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 단독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는 입자중에 1종이상의 유기가용성 개시제를 함유하는 제2의 종자 중합체(P1), 입자가 제1의 종자 중합체(P1)의 입자 보다 작은 평균직경을 갖는 제1의 종자 중합체(P2), 물, 음이온성 유화제, 가용성 금속염 및 환원제의 존재하, 금속염/유기가용성 개시제의 몰비가 0.09미만인 양으로 대응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접종 미세현탁 중합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환원제는 알칼리금속의 메타비술피트, 바람직하게는 칼륨 메타비술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하는 환원제의 양은 사용된 단량체(들)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ppm이다.
중합에 필요한 제1종자 중합체(P1)은 통상의 미세현탁 중합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입자의 수성분산액의 형태로 사용되며, 이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7μm이다.
이러한 종자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물, 염화비닐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들)와 조합된 염화비닐, 유기가용성 개시제 및, 경우에 따라 비이온성 유화제와 조합된, 음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은 강력한 기계적 수단, 예컨대, 콜로이드 밀, 패스트 펌프, 진동 교반기 또는 초음파장치를 이용하여 수중에 미세하게 분산시킨다. 이어서 수득한 미세현탁액은 자생압력 및 30 내지 65℃의 통상적인 온도에서 적절히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압력의 하강후, 반응을 중지하고 비전환된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배기시킨다.
제1종자 중합체(P1)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유기가용성 개시제는 유기 과산화물, 예컨대,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및 카프로일 퍼옥사이드, t-부틸 디에틸퍼아세테이트, 디에틸헥실 퍼카르보네이트, 디아세틸 퍼옥사이드 및 디세틸 퍼옥사이드 카르보네이트이다.
유기가용성 개시제의 선택은 채택된 반응온도에서의 이의 분해 속도에 좌우된다. 이것은 상기 개시제가 단량체 또는 단량체의 혼합물에 대해 0.1 내지 3중량% 정도의 통상적 양에서 4 내지 12시간이내에 접종 중합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반응성이 있어야 하며, 이의 분해속도는 종자 중합체의 제조에서 분해되는 개시제의 양이 사용하는 개시제의 양의 반을 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는, 종자 중합체의 제조동안에 파고디는 개시제의 비율이 사용하는 모든 개시제의 5 내지 50중량%가 되는 반감기를 갖는 개시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더우기, 선택된 유기가용성 개시제는 물에 불용성이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라우로일 퍼옥사이드를 선택한다.
복수의 유기가용성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상이한 반응성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고; 가장 큰 반응성의 개시제는 주로 종자 중합체의 제조동안에 작용하는 반면, 가장 작은 반응성의 개시제는 특히 접종 중합동안에 작용한다.
제2종자 중합체(P2)는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4μm이다.
이 입자 분산액은 통상의 미세현탁 또는 에멀션 중합기술로 수득할 수 있다.
제2종자 중합체(P2)를 미세현탁 중합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행하나 균질화를 보다 강력하게 진행한다.
제2종자 중합체(P2)는 바람직하게는 에멀션 중합으로 제조하며, 이는 물, 염화비닐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들)와 조합된 염화비닐, 수용성 개시제 및, 경우에 따라 비이온성 유화제와 조합된, 음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한다.
반응 혼합물은 자생압력 및 30 내지 65℃의 온도에서 적절히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압력의 하강후, 반응을 중지시키고 비전환된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배기시킨다.
제2종자 중합체(P2)의 제조에 필요한 수용성 개시제는 통상적으로 과산화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퍼술페이트이며, 임의적으로는 수용성 환원제, 예컨대 알칼리 금속 술피이트 또는 비술피이트와 조합된다. 고변용양은 선택하는 개시제계에 좌우되며, 적당한 시간내에 중합시키기에 충분할 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중합의 속도는 수용성 금속염 및 환원제의 유기가용성 개시제에 대한 작용으로 촉진된다. 금속염은 금속염/개시제 몰비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좀더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0.03이 되는 양으로 사용한다. 금속은 통상적으로 철, 구리, 코발트, 니켈, 아연, 주석, 티타늄, 바나듐, 망간, 크롬 및 은으로부터 선택한다. 유리하게는 구리를 선택한다.
경우에 따라 1종 이상의 비이온성 유화제와 조합된, 음이온성 유화제는 미세현탁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유화제 또는 유화제들은 중합의 전(前) 및/또는 후(後) 및/또는 동안(中) 반응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음이온성 유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술포숙신에이트, 알릴술폰에이트, 비닐술폰에이트, 알킬아릴술폰에이트, 알킬술폰에이트, 에톡실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술페이트 또는 지방산비누로부터 선택한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유화제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각종 히드록실화 유기 화합물의 중축합물이다.
유화제의 양은 사용된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의 3중량%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에 필요한 물의 양은 사용된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외에, 종자 중합체의 초기농도가 반응 혼합물에 대해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중량% 인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종 중합은 과산화수소 및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퍼술페이트로부터 선택한 하나 또는 여러 수용성 개시제(들)의 존재하 실행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암모늄 퍼술페이트를 선택한다.
수용성 개시제 또는 개시제들은 바람직하게는 접종 중합의 개시전에 반응 혼합물에 도입한다. 사용하는 수용성 개시제(들)의 양은 사용된 단량체(들)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ppm이다.
접종중합온도는 통상 30 내지 80℃이고, 중합시간은 30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알킬 히드로포겐포스페이트, 락톤, 케톤, 카르바존 및 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유도체에서 환원제를 선택하고, 1종이상의 수용성 개시제,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퍼술페이트의 존재하 제조하는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이 환원제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3의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라텍스는 평균직경이 0.9 내지 1.3μm인 염화비닐 기재의 중합체의 단일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제1라텍스(L1)과 또한 평균직경이 0.15 내지 0.3μm인 염화비닐 기재의 중합체의 단일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제2라텍스(L2)를, 라텍스(L1)에 대한 라텍스(L2)의 중합체가 질량비가 0.4 내지 0.7되는 비율로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라텍스(L1)은 입자중에 1종이상의 유기가용성 개시제를 함유하는 염화비닐계 제1종자 중합체(P1), 물, 음이온성 유화제, 가용성 금속염 및 환원제의 존재하에서, 금속염/유기가용성 개시제의 몰비가 0.09미만이 되는 양으로 접종 미세현탁 중합으로 수득할 수 있다.
라텍스(L2)는 염화비닐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들)와 조합된 염화비닐, 수용성 개시제 및, 경우에 따라 비이온성 유화제와 조합된, 음이온성 유화제를 에멀션중합으로 수득할 수 있다.
첫번째 2개의 제조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두개의 종자 중합체의 양은 제2종자 중합체(P2)대 (P1)의 질량비가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8인 정도이다.
사용하는 제조방법이 무엇이든지, 이렇게 제조된 라텍스는 이후 유리하게는 분무 건조시키며, 생성된 분말은 특히 액체 플라스티졸 및 또한 매우 양호한 기포 품질의 발포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더우기, 이렇게 제조된 발포물은 고수준의 백색도, 바람직하게는 45정도(ASTM 표준 E 313/73 D25/2W)의 백색도를 보인다.
[실시예]
(A) 종자 중합체(P1)의 제조
하기의 것들을 35 회전/분으로 교반되고 15℃로 조정된 800 1의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
-375kg의 물
- 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426g 및 순수한 수산화나트륨 117g을 함유하는 5l의 완충용액
-11g의 벤조퀴논 분말
- 6kg의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 320kg의 염화비닐
-48kg의 10중량% 나트륨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 수용액,
반응기는 염화비닐의 도입 직전에 진공하에 둔다.
이어서 수성 혼합물내 염화비닐의 미분산액을 35℃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혼합물을 5500 회전/분으로 105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자생압력하 45℃의 목표 중합온도로 만들며, 교반속도는 30회전/분이다. 중합동안 벤조퀴논은 10.5g/h의 일정한 처리량으로 지속적을 도입한다.
압력이 3.5바아의 값으로 떨어진 후, 즉 8시간 후, 비반응된 염화비닐을 배기시킨다. 이어 라텍스를 수득하며, 이의 입자는 약 0.55μm의 평균직경을 갖으며 중합체에 대해 약 2중량%의 라우로일 퍼옥사이드를 함유한다.
(B) 종자 중합체(P2)
하기의 것들을 교반기가 장착된 800l의 반응기에 도입한다 :
415kg의 물
1.25kg의 라우린산 및
0.8kg의 순수한 수산화나트륨.
이어서 혼합물을 65℃로 만들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혼합물을 55℃로 냉각시킨 후, 반응기를 진공하에 둔다. 혼합물의 온도는 55℃로 유지시키면서, 400kg의 염화비닐 및 109g의 암모늄 퍼술페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 4l를 도입한 후, 3l/h의 일정한 처리량으로, 물 30l중의, 황산구리 0.72g, 칼륨 메타비술피이트 18g 및 12N 암모니아수 0.54l의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첨가한다. 퍼술페이트의 도입 3시간 후, 물 40l당 나트륨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를 4.56kg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8l/h로 5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을 연속첨가한다. 내부압력이 4.5바아일때, 급속히 냉각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어서 건조기준으로 7.28kg을 함유하는 나트륨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 수용액을 도입한다. 수득한 중합체 입자는 약 0.11μm의 평균직경을 갖는다.
(C) 라텍스(L2)의 제조
하기의 것들을 교반기가 장착된 28l의 반응기에 도입한다 :
9650g의 물,
0.975g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을 함유하는 100cm3의 수용액,
0.191g의 황산철,
1.78g의 나트륨 포름알데히드술폭실레이트,
9.8g의 라우린산 및
3.25g의 순수한 수산화나트륨.
이어서 반응기를 염화비닐 7000g을 도입하기전에 진공하 둔다. 이어서 반응혼합물을 목표 온도 58℃로 만든다. 혼합물이 45℃에 도달하자마자. 물 1l당 칼륨 퍼술페이트 3.5g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후자의 도입개시 1시간후, [라쿠나]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 56g를 함유하는 용액 1l를 연속적으로 일정한 처리량으로 4시간 동안 첨가한다.
내부압력이 4바아가 될 때, 반응기를 공기에 재노출시킨 후 냉각시킨다. 4시간 30분 동안 중합시킨 후, 중합체의 중량농도는 41%이고, 염화비닐의 전환도는 93%이다. 중합체 입자는 평균직경은 0.2μm이다.
[비교예 1]
하기의 것들을 미리 진공하에 두어진 교반기 장착의 800l의 반응기에 흡인하여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
- 400kg의 탈이온수
- 80g의 칼륨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 0.63g의 황산구리(CuSO4·5H2O)
- 15.44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 P1 라텍스
- 9.08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 P2 라텍스.
실온에서 수성 혼합물을 함유하는 반응기를 교반하면서 다시 진공하에 둔다. 이어서 염화비닐 400kg을 도입하고, 반응 혼합물을 58℃의 목표 온도로 만든다. 혼합물의 온도가 55℃가 되자마자, 아스코르브산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도입한 후, 1시간 후, 나트륨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 수용액을 도입한다.
혼합물의 압력이 4바아, 즉 6시간의 중합후, 수용액의 도입 및 가열을 중지하고 반응기를 냉각시킨다.
도입된 아스코르브산 및 나트륨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의 총량은 각각 23g 및 3.2kg이다.
라텍스가 수득되고, 이의 중합체 농도는 47%이다. 입자크기 분석으로 중합체는 2개의 군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입자는 각각 0.23μm 및 1.09μm의 평균직경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미립자는 중합체의 15.5중량%이다.
[비교예 2]
반응은 중합시간이 8시간이고, 도입된 아스코르브산의 양이 29g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실시예 3]
반응은 칼륨 메타비술피이트 수용액을 아스코르브산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실시예 4]
반응은 15.6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P2) 라텍스를 도입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중합시간은 11시간이고, 도입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양은 35g이다.
[실시예 5]
반응은 22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P2) 라텍스를 도입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중합시간은 10시간이고, 도입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양은 32g이다.
[실시예 6]
반응은 19.5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P2)라텍스를 도입한 후, 12g의 암모늄 퍼술페이트를 도입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중합시간은 7시간이고, 도입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양은 26g이다.
[실시예 7]
반응은 21.7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P2) 라텍스를 도입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실시예 8]
반응은 18kg의 암모늄 퍼술페이트를 도입하고 중합시간은 6시간인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실시예 9]
반응은 아스코르브산 수용액 대신에, 칼륨 메타비술피이트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실시예 10]
반응은 13.7kg(건조기준)의 종자 중합체(P2) 라텍스를 도입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실시예 2 내지 10에서 수득한 라텍스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라텍스(L1)의 제조
하기의 것들을 미리 진공하에 둔 교반기가 장착된 28l의 반응기에 흡인하여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
950g의 탈이온수,
물 20ml에 용해된 칼륨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1.4g
물 20ml에 용해된 CuSO4·5H2O의 52.3mg
245g의 종자 중합체(P1)
이어서 실온에서 수성 혼합물을 함유하는 반응기를 교반하면서 다시 진공하에 둔다. 염화비닐 7000g을 도입한 후, 혼합물을 목표 온도 58℃로 가열한다. 반응혼합물의 온도가 53℃에 도달하자마자, 아스코르브산 0.7g을 함유하는 수용액 1l를 연속적으로 도입한 후, 1시간 후, [라쿠나] 도데실벤젠 술폰에이트 56g 및 수산화나트륨 175mg을 함유하는 수용액 1l를 연속적으로 도입한다. 혼합물의 압력이 4바아가 될때, 즉, 8시간의 중합후, 수용액의 도입을 중지시킨다. 이어서 반응기를 대기압하에 둔 후 신속히 냉각시킨다.
수성 혼합물내의 중합체의 농도는 41%이고, 입자의 평균 직경은 1.21μm이다. 염화비닐의 전환도는 97%이다.
혼합물의 제조
이렇게 제조한 라텍스(L1)의 일부를 회수하여 라텍스(L2) 대 라텍스(L1)의 중합체의 질량비가 0.43이 되는 비율로 라텍스(L2)의 일부와 혼합한다.
[비교예 12]
라텍스(L1)의 일부와 라텍스(L2)의 일부를, 라텍스(L2) 대 라텍스(L1)의 중합체의 질량비가 0.25가 되도록 혼합한다.
[비교예 13]
반응은, 라텍스(L2) 대 라텍스(L1)의 중합체의 질량비가 1인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한다.
[표 1]
Figure kpo00001
플라스티졸의 제조
앞서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라텍스를 분무건조한 후 수득한 분말 100부를 디옥틸 프탈레이트 60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미드) 2.5부 및 활성화제 2부와 혼합한다.
이렇게 제조된 플라스티졸의 점도는 25℃에서 30분과 24시간 후 브룩필드형의 유동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발포물의 제조
제조된 플라스티졸의 일부를 지지체에 피복시킨후 150분동안 195℃의 오븐에 넣는다.
이렇게 수득한 발표물의 기포품질은 -4 내지 +4의 등급으로 평가한다.
값-4는 아주 크고 불균일한 개방형 기포를 갖는 발포물에 해당하는 반면, 값 +4는 미세하고, 아주 균일한 폐쇄형 기포를 갖는 발포물에 해당된다.
플라스티졸 및 발포물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더우기, 실시예 3 및 9에 따른 라텍스에서 수득한 발포물의, ASTM E 313/73 D25/2W에 따라 측정된 백색도는 각각 45.8 및 46.4인 반면, 실시예 1의 라텍스로 제조된 발포물의 백색도만이 유일하게 39이다.
[표 2]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2군화 라텍스에 의해, 동시에 액체 플라스티졸과 기포품질이 우수한 발포물 둘다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득한 발포물의 백색도 또한 우수하다.

Claims (12)

  1. 미세현탁의 조건하, 입자중에 1종 이상의 유기가용성 개시제를 함유하는 제1종자 중합체(P1), 입자가 제1종자 중합체(P2)의 입자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 제1종자 중하체(P2), 물, 음이온성 유화제, 가용성 금속염(금속염/유기가용성 개시제의 몰비는 0.09미만) 및 환원제의 존재에서, 염화비닐에 상응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중합시키는,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2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알칼리금속의 메타비술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미세현탁의 조건하, 입자중에 1종이상의 유기가용성 개시제를 함유하는 제1종자 중합체(P1), 입자가 제1종자 중합체(P1)의 입자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 제2종자 중합체(P2), 물, 음이온성 유화제, 가용성 금속염(금속염/유기가용성 개시제의 몰비는 0.09미만) 및 환원제의 존재에서, 염화비닐에 상응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중합시키는,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2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1종 이상의 수용성 개시제의 존재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용성 개시제는 암모늄 퍼술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종자 중합체 대 제1종자 중합체의 중량비는 0.7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환원제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알칼리금속의 메타비술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작은 평균직경의 군 대 큰 평균직경의 군의 중량비가 0.4 내지 0.7이 되는 비율로 각각 0.9 내지 1.3μm 및 0.15 내지 0.3μm의 평균직경을 보이는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2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
  7.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라텍스를 기재로 하는 플라스티졸.
  8. 향상된 기포 품질을 특징으로 하는, 제7항에 따른 플라스티졸 기재의 발포물.
  9. 제2항에 있어서, 제2종자 중합체 대 제1종자 중합체의 중량비는 0.7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작은 평균직경의 군 대 큰 평균직경의 군의 중량비가 0.4 내지 0.7이 되는 비율로, 각각 0.9 내지 1.3μm 및 0.15내지 0.3μm의 평균직경을 보이는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2군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
  11.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라텍스를 기재로 하는 플라스티졸.
  12. 향상된 기포 품질을 특징으로 하는, 제11항에 따른 플라스티졸 기재의 발포물.
KR1019970041649A 1996-08-27 1997-08-27 높은 군수준의 미립자를 갖는 염화비닐 중합체계 2 군화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25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72A KR100253686B1 (en) 1996-08-27 1999-08-27 Bipopulated latex based on vinyl chloride polymers having a high population level of fine particle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0492 1996-08-27
FR9610492A FR2752846B1 (fr) 1996-08-27 1996-08-27 Latex bipopule a base de polymeres de chlorure de vinyle, ayant un taux eleve de population de fines particules, ses procedes de fabrication et ses applications
US08/917,896 US6245848B1 (en) 1996-08-27 1997-08-27 Bipopulated latex based on vinyl chloride polymers having a high population level of fine particle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077A KR19980019077A (ko) 1998-06-05
KR100252532B1 true KR100252532B1 (ko) 2000-04-15

Family

ID=26232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649A KR100252532B1 (ko) 1996-08-27 1997-08-27 높은 군수준의 미립자를 갖는 염화비닐 중합체계 2 군화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990035872A KR100253686B1 (en) 1996-08-27 1999-08-27 Bipopulated latex based on vinyl chloride polymers having a high population level of fine particle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872A KR100253686B1 (en) 1996-08-27 1999-08-27 Bipopulated latex based on vinyl chloride polymers having a high population level of fine particle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45848B1 (ko)
EP (1) EP0826702B1 (ko)
JP (2) JP3145665B2 (ko)
KR (2) KR100252532B1 (ko)
CN (1) CN1282675C (ko)
BR (1) BR9704526A (ko)
CA (1) CA2213701C (ko)
DE (1) DE69726072T2 (ko)
ES (1) ES2210472T3 (ko)
FR (1) FR2752846B1 (ko)
NO (1) NO319283B1 (ko)
PT (1) PT826702E (ko)
TW (1) TW513455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93A2 (ko) * 2009-06-10 2010-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4469B1 (ko) * 2008-06-13 201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3377B1 (ko) * 2009-12-2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KR101424891B1 (ko) * 2012-12-10 2014-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9074072B2 (en) 2008-06-13 2015-07-07 Lg Chem, Ltd. Large-sized vinyl chloride seed, method of preparing the seed, vinyl chloride resin prepared using the see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 resin
KR20150142181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7794B1 (fr) * 1998-12-29 2004-09-10 Atochem Elf Sa Polymeres a base de chlorure de vinyle, aptes a donner des plastisols de proprietes particulieres et leur procede d'obtention
KR100343544B1 (ko) * 2000-03-13 2002-07-20 한솔케미언스 주식회사 이중구조의 스틸렌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MXPA01008705A (es) 2000-09-03 2004-08-12 Rohm & Haas Sistemas de aditivos polimericos multiples: composiciones, procesos y productos derivados.
MXPA01008532A (es) * 2000-09-03 2002-08-06 Rohm & Haas Sistema de acitivos funcionales de liquidos-solidos; sus composiciones, procesos y productos.
MXPA01008706A (es) 2000-09-03 2004-08-12 Rohm & Haas Sistemas aditivos polimericos altos en solidos: composiciones, procesos y productos de los mismos.
EP1702936A1 (de) * 2005-03-18 2006-09-20 VESTOLIT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pastbaren Polymeren
JP2006306963A (ja) * 2005-04-27 2006-11-09 Kaneka Corp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
KR100762838B1 (ko) * 2005-08-11 2007-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탄성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JP5118396B2 (ja) * 2007-06-22 2013-01-16 新第一塩ビ株式会社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系樹脂及び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101445240B1 (ko) 2012-11-02 2014-09-29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344A (ko) * 1980-10-24 1983-07-09 로제 샹 레올로지 성질이 향상된 플라스티졸을 얻는데 적합한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H05271313A (ja) * 1992-03-30 1993-10-19 Mitsubishi Kasei Vinyl Co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8956A (fr) * 1961-03-24 1963-02-22 Montedison Spa Procédé pour obtenir des polymères vinyliques halogénés aptes à donner des plastisols de stabilité durable
FR2286152A1 (fr) * 1974-09-24 1976-04-23 Plastimer Polymerisation du chlorure de vinyle en emulsion
FR2309569A1 (fr) * 1975-04-30 1976-11-26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polymerisation du chlorure de vinyle en microsuspension ensemencee
HU173513B (hu) * 1975-04-30 1979-05-28 Rhone Poulenc Ind Sposob polimerizacii vinilkhlorida v sshitojj mikrosuspensii
FR2344579A2 (fr) * 1976-03-19 1977-10-14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polymerisation du chlorure de vinyle en microsuspension ensemencee
DE2937223A1 (de) * 1979-09-14 1981-04-02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diskontinuierlichen polymerisation von vinylchlorid in emulsion
US4461869A (en) * 1981-12-30 1984-07-24 The B. F. Goodrich Company Process for making low fusion dispersion resins
FR2607138B1 (fr) * 1986-11-24 1990-05-04 Atochem Procede de preparation en microsuspension ensemencee d'homo- et copolymeres du chlorure de vinyle
US5151476A (en) * 1987-08-31 1992-09-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icro-suspen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with ascorbic acid and water-soluble metal salts
BE1004570A3 (fr) * 1990-09-17 1992-12-15 Solvay Procede pour la production de latex plurimodaux de polymeres du chlorure de viny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344A (ko) * 1980-10-24 1983-07-09 로제 샹 레올로지 성질이 향상된 플라스티졸을 얻는데 적합한 염화비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H05271313A (ja) * 1992-03-30 1993-10-19 Mitsubishi Kasei Vinyl Co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69B1 (ko) * 2008-06-13 201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US9074072B2 (en) 2008-06-13 2015-07-07 Lg Chem, Ltd. Large-sized vinyl chloride seed, method of preparing the seed, vinyl chloride resin prepared using the see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 resin
WO2010143893A2 (ko) * 2009-06-10 2010-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43893A3 (ko) * 2009-06-10 2011-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6652B1 (ko) * 2009-06-10 2013-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8691927B2 (en) 2009-06-10 2014-04-08 Lg Chem, Ltd. Vinyl chloride resin with low viscosity for foaming applica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293377B1 (ko) * 2009-12-2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KR101424891B1 (ko) * 2012-12-10 2014-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42181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721295B1 (ko) * 2014-06-11 2017-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3701A1 (fr) 1998-02-27
EP0826702B1 (fr) 2003-11-12
BR9704526A (pt) 1999-03-09
KR19980019077A (ko) 1998-06-05
DE69726072T2 (de) 2004-08-19
ES2210472T3 (es) 2004-07-01
CN1282675C (zh) 2006-11-01
EP0826702A1 (fr) 1998-03-04
CA2213701C (fr) 2002-05-07
JPH1087731A (ja) 1998-04-07
JP2000290307A (ja) 2000-10-17
FR2752846A1 (fr) 1998-03-06
NO319283B1 (no) 2005-07-11
NO973914D0 (no) 1997-08-26
FR2752846B1 (fr) 1998-10-30
NO973914L (no) 1998-03-02
DE69726072D1 (de) 2003-12-18
PT826702E (pt) 2004-03-31
US6245848B1 (en) 2001-06-12
CN1177600A (zh) 1998-04-01
KR100253686B1 (en) 2000-04-15
TW513455B (en) 2002-12-11
JP3145665B2 (ja) 200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532B1 (ko) 높은 군수준의 미립자를 갖는 염화비닐 중합체계 2 군화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4458057A (en) Process for producing spherical and porous vinyl resin particles
US4360651A (en) Process for preparing spherical and porous vinyl resin particles
US4046730A (en) Vinyl chloride polymer latexes with two monodisperse modes
KR100259206B1 (ko) 염화 비닐 공중합체의 2원 입자 라텍스 및 그것에 관한 제조 방법과 적용
KR100264944B1 (ko) 염화비닐 기재 중합체의 2군화 라텍스, 그의 제조방법 및 개선된 레올로지를 갖는 플라스티졸에서 그의 용도
KR100363044B1 (ko) 특정 성질을 갖는 플라스티졸을 제공할 수 있는 염화비닐기재 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5872155A (en) Latex based on vinyl chloride copolymers with a specific structur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EP0052632B1 (en) Process for preparing spherical and porous vinyl resin particles
KR930003103B1 (ko) 파종된 미소현탁액 내에서 비닐클로라이드 단일 - 및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400526B1 (ko) 발포특성이우수한염화비닐계수지의제조방법
EP0043819A1 (en)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WITH LOW EMULSION CONCENTRATION.
KR930004607B1 (ko) 비닐클로라이드 라텍스 중합체의 제조방법
KR940001851B1 (ko) 시이드 물질로서 사용 가능한 염화비닐 단일- 및 공중합 라텍스를 미분산액 내에서 제조하는 방법
KR800000344B1 (ko) 시이드 첨가한 미세 현탁액 중에서의 염화비닐의 중합법
AU540016B2 (en) Process for preparing spherical and porous vinyl resin particles
SU587869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ополимеров винилхлорида
JP3232194B2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S6291505A (ja) 塩化ビニル系単量体の重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