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659B1 - 적층 금속판 - Google Patents

적층 금속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659B1
KR100241659B1 KR1019940703120A KR19940703120A KR100241659B1 KR 100241659 B1 KR100241659 B1 KR 100241659B1 KR 1019940703120 A KR1019940703120 A KR 1019940703120A KR 19940703120 A KR19940703120 A KR 19940703120A KR 100241659 B1 KR100241659 B1 KR 10024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metal plate
lamina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170A (ko
Inventor
피터 존 헤이즈
앨리슨 마가렛 브라운
Original Assignee
카노드메탈박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노드메탈박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카노드메탈박스 피엘씨
Publication of KR95070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6Cans, t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10T428/1359Three or more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캔 단부는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필름이 피복된 금속판으로부터 성형된다. 캔 단부는 중앙 패널(4), 중앙 패널의 주위에 매달린 패널 벽(5), 패널 벽(5)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 접시형 구멍 비드(6), 접시형 구멍 비드의 주위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척벽(7) 및 척 벽(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상 접합 패널(8)로 구성된다. 금속판은 마그네슘 함유율이 중량비로 0.8 내지 2.0%이고 망간의 함유율이 중량비로 0.6 내지 1.5%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폴리에스터 피복재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5 내지 0.5의 범위에 놓인 결정성 인자를 갖는다. 척 벽과 패널 벽간의 거리는 접시형 구멍 비드의 상부면의 아래쪽 위 0.45㎜의 높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0.85 내지 1.0㎜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적층 금속판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캔 단부의 개략 종단면도.
제2도는 금속판의 한쪽에 적층된 복합 또는 공추출 필름의 개략도.
제2(a)도는 금속판의 양쪽에 적층된 각각 다른 복합 또는 공추출 필름의 개략도.
제3도는 금속판의 한쪽에 적층된 단층 폴리에스터 필름의 개략도.
제3(a)도는 금속판의 양쪽에 적층된 각각 다른 단층 폴리에스터 필름의 개략도.
제3(b)도는 금속판에 공추출 및 단층 필름이 조합된 상태를 보인 도시도.
제4도는 캔 단부의 접시형 구멍부위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캔 단부 제조를 위한 압형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적층온도 T2와 공추출 필름의 결정성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7도는 적층온도 T2와 단층 필름의 결정성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8도는 5182 및 3004 합금의 단부 피킹압력과 재성형 패드직경간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제9도는 한쪽에는 복합 또는 공추출 필름으로 피복이 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공추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는 금속판의 개략 도시도.
제9(a)도는 한쪽에는 단층 필름으로 피복이 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공추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는 금속판의 개략 도시도.
제10도는 예 35(ⅲ)의 100 회절평면으로부터 야기되는 피크를 보여주는 4 내지 20도 세타의 XRD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패턴을 보인 그래프.
제10(a)도는 제어예의 100 회절평면으로부터 야기되는 피크를 보여주는 4 내지 20 도 세타의 XRD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패턴을 보인 그래프.
제11도는 표 6에 기재된 필름 B의 초기 및 최고 용융온도를 제공하는 40℃ 및 300℃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차동 스캐닝 칼로리메트리 트레이스를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중앙 패널 5 : 패널 벽
6 : 접시형 구멍 비드 7 : 척 벽
8 : 접합 패널 9 : 컬
11 : 다이 중앙 링 12 : 펀치 중심
13 : 쉘 14 : 재성형 패드
15 : 녹아웃 링 16 : 펀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폴리머 필름이 피복된 금속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폴리머 필름이 피복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캔 단부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으로 피복된 금속재료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재료는 단단한 금속 포장재용으로 폭넓게 사용되어 있다.
금속판에 폴리에스터 및 폴리올레핀 필름을 동시에 적층하는 방법이 EP-A-0312302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금속판의 한쪽면에는 복합 폴리에스터 필름을 적층하고 다른쪽면에는 폴리에필렌을 함유하는 필름을 적층하고 있다. 폴리머 필름으로 피복된 강판은 캔 단부의 제조에 있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에스터/금속/폴리에스터층을 동시에 적층하는 방법이 EP-A-0312303에 개시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복합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이 강판에 접착된다. 밀도측정에 의해 30% 이상 결정성이 증대한 폴리에스터 외측을 사용하였을 때, 양호한 내식성을 제공하였다.
EP-A-0312304호에는 무정형 폴리에스터가 접착된 폴리머 필름 피복 금속판이 개시되어 있다. 폴리머 필름 피복 금속판은 알루미늄 3004 합금으로 만들어진 인발 및 벽 아이어닝 가공된 캔을 형성하는데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JP 58-25591호에는 결정성이 낮은 필름 재료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수지로 피복된 금속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피복금속의 성형처리특성과 성형처리된 제품의 내식성은 특정한 한계내에서 수지층의 결정정도를 유지함으로써 현저히 증가하기 때문에, 적층체내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범위는 5 내지 50%가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GB-A-2123746호에는 결정성 지향 폴리에스터 수지필름으로 금속을 피복함으로써 폴리에스터 수지 필름으로 적층된 금속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강 또는 알루미늄 적층제는 제어된 단일의 단계, 금속가열공정, 필름인가에 의해 재가열이나 담금질없이 제조된다.
음료용 캔 단부의 제조방법은 상세히 알려져 있다.
EP-A-0153115호에는 금속캔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디스크는 블랭크 가공되고, 디스크에는 깊이가 얕게 인발된 컵이 형성된다. 깊이가 얕게 인발된 컵은, 중앙 패널을 형성하고 컵의 벽이 접혀지도록 하고 접시형 구멍 또는 보강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쉘로 재성형한다. 접시형 구멍은 캔 단부가 내부 탄산화압력을 견디게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캔 단부에 있어서, 접시형 구멍의 윤곽 및 접시형 구멍의 반경한계는 기하학적인 강도를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접시형 구멍의 반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캔 단부는 충전된 캔의 일부로서 가압될 때 외측으로의 운동에 대한 저항강도가 증가한다.
지금까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음료 캔 단부용으로 상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재료는 라커 피복 알루미늄 합금 AA5182이다. 이 합금은 마그네슘의 함유율이 약 4 내지 5%로 매우 높다. 마그네슘 함유율이 높은 5182 합금은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강도와 양호한 성형성으로 인해, 이 합금은 0.28㎜의 5182게이지의 캔 단부에 대해 우수한 내압성을, 전형적으로는 100psi의 내압성을 제공한다. 5182 합금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그 높은 강도로 인해 갠 단부용 재료의 제조단가가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특히, 마그네슘의 함유율이 높으면 AA3004 따위의 마그네슘 함유율이 낮은 합금과 비교하여, 재료단가가 상승되고, 절삭력이 증가하고, 절삭에너지의 소모가 늘어나고, 5182를 캔 앤드스톡 게이지로 압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5182의 불량한 금속 산출량과 조합되는 양 요인에 의해, 5182의 경우 3004보다 제조단가가 높아진다.
캔 단부의 제조단가를 줄이기 위해, 라커가 피복된 합금을 더욱 얇은 게이지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얇은 게이지 5182 합금은 내압성이 떨어진다. 얇은 게이지 5182로 만들어진 캔 단부 쉘의 내압성은 접시형 구멍의 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허용가능한 값(90psi)까지 증가될 수 있다. 0.245㎜ 5182의 경우, 접시형 구멍의 깊이는 표준 0.250 인치에서 0.270 인치로 증가되어야 하지만, 접합공정을 변경하지 않는 한 단부는 캔 접합가능하지 않다. 음료산업에서 사용되는 표준 단부와 접합상태로 호환가능하지 않은 단부는 바람직하지 않다.
캔 단부의 접시형 구멍의 반경을 죄어서 얇은 게이지 5182의 내압성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비교적 효과적이지 못하며(제8도 참조),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 제조시 허용가능하지 않은 레벨의 단부 금속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상업적으로 사용할 경우 캔 단부를 부식시킴으로써 캔의 내용물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는 균열이 재성형된 래커 피복 5182 재료에 나타난다.
단가 및 호환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가소성 폴리머 필름으로 피복된 5182보다 마그네슘의 함유율이 낮은 알루미늄 합금이 충분히 조여진 접시형 구멍의 반경을 갖는 캔 단부를 성형하는데 사용되어 캔 단부에 상업적으로 유요한 내압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피복되는 금속판으로부터 성형되고, 중앙 패널, 중앙 패널의 주위에 매달린 패널 벽, 패널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 접시형 구멍 비드, 접시형 구멍 비드의 주위에서 상방 연장되는 척 벽 및 척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상 접합 패널로 구성되는 캔 단부에 있어서, 금속판은 중량비로 0.8 내지 2.0% 정도의 마그네슘이 함유되고 중량비로 0.6 내지 1.5% 정도의 망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고, 폴리에스터 피복재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5 내지 0.5의 결정성 인자를 가지며, 척 벽과 패널 벽간의 거리는 접시형 구멍 비드의 상면의 하부위 0.45㎜ 높이에서 측정된 0.85 내지 1.0㎜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를 제공한다. 폴리에스터 피복재는 0.5 이상의 결정성 인자를 갖는 결정성 지향 재료 영역을 갖추지 않는다.
이하, 상기한 거리는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로서 한정된다.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는 0.87 내지 0.9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인자는 여기에서 한정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결정성 인자는 0.08 내지 0.4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은 임의로 다음의 성분을 포함한다. 최대 0/4%의 실리콘, 최대 0.35%, 전형적으로 0.2 내지 0.35%,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3%의 구리, 최대 0.8%, 전형적으로는 0.7%의 철, 최대 0.25%의 아연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범위에 놓이는 알루미늄 합금을 이하에서는 3XXX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재생된 음료 캔으로부터 만들어진 합금에 있어서) 3XXX는 날루미늄 3004는 포함하지만, 전체범위의 5017은 포함하지 못한다.
합금의 마그네슘 함유율은 최대 1.8%인 것이 바람직하며, 1%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합금의 망간 함유율은 최대 1.2%인 것이 바람직하며, 0.7%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체 폴리에스터 필름은, 금속판에 피복되는 동안 16℃ 이하의 초기 폴리에스터 용융온도에 상당하는 온도에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한면이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로 피복되는 피복 금속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금속판은 3XXX형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폴리에스터는 단층 필름, 공추출 필름 복합필름으로서 적층될 수도 있다.
금속의 두께는 캔 단부를 캔에 접합하기 위한 이중 접합공정에 적합한 범위, 전형적으로 6.35㎜(0.250인치)의 접시형 구멍 깊이를 갖는 206 직경 단부의 경우 0.26 내지 0.30㎜의 범위내에 놓인다.
본 발명의 금속판으로서 유용한 알루미늄 합금은, 전형적으로 피복후에 265 내지 300㎫의 범위에서 0.2%의 신장의 시험 응력을 갖는다.
마그네슘과 망간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알루미늄 합금중에는 알루미늄 AA3000 시리즈 합금과 5017과 같은 재사용 음료캔에서 제조되는 새로운 합금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AA3004이다. 이 합금은 그 제조단가가 비교적 낮고, 상업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며, EP-A312303 또는 EP-A312304에 개시된 방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이 쉽게 적층될 수 있다. 제조되는 적층체는 들어오는 3004 강도 및 적층 온도에 따라 265 내지 300㎫의 시험 응력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폴리머 피복은, DWI 캔 성형과 같은 매우 심한 성형후에도 깊은 성형성과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터 피복이 무정형이 아닌 경우에는 성형성이 감소하고, 전형적으로 반결정성 피복 3004 캔은 무정형 피복의 경우 약 70%인데 반해 약 20% 정도만 벽 아이어닝 가공된다. 적층체내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머는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머이어야 한다. 무정형 폴리에스터가 사용되는 경우, 충전된 캔은 저온살균하는 동안 재결정화가 일어난다. 재결정화가 일어나면, 폴리에스터 피복은 탁하거나 홍조를 띠게된다. 홍조의 정도는 저온살균공정에서 사용되는 물과의 접촉면적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이는 캔의 단부 외관이 불량하여 상업적으로 허용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무정형 폴리에스터의 사용은, 개방이 용이한 단부가 개방선이 그어진 영역 둘레에 내부 피복을 과도하게 올리지 않고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무정형 폴리에스터 피복은 탄성이 크고, 개방시 깨끗하게 찢어지지 않고, 그 대신에 연신되어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인을 포함하며, 특히 코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코폴리에스터는 적어도 60mole%의 테레프탈산, 60mole%의 에틸렌 글리콜, 최대 40mole%의 제2디카르복실산 및 40mole%의 제2디하이드릭 알콜로부터 파생된다. 전형적인 산은 이소프탈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아디프산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알콜은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사이클로헥산 디메타놀(CHDM)을 포함한다. 폴리머는 단층 필름, 공추출 필름 또는 복합 필름으로서 금속판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단층 폴리에스터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코폴리에스터는 테레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 또는 테레프탈산, 아젤라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 아니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에스터의 성분비율은 수지의 초기 용융점이 195℃ 내지 230℃의 범위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0℃ 이상의 초기 용융점은 적층에 있어서 과도하게 높은 금속온도를 필요로 하게 되고 195℃ 이하의 초기 용융점은 양축 지향설정시 제어하기 어렵다는 결점을 갖는다. 필름의 초기 용융온도는 차동 스캐닝 칼로리메트리(DSC)에 의해 측정된다.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머가 공추출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공추출 필름은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 내층은 외층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가짐으로써 공추출 필름은 외측을 용융할 필요없이 금속판에 접착될 수도 있다.
공추출 필름의 내층은 전형적으로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된다. 코폴리에스터는 두개의 디카르복실산,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릭 알콜에서 형성되거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 따위의 다하이드릭 알콜로부터 형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코폴리에스터의 성분비율은 초기 용융점이 160℃ 내지 220℃의 범위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점이 160℃ 이하인 경우, 공추출에서 폴리머 층의 온도-점성 특성의 부조화의 문제로 인해 필름 처리공정에서, 특히 공추출에서 어려움이 야기된다. 용융점이 약 220℃ 이상인 경우, 금속 접착되는 접착력이 감소된다. 공추출 필름의 외층은 전형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따위의 폴리에스터 또는 초기 용융점이 230℃ 내지 250℃인 코폴리에스터이다.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가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합 필름은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 외층은 초기 용융점이 230℃ 내지 260℃ 이고 결정성 인자가 0.05 내지 0.5 인 양축 지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전형적으로 금속과 접촉하는 내층은 폴리에스터로 구성된다.
복합 필름의 내층은 PET 필름 제조공정중에 또는 그 후에 피복재로서 PET 필름에 인가된다. 내층의 두께는 0.5 내지 5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미크론이고, 전형적으로 추출 피복 또는 롤러 피복기법에 의해 인가된다.
금속판의 다른쪽면의 코폴리에스터 또는 폴리프로필렌 따위의 말레 무수물 그라프트 변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피복재로 피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재료는 용액으로부터 인가되거나 롤러 피복 또는 추출 피복에 의해 용제에 분산된다.
코폴리에스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두가지 디하이드릭 알콜 및 두가지 디카로복실산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단부가 프린트되고 낮은 T1 값에서 접착이 이루어질 경우 적층 안정성을 제공하는 150℃ 내지 210℃의 범위에서 용융되어야 한다.
금속판의 다른쪽면은 말래 무수물 그라프트 변형 폴리올레핀으로 된 내층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따위의 폴리올레핀으로 된 외층으로 구성되는 공추출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추출 폴리올레핀 필름은 양축 지향성을 갖는다.
폴리에필렌의 말레 무수물 그래프트 변형의 정도는 PET의 알루미늄에 접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여야 하며, 전형적으로는 0.2 내지 0.5%이다.
폴리에스터 필름은 이산화 티타늄으로 착색되거나 유색 물감으로 도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금속판을 온도 T1으로 가열하고, 필름을 금속판의 주요면에 인가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 적층체를 온도 T2로 가열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을 금속판에 열적으로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층 폴리에스터 필름의 용융 온도 Tm을 Tm-5℃ < = T1 < = Tm + 40℃ 및 Tm - 5℃ > = T2 >= Tm - 20℃로 함으로써 적층체내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인자가 0.05 내지 0.5의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Tm-5℃ < = T1 < = Tm + 40℃ (및 Tm - 5℃ > = T2 >= Tm - 20℃, 등등)은 T1이 Tm 내지 Tm + 40℃의 범위 (그리고 T2가 Tm - 20℃ 내지 Tm - 5℃의 범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1 >= T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금속판을 온도 T1으로 가열하고, 필름을 금속판의 주요면에 인가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 적층체를 온도 T2로 가열하여 내층 및 외층으로 된 이층 폴리에스터 필름을 금속판에 열적으로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층 및 외층의 용융 온도 Tm(i) 및 Tm(o)을 Tm(i) <= T1 <= Tm(o) + 15℃ 및 Tm(o) - 3℃ >= T2 >= Tm(o) - 16℃ 로 함으로써 적층체내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인자가 0.05 내지 0.5 의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층 폴리에스터 필름이, 그 내층이 비결정성 폴리에스터인 복합 폴리에스터 필름인 경우, T1은 단지 결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필름과 금속면간의 친밀하고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높으면 된다.
단층 필름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이 필름은 6 내지 35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12 미크론의 게이지를 갖는 폴리에스터 또는 코폴리에스터 단층일 수 있다. 양축 지향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내의 폴리머의 초기 용융온도는 195 내지 230℃인 것이 좋고, 200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결정성의 단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 결정성은 주로 열 설정온도 추종 방향에 의헤 제어된다. 필름의 시작 결정성은 적층 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최종 제품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속판에 인가되는 단층 필름의 결정성 인자는 0.05를 초과하는 것이 좋다. 밀도측정에 의해 10 내지 45%의 시작 결정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밀도측정에 의해 약 10% 더 큰 시작 결정성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양축 지향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시, 연신후에 필름을 가열시키는 온도는 열 안정성 또는 쭈그럼짐 특성을 가리킨다. 필름의 결정성이 너무 낮으면, 적층중에 과도한 쭈그러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열 설정 온도에서 실제로 더 낮은 한계는 필름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온도이다. 필름은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연신되어야 한다. (필름만을 연신하면, 밀도측정에 의해 약 8%의 결정성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공추출 필름은, 예를 들어, 10 미크론의 외층 및 2 미크론의 내층으로 구성된 12 미크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터 필름은 양축을 지향한다. 외층은 초기 용융온도 23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약 24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층은 초기 용융온도가 160℃ 내지 220℃,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190℃인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필름 열 설정온도는 필름의 결정성을 제어하고 내층이 무정형인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금속판을 온도 T1으로 가열한 후에, 적층될 필름은 전형적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금속판에 인가된다. 이 단계는 핀치롤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고온의 금속면과 폴리에스터의 친밀하고 완전한 접촉을 이룰 수 있다. 적층체를 온도 T2로 재가열하는 것은 유도가열 따위의 간접수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는 급속 담금질에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시간(전형적으로 2초)동안 온도 T2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속담금질 단계는 물로, 예를 들어 수막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편리하다.
이들 처리단계의 전형적인 장치 및 조건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EP-A-0312302 EP-A-0312303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층 필름의 적층]
Tm이 단층 필름의 초기 용융온도인 경우, T1 >= Tm - 5℃이다. T1이 Tm - 5℃ 이하로 감소할 경우, 필름이 금속과 접촉하면, 금속과 접촉하는 층의 용융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한 환경에서는, 필름과 금속의 친화성은 불량하고, 충분히 양호하고 고른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T1의 온도로 적층한 후에 피복된 금속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법으로 검사하면, 피복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한 기포에 의해 음료제품이 담긴 팩의 시험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T1 <= Tm + 40℃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T1이 증가하면, 고온의 금속과 접촉하여 용융되는 필름의 깊이도 증가하게 된다. T1이 너무 높으면, 필름은 주름져서 적층롤에 접착하기 때문에 적층하기 어렵게 된다. 적층제품의 플리머의 결정성은 홍조를 띠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불충분하다. 결정성이 낮은 필름의 경우 T1의 한계는 더 낮아진다. 전형적으로, 초기 용융점이 약 215℃인 단층 필름의 밀도측정에 의한 결정성과 온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의 결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T1 >= 210℃ 이어야 한다.
21%의 결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T1 >= 230℃ 이어야 한다.
28%의 결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T1 >= 240℃ 이어야 한다.
36%의 결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T1 >= 250℃ 이어야 한다.
또한, T1 이 Tm + 50℃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강도는 감소하고, 적절한 단부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금속 게이지가 더욱 두꺼워져야 함으로써 캔 단부의 단가가 상승한다.
단층 양축 지향 폴리에스터 필름의 여러가지 다른 T1 온도에서의 결정성과 T2와의 관계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차동 스캔닝 칼로 리메트리(DS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의 수지 초기 용융점은 약 215℃ 이다.
충족되어야 할 또다른 조건은 재가열 온도 T2 <= Tm - 5℃ 이지만, T2 >= Tm - 20℃이다. T2가 증가하면, 폴리머의 무정형 파편이 증가한다. 논의한 이유로 인해, 무정형 함유량이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재가열온도의 하한계는 T2 = Tm -20℃이다. T2를 너무 크게 감소시키는 것에 따른 실제적인 장점을 없다. T1이 폴리머의 결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T2의 값을 Tm-20℃ 이하로 선택하는 경우 주요한 이득은 얻을 수 없고, 따라서 T2는 더 이상 결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Tm -20℃ 이하에서는 접착이 현저히 향상되지 않는다.
[공추출 필름의 적층]
이 실시예에 있어서, 내층 폴리머의 용융온도는 Tm(i)로 표시하고, 외층 폴리머의 초기 용융점은 Tm(o)로 표시한다. 이 공정에서, T1 >= Tm(i)이다. T1이 Tm(i) 이하이면, 내층 폴리에스터는 금속면내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접합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1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T1 <= Tm(o) + 15℃이다. T1이 Tm(o) + 15℃ 이상이면, 폴리머 필름은 적층되기 어려워진다. 필름은 심하게 주름져서 적층롤에 점착된다. 또한, 금속강도는 현저히 감소되고, 외층은 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제1가열단계에서 용융되기 시작한다. 그 결과, 폴리머의 결정성이 바람직하지않게 감소된다.
재가열온도는 T2 <= Tm(o) - 3℃로 정의된다. T2가 Tm(o) 이상으로 증가하면, 필름은 무정형화된다. Tm(o) - 3℃에서, 폴리머의 결정성은 매우 작은 온도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T2 <= Tm(o) - 3℃이지만 T2 >= Tm(o) -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수지(PET) 초기 용융점이 약 240℃이고, 필름은 양축 지향 12 미크론 공추출 필름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외층과 관련한 제6도에 예시되어 있다.
T2가 너무 낮게 유지되면, 필름 외층의 결정성은 현저히 감소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스코어가 생성될 때 필름의 균열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T2 >= Tm(i)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의 용융점 이하로 T2를 사용하게 되면, 접착성의 향상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실제적인 장점은 없다.
[피복 금속 구성]
제2도 및 제2(a)도에 금속판과 공추출 필름의 적층이 도시되어 있다. 내층(Ai) 및 외층(Ao)으로 구성되는 공추출 필름은 금속의 한쪽면에만 직접 접착되거나, 제1공추출 필름이 금속판의 한쪽면에 접착되고, (제1공추출 필름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는) 내층(Ai′) 및 외층(Ai′)으로 구성되는 다른 공추출 필름이 금속판의 다른쪽면에 인가된다.
제2도는 금속판과, Ao는 PET이고 Ai는 피복재료의 내층인 복합필름의 적층을 또한 보여주고 있다.
제3도, 제3(a)도 및 제3(b)도에 있어서, 단층 필름(A)는 금속판의 한쪽면에 인가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층 필름(A)은 금속판의 한쪽면에 인가되고, (단층 필름 A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는) 다른 단층 필름(A′) 또는 공추출 필름이 금속판의 다른쪽면에 인가된다.
제9도 및 제9(a)도는 한쪽은 폴리에스터 필름(Ao/Ai)(제9도) 또는 폴리에스터 필름(A)(제9(a)도)로 피복되어 있고, 다른쪽은 공추출 폴리프로필렌 필름(Bo/Bi)으로 피복되어 있는 금속판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여기서 Bi는 말레 무수물 그라프트 변형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이다.
[캔 단부 치수]
접시형 구멍의 파라미터는 다음의 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4도에 있어서, 접시형 구멍은 패널(4)에서 척 벽(7)까지 연장된 패널 벽(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패널 벽(5) 및 척 벽(7)은 접시형 구멍의 하위점을 한정하는 접시형 구멍 비드(6)에 의해 결합된다. 접합 패널(8)은 척 벽(7)에서 컬(9)까지 연장된다. 접시형 구멍의 깊이(H)는 접합 패널(8)의 상위점에서 접시형 구멍 비드(6)의 하위점까지이다.
측정될 단부 또는 쉘은 에포픽스 따위의 냉간경화 투명 에폭시 수지내에 끼워넣어지며, 경화가 이루어진다. 라인은 단부 맞은편의 금속의 압연방향의 90도로 표시되어 있고, 단부는 이 라인을 따라 그 절반이 절단되어 있다. 에폭시된 표면은 접지되고, 6 미크론의 마무리로 연마된다.
접시형 구멍의 영역은 현미경을 통해 검사되고 후속공정이 수행된다.
거리 d는 접시형 구멍의 파라미터이고, 척 벽(7) 및 패널 벽(5)간에 측정된다. 라인(1)은 패널(4)에 나란히 그에 연속하여 도시됨으로써 척 벽(7)과 만난다. 라인(2)은 라인(1)에 수직하게 그어져서 접시형 구멍 비드(6)의 최대깊이를 관통한다. 450 ± 10 미크론의 거리는 접시형 구멍 비드(6)로부터 라인(2)을 따라 라인(1)을 향해 측정되고, 이 거리에서 지점이 한정된다 (제4도에서 거리는 “h“로 나타내었다). 라인(3)은 라인(2)에 수직하게 그어져서 한정된 지점에서 라인(2)과 교차하고 척 벽(7)및 패널 벽(5)과 만난다. 라인(3)의 길이는 접시형 구멍의 파라미터 “d”로 나타내어졌다.
제5도에 캔 단부를 제조하기 위한 압형이 도시되어 있다. 쉘(13)은 펀치 중심(12)에 의해 재성형 패드(14)상에 펀치된다. 녹아웃 링(15)이 다이 중앙 링(11)위에 제공되고 펀치(16)내에 포함된다. 공정은 펀치 중심 반경(17) 및 제도반경(18)을 제공한다.
[예]
AA3004, 3XXX, 5017 및 AA5182 알루미늄 코일이 다음의 공정에 의해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피복 재료로 변환된다.
[세척 및 예비처리]
압연 밀에서 나온 알루미늄의 코일의 표면은 압연 윤활유 및 알루미늄 미분으로 덮힌다. 이에 의해서는 폴리머에 결합시키기 위한 유효한 표면은 생성되지 않는다.
압연유 및 알루미늄 미분을 제거하고 피복부에 접착성이 양호한 균일한 표면층을 생성하기 위한 적절한 예비처리에는 황산 양극처리(SAA), 인산 양극처리(PAA), 크론 인산염 예비처리 및 지르코늄 인산염 예비처리가 포함된다. 이들 처리는 세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트립이 세척된다. 양극처리할 경우, 양극처리 산이 사용되고, 크롬 또는 지르코놈 인산염 처리를 하는 경우, 알칼리 예비세척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세척된 스트립은 고온의 침지 양극처리(SAA, PAA) 또는 크롬 또는 지르코늄 인산염의 경우 스프레이 또는 롤러 인가처리에 의해 처리된다. 스트립은 잔류산을 제거하기 위해 헹구어진 후 건조되거나, 롤러 인가처리후에 건조될 수도 있다.
[적층]
세척되고 처리된 코일은 다음의 공정에 의해 적층되었다.
금속은 온도 T1까지 가열되었고, 두 폴리머 필름은 각각 가압 닙 롤러를 사용하여 금속의 한쪽면에 접촉되었다. 세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온도 T2까지 가열되었고, 적층체는 균일한 둑의 물에 의해 급속 담금질되기 전에 약 2초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유지되었다. T1 및 T2의 온도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왁스 바르기]
폴리머 피복 알루미늄의 표면은 전형적으로 평방미터당 200 ± 100㎎의 파라핀 왁스의 얇은 층으로 윤활되었다.
제5도와 관련하여 간랸히 설명한 유형의 장치를 사용하여, 접시형 구멍의 윤곽과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의 더욱 상세한 사항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EP-A-0153115에 개시되어 있다.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의 치수는 다이 중심 링-재성형 패드 갭에 의해 결정되거나, 고정 다이중앙 링(DCR)인 경우 재성형 패드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재성형 패드 직경(RPD)이 변경되고 라커가 칠해진 알루미늄 5182 단부 쉘의 단면적이 검사될 때,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가 RPD의 증가에 의해 감소됨에 따라 단부가 이중 접합 또는 분열중에 더 이상 호환가능하지 않은 임계값이 성형/접기 공정에 의해 야기된 5182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관측할 수 있다.
[호환성]
캔 단부는 이중 접합사양이 표준 상용 캔 단부에 적절한 설정으로부터 이중 접합기의 동작설정을 변경함이 없이 달성될 때 호환가능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특정 임계치수가 Metal Packaging Manufacturer's Association Recommended Industry Specification for Beer and Carbonated Soft Drink Cans 따위의 산업사양에 정의되어 있다. 이 문헌의 6장은 이중 접합 기준을 다루고 있다. 특정 파라미터를 충족하면, 이중 접합 보전이 보장되고 접합부위에서 누출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206 직경 음료 캔 단부의 경우, 임계치수는 다음과 같다.
본체후크 접합 -최소 70%
본체후크 및 단부후트의 중첩 -최소 0.76mm
단부후크의 긴장율 -최소 90%
다음의 단부 접합 치수는 허용가능한 접합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체후크의 길이 -1.65±0.13mm
접시형 구멍의 깊이 - 6.35±0.13mm
접합 길이 - 최대 2.80mm
단부후크의 길이 - 1.5±0.13mm
접합 갭 - 최대 0.13mm
접합 두께 - (3×단부두께+2×본체두께+0.15mm)
캔 단부의 기하학, 게이지 및 치수는 모두 이중 접합공정 및 요구되는 접합치수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1)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는 단부가 접합 척에 끼워맞춤되는 것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본체후크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가 너무 작으면 본체후크의 길이는 부적절하게 된다.
접합 치수는 접시형 구멍이 조여지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제한한다.
(2) 엔드스톡 게이지는 산업평균으로부터 ±0.02㎜ 이상으로는 변경될 수 없다.
다음의 예에서는 "결정성 인자"라고 불리는 폴리머 피복재의 결정성 및 지향성의 기준을 계산하기 X선 회절법을 사용한다. 그 측정은 이하에 정의되어 있다.
[결정성 인자 측정]
이 X선 회절법(XRD)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시험 샘플]
3 내지 7㎜ 만큼 샘플이 판을 중첩시킬 수 있도록, 적층체의 샘플은 스트립에서 절단되고 양면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편평한 알루미늄판(44 x 44㎜)에 장착된다. 샘플의 전방부를 최종적으로 다듬질하여 가장자리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샘플은 그 바닥이 샘플 흘더 지지체에 놓이도록 삽입되고 지지나사에 의해 중앙위치에 고정된다. X선관이 구리 목표물에 끼워맞춤되고, 40 ㎸ 및 25㎃의 조건에서 설정된다. XRD 패턴은 0.02도 세타의 단계로 4 내지 20조 세타까지 기록되고, 포인트당 1초의 계수시간을 갖는다.
[제어 샘플]
12um 두께의 ICI Melinex 800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어 필름이 양면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유사한 지지판 위에 장착되며 그 회절패턴은 시험재료로서 동일한 조건하에서 기록된다. 이 등급의 필름의 사양은 1985년 ICI 기술 데이타 MX TD312 4차 개정판에 기술되어 있다.
제어 샘플로부터의 분산패턴은 시험 샘플과 동일한 작업일에 측정되어 기록된다.
[분석]
시험 샘플의 회절패턴은 약 13도 세타에서의 (100) 피크의 놓이를 측정함으로써 분석된다. 피크 및 그 주변영역은 임의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가시적으로 매끄럽다. 베이스라인은 12 및 14.5도 세타에서 매그러운 강도를 연결하는 직선을 그림으로써 구성된다. 전형적인 회전패턴의 예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가장 근접한 밀리미터까지 측정된 피크 하이트는 계수로 변환된다. 제어 샘플른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분석된다. ICI Melinex 800 필름의 회전패턴이 제10(a)도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선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약 8.5도 세타에서 중심이 놓인 폭 넓은 피크는 무정형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분산에 기인한 것이다.
비율은 제어 샘플의 계수로 시험 샘플의 계수를 분할함으로서 게산된다. 이것은 결정성 인자(CRYSTALLINITY FACTOR)(CF)로 불린다. 이것은 고정도의 지향성과 결정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Melinex 800과 비교하여 PET 필름의 지향성과 결정성의 복합 측정량을 제공한다.
(CF) = I(100)T / I(100)C
여기서, I(100)T = 시험 샘플의 (100) 피크의 강도
I(100)C = 제어 샘플의 (100) 피크의 강도
[제어 샘플의 재생가능성]
상기한 바와 같은 Melinex 800 12um 필름의 릴로부터 세 개의 샘플을 취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샘플 A 7332 cts
샘플 B 7332 cts
샘플 C 7264 cts
평균=7309 cts 샘플 표준편차(SD)= 39 cts
정상분포에 기초하면, 99% 이상의 제어 샘플은 평균의 +/- 3 SD 이내에 있어야 하는 것으로, 즉 7417 내지 7201 cts 사이에 있어야 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들 한계를 벗어나는 값은 기대되지 않은 변경이 일어났음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필름이 시효경화되었거나 X선관의 출력강도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알루미늄 스트립 온도의 측정]
[피복되어 있지 않은 알루미늄]
이동하고 있는 피복되어 있지 않은 알루미늄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금속면을 손상할 위험성이 있는 열전쌍을 사용하여 접촉측정을 하는 방법은 스트립이 신속히 이동하기 때문에 부정확하고 허용가능한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비접촉 방법에서는, 150℃ 이상의 스트립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적외선 고온도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 적외선 방사 검출시스템의 중요한 한계는 피복되어 있지 않은 알루미늄 표면의 매우 낮고 변동이 심한 방사율에 있다. 이들 특성은 기록되는 온도의 부정확성 및 변동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위리엄슨 12300 고온도계가 200 내지 300℃의 온도범위를 측정할 때 가장 우수한 장치의 하나로 고려된다.
적층롤로 유입될 때의 알루미늄의 온도는 T1으로 정의된다.
[폴리머 필름의 피복된 알루미늄]
피복된 알루미늄 표면온도는 허용될 수 없는 피복손상없이 접촉방법에 의해 만족할정도로 측정될 수 없다.
적층후에 금속면상에 폴리머 필름이 존재하면, 열적인 방사율이 사실상 증가하고 방사 변동가능성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터 필름의 피복된 경우, 폴리머내의 강한 흡수밴드와 조합되는 파장으로 동작함으로써, 폴리머 피복 알루미늄의 경우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상용 고온도계가 존재한다.
폴리프로펠렌 - 0.43 미크론
폴리에스터 - 7.9 미크론
[온도 T1의 측정(평가]
적층장치는 초기에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 피복되지 않은 코일의 풀기 시스템
(2) 롤 가열기 시스템(TIS)를 떠다는 스트립의 정확히 알려진 금속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조정되는 고정된 일정 롤 온도를 갖는 삼중 유도가열 롤 스트립 가열기
(3) 수직선에서 45 도 경사져 하향하는 스트립 하향경로
(4) 윌리엄슨 12300 고온도계(T1 Williamson 측정)
(5) 롤 가열기의 출구에서 0.5m 떨어진 적층 롤
(6) 아메가 TPT300(7.9um) 고온도계(T2E - 횡단 선속 유도 가열기에 유입되기 직전의 적층 온도 측정)
(7) 닙 롤에서 0.5m 떨어진 횡단 선속 유도 가열기
(8) 아메가 TPT300(7.9um) 고온도계(T2 측정)
(9) 유도 가열기에서 0.7m 떨어진 냉각기
(10) 냉각기 내의 회전 롤
(11) 스트립 건조, 구속 및 재감기 장치
스트립 온도(TIS)는 롤 가열기를 사용하여 설정되었고, 20M/부의 라인 속도로 AA 3004 알루미늄(게이지 0.3㎜)에 적층되는 12um 폴리에스터 필름의 온도 (T1 Williamson, T2E 및 T2)가 측정되었다.
롤 가열기와 적층 롤간의 온도손실은 대기온도에서 고온의 판의 표면으로부터 주위환경으로의 대류 및 방사 열 손실의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계산된다. 모델은 판의 방향, 자연 대류손실, 판의 운동으로 인한 강제 대류 및 방사율이 0.1인 것으로 추정되는 판으로부터 방사를 고려한다. 주위환경은 0.9의 방사율을 갖는 회색체를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표 1]
적층 롤로 유입되는 알루미늄의 온도(T1)이 산정되어쏙, (T1-T2E)가 게산되었다 (표 1).
T1의 값은 폴리머 필름을 금속에 열적으로 적층하기 위한 임계온도이다. T1 및 고온의 금속과 접촉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평균 용융점은 필름의 금속에의 접합, 폴리머-금속 계면에서의 공간을 제거하는 접촉의 임계 친화성 및 폴리머의 금속에의 접착을 제어한다.
횡단 선속 유도 가열 등의 방법에 의해 알루미늄 스트립이 가열되거나 스트립의 속도가 변경될 때 특히 T1은 측정하기가 어렵다. T1은 정확히 알려진 온도, T2E를 취하고 예비적층 및 적층공정에서의 계산손실의 값을 교정하여 평가된다. 표 1의 계산은 다음의 계산을 예시한다.
(1) TIS가 정확히 알려졌을 때의 T1
(2) 12 미크론의 PET 필름의 (T1-T2)
적층손실은 측정된 T2E와 사용되어, 예를 들어 횡단 선속 유도 가열기 또는 (공기를 과열시키는) 공기 부유 오븐이 사용되어 알루미늄을 가열하는 경우와 같이, TIS 값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 T1을 평가한다.
표 3에서는 (T2E+ )가 사용되어 T1을 계산하였다.
[필름 수지 용융점]
금속과는 달리, 폴리머 재료는 하나의 온도 용융점을 갖지 않고, 온도범위에 따른 용융행동을 나타낸다. 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 등이 분자량 열가소성 폴리머내의 분산 및 수정 크기의 변동은 용융행동의 기초가 된다.
차동 스캐닝 칼로리메트리(DSC)가 사용되어 용융행동을 예시하고 초기 용융온도 Tm을 한정할 수 있다. 그것은 금속과 접촉하는 폴리에스터의 Tm과 적층 유효성을 제어하는 T1간의 관계이다.
[DSC에 의해 PET 필름의 초기 용융점을 측정하는 방법]
측정은 퍼킨 엘머의 DSC7으로 편리하게 수행된다. 교정은, 156.60℃의 초기 용융점을 하용하는 인듐과 231.88℃의 초기 용융점을 사용하는 주석을 이용하여 두 위치에서 수행된다.
[샘플 준비]
PET 샘플이 “표준”조건에서 시험된다. 부주의로 인해 샘플이 50℃ 이상 가열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이 샘플은 폐기하고 다른 샘플을 획득하여야 한다. 약 5㎜의 디스크가 필름으로부터 펀치가공되어, 오차가 0.01㎎의 5 내지 10㎎의 샘플이 획득된다. 샘플은 알루미늄 팬에 넣어지고 덮개가 주름져서 팬을 밀봉한다.
[시험조건]
샘플이 분당 20℃의 범위에서 40℃에서 300℃까지 가열된다.
샘플실은 가열이 행해지는 동안, 건조질소로 정화된다.
[초기온도의 계산]
약 230℃의 용융 피크가 식별되고, 두개의 안정된 라인을 피크의 양쪽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베이스라인이 구성된다. 또다른 구성 라인은 라인이 베이스라인과 최대의 각도로 대하는 Tm-peak에 앞서 점 또는 곡선의 일부에서 접선을 베이스라인의 바깥쪽에 둠으로써 형성된다. 이 라인이 베이스라인과 만나는 지점이 초기 온도로서 정의된다. 이것은 제11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11도는 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름 B의 초기 및 피크 용융온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따라, 약 216.5℃의 초기온도가 측정된다. 피크 용융온도는 230.4℃이다.
[정밀도]
동일한 분석자에 의해 행해진 두 시료에 대한 중복 시험에 있어서, 1.5℃이상 차이가 나서는 안된다.
재생성: 다른 실험에서 분석된 동일 샘플의 시룡에 대한 중복 시험에 있어서, 2℃ 이상 차이가 나서는 안된다.
[황산구리 시험]
다음의 예에서, 캔 단부가 받게되는 황산구리 시험에는 산성화 황산구리의 용액이 필요하다. 이 용액은 다음의 성분으로 만들어진다.
1750 mls의 물
500g의 수화구리 황산염
215 mls의 염산(35%)
황산구리는 2.5㎝(1인치)의 깊이로 캔내에 놓이고, 시험될 단부는 캔에 접합된다. 그런 다음 캔은 24시간동안 하부에 저장됨으로써 시험될 단부는 황산구리로 덮이게 된다. 그런 다음, 단부가 제거되고 시험된다.
[피복 보전성]
내부 피복의 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부는 전도 전해액으로서 1%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단부는 진공장치에 의해 전해액이 담긴 원통형 용기에 부착되었고, 6.3 볼트의 전압이 전극과 단부에 걸쳐 인가되었다. 전극과 단부간을 통과하는 전류는 단부상의 피복부를 통한 알루미늄 노출의 척도이며, 이는 에나멜 레이팅 값(ERV)으로 불린다.
[홍조 및 부착]
단부는 물속에서 45분간 70℃로 저온살균하고, 외형변화(홍조)가 일어났는지 가시적으로 검사된다.
부착은 저온살균전에 폴리에스터 피복에 끼어든 가로해치 스코어의 영역에 3M 610 테이프를 인가하여 평가된다. 스코어는 스코어의 10 x 10 어레이내에서 1㎜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부착은 테이프를 강력하게 제거한 후에 적층이 제거된 사각형 단면의 백분율로 평가된다.
[신속한 팩 시험(PPT)]
탈염수내에 용해된 구연산, 인산 및 염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을 준비한다. 이 용액은 캔내에 놓이고, 캔은 플라스틱 랩에 쌓인 다음 캔에 공기가 다 빠질 때까지 150℉ 온도의 오븐에 놓인다. 여러가지 다른 20개의 캔이 시험되어 공기가 다 빠질 때가지의 평균시간이 계산되고 기록된다.
[스코어 및 리벳 영역에서의 폴리머 균열의 평가]
바람직한 방법은 입체현미경을 사용하여 내부 폴리머 피복을 시험하는 것이다. 밝은영역 반사투영기 링 조사가 x10에서 x40까지의 왁대번위에서 사용되어 바람직한 조건을 제공하였다. 리벳과 금속노출을 잠재적으로 일으키는 스코어를 따른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 쉽게 관측될 수 있었다.
[접합후의 잔금 생성의 평가]
단부는 음료 캔의 표준 접합기 설정하에서 캔에 접합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캔은 주의깊게 절단되어 접시형 구멍의 벽 영역의 제춤 측부가 노출되어야 한다. 이 영역은 폴리머 필름의 잔금 생성을 판별하기 위한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시험되어야 한다.
[예에 대한 설명]
예는 다음의 6개의 표에 기술되어 있다.
표 2 표 2는 금속성분, 필름 형태, 단부 성형 및 단부 성능 간의 관계를 보인 것이다.
표 3 표 3은 필름 형태와 피복 특성과 성능에 대한 적층 조건간의 관계를 보인 것이다.
표 4 표 4는 쉘 성능에 대한 몇몇 쉘 성형 압형의 중요성을 보인 것이다.
표 5 표 5는 금속성분을 한정한 것이다.
표 6 표 6은 사용되는 필름을 한정한 것이다.
표 7 표 7은 금속 표면처리를 설명한 것이다.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예는 본 발명의 예이다.
[표 2]
표 2는 금속성분, 필름 형태 및 단부 성능간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예 1 내지 예 4]
예 1 내지 예 4는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피복된 0.30㎜ 3004 재료상에서 RPD를 변경시키는 것을 보인 것이다. RPD가 5.2㎝ (2.044인치)에서 5.22㎝(2.056인치)로 증가함에 따라,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는 0.97에서 0.93으로 떨어지고, 피크 압력은 103㎪(15psi) 만큼 상승하고, 임계 재성형 영역에서의 금속 열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RPD의 범위를 넘어 척의 끼워맞춤이 유지되었고, 쉘을 교체가능하게 유지되었다.
예 1 내지 예 4와 예 11 내지 예 13 및 예 16(제8도)과의 비교는, 피복된 5182와 비교하여, 폴리머 필름으로 피복된 피복 3004의 행동이 예기치 않게 이상한 것임을 보여준다.
[예 8 내지 예 10]
예 10은 예 4와의 비교를 나타내지만, 단 0.28㎜ 3004 재료가 사용되었다. 피크 압력은 금속 게이지 및 쉘 강도간의 관계로부터 기대되는 것보다 낮다.
피크 압력 = kT.t1.1
k = 단부 설계에 의존하는 상수
T = 인장강도
t = 금속 게이지
[예 5 내지 예 7]
예 5 내지 제 7에서 예 2 내지 제4에서의 경우와 유사한 행동패턴이 관측되지만,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피복된 알루미늄(SXXX)은 3004 사양 밖에 놓여있으며, 마그네슘의 함유율은 1.42%이다. RPD가 5.2㎝(2.048인치)에서 5.22㎝(2.056인치)로 증가함에 따라, 피크 압력은 69㎪(10psi)만큼 상승하고 접시형 구멍의 파라미터는 1.0에서 0.92㎜로 떨어진다.
[예 11 내지 예 14]
비교예인 예 11 내지 예 14는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재료 J 라커 피복 5182의 마그네슘 함유율은 4.67%이고, 망간 함유율은 0.34%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다.
내부 라커 - PVC 유기 졸
외부 라커 - 에폭시 계
RPD가 5.2㎝(2.044인치)에서 5.22㎝(2.056인치)로 증가함에 따라, 피크 압력은 단지 14㎪(2psi)만큼 증가하고,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는 1.05에서 0.93㎜로 떨어진다. 재성형된 영역의 교란이 5.22㎝(2.056인치) 및 5.23㎝(2.060인치) 겡 값에서 발생되었다.
예 11 내지 예 14는 단부 성형에 있어서의 상용 엔드스톡 재료의 공지된 행동을 나타낸다.
[예 16 및 예 17]
비교예인 예 16 및 예 17은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예 16 및 예 17에서는, 예 13 및 예 14의 라커 피복 5182 대신에 폴리에스터 필름 피복 5182가 사용되었다. 예 13 및 예 14와 예 16 및 예 17의 성능 및 재료 교란특성은 유사하며, 피복의 형태 및 피복방법이 5182 단부 쉘의 물리적 강도 도는 균열 행동에 대해서는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 30 및 예 31]
비교예인 예 30은 본 발명의 예가 아니며, 마그네슘 및 망간 함유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 있다.
예 11 및 예 30의 비교를 통해, 더욱 얇은 게이지 5182 재료(예 30)가 허용가능한 피크 성능을 제공하지만, 접시형 구멍의 깊이는 6.86㎜(0.270인치)로 상용 이중 접합공정에서 표준 6.35㎜(0.250인치) 접시형 구멍의 깊이와 호환되지 못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얇은 게이지 제품은 허용가능한 물리적 성능을 또한 제공하며, 예 31로 나타낸 바와 같이 6.86㎜(0.270인치) 접시형 구멍 깊이를 가진다.
[예 10, 예 18 및 예 19]
피크 성능에 대한 접시형 구멍 깊이의 중요성이 예 18 및 예 19에 예시되어 있다.
접시형 구멍의 깊이가 6.35㎜(0.250 인치)에서 6.48㎜(0.255인치)로 증가함에 따라, 호환성을 잃지 않으면서 피크 압력이 28k㎀(4psi) 증가되었다. 이중 접합에 있어서의 호환성의 한계는 6.48㎜(0.255인치) 이다.
예 10 및 예 18의 비교는 다른 프레스에서의 유사한 압안으로 경험되는 변동을 나타내고 있다. 둘다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지만, 예 18은 낮은 속도에서 동작하는 단일 프레스에서 제조되고, 예 10은 분단 300 스트로크로 동작하는 이중 다이 프레스에서 제조되었다.
[예 1 및 예 20 내지 예 24]
예 1 및 예 20 내지 예 23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특히 이들 예에서는 3004와 조합될 수 있는 양축 지향 필름 형태의 범위를 예시하고 있다.
예 1은 양쪽 금속면에서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였다. 이는 Ao 및 Ao′가 동일한 PET이고 Ai 및 Ai′는 동일한 코폴리에스터인 제2(a)도에 예시되어 있다. 필름 B 및 E는 성분이 동일하지만, 다른 온도에서 열이 설정됨으로써 다른 결정성을 제공한다.
예 21은 예 1에 상당하는 예이지만, 다른 코폴리에스터 필름(Ai), 다른 PET 층(Ao) 및 다른 수지 충전재를 구비한 공추출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예 22에서는, 단층 코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성분이 예 20 및 예 23과는 다르다.
예 24는 제9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두개의 다른 필름을 결합시킨다.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은 예 1에서 사용된 필름이고, 외부 피복을 형성한다. 공추출 폴리프로필렌 필름(Bo/Bi)는 다음의 공추출로 이루어진 것이다.
Bi - 말레 무수물 그라프트 변형 폴리프로필렌
Bo - 폴리프로필렌
이들 예는 다른 형태의 폴리에스터 필름이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내부 필름용으로 다른 필름 형태로 조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 25 내지 예 29 및 예 32]
예 25 내지 예 29는 마그네슘 및 망간의 함유율의 범위를 사용할 수도 있고(금속제조단가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음), 마그네슘 또는 망간의 함유율과 물리적 성능간의 관계(예 7 및 예 26의 비교)가 단순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그네슘 및 망간의 함유율이 상승함에 따라 단부 성능은 떨어지는 것은 명백하다.
이들 마그네슘 함유율이 낮은 합금이 단부의 물리적인 성능 및 마그네슘 및 망간 함유율간의 일반적인 경향에 기초하여, 이들 요소의 함유율의 상항계를 판단할 수 있다. 망간의 상한계는 1.5%로 설정되고 마그네슘의 상한계는 2%로 설정된다. 따라서, 예 25 및 예 28은 비교예로서 고려된다.
[예 33 및 예 34]
예 33 및 예 34는 캔 단부용의 외부 피복재로서 유색 또는 백색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 34는 복합 필름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다.
[표 3]
표 3은 피복 특성 및 성능에 대한 필름 형태와 적층조건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폴리머 필름으로 피복된 모든 예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성분에 기초한다.
[예 4(ⅰ) 내지 예 4(ⅳ)]
예 4(ⅰ) 및 예 4(ⅳ)는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예 4(ⅰ) 내지 예 4(ⅳ) 및 제6도는 필름 결정성에 대한 적층 온도 T2와 공추출 PET 필름의 단부의 저온살균에 대한 피복 “홍조”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T2가 220℃에서 PET 용융점으로 증가함에 따라, 분자량은 더욱 낮아지고 수정 용융은 더욱 작아지게 되어 필름 결정성이 떨어진다. T2가 250℃일 때, 필름 전체가 용융된다. 낮은 결정성 인자 값, 특히 0.05 이하의 결정성 인자 값에 의해 가시적인 재결정성이 저온살균시 발생되어 눈에 거슬리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예 4(ⅰ)).
표 3은 무정형(결정성 인자 = 0)(예 4(ⅰ)) 피복이 과감한 실제의 음료제품의 저장수명 시험을 모의실험하는 황산구리 가속 부식시험에서 불량하게 수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반결정성 피복 4(ⅱ) 내지 4(ⅳ)가 양호하게 수행된다.
예 4(ⅴ)에서는, 피복 금속의 시험결과, 폴리머/금속 계면에서 매우 작은 기포가 존재하고 단부 쉘 접시형 구멍 영역에서의 피복부가 가시적인 백색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공간 효과는 T1의 값이 금속면과 접촉하는 폴리머의 용융점 이하이고, 폴리머가 부적절하게 용융되어 금속면에 피복될 때 발생한다. 필름(A)의 금속과 접촉하고 있는 공추출 코폴리에스터의 용융점은 180 - 190℃의 범위에 놓이고, 예 4(ⅰ) 내지 예 4(ⅴ)의 경우, 예 4(ⅴ)에서 T1이 수지 초기 용융점 이하인 경우에만 발생한다.
예 4(ⅴ)는 T1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 있다.
적층온도 T2가 용융점에 근접한 온도인 경우, 금속 스트립에 걸쳐 필연적으로 온도의 변동이 야기되어 피복 급속에 걸쳐 피복 결정성이 변동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온도(제6도 참조)에 대해 결정성의 변동이 적은 값으로 T2를 유지하는 것이, 특히 PET계 필름의 경우 23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 4, 예 7 및 예 10]
예 4, 예 7 및 예 10은 T1값이 범위(210℃ 내지 250℃)가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A)의 공동 T2(230℃)와 함께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경우, T1의 값은 180 - 190℃의 범위에 놓이는 공추출 내부 수지층 용융점 위에 놓인다.
[예 4, 예 20 내지 예 24 및 예 15]
예 20 내지 예 24는 예 4와는 다른 필름 형태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경우, T1은 (계면공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 또는 내층 초기 용융점 위에 놓이도록 선택되고, T2는 필름 결정성의 현저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된다.
폴리머 필름이 피복된 예는 홍조 또는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았다.
폴리머 피복 예(4, 20-24)와 라커 피복 5182 예 15의 RPT 저장수명 비교결과, 접시형 구멍 반경이 라커가 피복된 단부보더 더 죄어진 상태에서도 폴리머 피복이 행해진 경우 저장수명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예 15는 본 발명의 예는 아니지만, 라커 피복의 결함을 예시하고 있다.
예 25는 제안된 범위의 바닥 단부 부근에서 초기 용융점을 갖는 필름의 사용을 보여주고 있다. 유사하게, 낮은 T1 및 T2 온도가 사용되어 특성의 올바른 조합을 보장하고 있다.
[예 20(ⅰ) 내지 예 20(ⅴ) 및 예 23(ⅰ) 내지 예 23(ⅳ)]
예 20 및 예 23에서, 폴리머 필름 B 및 E는 동일한 화학적인 구성성분과 용융온도(212-216℃)를 갖지만 필름 제조의 후-양축 지향상태의 다른 열설정 온도로부터 야기되는 다른 결정성을 갖는 단필름 폴리에스터이다.
비교예인 예 20(ⅰ), (ⅳ) 및 (ⅴ)는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예 20(ⅰ) 및 (ⅳ)는 초기 용융점(Tm) 이하의 T1 값이 금속/폴리머 계면 공간 또는 기포를 제공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 20(ⅰ) 및 20(ⅳ)는 Tm에 근접한 T2 값을 가지며, 따라서 저온살균시에 “홍조”를 야기하는 결정성의 손실을 갖는다. 예 20(ⅳ)의 경우, 2단계 가열이 없고, 비교적 낮은 T1으로 인해 피복재가 금속에 불량한 상태로 접착된다. 단지 예 20(ⅱ) 및 20(ⅲ)에서만이, 특성이 만족스럽게 조합된다.
비교예 23(ⅰ), (ⅱ) 및 (ⅲ)은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예 23(ⅰ) 및 (ⅱ)은 2단계 가열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접착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비교예 23(ⅲ)에 있어서, 매우 높은 T1에 의해 양호한 접착이 보장되지만 저온살균(재결정화)시 “홍조”를 야기하는 결정성의 손실을 일으킨다. 이는 결정성 인자가 0.05 이하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따라서, 예 23(ⅰ), (ⅱ) 및 (ⅲ)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이다.
예 23(ⅳ)는 약 0.05의 결정성으로 재결정화하는 사소한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폴리에스터 필름의 결정성 인자의 바람직한 하한계를 0.05로 한정한다. 따라서, 예 23(ⅳ)는 본 발명에 속한다.
예 23(ⅰ), (ⅱ) 및 (ⅲ)은 GB2123746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으며, 이 종래기술의 결함을 보여주고 있다.
[예 35(ⅰ) 내지 35(ⅵ)]
예 35(ⅰ), 35(ⅱ) , 35(ⅴ) 및 35(ⅵ)은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예 35(ⅰ) 내지 35(ⅳ)는 결정성 인자가 청구된 범위내에 유지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실패모드를 보여주고 있다.
예 35(ⅰ) 및 35(ⅱ)에서는, 2단계 가열온도가 너무 낮아서, 필름의 결정성 인자가 상한계 0.5를 벗어난다. 이들 예에서는, 리벳 및 스코어 둘레에서 내부 피복재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효과는 부분적으로 단부를 레이팅하는 에나멜상에서 발견되는 증가된 금속노출에 의해 보여진다.
예 35(ⅴ) 및 35(ⅵ)에서, 2단계 온도가 너무 높아서, 폴리머 피복재의 결정성 인자가 0.05의 한계 이하로 떨어진다. 이들 단부에서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단부가 캔에 접합된 후에 접시형 구멍의 벽 둘레에 잔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인해, 저장기간에 걸쳐 알루미늄이 단부로부터 제품내로 용해된다.
예 35(ⅲ) 내지 35(ⅳ)에서만, 특성이 올바르게 조합되어 리벳이 스코어 둘레에 균열이 생기지 않고 접시형 구멍의 벽에 잔금이 형성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예 36(ⅰ) 내지 36(ⅶ)]
예 36(ⅰ), 36(ⅱ), 36(ⅴ), 36(ⅵ) 및 36(ⅶ)는 본 발명의 예가 아니다.
예 36(ⅰ) 및 36(ⅱ)에 있어서, 2단계 가열온도가 너무 낮고, 식 (Tm(o) - 3℃ >= T2 >= Tm(o) - 16℃)에서 지정된 범위를 벗어난다. 이 필름(Tm(o) = 241℃)의 경우, 225 - 238℃의 범위가 주어진다. 이 경우, 사용되는 상승된 금속 온도는 금속과 접촉하는 층의 결정성을 감소시키지만, 필름의 외측 영역의 결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외측 영역의 결정성은 필요한 결정성 인자를 초과하여, 리벳과 스코어 둘레의 내부 피복재의 이 영역에서의 심각한 균열을 야기시킨다. 이 효과는 부분적으로 단부를 레이팅하는 에나멜상에서 발견되는 증가된 금속노출에 의해 보여진다.
예 36(ⅴ), 36(ⅵ) 및 36(ⅶ)에 있어서는, 2차 가열이 너무 높아서, 폴리머 피복재의 결정성 인자는 0.05의 한계 이하로 떨어진다. 이들 단부에서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단부가 캔에 접합된 후에 접시형 구멍의 벽 둘레에 잔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인해, 저장기간에 걸쳐 알루미늄이 단부로부터 제품내로 용해된다.
예 36(ⅲ) 내지 36(ⅳ)에서만, 특성이 올바르게 조합되어 리벳의 스코어 둘레에 균열이 생기지 않고 접시형 구멍의 벽에 잔금이 형성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피복재 전체는 적어도 16℃ 이하의 폴리에스터의 초기온도에 이른다. 이 온도로 인해 고정도의 지향 결정성 재료를 갖는 영역이 존재하기 않게된다.
[표 4]
압형 기하학의 선택은 단부 형성 및 제성형 공정에 있어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어떠한 파라미터를 제어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요인으로서 작용한다. 표 4는 여러가지 니자의 중요성을 예시하고 있다.
예 1 내지 2(a)는 펀치 중심반경이 재성형 영역내의 재료 교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 (0.040 인치)의 pcr은 2㎜(0.080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 3 내지 6(a)는 인발 반경이 접시형 구멍 파라미터 및 피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표 5]
표 5는 표 1 내지 표 3의 금속성분을 한정한 것이다.
[표 6]
표 6은 표 1 및 표 2에서 사용된 필름을 설명한 것이다. 필름은 모두 다음의 공정에 의해 양축으로 지향한다.
(1) 수지를 냉각 롤상에 압출한다.
(2) 전방으로 가열된 롤러상에 인발한다.
(3) 가로방향으로 인발한다.
(4) 오븐내에서 가열한다.
(5) 냉각한다.
(6) 다시 감는다.
폴리에스터 필름은 약 3x3 내지 4x4의 인발비율을 갖고, 양축 지향 폴리프로필렌은 약 5x8 내지 5x9의 인발비율을 갖는다.
[표 7]
표 7은 표 1, 표 2 및 표 3의 예에서 사용된 금속면 처리범위를 기술하고 있다.
[표 2a]
[표 2b]
[표 3a]
[표 3b]
[표 4]
[표 5]
[표 6]
[표 7]

Claims (38)

  1.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피복되는 금속판으로부터 성형되고, 중앙 패널, 중앙 패널의 주위에 매달린 패널 벽, 패널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 접시형 구멍 비드, 접시형 구멍 비드의 주위에서 상방 연장되는 척 벽 및 척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상 접합 패널로 구성되는 캔 단부에 있어서, 금속판은 중량비로 0.8 내지 2.0% 정도의 마그네슘이 함유되고 중량비로 0.6 내지 1.5% 정도의 망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고, 폴리에스터 피복재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5 내지 0.5의 결정성 인자를 가지고 0.5 이상의 결정성 인자를 갖는 결정성 지향 영역을 갖지 않으며, 척 벽과 패널 벽간의 거리는 접시형 구멍 비드의 상면의 하부위 0.45㎜ 높이에서 측정된 0.85 내지 1.0㎜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폴리에스터 필름은, 금속판에 피복되는 동안 적어도 16℃ 이하의 초기 폴리에스터 용융온도에 상당하는 온도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30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필름은 단층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5.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테레프탈산, 아젤라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테레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7. 제4항 내지 제6황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온도 T1으로 가열하고, 필름을 인가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 적층체를 온도 T2로 재가열하여 금속판 및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머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적 적층에 의해 단층 필름이 금속판의 주요면에 부착되고, 단층 필름의 초기 용융 온도 Tm이 Tm - 5℃ <= T1 <= Tm + 40℃ 및 Tm - 5℃ >= T2 >= Tm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진 공추출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9. 제8항에 있어서, 공추출 필름의 내층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0. 제8항에 있어서, 공추출 필름의 내층은 테레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1.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공추출 필름의 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2. 제8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온도 T1으로 가열하고, 필름을 인가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 적층체를 온도 T2로 재가열하여 금속판 및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머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적 적층에 의해 공추출 필름이 금속판의 주요면에 부착되고, 내층 및 외층의 용융 온도 Tm(i) 및 Tm(o)는 각각 Tm(i) <= T1 <= Tm(o) + 15℃ 및 Tm(o) - 3℃ >= T2 >= Tm(o) -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3.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필름은 내층 및 외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층은 양축 지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금속과 접촉하는 내층은 무정형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6.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금속면의 다른쪽 면은 말레 무수물 그라프트 변형 폴리올레핀으로 된 내층과 폴리올레핀으로 된 외층으로 구성되는 공추출 폴리올레핀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7.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8.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19. 제16항에 있어서, 공추출 폴리올레핀 필름은 양축을 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20.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필름이 이산화 티타늄으로 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21. 제1항 내지 제19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필름은 유색 물감으로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22.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금속면의 표면은 인산 크롬, 인산 지르코늄 또는 양극처리공정에 의해 냉간압연후에 예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단부.
  23. 온도 T1까지 가열된 금속판의 주요면에 단층 폴리에스터 필름을 열적으로 적층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적층체를 온도 T2로 재가열하여, 0.8 내지 2.0% 정도의 마그네슘이 함유되고 0.6 내지 1.5% 정도의 망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금속판과 폴리에스터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층 폴리에스터 필름의 용융 온도 Tm이 Tm - 5℃ <= Tm + 40℃ 및 Tm - 5℃ >= T2 >= Tm - 20℃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층체내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인자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5 내지 0.5의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금속판에 인가된 단층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인자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8 내지 0.45 의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는 테레프탈산, 아젤라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26. 제23항 또는 24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는 테레프달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27. 온도 T1까지 가열된 금속판의 주요면에 내층 및 외층으로 된 공추출 폴리에스터 필름을 열적으로 적층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적층체를 온도 T2로 재가열하여, 0.8 내지 2.0% 정도의 마그네슘이 함유되고 0.6 내지 1.5% 정도의 망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금속판과 폴리에스터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층 및 외층의 용융 온도 Tm(i) 및 Tm(o)가 Tm(i) <= T1 <= Tm(o) + 15℃ 및 Tm(o) - 3℃ >= T2 >= Tm(o) - 16℃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층체내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인자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5 내지 0.5의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내층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내층은 테레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1. 온도 T1까지 가열된 금속판의 주요면에 내층 및 외층으로 된 복합 폴리에스터 필름을 열적으로 적층하여 초기 적층체를 형성하고, 초기적층체를 온도 T2로 재가열하여, 0.8 내지 2.0% 정도의 마그네슘이 함유되고 0.6 내지 1.5% 정도의 망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금속판과 폴리에스터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층 및 외층의 용융 온도 Tm(i) 및 Tm(o)가 각각 Tm(i) <= T1 <= Tm(o) + 15℃ 및 Tm(o) - 3℃ >= T2 >= Tm(o) - 16℃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층체내의 폴리에스터의 결정성 인자는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0.05 내지 0.5의 범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외층은 양축 지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금속과 접촉하는 내층은 무정형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4. 제23항 내지 제3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30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5. 제23항 내지 제3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금속의 다른쪽면은 말레 무수물 그라프트 변형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내층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로 된 외층을 갖춘 공추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금속판의 양쪽면은 동시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7. 제23항 내지 제3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금속판과 폴리에스터의 적층체를 캔 단부내에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캔 단부는 제1항에서 한정한 캔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제조방법.
KR1019940703120A 1992-03-06 1993-03-04 적층 금속판 KR100241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04972A GB9204972D0 (en) 1992-03-06 1992-03-06 Laminated metal sheet
GB9204972 1992-03-06
PCT/GB1993/000446 WO1993017864A1 (en) 1992-03-06 1993-03-04 Laminated meta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170A KR950700170A (ko) 1995-01-16
KR100241659B1 true KR100241659B1 (ko) 2000-03-02

Family

ID=1071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120A KR100241659B1 (ko) 1992-03-06 1993-03-04 적층 금속판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582319A (ko)
EP (1) EP0629152A1 (ko)
JP (1) JPH07507525A (ko)
KR (1) KR100241659B1 (ko)
CN (1) CN1043748C (ko)
AU (1) AU665410B2 (ko)
BR (1) BR9306045A (ko)
CA (1) CA2130560A1 (ko)
FI (1) FI944079A (ko)
GB (1) GB9204972D0 (ko)
MX (1) MX9301263A (ko)
MY (1) MY109455A (ko)
NZ (1) NZ249538A (ko)
PL (1) PL172610B1 (ko)
SG (1) SG86296A1 (ko)
TR (1) TR26883A (ko)
TW (1) TW267135B (ko)
WO (1) WO1993017864A1 (ko)
ZA (1) ZA9314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587A (en) * 1990-07-13 1999-06-29 Kramer; Antonio Henrique Microseamed metallic can
US6017599A (en) * 1993-08-04 2000-01-25 Toyo Kohan Co., Ltd. Laminated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9510515D0 (en) 1995-05-24 1995-07-19 Metal Box Plc Containers
EP0798110A3 (en) * 1996-03-29 2000-05-24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metal can end substrate surface
EP0900648B1 (en) * 1996-05-23 2005-11-09 TOYO KOHAN Co., Ltd Thermoplastic resin-co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59705699D1 (de) * 1996-09-24 2002-01-17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et-folie zur verwendung für smd-fähige folienkondensator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JP3133719B2 (ja) * 1997-02-03 2001-02-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
US6666933B2 (en) 1997-04-16 2003-12-23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n en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WO1998053992A1 (en) 1997-05-30 1998-12-03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coating aluminum metal strip
US6089072A (en) * 1998-08-20 2000-07-18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n end having an improved anti-peaking bead
US6102243A (en) 1998-08-26 2000-08-15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n end having a strengthened side wall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99622B1 (en) * 1999-12-08 2002-12-31 Metal Container Corporation, Inc. Can lid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a can lid closure to a can body
BR0306682B1 (pt) * 1999-12-08 2014-12-02 Ball Corp Tampa de lata metálica de bebida com laterais aprimoradas e rebaixo escareado
US6561004B1 (en) * 1999-12-08 2003-05-13 Metal Container Corporation Can lid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a can lid closure to a can body
US7380684B2 (en) 1999-12-08 2008-06-03 Metal Container Corporation Can lid closure
US8490825B2 (en) 1999-12-08 2013-07-23 Metal Container Corporation Can lid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a can lid closure to a can body
US7255637B2 (en) * 2000-09-08 2007-08-14 Applied Materials, Inc. Carrier head vibration damping
US20020139805A1 (en) * 2001-01-19 2002-10-03 Chasteen Howard C. Beverage can end with reduced countersink
US6419110B1 (en) 2001-07-03 2002-07-16 Container Development, Ltd. Double-seamed can end and method for forming
US20030079333A1 (en) * 2001-10-29 2003-05-01 Guthrie Joseph D. Process for making a metal-polymer composite having an irradiated polymer coating
US6761280B2 (en) 2001-12-27 2004-07-13 Alcon Inc. Metal end shell and easy opening can end for beer and beverage cans
US6736283B1 (en) 2002-11-19 2004-05-18 Alcoa Inc. Can end, tooling for manufacture of the can end and seaming chuck adapted to affix a converted can end to a can body
US6915553B2 (en) * 2003-02-19 2005-07-12 Rexam Beverage Can Company Sea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ns
US20060071005A1 (en) * 2004-09-27 2006-04-06 Bulso Joseph D Container end closure with improved chuck wall and countersink
US7506779B2 (en) 2005-07-01 2009-03-24 Ba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ing bead in a container end closure
BRPI0717072B1 (pt) 2006-09-19 2018-06-26 Valspar Sourcing, Inc. Recipiente de alimento ou bebida, e, método para o revestimento de um recipiente de alimento ou bebida
CN102089215B (zh) * 2008-07-30 2013-06-12 东洋制罐株式会社 具有通过使用水性涂料形成的涂膜的铝盖
US8192084B2 (en) * 2008-08-01 2012-06-05 Ted Dolenc Anti-drip sandwich bag
US8939308B2 (en) * 2009-09-04 2015-01-27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Full aperture beverage end
CN101745499B (zh) * 2009-12-11 2012-03-14 山东丽鹏股份有限公司 一种漏印白顶侧印罩光铝盖的加工工艺
US8727169B2 (en) 2010-11-18 2014-05-20 Ball Corporation Metallic beverage can end closure with offset countersink
WO2012174058A1 (en) * 2011-06-14 2012-12-20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Methos and system for forming high - strength beverage can ends of aluminum magnesium alloy and such can ends
HUE053500T2 (hu) 2011-09-16 2021-06-28 Ball Corp Alumínium ötvözet
US10968010B1 (en) 2012-08-10 2021-04-06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D1033215S1 (en) 2012-08-10 2024-07-02 Daniel A. Zabaleta Container lid comprising frustum shaped sidewall and seaming chuck receiving radius
USD1033216S1 (en) * 2012-08-10 2024-07-02 Daniel A. Zabaleta Container cap having frustum shaped sidewall segment enabling nesting
ES2921800T3 (es) 2013-04-09 2022-08-31 Ball Corp Botella de aluminio extruido por impacto con cuello roscado fabricada a partir de aluminio reciclado y aleaciones mejoradas
CA2926063C (en) 2013-10-30 2019-04-02 Jfe Steel Corporation Laminated metal sheet for containers, method for producing metal can, and method for evaluating formability of metal sheet
US9714114B2 (en) 2013-11-08 2017-07-25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Full aperture can end
DE102016205913A1 (de) * 2016-04-08 2017-10-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für die Metalllaminierung
BR112018071907B1 (pt) 2016-05-10 2022-08-30 Novelis Inc. Método para preparar chapa para tampa de lata, método para determinar um parâmetro de camada de conversão, produto de chapa para tampa de lata e sistema
US20180044155A1 (en) 2016-08-12 2018-02-15 B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Capping Metallic Bottles
JP6707428B2 (ja) * 2016-09-16 2020-06-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保護素子
CN106628608A (zh) * 2016-12-28 2017-05-10 广州卓迅包装机械有限公司 覆膜食品易撕罐
BR112019013568A2 (pt) 2016-12-30 2020-01-07 Ball Corporation Liga de alumínio para recipientes extrudados por im-pacto e método para fabricar a mesma
US10875684B2 (en) 2017-02-16 2020-12-29 B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and applying roll-on pilfer proof closures on the threaded neck of metal containers
EP3395707B8 (de) 2017-04-26 2021-10-06 Speira GmbH Getränkedose aus einheitlicher aluminiumlegierung
CA3074430C (en) 2017-09-15 2023-01-03 Bal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lic closure for a threaded container
WO2020127159A1 (en) * 2018-12-21 2020-06-25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coated metal strip and polymer coated metal strip produced thereby
CN113195228B (zh) * 2019-02-07 2022-12-20 日本制铁株式会社 树脂金属复合容器用树脂层压钢板制罐盖、罐底及树脂金属复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976A (en) * 1971-10-19 1975-01-21 Aluminum Co Of America Laminated container wall
JPS5265588A (en) * 1975-11-26 1977-05-31 Toray Ind Inc Covered metal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thereof
JPS5825591A (ja) * 1981-08-10 1983-02-15 Akihiro Niihata 水に浮ぶ水車装置
GB2123746B (en) * 1982-07-15 1986-10-29 Toyo Kohan Co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metal sheet covered with polyester resin film
US4571978A (en) * 1984-02-14 1986-02-25 Metal Box P.L.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ed can end
GB8724242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d metal sheet
US5238517A (en) * 1987-10-15 1993-08-24 Cmb Foodcan Plc Production of laminated materials
GB8724245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Metal can ends
GB8724239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d metal sheet
US5149389A (en) * 1987-10-15 1992-09-22 Cmb Foodcan Plc Laminated metal sheet
GB8724237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d metal sheet
TR24070A (tr) * 1987-10-15 1991-02-28 Bekaert Sa Nv Kaucuk lastikler icin takviye edici seritler.
GB8724241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d metal sheet
GB8724243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s of polyolefin-based film
GB8724238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d metal sheet
GB8903629D0 (en) * 1989-02-17 1989-04-05 Metal Box Plc Metal/polymer laminates
US5318648A (en) * 1989-06-08 1994-06-07 Cmb Foodcan Plc Laminates of metal and polyester film
GB2233277A (en) * 1989-06-08 1991-01-09 Metal Box Plc "laminates of metal and polyester film"
JPH0780253B2 (ja) * 1989-08-02 1995-08-30 東洋製罐株式会社 ラミネート材から成る容器蓋
US5272011A (en) * 1989-10-11 1993-12-21 Toyo Kohan Co., Ltd. Copolyester resin film laminated metal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65410B2 (en) 1996-01-04
PL172610B1 (pl) 1997-10-31
CN1043748C (zh) 1999-06-23
AU3640893A (en) 1993-10-05
BR9306045A (pt) 1997-11-18
CN1079197A (zh) 1993-12-08
CA2130560A1 (en) 1993-09-16
FI944079A0 (fi) 1994-09-05
TR26883A (tr) 1994-08-22
MY109455A (en) 1997-01-31
TW267135B (ko) 1996-01-01
NZ249538A (en) 1996-07-26
JPH07507525A (ja) 1995-08-24
SG86296A1 (en) 2002-02-19
GB9204972D0 (en) 1992-04-22
EP0629152A1 (en) 1994-12-21
WO1993017864A1 (en) 1993-09-16
MX9301263A (es) 1993-09-01
US5582319A (en) 1996-12-10
KR950700170A (ko) 1995-01-16
FI944079A (fi) 1994-09-05
ZA931442B (en) 199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659B1 (ko) 적층 금속판
US5137762A (en) Laminated metal plate for drawn can, and drawn can prepared therefrom
KR100254294B1 (ko) 이음매 없는 캔
CA1155381A (en) Polyester film-heat-bonded metal sheet and container made thereof
JP3146973B2 (ja) ラミネート板及びこれを用いた製缶方法
JPH02501638A (ja) 積層金属シート
EP3231723B1 (en) Resin-coated metal sheet for can lids
JP2611738B2 (ja) ポリエステル−金属ラミネート板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ムレス缶
JP2970459B2 (ja) シームレス缶
JPH04500185A (ja) 金属および重合体膜からなる積層板
US5112695A (en) Vessel lid comprising laminated material
EP0415345B1 (en) Composite steel sheet having high workability for drawn and ironed cans
JP3826450B2 (ja) 製缶加工用フィルム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及び印刷缶の製造方法
JP3986170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シームレス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26103B2 (ja) 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シームレス缶の製造方法
JP4103974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シームレス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83079B2 (ja) ラミネート蓋及びその製造方法
EP063070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asily openable can lids of resin laminated metal plate, easily openable can lid, and resin laminated metal plate for easily openable can lids
JP2874582B2 (ja)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4226104B2 (ja) 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シームレス缶の製造方法
JP3043193B2 (ja) 開缶性、耐食性、フェザー性に優れた易開缶性蓋用ラミネート鋼板
JP2001122258A (ja) ラミネート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24134A (ja) 易開口性容器蓋
JP200117987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フィルム被覆金属板
JP2001179880A (ja) ポリエステル樹脂フィルム被覆金属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