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082B1 - 전기 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082B1
KR100241082B1 KR1019970014550A KR19970014550A KR100241082B1 KR 100241082 B1 KR100241082 B1 KR 100241082B1 KR 1019970014550 A KR1019970014550 A KR 1019970014550A KR 19970014550 A KR19970014550 A KR 19970014550A KR 100241082 B1 KR100241082 B1 KR 10024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edle
collecting
deflection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138A (ko
Inventor
고오자부로오 노지마
Original Assignee
노지마 코오자부로오
가부시키가이샤 오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지마 코오자부로오, 가부시키가이샤 오덴 filed Critical 노지마 코오자부로오
Publication of KR97006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9Collecting-electrodes tub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by means of electric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0Ionising electrode with two or more serrated ends or 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87Obtaining plural composite product pieces from preassembled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바늘끝(291)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니들전극(27)과, 니들전극(27)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콜렉터셀(포집전극)(40)과, 콜렉터셀(40)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콜렉터셀(40)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편향전극(28)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전유닛에 있어서, 편향전극(28)은, 상기 니들전극(27)을 부착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ha, hb)을 갖는 앞판부(301, 311)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콜렉터셀(4)과 마주 대하는 측판부(302, 303, 312, 313)로 이루어지는 속이 빈 기둥구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니들전극(27)은, 그 바늘끝(291)이 편향전극(40)의 앞판부(301, 3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동체부(292)가 상기 부착구멍(ha, hb)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앞판부(301, 302)에 고착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공기청정기의 전기집진유닛(수서브유닛)에 짜넣어지는 니들 편향결합전극의 제조방법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절곡 전극판부재 중,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가 만들어져 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절곡 전극판부재 중,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가 만들어져 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제4도는 한 쌍의 절곡 전극판부재가 조합되어 편향전극이 형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5도는 동일하게 편향전극이 형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일부단면도이다.
제6도는 편향전극에 핀부재가 때려 박혀져서, 니들 편향결합전극이 형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일부단면도이다.
제7도는 완성된 니들 편향결합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일부단면도이다.
제8도는 동(同) 공기청정기의 전기집진유닛(암서브유닛)에 짜 넣어지는 콜렉터셀 제조방법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셀용 전극판이 만들어져 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9도는 완성된 셀용 전극판의 평면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제11도는 한 세트의 셀용 전극판이 조합되어, 콜렉터셀이 형성되어 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2도는 동일하게 콜렉터셀이 형성되어 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3도는 동일하게 콜렉터셀이 형성되어 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4도는 완성된 콜렉터셀의 외관 및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제16도는 동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콜렉터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17도는 동 콜렉터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18도는 동 실시예의 다른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9도는 니들방전방식으로 동작하는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0도는 동 공기청정기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1도는 동 공기청정기의 주요부인 전기집진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22도는 전기집진유닛을 수서브유닛과 암서브유닛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23도는 전기집진유닛을 앞면측(공기의 흡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제25도는 전기집진유닛을 뒷면측(공기를 불어내는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26도는 동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원리도이다.
제27도는 니들 편향결합전극의 종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8도는 콜렉터셀의 종래 제조방법과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 레스토랑, 유기시설, 주택 등의 건물(이하, 대표하여 사무실이라 칭함)의 기밀구조(氣密構造)가 높아짐에 따라, 담배연기, 토너(toner), 종이가루 등의 먼지(부유 미립자)나, 악취, 또는 기타 유해물질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람의 건강을 해치고, 설비나 기기를 오염시키는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이러한 사무실 안에서, 먼지 등이 눈에 보일 정도로 심한 장소(예컨대, 흡연실 등)에서는, 환풍기를 가동시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인 대처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실내의 온도가 실외 온도의 영향을 받아, 냉·난방효과가 극단적으로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내 공기를 정화하면서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항상 환풍기를 가동시키면서 에어컨도 가동시켜 냉·온방할 필요가 있으나, 이렇게 하면 에어컨과 환풍기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필요한 최소한도의 환기로 끝내며, 에어컨의 불필요한 가동도 없이, 소비전력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기집진장치를 응용한 공기청정기(일렉트릭 에어 클리너)가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기청정기의 하나로서, 종래부터,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청정기가 존재한다. 이 공기청정기는 벽걸이식으로서, 개구부(1)로부터 실내의 오염된 공기(2)를 빨아들이는 흡인부(3)와, 프리필터(4), 전기집진유닛(5) 및 활성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탈취필터(6)가 장착되며, 여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먼지제거와 탈취를 행하는 집진부(7)와, 이 집진부(7)에서 깨끗해진 공기(8)를 실외에 불어내는 루버(louver)부착 취출부(9)와, 도시를 생략한 전원부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취출부(9)에는 전동팬(10)이 장착되며, 이 전동팬(10)에 의해 오염된 공기(2)가 개구부(1)에서 빨아들여져, 집진부(7)에서 깨끗하게 된 후, 청정한 공기(8)로 되어 취출부(9)에서 불어내어진다. 이 공기청정기에서는 흡인부(3)가 천정면을 따라 돌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내의 공기는 순식간에 정화된다. 또, 집진부(7)의 앞판은 인도식(引到式) 개폐문(11)으로 되어 있어, 프리필터(4), 전기집진유닛(5) 및 탈취필터(6)에 흡착된 오염물을 씻어내어 몇 번이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들을 적절히 빼고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21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주요부인 전기집진유닛(5)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1도는 상기 전기집진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2도는 상기 전기집진유닛을 서브유닛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제23도는 상기 전기집진유닛을 앞면측(공기의 흡인측)에서 본 사시도, 제24도는 제23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 또한 제25도는 상기 전기집진유닛을 뒷면측(공기를 불어내는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전기집진유닛(5)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화 공간영역을 형성하는 레코드 바늘모양의 니들전극(12)과, 이 니들전극(12)을 앞끝면으로 하여 돌출상태로 지지 고정하는 약 10mm각(角), 길이 5∼6cm의 각 기둥모양의 편향전극(13)과의 일체구조인 니들 편향결합전극(14, 14, …)이 종횡으로 격자모양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니들 편향결합전극(14)에, 약 20mm각, 길이 5∼6cm의 속이 빈 각통모양의 콜렉터셀(먼지 등의 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전극(15)이 공기 통로가 되는 대략 폭 5mm의 각(角) 고리모양의 빈틈이 있는 상태로 끼워 넣어지게 구성되고, 세정시에는 세정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雄)서브유닛(16)과 암(雌) 서브유닛(17)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서브유닛(16)은 상자형 프레임(이하 외부상자 프레임이라 한다)(18)을 가져서, 이 외부상자 프레임(18)의 하면에 다수의 니들 편향결합전극(14, 14, …)을 지지하며, 또한, 서로 연결되어 등전위로 된 연결지지부재(19, 19,…)가 절연플레이트(20, 20, …)를 통하여 결합됨으로서, 다수의 니들 편향결합전극(14, 14,…)이, 외부상자 프레임(18)의 내측에 격자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암서브유닛(17)은, 수서브유닛(16)의 외부상자 프레임(18)과 끼워질 수 있는 상자형 프레임(이하, 내부상자 프레임이라 한다)(21)을 가지고, 이 내부상자 프레임(21)의 내측에 다수의 콜렉터셀(15, 15, …)이 격자모양으로 짜여져 있다. 또, 니들 편향결합전극(14)과 콜렉터셀(15)과의 사이에는, 구동시, 도시를 생략한 고압직류전원으로부터 니들 편향결합전극(14)측이 양의 전위로, 콜렉터셀(15)측이 음의 전위로 되는 결선상태로, 고전압(5∼6kV)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수서브유닛(16)과 암서브유닛(17)은, 외부상자 프레임(18)과 내부상자 프레임(21)이, 제22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진 상태로 짜여짐으로,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터셀(15, 15, …)과 니들 편향결합전극(14, 14, …)이 1대1로 대응 배치되어, 요컨대, 각각의 콜렉터셀(15, 15, …) 안에, 니들 편향결합전극(14, 14, …)이, 하나씩 비접촉상태로 삽입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6도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니들 편향결합전극(14)에 직류 고전압을 걸면, 니들전극(12)의 바늘끝 주위에 일정상태의 코로나방전이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발생하여 이온화 공간영역(22)이 형성된다. 이 때, 전동팬(10)에 의해 흡인부(3)로 빨려 들어간 오염공기(2)가 이온화 공간영역(22)을 통과하면, 우선, 이온화 에너지가 낮은 산소가 전리하여 양이온으로 되고, 이것이 담배연기 등의 미립자(23, 23, …)에 부착되어 그 미립자(23, 23, …)에 양이온의 전하를 갖게 한다. 전하를 가진 미립자(23, 23, …)는, 다음 편향전극(13)과 콜렉터셀(15)과의 사이를 통과할 때, 콜렉터셀(15)에 가까운 것은 음전위의 콜렉터셀(15)에 흡착되고, 콜렉터셀(15)의 극판에서 떨어져 있는 미립자(23, 23, …)는, 편향전극(13)의 극판의 양전위에 의해, 콜렉터셀(15)의 극판방향으로 반발되어 흡착되므로, 0.01μm 정도의 미소한 것에서부터 10μm정도의 비교적 큰 것까지 효율적으로 집진되게 된다.
그런데, 니들전극(12)은, 제2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켈도금된 바늘 끝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핀부재(12)로 구성되고, 또한, 편향전극(13)은, コ자 모양의 홈에 절곡된 한 쌍의 스테인레스강 등의 절곡 전극판부재(130, 130)를, 개구면끼리를 마주 보게 하고, 또한, 대응하는 옆둘레끝 끼리를 돌출맞춤상태로 하여 각기둥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 니들 편향결합전극(14)을 제작할 때에는, 제2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절곡 전극판부재(130, 130)를, 각기둥모양으로 겹치게 한 후, 이들의 앞끝면의 이음매에 핀부재(120)의 밑동을 맞닿게 하여, 3개의 부재(120, 130, 130)의 접점으로 하고, 이 접점 둘레를 은랍(24)으로 고정함으로써, 편향전극(13)의 제작과, 편향전극(13)과 니들전극(12)과의 일체화를 동시에 행했다. 그러나, 전기집진유닛(5)에는 통상 1기(基)당 100개 전후의 니들 편향결합전극(14, 14, …)이 탑재되기 때문에, 은랍(24)을 사용하는 상기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이 때문에, 니들 방전방식 공기청정기에는, 집진력에서 우수하다는 기술적 이점이 있으면서도 원가절감 및 양산화를 꾀할 수 없다는 경제상의 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격자모양의 콜렉터셀(15, 15, …)은,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모양의 잘린 부분(이하, 잘린 슬릿이라 칭함)(25, 25, …)이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1세트의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판(이하, 셀용 전극판이라 칭함)(150, 150, …)을 잘린 슬릿(25, 25, …)의 위치에서 상하로부터 직교상태로 차례로 이맞물림시킨 간이한 구성이므로, 양산할 수 있지만, 셀용 전극판(150, 15, …)이 얇기 때문에, 제작시나 운반시에 작용하는 예기하지 못한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쉬워, 변형이 발생한 위치(동도의 부호 A로 나타낸 위치)에서는, 집진력이 극단적으로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가절감 및 양산화를 꾀할 수 있고, 기계적·열적 충격에도 견디는 우수한 전기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바늘끝의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니들전극과, 니들전극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포집전극과, 포집전극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상기 포집전극으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편향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진유닛에 있어서, 상기 편향전극은, 상기 니들전극을 부착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갖는 앞판부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상기 포집전극과 마주 대하는 측판부로 이루어지는 속이 빈 기둥구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니들전극은, 그 바늘끝이 상기 편향전극의 앞판부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그 동체부가 상기 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앞판부에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집진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제1관점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유닛의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편향전극의 앞판부에 미리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구멍직경의 상기 부착구멍을 뚫어 설치해 두고,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의 앞판부에 부착 고정할 때에는,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의 비어있는 속 내부측에서 상기 앞판부의 부착구멍에 쳐서 넣음에 의해, 상기 니들전극의 바늘끝을 상기 앞판부의 표면에서 돌출시킴과 함께,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를 상기 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서 고착시키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바늘끝의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니들전극과, 니들전극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포집전극과, 포집전극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상기 포집전극으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속이 빈 각기둥구조의 편향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진유닛에 있어서, 상기 편향전극은, 상기 니들전극을 부착고정하기 위한 제1측판부로 이루어진 제1절곡 전극판부재, 및 상기 니들전극을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제2부착구멍을 가지는 제2앞판부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상기 포집전극과 마주 대하는 제2측판부로 이루어진 제2절곡 전극판부재가 속이 빈 각기둥구조에 조합되고, 또한, 상기 제1및 제2부착구멍이 축심을 서로 대략 공동으로 한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앞판부끼리가 겹쳐지며, 상기 니들전극은, 그 바늘끝이 상기 편향전극의 제1또는 제2앞판부의 표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동체부가 상기 제1및 제2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앞판부에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집진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제2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측판부가 각각 단면이 コ자형으로 절곡 가공된 홈형부재이며, 이들 양측판부가 서로 마주 대하여 짜여짐으로써, 속이 빈 각기둥구조의 상기 편향전극이 형성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관점에 의한 상기 전기집진유닛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상기 편향 전극의 제1및 제2앞판부에 미리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구멍직경의 상기 제1및 제2부착구멍을 뚫어 설치해 두고,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에 부착 고정할 때에는, 상기 제1및 제2절곡 전극판부재를 속이 빈 각기둥구조에 조합시키고, 또한 상기 제1및 제2 부착구멍이 축심을 서로 대략 공통으로 한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앞판부 끼리를 겹치게 하여 상기 편향전극 또는 그 형태로 한 후,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 또는 그 형태의 속이 빈 내부측에서 상기 제1및 제2앞판부의 제1및 제2부착구멍에 쳐서 넣음으로써, 상기 니들전극의 바늘끝을 상기 제1또는 제2앞판부의 표면에서 돌출시킴과 함께,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를 상기 제1 및 제2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 고착시키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의하면, 바늘끝의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니들전극과, 각 니들전극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복수의 포집전극과, 각 포집전극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상기 포집전극으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모양의 편향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집전극은, 서로 등간격의 복수의 잘린 슬릿을 각각 갖는 제1및 제2 전극평탄부재가, 복수매씩 상기 잘린 슬릿의 위치에서 서로 직교상태로 이맞물림되어, 전체적으로 직각격자모양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각 잘린 슬릿은 상기 이맞물림 부위가 되는 폭이 좁은 슬릿부와, 해당 슬릿부로의 안내부가 되는 잘린 가이드부로 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슬릿부의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의 에지부분에 해당 슬릿폭을 상기 전극평판부재의 판두께 이하로 좁히는 가시부가 단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전기집진유닛이 제공된다.
전술한 제3관점에서는, 상기 각 슬릿부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의 존재에 의해 가장 폭이 좁아지는 부분이 상기 전극평판부재의 판두께보다도 3∼20μm 정도 폭이 좁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3관점에 의한 상기 전기집진유닛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포집 전극을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제1및 제2 전극평판부재를 복수매씩 서로 대응하는 상기 잘린 슬릿의 위치에서 상기 잘린 가이드부를 마주 대하는 상태로, 또한 100∼175도 교차각도(둔각)로, 서로 이맞물림시켜 감으로써, 전체적으로 직각격자모양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포집전극을 얻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내지 제3관점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유닛이, 격자모양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상기 포집전극을 갖는 암(오목형)서브유닛과, 상기 포집전극과 1대 1로 대응 배치된, 다수의 니들전극과 편향전극을 갖는 수(블록형)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오목형) 서브유닛과 상기 수(블록형) 서브유닛이 서로 탈착이 자유롭게 끼워져 부착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3관점에 의한 상기 전기집진유닛은, 흡연실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안개형태의 오일로 더럽혀진 공장 등에 설치된 전기집진장치, 디젤엔진의 배기통로에 설치된 배기매연 제거장치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1내지 제3관점에 의하면, 땜납접속이나 용접에 의존하지 않고, 타격만으로 니들전극과 편향전극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간이하면서도 단시간에 작업이 완료된다. 그 때문에, 원가절감, 양산 및 기계적·열적 충격에 대한 내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포집전극의 슬릿부에는, 다수의 가시부가 마련되어 있어, 이 가시부들에 의한 걸림효과가 작용하므로 예기하지 못한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다수의 가시부가 있어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다면 간이성과 양산성이 방해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은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행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공기청정기의 전기집진유닛(수서브유닛)에 짜 넣어지는 니들 편향결합전극의 제조방법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도는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절곡 전극판부재 중,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가 만들어져 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가 만들어져 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니들편향결합전극이 형성되어 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또한 제7도는 완성된 니들 편향결합전극의 외관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8도 내지 제15도는 동(同) 공기청정기의 전기집진유닛(암서브유닛)에 짜 넣어지는 콜렉터셀 제조방법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제8도는 셀용 전극판이 만들어져 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완성된 셀용 전극판의 평면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콜렉터셀이 형성되어 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완성된 콜렉터셀의 외관 및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또한 제15도는 제14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본 예의 공기청정기가 종래의 니들방전방식의 것과 크게 다른 것은, 첫째로 니들전극과 편향전극과의 접합수단으로서, 종래의 땜납접속이나 용접에 의한 방법 대신에 핀부재를 한 쌍의 절곡 전극판부재에 때려 넣어서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한 점, 둘째로 콜렉터셀의 변형방지수단으로서, 셀용 전극판의 잘린 슬릿에 미세한 가시부를 마련한 점이다. 이 2가지 요점을 제외하면, 이미 상세히 설명한 종래기술의 구성 및 동작원리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 각부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종래의 구성과는 다른 니들 편향결합전극 및 콜렉터셀, 특히 이들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니들 편향결합전극 및 그 제조방법부터 설명한다.
본 예의 니들 편향결합전극(26)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전극(27)과 편향전극(28)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니들전극(27)이 니켈도금된 바늘끝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핀부재(29)로 이루어지고, 편향전극(28)이 한 쌍의 스테인레스강 등의 절곡 전극판부재(30, 31)로 구성되는 점에서는 종래와 마찬가지이지만,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의 앞판부(301)와,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1)의 앞판부(311)가 도면중의 상하로 겹쳐져서 편향전극(28)이 형성되며 또한 각 앞판부(301, 311)에는 서로 축심을 공통으로 하는 핀부착구멍(ha, hb)의 양쪽에 공통의 핀부재(29)가 끼워맞춤으로 고착됨으로써, 편향전극(28)과 니들전극(27)과의 전극결합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점에서는, 종래의 것과 크게 다르다.
절곡 전극판부재(30, 31)의 성형가공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雄型)(펀치)과 암형(雌型)(다이)의 세트로 구성되는, 도시를 생략한 타발형(打拔型)을 여러 개 나란히 마련하고, 이들 타발형에 예컨대 0.5mm 두께의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판(32, 33)을 차례로 이송시켜 다양한 형태로 타발을 행하고, 이들 타발(구멍타발, 외형타발, 잘라냄)을 조합시켜 절곡 전극판부재의 전개형상(30a, 31a)을 얻으며, 얻어진 전개형상(30a, 31a)에 대해, 특히, 굽힘가공을 실시하여 입체적인 절곡형상으로 만들어 가는 것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절곡 전극판부재(30(31), 30(31), …)가 형성된다.
각 절곡 전극판부재(30, 31)에는, 상기 굽힘가공에 의해 コ자 홈형으로 절곡되어, 길이 5∼6cm의 웨브(web)(302, 312)와, 이 웨브(302, 312)를 끼우는 한 쌍의 프랜지(303, 313)가 형성되며, 더욱이 선단부도 직각으로 절곡되어 앞판부(301, 3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프랜지(303, 313)의 횡폭은, 웨브(302, 312)의 횡폭(예컨대, 약 10mm)의 대략 반정도로 설정되며, 이에 의해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와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1)가 대응하는 프랜지(303, 313)의 옆끝둘레 끼리를 돌출맞춤 상태로 하여,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의 각기둥모양의 편향전극(28)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편향전극(28)의 형성공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의 앞판부(301)의 내측에,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1)의 앞판부(311)를 외측에 배치한 상태로 양앞판부(301, 311)를 겹치게 함으로써,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쪽이 다른 쪽 절곡 전극판부재(31)보다도 판두께(t)만큼(예컨대, 0.5mm)만 길이치수가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앞판부(301, 311)도 한 변이 프랜지(303, 313)의 횡폭의 대략 2배의 치수값(에컨대, 약 10mm)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앞판부(301, 311)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컨대, 1∼3mm 직경정도의 핀부착구멍(ha, hb)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핀부착구멍(ha, hb)의 구멍직경은 핀부재(29)의 바늘끝(291)보다도 크게, 그러나, 동체부(292)보다는 약간 작게 설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의 앞판부(301)에서, 핀부착구멍(ha)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방향으로 테이퍼모양으로 함몰되어 들어간 함몰구멍으로 되고,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1)의 앞판부(311)에서, 핀부착구멍(hb)은 바깥방향쪽으로 함몰되어 들어간 함몰구멍으로 되어 있다(제6(b)도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된 절곡 전극판부재(30, 31)를 이용하여, 니들 편향결합전극(26)을 형성하려면, 우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와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1)를 서로 コ자홈 개구면을 마주 접하게 한 상태로 한다. 이 때,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프랜지(303, 313)끼리의 끝둘레와 끝둘레를 돌출맞춤시키고, 또한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의 앞판부(301)를 안쪽으로, 다른 쪽 절곡 전극판부재(31)의 앞판부(311)를 바깥쪽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착구멍(ha, hb)의 축심을 서로 가지런히 한 상태로, 2개의 앞판부(301, 311)를 겹치게 하여, 편향전극(28)의 형태를 구현한다.
그 후, 핀부재(29)를, 겹쳐진 핀부착구멍(ha, hb)에 편향전극(28) 형태의 속이 빈 내부쪽으로부터 삽입 통과시키고, 바늘끝(291)을 앞판부(311)의 표면에서 돌출시킨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핀부착구멍(ha, hb)의 구멍직경은 핀부재(29)의 바늘끝(291)보다는 크지만 동체부(292)보다는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동체부(292)는 핀부착구멍(ha, hb)에 걸려서, 편향전극(28) 형태의 속이 빈 내부에 머무른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공기 해머 등의 타격기로 핀부재(29)의 동체부(292) 뒷끝면을 타격하여, 이 타격력에 의해 굵은 직경의 동체부(292)가 가는 직경의 핀부착구멍(ha, hb)에 때려 넣어진다. 핀부착구멍(ha, hb)은 동체부(292)의 박힘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이 탄성변형에 따르는 탄성복원력·고마찰력의 발생에 의해 핀부재(29)의 동체부(292)가 핀부착구멍(ha, hb)에 긴밀히 끼워져 고착된다. 이 때, 한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0)와 다른 쪽의 절곡 전극판부재(31)도 핀부재(29)를 통해 서로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므로, 편향전극(28)도 동시에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니들 편향결합전극의 형성방법에 의하면, 땜납접속이나 용접에 의존하지 않고, 타격만에 의해 니들전극(27)과 편향전극(28)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간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작업이 완료된다.
다음에, 콜렉터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콜렉터셀(40, 40, …)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린 슬릿(41, 41, …)이 등간격으로 다수 마련된 소정 매수(枚數)의 셀용 전극판(42, 42, …)을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배열·횡배열의 2개 그룹(G1, G2)으로 나누어, 종배열 그룹(G1)의 셀용 전극판(42)과, 횡배열 그룹(G2)의 셀용 전극판(42)을 복수매씩 서로 대응하는 잘린 슬릿(41, 41, …)의 위치에서 이맞물림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격자모양으로 구성되는 점에서는 종래와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잘린 슬릿(41)의 에지(edge)에 복수의 미세한 가시부(T, T, …)를 마련한 점에서 종래의 것과 서로 다르다. 또, 이와 같은 가시부(T, T, …)를 마련한 것에 동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셀용 전극판(42, 42, …)의 이맞물림방법도 종래 방법과는 서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셀용 전극판(42)의 성형가공에서는, 수형(펀치)과 암형(다이)의 세트로 구성되는 도시생략의 타발형을 복수개 나란히 마련하고,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타발형에 예컨대 0.3mm 두께의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판(43)을 차례로 이송하여, 다양한 모양이나 동일한 모양의 타발을 행하고, 이들 타발(구멍타발, 외형타발, 잘라냄)을 조합시킴으로써,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시부(T, T, …)가 부착된 잘린 슬릿(41, 41, …)과 걸림구멍(P, P, …)이 긴 변을 따라, 또한 콜렉터셀(40, 40, …)의 횡폭 (예컨대, 약 20mm)에 대응하는 피치로 다수 배열 설치된 셀용 전극판(42)이 형성된다.
잘린 슬릿(41)의 형성에는, 단면이 짧은 슬릿형상(예컨대, 길이 약 7mm, 폭 약 1mm로, 양끝 반원형의 짧은 슬릿(S)의 형상)을 한 구멍내기 가공용 타발형 4개와, 단면이 쐐기형상을 한 잘라내기 가공용 타발형을 1개 준비하고, 구멍내기 가공용 타발형을 2개씩 서로 소정거리(길이 약 7mm의 짧은 슬릿(S) 1개만큼의 정도)를 둔 상태로 직선모양으로 나란히 마련하고, 또한 앞열과 뒷열을 서로 다르게 배열 설치한다. 그리고, 금속판(43)에 대한 이들 4개의 타발형에 의한 타발(S, S, …)을 조합시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긴 슬릿(LS)을 형성하고, 그 후, 잘라내기 가공용 타발형을 이용하여, 금속판(43)의 도면 중 윗부분에서 긴 슬릿(LS)의 도면 상단부까지의 사이를 이등변삼각형(D, D, …)의 형상으로 타발하여, 잘린 슬릿(41)을 완성시킨다. 또 잘린 슬릿(41)의 양에지의 가시부를 갖게 하는 데는, 구멍내기 가공용 타발형의 단면형상인 짧은 슬릿(S) 단부의 협상을 반원형, 타원형 등의 둥그스름한 형상, 혹은 3각형 등의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면 단부의 형상이 직각인 모서리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시부(T, T, …)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금속판(43)에는 1개의 구멍내기 가공용 타발형의 타발에 의해, 예컨대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약 7mm, 약 1mm인, 양단 반원형의 짧은 슬릿(S)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짧은 슬릿(S, S, …)이 4개, 1개의 직선 상에서, 또한 반원형의 단부와 반원형의 단부가 겹쳐져, 긴 슬릿(LS)이 형성된다. 가시부(T, T, …)는 짧은 슬릿(S)의 반원형 단부와 옆의 짧은 슬릿(S)의 반원형 단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겹쳐지기 때문에, (따라서, 반원형의 단부끼리가 부분적으로 밖에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양측의 에지에 가시모양의 타격흔적이 생김으로써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가시부(T, T)가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가 잘린 슬릿(41)의 가장 좁은 폭부(예컨대, 0.295μm)로 된다. 또한, 이등변삼각형의 가이드용 절개부(D, D, …)의 정점(頂點)과, 긴 슬릿(LS)의 반원형의 단부가 겹쳐지는 위치에도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시부(T, T)가 형성되고, 이 위치도 잘린 슬릿(41)의 가장 좁은 폭부(예컨대, 0.295μm)로 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가시부(T, T)에 있는 가장 좁은 폭부가 4곳에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잘린 슬릿(41)의 가장 좁은 폭부는, 셀용 전극판(42)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치수(예컨대, 0.3mm 두께)보다도, 3∼20μm정도 좁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잘린 슬릿(41)의 전체 길이는, 콜렉터셀(40)을 조립하기 위해, 셀용 전극판(42)의 높이의 약 반만큼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걸림구멍(P, P, …)은, 동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슬릿(LS)의 형성과 동시의 타발에 의해, 금속판(43)의 도면 중 아래변측에 있어서, 긴 슬릿(LS, LS, …)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1개씩 설치된다. 또, 셀용 전극판(42)의 도면 중의 아래변에서부터 각 걸림구멍(P)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셀용 전극판(42)의 도면 중 윗변에서부터 각 긴 슬릿(LS)의 최초의 가시부(T, T)까지의 거리와 대략 같은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셀용 전극판(42, 42, …)을 다수 이용하여, 다수의 콜렉터셀(40, 40, …)을 구성하려면, 우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셀용 전극판(42, 42, …)을 종배열·횡배열 2개의 그룹(G1, G2)으로 나누고,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배열 그룹(G1)의 셀용 전극판(42)과, 횡배열 그룹(G2)의 셀용 전극판(42)을 복수매씩 서로 대응하는 잘린 슬릿(41, 41)의 위치에, 또한 100∼175도의 교차각도(둔각)로 이맞물림시켜 감으로써(제12도는 교차각도 100도의 예, 제13도는 교차각도 175도의 예),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경사진 격자모양으로 조합시킨 후, 이것을 펼치면, 직각격자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콜렉터셀(40, 40, …)이 완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본 예의 잘린 슬릿(41)에는 다수의 가시부(T, T, …)가 있어서, 이들 가시부(T,T, …)가 있는 위치에는 슬릿폭이 셀용 전극판(42)의 판두께보다도 3∼20μm 정도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양 셀용 전극판(42, 42)이 최초부터 직교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큰 힘을 가해도, (가시부(T)는 잘린 슬릿(41)의 길이방향으로는 꺾어지지 않으므로) 양자를 이맞물림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양 그룹(G1, G2) 사이의 셀용 전극판(42, 42)끼리가, 잘린 슬릿(41, 41)끼리를 100∼130도의 교차각도(둔각)로 서로 눌러 맞춘다면, (가시부(T)는 셀용 전극판(42)의 평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는 용이하게 꺾어지므로) 큰 힘이 필요없이 간단히 이맞물림시킬 수 있으며, 이맞물림 후에 양자를 직교상태로 펼치는 것은, (가시부(T)는 셀용 전극판(42)의 평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용이하게 꺾이므로) 극히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콜렉터셀(40, 40, …)의 구성에 의하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잘린 슬릿(41)에는 가이드용 절개부(D, D, …)의 정점과, 긴 슬릿(LS)의 반원형 단부가 겹쳐지는 위치에 가시부(T, T)가 있는 것 외에, 긴 슬릿(LS)의 내부에도 다수의 가시부(T, T)가 있으므로, 가시부(T, T, …)에 의한 걸림효과가 작용하여 예기하지 못한 외력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다. 즉,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땜납접속이나 용접에 의존하지 않고 타격만에 의해, 니들전극과 편향전극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간이하면서도 단시간에 작업이 완료된다. 그 때문에, 원가절감화 및 양산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포집전극의 슬릿부에는 다수의 가시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가시부에 의한 걸림효과가 작용하므로 예기하지 못한 외력에 의한 변형에 일어나기 어렵다. 또, 다수의 가시부가 있어도, 본 예의 제조방법에 의한다면, 간이성과 양산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설계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에컨대, 니들전극, 콜렉터셀, 잘린 슬릿 및 가시부의 형상이나 개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コ자 홈형의 절곡 전극판부재(30, 31)를 이용하여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angle)형의 절곡 전극판부재(50, 51)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전극판부재는 절곡판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판, 곡선판이어도 좋고, 2개의 부재를 1세트로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부재를 1세트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유닛을 사무실 설치용 공기청정기에 탑재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안개형태의 오일로 더럽혀진 공장 등에 설치된 전기집진장치에 탑재해도 바람직하고, 게다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젤차량(62)의 엔진배기통로(63)에 부착되어 배기가스(64) 중의 탄소미립자(매연)(65)를 포집하는 배기매연 제거장치에 전기집진유닛(61, 61)으로서 탑재해도 좋다.

Claims (15)

  1. 바늘끝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니들전극과, 니들전극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포집전극과, 포집전극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상기 포집전극으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편향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전유닛에 있어서, 상기 편향전극은, 상기 니들전극을 부착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갖는 앞판부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상기 포집전극과 마주 대하는 측판부로 이루어지는 속이 빈 기둥구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이와 함께, 상기 니들전극은, 그 바늘끝이 상기 편향전극의 앞판부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그 동체부가 상기 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앞판부에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유닛.
  2. 상기 편향전극의 앞판부에, 미리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구멍직경의 상기 부착구멍을 뚫어 설치해 두고,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의 앞판부에 부착 고정할 때에는,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의 비어있는 속 내부측에서부터 상기 앞판부의 부착구멍에 쳐서 넣음에 의해, 상기 니들전극의 바늘끝을 상기 앞판부의 표면에서 돌출시킴과 함께,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를 상기 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서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전기집진유닛의 제조방법.
  3. 바늘끝의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니들전극과, 니들전극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포집전극과, 포집전극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상기 포집전극으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속이 빈 각기둥구조의 편향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진유닛에 있어서, 상기 편향전극은, 상기 니들전극을 부착고정하기 위한 제1 부착구멍을 갖는 제1앞판부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상기 포집전극과 마주 대하는 제1 측판부로 이루어진 제1 절곡 전극판 부재, 및 상기 니들전극을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부착구멍을 가지는 제2 앞판부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상기 포집전극과 마주 대하는 제2측판부로 이루어진 제2절곡 전극판부재가 속이 빈 각기둥구조에 조합되고, 또한, 상기 제1및 제2부착구멍이 축심을 서로 대략 공통으로 한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 앞판부끼리가 겹쳐지며, 상기 니들전극은, 그 바늘끝이 상기 편향전극의 제1및 제2앞판부의 표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동체부가 상기 제1및 제2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 앞판부에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측판부는, 각각 단면이 コ자형 또는 앵글(angle)형으로 절곡가공된 홈형부재이며, 이들 양측판부가 서로 마주 대하여 짜여짐으로써, 속이 빈 각기둥구조의 상기 편향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유닛.
  5. 상기 편향전극의 제1및 제2앞판부에 미리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구멍직경의 상기 제1및 제2 부착구멍을 뚫어 설치해 두고,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에 부착 고정할 때에는, 상기 제1및 제2절곡 전극판부재를 속이 빈 각기둥구조에 조합시키고, 또한 상기 제1및 제2 부착구멍이 축심을 서로 대략 공통으로 한 상태로, 상기 제1및 제2앞판부 끼리를 서로 겹치게 하여 상기 편향전극 또는 그 형태로 한 후, 상기 니들전극을 상기 편향전극 또는 그 형태의 속이 빈 내부측에서 상기 제1및 제2 앞판부의 제1및 제2 부착구멍에 쳐서 넣음으로써, 상기 니들전극의 바늘끝을 상기 제1또는 제2앞판부의 표면에서 돌출시킴과 함께, 상기 니들전극의 동체부를 상기 제1및 제2부착구멍에 긴밀히 끼워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전기집진유닛의 제조방법.
  6. 바늘끝 주위에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기체 중의 미립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니들전극과, 각 니들전극에 대응하여 통모양으로 설치되어 대전미립자를 정전기력으로 흡인포집하기 위한 복수의 포집전극과, 각 포집전극 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대전미립자에 상기 포집전극으로 향하는 편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모양의 편향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집진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집전극은, 서로 등간격의 복수의 잘린 슬릿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전극평판부재가, 복수매씩 상기 잘린 슬릿의 위치에서 서로 직교상태로 이맞물림되어, 전체적으로 직각격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각 잘린 슬릿은 상기 이맞물림 부위가 되는 폭이 좁은 슬릿부와, 해당 슬릿부로의 안내부가 되는 잘린 가이드부로 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슬릿부의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의 에지부분에 해당 슬릿폭을 상기 전극평판부재의 판두께 이하로 좁히는 가시부가 단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릿부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의 존재에 의해 가장 폭이 좁아지는 부분이 상기 전극평판부재의 판두께보다도 3∼20μm 정도 폭이 좁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유닛.
  8. 상기 포집전극을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제1및 제2전극평판부재를 복수매씩 서로 대응하는 상기 잘린 슬릿의 위치에서 상기 잘린 가이드부를 마주 대하는 상태로, 또한 100∼175도 교차각도(둔각)로, 서로 이맞물림시켜 감으로써, 전체적으로 경사진 격자모양으로 조합시킨 후, 이를 사각형으로 넓힘으로써, 전체적으로 직각격자 모양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포집전극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전기집진유닛의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유닛은, 격자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포집전극을 갖는 암(오목형)서브유닛과, 상기 포집전극과 1대1로 대응 배치된, 다수의 니들전극과 편향전극을 갖는 수(볼록형)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오목형)서브유닛의 상기 수(볼록형)서브유닛이 서로 탈착이 자유롭게 끼워져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유닛.
  10. 공기취입구와 공기취출구를 구비하는 장치상자체의 내부에, 제3항에 기재된 전기집진유닛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유닛이 상기 장치상자체에 탈착이 자유롭게 수납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공기취입구와 공기취출구를 구비하는 장치상자체의 내부에, 제3항에 기재된 전기집진유닛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유닛이 상기 장치상자체에 탈착이 자유롭게 수납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4. 배기가스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고, 상기 전기집진유닛을 수납상태로 유지하는 장치상자체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유입구가 디젤엔진의 배기통로에 부착됨으로써, 배기 중의 미립자를 전기적 제어에 의해 포집하는 배기미립자 포집장치에 있어서, 제3항에 기재된 전기집진유닛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유닛이 상기 장치상자체에 탈착이 자유롭게 수납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KR1019970014550A 1996-04-23 1997-04-18 전기 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KR100241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01173A JP2733908B2 (ja) 1996-04-23 1996-04-23 電気集塵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ユニットを用いる空気清浄機、電気集塵装置及び黒煙捕集装置
JP96-101173 1996-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38A KR970069138A (ko) 1997-11-07
KR100241082B1 true KR100241082B1 (ko) 2000-02-01

Family

ID=1429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550A KR100241082B1 (ko) 1996-04-23 1997-04-18 전기 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925170A (ko)
EP (1) EP0803289B1 (ko)
JP (1) JP2733908B2 (ko)
KR (1) KR100241082B1 (ko)
CN (1) CN1168542C (ko)
CA (1) CA2203333C (ko)
DE (1) DE69703462T2 (ko)
MY (1) MY123072A (ko)
SG (1) SG71024A1 (ko)
TW (1) TW3415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38B2 (ja) * 1997-03-07 2000-01-31 株式会社オーデン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9438B1 (ja) 1999-05-31 2000-07-04 株式会社オーデン 電気集塵ユニット
JP3287468B2 (ja) * 1999-11-15 2002-06-04 株式会社オーデン 電気集塵ユニット
FR2818451B1 (fr) * 2000-12-18 2007-04-20 Jean Marie Billiotte Dispositif electrostatique d'emission ionique pour deposer une quantite quasi homogene d'ions sur la surface d'une multitude de particules aerosols au sein d'un fluide en mouvement.
TW505934B (en) * 2001-02-01 2002-10-11 Luxon Energy Devices Corp Manufacture method of electrochemical capacitor
SE519290C2 (sv) * 2001-07-16 2003-02-11 Ragne Svadil Luftrenare
US6761752B2 (en) * 2002-01-17 2004-07-13 Rupprecht & Patashnick Company, Inc. Gas particle partitioner
FR2841484B1 (fr) * 2002-06-26 2004-09-10 Boucq De Beaudignies Ghisla Le Dispositif et procede de filtration de l'air et des gaz avec regeneration des particules captees
US6758884B2 (en) * 2002-08-07 2004-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filtration system using point ionization sources
US7141098B2 (en) * 2004-01-22 2006-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filtration system using point ionization sources
KR100603515B1 (ko) * 2004-02-27 2006-07-20 안강호 코로나방전을 이용한 초미립자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0231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필터 살균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283192B (en) * 2004-12-21 2007-07-01 Ind Tech Res Inst A flat-plate type static dust-connecting device
US7537471B2 (en) * 2006-11-22 2009-05-26 Sandisk Il, Ltd. Systems of reliably interconnectable reversible USB connectors
JP2009214048A (ja) * 2008-03-11 2009-09-24 Daikin Ind Ltd 集塵装置
US9272291B2 (en) * 2012-08-27 2016-03-01 Energy &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Foundation Stag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3623931A (zh) * 2013-12-06 2014-03-12 朝阳双凌环保设备有限公司 调质器正电荷电极装置及其应用
US9631554B2 (en) * 2014-01-14 2017-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static charge control inlet particle separator system
CN104607319B (zh) * 2015-01-05 2017-10-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放电针安装结构和空气净化装置
CN104741231B (zh) * 2015-03-23 2017-05-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组件、空气净化装置以及空调器
CN104741234B (zh) * 2015-03-30 2017-05-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组件、空气净化装置及空调器
KR20170051893A (ko) * 2015-11-03 2017-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식 집진필터
KR102629819B1 (ko) * 2016-02-19 2024-0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6269256A (zh) * 2016-08-10 2017-01-04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烟气净化的电除雾器
CN107339133A (zh) * 2017-07-14 2017-11-10 太仓诚泽网络科技有限公司 车用尾气净化系统
CN107520056B (zh) * 2017-08-30 2024-04-09 苏州必世洁机电有限公司 一种新型静电除尘设备
KR102586516B1 (ko) * 2018-07-2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RU2701305C1 (ru) * 2019-01-22 2019-09-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тмосфер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осадительного электрода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DE102020110597B3 (de) * 2020-04-17 2021-04-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statische Luftfiltervorrichtun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JP7398607B2 (ja) * 2020-11-17 2023-12-15 アハ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空気中の有害物質及びウイルス除去性能が改善された空気浄化器
KR102287838B1 (ko) * 2020-12-03 2021-08-09 (주)아하정보통신 다수의 격자형 방전구조를 갖는 모듈타입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217109926U (zh) * 2021-05-12 2022-08-02 微喂苍穹(上海)健康科技有限公司 一段式空气消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4183A (en) * 1948-10-01 1952-07-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3144881A (en) * 1961-08-18 1964-08-18 Joy Mfg Co Construction element
DE2031704A1 (en) * 1970-06-26 1971-12-30 Goeppner Kaiserslautern Eisen Discharge electrode for precipitator - comprising metal flats intersecting to form grid having form stability
US4056308A (en) * 1976-03-03 1977-11-01 Xerox Corporation Variable focal length reflector lens system
JPS56939A (en) * 1979-06-16 1981-01-08 Taisan Nagaoka Dust collecting cassette filter-type air cleaning device buried in ceiling
JPS5710868A (en) * 1980-06-24 1982-01-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lerk processing method of automatic transaction processing equipment
US4406983A (en) * 1981-12-29 1983-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ional magnetic transducer
JPS61107957A (ja) * 1984-11-01 1986-05-2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装置
JPS63118247A (ja) * 1986-11-06 1988-05-23 大倉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型枠用複合木質板
JPH0749769B2 (ja) * 1988-07-29 1995-05-31 マツダ株式会社 V型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H02172545A (ja) * 1988-12-23 1990-07-04 Hiroaki Kanazawa 空気清浄機
JPH03161059A (ja) * 1989-11-20 1991-07-11 Matsushita Seiko Co Ltd 集麈ユニット
JPH0427908A (ja) * 1990-05-23 1992-01-30 Fuji Photo Film Co Ltd 走査型顕微鏡の視野探し装置
TW332802B (en) * 1992-06-04 1998-06-01 Nippon Denso Co The air purifier
JPH0692343A (ja) * 1992-09-04 1994-04-05 Shinwa Kogyo Kk 函の中仕切材
JP3499602B2 (ja) * 1994-07-19 2004-02-23 ミドリ安全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1531B (en) 1998-10-01
CN1174099A (zh) 1998-02-25
DE69703462T2 (de) 2001-06-28
SG71024A1 (en) 2000-03-21
CA2203333A1 (en) 1997-10-23
EP0803289B1 (en) 2000-11-08
JPH09285739A (ja) 1997-11-04
EP0803289A1 (en) 1997-10-29
US5925170A (en) 1999-07-20
CN1168542C (zh) 2004-09-29
US5928592A (en) 1999-07-27
KR970069138A (ko) 1997-11-07
MY123072A (en) 2006-05-31
JP2733908B2 (ja) 1998-03-30
CA2203333C (en) 2004-11-16
DE69703462D1 (de) 200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082B1 (ko) 전기 집진유닛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유닛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전기집진장치 및 배기미립자 포집장치
JP3004938B2 (ja)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2039432B1 (en) Dust collector
JP3287468B2 (ja) 電気集塵ユニット
US6454839B1 (en) Electrofiltration apparatus
KR100786689B1 (ko) 공기 정화기
AU2007259678B2 (en) Dust collector
JP4603763B2 (ja) 電気集塵ユニット
EP1058066A2 (en)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US20060180027A1 (en) Ionic air conditioning system
JPH09313981A (ja) 電気集塵装置
JP3033859U (ja) 空気清浄機
JP2006068581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清浄装置
KR200193584Y1 (ko) 전기 집진기
KR102405895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대전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
WO2006039562A2 (en) Air conditioner system including pin-ring electrode configuration with a pin-ring electrode cleaning mechanism
KR101970705B1 (ko) 공기조화설비에 적용되는 전기집진 장치
JP3235014B2 (ja) 電気集塵装置
JPH08173843A (ja) 空気清浄装置
US7298075B2 (en) Discharge electrode for use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932365B2 (ja) オゾン発生装置
US20240085039A1 (en) Air conditione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H0985125A (ja) 電気集塵式エレメントの集塵部及び電気集塵式エレメント
JPH09150075A (ja) 空気清浄機
JPH0429766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