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855B1 -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 - Google Patents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855B1
KR100238855B1 KR1019960048761A KR19960048761A KR100238855B1 KR 100238855 B1 KR100238855 B1 KR 100238855B1 KR 1019960048761 A KR1019960048761 A KR 1019960048761A KR 19960048761 A KR19960048761 A KR 19960048761A KR 100238855 B1 KR100238855 B1 KR 10023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upply
toner
supply container
hopp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604A (ko
Inventor
유다까 반
사이지로 엔도
교따 미야자끼
겐 와까쓰끼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7002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와 상기 토너 저장부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개구와 상기 수납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와 상기 수납 개구의 각 종방향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 부재를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셔터 부재를 해제하는 토너 공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 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셔터의 상부 편과 기부 편 사이의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토너가 공급되도록 토너 공급 용기가 끼워 맞춤되는 토너 호퍼의 외부 사시도.
제7도는 제1 로킹 기구(8) 외부 사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로킹 상태에서의 제1 로킹 기구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로킹 해제 상태에서의 제1 로킹 기구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10(a)도, 제10(b) 및 제10(c)도는 제2 로킹 기구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하는, 제2 로킹 기구의 측면도.
제11도는 호퍼에 토너 공급 용기가 어떻게 끼워 맞춤되는가와, 시일 필름이 어떻게 벗겨지는가와, 토너가 어떻게 호퍼 내로 공급되는가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2도는 토너 재충전 용기가 개봉된 시점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와 호퍼 사이의 결합부의 전방측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3도는 팝업(pop-up) 기구의 사시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팝업 기구의 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로킹 기구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제17도는 종래의 토너 공급 용기 및 종래의 호퍼의 사시도.
제18도는 호퍼로 공급되는 토너를 공급하는 종래의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너 공급 용기 본체 2: 상부 편
3: 기부 편 4: 시일 필름
5, 13: 캡 6: 호퍼
7: 호퍼 뚜껑 8: 제1 로킹 기구
9: 제2 로킹 기구 10: 팝업 기구
11: 토너 12: 용기
14: 셔터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말 형태의 토너를 사용하는 정전 기록식, 전자 사진식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분말 형태의 토너는 정전식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제로서 채택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토너가 소비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를 사용하여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일정량의 새로운 토너가 재충전된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토너 공급 용기는 일반적으로 상자 형태의 실질적인 용기부와, 플렌지와, 가요성 필름을 포함한다. 플랜지는 실질적인 용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요성 필름은 열 융착 등의 수단에 의해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토너 공급 용기를 완전히 비우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엎질러지고 흩뜨려지기 쉬운 소량의 토너가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 내에 잔류하게 한다.
전술한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336565호는 용기가 재밀봉될 수 있게 하는 셔터가 마련된 토너 공급 용기를 제한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토너 공급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의 토너는 복사기의 주 조립체 측에 마련된 토너 호퍼 또는 현상 장치에 의해 수용된다. 호퍼 또는 현상 장치들 중 일부에는, 토너가 흩뜨려져 장치를 오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거나, 잘못된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에 의해 야기되는 토너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셔터(이하, "호퍼 뚜껑"라 한다)가 마련된다(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공보 제20681/1995호).
도17 및 도18은 토너 공급 용기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모두에 셔터부재가 마련된 토너 공급 장치를 도시한다.
도17은 토너 공급 용기 및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18은 토너 공급 용기 내의 토너가 호퍼 내로 배출되는 동안의 토너 용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토너 공급용기의 단면도이다.
먼저, 토너 공급 용기의 후방측의 팁(1j)은 호퍼의 후방측 내로 삽입되고 나서, 토너 공급 용기는 전방측을 낮추도록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후에,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는 마지막 단계로서, 전방측의 로킹 해제 돌출부(1g)는 호퍼의 로킹 기구와 결합한다.
도18에서,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설치된 후에 토너가 호퍼로 공급되고 있으며, 토너 공급 용기(1)는 개봉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1)는 팝업(pop-up) 기구의 탄성 부재(10b, 판 스크링)로부터 일정한 상방 압력을 받는다. 이러한 상방 압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토너 공급 용기(1)의 팁(1j)은 호퍼 벽의 내향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는 일정 거리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는다. 그러나, 팁(1j)과 호퍼 벽 사이의 접촉은 2개의 강성 부재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는 2개의 부재의 치수 관점에서의 생산 오차를 고려하여 일정량의 공차를 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차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하는 데 있어서 상당히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공차의 제공은 토너 공급 용기가 팝업 기구로부터의 상방 압력에 의해 일정거리만큼 상승되게 하며, 이는 기밀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에도 불구하고, 토너 충전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한 토너는 누설되지 않는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를 50회 흔들어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켜 토너의 전체밀도를 감소시켜서 토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나서 장착하여 개봉하면, 토너는 옅은 연기처럼 누설되었다.
동일한 토너 공급 용기(1)를 50회 흔들고 난 바로 직후에 토너를 호퍼(6) 내로 바로 배출시켰었다(소위, 제2 충전). 이러한 경우에도, 이전처럼 토너가 누설되었다.
근년에, 토너 기술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는 결과, 개량된 토너가 많이 상품화되었다. 또한, 기술 개발는 복사기, 프린터 등에 칼라화 능력을 부여하였다. 결국, 흑색 토너 이외의 이용할 수 있는 칼라 토너의 숫자도 빠른 성장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이러한 경향은 토너 공급 용기에는 잘 맞지 않는다. 대신에, 용기 설계를 표준화하고 금속 성형 생산에 필요한 투자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형의 용기 설계가 신형 토너용 용기에 도입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용기 내에 다양한 토너가 충전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상황에서, 토너 혼합이 때때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변화되는 돌출부가 종래의 토너 공급 용기의 측벽 상에 형성되거나, 이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그 위치 또는 개수가 변화되는 노치 또는 돌출부가 플랜지의 후방 귀퉁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호퍼 뚜껑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전방측에 마련된 돌출부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모든 토너 공급 용기의 외관은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용기의 전방측에만 주의하게 되는 사용자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가 잘못 장착되며 호퍼 뚜껑이 개방될 가능성이 많다. 드문 경우이지만, 토너 공급 용기가 적절히 장착되지 않은 경우라 해도 토너 용기가 강제로 개방되어 호퍼가 잘못된 토너로 충전되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토너 공급 용기가 적절히 설치된 후에만 호퍼 셔터가 개방되게 하는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수에 의해 호퍼가 잘못된 토너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 저장부와, 토너가 토너 저장부 내로 충전될 수 있게 하는 개구와, 개구를 노출시키거나 덮는 셔터 부재와,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수단이 개구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용기가 상기 셔터 부재의 로킹에 의해서 장착됨에 따라 상기 로킹 수단이 해제되는 토너 공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와, 상기 토너 저장부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와, 상기 수용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와, 상기 수용 개구의 종방향 단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상기 셔터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수단은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셔터 부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와, 상기 수용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호퍼 셔터 부재와, 상기호퍼 셔터 부재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와 다른 하나의 종방향 단부를 로킹하기 위한 제1 로킹 수단 및 제2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 개구를 가지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용기 본체와, 상기 제1 로킹 수단에 의한 상기 호퍼 셔터 부재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토너 용기에 제공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로킹 수단에 의한 상기 호퍼 셔터 부재의 로킹을 해제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할 때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구조]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토너 공급 용기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토너 공급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완전히 조립된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4는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5는 셔터의 상부 편과 기부 편 사이의 겹합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면 부호 1은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 2는 셔터의 상부 편, 3은 셔터의 기부 편, 4는 시일 필름, 5는 캡을 나타낸다.
용기 본체(1)는 박스 형태로 된 토너 저장부(1a), 이 토너 저장부(1a)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1b)를 포함한다. 토너 저장부(1a)는 토너 충전 개구(1c)를 갖추고 있으며, 플랜지부(1b)는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토너 배출 개구, 1d)를 갖추고 있다. 토너 배출 개구(1d)를 밀봉하기 위하여 시일 필름(4; 4a)은 플랜지부(1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플랜지부(1b)에는 U자형 가이드부(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를 따라서 셔터의 상부 편(2)이 삽입되어서 보유된다. 시일 필름(4)의 일단은 셔터의 상부 편(2) 주위를 감싸는 방식으 로 절첩되어 젖혀져 전방측으로 연장된다. 셔터의 기부 편(3)은 시일 필름(4)의 절첩부(4b)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셔터의 상부 편(2)에 결합되어 토너 공급 용기를 완성하게 된다. 완성된 토너 공급 용기는 소정 양의 토너로 충전되며, 캡(5)은 토너 충전 개구(1c)쪽으로 밀어진다.
제1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돌출부(1f)는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의 후방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돌출부(1g)는 플랜지부의 전방측의 측방향 모서리와 일체로 형성된다.
[토너 공급 용기 제조 방법]
토너 저장부(1a) 및 플랜지부(1b)를 일체로 포함하는 토너 공급 용기 본체(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례로 충격 저항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로 성형된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 본체(1)는 돌출부(1f, 1g)가 로킹된 토너 호퍼를 해제할 수 있도록 또는 가이드부(1e)가 셔터의 상부 편(2)을 보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용기 본체는 용기의 운반 중에 또는 떨어뜨렸을 때 생기는 여러 가지의 진동 및 충격을 견뎌야 한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 본체(1)는 시일 필름(4)이 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적정량의 습윤성(wettablity)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에 설명한 모든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HI-PS가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ABS), 또는 산화 폴리페닐렌 수지(PPO) 등의 합성 수지를 HI-PS에 부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목재 또는 종이 등의 여러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토너 공급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사출 성형법은 용기 벽의 두께(얇음) 및 용기의 형상의 측면에서 보다 큰 허용 범위를 허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출 성형법이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선정된 재료에 따라서는 진공 성형, 압축 성형 또는 취입 성형 등의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셔터의 상부 편(2) 및 기부 편(3)은 토너 공급 용기가 운반되거나 보관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내압에 대하여 시일 필름(4)을 보유하기 위한 강성 및 이후에 설명하는 것처럼 구조물이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스냅 끼워맞춤을 위한 탄성을 필요로 한다.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HI-PS 및 사출 성형법을 사용하여 셔터의 상부 편(2) 및 기부 편(3)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합성 수지 및 다른 제조 방법을 토너 공급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셔터의 상부 편(2) 및 기부 편(3)은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토너 공급 용기를 조립하는 것을 보다 간단하게 한다. 그러나, 열 크림핑(thermal crimping), 초음파 크림핑 및 보스들을 대응 구멍 안으로 가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셔터의 상부 편(2) 및 기부 편(3)은 힌지와 같은 기능을 갖는 얇은 부분의 반대쪽 단부에서만 상기의 여러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상세 구조]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
한 쌍(좌우)의 돌출부(1f)는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의 후방 단부에 마련된다.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돌출부(1f)는 토너 호퍼(6)의 제1 로킹 부재(8)를 상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제1 로킹 부재(8)를 해제한다.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호퍼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 돌출부(1f)는 로킹 부재로부터의 일정한 하방 가압력 하에 유지되고, 플랜지부(1b)의 바닥면이 호퍼(6)에 기밀식으로 접촉하게 위치하도록 플랜지부(1b)에 상기 가압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돌출부(1f)는 이 실시에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역 T자형 단면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역 T자형 단면이 돌출부(1f)에 강성 또는 변형 저항을 부여하고, 운반 중에 토너 공급 용기를 떨어뜨렸을 때 일어날 수도 있는 충격에 의한 돌출부(1f)의 파손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돌출부(1f)에 충분한 강성 및 낙하 시의 충격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것이면, L자형, I자형, H자형 또는 U자형 등의 다른 단면 형상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1f)의 만곡부 및 돌출부(1f)의 기부(1h)는 충분한 반경(R), 즉 적어도 R5, 바람직하게는 R20 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는 하방 압력을 수용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의 측 방향 모서리를 호퍼에 기밀식으로 접촉하게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돌출부(1f)는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우측에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돌출부가 하나로 되어 있으나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될 수도 있다. 돌출부(1f)의 위치는 이후에 설명하는 것처럼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팝업 돌출부(1i)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는 플랜지부의 각 측방향 모서리의 전방측과 일체로 형성된다.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이 돌출부(1g)는 호퍼 뚜껑의 제2 로킹 부재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이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토너 공급 용기 및 토너 호퍼 뚜껑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토너 공급 용기 및 토너 호퍼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들을 함께 고정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돌출부(1g)는 시일 필름(4) 및 이 시일 필름(4)의 이동을 따르는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이 당겨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부(1b)의 측방향 모서리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를 고정 유지하기 위해서는, 돌출부(1g)의 개수 및 위치가 이 실시예에 마련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돌출부(1g)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좌우측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의 형상은 그 위에서 작동하는 로킹 부재의 형상 및 작동에 좌우되지만, 돌출부 자체가 로킹 부재에 안내될 수 있도록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가 고정 유지되게 하는 표면으로서의 평면 구역이 돌출부(1g)의 상부측에 마련되도록 돌출부(1g)의 바닥측은 R자형을 취하거나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반 중에 떨어져서 돌출부(1g)가 그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돌출부(1g)의 귀퉁이부 또는 기부도 상기에 설명한 후방측에 있는 돌출부(1f)와 동일한 라운딩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공급 용기의 천정측 형상]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의 천정측 형상은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 측보다 낮게 그리고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측 보다는 높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이 형상은 토너가 호퍼 안으로 배출될 때 높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이드부(1e)의 형상(빗 모양)]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의 플랜지부(1b)는 대체로 U자형인 가이드부(1e)를 갖추고 있다. 셔터의 상부 편(2)은 상기 가이드부(1e)를 따라 삽입되어 그 안에 유지된다.
U자형 가이드부(1e)의 골부의 깊이(셔터의 폭방향 깊이)가 클수록 셔터를 견고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깊이가 커지면 셔터의 상부 편(2)을 활주시키는 데 필요한 힘도 커지게 되어 셔터를 개방시키기 어렵게 되고 골부가 깊기 때문에 크기를 소형으로 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와 달리, 가이드부(1e)가 너무 얕으면 셔터의 상부 편(2)이 활주할 때 빠지게 되고 운반 중의 낙하 충격 또는 내압 증가로 인해 이탈되어 떨어지기가 쉽다. 또한,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가이드부(1e)의 바닥면도 토너 공급 용기 및 호퍼를 기밀식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 밀봉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 안내부(1e)는 적절한 깊이를 가져야 하며, 즉 U자형 골부는 적절한 깊이를 가져야 한다. 위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U자형 골부의 깊이는 1㎜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깊이는 실제로 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U자형 폭(셔터의 두께 방향 치수)은 안내부(1e)의 U자형 홈과 결합하는 셔터의 상부 편(2)의 부분의 두께에 따라 설정된다. U자형 폭이 셔터의 상부 편(2)의 두께에 비해 너무 크면, 셔터의 상부 편(2)과 안내부(1e) 사이의 끼워맞춤은 매우 헐거워지고, 셔터를 이탈시켜 떨어지게 하고, 또한 운반 중에 낙하 충격과 내압 증가에 대하여 시일 필름(4)을 지지하는 셔터의 효율성은 감소된다. 반면에, 셔터의 두께와 U자형 폭 사이의 차이가 불충분하면, 셔터를 활주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토너 공급 용기의 성형 중에 발생하는 구성 부품의 휨 등으로 인해 매우 커지게 되는 데, 이러한 문제점은 용기를 개봉할 때에 발생한다.
전술된 이유로 인해, U자형 폭이 셔터의 상부 편(2)의 결합부의 두께보다 0.1㎜ 내지 0.5㎜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U자형 폭이 셔터의 상부 편(2)의 결합부의 두께보다 약 0.3㎜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안내부(1e)는 토너 공급 용기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되나, 안내부(1e)가 토너 공급 용기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분리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1e)의 분리 편 사이의 간격 제공은 셔터의 상부 편(2)과 안내부(1e)사이의 접촉 영역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고, 따라서 셔터의 상부 편(2)을 활주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인다.
또한, 안내부(1e)가 한 개의 연속 편으로 구성될 때, 토너가 안내부(1e)로 들어가게 되면, 셔터가 닫힐 때마다, 안내부(1e)로 들어간 토너는 용기의 후방을 향해 모이고 후방에 수집되어, 결국 셔터의 폐쇄가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안내부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분리된 부분으로 구성될 때, 토너가 안내부(1e)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토너는 간격으로부터 배출되어 후방에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토너가 후방에 쌓이는 그러한 상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셔터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 필름(4)의 융착 및 시일 필름(4)의 층 구조]
시일 필름(4)은 토너 배출 개구(1d)의 주변 모서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부착 방법에 있어서, 판 열 융착(heat plate welding)은 부착 강도를 용이하게 제어 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며, 또한 생산성이 뛰어나다. 전술된 판 열 융착 외에, 초음파 융착과 충격 밀봉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시일 필름(4)은 접착제를 코팅하거나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의 개봉을 위해서는 시일 필름(4)을 벗겨낸다. 시일 필름(4)을 벗겨낼 때, 그 둘레에 시일 필름(4)이 덮여 있는 셔터의 상부 편(2)과 전술된 방식으로 상부 편(2)에 연결되는 셔터의 기부 편(3)이 동시에 잡아당겨진다. 따라서, 시일 필름(4)은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져야 하며 셔터의 상부 편 모서리와 마찰하면서 잡아당겨질 때 파열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시일필름(4)은 전술된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서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에 부착 가능해야 하며 그 부착 강도 또한 적절해야 한다. 판 열 융착을 이용할 때, 시일 필름(4)은 다음의 층 구조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 층 : 인발 폴리에스테르 16㎛
제2 층 : 인발 나일론 25㎛
제3 층 : 저 밀도 폴리에틸렌 30㎛
제4 층 : 밀봉제 층(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40㎛
위의 필름 외에, 단일 축 방향으로 신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양 축 방향으로 신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부직성 폴리에틸렌 섬유 등은 파열이 용이하지 않은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필름의 전체 두께에 있어서, 그 전체 두께가 불충분할 때, 필름은 강도가 부족하여 파열되기 쉽다. 반면에, 전체 두께가 과도할 때에 필름은 지나친 탄성을 얻게 되어서 셔터의 상부 편(2) 주위로 잡아당겨질 때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필름의 전체 두께는 필름의 재질과 구조에 따라, 30 내지 300㎛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 열 융착을 이용하여, 시일 필름(4)을 HI-PS로 형성된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에 융착시키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조건으로는, 온도가 약 160℃이고, 지속기간이 약 3초이고, 압력(표면압력)이 약 20kg/㎠이다.
[셔터의 상부 편(2)]
셔터의 상부 편(2)은 시일 필름(4)의 부착부(4a)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토너 공급 용기가 사용된 후에 용기 내에 남아있는 소량의 토너가 주변 부분으로 흩트러져 오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배출 개구(1d)가 용이하게 폐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시일 필름(4)은 전술된 열 융착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토너 배출 개구(1d)의 주변 모서리에 부착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개봉할 때 시일 필름(4)이 시일 필름(4)이 벗겨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착 강도가 너무 커지지 않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일 필름(4)과 토너 배출 개구(1d)의 주변 모서리 사이만의 부착 강도로는 충분하지 않다. 일례로, 토너 공급 용기가 운반 중에 떨어지면, 충격으로 인해 토너가 시일 필름(4)으로 쏠리게 되고, 토너 공급 용기의 내압이 고온 환경 또는 저압 환경에서 증가되거나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면, 시일 필름(4)의 부착부가 들어올려지거나 벗겨지기 쉽다. 그러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의 상부 편(2)은 전술된 충격 또는 내압에 대하여 시일 필름(4)을 지지하기 위해 시일 필름(4)에 매우 가까이 배치된다. 따라서, 셔터의 상부 편(2)은 지지 기능을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셔터의 상부 편(2)의 두께는 1.5㎜ 이상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그 두께는 2.5㎜이다.
[셔터의 기부 편(3)]
셔터의 기부 편(3)은 시일 필름(4)을 구속하는 방식으로 셔터의 상부 편(2)에 결합된다. 시일 필름(4)이 잡아당겨질 때, 셔터의 기부 편(3)은 토너가 달라붙는 필름 표면을 완전히 덮도록 함으로써 호퍼 뚜껑의 상부면이 시일 필름(4)에 달라붙는 토너에 의해 오속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셔터의 기부 편(3)은 셔터의 상부 편(2)과 같은 큰 강도를 갖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기부 편(3)의 두께에 대해, 1.0㎜이상의 두께는 충분하며, 1.5㎜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그 두께는 1.5㎜이다.
시일 필름(4)의 절첩부(4b)는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 사이에서 삽입된다. 삽입할 때, 시일 필름(4)의 밀봉제 층의 표면은 셔터의 기부 편(3)과 대향한다.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시일 필름(4)의 밀봉제 층은 그 대향 부재에 부착되기 쉬우므로 용기를 개봉할 때 문제를 야기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 필름(4)과 대향하는 셔터의 기부편(3)의 표면은 미세한 정점부 및 골부의 제공으로 거칠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점부 및 골부는 주름 표면을 갖는 다이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형덩된다.
[셔터의 상부 및 기부 편(2, 3)의 결합]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은 단지 일체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결합 수단에 있어서, 보스를 가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열 크림핑과 초음파 크림핑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스냅 끼워맞춤에 의한 결합이 가장 바람직 하다.
스냅 끼워맞춤은 장치, 지그 등의 사용 없이도 토너 공급 용기가 용이하게 조립되게 하고, 또한 코너 공급 용기가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스냅 끼워맞춤은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의 재생 후에 그것들을 다시 제조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스냅 끼워맞춤 구조의 상세한 것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다. 셔터의 기부 편(3)의 걸림부(3a)가 셔터의 상부 편(2)의 구멍(2a)과 결합함에 따라,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은 결합된다. 걸림부(3a)와 대응 구멍(2a) 결합은 여러 위치에 배치되고, 그 수는 셔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부 편 및 기부 편은 두께가 비교적 얇은 1.5 내지 2.5㎜로, 스냅 끼워맞춤 구조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은 반드시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걸림부(3a)의 결합 여유(d)를 증가시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가 운반될 때 발생하는 충격 또는 내압 증가로 인해 걸림부(3a)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셔터의 기부 편(3)에는 걸림부(3a)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 리브(3b)가 마련되고, 셔터의 상부 편(2)에는 그 전 길이를 가로질러서 연장된 리크(2b)가 구비된다. 이들 리브(2b, 3b)는 상부 편(2) 및 기부 편(3)이 스냅 끼워맞춤될 때 서로에 대해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이렇게 배열을 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가 충격 등을 받게 되도 리크(2b, 3b)는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걸림부(3a)는 구멍(2a)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해제가 방지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은 얇은 부분으로 연결된 2개의 편(2, 3)을 포함하는 단일편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기부 편(3)은 얇은 부분을 구부림으로써 절첩되고, 얇은 부분에 대향 하는 모서리는 전술한 여러가지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 결합된다.
[셔터와 시일 필름의 조립]
이하에서는 셔터의 상부 편(2) 및 기부 편(3)과 시일 필름(4)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조립 방법에는 2가지 조립 방법이 있다.
[제1 방법]
우선, 셔터의 상부 편(2)을 시일 필름(4)이 열 융착된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의 안내부(1e)에 삽입 장착한다. 그후, 상기 시일 필름을 셔터의 상부 편(2)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전방측으로 중첩시킨다. 다음, 셔터의 기부 편(3)은 위에서부터 견고하게 스냅 끼워맞춤되고 이와 함께 셔터의 상부 편(2)은 시일 필름(4)를 구속하게 된다.
[제2 방법]
우선,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을 상호 스냅 끼워맞춘다. 다음에, 일체화된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을 시일필름(4)이 열 융착된 토너 공급 용기 본체(1)의 안내부(1e)로 삽입한다. 동시에, 시일 필름(4)을 셔터의 상부 편(2)과 기부 편(3)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밀어넣어 조립을 완료한다.
스냅 끼워맞춤 구조가 신뢰성 있게 가능하도록 하고 시일 필름(4)이 스냅 끼워맞춤 구조에 의해서 빡빡하게 조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2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렇지만, 조립을 자동화한다는 의미에서는 제1 방법이 유리하다.
[호퍼 구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이 주입되는 호퍼의 외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는 본 호퍼 상에 장착된다. 도6에서, 도면 부호 6은 토너 용기로서의 호퍼 용기, 7은 셔터인 호퍼뚜껑, 8은 제1 로킹 기구, 9는 제2로킹 기구, 10은 팝업 기구를 나타낸다.
호퍼 뚜껑(7)은 호퍼 용기(6)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자유롭게 개폐되지만, 토너 공급 용기가 호퍼와 결합 상태에 있지 않다면 제1 및 제2 로킹 기구에 의해서 개방될 수 없도록 된다. 호퍼 용기(6)의 개구의 주변 모서리에는 시일 부재(6a)가 구비되어 있어서, 장착된 토너 공급 용기와 호퍼 용기(6) 사이의 결합은 토너 공급 용기가 개봉될 때 토너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밀식으로 밀봉 유지될 수 있다.
[제1 로킹 기구의 구조]
도7은 제1 로킹 기구(8)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8(a)는 로킹된 제1 로킹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8(b)는 정면도이다. 도9(a)는 해제된 제1 로킹 기구(8)의 측면도이고, 도9(b)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 부호7a는 호퍼 뚜껑의 팁에 구비된 구멍, 8a는 로킹 아암, 8b는 로킹 아암(8a)의 샤프트, 8c는 로킹 아암(8a)의 걸림부, 8d는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 8e는 경사면을 나타낸다.
우측과 좌측에 하나씩 한 쌍의 로킹 아암(8a)이 있다. 이것들은 샤프트(8b)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킹 아암(8)은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 8d)로부터의 하방 압력을 받으며, 걸림부(8c)는 호퍼 뚜껑(7)을 로킹하기 우이해서, 즉 호퍼 뚜껑(7)이 당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호퍼 뚜껑(7)의 구멍(7a)과 결합한다(도7 및 도8).
[제1 로킹 기구의 작동]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장착되면, 전술한 로킹이 해제된다. 토너 공급 용기(1)를 호퍼(6) 상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우선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의 후단 팁은 제1 로킹 기구(8)에 삽입된다. 이것은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의 삽입된 팁의 상면이 경사면(8e), 즉 로킹 아암(8a)의 하방 대향면 아래로 활주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 8d)의 압력에 대항해서 로킹 아암(8a)을 들어올린다. 한 쌍의 좌우 로킹 아암(8a)은 샤프트(8b)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며, 이것에 의해서 걸림부(8c)가 호퍼 뚜껑(7)의 구멍(7a)에서 외부로 당겨져서 상기 로킹을 해제시킨다.
상기 로킹이 해제 상태에 있으면,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 8d)의 탄력은 로킹 아암(8a)을 통해서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에 인가되어 토너 공급 용기(1)를 하방으로 누른다. 결국, 토너 공급 용기(1)는 호퍼(6)의 시일 부재(6a)와 접하는 위치에 있게 되고, 토너 공급 용기(1)와 호퍼(6) 사이의 결합을 기밀식으로 밀봉시키게 된다.
[제2 로킹 기구의 구조]
도10(a), 도10(b) 및 도10(c)는 제2 로킹 기구의 구조에 대한 측면도이며, 제2 로킹의 작동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 부호 7b는 슬릿, 7c는 경사면, 9a는 걸림부, 9b는 돌출부, 9c는 걸림부, 9d는 제2 로킹 부재의 회전 중심, 9e는 탄성 부재(판 스프링)를 나타낸다.
도10(a)를 참고하면, 제2 로킹 부재(9)는 돌출부(9b)가 탄성 부재(판 스프링, 9e)에 의해서 가압됨에 따라서 반시계 방향의 압력을 받게 된다. 결국, 걸림부(9c)는 슬릿(7b)과 결합해서 호퍼 뚜껑(7)을 로킹한다. 즉, 호퍼(6)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로킹 기구의 작동]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장착되면, 상기 로킹 기구(9)는 제2 로킹해제 돌출부(1g)에 의해서 회전 중심(9d)을 중심으로 도10(a)의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탄성 부재(판 스프링, 9e)에 대항해서 회전한다. 결국, 제2 로킹 부재(9)의 걸림부(9c)는 도1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의 상기 평면부와 결합해서, 토너 공급 용기(1)를 로킹해서, 토너 공급 용기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킹 부재(9)가 회전하면, 로킹 부재(9)와 일체로 되어 있는 상기 걸림부(9a)가 동시에 회전한다. 결국, 토너 공급 용기(1)가 도1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6) 상에서 로킹되면, 걸림부(9a)와 호퍼 뚜껑(7) 슬릿(7b)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호퍼 뚜껑(7)이 당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너 공급 용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10a에서 지시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호퍼 뚜껑(7)을 미는 것만이 필요하다. 호퍼 뚜껑(7)이 밀리게 되면, 호퍼 뚜껑(7)의 경사면(테이퍼 부분, 7c)은 제2 로킹 부재(9)의 걸림부(9a)를 밀게 되고, 따라서, 제2 로킹 부재(9)는 탄성 부재(판 스프링, 9e)에 대해서, 도10(c)의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걸림부(9c)와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 사이의 결합은 해제되어서, 토너 공급 용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호퍼(6)에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팝업(pop-up) 기구(10)가 구비되면, 토너 공급 용기(1)는 상기 결합이 해제되자마자 소정 거리만큼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진다.
상기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된 이후에, 도10(a)에 도시된 상태는 탄성 부재(판 스프링, 9e)의 탄력에 의해서 복원된다.
[토너 재충전 단계]
도11은 호퍼(6) 상에 장착되어 호퍼(6)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서 개봉된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이다. 도12는 토너 공급 용기가 개봉되었을 때 토너 공급 용기(1)와 호퍼(6) 사이의 결합부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3c는 셔터 기부 편(3)의 바닥면 상에 구비된 돌출부를 나타내고, 7d는 호퍼 뚜껑(7)의 팁부에서의 접촉면, 7e는 호퍼 뚜껑(7)의 노브, 11은 토너를 나타낸다. 호퍼(6)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단계에 대해서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이들 도면에서 제1 및 제2 로킹 기구 및 팝업 기구가 생략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선, 토너 공급 용기(1)는 호퍼(6) 상에 장착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할 때, 토너 공급 용기(1)의 후방측(도면에서 좌측)은 첫 번째로 낮아진 후에 호퍼(6)의 제1 로킹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다음, 토너 공급 용기(1)의 전방측(도면에서 우측)은 토너 공급 용기(1)를 토너 공급 용기(1)의 삽입된 후방측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호퍼(6)의 제2 로킹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로킹 기구는 모두가 토너 공급 용기(1) 상에서 작용하게 된다. 결국, 토너 공급 용기(1)는 로킹되어, 호퍼(6)에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고, 호퍼 뚜껑(7)이 당겨질 수 있게 된다.
다음, 시일 필름(4)은 시일 필름(4)의 절첩부의 전방 단부측에 의해서 전방측(도면의 우측 방향 즉,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겨진다. 시일 필름(4)이 당겨지면, 시일 필름(4)의 부착부는 벗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시일 필름(4)이 위에 절첩된 셔터의 상부 편(2) 및 이 상부 편(2)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셔터의 기부 편(3)은 시일 필름(4)의 이동에 따르고, 이것에 의해서 당겨진다. 또한, 셔터의 기부 편(3)의 바닥면 상에 제공된 돌출부(3c)는 호퍼 뚜껑(7)의 팁부의 접촉면(7d)과 맞물림으로써 호퍼 뚜껑(7)이 또한 당겨진다. 즉, 시일 필름(4)을 당기는 단 한번의 동작에 의해서, 시일 필름(4)이 당겨지게 되고, 셔터의 상부 및 기부 편(2, 3)이 개방되고, 호퍼 뚜껑(7)이 개방되며, 이와 동시에 토너 공급 용기(1)에 저장된 토너(11)가 호퍼(6)의 토너 용기로 배출되게 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개봉될 때, 시일 필름(4)의 절첩부(4b)는 셔터의 상부 및 기부 편(2, 3) 사이의 간극을 통해 당겨지고, 토너 공급 용기(1)의 플랜지에 부착된 시일 필름(4)의 절첩부(4b)는 셔터의 상부 및 기부 편(2, 3) 사이의 간극 내로 당겨지며, 시일 필름(4)에 달라붙은 토너가 뚜껑(7)의 상부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7)의 상부면이 시일 필름(4)에 달라붙은 토너가 뚜껑(7)의 상부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7)의 상부면이 시일 필름(4)에 달라붙은 토너에 의해 오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토너로 오손된 시일 필름(4)의 부착부(4a)는 작업자에게 보여지지 않을 것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시일 필름(4)의 폭에 관하여, 플랜지부(1b)에 부착되는 부착부(4a)는 토너 배출 개구(1d)보다 더 큰폭(W1)을 갖고, 당겨지는 절첩부(4b)는 폭(W1)보다 더 좁은 폭(W2)을 갖는다. 이러한 폭(W2)은 시일 필름(4)이 호퍼 뚜껑(7)이 당겨지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분리되어 배치된 노브(7e)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작다.
토너 배출이 완료된 후, 호퍼 뚜껑(7)은 도12에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호퍼 뚜껑(7)의 2개의 노브(7e)를 밀음으로써 폐쇄된다. 이 때에, 시일 필름(4)은 2개의 노브(7e) 사이를 통과하여 셔터의 상부 및 기부 편(2, 3) 사이의 간극 내로 다시 당겨진다. 셔터의 기부 편(3)의 바닥면 상에 구비된 전술한 돌출부(3c)가 호퍼 뚜껑(7)의 팁부의 접촉면(7d)과 맞물리기 때문에, 호퍼 뚜껑(7)과 셔터의 상부 및 기부 편(2, 3)이 폐쇄된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호퍼 뚜껑(7)이 폐쇄되는 동안, 제2 로킹 기구는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해제되게 작동되고,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토너 공급용기(1)는 후방측의 제1 로킹 기구에 인접한 지점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후술되겠지만 팝업 기구에 의해 소정의 거리로 들어올려진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1)가 제2 로킹 기구로부터 해제될 때, 호퍼 뚜껑(7)은 제2 로킹 기구에 의해 로킹됨으로써, 당겨질 수 없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장착되면, 토너 공급 용기(1)는 호퍼(6) 상에 즉시 자동적으로 체결되고, 토너 공급 용기(1)가 개봉되어 토너가 배출된 후에 호퍼 뚜껑(7)이 로킹 해제 위치로 가압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 가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호퍼 뚜껑(7)은 당겨지는 것이 방지 되도록 로킹 되고,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착됨에 따라 당겨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될 때 다시 로킹된다.
[팝업 기구]
도13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팝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14는 팝업 기구의 작동 운동을 도시한 부분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i는 돌출부를 나타내고, 10a는 노치이며, 10b는 탄성 부재(판 스프링)를 나타낸다.
호퍼(6) 상에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하고 토너 공급 용기(1)를 위에서 누름으로써(도10),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와 제2 로킹 기구(9)를 맞물리게 하는 공정(도10) 중에, 토너 공급 용기(1)의 돌출부(1i)는 호퍼(6)의 노치(10a)에 배치된 탄성 부재(10b)를 가압하여서, 탄성 부재(판 스프링)가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따라서, 호퍼(6)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가 호퍼(6) 상에 설치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는 전술한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에 인접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1)에 작용하는 탄성부재(판 스프링, 10b)로부터의 힘을 받는다. 그러나, 제2 로킹 기구(9)가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와 맞물린 상태에 있는 한, 즉, 토너 공급 용기(1)가 로킹되어 제거 방지되는 한, 전술한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 들어올림이 방지된다.
그러나, 호퍼 뚜껑(7)이 로킹 해제 위치로 밀려나자마자, 제2 로킹 기구(9) 및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토너 공급 용기(1)는 도14(b)에 도시된 탄성 부재(판 스프링, 10b)의 탄력에 의해 장착 위치로부터의 회전 이동으로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진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착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로킹의 해제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작업자가 자동적으로 이동된 토너 공급 용기(1)를 단지 파지하여서 호퍼(6)로부터 제거 한다.
[시일 구조 및 오염]
이하에서는 도9를 참조하여 시일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너 공급 용기(1) 및 호퍼(6) 사이의 결합부는 토너 공급 용기(1) 및 호퍼(6)에 의해 빡빡하게 조여지는 시일 부재(6a)에 의해 기밀식으로 밀봉된다. 시일 부재(6a)용 재료는 탄성재료, 양호하게는 발포성 폴리에틸렌, 발포성 폴리프로필렌, 발포성 폴리우레탄등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재료는 0.2 내지 0.'5 비중량을 갖는 적당하게 발포된 폴리우레탄인데, 이러한 것은 압축에 의해 영구적 변형이 잘 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장기간 동안 탄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있는 동안에, 토너 공급 용기는 팝업 기구의 탄성부재(판 스프링, 10b)로부터의 지속적인 상방 압력을 수용한다. 이것은 시일 부재(6a)에 의해 제공되는 기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즉, 시일 부재(6a)는 느슨해지기 쉽게 된다. 그러나, 제1 로킹 기구(8)의 탄성부재(코일 스프링, 8d)에 의해 하방 압력이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1)에 가해지고, 이러한 힘은 토너 공급 용기(1)가 전술한 상방 압력에 대항하여 시일 부재(6a)와 기밀식으로 접촉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1)가 개봉되고 토너가 배출되는 동안에 누설이 방지된다.
[토너 보충 시험]
토너 호퍼 내로 토너를 충전하기 전에, 토너 공급 용기를 50회 흔들어서 토너와 공기를 적절하게 혼합시켜서 토너의 유동성이 향상되도록 토너의 전체 밀도가 낮아지게 하였다. 그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를 호퍼(6) 상에 장착하여 개봉하였지만 토너의 누설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 이후에 즉시, 동일한 토너 공급 용기(1)를 50회 흔들어서 토너를 호퍼(6)로 즉시 배출시켰다(소위, 제2 충전). 이 경우에도 또한 토너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았다.
[셔터의 기부 편(3) 및 호퍼 뚜껑(7) 사이의 맞물림의 유지]
도11을 참조하면, 호퍼(6) 상에 장착된 토너 공급 용기(1)가 개봉 또는 해제되면, 셔터의 기부 편(3) 및 호퍼 뚜껑(7)은 함께 이동되어야 한다. 이것은 셔터의 기부 편(3)의 바닥면 상에 구비된 돌출부와, 호퍼 뚜껑(7)의 팁부의 접촉면(7d) 사이에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맞물림 영역의 크기(수직 방향에서)는 호퍼 뚜껑(7)의 두께와 같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조절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맞물림 영역의 크기는 바람직한 만큼 크게 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맞물림 영역의 크기는 1.5내지 5.0㎜의 범위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0㎜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팝업 기구(10)의 탄성 부재(판 스프링)(10b)로부터의 상방 압력은 셔터의 기부 편(3) 및 호퍼 뚜껑(7) 사이의 맞물림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데, 왜냐하면, 그러한 압력이 맞물림을 느슨하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 로킹 기구(8)의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 8d)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1)로 하방 압력이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를 통해 가해지고, 셔터의 기부 편(3) 및 호퍼 뚜껑(7) 사이의 맞물림은 이러한 하방 압력에 의해 전술한 상방 압력에 대항하여 유지된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1)가 개봉될 때 또는 호퍼 뚜껑(7)이 폐쇄될 때에 발생하는 셔터의 기부 편(3) 및 호퍼 뚜껑(7) 사이의 맞물림과 같은 예기치 않은 일을 방지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의 상호 교환 가능성의 제거]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토너를 동일한 유형의 토너 공급 용기에 공급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상호 교체 불가능한 상이한 유형의 여러 토너 공급 용기들은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의 위치, 길이, 형상 등을 변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토너 공급 용기, 즉 원래의 토너 공급 용기와 상호 교체 불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려고 시도할 때, 심지어 전방측의 제2 로킹 부재를 해제할 수 있는 경우에도, 후방의 제1 로킹 부재는 해제될 수 없다. 따라서, 호퍼 뚜껑(7)이 개방될 수 없다. 즉, 보다 개선된 비 교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구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좌우측 해제 돌출부가 독립적으로 로징 부재(8)를 해제하게 한다. 따라서, 설령 전방측의 제2 로킹 부재가 해제되고 좌측 및 우측의 로킹 부재 중의 하나가 토너 공급 용기의 일부에 의해 위로 밀려지더라도, 상기 토너 공급 용기는 해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한 기구는 신뢰성이 크다.
로킹 부재(8)는 2개의 기능을 갖는다. 즉, 호퍼 뚜껑(7)을 로킹 또는 해제하는 기능과 상기 토너 공급 용기를 호퍼(6)에 대하여 누름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1)와 호퍼(6) 사이의 결합부를 기밀식으로 밀봉하는 기능이 그것이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있는 동안에 기밀을 발생시켜 유지하는 기구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후방 벽 형상과 호퍼 내의 토너 분배]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의 천정 벽은 제1 로킹 해제 돌출부측(후방측)보다 낮고 제2 로킹 해제 돌출부(전방측)보다 위에 있다.
호퍼(6) 상에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하면,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가 먼저 제1 로킹 부재(8) 내로 삽입되어 이와 맞물린다. 이 과정 중에, 토너 공급 용기(1)는 경사져서 후방측이 전방측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 내에 저장된 토너는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게 된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1)의 높이가 그 전방측에서보다 후방측에서 작기 때문에, 토너 공급 용기(1)의 내부 체적은 그 전방측에서보다 후방측에서 작게 되어 과다한 양만큼 상기 토너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전방측은 토너 공급 용기(1)를 그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는 제2 로킹 기구(9)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토너는 후방측에 있게 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토너가 전방측에 남게 된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시일 필름(4)을 당김으로써 개봉되므로, 토너 공급 용기(1)의 후방측으로부터 개봉되어 전방측으로 진행한다.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 분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되므로, 토너는 호퍼(6)의 전방측에 쌓이지 않으며, 토너는 비교적 균일하게 호퍼(6) 내로 충전된다.
후방측의 토너 공급 용기(1)의 천정의 높이가 호퍼(6)의 유효 깊이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어떠한 경우에도 토너는 후방측에 쌓이지 않는다. 전술한 유효 깊이는 호퍼(6)의 토너 용기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호퍼(6) 내로의 토너 공급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검출될 때 호퍼(6) 내에 잔류하는 토너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토너가 실질적으로 충전되는 공간의 깊이를 의미한다.
전방측의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g)가 먼저 제2 로킹 기구와 맞물린다면, 토너 공급 용기(1)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경사진다. 다시 말하면, 전방측은 후방측보다 낮게 되며,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게는 보다 큰 천정 높이는 갖는 영역으로 토너가 이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제1 로킹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호퍼 뚜껑(7)은 호퍼(6)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당겨질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정확한 장착 과정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를 재장착하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은 없으며, 토너 공급 용기(1)가 적절히 장착됨에 따라, 토너는 천정 높이가 낮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토너가 호퍼(6) 내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결국, 2개의 로킹 기구가 있고 로킹 해제 돌출부가 조절되는 과정에 따라 작동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이러한 장착 방법을 신뢰성 있게 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수직 방향으로 낮은 천정을 갖는 호퍼 부분과 높은 천정 높이를 갖는 호퍼 부분의 치수 비율에 대해서는, 충전되는 토너의 양, 호퍼 형상, 유효 호퍼 체적 등과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비율이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천정을 갖는 부분은 낮은 천정을 갖는 부분보다 수직 방향 치수에 있어서 10내지 50%, 양호하게는 30% 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종방향으로의 2개의 부분의 치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비율이 3:7 내지 7:3의 범위, 양호하게는 1:1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장착된 후 팝업 기구로부터 상방 압력을 받더라도,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f)가 하방 압력을 수용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와 호퍼(6) 사이의 결합부의 기밀이 만족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셔터의 기부 편(3)과 호퍼뚜껑(7) 사이의 결합은 신뢰성 있게 유지 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로킹 기구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토너 공급 용기들 중에서의 교환 가능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제1 로킹 해제 돌출부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여러 가지 토너 공급 용기들 사이에서의 교환 불가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15는 제1 로킹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도면에서, 도면 부호 20 및 21은 판 형태의 탄성 부재를 가리킨다. 탄성 부재들은 작은 나사(20a, 20b)를 사용함으로써 호퍼(6)에 고정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제1 로킹 해제 돌출부는 탄성 부재(20, 21)의 만곡부 아래로 삽입되어 이를 상승시킨다. 그 결과, 호퍼 뚜껑(7)은 로킹이 해제된다. 동시에, 토너 공급 용기는 탄성부재(20, 21)의 탄력에 의해 호퍼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그럼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와 호퍼 사이의 결합부의 기밀이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이 사용되면, 회전 중심이 없어서 구성 요소의 개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아주 간단한 구성이 실현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 부호 12는 토너 공급 용기의 본체를 형성하는 용기(bottle)이고, 도면 부호 13은 캡이고, 도면 부호 14는 셔터이다. 캡(13)의 후방 대향면은 한 쌍의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3a)를 구비하며, 캡(13)의 측방향 벽은 전방측에 위치된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3b) 및 거의 중간에 위치된 돌출부(13c)를 구비한다. 돌출부(13c)는 팝업 기구와 맞물린다. 이들 돌출부들은 캡(13)과 일체로 형성된다.
셔터(14)의 상부 표면(용기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는 약간 발포된 폴리우레탄 등으로 성형된 패킹(도시되지 않음)이 도포된다. 셔터(14)는 캡(13) 내로 삽입된다. 셔터(14)가 캡(13) 내로 삽입된 후, 캡(13)은 나사 수단 등을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용기에 부착되어 토너 공급 용기를 완성시킨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경우에, 호퍼(도시되지 않음)의 구조와 호퍼 상에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들과 동일하다. 먼저,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3a)는 호퍼의 제1 로킹 기구 내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전방측은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낮아지고, 이어서 제2 로킹 해제 돌출부(13b)고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작업을 종료하도록 제2 로킹 부재와 맞물린다. 이러한 작업 중에, 돌출부(13c)는 팝업 기구의 탄성 부재로부터의 상방 압력을 받는다.
다음으로, 토너 공급 용기를 개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과 다소 상이하다.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됨에 따라, 제1 및 제2 로킹 기구가 해제되고, 호퍼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토너 공급 용기는 제거 불가능하게 로킹된다. 다음으로, 호퍼 뚜껑이 당겨진다. 이어서, 셔터(14)가 당겨져 토너 공급 용기를 개봉시키고, 용기(12) 내에 저장된 토너가 호퍼 내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토너의 배출이 종료된 후, 셔터(14)는 밀려져서 토너 공급 용기를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호퍼 뚜껑이 밀려져서 호퍼에 인접하게 된다. 이어서, 토너 공급 용기는 로킹 기구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 돌출부(13c)는 팝업 기구에 의해 위로 밀려지고, 토너 공급 용기는 자동적으로 그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상승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는 다시 제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경우에, 작동효과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비록 토너 공급 용기(1)가 호퍼(6) 상에 장착된 후 팝업 기구에 의해 상방 압력을 받더라도, 제1 로킹 해제 돌출부(13a)가 하방 압력을 수용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와 호퍼(6) 사이의 결합부의 기밀이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토너를 토너 호퍼 내에 충전하기 전에, 토너 공급 용기를 50회 흔들어서 공기와 적절히 혼합시켜서 토너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정도로 토너의 전체 밀도가 낮아지게 하였다. 이어서, 이를 즉시 상기 호퍼(6) 상에 장착하여 개봉하였지만 토너는 누설되지 않는다.
그 직후, 동일한 토너 공급 용기(1)를 50회 이상 흔들었고 상기 토너를 호퍼(6) 내로 즉시 배출시켰다(소위 2차 충전). 이 경우에도 또한 토너는 누설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서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량의 목적 및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의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에 의하면, 토너 공급 용기가 적절히 설치된 후에만 호퍼 셔터가 개방되게 하며, 또한, 실수에 의해 호퍼가 잘못된 토너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토너 공급 용기가 호퍼 상에 장착된 후 팝업 기구로부터 상방 압력을 받더라도, 제1 로킹 해제 돌출부가 하방 압력을 수용하므로, 토너 공급 용기와 호퍼 사이의 결합부의 기밀이 만족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14)

  1.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와, 상기 토너 저장부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와, 상기 수용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와, 상기 수용 개구의 종방향 단부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상기 셔터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수단은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셔터 부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들 중 후방측 로킹 수단인 제1 로킹 수단은 장착된 토너 공급용기를 하방 가압하며,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상태가 해제 될 때 상기 토너 공급 용기의 전방측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들 중 전방측 로킹 수단인 제2 로킹 수단은 상기 토너 공급 용기를 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다수의 로킹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지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를 향해 회전 가능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토너 공급 용기를 상방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장치.
  7.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와, 상기 수용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호퍼 셔터 부재와, 상기 호퍼 셔터 부재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와 다른 하나의 종방향 단부를 로킹하기 위한 제1 로킹 수단 및 제2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에 있어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 개구를 가지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용기 본체와, 상기 제1 로킹 수단에 의한 상기 호퍼 셔터 부재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토너 용기에 제공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로킹 수단에 의한 상기 호퍼 셔터 부재의 로킹을 해제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공급 개구를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불부는 상기 플랜지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단부의 끝단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타단부의 측방향 측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용기 셔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셔터 부재는 상기 호퍼 셔터 부재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호퍼 셔터 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셔터 부재는 상기 필름을 당김으로써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셔터 부재는 상기 토너 공급 장치에 상기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호퍼 셔터 부재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한 쌍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처음에 장착되는 측이 더 낮으며 나중에 장착되는 측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공급 용기.
KR1019960048761A 1995-10-26 1996-10-26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 KR100238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79016 1995-10-26
JP27901695A JP3471992B2 (ja) 1995-10-26 1995-10-26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04A KR970022604A (ko) 1997-05-30
KR100238855B1 true KR100238855B1 (ko) 2000-01-15

Family

ID=1760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761A KR100238855B1 (ko) 1995-10-26 1996-10-26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14536A (ko)
EP (1) EP0770931B1 (ko)
JP (1) JP3471992B2 (ko)
KR (1) KR100238855B1 (ko)
CN (1) CN1117298C (ko)
DE (1) DE6963761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065B2 (ja)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68139B2 (en) *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495914B2 (ja) * 1998-06-24 2004-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トナー補給方法
TW517179B (en) * 1999-03-29 2003-01-11 Canon Kk Developer replenishing contai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97495B2 (ja) 1999-09-03 200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900837B (zh) *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US6591077B2 (en) * 2000-05-08 2003-07-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therefor
DK1303239T3 (da) * 2000-07-18 2008-02-18 Coloplast As En forbinding
JP3958511B2 (ja) *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TE514976T1 (de) * 2001-01-31 2011-07-15 Ricoh Co Ltd Tonerbehälter und damit versehene bilderzeugungsvorrichtung
TW525794U (en) 2001-11-12 2003-03-21 Gen Plastic Ind Co Ltd Powder supply apparatus of carbon powder cartridge
JP3663542B2 (ja) * 2002-01-23 2005-06-22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機のトナー供給容器
TW588808U (en) * 2002-05-02 2004-05-21 Gen Plastic Ind Co Ltd Fixing mechanism of auxiliary apparatus for opening sealing of image display cartridge
TW551513U (en) * 2002-06-11 2003-09-01 Gen Plastic Ind Co Ltd Carbon powder cartridge
US20040197118A1 (en) * 2003-04-03 2004-10-07 Nexpress Solutions Llc Replenishment receptacle for an electrostatographic reproduction apparatus
US7050728B2 (en) * 2003-04-25 2006-05-2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detecting the amount of developer remaining in the container
JP4232747B2 (ja) 2005-02-28 2009-03-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979006B2 (en) 2005-02-28 2011-07-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movable cartridge
JP4635645B2 (ja) 2005-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EP2363752B1 (en) 2005-04-26 2012-10-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for image-forming device
JP5167690B2 (ja) * 2007-05-11 2013-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511583B2 (ja) * 2007-11-09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8871807B2 (en) 2008-03-28 2014-10-28 Ecolab Usa Inc. Detergents capable of cleaning, bleaching, sanitizing and/or disinfecting textiles including sulfoperoxycarboxylic acids
US8809392B2 (en) 2008-03-28 2014-08-19 Ecolab Usa Inc. Sulfoperoxycarboxylic acids, their preparation and methods of use as bleaching and antimicrobial agents
AU2011221816B2 (en) 2010-03-01 2014-02-06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83954B2 (ja)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9321664B2 (en) 2011-12-20 2016-04-26 Ecolab Usa Inc. Stable percarboxylic aci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9031451B2 (en) 2011-12-30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867970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9104135B2 (en) 2011-12-30 2015-08-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8948650B2 (en) 2011-12-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867966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BR112014020748B1 (pt) 2012-03-30 2021-02-23 Ecolab Usa Inc. método de tratamento de águas, método de tratamento de uma fonte de água e composição aquosa de tratamento de água com atividade antimicrobiana
US9201344B2 (en) 2012-05-20 2015-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ontainer
US8879953B2 (en) 2012-06-25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ed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supply item
US8938179B2 (en) 2012-06-25 2015-01-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10165774B2 (en) 2013-03-05 2019-01-01 Ecolab Usa Inc. Defoamer useful in a peracid composition with anionic surfactants
US20140256811A1 (en) 2013-03-05 2014-09-11 Ecolab Usa Inc. Efficient stabilizer in controlling self accelerated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peroxycarboxylic acid compositions with mineral acids
US8822719B1 (en) 2013-03-05 2014-09-02 Ecolab Usa Inc. Peroxycarboxylic acid compositions suitable for inline optical or conductivity monitoring
US8879964B1 (en) 2013-05-16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n angled exit port surface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77177B2 (en) 2014-09-02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9477178B1 (en)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US9360797B1 (en)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360834B1 (en) 2015-09-1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US9551974B1 (en) 2015-09-15 2017-0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nectors of replaceable units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83541B2 (en) 2016-01-18 2018-05-2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139776B1 (en) 2017-05-11 2018-11-27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9989917B1 (en) *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JP7024543B2 (ja) * 2018-03-23 2022-02-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2002B1 (en) * 1982-08-23 1987-11-04 Konica Corporation Toner dispensing apparatus
JP2600660B2 (ja) * 1987-01-20 1997-04-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2596006B2 (ja) * 1987-10-23 1997-04-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336565A (ja) * 1989-07-03 1991-02-18 Canon Inc 現像装置
JP2569654Y2 (ja) * 1989-09-22 1998-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A2068358C (en) * 1991-05-14 1998-12-22 Yoshihiko Yamada Developer replenishing cartridge and developer receiving apparatus within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ed
JPH0720681A (ja) * 1993-07-06 1995-01-24 Nec Corp 帯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0931B1 (en) 2008-07-30
KR970022604A (ko) 1997-05-30
CN1162132A (zh) 1997-10-15
US6014536A (en) 2000-01-11
JP3471992B2 (ja) 2003-12-02
DE69637615D1 (de) 2008-09-11
EP0770931A2 (en) 1997-05-02
EP0770931A3 (en) 1999-12-29
JPH09120204A (ja) 1997-05-06
CN1117298C (zh)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855B1 (ko)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
KR100237122B1 (ko) 토너 공급 용기
US4895104A (en) Developer reservoir
EP0838733B1 (en) Toner cartridge, image formation apparatus comprising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recycling the toner cartridge
EP1666982B1 (en) Container, its support structure, and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KR102383351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US5832343A (en) Toner supply method,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802431A (en) Collapsible toner container
US5655181A (en)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62979A (ja) 画像形成装置
JP3320285B2 (ja) トナー補給容器
JP3846746B2 (ja) トナー補給容器
US5555080A (en) Slide cover for marking particle cartridge
JPH0136941B2 (ko)
JP3270550B2 (ja) 現像剤容器
JPH08123176A (ja) 現像剤補給容器
JPH11184228A (ja) トナー補給容器
JPH0546037Y2 (ko)
JP2701290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H0490579A (ja) 現像剤補給容器
JP3136555B2 (ja) 現像剤補給装置
JPH05333693A (ja) 画像生成機の現像装置
JPH08272204A (ja) トナー収納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19011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96104A (ja) 現像剤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