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009B1 - 육묘시이트,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육묘방법, 재배방법 및 이앙기 - Google Patents

육묘시이트,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육묘방법, 재배방법 및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009B1
KR100238009B1 KR1019970707719A KR19970707719A KR100238009B1 KR 100238009 B1 KR100238009 B1 KR 100238009B1 KR 1019970707719 A KR1019970707719 A KR 1019970707719A KR 19970707719 A KR19970707719 A KR 19970707719A KR 100238009 B1 KR100238009 B1 KR 10023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edling
porous
supports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194A (ko
Inventor
쓰네오 오다케
야스미 후쿠즈미
쓰네오 오노데라
요시아키 와타나베
시게타카 이소야마
마사시 누마베
Original Assignee
이토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쿠오리티 완
쓰네오 오노데라
가부시키가이샤 파디 겐큐쇼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쿠오리티 완, 쓰네오 오노데라, 가부시키가이샤 파디 겐큐쇼,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 마코도
Publication of KR1999000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01C7/048Seed tape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띠형상으로 뻗은 엷은 지지대(221)의 한면에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시이트(231)가 부착되있고, 종묘를 수납하는 수납요부(241)가 다공성 시이트(231)에 설치되있고, 육묘에 사용되는 육묘시이트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육묘시에 토양을 사용하는 것을 불필요로하여 청결하게 하고, 육모시이트의 공업적인 양산화를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육묘시이트,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육묘방법, 재배방법 및 이앙기
다수의 종이통을 서로 접착시켜서 집합화하고, 토양을 충전한 각 종이통에 종자벼를 파종하여 육성하고, 육묘후에 각 종이통을 분리하여 식부(planting)하도록 한 것이 일본국 특개 소50-57808호 공보에 개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의 것에서는, 각 종이통이 서로 접착되어서 집합체를 이루므로, 집합체가 부피가 커져서 다루기가 용이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우며, 또 각종이통에 토양이 충전되므로 종이통의 집합체가 비교적 큰 중량으로 되어서 운반작업의 노력이 과대하게 되며, 더욱이 종이통에의 토양충전시에 토양이 주위에 비산하여 더러워지기 쉽다. 또한 기계적인 이앙을 하기 위하여는 각 종이통의 상대위치를 엄밀히 일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공업적인 양산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수도 등의 육묘에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는 육묘시이트, 이 육묘시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육묘시이트(sheet)의 제조방법, 육묘시이트를 사용한 육묘방법 및 재배방법 및 육묘시이트를 사용한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소형, 경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토양을 사용하는 것을 불필요로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공업적인 양산화를 가능하게한 육묘시이트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육묘시이트를 적절히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육묘시이트를 사용한 적절한 육묘방법 및 재배방법 및 육묘 시이트에 의한 적절한 이앙을 가능하게한 이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육묘시이트는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띠형상으로 뻗은 지지대(支持帶)의 일면에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시이트가 부착되었고 종묘를 수납하는 수납요부가 다공성 시이트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종묘」는, 종자 또는 발아촉진처리 종자를 포함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의 구성에 의하면, 육묘시이트를 단순한 구조로하여 공업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종자벼 등의 종묘를 수납요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육묘를 할 수 있고, 토양충전을 불필요로하여 청결한 취급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경량 또한 간소화된 육묘시이트를 소형으로 종합할 수 있어서 운반시의 노력을 경감할 수 있고, 더욱이 한 번에 다량의 육묘가 되어지므로 공업적인 양산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띠형상인 육묘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으로 보내는 것은 용이하므로, 육묘후의 모종을 이양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어, 모심기 등의 이앙기에 복잡한 이송기구를 특별히 설치함이 없이 이앙작업을 할 수 있으며, 띠형상으로 뻗은 지지대를 사용하였음에 따라 모종이송길이의 변화가 없어져서 모종을 균등하게 심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모종이송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없어, 모심기 등의 이앙시에 결주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전술한 지지량부와, 노르말에틸모르포린 0.15중량부와, 디브틸틴지라울레이트(주석촉매) 0.12 중량부와, 물 5.5중량부와, 실리콘유(정포제) 1.2중량부와 트리렌디이소시안산(2.4/2.6 = 80/20) 67중량부 등을 혼합, 교반하여 발포시킴에 따라, 연질풀리우레탄포옴을 얻었다. 그리고 수득된 연질풀리우레탄포옴의 물성은 밀도 18㎏/㎥, 인장세기 1.1㎏/㎠, 찢는세기 0.62㎏/㎝, 신장 160%였다.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질의 재료로서 예컨대, 부직포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풀리프로필렌 섬유 및 풀리에틸렌 섬유 등의 긴 섬유, 짧은 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紡絲)하여 서로 얽혀서, 일정한 두께로 연속 성형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하여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질의 재료로 얻을 수 있는 블록은 슬라이스기계에 의하여 3∼10㎜두께로 슬라이스함에 따라 다공성 시이트(231)로서 형성되는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4.5㎜두께로 슬라이스된 것이 사용된다.
지지대(221) 및 다공성 시이트(231)를 서로 접착함에 있어서, 예컨대 지지대(221)가 풀리에틸렌레프탈레이트의 필름으로 되었고, 다공성 시이트(231)가 연질 풀리우레탄포옴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지지대(221) 및 다공성 시이트(231) 중의 어느한면에 독터로울(doctor roll)을 사용한 전사에 의하여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 양자(221, 231)를 서로 겹쳐서 압착한다. 이 경우, 지지대(221) 및 다공성 시이트(231)의 대향면의 전체면을 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이 대향면의 일부를 서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부분접착을 함에 따라, 이앙갈고리(65)(제10도∼제12도 참조)에 의한 다공성 시이트(231)의 벗기는 힘 보다도 다공성 시이트(231)의 인장강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다공성 시이트(231)를 지지대(221)로부터 박리함에 요하는 힘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다공성 시이트(231)를 지지대(221)로부터 박리하는 경우에 지지대(221)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지지대(221)가 필요로하는 인장강도를 비교적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대(221) 및 다공성 시이트(231)에 형틀에 의한 펀칭가공을 함에 있어서는, 전체컬 및 반분컬의 두 공정을 연속하여 실행한다. 먼저 전체컬공정에서는 지지대(221) 및 다공성 시이트(231)가 적층되어서 되는 적층재를 그 다공성 시이트(231)가 상방위치가 되도록 하여 배치하고, 그 적층재를 완전히 펀칭하도록 하여 칼형부재로 이송구멍(271…), 갈고리 걸이구멍(291…) 및 반원형의 노치부(301…)를 형성한다. 뒤이어 반분컬 공정에서는 별도의 칼형부재로 지지대(221)를 그 칼형부재로 컬함이 없이 다공성 시이트(231)만을 펀칭하도록하여, 수납요부(241…) 및 슬릿(261…)을 다공성 시이트(231)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하여 일련의 제조공정을 종료함에 따라, 육묘시이트(211)를 제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육묘시이트(211)에 의한 종묘의 육묘를 함에 있어서는 수경재배가 이용되는 것이며, 예컨대 수도의 육묘에 있어서는 육묘시이트(211)의 각 수납요부(241…)에 파종한 다음의 종자벼를 각기 수납한다. 그런데, 종래의 수도의 육묘는 물에 담근 종자 및 발아촉진처리를 하고나서 파종을 하도록 하여 왔으나, 본 발명의 육묘시이트(211)를 사용한 육묘에서는 물에 담근 종자 및 파종의 어느 것을 선행하여 좋으며, 예컨대 파종을 먼저하여 씨를 물에 담그는 일을 하는 경우에는 종자벼를 약 15℃ 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저장하여 두어, 파종후의 종자벼를 각 수납요부(241…)에 수납하여, 그런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묘시이트(211)를 로울형상으로 감아서 종자를 물에 담그는 처리를 한다.
이럴 경우, 다공성 시이트(231)가 외주측에 배치되도록하여 육묘시이트(211)를 감아두어 로울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의 육묘시이트(211)를 10℃전후의 저온에서 10∼15일 정도 물에 담그어서 물에 담근 종자처리를 하도록 한다.
물에 담근 처리후의 발아촉진 처리를 함에 있어서는 제6도에서 도시한 육묘장치가 사용된다. 즉 합성수지필름등으로 구성되는 육묘하우스(33)내의 육묘실(34)에 육묘조(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육묘조(35)의 저부에 설치된 재치선반(36)위에 로울형상으로 감긴 육묘시이트(211…)가 재치된다. 그리고 재치선반(36)은, 그 위에 놓인 육묘시이트(211…)에서 하방으로 뻗은 뿌리가 서로 휘감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육묘조(35)와, 순환펌프(37)와, 히이터(38)와는 이 순서로 접속되어서 물순환계(39)를 구성하는 것으로, 히이터(38) 및 육묘조(35) 사이에서 물순환계(39)에서 분기한 분무샤워장치(40)가, 재치선반(36)위의 각 육묘시이트(211…)에 상방으로부터 분무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육묘장치에 의한 육묘에 있어서, 육묘시이트(211)의 각 수납요부(241…)에, 제7(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씨눈(41a)을 상방으로 또한 씨젓(41b)을 하방으로 한 파종후의 종자벼(41…)를 수납하여 두어 로울형상으로 감은 육묘시이트(211)를 재치선반(36)위에 재치한다. 이와같이 종자벼(41…)의 자세를 규제하는 것은 씨눈(41a)의 어린눈(41c)이 위거나 가로로 또 어린뿌리(41d)가 밑이거나 가로로 배치함에 따라, 발아촉진률이 향상하여, 모종의 높이도 가지런하게 하기 쉽기 때문이다.
발아까지는 히이터(38)에 의한 가열에 따라 32~35℃ 전후로 따뜻하여진 수경액을 물순환계(39)에서 순환시켜 예컨대 5~8시간 간격으로 분무샤워장치(40)로부터 수경액을 산포한다. 이 경우 육묘조(35)내에서 육묘시이트(211…)가 수경액속에 침지한 상태로 있으면, 산소부족에 의하여 발아가 저해되므로, 육묘조(35)내의 수경액면을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L1)에 설정하여두어 육묘시이트(211…)를 30~32℃의 공중에 유지하여 두도록한다. 또 발아까지는 빛이 불필요하므로 육묘하우스(33)에는 차광처리를 하여둔다.
이와 같은 육묘과정에도 제7(b)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자벼(41…)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떡잎(41/e)이 성장하여 종자벼(41…)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종자뿌리(41f)가 신장하게 된다.
발아후에는 잎의 호흡착용에 의하여 산소를 끌어들일수 있게 되므로, 육묘시이트(211…)를 수경액속에 가라앉게 할 수 있으며, 육묘시이트(211)의 하부에 대응한 레벨(L2)과, 육묘시이트(211)의 상단에 대응한 레벨(L3)과의 사이에 육묘조(35) 내의 수경액면을 설정한다. 그리고 레벨(L3) 보다도 하방에 수경액면을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육묘시이트(211)에 있어서의 다공성 시이트(231)의 모관현상에 따라 수경액을 빨아올려서 종자벼(41)에 수경액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분무샤워장치(40)에 의한 살수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발아후에는 빛이 필요하게되므로 육묘하우스(33)의 차광처리를 해제하여둔다.
모든 종자벼로부터의 발아가 완료한 다음에는 육묘하우스(33)내의 온도를 육묘말기에 20℃ 정도가 되도록 서서히 저하시켜 습도도 서서히 저하시켜서 바람에 닿도록 한다. 그리하였을 경우 모종의 헛되이 자라남을 방지하여 튼튼하게 자라날 수 있다. 그리고 발아후의 육묘에 따라서, 제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합성 작용등에 의하여 제1엽(燁) 41g 및 제2엽 41h에서 도면에 없는 제6엽 정도까지의 잎이 성장하고, 종자뿌리(41f)는 더욱 길게 신장하여 종자뿌리(41f)의 근원으로부터는 수염부리(41i)가 자라 나온다. 이와 같은 육묘시에 수경액에 대하여는 그 온도, EC 및 PH등을 자동적으로 관리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H에 대하여는 변화하기 쉬우므로 수경액을 순환하면서 상기 관리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아완료후에는 모심기 1~2일전에 육묘시이트(211)를 재치선반(36)으로부터 뜨게하여두고, 육묘시이트(211…)에서 하방으로 신장하는 종자뿌리(41f)를 예컨대 육묘시이트(211) 및 재치선반(36) 사이를 주행시키는 커터로 절단한다. 그리고 종자뿌리(41f)을 절단한 다음, 1~3일 경과하여 종자벼(41…)에서 굵은 활착근이 뻗어 나올때에 모심기를 하도록 하면 양호한 활발한 부착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자벼(41)를 물에 담그는 목적은 흡수하는 외에 종자벼(41)의 표피에 포함되어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을 물에 녹여서 제거하는 일인데, 이 발아저해물질을 효율적으로 물에 녹아내기 위하여는 적당한 정도의 온도 및 습도유지와, 충분한 산소공급등이 필요하다. 또 발아에서 출아함에 이르는 기간의 온도는 30~32℃가 가장 적당하며, 그와 같은 온도범위에서 발아가 가장 빠르고, 가지런한 발아도 가장 좋은 것으로, 30~32℃미만의 저온에서는 병에걸리기 쉬우며, 또 30~32℃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는 흡수가 왕성하게되어 씨젓(412)의 소비가 빠르게되어 모종의 키가 이상하게 쓸데없이 자라서 선향묘(線香苗)로 되기 쉽다고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육묘시이트(211)를 사용한 육묘장치에서의 육묘에 의하여 종자벼(411…)의 육성을 저해하는 물부족이나 산소부족의 양편이 발생하는 일 없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발아저해물질을 수경액속에 녹여서 제거하고, 균등한 발아 출아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육묘방법에 의한 것과 종래기술에 의한 것과의 발아률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면 제8도와 같이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육묘를 함에따라 발아률을 높여서 균등한 발아, 출아를 가능하게 하고, 그런다음의 생육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육묘시에 육묘시이트(211)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형상으로 감겨서 콤팩트하게 통합되어 있어, 그 콤팩트한 형상의 육묘시이트(211)로 다수의 종자벼의 육묘가 가능하므로 육묘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할 수 있으며,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것과를 비교하면 육묘면적의 대폭적인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육묘시이트(211)에 의하여 육묘된 모종은 이앙기로서의 예컨대 2줄 이앙기에 의하여 전포(田圃)에 이앙된다. 이 이앙기는 대략 V형의 한쌍의 손잡이(45,45)의 전단에 연결된 기계틀(46)을 구비하고, 이 기계틀(46)에는 부자(47)가 걸려있다. 부자(float)(47)의 앞상부에 뻗어나온 기계틀(46)에는 엔진(48)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 엔진(48)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가 전동기구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9)가 엔진(48)에서 후방으로 뻗도록하여 부자(49)위를 전후로 뻗는 기계틀(46)에 배설되어 있다. 더욱이 전동케이스(49)의 전후방향 중간부분으로부터는 회전축(50,50)이 양쪽편으로 돌출되어 있고, 양회전축(50,50)의 선단에는 차륜(51,51)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양회전축(50,50) 즉 차륜(51,51)에는 엔진(48)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양손잡이(45,45) 사이에는, 로울형상으로 감겨져 육묘처리가 된 한쌍의 육묘시이트(211,211)를 재치하는 이앙대(5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앙대(521)위의 육묘시이트(211,211)는 한쌍의 이송기구(531,531)에 의하여 이앙대(521)에서 송출되는 것으로 이 이송기구(531)는 육묘시이트(211)에 설치된 상하 2줄의 이송구멍(271,271)으로 맞무는 구동스프로킷(55)과, 이 구동스프로킷(55) 및 이앙대(521) 위에서 로울형상으로 되어 있는 육묘시이트(211) 및 종동스프로킷(56)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스프로킷(55)은 기계틀(46)의 상방으로 배치하도록하여 이 기계틀(46)에 지지된 기어박스(57)로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것으로,기어박스(57)에 내장되어 구동스프로킷(55)에 연결된 기어기구(도해없음)에는 전동케이스(49)내의 전동기구로부터 끌어낸 동력이 엔드레스형의 체인등의 전동띠(58)를 개재하여 전달된다. 또 종동스프로킷(54)은 기계틀(46)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인장로울러(56)는 이앙대(521)에서 각기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앙대(521)에는 시이트부품(251) 즉 다공성 시이트(231)이 박리된 다음에 구동스프로킷(55)에 의하여 이송되어온 지지대(221)를 당겨 감기 위한 지지대 감기로울러(59)가 배설되어 있고, 이 지지대 감기로울러(59)에는 구동스프로킷(55)의 회전동력이 체인등의 엔드레스형의 전동대(71)를 개재하여 전동된다.
상기 이송기구(531)로 송출된 육묘시이트(211)의 지지대(221)로부터 모종을 구비한 시이트부품(251)을 벗기고 땅속에 식부하는 식부기구(60)는, 이송기구(531)에 있어서의 구동스프로킷(55) 및 종동스프로킷(54) 사이의 중간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12도를 함께 참조하여 식부기구(60)는 전동케이스(49)의 후단부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전동케이스(49)내의 전동기구(도면에 없음)를 개재하여 엔진(48)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축(61)과, 이 축(61)이 중앙부에 굳게 부착된 갈고리 전동케이스(62)와, 이 갈고리 전동케이스(62)의 양단에서 축(61)과 평행한 축선을 구비하여 각기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갈고리 전동케이스(62)에 내장된 전동기구(도면에 없음)를 개재하여 축(61)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한쌍의 축(63,63)과, 그것들 축(63,63)에 기단이 각기 굳게 부착된 한쌍의 아암(64,64)과, 그것들 아암(64,64)의 선단에 각기 배설되는 이앙갈고리(65,65)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앙갈고리(65)는 아암(64)의 선단에 굳게 부착된 니이들(66)과, 이 니이들(66)에 잇따른 왕복이동을 가능하게하여 니이들(66)에 장착되는 모종가압구(67)에 굳게 부착된 연결부재(68)가 아암(64)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연결부재(68)에는 아암(64)에 내장된 구동기구(도면에 없음)가 연결되는 것으로, 이 구동기구는 축(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작동한다. 이에 따라 모종가압구(67)는 아암(64)의 회전동작에 동기하여 왕복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식부기구(60)에 의하면 이송기구(531)에 있어서 종동스프로킷(54)에서 구동스프로킷(55) 측으로 이송되어오는 육묘시이트(211)의 갈고리 걸이구멍(291)에 지지대(221) 측으로부터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이 맞물리고 축(61,63,63)의 회전에 의한 아암(64)의 회전에 따라 지지대(221)로부터 벗겨낸 시이트부품(251)이 달린 모종이 니이들(66)에 의하여 땅속에 매몰하게 되는 경우 모종가압구(67)가 시이트부품(251)이 달린 모종을 니이들(66)에서 이탈시켜서 땅속에 밀어넣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이트부품(251) 부속의 모종을 식부하도록 된다.
그리고 육묘시이트(211)에서 이탈한 모종부착의 시이트부품(251)을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으로 지면에 운송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니이들(66)에서 시이트 부품(251)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한쌍의 와이어 혹은 막대로 된 가이드부재(69)(제10도 및 제12도 참조)가 니이들(66)의 이동체적에 잇따라서 시이트 부품(251)을 안내하도록하여 기계틀(46)에 부착된다.
그런데 이송기구(531)에 의하여 이송되는 육묘시이트(211)로 유지되어 있는 모종을 도해없는 센서로 검출하도록하여 이 검출센서로 모종의 검출되지 않을때에는 이송기구(531)에 의한 육묘시이트(211)의 이송속도를 빠르도록하여도 좋다.
다음에 이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띠형상으로 뻗은 지지대(221)의 일면에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시이트(231)가 지지대(221)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접착되있고, 수납요부(241)가 다공성 시이트(231)에 마련되어 있어, 종자벼등의 종묘가 수납요부(241)에 수납된 상태에서 육묘를 하게 되므로, 토양충전을 불필요로하여 청결한 취급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경량 또한 간소화된 육묘시이트(221)를 콤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어서 운반시의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육묘시이트(211)로 한번에 다량의 육묘를 할 수 있으므로 공업적인 양산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띠형상인 육묘시이트(211)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은 용이하므로, 육묘후의 모종을 이앙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어, 모심기 기계등의 이앙기를 구비한 이송기구(531)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이앙작업을 할수 있다. 또 띠형상인 지지대(221)를 사용하였음에 따라 모종 이송길이의 변화가 없어져서 모종을 균등하게 심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모종이송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없이 예컨대 모심을 때의 결주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육묘 및 이앙시에는 육묘시이트(211)가 로울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육묘시이트(211)를 보다 콤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어, 육묘에 필요한 면적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운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하여 육묘시이트(211)의 모심기 기계등의 이앙기에서의 세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육묘시이트(211)는 다공성 시이트(231)가 외주측에 위치하도록하여 로울형상을으로 감겨지므로, 각 수납요부(241…)의 종자벼에서 나온 뿌리가 서로 휘감기는 것을 극력 회피함과 동시에 각 시이트부품(251…)의 박리를 로울형상의 육묘시이트(211)의 바깥쪽으로부터 실행할 수 있음에 따라 박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육묘시에 있어서, 수납요부(241)가 다공성 시이트(23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종묘가 육묘시이트(211)에서 상방으로 생육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종묘를 정상으로 생육시킴에 따라, 이앙시에 결주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수납요부(241)의 상단이 다공성 시이트(231)의 상단에 근접하여 배치되거나 다공성 시이트(231)의 상단에서 개구되어 있음에 따라, 모종육성 및 발아(발아촉진)가 더욱 용이하게 되어, 그 성장방향을 상방으로 향하여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요부(241)가 이 수납요부(241)에 수납되는 종묘의 자세를 대략 상하로 하기 때문에 세로길이의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서도 발아(발아촉진) 및 생육방향을 일정하게하여 모종의 육성을 보다 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제7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어린눈은 종자벼의 상부 또는 가로로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묘의 자세를 규제함에 따라서, 모종의 생육을 정상화 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다공성 시이트(231)를 여러개의 시이트부품(251,251…)으로 분리하기 위한 슬릿(261…)을 다공성 시이트(231)로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종자벼의 부리가 서로 휘감기는 일이 극력억제되어 각 슬릿(261…)에 차폐부재(31…)가 각기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인접상호의 종자벼의 휘감김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어 모심기할때에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에 의하여 지지대(221)로부터 모종부착의 시이트부품(251)을 용이하게 벗겨낼수 있어, 정상적인 모심기를 할 수 있고, 또 뿌리의 육성을 도울수 있다.
더욱이 육묘시에 수경재배를 이용함에 따라, 모종의 육성이 간소화되어 육묘관리도 용이하게 되고, 그 위에 육묘시이트(211)를 사용한 수경재배에 의하여 육묘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육묘코스트를 저하시켜서 공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모심기 기계등의 이앙기에 의한 이앙시에는 육묘시이트(211)에 있어서의 지지대(221)에 이 지지대(221)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구멍(271…)이 각기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이앙기의 이송기구(531)를 간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육묘시이트(221)의 이송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결주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이송구멍(271…)이 같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육묘시이트(211)의 이송 속도를 대략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이송구멍(271…)이 지지대(221)의 상하 양측으로 각기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육묘시이트(211)의 이앙시의 자세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이앙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앙기의 식부기구(60)에 의한 식부시에는 이 식부기구(60)에 있어서의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을 다공성 시이트(2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갈고리 걸이구멍(291)에 맞물게하는 것이지만, 슬릿(261…)이 다공성 시이트(231)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같은 간격을 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모종을 각기 구비한 시이트부품(251…)을 지지대(221)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다공성 시이트(231)의 하단부가 지지대(22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있고, 갈고리 걸이구멍(291)이 그 적어도 일부를 지지대(221)의 하단보다도 하방에 배치하여 다공성 시이트(231)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을 갈고리 걸이구멍(291)에 맞무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니이들(66)은 육묘시이트(211)의 갈고리 걸이구멍(291)에 지지대(221) 측으로부터 맞무는 것이므로 시이트부품(251)을 지지대(221)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벗길수 있어, 시이트부품(251) 즉 모종의 이상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대(221)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구멍(271…)이 지지대(221)의 길이방향으로 있따라서 슬릿(261)에 대략 대응한 위치에서 지지대(221)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이 이송구멍(271…)에서 맞물어 버리는 것을 피하게 되어 시이트부품(251)의 땅속으로의 매설 즉 이앙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3도는 육묘시이트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14-14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육묘시이트(212)는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띠형상으로 뻗은 지지대(222)와,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시이트(232)등이 그 다공성 시이트(232) 지지대(222)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하여 서로 접착되어 된 것이다.
다공성 시이트(232)는 그 상하에 지지대(222)의 상하양측부가 노출하도록 지지대(222)에 접착되어 있다. 더욱이 다공성 시이트(232)의 상부에는 종묘 예컨대 수도의 종자벼를 수납하는 수납요부(242…)가 그 수납요부(242)에 수납되는 종자벼의 자세를 대략 수평으로 규제하도록 대략 타원형상으로하여 마련되어 있다.
다공성 시이트(232)에는 이 다공성 시이트(232)를 여러개의 시이트부품(252…)으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릿(262…)이 각 수납요부(242…)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하여 다공성 시이트(232)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같은 간격을 둔 위치에서 다공성 시이트(232)의 폭방향 즉 상하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대(22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이 지지대(222)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예컨대 4각형상의 이송구멍(272…, 272)이 각기 1렬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그것들 이송구멍(272…,272)은 슬릿(262…)에 대략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수납요부(242…)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서 다공성 시이트(232)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이식갈고리(65)의 니이들(66)(제12도 참조)을 맞물리게 하도록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길게 뻗는 슬릿형상의 갈고리 걸이구멍(292…)이 마련되어 있다. 또 각 갈고리 걸이구멍(292…)의 하단에는 니이들(66)을 갈고리 걸이구멍(292)에 맞물리게하여 지지대(222)로부터 시이트부품(252)을 박리하는 경우에 시이트부품(252)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테이프등의 비교적 딱딱하고 또한 엷은 부재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박편형상의 스토퍼(72…)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212)를 사용한 육묘 및 이앙시에 이 육묘시이트(212)는 다공성 시이트(232)를 내주측으로하여 로울형상으로 감겨지게 되어, 그와 같이 감음에 따라 수납요부(242…)로부터의 종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육묘시이트(212)의 상하위치를 역으로하여, 슬릿형상의 갈고리 걸이구멍(292)을 수납요부하고, 타원형상의 수납요부(242)를 갈고리 걸이구멍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그런 경우 스토퍼(72)는 슬릿형상의 수납요부에는 장착하지 않으며, 필요할때면 타원형상인 갈고리 걸이구멍의 하부에 장착하는 것이 좋다.
제15~제1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5도는 육묘시이트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16-16선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17-17선 확대 단면도.
이 육묘시이트(213)는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서 띠형상으로 뻗은 지지대(223)와,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시이트(233)등이 이 다공성 시이트(233)를 지지대(223)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하여 서로 접착되어서 된다.
다공성 시이트(233)는 그 상하양단을 지지대(223)의 상하양단에 대략 합쳐서 지지대(223)에 접착된다. 더욱이 다공성 시이트(233)의 상부에는 종묘 예컨대 수도의 종자벼를 수납하는 수납요부(243…)가 설치되있고, 그것들 수납요부(243…)는 이 수납요부(242)에 수납되는 종자벼의 세로지름과 대략 동의하던가 그 이상으로 한 세로길이의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다공성 시이트(233)에는 이 다공성 시이트(233)를 여러개의 시이트부품(253…)으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릿(263…)이 각 수납요부(243…)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하여 다공성 시이트(233)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같은 간격을 둔 위치에서 다공성 시이트(233)의 폭방향 즉 상하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대(22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이 지지대(223)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원형의 이송구멍(273…,273)이 각 슬릿(263)에 대략 대응하도록하여 각기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다공성 시이트(23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대(223)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이송구멍(273…, 273)에 대응한 구멍(282…, 282…)이 각기 마련되어 있다.
각 수납요부(242…)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서 다공성 시이트(233)의 하부에는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제12도 참조)를 맞물도록 원형의 갈고리 걸이구멍(293…)이 마련되있고, 지지대(223)의 하부에는 그것들 갈고리 걸이구멍(293)에서 지지대(223)의 하단부까지의 노치부(302…)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212)를 사용한 육묘 및 이앙시에 이 육묘시이트(213)는 다공성 시이트(233)를 내주측으로하여 로울형상으로 감겨지게 되어,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제18도~제2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8도는 육묘시이트의 측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19-19선 확대 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20-20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육묘시이트(214)는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 띠형상으로 뻗은 지지대(224)와,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시이트(234)가 이 다공성 시이트(234)를 지지대(224)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하여 서로 접착하여서 된다.
다공성 시이트(234)는 그 하부를 지지대(224)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하여 지지대(224)에 접착된다. 더욱이 다공성 시이트(234)에는 종묘 예컨대 수도의 조자벼를 수납하는 세로길이의 수납요부(244…)가 상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이 다공성 시이트(234)를 여러개의 시이트부품(254…)으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릿(264…)이 , 각 수납요부(244…)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하여 다공성 시이트(234)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같은 간격을 둔 위치에서 다공성 시이트(234)의 폭방향 즉 상하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대(224)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이 지지대(224)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원형의 이송구멍(274…,274…)이 각 슬릿(264…)에 대략 대응하도록하여 각기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다공성 시이트(234)의 하부에는 지지대(224)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이송구멍(274…)으로 대응한 구멍(283…)이 각기 마련되어 있다.
각 수납요부(244…)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지지대(224)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한 다공성 시이트(234)의 하단부에는 이앙갈고리(65)의 니이들(66)(제12도 참조)를 맞물게 하도록 원형의 갈고리 걸이구멍(294…)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214)를 사용한 육묘 및 이앙시에 이 육묘시이트(214)는 다공성 시이트(234)를 내주측으로하여 로울형상으로 감겨지게 되어, 상기 제1혹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가 제21도에 도해한 바와 같이, 육묘 및 이앙시에 전체로서 사다리꼴이 형상이 되도록 지그자그하여 접어개어 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를 지그자그하여 접어개인 상태에서는 다공성 시이트(231,232,233혹은 234) 서로가 접촉한 상태가 되므로 다공성 시이트(231,232,233혹은 234) 서로 사이에 종이나 합성수지로된 시이트형상의 차폐부재를 끼워넣도록하여, 육묘시에 모종의 뿌리가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에 의하여 예컨대 모심기를 할때에는 예컨대 모심기 기계에는 제22도 및 제2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이앙대(522) 및 이송기구(532)가 설치되어 있다.
제22도 및 제23도에 있어서, 이앙대(522)는 그 주연에 벽(74)을 구비한 구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있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접어끼어진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가 이앙대(522)위에 재치된다. 그리고 이앙대(522)의 전단에서 벽(74)에는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를 이앙대(522)로부터 끌어내기 위한 개구부(74a)가 설치되있고, 이앙대(52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는 사다리꼴형으로 되어 있는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의 전단양측에 맞물리어 이앙대(522) 위에서의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의 전단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75,7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는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의 후단에는 시이트 가압구(76)가 맞닿게 되는 것으로, 이 시이트 가압구(76)는 스토우커 이송기구(771)에 의하여 이앙대(522)위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한다.
스토우커 이송기구(771)는 이앙대(522)의 한쪽편에 배치되는 것이며, 모우터(78)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구동풀리(79)와, 이 구동풀리(79)에서 후방측으로 간격을 비워둔 위치에서 자유로히 회전하는 종동풀리(80)와, 구동풀리(79,80)에 감겨지는 엔드레스 형상의 벨트(81)등을 구비하여 구동풀리(79) 및 종동풀리(80)는 그것들 회전축선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앙대(522)에는 그 전후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가이드구멍(82,8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것들 가이드구멍(82,82)을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판(83,83)이 시이트 가압구(76)에 굳게 부착되어 그것들 연결판(83,83)의 하단은 벨트(81)에 굳게 연결된 이동판(8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78)에 의하여 벨트(81)즉 이동판(84)을 이앙대(522)의 전후에 주행시키는 일이 가능하고, 그에따라 시이트 가압구(76)에 의하여 이앙대(522) 위에서의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가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도록 된다.
이송기구(532)는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에 마련된 상하 2렬의 이송구멍(271…,272…273…혹은 214…)에 맞무는 구동스프로킷(86)과, 이 구동스프로킷(86)과의 사이에서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에 장력을 주어서 느슨함을 얻기 위한 종동스푸로킷(87)과 이 종동스프로킷(87)과의 사이에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을 끼우는 로울러(88)과, 이 로울러(88)를 종동스프로킷(87)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89)등을 구비하여 이앙갈고리(65)가 구동 및 종동스프로킷(86,87) 사이에 배치된다. 또 이앙대(522)의 개구부(74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을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자세유지 로울러(90,90)가 배치되어 있다. 이앙 갈고리(65)에 의하여 시이트부품(251,252,253혹은 254)이 벗겨 떨어져서 구동스프로킷(86)으로부터 송출된 지지대(211,212,213혹은 214)는 후방측으로 경사진 안내로울러(91)에 감겨지고, 또한 하방측으로 경사져서 모우터(93)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지대 감기로울러(92)에 당겨감겨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 혹은(214)을 송출하도록 하면, 모심기 기계등의 이앙기에 의한 이앙시에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를 이송함에 따라서 발생한 이앙대(522)의 빈공간에 육묘시이트(211,212,213혹은 214)를 보충할 수 있어, 이앙대(522)에서의 모종의 보충이 용이하게 된다.
제24도는 스토우커 이송기구 및 지지대 감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며, 스토우커 이송기구(772)는 모우터(78')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구동풀리(79')와, 이 구동풀리(79')에서 후방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는 종동풀리(80')와, 구동풀리(19', 80')에 감겨지는 엔드레스형상의 벨트(81')등을 구비하여 구동풀리(79') 및 종동풀리(80')는 그것들의 회전축선을 대략 수평으로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앙대(522)의 가이드구멍(82,82)을 관통하여 시이트가압구(76)에 굳게 부착된 연결판(83,83)은 벨트(81')에 굳게 연결된 이동판(8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것이며, 이 이동판(84')은 이앙대(522)의 한쪽편에서 전후방향으로 뻗는 고정의 가이드로드(94)에 의하여 전후방향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 이앙갈고리(65)에 의하여 시이트부품(25, 혹은 252)을 떼어내어 구동스프로킷(86)으로부터 송출된 지지대(211,212,213혹은 214)는 전방측으로 경사진 안내로울러(95,96)에 순차 감겨져서 상하로 뻗는 축선을 구비한 지지대 감기 로울러(92')에 감기게 된다.
그런데 제22도~제24도에 있어서의 구동스프로킷(86)의 모우터 및 지지대 감기로울러(92,92')의 모우터(93) 대신에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구동스프로킷(55) 및 지지대 감기 로울러(59)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된 스프로킷등의 엔드레스전동기구를 개재하여 엔진(48)으로부터의 동력을 구동스프로킷(86) 및 지지대 감기 로울러(92,92')에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 스토우커 이송기구(771,772)의 모우터(78,78')를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식부기구(60)에 연동 연결된 전동기구로 바꿔놓아도 좋다.
제25도 및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25도는 육묘시이트 사시도, 제26도는 제25도의 육묘시이트를 넓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이 육묘시이트(215)는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띠형상으로 뻗는 지지대(225)와, 연속기공을 구비한 구공성 시이트(235)등이 그 다공성 시이트(235)를 지지대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하여 서로 접착되어서 된 것이다.
다공성 시이트(235)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부품(251)과 대략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호간에 같은 간격을 두도록하여 지지대(225)에 접착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다공성 시이트(231)에 마련되어 있는 슬릿(261)이 불필요하다. 또 각 다공성 시이트(235)에는 그 다공성 시이트(235)의 상단에 근접한 수납요부(245)와, 수납요부(245) 보다도 하방의 갈고리 걸이구멍(295)등이 각기 마련되어 있다.
또 지지대(22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이 지지대(225)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예컨대 원형의 이송구멍(275…, 275…)이 각기 1렬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으며, 그것들 이송구멍(275…,275…) 서로의 간격을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다공성 시이트(235,235) 사이의 간격의 1/2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215)는 그 육묘 및 이앙시에 있어서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어개어진다. 즉 육묘시이트(215)에 있어서의 지지대(225)는 다공성 시이트(235,235) 서로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반환부(22a)로하여 접어개이게되어 육묘 및 이앙시에는 접어갠 상태에서의 육묘시이트(215)가 로울형상으로 감긴다거나 제21도의 제5실시예와 같이 지그자그하여 접어개어진 다거나 하게 이러한 경우 접어개어진 상태에서도 이송구멍(275…,275…)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으며, 육묘시이트(215)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육묘시이트(215)는 육묘 및 이앙시에 로울형상으로 휘감는 다거나 지그자그하여 접어갠 다거나하여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육묘장치 및 이앙기를 사용한 육묘 및 이앙이 가능하지만 다공성 시이트(235) 서로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납요부(245)에 종묘를 수납한 상태에서 육묘시이트(215)를 땅속으로 직접 식부하여 직파재배를 하여도 그루사이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이앙기가 불필요하게 되며, 또 육묘장치도 불필요하게 되므로 대폭 원가절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함이 없이 여러 가지의 설계변경을 하는 일이 가능하다.
예컨대, 수납요부는 타원형이나 슬릿형상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각형, 다각형등의 형상이 였어도 좋고, 갈고리 걸이구멍도 원형이나 타원형에 한정됨이 없이 각형, 다각형 및 슬릿형상등의 형상이 였어도 좋다. 또 지지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용걸이 고정부는 이송구멍에 한정하지 않고, 요철부 였어도 좋으며 슬릿에 차폐부재를 삽입함에 대신하여 시이트부품의 양측을 태우도록하여도 좋다. 또 이앙기의 전동구동계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의 전달경로를 생각할 수 있다.
또 육묘시에 다공성 시이트(231~235)를 내주측으로하여 로울형상으로 육묘시이트(211~215)를 감아두어 이앙시에는 다공성 시이트(231~235)가 외주측이 되도록하여 고쳐감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하면 육묘시에는 수납요부(241~245)로부터의 종묘의 탈락을 회피하여 이앙시에는 모종의 유무를 확인하기 쉽게하여 확실한 이앙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는 반대로 육묘시에 다공성 시이트(231~235)를 외주측으로하여 로울형상으로 육묘시이트(211~215)를 감아두어 이앙시에는 다공성 시이트(231~235)가 내주측이 되도록하여 고쳐감도록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각 수납요부(241~245)에 종묘를 하나씩 수납되도록하였으나, 각 수납요부(241~245)에 여러개의 종묘를 수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2)

  1. 폭방향을 상하방향으로하여 띠형상으로 뻗은 엷은 지지대(221∼225)의 일면에 연속기공을 지닌 다공성 시이트(231∼235)가 부착되고, 종묘를 수납하는 수납요부(241∼245)가 다공성 시이트(231∼235)에 마련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221∼225)에 이 지지대(221∼225)를 그 길이방향으로 보내기 위한 이송용걸이 고정부(271∼275)가 적어도 1열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이송용걸이 고정부(271∼275)가 지지대(221∼225)의 상하 양측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형성된 다공성 시이트(231∼234)를 여러개의 시이트부품(251∼254)으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슬릿(261∼264)을 상기 다공성 시이트(231∼234)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같은 간격의 위치에서 상하로 길게 뻗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대(221∼224)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용걸이 고정부(271∼274)가 상기 지지대(221∼224)의 길이방향으로 잇따라서 슬릿(261∼264)에 대략 대응한 위치에서 지지대(221∼224)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231,234,235)의 하단부가 지지대(221, 224, 22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수납요부(241∼245)가 다공성 시이트(231∼235)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수납요부(241∼242)가, 이 수납요부(241∼242)에 수납된 종묘의 자세를 대략 상하 또는 대략 수평으로 규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9. 제4항에 있어서, 슬릿(261∼264)에, 이 슬릿(261∼264)의 양측의 시이트부품(251∼254)을 서로 구획하는 차폐부재(31)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육묘 및 이앙시에는 로울형상으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231∼235)가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2. 제10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231, ∼235)가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3. 제1항에 있어서, 육묘 및 이앙시에는 전체로서 구형 형상이 되도록 지그자그하여 접어개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4.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231, ∼235)의 하부에는 이앙시에 이앙갈고리(65)를 맞물리게 하는 갈고리 걸이구멍(291∼295)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231, 234, 235)의 하단부가 지지대(221, 224)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갈고리 걸이구멍(291, 294, 295)이 적어도 일부를 지지대(221, 224, 225)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배치하여 다공성 시이트(231, 234, 235)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6. 제7항에 있어서, 수납요부(241∼245)의 상단이 다공성 시이트(231∼235)의 상단에 근접하여 배치되지만 다공성 시이트(231∼235) 상단에서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
  17. 제1항에 있어서의 육묘시이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연속기공을 구비한 다공질의 재료로된 길죽한 블록을 제조하는 공정과, 이 블록을 3∼10㎜두께로 슬라이스 가공하여 다공성 시이트(231∼235)를 얻는 공정과, 지지대(221∼225) 및 다공성 시이트(231∼235)를 서로 접착하는 공정과, 적어도 수납요부(241∼245)를 다공성 시이트(231∼235)로 형성하기 위한 펀칭가공 공정을 순차 경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지지대(221∼225) 및 다공성 시이트(231∼235)를 서로 접착하는 공정에서, 지지대(221∼225) 및 다공성 시이트(231∼235)의 대향면의 일부를 서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19. 제10∼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육묘시이트의 수납요부(241∼245)에 수납한 종묘를, 수경재배에 의하여 육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방법.
  20. 제1항에 기재된 육묘시이트(215)를 그 수납요부(245)에 종묘를 수납한 상태에서 땅속에 직접 식부하여 직파재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21. 제1항에 기재된 육묘시이트(211∼215)를 재치하는 이앙대(521, 522)와, 이앙대(521, 522) 위로부터 육묘시이트(211∼215)를 송출하는 이송기구(531, 532)와, 이 이송기구(531, 532)로 송출된 육묘시이트(211∼215)의 지지대(221∼225)로부터 다공성 시이트(231∼235)를 벗겨서 땅속에 식부하는 식부기구(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2. 제14항 또는 15항에 기재된 육묘시이트(211, 213∼215)의 갈고리 걸이구멍(291, 293∼295)에 지지대(221, 223, ∼225) 측으로부터 이앙갈고리(65)를 맞물어서 다공성 시이트(231, 223∼225)를 지지대(221, 223∼225)부터 벗기는 식부기구는 식부기구(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19970707719A 1996-03-01 1997-02-28 육묘시이트,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육묘방법, 재배방법 및 이앙기 KR100238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45186 1996-03-01
JP4518696 1996-03-01
JP8270502A JP2876397B2 (ja) 1996-03-01 1996-10-14 育苗シート、育苗シートの製造方法、育苗方法、栽培方法および移植機
JP96-270502 1996-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94A KR19990008194A (ko) 1999-01-25
KR100238009B1 true KR100238009B1 (ko) 2000-01-15

Family

ID=2638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19A KR100238009B1 (ko) 1996-03-01 1997-02-28 육묘시이트,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육묘방법, 재배방법 및 이앙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40674B1 (ko)
EP (2) EP1230833B1 (ko)
JP (1) JP2876397B2 (ko)
KR (1) KR100238009B1 (ko)
CN (1) CN1098628C (ko)
ES (2) ES2186868T3 (ko)
MY (2) MY127593A (ko)
TW (1) TW393292B (ko)
WO (1) WO1997031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796B2 (ja) 1998-06-01 2006-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植え付け作業装置
DK173418B1 (da) * 1998-06-29 2000-10-02 Bentle Products Ag Bånd med spiringselementer og pakning heraf, samt fremgangsmåde og anlæg til deres fremstilling
DK174002B1 (da) * 1998-06-29 2002-04-08 Bentle Products Ag Fremgangsmåde til spiring af frø eller lignende vækstegnede plantedele indeholdt i spiringselementer, samt spiringskasse og spiringsanlæg til brug ved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DK173811B1 (da) * 1998-06-29 2001-11-12 Bentle Products Ag Pakket bånd,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båndet og apparater til brug ved fremgangsmåden
GB2348100B (en) * 1999-03-22 2001-02-14 Ian Alan Webster seed support
US6560922B2 (en) * 1999-09-02 2003-05-13 Stephen Paul Jarrell Method of producing vegetable sprouts
KR100442037B1 (ko) * 2001-04-13 2004-07-3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잡초 방제용 직파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30150556A1 (en) * 2002-01-11 2003-08-14 Miller Charles E. Fibrous product containing plant seed
US20030145517A1 (en) * 2002-01-11 2003-08-07 Miller Charles E. Fibrous product containing plant seed
WO2005055700A2 (en) * 2003-11-17 2005-06-23 Aerogrow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20080282610A1 (en) * 2004-03-16 2008-11-20 Aerogrow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20070271841A1 (en) * 2004-03-16 2007-11-29 Aerogrow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8261486B2 (en) * 2004-09-15 2012-09-11 Aerogrow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iquid delivery and distribution to plants
US20060272210A1 (en) * 2004-09-15 2006-12-07 Aerogrow International, Inc. Smart gard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DE102006016584B4 (de) * 2005-09-27 2016-02-25 Illinois Tool Work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Klebstofffäden und -punkten auf ein Substrat
DK200501727A (da) * 2005-12-06 2007-06-07 Bentle Products Ag Spiringsenhed samt fröbånd bestående af flere sådanne spiringsenheder anbragt efter hinanden
US20080034653A1 (en) * 2006-02-10 2008-02-14 Ramsey W G Hybrid composite hydroponic substrate system
US7739833B2 (en) * 2006-02-10 2010-06-22 Ramsey W Gene Foamed vitroeous materials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US9974249B2 (en) * 2006-02-10 2018-05-22 W. Gene Ramsey Hybrid composite hydroponic substrate system
US7998669B2 (en) * 2006-03-02 2011-08-16 Monsanto Technology Llc Automated contamination-free seed sampler and methods of sampling, testing and bulking seeds
US8578651B1 (en) 2009-03-13 2013-11-12 Tomkat Ranch Educational Foundation Aquaponic vertical garden using a stretchable grow media
US8516743B1 (en) 2008-03-14 2013-08-27 INKA Biospheric Systems Rotating aquaponic vertical garden using a stretchable grow media
US8181391B1 (en) 2008-03-14 2012-05-22 INKA Biospheric Systems Vertical aquaponic micro farm
US8215058B2 (en) * 2009-08-18 2012-07-10 Cook Jeffrey A Drip emitter with seed packet
ES2373283B1 (es) * 2009-09-22 2012-12-10 Macrofitas, S.L. Procedimiento para ayuda en la germinación de semillas y crecimiento de plantas a partir de un soporte de origen vegetal (segmento de hoja de macrofito)
EP2587913A1 (en) * 2010-06-30 2013-05-08 Rockwool International A/S Growth substrate product, methods of growing plants and processes of making growth substrate
US20120036772A1 (en) 2010-08-11 2012-02-16 Ufp Technologies, Inc. Seed panel
US9363940B2 (en) 2010-08-11 2016-06-14 Ufp Technologies, Inc. Seed panel
US9220189B2 (en) * 2011-07-25 2015-12-29 Rootingtape B.V. Rooting tape
CN102349385B (zh) * 2011-08-24 2015-04-08 武际军 插秧机船板总成
EP2818040A1 (en) 2013-06-24 2014-12-31 Huntsman International Llc Polyurethane foam for use as soil improver
PL3065537T3 (pl) * 2013-11-05 2018-03-30 Ellegaard Holding A/S Sposób wytwarzania pojemnika na rośliny oraz pojemnik na rośliny
AU2014250663C1 (en) 2013-11-08 2017-10-19 Plant Tape Altea S.L. An apparatus for transplanting plants
CN103918381A (zh) * 2014-05-14 2014-07-16 安徽科技学院 一种数种置床杯
CN105766454A (zh) * 2014-12-23 2016-07-20 天津市帅彤无纺布制品有限公司 一种互联式无纺布育苗袋
CN105075456A (zh) * 2015-07-23 2015-11-25 东北农业大学 用于植生带点阵式点胶装置上的下纸带匀速进给控制机构
US10736284B2 (en) * 2015-09-01 2020-08-11 Keith Baker Vertical hydroponic system
CN105850282A (zh) * 2016-04-29 2016-08-17 巩庆飞 家用植物种子生芽机
US11109526B1 (en) 2019-02-12 2021-09-07 Group of 4 LLC Seed planting device and method of planting
CN114144057A (zh) * 2019-06-28 2022-03-04 日商费尔德生技股份有限公司 包含绳以及固定于该绳的稻的绿化秧苗的秧绳、其制备方法以及在沟的底部安置稻的种子或秧绳的稻的栽培方法
CN110946071A (zh) * 2019-12-13 2020-04-03 湖南省水稻研究所 一种水稻育种方法及育种发芽设备
CN112042491A (zh) * 2020-09-07 2020-12-08 湖北省农业科学院粮食作物研究所 一种高产水稻种植方法
CN112789982B (zh) * 2020-12-29 2022-07-22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裸苗固定苗带、自动送苗装置及其方法
CN113455153B (zh) * 2021-07-30 2022-09-06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批量上苗式甘薯移栽机
CN113475205B (zh) * 2021-07-30 2022-11-04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卷带式甘薯移栽机构
IL310745A (en) * 2021-08-10 2024-04-01 Agada Tech Ltd Module and methods for hydroponic growing, germination and cultivation
WO2023041614A1 (de) * 2021-09-15 2023-03-23 Antje Wolf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ordnen von saatgut
EP4151066A1 (de) * 2021-09-15 2023-03-22 Antje Wolf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ordnen von saatgut
CN115769715B (zh) * 2023-02-13 2023-05-02 山西农业大学 一种防止草地土壤退化的土壤调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491A (en) * 1948-12-20 1951-10-16 Schindler George Anthony Seed tape
FR1094995A (fr) * 1953-11-30 1955-05-25 Bande porte-graines de semence
US3294045A (en) * 1963-08-09 1966-12-27 Stanford Research Inst Seed pregerminating and planting process
FI46576C (fi) * 1965-09-27 1973-05-08 Laennen Sokery Oy Tapa taimien, varsinkin puun taimien tuottamiseksi.
US3385242A (en) * 1966-09-08 1968-05-28 Univ Californi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lanting seeds
US3719158A (en) 1968-02-14 1973-03-06 H Roths Transplanting machine
US3906875A (en) 1972-12-27 1975-09-23 Gates Rubber Co Transplant handling means
JPS5057808A (ko) 1973-09-18 1975-05-20
US4167910A (en) * 1977-08-22 1979-09-18 General Mills, Inc. Transplanting apparatus for depositing plants directly from a supply tape into an inclined furrow
AU7921982A (en) * 1981-01-15 1982-07-22 Inter Sci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s Pty. Ltd. Seed planting
EP0097735B1 (de) * 1982-06-30 1987-03-04 Kaiser, Christian, Dr.agr. Verfahren zur Anzucht und zum Aussetzen von Pflanzen oder Keimlingen
JPS60153719A (ja) * 1984-01-24 1985-08-13 王子製紙株式会社 農業用シ−ト
DK171407B1 (da) * 1984-11-12 1996-10-21 Bentle Products Ag Sammerulleligt eller -foldeligt plantebånd med i båndets længderetning efter hinanden anbragte hylstre indeholdende planter eller vækstegnede plantedele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amme
GB2169482B (en) * 1984-12-04 1988-05-18 Twyford Plant Lab Limited Soil-less plant containers
FR2605178A3 (fr) * 1986-10-20 1988-04-22 Simonin Michel Dispositif pour semer les graines de carottes sans outils speciaux
US5088231A (en) * 1987-03-04 1992-02-18 Agristar, Inc. Automated system for micropropagation and culturing organic material
DE3711097A1 (de) 1987-04-02 1988-10-13 Scheffer Konrad Prof Dipl Agr Pflanzmaschine
US4866879A (en) * 1987-04-05 1989-09-19 Wood Donald C Seed tape planting system
DE3804357A1 (de) * 1988-02-12 1988-09-22 Gerhard Fabritz Keimvorrichtung fuer saemereien
DE3828346A1 (de) * 1988-08-20 1990-03-29 Klasmann Werke Gmbh Formkoerper fuer die pflanzenaufzuch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728581B2 (ja) * 1988-10-13 1995-04-05 株式会社クボタ テープ苗の植付装置
JPH03104208A (ja) 1989-09-19 1991-05-01 Matsushita Electron Corp 荷電ビーム描画装置
JPH0411818A (ja) * 1990-04-27 1992-01-16 Yoshinobu Toyomura 立体花壇用土壌及びその土壌を備えた立体花壇
JPH06113609A (ja) 1991-07-21 1994-04-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帯状苗折重機における苗受装置
ES2071555B1 (es) 1992-12-30 1996-01-16 Alcatel Standard Electrica Dispositivo de interpolacion numerica de se¦ales.
JPH06343346A (ja) 1993-06-11 1994-12-20 Tsuneo Onodera 稲苗の剪葉装置
FR2707832B1 (fr) * 1993-07-20 1995-11-24 Christian Mathieu Carte avec éléments germinatifs.
JPH07289025A (ja) * 1994-04-25 1995-11-07 Shuzo Ikeda 播種用帯体
JPH07289024A (ja) * 1994-04-28 1995-11-07 Tsuneo Onodera 稲の播種及び栽培方法
JP3391546B2 (ja) * 1994-05-09 2003-03-31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JPH07327417A (ja) * 1994-06-09 1995-12-19 Kubota Corp 田植機
EP0715444A3 (en) 1994-11-28 1998-12-23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a Delaware corp.) Telephone call-back application
DE19504168A1 (de) * 1995-02-08 1996-08-14 Neue Baumwollspinnerei & Weber Saatband aus verrottbaren Fasern
JPH08214700A (ja) * 1995-02-20 1996-08-27 Tsuneo Onodera 苗の育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7593A (en) 2006-12-29
TW393292B (en) 2000-06-11
ES2233738T3 (es) 2005-06-16
EP0823203B1 (en) 2002-10-02
EP1230833B1 (en) 2004-12-01
CN1180294A (zh) 1998-04-29
CN1098628C (zh) 2003-01-15
ES2186868T3 (es) 2003-05-16
MY123661A (en) 2006-05-31
EP0823203A4 (en) 2000-02-02
EP1230833A2 (en) 2002-08-14
JP2876397B2 (ja) 1999-03-31
KR19990008194A (ko) 1999-01-25
EP0823203A1 (en) 1998-02-11
US6240674B1 (en) 2001-06-05
EP1230833A3 (en) 2004-04-14
WO1997031522A1 (fr) 1997-09-04
JPH09289834A (ja) 199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009B1 (ko) 육묘시이트, 육묘시이트의 제조방법, 육묘방법, 재배방법 및 이앙기
US6460473B1 (en) Seedling-growing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07245B2 (ja) 縦型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縦型水耕栽培方法
GB1582843A (en) Soilless plant culture
KR100325531B1 (ko) 묘이식장치
JP3626574B2 (ja) 苗移植装置および多条苗移植機
JPH10271915A (ja) 育苗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36850A (ja) 水耕栽培システム
JP3755095B2 (ja) ロング苗マットの巻取り装置
JPH052030Y2 (ko)
JPH10191816A (ja) 水耕性育苗および植物育成装置
JPS5839492B2 (ja) スポンジジヨウバイチオツカツタ サイバイホウホウ
JP3481045B2 (ja) 苗移植装置
KR100223659B1 (ko) 모종이식장치 및 다조식 모종이식기
CN116437803A (zh) 用于生长植物的栽培设备和方法
JPH09308313A (ja) ロング苗マットの巻取り装置
RU9611076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а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высадки в почву растений, размноженных и выросших в ячейках ленты in vitro
JPH09308315A (ja) 長尺苗マット用播種機の播種シート
JP2006325601A (ja) 苗移植装置
JPH09308316A (ja) 長尺苗マット用播種機の苗床シート
JPH1066421A (ja) 連続水稲苗の田植機
JPH04161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