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138B1 - 폴리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138B1
KR100234138B1 KR1019930004582A KR930004582A KR100234138B1 KR 100234138 B1 KR100234138 B1 KR 100234138B1 KR 1019930004582 A KR1019930004582 A KR 1019930004582A KR 930004582 A KR930004582 A KR 930004582A KR 100234138 B1 KR100234138 B1 KR 10023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
naphthalate
film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735A (ko
Inventor
후지모또마사히코
쿠누기하라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구기사와 도시로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사와 도시로,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기사와 도시로
Publication of KR93001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1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를 가지며 평균 입경이 0.05 내지 3 ㎛이고, 구형비가 1.0 내지 1.1, 연신 중의 변형비가 1.2 내지 3.0인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쉬트를 연신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은 뛰어난 주행성, 내마모성 및 강도를 갖는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본 발명은 뛰어난 주행성, 내마모성 및 강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록 시간이 길고 비디오 테이프의 크기가 작으며 콘덴서의 용량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두께가 얇고 강도가 높은 베이스 필름이 점점 요구되고 있다. 베이스 필름으로서 종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면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높은 연신비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킨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대체물로서 개발해 왔다.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탁월한 강도를 가지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높은 연신비 때문에 필름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가 필름 표면에서 쉽게 떨어진다. 떨어진 입자로 인해 마모 분말이 생겨 결함(fault), 즉 자기 기록의 드롭 아웃, 및 콘덴서의 유전 강도가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자가 떨어지지 않고 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기타 목적은 1 이상의 에틸렌글리콜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평균입경이 0.05 내지 3㎛ 이며 구형비가 1.0 내지 1.1인 교차결합된 중합체 입자 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쉬트를 연신 중의 교차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변형비 1.2 내지 3.0에서 연신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란, 주성분으로서, 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원료로 부터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기타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기타 글리콜 성분과 같은 제 3성분이 원료에 포함될 수도 있다. 기타 디카르복시산 성분의 예로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세바스산이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타 글리콜 성분의 예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1, 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에서, 모든 단위체의 80몰% 이상이 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 단위체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은 적어도 1 방향으로 연신되며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재료를 290-330℃에서 쉬트로 용융-압출한다. 쉬트를 40-80℃에서 냉각 및 고화시켜 무정형 쉬트를 제조하고, 130-170℃에서 4 내지 20의 면적 연신비로 순차 또는 동시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2축 연신시키고, 180-270℃에서 열처리 한다.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키는데 있어서, 쉬트를 각 방향으로 단일 단계 또는 복수 단계로 연신시킬 수 있다. 복수 연신 단계 사이에, 연신 이완을 위해 쉬트를 열처리 할 수도 있다. 2축 연신 후와 열처리 전에, 쉬트를 재연신시킬 수 있다. 2축 또는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재연신 시킬 수 있다. 쉬트를 강화하기 위해, 쉬트를 2축 연신시킨 후, 1.05 내지 4.0의 연신비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재연신 한 후 열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필름에 함유된 입자로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와 양호한 친화성을 가지며 연신과정에서 중합체와 입자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변형으로 인해 필름으로 부터 떨어지지 않는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와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차 결합된 중합체는 1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 (-CH2CH2O-)를 포함한다.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구형비는 필름에 부가되기 전 입자의 최소 직경에 대한 최대 직경의 비로서 정의된다. 입자의 구형비는 1.0 내지 1.1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5 이다. 필름을 연신시킨 후의 입자의 변형비는 필름에 포함된 입자의 최소 직경에 대한 최대 직경의 비로서 정의되며, 변형비는 1.2 내지 3.0 이며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이다. 구형비가 1.1 보다 크면, 필름 표면은 개선되지 않는다. 변형비가 1.2보다 적으면, 입자 주위에 공극이 생겨 입자가 필름으로 부터 쉽게 떨어진다. 변형비가 3.0보다 크면, 입자에 의해 형성된 필름 표면상의 돌출이 심해서 주행성 및 내마모성이 불충분해 진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제조 방법은 제한적이지 않다. 통상적인 예로는, 분자 내 올레핀식 불포화 결합을 1 개만 포함하는 1이상의 모노비닐 화합물 (A), 및 교차 결합제로서, 분자에 올레핀식 불포화 결합 2이상을 포함하는 1이상의 화합물 (B), 분자 내에 1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를 포함하는 1 이상의 화합물 (C)를 사용하여 에멀젼 중합 반응에 의해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B)와 (C)는 동일한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멀젼 중합반응은 넓은 의미이며 비누 없는 에멀젼 중합반응과 종자(seed) 에멀젼 중합반응을 포함한다.
성분 (A)의 특정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그의 알킬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그의 말레산 무수물 및 알킬 유도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알킬 치환된 스티렌이 있다. 성분 (B)의 특정 예로는 디비닐벤젠 및 디비닐술폰이 있다. 화합물 (C)의 특정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클릴레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 내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의 함량은 통상 3 내지 3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이다.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 함량이 3 중량%보다 적으면, 입자가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와 불충분한 친화성을 가질 수가 있다. 이 함량이 35 중량% 보다 크면, 입자를 제조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 입자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자의 조성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입자의 교차 결합도는 변형 용이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교차 결합도가 너무 크면, 입자의 변형성이 적다. 교차 결합도가 너무 작으면, 입자의 내열성이 낮다. 교차 결합제인 화합물 (B)의 함량은 입자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5중량% 이다.
교차 결합된 입자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예 중의 하나는 하기와 같다. 원하는 양의 수용성 중합 개시제(예컨대, 과산화수소 및 과황산 칼륨)와 같은 중합 개시제를 수성 매체에 용해한 후, 원하는 양의 화합물 (A), (B) 및 (C)의 혼합 용액을 부가한다. 이때,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분해 시작 온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입자는 단량체 조성에 따라 부분 응집될 수 있으므로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화제와 같은 분산 안정화제를 부가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균일하게 분산된 입자가 수성 슬러리의 형태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0.05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이다. 평균 입경이 0.05㎛보다 작을 때는, 필름의 주행성 및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 평균 입경이 3㎛보다 크면, 표면 조도가 커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필름 중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함량은 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이다. 이 함량이 0.01 중량%보다 적으면, 필름의 미끄럼성 및 내마모성은 불충분하다. 함량이 3 중량%보다 크면, 필름의 표면 조도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크다.
필름의 원료인 폴리에스테르를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와 혼합하는 방법은 제한적이지 않다. 예컨대, 제조된 입자가 에틸렌 글리콜 슬러리 분산 형태일때, 폴리에스테르 제조의 어느 단계,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종료 후 및 중축 반응 개시 전에 필름 원료에 분산액을 부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한, 필름은 카올린, 활석, 탄산 칼슘, 이산화실리콘 및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기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자의 함량은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통상 0.5 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중량%이다. 기타 입자의 직경은, 통상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3㎛이다. 사용되는 미세 산화 알루미늄 입자의 직경이 0.01 내지 0.05㎛일때, 필름의 내찰성이 개선된다.
폴리(에틸렌 2, 6-나프날레이트) 필름의 종방향 영률은 통상 600 kg/㎟ 이상, 바람직하게는 700 k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kg/㎟ 이상이며, 횡방향 영률은 통상 600 kg/㎟ 이상, 바람직하게는 650 k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kg/㎠ 이상이다. 이들 영률 조건은 얇은 필름을 제조하는데 중요하다. 예컨대, 장시간-기록 자기 테이프용 베이스 필름의 경우에, 자기 테이프를 반복하여 주행시키면, 자기 테이프의 가장자리가 주름 져서 자기 테이프의 주행성과 전기적 특성에 역효과를 가져온다. 테이프 가장자리가 주름 지는 것을 테이프 가장자리 손상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테이프 가장자리 손상을 덜 입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뛰어난 주행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예컨대, 장시간-기록 자기 테이프용 베이스 필름으로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콘덴서 및 열-감응 전달 부재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증되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부"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 부"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여러 특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1) 평균 입경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각 입자를 관찰하고, 최대 직경 및 최소 직경을 측정한 후 그의 산술 평균 값을 한 입자의 평균 입경(직경)으로 정의한다. 입자 100개 이상의 직경을 측정하여 산술 평균 값을 낸다.
(2) 구형 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각 입자를 관찰하고, 최대 직경 및 최소 직경을 측정한 후 최대 직경/최소 직경의 비를 계산한다. 입자 100개 이상의 비를 계산하고 그의 산술 평균 값을 구형 비로 정의한다.
(3) 변형 비
입자를 포함하는 연신된 필름의 작은 조각을 에폭시 수지 성형으로 고정시킨 후, 마이크로톰으로 절단한다. 종방향 필름 단면을 투과 전자 현미경을 관찰한다. 필름 표면으로 부터 5㎛ 이내에 있는 입자에 대해서, 각 입자의 최대 및 최소 직경을 측정하고 각 입자의 최대 직경/최소 직경의 비를 계산한다. 100개 이상 입자의 비를 계산한 후 그의 산술 평균을 변형 비로 정의한다.
(4) 필름 표면의 평균 조도
표면 조도 시험기 (SE-3F 고사까 겐꾸쇼사 제)를 사용하여, JIS B-0601에 따라 중심선 평균 조도(Ra)를 측정한다.
(5) 필름의 영률
장력 시험기 (인테스코 모델 2001 인테스코사 제)를 사용하여, 온도 23℃ 및 습도 50 %RH의 조건 하에, 길이 300 ㎜ 및 폭 20 ㎜의 필름 견본을 10%/분의 변형 속도로 연신시킨다. 변형-응력(strain-stress) 곡선의 직선 부분을 사용하여, 하기식에 따라 영률을 계산하다.
영률 (E) = Δσ/Δε (kg/㎟)
상기 식에서 Δσ는 직선 상 두 점 사이의 원래 평균 횡단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응력차이며, Δε는 동일 점 사이의 변형차이다.
(6) 주행성
주행성은 미끄럼성에 따라 평가한다. 미끄럼성은 각(θ) 135°에서 고정된 경질 크롬 판 금속 로울러(직경: 6㎜)와 필름을 접촉시킨 후, 한 끝에서 하중 53g(T2)을 가한 채 필름을 1 m/분의 속도로 주행시키고, 다른 한 끝에서 저항력 (T1(g))을 측정한 후에 하기 식에 따라 주행 마찰 계수(μd)를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μd=(180/πθ)×1n(T1/T2)=0.424×1n(T1/53)
(7) 내마모성
내마모성은 하기에 기술되는 생성된 백색 분말의 양에 따라 평가된다.
135°의 각에서 직경 6㎜를 갖는 고정된 경질 크롬 핀과 필름을 접촉시키고, 필름을 속도 10 m/분, 장력 200 g으로 1000 m의 거리를 주행시킨다. 핀에 부착된 마모된 백색 분말은 육안으로 관찰되며 하기와 같이 평가된다:
등급 A : 백색 분말의 부착이 없음
등급 B : 백색 분말이 미량 부착됨
등급 C : 백색 분말이 소량(등급 B보다 많은 양) 부착됨
등급 D : 백색 분말이 매우 많이 부착됨
(8) 자기 테이프의 특성
자기 미세 분말 (200부), 폴리우레탄 수지(30부), 니트로셀룰로오스(10부), 비닐 클로라이드/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공중합체(10부), 레시틴(5부), 시클로헥산온(100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100부) 및 메틸 에틸 케톤(300부)를 혼합하고 보올 밀 내에서 48시간 동안 반죽한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5부)를 부가하여 자성도료를 제조한다. 이 자성 도료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피복한다. 도료를 충분히 건조시키기 전에, 도료를 자기 배향시키고 건조시켜 건조된 자기층의 두께가 6㎛가 되도록 하여, 자기 테이프를 제조한다.
[캘린더링 로울러의 오염]
이때, 자기 테이프와 접촉하고 있는 로울러 표면의 오염 정도를 5단계 슈퍼캘린더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슈퍼캘린더는 거울 처리된 금속 로울러 및 폴리에스테르 복합 수지 로울러로 구성된 5단계 캘린더 이다. 각 로울러에서, 온도를 85℃로 고정 한 후, 선압을 250 kg/cm로 고정하고 주행 속도를 80 m/분으로 고정한다. 길이 5000m의 자기 층-피복 필름을 반복하여 7회 주행 시킨 다음, 수지 로울러에 부착된 백색 분말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양호 : 수지 로울러에 백색 분말이 거의 부착되지 않음
보통 : 백색 분말이 소량 부착됨
불량 : 백색 분말이 상당히 부착됨
[테이프 가장자리 손상]
각 135°에서 직경 6㎜의 고정된 경질 크롬 핀과 폭 1/2 인치(1.27cm)의 자기 테이프를 접촉시키고, 자기 테이프를 4m/분의 속도, 50g의 장력에서 50회 앞 뒤로 주행시킨다. 이때, 자기 테이프의 가장자리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양호 : 가장자리에 주름이 없음
보통 : 가장자리에 주름이 약간 있음
불량 : 가장자리에 주름이 많음
[드롭 아웃의 수]
신호 4.4MHZ로 기록된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 한 후 드롭아웃 카운터(오쿠라 공업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드롭아웃의 수를 약 20분간 센다. 드롭아웃의 수를 분 당 드롭 아웃의 수로 환산한다.
(9) 내찰성
각 135°에서 직경 6㎜를 갖는 고정된 경질 크롬 판 금속 핀(마무리: 3S)과 두께 1/2 인치(1.27cm)의 자기 테이프용 베이스 필름을 접촉시키고, 베이스 필름 표면을 속도 4 m/분, 장력 50g에서 한번 미끄러지게 한다.
이때, 두께 1000 Å의 알루미눔 층이 증착에 의해 베이스 필름의 미끄러진 표면에 증착되며, 스크래치의 양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등급 1 : 스크래치의 양이 매우 많음
등급 2 : 스크래치의 양이 많음
등급 3 : 스크래치의 양이 등급 2와 4 사이임
등급 4 : 스크래치의 양이 거의 없음
등급 5 : 스크래치의 양이 없음
[실시예 1]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제조]
탈염수(1500부)에, 수용성 중합 개시제 과황산 칼륨(3.2부) 및 분산 안정화제 황산 라우릴 나트륨(0.004)을 부가 및 용해하여 균질 용액을 제조한다. 용액에, 스티
렌(65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20부) 및 디비닐벤젠(15부)으로 이루어진 혼합 용액을 부가한다. 질소 기체 분위기 하에 교반하면서 8시간 동안 70℃에서 이 혼합물을 중합한다. 전환도는 98%이며 제조된 입자는 0.20㎛의 평균 입경과 1.05의 구형비를 갖는다.
이때, 에틸렌 글리콜(2000부)을 제조된 슬러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 가열하여 물을 증류한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반응기에서, 디메틸 나프탈렌-2, 6-디카르복실레이트(100부), 에틸렌 글리콜(60부)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레이트(0.09)를 넣는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이루어지도록 메탄올을 증류해내고 4시간 동안 혼합물이 온도를 230℃까지 올려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한다.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 0.2부를 포함하는 에틸렌 글리콜 슬러리를 부가한 후, 인산(0.03부) 및 삼산화 안티몬(0.04부)를 부가하고 종래 방법으로 증축합 반응을 수행하여 고유 점도 0.51을 갖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를 제조한다. 제조된 중합체를 8시간 동안 0.3㎜ Hg 및 235℃에서 고형 중합하여 고유 점도 0.65를 갖는 폴리(에틸렌 2.6 나프탈레이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를 압출기로 295℃에서 압출하여 쉬트로 만든 후 정전 인가 냉각법을 사용하여 무정형 쉬트를 제조한다. 쉬트를 텐터에 의해 종방향 연신비 2.6 및 횡방향 연신비 4.2로 140℃에서 연신한 후, 종방향 연신비 1.80으로 160℃에서 재연신하고 횡방향 연신비 1.10으로 220℃에서 텐터링과 함께 열처리하여 두께가 7㎛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필름의 특성을 평가한다.
이때, 필름을 자기 층으로 피복하여 자기 테이프를 제조한다.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평가한다.
[비교 예 1]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단량체로서 스티렌 (85부) 및 디비닐벤젠 (15부)으로 구성된 혼합 용액을 사용하며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비교 예 2]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단량체로서 스티렌 (40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디비닐벤젠 (40부)으로 구성된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재연신비가 1.90이며 재연신 후 텐터링의 비가 1.1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비교 예 3]
교차 결합된 증합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단량체로서 스티렌 (76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디비닐벤젠 (4부)으로 구성된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비고예 4]
종방향 연신비가 4.0, 횡방향 연신비가 3.8 이며 재연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3]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 이외에 1차 입경이 0.03㎛인-산화 알루미늄 분말을 부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4]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 이외에 평균 입경이 0.60㎛인 배터라이트 탄산 칼슘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비교 예 5]
교차 결합된 입자 및 1차 입경이 0.03㎛인-산화 알루미늄 분말 대신에 평균 입경이 0.20㎛인 구형 실리카 분말을 더 부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결과가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균일하고 미세한 표면 구조, 뛰어난 내마모성 및 강도를 갖는다. 이 필름은 공업용 재료, 예컨대,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평균입경이 0.05 내지 3㎛ 이며 구형비가 1.0 내지 1.1인 교차결합된 중합체 입자 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쉬트를 연신시 교차결합된 중합체 입자의 변형비 1.2 내지 3.0에서 연신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1항에 있어서,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 물질을 290 내지 330℃에서 용융 압출하여 쉬트로 만든 후, 이 쉬트를 냉각 및 고화하여 무정형 쉬트를 만든 다음, 130 내지 170℃에서 면적 배율 4 내지 20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2축 연신하고, 180 내지 270℃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가 분자 내에 단 1개의 올레핀식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1 이상의 모노비닐 화합물 (A), 교차 결합제로서 분자내에 2 이상의 올레핀식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화합물 (B), 및 분자 내에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 1 이상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화합물 (C)를 사용한 에멀젼 증합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가 아크릴 산, 메타크릴 산 및 그의 알킬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및 그의 알킬 유도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및 알킬 치환된 스티렌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3항에 있어서, 화합물 (B)가 디비닐벤젠 및 디비닐술폰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화합물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3항에 있어서, 화합물(C)가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클리레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화합물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1항에 있어서, 교차 결합된 중합체 입자 중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의 함량이 3 내지 35 중량%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B)의 함량이 입자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인 폴리(에틸렌 2, 6-나프날레이트)필름.
제1항에 있어서,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를 더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제1항에 있어서, 영률이 600 kg/㎟이상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
베이스 필름으로서 제1항에 따른 폴리(에틸렌 2, 6-나프탈레이트)필름을 갖는 자기 기록 테이프.
KR1019930004582A 1992-03-24 1993-03-23 폴리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KR100234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6309 1992-03-24
JP4066309A JPH05271437A (ja) 1992-03-24 1992-03-24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735A KR930019735A (ko) 1993-10-18
KR100234138B1 true KR100234138B1 (ko) 1999-12-15

Family

ID=1331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582A KR100234138B1 (ko) 1992-03-24 1993-03-23 폴리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6711A (ko)
EP (1) EP0562562B1 (ko)
JP (1) JPH05271437A (ko)
KR (1) KR100234138B1 (ko)
CA (1) CA2092224A1 (ko)
DE (1) DE69301617T2 (ko)
MX (1) MX93016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3840A1 (en) * 1992-08-12 1994-02-13 Iwao Okazaki Biaxially oriented film
US5674443A (en) * 1994-09-26 1997-10-07 Skc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ester film
ID21527A (id) * 1997-12-18 1999-06-24 Toray Industries Suatu film poliester dan metode pembuatannya
US6465101B1 (en) 1998-04-28 2002-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layer plastic articles
JP2001212877A (ja) * 2000-02-03 2001-08-07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645B2 (ja) * 1988-04-19 1995-05-24 帝人株式会社 熱可塑性重合体フィルム
EP0372423A3 (en) * 1988-12-07 1991-10-30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 composition
US5051292A (en) * 1989-02-01 1991-09-2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film of polyethylene-2,6-naphthalate
JPH068384B2 (ja) * 1989-03-17 1994-02-02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639538B2 (ja) * 1989-12-14 1994-05-2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39539B2 (ja) * 1989-12-22 1994-05-2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255208A (ja) * 1991-02-07 1992-09-10 Diafoil Co Ltd コンデンサー誘電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816170B2 (ja) * 1991-04-26 1996-02-21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71437A (ja) 1993-10-19
KR930019735A (ko) 1993-10-18
EP0562562A1 (en) 1993-09-29
MX9301607A (es) 1993-11-01
CA2092224A1 (en) 1993-09-25
US5376711A (en) 1994-12-27
DE69301617T2 (de) 1996-10-02
DE69301617D1 (de) 1996-04-04
EP0562562B1 (en) 199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887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765912A1 (en) Polyester composition and films produced therefrom
KR100234138B1 (ko) 폴리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US5458964A (en) Biaxially oriented film comprising organic particles
KR100293886B1 (ko) 폴리에스테르조성물및그것으로이루어지는필름
KR100196362B1 (ko)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JP331382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96897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35182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72867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3149546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54258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EP0546184A1 (en) Polyester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H04309555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3143929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3195742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7336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3168225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309554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7117119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61919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6092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526180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81177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110327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