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362B1 -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362B1
KR100196362B1 KR1019920002759A KR920002759A KR100196362B1 KR 100196362 B1 KR100196362 B1 KR 100196362B1 KR 1019920002759 A KR1019920002759 A KR 1019920002759A KR 920002759 A KR920002759 A KR 920002759A KR 100196362 B1 KR100196362 B1 KR 10019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rticles
particle diameter
average partic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501A (ko
Inventor
지카카즈 가와구찌
요시오 메구로
다까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하라다 야스오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야스오,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야스오
Publication of KR92001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5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haracterised by roughness or surface features, e.g. by add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4Of cross-linked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기준으로 일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0.05 ㎛인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규소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일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0.05㎛ 인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그리고 평균 입경 0.2 내지 0.8㎛ 의 가교 중합체 0.005 내지 0.3 중량%를 함유하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0.003 내지 0.015㎛ 이고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F-5값의 합이 25.0 ㎏/㎟ 이상인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한다. 이 필름은 평탄한 표면을 갖고 미끄럼성, 내마모성, 내긁힘성 및 내돌기성이 우수하여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본 발명은 평탄한 표면을 갖고, 미끄럼성, 내마모성, 내긁힘성 및 내돌기성(protuberance resistance)이 우수한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될수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다른 필름과 비교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특히 평탄도,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비디오 테이프를 포함한 자기 기록 매체의 소형화 및 기록 밀도의 증대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밀도 자기 기록은 단파장에서 유효하기 때문에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에서 자기층의 두께는 두꺼운 자기층으로 인한 출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감소된다. 예컨대, 표준 비디오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5㎛정도의 자기층을 가지는 반면, 주로 순철 분말과 같은 금속 분말이 이용되는 고밀도 비디오 테이프는 2㎛정도의 자기층을 갖는다. 자기층 두께의 감소로 인해, 베이스 필름의 표면 특성이 자기 기록 매체의 전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진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의 표면은 가능한 한 평탄하게 되어야 한다.
종래, 베이스 필름의 평탄도 개선은 미끄럼성, 내마모성, 내긁힘성 및 내돌기성과 같은 특성들의 손상이 통상적으로 수반되었다. 내마모성이 불량한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면, 테이프 제조시 필름과 각종 로울러간의 마찰로 인해 백색 분말이 발생된다. 상기 백색 분말은 자기층이 불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고 자기층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분포되며, 이는 자기층의 드롭아웃(drop-out)을 야기 시킨다. 이 백색 분말은 자기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 필름에 자기층을 도포한 후의 카렌다링(calendering) 공정시에도 발생된다. 그때, 이 백색 분말은 카렌다링 로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자기층의 표면을 거칠게 하며, 이는 자기 테이프의 전자기 특성을 저하시킨다.
종래에는, 백색 분말의 발생을 방지하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름에 불활성 미립자를 이용하였다. 만족한 내마모성을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러한 입자들을 혼입함으로써, 자연적으로 필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내돌기성은 베이스 필름에 요구되는 특성들중 하나이다. 여기에서, 돌기란 용어는 베이스 필름이 텐션 상태로 권취될 때 이 고속 권취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공기 뿐만아니라 먼지 또는 기타 오염물로 인해 부분적인 돌출을 일으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베이스 필름에 돌기가 발생시, 베이스 필름이 원형 돌출(circular projection)의 형태로 변형되어 드롭아웃 현상을 일으킨다.
돌기를 제거하여 베이스 필름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자를 혼입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만족한 내돌기성을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러한 입자들을 혼입함으로써, 자연적으로 필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자기 기록 시스템의 소형화와 함께, 테이프, 즉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감소되고 있다. 두께가 감소된 베이스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불량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름은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종 방향 또는 고연신비로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양 방향으로 연신시키게 된다. 이러한 필름은 일반적으로 인장강도강화 필름(tensilized film)이라 한다. 그러나, 이 인장강도강화 필름은 쉽게 긁혀진다. 특히, 평탄한 표면의 경우, 자기 테이프의 제조시 긁힘의 발생이 증가하며, 이는 출력의 저하 및 드롭아웃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거의 긁혀지지 않는 평탄한 필름이 얻어질수 없다. 또한, 상기 인장강도강화 필름은 내마모성이 불량하다. 고 연신비로 연신시킴으로써, 필름에 혼입된 입자들과 필름 사이의 경계면에 큰 공간(void)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카렌다링 공정시 입자들이 쉽게 떨어져 나가고 백색 분말이 형성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강도강화 필름의 제조시 평탄한 표면을 갖고, 미끄럼성, 내마모성, 내긁힘성 및 내돌기성이 우수한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필름 기준으로 일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0.05㎛인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규소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일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0.05㎛ 인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그리고 평균 입경 0.2 내지 0.8㎛ 의 가교 중합체 0.005 내지 0.3 중량%를 함유하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0.003 내지 0.015㎛ 이고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F-5값의 합이 25.0 kg/㎟ 이상인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란 용어는 구성 반복 단위체로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유도체를 에틸렌 글리콜과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수 있다. 테레프탈산의 유도체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저급 ( C₁- C₄)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유도체의 일부는 다른 산성분으로 대체될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아디프산 및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디카르복시산; p-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산과 같은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및 그들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가 있다. 이와 유사하게, 에틸렌 글리콜의 일부는 다른 글리콜 성분으로 대체될수 있으며, 그 예로는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열 안정화제, 블로킹 방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과 같은 적절한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필름 기준으로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규소 산화물 입자 0. 1 내지 1.0중량%;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그리고 평균 입경 0.2 내지 0.8㎛ 의 가교 중합체 0.005 내지 0.3 중량%를 함유한다.
응집된 입자를 구성하는 규소 및 알루미늄 산화물의 일차 입자에 대한 평균 입경은 0.005 내지 0.05㎛, 바람직하기로는 0.008 내지 0.05㎛ 이다. 입경이 0.005㎛ 미만일 때 내긁힘성 과 내돌기성은 개선될 수 없다. 반면에 입경이 0.05㎛보다 클 때 필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규소 및 알루미늄 산화물의 응집된 입자에 대한 평균입경은 0.03 내지 0.2㎛,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0.2㎛이다. 응집된 입자의 평균입경은 거친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미분화, 분류 및 여과와 같은 공지의 처리법에 의해 거친 입자를 처리함으로써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입경이 0.03㎛ 미만일 때 내긁힘성 및 내돌기성은 개선될 수 없다. 한편, 입경이 0.2㎛ 보다 클 때 필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규소 및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의 각 함량은 필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2 내지 0.5중량%이다.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때 내긁힘성과 내돌기성은 개선될 수 없다. 한편, 함량이 1.0중량%보다 클 때 필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규소 및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와 함께 평균 입경이 0.2 내지 0.8㎛ 인 가교된 중합체 입자를 함유한다. 가교된 중합체 입자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교된 중합체 입자의 바람직한 형상은 거의 구형으로서 하기식으로 정의되는 체적형상 인자(f)의 값이 0.4이상이고 입자 크기 분포가 균일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V는 입자의 체적(㎛³)이고, D는 돌출된 평면상에서 최대 입자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그 형상은 연신에 의해 적당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 중합체는 일본국 특공소 제84-521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타)아크릴산, 그의 알킬 에스테르, 스티렌 및 그의 알킬 에스테르와같이 분자에 오직 한개의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 비닐 화합물과: 분자내에 2 이상의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갖고 디비닐 벤젠 및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이 가교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교된 중합체는 상기 공증합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열경화성 페놀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요소 수지 및 벤조구안아민 수지도 본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가교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중합체증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입자를 얻기위해서는 110。C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00。C이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C이하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가교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가교 중합체의 가교도는 입자의 변혁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기로는 중합체가 허용치의 내열성을 갖는한 낮은 가교도를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교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 즉 분자내에 2이상의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비는 5 내지 20%, 바람직하기로는 7 내지 15%이다.
가교 중합체 입자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 입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교 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그 입자들은 현탁중합시킨후 분쇄 및 분류함으로써 제조된다. 한편, 그들은 에멀전 중합반응으로도 제조된다.
가교 중합체 입자의 함량은 필름 기준으로 0.005 내지 0.3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0.2중량%이다.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일 때 내마모성과 내돌기성은 개선될 수 없다. 한편, 함량이 0.3중량%보다 클 때 필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3 입자를 혼입함으로써 그로 만든 필름은 다음 장점을 갖는다:
(1)종방향으로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써 야기되는 긁힘이 매우 적다.
(2)입자와 필름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공간이 매우 작으므로 입자의 드롭아웃이 없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입자를 혼입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입자들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과정중 어느 단계에서도 첨가될 수 있으나,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후 또는 중축합반응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들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과 직접 블렌드될 수 있다.
필름에 3종류의 입자를 공존시키기 위해서, 각 종류의 입자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가한후, 필름 제조시 소정의 양만큼 각 블렌드를 혼합한다. 한편, 3 종류의 입자들을 소정의 양만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공존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필름은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0.003 내지 0.015㎛ , 바람직하기로는 0.005 내지 0.012㎛ 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F-5값의 합 25.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7.0 ㎏/㎟ 을 갖는다. Ra가 0.003미만일 때 필픔은 다루기 어렵고 처리할수 없게된다. 한편, Ra가 0.015보다 클 때, 자기 테이프의 출력은 크게 저하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더 상세히 기술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모든 부 와 %는 별도 표기가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다음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여러 특성을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자의 특성]
[평균입경]
알루미늄 및 규소 산화물의 주요 입자에 대한 입경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혼입하기 전에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측정되었다. 그리고, 알루미늄 및 규소 산화물의 응집된 입자의 입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통해 필름의 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측정되었다.
가교된 중합체 입자의 입경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혼입하기 전에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측정되었다.
[필름의 특성]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
이는 코사카 겐뀨쇼 리미티드의 표면 조도 미터(모델 SE-3A)를 사용하여 JISB0601-1976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측정은 다음 조건하에서 12 지점에서 실시되었다:
바늘의 반경 : 5 ㎛,
바늘의 하중 : 30 ㎎,
절단치 : 80 ㎛, 및
측정 길이 : 2.5 ㎜.
최대치와 최소치를 뺀후, 10 지점에서 측정치의 평균을 얻었다.
[F-5 값]
F-5값은 5% 연신률에서 응력(㎏/㎟)으로 나타냈다. 응력은 Insteco 텐실 테스터(모델 2001)을 사용하여 50 ㎜/min의 속도, 23。C 및 상대습도 50%에서 길이 50㎜ 및 폭 15㎜로 연신시킴으로써 측정되었다.
[내긁힘 성]
이는 백색 광을 긁힌 필름에 이용함으로써 측정되었다. 필름 표면상의 긁힌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등급 A : 필름 표면에 긁힘이 관찰되지 않았다.
등급 B : 필름 표면의 일부에 긁힘이 관찰되었다.
등급 C : 필름의 표면 전체에 긁힘이 관찰되었다.
[내돌기성]
필름이 권취될 때 약 5㎛의 입자 소량을 가해 필름 표면상에 돌기를 형성시킨다. 그 다음, 돌기가 없어질 때까지 감겨진 수를 측정하였다.
등급 A : 우수
등급 B : 양호
등급 C : 불량
[내마모성]
윤이 나는 금속 로울과 폴리에스테르 복합 수지 로울을 갖는 5 단계 미니수퍼 카렌다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되었다. 각 로울의 표면 온도를 85。C로 고정하였다. 길이 500m인 필름을 선형 압력(linear pressure) 250 ㎏/㎝ 및 주행속도 80 m/sec의 로울을 통해서 7 배로 주행시켰다. 떨어져나와 수지 로울에 부착된 백색 분말의 양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등급 A : 백색 분말이 부착되지 않음
등급 B : 소량의 백색 분말이 부착됨
등급 C : 상당량의 백색 분말이 부착됨
[미끄럼성]
미끄럼성은 동마찰 계수로 나타냈다. 먼저, 폭 15㎜ 및 길이 150 ㎜를 각각 갖는 2 개의 필름을 고무관과 100g의 하중을 갖는 편평한 유리판위에 놓았다. 그 다음, 주행 속도 20 ㎜/min에서 필름을 움직일때 필름간의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로 부터 동마찰 계수를 계산하였다.
[자기 테이프의 특성]
사용된 자기 테이프는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미세한 자성 분말 200부, 폴리우레탄 수지 30부, 니트로셀룰로오스 10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
체 10부, 레시틴 5부, 시클로헥산온 100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부 및 메틸 에틸케톤 300부를 볼밀에서 48시간동안 혼합 및 분산시킨다음, 여과한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부를 가해 자기 피복 물질을 제조하였다. 이 피복 물질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에 피복시켰다. 피복 물질이 충분히 건조 및 고화되기전에 자기적으로 배향시켰다. 그다음 피복물음 건조시켜 2 ㎛두께의 자기층을 형성하였다. 이 피복된 필름을 대형 카렌다로 표면처리한 다음 1/2 인치 폭으로 절단하여 비디오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전자기 특성]
비디오 테이프의 전자기 특성들은 마쓰시따 덴끼사의 비디오 데크(모델 : NV-3700)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4 ㎒의 측정 주파수에서의 VTR 헤드 출력은 싱크로스코프에 의해 결정되었다. 공란은 0 ㏈이며, 그의 상대치는 ㏈로 나타냈다.
15㎲ec-20 ㏈에서 드롭아웃의 수는 오꾸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에 의해 제조된 드롭아웃 카운터에 의해 계수되었다. 이 계수는 분당 드롭아웃으로 환산된다.
[실시예 1]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100부, 에틸렌 글리콜 60부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0.09부를 반응기에서 가열하여 메탄올을 증발시킨 다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혼합물을 230。C에서 4시간 이상 가열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의 종료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분쇄, 분류 및 여과된 0.4%의 SiO₂ 입자들을 첨가한 다음, 0.04%의 에틸산 포스페이트 및 0.04%의 삼산화 안티몬을 다시 첨가시켜 4시간 동안 중축합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A)를 얻었다.
이와 별도로, 이때 폴리에스테르(B)에서 0.1%의 Al2O3입자들이 SiO₂입자들 대신 첨가되었고, 폴리에스테르(C)에서 0.3%의 가교된 중합체 입자들이 SiO₂입자들 대신 첨가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절차로 폴리에스테르(B)와 폴리에스테르(C)를 얻었다. 또한, 입자들이 제공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절차로 폴리에스테르(D)를 얻었다. 사용된 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표 1에 나타냈다.
다음, 50%의 폴리에스테르(A), 30%의 폴리에스테르(B), 10%의 폴리에스테르(C) 및 10%의 폴리에스테르(D)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180。C에서 건조된 후, 혼합물이 290。C에서 판상으로 압출된 다음, 정전 파이닝(pining) 법에 의해 냉각되어 170㎛의 두께를 갖는 무정형 필름을 얻었다.
무정형 필름은 종 방향으로 4배, 횡방향으로 4배로 연신된 다음, 다시 종방향으로 1.2배 연신되어 10㎛와 두께를 갖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방향에서 18.0 ㎏/㎟의 F-5간 및 횡방향에서 10.1 ㎏/㎟의 F-5값을 가지며, F-5값의 합은 28.1 ㎏/㎟이었다.
[실시예 2]
SiO₂입자들의 형태와 양 그리고 가교 중합체 입자들의 형태와 양이 표 1과 같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70㎛의 두께를 갖는 무정형 필름을 얻었다.
무정형 필름은 종 방향으로 3.5배, 횡방향으로 3.5배 연신된 다음, 다시 종방향으로 1.4배 및 횡방향으로 1.5배 연신되어 10 ㎛의 두께를 갖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그 결과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방향에서 15.1㎏/㎟의 F-5값 및 횡방향에서 14.3 ㎏/㎟의 F-5값을 가지며, F-5값의 합은 29.4 ㎏/㎟이었다.
[실시예 3 및 비교 1-3]
입자들의 형태와 양이 표 1과 같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재연신후 표면상에 긁힘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필름들이 로울에 권취될때 주름이나 돌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이에따라 로울들의 외관이 매우 깨끗했다. 각각의 필름은 고밀도 자기 기록에 적절한 낮은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를 보였으며, 이에따라 그로부터 제조된 자기 테이프의 전자기 특성은 우수했다. 더욱이, 필름은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내마모성 및 미끄럼성이 우수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응집된 입자와 주요 입자의 입경을 갖는 SiO₂입자들이 사용된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필름에서는, 그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그로부터 제조된 자기 테이프의 전자기 특성은 불량했다.
SiO₂입자 또는 AlO입자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에 2 및 4에서 얻어진 필름에서는, 표면상의 긁힘이 명백히 관찰되었다. 이 필름은 내마모성 및 미끄럼성이 불량했다. 또한, 그로부터 제조된 자기 테이프는 상당한 드롭 아웃률을 갖는 불량한 전자기 특성을 가졌다.
가교 중합체 입자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예 3에서 얻어진 필름에 있어서, 필름이 로울에 감겼을때 다수의 돌기들이 발견되었고, 로울의 가장자리는 불규칙하여 상품가지차 떨어진다. 이 필름은 내마모성이 불량하므로 이에 따라 그로부터 제조된 자기 테이프는 상당한 드롭 아웃률을 갖는 불량한 전자기 특성을 가졌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미끄럼성, 내마모성, 내긁힘성 및 내돌기성이 우수하며, 이 우수한 특성들은 자기 테이프의 제조시는 물론 제조후 까지 유지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

Claims (5)

  1. 필름 기준으로 일차 입자의 평균 일경이 0.005 내지 0.05 ㎛인 평균 입경 0.03내지 0.2㎛ 의 응집된 규소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일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0.05㎛ 인 평균 입경 0.03 내지 0.2㎛ 의 응집된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 그리고 평균 입경 0.2 내지 0.8㎛ 의 가교 중합체0.005 내지 0.3 중량%를 함유하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0.003 내지 0.015㎛ 이고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F-5값의 합이 25.0 ㎏/㎟ 이상인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규소 산화물 입자가 0.2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산화물 입자가 0.2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가교된 중합체 입자가 거의 구형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가교된 중합체 입자가 110。C이하의 Tg를 갖는 중합체 입자인 필름.
KR1019920002759A 1991-02-22 1992-02-22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KR100196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28645 1991-02-22
JP2864591A JPH07119297B2 (ja) 1991-02-22 1991-02-22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501A KR920016501A (ko) 1992-09-24
KR100196362B1 true KR100196362B1 (ko) 1999-06-15

Family

ID=1225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759A KR100196362B1 (ko) 1991-02-22 1992-02-22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14736A (ko)
EP (1) EP0501315B1 (ko)
JP (1) JPH07119297B2 (ko)
KR (1) KR100196362B1 (ko)
CA (1) CA2061545A1 (ko)
DE (1) DE69200110T2 (ko)
MX (1) MX92007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747A (ja) * 1992-01-16 1993-07-30 Diafoil Co Ltd デジタル・コンパクト・カセット用ベースフィルム
JP2954807B2 (ja) * 1993-05-13 1999-09-27 帝人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188038B1 (ko) * 1993-09-14 1999-06-01 장용균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US5529832A (en) * 1994-11-10 1996-06-25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JPH09302110A (ja) * 1996-05-15 1997-11-25 Teijin Ltd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1004626B1 (en) * 1998-11-10 2003-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film with UV-barrier properties
US6815482B1 (en) 1998-11-10 2004-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lm with UV-barrier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525A (en) * 1979-09-11 1981-04-18 Diafoil Co Lt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tape
DE3313923A1 (de) *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US4639389A (en) * 1983-12-12 1987-01-27 Tdk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61239930A (ja) * 1985-04-17 1986-10-25 Teijin Ltd 磁気記録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43931A (ja) * 1986-08-12 1988-02-25 Diafoil Co Ltd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4818581A (en) * 1986-08-27 1989-04-0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EP0345644B1 (en) * 1988-06-04 1994-11-02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DE69023351T2 (de) * 1989-01-11 1996-04-04 Toray Industries Biaxial orientierter Polyesterfilm.
JPH02193313A (ja) * 1989-01-20 1990-07-31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JP2856283B2 (ja) * 1989-06-02 1999-02-10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1315B1 (en) 1994-04-20
US5314736A (en) 1994-05-24
JPH07119297B2 (ja) 1995-12-20
KR920016501A (ko) 1992-09-24
EP0501315A1 (en) 1992-09-02
DE69200110T2 (de) 1994-11-03
JPH04266933A (ja) 1992-09-22
DE69200110D1 (de) 1994-05-26
MX9200750A (es) 1992-09-01
CA2061545A1 (en) 199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773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EP0659810B1 (en) A biaxially oriented film of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EP0460640A1 (en)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KR960015887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196362B1 (ko)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US5366783A (en)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tape having specific surface properties
EP1195748B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base film therefor
US5935684A (en) Laminate film
EP0562562B1 (en) Magnetic recording tape with Poly(ethylene 2,6-naphthalate) base film
JP2969932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658680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EP0723259A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s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JP3945839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272867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3440182B2 (ja) 積層フイルム
JPH063954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248722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00427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661919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3168225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70415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16059B2 (ko)
JPH081177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26180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32915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