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139B1 -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139B1
KR100226139B1 KR1019920016997A KR920016997A KR100226139B1 KR 100226139 B1 KR100226139 B1 KR 100226139B1 KR 1019920016997 A KR1019920016997 A KR 1019920016997A KR 920016997 A KR920016997 A KR 920016997A KR 100226139 B1 KR100226139 B1 KR 10022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oking
temperature
combustion
heat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176A (ko
Inventor
스스무 가와지리
하지메 히라오까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도시히로
파로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도시히로, 파로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바야시 도시히로
Publication of KR93001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51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control of the working time of a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가열량을 적산하여, 이 적산치가 소정치가 되었을 때 조리를 종료해야 할 것을 알리는 알람장치에 있어서 적산을 개시하기 위하여 식재투입에 맞추어서 스타트버튼을 누른다고 하는 조작을 불필요하게 한다.
유온의 하강구배가 큰 경우에는(S10), 식재가 투입되었다고 판단하여 가열량의 적산을 개시한다(S12). 그리고, 적산가열량이 설정가열량(Q) 이상이 되었을 때(S15), 조리를 종료해야 할 시기라고 버저를 울린다(S16).

Description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제1도는 일 실시예로서의 프라이어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조리종료시기 판정루틴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의 제어기능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조 11 : 온도센서
20 : 펄스연소기 40 : 연소콘트롤러
50 : 알람장치 51 : 버저
본 발명은 조리용 기름, 탕(湯)이라는 액매체를 거쳐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기에 이용되고, 피조리물의 적절한 가열종료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매체를 이용한 가열조리기로서는 프라이어나 데침기구 등이 알려져 있다. 맛있게 조리하기 위해서는, 피조리물(이하, 식재라함)의 가열량을 적절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가열량을 적산하여, 이 적산치가 소정치가 되었을 때에 조리를 종료해야 한다는 뜻을 버저 등으로 알리는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이하, 알람장치라 함)가 이용되었다. 예를 들면, 프라이어에서는, 기름온도가 소정범위내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식재를 투입하게 되나, 이 식재투입과 동시에 알람장치의 스타트버튼을 눌러 적산을 개시시킨다. 이 스타트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가열량의 적산이 개시되고, 소정의 가열량에 도달하면, 버저가 울려 사용자는 식재를 기름통으로부터 꺼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알람장치에서는 식재투입과 동시에 스타트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것이였다. 또, 스타트버튼의 조작을 잊었을 경우에는 식재를 꺼내는 적정한 타이밍을 알 수 없어, 양호하게 조리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식재투입과 동시에 행하는 조작을 불필요하게 함으로서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조리기에 있어서는, 기름온도가 소정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연소와 연소정지를 변환하는 온·오프제어가 행하여지나, 연소정지상태에 있을 때 식재가 투입되어도, 즉시는 연소가 개시되지 않고 상당한 시간지연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즉, 기름통내의 기름의 온도분포, 기름의 대류 등에 의하여 기름통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유온저하(소정치 이하)를 검출하기까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 결과 본래 즉시 연소를 개시해야만 하는데, 실제로는 식재 주위의 유온이 상당히 내려가고 나서 연소가 개시되게 됨으로서, 양호하게 조리할 수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는 상기 과제도 해결하여 식재 투입시에 대한 가열개시지연을 적게 하여 유온저하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는 도3의 제어기능 블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리용 액매체를 가열함으로서, 피조리물을 가열조리하는 조리기에 이용되고, 상기 조리용 액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M1)과, 상기 검출된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거하여 가열량을 적산하는 가열량 적산수단(M5)과, 상기 적산된 가열량이 소정량에 달했을 때에 조리의 종료를 알리는 알람수단(M6)을 구비한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조리용 액매체 온도의 하강정도를 검출하는 하강정도 검출수단(M2)과, 상기 검출된 하강정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 상기 가열량 적산수단(M5)에 의한 가열량의 적산을 개시시키는 적산개시 지령수단(M3)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는, 상기 제1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량의 적산이 개시될 때, 상기 조리기의 온도제어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조리기에 강제적으로 가열을 행하게 하는 강제가열 지령수단(M4)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는, 온도 검출수단(M1)에 의하여 검출한 조리용 액매체의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거하여 가열량 적산수단(M5)이 가열량을 적산하고, 이 적산량이 소정량에 도달했을 때, 조리의 종료를 알람수단(M6)에 의하여 알리나, 적산개시의 타이밍을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즉, 식재투입시에는 조리용 액매체의 온도가 급히 하강하기 때문에, 하강정도 검출수단(M2)에 의하여 검출한 조리용 액매체 온도의 하강정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 즉, 갑자기 온도가 강하했을 경우, 식재가 투입되므로서 적산개시 지령수단(M3)이 가열량 적산수단(M5)에 의한 가열량의 적산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식재의 투입이 자동적으로 판단되어 가열량의 적산이 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타트버튼 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는 가열량의 적산이 개시될 때, 즉, 식재의 투입이 판단되었을 때, 강제가열 지령수단(M4)이 조리기의 온도제어상태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연소를 행하게 한다. 따라서, 온도검출수단(M1)의 검출응답지연(액매체의 온도분포, 검출기 자신의 응답성 등에 의함)이 있어도 조리기에서는 강제적으로 연소를 개시하기 때문에, 가열개시지연이 방지되어 식재투입에 의한 온도저하가 적어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작용을 한층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일실시예로서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이하, 단지 알람장치라 함)를 내장한 프라이어의 개략구성도이다.
또한, 알람장치는 프라이어와 별체로 설치하여도 된다. 프라이어는 프라이드 치킨, 프라이드 포테이토 등의 가공식품을 조리하는 (튀기는) 것으로, 조리용 기름이 채워진 기름통(10)과, 이 기름통(10) 내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펄스연소기(20)와, 이 펄스연소기(20)의 연소제어를 담당하는 연소콘트롤러(40)와, 가열량을 적산하여 조리종료시기를 알리는 알람장치(50)를 구비한다.
이 펄스연소기(20)는, 기름통(10) 내에 설치되어 펄스연소가 행하여지는 연소실(21)과 기름통(10) 내에서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연소실(21)로부터의 고온연소배기의 배출통로가 되는 테일파이프(22)와, 테이파이프(22)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배기 머플러(23)로 연소배기계를 구성하고, 연소실(21) 및 테일파이프(22)의 외벽의 열로 기름통(10) 내의 기름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또, 기름통(10) 측벽에는 기름통(10) 내의 유온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11)가 설치된다.
한편, 연소실(21)에의 공기공급계로서는, 연소용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24)와, 송풍기(24)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급기머플러(25)와, 급기머플러(25) 통과후의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챔버(26)로 구성된다.
또, 연료가스 공급계로서는 가스도관(27)에 설치되어 연료가스 유로의 개폐를 담당하는 원전자밸브(28), 주전자밸브(29)와 에어챔버(26)내에 설치되는 가스챔버(30)로 이루어진다.
에어챔버(26) 내에는, 가스챔버(30)에 연접하여 연료가스와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혼합실(31)이 설치되고, 여기에서 혼합된 혼합기가 연소실(21)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소실(21)에는 연소개시시에 혼합기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32)와, 불꽃검출소자인 플레임로드(3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펄스연소기(20)는, 정상연소시에 있어서의 자기착화나 연소용 공기의 자연흡인 등의 이점을 살려 일정한 사이클로 폭발연소를 반복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가스 및 연소용 공기의 공급원측에 연소배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플래퍼밸브(도시생략)가 혼합실(31)의 입구(연료가스 및 연소용 공기의 공급구)에 설치되어 있다.
이 펄스연소기(20)의 연소를 제어하는 연소콘트롤러(40)는, 주지의 산술논리 연산회로를 구성하는 CPU, ROM, RAM(도시생략)과, 온도센서(11), 플레임로드(3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인터페이스(도시생략)와, 원전자밸브(28), 주전자밸브(29), 송풍기(24), 점화용 이그나이터(3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인터페이스(도시생략)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연소콘트롤러(40)는 유온을 소정범위로 유지하도록 연소·연소정지를 변환(온·오프제어를 행함)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온도가 180℃보다 저하했을 때 연소를 개시하고, 182℃까지 상승했을 때 연소를 정지함으로서, 유온을 대략 180∼182℃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식재는 이와 같이 유온이 소정범위로 보온되고 있는 상태에서 바스켓(도시생략)에 얹혀져 투입된다. 알람장치(50)는, 연소콘트롤러(40)와 마찬가지로 산술논리 연산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고, 온도센서(11)가 접속됨과 함께, 조리종료시기를 알리기 위한 버저(51)가 접속된다. 또, 후기하는 강제연소 개시신호를 연소콘트롤러(4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다음에, 알람장치(50)가 실행하는 조리종료시기 판정처리에 관하여 제2도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조리종료시기 판정루틴과 병행하여 온도센서(11)에 의한 유온검출이 행하여 짐과 동시에, 연소콘트롤러(40)에서는 연소제어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전원투입에 의하여 본 루틴이 기동하면, 소정 주기로 검출되는 센서 온도의 하강구배(deg/초)가 미리 정해진 설정구배(K) 이상이 될 때까지, 즉, 크게 온도저하할 때까지 기다린다(S10). 식재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온·오프제어에 의하여 유온은 가열상승하거나, 방열에 의하여 서서히 식어가든지 둘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스텝(10)에 있어서는 「NO」의 판단을 반복하나, 식재가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기름이 식재에 의하여 냉각되어 센서온도의 하강구배가 K(deg/초) 이상이 되어 스텝(10)의 판단이 「YES」가 된다. 이렇게 하여 식재의 투입이 자동적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식재의 투입이 판단되면, 연소콘트롤러(40)에 강제연소 개시신호를 출력함(S11)과 동시에, 가열량의 적산을 개시한다(S12). 식재는, 유온이 소정범위로 보온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되나, 이 투입시에 펄스연소기(20)가 비연소 상태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래 즉시 연소를 개시시켜 유온의 저하를 극력 방지해야만 하나, 기름의 대류, 온도분포 등에 기인하여 아무리 하여도 가열응답지연이 발생하여 버린다. 즉, 온도센서(11)에 의하여 유온저하(소정 온도범위 이하의 온도)를 검출하기까지 시간이 길게 소요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식재의 투입을 판단하면, 펄스연소기(20)의 제어상태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연소를 개시시키도록 연소콘트롤러(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 결과, 펄스연소기(20)에서는 유온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연소를 행하게 되어, 가열응답지연에 의한 유온저하를 적게 할 수가 있다.
또, 스텝(12)에서의 가열량의 적산은, 후기하는 스텝(15)까지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서 구하여진 유온의 시간적 적분치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온이 높으면 같은 가열시간 이더라도 적산되는 가열량은 많고, 낮으면 가열량도 적어진다.
계속해서, 앞서의 스텝(11)에서 강제연소를 개시시켰으나, 통상의 온·오프제어로 복귀하는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3), 「YES」인 경우에는 온·오프제어로 복귀하도록 연소콘트롤러(40)에 연소복귀신호를 출력한다(S14). 이 복귀타이밍은, 강제연소개시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 든지, 센서온도가 소정치(예를 들면 180℃) 이하로 내려갔을 때로 설정하여 두면 된다.
다음에, 스텝(12)에서 적산된 가열량이 미리 정해진 설정 가열량(Q)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 그리고, 식재를 조리하기 위한 최적의 가열량(Q)만큼 가열될 때까지 스텝(12∼15)의 조리를 반복하고, 설정가열량(Q)에 도달했을 때 조리를 종료해야할 시기라고 버저(51)를 울린다(S16). 그리고, 적산치 등의 변수를 리세트하여 스텝(10)으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러한 각 스텝의 처리를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응지으면, 스텝(10)의 처리가 하강정도 검출수단(M2), 적산개시 지령수단(M3)에 대응하고, 스텝(11)의 처리가 강제가열 지령수단(M4)에 대응하며, 스텝(12)의 처리가 가열량 적산수단(M5)에 대응하고, 스텝(15,16)의 처리가 알람수단(M6)에 대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어에 의하면, 유온의 하강구배에 의거하여, 식재의 투입을 판단하고, 이때부터의 가열량에 의하여 조리종료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식재투입에 맞추어서 스타트버튼을 누른다고 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상당히 사용상 편리하다. 또, 스타트버튼의 누름을 잊었어도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펄스연소기(20)의 제어상태에 관계없이, 식재투입의 판단과 동시에 강제적으로 연소를 개시하기 때문에, 가열개시지연이 방지되어 식재투입에 의한 유온저하를 적게 할 수가 있다. 이들의 결과, 식재를 양호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강제연소개시로부터 온·오프제어로 자동복귀하기 때문에 기름의 과열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상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펄스연소기를 구비한 프라이어에 적용한 것이었으나, 분젠버너나 전열히터를 열원으로 한 여러 가지의 조리기에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조리기에 내장하지 않고, 별체에 설치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연소콘트롤러 내에 알람장치의 기능을 짜넣어도 좋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에 의하면, 조리용 액매체 온도의 하강정도에 의거하여, 식재의 투입을 판단하고, 이때부터의 가열량에 의하여 조리종료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식재투입에 맞추어서 스타트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대단히 사용상 편리하다. 또, 스타트버튼의 누름을 잊었어도 대처할 수 있다.
또, 식재의 투입을 판단했을 때, 조리기의 온도제어상태에 관계없이 조리기에 강제가열을 행하게 하는 것에서는 가열개시지연이 방지되어 식재투입에 의한 온도저하를 적게 할 수가 있다. 이들의 결과, 식재를 양호하게 조리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조리용 액매체를 가열함으로서, 피조리물을 가열조리하는 조리기에 사용되고, 상기 조리용 액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M1)과, 상기 검출된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거하여 가열량을 적산하는 가열량 적산수단(M5)과, 상기 적산된 가열량이 소정량에 달했을 때, 조리의 종료를 알리는 알람수단(M6)을 구비한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조리용 액매체 온도의 하강정도를 검출하는 하강정도 검출수단(M2)과, 상기 검출된 하강정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 상기 가열량 적산수단(M5)에 의한 가열량의 적산을 개시시키는 적산개시 지령수단(M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량의 적산이 개시될 때, 상기 조리기의 온도제어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조리기에 강제적으로 가열을 행하게 하는 강제가열 지령수단(M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KR1019920016997A 1992-03-09 1992-09-18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KR100226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21322 1992-03-09
JP1992021322U JPH0740345Y2 (ja) 1992-03-09 1992-03-09 調理終了時期報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176A KR930019176A (ko) 1993-10-18
KR100226139B1 true KR100226139B1 (ko) 1999-10-15

Family

ID=1205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997A KR100226139B1 (ko) 1992-03-09 1992-09-18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41728A (ko)
EP (1) EP0560553B1 (ko)
JP (1) JPH0740345Y2 (ko)
KR (1) KR100226139B1 (ko)
DE (1) DE69300498T2 (ko)
ES (1) ES207747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0015B (it) * 1992-11-06 1996-03-28 Eurochef Srl Apparecchio da banco per la frittura dei cibi, dotato di bacinella, camera di frittura, carico e scarico dei cibi facilmente pulibili, e/o dispositivo di prevenzione incendi perfezionato.
US5544567A (en) * 1994-12-16 1996-08-13 The Frymaster Corporation Early product removal alarm
US6028521A (en) * 1997-12-16 2000-02-22 Issachar; David Liquid level sensor
JP2002081573A (ja) * 2000-09-07 2002-03-22 Paloma Ind Ltd フライヤーのバルブ開閉装置
JP4272804B2 (ja) * 2000-09-19 2009-06-03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フライヤー
US7028605B2 (en) * 2003-05-27 2006-04-18 Regal Ware, Inc. Audible signal valve knob with timer
US20050019469A1 (en) * 2003-06-25 2005-01-27 Joseph Bango Ionization type cooking monitor
US7285018B2 (en) 2004-06-23 2007-10-23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ing passive circuit elements
US8591257B2 (en) 2011-11-17 2013-11-26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edance matched intermediate connection points
WO2020214329A1 (en) * 2019-04-19 2020-10-22 Cargill, Incorporated Frying oil mainten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38A (en) * 1908-07-13 1909-02-23 Nickerson Typewriter Company Type-writing machine.
US5090305A (en) * 1990-10-10 1992-02-25 Daylight Donut Flour & Equipment Co. Deep fat fry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725A (en) * 1984-12-17 1988-11-22 U1 Group Automatic cooking machine
US4628903A (en) * 1985-05-15 1986-12-16 Gas Research Institute Pulse combustion deep fat fryer
JPS6260526A (ja) * 1985-09-10 1987-03-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制御式フライヤ
US4913038A (en) * 1988-08-03 1990-04-03 Henny Penny Corporation Deep fat fryer with computerized control system
JP3077150B2 (ja) * 1990-02-09 2000-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38A (en) * 1908-07-13 1909-02-23 Nickerson Typewriter Company Type-writing machine.
US5090305A (en) * 1990-10-10 1992-02-25 Daylight Donut Flour & Equipment Co. Deep fat f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0553B1 (en) 1995-09-20
DE69300498T2 (de) 1996-04-04
EP0560553A1 (en) 1993-09-15
JPH0570429U (ja) 1993-09-24
ES2077470T3 (es) 1995-11-16
JPH0740345Y2 (ja) 1995-09-20
US5341728A (en) 1994-08-30
DE69300498D1 (de) 1995-10-26
KR930019176A (ko) 199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9247A1 (en) Cooking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100226139B1 (ko) 조리종료시기 알람장치
JPH0219378B2 (ko)
KR0139404Y1 (ko) 가열조리기
US4898151A (en) High heating efficiency deep fat cooking frypot
US5220864A (en) Noodle cooker
KR100632897B1 (ko) 액체 가열조리기
JP3036959B2 (ja) 油交換時期報知装置
US5099108A (en) Electric control system for liquid heating apparatus of the pulse combustion type
JP3043906B2 (ja) 調理用液加熱温度制御装置
EP0560566B1 (en) Cooker
JP2002195569A (ja) 調理器
JP3801233B2 (ja) 液体加熱調理器
JP2902592B2 (ja) 加熱調理器
JPS6035443Y2 (ja) 揚物製造機
KR940008244B1 (ko) 온도센서가 부착된 가열조리기의 제어방법
JP2637888B2 (ja) 加熱調理器
KR960000244B1 (ko) 조리장치
JP3116010B2 (ja) ガス調理装置
JP4060219B2 (ja) 液体加熱調理器
JP3021804B2 (ja) 調理器用自動消火装置
JPH11299658A (ja) フライヤの空焚防止装置
EP0083663A1 (en) Microwave heater
JPS5971726A (ja) 揚物製造機
JPH01291018A (ja) 加熱調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