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154B1 - 프레스 형 - Google Patents

프레스 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154B1
KR100224154B1 KR1019960008410A KR19960008410A KR100224154B1 KR 100224154 B1 KR100224154 B1 KR 100224154B1 KR 1019960008410 A KR1019960008410 A KR 1019960008410A KR 19960008410 A KR19960008410 A KR 19960008410A KR 100224154 B1 KR100224154 B1 KR 10022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die
base
shap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437A (ko
Inventor
쥰 무까이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7000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과제]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을 하나의 프레스 형에 의해서 가공 가능하게 하고, 설비비의 저감 및 가공의 준비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한다.
[해결수단]
개개의 피가공부분(42)의 형상은 상이한 것으로, 동일 형상의 공통부분(44)을 이용하여 작업물(40)을 대상으로 한 프레스 형에 있어서, 공통부분(44)을 이용하여 작업물(40)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베이스(14)에 대하여,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42)에 대응한 형상의 복수종의 가공면(30),(31)을 구비한 다이스(26)가, 그 가공면(30),(31)의 하나를 선정하기 위한 조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형(型)
제1도는 프레스 형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작업물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A-A에 따른 선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주요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제5도, 제6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부재의 외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베이스 26 : 다이스
30,31 : 가공면 38 : 로크 핀
40 : 작업물 42 : 피가공부분
44 : 공통부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상이한 차종의 도어용 내부판넬에 있어서 프레스에 의한 피가공부분(피이싱부분 등)의 형성은 다르지만, 내장 트림부착부 등과 같이 동시에 동일 형상의 공통부분을 갖는 작업물을 대상으로 한 프레스 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작업물을 프레스 가공하는데에는, 각각의 피가공부분의 형상에 대응시킨 금형을 준비하고 있다.
이것은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의 종류와 같은 수의 금형이 필요하며, 설비비가 증가됨과 동시에 가공을 위한 준비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을 하나의 프레스 형에 의해서 가공가능하게 하고, 설비비의 저감 및 가공의 준비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개개의 피가공부분의 형상은 상이한 것으로, 동일형상의 공통부분을 갖는 작업물을 대상으로 한 프레스 형에 있어서, 상기의 공통부분을 이용하여 작업물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베이스에 대하여,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에 대응한 형상의 복수종의 가공면을 구비한 다이스가, 그 가공면의 하나를 선정하기 위한 조작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스를 조작하여 작업물의 피가공부분의 형상에 따른 가공면을 선정하고, 또 상기의 공통부분을 이용하여 작업물을 베이스에 위치결정한다. 즉, 다이스의 가공면을 작업물의 피가공부분의 형상에 따라 분별 사용하고, 이에 의해서 하나의 프레스 형으로써 형상이 상이한 복수종의 피가공부분을 가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도는 프레스 형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이다. 이 프레스 형은, 작업물(40)을 하형(12)에 세트하여 제2도에서 나타내는 상형(10)을 하강 동작시킴으로써, 상형(10)의 피어싱 펀치(도시하지 않음)로 작업물(40)의 소정개소에 피어스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에 상기 작업물(40)이 사시도에서 나타내고, 제4도에 제3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의 도면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물(40)은, 차량용 도어에서 외부판넬(41)과 접합하기 전의 내부판넬이다. 이 작업물(40)은, 상기의 상형(10)과 하형(12)에 의해서 피어스 구멍이 가공되는 헤밍(hemming)면 등의 피가공부분(42)을 가지며, 또 이 피가공부분(42)에 가까운 부분에 내장 트림부착부분 등의 공통부분(44)이 후공정에서 접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가공부분(42)은 작업물(40)의 종류, 즉 차종이 상이한 도어의 내부판넬에 의해서 그 형상이 상이한 것으로, 공통부분(44)에 대해서는 작업물(40)의 종류가 달라도 동일형상이다. 그리고, 제3도에 있어서 피가공부분(42)에 나타내고 있는 가상선(42a)이 가공될 피어스구멍의 개소이다.
제5도는 제1도의 주요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이다. 또 제7도는 제5도, 제6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14)는 상기 하형(12)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평면상의 4개소에는 삽입공(16)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또 하면에는 위치결정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홈(17)을 하형(12)의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맞추고, 또 각 삽입공(16)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통과시켜 조임으로써, 하형(12)에 대하여 베이스(14)가 규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4)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원호면상의 지지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드럼형상을 한 다이스(26)의 외주면이 그 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14)의 양측면에는, 다이스(26)의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플레이트(20)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4)의 상면에는, 작업물(40)의 상기 공통부분(44)이, 그 구멍(제품으로서의 구멍)을 이용하여 핀(46)을 조임으로써 부착할 수 있다. 이 공통부분(44)은 베이스(14)에 대하여 작업물(40)을 위치결정하여 세트하는 기능과, 제6도, 제7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스(26)의 외주면을 눌러서 지지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단 다이스(26)를 눌러주는 기능에 대하여는 전용 블럭을 준비하고, 공통부분(44)은 작업물(40)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만으로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공통부분(44)은 필요에 따라서 스페이서(48)를 사용하여 베이스(14)에 위치결정된다.
상기 다이스(26)의 외주면에는, 제6도,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대략 90°)만큼 변위된 위치에서 상호 종류가 상이한 가공면(30),(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양가공면(30),(31)은, 상기와 같이 작업물(40)의 종류에 따라서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42)에 각각 대응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면(30),(31)은, 그 양단 가까운 부분에서 피어스 가공시에 상기 상형(10)의 피어싱 펀치(도시하지 않음)가 들어가는 피어싱 구멍(3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지만, 제5도 및 제7도에서는 한쪽의 가공면(30)의 피어싱 구멍(32)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공면(30),(31)은 피어싱 구멍(32)의 부분에만 있다면 좋으므로, 그 외의 부분(다이스(26)의 중간부분)에 대해서는 작업물(40)과 간섭하지 않는 소경의 원주면으로 하여, 베이스(14) 및 작업물(40)의 공통부분(44)에 대한 다이스(26)의 접촉면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다이스(26)의 한쪽의 단부에는, 이 다이스(26)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핸들(28)이 설치되어 있다. 또 다이스(26)에는 양가공면(30),(31)과 대응시켜서 위치결정 구멍(36),(37)이 각각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위치결정 구멍(36),(37)은, 상기 베이스(14)에 대하여 그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오목부(18)로 향하여 형성된 삽입공(24)과 선택적으로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가공면(30)을 선정하여 상면에 위치시켰을 때, 이 가공면(30)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구멍(36)이 베이스(14)의 삽입공(24)과 일치하고, 여기에 제5도,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38)을 삽입함으로써, 다이스(26)가 베이스(14)에 대하여 회전불능하게 로크된다.
이어서 상기의 프레스 형에 의한 피어스 구멍의 가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준비작업으로서는, 상기 로크 핀(38)을 빼낸 상태에서 다이스(26)를 그 핸들(28)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시키고, 작업물(40)의 종류, 즉 피가공부분(42)의 형상에 대응한 가공면(30)(또는 가공면(31))을 상면에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베이스(14)의 삽입공(24)으로부터 가공면(30)과 대응하는 다이스(26)의 위치결정 구멍(36)에 로크 핀(38)을 삽입하여, 이 다이스(26)를 베이스(14)에 로크한다.
다음에 베이스(14)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공통부분(44)에 작업물(40)의 소정부분을 얹어놓으면, 서로 대응하는 요철형상 등이 끼워맞음으로써 베이스(14)에 작업물(40)이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물(40)의 피가공부분(42)은 다이스(26)의 가공면(30)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3도의 가상선(42a)으로 나타내고 있는 피어스 구멍의 가공부분은 다이스(26)의 피어싱 구멍(32)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그래서 제2도에서 나타내는 상형(10)을 하강동작시킴으로써,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형(10)의 피어싱 펀치(도시하지 않음)로 피가공부분(42)에 피어스 구멍이 가공된다. 그리고 이 가공에 의해서 발생한 스크랩은 다이스(26) 및 베이스(14)를 통과하여 제1도, 제2도로 나타내는 하형(12)에서 받아들여 처리된다.
작업물(40)의 종류에 맞추어서 상기의 가공면(30)을 다른 쪽의 가공면(31)으로 전환하는 경우는, 상기 로크 핀(38)을 빼냄과 동시에 다이스(26)를 회전시켜서 가공면(31)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14)의 삽입공(24)으로부터 가공면(31)과 대응하는 다이스(26)의 위치결정구멍(36)에 재차 로크 핀(38)을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간단한 작업에 의해, 다이스(26)의 가공면(30),(31)을 작업물(40)의 종류(피가공부분(42)의 형상)에 따라서 분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의 빼내기 및 다이스(26)의 회전을 실린더나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로 제어하면, 가공면(30),(31)의 전환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은 상기 가공면(30),(31)을 피가공부분(42)의 형상이 상이한 2종류의 작업물(40)을 대응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가공면(30),(31)을 한종류의 작업물(40)에 있어서 형상이 상이한 2종류의 피가공부분(42)에 대응시킨 경우에서 동일하다. 또 가공면(30),(31)의 종류는, 다이스(26) 회전방향에 따른 가공면간의 각도를 작게 설정하는 등으로 하여 3개이상으로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공면(30),(31)을 전환하기 위한 다이스(26)의 조작은, 회전식 대신에 슬라이드식으로 하여도 좋으며, 그 경우는 다이스(26)의 형상도 임의로 된다.
한편, 작업물(40)은 도어의 내부판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 작업물(40)에 대한 가공은 피어스 가공외에 벤딩가공 등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술적 사항의 외에 다음과 같은 각종의 기술적 사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부기해 둔다.
1. 본 발명의 제1태양(청구항 제1항) 프레스 형에 있어서, 가공면의 하나를 선정하기위한 다이스의 조작에는, 이 다이스를 베이스에 대하여 로크하고, 또는 그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레스 형.
2. 상기 제1태양의 기재의 프레스 형에 있어서, 베이스와 다이스에 걸쳐서 로크 핀을 삽입하거나 빼냄으로써, 베이스에 대한 다이스의 로크 또는 해제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형.
이로써 베이스에 대한 다이스의 로크 또는 로크해제가 용이하고, 또 로크상태는 안정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3.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프레스 형에 있어서, 다이스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조작가능하게 지지된 드럼형상으로, 그 외주에 형상이 상이한 복수종의 가공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레스 형.
이로써 복수종의 가공면을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 가공면의 선정조작도 간단해진다.
4. 본 발명의 제1태양의 프레스 형에 있어서, 프레스 가공이 작업물에 피어스 구멍을 뚫는 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 프레스 형.
프레스 가공을 위한 설비비의 저감 및 가공준비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2)

  1. (정정) 각각의 피가공부분의 형상은 상이한 것으로, 동일형상의 공통부분을 갖는 작업물을 대상으로 한 프레스 형에 있어서, 상기의 공통부분을 이용하여 작업물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베이스에 대하여, 형상이 상이한 피가공부분에 대응한 형상의 복수개의 가공면을 구비한 다이스의 가공면의 하나가 작업물의 종류에 따라 로크되거나, 로크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레스 형.
  2. (신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원호면 형상의 지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드럼 형상을 한 상기 다이스의 외주면이 그 축선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형.
KR1019960008410A 1995-07-14 1996-03-26 프레스 형 KR100224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79495A JP3351185B2 (ja) 1995-07-14 1995-07-14 プレス型
JP95-178794 1995-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437A KR970005437A (ko) 1997-02-19
KR100224154B1 true KR100224154B1 (ko) 1999-10-15

Family

ID=1605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410A KR100224154B1 (ko) 1995-07-14 1996-03-26 프레스 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82787A (ko)
EP (1) EP0753361B1 (ko)
JP (1) JP3351185B2 (ko)
KR (1) KR100224154B1 (ko)
CN (1) CN1059614C (ko)
DE (1) DE696017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330A (ja) * 2001-09-27 2003-04-08 Asahi Tec Corp 鍛造品製造方法、鍛造品製造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鍛造材
CN101337763B (zh) * 2007-07-02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成型模具
CN108817231A (zh) * 2018-08-15 2018-11-16 天津恒鸿鑫德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拆卸功能的加工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614A (en) * 1933-04-03 1936-03-17 Franklyn Francis Albert Apparatus for marking metal tubes during manufacture
US3323348A (en) * 1963-05-14 1967-06-06 Pacific Press & Shear Corp Multiple opening die and adjusting means therefor
DE2046527A1 (en) * 1970-09-22 1972-03-23 Jung, Otto, 5901 Wilnsdorf Sheet metal working press - with fitted alternative tooling
US3987721A (en) * 1974-04-17 1976-10-26 Donald R. Alexande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license plates
US4002049A (en) * 1975-06-09 1977-01-11 Ready Stamping System, Inc. Forming tool for use in a die assembly
US4126936A (en) * 1977-09-29 1978-11-28 Koller Joseph A Identification system for point to point wiring
JPS5832528A (ja) * 1981-08-21 1983-02-25 Nissan Motor Co Ltd プレス型
JPS6154864A (ja) * 1984-08-24 1986-03-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ボイスコイル型リニアモ−タ装置
US4866975A (en) * 1988-07-08 1989-09-19 Deere & Company Die positioning mechanism
JP2605376B2 (ja) * 1988-09-01 1997-04-30 日本精工株式会社 複合プレス加工装置
JP2641120B2 (ja) * 1992-11-27 1997-08-13 丸機械工業株式会社 折曲げ機の折曲げ長変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1753T2 (de) 1999-07-29
JP3351185B2 (ja) 2002-11-25
EP0753361A1 (en) 1997-01-15
DE69601753D1 (de) 1999-04-22
EP0753361B1 (en) 1999-03-17
US5682787A (en) 1997-11-04
JPH0924499A (ja) 1997-01-28
CN1059614C (zh) 2000-12-20
KR970005437A (ko) 1997-02-19
CN1141220A (zh)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211B1 (ko) 다공정 복합가공장치
US4489584A (en) Single stroke, draw and trim die assembly
CA2118732C (en) Method of manufacturing tee nut
US4738173A (en) Shearing in punch press and die therefor
EP1008425B1 (en) System for fixing rotary cutting dies in machines for die cutting laminar material
KR100224154B1 (ko) 프레스 형
US5142958A (en) Cutter for din rail
US10056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drive pinion assembly of starter motor
US5996456A (en) Punching apparatus
JPH09508072A (ja) タブレット製造機械の工具ホルダ
JP3361647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ダイホルダのロック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52126A (ja) 溝を有する筒状部品の製造方法
JP3987191B2 (ja) パンチ金型
JP2758242B2 (ja) 穴加工装置
JP2758033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の金型配置方法
JPH0638584Y2 (ja) 鋼板の角孔加工工具
JPH07116745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KR19980015222A (ko) 프레스 금형
JPS6284848A (ja) ソケツトボ−ルジヨイントの成形方法及び成形金型
JPH0438903Y2 (ko)
KR20000021643A (ko) 프레스 상부금형에 설치되는 위치결정용 로크핀의 이탈방지구조
JPH09136122A (ja) 穴抜加工機
JPH0347694Y2 (ko)
KR100212816B1 (ko) 금형의 힐가이드 설치구조
CN117415399A (zh) 一种用于外轮廓加工的线切割工装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