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351B1 - 가변 기록 및 소거 시간 주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기록 및 소거 시간 주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351B1
KR100215351B1 KR1019960042329A KR19960042329A KR100215351B1 KR 100215351 B1 KR100215351 B1 KR 100215351B1 KR 1019960042329 A KR1019960042329 A KR 1019960042329A KR 19960042329 A KR19960042329 A KR 19960042329A KR 100215351 B1 KR100215351 B1 KR 10021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erase
time period
write
verif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665A (ko
Inventor
토시야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7001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11C16/344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erasure or for detecting overerased cells
    • G11C16/3445Circuits or methods to verify correct erasure of nonvolatile memory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11C16/3454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for detecting overprogrammed cells
    • G11C16/3459Circuits or methods to verify correct programming of nonvolatile memory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9Arrangements for evaluating degradation, retention or wearout, e.g. by counting erase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9Arrangements for evaluating degradation, retention or wearout, e.g. by counting erase cycles
    • G11C16/3495Circuits or methods to detect or delay wearout of nonvolatile EPROM or EEPROM memory devices, e.g. by counting numbers of erase or reprogram cycles, by using multiple memory areas serially or cyclically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비휘발성 계수기 (10)이 소거 동작의 수 (CNT)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메모리 셀 (M00)에 따른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 (T1, T2)는 소거 동작의 수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메모리 셀(M00, M01,···)에 따른 소거 동작의 시간 주기 (T1', T2')는 소거 동작의 수에 따라 변화된다.

Description

가변 기록 및 소거 시간 주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도 1은 선행 기술의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4는 기록 동작의 수와 기록 시간 주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 7, 9, 11 및 13은 도 5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a, 8b, 8c, 10a, 10b, 10c, 12a, 12b, 12c, 14a, 14b 및 14c는 도 5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모리 셀 배열 2 : 행 해독기
3 : 소스 회로 4 : 열 선택 회로
5 : 열 해독기 6 : 기록 증폭기
7 : 입력/출력 버퍼 8 : 검지 증폭기
9 : 제어 회로 l0 : 비휘발성 계수기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동작 및(또는) 소거 동작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기록 동작은 장치가 인쇄 회로 기판상에 설치된 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한 가지 전형적인 예는 데이터 저장이 백업 배터리 없이 가능하고, 고밀도로 집적된 장점을 갖는 플래쉬 메모리이다.
선행 기술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기록 동작은 제한된 시간 주기 동안 선택된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기록 검증 동작은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하한 값보다 더 큰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된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선택된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하한 값보다 더 크지 않은 경우, 기록 동작은 상기 시간 주기 동안 선택된 메모리 셀상에서 다시 수행된다. 이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선행 기술의 장치에서, 메모리 셀의 열화 (劣化)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록 시간은 즉각적으로 2배로 된다. 이는 겹쳐쓰기 동작을 유발할 수 있고, 추가로 메모리 셀의 열화를 증가시킨다. 또한, 기록 시간이 결국 증가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셀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비회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록 시간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거 시간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비휘발성 중심이 소거 동작의 수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메모리 셀에 따른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는 소거 동작의 수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메모리 셀에 따른 소거동작의 시간 주기는 소거 동작의 수에 따라 변화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기 전에, 선행 기술의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1, 2,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선행 기술의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에서, 복수개의 워드 선 (WL0, WL1,···) 및 복수 개의 비트 선 (BL0, BLl,···)이 제공된다. 참조 번호 1은 각각 소스, 비트 선 (BL0, BL1,···)에 접속된 드레인,플로팅 게이트, 및 워드 선 (WL0, WL1,···) 중의 하나에 접속된 제어 게이트를 갖는 메모리 셀 (M00, M01,···)에 의해 형성된 메모리 셀 배열을 나타낸다.
행 해독기 (2)는 워드 선 (WL0, WL1,···)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소스 회로 (3)은 메모리 셀 (M00, M01,‥·)의 모든 소스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소거 모드 중에, 소스에서 전압은 높아지게 된다 (=VPP). 그러나,기록 검증 동작 및 소거 검증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판독 모드 동안, 소스는 접지된다.
열 선택 회로 (4)는 각각 비트 선 (BL0, BL1,···) 중의 하나와 숫자 선(DL) 사이에 접속된 열 선택 트랜지스터 (QC0, QC1,···)에 의해 형성된다. 열선택 트랜지스터 (Q,C0, Q,C1,···) 중의 하나는 열 해독기 (5)에 의해 선택되며 턴온된다.
기록 증폭기 (6)은 입력/출력 버퍼 (7)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숫자 선 (DL)로 전송한다. 또한, 센스 증폭기 (8)은 숫자 선 (DL)에서 데이터를 검지하고, 이를 입력/츨력 버퍼 (7)로 전송한다. 기록 증폭기 및 센스 증폭기 (8)은 제어 회로 (9)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 (9)는 입력/출력 버퍼(7)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장치를 제어한다.
행 해독기 (2) 및 열 해독기 (5)는 제어 회로 (9)로부터 얻은 외부 어드레스 신호 (ADD1) 및 내부 어드레스 신호 (ADD2)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 회로 (9)는 전원 전압 (VPX) 및 (VPY)를 행 해독기 (2) 및 열 해독기 (5)에 각각 공급한다. 또한, 제어 회로 (9)는 소스 회로 (3)을 제어하기 위한 소거 신호 (ER)을 생성하고, 또한 기록 증폭기 (8)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신호 (PG)를 생성한다.
도 1의 장치의 (M00) 등의 1개의 메모리 셀에 대한 기록 동작은 제어회로 (9)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인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 셀은 외부 어드레스 신호 (ADDl)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먼저, 단계 201에서, 제어 회로 (9)는 프로그램 신호 (PG)를 생성하고, 전력 전압 (VPX) 및 (VPY)를 (VPP)로, 예를 들면 시간 주기 (Tl)에서 20V를 25V로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기록 증폭기 (6)은 프로그램 신호 (PG)에 의해 활성화되고, 따라서, 높은 전압 (Vpp)가 열 선택 트랜지스터 (Qco)을 통해 메모리 셀 (M00)의 드레인으로 통과한다. 동시에, 높은 전압 (VPP)가 메모리 셀 (M00)의 제어 게이트에 인가된다. 이 경우, 소거 신호 (ER)은 낮고 (=GND), 소스 회로 (3)은 불활성화되므로, 메모리 셀 (M00)의 소스가 접지된다. 따라서, 기록 동작은 시간 주기 (T1) 동안 메모리 셀 (M00) 상에서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202)에서, 기록 검증 동작은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전원 전압 (Vcc)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더 큰 전압인 하한 값 (VL)보다 더 큰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메모리 셀 (M00) 상에서 수행된다. 이 경우, 제어 회로 (9)는 프로그램 신호 (PG) 및 소거 신호 (ER)을 불활성화시킨다. 또한, 이는 전원 전압 (Vpx)를 (VL)로 증가시키고, 전원 전압 (VPY)를 (Vcc)로, 예를 들면 5V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판독 동작은 임계 전압 (VL)을 사용함으로써 메모리 셀 (M00) 상에서 수행되고, 센스 증폭기 (8)로부터 얻은 판독 데이터가 0인지 여부, 즉, 기록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기록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판독 데이터가 0인 경우에만, 단계 (203)으로 제어가 진행되고, 따라서, 도 2의 루틴이 완료된다. 이와 달리, 단계 (201)에서 제어가 반복된다. 여기서, 이러한 기록 검증 동작은 시간주기 (T0)에 대해 수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검증 동작의 수가 1인 경우, 메모리셀 (M00) 상의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는
T1 + T0 (1)이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검증 동작의 수는 2이고, 메모리 셀(M00) 상의 기록 동작의 시간은
(T1 + T0) + (T1 + T0) = 2·(T1 + T0) (2)이다.
일반적으로, 소거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 동작의 수가 메모리 셀의 셀 트랜지스터에 스트레스를 부여하도록 증가될 때, 셀 트랜지스터는 열화된다.
결과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동작 (소거 동작)의 수가 증가될 때, 보다 긴 기록 시간 주기가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 셀의 셀 트랜지스터가 점차로 열화되기 때문에, 기록 시간 주기는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의 흐름도를 사용하는 도 1의 장치에서, 메모리 셀의 열화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록 시간 주기는 (T1+T0)으로부터 2·(T1+T0)로 갑자기 증가된다. 이는 겹쳐쓰기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추가로 메모리 셀의 열화를 증가시킨다. 또한, 기록 시간 주기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에서, 비휘발성 계수기 (10)이 도 1의 소자에 추가된다. 비휘발성 계수기 (10)은 평균 메모리 셀에 대한 기록 동작의 수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플래쉬 소거 동작의 수를 계수한다.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는 역시 제어 회로 (9)에 의해 수행되는 도 6에 나타낸 바의 루틴에 의해 재생된다.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는 적재 (shipping) 전에 클리어된다.
먼저, 단계 (601)에서, 중복 삭제 동작을 피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또는 기록 동작은 모든 메모리 셀 (M00, M01,···) 상에서 수행된다. 즉,
PG = Vcc
ER = GND
VPX= VPY= VPP
또한, 데이터 0이 기록 증폭기 (6)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어드레스 신호 (ADD2)에 의해 제한된 어드레스가 순차로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높아진다.
다음으로, 단계 (602)에서, 플래쉬 소거 동작은 모든 메모리 셀 (M00,M01,···) 상에서 수행된다. 즉,
PG = GND
ER = Vcc
VPX= VPY= GND
결과적으로, 높은 전원 전력 (VPP)가 메모리 셀 (M00, M0l,···)의 모든 소스에 인가되는 한편, 모든 워드 선 (WL0,WL1,···)이 접지된다. 따라서, 모든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은 낮아진다.
다음으로, 단계 (603)에서, 소거 검증 동작은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판독 전압 (VR)보다 약간 더 큰 상한 값 (VU), 예를 들면 2.5V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모든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된다. 즉,
PG = GND
ER = GND
Vpx = VU
VPY= VCC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어드레스 신호 (ADD2)에 의해 제한된 어드레스가 순차로 증가되며, 센스 증폭기 (8)로부터 얻은 판독 데이터가 1인지 여부를 측정하며, 그에 따라, 소거 검증 동작이 수행된다. 모든 판독 데이터가 1인 경우에만 단계 (604)로 제어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도 6의 루틴이 완료된다. 이와 달리, 단계 (603)에서 제어는 단계 (605)로 진행된다.
단계 (605)에서,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는 +1씩 증가된다.
이어서, 단계 (606)에서,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가 최대값(MAX)보다 더 큰지 여부가 측정된다. CNT≤N4AX인 경우, 단계 (602) 및 (603)에서 제어가 반복된다. 이와 달리, 제어가 단계 (607)로 진행되고, 따라서 도 6의 루틴이 완료된다.
도 5의 제어 회로 (9)의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도 7에서, 단계 (701) 및 (702)가 도 2의 단계들에 추가된다.
먼저, 단계 (701)에서,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가 소정의 값 (CNT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측정된다. 결과적으로, CNT≤CNT0인 경우, 제어가 단계 (201)로 진행된다. 한편, CNTCNT0인 경우, 제어는 단계(702)로 진행된다.
단계 (201)에서,(M00) 등의 메모리 셀 상의 기록 동작은 시간 주기(Tl)에 대해 수행된다. 반대로, 단계 (702)에서,(M00) 등의 메모리 셀 상의 기록 동작은 하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간 주기 (T2)에 대해 수행된다 :
T1 T2 2·Tl
또한, 단계 (202)에서 기록 검증 동작이 실패하는 경우, 제어는 도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계 (201)로 진행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검증 동작의 수가 1인 경우, 메모리 셀 (M00) 상의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는
Tl + T0 (3)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식 (1) 참조).
한편,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검증 동작의 수가 2인 경우, 메모리 셀 (M00) 상의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는
T2 + T0 (4)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8c에 다시 나타낸 도 3b의 그것보다 더 작다 (식 (2) 참조). 예를 들면,
(T2 + T0)/(T1 + T0) ≒ 1.3
CNTO가 적절한 경우, 기록 검증 동작의 수가 드물게 3 이상임에 주의한다.
따라서, 도 7의 기록 동작 루틴에 따라, 심지어 메모리 셀의 열화가 진전될 때, 기록 시간 주기의 증가가 작아지므로, 겹쳐쓰기 동작을 피할 수 있다. 이는 메모리 셀의 열화를 억제한다. 또한, 기록 시간 주기가 결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7의 루틴의 변형인 도 9에서, 단계 (901)이 도 7의 단계들에 추가된다. 즉, 기록 검증 동작이 단계 (202)에서 실패하는 경우, 제어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시간 주기 (T3) 동안 (M00) 등의 메모리 셀 상에서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901)로 진행된다 :
T3 T1
이어서, 제어는 단계 (202)로 복귀된다.
도 l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검증 동작의 수가 1인 경우, 메모리 셀 (M00) 상의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는
T1 + T0 (5)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식 (1) 참조).
한편,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동작의 수가 2인 경우, 메모리 셀 (M00) 상의 기록 동작의 시간 주기는
T2 + T0 + T3 + T0 (6)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7의 루틴을 수행함으로써 얻는 도 10c의 그것보다 더 작다.
따라서, 도 9의 기록 동작 루틴에 따라, 심지어 메모리 셀의 열화가 진전될 때, 2 기록 동작이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되고, 기록 시간 주기의 증가가 적으므로, 겹쳐쓰기 동작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추가로 메모리 셀의 열화를 억제한다. 또한, 기록 시간 주기가 결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의 제어가 역시 제어 회로 (9)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인 도 11에 나타낸 바의 플래쉬 소거 동작에 적용된다.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는 적재 전에 클리어됨에 주의한다.
먼저, 단계 (1101)에서, 중복-소거 동작을 피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또는 기록 동작은 모든 메모리 셀 (M00, M01,···) 상에서 수행된다. 즉,
PG = Vcc
ER = GND
VPX= VPY= VPP
또한, 데이터 0이 기록 증폭기 (6)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어드레스 신호 (ADD2)에 의해 제한된 어드레스가 순차로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높아진다.
다음으로, 단계 (1102) 서,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가 소정의 값 (CNT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결과적으로, CNT ≤ CNT0인 경우, 제어는 단계 (1103)으로 진행된다. 한편, CNT CNT0인 경우, 제어는 단계 (1104)로 진행된다.
단계 (1103)에서, 모든 메모리 셀 상의 플래쉬 소거 동작은 시간 주기(T1') 동안 수행된다. 그러나, 단계 (1104)에서, 모든 메모리 셀 상의 플래쉬 소거 동작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간 주기 (T2') 동안 수행된다 :
T1' T2' 2·T1'
단계 (1103) 및 (1104)에서 플래쉬 소거 동작은 다음 조건으로 수행됨에 주의한다 :
PG = GND
ER = Vcc
VPX= VPY= GND
결과적으로, 높은 전원 전력 (Vpp)가 메모리 셀 (M00, M01,···)의 모든 소스에 인가되는 한편, 모든 워드 선 (WL0, WL1,···)이 접지된다. 따라서, 모든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은 낮아진다.
다음으로, 단계 (1105)에서, 소거 검증 동작은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상한 값 (VU)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모든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된다.즉,
PG = GND
ER = GND
Vpx = VU
VPY= VCC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어드레스 신호 (ADD2)에 의해 제한된 어드레스가 순차로 증가되며, 센스 증폭기 (8)로부터 얻은 판독 데이터가 1인지 여부를 측정하며, 그에 따라, 소거 검증 동작이 수행된다. 모든 판독 데이터가 1인 경우에만 단계 (1106)으로 제어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도 11의 루틴이 완료된다. 이와 달리, 단계 (1105)에서 제어는 단계 (1107)로 진행된다. 여기서, 이러한 소거 동작은 시간 주기 (T0') 동안 수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계 (1107)에서, 비휘발성 계수기 (l0)의 내용 (CNT)는 +1씩 증가되고, 비휘발성 계수기 (10)의 내용 (CNT)가 최대값 (MAX)보다 더 큰지 여부가 측정된다. CNT≤MAX인 경우, 단계 (1103) 및 (1105)에서 제어가 반복된다. 이와 달리, 제어가 단계 (1109)로 진행되고, 따라서 도 11의 루틴이 완료된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거 검증 동작의 수가 1인 경우, 플래쉬 소거 동작의 시간 주기는
T1' + T0' (7)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선행 기술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검증 동작의 수가 2인 경우, 플래쉬 소거 동작의 시간 주기는
T2' + T0' (8)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12c에 나타낸 바의 선행 기술의 그것보다 더 작다.
예를 들면,
(T2' + T0')/(T1' + T0') ≒ 1.3
CNTO가 적절한 경우, 소거 검증 동작의 수가 드물게 3 이상임에 주의한다.
따라서, 도 11의 플래쉬 소거 동작 루틴에 따라, 심지어 메모리 셀의 열화가 진전될 때, 플래쉬 소거 시간의 증가가 작아지므로, 겹쳐쓰기 동작을 피할 수 있다. 이는 메모리 셀의 열화를 억제한다. 또한, 기록 시간 주기가 결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1의 루틴의 변형인 도 13에서, 단계 (1301)이 도 11의 단계들에 추가된다. 즉, 소거 검증 동작이 단계 (1105)에서 실패하는 경우, 제어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시간 주기 (T3') 동안 모든 메모리 셀 상에서 플래쉬 소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1301)로 진행된다 :
T3' T1'
이어서, 제어는 단계 (1105)로 복귀된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거 검증 동작의 수가 1인 경우, 소거 동작의 시간 주기는
T1' + T0' (9)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식 (7) 참조).
한편,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거 검증 동작의 수가 2인 경우, 소거 동작의 시간 주기는
T2' + T0' + T3' + T0' (10)이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도 11의 루틴을 수행함으로써 얻는 도 14c의 그것보다 더 작다.
따라서, 도 13의 소거 동작 루틴에 따라, 심지어 메모리 셀의 열화가 진전될 때, 2 소거 동작이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되고, 소거 시간의 증가가 적으므로, 겹쳐쓰기 동작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추가로 메모리 셀의 열화를 억제한다. 또한, 소거 시간 주기가 결과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실시예는 플래쉬 타입 비휘발성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자외선 소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 셀의 열화가 억제될 수 있으며, 기록 시간 주기 및 소거 시간 주기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0)

  1. 소거 동작의 수 (CNT)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계수기 (10); 및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에 따라 변화된 시간 주기 동안 메모리 셀 (M00) 상에서 기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소거 동작의 수 (CNT)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계수기 (10);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가 특정 값 (CNTO)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가 상기 특정 값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간 주기 (T1) 동안 메모리 셀 (M00) 상에서 제1 기록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가 상기 특정 값에 도달한 후에, 제2 시간 주기 (T2) 동안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제2 기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 주기는 상기 제1 시간 주기보다 더 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록 동작 중의 하나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하한 값 (VL)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기록 검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상기 하한 값보다 더 크지 않을 때, 상기 제1 기록 동작 및 상기 기록 검증 동작을 반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록 동작 중의 하나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하한 값 (VL)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기록 검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상기 하한 값보다 더 크지 않을 때, 상기 제1 시간 주기보다 더 작은 제3 시간 주기 (T3) 동안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제3 기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3 기록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기록 검증 동작을 반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5. 소거 동작의 수 (CNT)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계수기 (10); 및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에 따라 변화된 시간 주기 동안 메모리 셀 (M00, M01,…) 상에서 소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동작이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되기 전에,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프로그래밍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7. 소거 동작의 수 (CNT)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계수기 (10); 및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가 특정 값 (CNTO)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가 상기 특정 값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간 주기 (T1') 동안 메모리 셀 (M00, M01,···) 상에서 제1 소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휘발성 계수기 내에 저장된 소거 동작의 수가 상기 특정 값에 도달한 후에, 제2 시간 주기 (T2') 동안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제2 소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 주기는 상기 제1 시간 주기보다 더 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동작이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수행되기 전에,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프로그래밍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소거 동작 중의 하나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상한 값 (VU)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소거 검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상한 값보다 더 작지 않을 때, 상기 제1 소거 동작 및 상기 소거 검증 동작을 반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록 동작 중의 하나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이 상한 값 (VU)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소거 검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모리 셀의 임계 전압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상한 값보다 더 작지 않을 때, 상기 제1 시간 주기보다 더 작은 제3 시간 주기 (T3') 동안 상기 메모리 셀 상에서 제3 소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3 소거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소거 검증 동작을 반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KR1019960042329A 1995-09-27 1996-09-25 가변 기록 및 소거 시간 주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15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488695A JP2806326B2 (ja) 1995-09-27 1995-09-27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書込み・消去方法
JP95-274886 1995-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665A KR970017665A (ko) 1997-04-30
KR100215351B1 true KR100215351B1 (ko) 1999-08-16

Family

ID=1754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329A KR100215351B1 (ko) 1995-09-27 1996-09-25 가변 기록 및 소거 시간 주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08605A (ko)
JP (1) JP2806326B2 (ko)
KR (1) KR100215351B1 (ko)
TW (1) TW3070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04B1 (ko) * 2009-01-29 2011-10-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소거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649B2 (ja) * 1996-09-05 2000-10-03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US6081453A (en) * 1997-04-15 2000-06-27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098486B2 (ja) * 1998-03-31 2000-10-16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6005810A (en) * 1998-08-10 1999-12-21 Integrated Silicon Solution, Inc. Byte-programmable flash memory having counters and secondary storage for disturb control during program and erase operations
US6141260A (en) 1998-08-27 2000-10-31 Micron Technology, Inc. Single electron resis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TW439029B (en) * 1998-11-27 2001-06-07 Acer Peripherals Inc Method for preventing flash memory data from being lost or miswritten
KR100311042B1 (ko) * 1999-06-26 2001-11-02 윤종용 기입 주기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동기식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기입 방법
TWI220031B (en) * 2003-07-01 2004-08-01 Delta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relevant accessing a non-volatile memory in an electrical equipment
US7120220B2 (en) 2004-12-23 2006-10-10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Non-volatile counter
US7142627B2 (en) 2004-12-23 2006-11-28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ounting scheme with automatic point-of-reference generation
US7257046B2 (en) * 2005-06-13 2007-08-14 Atmel Corporation Memory data access scheme
US9594679B2 (en) * 2008-05-01 2017-03-14 Sandisk Il Ltd. Flash cache flushing method and system
US8004884B2 (en) * 2009-07-31 2011-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terative write pausing techniques to improve read latency of memory systems
US9009547B2 (en) 2011-01-27 2015-04-14 Apple Inc. Advanced programming verification schemes for analog memory cells
US9293194B2 (en) 2011-01-27 2016-03-22 Apple Inc. Programming and erasure schemes for analog memory cells
JP5404670B2 (ja) 2011-02-10 2014-02-0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8374040B2 (en) 2011-02-25 2013-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rite bandwidth in a memory characterized by a variable write ti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0496A (ja) * 1990-02-27 1991-11-08 Nec Corp 電気的書込み消去可能な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3248928B2 (ja) * 1991-08-23 2002-01-21 富士通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消去方法
JPH0581881A (ja) * 1991-09-20 1993-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348466B2 (ja) * 1992-06-09 2002-1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装置
JPH06251593A (ja) * 1993-02-24 1994-09-09 Matsushita Electron Corp フラッシュメモリの消去あるいは書き込み制御方法
US5463586A (en) * 1993-05-28 1995-10-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Erase and program verification circuit for non-volatile memory
JPH0737395A (ja) * 1993-07-19 1995-02-07 Sony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3448365B2 (ja) * 1994-09-20 2003-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5621687A (en) * 1995-05-31 1997-04-15 Intel Corporation Programmable erasure and programming time for a flash memo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04B1 (ko) * 2009-01-29 2011-10-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소거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91979A (ja) 1997-04-04
TW307012B (ko) 1997-06-01
US5708605A (en) 1998-01-13
KR970017665A (ko) 1997-04-30
JP2806326B2 (ja)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351B1 (ko) 가변 기록 및 소거 시간 주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130222B1 (en) Nonvolatile memory with program while program verify
US7894264B2 (en) Controlling a memory device responsive to degradation
US201200819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ing non-volatile memory cells based on programming of proximate memory cells
US6839279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982676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過消去救済方法
US6188603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JPH10228784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6795350B2 (en) Circuit and method for tuning a reference bit line loading to a sense amplifier by optionally cutting a capacitive reference bit line
KR960000345B1 (ko) Eeprom 및 eeprom 독출 방법
US5347486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self-refresh function
US7551490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from flash memory device
US5617350A (en) Flash memory system having reduced disturb and method
JP2008097705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9980021155A (ko) 라커블 셀들을 가지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559736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excessive-writing
JP3143161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US5563824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erasing stored data thereof
JP2000137992A (ja)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及びその検証方法
US7826276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reducing data programming and verification ti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60034126A1 (en) Preconditioning of defective and redundant columns in a memory device
KR100695699B1 (ko) 반도체 기억 장치의 판독 장치 및 판독 방법
US7924621B2 (en) NAND-type flash memory and NAND-type flash memory controlling method
KR0172364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기준셀을 이용한 소거검증 방법
KR100245413B1 (ko)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