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946B1 -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 Google Patents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946B1
KR100212946B1 KR1019920702861A KR920702861A KR100212946B1 KR 100212946 B1 KR100212946 B1 KR 100212946B1 KR 1019920702861 A KR1019920702861 A KR 1019920702861A KR 920702861 A KR920702861 A KR 920702861A KR 100212946 B1 KR100212946 B1 KR 10021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t
solu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eight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인스로우 톨파
테듀즈 게르즈
스테인스로우 리터
리스자르트 쿡크라
말고로자타 스크라지스제스카
스테인스로우 톰카우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퍼 피아세키
토르프 이스테블리쉬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283A external-priority patent/PL166655B1/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509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164B3/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508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405B3/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510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406B3/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608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175B3/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606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368B3/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607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174B3/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695A external-priority patent/PL165660B1/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0693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455B3/pl
Priority claimed from PL29069491A external-priority patent/PL167847B1/pl
Priority claimed from PL91291078A external-priority patent/PL168857B1/pl
Priority claimed from EP91118269A external-priority patent/EP0539610A1/en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퍼 피아세키, 토르프 이스테블리쉬먼트 filed Critical 크리스토퍼 피아세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61K35/10Peat; Amber; Turf; Hu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탄 유도성 생체활성물질에는 건조 고형물을 기초로하여 무기염 특히 염화나트륨이 70이하 적절하게는 약 60이하가 포함된다. 이탄-유도성 생체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염화나트륨 고농축 수용액은 탈미네랄수로 희석시키고 용액에서 염을 제거하기 위해 역삼투되어 무기염이 제거되고 생성된 용액은 농축되고 정화되며 멸균과 분투건조된다. 겔형태의 이탄-유도성 생체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제약성분은 멸균된 알코올성 허브 추출물과 멸균 글리세롤 분말형, 이탄-유도성 생체활성 성분의 멸균용액과 멸균된 멘톨용액과 복합되고 생성된 혼합물은 콜로이드성 실리카와 점진적으로 결합되어 액상에서 겔형태로 전환하며 이때 액상 혼합물과 실리카 중량비는 90:10 내지 94:6이며 겔, 연고, 향료, 샴푸, 목욕샴푸와 같은 화장성분물에는 이탄-유도성 활성 성분이 중량의 0.01-10적절하게는 0.05-1가장 적절하게는 0.05-0.1

Description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본 발명은 신규한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와 같은 산물을 만드는 공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산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그리고 화장 성분물에 관계하며, 전술한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그리고/또는 화장물을 만드는 과정에 관계한다.
추출용 배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탄을 추출하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며, 이와 같은 이탄 유도성 생활성 성분을 포함한 추출물은 화장 및 제약학적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공정중에 하나가 폴란드 특허 124110(Chemical Abstracts 101(10), 78854e)에 상술되어 있다. 선행기술의 공정에 따르면,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은 건조된 천연 이탄물질을 제1차와 2차 알칼라인 가수분해한 후, 가수분해물질을 산성처리하고, 연속적으로 맑은 액상을 제2차 알칼리처리와 산성처리하여, 불용성 고형부분을 분리해내고, 알코올과 에테르추출에 의한 자갈물질을 제거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유기추출에 수용성상의 액상 이탄유도된 생활성 물질이 수득된다.
상기 폴란드 특히 명세서에 따라, 수득된 고농축된 거의 포화된 염화 나트륨 수용액내에 이탄 유도성 활성성분 용액인 공지된 액상물은 장기간 보관시 불안정하고 또한 성분물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중성 무기물이 과포화되어 있을 경우에 불안정하다. 다량 생성물을 저장 및 다루는 공정이 매우 힘들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러한 불리한 점을 피할 수 있는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예로써, 안정한 생성물과 제약학적 그리고 수의학적 물질로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고, 화장품 제조시 고형상태 또는 적절한 용액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제약학적 성분물을 생산하는 것과 같은 제약학적 목적에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고형을 만드는 것이 필요적이다. 공지된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의 수용액 농도에서 염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에서는 성분물의 생물학적 활성이 감소해서 실패하였고, 액상성분물에서 분말형으로의 전환시키는 적절한 공정을 찾기란 매우 힘들다.
그러나 농축하기 전에 액상 성분물을 성분물의 몇 배가 되는 용적의 물로 우선 희석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유익한 특징을 가진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을 이탄-유도성 생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고농축된 무기염(특히 염화나트륨) 용액을 증류수와 같은 탈미네랄수로 희석하고 역-삼투후에, 농축과 정제시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용액은 멸균과 분무건조시켜 멸균된 고형 생성물로 전환하는데 용이하고 소요의 목적에 적합하게 된다. 희석은 희석될 농축된 용액에 적절하게는 5 내지 7배의 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폴란드 특허 124110 에 따라 수득된 생성물의 과정은 추출후 수용성 면에서 잔류 유기용매를 분리해내고, 소결 세라믹 물질을 통하여 감압하에서 여과에 의해 불용성 물질을 분리해내고, 몇 배 용적의 증류수로 여과물질을 희석하고, 주로 염화나트륨과 높은 과량 미네랄 염을 분리하기 위해 역삼투압으로 염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 다음 탈염용액은 원심분리에 의해 농축, 정화하고 밀리포어 필터와 같은 막필터로 여과하여 살균한다. 생성된 무균용액은 분무 건조시킬 수 있다. 멸균된 생성물(액상 또는 고형)은 화장약품 또는 수의약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농축 강화된 용액은 살균과 분무건조하지 않고 다양한 화장성분물로 적절히 희석되어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분무-건조단계에서 유입구 온도는 약 180℃가 되고 유출구 온도는 약 90℃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과정은 폴란드특허 12411에 따른 공정과 복합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와 같은 복합에 한정하지 않고 이와 같은 복합에 한정하지 않고 이탄-유도성 생활성 성분을 포화하는 염화나트륨과 같은 무기염 고농축 수용액에서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은 무기염 특히 염화나트륨을 총중량의 70이하, 적절하게는 60를 넘지 않는다. 가능한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낮게 유지해야 하는 생성물 특히 제약학적 응용물에 적합하고, 화장품과 같은 응용물에는 고농도가 요구되는데 예로 얼굴 손질용은 약 55정도의 낮은 염화나트륨 농도가 적절하며, 희석과 역삼투압 단계에서 수득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공정은 농축과 정화 단계로 종료되는데, 생성물은 농축된 용액이 된다. 농축된 이탄 추출물은 비중이 1.02-1,09g/의 흑갈색 용액으로 중량의 5이하의 건조 고형물을 포함하고 있다. 염화나트륨으로 계산되는 건조 고형물에 염소이온의 함량은 70적절하게는 60를 넣지 않고 1수용성 용액의 pH 값은 5.0-6.5 적절하게는 6.0이 된다. 특정화장품에 농축된 이탄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때는 더 이상의 살균단계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물이 제약성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특별한 경우에는 살균 단계는 필수적이 된다. 또한 이때 분무-건조를 하면 더욱 효과적이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분무건조된 생성몰은 분말형으로 특정 제약 성분물의 제조에 적합하고 이러한 형태의 생성물은 등록상표 TOLPATorf Preparation TOLPA로 토르프회사(폴란드, 워플로우 미드라나 2)에서 상품화한다. 약어 TTP는 상기 산물을 지적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이탄-유도성 생활성 물질이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제약학적 성분물로써 성분물에는 건조고형의 무기염 특히 염화나트륨이 중량의 70이하, 적절하게는 60이하가 포함되며,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수용체가 함께 포함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약학적 성분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이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TTP이다. 제약학적 제조물에는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수용체 물질이 적절하게는 1:5 내지 1:25, 가장 적절하게는 1:9 내지 1:19 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겔형태로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만드는 과정과 관계한다. 이 공정은 멸균 알코올성 허브 추출물이 이전의 분말형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의 멸균 수용액(적절히 농축된)과 멸균 글리세롤, 멸균 멘톨용액과 복합하여 생성된 혼합물은 콜로이드성 실리카와 복합하여 액상 용액에서 겔형태로 전환되는데 액체 혼합물과 실리카의 중량비는 90:10 내지 94:6 이 된다. 농축된 또는 분말형 이탄-유도성 생활성 물질은 TTP가 적절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연고형태로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을 만드는 공정에 관계한다. 이 공정은 멸균 허브추출물이 분말형 이탄-유도성 생활성 물질의 멸균용액과 점진적으로 결합되어 생성된 혼합물은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첨가로 겔형태가 되며 수득된 겔은 이전의 멸균된 지방성분 혼합물 적절하게는 유세린(eucerine)과 바세린(petrolatum)으로 저장하는데 액상 성분물과 실리카의 중력비는 30:20 그리고 겔과 지방 성분물의 중력비는 32:68 내지 34:66 이 되게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분말형 또는 농축된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은 TTP가 적절하다.
허브 추출물과 다른 보조 향기 성분 및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수용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화장성분물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이 중량에 0.01-10적절하게는 0.05-1.00, 가장 적절하게는 0.05-10이 포함되어 있다.
수용체 물질은 알코올과 같은 수용액, 모든 타입의 유제, 겔, 거품 성분물과 지방 수용체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성분물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예로 강장제, 크림, 향유, 크리닝 밀크, 샴푸, 방향, 거품목욕제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치료요법적 진흙과 같은 천연 이탄물질에서 나온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줄임말로 이탄추출물)에는 B, Si, Ab, Fe, Mg, Mn, Cu, Sn, Ni, Ca, Ag과 Na의 미네랄염의 미네랄과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성분물과 탄수화물 가수분해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분해되거나 반응된 데소옥시카이드와 아미노사카라이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치료효과가 있는 진흙인 이탄은 생물학적인 식물과 미생물물질로인지 공지되어 있는데, 이 이유는 사람과 포유류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영양 및 자극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이탄 유도성 생활성 성분물에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특징적인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이탄 유도성 활성물질이 포함된 화장품 및 제약학적 성분물이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신규한 제조시 허브 추출물이 포함될 경우 더욱 효과가 같다. 적절한 허브 추출물은 화장품에 공지된 형태의 것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는 개인의 필요와 요구에 맞게 화장품 함량에 가능한 변형 및 수정된 활성을 가지면 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로 상술하고자 한다.
폴란드특허 124110 에 따른 공지된 과정으로 대기 건조된 원재료 1000kg로 시작하여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내에 이탄 유도된 생활성 성분 용액 약 10 리터를 얻을 수 있다. 용액은 소결 세라믹 필터를 통하여 감압하에 여과시켜 염 제거 전에 정제를 하는데, 수득된 정제용액은 건조중량으로 약 95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건조중량은 용액의 약 32가 된다. 정제된 용액의 용적은 약 7리터가 된다.
정제된 용액은 약 5 내지 8배의 증류수로 희석하고, 희석된 물은 DDS기구를 사용하여 역삼투압 기술로써 탈염단계를 실시한다. 탈염과정은 3 내지 4시간 소요되는데 과량 염 특히, 염화나트륨이 분리된다. 탈염된 성분물에는 고형의 염화나트륨이 약 65-75포함되어 있다. 수득된 용액은 6-7 리터 정도이며, Buechi 회전 증발기로 4-5회 농축시키고, 농축된 용액에는 약 20의 건조물이 포함되어 있다. 생성된 농축용액은 바이오푸가-헤라우스 원심분리장치로 정제하고, 밀리포어 필터로 여과하여 살균한다.
생성된 무균용액은 유입구 온도가 약 180℃, 유출구 온도가 약 90℃로 조절된 Anhydro 건조기로 분무건조시켜 건조된 분말생성물이 약 200g이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수득된 생성둘은 특정질병에 치료효과를 공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허브추출물을 포함하는 겔과 연고의 제약학적 성분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강이 종기에 사용하는 겔과 연고는 다음과 같이 만든다: 20g 침엽수 추출물, 10g 금송화 추출물, 60g 글리세롤 실시예 1 에서 수득된 분말형의 TTP 0.1g, 0.Is 살릴사이클산, 1.0g 증류수, 8.8g의 Aerosil(콜로이드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겔형의 성분물을 만들 수 있다.
액상 성분물(비휘발성)은 사용하기전 2시간 환류시켜 가열하여 멸균한다. 허브추출물은 글리세롤, TTP 수용액, 멘톨과 혼합하고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면서 혼합물에 실리카를 점진적으로 첨가한다.
유사하게 다음의 성분물을 사용하여 연고를 얻을 수 있다: 20g 침엽수 추출물, 10g 금송화추출물, 0.1g 살릴사이클산,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분말형 TTP 0.1g, 2.0g의 에어로실(콜로이드성 실리카).
지방 성분물로는 22g 유세린과 45.8g 바셀린 혼합물이 사용된다. 허브추출물은 약 2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가열하여 멸균한다. 유세린과 바세린도 비슷하게 멸균한다. 액상 성분물은 실리카와 조심스레 혼합되어 겔이 형성되어 멸균된 지방 성분물로 실온으로 냉각시켜 저장한다. 저장시에 분리되지 않는 안정한 연고가 수득된다.
상기 수득한 겔과 연고는 정맥류 정강이 종기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종기는 겔로 치료될 수 있는 것은 겔로 치료하고 감염안된 피부는 연고로 한다.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첨가는 즉시 탈수를 하는 역할을 하며, 허브와 이탄 유도성 성분은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지방 성분은 피부와 각질에 탄성을 유지시키게 한다. 수득된 결과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치료받은 환자(표준 환자)와 비교한다. 두드러진 좋은 효과없이 상당기간 질병을 앓은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법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물로 치료 받은 환자는 표준 환자보다 몇 주내에 좋은 결과를 보인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수득된 생성물은 캡슐내에 포함될 정제 또는 입상형의 제약학적 성분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분말형의 멸균된 이탄 유도성 생활성 성분은 1:9 의 중량비로 수용체와 결합된다. 수용체로는 락토스와 윤활성분 혼합물, MWATEXTL(이스트만-코닥의 상표)는 중량비 44:1 로 사용한다. 50 메쉬 입자크기의 락토스와 MYVATEXTL은 미세하게 분해되어, 약 70의 중량이 100 메쉬 스크린을 통과한다. 활성성분과 수용체 혼합물이 5g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정제로 만들 수 있다. 활성성분과 수용체 혼합물이 에탄올(용적의 40)을 사용하여 입상화한다. 입상을 거르고 필요하다면 분쇄한 다음, 정량을 캡슐에 채운다.
각 캡슐에는 TTP를 이용한 활성성분 5mg이 포함되며 수용체와의 비는 19:1이 된다.
상기 수득된 정제는 37℃+/-2℃에서 Erweka 장비로 인공 위산에서의 분해시간을 측정한다. 인공 위산은 다음과 같이 만든다. 2.0g 염화나트륨, 3.2g 펩신을 7염산에 용해시키고, 증류수로 총용적이 1000이 되게 한다. 생성된 용액의 pH는 약 1.2이고, 직경이 5.1㎜, 총량이 0.0498g인 정제의 분해시간은 약 6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화장품에 관련된 실시예들은 이탄에서 유도된 생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상이한 온도에 적합한 형태의 성분물들인데 이들중에서 강장제, 향수, 크림, 밀크, 샴푸, 거품 목욕성분등이 상술된다.
[실시예 4]
교반기가 장치된 반응용기에는 1:1 에탄올:물 용액으로 카모밀레 무형광에서 추출한 150g 카모밀레 추출물과 상기 설명한 1g TTP가 충전되어 있다. 50g 글리세롤을 혼합물에 첨가한다. 세 물질이 교반되어 균질한 혼합물이 된다. 이미 제조된 제2혼합물을 동일한 반응용기에 넣는다. 95:5 에탄올:물용액 340g, 1g 살릴사이클산, 0.5g 메탄올로 구성된다. 그 다음 발향성분 TILIANA H4308 3g을 첨가한다. TILIANA H4308은 폴란드 바르샤바의 파브리카 신테티코우 차파쵸우 폴레나-아로마의 생산품이다. 용액에는 454.5g 증류수를 첨가하여 총용적 1000이 되게 한 후 균질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교반시킨다.
상기 공정에서 폴란드 Pharmacopea FP IV의 요구에 따라 86글리세롤, 메탄올 물과 폴란드 산업표준 BN-75/6193-1 에 따라 95농도를 사용한다.
사용된 농축 이탄 추출물은 비중이 1.020-1.090g/인 짙은 갈색 용액으로 건조 고형물의 함량이 5이하이고 1수용액의 pH 값은 5.0-6.5가 된다. 카모밀레 추출물은 비중이 0,9160-0 9503g/인 적갈색 용액이고 용적의 52-56가 에탄올이 된다.
상기 수득된 강장제 성분물은 모든 종류의 피부에 적합하다. 어떠한 고형물도 없는 노랑색인 투명한 액체이다. pH 값은 4.28이고 용적의 45.9가 에탄올이다. 살리사이클산 함량으로 계산되는 총산도는 중량의 약 0.1이하 즉 중량의 0.23가 된다. 12달동안 저장해도 상기 특징의 손실은 없다.
[실시예 5]
실시예 4 에 상술된 과정을 반복하는데, 카마밀레 추출물과 TILINAH4308 방향 성분물의 사용하는 대신에 동일한 방법과 동일한 몰비와 중량비를 사용하여 금잔화 추출물과 FINUS H4625를 사용하는 것이 상이하다. 생성된 강장제 성분물은 건조된 허약 피부에 적합하다. pH는 4.30이며 용적의 45.82가 에탄올 함량이며 총산도는 중량의 0.27가 된다. 저장시에는 실시예 4 에서 수득된 제조물과 같이 약 12달 보관후에도 변성되지 않는다.
[실시예 6]
실시예 4 의 공정을 반복하되, 카모밀레 추출물 대신에 세이지 잎추출물을 선택하며 TILIANA H4308 대신에 방향물 LELIA 90368(Pollena-Aroma. Warsaw)를 선택한다 세이지 잎추출물은 약 50℃에서 에탄올로 건조 세이지 잎에서 추출하며 갈색을 띄며, 특징적인 세이지향이 나며, 비중은 0.9160 내지 0.9503 이고 52 내지 56에탄올이 포함된다. 생성된 화장품은 특히 지성피부에 적합하다. 흑황색을 띈 맑고 균질한 액체이며, pH와 에탄올 함량과 산성도는 실시예 4 의 수치와 비슷하다.
[실시예 7]
다음의 성분물은 치근막 변성증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는데 특히 효과적인 겔임을 증명되었다.
[실시예 8]
다음의 량 성분물을 기계적인 교반기가 장치된 2000반응용기에 넣는다.
- 50에탄올로 카모밀레 화서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카모밀레 추출물 270g ; 추출물은 적갈색 액상으로 비중이 0.9160-0.9503g/이고, 에탄올 함량이 약 55
- 폴란드 파르마코프 FP IV의 요구에 따른 86글리세롤 50g
- 70에탄올로 사포나리아 오피시날리스 뿌리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30g의 사포나리아 오피시날리스 ; 추출물은 적갈색 액체이며, 비중이 0.9630-0 9810g/이고, 에탄올 함량이 약 75
- 본 발명의 농축된 이탄 추출물 1.0g, 흑갈색 액체로 비중이 1.02-1.09g/이고, 염화나트륨으로 계산하는 염소이온이 2이하; 건조고형물은 5이하, 추출물의 1수용액의 pH 값은 6.0임.
상기 성분물을 완전히 혼합하고 95에탄올 260g에 1g 살릴사이클산을 첨가하여 복합용액에 증류수 383g과 방향 성분물 TILIANA H3408 5g을 첨가하여 균질한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한다. 제조물을 분석하고 200의 작은 용기에 보관한다. 생성된 제조물은 머리 손질용으로 적합하다. 약한 유백색을 띄는 맑은 액체로 약 45의 에탄올이 포함되며 pH는 4.5, 살릴사이클산으로 계산되는 총산도는 중량의 약 0.1이하이다. 이 성분물은 금발에 적합하며 12달 저장동안에도 특징의 변화는 없다.
[실시예 9]
실시예 8의 과정을 반복하되 카모밀레 추출물과 TILIANA H4308 성분물을 사용하는 대신에 쇠뜨기풀 추출물과 방향 성분물로 FINUS H4625를 사용한다. 쇠뜨기풀 추출물은 녹갈색 액체로 비중이 0.9160-0.9503g/이고 에탄올 함량은 55이다.
생성된 제조물은 모든 종류의 머리에 적합하며, 고형물이 없는 황갈색의 맑고 투명한 액체이다. pH값, 에탄올함량, 총산도, 12달의 장기보관 후의 안전도가 실시예 6 의 설명과 동일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8 의 과정을 반복하는데, 단 한 가지 차이점은 카모밀레 추출물과 TILIANA H4308 성분물 대신에 쇠기풀잎 추출물과 방향 추출물 LELIA(90368(Fabryka Syntetykow Zapachowych Pollena-Aroma)를 동일비로 사용한다. 사용된 허브추출물은 올리브-그린색으로 비중은 0.9160-0.9503g/이고, 에탄올 함량은 약 55이며 모든 종류의 머리카락에 적합하다.
[실시예 11]
일반적으로 화장유제는 피부에 화학적 그리고 기계적 방식으로 지방성분이 작용하는 소산이다. 사실 유체와 피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액상 특히 유제크림이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하다. 이들은 피부의 깊숙한 층을 파고들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화장유제는 건성 약한 피부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에는 독한 휘발성오일이 포함되면 안되고 카모밀레 추출물 또는 맥아추출물과 같은 허브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한 이와 같은 화장유제에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이 첨가되면 효과는 더욱 좋아진다.
내용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2]
TTP와 신중히 선택된 지방수용체를 전통적인 영양과 재생크림에 사용할 때 개선된 효과를 볼 수 있다. TTP가 중량의 0.01-1.00, 허브추출물(피부종류에 따라 선택) 0.05-1.00항박테리아제가 0.05-1.00, 합성 방향 성분물이 0.01-0.05, 수유제 형태의 지방수용체가 전체 성분물의 97.00-99.50로 포함된다. 지방 성분물은 피부에 잘 적응되고, 활성성분이 좋은 수용체이어야 한다. 적절하게는 35-45 유세린(중량) 8-14 바세린, 2.5-4 올리브유, 6-10 글리세롤과 35-40 물의 유제이다. 적절한 허브추출물은 금잔화 추출물, 카모밀레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등이다. 적절한 처방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3]
면도 후 크림에는 이탄 추출물로 TTP가 0.01-1, 허브추출물이 1-30중량, 글리세롤이 1-8, 수용성 알콜용액의 살리사이클산과 메탄올에 포함되어 있다. 적절한 허브추출물은 카모밀레, 금잔화, 백리향, 알로에 추출물이며, 이와 유사한 유익한 허브 추출물이 된다. 글리세롤의 첨가는 피부의 탄성에 영향을 끼쳐 유익하다. 또한 피부에 제조물의 퍼짐성을 가속시키고, 피부 깊숙히 침투가 증대되고, 활성 이탄 성분물과 허브추출둘의 유익한 효과를 강화시킨다. 적절한 성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4]
샴푸는 다음과 같이 만든다
상기 샴푸 성분물 92에 TTP 8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샴푸 100를 얻는다. 쐐기풀잎 추출물 대신에 다른 허브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5]
다음의 샴푸 성분물을 제조한다.
상기 성분물 95와 5TTP를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샴푸를 만든다.
[실시예 16]
치약에는 농축된 이탄 추출물로 TTP가 중량의 0.01-0.10에테르오일 또는 이들 성분물 또는 과일향 1-10, 글리세롤이 중량의 1-10, 허브추출물이 0.10-10중량물에 분산될 세정물질이 20-35물이 45-60염료와 미백물질이 1-2포함된다.
티타니움 디옥시드는 미백둘질로 사용되고 TTP 자체가 항균성 첨가제로 사용되며, 세이지잎, 카모밀레 또는 금잔화 추출물이 유익한 허브추출물로 사용된다. 적절한 성분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7]
목욕용 방향제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이탄-유도성 생활성 물질을 얻는 과정에서 특히 액체형에서 분말형으로 전환시킬 때, 염 제거 단계에서 부산물로 염화나트륨이 분리된다. 부산물로 95가 염화나트륨이고, 분리된 다른 미네랄염으로는 칼슘염, 마그네슘염, 주로 염소와 황산이다. 이들 염 생성물은 무기염의 결정구조내에 몇몇 유기 이탄유도된 저분자물질을 가두어 두고 있다. 유기물로는 TTP가 되고 다른 것으로는 탄수화물, 아미노산, 펄빅산등이 된다. 부산물로 있는 이들 성분물에서 염이 있을 경우, 목욕용 방향제로 유익한데 그 이유는 목욕용 방향제의 표준활성에 유익한 추가 활성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산물을 폴란드의 Balneologic 연구소에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목욕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밝혀내었다. 별다른 부작용이 없었으므로 화장용도로 승인되었다. 적절한 성분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8]
신규한 머리향유에는 TTP가 중량의 0.01-1, 허브추출물이 0.01-10, 정전기방지물질이 3-4, 머리와 피부의 건조방지제가 2, 글리세롤이 1-5, 방부제와 안정제가 0.05-0.50, 물로 100를 적정한 것이 포함된다.
정전기 방지제로써는 현재 함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동물지방에서 유도한 아민으로부터 수득되는 트리에틸아민과 염화암모니움염의 알코올용액이 포함되고, 농후제는 안정제 작용도 하며-화장용 알코올; 머리와 피부의 건조방지제로는 식물성 기름으로 동시에 유제로도 작용하고 향유의 용이한 퍼짐성과 침투성을 위한 글리세를 특히 활성성분인 TTP와 허브추출물이 포함된다. 산성은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아 본 발명에 따른 향료는 시트르산 또는 퓨마르산이 중량의 0.1방부제로 BRONOPOL이 그리고 방향성분물이 포함된다.
적절한 성분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9]
화장 마스크는 많은 상이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공지된 화장제조물이다. 치료용 진흙은 피부와 몸에 유용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탄에서 생활성 유도된 성분물의 분리과정에서 얻어진 이탄추출물이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탄추출물에는 중성화 후 이탄의 고도 수착성으로 인해 알카리 가수분해 과정에서 활성 바디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상당한 화장 마스크가 될 수 있다. 하나이상의 유용한 성분물과 추출후 이탄을 농축하기 위해, 자연산 치료용 진흙과 휴믹산을 자연이탄에 첨가하고, 이탄 유도성 생활성성분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연구기관에서 성분물을 테스트 한 결과 화장용도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적절한 성분물은 다음과 같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생성물의 생물학적 특징에 관계하는데 예로써 생활성 특징과 이들 생성물의 적응성 특히 제약물로써의 유용성에 관점을 두고 사용된 약어는 다음과 같다.
TTP: TOLPA토르프제조(토르프 회사의 상표, 폴란드, 브로클로, ul, 미드라나 2);
IFN : 인터페론은 산재되어 있는 사이토킨(조직 호르몬)으로 존재한다. IFN유전자는 모든 세포에 존재한다. IFN은 주로 단백질 또는 당단백질에 의해 유도된다. IFN 생산을 위해 IFN 유전자를 자극하는 물질을 인듀서라 한다. IFN 유도과정은 고도로 제어되고 복잡한 생화학적 공정이다. IFN 생산을 조절하는 양성과 음성 조절유전자도 인지되었다. 소량의 IFN은 인듀서 없이도 자발적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은 IFN은 생리적 IFN이라 한다. 자연계에 IFN은 주로 세가지 분자형으로 존재한다; IFN-(또는 백혈구 IFN); IFN-(섬유아세포 IFN); IF7-(면역 IFN). IFN-와 IFN-는 타입 I-IFN이고 IFN-는 타입 II-IFN이다. IFN의 주요 생물학적 활성은 항바이러스성, 항증식성(항암)과 면역조절능이 있다. 다양한 IFN이 자연적으로 또는 재조합되어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암, 바이러스 그리고 다른 질환의 치료약물로 사용된다;
CTL : 세포독성 T 임파구;
NK 세포 : 자연 살수세포;
IL-1 : IL-2 B 세포를 포함한 임파세포와 T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공지된 인터루킨 ;
RPMI : 1640 사람과 다른 백혈구의 성장에 적합한 조직배양배지(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Buffalo의 약어);
FCS : 태아 소혈청(백혈구 검사시 인터루킨의 작용을 흉내내는 미토젠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프리-테스트를 하게 된다);
EMCV : 뇌심근염 바이러스, 쥐 피코르나 바이러스(사람에게 무독성), IFN 생검시 도정 바이러스로 사용한다;
A-549 : 사람의 아데노 육종 세포주-IFN-,에 매우 활성이 강해 IFN 생검에 사용, 이 세포주는 IFN 표준화에 능숙한 WHO에 의해 사용이 권장됨 ;
MTT :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 ELISA 스케너를 이용하여 몇몇 생검시에 세포의 치사 또는 세포성장을 측정하는 시약이다(Hansel et al., J. Immunol. Meth. 1989, 119, 203-210);
L929 : 쥐세포주, 통상적으로 쥐 IFN과 사람의 IFN 검사시 사용;
TNF : 종양 괴사인자, 사이토킨(상대적으로 작은 단백질, 단백질 분해효소에 매우 민감) 대식세포와 모노사이트에서 생산(THF-a 는 사람과 동물의 악태증을 유발시키는 카헥신으로도 알려짐), LPS(리포폴리사카리드),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다른 물질에 의한 자극으로 생성 :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와 신조직세포에 강한 독성이 있음. 섬유아세포의 성장인자로도 작용. 염증반응과 관계됨. TNF-(림포톡신)은 주로 T 세포에 의해 생성됨.
PBL : 말초혈관 백혈구 정상사람 백혈구 버피코트(적혈구세포와 혈장사이)에서 분리됨. 개인제공자에서 각종 사이토킨 인듀서로의 PBL 반응성은 기증자의 유전 셋업에 따라 결정됨. 민감반응과 무반응이 동정됨. TTP에도 PBL은 반응함 강한 인듀서 사용시보다 바이러스와 같은 약한 인듀서 사용시에 IFN 또는 THF 인듀서의 개인반응이 다양함을 볼 수 있다. 이는 약한 인듀서의 반응은 all or none 형식인데 반해 바이러스는 항상 감지가능한 사이토킨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인듀서에 대한 내성 : 즉 기능저하 상태. 인듀서 일회양을 주입후 즉 인듀서(바이러스)에 PBL을 노출후 20시간 뒤 세포는 더 이상의 IFN을 생산하지 않는다. 기능저하 상태는 적어도 7일간 지속된다. 이것은 영구적 또는 일시적인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활성은 강한 인듀서를 치료에 이용하기 힘들게 하거나 효과가 없게 한다. 약한 인듀서는 기능저하 상태를 유도하지 않으며 내성도 작다.
면역조절능이 있는 약용식물에서 추출된 몇가지 자연 약물들이 있다. TTP도 이들중 하나이다. TTP는 시험관과 생체내에서 많은 상이한 기능을 변화시킨다. 이것은 모든 효과인자를 CD4 조인자, CD8 억제인자, CTL, NK세포, 대식세포를 자극시키는 비특이적 활성을 가지고 정상조직에는 세포독성 없이 균형있는 면역자극을 개시한다.
TTP는 정상적인 상처 치료에 회복력이 있다. 소량의 TTP는 IL-1과 IL-2의 생산을 자극시키고, 다량의 TTP는 사이토킨 합성을 저해시킨다.
TTP의 각 테스트는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한다.
건강한 수혈자에서 염화암모늄 처리로 PBL을 정제한다. 배양배지는 10FCS가 추가된 RPMl1640이다. 37℃, 5CO2에서 약 20시간 배양하면 8×106세포/이 된다. 사람 A549 세포로 EMCV 세포병적 효과저해에 의해 인터페론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검사한다. 치사세포를 측정하는 MTT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L50세포로 TTP 활성을 측정한다. IFN 형을 결정하기 위해 각 IFN 시료는 1시간동안 상이한 항-IFN 혈청으로 처리하여 각 항바이러스 활성을 처리안한 것과 비교한다.
테스트에서 TTP는 내성 인터페론(IFN)과 종양 괴사인자(TNF) 생산을 자극시킴을 알 수 있다. 반응은 사용량에 관계한다.
TTP의 일곱가지 상업용 베취는 면역자극인자의 사이토킨 인듀서로써의 생물학적인 활성을 가진다.
개인 수혈자의 백혈구에 대한 TTP의 반응이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몇몇 수혈자의 PBL은 반응성이 없었다. 이것으로 유전적 백그라운드를 반영한다.
항-IFN-(Cantell), 항-IFN-Ly(Namalwa)와 같은 포턴트 다클론항-혈청을 사용한다. TTP로 20시간동안 PBL 상층액에 항바이러스활성을 중화시키기 위해 항-lFN-를 처리하였다.
중화 검사결과는 개인 수혈자의 지문과 유사하다. 개인의 IFN형의 특징이 상당히 다양하다는 뜻이 된다. 흡착과 비흡착으로의 PBL 분리는 유도된 사이토킨 합성을 가능하게 한다.
NDV에 의한 IFN 유도의 기능저하는 TTP로 PBL 초기 자극이 최저 또는 없고 약 20시간후에 나타난다.
IFH과 TNF 인듀서로써의 사람 PBL에서 시험된 일곱 개 TTP 배취에서 IFN과 TNF를 유도하는 활성이 나타났다. IFN 유도에 적절한 TTP 적정농도는 30-100/은 TNF 유도는 100-200/이다. 200/양은 PBL에 약한 독성이 있고 TNF 합성은 IFN보다 신속하고 중성세포 독성의 발생보다는 신속하다.
전술한 것의 결론은 TTP의 제약학적 활성은 유기, 주로 설탕, 아미노산 우론산, 휴믹산, 미량원소를 포함하는 미네랄염을 포함하는 이탄에서 추출한 면역활성 물질이다. 동물에서의 LD50은 2400mg/kg이 된다.
TTP에는 돌연변이 발생, 유전적독성, 배독성, 기형발생 또는 암발생 활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TTP는 알레르기 성질이 없고 국소 염증활성도 없다.
치료에는 만성과 재생 호흡기 염증이 포함되고 다리의 정맥류 종기, 질발진, 치근막질환도 포함된다.
임상병리적 관찰에서 TTP는 몇몇 신조직형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조절인자로 유용하다. TTP는 구강(5mg 정제) 또는 국소주입으로 이용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37℃에서 20시간동안 TTP를 처리한 PBL에서 기능저하 상태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NDV(Newcastle Disease Virus); 매우 강력한 IFN 인듀서로 자극후에 IFN 생산능이 있기 때문이다.
첨부된 표 1-24 는 다양한 생물학적 예로써 독소학적, 조직형태학적 그리고 면역학적 검사를 한 것에 관계된다. 이 표에서는 자기-해독이 가능하며 7의 생물학적 활성에 관한 생물학자의 강력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청구항 13 에 제기된 제약학적 활성성분의 농도는 다음의 이유로 인해 화장성분(청구항 14)에서는 다소 높을 수 있다.
제약학 약물은 단위량으로 제조되는데 활성성분의 함량은 엄중히 조절받는데 정제의 경우 활성성분의 매일의 효과량을 포함하는 정제의 크기에 맞게 농도가 정해진다.
TTP 활성성분이 캡슐에 입자로 채워질때의 농도는 주로 중량의 5가 되는데 이는 캡슐기계의 적절한 작동과 충분한 정제크기를 위해서이다.
또다른 이유로는 대부분의 제약물이 구강으로 주입되므로 활성성분이 몸전체에 분포된다. 비록 피부세포에는 매우 낮은 농도가 도달하나 치료효과는 크다.
또한 제약물과는 대조적으로 화장품에는 상이한 세포에 상이한 침투율로 인해 국소적으로 이용하므로 다소 양의 조절이 약하게 된다.
즉시 세척되는 샴푸와 같은 성분은 신체와 머리에 단시간 접촉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유용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하루에 다수 사용되는 것은 활성성분의 양이 적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입의 정막과 접촉하게 되는 치약의 경우 활성성분이 피부를 통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침투하여 활성성분의 농도는 낮아야 된다.

Claims (22)

  1. 건조고형물을 기준으로 하여 무기염 특히 염화나트륨이 중량의 70이하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에는 무기염 특히 염화나트륨이 건조중량에 기초하여 60이하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a) 이탄 유도성 생활성성분은 농축 용액 또는 건조 분말형태로 존재하고, b) 농축된 용액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비중이 1.02 내지 1.09g/인 짙은 갈색 용액으로, 건조 고형물은 중량의 5wt이하로 포함되고; c) 1수용액으로 만들 경우에 pH는 5.0 내지 6.5, 특히 pH 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탄 유도성 생활성물질.
  4. 비-특이성 면역자극, 특히 사이토킨 유도를 위한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담체는 락토즈 및 윤활제 혼합물이 되고, 생활성물질과 담체의 중량비는 1:5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1:19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6.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제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7.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제약학적 조성물은 겔의 형태이고, 추가로 멸균된 알코올성 허브 추출물, 방향 화합물 멸균 용액, 겔형성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방향 화합물은 멘톨, 티몰, 민트, 레몬과 유칼리투스(eucalyptus)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겔-형성제는 콜로이드성 실리카와 멸균 글리세롤이 되고, 액체 혼합물과 실리카의 중량비는 90:10 내지 94: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0.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제약학적 조성물은 연고 형태이고, 추가로 멸균된 알코올성 허브 추출물, 겔형성제, 지방 성분 멸균 혼합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겔형성제는 콜로이드성 실리카이고, 액체 성분에 대한 실리카의 중량비는 약 3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겔형성제는 콜로이드성 실리카이고, 멸균된 지방 성분 혼합물은 유세린(eucerine), 바세린(petrolatum)으로 구성되고, 겔에 대한 지방 성분의 중량비는 32:68 내지 34: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3. 피부, 모발 및 치아의 외부에 바르는 미용 조성물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담체 및 미용 조성물에 통상적인 다른 첨가제로 구성되고, 이때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은 조성물 중량의 0.01-l0wt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담체 또는 다른 첨가제는 수용성 알코올 용액, 모든 형태의 에멸젼, 겔, 거품 조성물, 지방 담체등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은 조성물의 중량의 0.05-1, 통상 0.35-0.lwt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6. 제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가지 허브 추출물과 적어도 한가지 향료가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조성물.
  17. 비-특이적 면역자극을 일으키는 이탄-유도성 생활성물질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이탄-유도성 생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염화나트륨과 같은 무기염 고농축 용액을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 공정을 거치게 하는데, 이 단계는 (a) 희석 단계; 고농축 용액을 미네랄을 제거한 물로 희석하고, (b) 탈염제거 단계; 희석 용액을 역삼투하여, 용액을 탈염시켜 무기염 염을 제거하고, 건조고형물에 기초하여 70이하 농도로 잔류하도록 하고; (c) 농축 및 정제 단계; 염을 제거한 용액은 농축시키고, 정제하고, 선택적으로(d)의 단계를 거치게 하는데; (d) 멸균 및 건조 단계; 농축 정제된 용액은 멸균시키고, 분무-건조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용액은 미네랄이 제거된 물로 1:5 내지 1:8의 비율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잔류하는 무기염의 농도는 건조 고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60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 또는 18항에 있어서, (a)단계의 농축된 용액은 다음의 단계에 의해 준비되는데, i) 대기-건조된 재료 이탄 물질의 1차 및 2차 알칼리 가수분해를 시키고; ii) 가수분해된 물질은 산성화시키고; iii) 불용성 물질은 분리하고,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자갈을 제거하여, 추출후 수용상(phase)을 얻고; iv) 강압하에서 소결 세라믹 필터를 통하여 남아있는 수용성 상을 여과시켜, 이탄-유도성 생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고농축 무기염 여과용액을 얻고, 수득된 물질은 제9항의 (a) 내지 (d)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1. 제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d)단계의 멸균은 막 필터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d)단계의 용액은 유입구 온도가 약 180℃이고, 유출구 온도가 약 90℃인 분무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702861A 1991-03-16 1992-03-04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KR100212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104098.8 1991-03-16
EP91104098 1991-03-16
PL91290283A PL166655B1 (pl) 1991-05-17 1991-05-17 Preparat kosmetyczny
PLP290283 1991-05-17
PLP290509 1991-06-03
CZP290510 1991-06-03
PL91290508A PL168405B3 (pl) 1991-06-03 1991-06-03 Preparat kosmetyczny
CZP290508 1991-06-03
PL91290510A PL168406B3 (pl) 1991-06-03 1991-06-03 Preparat kosmetyczny
PL91290509A PL168164B3 (pl) 1991-06-03 1991-06-03 Preparat kosmetyczny
CZP290607 1991-06-10
PLP290606 1991-06-10
PL91290606A PL168368B3 (pl) 1991-06-10 1991-06-10 Preparat kosmetyczny
PLP290608 1991-06-10
PL91290608A PL168175B3 (pl) 1991-06-10 1991-06-10 Preparat kosmetyczny
PL91290607A PL168174B3 (pl) 1991-06-10 1991-06-10 Preparat kosmetyczny
PL91290695A PL165660B1 (pl) 1991-06-17 1991-06-17 Preparat kosmetyczny w postaci kąpieli borowinowej
CZP290693 1991-06-17
PL91290693A PL168455B3 (pl) 1991-06-17 1991-06-17 Preparat kosmetyczny
PLP290694 1991-06-17
PL29069491A PL167847B1 (pl) 1991-06-17 1991-06-17 Maseczka kosmetyczna
CZP290695 1991-06-17
PLP291078 1991-07-15
PL91291078A PL168857B1 (pl) 1991-07-15 1991-07-15 Sposób przetwarzania roztworu ciał czynnych z torfu
EP91118269.9 1991-10-26
EP91118269A EP0539610A1 (en) 1991-10-26 1991-10-26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termining the immunological activity of solutions containing active subst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946B1 true KR100212946B1 (ko) 1999-08-02

Family

ID=2758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861A KR100212946B1 (ko) 1991-03-16 1992-03-04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747050A (ko)
EP (1) EP0533865B1 (ko)
JP (1) JP3759162B2 (ko)
KR (1) KR100212946B1 (ko)
AT (1) ATE162077T1 (ko)
DE (2) DE69224024T2 (ko)
DK (1) DK0533865T3 (ko)
ES (1) ES2041616T3 (ko)
GR (2) GR930300103T1 (ko)
HK (1) HK1002930A1 (ko)
HU (1) HU217370B (ko)
LV (1) LV12284B (ko)
PL (1) PL176934B1 (ko)
WO (1) WO19920162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583B1 (ko) 2010-12-20 2013-06-13 홍용익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7962B1 (en) 1990-12-21 2001-07-31 C-P Technology Limited Partnership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peat derivatives
DE69224789T2 (de) * 1991-10-26 1998-08-20 Torf Ets Präparate enthaltend Isothiazol-Derivate und ein aus Torf gewonnenes bioaktives Produkt
HUT70434A (en) * 1992-02-13 1995-10-30 Torf Ets Amadori reaction compound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WO1994009798A1 (en) * 1992-10-29 1994-05-11 C-P Technology Limited Partnership Mixtures or complexes containing calcium and sulfate
PL170294B1 (pl) * 1992-12-02 1996-11-29 Torf Corp Fabryka Lekow Sp Z O Sposób otrzymywania z torfu aktywnego, nietoksycznego preparatuo dzialaniu immunomodulacyjnym i stymulujacym wytwarzanie w organizmie cytokin PL
DE4316347C1 (de) * 1993-02-26 1994-08-18 Ina Dr Levi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harmazeutischen Zubereitung und Verwendung derselben zur Behandlung bestimmter Erkrankungen
AU7877894A (en) * 1993-09-24 1995-04-10 Maurizio Zanetti Treatment of hiv infection with humic acid
DE19615470A1 (de) * 1996-04-19 1997-10-23 Heinz Beinio Körperpflege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HUP9701093A1 (hu) * 1997-06-24 1999-08-30 András Gachályi Huminsavtartalmú gyógyászati készítmény
EP1115408B1 (en) * 1998-09-23 2006-01-25 Pfeinsmith Limited Oxihumic acid and its use in the treatment of various conditions
DE19943553C2 (de) * 1999-09-11 2003-01-30 Heidemarie Anzalichi Zusammensetzung, insbesondere Pflegebalsam
US6232367B1 (en) 1999-10-07 2001-05-15 Kerr Corporation Opalescent fillers for dental restorative composites
US6238696B1 (en) 2000-01-07 2001-05-29 Gaia Herbs, Inc. Process for providing herbal medicants in cellulose derivative capsules
US6861077B1 (en) * 2000-03-17 2005-03-01 L'oreal S.A. Use of plant extracts in a cosmetic composition to protect keratinous fibers
DE10025622A1 (de) * 2000-05-24 2001-11-29 Staatsbad Meinber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smetischen Mittels aus Moorextrak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Moorextraktes
DE10127715A1 (de) * 2001-01-19 2003-02-27 Humaderm Gmbh Torfproduktzusammensetzung und Verwendung derselben
US7547443B2 (en) 2003-09-11 2009-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kin care topical ointment
US7485373B2 (en) 2003-09-11 2009-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tioned tissue product with improved stability
US7497947B2 (en) * 2004-04-14 2009-03-03 Embro Corporation Devices for water treatment
JP2006232785A (ja) * 2005-02-28 2006-09-07 Univ Of Tsukuba フルボ酸を用いるi型アレルギー抑制剤及びi型アレルギーの発症抑制方法。
US20080160111A1 (en) * 2005-02-28 2008-07-03 Hiroko Isoda Type I Allergy Inhibitor and Methods of Inhibiting the Onset of Type I Allergy Using Fulvic Acid
US20070212434A1 (en) * 2006-03-07 2007-09-13 Day Kenneth 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uman use containing fulvic acid
KR101233078B1 (ko) 2011-04-07 2013-02-1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피트 함유 화장료 조성물
CA2845931C (en) 2011-09-07 2016-07-12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reduce disinfection by-products in water treated with disinfectants
EP2950923B1 (en) * 2013-02-01 2022-03-09 W.R. Grace & CO. - CONN. Porous silica gel as a carrier for liquid technologies
EP2878342A1 (en) * 2013-11-27 2015-06-03 Latvijas Universitate Method for extraction of peat active substances and use of their combination in skin regenerating cosmetic formulations
US9795809B2 (en) 2013-12-23 2017-10-2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improve dental health
EP3799854A1 (en) 2019-10-01 2021-04-07 Stefan Johannes Fellner Extract of organic humified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80096B1 (ko) * 1969-07-01 1975-08-30
PL124110B1 (en) * 1977-10-25 1982-12-31 Akad Rolnicza Method of obtaining an antineoplastic preparation from the acidified alkaline hydrolyzate from peat
US4272527A (en) * 1979-02-26 1981-06-09 Belkevich Peter I Medicin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peat wax resin
FR2518404A1 (fr) * 1981-12-23 1983-06-24 Thermogene Composition analgesique comprenant au moins un phtalate acide d'alcool neutralise par une base et des extraits de tourbe
US4618496A (en) * 1984-07-16 1986-10-21 Johnson & Johnson Antimicrobial peat moss composition
DE3707909A1 (de) * 1987-03-12 1988-09-22 Ruetgerswerke Ag Niedermolekulare alkalihumi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583B1 (ko) 2010-12-20 2013-06-13 홍용익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9203583D0 (en) 1993-03-01
ES2041616T3 (es) 1998-04-16
ES2041616T1 (es) 1993-12-01
EP0533865A1 (en) 1993-03-31
LV12284A (lv) 1999-06-20
JPH06503835A (ja) 1994-04-28
DE69224024D1 (de) 1998-02-19
PL176934B1 (pl) 1999-08-31
JP3759162B2 (ja) 2006-03-22
GR930300103T1 (en) 1993-10-29
HU217370B (hu) 2000-01-28
EP0533865B1 (en) 1998-01-14
HK1002930A1 (en) 1998-09-25
DE69224024T2 (de) 1998-08-27
GR3026215T3 (en) 1998-05-29
WO1992016216A1 (en) 1992-10-01
ATE162077T1 (de) 1998-01-15
US5747050A (en) 1998-05-05
LV12284B (en) 1999-10-20
DE533865T1 (de) 1993-11-04
HUT63570A (en) 1993-09-28
PL298132A1 (en) 1994-01-24
DK0533865T3 (da) 199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946B1 (ko)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TW200848064A (en) Process for producing osteocalcin-containing extract
JPH0987189A (ja) エンメイソウ、ボタンピ、シソ、アルニカ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H0873314A (ja) 皮膚外用剤および浴用剤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EP1180940A2 (de) Wirkstoff und wirkstoffkombination für mensch und tier
JPH04124138A (ja) 皮膚外用剤
AU655008C (en) Peat-derived bioactive products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RU2126682C1 (ru) Получаемый из торфа биоактивный продукт,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и косме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AU655008B2 (en) Peat-derived bioactive products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310609B2 (ko)
FI103258B (fi) Menetelmä turpeesta johdettujen bioaktiivisten tuotteiden valmistamise ksi
CA2083061C (en) Peat-derived bioactive products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3178763B2 (ja) シムノールサルフェート製造法
JPH08133983A (ja) アスパラス・リネアリス抽出物及び用途
TW206155B (ko)
RU2165253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нкозаболеваний
JPH0959127A (ja) 冬葵子の溶媒抽出物を含む食品及び化粧品
RU2119348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бальзам карели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A26742C1 (ko)
RU2182826C2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ммунодефицита у коров в сухостойный и послеродовой периоды
RU2195942C2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CZ288509B6 (cs) Bioaktivní kompozice a způsob její přípravy
FI109273B (fi) Turpeesta johdettu bioaktiivinen tuote
JP2000514839A (ja) 合成及び統計学的な胸腺ペプチドの化合物、及び、免疫学及び/又は内分泌学的効果を発揮する製剤として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