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583B1 -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583B1
KR101274583B1 KR1020100130944A KR20100130944A KR101274583B1 KR 101274583 B1 KR101274583 B1 KR 101274583B1 KR 1020100130944 A KR1020100130944 A KR 1020100130944A KR 20100130944 A KR20100130944 A KR 20100130944A KR 101274583 B1 KR101274583 B1 KR 10127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extract
hair lo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407A (ko
Inventor
홍용익
Original Assignee
홍용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익 filed Critical 홍용익
Priority to KR102010013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5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6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조성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에 관한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양(羊), 소(牛), 산양(山羊)의 초유(初乳)성분, 효모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Beta Glucan), 이탄(泥炭)토양에서 추출한 풀빅산(Fulvic Acid), 아마존지역의 과일, 과라나(Guarana)에서 추출한 천연카페인(Caffeine) 과라니나, 유칼립투스(Eucalyptus)나무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이용한 조성물들로 초유성분과 베타글루칸을 주성분으로 한 섭취제와 풀빅산과 천연카페인과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두피도포제로 이루어진 조성물들인데 이들을 병행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탈모예방과 발모촉진 효과를 이룰 수 있는 탈모예방, 발모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조성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에 관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사람의 두발이 탈모되는 원인은 유전적 요인, 노화의 진행, 약물 복용, 방사선 치료 및 중병 후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관점에서 탈모 현상은 과다 활동, 두피 혈액순환의 문제 및 모발대사에 필수적인 영양소의 결핍의 세가지 주요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상기 세가지 요인들이 단독으로도 탈모를 유발할 수 있지만, 탈모요인들이 복합되어 상승작용을 일으키게 되면 탈모증이 가속화되고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특히, 유전적 요인 또는 후천적 특수조건으로 인하여 남성호르몬의 생성, 변화, 인식 및 신호전달 과정이 과도하게 작동하여 모낭 조직이 조기 노화되는 경향을 갖게 된다면 그렇지 않은 일반인 보다 조기에 대머리가 될 확률이 높다. 또한 유전적 요인, 노화, 서구적 고지방식생활 및 기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두피의 긴장도가 쉽게 높아지거나 동맥경화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혈액순환 장애가 쉽게 일어나므로 원활한 모발 대사에 장애가 생긴다.
한편, 모발대사를 포함한 인체의 대사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수많은 효소들이 적절히 생성되고 정상적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호르몬, 비타민, 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및 지질 등의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며, 매우 좁은 범위의 온도 및 pH 조건의 유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인체가 과도한 체력소모, 중병, 화학요법 및 영양불균형 등의 장기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인체는 생존을 위하여 상기 대사 요소들을 좀 더 필수적인 조직에 집중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을 갖게 되며 이때 생존 문제에 있어서 우선 순위가 떨어지는 두발 생성 작용이 둔화됨에 따라 탈모와 발모의 균형이 탈모 쪽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영양소적인 요인은 원형 탈모증이나, 방사선 치료 및 항암 치료 후에 탈모를 일으키게 되며 유전적 요인 및 노화에 의한 탈모를 가속시킨다.
상기 요인들에 의해 유발된 대머리의 치료를 위해 현재까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는데, 먼저 외과적인 방법으로는 두피피판술, 탈모부위축소술 및 조직확장술에 의한 두피성형술과 최근에 발전된 자가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상기의 외과적 방법은 비록 그 효과면에서는 우수하더라도 수술에 대한 환자의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매우 크므로 널리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외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미국 FDA의 공인을 받은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세혈관 확장 기능이 있어 두피에 바름으로써 탈모를 방지하지만, 매일 2회씩 지속적으로 발라야 하고, 3∼4시간 동안 약제가 두피에 머무르도록 해야만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는 등 불편할 뿐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효과면에서도 미미하고,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실정이다. 또한 FDA의 공인을 받은 내복약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 호르몬인 DHT(5α-dihydrotestosterone) 생성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6개월에서 1년 정도 복용시 발모 또는 탈모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감퇴 등을 들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복용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탈모 예방제들은 탈모의 여러가지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특정요인에 한정되어 작용하므로써 탈모방지 효과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원료들이 화학제품인 경우가 대다수여서 체질에 따른 부작용등이 수반되어 사용자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인체에 전혀 해가 없으며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들을 원료로 하여 종전의 제품들의 부작용이나 제한적 효능을 뛰어넘어 광범위한 탈모요인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상적인 배합을 통하여 탈모예방과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근의 영양부족, 노화, 면역력 저하 등의 요인으로 나타나는 탈모를 방지하고 약화된 모근의 재생, 새로운 모근 형성을 도와 발모를 촉진하며 모발의 성장과 유지를 도와줄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로 섭취할 수 있는 섭취제로 형성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피에 직접적인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 건강을 유지케 하고, 노화된 모근을 회복시켜주어 새로운 발모를 촉진시켜주고 축소된 모낭을 정상화시켜 발모 및 모발유지를 돕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의 생성을 방지하여 모공의 축소나 소멸을 예방하여 탈모를 방지하며 두피를 청결케 하여 탈모를 예방할 목적으로 두피에 직접 도포하는 도포제로 형성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천연물질로 형성하여 인체의 자가 면역력을 증강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신체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목적 건강기능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羊), 소(牛), 산양(山羊)의 초유(初乳)성분, 효모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Beta Glucan), 이탄(泥炭)토양에서 추출한 풀빅산(Fulvic Acid), 아마존지역의 과일, 과라나(Guarana)에서 추출한 천연카페인(Caffeine) 과라니나, 유칼립투스(Eucalyptus)나무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羊) 또는 소(牛) 또는 산양(山羊)의 순수 초유 파우더(Powder)와, 효모(酵母)에서 추출하며 70%이상 순도를 가진 베타글루칸(Beta Glucan)과, 풀빅산(Fulvic Acid),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물, 식용 전분 가루 및 물을 포함하여 경구에 투여할 수 있는 섭취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섭취제는 양(羊) 또는 소(牛) 또는 산양(山羊)의 순수 초유 파우더(Powder) 51-54중량%, 효모(酵母) 추출 베타글루칸(Beta Glucan) 31중량%, 풀빅산(Fulvic Acid) 4-5중량%,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물 1-1.5중량%, 식용 전분 가루 2-2.5중량%, 물 8-9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초유파우더, 베타글루칸, 풀빅산, 유칼립투스 추출물, 식용 전분 가루 및 물을 교반기에 넣어 잘 배합 반죽하여 환(丸)제조기나 정(錠)제조기에 넣어 1환 또는 1정의 무게가 0.2-0.5 그램 정도의 환이나 정제로 제조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0%의 에틸 알콜과, 과라나 추출물, 풀빅 산(Fulvic Acid)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포함하여 두피에 직접 바를 수 있는 두피 도포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피 도포제는 40%의 에틸 알콜 62-67중량%, 과라나 추출물 19-22중량%, 풀빅 산(Fulvic Acid) 9-10중량%, 유칼립투스 추출물 5-6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에틸알콜, 과라나 추출물, 풀빅산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을를 교반기에 넣어 상기 과라나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서로 상호 보완 작용 기능이 있는 섭취제와 도포제를 병행 사용함으로써 탈모의 여러 가지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한꺼번에 차단하여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羊), 소(牛), 산양(山羊)의 초유(初乳)성분, 효모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Beta Glucan), 이탄(泥炭)토양에서 추출한 풀빅산(Fulvic Acid), 아마존지역의 과일, 과라나(Guarana)에서 추출한 천연카페인(Caffeine) 과라니나, 유칼립투스(Eucalyptus)나무 추출물을 주요성분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유성분과 베타글루칸을 주성분으로 한 경구섭취제와 풀빅산과 천연카페인과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두피도포제로 이루어진 조성물들인데 이들을 병행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탈모예방과 발모촉진 효과를 이룰 수 있는 탈모예방, 발모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은 양(羊) 또는 소(牛) 또는 산양(山羊)의 순수 초유 파우더(Powder) 51-54중량%, 효모(酵母) 추출 베타글루칸(Beta Glucan) 31중량%, 풀빅산(Fulvic Acid) 4-5중량%,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물 1-1.5중량%, 식용 전분 가루 2-2.5중량%, 물 8-9중량%를 포함함으로서 경구에 투여할 수 있는 섭취제를 형성하였다.
구성성분
양(羊), 소(牛), 산양(山羊)의 초유(初乳) : 초유는 포유류(哺乳類) 동물들이 새끼를 출산한 직후부터 72시간 사이에 분비하는 어미젖(母乳)으로 이 초유에는 동종(同種)의 특징형질 인자 및 면역인자, 성장촉진 인자 등을 새끼들에게 전해주는 조물주가 만들어준 중요한 생리 대사물질이다. 이 초유들은 인간에게도 아주 유용한 건강기능 식품으로 이미 알려져 있고 기능성 식품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초유에 함유 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기능성성분들 중에는 여러 가지의 면역기능 증강인자인 면역글로불린(Immuno globulin), 라이소자임(Lysozyme), 사이토킨(Cytokines, 림포카인(Lympohokines), 락토페린(Lactoferrin), Priline-Rich-Poltpeptides 등이 있고, 두뇌 및 신체발달 촉진 인자인 스핑고미엘린(Sphingmyelin),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DHA 등의 성분이 있으며, 섬유의 성장과 세포조직의 생성과 재생, 모근조직 생성과 재생, 뼈, 근육, 신경조직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인자인 EGF(Epidermal growth factor), TGF, IGF-1, IGF-2, FGF, GH 등의 다양한 성장촉진인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연구에 의해 밝혀진바 있다.
이러한 성분들 중 특히 EGF는 손상된 모근의 재생과 털의 성장에 크게 기여 하여 탈모예방과 발모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면역글로불린, 라임소자, 사이토킨 등의 성분들에 의한 면역력 증강 작용으로 기존 모발들이 두피에서의 성장유지와 인체 면역력 저하에 따른 탈모를 예방하여 준다.
효모(Sacharomyces cervisiae)추출 베타글루칸(Beta Glucan) : 기능성 물질인 베타글루칸은 버섯류, 곡류, 효모류 등에 함유되어 있는 면역증강 물질로 밝혀졌는데, 버섯류, 곡류 등에는 극히 소량으로 존재하여 고농도의 베타글루칸의 대량 추출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 실용화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효모의 세포벽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있는데 효모의 세포벽을 가수 분해하여 선별 추출한 고농도(70%)의 베타글루칸은 인체의 면역력을 극대화하는 기능이 있어 질병예방과 건강관리에 세계적으로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베타글루칸을 섭취함으로써 신체의 건강과 면역력을 높여주면 두피의 면역력도 극대화하여 모발의 휴지기 도래를 늦춰주고 모발의 성장기를 늘려주는 작용을 하여 모발의 개체수를 증가시켜 주며 건강한 모발을 유지케 하여 준다.
풀빅산 (Fulvic Acid) : 풀빅산은 이끼류 같은 식물들이 수백만년전에 지하에 퇴적되어 토양의 수많은 미생물에 의해 발효, 분해, 합성되는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생성되는 천연물질로 분자량이 천만분의 일 밀리미터(1mm/1,000만)인 앵그스트롬(Angstrom) 단위의 극소분자의 유기물질이다. 풀빅산은 크게 두 가지 특성을 가지는데, 풀빅산 분자는 다른 물질의 분자를 킬레이트(Chelate)하여 세포속으로 운반하고 세포속 물질을 킬레이트하여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양방향 킬레이트 작용이 있고, 풀빅산 분자 자체가 전기를 띠고 있어 노화세포나 죽은 세포에 모자라는 전기량을 충전하는 작용을 한다.
풀빅산이 두피에 공급되면 함께 투여하는 영양분을 킬레이트하여 모낭세포에 쉽게 흡수토록하고 모낭세포에 쌓여있던 독성물질들을 킬레이트하여 배출시켜주며 노화 모낭세포와 죽은 모낭세포에 새로운 전기량을 공급하여 세포를 재생시켜 모낭의 기능을 다시 살려주어 모근생성과 모발 성장을 원활케 하는 작용을 한다.
유칼립투스 추출물 : 유칼립투스(Eucalyptus)나무에는 Flava3-OLC catechin, 3,4 Diols-Leu-antocyanidies 등의 Poliflavonoide 복합체의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 들어 있는데 이 물질을 생물체 표면에 도포하였을때 미세한 극세막을 형성하여 산소, 박테리아등의 산화 요인을 차단하여 산화작용이나 부패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천연 항산화물질이다. 이 물질을 두피에 도포하면 두피에서 분비되는 피지가 산화되어 모공의 모근을 손상시켜 탈모되는 두피 피지의 산화를 막아주고 박테리아나 기타 세균의 감염을 예방하여 두피 감염에 의한 탈모를 예방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배합을 살펴보면, 양(羊) 또는 소(牛) 또는 산양(山羊)의 순수 초유 파우더(Powder)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1-54중량%이고, 효모(酵母) 추출 베타글루칸(Beta Glucan)(70%이상 순도)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31중량%이며, 풀빅산(Fulvic Acid)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4-5중량%이고,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1.5중량%이며, 식용 전분 가루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2-2.5중량%이다. 또한, 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8-9중량%이다.
이상의 6가지(초유파우더, 베타글루칸, 풀빅산, 유칼립투스 추출물, 식용 전분 가루, 물) 조성물을 교반기에 넣어 잘 배합 반죽하여 환(丸)제조기나 정(錠)제조기에 넣어 1환 또는 1정의 무게가 0.2-0.5 그램 정도의 환이나 정제로 제조하여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 배합비는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처방의 배합은 모발 생장 촉진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배합이면 어느 것이든 좋다.
상기와 같이 섭취하기 위해 환이나 정으로 제조된 탈모 방지 조성물은 인체의 약화된 자가 면역력을 회복시켜주어 모발유지를 위한 모근의 건강을 유지시키며 모근의 소멸을 막아주고 새로운 모근조직을 재생시켜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으로 제시된 포유류 동물중 양 또는 소 또는 산양의 초유(初乳)를 인체에 섭취시켰을 때 다양한 시험의 결과를 통해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 섭취량을 3g 이상을 15일 이상 계속적으로 섭취시켰을 때 탈모가 중지되고 미세한 솜털 같은 새로운 모발이 발모되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미세모발이 계속 성장하여 정상모발이 되고 또 계속적으로 정상모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모근의 활력과 면역력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동물체의 자가면역력을 증강시켜주고 세포의 활력을 유지시켜주는 베타글루칸(Beta Glucan)을 효모의 세포벽을 가수분해하여 70%이상의 고농도 함량의 베타글루칸으로 추출하여 성인이 하루에 흡수할 수 있는 최대량인 하루 2g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 또는 소 또는 산양의 순수 초유와 베타글루칸을 3:2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하루 5g이상 섭취케 하면 탈모가 정지되고 발모가 이루어져 정상적인 성장과 정상 기간 동안 정상모발로 유지되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초유와 베타글루칸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인체에 효과적으로 흡수토록 하기위해 유효성분 킬레이트 작용이 있는 풀빅산(Fulvic Acid)을 첨가하고 혼합된 물질이 조기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칼립투스 추출액을 항산화제로 첨가하여 제품의 유효성과 보존성을 높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은 40%의 에틸 알콜 62-67중량%, 과라나 추출물 19-22중량%, 풀빅 산(Fulvic Acid) 9-10중량%, 유칼립투스 추출물 5-6중량%를 포함함으로서 두피에 직접 바를 수 있는 두피 도포제를 형성하였다.
구성성분
과라나(Guarana) 추출 천연카페인(Caffeine) : 과라나는 브라질 아마존 지역에 자생하는 과일로써 과라니나(Guaranina)라는 천연 카페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아마존 지역의 인디안들이 정력제, 건강촉진제로 사용하던 과일인데 이 과일에 함유된 천연 카페인에 대해 최근에 밝혀진 바로는 농축된 과라나 카페인은 두피의 모낭에 공급이 될 경우 모낭에서 5알파 환원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남성호르몬 (Testosterone)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으로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모낭을 축소시키고 모근을 약화시켜 탈모를 유발하는 탈모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천연 과라나 카페인은 5알파 환원효소의 작용을 원천 봉쇄하는 작용을 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막아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조성물의 배합을 살펴보면, 40%의 에틸 알콜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62-67중량%이고, 과라나 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9-22중량%, 풀빅 산(Fulvic Acid)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9-10중량%, 유칼립투스 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6중량%로 구성되며,
이상의 4가지를 교반기에 넣어 상기 과라나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여 제조한다. 이때, 두피 도포제는 진한 갈색의 혼탁액(液)이 된다.
탈모는 남성호르몬 분비의 불균형이나 기타 유전적 요인으로 5알파환원효소(5alpaReductase)가 남성호르몬(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변형시켜 모낭을 축소시키고 모근을 약화시키거나 모낭세포의 노화나 약화로 인한 모근 유지력이 떨어져 탈모되거나 신체노화로 인한 모근생성 정지로 인한 모발 개체수 감소, 두피에 발생하는 피지의 산화로 인한 모근소멸 기타 모낭이 박테리아등의 세균들에 감염되어 모근이 사멸하는 요인들이 탈모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들인데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5알파 환원 효소에 의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막아줄 수 있도록 과라니나(Guaranina) 25% 이상 함유된 과라나(Guarana) 열매에서 추출하여 농축한 과라니나(Guaranina) 천연 카페인과 노화되거나 약화된 모낭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모근, 모낭세포에 전기량을 충전시켜 세포를 재생시키고 활력을 주어 새로운 모근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풀빅산(Fulvic Acid)과 두피지(頭皮脂)의 산화를 방지하고 세균들로부터 두피를 보호할 수 있는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 항산화제를 두피에 흡수가 용이토록 40% 정도 농도의 에틸알콜로 다음과 같은 비율로 혼액하여 두피 도포제를 조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형성된 경구섭취제는 하루 5-6g 공복 여하 관계없이 음료수와 같이 섭취하는 것으로 상기 5-6g은 한꺼번에 섭취하거나 하루에 2회이상으로 나뉘어 섭취를 하여도 무방하고, 제2실시예에서 형성된 두피도포제는 아침 저녁 하루 2회 탈모부위에 충분히 도포하고 손가락 등으로 마사지하는 것으로서, 위의 두 가지 제재를 병행하여 매일 섭취하거나 도포하면 적어도 30일 경과 후 탈모 중지, 미세모 발모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전국에서 무작위로 착출한 남성형탈모병 환자 남녀 20명(연령 20∼60)을 대상으로 하여 5개의 그룹으로 섭취 또는 도포하는 방식으로 실험하여 10일, 20일, 30일 40일 후에 평가를 행사고 발모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0일 경과 20일 경과 30일 경과 40일 경과
A 그룹 반응없음 두피 일부에서 미세모 발모 두피 일부에서미세모 발모 두피 일부에서 미세모 발모
B 그룹 탈모 정지 두피 일부에서 미세모 발모 두피 전체에서 미세모 발모 일부 미세모에서 정상모로 형성
C 그룹 반응없음 탈모 정지 두피 전체에서 미세모 발모 일부 미세모에서 정상모로 형성
D 그룹 반응없음 탈모 정지 두피 전체에서 미세모 발모 정상모 형성
E 그룹 탈모 정지 두피 전체에서 미세모 발모 정상모 형성 정상모 유지
A 그룹 : 면양, 소 및 산양의 순수 초유를 매일 3g정도 섭취
B 그룹 : 순수 산양 초유 3g과 효모추출 70%함량 베타글루칸 2g을 매일 섭취
C 그룹 : 과라나 추출물(과라니나 25%이상 함유) 파우더 30g을 40%농도 에틸알콜100ml에 용해시켜 매일 2회 탈모부위에 도포
D 그룹 : 과라나 추출물(과라니나 25% 함유) 파우더 30g을 40% 농도 에틸알콜 100ml와 풀빅산 10ml와 유칼립투스 추출액 5ml 혼액 액에 용해시켜 매일 2회 탈모부위에 도포
E 그룹 : 순수 산양 초유 3gr과 효모추출 70%함량 베타글루칸 2g을 매일 섭취하며 병행하여 40%농도 에틸알콜 100ml에 풀빅산 10ml, 유칼립투스 투출액 5ml를 혼액시킨후에 과라니나 25%함유된 과라나추출 파우더 30g을 용해시켜 하루 2회 두피에 도포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그룹에서 20일 정도 사용을 하게 되면 탈모가 정지되거나 미세모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섭취제와 도포제를 같이 사용하였을 경우에 두피 전체에 미세모가 발견되었으며 꾸준히 사용을 하게 되면 정상모로 유지가 가능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최종 확정된 경구투여 섭취제( 초유, 베타글루칸, 풀빅산, 유칼립투수 추출액 함유)와 두피 도포제( 과라나 추출물, 풀빅산, 유칼립투수 추출액, 에틸알콜혼액물)를 탈모의 상태가 다른 두 그룹의 남성들에게 매일 섭취제 5g을 섭취하게 하고 두피 도포제를 하루 2회 도포케 하여 60일에 걸쳐 사용케 하며 30일 경과의 상태와 60일 후의 결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A그룹: 완전 탈모 된지 1년 이상 지난 10인의 남성
B그룹: 탈모가 시작 된지 1년 미만의 반 탈모상태의 10인의 남성
사용 일수 발모가 시작됨 솜털이 보임 반응이 없음
A 그룹 30일 1 명 4 명 5 명
A 그룹 60일 4 명 3 명 3 명
B 그룹 30일 3 명 6 명 1 명
B 그룹 60일 8 명 2 명 0 명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완전 탈모가 진행된 후에도 모근이 완전 소멸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모기능이 회복되며 탈모초기에는 탈모가 중단되고 다시 발모기능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양, 소, 산양의 초유에 함유된 여러 가지의 성장인자의 모발 생성 기능과 효모 추출 베타글루칸의 면역력 강화 기능에 의한 모공, 모근의 면역력 강화에 따른 모발 유지력이 향상되며 과라나 추출 과라니나의 남성홀몬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에의 변형을 방지기능으로 탈모를 방지하며 풀빅산의 킬레이트작용에 의한 두피에의 영양공급이 확대되어 모발이 건강해지며 노화된 모근을 재생시켜 발모작용이 살아나며 유칼립투스 추출 항산화제의 기능으로 두피와 모공, 모근의 두피지의 산화와 세균감염으로부터 방어되어 탈모의 원인들을 제거함으로 양, 소, 산양의 초유, 베타글루칸, 풀빅산, 과라나 추출 과라니나 천연 카페인, 유칼립투스 추출 항산화제 이 다섯가지의 성분이 다양한 탈모의 원인 예방과 발모 기능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성분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주요 성분 다섯 가지를 이상적으로 배합하여 섭취와 도포를 병행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기능이 상오 보완되어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양(羊) 또는 소(牛) 또는 산양(山羊)의 순수 초유 파우더(Powder)와, 효모(酵母)에서 추출하며 70중량%이상 순도를 가진 베타글루칸(Beta Glucan)과, 풀빅산(Fulvic Acid),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물, 식용 전분 가루 및 물을 포함하여 경구에 투여할 수 있는 섭취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3. 양(羊) 또는 소(牛) 또는 산양(山羊)의 순수 초유 파우더(Powder) 51-54중량%, 효모(酵母) 추출 베타글루칸(Beta Glucan) 31중량%, 풀빅산(Fulvic Acid) 4-5중량%, 유칼립투스(Eucalyptus)추출물 1-1.5중량%, 식용 전분 가루 2-2.5중량%, 물 8-9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초유파우더, 베타글루칸, 풀빅산, 유칼립투스 추출물, 식용 전분 가루 및 물을 교반기에 넣어 배합 반죽하여 환(丸)제조기나 정(錠)제조기에 넣어 1환 또는 1정의 무게가 0.2-0.5 그램의 환이나 정제로 제조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4. 40중량%의 에틸 알콜과, 과라나 추출물, 풀빅 산(Fulvic Acid)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포함하여 두피에 직접 바를 수 있는 두피 도포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5. 40중량%의 에틸 알콜 62-67중량%, 과라나 추출물 19-22중량%, 풀빅 산(Fulvic Acid) 9-10중량%, 유칼립투스 추출물 5-6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에틸알콜, 과라나 추출물, 풀빅산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교반기에 넣어 상기 과라나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두피 도포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130944A 2010-12-20 2010-12-20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7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44A KR101274583B1 (ko) 2010-12-20 2010-12-20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44A KR101274583B1 (ko) 2010-12-20 2010-12-20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07A KR20120069407A (ko) 2012-06-28
KR101274583B1 true KR101274583B1 (ko) 2013-06-13

Family

ID=4668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944A KR101274583B1 (ko) 2010-12-20 2010-12-20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6032A (zh) * 2015-09-10 2015-12-02 南京理工大学 索拉胶在洗发、护发方面的应用
KR102142228B1 (ko) * 2019-12-19 2020-08-06 홍용익 초유, 비오틴 및 과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130647A1 (it) * 2013-11-22 2015-05-23 Rsi S A Composizione per la cura dei capelli comprendente caffeina ed estratto di eucalipto
JP7046304B2 (ja) * 2017-07-20 2022-04-04 学校法人 中村産業学園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の製造方法、及び脱毛症の予防治療用又は育毛促進用組成物の製造方法
CN109090249A (zh) * 2018-08-23 2018-12-28 李卫平 一种辅助养发的羊奶片及其制备方法
KR102278055B1 (ko) * 2021-02-15 2021-07-1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과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20608A (ko) * 2022-08-08 2024-02-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풀빅산 및 미녹시딜 함유 고분자 캡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08704B1 (ko) 2022-11-17 2023-03-09 최진원 코어쉘 구조의 탈모 방지용 복합 제제 및 건강기능성 식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946B1 (ko) 1991-03-16 1999-08-02 크리스토퍼 피아세키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JP2001000142A (ja) 1999-06-23 2001-01-09 Artnature Co Ltd 育毛および発毛用栄養補助食品
JP2008525319A (ja) 2004-12-24 2008-07-17 ドルフィスト・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毛髪学のための配合物および治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946B1 (ko) 1991-03-16 1999-08-02 크리스토퍼 피아세키 이탄 유도성 생활성 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성분물 및 화장 성분물
JP2001000142A (ja) 1999-06-23 2001-01-09 Artnature Co Ltd 育毛および発毛用栄養補助食品
JP2008525319A (ja) 2004-12-24 2008-07-17 ドルフィスト・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毛髪学のための配合物および治療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6032A (zh) * 2015-09-10 2015-12-02 南京理工大学 索拉胶在洗发、护发方面的应用
KR102142228B1 (ko) * 2019-12-19 2020-08-06 홍용익 초유, 비오틴 및 과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07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583B1 (ko)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456796B2 (ja) コラーゲン産生増強剤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WO2018219109A1 (zh) 预防和治疗脱发的药物
KR102041995B1 (ko) 로즈마리 커피 한약재를 이용한 두피질환 개선 및 탈모방지 발모기능이 있는 분말형 천연한방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20090120726A (ko)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93437A (ko) 웰빙을 위한 제제 및 치료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US9839606B2 (en) Formulation for treatment of hairs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TWI830696B (zh) 抑制肌纖維變性用組成物
KR101659316B1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30367A (zh) 口腔护理组合物
KR102527040B1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430A (ko)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0717613B1 (en) Stable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sprout ju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WO1995026183A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shoot extract
CN111543572A (zh) 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00111640A (ko) 모발생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US11931446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KR100308491B1 (ko) 모발 성장 조성물
JP7131785B1 (ja) 皮膚保湿剤およ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US20230042135A1 (en) Herbal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190233B1 (ko) 모발처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