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430A -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430A
KR20160043430A KR1020140137806A KR20140137806A KR20160043430A KR 20160043430 A KR20160043430 A KR 20160043430A KR 1020140137806 A KR1020140137806 A KR 1020140137806A KR 20140137806 A KR20140137806 A KR 20140137806A KR 20160043430 A KR20160043430 A KR 2016004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inseng
composition
white mulberry
bacillus thuringi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기
Original Assignee
유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기 filed Critical 유상기
Priority to KR102014013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430A/ko
Publication of KR2016004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하수오, 어성초, 삼, 녹차, 소엽, 석창포,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생강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과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promoting hair generation, or enhancing moist and glossy of hai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성한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유전 인자, 내분비 질환, 영양 결핍, 약물 사용, 출산, 발열 및 심한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두피의 성모가 이탈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 종류는 비강성 탈모증, 원형 탈모증 등으로 다양하다.
2013년 발표된 국민건강 보험공단 질병관련 자료에 따르면 국내 탈모 인구는 1000만으로 인구 5명 중 1명은 탈모이며, 2013년 탈모로 인해 진료를 받은 진료환자 중 10%가 20세 미만의 비성인이고 매년 젊은층의 탈모환자 수가 증가세에 있어 이제는 탈모가 남녀노소를 불문하는 공통적인 질환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현재 임상적으로 효과를 보이는 대표적인 약물로는 FDA 승인을 받은 미녹시딜 및 프로페시아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여성의 사용이 제한적이고 성기능 장애나 피부자극 등 부작용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합성 약물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성별의 제한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 원료를 이용한 탈모예방 또는 발모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974,289호는 금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또는 속단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85,948호는 홍삼, 석창포, 백하수오, 다시마, 감초, 황련, 지골피, 원지, 고삼, 유근피를 분말화하여 혼합한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405,665호는 발아현미 상황버섯, 발아대두 동충하초, 하수오, 무화과 및 야자유를 균등량 혼합한 발효추출물, 당약, 지실 발효 추출물, 고삼 및 목단 발효추출물, 대나무 목초액 및 생강 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진 탈모 방지와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복합 발효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다.
백하수오, 현미, 홍삼 등은 상기 문헌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한의학적 이론에 따르면 유사한 약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합되는 다른 약재의 종류, 배합조성에 따라 최종적인 조성물 제제의 효능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14가지 천연 추출물 모두 또는 이중 일부를 숙성시킨 조성물에 대한 탈모 방지 및 발모효과는 밝혀진 바 없다. 본 발명자는 수많은 비교실험과 임상시험을 통하여 성별 제한 없이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최대의 발모, 탈모방지 또는 모발의 습윤·보습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최적의 14가지 천연 추출물 모두 또는 일부를 숙성한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974,289호 한국등록특허 제1,085,948호 한국등록특허 제1,405,665호
본 발명은 숙성시킨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한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습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하수오, 어성초,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의 추출물; 및 인삼, 홍삼 및 홍삼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삼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남녀노소 제한 없이 안전하게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항비듬 효과를 나타내고 두피 가려움증을 억제하거나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삼은 인삼, 홍삼 및 홍삼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특히 사포닌 성분이 배가 되는 홍삼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추출물은 주정알코올 또는 물로 추출된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항비듬 효과를 나타내고 두피 가려움증을 억제하거나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생약 중 6종 이상을 함유하되, 각 생약의 사용중량은 1 :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 : 1 : 1 : 0.5 : 0.5 : 0.5 : 0.5 : 0.5: 0.5 : 0.5 : 0.5 : 0.5 : 0.5 : 0.5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및 녹차를 사용하는 경우, 1 :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 : 1 : 1 : 0.5 : 0.5 : 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및 녹차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녹차,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이마인 및 생강을 사용하는 경우, 1 :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 : 1 : 1 : 0.5 : 0.5 : 0.5 : 0.5 : 0.5 : 0.5: 0.5 : 0.5 : 0.5 : 0.5 : 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녹차,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이마인 및 생강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내복제로 제형화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은 의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및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각종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캄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또는 양모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은 제제화할 경우에는 의약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탈모 질환의 종류, 탈모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을 주정알코올에 담그는 단계; 및 3개월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5종 이상의 생약을 물에 넣고 달이는 단계; 및 상기 달여진 약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삼은 인삼, 홍삼 및 홍삼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임자, 대맥, 속미, 수수, 및 이마인의 경우 독소 제거를 위한 증숙단계를 제조과정의 준비단계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증숙단계는 생약을 물에 넣고 센불과 약한 불로 2 내지 3시간 동안 찌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주정알코올의 발효숙성단계에서 숙성기간은 3개월 이상 또는 100일 이상일 수 있다. 발효숙성 시키는 경우 생약의 성분이 추출되어 약성이 서로 어우러지는 상승작용에 의해 효능이 배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의 중량비가 1 :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주정알코올 또는 물은 총 생약 중량의 2 내지 1000배의 중량, 또는 10 내지 500배의 중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총 생약 중량의 50 내지 250배의 중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및 녹차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그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및 녹차를 1: 0.9~1.1 : 0.9~1.1 : 0.4~0.6 : 0.4~0.6 : 0.4~0.6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1 : 1 : 0.5 : 0.5 : 0.5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주정알코올 또는 물 역시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총 생약 중량의 2 내지 1000배의 중량, 또는 10 내지 500배의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총 생약 중량의 50 내지 250배의 중량으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을 위해 투약될 수 있고, 이는 비경구 투여제로서 두피 도포용으로 투약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두피 도포용 조성물은 1일 2회 (아침 및 저녁) 세모 건조 후 정중선을 기점으로 모발을 넘기면서 두피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투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녹차,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이마인 및 생강의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그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녹차,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이마인 및 생강을 1: 0.9~1.1 : 0.9~1.1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 : 0.4~0.6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1 : 1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주정알코올 또는 물 역시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총 생약 중량의 10 내지 500배의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총 생약 중량의 50 내지 250배의 중량으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녹차,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이마인 및 생강의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을 위해 투약될 수 있으며, 이는 경구 투여방식으로 투약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 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제조방법
생약들을 주정알코올에 담근 후 100일 동안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도포를 위한 실시예를 제조하였으며, 생약들을 물에 넣어 끓인 후 약한 불에서 용량이 절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 다음 여과하여 내복용을 위한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백하수오 20 g, 어성초 20 g, 인삼 20 g, 석창포 10 g, 현삼 10 g, 소엽 10 g, 임자 10 g, 현미 10 g, 녹차 10 g, 대맥 10 g, 속미 10 g, 수수 10 g, 아마인 10 g, 및 생강 10 g을 10 L의 주정알코올(담금주) 또는 물에 넣어 각각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도포를 위한 실시예1 및 내복용을 위한 실시예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인삼 대신 홍삼 20 g을 사용하여 도포를 위한 실시예3 및 내복용을 위한 실시예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및 실시예 6: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인삼 대신 홍삼미 20 g을 사용하여 도포를 위한 실시예5 및 내복용을 위한 실시예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및 실시예 8:
백하수오 20 g, 어성초 20 g, 인삼 20 g, 석창포 10 g, 소엽 10 g, 및 녹차 10 g을 20 L의 주정알코올(담금주) 또는 물에 넣어 각각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도포를 위한 실시예7 및 내복용을 위한 실시예8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임자 10 g, 현미 10 g, 대맥 10 g, 속미 10 g, 및 수수 10 g을 10 L의 주정알코올(담금주) 또는 물에 넣어 각각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도포를 위한 비교예1 및 내복용을 위한 비교예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탈모 예방, 발모 촉진용 외용제의 제조
백하수오 20 g, 어성초 20 g, 인삼 20 g, 석창포 10 g, 소엽 10 g 및 녹차 10 g을 항아리에 넣고 주정알콜(담금주) 1 L를 부어 3개월 정도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두피 적용을 위한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탈모 예방, 발모 촉진용 탕제의 제조
백하수오 20 g, 어성초 20 g, 인삼 20 g, 석창포 10 g, 현삼 10 g, 소엽 10 g, 임자 10 g, 현미 10 g, 녹차 10 g, 대맥 10 g, 속미 10 g, 수수 10 g, 아마인 10 g, 및 생강 10 g을 물에 넣고 달여 내복을 위한 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탈모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발명 조성물의 탈모방지, 발모, 모발의 보윤보습 및 항비듬 효과
탈모환자 15명을 5개 군으로 나누어 각 실시예 마다 3명씩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1, 3, 5, 7 및 비교예1의 조성물을 각각 1일 2회 (아침, 저녁) 세모 건조 후 정중선을 기점으로 모발을 넘기면서 두피에 도포하게 하고, 실시예2, 4, 6, 8 및 비교예2의 내복제를 복용하게 한 후 30일 마다 탈모방지(1), 발모(2), 모발의 보윤보습(3) 및 항비듬(4)의 4가지 항목에 대해 각각의 효과여부를 5점 척도(0점=효과가 없음, 5점=효과 있음)로 평가하게 하고 각 군 3명의 평균 수치를 구하여 항목별로 표 1에 나타내었다.
도포기간
30일
60일
90일
항목
1
2
3
4
1
2
3
4
1
2
3
4
실시예1/2
1.7
0.0
1.7
3.3
1.7
1.7
3.3
3.3
5.0
3.3
3.3
5.0
실시예3/4
1.7
0.0
1.7
3.3
1.7
1.7
3.3
3.3
5.0
3.3
3.3
5.0
실시예5/6
1.7
1.7
3.3
3.3
3.3
3.3
3.3
5.0
5.0
5.0
3.3
5.0
실시예7/8
1.7
0.0
1.7
1.7
3.3
1.7
1.7
3.3
5.0
3.3
3.3
3.3
비교예1/2
0.0
0.0
1.7
0.0
1.7
0.0
1.7
1.7
1.7
0.0
3.3
1.7
항목
1: 탈모방지 효과
2: 발모 효과
3: 모발의 보윤보습 효과
4: 항비듬 효과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14종의 모든 생약을 포함하되, 삼의 종류만 각각 다른 실시예1 ~ 6의 조성물을 90일 동안 도포 및 복용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3.3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뛰어난 탈모방지, 발모, 모발의 보윤·보습 및 항비듬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삼의 종류 중 홍삼미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5 및 6의 경우 대부분의 항목에서 5.0의 수치를 나타내어 우수한 탈모방지, 발모, 모발의 보윤·보습 및 항비듬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6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7 및 8의 경우 대부분의 항목에서 3.3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탈모방지 효과에 있어 5.0의 수치를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5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1 및 2의 경우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실험예 2.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의 확인
실시예9에 따른 외용제를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두피에 도포하고, 실시예10에 따른 탕제를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게 한 결과, 보름 후부터 머리를 감을 때 모발에 빠지는 양이 현저히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 탈모부위에서 솜털같이 새로운 모발이 돋아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뿐만 아니라 가려움증이 완화되고 비듬이 있던 환자군에서 비듬이 사라지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점을 새로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려움증 완화 및 항비듬 효과는 사용 후 즉각적으로 나타났다.

Claims (9)

  1.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서 삼은 인삼, 홍삼 및 홍삼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주정알코올 또는 물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각 생약이
    1 :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에 적용되거나 또는 경구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제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백하수오, 어성초 인삼, 석창포, 소엽, 녹차, 현삼, 임자, 현미, 대맥, 속미, 수수, 이마인 및 생강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내복제인,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7.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을 주정알코올에 담그는 단계; 및
    3개월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삼은 인삼, 홍삼 및 홍삼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탈모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6종 이상의 생약을 물에 넣고 달이는 단계; 및
    상기 달여진 약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삼은 인삼, 홍삼 및 홍삼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탈모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백하수오, 어성초, 삼, 석창포, 현삼, 소엽, 임자, 현미, 녹차, 대맥, 속미, 수수, 아마인, 및 생강의 중량비가 1 :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 : 0.4 내지 0.6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37806A 2014-10-13 2014-10-13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3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06A KR20160043430A (ko) 2014-10-13 2014-10-13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06A KR20160043430A (ko) 2014-10-13 2014-10-13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430A true KR20160043430A (ko) 2016-04-21

Family

ID=5591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806A KR20160043430A (ko) 2014-10-13 2014-10-13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4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99A1 (ko) * 2019-03-26 2020-10-01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방법
CN113768803A (zh) * 2021-09-27 2021-12-10 深圳利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发去屑喷剂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20220118679A (ko) 2021-02-19 2022-08-26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99A1 (ko) * 2019-03-26 2020-10-01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방법
KR20200113597A (ko) * 2019-03-26 2020-10-07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방법
KR20220118679A (ko) 2021-02-19 2022-08-26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68803A (zh) * 2021-09-27 2021-12-10 深圳利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发去屑喷剂的组合物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20130073579A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2026535B1 (ko)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205055A (zh) 一种肌肤修复用药物及制备方法
KR20170046528A (ko)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041042B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KR101661245B1 (ko) 호의초, 황련, 어성초, 인삼, 작약, 모란, 효모액기스, 하수오를 함유하는 피부 및 두피보호, 탈모방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114113B (zh) 一种白头翁汤颗粒剂的制备方法
KR20160043430A (ko)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 또는 모발의 보윤·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34894A (zh) 一种治疗脂溢性脱发的组合物
US20140255526A1 (en) Use of a ginseng extract to prevent and treat alopecia areata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177925A (zh) 一种蜂王浆美容保健品
JP2021521264A (ja) 脱毛治療及び発毛促進用組成物
KR20090049390A (ko) 탈모예방 및 발모성장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499271A (zh) 一种抗敏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1640A (ko) 모발생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230042135A1 (en) Herbal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090059230A (ko) 탈모예방, 항염작용, 모근세포 활성화 및 모발생장을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