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531B1 - 전자스틸카메라 - Google Patents

전자스틸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531B1
KR100211531B1 KR1019910017176A KR910017176A KR100211531B1 KR 100211531 B1 KR100211531 B1 KR 100211531B1 KR 1019910017176 A KR1019910017176 A KR 1019910017176A KR 910017176 A KR910017176 A KR 910017176A KR 100211531 B1 KR100211531 B1 KR 10021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lens
lens
focus
focus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531A (ko
Inventor
신이찌 가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3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394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21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60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735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73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56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8954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0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Abstract

본원 발명의 전자스틸카메라는 입사된 광학상을 확대하는 줌렌즈와,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용 렌즈와, 이 초점맞춤용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줌렌즈 및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줌렌즈상태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이동하여 정지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초점맞춤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스틸카메라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포커스제어시의 플로차트.
제3도는 포커스조정시의 플로차트.
젤4도는 렌즈의 조정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원 발명을 화이트밸런스회로에 적용한 실시예의 구성도.
제6도는 화이트밸런스 조정시의 플로차트.
본원 발명은 전자(電子)스틸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지화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서 자기디스크에 기록하는 이른바 전자스틸카메라가 각종 개발되어 있다. 이 전자스틸카메라는 통상의 은염(銀鹽)필름을 사용한 스틸카메라와 같이 촬영렌즈의 포커스링 등을 이동시켜서, 포커스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오토포커스기구에 의해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이 오토포커스기구로서는 종래는 어떠한 방법에 으해 카메라로부터 피사체(被寫體)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정보에 따라 촬영렌즈의 포커스링을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영신호자체에서 오토포커스제어를 위한 포커스정보를 검출하고, 거리를 검출하지 않고 오토포커스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국 특개소 57(1982)-208520호 공보 등 참조). 즉, 렌즈의 포커스조정이 적정할 때에는 피사체의 윤곽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신호에 고역의 주파수성분이 포함된다. 이에 대해, 렌즈의 포커스조정이 적정하지 않을 때에는 피사체의 윤곽이 흐려져 촬영되어서, 촬상신호에 고역성분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촬영신호중의 고역성분의 양을 검출하는 것으로, 현재의 포커스조정상태가 적정한지 여부가 검출되며, 오토포커스제어가 행해진다.
여기서, 상기 전자스틸카메라에 있어서도 비디오카메라와 같이 고체촬상소자 등을 사용해서 전기적인 촬상신호를 얻는 것이므로, 이 촬상신호자체에서 오토포커스제어를 위한 포커스정보를 검출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 오토포커스방식을 전자스틸카메라에 적용하는 것으로,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할 필요가 없어지고, 오토포커스기구를 은염필름을 사용한 스틸카메라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장치를 구성하는 포커스조정용 렌즈를 오토포커스기구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장치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하지만, 배터리장치의 지속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 가급적 이 오토포커스제어를 행할 때의 소비전력을 적게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스틸카메라의 경우에는 소형화하기 위해 비디오카메라보다 소형배터리장치가 사용되므로, 비디오카메라와 같이 항상 오토포커스제어를 행하도록 하면 배터리장치의 지속시간이 매우 단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 종류의 카메라에 장착되는 촬영렌즈로서, 줌렌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줌 렌즈를 촬영렌즈로서 사용함으로써, 초첨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예를들면 광각에서 망원까지 임의의 화각(畵角)으로 촬영이 가능해진다.
그런, 이 줌렌즈의 경우에는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면, 포커스위치도 변화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초첨거리를 변화시키기 전에 피사체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카메라로부터의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변화가 없어도,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면,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지 않게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 줌렌즈로는 이와 같은 초점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점거리조정용 줌링을 회전시키면, 캠홈 등에 의한 기구부품으로 포커스조정용 렌즈를 조금씩 이동시키도록 해서, 초점거리의 변화에 연동해서, 포커스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 캠홈 등의 기구부품으로 이루어진 포커스위치의 보정기구는 비교적 복작합 구성이며, 렌즈장치의 구성이 그만큼 복잡화해 버리는 동시에, 렌즈장치(즉 카메라장치)의 중량이나 용적도 증가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순히 포커스위치를 보정한 것만으로는 초점거리의 조정후에 피사체에 정확하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 아니었다. 즉, 초점거리를 조정하기 전에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포커스위치를 보정해도, 피사체에 초점이 맞지 않고, 포커스위치의 보정과는 별도로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위치의 조정을 필요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전자스틸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비디오카메라의 경우와 같이,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촬영되는 피사체를 비친 조명의 색온도에 따라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화이트밸런스조정은 촬상신호를 구성하는 3원색신호(적색신호, 녹색신호, 청색신호)의 각각의 레벨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들면, 적색신호와 녹색신호와의 비, 및 청색신호와 녹색신호와의 비를 검출하여, 각각의 비가 소정범위내로 되도록, 적색신호 및 청색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한다. 이 경우,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2(1990)-19479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 화이트밸런스조정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그런데, 통상의 비디오카메라의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촬상을 행하여 연속적으로 촬상신호를 출력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항상 양호하게 화이트밸런스가 조정되도록 화이트밸런스조정회로를 항상 작동시켜서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전자스틸카메라의 경우에는 정지화상의 촬영을 원하는 서터챤스에 행할 뿐이므로, 촬영하는 순간에 화이트밸런스 등의 각종 특성이 양호하게 조정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촬영하기 직전에, 예를들면 셔터보턴을 절반누른상태로 되었을 때만 화이트밸런스조정회로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화이트밸런스조정회로가 작동하는 시간이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전자스틸카메라의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촬영을 하기 직전에만 화이트밸런스조정회로를 작동시키도록 하면, 예를들면 이 전자스틸카메라에 컬러표시를 행하는 전자뷰파인더를 장착하고, 이 전자뷰파인더로 피사체를 표시하도록 한 경우, 셔터보턴이 절반 누른 상태로 될 때까지 화이트밸런스가 무너진 부자연스런 화상(피사체)이 표시되어 버린다. 또한, 촬영하기 전에 반드시 셔터보턴을 절반누른 상태로 해서, 화이트밸런스의 조정상태를 전자뷰파인더로 확인하고 나서 촬영할 필요가 있으며, 촬영에 시간이 걸리고, 스피디한 촬영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화이트밸런스조정이 촬영개시전에 양호한 타이밍으로 행해지는 전자스틸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입사된 광학상을 확대하는 줌렌즈와,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용 렌즈와, 이 초점맞춤용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줌렌즈 및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와,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이동하여 정지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0)은 촬영렌즈전체를 도시하고, 이 촬영렌즈(10)는 고정된 프론트렌즈(11)와, 초점거리의 조정(즉 화각의 조정)을 행하는 줌렌즈(12)와, 초점의 조정(즉 포커스의 조정)을 행하는 마스터렌즈(13)를 구비하고, 마스터렌즈(13)가 가장 결상면측에 있는 인너포커스방식의 렌즈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 촬영렌즈(10)에는 줌렌즈(12)에 의한 초점거리의 조정시에 기계적으로 포커스위치(핀트가 맞는 위치)가 일정해지도록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키는 기구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 촬영렌즈(10)를 통한 상광(像光)을 고체촬상소자(이하 CCD 이미져라 함) (21)의 페이스플레이트에 결상시켜서, 이 CCD 이미져(21)로 전기적인 촬상신호를 변환하고, 이 촬상신호를 촬상신호처리회로(22)에서 소정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이 영상신호를 기록회로(23)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기록회로(23)에서 기록용의 처리를 한 다음, 자기디스크(25)에 근접해서 배설된 자기헤드(24)에 기록용 영상신호를 공급하고, 자기디스크(25)에 1필드 또는 1프레임 분의 정지화상의 영상신호를 기록시킨다.
또한, 도면중(30)은 이 카메라에서의 촬영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CPU)를 표시하고, 이 중앙제어장치(30)는 촬영한 화상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촬상신호처리회로(22)에서 얻은 촬상신호를 하이패스필터(31)를 통해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2)에 공급하고, 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2)로 1화면중의 소정부위의 데이터만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경우, 에리어설정회로(44)에 의해 이 변환하는 부위(타이밍)의 제어가 행해진다. 이 에리어설정회로(44)에는 촬상신호처리회로(22)로부터의 소정의 신호의 공급으로, 하이패스필터(31)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2)에 공급되는 데이터가 1화면중의 어느 부위의 데이터인지를 판단하여 필요한 부위(즉 샘플링하는 부위)일 때,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2)에 제어신호를 공급해서, 디지털데이터화시킨다.
그리고, 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2)가 출력하는 디지털데이터를 가산회로(33)에 공급하고, 이 가산회로(33)에서 1화면분의 데이터를 가산하고, 이 1 화면분의 가산치를 중앙제어장치(30)에 공급한다.
따라서, 가산회로(33)에서는 미리 정해진 1화면중의 소정부위의 촬상신호에 포함되는 고역성분이 1화면분 가산되고, 이 1화면분의 촬상신호의 고역성분의 가산치가 중앙제어장치(30)에 공급된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30)에서는 공급되는 가산데이터를 판별해서, 하이패스필터(31)로 추출되는 고역성분의 가산치가 가장 커지도록, 초점조정을 행한다. 즉, 중앙제어장치(30)은 드라이브회로(34)를 통해서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키는 스테핑모터(35)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자동적인 초점조정을 행할 때에 고역성분의 가산치가 가장 커지도록 스테핑모터(35)로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본 예에 있어서는 이 자동적인 초점조정을 셔터를 절반 누른 상태일 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테핑모터(35)로 구동되는 마스터렌즈(13)가 무한원(無限遠)의 포커스위치에 있을 때, 화이트인터랩터(36)로 이것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무한원의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43)를 통해서 중앙제어장치(30)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무한원의 위치에서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로 스테핑모터(35)를 구동시키는 스텝수에 의해 마스터렌즈(13)의 위치(포커스위치)를 항상 판단할 수 있다. 이 구동가능한 스텝수(즉 가변범위)는 초점거리에 따라 변화되고, 예를들면 가장 초점거리가 길 때 100 스텝을 취할 수 있는 경우, 가장 초점거리가 짧을 때에는 40 스텝으로 제한된다.
이 경우, 본 예에 있어서는 촬영을 개시하여 오토포커스제어가 최초로 행해졌을 때에, 초기설정을 행하여 포커스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30)내에는 마스터렌즈(13)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렌즈위치메모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이 촬영개시시에는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한 스테핑모터(35)의 구동으로, 마스터렌즈(13)를 한쪽방향으로 이동시켜 무한원의 위치로 하고, 이때의 렌즈위치데이터를 렌즈위치메모리에 기억시킨다.
또한, 화이트인터럽터(36)의 검출위치는 무한원이 아니라도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줌렌즈(12)가 움직여서 후술하는 포텐쇼미터(39)의 검출데이터가 변화되면, 중앙제어장치(30)내의 렌즈위치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마스터렌즈(13)가 있어야 할 위치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이 갱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테핑모터(35)로 마스터렌즈(13)를 구동하고, 마스터렌즈(13)를 적정한 위치로 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줌렌즈(12)에 의한 화각(초점거리)의 조정도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로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30)는 드라이브회로(37)를 통해서 줌렌즈(12)를 이동시키는 모터(38)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30)에 접속된 줌스위치(41)가 조작됨으로서, 모터(38)에 의해 줌렌즈(12)를 이동시켜서, 망원측 또는 광각측에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모터(38)로 구동되는 줌렌즈(12)의 위치를 줌렌즈위치 검출부로서의 포텐쇼미터(39)로 전압데이터로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이 검출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43)를 통해서 중앙제어장치(30)에 공급함으로써, 중앙제어장치(30)측에서 줌렌즈(12)의 위치(초점거리)를 항상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40)은 중앙제어장치(30)을 접속된 불휘발성 메모리를 표시하고, 이 메모리(40)에는 초점거리를 변화시켰을 때에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포커스위치의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즉, 줌렌즈는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면 맞추어진 초점이 변화되지만, 이 변화량의 정보가 각 포커스위치마다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예에서는 초점거리를 망원측에서 광각측으로 변화시켰을 때에는 대응하는 포커스위치가 1점에 정해지므로, 이 대응하는 포커스위치에 조정시키는 변화량을 메모리(40)에 기억시킨다. 또한, 초점거리를 광각측에서 망원측으로 변화시켰을 때에는 대응하는 포커스위치에 폭이 있으므로, 이 대응하는 소정폭의 포커스위치 중의 중간점에 조정시키는 변화량을 메모리(40)에 기억시킨다.
그래서, 예를들면 어떤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태에서 줌렌즈(12)에 의해 초점거리를 변화시켰을 때, 이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마스터렌즈(13)의 조정량을 이 메모리(40)의 기억정보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메모리(40)에 기억된 조정정보를 줌렌즈(12)에 의해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조정되었을 때에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로 독출한다. 그리고, 이 초점거리를 변환시키는 조정이 행해지는 동시에, 마스터렌즈(13)를 구동시키는 스테핑모터(35)의 드라이브회로(34)에 독출된 조정정보에 의한 구동제어데이터를 공급하고, 포커스위치(핀트가 맞는 위치)가 일정해지도록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킨다.
또한, 도면중(42)는 셔터스위치를 표시하고, 이 셔터스위치(42)는 중앙제어장치(30)와 접속되어 있고, 셔터스위치(42)를 누름으로써, 중앙제어장치(30)가 촬영을 위한 소정의 동작제어를 행하고, 자기디스크(25)에의 영상신호를 기록한다. 이 경우, 이 셔터스위치(42)는 절반만 눌린상태와 완전히 눌린상태와 눌리지 않은 상태의 3상태를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완전히 눌린상태에서 촬영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반눌림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상기 자동적인 초점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스틸카메라장치에 의해 촬영할 때의 포커스제어를 중심으로 한 동작의 일예를 제2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촬영전에 행하는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줌렌즈(12)에 의한 화각의 조정이 종료되었을 때와, 셔터가 반눌림상태일 때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30)는 제2도의 플로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텐쇼미터(39)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의해 줌렌즈(12)가 움직여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동시에, 셔터스위치(42)가 반눌림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줌렌즈(12)가 움직여서 정지했을 때, 또는 셔터스위치(42)가 반눌림 상태일 때에는 중앙제어장치(30)가 가산회로(33)측에서 현재 공급되는 가산치데이터를 판단하면서, 드라이브회로(34)에 의해 스테핑모터(35)를 구동시켜서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키고, 가산치가 최대로 되는 위치에서 마스터렌즈(13)를 정지시키고, 초점을 맞춘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다음에 줌렌즈(12)가 움지여서 정지했을 때 또는 셔터스위치(42)가 반눌림 상태로 될 때까지, 이때의 마스터렌즈(13)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셔터스위치(42)가 완전히 눌린 시점에서 촬영해서 얻은 영상신호를 자기디스크(25)에 기록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예의 스틸카메라장치에 의하면, 줌렌즈(12)의 이동에 의한 화각의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화각의 조정이 행해지기 전이나 화각의 조정중에는 포커스조정이 행해지는 일이 없으며, 촬영전에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이 행해지는 회수(시간)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위한 전력소비가 최소한으로 억제되므로, 이 카메라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각을 조정하지 않고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하고 싶을 때에는 촬영자가 셔터스위치(42)를 반눌림상태로 하면 되고, 화각의 조정과 관계없이 포커스조정도 간단히 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적용해서 유효한 오토퍼커스장치를 제3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촬영전에 행하는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줌렌즈(12)에 의해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화각의 조정이 종료되었을 때와, 셔터가 반눌림 상태에 있을 때에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30)는 제3도의 플로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로서의 하이패스필터(31),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2), 가산회로(33)를 통해서 공급되는 가산치데이터에 의해 현재 촬영렌즈(10)가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1). 그리고,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포텐쇼미터(39)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에 의해 줌렌즈(12)가 초점거리가 짧아지도록(망원측에서 광각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2 및 103). 그리고, 초점거리가 짧아지도록 이동하여 정지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메모리(40)에 기억된 조정정보에 따라 포커스위치가 일정해지도록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켜서, 동일 위치에 있는 피사체에의 초점을 맞춘상태가 연속해서 행해지도록 한다(스텝 104).
그리고, 이 포커스위치가 일정해지는 포커스위치의 보정이 행해진 후에, 재차 망원측에서 광각측으로 화각조정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3). 그리고, 화각조정이 되어있지 않다(즉 포커스위치의 보정이 행해지고 나서 화각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로 가산회로(33)측에서 공급되는 가산치 데이터를 판단하면서, 드라이브회로(37)에 의해 스테핑모터(38)를 구동시켜서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키고, 적분치가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마스터렌즈(13)를 정지시켜서, 초점을 맞춘상태로 한다(스텝 105).
그리고, 스텝 101에서 중앙제어장치(30)에 공급되는 가산치데이터에 의해 현재촬영렌즈(10)가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줌렌즈(12)가 초점거리가 짧아지도록 이동해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6). 그리고, 초점거리가 짧아지도록 이동하여 정지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중앙제어장치(30)가 가산회로(33)측에서 현재 공급되는 가산치데이터를 판단하면서, 드라이브회로(37)에 의해 스테핑모터(38)를 구동시켜서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키고, 적분치가 최대로 되는 위치에서 마스터렌즈(13)를 정지시켜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한다(스텝 107).
또한, 이 때에 초점거리가 짧아지도록은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계속해서 줌렌즈(12)가 초점거리가 길어지도록 이동하여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8). 그리고, 초점거리가 길어지도록(광각측에서 망원측으로)이동하여 정지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도, 중앙제어장치(30)가 가산회로(33)측에서 현재 공급되는 가산치데이터를 판단하면서, 드라이브회로(37)에 의해 모터(38)를 구동시켜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켜서, 가산치가 최대로 되는 위치에서 마스터렌즈(13)를 정지시키고, 초점을 맞춘 상태로 한다(스텝 107).
또한, 스텝 101에서의 현재촬영렌즈(10)가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지의 여부판단으로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스텝 102에서 줌렌즈(12)가 초점거리가 짧아지도록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때도, 줌렌즈(12)가 초점거리가 길어지도록 이동하여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8), 이동하여 정지했다고 판단하였을 때, 중앙제어장치(30)가 가산회로(33)측에서 현재 공급되는 가산치 데이터를 판단하면서, 드라이브회로(37)에 의해 모터(38)를 구동시키고, 마스터렌즈(13)를 이동시켜서, 가산치가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마스터렌즈(13)를 가산하고, 초점을 맞춘상태로 한다(스텝 107).
그리고, 어떤 경우라도 다음에 줌렌즈(12)가 이동하여 정지했을 때까지, 이 때의 마스터렌즈(13)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셔터스위치(42)가 완전히 눌린 시점에서 촬영해서 얻은 영상신호를 자기디스크(25)에 기록시킨다. 그래서, 줌렌즈(12)에 의해 화각의 조정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하지 않고 대기한다.
또한, 제2도의 플로차트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셔터스위치(42)가 반누름 상태로 되었을 때에도,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로 자동적인 초점의 조정을 행하게 한다.
이와같이 본 예의 스틸카메라장치에 의하면, 촬영렌즈(10)로서 기계적인 기구부품에 의한 초점거리조정시의 포커스위치보정이 되어 있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줌렌즈(12)의 이동에 의한 화각의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포커스위치의 보정 또는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이 행해지고, 줌렌즈(12)의 이동에 의한 화각의 조정을 행해도,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이, 양호하게 피사체에 핀트가 계속 맞추어진다. 즉, 화각조정을 하기 전에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경우에는 망원측에서 광각측으로 화각조정이 행해졌을 때, 촬영렌즈(10)의 피사계심도(핀트가 맞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초점거리가 변화한 만큼에 상당하는 포커스위치를 보정하면, 연속해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며, 이 포커스위치의 보정이 행해져서 피사체에 핀트가 계속 맞추어진다. 그리고, 화각조정을 하기 전에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않을 경우에, 망원측에서 광각측으로 화각조정이 행해졌을 때에는 이 포커스위치의 보정이 행해지는 일 없이 즉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이 행해지므로, 신속하게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파인더로 촬영상태를 모니터하고 있는 경우에, 줌렌즈(12)에 의한 화각의 조정을 도, 즉시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보기 쉬운 화상이 얻어진다.
그리고, 광각측에서 망원측으로 화각조정이 행해졌을 때에는 촬영렌즈(10)의 피사계심도가 좁아지므로, 단순히 상기 포커스위치를 보정한 것만으로는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는 범위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지만, 이 경우에도 포커스위치의 보정이 행해지는 일 없이 즉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이 행해지므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지 않는 사고가 방지된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이 포커스제어가 행해질 경우에, 마이크로컴퓨터구성의 중앙제어장치(30)에 의한 제어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촬영렌즈(10)가 캠홈 등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촬영렌즈(10)를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으며, 촬영렌즈(10)가 장착된 카메라장치를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각을 조정했을 때만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이 행해지므로, 촬영 전에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이 행해지는 회수(시간)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위한 전력소비가 최소한으로 억제되며, 이 카메라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각을 조정하지 않고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하고 싶을 때에는 촬영자가 셔터스위치(42)를 반누름 상태로 하면 되며, 화각의 조정과 관계없이 포커스조정을 하는 것도 간단히 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적용하여 유효한 실시예를 제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초점맞춤용 렌즈로서의 마스터렌즈(13)의 가동 동위를 도시한 것으로, 초점거리가 가장 짧은 상태(광각)로 되어 있을 때, 소정위치 W1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초점거리가 가장 긴 상태(망원)로 변환시켰을 때, 광각시의 초점맞춤위치 W1에 대응하는 초점맞춤위치는 범위 To 내의 어딘가가 된다. 여기서, 본 예에 있어서는 이 초점이 맞추어지는 범위 To 내의 중간점인 위치 T1로 하는 변화량의 데이터가 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에 따라 중앙제어장치(30)의 제어로 스테핑모터(35)가 마스터렌즈(13)를 T1의 위치로 구동시킨다. 이 구동은 예를들면 줌렌즈(12)가 이동해서 초점거리의 조정이 종료된 때에 행한다. 또는, 초점거리의 조정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점차 이 포커스위치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해서 초점이 맞추어지는 범위의 중간위치에 조정시킴으로써, 피사체에 가장 잘 초점이 맞추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고, 피사체에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연속해서 행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초점거리가 긴 상태(망원)에서 짧은 상태(광각)로 변화시켰을 때에는 예를들면 제2도의 범위 To 내의 위치가 망원시에 선택되어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때 광각시에는 대응하는 초점이 맞추어지는 위치가 W1 점뿐이므로, 메모리(40)의 데이터에서 이 점 W1점에 구동시킨다.
또한, 제4도에 있어서, a는 무한원 ∞일 때의 마스터렌즈(13)의 위치, b는 지근(至近)거리일 때의 마스터렌즈(13)의 위치변화를 각각 도시한다.
이와같이 조정함으로써, 망원측에서 광각측으로 화각이 변화했을 때에는 동일 위치에 있는 피사체에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가 연속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이와같이 화각에 대응한 마스터렌즈(13)의 조정이 행해지면서, 셔터스위치(42)가 완전히 눌린시점에 촬영해서 얻은 영상신호를 자기디스크(25)에 기록시킨다.
이와같이 본 예의 스틸카메라장치에 의하면, 촬영렌즈(10)로서 기계적인 기구부품에 의한 초점거리 조정시의 포커스위치보정이 행해지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줌렌즈(12)의 이동에 의한 화각의 조정이 행해지는 동시에, 적정한 포커스위치의 보정이 행해지고, 줌렌즈(12)의 이동에 의한 화각의 조정을 해도,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이 양호하게 피사체에 핀트가 계속 맞는다. 이 경우, 특히 본 예와 같은 인너포커스형 렌즈장치는 구조상 캠홈 등의 기구로 포커스위치를 보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메모리(40)의 기억데이터만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는 크다.
또한, 광각측에서 망원측으로 화각조정이 행해져서, 대응하는 렌즈위치의 중간점에 포커스위치조정이 행해진 다음, 가산치의 검출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하도록 해서, 보다 확실하게 초점을 맞추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미 중간점에의 포커스위치조정으로 가장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되는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피사체가 이동하지 않는 한 초점이 맞지 않은 상태라도, 어긋나는 것은 근소하며, 마스터렌즈(13)의 근소한 이동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자동적인 포커스조정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망원측에 화각조정을 했을 때, 대응하는 렌즈(13)의 위치의 중간점에 포커스위치조정이 행해지도록 하였지만, 중간점보다 약간 어긋난 위치쪽이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때에는 이 중간점에서 약간 어긋난 위치에의 조정데이터를 메모리(40)에 기억시키면 된다.
여기서,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사고방식을 화이트밸런스회로에 적용한 일예이다. 또한, 제1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여기서, 고체촬상소자(21)에서 출력된 촬상신호를 촬상신호처리회로(55)에서 3원색신호(적색신호, 녹새신호, 청색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3원색신호중 적색신호 R 및 청색신호 B를 각각 후술하는 가변저항기(61) 및 (62)를 통해서 영상신호처리회로(56)에 공급하고, 이 영상신호처리회로(56)에서 NTSC방식 등의 소정의 포매트의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영상신호처리회로(56)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기록회로(23)에 공급하고, 이 기록회로(23)에서 기록용의 소정처리가 된 1필드(또는 1프레임)의 정지화상의 영상신호를 자기헤드(24)에 공급하고, 자기디스크(25)의 소정트랙에 기록시킨다.
또한, 영상신호처리회로(56)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구동회로(27)에 공급하고, 이 구동회로(27)에서 전자뷰파인더를 구성하는 컬러액정표시패널(28)을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CCD 이미져(21)가 촬상한 영상이 컬러로 액정표시패널(28)에 표시된다. 이 액정표시패널(28)에서는 촬상한 영상이 동화(動畵)로서 표시된다.
또한, 촬상신호처리회로(55)가 출력하는 3원색신호를 적분회로(51)에 공급하고, 이 적분회로(51)로 1화면분(즉 1필드분 또는 1프레임분)의 원색신호를 적분하여, 적분치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2)에 공급해서 디지털데이터로 하고, 이 디지털데이터를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에 공급한다. 그리고,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에서 각각의 원색신호의 적분치의 비율이 소정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의 화이트밸런스를 판단한다. 즉, 1 화면분의 각 원색신호를 모두 적분함으로써, 화이트밸런스가 적정할 때에는 백색의 화면의 촬상신호와 대략 같아진다고 상정하여, 이 백색의 화면의 촬상신호의 경우와 같은 비율(즉 적색신호, 녹색신호, 청색신호가 대략 1:1:1의 비율)일 때 화이트밸런스가 적정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이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는 CPU(30)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같이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화이트밸런스의 판단에 따라 적색신호 R 및 청색신호 B의 게인에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디지털 /아날로그변환기(54)에 공급하고, 이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54)로 변환된 각각의 제어데이터를 가변저항기(61) 및 (62)에 공급한다. 그리고, 각각의 가변저항기(61) 및 (62)에서는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측에서 공급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 저항치가 설정되고, 촬상신호처리회로(55)측에서 공급되는 적색신호 R 및 청색신호 B를 이 설정된 저항치에 의한 게인으로서, 영상신호처리회로(56)에 공급한다.
이와같이, 1화면분의 촬상신호의 적분치에 따라 화이트밸런스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회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1990)-19479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자동적인 화이트밸런스조정은 촬영모드에 따라서는 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CPU(30)에 의해 설정되는 이 전자스틸카메라의 촬영모드가 색온도를 고정해서 행하는 모드일 때 등에 가변저항기(61) 및 (62)의 저항치를 소정치에 고정시킨다. 또는, 자동적인 화이트밸런스조정을 행하는 경우라도, 각각의 원색신호의 적분치의 비율이 현저히 다를 때, 자동적인 화이트밸런스조정을 할 수 없는 화상(예를들면 전체면이 적색의 화상)을 촬영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가변저항기(61) 및 (62)의 저항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면중(39)는 촬영렌즈(10)의 초점거리조정용 렌즈로서의 줌렌즈(12)의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를 표시하며, 이 포텐쇼미터(39)의 검출데이터를 CPU(30)에 공급한다. 그리고, 도면중(42)는 셔터보턴을 표시하며, 이 셔터보턴(42)을 눌렀을 때 대응한 제어신호를 셔터보턴(42)으로부터 CPU(30)에 공급한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CPU(30)가 포텐쇼미터(39)의 검출데이터에서 줌렌즈(12)의 이동을 검출하고, 이 이동이 정지했을 때에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CPU(30)가 셔터보턴(42)의 반누름상태를 검출했을 때에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를 작동시킨다. 즉, 제6도의 플로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30)는 셔터보턴(42)이 반누름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동시에, 줌렌즈(12)가 이동해서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셔터보턴(42)이 반누름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와, 줌렌즈(12)가 이동해서 정지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를 작동시켜서, 영상신호처리회로(56)에 공급되는 각 원색신호 R, G, B의 벨의 비율을 소정범위로 조정한다.
그리고, 화이트밸런스제어로(53)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적분회로(51),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2),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54)에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등으로, 이들의 회로의 작동도 정지시킨다.
본 예의 전자스틸카메라는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화이트밸런스조정이 촬영개시전에 양호한 타이밍으로 행해진다. 즉, 촬영개시전에 촬영자가 줌렌즈(12)를 이동시켜 초점거리를 조정하여 화각을 설정(프레이밍)함으로써, 이 화각의 설정이 종료되어 줌렌즈(12)가 정지되면, CPU(30)가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를 작동시켜서, 자동적인 화이트밸런스조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촬영개시전에 피사체에 대응한 화각을 설정하는 작업을 촬영자가 행함으로써, 이 화각의 설정직후에 화이트밸런스가 적정한 것으로 자동조정되고, 전자뷰파인더를 구성하는 컬러액정표시패널(28)에 화이트밸런스가 적정한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촬영자는 이 화상을 보고 촬영되는 화상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화각의 설정을 행하지 않고 촬영을 하는 경우(즉 초점거리를 변화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촬영자가 셔터보턴(57)을 반누름상태로 함으로써, 화각설정시와 같이 CPU(30)가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를 작동시켜서, 자동적인 화이트밸런스조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해서 촬영개시전에 자동적으로 화이트밸런스조정이 행해짐으로써, 촬영자는 피사체에 대응한 화각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되며, 화이트밸런스조정을 위한 조작이 필요없고, 촬영조작이 간단해지고, 예를들면 스피디한 촬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사체에 대응한 화각을 설정한 후는 화이트밸런스가 적정하게 조정된 화상이 전자뷰파인더에 표시되고, 전자뷰파인더의 표시로 촬영되는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상태도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촬영개시전에 자동적으로 화이트밸런스조정이 행해지는 것은 화각을 설정했을 때와 셔터보턴(57)을 반누름상태로 했을 때 뿐이므로, 화이트밸런스제어회로(53) 등의 화이트밸런스조정을 위한 회로가 작동하는 시간이 최저한으로 억제되며, 촬영에 필요한 전력이 적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이트밸런스조정회로로서 제어회로(53)가 입력하는 원색신호를 화이트밸런스조정전의 신호로 한 개루프구성으로 하였으나, 제어회로(53)가 입력하는 원색신호를 화이트밸런스조정 후의 신호로서 폐루프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별도의 구성의 화이트밸런스조정회로로 해도 된다. 그리고,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여러가지 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입사된 광학상을 확대하는 줌렌즈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용 렌즈와,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줌렌즈 및 초점맞춤용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상기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이 맞는 초점맞춤용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줌렌즈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의 이동이 검출될 때,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하고,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이 상기 광전 변환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얻어진 영상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검파하는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의 고주파 성분이 검파되고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초점 거리가 긴 상태를 나타내는 제1위치로부터 초점 거리가 짧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2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줌렌즈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의해 얻고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가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의 고주파 성분이 검파되지 않고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광전 변환부의 출력신호로부터 구한 영상신호에 따라 초점맞춤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
  2. 입사된 광학상을 확대하는 줌렌즈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용 렌즈와,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줌렌즈 및 초점맞춤용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상기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용 렌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이 맞는 초점맞춤용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줌렌즈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의 이동이 검출될 때,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하고,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초점 거리가 긴 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로부터 초점 거리가 짧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까지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줌렌즈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의해 얻고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하며,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제1위치에 대응하는 초점맞춤용 렌즈위치 범위 중 대략 중간 위치로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
  3. 입사된 광학상을 확대하는 줌렌즈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용 렌즈와,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줌렌즈 및 초점맞춤용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상기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화부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이 맞는 초점맞춤용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줌렌즈 검출 수단에의해 상기 줌렌즈가 이동한 후 정지한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하고,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이 상기 광전 변환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얻어진 영상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검파하는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의 고주파 성분이 검파되고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초점 거리가 긴 제1상태로부터 초점 거리가 짧은 제2상태까지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줌렌즈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의해 얻고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가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고주파 성분 검파 회로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의 고주파 성분이 검파되지 않고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광전 변환부의 출력신호로부터 구한 영상신호에 따라 초점맞춤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
  4. 입사된 광학상을 확대하는 줌렌즈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용 렌즈와,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줌렌즈 및 초점맞춤용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상기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와, 상기 입사된 광학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의 상태를 검출하는 초점맞춤용 렌즈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줌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이 맞는 초점맞춤용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줌렌즈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이동한 후 정지한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초점맞춤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상기 모터에의해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하고,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초점 거리가 긴 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로부터 초점 거리가 짧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까지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줌렌즈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의해 얻고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하며, 상기 줌렌즈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줌렌즈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제1위치에 대응하는 초점맞춤용 렌즈 위치 범위 중 대략 중간 위치로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초점맞춤용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
KR1019910017176A 1990-10-01 1991-10-01 전자스틸카메라 KR100211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63582 1990-10-01
JP?90-263,582? 1990-10-01
JP2263582A JPH04139431A (ja) 1990-10-01 1990-10-01 カメラ装置
JP2322103A JP3036067B2 (ja) 1990-11-26 1990-11-26 カメラ装置
JP?90-322,103? 1990-11-26
JP40735990A JP3277375B2 (ja) 1990-12-07 1990-12-07 電子スチルカメラ
JP?90-407,359? 1990-12-07
JP?91-56,986? 1991-03-20
JP3056986A JP3038954B2 (ja) 1991-03-20 1991-03-20 カメ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531A KR920008531A (ko) 1992-05-28
KR100211531B1 true KR100211531B1 (ko) 1999-08-02

Family

ID=2746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176A KR100211531B1 (ko) 1990-10-01 1991-10-01 전자스틸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85669A (ko)
EP (1) EP0479671B1 (ko)
KR (1) KR100211531B1 (ko)
DE (1) DE691200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787B2 (ja) * 1990-05-14 2001-05-28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JP2838734B2 (ja) * 1991-05-02 1998-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
JPH05183795A (ja) * 1991-12-28 1993-07-23 Sony Corp 撮像装置
JP3271150B2 (ja) * 1992-03-30 2002-04-02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位置調整装置及び方法
EP0579404B1 (en) * 1992-06-29 1999-08-25 Canon Kabushiki Kaisha Lens control apparatus
JPH0779444A (ja) * 1993-09-06 1995-03-20 Asahi Optical Co Ltd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3726440B2 (ja) * 1997-08-28 2005-12-1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制御方法
JPH11127376A (ja) * 1997-10-20 1999-05-11 Fuji Photo Optical Co Ltd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装置
JP3897481B2 (ja) * 1999-06-04 200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3934954B2 (ja) 2002-02-07 2007-06-20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3757906B2 (ja) * 2002-05-28 2006-03-22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2005084632A (ja) * 2003-09-11 2005-03-31 Toshiba Corp 電子カメラおよび電子カメラの制御方法
JP5928062B2 (ja) * 2012-03-26 2016-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8520A (en) * 1981-06-19 1982-12-21 Hitachi Ltd Automatic focusing device
JP2537170B2 (ja) * 1984-09-29 1996-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H0654366B2 (ja) * 1985-05-20 1994-07-20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ズ−ミング方法およびズ−ミング装置
JPH01293771A (ja) * 1988-05-20 1989-11-27 Victor Co Of Japan Ltd オートフォーカス方式
US5005956A (en) * 1988-06-01 1991-04-09 Canon Kabushiki Kaisha Lens position control device
JP2644530B2 (ja) * 1988-06-01 1997-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位置制御装置
DE68929203T2 (de) * 1988-07-29 2000-11-30 Canon Kk Automatische fokusjustierende Vorrichtung im Kamerasystem
US4991944A (en) * 1988-12-27 1991-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Zoom lens driving apparatus
JP2751297B2 (ja) * 1989-01-24 1998-05-18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回路
JPH0313073A (ja) * 1989-06-09 1991-01-22 Canon Inc 自動焦点調節装置
JPH0479671A (ja) * 1990-07-23 1992-03-13 Brother Ind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85669A (en) 1993-02-09
EP0479671A2 (en) 1992-04-08
EP0479671A3 (en) 1992-07-08
DE69120011T2 (de) 1996-11-28
KR920008531A (ko) 1992-05-28
EP0479671B1 (en) 1996-06-05
DE69120011D1 (de) 199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124B2 (en) Digital camera
JP3634232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822334B2 (en) Imaging device and in-focus control method
JP4024404B2 (ja) カメラ
JPH0431474B2 (ko)
JP2001177761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211531B1 (ko) 전자스틸카메라
JP3726630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1186401A (ja) デジタルカメラ
US7071973B1 (en) Digital camera having multiple image taking modes
JP2001275033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CN111868597A (zh) 摄像装置、其对焦辅助方法及其对焦辅助程序
JP3179514B2 (ja) カメラ装置
JP2987015B2 (ja) ビデオカメラ及び光学装置
JP2008039976A (ja) 撮像装置
JP4015269B2 (ja) 電子カメラ
JP3036067B2 (ja) カメラ装置
JPH09179014A (ja) ビデオカメラ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3038954B2 (ja) カメラ装置
JP3017796B2 (ja) カメラ装置
JP2580105B2 (ja) 電子カメラ
JPH06205258A (ja) 合焦位置検出装置
JPH04369184A (ja)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H04296175A (ja) カメラ装置
JP2916729B2 (ja) カメラのレンズ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