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845B1 - 조립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조립 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1845B1 KR100201845B1 KR1019920000415A KR920000415A KR100201845B1 KR 100201845 B1 KR100201845 B1 KR 100201845B1 KR 1019920000415 A KR1019920000415 A KR 1019920000415A KR 920000415 A KR920000415 A KR 920000415A KR 100201845 B1 KR100201845 B1 KR 100201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workpiece
- supply pallet
- unit
- pat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15—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a series disposition of working devices not corresponding with the sequence of the wor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24—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with means to feed work intermittently from one tool station to anoth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6—Multiple station with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의 교체에 있어서의 작업공정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작업의 틈에 생기는 시간의 쓸데없는 공백시간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그의 주요구성은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가 제 1 및 제 2의 이송로(2),(3)와 함께 2개의 리턴유닛(5)(6)에 의해 구성되는 루프상의 이송경로위를 순회하고 있으므로, 그중의 필요로하는 공작물이 들어 있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반송유닛(11)에 의해 가공기(9)의 작업영역(12)으로 거둬들여 작업을 하고, 작업이 종료한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반송유닛에 의해 재차 상기 이송경로에 되돌리고, 이와 같은 공정을 각 가공기에 대하여 적절하게 행하고, 모든작업이 종료한 공작물 또는 작업이 끝난 부품공급 팰리트를 검출수단(7)(8)이 검출하여 리턴유닛이 그것을 인접하는 다음의 조립·가공장치의 이송로에 인도하던지 또는 배출하는 것을 되어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조립·가공장치의 개요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도는 작업 유닛(Unit)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작업유닛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공작물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5도는 공정을 교체한 경우의 공작물의 흐름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6도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제7도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제8도는 제 7도의 VⅢ-V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9도는 종래의 조립·가공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조립·가공장치에 관하여 공정을 교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가공장치 2 : 제 1의 이송로
3 : 제 2의 이송로 4 :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
5 : 리턴유닛 6 : 리턴유닛
7 : 검출수단 8 : 검출수단
9 : 가공기 10 : 검출유닛
11 : 반송유닛 12 : 작업영역
13 : 거둬들이는 기구 14 : 되돌리는 기구
본 발명은 신규한 조립·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라인을 교체하는데 있어서의 작업공정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작업의 틈에 생기는 쓸데없는 공백시간을 없앨 수 있는 신규한 조립·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의 다품종 소량생산 경향에 대웅하기 위해, 하나의 생산라인상에 동시에 복수종류의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흘려서 조립.가공을 하도록 되어왔다.
이런 경우, 필요로 하는 작업마다 유닛(Unit)화 하던,각 유닛에 로보트를 사용함으로써 범용성을 가지게 하여,약간의 공작물의 변경에는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왔다.
그러나, 한번 라인의 유닛구성을 결정하면, 그 구성자체를 바꾸는 것은 곤란하며, 작업의 대폭적인 변경에 대하여는 라인 그 자체의 교체에 의해 대응할 수 밖에 없었다.
즉,제9도에 있어서,(a)가 하나의 조립.가공라인이며 A, B, C는 각각 로보트를 갖춘 작업유닛이다.
그리고,공작물(b)은 상기 라인(a)위를 A, B, C순으로 흘러가고, 각 작업유닛A, B, C에 있어서 순차작업을 하여서 꺼내는 위치(C)에 꺼내진다.
예를들면,공작물의 변경이 공정을 A, C, B의 순으로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할 때에는, 작업유닛 B 와 C 를 교체하여 A, C, B의 순으로 배열된 별도의 라인(d)(제10도 참조)으로 구성하고 정정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그리고, 이와같은 라인 구성의 교체는 현저히 시간이 걸리므로 이 작업에 반나절 이상을 요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더구나 다품종 소량생산의 요청에 의해, 라인구성의 교체를 빈번히 할 필요가 있고, 이 결과 이러한 라인을 가지는 공장의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제1의 것은,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상반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1,제 2의 이송로와,제 1 및 제 2의 이송로의 종단부 또는 도중에 삽입되어 제 1의 이송로상에서 이송되어 온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2의 이송로에 옮기는 리턴유닛과, 제 2의 이송로상에서 이송되어 온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1의 이송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공작물의 가공기와 제 1의 이송로상의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의 종별이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검출유닛과, 검출유닛에 의해 식별된 가공하여야할 공작물 또는 필요한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1의 이송로에서 꺼냄과 동시에,가공종료후에는 재차 제 1의 이송로에 되돌리기 위한 반송유닛를 갖춘 것이다.
또,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제 2의 것은,상기 리턴유닛이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에 관한 정보를 독해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이 검출수단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한 것을 검출하였을 때,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가 작업이 끝났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1,제 2의 이송로에는 올려 놓지않고 인접하는 조립·가공장치의 이송로에 인도하든가, 또는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또,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제 3의 것은,반송유닛이 제 1의 이송로상의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거둬들여 가공기의 작업 영역내에로 이동시키는 거둬드리는 기구와, 가공기에 의한 작업을 끝낸후의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재차 제 1의 이송로상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한 되돌리는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에 있어서는,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가 제 1 및 제 2의 이송로와 함께 2개의 리턴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루프 형태의 이송경로상을 순회하고 있으므로, 그중의 필요로 하는 공작물이든 부품공급 팰리트를 반송유닛에 의해 가공기의 작업영역으로 거둬들여 조립내지 가공의 작업을 하여 작업이 종료한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반송유닛에 의해 재차 상기 이송경로로 되돌려 이와같은 공정을 각 가공기에 대하여 적의 수행하고,모든 작업이 종료한 공작물 또는 작업이 끝난 부품공급 팰리트를 검출하여 리턴유닛이 그것을 인접하는 다음의 조립·가공장치의 이송로에 인도하던가 또는 배출한다.
따라서,당해 조립·가공장치에 의한 전작업이 끝난 공작물이 당해 조립·가공장치에서 배출됨으로 공작물의 변경등에 의해 작업순서가 가공기의 실제의 배열순서와 상이하게 되어도, 가공기의 배열을 교체 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당해 조립·가공장치의 각 가공기가 작업시간이 상이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단시간으로 끝날 작업을 하고 있는 가공기 혹은 부품공급팰리트에 상용할 부품이 없어진 가공기는 공백상태가 될때가 있다. 이와같은 때에,공백상태가 된 가공기는 다른 가공기의 작업을 돕는 것이 가능하게되고,이에따라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상세 설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개요에 관하여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해설명한다.
도면중(1)은 조립·가공장치이며, 상하에 늘어선 제 1및 제 2의 이송로(2)및(3)을 가지고 있다. 제 1의 이송로(2)위를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4...)가 제1도의 좌로부터 우로 이송되어가서, 제 2의 이송로(3)위를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 4,···)가 제1도의 우로부터 좌로 이송되어 간다.
(5)및(6)은 상기 2개의 이송로(2),(3)의 양단에 특별히 배치된 리턴유닛이며, 상류측의 리턴유닛(5)은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팰리트(4, 4,···)를 제 2의 이송로(3)에서 제 l의 이송로(2)에로 옮기는 것이며 하류측의 리턴유닛(6)은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 4,···)를 제 1의 이송로(2)로 부터 제 2의 이송로(3)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들 2개의 이송로(2), (3)와 2개의 리턴유닛(5), (6)에 의해 조립·가공장치(1)의 루프형태의 이송경로가 형성된다.
또한,이들 리턴유닛중 상류측의 것(5)은 조립·가공장치(1)의 상류측에 배치된 조립·가공장치(1a)에 있어서의 하류측 리턴유닛을 겸하고 있고, 또, 하류측의 것(6)은 조립·가공장치(1)의 하류측에 배치된 조립·가공장치(1b)의 상류측 리턴유닛을 겸하고 있다.
또, 이들 리턴유닛(5)및(6)은 각각 검출수단(7),(8)을 가지고 있고, 상류측 리턴유닛(5)의 검출수단(7)은 조립·가공장치(1a)의 이송경로를 흐르고 있는 공작물에 관하여는 이 조립·가공장치(la)에 있어서의 전작업이 종료한 것인지 아닌지를,부품공급 팰리트에 관하여는 작업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각각 검출하고,업이 종료한 공작물 및 작업이 끝난 부품공급 팰리트는 조립·가공장치(1a)의 제2의 이송로로 되돌리지 않고,공작물은 이것을 조립·가공장치(1)의 제 1의이송로(2)에 인도하고,작업이 끝난 부품공급 팰리트는 라인밖으로 배출한다. 또, 하류측 리턴유닛(6)의 검출수단(8)은 조립·가공장치(1)의 이송경로를 흐르고 있는 공작물에 관하여는 이 조립·가공장치(1)에 있어서의 전작업이 종료한 것인지 아닌지를,부품공급 팰리트에 관하여는 작업이 끝난것으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각각 검출하고, 전작업이 종료한 공작물 및 작업이 끝난것으로 된 부품공급 팰리트는 조립·가공장치(1)의 제 2의 이송로(3)로 되돌리지 않고, 공작물은 이것을 가공장치(1b)의 제 1의 이송로에 인도하고, 작업이 끝난 부품공급 팰리트는 라인밖으로 배출한다.
상기 루프 형태를 하기 위해 이송경로의 제 1의 이송로(2)에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3개의 작업유닛 A, B, C가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각 작업유닛 A, B, C는 각각 가공기로서 수평다관절형 로보트(9a)(9b)(9c)를갖추고 있다. 따라서, 작업프로그램을 바꿈으로써 여러가지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범용성이 뛰어나고, 또 제어부에서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바로 별도의 작업을 하게할 수 있어서 융통성도 풍부하다.
각 작업유닛 A, B, C에는 검출유닛(10)과 반송유닛(11)이 설치되어 있다.
검출유닛(10)은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4,···)에 부착되어 I/D를 독해하여, 그것이 로보트(9)의 작업영역으로 거둬들이는 것인지 아닌지의 선별을 하는 것이다.
이 검출유닛(10)은 제 1의 이송로(2)에 있어서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4,···)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유닛(11)은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 4···)를 제 1의 이송로(2)에서 로보트(9)의 작업영역(12)으로 거둬들이기 위한 거둬들이는 기구(13)과 가공후의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 4···)를 제 1의 이송로(2)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리는 기구(14)와 제 1의 이송로(2)로 되돌릴때에 공작물 및/또는 부품공급팰리트(4,4,···)의 I/D에 당해 작업이 종료한 뜻의 신호 또는 소정수의 부품을 꺼낸뜻의 신호를 부가하는 I/D부가부(15)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검출유닛(10)이 당해 로보트(9)로 작업을 요하는 공작물(4)(w)을 검출하면, 그 공작물(4)(w)을 거둬들이는 기구(13)가 로보트(9)의 작업영역(12)으로 거둬들인다. 또,당해 공작물(4)(w)로의 작업이 특정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것 일때는, 유닛(10)이 당해 부품을 수납한 부품공급 팰리트(4)(p)를 검출하면, 별도의 거둬들이는 기구(13)가 이 부품공급 팰리트(4)(p)를 상기 작업영역(12)의 별도의 위치로 거둬들인다. 이것에 의해 로보트(9)는 그의 작업영역(12)으로 온 공작물(4)(w)에 대하여(필요하다면,부품공급 팰리트(4)(p)에서 부품을 가지고 와서)소정의 작업을 한다.
그리고, 당해 로보트(9)에 의한 작업이 종료한 공작물(4)(w)및/또는 부품의 공급을 끝낸 부품공급 팰리트(4)(p)는 각각 되돌리는 기구(14)(14)에 의해 제 1의 이송로(2)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제 1의 이송로(2)로 되돌려질때에,공작물(4)(w)에 관하여는 당해 로보트(9)에 의한 작업이 종료한 뜻의 또, 부품공급 팰리트(4)(p)에 관하여는 소정의 부품이 꺼내진 뜻의, 새로운 I/D가 I/D부가부(15)에 의해 부가된다.
이와같이 하여, 각 작업유닛 A,B,C에 의한 작업이 종료한 공작물(4)(w)은 그의 뜻이 리턴유닛(6)의 검출수단(8)에 의해 검출되고, 이 공작물(4)(w)은 이 조립·가공장치(l)의 제 2의 이송로(3)에 인도되지 않고 다음의 조립·가공장치(1b)로 인도된다.
또, 수납하고 있던 부품의 전부가 꺼내져서 일이 끝난것으로 된 부품공급 팰리트(4)(p)는 그 뜻이 리턴유닛(6)의 겸출수단(8)에 의해 검출되고 이 부품공급 팰리트(p)는 조립.가공라인에서 배출된다.
조립·가공장치(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 공정의 교체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지금,제 4도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작업 공정이「A→B→C」의 순으로 행하여지고 있던 [각 공정에서의 작업이 끝난 공작물(4)(w)을(4)(w)[X](또한, X=A, A+B, A+B+C등)이라고 나타낸다]것을 교체하여「A→C→B」라는 작업공정으로 할 경우에는 작업유닛(A)으로 공작물(4)(w)을 거둬들여 가공한((4)(w)[A]후, 제 1의이송로(2)상에 공작물(4)(w)[A]을 되돌지고, 작업유닛(B)으로는 공작물(4)(w)[A]의 가공을 패스하여 작업유닛(C)에 거둬들여 가공한다((4)(w)[A+C]). 그리고 리턴유닛(6)에서는 공작물(4)(w)[A+C]을 제 2의 이송로(3)에 올려놓고 리턴유닛(5)에 단순히 인도한다. 리턴유닛(5)은공작물(4)(w)[A+C]을 재차 제 1의 이송로(2)상에 올려놓는다. 그후 공작물(4)(w)[A+C]은 작업유닛(A)를 패스하여 작업유닛(B)으로 거둬들여 가공된((4)(w)[A+C])후 작업유닛(C)을 패스하여 리턴유닛(6)에 송출된다.
리턴유닛(6)은 내부의 검출수단(8)에 의해 공작물(4)(w)[A+C+B]에 관하여 가공이 종료한 것을 검출하면 다음의 조립·가공장치(1b)로 이송하고, 가공이 종료하고 있지않은 공작물(4)(w)은 제 2의 이송로(3)로 되돌린다.이 사이의 공작물(4)(w)의 흐름을 제5도에 나타낸다. 이와같이 각 작업 유닛(A)(B)(C)의 위치는 전혀 바꾸지 않고 공정순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작업시간이 각 작업유닛(A)(B)(C)으로 균등화 되어 있지 않고, 예를들면, 작업유닛(C)이 가장 시간이 걸리는 일을 받고 있는 것 같은 경우를 상정한다. 지금, 작업유닛(B)이 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에 부품공급 팰리트(4)(p)상의 부품이 없어졌을 경우에는, 작업유닛(B)의 로보트(9b)는 다음의 부품공급 팰리트(4)(p)가 올때까지의 사이틈이 생기는 상태가 된다. 이 사이에 작업유닛(B)은 작업유닛(C)에 관계되는 부품공급 팰리트(4)(p)를 거둬들여 장치(C)의 작업을 거드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제6도 내지 제8도에 의해 조립·가공장치(1)의 작업유닛(A,B,C중의 하나)에 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것은 2개의 이송경로가 평행으로 늘어서서 설치되고, 이들 2개의 이송경로의 2개의 제 1의 이송로(2)와 (2)와의 중간에 한개의 수평다관절형 로보트(9)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로보트(9)의 작업가능범위는 (16)으로 내는 범위가 되고, 따라서 4개의 작업영역(12a)(12b)(12c)(12d)가 설치된다. 따라서 반송유닛도 4개(11a)(11b)(11c)(11d)가 설치된다.
각 이송로(2,2,···)(3,3,··)는 롤러콘베어로서 구성되어 있고,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4,···)는 그의 양측 가장자리를 롤러(17,17,··)에 지지되어서 반송된다.
각 반송유닛(11)의 거둬들이는 기구(13)는 들어올리는 부(18)와 끌어들이는 부(19)로 이루어진다.
(20)은 승강대이며,기틀(21)의 측면에 따라 펴지는 기부(22)와 이 기부(22)에 기틀(21)의 측면에서 멀어진 쪽에 돌출되어 설치된 팔편(23)(23)과 팔편(23)(23)과의 사이에 건너지르는 상태로 지지된 재치대(24)로 이루어지고,팔편(23),(23)은 상기 롤러(17,17,··)의 인접하는 것 끼리의 사이를 통하여 상하로 되는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그의 선단부는 기틀의 중간벽(25)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26)은 기틀(21)의 측면부에 고정된 실린더이며,상기 승강대(20)는 이 실린더(2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이들 승강대(20)와 실린더(26)에 의해 들어올리는 부(18)가 구성된다.
(27)은 누름판이며, 기틀(21)의 상면의 측면부에 따라 배치된 실린더(28)에 의해 전후방향(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4,···)의 반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이들 누름판(27)과 실린더(28)에 의해 끌어들이는 부(19)가 구성된다.
(29)는 되돌리는 기구(14)의 승강대이며,대략「H」자 형태를한 재치편(30)과 이 재치편(30)의 중간편에서 측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한 팔편(31,31,··)과 이들 팔편(31,31,··)의 측단부를 연결한 기부(32)로 이루고,팔편(31),(31)은 상기 롤러(17,17,···)의 인접하는 것 끼리의 사이를 통해서 상하로 되는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재치편(30)의 하면에 I/D부가부(15)가 부착되어 있다.
(33)은 기틀(21)의 측면부에 고정된 실린더이며,상기 승강대(29)는 이 실린더(3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이들 승강대(29)와 실린더(33)에 의해 되돌리는 기구(14)가 구성된다.
초기상태에 있어서 들어올리는 부(18)의 승강대(20)는 제 1의 이송로(2)의 롤러(17,17,...)보다 아래위치에 있고, 끌어들이는 부(19)의 누름판(27)은 그의 이동범위중의 작업영역(12)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고, 되돌리는 기구(l4)의 승강대(29)는 작업영역(12)에 있다.
그리고,제 1의 이송로(2)상을 반송되어 오는 공작물(4)(w)이나 부품공급팰리트(4)(p)중 작업영역(12)으로 끌어들여야 할 것을 검출유닛(10)이 검출하면,승강대(20)가 상승하고 당해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중간의 위치(18a)를 거쳐 상단의 위치(18b)까지 들어올린다. 이때 작업영역(12)이 앞의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가 막혀있을 때는 작업영역(12)이 빌때까지 중간의 위치(18a)로 대기한다. 또한, 이 경우라도 끌어들이는 부(19)의 누름판(27)이 그 이동범위중의 작업영역(12)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와 있을때는 상단의 위치(18b)까지 가서 대기한다. 이와같이 들어올리는 부(18)의 각 위치(18a) 및 (18b)는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일시적으로 대시시키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가 상단의 위치(18b)까지 오면, 끌어올리는 부(19)의 누름판(27)이 작업영역(12)으로 향해서 이동하고,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작업영역(12)으로 끌어들여, 이 위치에 와 있는 되돌리는 기구(14)의 승강대(29)상에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재치한다.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작업영역(12)으로 인도하면 들어올리는 부(18)의 승강대(20)및 끌어들이는 부(19)의 누름판(27)은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이 작업영역(12)으로 끌어들인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에 작업이 로보트(9)에 의해 행하여진다. 로보트(9)에 의한 작업이 종료하면, 당해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에 I/D부가부(15)가 새로운 I/D를 추가하고, 되돌리는 기구(14)의 승강대(29)가 중간의 위치(14a)를 거쳐 제 l의 이송로(2)의 레벨까지 하강하여 당해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제 1의 이송로(2)에 인도한다. 또한, 이때에 제 1의 이송로(2)에 빈자리가 없을때는 빈자리가 나올때까지의 사이,상기 중간의 위치(14a)가 당해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4)를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버퍼가 된다.
이상 기재한 것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제 1의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상반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l, 제 2의 이송로와,제 1 및 제2의 이송로의 종단부 또는 도중에 삽입되고 제 1의 이송로상에서 이송되어 온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2의 이송로에 옮기는 리턴유닛파, 제 2의 이송로상에서 이송되어 온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1의 이송로에 옮기는 리턴유닛과, 제 1의 이송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공작물의 가공기와, 제 1의 이송로상의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의 종별이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검출유닛과,검출유닛에 의해 식별된 가공하여야할 공작물 또는 필요한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l의 이송로로부터 꺼냄과 동시에 가공종료후에는 재차 제 1의 이송로에 되돌리기 위한 반송유닛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제 2의 것은,상기 제 1의 것에 있어서의 리턴유닛이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에 관한 정보를 독해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이 검출수단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한 것이 검출되었을때,또는 부품공급 팰리트가 작업이 끝났다는 것이 검출되었을때에는,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팰리트를 제 1,제 2의 이송로에는 올려놓지않고 인접하는 조립·가공장치의 이송로에 인도하던가 또는 배출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의 제 3의 것은,상기 제 1또는 제 2의 것에서의 반송유닛이,제 1의 이송로상의 공작물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거둬들여서 가공기의 작업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거둬들이는 기구와 가공기에 의한 작업을 끝낸후의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재차 제 1의 이송로상으로 돌아가게하기 위한 되돌리는 기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조립·가공장치에 있어서는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팰리트가 제 1및 제 2의 이송로와 2개의 리턴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루프상의 이송경로상을 순회하고 있으므로, 그 중 필요로 하는 공작물이 부품공급 팰리트를 반송유닛에 의해 가공기의 작업영역으로 거둬들여 조립내지 가공의 작업을 하여,작업이 종료된 공작물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반송유닛에 의해 재차 상기 이송경로에 되돌리고, 이와같은 공정을 각 가공기에 대하여 적절하게 행하여,모든 작업이 종료한 공작물 또는 작업이 끝난 부품공급 팰리트를 검출하여 리턴유닛이 그것을 인접하는 다음의 조립·가공장치의 이송로에 인도하던가 또는 배출한다.
따라서,당해 조립·가공장치에 의한 전작업이 없이 끝난 공작물이 당해 조립·가공장치에서 배출되므로 공작물의 변경등에 의해 작업순서가 가공기의 실제의 배열순서와 상이하게 되더라도, 가공기의 배열을 교체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당해 조립·가공장치의 각 가공기가 작업시간이 상이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단시간으로 끝난작업을 하고 있는 가공기 혹은 부품공급 팰리트에 사용하여야 할 부품이 없어진 가공기는 작업이 빈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때 작업이 빈 가공기는 다른 가공기의 작업을 돕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구체적인 형상 내지 구조는 어느것이나 본 발명의 구체화에 있어서의 일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I/D부가부를 승강대에 부설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검출 유닛(10)이 I/D부가 기능을 겸해서 갖추고 있으면, 이와같은 I/D부가부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성은 없어진다. 왜냐하면, 작업을 끝내고 없어진 공작물이나 부품공급팰리트는 반드시 하류측에 배치된 검출유닛의 위를 통과함으로 이때에 정보내용의 고쳐쓰는 것을 하도록 하면 되기 때문이다.
Claims (3)
-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상반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1,제2의 이송로와, 제 l 및 제 2의 이송로의 종단부 또는 도중에 삽입되고 제 1의 이송로상에서 이송되어 온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2의 이송로에 옮기는 리턴유닛와, 제 2의 이송로상에서 이송되어온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팰리트를 제 1의 이송로에 옮기는 리턴유닛과, 제 1의 이송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공작물의 가공기와, 제 1의 이송로상의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팰리트의 종별이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검출유닛과, 검출유닛에 의해 식별된 가공하여야할 공작물 또는 필요한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1의 이송로에서 꺼냄과 함께, 가공 종료후에는 재차 제 l의 이송로에 되돌리기 위한 반송유닛과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리턴유닛이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에 관한 정보를 독해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이 검출수단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한 것이 검출되었을 때,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가 작업이 끝났다는 것이 검출되었을때에는,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제 1,제 2의 이송로에는 올려놓지않고 인접하는 조립·가공장치의 이송로에 인도하던지, 또는 배출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공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송유닛이 제 1의 이송로상의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거둬들여 가공기의 작업영역내로 이동시키는 거둬들이는 기구와, 가공기에 의한 작업을 끝낸후의 공작물 및 또는 부품공급 팰리트를 재차 제1의 이송로상으로 되돌아 오게 하기 위한 되돌리는 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042397 | 1991-02-15 | ||
JP3042397A JPH04261763A (ja) | 1991-02-15 | 1991-02-15 | 組立・加工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6318A KR920016318A (ko) | 1992-09-24 |
KR100201845B1 true KR100201845B1 (ko) | 1999-06-15 |
Family
ID=1263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0415A KR100201845B1 (ko) | 1991-02-15 | 1992-01-14 | 조립 가공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237736A (ko) |
EP (1) | EP0499443B1 (ko) |
JP (1) | JPH04261763A (ko) |
KR (1) | KR100201845B1 (ko) |
DE (1) | DE69211574T2 (ko) |
MY (1) | MY11033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76266B2 (ja) * | 1993-03-31 | 1999-11-1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多点品の組立システム |
US5672040A (en) * | 1994-03-07 | 1997-09-30 | Sony Corporation | Parts feeding apparatus and parts feeding process |
US5577593A (en) * | 1995-01-27 | 1996-11-26 | Fki Industries, Inc. | Carrier conveyor system |
US5946790A (en) * | 1997-03-20 | 1999-09-07 | Ex-Cell-O Machine Tools, Inc.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necting rods |
DE19822204A1 (de) * | 1998-05-18 | 1999-11-25 | Scharwaechter Ed Gmbh | Verfahren zum maschinellen Zusammenbau von Schwenkgelenken |
US6651799B1 (en) * | 2000-06-30 | 2003-11-25 | Wright Industries Incorporated | Modular pallet indexing chassis for automated manufacturing and assembly operations |
JP3633526B2 (ja) * | 2001-08-09 | 2005-03-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非共振ノック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装置 |
US7322083B2 (en) * | 2005-11-30 | 2008-01-29 | Nokia Corporation | Manufacturing system architecture for tools |
JP5150163B2 (ja) * | 2007-08-10 | 2013-02-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着用物品の製造装置 |
JP5096177B2 (ja) * | 2008-01-22 | 2012-12-1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生産装置、及び生産システム |
US20090223780A1 (en) * | 2008-03-05 | 2009-09-10 | Ceratis Gmbh | Workpiece carrier device and a conveyor device for workpiece carrier devices |
JP5191789B2 (ja) * | 2008-04-28 | 2013-05-0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生産装置及び生産システム |
JP2011194031A (ja) * | 2010-03-19 | 2011-10-06 | Unicharm Corp |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
ES2540937B2 (es) * | 2014-12-22 | 2015-10-19 | Jae Ingeniería Y Desarrollos S.L. | Sistema y procedimiento de transporte de palets |
JP6460827B2 (ja) * | 2015-02-16 | 2019-01-30 |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パレット搬送装置 |
JP6460826B2 (ja) * | 2015-02-16 | 2019-01-30 |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パレット搬送装置 |
SG11201707498XA (en) * | 2015-03-27 | 2017-10-30 | Etuan Mechatronic Pte Ltd | Modular workstation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
EP3819731A4 (en) * | 2018-07-04 | 2022-03-23 |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 PRODUCTION LINE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PRODUCTION LINE |
JP7070713B2 (ja) * | 2018-12-28 | 2022-05-18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段取り作業修正方法、および段取り作業修正プログラム |
CN110510355A (zh) * | 2019-08-30 | 2019-11-29 | 湖南高峰陶瓷制造有限公司 | 一种陶瓷加工用传送机构 |
TWI744144B (zh) * | 2020-12-23 | 2021-10-21 | 聯策科技股份有限公司 | 抽屜式上下料結構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817914C2 (de) * | 1967-11-20 | 1983-01-27 |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44111 Cleveland, Ohio | Einrichtung zum Steuern des Durchlaufs von Werkstücken durch eine Transferstraße |
US3530571A (en) * | 1967-12-15 | 1970-09-29 | Cincinnati Milacron Inc | Manufacturing system |
NL7811978A (nl) * | 1978-12-08 | 1980-06-10 | Multinorm Bv | Inrichting voor het in serie op een veelvoud van bewerkingsplaatsen bewerken van werkstukken. |
GB2127765B (en) * | 1982-06-04 | 1985-12-11 | 600 Group Public Limited Compa | Conveying workpieces |
CH669168A5 (de) * | 1986-01-16 | 1989-02-28 | Landis & Gyr Ag | Montagezelle. |
DE3700192A1 (de) * | 1986-06-03 | 1987-12-10 | Detlef Dipl Ing Bloecker | Montagevorrichtung als grundmaschine fuer montageanlagen |
JPS6387409A (ja) * | 1986-09-30 | 1988-04-18 | Toshiba Corp | 物品搬送装置 |
JPS6427300A (en) * | 1987-06-26 | 1989-01-30 | Hewlett Packard Yokogawa | Printed circuit board transporting system |
GB2212468B (en) * | 1987-11-20 | 1992-06-10 | Sony Corp |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
DE8903031U1 (de) * | 1989-03-11 | 1990-02-01 | Protech Automation GmbH, 47475 Kamp-Lintfort | Montagelinie |
-
1991
- 1991-02-15 JP JP3042397A patent/JPH04261763A/ja active Pending
-
1992
- 1992-01-14 KR KR1019920000415A patent/KR1002018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2-06 US US07/831,980 patent/US523773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2-11 DE DE69211574T patent/DE6921157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2-11 EP EP92301125A patent/EP04994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2-12 MY MYPI92000224A patent/MY110337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6318A (ko) | 1992-09-24 |
EP0499443B1 (en) | 1996-06-19 |
US5237736A (en) | 1993-08-24 |
DE69211574T2 (de) | 1996-12-19 |
DE69211574D1 (de) | 1996-07-25 |
JPH04261763A (ja) | 1992-09-17 |
EP0499443A2 (en) | 1992-08-19 |
EP0499443A3 (en) | 1992-12-09 |
MY110337A (en) | 199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1845B1 (ko) | 조립 가공장치 | |
US6654663B1 (en) | Automated assembly line | |
CN114701792B (zh) | 拣选系统 | |
CN112224908B (zh) | 一种印刷行业自动化仓储系统 | |
CN101480804B (zh) | 具有金属板加工装置和运输装置的加工金属板的机械设备 | |
CN1711151B (zh) | 柔性生产线 | |
JPS60242941A (ja) | 可搬ロボツトシステム | |
GB2186249A (en) | Conveying device for a production line with processing stations arranged in parallel | |
US20060169681A1 (en) | Laser cutting installation with parts unloading unit | |
CN112441360A (zh) | 制作模具的派工系统及派工方法 | |
CN108217119B (zh) | 工件移送系统 | |
US4646423A (en) | Device for the changing of drill heads or similar | |
JP2001253530A (ja) | 搬送コンベア | |
CN115196308A (zh) | 基于机器识别工装流水线及其生产方法 | |
CN219052116U (zh) | 一种物流自动分拣线 | |
CN221459133U (zh) | 一种基于视觉定位的提升机供料装置 | |
JP2001001088A (ja) |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出側搬送設備 | |
US5193333A (en) | Integrated system for drawing and spinning operations | |
JPH04106149U (ja) | Fmsのパレツトおよびワークの搬送装置 | |
JPS61109652A (ja) | 自動倉庫を含む加工システムにおける物品の収納方法 | |
JPH048435A (ja) | 産業用ロボット装置 | |
SU948568A1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листовых деталей на поточной линии тепловой резки | |
CN115140477A (zh) | 一种仓库管理系统 | |
SU1093648A1 (ru) | Конвейер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линии | |
RU2087607C1 (ru) | Швейна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