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171B1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71B1
KR100194171B1 KR1019950034049A KR19950034049A KR100194171B1 KR 100194171 B1 KR100194171 B1 KR 100194171B1 KR 1019950034049 A KR1019950034049 A KR 1019950034049A KR 19950034049 A KR19950034049 A KR 19950034049A KR 100194171 B1 KR100194171 B1 KR 10019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fixed scroll
discharge port
discharg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742A (ko
Inventor
슈지 모테기
도시유끼 나카무라
후미아키 사노
마사유키 가쿠다
기요하루 이케다
요시히데 오가와
에이지 와타나베
신지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3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1Silencers using overlapping frequencies, e.g. 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8Silencing the silencing means being arranged inside the pump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2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70Safety, emergency conditions or requirements
    • F04C2270/72Safety, emergency conditions or requirements preventing reverse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밸브가 폐쇄된 직후 냉매 가스의 수격 작용에 의한 소음을 낮춘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8)를 가지는 제1배출 부재(45)와 상기 제1배출 부재(45)의 배출 포트(8)와 대향하는 배출 밸브(9)를 포함하며, 냉매 가스의 유로 압력과 밀봉 용기(1) 내부에 있는 고압 공간(27) 내부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폐된다. 고정 스크롤(2)과 제1배출 부재(45)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출포트(5, 8)와 연통되는 제1머플러실이 설치되며 배출 밸브(9)가 폐쇄될 때 수격 작용에 의한 충격파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배출 포트의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이 조용해진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II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제9도는 제6도 배출 포트의 압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설명하는 파형도.
제10도는 제6도 배출 포토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설명하는 파형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14a도 및 제14b도를 제13도의 각 카운터 밀링부의 확대 사시도.
제15a도 내지 제15d도는 제13도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16도는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17도는 다른 종래 스크롤 압축기 주요부의 종단면도.
제18a 도 및 제18b 도는 제17도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봉 용기 3 : 프레임
4, 13 : 기판 11 : 볼트
19 : 링 21 : 모터
32 : 베어링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요동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이 제공되어 냉장고, 공기 정화기등의 압축기로서 사용되는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에 관한 것이다.
제16도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 62-265487 호에 기술된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1 은 밀폐용기, 2 는 밀봉 용기(1) 내부의 한 단부면에 고정된 외측 원주면을 갖는 상부 프레임(3)에 고정된 기판(4)과 그 기판(4)의 중심에 배열되는 배출포트(5) 및 기판(4)의 상부 프레임 측면에 배열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6)가 제공되어 있는 고정 스크롤이다.
도면부호 7 는 밀봉 용기(1)내부에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3)과 대향하는 고정 스크롤의 기판(2) 측부에 놓이고, 중앙에 배출 포트(8)가 제공되어 있는 격벽판이다. 도면부호 9 는 볼트(11)를 갖는 고정 스크롤(2)과 대향하는 격벽판의 측부에 장착된 밸브 가드를 구비한 배출 밸브이다. 도면부호 12 는 고정 스크롤(2)와 상부 프레임(3)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 공간(14)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15)가 제공된 기판(13)을 갖는 요동 스크롤이다.
도면부호 16 은 고정 스크롤(12)과 대향하는 요동 스크롤(12)의 기판 측부에 배열되는 요동축이다. 도면부호 17 는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의 요동축(16) 측부에 형성되고 미끄럼을 위해 상부 프레임의 드러스트 베어링과 평면상에서 접촉하는 드러스트면이다. 도면부호 19 는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의 외측 원주면상에 형성된 한쌍의 올드햄(oldham) 가이드 홈내에 직선 방향으로 미끄럼 결합되는 상부 갈퀴를 갖는 올드햄 링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은 요동 스크롤(12)의 올드햄 가이드 홈에 대해 약 90°의 위상차를 갖는 올드햄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올드햄 링(19)의 하부 갈퀴는 직선 방향으로 미끄럼 결합된다.
도면 부호 20 은 밀봉 용기(1)에 고정된 외측 원주면을 갖고, 요동 스크롤(12)과 대향하는 상부 프레임(3) 측에 놓이며, 전기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22)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주 베어링이 중앙에 제공되어 있는 하부 프레임이다.
도면부호 24 는 주축(22)의 요동 스크롤(12)쪽의 단부에 배열되고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의 요동축(16)을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요동 스크롤(12)의 편심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편심인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면 부호 25 는 밀봉 용기(1) 내측으로 압축하기 전에 저압 냉매 가스를 안내하는 흡입관이며, 도면 26 은 밀봉 용기(1)의 외측으로 압축된 후에 고압 냉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이다.
도면부호 27 은 밀봉 용기(1)의 단부면과 격실판(7) 사이에 형성된 고압 공간이다. 도면부호 28 내지 30 은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결합하는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를 갖는 한쌍의 초승달 형태로 형성되며 도면부호 28 은 고압실, 29 는 중간 압력실, 30 은 저압실이다. 도면부호 31 은 고압실(28),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 및 격실판(7)의 배출 포트(8)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 고압 흡입부이다.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전기 모터(21)가 여기되면, 요동 스크롤(12)은 주축(22)과 요동축(16)을 경유하여 구동된다. 그때, 상부 프레임(3)에 대한 요동 스크롤(12)의 자전, 즉 고정 스크롤(2)은 올드햄 링(19)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요동 스크롤(12)은 고정 스크롤(2)에 대해 요동 운동을 행한다.
흡입관(25)을 통해 흡입된 냉매 가스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결합하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를 갖는 한쌍의 초승달처럼 형성된 압축 공간의 저압실(30)로 진입한다.
압축 공간(14)은 저압실(30)로부터 중간 압력실(29) 고압실(28)의 순서로 체
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냉매 가스를 압축한다.
다음에,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는 격실판(7)의 배출 포트(8)와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를 통과하고, 배출 밸브(9)를 밀어 개방하며, 고압 공간(27) 내측으로 배출되며, 밀봉 용기(1)외측으로 이송된다. 스크롤 압축기가 정지한 직후에, 배출 밸브(9)가 폐쇄되어 고압 공간(27)내의 냉매 가스가 압축 고압부(31)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정상 운동 시간에 냉매 가스의 흐름을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상운동 시간에 대한 요동 스크롤(12)의 역요동 동작을 방지한다.
배출 밸브(9)는 스크롤 압축기 작동의 시작시부터 정지시까지의 거의 전시간에 걸쳐 고압 냉매 가스를 배출하도록 개방된다. 운전중의 스크롤 압축기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로 형성되는 중간 압력실(29)과 고압실(28)이 예정 시간에 서로 연통되는 특성을 가진다.
고압실(28)과 중간 압력실(29)이 서로 연통된 직후에, 압축 고압부(31)내의 압력은 고압 공간(27)내의 압력보다 낮게 되어 배출 밸브(9)를 폐쇄한다. 충격파는 배출 밸브(9)가 폐쇄될 때 배출 밸브(9)의 근처에서의 냉매 가스의 수격 작용에 의해 압축 고압부(31)내에 발생된다. 충격파에 의한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내부에서의 압력 파동은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을 증대시키는 진동원이 된다.
제17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측 공개 번호 소62-75089 호에 기술된 종래의 다른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다. 제17도는 종래 스크롤 압축기 주요부의 종단면도이고 제18a도 및 제18b도는 각각 제17도의 고압의 작동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제17도, 제18a도 및 제18b도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은 제16도의 스크롤 압축기와 동일하다. 제16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부분은 제17도, 제18A 도 및 제18b 도에 동일 도면 부호로 표시했다. 도면부호 32 는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의 요동축(16)이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고정 스크롤(2)과 대향하는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쪽에 배열된 요동 베어링이다.
도면부호 33 은 상부 프레임(3)의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과 대향하는 면상에 배열되고 미끄럼을 위해 기판(13)과 평면상에서 접촉하는 드러스트 부재이다. 도면부호 34 는 상부 프레임(3)에 형성되고 요동 스크롤(12)의 올드햄 안내홈에 대해 약 90°의 위상차를 형성하도록 놓이는 올드햄 안내 홈이며, 올드햄 링(19)의 하부 갈퀴(35)는 직선 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한다.
도면부호 36 는 고정 스크롤(2)의 기판(4)내에 배열되고 평판형 나선 치형부(6)와 대응하는 절취부를 갖는 카운터보링부(counterboring part)이다. 도면부호 37 은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내에 배열되고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의 중앙과 대응하는 절취부를 갖는 카운터보링부이다.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전기 모터(21)가 여기되면, 요동 스크롤(12)는 주축(22)과 요동축(16)을 경유하여 구동된다. 그때, 상부 프레임(3)에 대한 요동 스크롤(12)의 자전, 즉 고정 스크롤(2)은 올드햄 링(19)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요동 스크롤(12)는 고정 스크롤(2)에 대해 요동 운동을 행한다.
흡입관(25)을 통해 흡입된 냉매 가스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결합하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를 갖는 한쌍의 초승달처럼 형성된 압축 공간의 저압실(30)로 진입한다.
압축 공간(14)은 저압실(30)로부터 중간 압력실(29), 고압실(28)의 순서로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냉매 가스를 압축한다.
다음에, 압축된 고압의 냉매 가스는 고정 스크롤(2),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를 통해 배출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정된 타이밍으로 고압 냉매가스의 흐름 통로를 한정하는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와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는 중간 압력실(29)과 연통한다.
그러므로,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 보링부(37)는 냉매 가스가 배출될 때 배출 흐름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배출 압력 손실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 압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카운터보링부(36, 37)가 중간 압력실(29)과 연통되면, 고압 냉매 가스는 중간 압력실(29)로 복귀하며, 그후 압축 공간(14)의 압축 동작에 의해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를 통해 다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배출 밸브(9)가 생략되어 있다면, 요동 스크롤(12)은 스크롤 압축기가 정지한 직후에 통상 운동시에 대한 역방향 요동 동작을 수행한다. 그때에 역회전 소음이 발생되거나 요동 베어링(32)등이 상기 상황에 따라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배출 밸브(9)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배출 밸브(9)가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중 폐쇄되어 있다면, 배출 밸브(9) 근처에서 냉매 가스의 수격 작용에 의해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내에 충격파가 발생된다. 상기 충격을 진원지로 하는 소음이 발생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이 증대하게 된다.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중 예정 타이밍으로 고압 냉매 가스의 흐름 통로를 구속하는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는 중간 압력실(29)과 연통된다. 압축 공간(14)의 중간 압력실(29)내의 압력이 연통 직후에 순간적으로 증가하므로, 고정 스크롤(2)과 요동 스크롤(9)이 진동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을 증대시킨다.
[발명의 개요]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배출 밸브가 제공되어 있고, 배출 밸브가 폐쇄된 직후 냉매 가스의 수격 작용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카운터보링부가 제공된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을 갖고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된 때 중간 압력실 내의 압력 변동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압축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평판평 나선 치형부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냉매가스 흐름 통로와 고압 공간의 서로 연통하여 차단할 수 있는 고압 공간 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의 흐름 통로 내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밀봉 용기의 고압 공간으로 냉매 가스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고압 공간 입구에 배열되는 배출 밸브와, 배출 밸브가 폐쇄될 때 압력 맥동을 흡수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매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의 유로와 연통하는 머플러실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상기 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 유로내에 형성되는 유로 횡단면의 확대부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갖고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배출 부재와, 고압 공간 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 유로 내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고 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밸브 및, 고정 스크롤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 부재를 포함한다.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작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에 따른 높이를 갖는 배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밀봉 용기의 종축선과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상기 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 유로를 갖는 압력 안내 통로를 통해 연통하는 중공부이다.
상기 중공부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가지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배출 부재와, 고압 공간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 유로내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고 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밸브 및, 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정지 직후 냉매 가스의 역류가 발생하면 요동 스크롤이 정상 운동시에 대한 역방향으로 요동 운동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체적을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머플러실과 고정 스크롤 기판의 밀봉 용기 배출관쪽에 배열되는 배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축방향으로 유연한 구성으로 장착되고 밀봉 용기의 축선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가지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저압 분리기 및, 고저압 분리기와 고정 스크롤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 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압실, 중간 압력실 및 저압실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앙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할 때 카운터보링부가 고압실보다 더 늦은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고 상기 중간 압력실은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탄형 나선 치형부의 측부상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위치하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앙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할 때 고정 스크롤의 배출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할 때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상기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위치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 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 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압실, 중간 압력실 및 저압실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앙과 인볼루트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할 때 카운터보링부가 고압실 보다 더 늦은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고 상기 중간 압력실은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탄형 나선 치형부의 측부상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위치하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고정 및 요동 스크롤중 적어도 하나에는 중심의 선단 중심부에 노치를 갖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머플러실은 배출 밸브가 폐쇄된 직후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 내부의 압력 맥동에 의한 충격파의 발생을 억제한다.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 유로내에 형성되는 유로 횡단면의 확대부이며, 그 확대부는 배출 포트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충격파의 발생을 억제한다.
배출 밸브에 제공된 배출 부재의 설치에 의해 더욱 가요성인 머플러실의 설치를 부여한다.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의 직경 치수보다 작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에 따른 높이를 가지므로, 머플러실 내부의 냉매가스의 소용돌이 발생등에 의한 압력 손실이 감소한다.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가지므로, 머플러실 내의 고압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은 밀봉 용기의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전파된다.
머플러실이 밀봉 용기의 종축선과 동심으로 놓인 중심을 가지므로, 머플러실을 갖는 고저압 분리기와 같은 관련부재와 동심으로 되어 기계 가공이 용이해 진다.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로의 냉매가스 유로를 갖는 압력 안내 통로를 통해 연통하는 중공부이므로, 공명형으로 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 내부의 특정 주파수에 의한 고압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이 효과적으로 감쇄된다.
상기 중공부가 공명형 머플러실을 형성하는 동시에 배출 부재에 배출 밸브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머플러실의 설치 자유도가 확대된다.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 기판과 고정 스크롤 기판의 밀봉 용기 매출관쪽에 있는 배출 부재 사이에 배열되므로, 머플러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고저압 분리기가 밀폐 용기의 축선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고 축방향으로 유연한 구성으로 장착되는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고 머플러실이 고저압 분리기와 고정 스크롤 기판 사이에 형성되므로, 머플러실은 축방향으로의 유연한 기능을 손실함이 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보링부는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형성되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고압실 보다 더 늦은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고 그 중간 압력실이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측면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카운터보링부가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형성되어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할 때 압축 공간내의 급격하고 커다란 압력 변화를 감소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카운터보링부는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형성되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고정 스크롤의 배출포트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할 때 중간 압력실 내의 압력 변화는 회전당 한번 발생한다.
상기 카운터보링부는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한 기판에 형성되고 인볼루트 곡선을 따라 형성된 부분과 상기 기판의 평탄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짐으로써,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카운터보링부중 어느 하나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한 직후에 대향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외측면을 따라 넓은 범위에 연통 구역이 형성된다.
카운터보링부를 구비한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에는 중심의 선단 중심에 노치를 갖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으므로써, 상기 노치를 카운터보링부에 부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고압 냉매 가스 유로가 확대되는 동시에 고압 냉매 가스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는 그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 II 부분의 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 부호 1 은 밀봉 용기이며: 도면부호 2 는 밀봉 용기(1) 내부의 한 단부면에 놓이고 스프링(38)을 경유하여 프레임(3)에 고정된 외측 원주면을 갖는 기판(4)과, 기판(4)의 중심에 배열되는 배출 포트(5) 및, 기판(4)의 프레임 측부에 배열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6)가 제공되어 있는 고정 스크롤이다. 상기 프레임(3)은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밀봉 응기(1)내에 고정되는 외측 원주면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38)은 예정된 누름력에 의해(바로 후술하는) 요동 스크롤에 대항하게 고정 스크롤(2)을 축방향으로 누른다.
도면 부호 12 는 압축 공간(14)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15)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13)을 가지며 고정 스크롤(2)과 프레임(3) 사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이다.
도면 부호 16 은 고정 스크롤(2)과 대향하는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쪽에 배열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요동 베어링이다. 도면부호 17 은 요동 스크롤(12)의 기판(13)의 요동 베어링(16)쪽에 형성되고 미끄럼을 위해 프레임(3)의 드러스트 베어링(18)과 평면상에서 접촉하는 드러스트면이다. 도면부호 19 는 요동 스크롤(12)의 드러스트면(17)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올드 안내 홈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갈퀴(40)를 갖는 올드햄 림(Oldham's ring)이다.
또한, 프레임(3)에는 요동 스크롤(12)의 올드햄 안내 홈에 대해 약 90°의 위상차를 갖는 올드햄 안내 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서 올드햄 링(19)의 하부 갈퀴(42)가 직선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 부호 23 은 전기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프레임(3) 중심에 배열되는 주 베어링이다.
도면부호 43 은 요동 베어링(12)의 편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한 면을 가지며 주축(22)의 요동 스크롤(12)쪽의 단부에 배열되는 핀 부품이며, 요동 스크롤(12)의 요동 베어링(16)내에 회전 가능하게 놓인 슬라이더(44)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 진다.
도면 부호 45 는 제1배출 부재(고저압 분리기)이며, 이는 고정 스크롤(2)의 기판(4)과 밀봉 용기(1) 단면 사이에 놓여 용접에 의해 밀봉 용기(1) 내에 고정되며 중심에 배열되는 배출 포트(8)를 가진다. 도면부호 46 은 고정 스크롤(2)의 기판(4)과 제1배출 부재(45)사이에 배열되는 밀봉 부재이다. 도면부호 47 은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설 치형부(6)와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 공간(14)내의 압력을 후방 압력실(48)로 안내하기 위해 고정 스크롤(2)의 기판내에 배열되는 배출 포트이다.
도면 부호 49 는 제1배출 부재(45)내에 배열되고, 고정 스크롤(2)의 기판(4)과 대향하게 놓이고, 배출 포트(8)와 연통하고, 고정 스크롤(2)의 직경보다 크고 깊이가 얕은 기동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밀봉 용기(1)의 축 중심과 거의 대칭되게 놓이는 제1머플러실이다.
도면 부호 9 는 고정 스크롤(2)과 대향하는 제1배출 부재(45)쪽에 배열되고, 배출 포트(8)와 대응하게 놓이며, 볼트(11)로 제1배출 부재(45)상에 장착되는 밸브 가드(10)를 갖는 배출 밸브이다.
도면부호 25 는 밀봉 용기(1) 내측으로 압축되기전에 저온 냉매 가스를 안내하는 흡입관이며, 26 은 밀봉 용기(1) 외측으로 압축된 후에 고온 냉매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이다.
도면부호 27 은 밀봉 용기(1)의 단부면과 제1배출 부재(45)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 공간이다. 도면 부호 28 내지 30은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결합하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를 갖는 한쌍의 초승달처럼 형성된 압축 공간이며, 28 은 고압실이며, 29 는 중간 압력실이며, 30 은 저압실이다.
도면부호 31 은 고압실(28), 고정 스크롤(2)의 배출포트(5) 및, 제1배출부재(45)내에 배열되는 제1머플러실(49)과 배출 포트(8)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고압부이다.
제2도에서, 중심선(A)는 고정 스크롤(2)의 배출포트(5)의 중심선이며, 중심선(B)은 밀봉 용기(1)와 제1머플러실(49)의 중심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전기 모터가 여기되면, 요동 스크롤(12)이 주축(22)과, 슬라이더(44)가 주축(22)에 의해 회전되는 슬라이더(44) 및, 요동 베어링(16)을 경유하여 구동된다. 그때, 프레임(3)에 대한 요동 스크롤(12)의 회전, 즉 고정 스크롤(2)은 올드햄 링(19)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요동 스크롤(12)은 고정 스크롤(2)에 대해 요동운동하게 된다.
흡입관(25)을 통해 흡입된 저습 냉매 가스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결합하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를 갖는 한쌍의 초승달처럼 형성된 압축 공간(14)의 저압실 내부로 유입된다.
압축실(14)은 저압실(30)로부터 중간 압력실(29) 및 고압실(28)의 순서로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냉매 가스를 압축한다.
다음에, 압축된 고압 냉매 가스는 고정 스크롤(2) 및 제1머플러실(49)의 배출 포트(5)와 제1배출 부재(45)의 배출 포트(8)를 통과하며, 배출 밸브(9)를 개방하고, 고압 공칸(27) 내측으로 배출되며, 밀봉 용기(1) 외측으로 이송된다. 주축(22)의 핀부(43)의 평면부와 슬라이더(44) 내면의 평면부는 요동 스크롤(12)의 편심방향으로 직선 미끄럼 운동을 행한다.
따라서, 원심력등의 소정의 힘이 편심 방향으로 요동 스크롤(12)에 작용함으로써 요동 스크롤(12)이 고정 스크롤(2)의 반경방향으로 가압되어, 고정 스크롤(2) 평판형 나선 치형부(6)의 측면과 요동 스크롤(12)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의 측면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간 압력실(29)내의 압력은 배출 포트(47)를 통해 후방 압력실(48)내측으로 안내된다. 후방 압력실(48)내의 압력과 제1머플러실(49)내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고정 스크롤(2)의 기판(4)에 작용하며, 판 스프링(38)의 누름력은 고정 스크롤(2) 기판(4)의 외측 원주면에 작용한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2)은 저압실(30), 중간 압력실(29) 및 고압실(28)내의 압력에 의해 발생된 힘과 상기 누름력 사이의 차이로 인해 축방향으로 요동 스크롤(12)에 대항하게 눌림으로써,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의 선단과 요동 스크롤(12)의 기판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즉, 축방향으로의 유연 구성이 형성된다.
상기 축방향으로의 유연 구성은, 고정 스크롤(2)이 프레임(3)에 직접 체결되어 있지 않고, 고정 스크롤(2)과 프레임(3)의 사이에 탄성체(예를 들면, 플레이트 스프링)를 끼워, 프레임(3)에 대하는 고정 스크롤(2)의 미소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배출 밸브(9)가 스크롤 압축기의 폐쇄 직후에 폐쇄되면, 압축 고압부(31)로부터 중간 압력실(29)로의 흐름, 즉 정상의 운동으로 냉매 가스 흐름과 대향하는 흐름이 발생한다. 제1머플러실의 체적이 예정값 보다 작지 않으면, 요동 스크롤은 냉매 가스의 역류가 발생할 때 정상 운동시의 반대의 요동 운동을 행한다. 그러나, 제1배출 부재(45)의 제1머플러실(49)은 요동 스크롤(12)이 정상 운동시의 역방향으로 요동 운동을 행하지 않을 정도의 체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스크롤 압축기 정지 직후의 역회전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이 조용하며 스크롤 압축기의 베어링 손실이 방지된다.
배출 밸브(9)는 스크롤 압축기 작동의 시작으로부터 정지시까지의 거의 전체에 걸쳐 고압의 냉매 가스를 배출하도록 개방된다. 작동하는 스크롤 압축기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압력실(29)과 고압실(28)이 예정된 타이밍으로 서로 연통되는 특성을 가진다
고압실(28)과 중간 압력실(29)이 서로 연통된 직후에, 압축 고압부(31)내의 압력은 고압 공간(27)내의 압력 보다 낮게되어 배출 밸브(9)를 폐쇄한다. 압력 맥동은 배출 밸브(9)가 폐쇄 될 때 배출 밸브(9) 근처에 있는 냉매 가스의 수격 작용에 의해 압축 고압부(31)내에 발생된다.
압축 고압부(31)내의 압력 강하량이 작으면 작을 수록 배출 밸브(9) 근처에 있는 냉매 가스의 수격 작용에 의한 압축 고압부(31)내에 발생되는 압력 맥동도 작아진다. 가스 혼합 이론에 따라, 압축 고압부(31)의 체적이 클수록, 연통직전 중간 압력실(29)과 압축 고압부(31) 사이의 압력차가 작을수록 압축 고압부(31)내의 압력 강하양도 작아진다.
압력 맥동에 대해, 압축 고압부(31)의 체적은 제1배출 부재(45)의 제1머플러실(49)에 의해 크게 확대되어, 압축 고압부내의 압력 맥동이 감쇄되어 충격파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진동원으로서의 제1배출 부재(45)와 고정 스크롤(2)의 배출포트내의 압력 맥동에 대한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이 억제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이 작아진다.
밀봉 용기(1)의 종축선 방향으로의 흐름과 제1머플러실(49)내의 냉매가스 흐름에 대한 축방향 흐름 사이의 관련성으로부터, 제1머플러실(49)의 종축선 방향의 높이가 높을 수록 제1머플러실(49)내에 발생될 소용돌이의 기회도 커지며, 특히 그 높이가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 직경 보다 높으면 소용돌이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증가한다. 그러므로, 제1머플러실(49)의 종축선에 따른 높이는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머플러실(49)내의 냉매 가스 등의 소용돌이 발생에 의한 압력손실이 증가하지 않음으로써, 제1머플러실(49)은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 소음을 작게 하면서도 스크롤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머플러실(49)이 밀봉 용기(1)의 종축선에 거의 동심으로 제공되므로, 제1머플러실(49)을 갖는 제1배출 부재(45)등의 외측 원주면에 거의 동심으로 된다. 따라서, 제1머플러실을 기계 가공할 때, 가공 기계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기계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배출 밸브(9)가 제1도에서는 제1배출 부재(45)내에 설치되나, 고압 공간(27)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배출 부재(45)를 제공하지 않고도, 고정 스크롤(2)의 기판(4)의 고압 공간(27)상에 배출 밸브(9)를 설치하기 위해 밀봉 용기(1) 내부의 고정 스크롤(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1머플러실(49)은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9)를 경유해 고압 공간(27)까지의 냉매 유로 내부에 배출 포트(5)와 배출 밸브(9) 사이의 냉매유로의 유로 횡단면의 확대부를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때, 제1머플러실(49)의 상한 체적은 배출 밸브(9)가 스크롤 압축기의 정지 직후에 폐쇄될 때 역회전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그러므로, 제1머플러실(49)의 설치 위치는 제1배출 부재(45)와 고정 스크롤(2)의 기판(4) 또는 이들 양자 내부등 광범위 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3도에서, 제1머플러실(49)은 제1배출 부재(45)내에 설치되어 있으나, 고정 스크롤(2)의 기판 또는 제1배출 부재(45)와 기판(4)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도에서, 제1머플러실(49)이 제1배출 부재(45)내에 설치되고 제1배출 부재(45)와 고정 스크롤(2)의 기판사이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제1머플러실(49)이 제1배출 부재(45)와 고정 스크롤(2)의 기판 사이에 설치되면, 제2도에서 처럼 고정 스크롤(2)의 기판(4)쪽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밀봉 부재(46)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2)의 기판(4)과 제1배출 부재(45) 사이에 제1머플러실(49)을 형성하도록 확대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머플러실(49)이 냉매 유로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머플러실의 설치 위치, 크기 및 숫자는 적용 스크롤 압축기의 형상, 발생 소음의 대소 및 소음의 허용도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5도에 도시않은 부분들은 제1도 및 제2도 스크롤 압축기의 부분들과 동일하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제5도에서 동일 도면 부호로 나타냈다. 도면부호 49 는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와 동심으로 형성되고 제1배출 부재(45)내에 배열되는 제1머플러실이다.
제5도에서, 중심선(B)은 밀봉 용기(1)의 중심선이며 중심선(C)은 제1머플러실(49)과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의 중심선이다.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와 같이 제5도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머플러실(49)은 제1배출 부재(45)내에 배열되고, 고정 스크롤(2)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며, 배출 포트(8)와 연통한다. 그러므로, 제5도의 제2실시예도 제1도 내지 제4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는 것이 분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머플러실(49)이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와 거의 동심으로 형성되므로 제1배출 부재(45)내의 고압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은 밀봉 용기(1)의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전파된다. 따라서, 제1머플러실(49) 내부의 냉매 가스등의 소용돌이 발생에 의한 압력 손실이 감소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성능이 개선된다.
[제3실시예]
제6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이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각각 제2도와 대응한다. 제9도는 배출 포트내의 압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종래 스크롤 압축기내의 압력 변화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제10도는 제6도 내지 제8도 배출 포트 내에서의 압력 변화를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제6도 내지 제10도에 도시않은 부분들은 제1도 내지 제3도의 스크롤 압축기부분과 동일하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부분들은 제6도 내지 제10도에서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했다. 도면부호 49 는 제1배출 부재(45) 내에 배열되고 압력 안내 통로(491)에 의해 냉매 가스 유로와 연통하는 중공 공간 또는 중공부 형태의 공명형 머플러실이다. 배출 포트(5)내에서 증폭되는 압력 맥동의 주파수 성분은 제1머플러실(49)의 체적, 압력 안내 통로(491)의 단면적 및 길이와, 배출 포트(5)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제6도 내지 제8도에서, 중심선(A)은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의 중심선이며, 중심선(B)은 밀봉 용기(1)의 중심선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처럼 제6도 내지 제8도의 제3실시예에서, 제1머플러실(49)은 제1배출 부재(45)내에 배열되며, 고정 스크롤(2)의 기판(4)과 대향하게 놓이며, 배출 포트(8)와 연통한다. 그러므로, 제6도 내지 제10도의 제3실시예도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는 것이 분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2kHz 부근의 소음이 문제로 되어 있다. 그 소음의 근원으로서, 배출 포트(8)내의 압력 맥동은 2 내지 4kHz 의 성분(주기 0.25 내지 0.5ms 의 성분)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가하고 진동원으로서 압력 맥동을 갖는 진동이 밀봉 용기(1)내에서 공명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2kHz 부근의 소음이 증대한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제1머플러실(49)의 체적, 압력 안내 통로(491)의 횡단면적과 길이 및 배출 포트(8)의 횡단면적은 2kHz 부근의 압력 맥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내지 4kHz 의 압력 맥동의 진폭이 감쇄되고 문제가 되었던 2kHz 부근의 소음이 감소되도록 설정된다.
공명형 머플러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압 공간(27)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배출 부재(45)를 제공하지 않고도, 고정 스크롤(2)의 기판(4)의 고압력 공간(27)쪽에 배출 밸브(9)를 설치하도록 밀봉 용기(1) 내에서 고정 스크롤(2)에 의해 구획될 수도 있다.
제1머플러실(49)은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로부터 배출 밸브(9)를 경유하여 고압 공간(27)까지의 냉매 유로와 압력 안내 통로(491)를 통해서 연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머플러실(49)의 설치 위치는 제1배출 부재(45), 고정 스크롤(2)의 기판(4) 또는 이들 양자 내부 등 광범위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제1머플러실(49)은 제1배출 부재(45)내에 설치되어 있으나, 고정 스크롤(2)의 기판(4) 또는 제1배출 부재(45) 및 기판(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6도에서, 제1머플러실(49)은 제1배출 부재(45)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배출 부재(45)와 고정 스크롤(2)의 기판(4) 사이에 설치되므로 용이하게 기계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머플러실(49)이 냉매 유로와 연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배출 부재의 크기와 수는 적용 스크롤 압축기의 형상, 발생 소음의 대소, 소음 주파수 및 소음의 허용도에 대응하여 선택될 수 있다.
특히, 공명형 머플러실에 있어서는 소음의 특정 주파수 요인이 큰 경우에,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선택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11도에 도시않은 부분들을 제1도 및 제2도 스크롤 압축기의 부분들과 동일하다. 제1도, 제2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부분들은 제11도에 동일 도면 부호로 표시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머플러실과,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냉매 가스 유로와 압력 안내 통로(491)를 통해 연통하는 공명형 머플러실이 제1머플러실(49)로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머플러실들은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제11도의 제4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는 것이 분명하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머플러실과,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냉매 가스 유로와 압력 안내 통로(491)를 통해 연통하는 공명형 머플러실이 제공되었으므로, 제1및 제3실시예에서 기술한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진동원으로서 배출 포트(8)내의 압력 맥동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시 억제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조용하게 한다. 특히, 특정 주파수의 대소음이 공명형 머플러실내에서 선택적으로 감쇄되므로 다른 머플러실의 기능과 함께 더 큰 소음도 억제할 수 있다.
[제5실시예]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12도에 도시않은 부분들은 제1도 및 제2도의 스크롤 압축기 부분들과 동일하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부분들은 제12도에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했다. 도면부호 50 은 평판형 나선 치형부(6)에 대향하는 고정 스크롤(2)의 기판(4)쪽에 고정되고 중심에서 배출 포트(8)와 연통하는 제2머플러실(490)과 배출 포트(8)가 제공되어 있는 제2배출 부재이다. 배출 밸브(9)는 고정 스크롤(2)과 대향하는 제2배출 부재(50)쪽에 장착된다.
고정 스크롤(2)이 프레임(3)에 고정되고 그 구성이 축방향 유연 구성이 아니면, 제2배출 부재(50)는 제12도의 실시예에서 고저압 분리기인 제1배출 부재(45) 대신에 제공된다.
제1도 및 제2도의 제1실시예처럼 제12도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제2머플러실(490)은 제2배출 부재(50)내에 배열되고, 고정 스크롤(2)의 기판(4)과 대향되게 놓이며, 배출 포트(8)와 연통된다. 그러므로, 제12도의 제5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는 것이 분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명형 머플러실의 경우에도 제3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제공하므로 생략한다.
고정 스크롤(2)이 프레임(3)에 고정되고 그 구성이 축방향 유연 구성이 아니라면, 제2배출 부재(50)가 고전압 분리기 대신에 제공되고 그 제2배출 부재에 제2머플러실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2머플러실(490)은 낮은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명형 머플러실의 경우에 제3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가지므로 생략한다.
[제6실시예]
제13도 내지 제15d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이다. 제13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14a도 및 제14b도는 각각 제13도 각 카운터보링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부분들은 제13도 내지 제15d도에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했다. 도면부호 36 은 고정 스크롤(2)의 기판(4)내에 배열되고 평판형 나선치형부(6)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갖는 카운터보링부이다.
도면부호 37 은 요동 스크롤(12)의 기판 내에 배열되고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갖는 카운터보링부이다. 도면부호 51 은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 중심의 중심 선단에 형성된 노치이다.
도면부호 52 는 중간 압력실(29)과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연통하는 카운터보링부이며, 53 은 요동 스크롤(12)과 중간 압력실(29)의 카운터보링부(37)와 연통하는 카운터보링 연통부이다.
도면부호 54 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의 중심의 외측면이며, 55 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중심의 외측면이며, 56 은 평판형 나선 치형부(6, 15) 사이의 측면 연결부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서, 전기 모터가 여기되면 요동 스크롤(12)은 주축(22), 상기 주축(22)에 의해 회전되는 슬라이더(44) 및 요동 베어링(16)을 경유하여 구동된다. 그때, 프레임(3)에 대한 요동 스크롤(12)의 자전, 즉 고정 스크롤(2)은 올드햄 링(19)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요동 스크롤(12)은 고정 스크롤(2)에 대해 요동 운동을 수행한다.
흡입관(25)을 통해 흡입된 저압 냉매 가스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와 결합하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를 갖는 한쌍의 초승달 처럼 형성된 압축 공간(14)의 저압실(30)로 유입된다.
압축 공간(14)은 저압실(30)로부터 중간 압력실(29), 고압실(28) 순서로 체적이 감소함으로써 냉매가스를 압축한다. 다음에, 압축된 고압 냉매 가스는 요동 스크롤(12)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의 노치(51),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를 통과하며, 고압 공간(27) 내측으로 방출되고 배출관(26)을 통해 밀봉 용기(1)외측으로 이송된다.
주축(22)의 핀부(43) 평면부와 슬라이더(44)내면의 평면부는 요동 스크롤(12)의 편심방향으로 직선 미끄럼 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원심력등의 소정의 힘이 편심 방향으로 요동 스크롤(12)에 작용함으로써, 요동 스크롤(12)이 고정 스크롤(2)의 반경방향으로 눌려 요동 스크롤(12)에 작용함으로써, 요동 스크롤(12)이 고정 스크롤(2)의 반경 방향으로 눌려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의 측면과 고정 스크롤(2) 평판형 나선 치형부(6)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의 형태와 위치 고압실(28)과 중간 압력실(29)이 평판형 나선 치형부 사이의 측면 연결부(56)에서 서로 연통된 후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가 중간 압력실(29)과 연통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가 카운터보링 연통부(52, 53)에서 중간 압력실(29)과 연통하도록 제15a도 내지 제15d도에 도시한 대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고압실(28)과 중간 압력실(29)이 평판형 나선 치형부 사이의 측면 연결부(56)에서 연통되고, 고압실(28)과 중간 압력실(29) 사이의 압력차가 감소한 후에,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는 중간 압력실(29)과 연통된다. 따라서, 연통 직후 중간 압력실(29)내의 급격하고 커다란 압력 변동이 감소되어, 진동원을 갖는 압력 변동으로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이 감소한다.
통상적으로, 중간 압력실(29)의 압력 변동은 중간 압력실(29)이 요동 스크롤(12)과 고정 스크롤(2)의 기판(4, 13)의 카운터보링 연통부(52, 53)와 연결된 후에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5)와 중간 압력실(29)이 서로 연통되므로 1 회전당 2번이다. 그러나, 카운터보링부(36, 37)의 형태와 위치는 고정 스크롤(2)의 배출 포트가 중간 압력실(29)과 연통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고정 스크롤(2) 및 요동 스크롤(12)의 기판(4, 13)의 카운터보링 연통부(52, 53)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요동 스크롤(2)의 배출 포트(5),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 및,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가 중간 압력실(29)과 연통할 때, 중간 압력실(29)내의 압력 변동이 회전당 1 번 발생하므로, 압력 변동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이 감소된다.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의 형태는 중간 압력실(29)과 연통할 때 요동 스크롤(12) 평판형 나선 치형부(15)의 외측면(55)의 인벌루트 곡선과 거의 동일한다. 따라서, 연통 직후에 고정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52)는 요동 스크롤(1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외측면(55)을 따라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의 형태는 중간 압력실(29)과 연동된 때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의 외측면(54)의 인볼루트 곡선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연통 직후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 연통부(53)는 고정 스크롤(2)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의 외측면(54)을 따라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요동 스크롤(2)의 카운터보링부(36)와 요동 스크롤(12)의 카운터보링부(37)는 냉매 가스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연통구역 내에서 중간 압력실(29)과 연통된다. 그러므로, 고압 냉매 가스의 충분한 유로 면적이 제공될 수 있어 압력 손실을 감소시키므로 압축 스크롤의 성능을 개선한다.
노치(51)가 고정 스크롤(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6, 15) 중심의 선단 중심에 형성되고 요동 스크롤(12)은 단지 카운터보링부(36, 37)만이 제공된 경우 보다 큰 고압 냉매 가스의 유로 면적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압축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냉매가스 흐름 통로와 고압 공간의 서로 연통하여 차단할 수 있는 고압 공간 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의 흐름 통로 내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밀봉 용기의 고압 공간으로 냉매 가스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고압 공간 입구에 배열되는 배출 밸브와, 배출 밸브가 폐쇄될 때 압력 맥동을 흡수 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의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의 유로와 연통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상기 머플러실은 배출 밸브가 폐쇄된 직후 수격 작용(water hammering)에 의한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 내의 압력 맥동의 원인이 되는 충격파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진동원으로서의 배출 포트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은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조용하게 하도록 감소된다.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유로내에 형성된 유로 횡단면의 커다른 부분이므로, 유로 횡단면의 확대부는 배출 포트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충격파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이 감소되어 그 작동을 조용하게 한다. 게다가, 머플러실이 가스 유로 내에 유로 횡단면의 확대부로서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갖고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배출 부재와,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고 고압실 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 유로 내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는 배출 밸브 및, 고정 스크롤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효과 이외에도, 배출 부재가 제공됨으로써 머플러실의 설치를 더 용이하게 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작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을 따른 높이를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작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을 따른 높이를 가지므로, 머플러실내부의 냉매 가스 소용돌이 발생등에 의한 압력 손실이 감소한다. 따라서, 머플러실 설치에 의한 스크롤의 성능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상기 머플러실이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가지므로, 머플러실 내부의 고압 냉각 가스의 압력 맥동은 밀봉 용기의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전파한다. 따라서, 고압 냉매 가스의 소용돌이 발생등에 의한 압력 손실이 감소하며, 머플러실 설치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발생 한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밀봉 용기의 종축선과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머플러실이 밀봉 용기의 종축선과 동심으로 놓이는 중심을 가지므로, 머플러실의 고압 냉매가스의 압력 맥동은 밀봉 용기의 축선 방향으로 균일하게 전파되고, 용이하게 기계가공되며, 기계 가공 비용이 감소한다.
상기 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 유로와 압력 안내 통로를 통해서 연통하는 중공부이다.
따라서, 머플러실은 공명형으로 되고 특정 주파수에 의한 고압 냉매 가스의 압력 맥동이 감쇄된다. 그러므로, 소음의 특정 주파수원이 크다면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다.
중공부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갖고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배출 부재와,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고 고압실 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 유로 내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는 배출 밸브 및, 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명형 머플러실의 전술한 효과이외에도, 배출 부재가 제공됨으로써 공명형 머플러실의 설치를 더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정지직후에 냉매가스의 역류가 발생하면 정상 운동시의 역방향으로 요동 스크롤이 요동 운동하는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체적을 갖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머플러실은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조용하게 하는 효과와 스크롤 압축기 정지 직후 역회전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 기판의 밀봉 용기 배출관쪽에 배열된 배출 부재와 그 배출 부재와 냉매가스 유로 내의 고정 스크롤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머플러실은 용이하게 형성되고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은 조용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낮은 비용으로 설치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축방향 유연 구성에 의해 장착되고 밀봉 용기의 축선상에 축방향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의 기판과 대향하게 놓이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가지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저압 분리기와, 냉매 가스 유로내의 고저압 분리기와 고정 스크롤 기판사이에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머플러실은 축방향 유연 구성을 손실함이 없이 용이하게 장착되며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조용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축방향 유연 구성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 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압실, 중간 압력실 및 저압실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앙과 인볼루트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할 때 카운터보링부가 고압실 보다 더늦은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고 상기 중간 압력실은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탄형 나선 치형부의 측부상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위치하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기판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갖고 고정 및 요동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 되는 카운터보링부는 고압실 및 중간 압력실이 고정 및 요동 스크롤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측면상에서 서로 연통하는 것보다 늦은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한다. 따라서, 스크롤 압축기는 카운터보링부가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할 때 압축 공간내의 급격하고 커다란 압력 변화를 감소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진동원으로서의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조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할 때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위치되어 있는 카운터보링부를 가진다.
따라서, 기판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갖고 고정 및 요동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는 고정 스크롤의 배출포트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 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중간 압력실과 연통한다. 따라서,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할 때 중간 압렵실 내의 압력 변동은 회전당 1번 발생한다. 그러므로, 진동원으로서의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을 조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포트를 갖는 기판 상에 평탄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압실, 중간 압력실 및 저압실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결합하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절취부와 인볼루트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가지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보링부는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인볼루트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기판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짐으로써,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카운터보링부중 어느 하나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한 직후에 연통 구역이 대항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외측면을 따라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압 냉매 가스의 충분한 유로 구역이 제공되어 고압 가스의 압력 손실을 감소시켜 스크롤 압축기의 성능을 개선한다.
카운터보링부가 형성된 고정 및 요동 스크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중심의 선단 중심에 노치를 갖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고압 냉매 가스 유로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 중심의 선단 중심에 형성된 노치를 고정 및 요동 스크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운터보링부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역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고압 냉매 가스의 압력 손실이 감소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성능을 개선한다.

Claims (19)

  1.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상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를 가지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압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맞물리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를 가진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냉매 가스 흐름 통로와 고압 공간은 밸브가 개방될 때 서로 연결되고 밸브가 폐쇄될 때 서로 연결이 차단되도록 고압 공간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의 흐름 통로 내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폐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밀봉 용기의 고압 공간으로 단일 및 냉매 가스 흐름 통로만의 고압 공간 입구에 배열되는 배출 밸브 및, 배출 밸브가 폐쇄될 때 압력 맥동을 흡수하도록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 냉매 가스 유로와 연통된 제1머플러실을 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의 직경 치수보다 작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을 따르는 높이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유로내에 형성된 유로 단면의 확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고 고정 스크롤의 기판에 접하여 위치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에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갖는 제1배출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배출 밸브는 제1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대향되고 고압 공간 내의 압력과 냉매 가스 유로 내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폐되며, 상기 제1머플러실은 제1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의 직경보다 더 작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에 따른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제1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동심으로 놓인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제1머플러실은 밀봉 용기의 종축선과 동심으로 놓인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1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 밸브까지의 냉매 가스 유로와 압력 안내 통로를 통해 연통하는 중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밀봉 용기 내에 배치되고 고정 스크롤의 기판을 향하여 놓이며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갖는 제1배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밸브는 제1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대향되고 고압 공간내의 압력과 냉매가스 유로내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폐되며, 상기 제1머플러실은 제1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9.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1머플러실은 냉매 가스의 역류가 스크롤 압축기의 정지 직후에 발생할 때 정상 운동시의 역 방향으로 요동 스크롤이 요동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 기판의 밀봉 용기 배출관에 배열되는 제2배출 부재와, 제2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2머플러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1.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은 축방향 유연 구성에 의해 밀봉 용기의 축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며, 제1배출 부재는 밀봉 용기 내에서 배열되고 고정 스크롤의 기판을 향하여 놓이며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대향하는 배출 포트를 갖는 고압 및 저압 분리기를 포함하며, 제1머플러실은 고정 스크롤 기판과 고압 및 저압 분리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2.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 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압실, 중간 압력실 및 저압실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맞물리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 및, 상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되는 절취부를 가지며, 상기 고착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될 때의 형태와 위치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보링부는 상기 고압실보다 더 늦은 타이밍으로 상기 중간 압력실과 연결되기 시작하고, 상기 중간 압력실은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측면상에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카운터보링부는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절취부를 가지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이 작동할 때 형성 및 위치되도록 설정되고,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가 중간 압력실과 연통하는 것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4.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 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고압실, 중간 압력실 및 저압실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맞물리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기판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중심과 대응되는 절취부를 가지고 일부가 인벌루트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기판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카운터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압력실과 카운터보링부의 결합부가 상기 외면의 넓은 범위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카운터보링부가 중간 압력실과 맞물리기 시작하는 위치에 상기 기판의 다른 나선 치형부가 있을 때 상기 인벌루트 곡선은 기판의 다른 평판형 나선 치형부의 방사상 외면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 선단부의 방사상 내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6. 제12항에 있어서, 고정 및 요동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 선단부의 방사상 내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7. 중앙에 고압 냉매 가스용 배출 포트를 갖는 기판상에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밀봉 용기 내에 배열되는 고정 스크롤과, 압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스크롤의 평판형 나선 치형부와 맞물리는 평판형 나선 치형부가 제공되어 있는 기판을 갖고 상기 밀봉 용기내에 배열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밀봉 용기의 고압 공간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 위치된 제1배출 부재와,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로부터 상기 제1배출 부재를 통하여 통과하여 밀봉 용기의 고압 공간으로 냉매 가스 유로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 가스 유로와 고압 공간을 서로 연결시키고 차단시키기 위해 고압 공간의 압력과 냉매 가스 유로의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개폐되는 배출 밸브와, 상기 가스 유로의 연결과 무관한 고압 공간과 연결되지 않는 제1배출 부재의 제1머플러실이 한정되고 상기 배출 밸브가 폐쇄될 때 압력 맥동을 흡수하기 위한 냉매가스 유로와 연결되는 수단 및, 상기 제1머플러실과 냉매 가스 유로를 연결하는 압력 안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머플러실과 냉매 가스 유로 사이에 방사 방향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스 유로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배출 포트와 상기 제1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제1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배출 부재의 배출 포트와 상기 제1머플러실 사이에 방사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안내 통로는 제1배출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19950034049A 1995-03-22 1995-09-30 스크롤 압축기 KR100194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62660 1995-03-22
JP6266095 1995-03-22
JP95-62660 1995-03-22
JP95-159494 1995-06-26
JP7159494A JPH08319963A (ja) 1995-03-22 1995-06-26 スクロール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42A KR960034742A (ko) 1996-10-24
KR100194171B1 true KR100194171B1 (ko) 1999-06-15

Family

ID=2640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049A KR100194171B1 (ko) 1995-03-22 1995-09-30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5674061A (ko)
JP (1) JPH08319963A (ko)
KR (1) KR100194171B1 (ko)
CN (1) CN1083065C (ko)
GB (1) GB22991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523A (en) * 1996-02-09 2000-05-02 Kyungwon-Century Co., Ltd. Scroll-type compressor having securing blocks and multiple discharge ports
JP3658831B2 (ja) * 1996-02-09 200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6196814B1 (en) * 1998-06-22 2001-03-06 Tecumseh Products Company Positive displacement pump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US6193484B1 (en) 1998-10-21 2001-02-27 Scroll Technologies Force-fit scroll compressor assembly
JP2000352389A (ja) * 1999-06-08 2000-12-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6220839B1 (en) 1999-07-07 2001-04-24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discharge muffler
US6679683B2 (en) * 2000-10-16 2004-01-20 Copeland Corporation Dual volume-ratio scroll machine
KR100382453B1 (ko) * 2001-03-07 2003-05-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압축기
JP2003328965A (ja) * 2002-05-15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7311501B2 (en) * 2003-02-27 2007-12-25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Scroll compressor with bifurcated flow pattern
JP2005201114A (ja) * 2004-01-14 2005-07-28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TWI344512B (en) * 2004-02-27 2011-07-01 Sanyo Electric Co Two-stage rotary compressor
CN100406737C (zh) * 2004-08-13 2008-07-30 阿耐斯特岩田株式会社 涡卷真空泵
CN101072945B (zh) * 2004-12-06 2011-06-15 大金工业株式会社 压缩机
US7314357B2 (en) * 2005-05-02 2008-01-01 Tecumseh Products Company Seal member for scroll compressors
US20070092390A1 (en) * 2005-10-26 2007-04-26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US8356987B2 (en) * 2007-09-11 2013-01-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retaining mechanism
US8033803B2 (en) * 2007-09-11 2011-10-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improved sealing assembly
KR101371034B1 (ko) * 2007-10-19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090100689A (ko) * 2008-03-20 200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376619B1 (ko) * 2008-04-04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11038480A (ja) * 2009-08-12 2011-02-24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11047368A (ja) * 2009-08-28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8297958B2 (en) * 2009-09-11 2012-10-30 Bitzer Scroll, Inc. Optimized discharge port for scroll compressor with tip seals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8794941B2 (en) 2010-08-30 2014-08-05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JP5758112B2 (ja) * 2010-12-07 2015-08-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5951456B2 (ja) * 2012-11-26 2016-07-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578504B2 (ja) * 2013-04-30 2019-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6130748B2 (ja) * 2013-06-27 2017-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147605B2 (ja) * 2013-08-02 2017-06-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2018071480A (ja) * 2016-11-01 2018-05-10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7032864B2 (ja) * 2017-03-22 2022-03-0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圧縮機
CN111065821B (zh) 2017-09-04 2022-04-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压缩机
CN109751239A (zh) * 2017-11-07 2019-05-14 上海汉钟精机股份有限公司 涡旋式压缩机
WO2020001379A1 (zh) * 2018-06-29 2020-01-02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用于压缩机中排气阀的阻尼装置、排气阀组件和压缩机
JP2020007910A (ja) * 2018-07-02 2020-01-16 株式会社Soken 電動スクロール圧縮機
DE102018212802A1 (de) * 2018-08-01 2020-02-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Verdichtermodul und Kältemittelverdichter mit einem solchen Verdichtermodul
CN108869284A (zh) * 2018-08-29 2018-11-23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涡旋压缩机及具有其的车辆
KR102229985B1 (ko) * 2019-03-08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구조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CN209856036U (zh) * 2019-04-26 2019-12-27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涡旋压缩机
US11841031B2 (en) 2020-03-13 2023-1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ressor sensor mount
US11635091B2 (en) 2020-03-13 2023-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ressor with integrated accumulator
DE112021007778T5 (de) * 2021-06-08 2024-03-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piral-Kompressor
CN113757112A (zh) * 2021-08-13 2021-12-07 松下压缩机(大连)有限公司 压缩机高压腔体构建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3446A (en) * 1977-06-17 1981-07-15 Little Inc A Orbiting scroll-type liquid pump and scroll members therefor
JPS5746085A (en) * 1980-09-03 1982-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osed type rotary compressor
JPS593198A (ja) * 1982-06-28 1984-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式密閉型電動圧縮機の騒音低減装置
JPS59168289A (ja) * 1983-03-15 1984-09-21 Sanden Corp スクロ−ル型流体装置
JPS59142484U (ja) * 1983-03-15 1984-09-22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ル型流体装置における耐摩耗性板の構造
JPS60169687A (ja) * 1984-02-14 1985-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ル型流体機械
JPS6275089A (ja) * 1985-09-27 1987-04-06 Toshiba Corp スクロ−ル形圧縮機
JPS62265487A (ja) * 1986-05-09 1987-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圧縮機
JPS63255585A (ja) * 1987-04-10 1988-10-21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ル圧縮機
US4927341A (en) * 1987-11-23 1990-05-22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relieved flank surface
JP2713937B2 (ja) * 1988-01-19 1998-02-16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2746395B2 (ja) * 1988-12-21 1998-05-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JP2820463B2 (ja) * 1989-11-02 199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の始動方法
JP2567712B2 (ja) * 1989-12-28 1996-12-25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950007515B1 (ko) * 1990-01-08 1995-07-11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아사꾸쇼 스크롤 압축기
JPH0495684A (ja) * 1990-08-10 1992-03-27 Mirai Ind Co Ltd 管固定装置
JP3030135B2 (ja) * 1991-09-19 2000-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2703688B2 (ja) * 1991-12-11 1998-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の吐出弁装置
JPH0626471A (ja) * 1992-07-10 1994-02-01 Toshiba Corp スクロール式圧縮機
JP3261751B2 (ja) * 1992-08-19 2002-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密閉横形スクロール圧縮機
JPH06264877A (ja) * 1993-03-15 1994-09-20 Toshiba Corp スクロ−ル形圧縮機
TW381147B (en) * 1994-07-22 2000-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Scroll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3191A (en) 1999-01-26
GB2299136A (en) 1996-09-25
GB2299136B (en) 1999-04-21
KR960034742A (ko) 1996-10-24
GB9519935D0 (en) 1995-11-29
CN1083065C (zh) 2002-04-17
US5800142A (en) 1998-09-01
CN1136140A (zh) 1996-11-20
US5853288A (en) 1998-12-29
US5674061A (en) 1997-10-07
JPH08319963A (ja) 1996-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71B1 (ko) 스크롤 압축기
AU663408B2 (en) Valved discharge mechanism of a refrigerant compressor
US7018180B2 (en) Vacuum preventing device of scroll compressor
EP2198125B1 (en) Screw compressor pulsation damper
US20030021706A1 (e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of scroll compressor
US6514060B1 (en) Scroll type compressor having a pressure chamber opposite a discharge port
KR10045945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고진공 방지 장치
US8162622B2 (en) Compressor sound suppression
KR100336134B1 (ko) 저소음 회전식 압축기
CN210087602U (zh) 涡旋式压缩机
KR10036086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KR19990043510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JP2002364564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KR100304556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소음저감구조
JPS62121889A (ja) 回転式圧縮機
KR100259811B1 (ko) 스크롤압축기의축방향누설방지구조
KR0151286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스크롤
KR10043440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JPH1117328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0203908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20010076882A (ko)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KR0141725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저감 장치
KR20040106729A (ko) 소음 감쇠 기능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KR100273428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소음 저감구조
KR100186460B1 (ko)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소음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