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456B1 -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456B1
KR100188456B1 KR1019950705099A KR19950705099A KR100188456B1 KR 100188456 B1 KR100188456 B1 KR 100188456B1 KR 1019950705099 A KR1019950705099 A KR 1019950705099A KR 19950705099 A KR19950705099 A KR 19950705099A KR 100188456 B1 KR100188456 B1 KR 10018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liquid chromatography
polysaccharide
performance liquid
polysaccharide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614A (ko
Inventor
히로시 오다
기요카즈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고지마 아끼로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7644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884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아끼로,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아끼로
Publication of KR96070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5Pore diameter being more than 50 nm, i.e. macr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Chiral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14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 B01J20/3217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 B01J20/3219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involving a particular spacer or linking group, e.g. for attaching an active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2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01J20/3274Proteins, nucleic acids, polysaccharides, antibodies or antig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89Coatings involving more than one layer of same or different n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01J2220/4825Polysaccharides or cellulose materials, e.g. starch, chitin, sawdust, wood, straw,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4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8Use in a single colum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75Of cellulosic next to another carbohyd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광학이성체 분취의 분야에 있어서, 분취제품의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고, 분리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출물이 적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를 염가로 용이하게 얻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우팅하여 이루어진 충전제를 용매로 세정하여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적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를 얻는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충전제로서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는, 광학이성체 분취의 분야에 있어서, 분취제품의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한후에, 용매에 의하여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을 제거하고, 분리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출물이 적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를 염가로 용이하게 얻는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는, 대별하면 화학결합형 충전제와 코팅형 충전제의 2종류가 있다.
화학결합형 충전제는, 분리능을 갖는 물질이 담체에 화학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능을 갖는 물질유래의 용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적다.
한편, 코팅형 충전제는 분리능을 갖는 물질을 용해하는 용매는 사용할 수 없고, 또, 사용조건에 따라서는 분리능을 갖는 물질이 박리하고 용출할 가능성이 높다. 이 용출물은, 분석의 경우는 크로마토그램의 베이스라인의 드리프트현상등을 나타내고, 분취의 경우는 분취제품의 오염에 연계되므로, 기피하여야 할 일이다.
다당유도체를 담체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는, 광학이성체의 분리에 적합하고, 그 분리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특개소 60-082, 859호 공보, 일본특개소 60-108,752호 공보, 일본특개소 60-142,930호 공보등). 그러나, 이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는 사용하는 이동상에 따라서는, 그 다당유도체의 비교적 저분자 영역의 폴리머가 용출되어 크로마토그램의 베이스라인이 안정하지 않는 분취시의 분취제품중의 용출물이 혼입하는 장시간 사용하면 분리성능이 열화하는 등의 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용출물을 매우 적게한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등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려고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한후, 어떤종류의 용매를 사용하여 세정함으로써,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이 제거되고, 분리능이 저하되는 일없이 목적의 충전제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충전제이고,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은, 내경 1cm, 길이 25cm의 컬럼에 충전한 충전제에 n-헥산/2-프로판올=9/1(용량비) 혼합액을 유속 4.7ml/min, 온도 40℃로 통과시키고 그 용액 564ml를 채취하고, 농축건고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0.1mg이하이고, 다당유도체가 셀룰로오스유도체이고, 다당유도체가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β-1,4-키토산, 키틴(chitin), β-1,4-만난(mannan)및 β-1,4-크실란로부터 선택되고, 다당유도체는 다당의 수산기의 80~100%가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되고, 다당유도체는 우레탄결합을 형성한 카르바메이트(carbamate) 유도체, 에스테르결합을 형성한 에스테르유도체 또는 에테르결합을 형성한 에테르유도체 등이고, 다당유도체는 중합도가 50-100인 부분을 적게 포함하거나 또는 다당유도체는 중합도가 500이하이다.
더욱, 본 발명은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고, 용매로 그것을 세정하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정에 의하여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을 제거하고,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내경 1cm, 길이 25cm 의 컬럼에 충전한 충전제에 n-헥산/2-프로판올=9/1 혼합액(용량비)을 유속 4.7ml/min, 온도 40℃로 통과시키고 그 용액 564ml를 채취하여, 농축건고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0.1mg 이하로 될때까지 세정하고, 용매가 지방족탄화수소,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이고, 용매가 탄소수 1-8의 지방족탄화수소, 탄소수1-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이고, 또는 50-70℃의 온도로 세정한다.
본 발명은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그리고 그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적은 충전제를 사용하여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광학이성체를 분리 분취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그리고 그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적은 충전제를 광학이성체의 분리분취에 이용하는 것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당이란, 천연다당, 합성다당 어느것이든 불문하고, 광학활성이면 어떠한 것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결합양식의 규칙성이 높은 것으로, 고순도의 다당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예시하면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β-1,4-키토산, 키틴, β-1,4-만난, β-1,4-크실란 등이 있고, 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당유도체란, 다당의 수산기의 80~100%가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된 화합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결합을 형성한 카르바메이트유도체, 에스테르결합을 형성한 에스테르유도체, 에테르결합을 형성한 에테르유도체 등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카르바메이트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다당의 대표적예인 셀룰로오스(β-1,4-글루칸)는, 펄프등에 포함되는 천연다당이고, 그 분자량분포에 관하여는, 여러 가지 것이 시판되어 있다. 균을 사용한 합성셀룰로오스 이외는 단일의 분자량을 갖는 셀룰로오스를 용이하게 얻을 수는 없지만, 펄프를 산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미결정 셀룰로오스는 일반적으로 분자량분포가 좁고, 동시에 비결정 부분이 제거되는 것에 의하여 결정화도가 높고, 만난, 크실란 등의 불순물도 적다고 되어있다(미국 특허 2,978,446호 공보, 미국특허 3,141,875호 공보등).
그러나, 이와같은 셀룰로오스라도 분자량 분포가 단분산한 것을 얻을수는 없고, 따라서 이를 사용하여 유도체화 한것도 분자량 분포는 단분산은 아니다. 문제의 용출물의 주된 요인은, 중합도가 50-100 전후의 비교적 저분자 영역의 셀룰로오스유도체이다. 여기서, 단 분산이 아니더라도, 이 범위의 저분자 영역의 셀룰로오스유도체가 적고, 고분자 영역이 많은 셀룰로오스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담체로서는 다공질 유기담체 또는 다공질 무기담체가 있고, 바람직한 것은 다공질 무기담체이다. 다공질 유기담체로서 적당한 것으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물질이 열거된다. 다공질 무기담체로서, 적당한 것으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티타늄산화물, 글라스, 규산염 카울린 등의 합성 또는 천연의 물질이 열거되고, 다당유도체와의 친화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표면처리의 방법으로는 유기실란화합물을 사용한 실란화처리나 플라즈마 중합에 의한 표면처리법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다당유도체를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담체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한후에 유기용매를 증류제거하는 방법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담체는 다공질이고, 그 구멍의 내부에 까지 다량유도체를 침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당유도체를 용해한 용액의 점도는 낮은편이 좋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다당유도체의 중합도는 500이하가 적당하다. 따라서 이들의 다당유도체중에는 상기의 용출물의 주된 요인인 중합도가 50~100전후의 다당유도체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충전제상의 다당유도체는, 매우 얇은(수십 Å) 필름상으로 되어있고, 이 코팅층을 크게 어지럽히지 않고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용매로는 충전제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할때에 이동상으로 사용되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제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n-헥산 등의 지방족탄화수소와 에탄올, 2-프로판올 등의 저급알코올과의 혼합액을 이동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용매를 본 발명의 충전제의 세정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세정용 용매로는 지방족 탄화수소,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지방족탄화수소 중에서는 끓는점, 점도, 코팅층에의 영향등의 관점에서 n-헥산이 바람직하지만, n-헵탄, 이소옥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저급알코올 중에서는, 꼭같은 관점에서 2-프로판올이 바람직하지만,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세정액의 양에 관여하는, 충전제의 취급양에도 의존하지만 통상, 충전제 1g에 대하여 30~50ml의 세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온도에 대하여는, 고온인 편이 세정능력이 크지만, 다당유도체의 열안정성도 감안하여 통상 50~70℃정도가 바람직하다. 세정시간은, 상기의 조건으로 3시간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는 용출물의 양이 극히 적지만, 그 지표로서는, 내경 1cm, 길이 25cm의 컬럼에 충전한 충전제에 n-헥산/2-프로판올=9/1(용량비) 혼합액을 유속 4.7ml/min, 온도 40℃로 통과시키고 그 용액 546ml를 채취하여, 농축 건고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0.1mg이하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다당유도체 코팅형 충전제는, 통상의 용매세정하지 않는 다당유도체 코팅형 충전제와 비교하여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극히 적다. 이 때문에, 광학이성체 등의 분취의 경우, 분취제품중에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이 혼입하는 일 없이, 고품질의 제품이 얻어진다. 또 분석의 경우, 크로마토그램의 베이스라인이 드리프트하지 않고 안정화까지의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분석소요시간이 단축되고, 이동상 사용용매도 감소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말할것도 없다.
[합성예 1]
질소분위기하에서, 셀룰로오스(중합도 약 300) 3.5kg를 피리딘 56리터에 가하고, 이를 셀룰로오스에 대하여 크게 과잉의 3.5-디메틸페닐이소시안산 23.1kg에 100℃에서 가하고, 105℃에서 교반하면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뒤이어 이 반응액을 냉각하고, 메탄올 3리터를 가한후, 메탄올 160리터중에 투입하였다. 생긴 침전물을 여과에 의하여 회수한후, 건조하여 셀룰로오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11.8kg를 얻었다(수율 88%)
IR(cm-1) : 1728.7
원소분석치
C%; 64.83, H%; 6.16, N%; 6.90
분자량(폴리스티렌환산)
수평균분자량(MN) 71,000
중량평균분자량(MW) 204,000
MW/MN 2.88
[합성예 2]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10kg를 아세톤 40리터에 용해하고, 그 용액을 에탄올 400리터에 투입하였다. 생긴 침전물을 여과에 의하여 회수한후, 건조하여 셀룰로오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8.5kg를 얻었다.
원소분석치
C%; 64.85, H%; 6.13, N%; 6.77
분자량(폴리스티렌환산)
수평균분자량(MN) 100,000
중량평균분자량(MW) 240,000
MW/MN 2.40
[실시예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720g를 아세톤 4.7리터에 용해하고, 이를 3-아미노프로필실란 처리한 실리카겔(입경20μm, 공경 1,000Å) 2,880g에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완전히 혼합한후,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충전제 3,580g를 얻었다(이후, 충전제 A'라 호칭한다).
충전제 A' 800g를 2-프로판올 32리터에 현탁하고 온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 세정하였다. 충전제를 여별하고, n-헥산 10리터에 담금한후, 여별, 건조하였다. 다음에, n-헥산/2-프로판올=1/1(용량비) 40리터에 현탁하고, 온도 60℃로 3시간동안 교반, 세정하였다. 충전제를 여별하고, n-헥산 10리터에 담금한후, 여별, 건조하여 세정된 충전제(이후, 충전제 A라 호칭한다)를 얻었다.
원료 실리카겔, 충전제 A', 및 충전제 A의 원소분석을 행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충전제 A를 내경 1cm, 길이 25cm의 스테인레스강 컬럼에 충전하여 충전제 A의 충전컬럼(이후, 컬럼 A라 호칭한다)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직후의 컬럼 A에 n-헥산/2-프로판올=9/1(용량비) 혼합액을 유속 4.7ml/min, 온도 40℃로 통액하고 이 용액 564ml를 채취하였다. 이를 농축건조하여, 용출물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이 표 2를 보면, 세정하지 않은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 용출물이 현격하게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더, 컬럼 A에 대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표 3에 표시되는 라세미체의 광학분할실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하다. 이 표 3을 보면, 세정하지 않은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 분리능이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동상 : n-헥산/2-프로판올=9/1(용량비)
유속 : 4.7ml/min
검출파장 : 254nm
온도 : 40℃
[비교예 1]
상기의 세정하지 않은 충전제 A'의 충전컬럼(이후, 컬럼 A'라 호칭한다)을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직후의 컬럼 A'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용출물을 정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더욱더, 컬럼 A'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광학분할실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실시예 2]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충전제(이후, 충전제 B'라 호칭한다)를 제작하였다.
충전제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용매로 세정하여, 세정된 충전제(이후, 충전제 B라 호칭한다)를 제작하였다.
충전제 B' 및 충전제 B의 원소분석을 행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충전제 B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충전제 B를 충전한 컬럼(이후, 컬럼B라 호칭한다)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 직후의 컬럼 B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용출물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이 표 2를 보면, 세정하지 않은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2)와 비교하여, 용출물질이 각별히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더, 컬럼 B에 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광학분할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이 표 3을 보면, 세정하지 않은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2)와 비교하여 분리능을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상기의 세정하지 않은 충전제 B'의 충전컬럼(이후, 컬럼 B'라 호칭한다)를 실시예 2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 직후의 컬럼 B'에 대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식으로 용출물을 정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더욱, 컬럼 B'에 대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식으로 광학분할실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Claims (13)

  1. 다당유도체를 담체에 코팅하여 이루어진 충전제로서, 상기 다당유도체는 우레판 결합을 포함하는 다당,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다당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다당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내경 1cm, 길이 25cm의 컬럼에 충전한 충전제에 n-헥산/2-프로판올=9/1(용량비) 혼합액을 유속 4.7ml/분, 온도 40℃로 통과시키고 그 용액 564ml를 채취하고, 농축건고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0.1m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2. 제1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가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가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β-1,4-키토산, 키틴, β-1,4-만난 및 β-1,4-크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4. 제1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는 다당의 수산기의 80~100%가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5. 제1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는 우레탄결합을 형성한 카르바메이트유도체, 에스테르결합을 형성한 에스테르유도체 또는 에테르결합을 형성한 에테르유도체 등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6. 제1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는 중합도가 50-100인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7. 제1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는 중합도가 5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8. 다당유도체로 담체를 코팅하고, 코팅된 담체를 용매로 세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당유도체는 우레탄결합을 포함하는 다당,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다당, 그리고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다당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세정에 의하여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다당유도체 유래의 용출물의 양이, 내경 1cm, 길이 25cm의 컬럼에 충전한 충전제에 n-헥산/2-프로판올=9/1(용량비) 혼합액을 유속 4.7ml/min, 온도 40℃로 통과시키고 그 용액 564ml를 채취하고, 농축건고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0.1mg이하로 될때까지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용매가 지방족탄화수소, 1-4 탄소원자를 가지는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용매가 탄소수 1~8의 지방족탄화수소,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50-70℃의 온도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KR1019950705099A 1994-03-17 1995-03-17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 KR100188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7053 1994-03-17
JP6047053A JPH07260762A (ja) 1994-03-17 1994-03-17 高速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及びその製造法
PCT/JP1995/000490 WO1995025279A1 (fr) 1994-03-17 1995-03-17 Charge pour chromatographie en phase liquide haute performance et procede d'elaboration de cette char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614A KR960702614A (ko) 1996-04-27
KR100188456B1 true KR100188456B1 (ko) 1999-06-01

Family

ID=1276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099A KR100188456B1 (ko) 1994-03-17 1995-03-17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36259A (ko)
EP (1) EP0699902B1 (ko)
JP (1) JPH07260762A (ko)
KR (1) KR100188456B1 (ko)
CN (1) CN1099034C (ko)
DE (1) DE69533100T2 (ko)
WO (1) WO1995025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3201B2 (ja) * 1995-12-21 2004-02-0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高速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
FR2755879B1 (fr) * 1996-11-19 1999-01-08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d'equilibrage de pression et de rincage dans une enceinte
DE60239060D1 (de) * 2001-07-06 2011-03-10 Daicel Chem Neues trennmittel zur trennung eines optischen isomers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FR2834227A1 (fr) * 2001-12-27 2003-07-04 Chiralsep Sarl Materiaux supports optiquement actif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JP3866179B2 (ja) * 2002-10-09 2007-01-1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異性体分離用充填剤の製造方法
JP4871861B2 (ja) * 2005-03-31 2012-02-08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異性体分離剤
WO2010148191A2 (en) * 2009-06-17 2010-12-2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yclofructans as separation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24413A (ko) * 1957-01-28
US3141875A (en) * 1961-03-15 1964-07-21 Fmc Corp Crystallite aggregates disintegrated in acid medium
JPS6082858A (ja) * 1983-10-13 1985-05-11 Daicel Chem Ind Ltd 光学分割用吸着剤
JPS60108751A (ja) * 1983-11-18 1985-06-14 Daicel Chem Ind Ltd 分離剤
JPS60142930A (ja) * 1983-12-28 1985-07-29 Daicel Chem Ind Ltd 分離剤
US5489387A (en) * 1984-03-29 1996-02-0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eparation agent comprising acyl- or carbamoyl-substituted polysaccharide
JPS61181960A (ja) * 1985-02-06 1986-08-14 Daicel Chem Ind Ltd 複合構造物
US4912205A (en) * 1986-03-20 1990-03-2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lkyl-substituted phenylcarbamate derivative of polysaccharide
JP2648516B2 (ja) * 1989-07-27 1997-09-0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立体異性体の分離法
JP2841546B2 (ja) * 1989-09-25 1998-12-24 東ソー株式会社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
JPH0475893A (ja) * 1990-07-17 1992-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ット
US5491223A (en) * 1991-02-28 1996-02-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olysaccharide derivative and separating agent
EP0527236B1 (en) * 1991-03-04 1998-08-1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eparing a cellulose derivative
JPH0680018B2 (ja) * 1992-04-17 1994-10-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分離剤
US5496437A (en) * 1993-06-10 1996-03-05 Ceram Incorporated Reactive ion etching of lead zirconate titanate and ruthenium oxide thin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0762A (ja) 1995-10-13
EP0699902A1 (en) 1996-03-06
CN1099034C (zh) 2003-01-15
DE69533100D1 (de) 2004-07-08
CN1124523A (zh) 1996-06-12
WO1995025279A1 (fr) 1995-09-21
EP0699902B1 (en) 2004-06-02
KR960702614A (ko) 1996-04-27
DE69533100T2 (de) 2004-09-30
EP0699902A4 (en) 1996-08-28
US5736259A (en) 199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lcup et al. (S)-2-Hydroxyprophyl-β-cyclodextrin, a new chiral stationary phase for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EP0156382B1 (en) Separation agent comprising acyl-or carbamoyl-substituted polysaccharide
JPH0533210B2 (ko)
JPS6312850B2 (ko)
JPS60226830A (ja) 1,3−グルカンより成る分離剤
KR100188456B1 (ko)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및 그 제조법
KR100459314B1 (ko)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용충전제
EP0121776B1 (en) Resolving agent
US6013186A (e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fatty acids using ultrahydrophobic silicalite
EP0150849B1 (en) Agent for separation
EP0420115B1 (en) Packing material for liquid chromatography
JP3634929B2 (ja) 高速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の製造法
EP1391239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isomer separating filler and its use in chromatography
EP0157364B1 (en) Separation agent comprising aliphatic or aromatic ester of polysaccharide
JPH0429649B2 (ko)
JP3963531B2 (ja) 光学異性体分離用カラム充填剤の製造法
JPS61233633A (ja) 多糖のハロゲン置換芳香族カルバメート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分離剤
EP0970936A1 (en) A method for resolving optical isomers
JPH02289601A (ja) 新規な多糖誘導体及び分離剤
JPH0718849B2 (ja) 分離剤の製造方法
JP3181788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用の分離剤
JPH0426639A (ja) 2―シクロヘキセン―1―オールの光学分割方法
WO2006107081A1 (ja) 光学異性体分離剤
JPH0434358A (ja) 水溶性有機物の分離方法
JP2000080050A (ja) 光学異性体の吸着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