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31B1 - 토너 공급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공급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31B1
KR0185631B1 KR1019960011364A KR19960011364A KR0185631B1 KR 0185631 B1 KR0185631 B1 KR 0185631B1 KR 1019960011364 A KR1019960011364 A KR 1019960011364A KR 19960011364 A KR19960011364 A KR 19960011364A KR 0185631 B1 KR0185631 B1 KR 018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supply container
develop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522A (ko
Inventor
가즈노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3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성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진입 개구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현상제 수용 용기로 삽입되고, 현상제가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는 동안 공급되고, 진입 개구는 개방가능 덮개에 의해 덮어지고, 현상제 공급 용기가 장착 및 제거될 때, 개방가능 덮개가 개방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사용가능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 개구와, 공급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현상제 공급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개방가능 덮개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지 않을 때 개방가능 덮개는 밀폐가능하지 않다.

Description

토너 공급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2도는 보충 현상제 용기가 현상제 지지부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3도(a) 내지 (c)는 차단 부재가 보충 현상제 용기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삽입된 보충 현상제 용기의 단면도.
제5도는 뚜껑이 닫힌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가능한 전형적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9도는 보충 현상제 용기가 제8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안에 삽입된 보충 현상제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안에 삽입된 보충 현상제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제 지지부의 개구를 통해 보충 현상제 용기가 삽입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제12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안에 삽입된 보충 현상제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보충 현상제 용기가 삽입되는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
제19도는 제17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안에 삽입된 보충 현상제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드럼 3 : 토너 유지부
5 : 프로세스 카트리지 6, 7 : 프레임
8 : 보충 토너 용기 8a : 토너 저장부
11: 클로 13 : 결합부
14a : 힌지 14b : 개구
25 : 광학 시스템 40 : 차단 부재
41 : 제1 아암부 42 : 제2 아암부
44 : 인장 스프링 45 : 정지부
본 발명은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청소 수단과,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를 일체식으로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형태이고,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청소 수단은 처리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지 하나의 처리 수단과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를 포함하거나,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예를 들어 전자 사진식 복사기, 전자 사진식 프린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주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처리에 기초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채용한다. 이 시스템에서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집약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지 보수 인원에 의존하지 않고 장치를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장치의 작동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카트리지 시스템에 채용된 어떤 공지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토너가 보충될 수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5,034,776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90-186,375호등).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5,034,776호 및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90 -186,375호는 다수의 보충 토너 용기가 그 내부 공간에 삽입되게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 또는 특허 출원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토너 보충 가능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사용될 때 아주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을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 등에 보충 토너 용기를 장착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충 토너 용기와, 사용자가 보충 토너 용기를 장착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충 토너 용기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등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잘못된 보충 토너 용기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장치 등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는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보충 작동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가 흩어짐이 없이 보충될 수 있게 하는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충 토너 용기가 토너 저장 용기에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공급을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에 있어서, 용기는 진입 개구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로 삽입되고, 현상제는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는 동안 공급되고, 진입 개구는 개방가능한 덮개로 덮어지고, 현상제 공급 용기가 장착 및 제거될 때 개방가능 덮개가 개방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 개구와, 공급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현상제 공급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된 동안 개방가능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지 않을 때, 개방가능 덮개는 폐쇄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공급을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가 제공되고, 용기는 진입 개구를 통해 현상제 수용 용기로 삽입되고, 현상제는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는 동안 공급되고, 진입 개구는 개방가능한 덮개로 덮어지고, 현상제 공급 용기가 장착 및 제거될 때 개방가능 덮개가 개방되고,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처리 수단은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 개구와, 공급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현상제 공급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된 동안 개방가능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지 않을 때, 개방가능 덮개는 폐쇄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가 제공되고,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전기 사진식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현상제 공급 용기가 현상제 수용 용기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진입 개구와, 진입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는 캡과, 현상제 공급 용기를 로크하기 위해 현상제 수용용기에 제공되는 로크 부재와, 캡의 폐쇄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캡의 폐쇄를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차단 부재는 진입 개구로부터 로크 부재로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고, 현상제 공급 용기는 로크 부재와 결합할 때, 현상제 공급 용기의 결합 부재는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차단 부재를 후퇴 위치로 후퇴시켜 상기 캡의 폐쇄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처리 트리지와, 현상 장치와, 보충 토너 용기가 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먼저 제6도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함께 사용가능한 통상적인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식 프린터이나, 본 발명은 전자 사진식 프린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5)를 수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용 공간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즉 감광 드럼(1)과, 감광 드럼(1) 주위에 배치된 대전 수단(2)과 같은 화상 형성 처리 수단, 현상 수단(3) 및/또는 청소 수단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이 부품들은 플라스틱 프레임(6,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00)의 도움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장치 주조립체에 다음의 방식으로 장착 및 제거된다. 처음에 장치 주조립체의 뚜껑(14)이 개방된다. 더 자세하게는 장치 주조립체에는 힌지(14a)의 사용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뚜껑이 제공된다. 장치 주조립체가 개방됨에 따라 장치 주조립체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수용 공간은 노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가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를 통해 장치 주 조립체에 삽입되고, 화상 형성 장치내의 장착 수단(10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장치 주조립체내에는 전사 대전 수단(15)이 감광 드럼(1) 아래에 배치된다. 이 전사 대전 수단(15)의 시트 공급측에는 시트 피더 트레이(16), 시트 피더 롤러(17) 및 정렬 롤러(18)가 배치되고, 전사 대전 수단(15)의 시트 배출측에는 시트 안내 롤러(19)와 컨베이어 롤러(20)가 배치된다. 또한 전사 대전 롤러(15)의 시트 배출측에는 정착 수단(21)과, 배출 안내부와, 배출 롤러(23)와, 시트캐처 트레이(24)가 배치된다.
또한 제6도를 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좌측에는 광학 시스템(25)이 배치되고, 광학 시스템은 광학적 화상 반영 화상 데이타를 감광 드럼(1)에 투사한다. 광학 시스템은 광학 유니트(26)에 내장된 레이저 다이오드(27)와, 다각형 거울(28)과, 스캐너 모터(29)와, 화상 형성 렌즈(30)를 포함한다.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형성 신호가 보내지면, 광학 시스템의 레이저 다이오드(27)는 화상 형성 신호에 응답하여 광선 비임을 발생시키고, 이 비임은 다각형 거울(28)을 통해 감광 드럼(1)에 화상 형성 비임으로서 투사된다. 다각형 거울(28)은 스캐너 모터(29)에 의해 고속 회전되는 상태이고, 다각형 거울(28)에 의해 반사된 화상 형성 비임은 화상 형성 렌즈(30)와 편향거울(31)을 통해, 회전하는 감광 드럼(1)으로 투사된다.
감광 드럼(1)의 표면은 대전 수단(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화상 데이타에 응답하여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투사된 화상 형성 비임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화상 데이타를 반영하는 정전기적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의해, 이 정전기적 잠상은 현상 수단(3)에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현상 수단(3)은 현상제(토너)를 운반하는 현상 슬리브(3A)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1)상의 잠상은 현상 슬리브(3A)에 의해 잠상으로 전사되는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 즉 가시적 화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시트 피더 트레이(16)의 전사 시트와 같은 기록 매체(P)가 시트 피더 롤러(17)에 의해 정렬 롤러(18)로 보내진 후, 정렬 롤러(18)에 의해 토너 화상과 동기되어 감광 드럼(1) 및 전사 대전 수단(15) 사이의 닙(nip)으로 전달된다. 닙에서 감광 드럼(1)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대전 수단(15)의 기능에 의해 기록 매제(P)로 전사된다.
그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운반하는 기록 매체(P)는 시트 안내부(19)와 컨베이어 롤러(20)에 의해 정착 수단(12)으로 보내진다. 정착 수단(12)에서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P)에 정착되어 영구적 화상이 된다. 그후 영구적 토너 화상을 운반하는 기록 매체(P)는 배출 안내부(22)와 배출 롤러(23)에 의해 시트 캐처 트레이(24)로 배출된다.
토너 화상의 전사후 감광 드럼(1)은 청소 수단(4)에 의해 잔여 토너가 청소되고, 후속 화상 처리를 받는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5)가 더 설명된다.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세부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예를 들어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즉 감광 드럼(1)과 최소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처리 수단은 예를 들어,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대전시키 대전 수단(2)과, 감광 드럼(1)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3)과,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청소 수단(4) 등의 수단을 포함한다. 제1도를 보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경우에 대전 수단(2)[대전 롤러(2)], 토너(현상제)를 내장하는 현상 수단(3) 및 청소 수단(4)[청소 블레이드(4)]가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1) 주위에 배치된다. 이들은 프레임(6,7)로 구성된 하우징에 집적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형성한다.
다음에 현상 수단(3)이 설명된다. 현상 수단(3)에는 토너를 저장하는 현상제(토너) 유지부(3a)가 제공된다. 현상 수단(3)의 벽면에는 클로(claw, 11)와, 클로(11)위의 개구(3b)가 제공된다. 개구(3b)에는 힌지(3e)의 사용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뚜껑(3c)이 제공된다. 제1도는 뚜껑(3c)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40)가 토너 유지부(3a)내이고 개구(3b)에 인접한 장소에 위치된다. 차단 부재(40)는 본 명세서에 의한 보충 토너 용기(8)가 삽입되지 않는 한 토너 유지부 뚜껑(3c)이 노출되거나 개구(3b)를 덮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다음에 설명된다.
차단 부재(40)를 설명하는 데 더 적합한 제2도 및 제3도를 보면, 차단 부재(40)는 서로 수직인 제1 및 제2 아암부(41,42)를 포함한다. 이는 제1 및 제2아암부(41,42)의 축방향 선들의 교차 지점에 위치한 축(43)의 사용에 의해 토너유지부(3a)의 측벽(3f)에 진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인장 스프링(44)이 제1 아암부(41)에 제공된 앵커부(41a)와 토너 유지부(3a)의 후방벽(3g)에 형성된 앵커부(3i) 사이에 연장되어 차단 부재를 제1도 내지 제3도의 시계방향으로 항상 잡아당긴다. 그러나 차단 부재(40)의 시계 방향은 차단 부재(40)가 토너 유지부(3a)의 측벽(3f)으로부터 직립된 정지부(45)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지부는 차단 부재(40)의 회전을 조정할 때, 그 상부 단부가 개구(3b)위로 돌출한 제1 아암부(41)가 수직이 되고, 제2 아암부(42)는 수평이 되도록 위치된다.
차단 부재(40)가 전술한 상태인 채로 토너 유지부 뚜껑(3c)를 닫으려 할 경우, 토너 유지부 뚜껑(3c)는 완전히 닫힐 수 없다. 이는 개구(3b) 위로 돌출하는 차단 부재(40)의 제1 아암부(41)가 제1도의 이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토너 유지부 뚜껑(3c)과 간섭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1도 및 제2도를 보면, 본 실시예의 보충 토너 용기(8)은 상부벽(81)과, 바닥벽(82)과, 전방벽(83)과, 후방벽(84)과, 2개의 측벽(85,86)을 포함하는 토너 저장부(8a)를 형성하는 상자의 형상이다. 바닥벽(82)은 상부벽(81) 보다 작게 만들어져, 전방벽(83), 후방벽(84) 및 양 측벽(85,86)이 상부벽쪽으로부터 바닥벽쪽을 향해 내측으로 기울어진다.
바닥벽(82)에는 밀봉부(12)로 밀봉된 개구(8b)가 제공된다. 토너 저장 공간(8a)은 토너(T)로 충전된다. 보충 토너 용기(8)의 전방 및 후방벽(84,85)의 외측 대면 표면들에는 용기(8)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장착하는 결합부(13)가 제공된다. 제2도를 보면, 각 결합 돌출부(13)는 용기(8)의 전길이로 연장되고, 결합부(13)들중 하나는 용기(8)의 전방벽(83)으로부터 그 벽의 전길이에 걸쳐 돌출하고, 다른 하나는 용기(8)의 후방벽(84)으로부터 같은 방식으로 돌출한다. 그 단면들은 삼각형이다. 본 실시예에서, 그 상부면들은 용기(8)의 상부면에 평행하고, 그 측벽들은 내측으로 경사진다.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삽입될 때, 결합부(13)는 스냅식으로 토너 유지부(3a)에 제공된 클로(11)와 결합하여 보충 현상제 용기(8)는 토너 유지부(3a)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는 다음에 설명된다. 클로(11)는 토너 유지부(3a)의 후방 및 전방벽(3g, 3h)의 내측 대면 표면에 배치되고 토너 유지부(3a)의 후방 및 전방 벽(3g, 3h)의 전 길이로 연장된다. 이는 탄성변형가능하다. 클로(11)의 선단부(1la)의 하향 대면 표면은 홈의 형태로 단이 형성되어 용기(8)의 결합부(13)와 밀착 결합한다.
여기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3a)내의 토너(T)가 완전히 소모되었을 때 토너가 보충되는 방식이 설명된다.
처음에, 제1도 및 제2도를 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된다. 다음에 토너유지부(3a)의 개구(3b)로 보충 토너 용기(8)가 끼위지고 하향 가압된다. 이때 차단 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암부(41)가 수직이고, 제2 아암부(42)가 수평이 되도록 지향된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8)이 하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삽입됨에 따라, 보충 토너 용기(8)의 구동부, 즉 본 실시예의 용기(8)의 경사 후방벽(84)의 외측 대면 표면은 제3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40)의 제2 아암부(42)와 접촉하게 된다. 보충 토너 용기(8)가 더욱 하향 삽입되면, 연장부(81a), 즉 용기(8)의 사실상 수평의 외측 연장부가 제2 아암부(42)와 결합한다. 보충 토너 용기(8)가 더욱 삽입되면 차단 부재(40)가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44)의 장력에 대항하여 축(43)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삽입된 보충 토너 용기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5)용 보충 토너 용기가 아닌 경우에는 이같은 용기는 차단 부재(40)에 의해 차단되어 더이상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올바른 보충 토너 용기(8)가 삽입되면, 이는 더 하향으로 진입하도록 허용되어 보충 토너 용기(8)의 결합부(13)는 토너 유지부(3a)의 클로(1l)와 접촉하게 되어 클로(11)를 결합부(13)가 스냅식으로 클로(11)와 결합될 때까지 하향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보충 토너 용기(8)는 제3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유지부(3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보충 토너 용기(8)의 바닥벽(82)은 토너 유지부(3a)내에 제공된 지지벽(3j)에 안착된다. 한편 보충 토너 용기(8)가 삽입됨에 따라 차단 부재(40)는 제1 아암부(41)가 수평이 될 때까지 회전하고, 제1아암부(41)는 개구(3b) 위로 돌출하는 것을 멈춘다. 이 상태에서 토너 유지부 뚜껑(3c)을 닫는 시도는 성공하고, 개구(3b)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혀질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보충 토너 용기(8)가 완전히 삽입되고, 토너 유지부 뚜껑(3c)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충 토너 용기(8)를 장착하는 것을 잊는 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틀린 보충 토너 용기의 삽입도 방지된다.
제4도를 보면,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현상제 내장부의 절취부(3d)로부터 돌출하는 밀봉부(12)의 단부와 함께 닫혀진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8)의 개구(8b)는 밀봉부(12)의 단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의해 노출되어 토너(T)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로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 보충 토너 용기(8)가 클로(11)와 결합부(13)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장착되면, 보충 토너 용기(8)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 쪽에 또는 현상 수단(3) 쪽에,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5) 쪽 및 보충 토너용기(8) 쪽 모두에 제공되는 결합 기구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클로(11)와 결합부(13)의 조합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구조는 선택가능하다.
이같이 토너(T)로 재충전된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재장착가능하여 화상 형성을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현상 장치(1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10)는 카트리지의 형태이고, 현상 슬리브(3A)와, 현상 슬리브(3A)에 공급되는 토너(T)를 내장하는 현상제(토너) 유지부(3a)를 갖는 현상 수단(3)과, 플라스틱 프레임(6)을 일체로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 장치(10)는 감광 드럼(1)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토너 유지부(3a), 토너 유지부 뚜껑(3c), 보충 토너 용기(8), 차단 부재(40) 등의 부품들의 기능 및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부품들은 제1 실시예에 주어진 설명을 구성하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된다. 제7도에서 현상 장치(10)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개방되고, 보충 토너 용기(8)는 현상 장치(10)에 삽입되었다.
제3 실시예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와,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보충 토너 용기(8)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보충 토너 용기(8)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충 토너 용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토너 저장부(8a)를 형성하는 상부벽(81)과, 바닥벽(82)과, 경사진 전방 및 후방 벽(83,84)과 2개의 경사진 측벽(85,86)을 포함하는 상자의 형태이다. 토너 저장부(8a)는 토너(T)를 내장한다. 바닥벽(82)에는 밀봉부(12)로 밀봉된 개구(82b)가 제공되고, 전방 및 후방 벽(83,84)에는 보충 토너 용기(8)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장착하는 결합부(13)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로 용기(8)의 상부벽(81)의 수평 외측 연장부인 연장부(81a)가 앞의 실시예들의 해당 부분 보다 더 돌출한다.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40A)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3a) 외측에 위지하고, 개구(3b)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카트리지(5)가 삽입되는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에도 가까이 위치한다는 다른 차이가 있다. 이 차단 부재(40A)는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가 올바른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삽입되지 않는 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차단 부재(40A)는 전술한 차단 부재(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수직 교차하는 제1 및 제2 아암부(41, 42)를 포함하고, 아암부(41, 42)의 축방향 교차점에 제공된 축(43)의 사용에 의해 장치 주조립체의 측벽(10)에 진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인장 스프링(44)이 제1 아암부(41)에 제공된 앵커부(41a)와, 장치 주조립체의 후방벽(102)에 형성된 앵커부(102a) 사이로 신장되어 차단 부재(40A)를 제8도의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받게 한다. 그러나 차단 부재(40A)의 시계방향 회전은 차단 부재(40A)가 장치 주조립체의 측벽(101)으로부터 직립된 정지부(45)와 접촉함에 따라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지부(45)는 그것이 차단 부재(40)의 회전을 조정할 때 제1 아암부(41)가 수직이 되고, 그 상부 단부는 장치 주조립체 뚜껑(14Bb) 위로 돌출하고, 제2 아암부는 수평이 되도록 위치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폐쇄될 수 있으나,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은 제8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혀질 수는 없다. 이는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 위로 돌출하는 차단 부재(40A)의 제1 아암부(41)가 장치 주조립체 뚜껑(14)과 간섭하기 때문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3a)내의 토너(T)가 완전히 소모되었을 때 토너가 보충되는 방식이 설명된다.
처음에 제8도를 보면, 장치 주조립체 뚜껑(14)과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이 개방되어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 및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를 노출시킨다. 다음에 보충 토너 용기(8)가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에 끼위지고 하향 가압된다. 이때 차단 부재(4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암부(41)가 수직이고 제2 아암부(42)가 수평이 되도록 지향된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8)가 소정의 길이로 하향 삽입됨에 따라, 보충 토너 용기(8)의 구동부, 즉 용기(8)의 상부벽(81)의 연장부(81a)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40A)의 제2 아암부(42)와 접촉하게 된다. 보충 토너 용기(8)가 더욱 하향 삽입되면, 연장부(81a)는 제2 아암부(42)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보충 토너용기(8)가 더욱 삽입됨에 따라, 차단 부재(40A)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44)의 장력에 대항하여 축(43)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삽입된 보충 토너 용기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5)를 위한 올바른 보충 토너 용기가 아니면, 이같은 틀린 용기는 차단 부재(40A)에 의해 차단되어 더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올바른 보충 토너 용기(8)가 삽입되면, 이는 더 하향으로 진입하도록 허용되고, 보충 토너 용기(8)의 결합부(13)는 토너 유지부(3a)의 클로(11)와 접촉하게 되어, 결합부(13)가 클로(11)와 스냅식으로 결합할 때까지 클로(11)를 하향 탄성변형시킨다. 그결과 보충 토너 용기(8)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유지부(3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보충 토너 용기(8)가 삽입됨에 따라 차단 부재(40)는 제1 아암부(41)가 수평이 될 때까지 회전되고, 제1 아암부는 개구(14b)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상태에서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을 닫으려는 시도는 성공한다. 개구(14b)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제10도는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완전히 삽입되고,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충 토너 용기(8)를 장착하는 것을 않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틀린 보충 토너 용기의 삽입도 방지된다.
제10도를 보면,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폐쇄되고, 밀봉부(12)의 단부가 현상제 내장부(8)의 절취부(3d)로부터 돌출한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8)의 개구(8b)는 밀봉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잡아당김에 의해 노출되어 토너(T)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로 방출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현상 장치 카트리지(10)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10)는 카트리지의 형태이고, 현상 슬리브(3A)와, 현상 슬리브(3A)에 공급되는 토너(T)를 내장하는 현상제(토너) 유지부(3a)를 갖는 현상 수단(3)과, 플라스틱 프레임(6)을 일체로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 장치(10)는 감광 드럼(1)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에 기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토너 유지부(3a), 토너 유지부 뚜껑(3c), 보충 토너 용기(8), 장치 주조립체 뚜껑(14) 및 차단 부재(40A) 등의 부품들의 기능 및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부품들은 제1 실시예에 주어진 설명을 대체하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된다. 제11도에서 장치 주조립체 뚜껑(14) 및 현상 장치(10)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개방되고, 보충 토너 용기(8)는 현상 장치(10)에 삽입되었다.
제5 실시예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5)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보충 토너 용기(8)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충 토너 용기와 사실상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토너 저장부(8a)를 형성하는 상부벽(81)과, 바닥벽(82)과, 경사진 전방 및 후방 벽(83, 84)과 2개의 경사진 측벽(85, 86)을 포함하는 상자의 형태이다. 토너 저장부(8a)는 토너(T)를 내장한다. 바닥벽(82)에는 밀봉부(12)로 밀봉된 개구(82b)가 제공되고, 전방 및 후방 벽(83, 84)에는 보충 토너 용기(8)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장착하는 결합부(13)가 제공된다. 또한 대체로 용기(8)의 상부벽(81)의 수평 외측 연장부인 연장부(81a)가 수직벽들을 넘어 수평으로 돌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5) 및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5) 사이에는 몇가지 차이가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차단 부재(40A)는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 및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 양쪽 모두에 인접한 장소에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 부재(40A)는 힌지(3e)의 사용에 의해 토너 유지부(3a)의 벽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 토너 유지부 뚜껑(3c)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차단 부재(40B)로 대체된다. 차단 부재(40B)는 탄성 변형가능 통부(tong portion, 46)와, 통부(46)의 단부에 형성된 클로부(47)로 구성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부(47)는 통부(46)에 수직인 평면(47a)과 통부(46)를 향해 경사진 포면(47b)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3a)내의 토너(T)가 완전히 소모되었을 때 토너가 보충되는 방식이 설명된다.
처음에 제12도를 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이 개방되어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를 노출시킨다. 다음에 보충 토너 용기(8)가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에 끼워지고 하향 가압된다. 그결과 보충 토너 용기(8)의 결합부(13)가 토너 유지부(3a)의 클로(11)를 하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게 된다. 보충 토너 용기(8)가 더욱 하향 삽입되면, 결합부(13)는 클로(11)와 스냅식으로 결합한다. 그결과 보충 토너 용기(8)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유지부(3a)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e)에 대해 폐쇄된 위치로 회전된다. 그후 토너 유지부 뚜껑(3c)의 통부(46)에 형성된 클로부(47)의 경사면(47b)은 용기(8)의 상부벽(81)의 연장부(81a)와 접촉하게 된다. 토너 유지부 뚜껑(3c)이 더욱 하향 가압되면, 통부(46)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클로부(47)의 경사면(47b)은 연장부(81a)에 의해 안내되고, 최종적으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부(47)의 수직면(47a)이 연장부(81a)의 하향 대면표면과 스냅식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토너 유지부(3a)의 개구(8b)는 토너 유지부 뚜껑(3c)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제15도는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적절히 장착되고, 뚜껑(3)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5)가 화상 형성 장치가 장착된 후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이 또한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장착되지 않으면, 또는 틀린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삽입되면, 클로부(47)는 보충 토너 용기(8)와 결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보충 토너 용기(8)의 장착을 잊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틀린 보충 토너 용기(8)를 장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5도를 보면,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폐쇄되고, 밀봉부(l2)의 단부가 현상제 유지부(3a)의 절취부(3d)로부터 돌출한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8)의 개구(8b)는 밀봉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잡아당김에 의해 노출되어 토너(T)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로 방출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현상 장치(10)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10)는 카트리지의 형태이고, 현상 슬리브(3A)와, 현상 슬리브(3A)에 공급되는 토너(T)를 내장하는 현상제(토너) 유지부(3a)를 갖는 현상 수단(3)과, 플라스틱 프레임(6)을 일체로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 장치(10)는 감광 드럼(1)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 실시예에 기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토너 유지부(3a), 토너 유지부 뚜껑(3c), 보충 토너 용기(8) 및 차단 부재(40B) 등의 부품들의 기능 및 구조는 제5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부품들은 제5 실시예에 주어진 설명을 대체하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된다. 제16도에서 현상 장치(10)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개방되고, 보충 토너 용기(8)는 현상 장치(10)에 삽입되었다.
제7 실시예
제17도 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깐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5)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보충 토너 용기(8)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제5 실시예에 설명된 것과, 제5 실시예에서는 차단 부재(40B)가 토너 유지부 뚜껑(3c)의 자유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 부재(40C)가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에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차단 부재(40C)는 힌지(3a)의 사용에 의해 장치 주조립체의 벽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차단 부재(40C)는 제5 실시예의 차단 부재(40B)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에 수직인 탄성 변형가능 통부(46)와, 통부(46)의 단부에 형성된 클로부(47)로 구성된다. 클로부(47)는 통부(46)에 수직인 평면(47a)과 통부(46)를 향해 경사진 표면(47b)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통부(46)에는 노브(48)가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3a)내의 토너(T)가 완전히 소모되었을 때 토너가 보충되는 방식이 설명된다.
처음에 제17도를 보면, 장치 주조립체 뚜껑(14)과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이 개방되어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와,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를 노출시킨다. 다음에 보충 토너 용기(8)가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에 끼워지고 하향 가압된다. 그러면 보충 토너 용기(8)의 결합부(13)가 클로(11)를 결합부(13)가 클로(11)와 스냅식으로 결합할 때까지 하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게된다. 그결과 보충 토너 용기(8)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유지부(3a)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힌지(3e)에 대해 폐쇄된 위치로 회전되어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를 폐쇄한다.
다음에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이 힌지(14a)에 대해 폐쇄된 위치로 회전된다. 이 작동에 의해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의 통부(46)에 형성된 클로부(47)의 경사면(47b)은 용기(8)의 상부벽(81)의 연장부(81a)와 접촉하게 된다.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이 더욱 하향 가압되면, 통부(46)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클로부(47)의 경사면(47b)은 연장부(81a)에 의해 안내되고, 최종적으로 클로부(47)의 수직면(47a)이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81a)의 하향 대면 표면과 스냅식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장치 주조립체의 개구(14b)와, 토너 유지부(3a)의 개구(3b)는 장치 주조립체 뚜껑(1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제19도는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적절히 장착되고, 장치 주조립체 뚜껑(14)과 토너 유지부 뚜껑(3c)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장착되지 않으면, 또는 틀린 보충 토너 용기(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 삽입되면, 클로부(47)는 보충 토너 용기(8)와 결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보충 토너 용기(8)의 장착을 잊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틀린 보충 토너 용기(8)를 장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9도를 보면,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폐쇄되고, 밀봉부(12)의 단부가 현상제 유지부(3a)의 절취부(3d)로부터 돌출한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8)의 개구(8b)는 밀봉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잡아당김에 의해 노출되어 토너(T)를 프로세스 카트리지(5)로 방출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현상 장치(10)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10)는 카트리지의 형태이고, 현상 슬리브(3A)와, 현상 슬리브(3A)에 공급되는 토너(T)를 내장하는 현상제(토너) 유지부(3a)를 갖는 현상 수단(3)과, 플라스틱 프레임(6)을 일체로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 장치(10)는 감광 드럼(1)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7 실시예에 기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토너 유지부(3a), 토너 유지부 뚜껑(3c), 보충 토너 용기(8), 장치 주조립체 뚜껑(14) 및 차단 부재(40C) 등의 부품들의 기능 및 구조는 제7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부품들은 제1 실시예에 주어진 설명을 대체하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된다. 제20도에서 장치주조립체 뚜껑(14) 및 현상 장치(10)의 토너 유지부 뚜껑(3c)은 개방되고, 보충 토너 용기(8)는 현상 장치(10)에 삽입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충 토너 용기(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의 토너 유지부에 꼭맞게 끼위져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충 토너 용기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에 장착될 때, 이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뢰성 있게 장차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카트리티, 현상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는 차단 부재가 제공되고, 이는 올바른 보충 토너 용기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의 토너 유지부에 장착되지 않는 한, 현상제 유지부의 뚜껑 또는 장치 주조립체의 뚜껑이 정상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보충 토너 용기를 장착하는 것을 잊거나, 틀린 보충 토너 용기를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충 토너 용기를 장착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충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개시된 구조들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이는 전술한 상세한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향상의 목적 내의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9)

  1.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공급을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진입 개구를 동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로 삽입되고, 현상제는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는 동안 공급되고, 진입 개구는 개방가능한 덮개로 덮어지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장착 및 제거될 때 상기 개방가능 덮개가 개방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 개구와,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된 동안 상기 개방가능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지 않을 때,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폐쇄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개방가능 덮개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고, 상기 개방가능 덮개의 결합부와 현상제 수용 용기의 결합부 개방 가능 덮개가 폐쇄될 때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고,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개방가능 덮개의 폐쇄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의 장착 과정중 상기 결합부는 차단 부재와 결합하여, 차단 부재를 개방가능 덮개의 폐쇄를 차단하는 그 차단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후퇴시켜 개방가능 덮개의 폐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그것이 상기 개방 가능 덮개의 폐쇄 통로로 돌출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떨어진 후퇴 위치 사이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의 소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공간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지 않을 때,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폐쇄가능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공급을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진입 개구를 통해 현상제 수용 용기로 삽입되고, 현상제는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는 동안 공급되고, 진입 개구는 개방가능한 덮개로 덮어지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장착 및 제거될 때 상기 개방가능 덮개가 개방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 개구와,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된 동안 상기 개방가능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장착되지 않을 때,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폐쇄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개방가능 덮개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가능 덮개의 결합부와 현상제 수용 용기의 결합부는 상기 개방가능 덮개가 폐쇄될 때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덮개는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개방가능 덮개의 폐쇄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 장착하는 과정중 상기 결합부는 차단 부재와 결합하여, 차단 부재를 개방가능 덮개의 폐쇄를 차단하는 그 차단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후퇴시켜 개방가능 덮개의 폐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그것이 상기 개방 가능 덮개의 폐쇄통로로 돌출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부터 떨어진 후퇴 위치 사이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의 소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공간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가 제공되고, 전자 사전식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전기사진식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연상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진입 개구와, 상기 진입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는 캡과,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로크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제공되는 로크 부재와, 상기 캡의 폐쇄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캡의 폐쇄를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진입 개구로부터 상기 로크 부재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로크 부재와 결합할 때,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상기 차단 부재를 후퇴 위치로 후퇴시켜 상기 캡의 폐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캡이 상기 진입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작동편과, 상기 제1 작동편과 일체이고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가능한 제2 작동편과, 상기 차단 부재가 그에 대해 화전가능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차단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차단 위치로 통상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작동편은 상기 진입 개구의 상부 모서리를 넘어 상향 돌출하고, 상기 제2 작동편은 상기 진입 개구로부터 상기 로크 부재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이동 통로로 돌출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로크 부재와 로크될 때,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상기 제2 작동편에 작용하여 상기 제1 작동편을 회전축 주위로 하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내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벽에 제공되는 로크부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부가 서로 로크된 후, 그사이의 해제는 허용되지 않아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부터 제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카트리지 또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갖고,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진입 개구와, 상기 진입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는 캡과,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로크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제공되는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게 하도록 개방되는 개방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의 폐쇄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덮개의 폐쇄를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진입 개구로부터 상기 로크 부재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이동 경로 내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결합 부재에 접촉가능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로크 부재로 로크될 때, 상기 현상제 공급용기의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 부재를 후퇴 위치로 후퇴시켜 상기 덮개의 폐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캡이 상기 진입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작동편과, 상기 제1 작동편과 일체이고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2 작동편과, 상기 차단 부재가 그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차단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차단 위치로 통상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작동편은 상기 진입 개구의 상부 모서리를 넘어 상향 돌출하고, 상기 제2 작동편은 상기 진입 개구로부터 상기 로크 부재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이동 통로로 돌출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로크 부재와 로크될 때,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상기 제2 작동편에 작용하여 상기 제1 작동편을 회전축 주위로 하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내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벽에 제공되는 로크부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부가 서로 로크된 후, 그 사이의 해제는 허용되지 않아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카트리지 또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청소 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가 제공되고,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응 용기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진입 개구와, 상기 진입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결합부재와 결합가능한 캡과,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로크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제공되는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로크 부재와 결합할 때, 상기 캡은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캡의 폐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그 단부에 제공된 샤프트 주위로 회전가능하고, 다른 단부에 제공된 클로 부재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결합 부재로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부 벽의 연장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내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벽에 제공되는 로크부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부가 서로 로크된 후, 그 사이의 해제는 허용되지 않아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카트리지 또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갖고, 상기 장치는 덮개가 열릴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허용되는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는 개방가능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치리 수단과,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진입 개구와, 상기 진입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결합부재와 결합가능한 캡과,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로크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제공되는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로크 부재와 결합할 때, 상기 캡은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캡의 폐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그 단부에 제공된 샤프트 주위로 회전가능하고, 다른 단부에 제공된 클로 부재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결합 부재로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부 벽의 연장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내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벽에 제공되는 로크부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부가 서로 로크된 후, 그 사이의 해제는 허용되지 않아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카트리지 또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청소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19960011364A 1995-04-17 1996-04-16 토너 공급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KR0185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6531 1995-04-17
JP11653195A JP3466769B2 (ja) 1995-04-17 1995-04-17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522A KR960038522A (ko) 1996-11-21
KR0185631B1 true KR0185631B1 (ko) 1999-04-15

Family

ID=1468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364A KR0185631B1 (ko) 1995-04-17 1996-04-16 토너 공급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5571A (ko)
EP (1) EP0738936B1 (ko)
JP (1) JP3466769B2 (ko)
KR (1) KR0185631B1 (ko)
CN (1) CN1103458C (ko)
DE (1) DE6962452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232A (en) * 1995-12-08 1999-03-23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for dispensing toner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system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JP3958511B2 (ja) *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555582B1 (en) * 2001-01-31 201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667631B2 (ja) * 2001-03-30 2011-04-13 株式会社リコー 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834173B2 (en) * 2001-11-05 2004-1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apparatus process cartridge having a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cartridge from disengaging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a cartridge
TW525794U (en) 2001-11-12 2003-03-21 Gen Plastic Ind Co Ltd Powder supply apparatus of carbon powder cartridge
TW543553U (en) * 2002-02-08 2003-07-21 Gen Plastic Ind Co Ltd Powder supply mechanism for carbon toner cartridge
JP5075030B2 (ja) * 2007-10-15 2012-11-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補給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8238799B2 (en) * 2009-06-18 2012-08-07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tridge alignment member for aligning with a developer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5170184B2 (ja) 2010-08-02 2013-03-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29738B2 (ja) 2010-08-02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020112A (ja) * 2011-07-12 2013-01-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8867966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6047852B2 (ja) * 2012-04-10 2016-12-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948660B2 (en)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engagement features to actuate a developer unit shutter
US8948659B2 (en)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for a developer unit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US9152083B2 (en) * 2013-10-09 2015-10-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and latching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0087B2 (en)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WO2016129730A1 (en) * 2015-02-14 2016-08-18 Yi Jangho Compact, upright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11303B1 (en) 2015-04-10 2016-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630232B2 (ja) * 2016-05-26 2020-01-1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310410B2 (en) 2017-07-21 2019-06-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ment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20046317A1 (en) * 2018-08-30 2020-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bination cartridge
JP7433777B2 (ja) * 2019-04-26 2024-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22085402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4563A1 (de) * 1983-09-22 1985-04-11 Ricoh Co., Ltd., Tokio/Tokyo Entwicklungseinrichtung
JPS60153065A (ja) * 1984-01-20 1985-08-12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における操作機構
JPS62129877A (ja) * 1985-12-02 1987-06-12 Toshiba Corp 現像剤供給装置
US4839691A (en) * 1986-03-31 1989-06-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4870463A (en) * 1987-03-02 1989-09-26 Mita Industrial Co., Ltd. Latent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JPH01211786A (ja) * 1988-02-19 1989-08-24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
JPH0720679Y2 (ja) * 1988-03-01 1995-05-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925087B2 (ja) * 1989-01-12 1999-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の補給方法
JPH03107880A (ja) * 1989-09-22 1991-05-08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404198A (en) *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578228B2 (ja) * 1989-12-26 1997-0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ナー現像装置と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着脱方法
EP0483440B1 (en) * 1990-10-30 1994-06-01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TALIA S.p.A. Electrophotographic toner cartridge
US5229824A (en) * 1991-07-17 1993-07-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material supplying device for integral type processing unit assembled in electrophotographic type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861540B2 (ja) * 1991-10-24 1999-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像装置
JPH0552863U (ja) * 1991-12-18 1993-07-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ユニット等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
JP3126532B2 (ja) *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82122A (ja) *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7610B2 (ja) *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0127279B1 (ko) * 1992-07-24 1997-12-29 사또 후미오 전자사진장치용 용기 및 현상장치
JPH06301285A (ja) * 1993-04-16 1994-10-28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H0772675A (ja) * 1993-06-28 1995-03-1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7325484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86489A (ja) 1996-11-01
DE69624529T2 (de) 2003-06-26
DE69624529D1 (de) 2002-12-05
KR960038522A (ko) 1996-11-21
US6115571A (en) 2000-09-05
EP0738936A2 (en) 1996-10-23
CN1167279A (zh) 1997-12-10
JP3466769B2 (ja) 2003-11-17
EP0738936B1 (en) 2002-10-30
CN1103458C (zh) 2003-03-19
EP0738936A3 (en)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31B1 (ko) 토너 공급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EP0843233B1 (en) Toner supply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U2697013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тонера,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тонера и затвор
JP5531579B2 (ja) 粉体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容器
JP2002202656A (ja) トナー補給容器
US5832343A (en) Toner supply method,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940732B1 (en) Toner container
US5802431A (en) Collapsible toner container
US5655181A (en)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786375B2 (ja)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KR100523775B1 (ko)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JP2010079073A (ja)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6934492B2 (en) Toner supply container, image form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3175471A (ja) 電子写真記録装置の現像装置
JP2009122626A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925087B2 (ja) トナーの補給方法
JPH096110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3997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992322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H09269642A (ja) 現像装置
JP2010282238A (ja)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8171335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H0862964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JPH07175398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補給機構及びトナー補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05260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