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244B1 - 알파-글리코실헤스페리딘을함유시킨화장품 - Google Patents

알파-글리코실헤스페리딘을함유시킨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244B1
KR0184244B1 KR1019980034394A KR19980034394A KR0184244B1 KR 0184244 B1 KR0184244 B1 KR 0184244B1 KR 1019980034394 A KR1019980034394 A KR 1019980034394A KR 19980034394 A KR19980034394 A KR 19980034394A KR 0184244 B1 KR0184244 B1 KR 018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speridin
glycosyl
weight
parts
hesper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 히지야
도시오 미야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야시바라 세부쓰 가가쿠 겐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3028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842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야시바라 세부쓰 가가쿠 겐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야시바라 세부쓰 가가쿠 겐쿠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6Finished or semi-finishe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paste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5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the flavouring agents being bound to a host by chemical, electrical or like forces, e.g. use of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4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6Benzopyran radicals
    • C07H17/065Benzo[b]pyrans
    • C07H17/07Benzo[b]pyran-4-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6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 alpha-1, 6-glucosidase, e.g. amylose, debranched amylopect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glycosyl transferase, e.g. alpha-, beta- or gamma-cyclodextr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12P19/60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or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e.g. coumermycin, novobio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vitamins, antibiotics, other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켜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오스 잔기가 등몰(equimolar) 이상 α-결합하고 있는 신규의 헤스페리딘 유도체인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킨다.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다공성 합성 흡착제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로부터 회수한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미, 무취하며 독성의 우려도 없고, 특히 생체내에서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를 생성하여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음식물, 기호물, 사료, 이료,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및 플라스틱 제품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함유시킨 화장품
본 발명은 신규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즉,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스 잔기가 등몰(equimolar) 이상 α 결합하고 있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함유시킨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적용시켜 신규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키고, 이것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가공식품 등의 음식물,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즉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의 화장품 등에 관한 것이다.
헤스페리딘은 다음에 나타낸 화학구조를 갖고 있고 모세혈관의 강화, 출혈 예방, 혈압 조정 등의 생리작용을 지닌 비타민 P 로서, 또한 황색색소로서 옛날부터 알려져 있으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이용되고 있다.
헤스페리딘의 화학구조
비타민 P는 생체내에서 비타민 C의 생리활성, 예컨데 생체결합 조직의 주성분인 콜라겐의 합성에 필요한 프롤린이나 리진(lysine)의 히드록실화 반응에 관여하고, 또 예컨대 시토크롬 C의 Fe+++을 환원하여 Fe++로 하는 등의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하고, 나아가서는 백혈구 증가에 의한 면역증강 작용에 관여하는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생체의 건강 유지, 증진에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헤스페리딘의 용도는 단순히 영양소로서의 비타민 P 강화제에 머물지 않고 그 화학구조, 생리작용으로 부터 단독으로 또는 그 밖의 비타민 등과 병용하여, 예컨대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등에, 또한 비루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순환기 질환, 악성 종양 등의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즉 항감수성 질환제에, 나아가서는 황색 착색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멜라닌 생성 억제제 등의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화장품에까지 미치고, 그 범위는 극히 넓다. 그러나 헤스페리딘은 물에 녹기 어렵고, 실온에서는 50ℓ의 물에 겨우 1g 정도(약 0.002 w/v%)밖에 녹지 않으므로, 사용상 극히 곤란하다.
이 수용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는 헤스페리딘에 디메틸 황산을 작용시켜 헤스페리딘의 메틸 유도체로 하여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유기화학적 수법에 따라 이루어져서 반응에 유독한 디메틸 황산이 사용되며, 수득되는 유도체의 정제가 상당히 곤란하므로, 그 무독성, 안정성의 확보, 경제성 등의 점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되었다. 또, 수득되는 메틸 유도체가 쓴맛을 가지고 있다는 결점도 있다.
종래의 헤스페리딘 또는 그 유도체의 결점을 해소하여, 수용성이 우수하고,실질적으로 무미, 무취하며 독성의 우려도 없고, 특히, 생체내에서 가수분해 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헤스페리딘 유도체의 실현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생화학적 수법을 이용하여 신규의 헤스페리딘 유도체를 목표로 예의 연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예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시료 (I)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시료 (II)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그 결과,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D-글루코오스 잔기 등몰 이상이 α결합을 통해 헤스페리딘에 결합한 신규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생성됨을 발견하였고, 또한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미무취이고, 독성의 우려도 없고, 생체내에서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그 제조 방법 및 음식물,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화장품 등에의 용도를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 당전이 반응에 의해 생성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정제함에 있어서는 그 반응용액과 다공성 합성 흡착제를 접촉시켜, 그 흡착성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정제할 수 있음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알기에 해소하여, 그 공업화의 실현을 극히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헤스페리딘은 고도로 정제된 헤스페리딘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헤스페리딘과, 예컨대 시트로닌, 나린진, 루틴 등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flavonoid glycoside)의 혼합물, 나아가서는 헤스페리딘을 함유하고 있는 각종 식물 유래의 추출물, 또는 그 부분 정제물 등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식물조직으로서는 예컨대 감귤류의 과실, 과피, 미숙과 등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은 동시에 사용하는 당전이 효소에 의하여 헤스페리딘으로 부터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좋고, 예컨대 아밀로오스,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말토올리고당 등의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나아가서는 액화 전분, 호화(糊化) 전분 등을 적당히 선택한다. 따라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당전이 효소에 가장 적합한 감수성을 가진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당전이 효소로서 α-글루코시다아제(EC 3. 2. 1. 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등의 말토올리고당, 또는 DE (dextrose equivalent) 약 10∼70의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등이 가장 적합하고, 시크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EC 2. 4. 1. 19)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크로덱스트린 또는 DE 1 이하의 전분 호화물로 부터 DE 60의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등이 가장 적합하고, α-아밀라아제(EC 3. 2. 1. 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DE 1 이하의 전분 호화물로 부터 DE 약 30의 덱스트린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등이 가장 적합하다.
또, 반응시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 농도는 헤스페리딘에 대하여 약 0.5∼50배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시의 헤스페리딘 함유액은 헤스페리딘을 가급적 고농도로 함유하는 것이바람직하고, 예컨대 헤스페리딘을 현탁액상으로 하거나, 또는 고온으로 용해시킨,그렇지 않으면 pH 7.0을 초과하는 알칼리쪽 pH에서 용해시킨 용액상으로 하여 고농도로 함유하는 용액이 적합하고 그 농도는 약 0.005 w/v % 이상의 고농도, 바람직하기는 약 0.01∼10.0 w/v % 함유하고 있는 용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당전이 효소는 헤스페리딘과 이 효소에 가장 적합한 성질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작용시킬때, 헤스페리딘을 분해하지 않고,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하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당전이 효소의 예로서는 α-글루코시다아제의 경우 돼지의 간장, 메밀종자 등의 동식물 조직 유래의 효소 또는 무코르속(Mucor 屬), 페니실륨속 등에 속하는 곰팡이, 혹은 사카로미세스속(Saccharomyces 屬)에 속하는 효모 등의 미생물을 영양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되는 배양물 유래의 효소를, 그리고 시크로 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의 경우는 바실루스(Bacillus)속, 클렙시엘라속 등에 속하는 세균 배양물 유래의 효소를, α-아밀라아제의 경우는 바실루스속 등에 속하는 세균, 또는 아스페르길루스속 등에 속하는 곰팡이 배양물 유래의 효소 등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들 당전이 효소는 전술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반드시 정제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고, 통상은 조효소(粗酵素)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공지의 각종 방법으로 정제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시판의 당전이 효소를 이용할수도 있다.
당전이 효소량과 반응시간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통상의 경제성의 점에서약 5∼80 시간에서 반응을 종료하도록 효소량이 선택된다. 또, 고정화된 당전이 효소를 뱃치(batch)식으로 반복하고, 또는 연속식으로 반응에 이용하는 것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방법은 헤스페리딘의 초기농도를 높인 상태에서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헤스페리딘을 현탁액상으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약 0.1∼2.0 w/v % 의 현탁상 헤스페리딘과 적당량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을 pH 약 4.5∼6.5으로 유지하고 당전이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가급적 고온, 구체적으로는 약 70∼90℃ 로 유지하여 여기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면, 헤스페리딘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변환함에 따라서 현탁액상 헤스페리딘이 서서히 용해함과 동시에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한다. 또한, 예컨대 헤스페리딘을 pH 7.0을 초과하는 알칼리쪽에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pH 약 7.5∼10.0의 물에 약 0.2∼5.0 w/v % 의 헤스페리딘을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용해하여 수득되는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을, 당전이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가급적 높은 pH와, 고온, 구체적으로는, pH 약 7.5 ∼10.0, 온도 약 50∼80℃ 로 유지하고 여기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한다. 이 경우, 알칼리성 용액속의 헤스페리딘은 분해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차광 및 혐기 (嫌氣)하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조건을 조합하는 방법, 예컨대 약 0.5∼10.0 w/v % 의 헤스페리딘과 적당량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을 pH 약 7.5∼10.0, 온도 약 50∼80℃ 로 유지하여 여기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한다.
또한, 헤스페리딘으로서는 예컨대 약 0.1∼1.0N 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수산화 칼륨 수용액, 탄산 나트륨 수용액, 수산화 칼슘 수용액, 암모니아수 등의 강알칼리성 수용액에 약 0.5∼10.0 w/v % 의 고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고, 여기에 염산, 황산 등의 산성 수용액을 가하여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pH로 조정함과 아울러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가하고, 즉시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는 것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시키게 되므로 극히 알맞다. 이 경우, 모처럼 고농도로 용해시킨 헤스페리딘 용액도 산성 수용액으로 pH를 조정함에 따라 용이하게 헤스페리딘이 석출을 일으키므로 pH조정전에 α-글루코실 당화합물 및/또는 소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등을 공존시켜서 헤스페리딘의 석출을 억제하면서 당전이 반응을 개시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더욱 필요하다면, 반응전의 헤스페리딘의 용해도를 높여 헤스페리딘으로의 당전이 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에 물과 서로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아세톨(1-히드록시-2-프로판온), 아세톤 등의 저급 알코올 및 저급 케톤 등을공존시키는 것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킨 반응 용액은, 그대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으로 할수도 있다.
통상적으로는 반응용액을 여과, 농축하여 시럽상의, 필요에 따라서는 건조,분말화하여 분말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으로 한다.
본 제품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 아니라 안전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등의 용도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정제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의한 흡착성의 차를 이용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 등의 협잡물을 분리하여 정제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다공성 합성 흡착제라 함은, 다공성이고 넓은 흡착 표면적을 지니며, 또한 비이온성의 스티렌-디 비닐 벤젠 중합체, 페놀-포르말린 수지,아크릴레이트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합성수지이며, 예컨대, 시판되고 있는 미합중국의 Rohm Haas사 제조의 상품명 앰버라이트(Amberlite) XAD-1, 앰버라이트 XAD-2, 앰버라이트 XAD-4, 앰버라이트 XAD-7, 앰버라이트 XAD-8, 앰버라이트 XAD-11, 앰버라이트 XAD-12 ; 일본국의 Mitsubishi 化成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다이아이온(Diaion) HP-10, 다이아이온 HP-20, 다이아이온 HP-30, 다이아이온 HP-40, 다이아이온 HP-50 ; 및 네델란드국의 IMACTI사 제조의 상품명 이마크 (Imac) Syn-42, 이마크 Syn-44, 이마크 Syn-46 등이 있다.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킨 반응액의 정제방법은 반응액을, 예컨대 다공성 합성 흡착제를 충전한 컬럼에 통액하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및 비교적 소량의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되는 반면, 다량으로 공존하는 α-글리코실 당화합물과, 수용성 당류는 흡착되지 않고 그대로 유출한다.
필요하다면, 당전이 효소 반응 종료 후,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접촉시키기 까지의 동안에, 예컨대 반응액을 가열하여 생기는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한다거나, 규산 알루미늄산 마그네슘, 알루미늄산 마그네슘 등으로 처리하여 반응액속의단백성 물질 등을 흡착 제거한다거나,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H 형) 및/또는 중염기성 또는 약염기성 이온교환 수지(OH 형) 등으로 처리하여 탈염하는 등의 정제방법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마음대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다공성 합성 흡착제 컬럼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비교적 소량의 미반응 헤스페리딘은 묽은 알칼리, 물 등으로 세정한 다음 비교적 소량의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액, 예컨대 메탄올수, 에탄올수 등을 통액하면, 먼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출하고 통액량을 증가시키거나 유기용매 농도를 높이거나 하면 미반응 헤스 페리딘이 용출한다.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고함유 용출액을 증류 처리하여 우선 유기용매를제거한 다음, 적당한 농도까지 농축하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럽상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이것을 건조하여 분말화함으로써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상 제품을 수득하게 된다.
이 유기용매에 의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미반응 헤스페리딘의 용출 조작은 동시에 다공성 합성 흡착제의 재생조작도 되므로, 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의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의한 정제는 α-글리코실 당화합물 및 수용성 당류뿐만 아니라, 수용성의 염류 등의 협잡물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헤스페리딘과 비교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극히 크다.
(2) 헤스페리딘과 비교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내광성과 안정성이 크다.
(3)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체내의 효소에 의해 헤스페리딘과 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비타민 P)을 나타낸다. 또한, 비타민 C와의 병용에 의해 이들이 지닌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효과를 발휘할뿐 아니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이 부형(賦形), 증량효과나,감미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제거한 정제 제품의 경우에는, 거의 부형, 증량하는 일이 없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실질적으로 무미, 무취이므로 마음대로 맞의 조절, 향기의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들 특징으로 부터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비루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순환기 질환, 악성 종양 등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 화장품, 나아가서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신맛, 짠맛, 떫은 맛, 단맛, 쓴맛 등의 맛을 지닌 각종 물질들과 잘 조화하고, 내산성, 내열성도 크므로 보통 일반의 음식물, 기호물, 예컨대, 조미료, 일본식 과자, 양과자, 빙과, 음료, 스프레드(spreads), 페이스트, 절인것, 병조림, 축육 가공품, 어육.수산 가공품, 우유, 계란 가공품, 야채 가공품, 과실 가공품, 곡류 가공품 등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축, 가금, 밀봉, 누에, 물고기 등의 사육동물을 위한 사료, 모이 등에 비타민 P 강화제, 기호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알맞다.
그밖에 담배, 트로치(troche), 간유 드롭, 복합 비타민제, 구중(口中) 청량제, 구중 향정, 가아글, 경관 영양제, 내복약, 주사제, 치약, 입술연지, 입술크림,햇볕 그을림 방지제 등 각종 고체상, 페이스트상, 액상의 기호물,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즉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의 화장품 등에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자외선 흡수제, 열화(劣化) 방지제 등으로서 플라스틱 제품 등에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감수성 질환이라 함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에 의하여 예방되거나 치료되는 질환이며, 그것이 예컨대 비루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외상성 질환, 면역 질환, 류우머티즘, 당뇨병, 순환기 질환, 악성 종양 등이어도 좋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감수성 질환 예방제, 치료제는 그 목적에 따라서 그 형상을 자유로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분무제, 점안제, 점비제, 가아글제, 주사제 등의 액제 ; 연고, 습포제, 크림 등의 페이스트제 ; 및 분제, 과립, 캡슐제, 정제 등의 고형제제이다.
약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 예컨대 치료제, 생리활성 물질, 항생 물질, 보조제, 증량제, 안정제, 착색제, 착향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병용하는 것도 마음대로이다. 투여량은 함량, 투여 경로, 투여 빈도 등에 의하여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통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서, 성인 1인당 약 0.001∼10.0 그램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화장품의 경우에도, 대체로 전술한 예방제, 치료제에 준하여 이용할 수 있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그것들의 제품이 완성하기까지의 공정에서 예컨대 혼합, 반죽, 용해, 침지, 침투, 산포, 도포, 분무, 주입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일예를 실험으로 설명한다.
실험 1 :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
(1) 당전이 반응
헤스페리딘 1 중량부 및 덱스트린(DE 20) 6 중량부에 물 5,000 중량부를 가하여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바실루스 스테아로더어모필루스(Bacillus stearo thermophilus) 유래의 시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생물화학 연구소 판매)를 덱스트린 그램당 20 단위를 가하고 pH 6.0, 70℃ 로 유지하여 18 시간 반응시킨 다음,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킴으로써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함유액을 수득하였다.
(2) 정제
(1)의 방법으로 수득한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다이아이온 HP-10(일본국의 Mitsubishi 화성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충전한 컬럼에 SV2에서 통액하였다. 이 컬럼을 물로 세정한 다음, 50v/v % 에탄올을 통액한 후 이 용출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분말화하여 담황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標品)(I)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130 % 의 수율로 얻었다.
(3) 아밀라아제에 의한 가수분해
(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을 물에 1 w/v % 에 용해하고 여기에 글루코아밀라아제(EC 3. 2. 1. 3, 일본국의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이 표품 그램당 100 단위 가하여 pH 5.0, 55℃ 로 유지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다이아이온 HP-10(일본국의 Mitsubishi 화성공업 주식회사 판매)의 컬럼에 SV2에서 통액하였다. 그 결과, 용액속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하고, 글루코오스, 염류 등은 흡착하지 않고 유출하였다.
이어서 컬럼을 물을 사용하여 통액, 세정한 다음, 에탄올 수용액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면서 통액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획분을 채취한 다음, 감압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담황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I)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고형물당 약 70 %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또한, 글루코아밀라아제 대신에 β-아밀라아제(EC 3. 2. 1. 2), (일본국의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에 준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을 가수분해하고 정제, 농축, 분말화하여, 담황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II)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70 % 의 수율로 얻었다.
실험 2 :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이화학적 성질
(1) 수용성의 향상
실험 I(1)의 방법으로 당전이 반응에 의해 제조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함유액과, 이 방법에서 사용하는 효소를 미리 가열 실활시켜 실험 I(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한 대조액을, 4℃ 의 냉실에 2일간 방치한 결과, 대조액에서는 헤스페리딘이 석출하여 희게 혼탁하였음에 대하여,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함유액은 투명한대로 있었다. 따라서 당전이 반응에 의해 생성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있다.
(2) 용매에 대한 용해성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은 물, 0.1N 수산화 나트륨, 0.1N 염산에 용이하게 녹으며, 메탄올, 에탄올에 약간 녹고,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에는 녹지 않는다.
(3)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을 0.1N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용해하여 자외선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던 바, 표품(I), 표품(II), 표품(III)의 어느 것이나 헤스페리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86 nm 부근에서 흡수 극대를 가지고 있었다.
(4)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KBr 정제법에 의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의 결과를 도 1에, 표품(II)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5)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
(a)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은 돼지의 간장 유래의 α-글루코시다아제 (EC 3. 2. 1. 20)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를 생성한다.
(b) β-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지 않는다.
(6) 박층 (thin layer) 크로마토그래피
(a) 분석 방법
박층판 : 메르크사 제품
상품명 키이젤 겔(Kieselgel) 60 F254
전개용매 : n-부탄올 : 아세트산 : 물 = 4 : 2 : 1
발색제 : 1 w/w % 황산 제2세륨 10 w/w % 황산 수용액
(b) 분석 결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을 분석하였는 바, 표품(I)의 경우에는 Rf 0.69의 헤스페리딘의 스포트 이외에 새로이 Rf 0.48, 0.34, 0.22, 0.16, 0.10, 0.04 및 원점에서 스포트가 확인되었고, 표품(II)의 경우에는 Rf 0.48의 스포트가 확인되었으며, 표품(III)의 경우에는 Rf 0.48, 0.34의 스포트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성질로 부터 표품(I), 표품(II) 및 표품(III)에 함유되는 Rf 0.48을 나타내는 물질은 헤스페리딘 1몰에 D-글루코오스 잔기 1몰이 α결합한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이라 판단되며, 표품(I) 및 표품(III)에 함유되는 Rf 0.34를 나타내는 물질은 헤스페리딘 1몰에 D-글루코오스 2몰이 α결합한 α-디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이라 판단되고, 마찬가지로 표품(I)에 함유되는 Rf 0.22 이하의 복수의 스포트를 나타내는 물질은 헤스페리딘 1몰에 D-글루코오스 잔기 3몰 이상이 α결합한 α-올리고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오스잔기가 등몰 이상 α결합한 수용성이 양호한 신규의 헤스페리딘 당유도체로서 생체내에서 섭취되면, α-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한다.
실험 3 : 급성독성
7주령 되는 dd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실험 1(2)의 방법으로 제조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을 경구 투여하여 급성독성 테스트를 하였던 바, 5g 까지 사망한 예는 볼 수 없었고, 그 이상의 투여는 곤란하였다.
따라서, 이 물질의 독성은 극히 낮다. 더욱이 실험 1(3)의 방법으로 제조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I)을 사용하여 이 테스트를 하였던 바,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으며, 독성이 극히 낮다는 것을 판명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예를 실시예 A에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함유시킨 조성물의 예를 실시예 B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A - 1 :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헤스페리딘 1중량부를 1N 수산화 나트륨 용액 4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0.01N 염산 용액을 가하여 중화함과 아울러 덱스트린(DE 10) 4중량부를 가하고, 즉시 바실루스 스테아로더어모필루스 유래의 시크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생물화학 연구소 판매)를 덱스트린 그램당 20 단위를 가하고, pH 6.0, 75℃ 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헤스페리딘 약 70 % 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α-디클루코실 헤스페리딘, α-트리글루코실 헤스페리딘, α-테트라글루코실 헤스페리딘, α-펜타글루코실 헤스페리딘 등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되어 있었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이온교환 수지(H형 및 OH형)로 탈염 정제하고, 농축하여 α- 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럽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고형물당 원료 중량에 대하여 약 90 % 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등의 용도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2 :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실시예 A-1의 방법에 준하여 제조한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럽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 1중량부를 물 4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글루코아밀라아제(EC 3. 2. 1. 3 ; 일본국의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 고형물 그램당 100단위를 가하고, 50℃ 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되어 있었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다이아이온 HP-10(일본국의 Mitsubishi 화성 공업 주식회사 판매)의 컬럼에서 SV2으로 통액하였다. 그 결과, 용액중의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과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하고, 글루코오스, 염류 등은 흡착하지 않고 유출하였다. 이어서 칼럼을 물로 통액, 세정한 다음 에탄올 수용액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면서 통액하며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고함유 획분을 채취하고, 감압 농축한 다음 분말화하여, 분말상의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을 고형물당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60 % 의 수율로 얻었다.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을 산으로 가수분해하였던 바, 헤스페리딘 1몰에 대항 람노오스(rhamnose) 1몰, D-글루코오스 2몰을 생성하고, 또한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에 돼지의 간장으로 부터 추출하여 부분 정제한 α-글루코시 다아제를 작용시키면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은 고도로 정제된 수용성이 높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또한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3 :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헤스페리딘 1중량부를 물 500중량부에 pH 9.5에서 가열 용해하고, 별도로 덱스트린(DE 8) 10중량부를 물 10중량부에 가열 용해한 다음, 이들 용액을 혼합하여 여기에 시크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를 덱스트린 그램당 30단위를 가하고 pH 8.2, 65℃ 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4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헤스페리딘의 약 80 % 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앰버라이트 XAD-7(Rohm Hass사 제조)의 컬럼에 SV 1.5로 통액하였다. 그 결과, 용액속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되고, 덱스트린, 올리고당, 염류 등은 흡착하지 않고 유출하였다. 이 컬럼을 물로 통액, 세정한 다음 50 v/v % 메탄올을 통액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을 용출하여, 이것을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120 % 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수용성이 높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뿐 아니라 안전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등의 용도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4 :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 α-글루코시다아제 표품의 제조
말토오스 4 w/v %, 인산 1칼륨 0.1 w/v %, 질산 암모늄 0.1 w/v %, 황산 마그네슘 0.05 w/v %, 염화 칼륨 0.05 w/v %, 폴리펩톤 0.2 w/v %, 탄산 칼슘 1 w/v %(별도로 건열 멸균하여 식균시에 무균적으로 첨가) 및 물로된 액체배지 500중량부에 무코르 야바니커스(Mucor javanicus)IFO 4570 을 온도 30℃ 에서 44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다음, 균사체를 채취하고, 그 습한 균사체 48중량부에 대하여, 0.5M 아세트산 완충액(pH 5.3)에 용해한 4M 뇨소액 500중량부를 가하여 30℃ 에서 40시간 정치한 후, 원심분리 하였다. 이 상청액을 유수속에서 하루밤 투석한 다음, 황산 암모늄을 가해 0.9포화로 하여 4℃ 에서 하루밤 방치하여 생성한 염석물을 여과 채취하고, 0.01M 아세트산 완충액(pH 5.3) 50중량부에 현탁 용해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채취하여 α-글루코시 다아제 표품으로 하였다.
(2)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
헤스페리딘 5중량부를 0.5N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0중량부에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0.01N 염산 용액을 가하여 pH 9.5로 함과 아울러 덱스트린(ED 30) 20중량부를 가한 다음, 즉시 (1)의 방법으로 제조한 α-글루코시다아제 표품 10중량부를 가하고, pH 8.5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55℃ 에서 4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헤스페리딘의 약 60% 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되어 있었다.
반응액을 실시예 A-3과 마찬가지로 정제하여, 농축, 분말화하여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110 % 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실시예-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용성이 높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 : 하아드 캔디
환원 맥아당 물엿[일본국의 林原 상사 주식회사 판매, 등록상표 마비트(MABIT)] 1,500중량부를 가열하고, 감압하에서 수분 약 2 % 이하로 될때까지 농축하고, 여기에 시트르산 15중량부 및 실시예-3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중량부 및 소량의 레몬향료를 혼합하고, 이어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성형, 포장하여 하아드 캔디를 얻었다.
이 제품은 비타민 P를 강화한 황색의 레몬 캔디로서 이빨이 썩지 않는 저칼로리의 것이다.
실시예 B-2 : 끓인 머위 (大黃 : bog rhubarb)
머위 껍질을 벗긴 다음,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묽은 식염수에 여러시간 동안 침지하고, 이것을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얻은 시럽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청색 1호를 배합하여 조제한 녹색 착색료를 함유하는 액에서 충분히 끓여서 녹색의 선명한 끓인 대위를 얻었다.
이 제품은 각종 일본식 요리의 재료로서 착색 첨가함과 동시에, 식물섬유로서의 생리효과도 발휘한다.
실시예 B-3 : 녹말 페이스트[규우히(Gyuhi)]
떡살 녹말 1중량부에 물 1.2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 호화화하면서, 여기에 설탕 1.5중량부, 결정성 β-말토오스(일본국의 林原 주식회사 제조, 등록상표 선말트) 0.7중량부, 물엿 0.3중량부 및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얻은 시럽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0.2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통상 방법에 따라서, 성형 포장하여 녹말 페이스트(규우히)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풍미, 입에 닿았을때의 미각도 함께 양호한 녹말 페이스트로서 기장 경단 모양의 일본식 과자이다.
실시예 B-4 : 혼합 감미료
벌꿀 100중량부, 이성화당 50중량부, 흑설탕 2중량부 및 실시예 A-4의 방법으로 얻은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감미료를 얻었다. 이 제품은 비타민 P를 강화한 감미료이며, 건강식품으로서 가장 적합하다.
실시예 B-5 : 크리임 필링(cream filling)
결정성 α-말토오스(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제조, 등록상표 파인토오스 : FINETOSE) 1,200중량부, 쇼오트닝(shortening) 1,000중량부, 실시예 A-3의 방법으로 얻은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0중량부, 레시틴 1중량부, 레몬 오일 1중량부, 바닐라 오일 1중량부를 통상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크리임 필링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비타민 P 강화 및 황색으로 착색된 크리임 필링으로서, 입에 닿을때의 미각, 입에서 녹는 정도, 풍미 등도 양호하다.
실시예 B-6 : 정제
아스코르브산 20중량부에 결정성 β-말토오스 13중량부, 옥수수 전분 4중량부 및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분말상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3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직경 12 mm, 20R 펀치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정제를 얻었다.
이 제품은 아스코르브산과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의 복합 비타민제로서, 아스코르브산의 안정성도 좋고, 삼키기 쉬운 정제이다.
실시예 B-7 : 캡슐
아세트산 칼슘 1수화물 10중량부, L-락트산 마그네슘 3수화물 50중량부, 말토오스 57중량부,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20중량부 및 에이코산 펜타엔산(eicosapentaenoic) 20% 함유의 γ-시크로덱스트린 포접 화합물(inclusion compound) 12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성형기에서 과립으로 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봉입하여 1캡슐 150 mg 들이의 캠슐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제, 면역 부활제, 피부 순화제 등으로 하여,그리고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건강 증진용 식품 등으로 하여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8 : 연고
아세트산 나트륨 3수화물 1중량부, DL-락트산 칼슘 4중량부를 글리세린 10중량부와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와셀린 50중량부, 식물성 왁스 10중량부, 라놀린 10중량부, 참기름 14.5중량부, 실시예 A-4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중량부 및 박하유 0.5중량부의 혼합물에 가하여,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햇볕 그을름 방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나아가서는, 외상, 화상의 치유 촉진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9 : 주사제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물에 용해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여과하여 파이로겐 프리이 용액으로 하여, 이 용액을 20㎖ 들이 앰푸울에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50 mg 이 되도록 나누어 넣고, 이것을 감압 건조하여 봉입함으로써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 주사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비타민, 미네랄 등과 혼합하여 근육내 또는 정맥내에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은 저온저장의 필요도 없고 사용시의 생리식염수 등에의 용해성은 극히 양호하다.
실시예 B-10 : 주사제
염화 나트륨 6중량부, 염화 칼륨 0.3중량부, 염화 칼슘 0.2중량부, 락트산 나트륨 3.1중량부, 말토오스 45중량부 및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중량부를 물 1,000중량부에 용해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정제 여과하여 파이로겐 프리이 용액으로 하여, 이 용액을 멸균한 플라스틱 용기에 250㎖ 씩 충전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비타민 P 보급으로서 뿐만 아니라, 칼로리 보급, 미네랄 보급을 위한 주사제로서, 병중, 병후의 치료 촉진, 회복 촉진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1 : 경관 (經管) 영양제
결정성 α-말토오스 20중량부, 글리신 1.1중량부, 글루탐산 나트륨 0.18중량부, 식염 1.2중량부, 시트르산 1중량부, 락트산 칼슘 0.4중량부, 탄산 마그네슘 0.1중량부, 실시예 A-3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0.1중량부, 티아민 0.01중량부 및 리보플라빈 0.01중량부로 된 배합물을 제조한다. 이 배합물 24 g 씩을 라미네이트 알루미늄제의 작은 자루에 충전하고 열처리, 밀봉하여 경관영양제를 제조하였다.
이 경관 영양제는 한 자루를 약 300∼500㎖ 의 물에 용해하여 경관방법에 따라, 비강, 위, 장 등으로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 영양 보급액으로서도 유리하게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2 : 욕용제(浴用劑)
DL-락트산 나트륨 21중량부, 피루브산 나트륨 8중량부,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5중량부 및 에탄올 40중량부를 정제수 26중량부 및 적당량의 착색료, 향료와 혼합하여 욕용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로서 가장 적합하며, 입욕용의 탕에 100 ∼10,000배로 희석하여 이용하면 좋다. 이 제품은 입욕용의 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안용수, 화장수 등으로 희석하여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B-13 : 밀크 로우션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0.5중량부, 테트라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롤 1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1중량부, 피루브산 0.5중량부, 베헤닐 알코올 0.5중량부, 아보카도유(avocado oil) 1중량부, 실시예 A-3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중량부, 비타민 E 및 방부제의 적당량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L-락트산 나트륨 1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5중량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중량부 및 정제수 85.3중량부를 가한 다음, 균질화기(homogenizer)에서 에멀젼화하고, 다시 향료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밀크 로우션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햇볕 그을림 방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유리하게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4 : 크리임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2중량부,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중량부,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2중량부, 유동 파라핀 1중량부,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10중량부 및 방부제 적당량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L-락트산 2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5중량부 및 정제수 66중량부를 가하고, 균질화기에서 에멀젼화하고, 다시 향료 적당량을 가하여 교반 혼합하므로서 크리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햇볕 그을림 방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유리하게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오스 잔기가 등몰 이상 α결합한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미무취하며, 독성의 우려도 없으며, 생체내에서 용이하게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한다.
또한,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는 생화학적 수법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성이 우수하고 그 공업적 실시도 용이하다.
나아가서, 헤스페리딘의 공급농도를 높여서 반응시킬 수 있고, α-글리코실헤스페리딘을 용이하게 고농도로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아울러 이 반응액의 정제에 있어서, 반응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와 접촉시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정제할 수 있음도 발견하였음에 따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대량 제조를 극히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이 수득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양호하고, 내광성, 안정성이 양호하며, 충분한 생리활성을 발휘하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의 화장품, 나아가서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공업적 제조법과 그 용도의 확립은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플라스틱 산업에 있어서의 공업적 의의는 극히 크다.

Claims (4)

  1.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함유시킨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인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α-글루코실 당화합물과 함께 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키고, 생성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화장품.
  4.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C를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품.
KR1019980034394A 1989-06-03 1998-08-25 알파-글리코실헤스페리딘을함유시킨화장품 KR0184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141902 1989-06-03
JP1141902A JP3060227B2 (ja) 1989-06-03 1989-06-03 α―グリコシル ヘスペリジ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1019980015099 1999-01-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099 Division 1989-06-03 1999-0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4244B1 true KR0184244B1 (ko) 1999-05-01

Family

ID=153028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191A KR0153529B1 (ko) 1989-06-03 1990-06-04 알파-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그 제조방법
KR1019980034394A KR0184244B1 (ko) 1989-06-03 1998-08-25 알파-글리코실헤스페리딘을함유시킨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191A KR0153529B1 (ko) 1989-06-03 1990-06-04 알파-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627157A (ko)
EP (1) EP0402049B1 (ko)
JP (1) JP3060227B2 (ko)
KR (2) KR0153529B1 (ko)
AT (1) ATE124996T1 (ko)
CA (1) CA2018085C (ko)
DE (1) DE69020810T2 (ko)
DK (1) DK0402049T3 (ko)
ES (1) ES2078308T3 (ko)
GR (1) GR3017492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389A (ko) * 1999-12-29 2001-07-09 서경배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8761B1 (ko) * 2012-05-22 2015-02-04 (주)제주사랑농수산 온주 밀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6432B2 (ja) * 1990-06-11 1999-07-2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養毛剤
HUT66558A (en) * 1991-11-18 1994-12-28 Merrell Dow Pharma Phosphorylated flavonoids in the treatment of viral diseases
JPH0725761A (ja) * 1993-07-09 1995-01-27 Kureha Chem Ind Co Ltd 軟骨保護剤
DE4444238A1 (de) * 1994-12-13 1996-06-20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en aus Zimtsäurederivaten und Flavonglycosiden
JP3833775B2 (ja) * 1996-06-26 2006-10-1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酵素処理ヘスペリジ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酵素処理ヘスペリジンの使用方法
EP0908524B1 (en) * 1997-03-24 2004-02-04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Process for producing alpha-monoglucosylhesperidin-rich substance
US6224872B1 (en) 1997-07-31 2001-05-01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Composition
JP4203159B2 (ja) * 1997-12-09 2008-12-2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神経機能調節剤
JP4295840B2 (ja) * 1997-12-09 2009-07-1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血行改善剤
EP0956867A1 (de) * 1998-05-12 1999-11-17 Franz-Peter Dr. Liebel Verwendung von Flavonoidglykosiden, Gerbstoffen und Mikroorganismen zur Therapie und Prophylaxe des Diabetes mellitus
KR20000019716A (ko) * 1998-09-15 2000-04-15 박호군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JP2001158796A (ja) * 1999-11-30 2001-06-12 Toyo Seito Kk α−グルコシルジオスミンの製造方法及びフラボノイド組成物
AUPQ598300A0 (en) * 2000-03-03 2000-03-23 Citrus Sensation Pty Ltd Citrus fruit preservative
AU781514B2 (en) * 2000-03-03 2005-05-26 Citrus Sensation Pty Ltd Fruit and vegetable preservative
US6989161B2 (en) * 2000-06-12 2006-01-2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hytonutrient nutritional supplement
US6514506B1 (en) * 2001-02-14 2003-02-04 Color Access, Inc. Whi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scomycete derived enzyme
WO2002074971A1 (fr) * 2001-03-15 2002-09-2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Compose flavonoide et procede de production dudit compose
FR2836042B1 (fr) * 2002-02-15 2004-04-02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pour diminuer les poches et cernes sous les yeux
JP4147038B2 (ja) * 2002-03-01 2008-09-10 サラヤ株式会社 味質改善された羅漢果配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31032B (ko) * 2002-05-01 2010-10-01 Hayashibara Biochem Lab
US20040149375A1 (en) * 2003-02-05 2004-08-05 Shun-Ming Huang Method for encapsulating a secondary battery
JP5007471B2 (ja) 2004-03-17 2012-08-22 株式会社林原 機能性粉体
JP4731835B2 (ja) * 2004-06-07 2011-07-27 東洋精糖株式会社 低臭気酵素処理ヘスペリジン組成物
US20060018861A1 (en) * 2004-07-23 2006-01-26 Minghua Chen Skin care composition
CN1988879A (zh) * 2004-07-23 2007-06-27 宝洁公司 包含类黄酮和维生素b3的护肤组合物
CN1988882A (zh) * 2004-07-23 2007-06-27 宝洁公司 基于基底的护肤制品
CN1988881A (zh) * 2004-07-23 2007-06-27 宝洁公司 包含类黄酮和维生素b3的护肤组合物
EP1771149A1 (en) * 2004-07-23 2007-04-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flavonoid and vitamin b3
AU2005298653A1 (en) * 2004-10-25 2006-05-04 Symrise Gmbh & Co. Kg Use of glycosylated flavanones for the browning of skin or hair
KR20070095338A (ko) * 2004-12-24 2007-09-28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간기능 개선제
JP2006327945A (ja) * 2005-05-23 2006-12-07 Sanei Gen Ffi Inc 新規なフラボノイド配糖体
KR100736901B1 (ko) 2005-07-04 2007-07-06 광동제약 주식회사 진피연조엑스의 지표성분인 헤스페리딘과베타-시클로덱스트린의 포접화합물을 함유한 한방액제 및이의 제조방법
US7291340B2 (en) * 2005-12-29 2007-11-06 Elc Management Llc Extracts from black yeast for whitening skin
PL1856988T3 (pl) * 2006-05-19 2018-02-28 Kraft Foods R & D, Inc. Sposób wytwarzania i stosowania wyrobów z dodatkiem cukru flawonoidowego
JP2009007336A (ja) * 2007-05-25 2009-01-15 Shiseido Co Ltd α−グリコシルヘスペリジンを含有する経口投与・摂取用の、メラニン低下剤、皮膚明度低下抑制剤、皮膚粘弾性低下抑制剤、皮脂量低下抑制剤、SCF産生抑制剤、およびかゆみ抑制剤
JP2009007313A (ja) * 2007-06-29 2009-01-15 Lion Corp 筋萎縮抑制剤
US7862822B2 (en) * 2007-09-25 2011-01-04 Elc Management Llc Extracts from black yeast for whitening skin
JP2010265215A (ja) * 2009-05-14 2010-11-25 Hayashibara Biochem Lab Inc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
JP5653602B2 (ja) * 2009-09-02 2015-01-14 東洋精糖株式会社 高吸収性薬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37847B2 (ja) * 2011-03-04 2015-12-24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セチリジン塩酸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WO2013018779A1 (ja) * 2011-08-01 2013-02-07 株式会社林原 α-グルコシルヘスペリジンの結晶とその用途
JP5858686B2 (ja) * 2011-08-25 2016-02-10 花王株式会社 難水溶性ポリフェノール類の糖付加物の製造方法
JP6116869B2 (ja) * 2012-01-17 2017-04-19 花王株式会社 経口紫外線抵抗性向上剤
JP5985229B2 (ja) * 2012-04-11 2016-09-06 花王株式会社 難水溶性ポリフェノール類の糖付加物の製造方法
JP6200310B2 (ja) * 2012-12-26 2017-09-20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MY177500A (en) * 2014-03-03 2020-09-16 Hayashibara Co Glycosyl hesperet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2554508B1 (ko) * 2014-08-20 2023-07-1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경구 미용제
JP6624630B2 (ja) * 2015-07-24 2019-12-25 織田 次男 化粧品類の製造方法
EP3342396B1 (en) * 2015-09-02 2023-04-12 Hayashibara Co., Lt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for reducing skin yellowness
JP7454980B2 (ja) * 2020-03-25 2024-03-25 東洋精糖株式会社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047A (en) * 1951-06-16 1955-01-18 Sunkist Growers Inc Aqueous hydrolysis of flavanone glycosides
JPS548752B1 (ko) * 1971-02-19 1979-04-18
JPS5432073A (en) * 1977-08-17 1979-03-09 Hitachi Ltd Manufacture of cooling body
JPS5854799A (ja) * 1981-09-27 1983-03-31 Nitto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キヤビネツト板材
JPS5899498A (ja) * 1981-12-04 1983-06-13 Dai Ichi Seiyaku Co Ltd フラボノ−ル配糖体
US4521410A (en) * 1984-05-03 1985-06-04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Vitamin D glycosyl orthoesters
DK0387042T3 (da) * 1989-03-08 1995-04-03 Hayashibara Biochem Lab Fremstilling og anvendelser af alpha-glycosyl-rutin
JP2832848B2 (ja) * 1989-10-21 1998-12-09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結晶2―O―α―D―グルコ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134233B2 (ja) * 1991-07-26 2001-02-1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グリコシル ケルセチ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H0899498A (ja) * 1994-09-30 1996-04-16 Pentel Kk 自動描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389A (ko) * 1999-12-29 2001-07-09 서경배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8761B1 (ko) * 2012-05-22 2015-02-04 (주)제주사랑농수산 온주 밀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27157A (en) 1997-05-06
CA2018085A1 (en) 1990-12-03
EP0402049A2 (en) 1990-12-12
JP3060227B2 (ja) 2000-07-10
CA2018085C (en) 1999-04-27
JPH037593A (ja) 1991-01-14
US5652124A (en) 1997-07-29
DK0402049T3 (da) 1995-08-21
KR910000784A (ko) 1991-01-29
DE69020810T2 (de) 1996-01-04
KR0153529B1 (ko) 1998-10-15
ES2078308T3 (es) 1995-12-16
DE69020810D1 (de) 1995-08-17
GR3017492T3 (en) 1995-12-31
EP0402049B1 (en) 1995-07-12
EP0402049A3 (en) 1991-03-20
ATE124996T1 (de) 199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244B1 (ko) 알파-글리코실헤스페리딘을함유시킨화장품
KR100228885B1 (ko) 알파-글리코실 케르세틴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0165956B1 (ko) 알파-글리코실 루틴을 함유시킨 음식물의 제조방법
KR0181013B1 (ko) 결정질 2-오-알파-디-글루코피라노실-엘-아스코르브산을 함유시킨 화장품 조성물
KR0162495B1 (ko) 알파-글리코실-l-아스코르브산 및 그 제조방법
JP3194145B2 (ja) 4G―α―D―グルコピラノシルルチ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100203759B1 (ko) 신규의 알파-글리코실 나린진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JP2926411B2 (ja) α―グリコシル ルチン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JP3549436B2 (ja) α−グリコシルヘスペリジ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072535B2 (ja) 5−O−α−D−グルコ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163502B2 (ja) α−グリコシル フラボン類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177892B2 (ja) α―グリコシルルチンの製造法とその用途
JP4051482B2 (ja) α−グリコシルヘスペリジンを含んでなる医薬組成物
JP3194191B2 (ja) 組成物
JP3321731B2 (ja) α−グリコシルナリンジ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100227598B1 (ko) 신규의α-글리코실나린진을함유시킨화장품
JP3474517B2 (ja) 4G−α−D−グルコピラノシルルチンを含有せしめた抗感受性疾患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