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01B1 -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01B1
KR0182601B1 KR1019960022482A KR19960022482A KR0182601B1 KR 0182601 B1 KR0182601 B1 KR 0182601B1 KR 1019960022482 A KR1019960022482 A KR 1019960022482A KR 19960022482 A KR19960022482 A KR 19960022482A KR 0182601 B1 KR0182601 B1 KR 018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nion
sauce
minutes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169A (ko
Inventor
윤상기
조원일
박장희
최준봉
김한선
김재철
우형구
공운영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6002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01B1/ko
Publication of KR98000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식품.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
품질개선된 간짜장 및 이의 개선된 제조방법.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쇠고기 5 내지 17 중량%, 감자 5 내지 20 중량%, 완두콩 2 내지 5 중량%, 식용유 2 내지 5 중량%, 춘장 7.5 내지 12 중량%, 데치기한 양파 40 내지 58 중량%, 조미료(MSG) 0.1 내지 1.5 중량%, 간장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 중량%, 변성전분 0.3 내지 1.5 중량%, 밀가루 0.5 내지 2.5 중량%, 및 식수 2.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간짜장의 조성물과 양파를 적당한 농도의 염화칼슘과 식염을 함유하고, pH가 조절된 용액에서 일정한 조건(온도/시간)으로 데치기함으로써, 양파의 조직안에 있는 펙틴질이 서로 결합하여 조직이 단단해지도록하여 고온고압의 열처리에서도 양파의 형태와 조직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간짜장 소스의 조리공정중 물리적인 힘에 의해 양파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치기한 양파의 대부분을 소스제조의 최종단계의 투입함으로써, 양파의 형태 및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였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상온에서 장기유통이 가능하며, 열탕이나 전자렌지에서 2∼3분정도 가열하여 밥 또는 면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즉석 간짜장.

Description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본 발명은 상온에서 장기유통이 가능하며, 열탕이나 전자렌지에 2~3분정도 가열하여 밥 또는 면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짜장은 짜장의 일종으로서, 보통 짜장에 비해 맛과 씹는 느낌이 색다를 뿐만 아니라 고급 이미지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판중인 레토르트 짜장중에는 거의 보통 짜장이 대부분이고 간짜장 제품은 거의 없는 실정이며, 설령 있다 하더라도 본래의 간짜장과는 맛과 형태, 조직감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간짜장은 보통 짜장과는 달리 물과 전분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대신 양파등의 야채들로 소스가 되어 있어, 간짜장이 조리공정에서 잘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살균을 위하여 고온고압의 열처리를 행할 때 야채의 형태 및 조직감이 흐트러지고 수분이 빠져나와, 간짜장 본래의 외관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짜장을 레토르트 제품화하는 데에는 살균후에도 야채(양파)의 형태나 조직감이 살아있고, 소스의 점도가 적당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라 하겠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파를 적당한 온도(55-70℃)의 데치기용액에서 20~90분간 데치기(Blanching)함으로써 양파의 조직안에 있는 펙틴질이 서로 결합하여 조직이 단단해지도록하여 고온고압의 열처리에서도 양파의 형태와 조직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데치기용액은 염화칼슘 0.3~0.8 중량%, 식염 1.5~3.0 중량%를 함유하고 용액의 수소이온농도를 pH 3~5로 조절한 수용액으로서, 양파조직내의 펙틴질 사이에 가교결합(cross-linkage)을 형성할 수 있는 요소인 칼슘이온의 공급과 더불어, 팩틴의 메톡실기를 분해하고 칼슘이온과 함께 가교결합을 형성하도록 하는 펙틴에스터라제를 활성화시켜 양파의 조직을 경화시킬 뿐만아니라, 펙틴질의 β 1-4결합을 분해하여 양파의 조직을 연화시키는 폴리갈락투로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데치기한 양파의 일부(전체 소요량의 25 내지 35%정도)는 소스제조의 초기에 투입하고 식용유와 함께 볶아줌으로써 양파로부터 맛이 우러나오도록하여 소스의 기본적인 맛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데치기한 양파의 일부를 소스제조의 최종단계에 투입함으로써 간짜장 소스의 조리공정중 물리적인 힘에 의해 양파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살균 후에도 양파의 형태 및 조직이 유지되어 간짜장 본래의 외관과 맛을 낼 수 있는 제품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쇠고기 5 내지 17 중량%, 감자 5내지 20 중량%, 완두콩 2 내지 5 중량%, 식용유 2 내지 5 중량%, 춘장 7.5 내지 12 중량%, 데치기한 양파 40 내지 58 중량%, 조미료(MSG) 0.1 내지 1.5 중량%, 간장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 중량%, 변성전분 0.3 내지 1.5 중량%, 밀가루 0.5 내지 2.5 중량%, 및 식수 2.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간짜장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칼슘 0.3 내지 0.8 중량%, 및 식염 1.5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고 용액의 수소이온농도를 pH 3 내지 5로 조절하고 55 내지 70℃의 데치기용액에서 세절된 양파를 20 내지 90분간 데치기한 양파를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쇠고기 5 내지 17 중량%, 감자 5 내지 20 중량%, 완두콩 2 내지 5 중량%, 식용유 2 내지 5 중량%, 춘장 7.5 내지 12 중량%, 조미료(MSG) 0.1 내지 1.5 중량%, 간장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 중량%, 변성전분 0.3 내지 1.5 중량%, 밀가루 0.5 내지 2.5 중량%, 및 식수 2.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간짜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데치기한 양파의 투입시기를 이원화하여 전체소요량의 25 내지 35%를 소스 제조의 초기단계에 활용하고, 나머지는 소스 제조의 최종단계에 투입, 혼합하여 즉석 간짜장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제조공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원료 전처리공정
·쇠고기는 비계를 처리하고 15×15×15mm 크기의 사각모양으로 절단하여 둔다.
·감자, 양파 등의 야채류는 박피, 수세 후 15×15×15mm 크기의 사각모양으로 세절하여 둔다.
제2공정 : 양파 데치기 공정
·전처리된 양파는 데치기용액에서 20분~90분간 데치기한 후, 냉침하고 탈수하여 둔다. (이때, 데치기용액의 조성은 염화칼슘(CaCl2) 0.3~0.8 중량%, 식염 1.5~3.0 중량%이고, 구연산을 이용하여 pH 3~5로 조절한다.)
제3공정 : 고형물 제조 공정
·앞 공정에서 전처리된 쇠고기는 미리 식용유와 함께 180℃정도로 예열된 볶음기(Roaster)에서 빠르게 볶아낸 다음, 다시 적당량의 식용유를 볶음기에 투입하고 역시 180℃정도까지 예열한 후 전처리된 감자를 4~5분간 볶아낸다. (이때, 쇠고기 볶음시 생성된 국물은 소스제조에 이용한다.)
·완두콩은 캔제품으로부터 분리, 수세, 탈수하여 준비한다.
제4공정 : 소스 제조 공정
·먼저 볶음기에 식용유를 적당량 투입하고 일정 온도까지 예열한 후, 적당량의 춘장을 투입하고 늘어붙지 않도록 잘 교반하면서 3~4분간 볶아 둔다.
·소스제조기(Steam Kettle)에 적당량의 식용유를 붓고 충분히 예열한 후 앞의 공정에서 데치기된 양파의 일부(양파 사용량의 25 내지 35%정도)를 투입하고 4~5분간 볶다가 앞에서 미리 볶아둔 춘장을 투입하여 혼합 및 가열을 계속한다.
·양파와 춘장이 충분히 혼합되면 미리 준비된 식수와 조미료(MSG), 설탕, 간장 및 고기 볶음시 생성된 국물을 투입하고 가열을 계속한다. 소스가 끓으면 2~3배의 식수와 함께 미리 혼합하여 둔 전분현탁액을 투입하여 소스의 중량이 원하는 수준에 도달할 때가지 가열, 교반을 계속한다.
·여기에 미리 준비된 나머지 데치기한 양파(데친 양파의 65내지 75%정도)를 투입하고 1~2분간 가열, 교반하여 소스를 완성한다.
제5공정 : 충전 및 살균 공정
·건더기재료 및 소스제조가 완료되면, 먼저 제2공정에서 준비된 볶은 쇠고기와 볶음감자, 완두콩을 내열성파우치에 일정량씩 충전하고 이어서 소스를 충전하여 밀봉한 다음, 레토르트 살균기에서 115~125℃의 조건으로 10~40분간 살균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이때 볶은 쇠고기, 볶음감자, 완두콩 및 소스의 배합비율은 실시예별로 각 재료별 투입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그 비율은 볶은 쇠고기가 3.5 내지 12.0 중량%, 볶음감자 4.5 내지 18.0 중량%, 완두콩 2.0 내지 5.0 중량% 및 소스의 74.5 내지 82.5 중량%정도이다.
상기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간짜장 소스는 맛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파의 형태 및 조직감이 우수하여 제2공정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양파를 제치기(Blanching)하지 않고 세절양파를 그대로 소스제조시 사용한 제품에 비하여 전체적인 외관 조직감면에서 월등하게 품질이 좋았다.
또한, 데친 양파를 소스제조의 초기단계에 모두 투입하여 제조한 제품은 생양파를 사용한 제품에 비해서는 양파의 형태와 조직감이 양호하였으나, 앞에서 설명한 제조공정에서와 같이, 데친 양파를 소스제조의 최종단계에 투입한 제품에 비해서는 양파의 형태 및 조직이 많이 파괴되어 있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① 데친 양파의 제조
전술한 제조공정 설명에서와 같이 세절된 양파를 염화칼슘 0.5 중량%, 식염 2.0 중량% 및, pH 4.0로 조절된 데치기 용액 1에서 70℃/20분의 조건으로 데치기한 후 충분히 냉각수에 냉침, 탈수하여 데친 양파 20kg을 준비하였다.
② 건더기 재료 준비
앞의 제조공정 설명에서와 같이 세절된 쇠고기 2.5kg을 0.1 kg의 식용유와 함께 180℃까지 예열된 볶음기(Roaster)에서 3분간 볶아내어 볶은 쇠고기 1.8kg을 준비하였고, 다시 볶음기에 식용유 0.25kg을 투입하고 180℃까지 재예열한 후, 미리 세절된 감자 10kg을 투입하고 5분간 볶은 감자 9kg을 준비하였다. 이와 별도로, 제조공정 설명에서와 같이 완두콩 2kg을 준비하였다.
③ 소스의 제조
별도의 볶음기에 0.15kg의 식용유를 투입하고 160℃까지 예열한 후, 춘장 3.75kg을 3분간 볶아서 볶음춘장을 준비하여 두고, 교반기가 달린 소스제조기(steam kettle)에 식용유 0.5kg을 투입하고 예열한 다음, 앞 공정에서 전처리된 데친 양파 20kg중 7kg만을 투입하고 5분간 볶다가 앞서 준비된 볶음춘장을 투입하여 고루 혼합될 때까지 가열, 교반을 계속하였다.
양파와 춘장이 충분히 혼합되면 4kg의 식수를 가하고 소스가 끓을 때까지 가열한 다음, 미리 준비된 간장 1.5kg과 조미료(MSG) 0.75kg, 설탕 1.5kg을 투입하고, 미리 5kg의 식수에 변성전분(아세틸아디핀산 전분) 0.75kg과 밀가루 1.25kg을 혼합하여둔 전분혼합액 7kg을 투입하고 가열, 교반을 계속하여 소스의 중량이 24.5kg이 되면, 나머지 데친 양파 13kg을 투입하고 1분간 혼합하여 소스를 완성하였다.
④ 충전 및 살균공정
앞 공정에서 준비된 볶은 쇠고기 7.0g, 볶음감자 36g, 완두콩 8g 및 소스 149g씩을 충전, 밀봉하고 레토르트살균기에서 121℃/20분의 조건으로 살균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① 데친 양파의 제조
실시예1에서와 같은 양의 데치기용액Ⅱ(염화칼슘 0.65 중량%, 식염 2.5 중량%, pH 4.5)에서 세절된 양파를 70℃/30분의 조건으로 데치기한 후, 충분히 냉각수에 냉침, 탈수하여 데친 양파 22.5kg을 준비하였다.
② 건더기 재료 준비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처리된 쇠고기 3.5kg의 식용유와 함께 예열된 볶음기에서 3분간 볶아내어 볶은 고기 2.5kg을 준비하였고, 다시 볶음기에 식용유 0.3kg을 투입하고 180℃까지 재예열한 후, 감자 7.5kg을 투입하고 5분간 볶아서 볶은 감자 6.8kg을 준비하였다.
이와 별도로, 제조 공정 설명에서와 같이 완두콩 2.5kg을 준비하였다.
③ 소스의 제조
별도로 0.3kg의 식용유와 함께 160℃까지 예열한 볶음기에서 춘장 5kg을 4분간 볶아서 준비하여 두고, 소스제조기(steam kettle)에 식용유 0.75kg을 투입하고 예열한 다음, 데친 양파 22.5kg중 8kg만을 투입하고 5분간 볶다가 볶은춘장을 투입하여 고루 혼합될 때까지 가열, 교반을 계속하였다. 양파와 춘장이 충분히 혼합되면, 고기볶음시 생성된 국물과 식수 4kg을 가하고 소스가 끓을 때까지 가열한 다음, 미리 준비된 간장 0.5kg과 조미료(MSG) 0.5kg, 설탕 1.25kg을 투입하고 전분 혼합액 5.5kg(식수 3.75kg, 변성전분 0.75kg, 밀가루 1.0kg)을 투입한 후, 가열/교반을 계속하여 소스의 중량이 24kg에 도달하면 나머지 데친 양파 14.5kg을 마저 투입하고 1분간 더 혼합하여 소스제조를 완료하였다.
④ 충전 및 살균공정
앞 공정에서 준비된 볶은 쇠고기 10g, 볶음감자 27g, 완두콩 10g 및 소스 153g씩을 충전, 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기에서 121℃/25분의 조건으로 살균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3]
① 데친 양파의 제조
실시예1에서와 같은 양의 데치기용액Ⅲ(염화칼슘 0.8 중량%, 식염 중량%, pH 5.0)에서 세절된 양파를 65℃/45분 조건으로 데치기한 후, 충분히 냉각수에 냉침, 탈수하여 데친 양파 25kg을 준비하였다.
② 건더기 재료 준비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처리된 쇠고기 5.0kg의 식용유와 함께 예열된 볶음기에서 3분간 볶아내어 볶은 고기 3.5kg을 준비하였고, 다시 볶음기에 식용유 0.25kg을 투입하고 180℃까지 재예열한 후, 감자 5kg을 투입하고 4분간 볶아서 볶은 감자 4.5kg을 준비하였다.
이와 별도로, 제조공정 설명에서와 같이 완두콩 1.5kg을 준비하였다.
③ 소스의 제조
별도의 0.4kg의 식용유와 함께 160℃까지 볶음기에서 춘장 6kg을 4분간 볶아서 준비하여 두고, 소스제조기(steam kettle)에 식용유 0.9kg을 투입하고 예열한 다음, 데친 양파 25kg중 8kg만을 투입하고 5분간 볶다가 볶은춘장을 투입하여 고루 혼합될 때까지 가열, 교반을 계속하였다. 양파와 춘장이 충분히 혼합되면, 미리 준비된 간장 0.25kg과 조미료(MSG) 0.25kg, 설탕 1.0kg을 투입하고 전분혼합액 5kg(식수 3.5kg, 변성전분 0.5kg, 밀가루 1.0kg)을 투입한 후, 가열, 교반을 계속하여 소스의 중량이 24kg에 도달하면 나머지 데친 양파 17kg을 마저 투입하고 1.5분간 더 혼합하여 소스제조를 완료하였다.
④ 충전 및 살균공정
앞 공정에서 준비된 볶은 쇠고기 14g, 볶음감자 18g, 완두콩 6g 및 소스 162g씩을 충전, 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기에서 115℃/40분의 조건으로 살균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4]
① 데친 양파의 제조
실시예1에서와 같은 양의 데치기용액Ⅳ(염화칼슘 0.4 중량%, 식염 1.5 중량%, pH 3.5)에서 세절된 양파를 60℃/60분의 조건으로 데치기한 후, 충분히 냉각수에 냉침, 탈수하여 데친 양파 29kg을 준비하였다.
② 건더기 재료 준비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처리된 쇠고기 6.75kg을 0.5kg의 식용유와 함께 예열된 볶음기에서 3분간 볶아내어 볶은 고기 4.8kg을 준비하였고, 다시 볶음기에 식용유 0.3kg을 투입하고 180℃까지 재예열한 후, 감자 3.5kg을 투입하고 4분간 볶아서 볶은 감자 3kg을 준비하였다.
이와 별도로, 제조 공정 설명에서와 같이 완두콩 1kg을 준비하였다.
③ 소스의 제조
별도로 0.5kg의 식용유와 함께 예열된 볶음기에서 춘장 4.5kg을 4분간 볶아서 준비하여 두고, 소스제조기(steam kettle)에 식용유 1.2kg을 투입하고 예열한 다음, 데친 양파 29kg중 10kg만을 투입하고 5분간 볶다가 볶은춘장을 투입하여 고루 혼합될 때까지 가열, 교반을 계속하였다. 양파와 춘장이 충분히 혼합되면, 고기볶음시 생성된 국물과 식수 4kg을 투입하고 소스가 끓을 때까지 가열한 다음, 미리 준비된 간장 0.75kg과 조미료 0.05kg, 설탕 0.25kg을 투입하고 전분 혼합액 2kg(식수 1.6kg, 변성전분 0.15kg, 밀가루 0.25kg)을 투입한 후, 가열/교반을 계속하여 소스의 중량이 22.5kg에 도달하면 나머지 데친 양파 19kg을 마저 투입하고 2분간 더 혼합하여 소스제조를 완료하였다.
④ 충전 및 살균공정
앞 공정에서 준비된 볶은 쇠고기 19g, 볶음감자 12g, 완두콩 4g 및 소스 165g씩을 충전, 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기에서 118℃/30분의 조건으로 살균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5]
① 데친 양파의 제조
실시예1에서와 같은 양의 데치기용액Ⅴ(염화칼슘 0.3 중량%, 식염 1.5 중량%, pH 3.0)에서 세절된 양파를 55℃/90분의 조건으로 데치기한 후, 충분히 냉각수에 냉침, 탈수하여 데친 양파 27.5kg을 준비하였다.
② 건더기 재료 준비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처리된 쇠고기 8.5kg을 0.6kg의 식용유와 함께 예열된 볶음기에서 4분간 볶아내어 볶은 고기 6kg을 준비하였고, 다시 볶음기에 식용유 0.15kg을 투입하고 180℃까지 재예열한 후, 감자 2.5kg을 투입하고 4분간 볶아서 볶은 감자 2.25kg을 준비하였다.
③ 소스의 제조
별도로 0.5kg의 식용유와 함께 미리 예열된 볶음기에서 춘장 4.25kg을 4분간 볶아서 준비하여 두고, 소스제조기(steam kettle)에 식용유 1kg을 투입하고 예열한 후, 데친 양파 27.5kg중 10kg만을 투입하고 5분간 볶다가 볶아둔 춘장을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가열, 교반을 계속하였다. 양파와 춘장이 충분히 혼합되면, 고기볶음시 생성된 국물과 식수 5kg을 가하고 소스가 끓을 때까지 가열한 다음, 미리 준비된 간장 1.0kg과 조미료(MSG) 0.1kg, 설탕 0.5kg을 투입하고 전분 혼합액 2kg(식수 1.5kg, 변성전분 0.25kg, 밀가루 0.25kg)을 투입한 후, 가열/교반을 계속하여 소스의 중량이 23.5kg에 도달하면 나머지 데친 양파 17.5kg을 마저 투입하고 1분간 더 혼합하여 소스제조를 완료하였다.
④ 충전 및 살균공정
앞 공정에서 준비된 볶은 쇠고기 24g, 볶음감자 9g, 완두콩 4g 및 소스 163g씩을 충전, 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기에서 125℃/10분의 조건으로 살균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최종제품들의 각 실시예별 원부재료 배합비는 아래의 표 1과 같고, 양파의 전처리를 위한 각 실시예별 데치기 용액의 조성 및 처리조건은 표 2와 같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여기서 대조구1은 실시예1의 배합비 및 기타 제조공정은 같으나, 양파를 데치기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한 것이며, 대조구2는 실시예1과 배합비를 같이 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데치기한 양파를 사용하였으나, 양파의 전부를 소스제조기 초기에 투입하여 제조한 것이다.
※관능검사 실시 방법 : 5점척도 기호도 조사법
매우나쁘다 나쁘다 보통이다 좋다 매우좋다
-대상인원 : 발명에 무관한 25명
* 같은 첨자가 표시된 것은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는 것임.(P0.05)
위의 관능검사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파를 데치기용액에서 전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소스제조시 투입한 대조구1은 전체적인 외관 및 조직감, 소스의 걸쭉함 등이 좋지 않게 나타나 전체적인 기호도도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한편, 실시예1과 같이 데치기용액에서 양파를 전처리하였지만, 양파의 전부를 소스제조시 초기단계에 투입한 대조구2는 대조구1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비해서는 양파의 형태 및 조직이 많이 파괴되어 전체적인 외관, 조직감등에서 보통의 수준을 보였다.
반면, 양파를 표2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데치기하고, 그 대부분을 소스제조시 최종단계에 투입한 제품들(실시예1~5)은 전체적인 외관과 조직감이 특히 우수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도 월등한 품질의 우위를 보였다.

Claims (3)

  1. 염화칼슘 0.3 내지 0.8 중량% 및 식염 1.5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고 pH를 3내지 5로 조절한 용액에 55 내지 70℃에서 20 내지 90분간 데친 양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간짜장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양파의 양이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하여 40 내지 58중량%이고 추가로 쇠고기 5 내지 17 중량%, 감자 5 내지 20 중량%, 완두콩 2 내지 5 중량%, 식용유 2 내지 5 중량%, 춘장 7.5 내지 12 중량%, 조미료(MSG) 0.1 내지 1.5 중량%, 간장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 중량%, 변성전분 0.3 내지 1.5 중량%, 밀가루 0.5 내지 2.5 중량%, 및 식수 2.6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즉석 간짜장의 조성물.
  3. 즉석 간짜장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에 정의된 데친 양파를 양파 소요량의 25 내지 35%를 소스 제조의 초기단계에 투입하고, 나머지는 소스 제조의 최종단계에 투입하여 데친 양파의 투입시기를 이원화하여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22482A 1996-06-17 1996-06-17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018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482A KR0182601B1 (ko) 1996-06-17 1996-06-17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482A KR0182601B1 (ko) 1996-06-17 1996-06-17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169A KR980000169A (ko) 1998-03-30
KR0182601B1 true KR0182601B1 (ko) 1999-03-20

Family

ID=1946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482A KR0182601B1 (ko) 1996-06-17 1996-06-17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81B1 (ko) * 2002-02-09 2004-06-10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자장소스의 제조방법
KR101253446B1 (ko) * 2011-05-03 2013-04-11 이근영 절인 야채를 이용한 짜장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81B1 (ko) * 2002-02-09 2004-06-10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자장소스의 제조방법
KR101253446B1 (ko) * 2011-05-03 2013-04-11 이근영 절인 야채를 이용한 짜장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16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062B1 (ko) 닭발을 원료로 하는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7455688A (zh) 一种复合口感的超声波辅助卤蛋的制备方法
KR101914977B1 (ko) 뼈해장국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뼈해장국
KR20160114006A (ko) 전복을 이용한 흑우 치즈 떡갈비 구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복을 이용한 흑우 치즈 떡갈비 구이
KR20210048966A (ko) 조림닭 조리방법
KR0182601B1 (ko) 즉석 간짜장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CN115736180A (zh) 美味砂锅粥及其制备方法
CN108065331A (zh) 一种食用酱的加工方法
JP3008109B1 (ja) 鴨肉捏ね
KR101178202B1 (ko) 고기 튀김의 제조 방법
JP4805875B2 (ja) ノンフライ揚げ物様食品の製造方法
CN111802623A (zh) 一种清热解毒健胃野生食用菌酱及其制备方法
KR100884091B1 (ko) 굴비 혼합 고추장 및 그 제조 방법
KR0159530B1 (ko) 즉석 짜장 조성물
KR100500128B1 (ko) 갈비 튀김의 제조방법
CN110710638A (zh) 一种即食腊味菜的制作方法
CN110250479A (zh) 一种大盘鸡调味料及其制备方法
JP2002325550A (ja) 香味増強素材、これを含む調理食品又は調理食品用基材
KR20000063472A (ko) 우렁 쌈장 및 그 제조 방법
CN109511938A (zh) 一种鱼料理底料及其制备方法以及鱼料理
KR102317346B1 (ko) 다용도 간장분말소스
KR102432830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뼈구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뼈구이
KR102386902B1 (ko) 팥절미 및 그 제조방법
KR940004529B1 (ko) 즉석 단팥죽의 제조방법
KR102355091B1 (ko) 국내산 식재료를 이용한 매콤 간장 닭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