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280B1 -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Google Patents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82280B1 KR0182280B1 KR1019930030202A KR930030202A KR0182280B1 KR 0182280 B1 KR0182280 B1 KR 0182280B1 KR 1019930030202 A KR1019930030202 A KR 1019930030202A KR 930030202 A KR930030202 A KR 930030202A KR 0182280 B1 KR0182280 B1 KR 0182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llet
- component
- pair
- welding
- spro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 B29C66/8242—Pneumatic or hydraulic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78—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분할성형한 부품을 맞대어서 일체로 용착하는 팔레트의 용착장치, 특히, 용착해서 완성한 팔레트의 반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팔레트 반출기구와 부품 반입구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 부품과 하 부품을 세운 상태로 맞대어서 용착하는 압착기구내에서 수평이동하며 교대로 출몰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 반출기구는 수평이동하는 이동대차에 수직판을 부착하고, 상기 수직판에는 아암 부착판을 일체로 고착한 승강 가능한 승강판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아암 부착판의 상부에는 한 쌍의 협지 아암의 상단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축받이되고, 중앙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부설된 레일에 선형 가이드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 부착판의 하단부와 협지 아암과의 사이에는 협지 아암을 개폐하는 한 쌍의 실린더기구가 부착되어 있고, 선형 가이드와 협지 아암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지간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부를 생략한 장치 전체의 설명용 사시도.
제2도는 부품 반입기구와 부품 이송기구의 설명용 측면도.
제3도는 부품 반입기구와 부품 이송기구의 설명용 단면도.
제4도는 부품 이송기구의 평면도.
제5도는 부품 이송기구의 사시도.
제6도는 압착기구의 일부를 생략한 설명용 단면 정면도.
제7도는 구동방법을 나타낸 설명용 평면도.
제8도는 압착기구의 상 부품 지지부의 설명용 측면도.
제9도는 클램프기구 및 구동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압착기구의 상 부품 지지부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11도는 탕구커터기구의 측면도.
제12도는 탕구커터기구의 배면도.
제13도는 팔레트의 압출기구의 측면도.
제14도는 팔레트의 압출기구의 정면도.
제15도는 팔레트 반출기구의 측면도.
제16도는 팔레트 반출기구의 평면도.
제17도는 팔레트 반출기구의 단면 배면도.
제18도는 상하 부품을 용착한 팔레트의 정면도.
제19도는 탕구가 돌설된 상하 부품을 겹쳐서 용착하기 전의 설명용 사시도.
제20도는 종래의 팔레트 반출기구의 측면도.
제21도는 종래의 팔레트 반출기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팔레트 3 : 지주체
8 : 탕구 11 : 이동대차
100 : 압착기구 103 : 부품 반입기구
131 : 승강대 165 : 샤프트
171 : 기어 200 : 원통 로울러
371 : 실린더
본 발명은 팔레트의 지주부분에 있어서 미리 상하로 분할성형한 상 부품과 하 부품의 분할면을 일체로 당접시켜 용착하는 합성 수지제 팔레트의 용착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압착기구내의 반입기구와 용착해서 완성된 팔레트를 반출하기 위한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수지제 팔레트의 제조방법에는 사출성형기에 의한 일체성형방법과, 미리 분할성형한 부품의 분할면을 당접시켜 용착함으로써 일체의 팔레트를 얻는 당접 용착 성형방법이 있다. 후자인 당접 용착 성형방법으로서는, 팔레트의 지주부분을 적하물이 얹어진 면에 대해 평행으로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 제18도 및 제19도는 4방향 팔레트를 수평방향으로 분할 한 상하 두부품을 맞대어서 용착하는 성형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즉 팔레트(1)은 지주(3)의 대략 중간의 분할선(4)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사출성형된 상부품(5)와 하부품(7)을, 그 분할면을 맞대어서 용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품의 사출성형시에는 분할면과는 반대측의 면, 즉 적하물 적하면의 중앙부에 탕구(8)이 돌설된다. 상기 탕구(8)은 용착시에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제18도∼제19도 참조).
출원인은 앞서 특개평 3-61026호 공보(특원평 1-195751)에서 상기 용착장치에 있어서의 팔레트의 반출기구의 일례를 개시했다. 이 용착장치를 구성하는 팔레트의 반출기구는 다음처럼 구성되어 있다. 즉 제20도 및 제21도처럼 한 쌍의 레일(10)상을 주행하는 이동대차(11)에 팔레트 파지부(13)이 부착되어 있다. 이동대차(11)에 설치된 모터(15)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17)과 상기 팔레트 파지부측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킷(17) 및 상기 팔레트 파지부측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킷(19)에는 체인(20)이 감겨 있고, 상기 스프로킷(19)와 동축에 스프로킷(21)이 고정되어 있다. 스포로킷(21)은 아래쪽에 설치된 스프로킷(23)과 체인(25)로 연결된다. 상기 체인(25)에 승강판(27)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5)가 작동하면 승강판(27)이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판(27)에는 한 쌍의 보올 나사(31)이 직선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보올 나사(31)에는 팔레트 유지 아암(29)를 고착한 보올 너트(30)이 나사 맞춤되어 있고, 보올 나사(31)이 선단부의 기어는 모터(33)의 기어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15)에 의해 승강판(27)이 승강하는 동시에 모터(33)의 작동에 의해 보올 나사(31)이 회전하면 팔레트 유지 아암(29)가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팔레트의 양측면을 끼워둘 수 있게 된다.
상기 특개평 3-61026호 공보에 개시된 팔레트의 반출기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팔레트 유지 아암(29)의 간격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팔레트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팔레트의 양측면을 끼워두기 위해 팔레트의 크기에 따라 팔레트 유지 아암(29)의 간격도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팔레트의 양측면을 끼워두는 구성이기 때문에 유지 아암(29)에는 커다란 협지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팔레트 반출기구 그 자체가 대형화하는 동시에, 대출력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용착 직후의 용착부분은 아직 완전히 고체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팔레트의 측면에서 커다란 힘으로 협지하면 용착부분에 나쁜 영향을 주어 용착을 불완전하게 할 염려가 있다.
팔레트 반출기구에는 별도로 설치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이 고정되어 있고, 부품의 반입기구 및 가열기구와는 독립해서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착장치 전체로서의 구동기구가 복잡해진다. 또, 팔레트의 종류가 변경되면 용착시간이 변경되므로, 그 때마다 부품의 반입과 용착완료 후의 팔레트 반출과의 타이밍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조정작업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팔레트 반출기구의 협지 아암을 팔레트의 포크 삽입구에 삽입하여 지주부를 유지하도록 하는 용착장치의 반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팔레트의 형상 또는 크기가 변경되어도 조정이 용이한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작은 협지력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용착부분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부품의 반입과 용착완료 후의 팔레트의 반출을 향상 동시에 할 수 있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팔레트를 상하로 2 분할해서 이루어진 상부품과 하부품을 직립 상태로 맞대어서 용접하는 압착기구, 상기 압착기구내에 양부품을 반입하는 부품 반입기구, 상기 부품 반입기구에 양부품을 이송하는 부품 이송기구, 상기 부품 이송기구 및 압착기구내에 출몰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기구, 및 용착완료 후의 팔레트를 반출하는 팔레트 반출기구로 구성되는 용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반입기구와 상기 팔레트 반출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품 반입기구는 레일상을 주행하는 주행대차에 수하되어, 가열기구를 삽입가능하게 하는 상 부품 반입부와 하 부품 반입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 부품 반입부는 중공체의 부품 유지 프레임의 내부에 부품 협지기구를 설치하고, 상부에 위치 결정기구를 설치해서 이루어진다. 부품 협지기구는 수직방향으로 축받이된 한쌍의 샤프트 사이에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배설하고, 한 쌍의 샤프트에는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이동하며 동시에 선단부가 부품 유지 프레임에서 돌출되게 되는 부품 협지편이 각기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압착기구 내에서 출몰가능하게 수평이동하는 이동대차에 수직판을 부착한다. 상기 수직판에는 아암 부착판을 수하한 승강판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아암 부착판은 상부에서 한 쌍의 협지 아암의 선단부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받이 시킨다. 상기 아암 부착판의 하단부에 협지 아암을 회전운동시키는 실린더 기구를 설치하고, 실린기구의 로드를 협지 아암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아암 부착판에 연직방향으로 부설된 레일에 계합하여 상하 이동가능한 선형 가이드가 협지 아암 사이를, 각각의 양단을 회전이동 가능하게 축받이된 지간으로 연결한다. 상기 이동대차와 압착기구내에 부품을 반입하는 부품 반입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아암 부착판을 수하한 승강판은 수직판의 양단부에 연직방향으로 축받이된 보올나사에 맞물리는 보올너트 및 상기 보올나사의 내측에 연직방향으로 부설하는 레일에 계합하는 선형 가이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보올나사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의 양단부에 축받이된 보올나사는 상단에 고착된 스프로킷 및 모터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과의 사이에 체인을 감아 구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압착기구내에서 용착이 완료하기까지 대기하는 중에 팔레트 반출기구의 승강판을 윗쪽으로 이동시켜 둠으로써 협지 아암을 압착기구의 윗쪽에 위치시켜 둘 수 있다. 용착이 완료된 팔레트를 반출할 때는 승강판을 강하시켜 협지 아암을 팔레트의 포크 삽입구에 삽입하고, 실린더기구를 작동시켜 지주부를 협지시킨다. 이어서 협지 아암으로 지주부를 협지시킨 채, 승강판을 상승시켜 이동대차를 이동시켜서 반출하면 된다. 협지 아암은 지주부를 협지하기 때문에 작은 협지력으로 들어 올릴 수 있어서, 용착 직후에도 용착부분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팔레트의 치수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팔레트 전체에 비해 지주부의 치수의 변경 비율은 작으므로, 협지 아암의 개폐폭의 조정은 작아도 된다. 또, 협지 아암과, 아암 부착판 상을 상하이동 하는 선형 가이드와의 사이를 연결한 지간은 양단을 회전이동 가능하게 축받이 했으므로, 한쪽의 협지 아암의 움직임은 선형 가이드를 통해 다른 쪽의 협지 아암에 전달된다. 따라서 협지 아암을 회전이동시키는 2개의 실린더기구의 작동에 차이가 생겨도 협지 아암은 항상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의 용착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부를 생략한 장치 전체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먼저 제1도에 의거하여 장치 전체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착장치는 상 부품 및 하 부품을 유지하여, 맞대어서 용착하는 압착기구(100)과, 이 압착기구(100)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가열기구(101)과, 상기 가열기구(101)의 양측에 배설되어 역시 압착기구(100)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부품 반입기구(103)과, 상기 부품 반입기구의 외측에 배설되어 부품 반입기구(103)까지 부품을 이송하는 부품 이송기구(105)와, 용착된 팔레트를 압착기구(100)내에서 반출하는 팔레트 반출기구(107)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기구(100)은 상 부품을 유지하는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부품을 유지하는 하부품 지지부(110)으로 이루어진다. 양 부품 지지부(109),(110)은 서로 대향해서 이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윗쪽에 설치된 구동기구(111)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진퇴이동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부품 지지부(109),(110) 사이에서 출몰하는 상기 가열기구(101) 및 부품 반입기구(103)은 상기 지지부(109),(110)의 진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이동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부품 반입기구(103)은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로 구성된다. 양 부품 반입부(113),(115)에 의해 유지된 부품은 압착기구(100)내에 반입되어 각기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부품 지지부(110)에 넘겨진다.
부품이 각기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에 고정되면 부품 반입기구(103)과 동시적으로 또는 전후해서 침입한 가열기구(101)에 상기 양부품 지지부(109),(110)이 접근해서 부품의 용착면을 용융시킨다. 용융후 양부품 지지부(109),(110)이 개방되어 가열기구(101)을 후퇴시키고, 재차 양 부품지지부(109),(110)이 접근해서 양 부품을 당접용착시킨다. 용착이 완료되면 양 부품 지지부(109),(110)이 개방되어 일체로 성형된 팔레트 한쪽의 부품지지부에 유지시켜 팔레트 반출기구에 의해 반출되게 만든다.
한편 부품 반입기구(103)까지의 부품 반송은 부품 이송 기구(105)에 의해 행해진다. 부품 이송기구(105)는 컨베이어부(117)과 부품 반송부(119)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부(117)의 입구에서 부품이 그 당접면을 연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대기하면 부품 반송부(119)가 후퇴하여 부품에서 돌출한 탕구(8)을 파지한다. 탕구(8)을 파지한 채 부품 반입부(119)는 컨베이어부(117)의 구동과 동시적으로 부품을 부품 반입기구(103)의 소정위치까지 반송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부품 반송부(119)가 부품의 중심부에서 돌출한 탕구를 파지하여 반송함으로써, 부품의 형상, 크기가 변경되어도 항상 팔레트의 중심위치에서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하 각 기구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다음의 각 구성에 있어서 상 부품측과 하 부품측과는 기본적으로 대칭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 부품측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하 부품측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부품 이송기구(10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부품 이송기구(105)는 부품 반입기구(103)의 바깥쪽으로 인접해서 설치된 컨베이어부(117)과 또한 그 외측에 설치된 부품 반송부(1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부(117)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이며, 양측에는 부품을 안내하는 안내판(120)이 입설되어 있다.
한편, 부품 반송부(119)는 상기 컨베이어부를 따라서 진퇴하고, 파지하는 탕구의 높이에 따라서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부품 반송부(119)는 한 쌍의 레일(121)에 계합하는 안내부재(122)를 통해 설치된 주행대차(123)상에 모터(125)를 장착한다. 상기 모터(125)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에 피니온(127)을 고착하고 상기 피니온(127)은 상기 레일(121)의 외측에 평행하게 부설된 랙(129)와 맞물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25)가 시동하면 피니온이 회전하므로 피니온(127)과 랙(129)와의 맞물림에 의해 주행대차(123)은 레일(121)상을 진퇴이동한다.
상기 주행대차(123)상에는 브래킷(13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13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승강대가 배설되어 있다. 즉, 상기 브래킷(130)의 대략 중앙부에 보올 나사(133)이 부착되며, 이 보올 나사(133)의 상단에는 핸들(137)이 고착되어 있다. 또 이 보올나사(133)에는 상기 승강대(131)에 고정된 보올너트(135)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보올 너트(135)는 브래킷(130)에 절결된 종장의 관통공(136)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130)의 승강대(131)과 대향하는 면에는 한쌍의 더브테일(dovetail)홈을 형성한 부재(139)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대(131)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부재(139)에 접동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더브테일 조인트(14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핸들(137)을 회전시키면 보올나사(133)이 회전하므로 보올 나사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보올너트(135)를 통해 승강대(131)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때 승강대는 고정된 더브테일 조인트(140)이 더브테일 홈부재(139)에 접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안정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다.
또 상기 승강대(131)상에는 슬라이드판(141)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승강대(131)상에서 상기 레일(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된 레일(143)에 슬라이드판(141)의 하면에 고정시킨 선형 가이드(45)가 계합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141)에는 승강대(131)에 고착된 부착판(147)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실린더기구(149)의 로드(150)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판(141)은 실린더기구(149)를 구동시킴으로써 레일(143)상을 진퇴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판(141)상에는 한쌍의 에어모터(15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모터(151)의 회전축(153)은 상기 레일(143)과 같은 방향을 향하여 베어링(155)에 축받이 되어 있다. 회전축(153)의 선단에는 탕구 협지편(157)이 고착되고 에어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서로 수평상태에서 회전이동하면서 탕구(8)을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155)의 앞면에는 회전축(153)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 센서(159)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153)의 사이에는 광전관에 의한 탕구 검지 센서(160)이 설치되어 있다(제4도 참조).
이하 부품 반입기구(10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부품 반입기구(103)은 제1도∼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가열기구(101)을 삽입할 수 있게끔 대향되게 배설된 상 부품 반입구(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로 구성되어 있다.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의 구성은 대칭이므로 상 부품 반입부(113)에 대해 설명하고, 하 부품 반입부(115)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 부품 반입부(113)은 중공체로 된 프레임이며 상 부품을 당접하는 유지 프레임(161)과 상기 유지 프레임(161)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 협지기구(1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 협지기구(163)은 샤프트(165),(167)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부품협지편(169),(170)에 의해 유지 고정된다.
즉, 샤프트(165),(167)은 수직방향으로 축받이되며, 대향하는 선단부에는 기어(171),(173)이 고착되어 있고, 모터(175)의 회전축에 기어(177)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65),(167)에는 선단부가 상기 유지 프레임(161)의 앞면에서 돌출되는 부품 협지편(169),(17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품 협지편(169),(170)의 양단부에는 각기 안내 바아(179)가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75)를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177)과 맞물리는 기어(171),(173)을 통해 샤프트(165),(167)이 회전하여 부품 협지편(169),(170)을 상하이동시키고, 부품을 중앙부에 위치결정하면서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부품 협지편(169),(170)이 서로 중심방향으로 접근하면서 협지하므로, 부품의 크기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항상 중앙부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는 윗쪽에 설치된 한 쌍의 주행대차(180)을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주행대차(180)은 하면에 설치된 차륜(183)에 의해 한 쌍의 레일(181)상을 주행하며, 상기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는 지지 프레임(185)에 의해 수하되어 있다. 양 지지 프레임(185)는 보강을 위해 연결 바아(18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행대차(180)에는 체인(189)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체인(189)는 레일(181)의 양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190)에 감겨 있다. 스프로킷(190)은 동축에 고착된 스프로킷(191)과 모터(193)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195)와의 사이에 체인(97)을 감는 것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 하부품 반입부(113),(115)는 주행대차(180)과 함께 진퇴 이동한다.
또한 상기 부품 반입기구(103)에는 위치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 바아(187)의 적소에 관통공(199)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99)에 한 쌍의 원통 롤러(200)이 소정간격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세로방향으로 축받이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일(181)상에는 실린더(201)과 실린더(203)이 레일(181)과 직교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01)의 로드(205) 및 실린더(203)의 로드(207)의 상기 원통 롤러(200) 사이에 출몰 가능하게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품 반입기구(103)은 상기 실린더(201)에 의해 상품을 반입하는 대기 위치에 위치 결정되며, 상기 실린더(203)에 의해 압착기구(100)의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의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 된다.
이하 가열기구(10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기구(101)은, 양측면에 공지구조의 가열판을 갖는 이동 프레임(209)가 주행대차(210)에 수하되어 있으며, 압착기구(100) 및 부품 반입기구(103)내에서 출몰 가능하게 진퇴이동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이동 프레임(209)는 그 상단에 설치된 연결부재(211)을 상기 주행대차(210)의 하면에 고착함으로서 수하되어 있다. 연결부재(211)은, 이동 프레일(209)의 상단에서 한쌍의 스프링(215)를 권취시킨 핀(213)을 장착함으로써 스프링(215)에 의한 탄성유지에 의해 부품을 용융시킬 때 좌우로 요동하여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주행대차(210)은 하면에 설치한 차륜(217)이 상기 레일(181)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레일(219)상을 주행한다.
주행대차(210)의 주행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것처럼 모터(220)에 의해 행해진다. 주행대차(210)이 하나에는 체인(221)이 고착되어 있고, 체인(221)은 상기 레일(219)의 양단에 설치된 스프로킷(223)에 잠겨 있다. 상기 스프로킷(223)은 동축에 고착된 다른 스프로킷(225)와 모터(220)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227)과의 사이에 감긴 체인(229)에 의해 회전구동하게 된다.
압착기구(100)은 대향해서 이접하도록 배설한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부품 지지부(110)으로 이루어진다. 제1도 및 제6∼제9도에 의거하여 상 부품 지지부(109)에 대해 설명하고, 하부품 지지부(110)의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 부품 지지부(109)는 부품을 유지하는 주행대(230)과 이 주행대(230)내에 접동 가능하게 내장된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대(230)의 하면에는 상기 레일(181),(219)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된 주행레일(235)와 계합하는 선형 가이드(233)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주행대(230)의 측면이 4귀에는 보올너트(237)이 고착되어 있고, 이 보올너트(237)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주에 축받이된 상 보올나사(239)와 하 보올나사(240)이 나사 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 보올나사(239)와 하 보올나사(240)이 회전하면 나사 맞춤되어 있는 보올너트(237)을 통해 주행대(230)이 주행 레일(235)상을 진퇴주행한다.
이어서 상기 상 보올나사(239)와 하 보올나사(240)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 부품 지지부(109)의 윗쪽에 설치한 테이블판(241)상에 고속 구동 모터(243)과 저속 구동 모터(2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속 구동 모터(243)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247)과 파우더 클러치(249)의 스프로킷(250)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251)이 감겨 있다. 마찬가지로 저속 구동 모터(245)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253)과 파우더 클러치(255)의 스프로킷(257)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259)가 감겨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 클러치(249)와 파우더 클러치(255)와의 사이에는 스프로킷(260),(261)을 고착한 샤프트(26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킷(260)과 파우더 클러치(249)의 다른 스프로킷(265)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267)이 감겨 있다. 상기 스프로킷(261)과 좌우 더클러치(255)의 다른 스프로킷(269)와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270)이 감겨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판(241)상에는 고속 구동 모터(243)의 외측에 샤프트(271)이, 한편 저속 구동 모터(245)이 외측에는 샤프트(273)이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271)의 양단부에는 스프로킷(275),(277)이 고착되고, 샤프트(273)의 양단부에는 스프로킷(279),(280)이 고착되어 있다. 스프로킷(275)는 샤프트(263)에 고착된 스프로킷(281)과의 사이에 감긴 타이밍 벨트(283)에 의해 구동된다. 스프로킷(279)는 샤프트(263)에 고착된 스프로킷(285)와의 사이에 감긴 타이밍 벨트(287)에 의해 구동된다(제7도 참조).
한편, 고속 구동 모터(243)측의 상 보올나사(239)에는 스프로킷(289),(290)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킷(277)과 스프로킷(289)와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291)를 감고, 스프로킷(290)과 아래쪽의 하 보올나사(240)에 고착한 스프로킷(293)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295)가 감기게 된다. 또 저속 구동모터(245) 측의 상 보올나사(239)에는 스프로킷(297),(299)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킷(280)과 스프로킷(297)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300)을 감고, 스프로킷(299)와 아래쪽의 하 보올나사(240)에 고착한 스프로킷(301)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303)이 감기게 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 보올나사(240)에는 스프로킷(301)내측으로 스프로킷(305)가 고착되어 있고, 하 부품 지지부(110)측에 연설한 샤프트(307)에 고착된 스프로킷(309)과 상기 하 보올나사(240)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311)이 감겨 있다. 또 샤프트(307)의 하 부품 지지부(110)측의 단부에는 기어(313)이 고착되어 윗쪽의 샤프트(315)에 고착된 기어(317)과 맞물려 있다. 하 부품 지지부(110)의 양측면에는 상 부품 지지부(109)와 같이, 보올너트(237)과 이것에 나사 맞춤되는 상 보올나사(239), 및 하 보올나사(24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15)에 고착된 스프로킷(319)와 윗쪽에 있는 하 보올나사(240)의 스프로킷(320)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321)이 감기게 된다.
상기 하 부품 지지부(110)의 윗쪽에 설치된 테이블판(323)상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 압착시의 증압용 저고속 구동 모터(3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325)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327)과 파우더 클러치(329)의 스프로킷(330)과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331)이 감겨 있다. 상기 저고속 구동 모터(325)는 용착면적, 수지의 종류에 따라 용융 압착시의 압력을 증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샤프트(333)에는 스프로킷(335),(337)이 고착되어 있고, 스프로킷(335)와 상기 파우더클러치(329) 외측의 다른 스프로킷(339)과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340)이 감겨 있다. 스프로킷(337)과 고압 브레이크 장치(341)의 스프로킷(343)과의 사이에는 타이밍벨트(345)가 감겨 있다.
또, 상 부품 지지부(109)측과 같이, 상기 테이블판(323)상에는 샤프트(347),(349)가 설치되어 있고, 각기 양단부에 스프로킷(350),(351) 및 스프로킷(353),(355)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로킷(350)은 샤프트(333)에 고착된 스프로킷(357)과의 사이에 잠긴 타이밍 벨트(359)에 의해 구동되고, 스프로킷(353)은 샤프트(333)에 고착된 스프로킷(360)과의 사이에 잠긴 타이밍 벨트(361)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스프로킷(351)에는 한쪽으로 상 보올나사의 스프로킷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가 감겨 있고, 감기 타이밍 벨트를 통해 한쪽의 상 보올나사와 하 보올나사가 회전된다. 또 다른 쪽의 상 보올나사의 스프로킷과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가 감겨 있고, 상기 스프로킷(355)에는 다른쪽의 상 보올나사(239)의 스프로킷(297)과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300)이 감겨있다. 또한 스프로킷(299)와 (301)과의 사이에 감긴 타이밍 벨트(303)을 통해 다른쪽의 상 보올나사(239)와 하 보올나사(240)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고속 구동 모터(243), 또는 저속 구동 모터(245)가 작동하면 샤프트(263)과의 사이에 감긴 타이밍 벨트를 통해 샤프트(271) 및 (273)이 회전한다. 또한 상 부품 지지부(109)의 양측에 설치된 상 보올나사(239)와 하 보올나사(240)이 회전하여 상 부품 지지부(109)를 진퇴이동시킨다. 동시에 샤프트(307)에 회전이 전달되어 하 부품 지지부(110)의 양측에 설치된 상 보올나사(239)와 하 보올나사(240)을 회전시킨다. 그래서 하 부품 지지부(110)과 상 부품 지지부(109)는 이접되도록 진퇴이동하게 된다.
용융 압착시에는 저속 구동 모터(325)가 동시에 작동하고 있으므로, 상 보올나사(239) 및 하 보올나사(240)에 충분한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모터의 정지후에는 고압 브레이크장치(341)에 의해 주행대(230)을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주행대(230)이 부품으로 접근할 때 또는 가열기구(101)에게로 접근할 때에는 고속 구동 모터(243)이 작동하여 소정거리 접근하고, 그 후 저속 구동 모터(245)로 전환되어 충분한 압력이 얻어지게끔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상 부품 지지부(109)에 있어서의 주행대(230)의 구성을 제8도∼제1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주행대(230)의 앞면에는 부품을 중앙부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프레임(363)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363)은 대략 방형의 프레임이며 중심에서 직교하는 선상에 돌기(365)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돌기(365)는 부품에 설치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부품을 항상 주행대(230)의 전면 중앙 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주행대(230)에는 위치 결정 프레임(363)의 중심에 위치된 탕구커터기구(36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탕구 커터기구(367)은 주행대(230)의 앞면에 탕구를 삽입하는 관통공(369)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369)의 배면측에 커터(370)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제10도∼제12도 참조). 커터(370)은 접동판(377)에 고착되어 있고, 접동판(377)은 그 윗쪽에 설치된 실린더(371)의 로드(373)에 연결되어 있으며, 양측에 안내 샤프트(375)를 삽통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371)을 구동하면 로드(373)에 고착된 커터(370)이 안내 샤프트(375)에 안내되어 강하하며, 관통공(369)에 삽입된 탕구를 절단 제거한다. 상기 실린더(371)을 구동할 때는 단속적으로 두들기듯이 상하 이동시켜 커터(370)을 탕구에 서서히 파고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탕구 커터기구(367)은 탕구의 수에 따라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주행대(230)의 앞면에는 용착후의 팔레트를 압출하는 압출기구(37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출기구(379)는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36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구성은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당접판(380)의 중앙부에 실린더(381)이 로드(383)에 고착되어 있고, 양단에 안내 샤프트(385)가 삽통되어 있다. 압출기구(379)는 상부품과 하부품을 일체로 용착한 다음, 팔레트 반출기구(107)에 의해 팔레트를 반출할 때 상부품 지지부(110)에서 돌출하여 유지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하 제8도 및 제9도에 의거하여 주행기대(230)내에 배설된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착기구(100)내에 반입된 부품은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 및 상기 주행대(230)에서 돌출된 클램프에 의해 계지되고,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 자체를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주행대(230)의 앞면에 유지 고정된다.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에는 주행대(230)의 앞면에서 돌출한 클램프를 구비한 클램프기구(387)이 배설되어 있다. 클램프기구(387)은, 제9도에 도시한 것처럼, 정면에 있어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축받이되어 클램프(389)를 부착하는 클램프 회전축(390∼397)과, 실린더(399)와 상 그룹과 하 그룹의 클램프 회전축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기어(400),(401)로 이루어진다.
스프로킷(403)이 상기 기어(400),(401)과 동축에 고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클램프 회전축(390∼397)에도 스프로킷(405)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킷(403)과 (405)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체인(407)이 감겨 있다. 그리고 회전축(390)∼(397)은 각각 클램프(389)의 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팔레트의 형상, 크기에 따라 각 그룹마다 하나 이상의 클램프(389)가 부착된다. 그리고(410)은 체인(407)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용 스프로킷이다.
실린더(399)의 구동에 의해, 기어(400)과 동축의 스프로킷(403) 및 클램프 회전축(390)∼(397)의 스프로킷(405)가 일체로 회전한다. 스프로킷(403)이 회전하면 기어(400)과 맞물려 있는 기어(401)도 회전하며, 따라서 상부 그룹의 스프로킷(403) 및 클램프 회전축(390)∼(397)의 스프로킷(405)가 일체로 회전한다. 이처럼 제9도의 좌측 반부에 있어서 실린더(399)의 구동이 체인(407)에 의해 모든 스프로킷에 전달되어, 부착된 클램프(389)가 소정량 회전한다. 이때 상하의 그룹은 기어(400),(401)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램프(389)가 부품을 계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기구(387)을 갖는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대(230)내에 접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즉,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의 하면의 좌우양측에는 접동링(411)이 고착되어 있고, 이 접동링(411)에는 주행대(230)에 양단을 고정시킨 한 쌍의 샤프트(413)이 삽통되어 있다. 한편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이 배면에는 상기 주행대(230)에 부착된 실린더(415)의 로드(417)이 고정되어 있다.
부품을 유지 고정시키는 것은, 실린더(415)를 구동시켜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을 샤프트를 따라 접동하면서 전진시켜 클램프축에 장착된 클램프(389)를 주행대(230)의 앞면에서 소정량 돌출시킨다. 이어서 실린더(399)를 구동시켜 체인(407)을 회전시킨다. 체인(407)이 회전하면 클램프 회전축이 회전하고, 장착된 클램프(389)가 회전하여 부품을 계합한다. 이 상태로 실린더(415)를 구동시켜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을 후퇴시키면 클램프(389)는 부품의 갑판 부분을 주행대(230)의 앞면에 협지하게 된다.
이처럼 주행대(230)의 앞면에 부품을 협지 고정함으로써 가열기구(101)에 압압을 가하고 부품 상호간에 당접 용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용착완료 후에 협지 고정한 부품을 해제시키는 것은,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을 전진시킨 다음 실린더(399)에 의해 클램프(389)를 역회전시켜 계합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후 재차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을 후퇴시키면 된다.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이 후퇴함으로써 용착해서 일체로 된 팔레트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팔레트 반출기구(107)에 의해 팔레트를 반출할 때에는 클램프기구(387)에 의한 협지를 해제하는 동시에 팔레트는 상기 압출기구(379)에 의해 압출된다.
이하 팔레트 반출기구(107)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팔레트 반출기구(107)은 제1도 및 제15도∼제17도에 도시한다. 상기 부품 반입기구(103)의 주행대차(180)이 주행하는 한 쌍의 레일(181)상에는 이동대차(4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대차(419)는 하면에 고착한 선형 가이드(420)이 상기 레일(181)과 계합됨으로써 이동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419)와 상기 부품 반입기구(103)의 지지 프레임(185)는 연결봉(42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대차(419)와 부품 반입기구(103)은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적으로 진퇴 주행한다. 즉, 부품 반입기구(103)이 부품 반입을 위해 대기하고 있을 때 팔레트 반출기구(107)이 압착기구(100)내에 있으면서, 용착완료한 팔레트를 주행대(230)에서 수납하여, 부품 반입기구(103)이 부품을 유지하여 압착기구(100)내에 반입할 때, 팔레트 반출기구(107)은 수납된 팔레트를 반출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동대차(419)의 측면 즉 압착기구(100)을 구성하는 하 부품 지지부(110)측에 대략 중앙부를 절결한 ㄷ자 모양의 수직판(423)이 고착되어 있다. 이 수직판(423)의 배면 양측에는 보올너트(427)에 한쌍의 보올나사(425)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상기 보올너트(427)에는 승강판(429)가 일체로 가설되어 있다. 상기 보올나사(425)의 내측의 승강판(429)에는 레일(430)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레일은 상기 승강판(429)에 고착된 리니어 가이드(431)가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보올나사(425)가 회전하면 보올너트(427)이 승강하고, 동시에 일체로 고착된 승강판(429)도 레일(430)에 계합하는 선형 가이드(431)에 의해 안내되면서 일체로 승강한다.
상기 승강판(429)의 대략 중앙부 정면측에 돌설된 고정판(443)에는 아암 부착판(445)가 수하되어 있고, 이 아암 부착판(445)에 팔레트를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 아암(447)이 대향해서 부착되어 있다. 즉, 협지 아암(447)은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절곡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상기 아암 부착판(44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받이 되어 있다. 협지 아암(447)의 중앙부의 약간 아래쪽에는 상기 아암 부착판(445)의 하단부에 부착된 실린더기구(449)의 로드(45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 부착판(445)에는 선형 가이드(451)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된 레일(453)이 수직으로 부설되어 있고, 상기 선형 가이드(451)과 상기 협지 아암(447)과의 사이에는 지간(455)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선형 가이드(451)은 레일(453)에 계합하면서 승강가능한 동시에 지간(455)의 양단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으므로 상기 협지 아암(447)의 개폐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양 협지 아암(447)의 하단 대향면의 협지부(456)에는 팔레트의 크기에 대응한 치수조정용 블록(457)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팔레트 반출기구(107)은 상기와 같은 구성임으로, 구동 모터(437)의 작동에 의해 보올나사(425)가 회전하고, 보올나사(425)에 나사 맞춤된 보올너트(427)을 통해 승강판(429)가 승강한다. 상기 승강판(429)의 승강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아암 부착판(445) 및 협지 아암(447)이 승강한다. 실린더기구(449)가 협지 아암(447)을 개폐시켜 팔레트의 협지 또는 해제를 하지만 양 협지 아암(447)은 지간(455)에 의해 항상 동시에 또한 동일치수 만큼 개폐되게 된다. 즉, 한쪽의 실린더기구(449)의 작동에 의해 협지 아암(447)은 회전이동하는 동시에 지간(455)을 통해 선형 가이드(451)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선형 가이드(451)이 상하 이동하면 다른 쪽 지간(455)도 동시에 회전이동하여 다른쪽의 협지 아암(447)을 회전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양 실린더기구(449)가 동시에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양 협지 아암(447)은 동시에 그리고 항상 중심 위치에서 대칭으로 개폐되게 된다.
상기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상술에 이어, 이하 상기 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모터(193)과 모터(220)을 작동시켜 가열기구(101) 및 부품 반입기구(103)을 부품 반입위치까지 후퇴시켜서 대기시키는 동시에, 모터(125)를 작동시켜 부품 이송기구(105)를 후퇴시켜서 소정위치에 대기시킨다. 이때, 부품 이송기구(105)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탕구 협지편(157)의 높이 및 대기위치를 조정해 둔다.
이어서 사출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상 부품(5) 및 하 부품(7)을 컨베이어부(117)에 얹어놓고, 컨베이어부(117)의 구동에 의해 각기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의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된 상 하부품의 탕구(8)이 부품 이송부(119)의 윗쪽에 달하면, 탕구 협지편(157)의 사이에 설치된 탕구센서(160)이 검지하여 컨베이어부(11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컨베이어부(117)이 정지하면 이어서 에어모터(151)이 작동하여 탕구 협지편(157)에 의해 탕구(8)을 협지한다. 탕구(8)을 협지하여 에어모터(151)이 정지하면 모터(25) 및 컨베이어부(117)의 모터가 작동하여 상하 부품(5),(7)을 각기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의 중앙까지 반송하여 정지한다. 부품 이송부(119)의 이동이 정지되면 재차 에어모터(151)를 작동시켜 탕구 협지편(157)을 대략 수평위치까지 회전이동시켜 탕구(8)의 협지를 해제한다. 이어서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에 있어서의 부품 협지기구(163)의 모터(175)를 작동시켜 부품 협지편(169),(170)에 의해 부품(5),(7)을 상하방향에서 협지하여 유지 프레임(161)에 유지한다. 부품(5),(7)이 유지되면 모터(193)을 작동시켜 부품 반입기구(103)을 레일(181)에 따라서 이동시켜 압착기구(100)의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사이까지 반입한다. 이때, 부품 반입기구(103)과 전후해서, 또는 동시에, 가열기구(101)도 레일(219)를 따라서 이동시켜 압착기구(100)의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 사이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압착기구(100)의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을 서로 이동시켜서 각기 부품에 당접시키는 동시에 앞면에 정착한 위치결정 프레임(363)의 돌기(365)를 상 하부품(5),(7)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각기 부품을 중앙부에 위치결정한다. 위치결정과 동시에 상하 부품(5).(7)의 탕구(8)이 각기 관통공(369)에 삽입된다. 부품의 위치결정이 완료된 다음, 클램프 유지 프레임(231)의 실린더기구(399)에 의해 클램프 회전축(390)∼(397)을 회전시켜서 소정의 위치에 장착한 클램프를 부품의 내측에 회전이동시킨다. 그후, 주행대(2300을 후퇴시키면, 클램프(389)도 일체로 후퇴하므로 클램프(389)에 의해 상 부품(5)는 상 부품 지지부(109)의 앞면에, 하 부품(7)은 하 부품 지지부(110)의 앞면에 각기 고정된다.
그리고 위치결정 프레임(363)의 돌기(365)가 부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위치결정되는 동시에, 상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의 부품 협지편(169),(170)에 의한 부품(5),(7)의 유지가 해제된다. 부품의 유지를 해제한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부품 반입에 대비한다.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로 이루어진 부품 반입기구(103)과 팔레트 반출기구(107)은 연결봉(42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품 반입기구(103)의 대기 위치로의 복귀에 의해 팔레트 반출기구(107)은 압착기구(100)내에 대기하게 된다.
탕구(8)의 절단후,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을 소정량 접근시켜 상부품(5)와 하 부품(7)의 당접면을 가열기구(101)에 양접시킨다. 이때,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은 고속 구동 모터(243)의 구동에 의해 일정량 급접근시킨 다음, 저속 구동 모터(245)로 전환하여 가열기구(101)에 서서히 압압한다. 이 상태로 가열기구(101)을 사용하여 가열해서 상부품(5)와 하부품(7)의 당접면을 용융한다. 한편, 가열기구(101)에 의한 용융중에 탕구 커터기구(367)의 커터(30)을 작동시켜 관통공(369)에 삽입된 탕구(8)을 절단, 제거한다.
상 부품(5)와 하 부품(7)의 당접면이 소정량 용융된 다음에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을 고속 구동 모터(243)을 작동시켜 후퇴 이동시키는 동시에 가열기구(101)을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킨다. 재차, 상기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을 접근시켜 당접 용착시켜, 일체로 완성한 팔레트를 제조한다. 용착완료후, 상 부품 지지부(109)측의 클램프기구(387)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여 후퇴시켜, 완성 팔레트를 하 부품 지지부(110)측에 유지시켜 둔다. 그리고,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의 이접이동을 정지시킬 때는 고압 브레이크 장치(341)에 의해 과도하게 주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하 부품은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결정되어 있으므로 양자간에 수축에 의한 치수가 있어도 그 치수차는 외주부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완성된 팔레트에는 용착부위치가 크게 어긋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용착품질이 향상되는 동시에 충분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다음에 팔레트 반출기구(107)로써 팔레트를 반출한다. 대기중인 팔레트 반출기구(107)의 구동 모터(427)을 작동시켜 승강판(429)을 강하시킴으로써, 한쌍의 협지 아암(447)의 협지부(456)을 팔레트의 포크 삽입공에 삽입한다. 이어서 실린더기구(449)를 작동시켜 협지부(456)으로써 팔레트의 지주부를 유지시킨다. 그 후, 하 부품 지지부(110)측의 클램프기구(387)로써 유지를 해제하고, 압출기구(379)의 당접판(380)을 돌출시킴으로서 팔레트를 밀어낸다. 이것에 의해 팔레트는 협지 아암(447)에 현수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승강판(429)를 상승시킨 다음, 이동대차(429)를 레일(181)상에서 이동시켜서 반출하면 된다. 팔레트의 반출과 동시에 부품 반입기구(103)에 의해 상하 부품(5),(7)이 압착기구(100)내에 반입된다. 이하 같은 사이클을 반복하여 부착의 용착이 행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하 부품의 중앙부에 탕구(8)을 설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중앙부에서 어긋나게 해서 복수의 탕구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탕구의 위치에 맞추어서 탕구 커터기구를 늘리면 된다. 탕구를 중앙부에서 어긋나게 설치했을 때는 상하 부품의 중앙부에 탕구와 같은 더미의 돌기를 형성해 두고, 더미의 돌기를 부품 이송기구(105)의 탕구 협지편(157)에 협지시키게끔 하면 된다. 더미의 돌기는 탕구와 동시에 스프루 커터기구로써 가열기구(101)에 의한 용융중에 절단, 제거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것처럼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상하 부품을 항상 세운 상태로 취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작동에 요구되는 공간이 적어도 되며,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공간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부품은 중심위치에서 위치결정되므로, 상 부품(5)와 하 부품(7) 사이에 치수차가 생겨도, 이 치수차를 균등하게 양측에 배분할 수 있다. 따라서 편면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결정할 경우에 비해 용착위치의 어긋남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프레임(363)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팔레트의 크기 관통공 위치의 변경등에 따라 바꿀 수 있다.
상 부품 반입부(113)과 하 부품 반입부(115)으로의 각기 상하 부품의 반입은 병설된 부품 이송기구(103)이 상하 부품에 돌설된 탕구(8)을 협지하므로, 부품과 상하 부품 반입부(113),(115)와의 사이에 거의 틈새가 없을 경우에도 이송이 가능하다. 또,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은 샤프트(307)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항상 동시에, 또한 등거리만큼 이접시킬 수 있으며, 모터 등의 구동기구를 윗쪽에 배치했으므로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고압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했으므로, 상 부품 지지부(109)와 하 부품 지지부(110)의 타성에 의한 과다 주행을 방지하여 소정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팔레트 반출기구(107)은 팔레트의 지지부를 유지하므로, 장치의 소형화, 공간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의 지지부를 유지하므로 팔레트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항상 중앙부에서 현수할 수 있다. 또, 협지 아암과 선형 가이드와의 사이를 지간으로써 연결했으므로, 한쪽의 협지 아암의 움직임은 선형 가이드를 통해 다른 쪽의 협지 아암에 전달된다. 따라서, 양 협지 아암은 동작에 차가 생기는 일없이 항상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또한 팔레트 반출기구는 압착기구내에 부품을 반입하는 부품 반입기구와 연결되었으므로 부품의 반입과 용착완료 후의 팔레트의 반출을 항상 연동시킬 수 있다.
Claims (8)
- 합성수지 팔레트를 상하로 2분할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상 부품과 하 부품을 세운 상태로 맞대어서 용착시키는 압착기구, 상기 압착기구내에 양 부품을 반입하는 부품 반입기구, 및 용착완료 후의 팔레트를 반출하는 팔레트 반출기구를 구비하는 용착장치에 있어서, 부품 반입기구와 팔레트 반출기구가 연결봉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a. 부품 반입기구는 레일상을 주행하는 주행대차에 수하되고, 가열기구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상 부품 반입부와 하 부품 반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 부품 반입부는 중공체인 부품 유지 프레임의 내부에 부품 협지기구를 설치하고 상부에 위치결정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품 협지기구에는 수직방향으로 축받이된 한 쌍의 샤프트 사이에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배설되고, 상기 한 쌍의 샤프트에는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동시에 선단부가 부품 유지 프레임에서 돌출되는 부품 협지편이 각기 부착되어 있으며, b. 팔레트 반출기구는 수평이동하며 압착기구내에서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대차에 수직판을 부착하고, 상기 수직판에는 아암 부착판을 일체로 고착시킨 승강가능한 승강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 부착판의 상부에는 한 쌍의 협지 아암의 상단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축받이 되고, 아암 부착판의 하부와 협지 아암과의 사이에는 협지 아암을 개폐하는 한쌍의 실린더기구가 부착되어 있으며, 아암 부착판의 중앙부분에 수직방향으로 부설된 레일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선형 가이드와 협지 아암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지간이 각기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1항에 있어서, 부품 반입기구의 위치결정기구는 한 쌍의 원통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종방향으로 축받이하는 동시에, 부품을 반입하는 대기위치와 압착기구의 윗쪽에 실린더를 배설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를 부품 반입기구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상기 전진된 실린더 로드를 상기 한 쌍의 원통 롤러 사이에 삽입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 부품 반입부와 하 부품 반입부는 한 쌍의 주행대차에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하되어 있으며,지지 프레임은 보강을 위한 연결 샤시바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주행대차는 하면에 설치된 차륜에 의해 레일상을 주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2항에 있어서, 부품 반입기구의 위치결정기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원통 롤러를,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샤시바에 축받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1항에 있어서, 팔레트 반출기구의 승강판을, 수직판에 축받이된 보올나사와 맞물리는 보올너트에 고착되는 동시에 수직판에 부설된 레일에 계합되는 선형 가이드에 고착시키고, 상기 보올나사를 회전시켜서 승강판을 승강가능하게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1항에 있어서, 팔레트 반출기구의 이동대차는 하면에 고착된 선형 가이드가 부품 반입기구의 주행대차가 주행하게 되는 레일과 계합됨으로써 주행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5항에 있어서, 보올나사의 상단에 고착된 스프로킷과 모터의 회전축에 고착된 스프로킷과의 사이에 체인을 감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보올나사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협지 아암은 내측이 만곡되어 있으며, 하단 대향면의 협지부에는 팔레트의 크기에 대응하여 양자의 간격을 조정하는 치수조정용 블록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610793A JP2553005B2 (ja) | 1993-03-02 | 1993-03-02 | 溶着装置のパレット搬出機構 |
JP93-66107 | 1993-03-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82280B1 true KR0182280B1 (ko) | 1999-05-15 |
Family
ID=1330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30202A KR0182280B1 (ko) | 1993-03-02 | 1993-12-28 |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553005B2 (ko) |
KR (1) | KR0182280B1 (ko) |
DE (1) | DE4406504C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934B1 (ko) * | 2008-09-10 | 2009-01-07 | 최영환 |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
KR101127527B1 (ko) * | 2009-10-26 | 2012-03-22 | 최영환 |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55429B2 (ja) * | 2007-03-15 | 2012-06-20 | 宮脇車輌工業株式会社 | パレット溶着装置 |
CN105313325A (zh) * | 2014-07-24 | 2016-02-10 |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 三轴机械臂自动抓取装置 |
CN109894739B (zh) * | 2019-03-04 | 2024-04-09 | 无锡蓝智自动化科技有限公司 | 用于发动机气缸圈的全自动激光刻印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639B2 (ja) * | 1989-07-28 | 1995-02-15 |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の溶着方法とその装置 |
AT393809B (de) * | 1989-09-25 | 1991-12-27 | Actual Anlagen Maschinen Und W | Schweissmaschine zum schweissen von kunststoffprofilrahmen, insbesondere fensterrahmen |
-
1993
- 1993-03-02 JP JP6610793A patent/JP255300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12-28 KR KR1019930030202A patent/KR01822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
- 1994-02-28 DE DE19944406504 patent/DE4406504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934B1 (ko) * | 2008-09-10 | 2009-01-07 | 최영환 |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
KR101127527B1 (ko) * | 2009-10-26 | 2012-03-22 | 최영환 |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4406504A1 (de) | 1994-09-08 |
JPH06254966A (ja) | 1994-09-13 |
DE4406504C2 (de) | 1997-01-09 |
JP2553005B2 (ja) | 1996-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20304A (zh) | 一种注塑车间自动摆盘设备 | |
FR2580982A1 (fr) | Systeme et procede de moulage automatique a cycles continus | |
CA2009888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ackaging batches of containers or the like | |
CN109605663A (zh) | 一种全自动管体注头设备和工作方法 | |
KR0182280B1 (ko) | 용착장치의 팔레트 반출기구 | |
KR0182279B1 (ko) | 합성수지제 팔레트의 용착장치 | |
CN216992367U (zh) | 一种浇筑模具的自动合模机 | |
CN109132045B (zh) | 电感整形及检测机构和电感元件包装流水线 | |
JP3449464B2 (ja) |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の横型溶着装置 | |
JP2001270622A (ja) | 積付装置 | |
JPH0361026A (ja) |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の溶着方法とその装置 | |
JPH0547637Y2 (ko) | ||
JPH0723213Y2 (ja) | パレット溶着装置におけるスプル切断装置 | |
CN219723769U (zh) | 一种圆柱形中空电池壳的不良品插篮装置 | |
CN218930985U (zh) | 一种电机转子翻转机构 | |
CN213474683U (zh) | 自动取放药盒机构 | |
CN221341306U (zh) | 一种面饼的传送生产线 | |
CN215707447U (zh) | 一种注塑车间自动摆盘设备 | |
JPH0767933B2 (ja) | 流し台用シンクの包装装置 | |
CN212554746U (zh) | 全自动挂钩装配系统 | |
CN212241834U (zh) | 开合模装置、模具和发泡产品生产线 | |
CN218748824U (zh) | 一种泡罩机模具更换小车 | |
CN209792788U (zh) | 铝合金槽道齿型加工设备 | |
CN113772380A (zh) | 一种瓦楞纸板生产用纸卷运送机构 | |
JP2654526B2 (ja) | 成形品取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