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718B1 -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718B1
KR0181718B1 KR1019950061278A KR19950061278A KR0181718B1 KR 0181718 B1 KR0181718 B1 KR 0181718B1 KR 1019950061278 A KR1019950061278 A KR 1019950061278A KR 19950061278 A KR19950061278 A KR 19950061278A KR 0181718 B1 KR0181718 B1 KR 018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numbered
wavelength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20A (ko
Inventor
미쯔루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2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WDM bus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71Provisions for the electrical-optical lay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09Construction using wavelength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18Construction using tunab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37Operation
    • H04Q2011/0039Electrical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52Interconnec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신호 송신용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노드 디바이스 및 제2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노드 디바이스는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채널을 통해 각각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제1도는 제1도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선도.
제2도는 제1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8×8 전기 스위치의 블럭선도.
제3도는 제1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다른 8×8 전기 스위치의 블럭선도.
제4도는 제1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2×2 전기 스위치의 블럭선도.
제5도는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제6도는 제2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선도.
제7도는 제7a도 및 제7b도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노드 디바이스의 블럭선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리-삽입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버퍼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의 메모리맵의 다이어그램.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버퍼 제어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파장 제어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가변 파장 송신의 블럭선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타임 챠트.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버퍼의 블럭선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노드 디바이스의 블럭선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다른 노드 디바이스의 블럭선도.
제20도는 제20a도 및 제21b도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는 노드 디바이스의 블럭선도.
제21도는 제21a도 및 제21b도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는 노드 디바이스의 블럭선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리-삽입 유니트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버퍼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접속 변경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접속 제어 유니트의 블럭선도.
제2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타임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 유니트 2 : 버퍼 제어 유니트
3 : 파장 제어 유니트 4, 39, 60∼63 : 광섬유
5 : 디바이더 6~13 :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14~21 : 분리-삽입 유니트 22~29 : 버퍼
30~37 :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38 : 파장 멀티플렉서
40~47 : 부송신 라인 48~55 : 터미널 장비
56~59 : 노드 디바이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 노드 디바이스(node device) 및 송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터미널 장비(terminal equipment)의 접속을 위한 노드 디바이스,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의 접속을 위한 다수의 채널을 갖는 다중-채널 송신 라인(multi-channel transmission line)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송신된 패킷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각의 터미널 장비에서의 처리 속도가 높아지는 것과 관련하여 고속 네트워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광 파장을 이용하는 파장 다중-송신 라인 등의 다수의 송신용 채널을 각각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 노드 디바이스 및 방법은 크게 2가티 타입으로 대별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류에는 다수의 터미널(124)의 접속을 위한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117), 및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117)의 접속을 위한 파장 다중-송신 라인(125)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있다.
제1도의 제1타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터미널 장비(123)으로부터 송신되어 I/F 유니트(121)로 입력된 패킷이 소정의 파장을 갖는 다수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니트(120) 중의 하나로부터 송신되도록 교환(exchange)된다.
그 다음에 패킷은 고정 파장 송신 유니트(120)으로 출력되고 그로부터 소정의 파장으로 전송된다. 그 후에, 패킷을 송신받은 수신지 터미널(destination terminal)까지의 도중에 존재하는 릴레이 노드 디바이스(relay node device)를 통해 릴레이 프로세싱(relay processing)이 행해진다.
마지막으로, 패킷은 수신지 노드 디바이스내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니트(118)에서 수신되고 그 수신지에 대한 교환 유니트(exchange unit)에 의해 제어되어, 수신지 터미널이 접속되어 있는 출력 I/F 유니트(122)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패킷은 적당한 출력 I/F 유니트(122)로부터 출력되어 수신지 터미널(123)에 의해 수신될 수 있게 된다.
노드 디바이스의 교환 유니트는 패킷의 출력을 위해 어느 고정 파장 송신 유니트 및 I/F 유니트를 선택하여야만 하는가에 관한 교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패킷을 소망의 노드 디바이스를 통해 소망의 터미널 장비로 루팅(route)하는 동작을 한다.
제2 부류에는 일반적으로 송신 매체 공유형 시스템(transmission media shared-type system)이라고 불리우는 버스(bus) 또는 스타형 네트워크(star network) 등의 토플로지 네트워크 다중-송신 라인(toplogical wavelength multi-transmission line)에 의해 접속된 네트워크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각의 터미널 장비에 할당된 파장을 관리하는 서버(server)에 대해 파장 송신 라인을 사용을 요청한다. 그 다음에 네트워크 시스템은 소위 수요 할당 방법(demand assigning method)을 사용하는 중재 제어(arbitration control)를 행하여, 어떤 파장 충돌도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몇 개의 터미널 장비가 송신을 위해 동일 파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버로 하여금 파장을 할당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타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패킷 송신을 위해 할당된 파장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하는 몇가지 단점이 있다.
제1 타입의 종래 시스템에는, 교환 유니트의 하드웨어가 대규모이기 때문에, 노드 디바이스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제2도는 N개의 입력과 N개의 출력을 갖는 크로스바 교환(crossbar exchange)을 설명하는 제1 타입의 종래의 교환 유니트의 제1 구조예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 각각의 디코더 유니트(126)은 입력 패킷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하여 패킷을 출력받는 출력 수신지의 제어 유니트(130)에 명령을 내린다. FIFO(First In First Out)(127)은 그 다음에 입력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이들을 입력 순서대로 각각의 출력 라인으로 하나씩 출력한다.
입력 라인(128)은 스위치(switch)(129)에 FIFO(127)로부터의 패킷 신호들을 공급한다. 스위치(129)는 입력 패킷 신호를 출력 라인으로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전환하는 동작을 한다. 제어 유니트(130)은 디코더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FIFO(127)의 판독 제어(read-out control) 및 각각의 스위치(129)의 개방 제어(opening control) 및 폐쇄 제어(closing control)를 행한다.
출력 라인(131)은 각각의 출력 수신지에 각각의 스위치(129)로부터의 패킷 신호를 공급한다.
제5도는 제2도의 패킷 교환 유니트에서 교환되는 패킷을 나타낸다. 제5도에서, 어드레스부(140)은 패킷을 수신받는 수신지 터미널 장비를 나타내며, 데이터부(141)은 패킷에 의해 운반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크로스바 교환에 있어서, 루팅 제어는 소망의 수신지가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유니트(130)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출력 수신지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중재 제어도 또한 제어 유니트(130)에서 행해지며, 출력 충돌이 발생하여 다수의 입력이 동일 수신지로 출력되려고 하는 때에 어느 입력을 출력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들 제어 하에서, 교환 동작이 크로스바 교환에서 행해진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입력과 N개의 출력을 갖는 교환 유니트의 제1예에 있어서, N×n 스위치가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하드웨어가 매우 대규모로 된다.
게다가, 교환 유니트의 제1예는 다수의 입력 라인과 다수의 출력 라인 사이의 접속을 위해 출력 라인당 N개의 스위치를 접소시켜야만 하고, 따라서 접속 라인의 배선(wiring)이 매우 길어지게 되고, 그 결과 배선 지연(wiring delay), 표유커패시턴스(stray capacitancd)의 증가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N개의 입력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가속시키기가 더 어렵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타입의 교환 유니트는 입력 패킷 신호의 고속 교환에는 부적합하다.
게다가, 교환 유니트의 제1예는 각각의 출력 수신지에 대한 모든 입력에 대해서 출력 충돌의 발생을 감시함으로써 중재 제어를 행하여야만 한다. 이것도 또한 중재 제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제어 유니트의 하드웨어 규모를 커지게 한다.
이제부터, 제3도는 교환 유니트의 제1예에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교환 유니트의 제2예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타입의 교환 유니트는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갖는 2×2스위치가 다단으로(in multistage) 접속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각각의 스위치(132)는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갖는 2×2 스위치로서, 스트레이트(straight) 및 크로스(cross)의 양 기능을 수행한다. 12피스(piece)를 포함하고 셔플 네트워크(shuffle network)를 형성하도록 접속된 한 세트(set)의 2×2 스위치는 8개의 입력과 8개의 출력을 갖는 오메가 교환 유니트(omega exchange unit)를 실현하게 된다.
제4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갖는 2×2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에서, 디코더 Ⅰ(133) 및 디코더 Ⅱ(134)는 각각 입력 패킷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하여 패킷이 출력되어야할 해당 출력 터미널의 제어 유니트에 명령을 내린다. FIFO(First In First Out) Ⅰ(135) 및 FIFO Ⅱ(136)은 입력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제어 유니트의 제어하에서 이들을 입력 순서대로 셀렉터로 출력한다. 셀렉터 Ⅰ(137) 및 셀렉터 Ⅱ(138)은 각각 출력 수신지로 출력될 패킷 신호를 저장하는 FIFO 중 하나를 선택한다.
셀렉터 Ⅰ(137)이 FIFO Ⅰ(135)를 선택하고 셀렉터 Ⅱ(138)이 FIFO Ⅱ(136)을 선택하는 경우, 스위치는 스트레이트 상태로 가능하게 된다. 역으로, 셀렉터 Ⅰ(137)이 FIFO Ⅱ(136)을 선택하고 셀렉터 Ⅱ(138)이 FIFO Ⅰ(135)를 선택하는 경우, 스위치는 크로스 상태로 있게 된다.
교환 유니트의 제2예에서, 필요한 2×2 스위치의 갯수는 NlogN-N/2(log의 밑은 2)이므로 N×N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예보다 더 작게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2 스위치가 각각 디코더, FIFO, 제어 유니트 및 셀렉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전체 규모(full scale)가 크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게다가, 교환 유니트의 제2예는 서로 다른 입력으로부터 단일 출력 수신지로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소망의 출력 수신지와의 접속이 다른 입력의 접속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없는 등의 소위 블로킹 현상(blocking phenomenon)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제3도에서, 입력(5)가 출력 수신지(3)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좌상단의 2×2 스위치(132)는 크로스 상태로 설정되어진다. 이 조건하에서, 좌상단의 2×2 스위치가 스트레이트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블로킹이 발생하기 때문에 입력(1)은 출력 수신지에 접속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1 타입의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노드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 요소를 이루는 교환 유니트의 하드웨어가 대규모로 되기 때문에, 노드 디바이스의 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제2 타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제6도는 다수의 터미널 장비가 버스 네트워크(bus network)를 통해 각 터미널 장비에 대해 파장 할당을 행하는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6도에서, 버스형 파장 다중-송신 라인(bus type multi-transmission line)(142)는 광섬유 케이블이다. 서버(143)은 파장 할당 기능을 가지고 있다. 블럭(144)는 각 터미널 장비를 나타낸다. 파워 멀티플렉서(power multiplexer) 및 디바이더(divider)(145)는 그 다음에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146)으로부터 광섬유 케이블(142)로의 광신호, 및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147)로의 광섬유 케이블(142) 상의 광신호 모두를 분할(divide) 한 다음에 인가하게 된다.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146)은 그 위에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unable laser diode)(TLD)를 장착하고 있으며, 파장 제어 유니트(149)의 제어 하에서 패킷 프로세싱 유니트(148)로부터의 패킷 신호를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파워 멀티플렉서 및 디바이더(145)로 인가하는 동작을 한다.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147)는 다른 광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만이 전송될 수 있게 하는 필터, 및 이 필터를 통해 전송된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동작을 하는 광다이오드(photodiode)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147)의 필터를 통해 전송된 파장들은 각 터미널 장비에서 서로 다르게 할당된다. 파장 제어 유니트(149)는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부터의 파장을 제어하여 소망의 파장에 일치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할당 제어 유니트(150)은 송신을 위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파장을 할당하고, 파장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중재 제어를 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반드시 중재 기능을 가지고 있어, 그에 의해 다수의 터미널의 각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부터의 파장들이 중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광섬유 케이블 또는 버스 파장 다중-송신 라인이 각 터미널 장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수요 할당 방법(demand assigning method)을 사용하여 중재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때에는, 송신용 터미널은 먼저 그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송신 파장을 서버에 적합한 파장으로 설정하고, 패킷을 송신받는 수신지 터미널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전송 요청을 받은(for request to send) 패킷 신호를 서버로 전송(send)하게 된다.
전송 요청을 받은 패킷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서버는 수신지 터미널에 적합한 파장을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게 된다. 그 다음에 서버는 그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송신 파장을 송신 터미널 장비에 적합한 파장으로 설정하고, 이용가능한 경우에는 통신 인에이블 패킷 신호(communication enabling packet signal)를 허가 신호(permission)로서 송신 터미널 장비로 전송하고,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디스에이블 패킷 신호(communication disabling packet signal)를 통신 불가 신호(communication-not-accepted signal)로서 전송하게 된다. 전송 요청을 받은 패킷 신호를 전송하는 터미널 장비가 통신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communication enabling/disabling signal) 중 하나를 수신하고, 인에이블인 경우에 송신용 터미널 장비는 소망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그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송신 파장을 패킷의 수신지가 되는 터미널 장비에 적합한 파장으로 설정한다.
인에이블이 아닌 경우에는, 송신 터미널 장비는 소정의 시간동안 대기하고, 전송 요청을 받은 패킷 신호를 서버로 다시 전송하며, 통신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중재 기능이 이와같이 행해지므로, 다수의 터미널의 각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부터의 파장들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타입의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각의 필터는 터미널 장비 각각에 고유한 개별 파장을 갖는 광신호만을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광 다이오드에 입사하는 광신호의 파장도 역시 고유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파장은 송신 터미널 장비의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LD)에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소망의 수신지 터미널 장비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루팅 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그러나, 제2 타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송 요청을 받은 패킷 신호의 전송 및 통신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패킷 신호의 수신 등의 중재를 위한 서버와 통신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중재 제어는 네트워크 상의 각 파장에 대해 반드시 행해지고, 이것은 서버의 중재 제어 유니트에 너무 많은 부하를 주게 되므로, 중재 자체에 시간이 걸리게 되고, 그 결과 네트워크 시스템의 처리 능력(throughput)이 저하된다. 게다가, 각 터미널의 파장 제어 유니트는 서버 또는 수신용 터미널 장비 등에서와 같이 각각의 통신에서 송신 파장을 소정의 파장으로 반드시 조정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고속의 파장 제어가 요구되고, 그 결과 하드웨어가 대규모로 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제3의 문제점이 생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착하는 수신지 어드레스(accepting destination address)를 네트워크 시스템내의 모든 터미널 어드레스에 대해 점검을 하여 도착하는 수신지 어드레스와 일치한 터미널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출력 사양 테이블(output specification table)로부터 출력 사양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메모리 및 비교기 세트(memory and comparator sets)의 수를 터미널과 동일한 수로 또는 그 이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출력 사양 테이블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정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테이블 어드레스(table address)를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치한 신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내에 접속된 터미널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디코더의 하드웨어 규모 및 노드 디바이스의 단가도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어드레스를 고속으로 디코드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되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고속 동작을 저해하게 된다.
상기한 제1타입의 교환 유니트의 교환 동작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접속 관계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 각 채널(파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송신측 및 수신측 사이의 결합 관계(combination)를 변경함으로써, 다중-채널 송신 수단인 다중-채널(파장-다중화된) 송신 라인에 접속된 다수의 송신측과 다수의 수신측간의 교환 동작을 적절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또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결합 관계를 변경함에 있어서, 채널(파장)을 송신측 또는 수신측에 고정 할당하는 반면 그와 동시에 나머지 송신측 또는 수신측에 사용되는 채널(파장)들을 변경하고,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결합 관계를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소망의 결합 관계로 변경하는 것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기 때문에 어떤 중재도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 착상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제1타입의 종래의 노드 디바이스에 교환 유니트가 없는 개선된 노드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노드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규모가 커지고 단가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개선된 노드 디바이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처리 능력 향상을 저해하는 중재 제어를 요하지 않고 루팅 제어 및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 사용되는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 제어 등의 송신 채널 제어를 간단하게 하는 송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의 것보다 더 고속으로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드웨어 규모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네트워크 시스템, 노드 디바이스 및 송신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한 신호 전송을 위해 접속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송신될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를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send)할 수 있는 송신 수단, 송신 수단을 제어하여 소정의 패턴에 따라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을 변경하여, 2개 이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들이 동일 채널로 동시에 전송될 수 없도록 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의 변경에 동기하여,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및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용 제1 노드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노드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송신받게 되는 수신지 어드레스에 따라 송신 수단의 송신 채널을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동일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들이 2개 이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 송신 수단으로 동시에 입력될 수 없도록 송신 채널을 미리 재조정(rearrange)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제1 노드 디바이스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터미널 장비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한 형태에 있어서, 노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수신 수단에 의해 수단된 신호들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일정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이들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된 터미널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출력하는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송신될 신호는 수신지 터미널이 접속되어 있는 분리 수단 또는 분리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노드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분리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어드레스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수단은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서 출력될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분리 수단은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서 신호를 분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네트워크에서는, 한 노드 디바이스(송신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노드 디바이스(수신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2개의 노드 디바이스 사이에 존재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내의 소정의 채널을 통해 출력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제1 노드 디바이스가 상부-스트림 측(upper-stream side)에 있는 수신지 노드 디바이스 바로 옆에 있고 제1 노드 디바이스내의 소정의 채널을 통해 신호를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가 아닌 네트워크내의 노드 디바이스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떤 채널도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 릴레이 노드 디바이스 각각은 상기한 수단 어드레스(drop means address)를 참조하여 그 자신을 소정의 채널을 통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노드 디바이스라고 인식하든가 또는 아니라고 인식하게 된다.
또한, 신호를 네트워크에 입력하는 구조에 있어서, 노드 디바이스는 각각의 그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신호 스트림에 부송신 라인을 통해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판독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버퍼 수단은 미리 입력 신호들을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한 채널을 지정하여 출력할 신호와, 채널 지정 없이 출력할 신호로 분할하게 된다. 채널을 지정하여 출력할 신호는 또한 송신될 채널에 의해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판독 동작은 훨씬 더 용이하게 될 수 있고, 따라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속도를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채널 중에서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수신 수단에서의 신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이를 분리 수단에 접속된 터미널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출력하는 분리 수단; 터미널 장비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 스트림에 부송신 라인을 통해 삽입하는 삽입 수단; 및 다수의 채널중 소정의 채널을 통해 신호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한 세트 내지 N개의 세트를 제3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채널들은 각각의 세트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채널들은 각각의 세트에서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세트내의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세트내의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채널들중의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3 노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은 입력 신호의 출력을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지만, 네트워크 시스템내의 접속된 터미널의 수의 증가를 가격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제3 노드 디바이스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 및 송신 가능한 채널이 서로 대응하도록 동일 갯수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광범위한 파장을 이용하여 다중-채널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도, 노드 디바이스들간의 어떤 채널 간섭도 발생할 수 없다.
이러한 다수의 채널을 다중 형태로 배치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게 배치할 수도 있다. 다중-채널 구성을 구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이기 때문에, 파장 다중-송신을 노드 디바이스 사이에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다수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을 다수의 채널로서 사용하고 가변 파장 송신 수단을 통해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파장의 분산율(variance rate)을 더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하의 2가지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파장 변경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파장 변경의 제1 패턴은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들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올림 차순으로 기수 번호의 파장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기수 번호 중에서 가장 긴 파장을 선택한 후에, 우수 번호 중에서 가장 긴 파장을 선택하고 차례로 내림 차순으로 우수 번호의 파장을 선택하고, 두번째로 가장 짧은 파장을 선택한 후에, 또다시 가장 짧은 파장을 선택한다.
파장 변경의 제2 패턴은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에서 두번째로 가장 짧은 파장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올림 차순으로 우수 번호의 파장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우수 번호 중에서 가장 긴 파장을 선택한 후에, 기수 번호 중에서 가장 긴 파장을 선택하고 차례로 내림 차순으로 기수 번호의 파장을 선택하며, 가장 짧은 파장을 선택한 후에, 또다시 두번째로 가장 짧은 파장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있어서, 채널 변경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 대신에 송신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각각이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에서 소정의 개별 채널을 출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및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버퍼의 신호를 송신받는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은 접속 변경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패턴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에, 버퍼 수단으로부터 송신 가능한 채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접속 변경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로부터의 출력을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로 각각 분배하는 분배 수단(distribution means)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변경 수단은 각 셀렉터에 대해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느 출력을 선택해야만 하는가를 변경함으로써 버퍼 수단과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및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에서 2개 이상의 사전 할당된 채널을 각각이 수신 및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가 모든 노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 디바이스내의 다른 송신용 채널로 송신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더 개시하고 있는데,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선택된 제1 노드 디바이스는 각각이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에서 그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및 송신될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수신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 각각이 수신 수단에서의 모든 신호 중에서 송신될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수단; 송신 수단을 제어하여, 2개 이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송신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변경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과 동기하여,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들을 판독하기 위하여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노드 디바이스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모든 채널에 대해서는 응답할 수 없지만, 제1 네트워크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에는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송신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노드 디바이스 및 송신 제어 방법에서, 교환 수단을 포함하지 않고 각각의 버퍼로부터 패킷을 송신하는 도중에 사용된 채널을 변경시킴으로써 패킷의 루팅 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킷을 수신하는 고정 파장 수신 수단을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다수의 버퍼 수단이 패킷 전송을 위해 단일 채널을 서로 공유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요 할당 등을 이용하는데 중재 제어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신호 충돌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는 다수의 채널로서 다수의 파장을 가지고 다중-채널 라인으로서 파장 다중-송신 라인을 갖는 광 신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노드 디바이스의 블럭선도에서, 여기에서 8개의 부송신 라인이 광 파장 다중-송신 라인과 접속되어 있다. 부송신 라인 각각은 터미널 장비에 접속되어 있다.
제7a도 및 제7b도에서, 노드 디바이스의 제어 유니트(1)은 버퍼 제어 유니트(2) 및 파장 제어 유니트(3)을 포함하고 있다. 버퍼 제어 유니트(2)는 버퍼를 제어하여, 버퍼에 기억된 패킷 수신 터미널이 인접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2개의 파장, 즉 수신용 터미널 장비가 인접 노드 디바이스를 거쳐 접속되어 있는 분리-삽입 유니트로 패킷을 출력하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에 의해 수신된 파장, 및 버퍼내의 패킷을 송신하는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송신 파장이 서로 일치할 때까지 패킷을 버퍼로부터 판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파장 제어 유니트(3)은 이후에 기술하는 소정의 송신-파장 제어 패턴에 따라 가변 파장 송신 수단의 송신 파장을 제어한다.
광섬유(4)는 광 파장 다중-송신 라인으로 사용되며 업스트림(upstream)에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내의 파장 멀티플렉서와 그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내의 디바이더(divider) 사이의 송신 라인으로서 역할한다. 디바이더(5)는 광섬유상의 광신호들을 분할하여 이들을 8개의 고정 파산 수신 유니트로 출력하도록 한다.
고정 파산 수신 유니트 Ⅰ (6) 내지 Ⅷ(13)은 광 다이오드이고, 고정 파장 수신 수단으로서 역할한다. 내부 구조가 이하에 기재되어 있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 내지 Ⅷ(13)은 각각 파장 λ1 내지 λ8을 갖는 광 신호중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패킷만을 수신한다.
분리-삽입 유니트 Ⅰ(14) 내지 Ⅷ(21)은 분리 삽입 수단으로서 역할하며, 그 각각은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로부터의 패킷 스트림 중에서 한 패킷을 드롭(drop)시켜 이를 부송신 라인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하는 반면, 부송신 라인으로부터의 패킷을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로부터의 패킷 스트림에 부가하는 동작을 한다. 분리-삽입 유니트의 내부 구조도 이후에 기술하기로 한다.
버퍼 Ⅰ (22) 내지 Ⅷ (29)는 분리-삽입 수단으로부터의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수단으로서 역할하며, 그 내부 구조도 또한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 (30) 내지 Ⅷ(37)은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LD)이며, 파장 제어 유니트의 제어하에서 버퍼로부터의 패킷을 파장 λ1 내지 λ8 중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파장 멀티플랙서(38)을 통해 광파장 다중-송신 라인 또는 광섬유(39)로 전송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역할하며, 그 내부 구조도 또한 이후에 기술하기로 한다.
각 패킷은 그 패킷이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에서 수신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 분리-삽입 유니트 Ⅰ(14), 버퍼 Ⅰ(22) 및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으로 구성되는 군 내에서만 처리된다. 마찬가지로,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Ⅱ(7), 분리-삽입 유니트 Ⅱ(15), 버퍼 Ⅱ(23) 및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Ⅱ(31)은 함께 군을 형성한다. 나머지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분리-삽입 유니트, 버퍼 및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도 각각 군을 형성한다.
파장 멀티플렉서(38)은 8개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부터 전송된 파장 λ1 내지 λ8의 광신호를 멀티플렉스하여 이들을 광섬유(39)에 인가한다. 광섬유(39)는 광파장 다중-송신 라인으로서, 그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내의 파장 멀티플렉서와 다운 스트림(downstream)에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내의 다른 파장 멀티플렉서 사이의 송신 라인으로서 역할한다.
부송신 라인 Ⅰ(40) 내지 Ⅷ(47)은 분리-삽입 유니트와 터미널 사이의 패킷 송신 라인으로서 역할한다. 터미널 Ⅰ (48) 내지 Ⅷ(55)는 부송신 라인 Ⅰ(40) 내지 Ⅷ(4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터미널은 대응하는 분리-삽입 유니트로부터의 패킷 출력을 수신하는 반면, 다른 터미널로 송신되는 패킷을 발생하여 이를 부송신 라인을 통해 분리-삽입 유니트로 전송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선도로서, 여기에서 제7a도 및 제7b도의 4개의 노드 디바이스는 광섬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된 노드 디바이스(56 내지 59)는 각각 8개의 부송신 라인을 통해 8개의 터미널에 접속되어 있다. 광섬유(60 내지 63)은 각각 광파장 다중-송신 라인으로 사용된다.
광섬유(60 내지 63)은 제7a도 및 제7b도의 광섬유(4, 39)에 이하와 같이 대응한다.
노드 디바이스 Ⅰ(56)에서, 제7a도의 광섬유(4)는 제8도의 광섬유(63)에 대응하고, 제7b도의 광섬유(39)는 제8도의 광섬유(60)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노드 디바이스 Ⅱ(57)에서, 제7a도의 광섬유(4)는 제8도의 광섬유(60)에 대응하고, 제7b도의 광섬유(39)는 제8도의 광섬유(61)에 대응한다. 노드 디바이스 Ⅲ(58) 및 Ⅳ(59)에 대한 대응 관계도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노드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 내지 Ⅷ(13)중 하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9도에서, 필터(64)는 다른 파장의 광신호는 차단하고 각각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에 할당된 고정 파장을 갖는 광 신호만을 전송한다. 바꾸어 말하면, 각 노드 디바이스내의 각 필터는 각각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에 고유 할당된 파장을 송신한다; λ1은 고정 파장 Ⅰ(6)으로, λ2는 Ⅱ(7)로, λ3는 Ⅲ(8)로, λ4는 Ⅳ(9)로, λ5는 Ⅴ(10)으로, λ6는 Ⅵ(11)로, λ7는 Ⅶ(12)로, λ8는 Ⅷ(13)으로, 파장 λ1 내지 λ8은 올림 차순으로 번호가 붙여지며, λ1λ2λ3λ4λ5λ6λ7λ8의 관계를 나타낸다.
수신 유니트(65)는 소정의 파장을 갖는 필터(64)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화하여 이를 분리-삽입 유니트로 출력하는 광 다이오드이다. 이 수신 유니트는 그 위에 핀 광 다이오드(pin photodiode)(Pin-PD)를 장착하고 있으며, 그 후단은 증폭기, 이퀄라이저 및 식별 회로에 접속되어 있어 광 신호는 출력 동작 이전에 파형 정형(wave shaped)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노드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분리-삽입 유니트 Ⅰ(14) 내지 Ⅷ(21) 중 하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한 내부 구조가 모든 분리-삽입 유니트에 적용되며 단지 한 유니트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10도에서, 디코더 Ⅰ(66)은 입력 패킷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하여 패킷을 부송신 라인으로 출력해야하는지 여부에 관해 디멀티플렉서 Ⅰ(67)에 명령을 내린다. 디멀티플렉서(67)은 디코더 Ⅰ(66)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입력 패킷을 I/F 유니트(68) 또는 FIFO Ⅱ(70)으로 출력한다. I/F 유니트(68)은 디멀티플렉서(67)로부터의 패킷을 부송신 라인으로 전송하여 부송신 라인으로부터의 패킷을 FIFO Ⅰ(69)로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FIFO(First In First Out) Ⅰ(69) 및 Ⅱ(70)은 입력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들을 가산 제어 유니트(add control unit)(71)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입력 순서대로 셀렉터 Ⅰ(72)로 출력한다. 가산 제어 유니트(71)은 FIFO Ⅰ(69) 및 FIFO Ⅱ(70) 모두의 판독 동작을 제어한다. 가산 제어 유니트(71)은 또한 어느 FIFO를 선택해야하는지에 대해 셀렉터(72)에 명령을 내려 부송신 라인상의 패킷이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로부터의 패킷 스트림에 부가될 수 있도록 한다. 셀렉터 Ⅰ(72)는 그 다음에 판독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FIFO를 선택하고, FIFO는 출력될 패킷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킷은 제5도의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노드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버퍼 Ⅰ(22) 내지 Ⅷ(29) 중 하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동일한 내부 구조가 버퍼 Ⅰ(22) 내지 Ⅷ(29) 모두에 적용되며 단지 하나의 버퍼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1도에서, 디코더 Ⅱ(73)은 입력되는 패킷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하여 패킷의 수신자가 인접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아닌 경우에는, 디코더 Ⅱ(73)은 그의 출력 수신지를 FIFO Ⅲ(78)로 설정하도록 디멀티플렉서 Ⅱ(76)에 명령한다. 반면에, 인접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인 경우에는, 디코더 Ⅱ(73)은 그 수신지를 듀얼 포트 메모리(77)로 설정하도록 디멀티플렉서 Ⅱ(76)에 명령을 내리고, 기입 시작 어드레스값을 듀얼 포트 메모리(77)로 설정하도록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74)에 명령을 내려, 수신지 수신 터미널이 접속된 인접 노드 디바이스내의 분리-삽입 수단으로 출력되는 패킷을 보내온 고정 파장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파장에 따라 시작 어드레스를 패킷에 기입한다.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74)는 디코더 Ⅱ(73)으로부터 출력된 기입 시작 어드레스값에서 시작하여, 정당한 순서대로(in due order) 듀얼 포트 메모리(77)에 패킷을 기입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75)는 버퍼 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된 판독 시작 어드레스로서의 오프셋 값에서 시작하여, 정당한 순서대로(in due order) 듀얼 포트 메모리(77)로부터 패킷을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 Ⅱ(76)은 디코더 Ⅱ(73)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듀얼 포트 메모리(77) 또는 FIFO Ⅲ(78) 중의 하나로 입력 패킷을 출력한다. 듀얼 포트 메모리(77)은 패킷 데이터의 판독 및 기입을 개별적으로 행하는 작동을 한다.
제12도의 메모리 맵에 도시된 바와같이 듀얼 포트 메모리(77)의 메모리 영역은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파장에 따라 8개의 영역, 메모리 영역 Ⅰ 내지 Ⅷ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각 채널, 즉 송신 파장 λ1 내지 λ8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각 영역에서의 어드레스의 시작은 A1, A2, A3, A4, A5, A6, A7 또는 A8이다.
그 다음에, FIFO(First In First Out) Ⅲ(78)은 그에 입력된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들을 판독 제어 유니트의 제어하에서 입력 순서대로 셀렉터 Ⅱ(79)로 출력시킨다. 셀렉터 Ⅱ(79)는 버퍼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듀얼 포트 메모리(77)로부터의 출력과 FIFO Ⅲ(78)로부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 출력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버퍼 제어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에서,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 내지 Ⅷ(87)은 파장 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값에 응답하여 판독된다. 이때, 버퍼 제어 테이블의 소정의 오프셋 값들 각각은 버퍼 Ⅰ(22) 내지 Ⅷ(29) 내의 어드레스 카운터(75)로 출력된다. 이들 테이블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 내에 구성된다.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 내지 Ⅷ(87)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판독 제어 유니트(88)는 제어 하에서 이중 포트 메모리(77) 및 FIFO Ⅲ(78)를 판독해 내는 버퍼 Ⅰ(22) 내지 Ⅷ(29)에 판독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파장 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들을 카운트한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파장 제어 유니트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14도에서,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은 3비트 ROM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값에 응답하여 판독된다. 이때, 소정의 버퍼 제어 신호들 각각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들 내의 각각의 구동 유니트로 출력된다. 이들 테이블도 판독 전용 메모리(ROM) 내에 구성된다.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클럭 발생 유니트(98)는 소정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버퍼 제어 유니트로 보내는 한편, 클럭 신호를 분주하여 ROM 카운터로 출력한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노드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된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Ⅷ(37) 중 하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동일 내부 구조는 모든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Ⅷ(37)에 적용되므로, 단지 한 유니트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5도에서, 구동 유니트(90)는 신호 중첩 유니트(101) 및 이 안에 있는 전류 주입 유니트(100)를 포함한다. 전류 주입 유니트(100)는 송신 파장 λ1 내지 λ8를 제어하기 위해서 파장 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파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DBR형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LD)의 3영역, 즉 방출 영역, 위상 제어 영역 및 DBR 영역 내로 각각 주입될 바이어스 전류 값을 제어한다. 신호 중첩 유니트(101)는 전류 주입 유니트(100)으로부터의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서 버퍼로부터 전기 신호를 중첩시켜, 소정의 파장에 따라 세기 변조된 광학 신호기 DBR형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LD)로부터 보내질 수 있도록 한다.
DBR 영역(103)은 송신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주입된 캐리어 양에 따라 굴절률을 변경한다. 위상 제어 영역(104)은 송신 파장의 위상으로 DBR 영역을 방출 영역에 정합시킨다. 방출 영역(105)은 레이저 발진용 활성 영역이다. 이때, 참조 부호(106)는 송신될 파장을 단일화하는 회절 격자이다.
제1 실시예에서, 앞에서 언급된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의 내용은 아래 테이블1에 표한 바와같이 설정된다. 테이블1은 파장 제어 유니트의 제어 하에서 송신될 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 내지 Ⅷ(87)의 오프셋 값들은 테이블 2에 표한 바와같이 설정된다.
이들 16개의 번호가 할당된 테이블은 ROM 카운터(97)과 동기하여 판독된다. 따라서, 각각의 동조 가능한 다이오드(TLD)의 송신 파장은 λ1, λ3, λ5, λ7, λ8, λ6, λ4, λ2, λ1의 사이클로 시프트된다. 이와 같이 교호적으로 파장을 시프트시키므로서, 파장의 가장 큰 분산율은 파장이 교호될 때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행하지 않으면, 예를 들면, λ1으로부터 시작하여 λ2, λ3, λ4, λ5, λ6, λ7, λ8의 순서로 시프트시키는 경우, 파장의 분산율은 λ8을 λ1으로 시프팅할 때 극히 크게 되어, 이것을 장치에 상당한 부하를 거는 것으로, 장치의 수명 및 제어 신뢰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송신 파장이 교호적으로 시프트되는 이러한 사이클에 의해서 파장에서의 큰 변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에 표한 바와같이, 송신 파장의 시프트 사이클은 위상에서 벗어나 있는 파장 제어 테이블 중에서 설정되어, 다수의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LD) 각각이 개개의 파장으로 송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같이, 송신 파장 제어 패턴은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에 따라 결정된다.
테이블1 및 테이블2로 가서, 송신 파장 λ1을 갖는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경우는 버퍼의 이중 포트 메모리를 판독하기 위한 오프셋 값이 메모리 영역(Ⅰ)에 할당된 A1임을 나타낸다. 이어서 λ2, λ3, λ4, λ5, λ6, λ7, λ8의 다른 경우는 각각 메모리 영역(Ⅱ, Ⅲ, Ⅳ, Ⅴ, Ⅵ, Ⅶ, Ⅷ)에 할당된 오프셋 값들을 취한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버퍼 내의 메모리 영역(Ⅰ 내지 Ⅷ)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에서 수신하게 될 파장에 대응하며, 상기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로부터 패킷은 수신 터미널이 접속된 노드 디바이스에 인접한 분리-삽입 유니트로 출력된다. 파장 제어 테이블 및 버퍼 제어 테이블 각각은 테이블1 및 테이블2에 표된 바와같이 설정되기 때문에, 각 버퍼 내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에서 수신하게 되는 파장에 동기하여 제어 하에 버퍼로부터 판독되며, 상기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로부터 패킷은 수신 터미널이 접속된 노드 디바이스에 이웃한 분리-삽입 유니트로 출력된다.
제7a도 내지 제15도의 블럭도, 및 제16도의 타임 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접속된 송신 터미널로서의 터미널 Ⅰ(48) 및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서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로서의 터미널 Ⅴ(52)을 이용하는 패킷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송신될 패킷을 패킷 A라 한다. 또한 상이한 노드 디바이스 내의 동일 구성 요소에서는 편의상 동일 참조 부호가 할당되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드 디바이스의 동작은 8개의 연속한 동작 주기(T1, T2, T3, T4, T5, T6, T7, T8)로 구성된다. 8개의 동작 주기는 버퍼 동작에 따라서, 각각 이중 포트 메모리(77)를 판독하기 위한 주기(Td)와 FIFO Ⅲ(78)를 판독하기 위한 주기(Tf)로 분할된다. 본 실시예에서, T1 내지 T8 동작 주기는 모드 일정한 시간 주기를 취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송신 라인 Ⅰ(40)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접속된 송신 터미널 장비 Ⅰ(48)는 부송신 라인 Ⅴ(44)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 Ⅴ(52)로 송신될 데이터부, 및 수신 터미널 Ⅴ(52)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부를 구성한다.
이때, 송신 터미널 장비 Ⅰ(48)는 패킷(A)을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 내의 분리-삽입 유니트로 송신한다. 노드 디바이스 Ⅰ(56)의 분리-삽입 유니트 Ⅰ(14) 내의 I/F 유니트(68)는 부송신 라인 Ⅰ(40)으로부터 패킷(A)을 수신하여 FIFO Ⅰ(69)에 이를 기입한다. FIFO Ⅰ(69)에 기입한 후, 분리-삽입 유니트는 패킷 스트림을 FIFO Ⅱ(70)으로부터 판독하면서 그 스트림 내에 끊어짐이 있음을 찾으면 FIFO Ⅱ(70)으로부터 판독을 중지하고 대신에 FIFO Ⅰ(69)로부터 판독하기 시작함으로써, FIFO Ⅰ(69)로부터 패킷이 선택기로부터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FIFO Ⅰ(69)로부터 패킷(A) 판독 동작 종료 후에, 분리-삽입 유니트는 FIFO Ⅰ(69)로부터의 판독을 중지하고, 다시 FIFO Ⅱ(70)로부터 판독하기 시작함으로써, FIFO Ⅱ(70)로부터 패킷이 선택기로부터 다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선택기로부터의 패킷(A)는 버퍼 Ⅰ(22)으로 입력된다.
버퍼 Ⅰ(22)에서, 디코드 Ⅱ(73)는 입력 패킷(A)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한다. 이 경우에, 패킷(A)을 수신하는 수신측 터미널 장비는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Ⅰ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가 아니기 때문에, 노드 디바이스 Ⅰ(56)는 패킷을 송신을 위한 채널(즉, 파장)을 할당하지 않은 패킷인 것으로서 취급하며, 디코더 Ⅱ(73)는 디멀티 플렉서 Ⅱ(76)가 FIFO Ⅲ(78)에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패킷(A)가 동작 주기(T8)로 기입된다고 하면, 다음 동작 주기(T1)의 FIFO Ⅲ(78)에 대한 판독 주기(Tf) 동안 버퍼 제어 유니트(2)의 제어 하에서 판독될 것이다.
다음 동작 주기(T1)에서, 파장 제어 유니트(3) 내의 ROM 카운터(97)는 판독 어드레스값으로서 0을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에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파장 제어 테이블의 내용들이 상기 값에 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로부터 판독될 제어 신호는 테이블1에 표한 바와같이 파장 λ1에 대응한다. 파장 제어 테이블 Ⅱ(90), Ⅲ(91), Ⅳ(92), Ⅴ(93), Ⅵ(94), Ⅶ(95) 및 Ⅷ(96)은 각각 파장 λ2, λ4, λ6, λ8, λ7, λ5, λ3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취한다. 이들 제어 신호들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Ⅷ(37) 각각 내의 구동 유니트(99)에 입력된다. 각각의 구동 유니트(99)에 있어서, 전류 주입 유니트에 의해 주입될 전류는 상기 파장 제어 신호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동조 가능 레이저 다이오드(TLD)에서의 송신 파장이 소망하는 파장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동작 주기(T1)를 갖는 이중 포트 메모리에서의 판독 주기(Td) 동안, 파장 제어 유니트(3) 내의 ROM 카운터(97)로부터 판독 어드레스값 0은 버퍼 제어 유니트(2) 내의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 내지 Ⅷ(87)로 입력된다. 이어서, 이들 버퍼 제어 테이블의 내용은 상기 어드레스 값에 따라 판독된다.
이 경우에, 테이블2에 표한 바와같이,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로부터 판독될 오프셋 값은 메모리 영역 Ⅰ에 대응하는 A1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버퍼 제어 테이블 Ⅱ(81), Ⅲ(82), Ⅳ(83), Ⅴ(84), Ⅵ(85), Ⅶ(86), Ⅷ(87)은 메모리 영역 Ⅱ, Ⅳ, Ⅵ, Ⅷ, Ⅶ, Ⅴ 및 Ⅲ에 각각 대응하는 오프셋 값 A2, A4, A6, A8, A7, A5 및 A3이다. 이들 오프셋 값들은 각각 버퍼 Ⅷ(29)를 통해 버퍼 Ⅰ(22) 내의 어드레스 카운터(75)로 출력된다.
더욱이, 버퍼 제어 유니트(2) 내의 판독 제어 유니트(88)는 이중 포트 메모리(77)에서의 판독을 허여하고, FIFO Ⅲ(78)에 대한 판독을 금지하며, 선택기로부터 출력된 이중 포트 메모리의 입력을 설정하도록 파장 제어 유니트(3)로부터의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들을 출력한다. 이들 제어 신호들에 따라서, 버퍼 Ⅰ(22) 내에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75)는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로부터의 오프셋 값(A1)의 로딩을 시작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증분하여 계수해 나간다. 따라서, 카운터는 메모리 영역 Ⅰ 내에 기입된 패킷을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이를 이중 포트 메모리(77)로 출력한다. 판독 어드레스에 의해서 이중 포트 메모리(77)로부터 판독되어, 이의 출력 포트로부터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에 정해진 순서로 출력된다. 이때 판독된 패킷은 송신 파장이 λ이므로 부송신 라인 Ⅰ(40)를 통해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Ⅰ(48)로 보내진다.
동일한 동작 주기(T1)를 가진 이중 포트 메모리를 판독하기 위한 주기(Td) 동안, 오프셋 값(A2)은 버퍼 제어 테이블 Ⅱ(81)로부터 버퍼 Ⅱ(23) 내의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75)로 동시에 로드됨으로써, 부송신 라인 Ⅱ(41)을 통해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Ⅱ(49)에 송신되도록 메모리 영역 Ⅱ내에 기입되는 패킷이 이중 포트 메모리(77)로부터 판독되어, 버퍼 Ⅰ(22)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Ⅱ(31)로 출력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패킷들은 버퍼 Ⅲ(24), Ⅳ(25), Ⅴ(26), Ⅵ(27), Ⅶ(28) 및 Ⅷ(29) 내의 메모리 영역 Ⅳ, Ⅵ, Ⅷ, Ⅶ, Ⅴ 및 Ⅷ로부터 판독되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Ⅲ(32) 내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Ⅷ(37)로 각각 출력된다. 이때, 판독 주기(Td) 동안 판독된 패킷들은 각각 부송신 라인 Ⅰ(40) 내지 Ⅷ(47)를 통해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로 보내진다.
이어서, 동작 주기(T1)의 FIFO(78) 내의 판독 주기(Tf) 동안에, 버퍼 제어 유니트(2) 내의 판독 제어 유니트는 파장 제어 유니트(3)로부터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이를테면 이중 포트 메모리(77)에서 판독을 금지하고, FIFO Ⅲ(78)에서 판독을 허여하며, 선택기로부터 FIFO Ⅲ(78)의 출력이 출력되게 설정되게 하기 위해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한다. 이들 제어 신호들에 따라서, FIFO Ⅲ(78) 내의 패킷들이 판독되어, 선택기(79)를 통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로 출력된다. 이때, FIFO Ⅲ(78) 내에 기입된 패킷(A0이 판독된다. 패킷(A)은 송신용 파장이 할당되지 않은, 즉 수신측 터미널 장비가 다운스트림 인접 디바이스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가 아닌 패킷이다.
마찬가지로, 버퍼 Ⅱ(23) 내지 Ⅷ(29)에 관해서, FIFO Ⅲ(78) 내의 패킷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판독되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Ⅷ(37)에 각각 출력된다.
가변 변수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Ⅷ(37)은 버퍼 Ⅰ(22) 내지 Ⅷ(29)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파장 제어 신호들을 파장 멀티플렉서(38)로 인가하기 위해서, 이들 제어 신호들에 따라 패킷들의 파장들을 소정의 파장들을 갖는 것들로 변경한다. 이때, 인가된 광학 신호의 파장들은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Ⅱ(31), Ⅲ(32), Ⅳ(33), Ⅴ(34), Ⅵ(35), Ⅶ(36) 및 Ⅷ(37)에서 각각 λ1, λ2, λ4, λ6, λ8, λ7, λ5 및 λ3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8개의 번호가 할당된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부터 인가된 광학 신호들은 서로로부터 파장이 상이하여, 모든 광학 신호들은 서로 상호 작용없이 파장 멀티플렉서(38) 내에서 믹싱될 수 있다. 이어서, 광학 신호들은 광섬유(39)에 입사되어 다운스트림에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 Ⅱ(57)로 송신된다. 따라서, 패킷(A)은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접속하는 터미널 장비 Ⅰ(48)로부터,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Ⅴ(52)로 보내짐으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파장 λ1을 갖는 광학 신호로서 노드 디바이스 Ⅱ(57)로 송신될 수 있다.
그후, 노드 디바이스 Ⅱ(57)는 파장 λ1을 갖는 광학 신호로서 송신되었던 패킷(A)에 관하여 다음의 릴레이 송신 처리를 수행한다.
파장 λ1 내지 λ8을 가지며, 광섬유(60)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로부터 송신된 광학 신호들은 디바이더(5)에 의해서 분주되어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 내지 고정 파산 수신 유니트 Ⅷ(13)에 각각 입사된다. 고정 파산 수신 유니트 Ⅰ(6)에서, λ1을 갖는 광학 신호만이 필터(64)를 통해 송신되어 광다이오드(PD)에 의해서 수신된다. 이 경우에, 패킷(A)은 파장 λ1을 갖는 광학 신호로서 노드 디바이스 Ⅰ(56)로부터 보내지기 때문에,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에 의해서 수신되어, 분리-삽입 유니트 Ⅰ(14)로 출력된다.
분리-삽입 유티트 Ⅰ(14) 내의 디코더 Ⅰ(66)는 입력 패킷(A)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한다. 그러나, 패킷(A)은 분리-삽입 유니트 Ⅰ(14)에 터미널 장비가 아닌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로 보내져, 디코더(66)는 디멀티플렉서(67)의 출력 수신측을 FIFO Ⅱ(70)에 설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패킷(A)은 FIFO Ⅱ(70) 내에 기입되며, 가산 제어 유니트(71)의 제어 하에서 판독되며, 선택기(72)로부터 버퍼 Ⅰ(22)로 출력된다.
이어서, 버퍼 Ⅰ(22) 내의 디코더(73)는 다시 패킷(A)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한다. 패킷은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 V(52)로 보내져, 디코더(73)는 디멀티플렉서(76)의 출력 수신지를 이중 포트 메모리(77)에 설정함과 동시에,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74)에 기입 개시 어드레스 값으로부터 오프셋 값(A5)을 출력한다.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74)는 기입 개시 어드레스를 로드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증분하여 계수해 나가, 입력 패킷(A)의 기입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이중 포트 메모리(77)에 이를 출력한다. 패킷(A)은 이미 디멀티플렉서(76)을 통해 이중 포트 메모리(77)의 입력 포트에 입력되었으므로, 패킷(A)은 정해진 순서대로 어드레스 카운터(74)로부터 어드레스에 따라 메모리 영역 Ⅴ 내에 기입된다.
이중 포트 메모리(77)로부터 판독하기 전에, 패킷(A)이 동작 주기(T1) 내에 이중 포트 메모리(77)에 기입된다고 하면, 그 다음번 동작 주기(T3)를 대기하도록 패킷(A)을 제어한다. 이 동작 주기(T3) 내에서 노드 디바이스 Ⅱ(57) 내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는 수신측 터미널 장비가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Ⅲ(58)에서 접속된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패킷을 출력하기 위한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Ⅴ(10)에서 수신하는 파장 λ5에 대응한다.
동작 주기(T1), 즉 패킷(A)이 노드 디바이스 Ⅱ(57)에서 이중 포트 메모리(77)에 기입되었던 주기(T1)에 연이은 동작 주기(T2)에서, 파장 제어 유니트(3) 내의 ROM 카운터(97)는 동시에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에 판독 어드레스 값으로 1을 출력한다. 이 어드레스 값은 파장 제어 테이블의 내용을 판독하는 데 사용된다.
동시에,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로부터 판독될 제어 신호는 테이블 Ⅰ에 보인 파장 λ3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파장 제어 테이블 Ⅱ(90), Ⅲ(91), Ⅳ(92), Ⅴ(93), Ⅵ(94), Ⅶ(95) 및 Ⅷ(96)는 각각 파장 λ1, λ2, λ4, λ6, λ8, λ7,λ5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취한다. 이들 제어 신호는 각각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Ⅷ(37)내의 구동 유니트(99)로 입력된다. 따라서, 가변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Ⅷ(37)로부터 송신될 채널 또는 파장은 이들이 서로에 동기되어 송신되나, 동일 파장은 두 개 이상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 보내지지 않도록 변경한다.
동작 주기(T1)와 마찬가지로, 동작 주기(T2) 동안에 파장 제어 유니트(3) 내의 ROM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스 값 1이 버퍼 제어 유니트(3) 내의 버퍼 제어 테이블로 입력된다. 더욱이, 제어 신호는 파장 제어 유니트(3)로부터의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판독 제어 유니트(88) 내에서 구성된다. 이들 제어 신호에 따라서, 패킷들은 이중 포트 메모리(77) 및 버퍼 Ⅰ(22) 내지 Ⅷ(29) 내의 FIFO Ⅲ(78)로부터 판독된다. 다른 버퍼 Ⅱ(23), Ⅲ(24), Ⅳ(25), Ⅴ(26), Ⅵ(27), Ⅶ(28) 및 Ⅷ(29)에 대해서는 패킷들이 메모리 영역 Ⅰ, Ⅱ, Ⅳ, Ⅵ, Ⅷ, Ⅶ 및 Ⅴ 각각으로부터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패킷들이 판독되어, 상기 언급한 소정의 광학 신호들로 변환되어, 파장 멀티플렉서(38)를 통해 광섬유로 송신된다.
이 경우에, 패킷(A)는 버퍼 Ⅰ(22) 내의 이중 포트 메모리(77)의 메모리 영역(Ⅴ) 내에 기입되었으므로, 따라서 그 다음번 동작 주기(T3)의 판독 주기(Td) 동안 이중 포트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동작 주기(T3)에서, 파장 제어 유니트(3) 내의 ROM 카운터(97)는 판독 어드레스 값으로서 2를 파장 제어 테이블 Ⅰ(89) 내지 Ⅷ(96)에 각각 출력한다. 파장 제어 테이블의 내용들은 이 어드레스에 따라서 판독된다. 이때, 송신 파장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에 관하여 λ5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값 2는 버퍼 제어 유니트(2)로 출력되어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이때, 버퍼(22) 내의 이중 포트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영역은 메모리 영역 Ⅴ로 설정된다.
이어서, 다른 버퍼들은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의 제어 하에서 판독되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내의 소정의 광학 신호로 변환되어, 파장 멀티플렉서(38)를 통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광섬유로 보내진다. 즉, 패킷(A)은 동작 주기(T3)의 판독 주기(Td) 동안 이중 포트 메모리로부터 판독되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로부터 광섬유로 파장 멀티플렉서(38)를 통해 보내져, 노드 디바이스 Ⅲ(58)로 입사된다.
파장 λ1 내지 λ8을 가지며, 광섬유(61)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Ⅱ(57)로부터 송신된 광학 신호는 노드 디바이스 Ⅲ(58) 내의 디바이더(5)에 의해서 분주되어,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 내지 Ⅷ(13)에 입사된다.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Ⅴ(10)에서, 파장 λ5를 갖는 광학 신호만이 필터(64)를 통해 송신되어 광다이오드(PD)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다. 패킷(A)는 노드 디바이스 Ⅱ(57)로부터 파장 λ5를 갖는 광학 신호로서 보내지기 때문에,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Ⅴ(10)에 의해서 수신된다. 이어서, 패킷(A)은 고정 파산 수신 유니트 Ⅴ(10)로부터 분리-삽입 유니트 Ⅴ(18)로 출력된다.
분리-삽입 유니트 Ⅴ(18) 내의 디코더 Ⅰ(66)는 입력 패킷(A)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한다. 이 경우에, 패킷(A)은 그 자신의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로 보내져, 디코더 Ⅰ(66)는 디멀티플렉서 Ⅰ(67)의 출력 수신지를 I/F 유니트(68)에 설정할 것이다. 따라서, 패킷(A)은 디멀티플렉서 Ⅰ(67)를 통해서 I/F 유니트(68)로 출력되어,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 수신측 접수(수신) 터미널 장비 Ⅴ(52)에 의해서 수신된다. 끝으로, 패킷의 어드레스부를 제거한 후 상기 데이터부만을 추출함으로써, 소망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같이,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접속된 송신 터미널 장비 Ⅰ(48)로부터, 부송신 라인 Ⅰ(44)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 Ⅰ(52)로 패킷(A)이 송신되었다.
요약하여, 패킷(A)은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입력되었던 때의 타이밍에 대응하는 파장 중에서 하나로, 즉 상기 기술된 λ1으로 보내졌다. 이어서, 수신 터미널이 노드 디바이스 Ⅲ(58)를 통해 접속된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패킷을 출력하기 위한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Ⅴ(10)에 의해서 수신되는 파장 λ5를 갖는 광학신호로 변환이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의해서 행해졌다. 패킷(A)는 노드 디바이스 Ⅲ(58) 내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Ⅴ(10)에서 수신되어, 분리-삽입 유니트 Ⅴ(58)에서 분리된 후 마지막으로 부송신 라인 Ⅴ(44)을 통해 터미널에 의해서 수신되었다.
[제2 실시예]
제17도는 제1 실시예의 버퍼 Ⅰ(22) 내지 Ⅷ(29)에 인가될 수 있는 내부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7도에서, 디코더 Ⅲ(106)은 입력될 피킷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하여, FIFO(108 내지 115)로부터 패킷 내에 기입하기 위한 FIFO를 선택하여, 선택된 FIFO에 디멀티플렉서 Ⅲ(107)에 명령을 내린다. 디멀티플렉서 Ⅲ(107)는 디코더 Ⅲ(106)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분리-삽입 유니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FIFO에 패킷 신호 입력을 출력하도록 동작된다. FIFO(108) 내지 (115)는 각각의 송신 파장마다 제공되어, 디멀티플렉서 Ⅲ(107)로부터의 패킷 신호들을 임시 저장하여, 이들을 버퍼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판독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지 터미널 장비가 인접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가 아니며, 송신하기 위해 파장을 할당할 필요가 없는 패킷은 적당하게 FIFO Ⅳ(108) 내지 FIFO XI(115) 중 어느 하나 내에 또한 저장된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에서는 송신용 파장을 할당할 필요가 없는 패킷이 비점유 메모리 영역을 갖는 FIFO 내에 저장되는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기 Ⅲ(116)는 버퍼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FIFO Ⅳ(108) 내지 XI(115) 중에서 어떤 FIFO를 선택하여, 이의 출력 신호를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로 보낸다.
다음의 테이블3은 제17도의 버퍼 구조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버퍼 제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버퍼 제어 유니트는 제11도의 것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FIFO들은 각 동작 주기 내의 테이블3의 버퍼 제어 테이블 내에 표된 바와같이하여 선택됨으로써, 기입된 패킷 신호들이 판독되어 각각 가변 송신 유니트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주기(T1) 동안에, FIFO Ⅳ는 버퍼 Ⅰ(22)용으로 선택됨으로써, FIFO Ⅳ 내에 기입된 패킷이 판독되어, 패킷 신호가 파장 λ1으로 출력되는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로 출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판독 카운터로 오프셋 신호들이 출력될 필요가 없도록 다수의 FIFO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버퍼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제3 실시예]
제18도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부분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노드 디바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노드 디바이스는 버퍼 제어 유니트(2), 파장 제어 유니트(3), 버퍼 Ⅰ(22) 내지 Ⅷ(29)가 제7a 및 제7b도에 도시한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되며, 더욱이, 제1도의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 내지 Ⅷ(37)은 각각 고정 파장 송신 유니트 Ⅰ(151) 내지 Ⅷ(158)로 교체된다. 고정 파산 송신 유니트 Ⅰ(151) 내지 Ⅷ(158) 각각은 개개의 파장; 파장 λ1 내지 λ8 중에서 하나를 갖는 단지 광학 신호만을 송신할 수 있다.
구조가 제8도와 유사한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8도의 노드 디바이스 구조를 제8도에 도시한 노드 디바이스 대신으로 노드 디바이스 Ⅱ(57) 내지 Ⅳ(59)용으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나, 노드 디바이스 Ⅰ(56)는 제7a 및 제7b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 구조를 취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실시예는 패킷(C)이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Ⅰ(48)로부터,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Ⅴ(52)로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Ⅰ(48)로부터의 패킷 C는 노드 디바이스 Ⅱ(57) 내의 분리-삽입 유니트 Ⅰ(14)에 접속된다. 패킷 C는 분리-삽입 유니트 Ⅰ(14)에서,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6)로부터의 패킷 스트림에 가산되어, 파장 λ1의 채널을 통해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Ⅰ(151)로부터 보내져, 노드 디바이스 Ⅲ(58)로 입력된다. 패킷(C)은 파장 λ1의 채널을 통해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측 터미널 장비가 접속된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입력될 수 없으나, 노드 디바이스 Ⅳ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패킷(C)는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입력될 노드 디바이스 Ⅳ(59)를 통해 또한 릴레이된다.
노드 디바이스 Ⅰ(56) 내의 버퍼 Ⅰ(22)는 패킷(C)의 어드레스에 따라 이중 포트 메모리(77) 내의 메모리 영역(V)에 패킷(C)을 기억시킨다. 이중 포트 메모리(77)에 기억된 패킷(C)은 판독되어,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Ⅰ(30)의 송신 파장이 λ5가 될 때에 노드 디바이스 Ⅱ(57)로 송신된다. 패킷(C)은 노드 디바이스 Ⅱ(57)를 통해 릴레이되어, 노드 디바이스 Ⅲ(58)로 입력되며, 여기에서 패킷(C)은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Ⅴ(10)에 의해서 수신되어, 어드레스에 따라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의해서 분리되어, 수신측 터미널 장비 Ⅴ(52)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드 디바이스 중 어떤 것은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 버퍼 및 이들 소자들 제어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저비용의 네트워크를 또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9도에 도시한 노드 디바이스는 부분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이용된다. 제19도의 노드 디바이스는 각각 파장 λ7 및 λ8에 대응하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분리-삽입 유니트 및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가 제18도에 도시한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필터(159)는 노드 디바이스가 동반될 수 없는 채널 또는 파장 λ7 및 λ8을 갖는 광학 신호들을 다운스트림 측에 배치된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즉, 필터(159)는 파장 λ1 내지 λ6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노드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제7a 및 제7b도에 도시한 적어도 한 노드 디바이스로 이를 접속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으며, 제7a 및 제7b도의 디바이스는 노드 디바이스 내에서 패킷들의 채널 또는 파장을 변경함으로써 패킷들을 소망하는 수신 터미널로 송신할 수 있도록 채널의 개수와 동일하게 배치된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채널들, 즉 송신 파장들이 λ1 내지 λ8의 범위에 있으나, 본 발명은 8개 채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채널의 수를 N으로 설정하면, 채널 변경은 소정의 패턴으로 될 것이며, 이중 어느 한 패턴으로서는 N개 번호가 할당된 파장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을 사용하여 시작하여, 올림 차순으로 기수 번호 파장을 선택하고, 다음에, 기수 번호에서 가장 긴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 번호에서 가장 긴 파장을 선택하고, 이번에는 내림 차순으로 우수 번호 파장을 선택하고, 다시 2번째로 짧은 파장을 선택한 후에 가장 짧은 파장을 선택하거나; 또는 N개 번호가 할당된 파장들 중에서 2번째로 짧은 파장부터 시작하여, 올림 차순으로 우수 번호 파장을 선택하고, 이번에는 내림 차순으로 기수 번호 파장을 선택하고, 가장 짧은 파장을 선택한 후 2번째로 가장 짧은 파장을 다시 선택한다.
이러한 패턴으로 채널 또는 송신 파장을 변경함으로써, 송신 파장의 분산율이 감소될 수 있어, 이에 따라 모든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가 상기 패턴을 사용할지라도 몇몇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가 동시에 동일 파장으로 패킷을 송신하는 것과 같은 파장 충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서로에 동기하지만 동일 채널을 통한 동시 송신 없이 각각의 송신 유니트가 이의 송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변경 패턴을 수행하는 만큼 채널들의 변경에 다른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20a 및 20b도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분리-삽입 유니트, 버퍼 및 파장 λ7 및 λ8에 각각 대응하는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가 제7a 및 7b도에 도시한 것으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제19도와 유사한 필터(159) 또한 이 노드 디바이스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노드 디바이스에서,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의 파장들은 λ1 내지 λ6 중에서 정해진 순서대로 하나를 선택하여,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서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다음의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노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노드 디바이스에서는 파장 λ7 및 λ8을 출력할 수 없으므로,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 디바이스는 파장 λ1 내지 λ6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 λ7 내지 λ8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 가능한 노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니트 및 가변 파장 송신 유니트를 반드시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은 제20a 및 20b도의 노드 디바이스 및 파장 중 임의의 파장으로 신호 송신되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다른 노드 디바이스들을 통해 신호를 릴레이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파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20a도 및 제20b도의 한 노드 디바이스, 파장 λ1, λ7 및 λ8에 대응하는 또 다른 노드 디바이스, 및 제18도의 또다른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 파장 λ2로 송신되는 패킷이 파장 λ8로 송신되도록, 제20a도 및 제20b도의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파장 λ2의 패킷만을 파장 λ1의 채널을 통해 출력한 후, 파장 λ1, λ7 및 λ8에 대응하는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파장 λ1의 패킷을 파장 λ8의 채널을 통해 출력했었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파장 λ1 및 λ7에 대응하는 노드 디바이스 및 파장 λ7 및 λ8에 대응하는 노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노드 디바이스들간 적절하게 패킷들을 릴레이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파장은 각각의 노드 디바이스에 대응하도록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는 가변 송신의 출력 파장들이 소정의 패턴으로 각 노드 디바이스에서 변경된 후, 패킷들이 변경된 파장에 따라 버퍼로부터 판독되도록 또한 실현된다. 따라서, 송신 파장들은 각각의 패킷이 송신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인 송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는 제21a 및 21b도에 도시한 노드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제21a 및 21b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제7a 및 7b도에 도시한 것들과 동일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드 디바이스는 송신 유니트 Ⅰ(163) 및 Ⅷ(170)으로부터의 송신 파장이 가변적이지 않고, 접속 변경 유니트(162)는 버퍼와 송신 유니트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기 위해서 새롭게 제공되며,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은 접속 변경 유니트(162)를 제어하기 위해서 더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7a도 및 제7b도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파장의 변경 없이 선정된 파장이 각 송신 유니트에 할당되기 때문에, 송신 유니트의 송신 파장은 버퍼로부터 출력되도록 선정된 패턴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8도에서와 동일하다.
접속 변경 유니트(162)는 입력 터미널 Ⅰ 내지 Ⅷ들에 접속되고 출력 터미널 Ⅰ 내지 Ⅷ들이 송신 유니트 Ⅰ 내지 Ⅷ들에 각각 접속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입력 터미널 Ⅰ는 파장 λ1의 채널에 대응하며, 그 출력 터미널 Ⅰ에도 대응한다. 또한, 입력 터미널 Ⅱ는 파장 λ2의 채널에 대응하며, 그 출력 터미널 Ⅱ에도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입력 터미널들은 각 채널들에 대응하며, 그 출력 터미널들에도 대응한다. 접속 변경 유니트의 내부 구조는 후에 기술된다.
송신 유니트 Ⅰ(163) 내지 Ⅷ(170)들은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송신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접속 변경 유니트로부터의 패킷을 선정된 파장을 갖는 광신호로 변환하도록 각각 동작하며, 광 파장 다중 송신 라인 내에 물리적 매체로서 사용되는 광섬유에 신호를 파장 멀티플렉서를 통해 출력한다.
다중-전극형 DFB(분배형 피드백:Distributed Feed Back) 레이저는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FB 레이저는 전극의 각 전류 주입량에 대해 제어되어, 송신 유니트 Ⅰ(163) 내지 Ⅷ(170)들은 송신 파장 λ1 내지 λ8 이외의 개별 파장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제22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22도에서, 필드(171)은 패킷의 채널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는 대응하는 분리-삽입 유니트가 속하는 채널 프로세싱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 어드레스를 정확히 설명하며, 분리-삽입 유니트는 패킷이 송신되는 수신 터미널에 부송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필드(172)는 패킷의 노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는 패킷 수신 터미널가 접속되어 있는 노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노드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정확히 설명한다. 참조번호(173)은 패킷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부이다. 다음 테이블(4 및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각 노드 디바이스에서 노드 디바이스 및 채널 프로세싱 그룹을 도시한다.
제23도는 제5 실시예가 응용되는 분리-삽입 유니트 Ⅰ 내지 Ⅷ내에 공통으로 사용된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동일한 내부 구조는 모든 분리-삽입 유니트 Ⅰ 내지 Ⅷ에 적용되며, 설명은 한 유니트에 대해서만 기술된다.
제23도에서, 비교기 Ⅰ(174)는 비교 입력값 #1를, 래치 Ⅰ로부터 출력될 패킷의 노드 디바이스 식별 정보로서 사용된 노드 어드레스부와 비교한다. 결과가 매칭을 도시하면, 비교기 Ⅰ(174)는 분리 명령 신호를 디멀티플렉서 Ⅰ에 출력한다. 매칭이 아니면, 비교기 Ⅰ(174)는 릴레이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 입력값 1#는 테이블 1에 따라 각 노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적당한 값을 취할 수 있다.
래치 Ⅰ(175)는 비교기 Ⅰ(174)에 출력하기 위해 패킷의 노드 어드레스부를 래치시킨다. 멀티플렉서 Ⅰ(67)은 비교기 Ⅰ(174)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I/F 유니트(68) 또는 FIFO Ⅱ(70) 중 어느 하나에 입력 패킷을 출력한다.
제24도는 제5 실시예가 적용되는 버퍼 Ⅰ 내지 Ⅷ내에 공통으로 사용된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동일한 내부 구조는 모든 버퍼 Ⅰ 내지 Ⅷ에 적용되며, 설명은 한 버퍼에 대해서만 기술된다. 상기 분리-삽입 유니트에서와 마찬가지로, 버퍼는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디코더 대신, 비교기 Ⅱ(176) 및 래치 Ⅱ(177)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입력 패킷은 접속 변경 유니트에 의해 패킷이 출력되는 출력 터미널의 지정이 있는 패킷과, 지정이 없는 패킷으로 나눠진 다음, 둘다 임시 저장된다. 접속 변경 유니트에 의해 패킷이 출력되는 출력 터미널의 지정이 있는 패킷은 또한 각 출력 터미널를 위해 임시 저장된다.
송신 변경 유니트 내의 출력 터미널 Ⅰ 내지 Ⅷ들이 송신 유니트 Ⅰ 내지 Ⅷ들에 접속되고 송신 유니트 Ⅰ 내지 Ⅷ들이 채널 프로세싱 그룹 Ⅰ 내지 Ⅷ들에 대응하기 때문에, 출력 터미널 Ⅰ 내지 Ⅷ들은 물론, 채널 프로세싱 그룹 Ⅰ 내지 Ⅷ들에 각각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 변경 유니트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 터미널의 지정이 있는 패킷은 인접 노드 디바이스가 송신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수신 터미널을 수신지로 한다. 지정된 출력 터미널은 대응하는 분리-삽입 유니트가 속한 채널 프로세싱 그룹에 대응하며, 분리-삽입 유니트는 패킷이 송신되는 수신지 수신 터미널에 부송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제24도에서, 비교기 Ⅱ(176)은 비교 입력값 #1를, 래치 Ⅱ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의 노드 어드레스부와 비교한다. 결과가 매칭을 도시하면, 비교기 Ⅰ(174)는 지정 존재를 지시하는 신호를 디멀티플렉서 Ⅱ에 출력한다. 매칭이 아니면, 비지정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 입력값 #Ⅱ는 송신 방향을 따라 다운스트림측에 배치된 각 노드 디바이스의 노드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적절한 값을 취할 수 있다. 래치 Ⅰ(177)은 비교기 Ⅱ(176)에 출력하기 위해 패킷의 노드 어드레스부를 래치시킨다.
제25도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접속 변경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접속 변경 유니트는 8 입력 터미널들 및 8 출력 터미널들을 포함한다. 제25도에서, 블럭(178 내지 185)들은 셀렉터 Ⅰ 내지 Ⅷ들을 각각 나타낸다. 셀렉터 Ⅰ 내지 Ⅷ들은 접속 변경 유니트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정된 입력 터미널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을 출력 터미널로 출력하기 위해 자체 입력으로서 입력 터미널 Ⅰ 내지 Ⅷ에서의 8 신호들을 사용한다. 선택 신호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된다. 접속 변경 유니트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접속은 채널 프로세싱 그룹이 송신 패킷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제26도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제26도에서, 블럭(186 내지 193)들은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들을 각각 나타낸다.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들은 3-비트 ROM 카운터로부터의 어드레스 값에 따라 각각 판독되고, 선정된 선택 신호를 접속 변경 유니트 내의 대응하는 셀렉터에 출력한다. 이들 테이블들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 내에 짜넣어진다.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들의 내용은 후술된다. ROM 카운터는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5 실시예에서,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테이블 6은 접속 변경 유니트 내의 셀렉터 Ⅰ 내지 Ⅷ에 의해 선택될 입력 터미널들을 도시한다. 셀렉터 Ⅰ 내지 Ⅷ들이 출력 터미널 Ⅰ 내지 Ⅷ들에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입력 터미널와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접속은 테이블 6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테이블 6에서, 결정은 또한, 2개 이상의 입력 터미널들이 동일한 출력 터미널에 동시에 접속되지 않게 행해진다.
테이블 7은 ROM 카운터의 각 어드레스 값에 있어서 입력 터미널와 출력 터미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퍼 제어 유니트가 제13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버퍼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의 오프셋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테이블 7 및 8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16개의 번호가 매겨진 테이블들은 사이클마다 모두 시트프되고, ROM 카운터에 의해 동시에 판독된다. 따라서,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접속 관계는 그들 사이의 접속이 동일한 사이클 패턴으로 하나씩 시프트되도록 설정되게 형성된다.
테이블 6, 7 및 8에서, 각 입력 터미널의 접속 수신자가 출력 터미널 Ⅰ이면, 버퍼의 2중 포트 메모리 내에서 판독하기 위한 오프셋값은 메모리 영역 Ⅰ를 나타내는 A1에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각 입력 터미널가 출력 터미널 Ⅱ 내지 Ⅷ와 접속될 수신지로 되는 경우에, 오프셋값은 메모리 영역 Ⅱ 내지 Ⅷ에 각각 대응하는 값들에 할당된다.
제24도에서 도시된 버퍼에서, 메모리 영역 Ⅰ 내지 Ⅷ들은 분리-삽입 유니트가 속한 채널 프로세싱 그룹에 대응하며, 분리-삽입 유니트는 수신 터미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 제어 테이블 및 버퍼 제어 테이블은 테이블 6 및 8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각 버퍼 내에 저장되는 패킷이 수신지 분리-삽입 유니트가 속한 채널 프로세싱 그룹에 대응하는 출력 터미널과 접속될 때의 제어하에 판독될 수 있도록 각각 설정되며, 분리-삽입 유니트는 수신 터미널 장비가 접속되어 있는 인접 노드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드 디바이스의 동작은 8개의 연속 동작 주기(T1 내지 T8)들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8개의 테이블 값들은 16 테이블 내에서 한 사이클 동안 판독된다. 8개의 동작 주기들은 버퍼 동작에 따라, 2중 포트 메모리 내의 판독 주기 Td와 FIFO 내의 판독 주기 Tf로 각각 분할된다.
이제, 제7a, 7b, 8, 12, 13, 21a, 21b, 22 및 26도의 다이어그램과 제27도의 타임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된다.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접속된 송신 터미널로서 터미널 장비 Ⅰ(48)을 사용하고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로서 터미널 장비 Ⅴ(52)를 사용하는 패킷 송신에 대해 설명된다. 이후에, 송신될 패킷은 패킷 A로 칭한다. 또한, 다른 노드 디바이스에서의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하였다.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Ⅰ 56)에 접속된 송신 터미널 장비 Ⅰ(48)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킷 A를 구성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 Ⅴ(52)에 대한 채널 어드레스 값 5, 및 노드 어드레스 값 3 둘다는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 Ⅴ(52)에 송신될 데이터부에 가산된다.
송신 터미널 장비 Ⅰ(48)은 그 다음, 패킷 A를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 내의 분리-삽입 유니트 Ⅰ(14)에 송신한다. 노드 디바이스 Ⅰ(56)의 분리-삽입 유니트 Ⅰ(14) 내의 I/F 유니트는 FIFO Ⅰ 내의 부송신 라인을 통해 송신되는 패킷 A를 순서대로 기입한다. FIFO Ⅰ 내에서의 기입 동작 종료후에, 분리-삽입 유니트는 FIFO Ⅱ로부터 판독하는 동안 패킷 스트림 내의 브레이크(break)를 발견하고, FIFO Ⅱ로부터의 판독을 중지시키며, 대신 FIFO Ⅰ로부터의 판독을 개시함으로써, FIFO Ⅰ로부터의 패킷이 셀렉터(72)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FIFO Ⅰ로부터 패킷 A의 판독 동작 종료후에, 분리-삽입 유니트는 FIFO Ⅰ로부터의 판독을 중지시키고, FIFO Ⅱ로부터의 판독을 다시 개시시켜, FIFO Ⅱ로부터의 패킷은 셀렉터(72)로부터 다시 출력될 수 있다. 셀렉터(72)로부터의 패킷 A는 그 다음, 버퍼 1에 입력된다.
버퍼 Ⅰ에서, 입력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는 래치 Ⅱ(177)에 의해 래치되고, 비교기 Ⅱ(176)에 의해 송신 방향을 따라 다운스트림측에 배치된 노드 다비이스 Ⅱ에 대한 노드 어드레스와 비교된다. 이 경우,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는 3으로 설정되고, 이는 송신 방향을 따르는 다운스트림에 인접하는 노드 디바이스 Ⅱ에 대한 노드 어드레스 2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기 Ⅱ는 비지정을 나타내는 신호를 디멀티플렉서 Ⅱ에 출력한다. 그 다음, 디멀티플렉서 Ⅱ는 비지정 신호에 응답하여, 패킷 A의 출력 수신지를 FIFO Ⅲ에 설정한다.
패킷 A가 FIFO Ⅲ에 기입되는 동안의 동작 주기가 T8이라고 가정하면, 패킷 A는 후속 동작 주기 T1의 FIFO 내에서의 판독 주기 동안 버퍼 제어 유니트의 제어하에 판독된다.
다음 동작 주기 T1 동안,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 내의 ROM 카운터(97)은 판독 어드레스 값으로서 0을 동시에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에 출력하기 때문에, 접속 제어 테이블의 내용은 어드레스 값에 따라 판독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제어 테이블 Ⅰ로부터 출력될 선택 신호는 테이블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 터미널 Ⅰ과 출력 터미널 Ⅰ 사이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접속 테이블 Ⅱ 내지 Ⅷ들 각각은 입력 터미널 Ⅱ와 출력 터미널(Ⅱ, Ⅲ 및 Ⅲ, Ⅳ 및 Ⅳ, Ⅴ 및 Ⅴ, Ⅵ 및 Ⅵ, Ⅶ 및 Ⅶ 및 Ⅷ 및 Ⅷ) 사이의 접속들을 위해 선택 신호들을 취할 수 있다. 이들 선택 신호들은 접속 변경 유니트(162) 내의 셀렉터 Ⅰ(178) 내지 Ⅷ(185)에 입력되어,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접속의 선정된 조합은 선택적으로 성립될 수 있다.
동일한 동작 주기 T1의 2중 포트 메모리 내의 판독 주기 Td 동안에,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 내의 ROM 카운터(97)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스 값 0은 버퍼 제어 유니트(2)내의 버퍼 제어 테이블에 입력된다. 그 다음, 버퍼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들의 내용은 어드레스 값에 따라 판독된다.
이 경우, 테이블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퍼 제어 테이블 Ⅰ로부터 판독될 오프셋값은 메모리 영역 Ⅰ에 대응하는 A1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버퍼 제어 테이블 Ⅱ 내지 Ⅷ은 메모리 영역 Ⅱ 내지 Ⅷ에 각각 대응하는 오프셋 값(A2 내지 A8)들을 취한다. 이들 오프셋 값들은 버퍼 Ⅰ(22) 내지 Ⅷ(29) 내의 어드레스 카운터(75)에 각각 출력된다.
또한, 버퍼 제어 유니트(2) 내의 판독 제어 유니트는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2중 포트 메모리(77)로부터의 판독을 허용하고, FIFO Ⅲ로부터의 판독을 금지하며, 멀티플렉서 Ⅰ로부터 출력될 2중 포트 메모리의 입력을 설정한다. 제어 신호에 따라, 버퍼 Ⅰ(22) 내의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75)는 일정 증분만큼 순서대로 카운트업하기 위해서 버퍼 제어 테이블 Ⅰ(80)으로부터의 오프셋 값 A1과의 로딩을 개시한다. 따라서, 카운터는 메모리 영역 Ⅰ 내에 기입된 패킷을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이를 2중 포트 메모리(77)에 출력한다. 판독 어드레스는 2중 포트 메모리(77)로 하여금 출력 포트로부터 패킷을 판독하여, 접속 변경 유니트의 입력 터미널 Ⅰ에 순서대로 출력하게 한다.
현재 출력될 패킷은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Ⅰ(48)를 수신지로 하는데, 그 이유는 접속이 입력 터미널(Ⅰ)과 출력 터미널 Ⅰ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동작 주기 T1의 2중 포트 메모리의 판독 동안의 주기 Td 동안에, 오프셋 값 A2는 버퍼 제어 테이블 Ⅱ(81)로부터 버퍼 Ⅱ(23) 내의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75)에 동시에 로드되기 때문에, 메모리 영역 Ⅱ 내에 기입되는 패킷은 2중 포트 메모리(77)로부터 판독되고, 버퍼 Ⅰ(2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 터미널 Ⅱ에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패킷은 버퍼 Ⅲ(24), Ⅵ(25), Ⅴ(26), Ⅵ(27), Ⅶ(28) 및 Ⅷ(29) 내의 메모리 영역 Ⅲ, Ⅳ, Ⅴ, Ⅵ, Ⅶ 및 Ⅷ으로부터 판독되고, 출력 터미널 Ⅱ 내지 Ⅷ에 각각 출력된다. 이때, 판독 주기 Td 동안에 판독될 패킷은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Ⅱ(57) 내의 분리-삽입 유니트 Ⅱ 내지 Ⅷ들이 부송신 라인을 통해 각각 접속되어 있는 터미널들을 수신지로 한다. 결과적으로, 동작 주기 T1의 FIFO 내의 판독 주기 Tf 동안에, 버퍼 제어 유니트(2)내의 판독 제어 유니트는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2중 포트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을 금지하고, FIFO Ⅲ로부터의 판독을 허용하며, 멀티플렉서 Ⅱ로부터 출력될 FIFO Ⅲ의 입력을 설정한다. 제어 신호에 따라, 버퍼 Ⅰ(22)는 FIFO Ⅲ로부터 판독하여, 셀렉터(79)를 통해 입력 터미널 Ⅰ(30)에 출력시킨다. 이때, 패킷 A는 판독되어, FIFO Ⅲ 내에 기입된다.
마찬가지로, 버퍼 Ⅱ(23) 내지 Ⅷ(29)에 대해서, FIFO Ⅲ 내의 패킷은 순서대로 판독되어, 입력 터미널(Ⅱ 내지 Ⅷ)에 각각 출력된다.
접속 변경 유니트는 상술한 바와같이,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버퍼 Ⅰ(22) 내지 Ⅷ(29)로부터의 패킷을 선정된 출력 터미널에 출력한다. 접속 변경 유니트 내의 각 출력 터미널로부터 출력된 패킷은 송신 유니트(Ⅰ 내지 Ⅷ) 내의 선정된 광 신호로 변환되어, 파장 멀티플렉서(38)에 인가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같이, 인가된 광 신호의 파장은 송신 유니트 Ⅰ(163), Ⅱ(164), Ⅲ(165), Ⅳ(166), Ⅴ(167), Ⅵ(168), Ⅶ(169) 및 Ⅷ(170) 내에서 각각 λ1, λ2, λ3, λ4, λ5, λ6, λ7 및 λ8이다.
상기와 같이, 8개의 번호가 매겨진 송신 유니트들로부터 인가된 광 신호는 서로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광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고도 파장 멀티플렉서(38) 내에서 혼합될 수 있다. 그 다음, 광 신호는 광섬유(39) 상에 입사되어, 다운스트림에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Ⅱ 57)에 송신된다. 따라서, 패킷 A는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Ⅰ 56)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Ⅰ(48)로부터,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터미널 장비 Ⅴ(52)에 전송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파장 λ1을 갖는 파장 광 신호로서 노드 디바이스 Ⅱ(57)에 송신될 수 있다.
노드 디바이스 Ⅱ(57)은 파장 λ1의 광 신호로서 송신되는 패킷 A의 채널 프로세싱 그룹을 변경시키고, 다운스트림에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을 향해 파장 λ5의채널을 통해 패킷 A를 릴레이시킨다.
파장 λ1 내지 λ8을 갖고 있고 광섬유(6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으로부터 송신된 광 신호는 디바이더(5)에 의해 분할되고, 수신 유니트 Ⅰ(6) 내지 Ⅷ(13) 상에 각각 입사된다. 수신 유니트 Ⅰ에서, 파장 λ1을 갖는 광 신호만이 필터 Ⅰ를 통해 송신되고 광다이오드(PD)에 의해 수신된다. 이 경우, 패킷 A가 노드 디바이스 Ⅰ(56)으로부터 파장 λ1의 광 신호로서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 유니트 Ⅰ에 의해 수신된 다음, 분리-삽입 유니트 Ⅰ(14)에 출력한다.
분리-삽입 유니트 Ⅰ(14) 내의 래치 Ⅰ(175)는 입력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를 래치하고, 비교기 Ⅰ(174)는 이를 노드 디바이스 Ⅱ의 노드 어드레스 값과 비교한다.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는 3으로 설정되고, 노드 디바이스 Ⅱ의 노드 어드레스 값 2까지 매치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기 Ⅰ는 릴레이 명령 신호를 디멀티플렉서 Ⅰ에 출력한다. 릴레이 명령 신호에 따르면, 디멀티플렉서 Ⅰ은 패킷 A의 출력 수신지를 FIFO Ⅱ로 설정한다. 따라서, 패킷 A는 FIFO Ⅱ 내에 기입되고, 가산 제어 유니트의 제어하에 판독되어, 셀렉터(72)를 통해 버퍼 Ⅰ(22)로 출력된다.
그 다음, 버퍼 Ⅰ 내의 래치 Ⅱ(177)은 입력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를 래치하고, 비교기 Ⅱ(176)은 이를, 송신 방향을 따르는 다운스트림에 인접한 노드 디바이스 Ⅲ의 노드 어드레스 값과 비교한다.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는 3으로 설정되고, 이는 노드 디바이스 Ⅲ의 노드 어드레스 값 3까지 매치되기 때문에, 비교기 Ⅱ는 지정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디멀티플렉서 Ⅱ에 출력한다. 신호에 따르면, 디멀티플렉서 Ⅱ는 패킷 A의 출력 수신지를 2중 포트 메모리로 설정한다.
패킷 A의 채널 어드레스는 5이기 때문에, 오프셋 값 A5는 기입 개시 어드레스 값으로서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74)에 동시 출력된다.
그 다음,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74)는 기입 개시 어드레스를 로드시키고, 순서대로 일정 증분만큼 카운트업하므로서, 입력 패킷 A의 기입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이를 2중 포트 메모리(77)에 출력한다. 패킷 A는 디멀티플렉서 Ⅱ를 통해 2중 포트 메모리(77)의 입력 포트에 이미 입력되어 있으므로, 패킷 A는 어드레스 카운터(74)로부터의 어드레스에 따라 순서대로 메모리 영역 Ⅴ에 기입된다.
패킷 A는 출력 터미널 Ⅴ가 접속 변경 유니트의 입력 터미널 Ⅰ에 접속될 때 동작 주기 T5 동안에 판독된다. 출력 터미널 Ⅴ는 분리-삽입 유니트 Ⅴ가 속한 채널 프로세싱 그룹 Ⅴ에 대응하며, 분리-삽입 유니트 Ⅴ는 인접 노드 디바이스 Ⅲ(58) 내의 수신 터미널에 접속된다. 반면에, 접속 변경 유니트의 입력 터미널 Ⅰ는 패킷 A가 기입되어 있는 버퍼에 접속된다.
패킷 A가 동작 주기 T1 동안에 2중 포트 메모리에 기입된다고 가정하면, 판독 어드레스 1은 동작 주기 T1 다음의 동작 주기 T2 동안에,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 내의 ROM 카운터(97)로부터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에 동시에 출력된다. 어드레스 값에 따라, 접속 제어 테이블의 내용은 판독된다.
이때, 접속 제어 테이블 Ⅰ로부터 출력될 선택 신호는 테이블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력 터미널 Ⅰ과 입력 터미널 Ⅷ 사이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접속 테이블 Ⅱ 내지 Ⅷ들 각각의 출력 터미널 Ⅱ와 입력 터미널 Ⅰ, Ⅲ 및 Ⅱ, Ⅳ 및 Ⅲ, Ⅴ 및 Ⅳ, Ⅵ 및 Ⅴ, Ⅶ 및 Ⅵ 및 Ⅷ 및 Ⅶ 사이의 접속들을 위해 선택 신호들을 취할 수 있다. 이들 선택 신호들은 셀렉터 Ⅰ(178) 내지 Ⅷ(185)에 입력되어,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 사이의 접속의 선정된 조합은 선택적으로 성립될 수 있다.
동작 주기 T1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작 주기 T2 동안에 접속 제어 유니트(161) 내의 ROM 카운터(97)로부터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스 값 1은 버퍼 제어 유니트 내의 버퍼 제어 테이블에 입력된다. 또한, 모든 종류의 판독 제어 신호들의 판독은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판독 제어 유니트(88) 내에서 구성된다. 제어 신호에 따라, 버퍼 Ⅰ(22) 내지 Ⅷ(29) 내의 2중 포트 메모리 및 FIFO Ⅲ는 판독된다. 이때, 버퍼 Ⅰ 내의 2중 포트 메모리는 테이블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메모리 영역 Ⅱ으로부터 판독된다. 다른 버퍼 Ⅱ 내지 Ⅷ에 대해, 패킷은 메모리 영역 Ⅲ, Ⅳ, Ⅴ, Ⅵ, Ⅶ, Ⅷ 및 Ⅰ로부터 각각 판독된다.
상기와 같이, 패킷은 판독되고, 입력 터미널 Ⅰ 내지 Ⅷ에 입력되며, 상기 선정된 출력 터미널로부터 송신 유니트 Ⅰ(163) 내지 Ⅷ(170)으로 출력된다. 그 다음, 패킷은 송신 유니트 Ⅰ 내지 Ⅷ내의 선정된 광 신호로 변환되고, 파장 멀티플렉서(38)을 통해 광섬유로 송신된다.
후속 동작 주기 T3 및 T4 동안에,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 내의 ROM 카운터(97)은 판독 어드레스 값으로서 2 및 3을 출력하기 때문에, 접속 제어 테이블 및 버퍼 제어 테이블은 판독될 수 있다. 그 다음, 패킷은 선정된 2중 포트 메모리 및 FIFO로부터 각각 판독되어, 선정된 채널 프로세싱 그룹으로 접속 변경 유니트에 의해 전송되며, 송신 유니트로부터의 광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경우, 패킷 A는 버퍼 Ⅰ(22)의 2중 포트 메모리 내의 메모리 영역 Ⅴ에 기입되기 때문에, 후속 동작 주기 T5 동안에 2중 포트 메모리를 판독하기 위한 주기 Td 동안에 판독된다.
동작 주기 T5 동안에, 접속 변경 제어 유니트(161) 내의 ROM 카운터(97)은 판독 어드레스 값으로서 4를 접속 제어 테이블 Ⅰ 내지 Ⅷ에 출력한다. 어드레스 값에 따라, 접속 제어 테이블의 내용이 판독된다. 이 경우, 입력 터미널 Ⅰ는 출력 터미널 Ⅴ에 접속된다.
이때, 어드레스 값 4는 또한 버퍼 제어 유니트(2)에 출력되기 때문에, 버퍼 제어 테이블은 판독될 수 있다.이 경우, 메모리 영역 Ⅴ는 버퍼 Ⅰ(22) 내의 2중 포트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도록 설정된다. 패킷 A는 동작 주기 T5 동안에 2중 포트 메모리를 판독하기 위한 주기 Td 동안 판독되고, 접속 변경 유니트 내에서 입력 터미널 Ⅰ로부터 출력 터미널 Ⅴ로 출력된다. 그 다음, 패킷 A는 파장 멀티플렉서(38)을 통해 광섬유에 송신되어 노드 디바이스 Ⅲ(58) 상에 입사된다.
노드 디바이스 Ⅱ(57) 내의 수신 유니트 Ⅰ(3) 내에서 파장 λ1을 갖는 광 신호로서 수신된 패킷 A는 접속 변경 유니트에 의해 채널 프로세싱 그룹 Ⅰ로부터 채널 프로세싱 그룹 Ⅴ로 변경되어, 파장 λ5의 광 신호로서 송신 유니트(Ⅴ 167)로부터 송신된다.
파장 λ1 내지 λ8을 갖고 있고 광섬유(6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Ⅱ(57)으로부터 송신된 광 신호는 노드 디바이스 Ⅲ(58) 내의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고, 수신 유니트 Ⅰ(6) 내지 Ⅷ(13) 상에 각각 입사된다. 수신 유니트 Ⅴ(10)에서, 파장 λ5을 갖는 광 신호만이 필터 Ⅴ를 통해 송신될 수 있고 광다이오드(PD)에 의해 수신된다. 패킷 A가 노드 디바이스 Ⅱ(57)로부터 파장 λ5의 광 신호로서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 유니트 Ⅴ(10)에 의해 수신된다. 그 다음, 패킷 A는 수신 유니트 Ⅴ(10)으로부터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출력된다.
그 다음, 분리-삽입 유니트 Ⅴ(18) 내의 래치 Ⅰ(175)는 입력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를 래치하고, 비교기 Ⅰ(174)는 이를 노드 디바이스 Ⅲ의 노드 어드레스 값과 비교한다.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부는 3으로 설정되고, 노드 디바이스 Ⅲ의 노드 어드레스 값 3까지 매치되기 때문에, 비교기 Ⅰ는 분리 명령 신호를 디멀티플렉서 Ⅰ에 출력한다.
분리 명령 신호에 따라, 디멀티플렉서 Ⅰ는 패킷 A를 I/F 유니트에 출력한다. 패킷 A는 그 다음, 부송신 라인 V를 통해 수신 터미널 장비에 의해 수신된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프로세싱은 패킷으로부터 어드레스부를 제거한 후, 데이터부만을 추출하므로서 수신 터미널 장비 내에서 수행된다.
상기에서, 패킷 A는 부송신 라인 Ⅰ(40)을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Ⅰ(56)에 접속된 송신 터미널 장비 Ⅰ(48)로부터, 부송신 라인 Ⅴ(44)를 통해 노드 디바이스 Ⅲ(58)에 접속된 수신 터미널 장비 Ⅴ(52)로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장 λ1의 패킷 A는 노드 디바이스 Ⅰ 내의 송신 유니트 Ⅰ(56)으로부터 전송된다. 그 다음, 패킷 A는 분리-삽입 유니트 Ⅴ(16)이 속한 채널 프로세싱 그룹을 위해 노드 디바이스 Ⅱ(57) 내에서 변경되며, 분리-삽입 유니트 Ⅴ(16)은 수신 터미널가 부송신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노드 디바이스 Ⅲ(48)에 접속된다. 즉, 패킷 A의 채널 프로세싱 그룹은 파장 λ5의 광 신호에 대응하는 다른 채널 프로세싱 그룹에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패킷 A는 노드 디바이스 Ⅲ(58) 내의 수신 유니트 Ⅴ(10)에 의해 수신되고, 분리-삽입 유니트 Ⅴ(18)에 의해 드롭되며, 부송신 라인 Ⅴ를 통해 수신 터미널 장비 Ⅴ내에 수신된다.
본 실시예는 셀렉터의 입력 터미널을 선택하기 위해 접속 변경 유니트 및 ROM 테이블로서 셀렉터들의 조합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속 변경 유니트의 제어는 간단화 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및 출력 터미널들의 수는 동일한 채널 수로 조정되어야 한다.
더구나 본 실시예는 한 송신 유니트 그룹 내에 고정 송신 파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파장 조덜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하면 파장은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을 출력하기 위해 선택되는데, 즉 패킷은 출력을 위해 원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송신 유니트의 송신 파장과 동기하여 버퍼로부터 판독되거나, 패킷은 원하는 파장을 출력하기 위해 송신 유니트에 접속되는 버퍼로부터의 출력과 동기하여 버퍼로부터 판독되기 때문에, 파장(채널)은 패킷 송신을 위해 원하는 것으로 변경된다. 그 다음, 원하는 파장을 통해 송신되는 패킷은 드롭 수단에 의해 드롭되고, 따라서 원하는 수신 터미널 장비로 송신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는, 패킷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 또는 이 분리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노드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파장(채널)을 나타내는 파장 어드레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킷을 릴레이시키는 노드 디바이스는 파장 어드레스에 따라 버퍼로부터 패킷을 판독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고, 분리 수단은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패킷의 드롭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패킷 어드레스의 판단에 필요한 로드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모든 노드 디바이스들이 제3 및 제4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송신 파장을 변경시킬 수 없는 경우에, 분리 수단에 입력되는 패킷이 선정된 파장으로 이미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분리 수단은 단지 드롭 어드레스에 따라 패킷의 드롭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이 경우, 패킷이 원하는 파장으로 출력될 수 있는 노드 디바이스는 패킷이 선정된 파장으로 이미 송신되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패킷 정보를 추가하면, 분리 수단은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추가 정보에 따라, 패킷의 분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이 링형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버스형 네트워크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들이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또한, 각 드롭 수단이 한 터미널에 접속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한 터미널 장비에 국한되지 않고, 다수의 터미널 장비들이 각 분리 수단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각 분리 수단은 다수의 터미널 장비들이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삽입 수단은 접속된 터미널 장비에 패킷을 분리시키고 터미널 장비로부터의 패킷을 다중-송신 채널 라인 상의 패킷 스트림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분리 수단 및 삽입 수단은 네트워크 내에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하게, 삽입 수단보다는 분리 수단이 상부 스트림측에 양호하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이 각 노드 디바이스 내의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서 디바이더 및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브랜칭 필터는 파장당 다중-파장 광 신호를 드롭핑 하기 위해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노드 디바이스 구조를 더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분리-삽입 수단, 및 버퍼 내의 FIFO 또는 2중 포트 메모리에서와 같이, 각 노드 디바이스 내에 사용된 저장 용량은 송신된 패킷 사이즈, 네트워크에 대한 송신 용량, 및 송신 채널 변경에 대한 동작 주기의 길이를 팩터로서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더구나, 광 신호가 광범위한 광 파장으로 다수의 채널들을 실현하는데 사용되더라도, 전기 신호는 주파수 멀티플렉싱 기술에 의해 다수의 채널들을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시스템, 노드 디바이스 및 송신 제어 방법은 제어하에 패킷 송신시에 사용될 채널을 선택하여,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고정 파장 수신 수단을 변경함으로써, 패킷의 루팅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제1 형태의 종래 노드 디바이스와 유사하지 않을 때 필요한 교환 유니트 없이도, 루팅 제어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하드웨어 스케일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변경 패턴은 중재(arbitration)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송신 수단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채널을 동시에 송신하지 않게 설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조정 제어 동작은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모든 파장들과 관련하여 출력 충돌의 발생을 각 채널마다 모니터링하는 것에 대해 필요하지 않다. 이는 또한, 노드 디바이스 구조를 간략화시키며, 하드웨어 스케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구나, 변경 패턴은 송신 수단의 각 송신 채널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파장의 변동율은 예를 들어, 송신 변경시에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노드 디바이스로 하여금 고속 파장 변경을 가능케하므로, 노드 디바이스에서의 동작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Claims (75)

  1.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신호 송신용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상기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상기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버퍼 상기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및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신호 송신용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상기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 중에서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상기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상기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노드 디바이스; 및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그 신호를 터미널 장비(terminal equipment)에 접속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터미널 장비로 출력하는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송신될 상기 신호가, 수신지(destination) 터미널 장비에 접속되는 분리 수단 또는 상기 분리 수단이 포함되는 노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가르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상기 분리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채널을 가르키는 채널 어드레스로 이루어진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는 신호이어서,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버퍼 수단이 상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는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터미널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송신 수신에 의해 송신될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입력 신호를,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한 신호와 채널 지정 없이 출력될 다른 신호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송신될 각 채널에서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신호를 더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링 형상으로 함께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채널들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서 상기 신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그 신호를 터미널에 접속되는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터미널로 출력하는 분리 수단, 상기 터미널로부터 송신될 신호를 상기 부송신 라인을 통해 전송될 신호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는 삽입 수단, 및 다수의 채널에서, 소정의 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채널이 개개의 세트에서 서로 상이하고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될 채널이 상기 개개의 세트에서 상이하여 상기 개개의 세트에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상기 채널의 각각이 상기 개개의 세트에서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될 상기 채널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제3 노드 디바이스의 1세트 내지 N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의 각 세트에 의해 수신될 채널이 상기 수신 수단의 동일 세트에 의해 송신될 것과 동일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모든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wavelength)을 갖는 광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이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의 개개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이고,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이, 각각의 소정의 패턴으로 송신 파장을 변경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이든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하며, 제2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고; 또는 패턴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제2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한 다음,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제2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송신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은 각각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고정 채널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채널이 서로 중첩할 수 없게하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은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의 제어에 의한 소정 패턴에 따라 개개의 버퍼에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모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사이 전체로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과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이 각 셀렉터에 대해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떤 출력이 선택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7.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및 각각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2개 이상의 미리 할당된 채널을 수신하고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한 채널을 통해 송신될 신호가 모든 노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한 노드 디바이스에서 송신용의 다른 채널로 전송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들 중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고 송신될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수신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 중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상기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그 신호를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터미널 장비로 출력하는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송신될 상기 신호가, 수신지 터미널 장비가 접속되는 분리 수단 또는 상기 분리 수단이 포함되는 노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가르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상기 분리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채널을 가르키는 채널 어드레스로 이루어진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는 신호이어서,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채널을 통해 송신 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버퍼 수단이 상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는 터미널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송신 수신에 의해 송신될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입력 신호를,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한 신호와 채널 지정 없이 출력될 다른 신호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송신될 각 채널에서 채널이 출력될 신호를 더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가 링 형상으로 함께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는, 다수의 채널들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서의 신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드롭(drop)하고 그 신호를 네트워크 시스템이 대응하는 부송신 라인을 통해 접속되는 수신지 터미널로 출력하는 드롭 수단, 상기 터미널로부터 송신될 신호를 상기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수신 수단에서의 신호 스트림에 가산하는 가산 수단, 및 다수의 채널 중에서 소정의 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노드 디바이스의 1세트 내지 N 세트의 세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채널 및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전송될 채널은 각각의 세트에서 모두 상이하여 상기 수신 수단의 각 세트의 수신 채널이 상기 송신 수단의 각 세트의 송신 채널 중 소정의 한 채널과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이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의 개개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포함하는 N개 번호가 붙은 파장의 광 채널이고,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이 각각이 소정의 패턴으로 송신 파장을 변경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이든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하고, 제2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고; 또는 상기 패턴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제2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제2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송신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각각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고정 채널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채널이 서로 중첩할 수 없게 하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은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의 제어에 의한 소정 패턴에 따라 개개의 버퍼의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의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n개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로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과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이 각 셀렉터에 대해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떤 출력이 선택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신호 송신용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를 접속하고 제1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될 신호가 다른 노드 디바이스 또는 다른 노드 디바이스들에서 수신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1 노드 디바이스에 있어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각각 수신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각각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서의 신호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드롭하고, 그 신호를 대응하는 부송신 라인을 통해 네트워크 시스템이 접속되는 단말 수신 터미널(accepting terminal)로 출력하는 드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송신될 상기 신호가, 수신지 단말 수신 터미널이 접속되는 드롭 수단 또는 상기 드롭 수단이 포함되는 노드 디바이스를 가르키는 드롭 수단 어드레스, 및 상기 드롭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드롭할 수 있는 채널을 가르키는 채널 어드레스로 이루어진 수신지 어드레스이어서, 상기 버퍼 수단이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될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드롭 수단이 드롭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신호를 드롭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3. 제30항에 있어서,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스트림에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는 각각이 상기 대응하는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상기 터미널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입력 신호를,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한 신호와 채널 지정없이 출력될 다른 신호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송신될 각 채널에서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신호를 더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6. 제3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이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의 개개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이고,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이 각각이 소정의 패턴으로 송신 파장을 변경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이든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제2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고; 또는 상기 패턴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제2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한 다음,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제2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각각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고정 채널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채널이 서로 중첩할 수 없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은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의 제어에 의한 소정 패턴에 따라 개개의 버퍼의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모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사이 전체로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과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이 각 셀렉터에 대해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떤 출력이 선택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디바이스.
  41.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및 각각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2개 이상의 미리 할당된 채널을 수신하고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한 채널을 통해 송신될 신호가 모든 노드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한 노드 디바이스에서 송신용의 다른 채널로 전송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각이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들 중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고 송신될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수신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 각각이 상기 수신 수단에서의 모든 신호들 중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단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채널 변경 제어 수단, 및 소망의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버퍼 수단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서의 신호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드롭하고, 그 신호를 대응하는 부송신 라인을 통해 네트워크 시스템이 접속되는 단말 수신 터미널(accepting terminal)로 출력하는 드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3. 제42항에 있어서, 송신될 상기 신호가, 수신지 단말 수신 터미널이 접속되는 드롭 수단 또는 상기 드롭 수단이 포함되는 노드 디바이스를 가르키는 드롭 수단 어드레스, 및 상기 드롭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드롭할 수 있는 채널을 가르키는 채널 어드레스로 이루어진 수신지 어드레스이어서, 상기 버퍼 수단이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될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드롭 수단이 상기 드롭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신호를 드롭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4. 제41항에 있어서,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스트림에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는 각각이 상기 대응하는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상기 터미널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입력 신호를,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한 신호와 채널 지정 없이 출력될 다른 신호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송신될 각 채널에서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신호를 더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이고, 상기 송신 수단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이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의 개개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포함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의 광 채널이고,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이 각각이 소정의 패턴으로 송신 파장을 변경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이든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하며, 제2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고; 또는 패턴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제2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한 다음,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제2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각각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고정 채널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채널이 서로 중첩할 수 없게 하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수단은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의 제어에 의한 소정 패턴에 따라 개개의 버퍼의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로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과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이 각 셀렉터에 대해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떤 출력이 선택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디바이스.
  52. 신호 송신에 대해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를 접속하고, 제1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될 신호가 다른 노드 디바이스 또는 다른 노드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제1 노드 디바이스용 신호 송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에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송신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들 중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 수단을 제어하고,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그 신호를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터미널 장비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신호가, 수신지 터미널 장비에 접속되는 분리 수단 또는 상기 분리 수단이 포함되는 노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가르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상기 분리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채널을 가르키는 채널 어드레스로 이루어진 수신지 어드레스를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이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이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신호가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채널에서 출력될 것인지를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상기 입력 신호가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의 송신 방향을 따라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인접한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신호를,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채널을 통해 출력될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7. 제52항에 있어서, 터미널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송신 수신에 의해 송신될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신호를,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한 신호와 채널 지정 없이 출력될 다른 신호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신호를 송신될 채널에 의해 더 분할하여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신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0.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송신 수단의 채널 변경이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의 개개의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이고,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이 각각의 소정의 패턴으로 송신 파장을 변경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이든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며, 내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하고, 제2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고; 또는 상기 패턴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제2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한 다음,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제2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2.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각각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고정 채널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채널이 서로 중첩할 수 없게 하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의채널 변경은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의 제어에 의한 소정 패턴에 따라 개개의 버퍼의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변경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모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사이 전체로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과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의 접속이 각 셀렉터에 대해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떤 출력이 선택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4.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및 각각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2개 이상의 미리 할당된 채널을 수신하고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한 채널을 통해 송신될 신호가 모든 노드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한 노드 디바이스에서 송신용의 다른 채널로 전송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용 신호 송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에서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들 중, 각각이 자신의 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송신될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들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 단계,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서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 중 송신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2개 이상의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동시에 동일 채널로 전송될 수 없도록 소정의 패턴에 따라, 채널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각각의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를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 수단을 제어하고, 소망의 채널에 대한 채널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소망의 채널을 통해 판독될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될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그 신호를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부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터미널 장비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신호가, 수신지 단말 수신 터미널이 접속되는 분리 수단 또는 상기 분리 수단이 포함되는 노드 디바이스를 가르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 및 상기 분리 수단이 분리될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채널을 가르키는 채널 어드레스로 이루어진 수신지 어드레스를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이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이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신호가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채널에서 출력될 것인지를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에 따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8.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상기 입력 신호가 자신의 노드 디바이스의 송신 방향을 따라 다운스트림(downstream)으로 인접한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신호를 상기 채널 어드레스에 따라 채널을 통해 출력될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69.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터미널 장비에 접속된 송신 라인을 통해 상기 송신 수신에 의해 송신될 신호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70.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신호를,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한 신호와 채널 지정 없이 출력될 다른 신호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수단은 송신될 신호를 채널에 의해 신호를 더 분할하여 채널이 지정되어 출력될 신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72.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송신 수단의 채널 변경이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의 개개의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이 n개의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포함하는 N개 번호가 붙은 개개의 파장을 갖는 광 채널이고, 상기 가변 채널 송신 수단이, 각각이 소정의 패턴으로 송신 파장을 변경하는 가변 파장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패턴 중 어느 것이든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한 다음,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우수의 파장을 선택하고, 제2 최단 파장을 선택한 후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고; 또는 상기 패턴이 n개의 번호가 붙은 파장 중 제2 최단 파장으로 스타트하고, 올림 차순으로 우수 파장을 선택한 다음, 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기수의 최장 파장을 선택하고, 내림 차순으로 기수의 파장을 선택하며, 최장 파장을 선택한 후 제2 최단 파장을 다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74.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각각은 n개의 번호가 붙은 채널 중 소정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고정 채널 송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채널이 서로 중첩할 수 없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과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의 채널 변경은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의 제어에 의한 소정 패턴에 따라, 개개의 버퍼의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을 변경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고정 채널 송신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및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버퍼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모든 상기 n개의 번호가 붙은 셀렉터 사이 전체로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버퍼 수단과 상기 고정 채널 송신 수단 사이의 접속이 각 셀렉터에 대해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어떤 출력이 선택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제어 방법.
KR1019950061278A 1994-12-28 1995-12-28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KR018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749694 1994-12-28
JP94-327496 1994-12-28
JP95-325632 1995-12-14
JP32563295A JP3432063B2 (ja) 1994-12-28 1995-12-14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20A KR960027620A (ko) 1996-07-22
KR0181718B1 true KR0181718B1 (ko) 1999-05-15

Family

ID=2657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1278A KR0181718B1 (ko) 1994-12-28 1995-12-28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01859A (ko)
EP (1) EP0720323B1 (ko)
JP (1) JP3432063B2 (ko)
KR (1) KR0181718B1 (ko)
CN (1) CN1102819C (ko)
AU (1) AU706670B2 (ko)
CA (1) CA2166163C (ko)
DE (1) DE695333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0324B1 (en) * 1994-12-28 2006-04-19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switching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network
JP3311234B2 (ja) * 1995-04-24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JP3335075B2 (ja) * 1995-06-06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JP3335081B2 (ja) * 1995-07-03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を行な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いて用いるノード装置、それ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こで用いる通信方法
JP3335087B2 (ja) * 1995-08-09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639682B2 (ja) * 1995-12-21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
JP3332776B2 (ja) * 1996-02-02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伝送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9289520A (ja) 1996-02-19 1997-11-04 Canon Inc 伝送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1041968A (ja) * 1996-07-24 1998-02-13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AU5079998A (en) * 1996-10-15 1998-05-2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High-performance parallel processors based on star-couple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interconnects
JPH10336248A (ja) 1997-04-01 1998-12-18 Canon Inc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に接続可能な通信装置と、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に接続可能な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H1174918A (ja) 1997-04-01 1999-03-16 Canon Inc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に接続可能な通信装置と、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に接続可能な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H1188393A (ja) 1997-07-18 1999-03-30 Canon Inc ノー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及びそこで用いる伝送制御方法
JPH11145996A (ja) 1997-11-12 1999-05-28 Canon Inc 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そこで用いる伝送制御方法
JP4014731B2 (ja) * 1998-07-08 2007-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674971B1 (en) 1999-09-03 2004-01-06 Teraconnect, Inc.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with receiver reserved channel
WO2004092942A2 (en) * 2003-04-09 2004-10-28 Netcel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ata from asynchronous disk drive data transfers
KR20060025135A (ko) * 2003-04-21 2006-03-20 네트셀 코포레이션 재구성 가능한 데이터 경로를 갖는 디스크 어레이 제어기
CN100428655C (zh) * 2005-05-23 2008-10-22 电子科技大学 一种光分组传输网中的节点结构及光信道设置方法
JP2014120050A (ja) * 2012-12-18 2014-06-30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049B2 (ja) * 1989-07-26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FR2672172B1 (fr) * 1991-01-29 1993-06-04 Cit Alcatel Matrice de commutation photonique.
EP0621700B1 (en) * 1993-04-23 2002-07-17 Canon Kabushiki Kaisha Wavelength multiplexing network
JPH06308558A (ja) * 1993-04-26 1994-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周波数切替装置
DE69431463T2 (de) * 1993-07-14 2003-04-0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Tokio/Tokyo Optischer FIFO Puffer mit Frequenzmultiplexierung
EP0720324B1 (en) * 1994-12-28 2006-04-19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switching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819C (zh) 2003-03-05
AU4073695A (en) 1996-07-04
AU706670B2 (en) 1999-06-24
JPH08237306A (ja) 1996-09-13
CA2166163A1 (en) 1996-06-29
EP0720323A3 (en) 1998-09-09
KR960027620A (ko) 1996-07-22
DE69533390D1 (de) 2004-09-23
EP0720323B1 (en) 2004-08-18
DE69533390T2 (de) 2005-10-06
EP0720323A2 (en) 1996-07-03
CN1134638A (zh) 1996-10-30
US5801859A (en) 1998-09-01
JP3432063B2 (ja) 2003-07-28
CA2166163C (en)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718B1 (ko)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US5777762A (en) Network system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transmission, and node device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ed in the system
EP0781006B1 (en) Ring network with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5859718A (en) Simplified switching control device, and a network system for employing the device: and a simplified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employing the method
US5828669A (en) Network system connecting node devices with plural channels, node device used therein,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therefor
EP0717522B1 (en) Communication network with plural optical channels, node and concentrator for use therein
EP0755138B1 (en) Network node device
US6005862A (en) Node device used in network system for performing packet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system
US6385206B1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and node and exchange node used therein
EP0792047A2 (en) Node interconnection using multiple channels
CA1287911C (en) Multichannel, multihop lightwave communication network
JP342039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用ノード装置及び通信方法
EP0837607B1 (en) Server system for delivering signal and delivery method of signal therein
JP3467036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US6714550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system
JPH09270808A (ja) 伝送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10303984A (ja) 光交換装置及び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998188A (ja) 信号交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信号交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0790721B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in network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by plural channels and network system therefor
JPH0946365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への追加ノード接続法
JPH10271581A (ja) 交換方法及び交換装置及びその交換装置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