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608B1 -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보 - Google Patents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608B1
KR0171608B1 KR1019910701306A KR910701306A KR0171608B1 KR 0171608 B1 KR0171608 B1 KR 0171608B1 KR 1019910701306 A KR1019910701306 A KR 1019910701306A KR 910701306 A KR910701306 A KR 910701306A KR 0171608 B1 KR0171608 B1 KR 017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teel
portions
concrete
web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595A (ko
Inventor
요르마 키클링
페르티 레보
페카 니키리
Original Assignee
요르마 키클링
델타테크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891772A external-priority patent/FI891772A/fi
Application filed by 요르마 키클링, 델타테크 오와이 filed Critical 요르마 키클링
Publication of KR92070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the passage of cables or conduits through the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널판(slabs)에 대한 구조물과 연결되는 부하 지지체로서 콘크리이트와 함께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보에 관한 것이다. 보는 2개의 웨브부분 및 이들 웨브부분 너머로 수평하게 연장한 플랜지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수평하게 연장한 플랜지부분(1)을 보유한 적어도 2개의 웨브부분(2)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간단한 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길고 가느다란 하나의 재료에 의해서 보를 제조하며, 이에 따라서 2개의 웨브부분(2) 및 이들 웨브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플랜지부분(1)이 이음매없는 구조물을 형성하며, 웨브부분(2)이 플랜지부분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로 놓여진다. 2개의 웨브부분(2)은 서로 마주하게 경사지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그 마주하는 근접한 가장자리 부분들은 상부(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웨브부분(2)의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장자리 부분들은, 웨브부분에 용접 연결된 강판(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웨브부분(2)의 상연부 및/또는 상부(3) 내에는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웨브부분(2)의 상부(3)와 강판(4)의 사이로 형성된 틈새로, 공지된 방법으로 콘크리이트를 주입시킨다.

Description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 보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슬랩(slabs)에 대한 부하 지지 구조물로서 콘크리이트와 함께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 보(fire resistant prefabricated steel beam)에 관한 것이며, 특히 2개의 웨브부분 및 이들 웨브부분 너머로 수평하게 연장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강철 보에 관한 것이다.
예비 조립식 빌딩의 골조(frame)는 통상적으로 기둥 및 보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 및 천장 구조물에 의해서 형성된다. 보가 수평 부하지지 구조물로 작용하려면, 충분한 강성 즉, 강철로 보강된 콘크리이트의 경우에 500 내지 800㎜의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만 한다. 보는 열, 물, 통풍, 전기설비등에 대한 통로가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서 바닥 구조물의 높이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높이가 높은 보 구조물이 낮은 높이의 구조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보의 웨브(web)가 바닥구조물의 내부에 유지된다. 낮아진 보의 높이는, 예를 들어서 예비 응력(prestressing)을 가함으로써 최소화 된다. 기술적으로 볼때, 정상적인 보 보다는 턱부분을 가지는 보(jaw beam)의 제조가 더 어려우며, 높이가 낮아진 부분의 최소 두께는 100 내지 150㎜가 된다.
통상적으로, 보는 강(steel)으로 제조된다. 강철 보는, 예비 조립식 콘크리이트 보 보다도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제조에 있어서도 용이하다. 더욱이, 강철 보는 복잡한 콘크리이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동이 용이하고, 콘크리이트 보에 비해서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골조 구조 시간표에 따라서 건축 공정을 조정함으로써, 전체 건축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화재 등의 경우에 강철의 강성은 온도 증가에 따라서 악화되며, 따라서 강철 보는 불로부터 보호되어야만 한다. 이에 대해, 콘크리이트 바닥 구조물 내부로 강철 틀을 주입함으로써, 하부 플랜지가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를 내화성판, 절연재, 페인트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코팅시킴으로써 하부 플랜지가 보호될 수도 있다. 외관상 이유 때문에, 통상적으로 파이프 연결부 및 내화성이 필요한 부분을 소위 달반자(suspended ceiling)로 코팅 처리한다.
이와같이 화재에 대한 종래의 보호 방법은, 바닥장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낮은 모자 형상의 구조물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모자 형상의 구조물에서, 보의 정방형 하부 플랜지가 다른 나머지 부분들 보다 폭이 넓기 때문에 바닥 장치에 대해 돌출부를 제공한다. 구조물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강철이 구조물의 강성도를 고려하여 최적으로 사용될 수가 없다. 초과분의 강철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낮은 바닥 구조물에 의해서 가능한 효율적으로 빌딩의 체적을 이용하기 위해 모자 형상 보(THQ beam)가 예를 들어, 사무용 건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수한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낮은 바닥 구조에 의하여 상당한 비용절감을 얻어지는데,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서 도심의 빌딩지역 등에서 수많은 빌딩의 기초 공사의 깊이, 및 그러한 빌딩의 기초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에 대한 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강철 보의 사용은, 주로 스팬 길이(span length, 보의 지지점 간의 거리)에 따라서 제한된다. 스팬 길이가 길수록 보의 지지 하중이 무거우며, 보의 처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오늘날은 빌딩의 건축비를 증가시켜서라도, 이후에 다른 용도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건설되고 있다. 이와같은 융통성은, 가벼운 격벽(partition walls)으로 대체된 바닥장치 및 여분의 지지 구조물에 의해서 제공된다. 제조상의 기술적 측면에서 볼때, 기다란 보는 취급이 어렵고, 용접에 의한 열응력에도 불구하고 스팬 길이에 따른 적절한 마무리 가공(cambering)이 필요하며, 강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용접 시간이 길어진다.
이러한 결점을 제거시키기 위해서, 최근에는 강철 보 및 콘크리이트의 복합 구조물의 사용이 제기되었다. 한 예로써, 핀란드 특허출원 제 882186 호를 들수 있다. 이러한 복합 구조물중 강철 보는, 종래에 비해서 보다 긴 스팬 길이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보가 훨씬 가볍다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핀란드 특허출원에 개시된 강철 보에서는, 열간 압연(hot rolling) 작업이 수행된 기본틀에 의해서, 보가 형성될때 용접 작업이 다소 줄어든다. 그러나, 상기 핀란드 특허출원에 개시된 방법은 서로 다른 재료를 연결해 주는 인서어트(inserts)가 용접량을 증대시키며, 다수의 작은 부품들이 보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그 제조가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강철 보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제거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형성된 강철 보는, 수평하게 연장한 플랜지부분을 갖춘 적어도 2개의 웨브부분이 하나의 길고 가느다란 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웨브부분이 플랜지 부분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웨브 부분 및 이러한 웨브 부분과 연결된 플랜지 부분이 이음매 없는 구조를 형성하며, 2개의 웨브부분이 서로 마주하여 경사지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이러한 웨브 부분이 서로 근접한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수평한 상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웨브 부분에 용접 연결된 강판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웨브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 근처 또는 상기 상부 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웨브 부분의 상부와 상기 강판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콘크리이트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잇점은, 이러한 강철 보의 양호한 성질을 제공한다는 점 외에도, 작업 장소의 골조 구조(frame system)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과, 가볍고 낮은 구조물을 제공한다는 점과, 신속한 설치, 및 열, 물, 통풍 및 전기설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등의 많은 부수적인 잇점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는, 강철 부분이 설치중에 슬랩 부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강철 보에 의해서 형성된 케이싱(casing), 및 슬랩과 강철틀 사이의 간극은 슬랩의 연결부 내부로 주입되는 콘크리이트가 채워진다. 완성된 구조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는 콘크리이트와 강철 간의 점착력에 의해 보에 작용하는 부하를 수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는 접합 슬랩과 함께 적절한 장소에서 마무리되도록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슬랩 및 보는 한 단계로 콘크리이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는, 요구되는 강성도에 따라서 필요한만큼 용접 작업을 최적화시키도록 자동생산 라인에서 제조될 수 있다. 점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웨브부분에 간단하게 구멍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멍을 관통시킴과 동시에 이들 구멍의 가장자리 상에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이트와 강철 간의 점착력이 향상된다. 구멍은, 예를 들어서 경사진 웨브부분의 상부에 위치되며, 이를 통해서 시멘트 혼합물(grout)이 보의 내부로 용이하게 주입된다. 또한, 경사진 웨브부분에 의해서 슬랩들이, 시멘트 혼합물의 주입을 방지하지 않도록 돌출된 플랜지 부분의 만곡부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턱부분을 가지는 보(jaw beam)의 턱부분에는, 슬랩과 보의 수직 웨브부분 사이로 분리된 주형 공간(casting space)이 남겨져야만 했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 적은 변형만이 생긴다. 바닥구조의 연결부 내부로 콘크리이트를 주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불에 대한 보호에 있어서도 잇점을 가지는 형상으로 인하여, 슬랩들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단지 설치시에 플랜지들 만이 그대로 남겨진다. 고정틀 내에 위치된 보의 플랜지 부분은, 바닥구조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는 동시에, 보의 제조에 있어서 화재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다. 돌출된 플랜지 부분은 전달 및 설치 중에, 화재 보호층을 보호한다. 이러한 화재 보호층은, 돌출한 플랜지에 부착된 얇은 판에 의해서 기계적 마모 및 손상에 대해서도 보호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beam)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를 수직 구조물 상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를 수직 구조물 상에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보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의 자동생산 라인을 도시한 블럭선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의 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슬랩(slabs)이 보(beam) 및 콘크리이트 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콘크리이트는 보의 내부로 주입되어서 보 및 슬랩의 틈새를 메우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뻗는 플랜지부분(1)을 가지는 각각의 웨브부분(2)은 일체로 된 가늘고 기다란 재료로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웨브 부분(2)은 플랜지부분(1)에 비해서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다. 웨브부분(2) 및 이 웨브부분의 축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분(1)은, 예를 들어서 적절한 띠강(strip of steel)을 굽힘 가공하여서 형성된 것이다.
측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분(1)를 보유한 2개의 웨브부분(2)은, 서로 마주하여 경사지게 배열되어서 수평한 상부(3)에 의해 그 가장자리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나란히 놓여져 있다. 수평한 상부(3)는, 예를들면 띠강과 같은 가늘고 기다란 재료에 의해서 웨브부분과는 별도로 제조되며, 웨브부분의 상부 가장자리에 용접 연결되어 있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웨브부분(2) 및 플랜지부분(1)에 의해서 형성된 2개의 구조물은 거의 이음매가 없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웨브부분(2)의 서로 멀리 이격되어 있는 가장자리(하부 가장자리) 사이에는 수평한 강판(4)이 용접 연결되어 있는데, 이 강판(4)은 구조물이 기본틀 내부로 주입된 콘크리이트 부분(8)에 대한 하부의 쇠시리 벽(mould wall)으로서 작용하는 한편, 보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플랜지로서도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강판(4)은 플랜지부분(1)의 하부면의 높이 보다 더 높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보의 구조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보가 영역(10)에서 화재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게 해준다.
서로에 대해서 경사져있는 2개의 웨브부분(2)에는 각각 견부(shoulders)(12)가 부착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강판(4)은 용접중에 바로 이 견부(12) 상에 지지된다.
보 내부에 콘크리이트를 채우기 위해서, 경사진 웨브부분(2)에 구멍(14)이 제공되어 있다. 강과 콘크리이트 사이에 점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구멍(14)의 가장자리에는 예를 들어, 제조 단계에서 뾰족한 형상(prodlike) 혹은 판 형상(platelike)의 돌출부(5)가 제공된다.
강철로 제조된 버팀대(6)가 보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지지될 슬랩의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하여 있다. 이 버팀대(6)는, 보 내부에 콘크리이트가 채워졌을 때 보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쐐기형 콘크리이트부분(7)과 함께 보가 슬랩을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쐐기형 콘크리이트부분(7)을 제자리에 효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버팀대(6) 외에도, 파지형 갈고리부분(18)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설치시에 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강으로 제조된 상부(3) 지역은 기본 틀 상부 위 또는 아래 용접 연결된 강판(9) 또는 콘크리트 강철에 의해서 보강된다. 이는, 점착성도 향상시켜 준다.
설치 단계에서, 슬랩이 정위치에 놓여지기 이전에 보의 아랫쪽에 제공되어 있는 구조물 상에서 그 중앙에 보가 지지된다. 콘크리이트 작업이 충분한 강도로 마무리 된 후에는, 중앙의 지지물은 제거된다. 이러한 지지물의 사용으로 충분한 점착성이 얻어지며, 이는 건설 중이나 걸설이 완료된 후에도 보의 구부러짐을 감소시켜 주므로 마무리 작업이 필요없다. 중앙의 지지물을 사용함으로써, 설치중에 발생되는 응력으로 인한 압축면 상에 강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보의 측면도이다. 보의 웨브 부분(2)에는 구멍(14)이 배열되어 있어서, 콘크리이트 작업과 관련하여 보의 수평한 상부(3)의 아랫쪽에 어떠한 주형 공동(cast cavities)도 형성되지 않는다. 구멍(14)은 상단부 모서리에 근접한 웨브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구멍(14)은 슬랩 부분에 대한 보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열, 물, 통풍 및 전기설비를 위한 파이프의 역할도 한다.
제3도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보를 수직 지지 구조물이나 기둥에 부착시키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보의 단부는, 보에 대한 지지 브라켓(11)이 보의 내부에 완전히 끼워질 수 있도록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보의 수평한 상부가 브라켓 상에 놓여져 있으며, 보의 측면이 볼트(13)에 의해 브라켓의 측면쪽으로 조여져 있다. 이러한 조임은 장착용 쐐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같은 연결에 의해서, 설치중에 보의 비틀림 강도가 충분히 제공된다. 보가 지지 구조물 또는 기둥에 연결되기 전에, 브라켓을 관통하는 콘크리이트 보강부(15)를 브라켓 상에 제공함으로써, 지지 구조물과 연결되는 보에 대한 지지 토오크가 생긴다. 이러한 지지 토오크는, 보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부하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킨다. 지지 토오크를 생성시키는 다른 방법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는, 지지 구조물 또는 기둥을 관통하는 인장봉(16)이 제공되어 있다. 인장봉(16)은 너트(17)에 의해서 보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너트(17)는 보의 웨브부분의 구멍(14)을 관통하여 조여진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립 단계에서 보의 콘크리이트 작업이 수행된다. 콘크리이트 보에 적용되는 종래의 예비응력 기술(prestressing technique)에 의해서 보의 굽힘이 증가될 수 있다. 콘크리이트 둘레로 제공된 강철 형상이 일종의 웨브 보강부의 역할을 하면서 콘크리이트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예비 응력의 크기가 종래의 것 보다 증가된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보의 수평한 상부(3)에는 콘크리이트(21)가 유입될 구멍(20)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구멍(20)을 통해 콘크리이트(21)는 보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구멍(20)의 가장 자리에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구멍(14)의 돌출부(5)와 유사한 돌출부(22)가 제공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는, 설치 단계에 보가 자체적으로 연결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보의 상부면에 부가적인 강철이 제공되지 않는다. 보가 굽어질 때, 강판(4)은 인장 응력을 수용하는 반면,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보의상부는 압축 응력을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의 형상으로 인하여, 보의 자동생산 라인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6도는 이러한 보의 자동생산 라인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예를 들어서, 보의 형상은 얇은 강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구멍은 적절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면 웨브부분 등에 제공된다. 점착성을 증가시키는 돌출부들은, 구멍 가공 단계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부품들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보는 요구되는 스팬 길이에 따라 가공된다. 그 후, 상부, 상부에 부가되는 강철, 하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강판은 화염 절단(frame-cut) 작업에 의해서 소정의 기본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무리 가공된다. 추가의 강철들을 용접 가공하는 작업은, 자동 용접기로 강판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홈을 잠호 용접(submerged arc welding)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가 있다. 보의 상단 상세 부분은 자동로봇 용접에 의해서 용접 가공되며 최종적으로, 보를 코팅시키고, 필요한 경우에는 내화재를 사용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의 단면도이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랜지부분(31), 웨브부분(32) 및 상부(33)가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었다는 점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다르다. 기본적인 틀은, 예를 들면 냉간 가공된 틀(cold-moulded profile)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 플랜지부분(31), 웨브부분(32) 및 상부(33)는 어떠한 연결부도 가지지 않은 일체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강판이 참조부호(34)로 지정되어 있고, 구멍은 참조부호(40)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참조부호(42)로, 그리고 견부는 참조부호(12)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또한, 콘크리이트부분은 참조부호(41)로 나타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국한시키려는 의도에서 제시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기재된 바와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 및 그 세부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꼭 일치되어야만 할 필요는 없으며, 세부적인 사항들이 더 추가되거나 감소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6)

  1. 2개의 웨브 부분과 상기 웨브 부분 너머로 연장하는 수평으로 돌출한 플랜지를 포함하며, 여러 종류의 슬래브용 부하 지지 구조물로서 콘크리트와 함께 작용하기 위해 배열된 예비조립식 내화성 강철 보에 있어서, 상기 수평으로 돌출한 플랜지 부분(1, 31)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브 부분(2, 32)은 상기 웨브 부분 및 상기 웨브 부분에 인접한 상기 돌출된 플랜지 부분이 이음매 없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웨브 부분(2, 32)이 상기 플랜지 부분에 대해 경사져 있도록 일체식의 재료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웨브 부분(2)은 서로 경사져 있도록 측면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수평 상부 부분(3, 33)에 의해 서로 근접한 엣지와, 상기 웨브 부분에 용접된 플레이트(4, 34)에 의해 서로 이격된 엣지를 연결하며, 그리고 상기 웨브 부분(2, 32)의 상부 부분(3, 33)과 상기 플레이트(4, 34)사이에 한정된 공간을 공지된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채우기 위해 상기 웨브 부분(2, 32)의 상단부 엣지에 근접하게 형성되거나 수평 상부(3, 33)내에 구멍(14, 20, 40)이 형성되는 강철 보.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근접한 가장자리 부근에서 상기 웨브 부분(2)과 상호연결되는 상부(3)는 개별적인 재료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는 강철 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부분(32), 상기 돌출 플랜지 부분(31), 및 상기 수평 상부(33)는 일체식의 기본 틀로 형성되는 강철 보.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부분(2, 32) 또는 상기 상층부(3, 33)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5, 22, 42)는 상기 콘크리트와 강철 사이의 점착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개구(14, 20, 40)의 가장자리 내에 형성되는 강철 보.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부분(2, 32)의 하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4, 34)는 상기 돌출 플랜지(1, 31)의 하부면 위에 위치되는 강철 보.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의 상부(3, 33)에 하나 이상의 강판(9) 또는 콘크리트 강철이 부착되는 강철 보.
KR1019910701306A 1989-04-13 1990-04-04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보 KR0171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891772A FI891772A (fi) 1989-04-13 1989-04-13 Brandsaeker foertillverkad staolbalk.
FI891772 1989-04-13
FI900985 1990-02-27
FI900985A FI85745C (fi) 1989-04-13 1990-02-27 Brandsaeker prefabricerad staolbal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595A KR920701595A (ko) 1992-08-12
KR0171608B1 true KR0171608B1 (ko) 1999-02-18

Family

ID=2615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306A KR0171608B1 (ko) 1989-04-13 1990-04-04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67912B1 (ko)
KR (1) KR0171608B1 (ko)
AT (1) ATE107990T1 (ko)
AU (1) AU636603B2 (ko)
CA (1) CA2051393C (ko)
DE (1) DE69010326T2 (ko)
FI (1) FI85745C (ko)
MY (1) MY108507A (ko)
WO (1) WO1990012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2089C (fi) * 1993-01-13 1994-09-26 Deltatek Oy Esivalmistettu teräs-betoni-liittopalkki
FI930696A (fi) * 1993-02-17 1994-08-18 Deltatek Oy Esivalmistettu teräs-betoni-liittopalkki
US5590266A (en) * 1994-10-11 1996-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ity mechanism for data transfer in a windowing system
DE29719057U1 (de) * 1997-10-27 1997-12-11 Menke Gerhard Säulenartiges Betonfertigteil
US6442908B1 (en) * 2000-04-26 2002-09-03 Peter A. Naccarato Open web dissymmetric beam construction
WO2002075068A1 (fr) * 2001-03-19 2002-09-26 Obs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ju 'profil Xxi Vek' Poutre profilee des travaux de betonnage
FI112817B (fi) * 2001-07-02 2004-01-15 Ekobalk Oy Rakennuspalkkijärjestelmä
NL1020608C2 (nl) * 2002-05-16 2003-11-18 Constructiewerkplaats G C Gr N Systeem omvattende althans in hoofdzaak stalen liggers, in het bijzonder ten behoeve van de staal- en/of betonskeletbouw.
FI118816B (fi) 2002-05-29 2008-03-31 Teraespeikko Oy Menetelmä ja väline teräspalkin valmistamiseksi
FI119196B (fi) * 2002-05-29 2008-08-29 Peikko Finland Oy Teräspalkki
DE50302102D1 (de) 2002-10-05 2006-03-30 Dywidag Systems Int Gmbh Stahl-Verbund-Konstruktion für Geschossdecken
FI20021934A (fi) * 2002-10-31 2004-07-16 Tartuntamarkkinointi Oy Liittopalkki
FI5914U1 (fi) * 2003-04-10 2003-08-25 Teraespeikko Oy Teräspalkki
ES2220236B1 (es) * 2004-06-24 2005-07-01 Hormigones Prefabricados De España, S.A. "estructura de edificio multiplanta".
DE202004018655U1 (de) 2004-12-02 2005-04-21 Velthorst Beheer B.V. Stahlverbundträger mit brandgeschütztem Auflager für Deckenelemente
FI20060543L (fi) * 2006-06-02 2007-12-03 Rautaruukki Oyj Teräslevypalkki ja sen valmistusmenetelmä
ES2369678B1 (es) * 2009-07-07 2012-06-19 Idoc Ingenieros S.L. Viga en carga para forjados planos.
FI20145669A (fi) 2014-07-11 2016-01-12 Peikko Group Oy Teräspalkki
DE202015104628U1 (de) * 2015-09-01 2016-12-05 Pfeifer Holding Gmbh & Co. Kg Tragbalken für Deckensysteme und Deckensystem
FI11529U1 (fi) 2017-01-16 2017-01-30 Anstar Oy Ontelolaatan kannake
ES2681568A1 (es) * 2018-05-23 2018-09-13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ència Viga plana con resistencia al fuego mejorada para forjados de acero-hormigón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SE543184C2 (sv) * 2019-02-14 2020-10-20 Vaestsvenska Staalkonstruktioner Ab Brandsäker bjälklagsbalk av stål med vertikala liv, horisontella flänsar och ett värmeisolerande material i ett utrymme mellan flänsarna
ES2783890A1 (es) * 2020-06-04 2020-09-18 Univ Valencia Politecnica Viga en cajon mixta acero-hormigon
SE2250644A1 (sv) * 2022-05-30 2023-12-01 Svensson Nils Gustav Balk av stål avsedd att tillsammans med betong forma ett bjälkla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497A (en) * 1966-11-28 1968-08-20 Inland Steel Products Company Deck system
DE2339638C3 (de) * 1973-08-04 1979-02-22 Walter Dr.-Ing. 6101 Rossdorf Sowa Als Bewehrung für eine Betonverbunddecke dienende Schalungsplatte aus Blech
DE2431913A1 (de) * 1974-07-03 1976-01-22 Walter Dr Ing Sowa Profilblechplatte fuer betonverbunddecken
CH582801A5 (ko) * 1973-08-04 1976-12-15 Sowa Walter
SE457364B (sv) * 1987-05-11 1988-12-19 Joergen Thor Brandmotstaandskraftig bjaelklagsbalk av staal i samverkan med beto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07990T1 (de) 1994-07-15
FI85745B (fi) 1992-02-14
CA2051393C (en) 1995-09-05
AU5359990A (en) 1990-11-05
KR920701595A (ko) 1992-08-12
MY108507A (en) 1996-10-31
DE69010326T2 (de) 1994-10-20
FI900985A0 (fi) 1990-02-27
WO1990012173A1 (en) 1990-10-18
DE69010326D1 (de) 1994-08-04
AU636603B2 (en) 1993-05-06
EP0467912B1 (en) 1994-06-29
FI85745C (fi) 1993-02-23
EP0467912A1 (en) 1992-01-29
CA2051393A1 (en) 199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608B1 (ko) 예비 조립식 내화성 강철보
CN107989227B (zh) 一种装配式型钢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制备和安装方法
AU2015246120A1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FI86326B (fi) Brandmotstaondskraftig, foertillverkad bjaelklagsbalk av staol.
KR101858817B1 (ko)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KR100918983B1 (ko) 대형 티에스씨 보 및 그 제조방법
CN108060789B (zh) 一种既有砌体结构隔震加固的墙体托换方法
KR20060092038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1013009B1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CN115961719A (zh) 一种预制剪力墙系统及其施工方法
CN106759950B (zh) 一种预制装配式板墙工字钢焊接节点施工工艺
JP417140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FI84847B (fi) Stomkonstruktion foer samverkansbalk.
BG64654B1 (bg) Двойно напрегната съставна покривно-таванна хоризонтална софитна конструкция за индустриални сгради с голяма площ
EP1242696B1 (en) Supporting method for hollow-core slabs and end attachment
KR20020062245A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JP39094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9386794U (zh) 一种结构挑檐固定式幕墙干挂结构
CN219808484U (zh) 一种装配式钢结构箱型钢柱与外围护墙的连接构造
KR102529053B1 (ko) 화재 이후 재사용이 가능한 합성보
CN211058110U (zh) 一种保温楼板层
CN219952351U (zh) 一种填充墙砌筑顶部固定结构
JP2021095768A (ja) 木質柱梁接合構造
JP3703233B2 (ja) コンクリート製建築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220086294A (ko)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